KR20110106966A -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가 형성된 원심력여과집진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가 형성된 원심력여과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966A
KR20110106966A KR1020100026058A KR20100026058A KR20110106966A KR 20110106966 A KR20110106966 A KR 20110106966A KR 1020100026058 A KR1020100026058 A KR 1020100026058A KR 20100026058 A KR20100026058 A KR 20100026058A KR 20110106966 A KR20110106966 A KR 20110106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entrifugal force
dust
dust collecting
inn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0670B1 (ko
Inventor
박현설
임경수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26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670B1/ko
Publication of KR20110106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2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6/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가 형성된 원심력여과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심력집진기와 여과집진기가 상, 하단부에 대응 설치되며 일체형으로 이루는 원심력여과집진장치에 있어서, 유입되는 분진함유 가스의 선회류가 형성되는 원심력집진기와, 다수의 집진필터가 내설되어 분진함유 가스 내 미세분진이 제거되도록 하는 여과집진기로 구성되되, 상기 원심력집진기에 내설된 내통과 여과집진기의 집진필터 사이에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원심력집진기를 통과한 강한 유속의 선회류가 집진필터 하단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의 외주연을 따라 상승하게 되어 집진필터 하단부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집진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상기 선회류의 유속이 감속되지 않으면서 여과집진기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심력집진부의 집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가 형성된 원심력여과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가 형성된 원심력여과집진장치{Cyclone-bag house equipped with filter protection guide}
본 발명은 원심력집진부와 여과집진부가 하나의 집진장치에 접목된 원심력여과집진장치에 있어서, 내설된 다수의 집진필터 하단부의 마모를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되도록 한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가 형성된 원심력여과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심력집진기와 여과집진기가 하나의 장치에 병합되어, 상단에는 여과집진부가 위치되고 하단에는 원심력집진부가 위치되는 원심력여과집진장치에 있어서, 원심력집진부의 집진효율을 높임으로써 여과집진부에 도달하는 분진의 농도를 감소시키면, 이로 인해 여과집진기의 집진효율 및 탈진주기가 증가하여 집진기의 성능이 향상됨과 동시에 집진필터의 수명이 증가되어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원심력여과집진장치는 원심력집진부(100)를 통과한 강한 유속의 선회류(102)가 여과집진부(101)에 그대로 유입됨으로써 집진필터(103) 하단부를 마모시켜(도 1의 필터 마모부(104)) 집진필터(103)의 수명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마모된 집진필터(103)를 통해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1. 고효율 일체형 원심여과집진장치(등록번호: 10-0242228, 1999.11.09)의 경우, 원심력집진부가 여과집진부 하단에 위치한 원통형 원심력여과집진장치로서, 원심력집진부의 내통을 통과하는 유동이 강한 선회류를 형성하기 때문에 여과집진부에 위치한 집진필터의 하단부분에 쉽게 마모가 발생하여 필터 수명 단축 및 분진 배출농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으며,
2. 모듈화된 하이브리드 집진장치(등록번호: 10-0761445, 2007.09.18)의 경우, 박스형 원심력집진부가 박스형 여과집진부 하단에 위치하는 박스형 집진장치로서, 원심력집진부의 내통을 통과하는 선회 유동을 감쇠하기 위해 원심력집진부 내통에 선회 유동 감쇠효과가 있는 격자 또는 방해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원심력집진부 내통에 설치된 격자 등은 선회유동을 감쇠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선회유동이 감쇠됨에 따라 원심력집진부의 집진효율이 더불어 감소된다는 단점이 있고, 원심력집진부의 효율이 감소하면 여과집진부의 탈진주기가 빨라지고 따라서 분진배출이 증가하여 집진효율이 감소하게 되며, 필터교체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심력여과집진장치의 원심력집진부와 여과집진부 사이에 콘(cone) 형태의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 설치하여, 원심력집진부의 선회유동을 감쇠시키지 않고도 종래의 원심력여과집진장치에서 발생하는 집진필터 마모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가 형성된 원심력여과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소정길이를 갖는 수직 원통 형상의 상부 원심력집진부(11)와, 상기 상부 원심력집진부(11)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연장형성되어 하단을 향할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역원추 형태의 하부 원심력집진부(10)와, 상기 상부 원심력집진부(10)의 외주연에 접선방향으로 형성되어, 분진함유 가스(A)의 유입시 선회류(S)가 형성되도록 하는 분진함유 가스 유입구(20)와, 상기 상부 원심력집진부(10)에 내설되는 원통 형상의 내통(30)으로 구성되는 원심력집진부(10)와; 상기 원심력집진부(10)의 내통(30) 상부에 연통되도록 연장형성되며, 상기 원심력집진부(10)를 통과한 분진함유 가스(A) 내 미세분진을 여과하는 다수의 집진필터(50)가 내설되되, 상기 다수의 집진필터(50)가 설치 고정되도록 형성된 집진필터 고정판(51)과, 상기 다수의 집진필터(50) 상부에 설치되어, 집진필터(50)에 부착된 분진을 주기적으로 탈리시키는 탈진장치(70)와, 상기 집진필터(50)를 통과한 청정 가스(B)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청정 가스 배출구(80)로 구성되는 여과집진부(40)와; 상기 다수의 집진필터(50)와 내통(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통(30)으로부터 유입되는 선회류(S)가 상기 집진필터(50)의 하단부(P)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선회류(S)가 다수의 집진필터(50)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의 콘(cone) 형상을 가지되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원형 단면의 관체 형상을 가지며, 상부측에는 다수의 집진필터(50)의 하단부(P)가 소정길이 내입되어 보호되도록 하고, 하부측은 상기 내통(30)에 소정길이 내설되어, 상기 내통(30) 내부를 통과하는 선회류(S)가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의 외주연을 따라 상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는 다수의 타공부(61)가 천공형성된 원통형의 부가 가이드(62)를 상부측으로 연장형성하되, 상기 부가 가이드(62)는 소정길이(D1)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여과 집진부(40)에 집진필터(50)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집진필터 고정판(51)까지 연장 형성되는 길이(D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회류의 영향으로 마모발생이 가장 빈번한 집진필터 하단부를 콘(Cone) 형태의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가 보호함과 동시에, 원심력집진부 내통의 선회류 유동을 감쇠시키지 않고 여과집진부에 전달함으로써, 원심력집진부의 집진효율을 고효율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 원심력여과집진장치의 구조 및 필터마모 발생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력집진부에서의 선회류의 유동 특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를 구비한 원심력여과집진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내부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외형 및 내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상세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가 구비된 원심력여과집진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가 형성된 원심력여과집진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가 형성된 원심력여과집진장치는 원심력집진부(10), 여과집진부(40),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로 구성되며, 상기 원심력집진부(10)는 다시 분진함유 가스 유입구(20), 상부 원심력집진부(11), 하부 원심력집진부(12), 그리고 내통(30)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집진부(40)는 다수의 집진필터(50), 집진필터 고정판(51), 탈진장치(70), 청정 가스 배출구(80)를 포함한다.
상기 원심력집진부(10)는 도 3 내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을 함유한 분진함유 가스(A)가 최초 유입되는 곳으로, 상기 원심력집진부(10)는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으며, 하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상부 원심력집진부(11)와, 상기 상부 원심력집진부(11)의 하단에서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역원추형태의 하부 원심력집진부(1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원심력집진부(10)의 상부측 외주연에는 접선방향으로 분진함유 가스 유입구(20)가 연통설치되어 분진함유 가스(A)가 원심력집진부(10)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데, 접선방향으로 형성된 분진함유 가스 유입구(20)에 의해, 유입되는 분진함유 가스(A)는 상기 원형 단면의 원심력집진부(10) 내에서 회전하는 선회류(Swirling flow, S)가 발생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원심력집진부(10)의 최하단부에는 분진 저장조(13)가 설치되어, 상기 원심력집진부(10) 내에서 제거되는 비교적 입경이 큰 분진 및 후술 될 여과집진부(40)의 집진필터(50)에 부착되어 있다가 집진필터(50)의 탈진으로 인해 낙하되는 미세분진 덩어리들을 수거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내통(30)은 도 3 내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력집진부(10)의 내부 최상부측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원형 단면의 관체 형상을 가지며, 일실시예로 상기 내통(30)의 상부측 원주 부분만이 원심력집진부(10)의 내주연에 접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원심력집진부(10)의 하단부측 길이방향으로 직립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분진함유 가스(A)는 원심력집진부(10)로 유입되면, 상기 분진함유 가스(A)는 원심력집진부(10) 내주연과 내통(30)의 외주연 사이를 회전하다가 상기 원심력집진부(10)의 길이방향으로 회전 하강하면서 분진함유 가스(A) 내에 입경이 큰 분진이 제거되어 분진 저장조(13)로 수거되는데, 상기 내통(30)은 원심력집진부(10)로 최초 유입되는 분진함유 가스(A)가 곧바로 여과집진부(40)로 유입되지 않도록, 원심력집진부(10)와 여과집진부(40)를 상, 하로 분할하면서 미세입자를 함유한 분진함유 가스(A)의 선회류(S)만이 여과집진부(40)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여과집진부(40)는 도 3 내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력집진부(10)의 상부측으로 연통되도록 연장형성되어 원심력집진부(10)와 함께 일체형으로 이루는 것으로, 다수의 집진필터(50)가 길이방향으로 내설되며, 상기 집진필터(50)는 집진필터 고정판(51)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여과집진부는 상기 다수개의 집진필터(50)의 상부에 대응되도록 탈진장치(70)를 구비하여, 분진이 포집된 상기 집진필터(50)를 주기적으로 탈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전술된 원심력집진부(10) 및 여과집진부(40)를 순차적으로 거쳐 여과된 청정 가스(B)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청정 가스 배출구(80)가 구비되어 있다. (물론, 상기 탈진장치(70)의 종류는 기존에 사용되는 탈진장치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채택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즉, 여과집진부(40)에는 원심력집진부(10)를 거치며 형성된 분진함유 가스의 선회류(S)가 유입되는데, 이때, 상기 원심력집진부(10) 내에서의 선회류의 특성을 살펴보면, 유입구를 통해 원심력집진부(10)의 접선방향으로 유입되는 분진함유 가스(A)는 원심력에 의해 상부 원심력집진부(11) 및 하부 원심력집진부(12)의 내주연을 따라 회전 하강하다가, 하부 원심력집진부(12)의 하단지점에서 상승 회전기류로 방향을 바꾸게 된다. 이때 상승하는 선회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심력집진부(10)의 내통(30)을 통과하여 여과집진부(40)로 유입되는데, 내통(30) 통과시 선회류의 특성을 살펴보면 상기 내통(30)의 내주연을 따라 강한 선회류가 형성되며 상승하게 된다. 만약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가 없다면 상기 내통(30)을 통과한 강한 선회류는 상기 집진필터(50) 하단부에 직접 접촉하게 되며 이때 선회류에 포함된 분진으로 인해 집진필터 하단부에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집진필터에 직접 부딪힘으로써 선회류의 세기가 약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상기 원심력집진부(10)를 통과하는 선회류의 특징을 최대한 활용하여 상기 내통(30)과 상기 집진필터(50) 사이에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를 설치한 원심력여과집진장치를 고안하였다. 상기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의 콘(cone)형태를 갖으며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원형 단면의 관체 형상을 갖는다. 상기 내통(30) 내부에서의 선회류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통(30)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고 대부분의 처리가스가 선회류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내통(30) 상단에 콘(cone)형태의 상기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를 설치하되, 상기 내통(30)으로부터 유입되는 강한 선회류가 상기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의 외주연 밖으로 안내되어 상승하도록 하여, 선회류(S)가 직접 필터에 접촉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또한 상기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의 내부에 상기 집진필터(50)의 하단부가 일부 내입되도록 하여 상기 집진필터(50)의 마모를 방지하고자 했다. 이러한 상기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의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강한 선회류와 집진필터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집진필터(50)의 마모를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원심력집진부(10)으로부터 상기 여과집진부(40)로 유입되는 선회류의 세기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원심력집진부(10)의 집진효율을 고효율로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심력집진부(10) 상단의 여과집진부(4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더욱 자세히는 다수의 집진필터(50)와 내통(30)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의 콘(cone) 형상을 가지도록 하며,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원형 단면의 관체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의 상부측에는 다수의 집진필터(50)의 하단부(P)가 소정길이 내입되도록 하여 다수의 집진필터(50) 하단부(P)를 보호함으로써, 상기 내통(30)을 거쳐 여과집진부(40)로 유입되는 강한 유속의 선회류(S)(도 2에 도시)로 인해 다수 집진필터(50)의 하단부(P)가 마모되지 않도록 하며, 하부측은 내통(30) 내부로 소정길이 내입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내통(30)의 강한 선회류(S)가 상기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 외주연을 따라 회전하며 상승되도록 하여, 유입되는 선회류(S)의 유속이 감소하지 않으면서 여과집진부(40)로 전달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부가 가이드(6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의 상부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와 연통되도록 내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원형 관체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부가 가이드(62)는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 상부측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길이로 연장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집진필터(50)가 고정되는 집진필터 고정판(51)까지 상부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집진필터(50) 길이 전체가 부가 가이드(62)에 내설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상기 부가 가이드(62)는 전면에 걸쳐 다수의 타공부(61)가 천공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선회류(S)로 인한 집진필터(50) 측면의 마모를 예방하고 상기 다수의 집진필터(50) 전체에 처리가스가 균등 분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원심력집진부 11: 상부 원심력집진부
12: 하부 원심력집진부 13: 분진 저장조
20: 분진함유 가스 유입구 30: 내통
40: 여과집진부 50: 집진필터
51: 집진필터 고정판 60: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
61: 타공부 62: 부가 가이드
70: 탈진장치 80: 청정 가스 배출구

Claims (3)

  1. 소정길이를 갖는 수직 원통 형상의 상부 원심력집진부(11)와, 상기 상부 원심력집진부(11)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연장형성되어 하단을 향할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역원추 형태의 하부 원심력집진부(10)와, 상기 상부 원심력집진부(10)의 외주연에 접선방향으로 형성되어, 분진함유 가스(A)의 유입시 선회류(S)가 형성되도록 하는 분진함유 가스 유입구(20)와, 상기 상부 원심력집진부(10)에 내설되는 원통 형상의 내통(30)으로 구성되는 원심력집진부(10)와;
    상기 원심력집진부(10)의 내통(30) 상부에 연통되도록 연장형성되며, 상기 원심력집진부(10)를 통과한 분진함유 가스(A) 내 미세분진을 여과하는 다수의 집진필터(50)가 내설되되, 상기 다수의 집진필터(50)가 설치 고정되도록 형성된 집진필터 고정판(51)과, 상기 다수의 집진필터(50) 상부에 설치되어, 집진필터(50)에 부착된 분진을 주기적으로 탈리시키는 탈진장치(70)와, 상기 집진필터(50)를 통과한 청정 가스(B)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청정 가스 배출구(80)로 구성되는 여과집진부(40)와;
    상기 다수의 집진필터(50)와 내통(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통(30)으로부터 유입되는 선회류(S)가 상기 집진필터(50)의 하단부(P)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선회류(S)가 다수의 집진필터(50)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가 형성된 원심력여과집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의 콘(cone) 형상을 가지되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원형 단면의 관체 형상을 가지며,
    상부측에는 다수의 집진필터(50)의 하단부(P)가 소정길이 내입되어 보호되도록 하고, 하부측은 상기 내통(30)에 소정길이 내설되어, 상기 내통(30) 내부를 통과하는 선회류(S)가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의 외주연을 따라 상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가 형성된 원심력여과집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60)는
    다수의 타공부(61)가 천공형성된 원통형의 부가 가이드(62)를 상부측으로 연장형성하되, 상기 부가 가이드(62)는 소정길이(D1)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여과 집진부(40)에 집진필터(50)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집진필터 고정판(51)까지 연장 형성되는 길이(D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가 형성된 원심력여과집진장치.
KR1020100026058A 2010-03-24 2010-03-24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가 형성된 원심력여과집진장치 KR101140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058A KR101140670B1 (ko) 2010-03-24 2010-03-24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가 형성된 원심력여과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058A KR101140670B1 (ko) 2010-03-24 2010-03-24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가 형성된 원심력여과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966A true KR20110106966A (ko) 2011-09-30
KR101140670B1 KR101140670B1 (ko) 2012-05-03

Family

ID=4495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058A KR101140670B1 (ko) 2010-03-24 2010-03-24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가 형성된 원심력여과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67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1039A1 (en) * 2013-05-07 2014-11-13 Andritz Oy Fabric filter
KR101475866B1 (ko) * 2014-07-16 2014-12-23 (주)한성플랜트 백필터 집진장치
CN110975504A (zh) * 2020-03-02 2020-04-10 山东中航天业科技有限公司 一种圆筒式旋风布袋除尘器
KR102139814B1 (ko) * 2020-01-08 2020-07-29 김지호 2중 필터를 구비한 샤워 헤드 어셈블리
KR20210098033A (ko) * 2020-01-31 2021-08-10 박진암 유분 및 수분 과다 발생 공정에 사용되는 복합형 집진장치
KR20220026369A (ko) * 2020-08-25 2022-03-04 에이티이 주식회사 바이오가스 정제시스템용 싸이클론 타입 트랩 및 필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021B1 (ko) 2015-03-13 2017-09-12 주식회사 삼화이엔지 복합 사이클론 집진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4190A (en) 1987-02-10 1988-08-16 Westinghouse Electric Corp.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gas filter system
KR20030089791A (ko) * 2002-05-20 2003-11-28 홍순성 재비산 및 재부착방지 백필터 여과집진장치
US6887290B2 (en) 2002-09-25 2005-05-03 Federal Signal Corporation Debris separation and filtration systems
KR20040090182A (ko) * 2003-04-16 2004-10-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먼지부하저감형 미세먼지/질소산화물 동시제거용여과집진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1039A1 (en) * 2013-05-07 2014-11-13 Andritz Oy Fabric filter
KR101475866B1 (ko) * 2014-07-16 2014-12-23 (주)한성플랜트 백필터 집진장치
KR102139814B1 (ko) * 2020-01-08 2020-07-29 김지호 2중 필터를 구비한 샤워 헤드 어셈블리
KR102138784B1 (ko) * 2020-01-08 2020-07-29 김지호 필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샤워 헤드 어셈블리
KR20210098033A (ko) * 2020-01-31 2021-08-10 박진암 유분 및 수분 과다 발생 공정에 사용되는 복합형 집진장치
CN110975504A (zh) * 2020-03-02 2020-04-10 山东中航天业科技有限公司 一种圆筒式旋风布袋除尘器
KR20220026369A (ko) * 2020-08-25 2022-03-04 에이티이 주식회사 바이오가스 정제시스템용 싸이클론 타입 트랩 및 필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0670B1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670B1 (ko) 필터 마모방지 가이드가 형성된 원심력여과집진장치
RU2698682C1 (ru) Комплект лопаток для улавливания тумана и удаления пыли
KR101132320B1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CN106460735B (zh) 进气水分离器
JP2009530096A (ja) 粒子分離器
WO2012148578A4 (en) Centrifugal subterranean debris collector
EA030876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деления частиц от потока газа
CN110037615A (zh) 一种具有多级旋风分离结构的吸尘器及其工作方法
KR20130008108A (ko) 싸이클론과 관성충돌 및 여과포 일체형의 고효율 다단 제진장치
KR20130020138A (ko) 원심분리식 집진장치
TWM560938U (zh) 除塵除霧裝置及吸收塔
KR100978345B1 (ko) 경사 노즐 부착형 원심 필터
CN110496485A (zh) 一种旋转管湿式除尘器
TWM524219U (zh) 旋風式分離過濾器模組
CN202860347U (zh) 一种凝聚式旋风分离器
KR101149772B1 (ko) 사이클론
CN109504475A (zh) 一种天然气净化装置
KR102097982B1 (ko) 오리피스원리를 이용한 습식집진기
CN203577547U (zh) 多相流过滤分离器
CN103585845B (zh) 一种多相流过滤分离器
CN102872668B (zh) 一种凝聚式旋风分离器
CN205360938U (zh) 一种气动旋流组合除雾装置
CN107550394B (zh) 尘杯组件和具有其的手持吸尘器
CN213270083U (zh) 空气预净化装置和作业机械
CN209307683U (zh) 除屑器和洗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