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531A - Block - Google Patents
B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06531A KR20110106531A KR1020100025604A KR20100025604A KR20110106531A KR 20110106531 A KR20110106531 A KR 20110106531A KR 1020100025604 A KR1020100025604 A KR 1020100025604A KR 20100025604 A KR20100025604 A KR 20100025604A KR 20110106531 A KR20110106531 A KR 201101065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upper edge
- edge portion
- groove
- grou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포장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상,하면이 수평한 평면이나 요철면으로 형성되며, 전후좌우 사방 측면은 수직하는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지면을 포장하도록 설치되는 블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전후좌우 사방으로 형성되는 상단 테두리는 블럭과 블럭 사이에 형성되는 줄홈의 공간 단면적을 넓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상면 가장자리부분과 측면 가장자리부분 사이에서 블럭의 심부를 향해 급경사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로 형성되는 급경사 오목원호면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paving block,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or uneven surface,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are formed in a vertical flat surface in the block is installed to wrap the ground,
The upper edge form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lock is recessed in a steep slope toward the core of the block between the upper edge and the side edge so as to broadly expand the spac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ow groove formed between the block and the block.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teep concave circular arc surface formed by.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닥포장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럭의 상단 테두리를 블럭의 심부를 향해 오목하게 요입된 상태가 되도록 제조하므로써 블럭의 상면 가장자리를 파손되지 않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정원 등의 지면을 포장하였을시에는 블럭과 블럭 사이에 형성되는 줄홈의 공간 단면적이 넓게 확장되도록 하므로써 잔디와 같은 식물이 뿌리를 내릴 수 있을 정도의 흙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식생을 가능케 하는 바닥포장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paving block, and more particularly, by manufacturing the upper edge of the block to be concave concave toward the core of the block to protect the top edge of the block from being damaged, garden, etc. When the ground is paved, the space cross section of the rope groove formed between the block and the block is expanded so that the soil such as grass can be filled with soil so that the vegetation of plants can be filled.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사림이 보행하는 도로의 인도를 비롯하여 휴게소, 공원, 정원 등에는 흙먼지의 발생을 줄이고 우천시 빗물에 의해 흙이 유실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땅바닥이 진창으로 변하거나 또는 질퍽이지 않도록 지면을 깨끗하게 포장하기 위해 보도블럭이 설치되고 있다.Generally, in order to reduce the occurrence of dirt and to prevent the dust from being lost due to rain in rainy weather, to rest areas, parks, gardens, etc. A sidewalk block is being installed.
기존의 보도블럭은 주로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의 육면체로 형성된 것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보도블럭은 도로의 인도를 비롯해서 휴게소, 공원, 정원 또는 주차장 등의 땅바닥을 포장하도록 설치되고 있다.Existing sidewalk blocks are mostly formed of square or rectangular hexahedron, and these sidewalk blocks are installed to cover the ground of roads, rest areas, parks, gardens or parking lots.
그런데, 종래의 보도블럭들은 운반취급시 및 포장설치시 블럭끼리 서로 부딪치는 충돌로 인해 블럭의 상단 테두리와 하단 테두리 및 모서리부분이 많이 깨지게 되는데, 이때 블럭이 깨지는 위치가 하단 테두리 부분이거나 하단 모서리부분일 경우에는 땅바닥을 포장하는데 크게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되므로 땅바닥 포장용으로 사용할 수 있겠으나, 파손된 위치가 상단 테두리 부분이거나 상단 모서리부분일 경우에는 땅바닥에 설치시 그 파손된 부분이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게 되어 폐기처리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보도블럭의 포장공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왔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sidewalk blocks are broken a lot of the upper edge and the lower edge and the edge of the block due to the collision between the blocks when handling and packaging installation, where the block is broken or the lower edge portion In this case, it can be used for paving the ground because it does not cause much trouble in paving the ground, but if the damaged position is the top edge or the top edge, it can be used because the damaged portion is exposed when installed on the ground. There is no choice but to be disposed of, and this has caused a problem that requires a lot of paving cost of the sidewalk block.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특허공보 제10-0734468호의 블럭(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이 제안된 바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block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734468 has been proposed.
상기한 선행기술은 불럭의 상단 테두리에 단층턱을 형성시킨 구조로서, 지면을 포장할 때 서로 인접하는 블럭들끼리 부딪치게 될 때에는 상단 테두리끼리는 부딪치지 않고 단층턱 부분끼리 부딪치게 하므로써 블럭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장점과, 블럭들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이 깨지지 않도록 하므로써 포장도로의 유지보수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지면을 포장하는 블럭들 사이사이에 종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줄홈이 똑바르게 형성되도록 하는 등의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prior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a single layer is formed on the top edge of the block, and when the blocks are adjacent to each other when paving the ground, the top edges of the blocks do not collide with each other, but the top edges of the blocks are secured. It has the advantage of protection and the maintenance cost of the pavement by saving the top edge of the blocks from being broken, and also the longitudinal groov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blocks paving the ground It is known that there are advantages such as to be formed.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블럭의 제조공정 측면에서 볼 때 연속적으로 제조되는 블럭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단층턱이 일정하게 제조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인 바, 그 이유를 살펴보면, 통상적으로 점토 및 도토를 재료로 하여 제조되는 블럭은 토련기의 토출마우스에서 압출되는 압출물을 1개의 블럭 폭(길이 긴 가로방향의 폭)을 갖는 크기로 연속해서 절단하면서 제조하지 않고 대략 블럭의 30개 또는 그 이상의 단위의 블럭을 제조할 수 있도록 압출물을 소정 길이의 긴 길이로 연속 압출시켜서 절단한 다음, 그 절단된 긴 길이의 압출물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단층턱 형성금형을 이용하여 낱개의 블럭 크기에 맞추어 단층턱을 형성시키는 한차례의 펀칭작동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럭들끼리는 상단 테두리 부분에 단층턱이 서로 마주한 채 붙어있는 상태로 줄홈이 형성되게 한 다음, 이어서 단층턱을 형성되기는 줄홈을 따라 절단가공용 강선(피아노선)으로 절단하여 압출물에서 블럭들을 낱개 상태로 분리시킨 후 소성로에 투입하여 소성하는 제조공정으로 블럭을 제조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블럭을 제조하는 선행기술은 토련기의 토출마우스에서 압출성형된 압출물에 단층턱 형성금형으로 형성시킨 줄홈을 따라 절단가공용 강선(피아노선)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절단하게 될 때 절단되는 블럭들이 상기한 강선(파이노선)의 두께 만큼씩 미세하게 밀려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밀림현상으로 인해 먼저 절단되는 블럭에서부터 나중에 절단되는 블럭들가에 단층턱의 치수가 달라지게 된다. 즉, 단층턱의 두께가 점차로 얇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has been pointed out as a problem that the fault of the fault formed in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blocks continuously produced from the viewpoin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lock is not manufactured uniformly. Generally, blocks made of clay and clay are not manufactured while continuously cutting the extrudate extruded from the discharging mouse of the refining machine to a size having one block width (long horizontal width). The extrudate is cut by continuously extruding it into a long length of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30 or more units of blocks can be manufactured, and then the piece is cut using a single jaw forming mold while the cut long extrudate is stopped. One punching operation to form a faulty jaw according to the block size of the block The grooves are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monolayer jaws are facing each other, and then the monolayer jaws are formed by cutting the steel wires (piano lines) along the grooves to form the monolayer jaws, separating the blocks from the extrudate in a single stat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input and firing, the block is manufactured, and the prior art of manufacturing the block is a cutting wire (piano wire) formed along a groove formed in a single-layered jaw forming mold in an extruded extrudate at a discharge mouse of a refining machine. Blocks to be cut are sequentially pushed down by the thickness of the steel wire (fine wire) when sequentially cutting using a), and the blocks are cut from the first block to be cut later. The dimensions of the faulty jaw will be different. That is, the phenomenon that the thickness of the tomographic jaw gradually becomes thinner appears.
예를 들어, 선행기술의 블럭은 상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단층턱이 비교적 얇은 두께(실제 블럭의 경우에는 2∼3mm 정도)를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강선(피아노선)을 이용한 절단공정시 먼저 절단되는 불럭의 경우에는 단층턱의 두께를 설계대로의 치수(두께)로 형성되게 절단할 수 있게 되지만 나중으로 절단되는 블럭들의 경우에는 단층턱의 치수(두께)가 설계에 의한 치수보다 훨씬 얇아진 1mm 이하의 치수(두께)로 절단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For example, the prior art blocks are cut first in the cutting process using a steel wire (piano wire) because the faulty jaw formed at the upper edge is based on a relatively thin thickness (about 2 to 3 mm in the case of an actual block). In the case of the block, it is possible to cut the thickness of the fault to be formed to the size (thickness) according to the design, but in the case of the blocks to be cut later, the dimension (thickness) of the fault is much thinner than the design size. The phenomenon of cutting to the dimension (thickness) of appears.
때문에 선행기술의 블럭은 제조과정에서 블럭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단층턱이 설계대로의 치수(두께)로 형성되지 못하게 되는 불량품의 블럭들이 다량으로 제조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불량품의 블럭으로 지면을 포장하였을 경우에는 선행기술에서 장점으로 하는 상단 테두리를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효과를 기대하기 곤란하며, 또 상단 테두리의 상면 가장자리를 깨지는 현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없게 되어 지면포장용으로 설치하였을시 상면 가장자리 부분이 깨진 블럭들을 교체하는데 소요되는 유지보소비의 절약효과도 기대할 수 없게 된다.Therefore, the block of the prior art has to be manufactured in large quantities of blocks of defective products that can not be formed in the size (thickness) of the fault layer formed on the top edge of the block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paving the ground with blocks of such defective products If it is,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effect to protect the upper edge which is an advantage in the prior art from breakage, and the upper edge of the upper edge is broken when it is installed for ground packaging because the upper edge of the upper edge cannot be protected. The savings in maintenance costs associated with replacing the blocks are not expected.
또한, 상기한 선행기술의 블럭은 상단 테두리에 형성된 단층턱에 의해 블럭과 블럭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줄홈을 종횡방향으로 똑바르게 형성시킬 수 있겠지만 그 줄홈 사이의 공간 단면적이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줄홈에 채워지는 흙의 량도 매우 적게 되므로 잔디가 있는 정원이나 공원 등에 사람이 다니는 지면에 포장설치된 블럭들 사이사이에 잔디와 같은 식물이 자랄 수 있게 하는 식생여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개선해야할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block of the prior art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groove in the longitudinal groove formed between the block and the block by the faulting jaw formed on the upper edge, but because the space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groove is very narrow, it is not filled in the groove. As the amount of soil is very small, it is pointed out that it does not meet the vegetation conditions that allow grass-like vegetation to grow between blocks installed on the ground, such as gardens or parks with grass. ha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블럭 제조시 토련기에서 연속해서 길게 압출되는 압출물을 절단용 강선(파아노선)으로 절단할 때 압출물이 강선의 두께만큼씩 미세하게 밀려나는 현상이 발생되면서 제조되더라도 서로 인접하는 블럭들간에는 상단 테두리를 형성하는 측면 가장자리부분끼리는 서로 부딪칠 수는 있겠지만 상단 테두리의 상면 가장자리부분에는 부딪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블럭들의 상면 가장자리부분은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으며, 또한 블럭 설치시 서로 이웃하는 블럭들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줄홈의 공간 단면적을 넓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줄홈에 채워지는 흙의 량이 많아지게 하여 잔디와 같은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줄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when cutting the extrudate continuously extruded in a refining machine with a cutting steel wire (Paano wire) during block manufacturing, the extrudate thickness of the steel wire Even if manufactured with the slightest push, the side edges forming the upper edge may collide with each other, but the blocks may not collide with the upper edge of the upper edge. The upper edge has a main purpose to protect safely, and also to increase the amount of soil filled in the row grooves by widen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ow grooves formed between neighboring blocks when installing the blocks. Conditions under which plants such as grass can grow It would have put a different purpose to help can make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상,하면이 수평한 평면이나 요철면으로 형성되며, 전후좌우 사방 측면은 수직하는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지면을 포장하도록 설치되는 블럭에 있어서,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or uneven surface, and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are formed in a vertical flat surface to be installed to wrap the ground,
상기 블럭의 전후좌우 사방으로 형성되는 상단 테두리는 블럭과 블럭 사이에 형성되는 줄홈의 공간 단면적을 넓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상면 가장자리부분과 측면 가장자리부분 사이에서 블럭의 심부를 향해 급경사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로 형성되는 급경사 오목원호면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edge form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lock is recessed in a steep slope toward the core of the block between the upper edge and the side edge so as to broadly expand the spac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ow groove formed between the block and the block.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teep inclined concave arc surface formed by.
또한, 상기 블럭의 상단 테두리의 네모서리부분은 상면 가장자리부분의 각 모서리부분을 라운딩지게 형성되게 함과 동시에 상면 가장자리부분과 측면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급경사 오목원호면보다 완만한 경사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로 형성되는 완경사 오목원호면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ur corners of the upper edge of the block is formed so as to round each corner portion of the upper edge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is formed in a concave recess in a gentle slope than the steep concave arc surface formed on the upper edge portion and the side edg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gentle slope concave circular arc surface.
또한, 상기 블럭의 전후좌우 사방 각각의 측면에는 상단 테두리부분에서부터 하단 테두리부분까지 상,하로 연장되도록 요입 형성되어 블럭과 블럭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줄홈의 공간 단면적을 더 넓어지게 확장시킴과 동시에 상기한 줄홈으로 흐르는 빗물이 지면으로 스며들게 하는 투수홈이 하나 이쌍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des of each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lock is formed so as to extend up and down from the upper edge portion to the lower edge portion to expand the spati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line groove formed between the block and the block at the same time as described above It is characterized by a pair of pitcher grooves that allow rainwater flowing into the rope grooves to penetrate the ground.
또한, 상기 블럭의 전면 및 일측면 각각에는 상단 테두리부분에서부터 하단 테두리부분까지 상,하로 연장되도록 요입 형성되어 블럭과 블럭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줄홈의 공간 단면적을 더 넓게 확장시킴과 동시에 상기한 줄홈으로 흐르는 빗물이 지면으로 스며들게 하는 투수홈이 하나 이상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럭의 후면 및 타측면 각각에는 상기한 전면 및 일측면 각각에 하나 이상씩 요입 형성된 투수홈에 대하여 대칭하는 위치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된 채 상기한 투수홈에 걸림되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인터록킹 돌기가 하나 이상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each of the front and one side of the block is formed to extend up and down from the upper edge portion to the lower edge portion to extend the spati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row groove formed between the block and the block at the same time as the row groove One or more pitcher grooves are formed to allow the flowing rainwater to penetrate into the ground, and each of the rear and other sides of the block is directed toward the outside in a posit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itcher grooves formed in one or more of the front and one side surfaces. It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interlocking protrusions extending up and down so as to be locked to the above-mentioned pitcher groove while being protruded.
본 발명에 의하면 지면에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는 블럭들간에는 상단 테두리의 측면 가장자리부분끼리는 부딪칠 수 있을지언정 상면 가장자리부분에는 부딪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블럭의 상단 테두리를 형성하는 상면 가장자리부분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블럭과 블럭들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줄홈의 공간 단면적을 확장시켜서 흙의 채움량이 많아지도록 하므로써 공원이나 정원 등에서 사람이 보행하는 인도에 포장설치된 블럭들 사이의 줄홈에 잔디와 같은 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상기 상단 테두리의 네모서리부분에 형성된 완경사 오목경사면은 줄홈이 교차하는 부분에 흙이 더 많이 채워지도록 공간 단면적을 확장시키면서 하이힐 구두를 신은 보행자의 하이힐의 뾰죽한 귓굽이 빠지지 않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고, 나아가 블럭들 사이사이에 형성된 줄홈에 채워진 흙에서 식생하는 잔디가 블럭들 사이로 길게 뿌리를 내릴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줄홈으로 흐르는 빗물이 지면으로 잘 스며들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서로 이웃하는 블럭들끼리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므로써 바닥포장용 블럭의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edges of the upper edge may collide between blocks installed adjacent to the ground, but the upper edge portion forming the upper edge of the block is secured by preventing the collision of the upper edge. It has the effect of protecting, and by expand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ine groove formed between the block and the block to increase the amount of soil filling, the line groove between the blocks installed in the sidewalks that people walk in the park or garden, etc. To provide vegetation, such as grass to the vegetation, and the low-tilt concave slope formed on the four corners of the upper rim of the high heel shoes while expanding the space cross-sectional area so that more soil is fill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rope groove Shin pointed high heels of pedestrians It provides the effect of keeping a hoof from falling out, further allowing the vegetation grasses from the soil filled in the row grooves formed between the blocks to take long roots between the blocks and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row grooves into the ground. There is an effect,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floor paving block is firm by installing the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in engagement with each other.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블럭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블럭 가로방향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블럭 세로방향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블럭 설치상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블럭 설치상태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로 나타낸 블럭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 설치상태 평면도이다.1 is a block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a block installation stat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of a block installation stat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a block shown in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7 is a block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lan view of a block installation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의한 바닥포장용 블럭에 대한 구체적인 각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Specific embodiments of the floor paving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부호 1은 땅바닥을 포장하는 블럭을 나타낸다.
상기 블럭(1)은 점토나 도토 또는 시멘트 등을 재료로 하여 정사각형이나 또는 직사각형의 육면체로 성형 제조되는 것으로서, 상면(2)과 하면(3)은 평면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4a), 후면(4b), 좌측면(4c), 우(4d) 각각은 수직을 이루는 평탄한 단면으로 형성된다.The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블럭(1)의 상단 테두리(5)에 형성된 상면 가장자리부분(51)과 측면 가장자리부분(52) 사이를 블럭(1)의 심부를 향해 급경사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의 급경사 오목원호면(53)으로 형성하며, 또한, 상기 블럭(1)의 상단 테두리(5)를 형성하는 상면 가장자리부분(51)의 네모서리부분은 라운딩지게 형성함과 동시에 측면 가장자리부분(52)의 각 모서리부분으로 갈수록 완만한 경사면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가 되도록 완경사 오목원호면(54)으로 형성한 것에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블럭(1)의 전면(4a), 후면(4b), 좌측면(4c), 우측면(4d) 각각의 측면에는 상단 테두리(5)부분에서부터 하단 테두리(6)부분까지 상,하로 연장되는 투수홈(7)을 하나 이상씩 요입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블럭(1)의 전면(4a) 및 우측면(4d) 각각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투수홈(7)이 하나 이상씩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블럭(1)의 후면(4b) 및 좌측면(4c) 각각에는 상기한 전면 및 우측면에 형성된 투수홈(7)에 걸린되도록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인터록킹 돌기(8)가 하나 이상씩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dge (4) of the block (1), the rear surface (4b), the left side (4c), the right side (4d) of each side of the upper edge (5) from the lower edge (6) portion One or
상기 블럭(1)의 상단 테두리(5)는 상면 가장자리부분(51)과 측면 가장자리부분(52) 사이에 블럭(1)을 심부를 향해 급경사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급경사 오목원호면(53) 및 상기 상면 가장자리부분(51)과 측면 가장자리부분(52) 각각의 네모서리부분 사이에 블럭(1)의 심부를 향해 완만한 경사면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완경사 오목원호면(54)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블럭(1)의 전면(4a)과 후면(4b) 그리고 좌측면(4c)과 우측면(4d) 각각에 하나 이상씩 형성되는 투수홈(7)은 지면을 덮어주도록 포장설치되는 블럭(1)과 블럭(1)들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줄홈(9)에 채워진 흙으로 흐르는 빗물이 지면으로 스며들도록 하는 투수통로를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블럭(1)의 전면(4a)과 우측면(4d)에는 하나 이상씩의 투수홈(7)을 형성하는 한편, 후면(4b)과 좌측면(4c) 각각에는 상기한 투수홈(7)에 대칭하도록 돌출하는 인터록킹 돌기(8)를 하나 이상씩 형성하되, 상기한 인터록킹 돌기(8)는 투수홈(7)보다 반경이 큰 원호면을 갖도록 돌출되게 하였는데, 이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설치하였을시 인터록킹 돌기(8)의 일부만 투수홈(7)의 입구에 조금 삽입된 상태로 걸림되도록 하므로써 블럭(1)과 블럭(1) 사이에 틈새(S)가 형성되도록 하여 줄홈(9)에 채워진 흙으로 흐르는 빗물이 틈새(S) 사이와 투수홈(7)을 통해 지면으로 빠르게 스며들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t least on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블럭(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먼저, 본 발명의 블럭(1)은 점토를 주재료로 하여 종래 기술에서 블럭을 제조하는 제조공정과 마찬가지로 토련기의 토출마우스를 통해 연속해서 길게 압출 성형되는 압출물을 일정길이로 절단한 다음, 그 절단된 압출물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펀칭금형으로 한차례 눌러주는 작동으로 압출물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급경사 오목원호면(53) 및 완경사 오목원호면(54)을 형성시킨 후 상기한 급경사 오목원호면(53)의 중심부를 기준하여 절단용 강선(피아노선)으로 절단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펀칭금형의 펀칭작동에 의해 블럭(1)의 상단 테두리(5)에 급경사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로 형성되는 급경사 오목원호면(53)은 종래 기술의 블럭 상단에 형성되는 상단 테두리보다는 비교적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급경사 오목원호면(53)은 블럭(1)의 제조공정 중 절단된 압출물이 강선(피아노선)에 의해 절단될 때 상기한 강선의 두께 만큼씩 미세하게 밀려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상기 상단 테두리(5)의 급경사 오목원호면(53)은 여전히 블럭(1)의 심부를 향해 급경사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는 것이다.First, the
따라서 상기 블럭(1)을 운반할 때 및 지면에 포장설치할 때 서로 이웃하는 블럭(1)들끼리 부딪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상단 테두리(5)의 측면 가장자리부분(52)은 서로 부딪치는 현상은 나타날 수 있지만 상기한 측면 가장자리부분(52)이 상면 가장자리부분(51)에 부딪치는 현상은 나타나지 않게 되어 상기한 상면 가장자리부분(51)이 깨지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또한 상기 상단 테두리(5)를 형성하는 급경사 오목원호면(53)은 블럭(1)의 심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급경사 오목원호면(53)의 중간부분(도면을 참조할 때 상면 가장자리부분과 측면 가장자리부분 사이의 중간부분을 말함)은 상면 및 측면 가장자리부분(51)(52)에 가까운 부분보다 강도가 가장 강한 상태가 되므로 운반 도중이나 포장설치시 서로 이웃하는 블럭(1)들간에 측면 가장자리부분(52)끼리 부딪치는 충격에 의해 일측 블럭(1)의 측면 가장자리부분(52)이 깨어질 때 발생하는 크랙(균열)이 상면 가장자리부분(51)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상기한 급경사 오목원호면(53)에서 강도가 가장 강한 중간부분에서 차단되므로 상면 가장자리부분(51)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steep concave
그러므로 상기 블럭(1)으로 지면을 포장할 때 각 블럭(1)들은 종횡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설치하게 될 때 서로 이웃하는 블럭(1)들 사이사이에 줄홈(9)을 형성시키게 되는 상단 테두리(5)의 상면 가장자리부분(51)이 깨어지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블럭(1)과 블럭(1)들 사이사이에 형성된 줄홈(9)을 똑바르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paving the ground with the block (1), each block (1) when th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and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row groove (9) between the neighboring blocks (1) the upper edge ( The
또한 상기 블럭(1)들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줄홈(9)은 서로 이웃하는 블럭(1)의 상단 테두리(5)를 형성시키는 급경사 오목원호면(53)에 의해 공간 단면적이 넓게 확장된 상태이므로 상기 줄홈(9)에 채워지는 흙의 량이 많아져 잔디와 같은 식물이 식생할 수 잇는 여건을 제공하게 되며(도 4 참조), 또한 상기 줄홈(9)의 교차부분을 형성서키는 각 블럭(1)들의 네모서리부분에 형성된 완경사 오목원호면(54)은 줄홈(9)이 교차하는 부분을 더 넓게 확장시키게 되므로 줄홈(9)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흙이 더 많이 채워져 잔디와 같은 식물이 더 많이 식생할 수 있게 하는 여건을 제공하게 된다.(도 6 참조)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상기 블럭(1)의 전면(4a), 후면(4b), 좌측면(4c), 우측면(4d) 각각에 하나 이상씩 형성되어 있는 투수홈(7)들도 줄홈(9)의 공간 단면적을 더 넓어지게 확장시켜줌과 동시에 줄홈(9)으로 흐르는 빗물이 지면으로 스며들게 하는 투수통로가 형성되게 하므로써 우천시 블럭(1)의 상면(2)으로 떨어진 빗물이 줄홈(9)으로 흐르게 될 때 빗물이 투수홈(7)에 의해 형성된 투수통로를 통해 지면으로 빠르게 스며들도록 하므로써 블럭(1)으로 포장된 길에 빗물이 고여있지 않게 되어 보행자들에게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서로 마주하는 투수홈(7)들 사이에 채워진 흙속으로 잔디가 뿌리를 내릴 수 있게 되므로 잔디는 뿌리를 튼튼하게 내릴 수 있게 되고, 더불어서 줄홈(9) 및 투수홈(7) 각각에 채워진 흙이 빗물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블럭(1)의 전면(4a)과 우측면(4d) 각각에는 투수홈(7)을 하나 이상씩 형성하는 한편, 후면(4b)과 좌측면(4c) 각각에는 상기한 전면 및 우측면에 형성된 투수홈(7)과는 대칭되는 위치에 인터록킹 돌기(8)를 하나 이상씩 형성시켰을 경우에는 지면을 포장하는 블럭(1)을 도 8의 도시와 같이 설치하게 될 때 서로 이웃하는 블럭(1)들은 일측 블럭(1)의 투수홈(7)에 타측 블럭(1)의 인터록킹 돌기(8)의 일부 걸림되는 상태로 설치되므로 블럭(1)들끼리 서로간에 결합된 것처럼 설치되는 것이며, 또 블럭(1)들 사이에 형성된 틈새(S) 사이로 잔디의 뿌리가 내릴 수 있게 되으며, 이와 더불어 틈새(S)에 채워진 흙은 잔디의 뿌리에 의해 붕괴되거나 또는 빗물에 유실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one or more
1 : 블럭 2 : 상면
3 : 하면 4a : 전면
4b : 후면 4c : 좌측면
4d : 우측면 5 : 상단 테두리
51 : 상면 가장자리부분 52 : 측면 가장자리부분
53 : 급경사 오목원호면 54 : 완경사 오목원호면
6 : 하단 테두리 7 : 투수홈
8 : 인터록킹 돌기 9 : 줄홈1: Block 2: Top
3: bottom 4a: front
4b: rear 4c: left
4d: right side 5: top border
51: top edge 52: side edge
53: sudden slope concave arc surface 54: mild slope concave arc surface
6: bottom border 7: pitcher groove
8: interlocking protrusion 9: string groove
Claims (4)
상기 블럭의 전후좌우 사방으로 형성되는 상단 테두리는 블럭과 블럭 사이에 형성되는 줄홈의 공간 단면적을 넓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상면 가장자리부분과 측면 가장자리부분 사이에서 블럭의 심부를 향해 급경사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로 형성되는 급경사 오목원호면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포장용 블럭.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or uneven surface, and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are formed in a vertical flat surface to be installed to wrap the ground,
The upper edge form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lock is recessed in a steep slope toward the core of the block between the upper edge and the side edge so as to broadly expand the spac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ow groove formed between the block and the block. Floor paving blo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eep concave arc surface formed by.
상기 블럭의 상단 테두리의 네모서리부분은 상면 가장자리부분의 각 모서리부분을 라운딩지게 형성되게 함과 동시에 상면 가장자리부분과 측면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급경사 오목원호면보다 완만한 경사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로 형성되는 완경사 오목원호면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포장용 블럭.
The method of claim 1,
The four corners of the upper edge of the block are formed to be rounded at the corners of the upper edge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formed in a concave shape into a gentle slope than the steep concave arc surface formed on the upper edge portion and the side edge portion. Floor paving blo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gentle slope concave arc surface.
상기 블럭의 전후좌우 사방 각각의 측면에는 상단 테두리부분에서부터 하단 테두리부분까지 상,하로 연장되도록 요입 형성되어 블럭과 블럭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줄홈의 공간 단면적을 더 넓어지게 확장시킴과 동시에 상기한 줄홈으로 흐르는 빗물이 지면으로 스며들게 하는 투수홈이 하나 이쌍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포장용 블럭.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Each side of each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lock is formed so as to extend up and down from the upper edge portion to the lower edge portion to expand the spati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line groove formed between the block and the block, and at the same time to the above-mentioned line groove. Floor paving bloc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pair of permeable grooves for flowing rain water permeates the ground.
상기 블럭의 전면 및 일측면 각각에는 상단 테두리부분에서부터 하단 테두리부분까지 상,하로 연장되도록 요입 형성되어 블럭과 블럭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줄홈의 공간 단면적을 더 넓게 확장시킴과 동시에 상기한 줄홈으로 흐르는 빗물이 지면으로 스며들게 하는 투수홈이 하나 이상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럭의 후면 및 타측면 각각에는 상기한 전면 및 일측면 각각에 하나 이상씩 요입 형성된 투수홈에 대하여 대칭하는 위치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된 채 상기한 투수홈에 걸림되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인터록킹 돌기가 하나 이상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포장용 블럭.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each of the front and one side of the block is formed in the concave to extend up and down from the upper edge portion to the lower edge portion to extend the spati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line groove formed between the block and the block and at the same time rain water flowing to the row groove One or more permeable grooves are formed to penetrate into the ground, and each of the back and the other side of the block protrudes outwardly at a posit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ermeable groove formed in one or more of the front and one side. A floor paving block,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interlocking protrusions extending up and down are formed so as to be caught in the permeable groov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5604A KR20110106531A (en) | 2010-03-23 | 2010-03-23 | Bl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5604A KR20110106531A (en) | 2010-03-23 | 2010-03-23 | Blo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6531A true KR20110106531A (en) | 2011-09-29 |
Family
ID=44956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5604A KR20110106531A (en) | 2010-03-23 | 2010-03-23 | Blo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106531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29684A1 (en) * | 2013-02-21 | 2014-08-28 |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 Pavement block having coupling structure |
-
2010
- 2010-03-23 KR KR1020100025604A patent/KR20110106531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29684A1 (en) * | 2013-02-21 | 2014-08-28 |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 Pavement block having coupling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25106B2 (en) | Concrete pavers positioned in a herringbone pattern | |
US9499950B1 (en) | Revetment block mat with linear sides | |
KR20110106531A (en) | Block | |
JP2007291825A (en) | Joint structure of structure | |
JP4512043B2 (en) | Weed prevention method for existing concrete or existing asphalt structure / structure | |
JP3182345U (en) | Concrete blocks | |
JP6067661B2 (en) | Weed protection structure | |
KR100734468B1 (en) | Block | |
KR20100005687U (en) | Pavement Case for Footpath Block Formed with Water-Permeable Hole | |
KR101709267B1 (en) | Rumble Strips | |
US10280569B2 (en) | Golf course modular bunker paver blocks | |
JP5963931B1 (en) | Block with grass protection function | |
JP5707314B2 (en) | Lawn protective material, lawn parking lo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7299608B2 (en) | Concrete block products | |
JP5815339B2 (en) | Greening parking lot and its concrete block | |
KR20150117134A (en) | T-greening in a parking area | |
KR20180101017A (en) | Blocks for preventing weeds growing | |
KR102132812B1 (en) | Border structure between the barrier of the road and the sidewalk block | |
KR102264087B1 (en) | Boundary stone assembly | |
JP7381157B1 (en) | Plant growth suppression structure | |
JP3181986U (en) | Concrete blocks | |
CN220013624U (en) | Sand blocking device for desert roadbed | |
KR200462486Y1 (en) | Sidewalk-work of no weeds | |
JP7266086B2 (en) | honeycomb reinforced slope | |
KR20100005688U (en) | Pavement Case for Footpath Block having Water-Permeable Pa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