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122A - A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 mobile terminal, and a web server us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A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 mobile terminal, and a web server us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122A
KR20110106122A KR1020100025364A KR20100025364A KR20110106122A KR 20110106122 A KR20110106122 A KR 20110106122A KR 1020100025364 A KR1020100025364 A KR 1020100025364A KR 20100025364 A KR20100025364 A KR 20100025364A KR 20110106122 A KR20110106122 A KR 20110106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int
facility
rout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3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12444B1 (en
Inventor
조용래
이상은
한종국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100025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444B1/en
Publication of KR20110106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1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4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76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using point of interest [POI] information, e.g. a route passing visible PO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안내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및 웹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맵 데이터(map data)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맵 데이터에서,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의 경로 부근에 위치한 시설물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부근에 위치한 시설물 등과 같은 기준점을 이용하여 구절로 표현되어 있는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구술로 길을 안내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Disclosed are a method of providing guide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and a web server.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map data;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route guide information using the facility information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route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in the map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guide information expressed in verses using reference points such as facilities located near a route from a starting point to a destination, the same effect as guiding a path by oral passage is provided.

Description

안내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및 웹 서버{A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 MOBILE TERMINAL, AND A WEB SERVER USING THE METHOD}A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 MOBILE TERMINAL, AND A WEB SERVER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안내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및 웹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및 웹 서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guide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and a web ser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viding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from a departure point to a destination,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and a web server. will be.

인터넷 망이 개방되고 위치정보와 관련된 법률이 정비됨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고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의 한 분야로서, 디바이스가 장착된 차량 등의 현재위치를 측위하거나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해주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관련산업 또한 급격히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With the opening of the Internet network and the revision of laws related to location information, the industry based on location-based services (LBS) is being activated. As an area-based service, the vehicle navigation industry for positioning a current location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device or guiding a route to a destination is also rapidly being activated.

차량 등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해주는 기술을 통해, 사용자는 안내 경로에 따라 주행함으로써 처음 가는 목적지도 손쉽게 찾아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로 안내는, 차량 등을 위주로 경로를 안내하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에게 길을 안내해 줄 때 참고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With the technology of guiding a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us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first destination by traveling along the guide route. However, such a route guide is difficult to refer to when guiding the route to another user because the route guides the vehicle.

본 발명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및 웹 서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from a departure point to a destination,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and a web server.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맵 데이터(map data)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맵 데이터에서,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의 경로 부근에 위치한 시설물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the storage unit for storing map data (map data);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route guide information using the facility information located near the route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in the map data.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서버는, 맵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맵 데이터에서,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의 경로 부근에 위치한 시설물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web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th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ap data;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route guide information using the facility information located near the route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in the map data.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 제공 방법은, 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의 경로 부근에 위치한 시설물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안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route guide information using the facility information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path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based on the map data Obtaining a; And outputting the route guide information.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상기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A computer-readable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problem records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any one of the above methods.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및 웹 서버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부근에 위치한 시설물 등과 같은 기준점을 이용하여 구절로 표현되어 있는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구술로 길을 안내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이에 따라, 길을 모르는 사용자도 안내 정보를 보면서 손쉽게 목적지까지 찾아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guide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and a web server provide guidance information expressed in verses using reference points such as facilities located near a route from a departure point to a destination, thereby providing a dictation path. It can have the same effect as guiding.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even a user who does not know the road can easily go to the destination while viewing the guide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이동 단말기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특정 지점을 입력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각각 탐색 기준에 따라 탐색된 경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안내 정보가 표시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정보의 레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의 경우에 획득되는 기준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의 경우에 획득되는 기준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근처의 대표 지점을 이용하여 경로를 안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를 구간 별로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유지를 지나가는 안내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7 내지 도 29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유지 추가에 따른 안내 정보 업데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기준점을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생성한 기준점을 이용한 안내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4는 도 33에 도시한 웹 서버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includ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in more detail.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inputting a specific point, respectively.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route from a departure point to a dest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process of acquiring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for setting a reference point categ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to 1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route searched according to a search criterion.
1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plurality of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on which a plurality of guide informa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level of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cquired in the case of a long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cquired in the case of short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llustrates a process of guiding a route using a representative point near a dest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process of acquiring guide information for each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obtaining guide information passing through a way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to 29 are diagrams for updating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addition of waypoi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3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generating a reference point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uide information using a reference point generated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including a web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web server shown in FIG. 33 in more detail.
3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from each other.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includ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includ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는, 통신망(20)을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30)과 연결되어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 화면에 출력하거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시스템(30)을 통해 타 이동 단말기(100)에 안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이동 단말기(100)는, 유무선으로 직접 타 이동 단말기(100)에 안내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earch for a route from a departure point to a destination and output it on the screen, or output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destination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transmit guide information to the other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Of cours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transmit the guide information to the other mobile terminal 100 directly by wire or wireless.

이동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디바이스(navigation device),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100)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 UMPC ( 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tablet (tablet PC), etc. may be made of a terminal having a computing power by having a memory means and a microprocessor (microprocessor) is mounted. 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the mobile terminal 100.

이동통신 시스템(30)은,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등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30)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안내 정보를 해당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voice call signal, video call call signal,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and the like.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may transmit the guid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mobile terminal 100.

이동통신 시스템(30)은,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도시하지 않음),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도시하지 않음), 이동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도시하지 않음), 방문 가입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도시하지 않음),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도시하지 않음),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도시하지 않음), MMSC(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도시하지 않음), WAP 게이트웨이(WAP gateway)(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includes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 (not shown),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not shown), and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not shown). ),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not shown), Home Location Register (HLR) (not shown),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 (not shown), MMSC It may include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 (not shown), a WAP gateway (not shown), and the like.

통신망(20)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internet)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망뿐만 아니라 유선 전화망, 무선 전화망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The communication network 20 is wired as well as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the Internet, and the like. It may include a telephone network, a wireless telephone network, and the like, and do not obscure wired or wireless, and may use any communication method.

그러면,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이동 단말기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2,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in more detail.

이동 단말기(100)는, 제1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제1 저장부(140), 제1 전원부(150), 및 제1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n output unit 130, a first storage unit 140, a first power supply unit 150, and a first control unit 160. Can be.

제1 통신부(110)는, 다른 장치와 각종 신호,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1 통신부(110)는, GPS 모듈(111), 및 통신 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signals, data, and the like with other devices. In more detail,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GPS module 111 and a communication module 113.

GPS 모듈(111)은, 항법 시스템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항법 시스템은, 인공위성(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항법 시스템은, 일 지점이 3개 이상의 인공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항법 시스템의 구체적인 예로는, 그 운영 주체에 따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alileo,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COMPASS, IRNSS(Indian Region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 등이 있다.The GPS module 111 may identify or acquire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navigation system. Here, the navigation system can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using a signal received from a satellite (not shown). That is, the navigation system calculates information about a distance at which a point is separated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information on a time at which the distance information is measured, and then applies a triangulation method to the calculated distance information, whereby one point at a time. 3D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can be calculated. Specific examples of navigation systems include, for exampl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Galileo, 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GLONASS), COMPASS, Indian Region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IRNS), and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QZSS), depending on the operator. There is this.

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 모듈(도시하지 않음), 무선 인터넷 모듈(도시하지 않음), 방송 송수신 모듈(도시하지 않음), 근거리 통신 모듈(도시하지 않음), 유선 통신 모듈(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13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 wireless internet module (not shown), a broadcast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not shown),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 May be included.

이동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망 상에서 이동통신 시스템(30)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는 타 이동 단말기(100)와 호 연결을 하거나, 문자,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을 타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make a call connection with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transmit a text, a multimedia message, or the like to the other mobile terminal 100.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를 획득하거나 전송한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에는,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accesses the wireless internet to acquire or transmit information. Here, the wireless Internet includes a WLAN (Wireless LAN), a Wibro (Wireless broadband), a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and the like.

방송 송수신 모듈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통해 방송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시스템에는,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 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 Terrestrial) 등이 있다. 방송 송수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방송 신호는, 교통 정보, 생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a broadcast signal through various broadcast systems. The broadcast system includes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DMBS), a media forward link only (MediaFLO), a digital video broadcast handheld (DVBH), a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 terrestrial (ISDBT), and the like. The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the broadcast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may include traffic information, life information, and the like.

근거리 통신 모듈은, 다른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각종 신호,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해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signals, data, and the like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another device.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may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through a communication scheme such a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유선 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연결된 다른 장치와 각종 신호,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 모듈은,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signals, data, and the like with other devices connected by wire. For example,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can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connected via a USB cable.

입력부(120)는,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로부터 물리적 입력을 특정한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푸쉬동작 등을 통해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 모듈, 사용자의 음성,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등을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converts a physical input into a specific electrical signal from the out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key input module that can be input by a user through a push operation, a microphone module that can receive a user's voice, sounds generated in the vicinity, and the like.

출력부(130)는, 각종 신호, 데이터 등을 출력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출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모듈(131), 및 오디오 출력 모듈(133)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30 outputs various signals, data, and the like. In more detail, the output unit 130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131 and an audio output module 133.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31 outputs data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The display module 13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3D display.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31)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데이터의 출력부(130)인 동시에 입력부(12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module 131 and the touch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peration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the display module 131 may serve as an input unit 120 as well as an output unit 130 of data. have.

오디오 출력 모듈(133)은, 청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 모듈(133)은, 스피커(speaker) 등을 통해 데이터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모듈(133)은, 이동 단말기(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이어폰/헤드셋 등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이어폰/헤드셋은 수신한 데이터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33 outputs data that can be recognized acoustically. The audio output module 133 may output data as a sound through a speaker or the like. In addition, the audio output module 133 may transmit data to an earphone / headset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by wire or wireless. Thereafter, the earphone / headset may output the received data as sound.

제1 저장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동작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 경로 탐색 어플리케이션, 맵 데이터(map data) 등이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에 생성된 데이터에는, 탐색된 경로 정보, 안내 정보 등이 있다.The first storage unit 140 stores a program or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data generated by the operation, and the like. Here, the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 an operating system (OS), a route search application, map data, and the like. The data generated in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the searched route information, guide information, and the like.

제1 저장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에 내장된 저장 매체이거나, 탈부착 가능한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여기서, 저장 매체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hard disk),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메모리,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이 있다.The first storage unit 140 may be a storage medium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a removable storage medium. The storage medium may include a flash memory, a hard disk, a card type memory (eg, SD memory, XD memory, etc.),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a static random (SRA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optical disk, and the like.

제1 전원부(15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된 다른 장치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1 전원부(150)는,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된 배터리이거나, 외부 장치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장치일 수 있다.The first power supply unit 150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operation of another devic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50 may be a battery built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a device that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device.

제1 제어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거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16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a route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or to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obtaining guidance information guiding the route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그러면,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Next, a method of providing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 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Point Of Interest, POI) 정보를 획득한다(S210). 여기서, 기준점은, "강남역 사거리", "서울 시청 앞 광장" 등과 같이 도로 데이터나 시설물을 말한다. 시설물은, "강남역", "사당역 6번출구", "서울역", "광명역", "서울 고속버스 터미널" 등과 같은 교통 시설물, "대학교", "고등학교", "중학교" 등과 같은 교육 시설물, "63 빌딩" 등과 같은 고층 시설물, "차량 정비소", "자동차 대리점", "AS 센터" 등과 같은 편의 시설물, "백화점", "마트", "동대문 시장" 등과 같은 쇼핑 시설물, "은행", "보험 회사" 등과 같은 금융 시설물, "서울 시청", "청와대", "국방부", "교육청", "동작구청", "동사무소" 등과 같은 공공 시설물, "횡단보도" 등과 같은 도로 시설물, "호텔", "모텔" 등과 같은 숙박 시설물, "야구장", "축구장" 등과 같은 스포츠 시설물, "예술의 전당", "올림픽공원" 등과 같은 문화 시설물 등을 말한다. 물론, 사용자가 특정 지점을 사용자 시설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로 시설물의 경우에는, 다른 카테고리(category)의 시설물과 결합하여 하나의 기준점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몽촌토성역 1번출구 앞 횡단보도", "올림픽공원 남4문 앞 삼거리" 등을 말한다.First,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based on the map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40, the reference point (Point Of Interest, POI) information located near the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cquire (S210). Here, the reference point refers to road data or facilities such as "Gangnam Station Crossroad" and "Seoul City Hall Square." Facilities include transportation facilities such as "Gangnam Station", "Sadang Station Exit 6", "Seoul Station", "Gwangmyeong Station", "Seoul Express Bus Terminal", and educational facilities such as "University", "High School", "Middle School", "63 High-rise facilities such as "buildings", convenience facilities such as "car repair shop", "car dealership", "AS center", shopping facilities such as "department store", "mart", "dongdaemun market", "bank", "insurance company" Financial facilities, such as "Seoul City Hall", "Cheong Wa Dae", "Ministry of Defense", "Education Office", "Dongjak-gu Office", "Public Office", road facilities such as "Pedestrian Crossing", "Hotel", " Motels, sports facilities such as "baseball field", "soccer field", and cultural facilities such as "the Seoul Arts Center" and "Olympic Park". Of course, the user can set specific points as user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road facilities, it may be combined with other categories of facilities to be one reference point. For example, "crosswalk in front of exit 1 of Mongchontoseong Station", "three intersections in front of South Gate of Olympic Park", and the like.

한편,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 맵 데이터는, 시설물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 데이터가 맵 데이터와는 별개로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 시설물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설물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맵 데이터에, 도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나, 시설물 데이터에 도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Meanwhile, the map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4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facility data. In addition, the facility data may be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40 separately from the map data. In this case,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btain the facility based on the facility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40. In general, although road data is stored in map data, road data may be stored in facility data.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사용자가 출발지, 목적지 등을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특정 지점을 입력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A method of inputting a departure point, a destination, and the lik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4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inputting a specific point, respectively.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영역(DS)에 표시된 지도 상에서, 출발지, 목적지 등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특정 지점(TP)을 손가락(FG) 등을 통해 터치하여 출발지, 목적지 등을 입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user touches a specific point TP to be set as a starting point, a destination, or the like through a finger FG on a map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DS of the mobile terminal 100. Etc. can be entered.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영역(DS)에 표시된 지도 상에서, 특정 지점(TP)을 손가락(FG) 등을 통해 터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특정 지점(TP)을 중심점으로 하여 미리 정해진 반경(100m 등) 안에 위치한 기준점 리스트(NP)를 디스플레이 영역(DS)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영역(DS)에 표시된 기준점 리스트(NP) 중 특정 기준점을 선택하여 출발지, 목적지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a user touches a specific point TP through a finger FG or the like on a map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DS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first control unit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provided. In operation 160, the reference point list NP position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such as 100 m) based on the specific point TP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DS. The user may select a specific reference point from the reference point list NP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DS and set it as a starting point or a destination.

도 6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영역(DS)에 표시된 검색 창(SP)을 통해 특정 지점을 검색하여 출발지, 목적지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검색 창(SP)은 검색어를 입력받는 부분(SP1),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부분(SP2)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user may search for a specific point through the search window SP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DS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set it as a starting point, a destination, or the like. The search window SP may include a portion SP1 for receiving a search word, a portion SP2 for displaying a search result, and the like.

도 7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소정 메뉴 등을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중심점으로 하여 미리 정해진 반경(100m 등) 안에 위치한 기준점 리스트(CNP)를 디스플레이 영역(DS)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영역(DS)에 표시된 기준점 리스트(CNP) 중 특정 기준점을 선택하여 출발지, 목적지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when a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menu or the like,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100m, etc.) with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s a center point. The reference point list CNP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DS. The user may select a specific reference point from the reference point list CNP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DS and set it as a starting point or a destination.

한편,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만을 입력받고,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출발지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소정 개수의 기준점을 추가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receive only a destination from a user and se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s a starting point. In addition,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additionally receive a predetermined number of reference points from the user.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탐색된 경로 상에 위치한 기준점이나, 탐색된 경로와 인접한 곳에 위치한 기준점 중에서 소정 개수의 기준점을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3,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earch for a route from a starting point to a destination based on map data and acquir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located near the found route. .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btain a predetermined number of reference points from reference points located on the searched path or reference points located adjacent to the searched path.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기준점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and 9, a process of obtaining reference point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oute from a departure point to a dest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btaining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SL)를 탐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출발지(SP)와 목적지(EP)에 더불어 소정 개수의 기준점도 입력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소정 개수의 기준점이 경로(SL) 상에 위치하는 경로(SL)를 탐색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8,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earch for a route SL from the departure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On the other hand, when a predetermined number of reference points are also input from the user along with the starting point SP and the destination EP,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locates the predetermined number of reference points on the path SL. The route SL may be searched for.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탐색된 경로(SL)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탐색된 경로(SL) 상에 위치한 기준점이나, 탐색된 경로(SL)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100m 등) 이내에 위치한 기준점을 획득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쉐르빌(PR1), 모로코(PR2), 한미타워(PR3), 사거리(PR4) 임마누엘 교회(PR5), 올림픽 공원 남4문(PR6), 올림픽 공원 남4문 앞 사거리(PR7) 등과 같은 탐색된 경로(SL)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을 획득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btain a reference point located near the searched path SL from the starting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That is,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acquire a reference point located on the searched path SL or a reference point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100m, etc.) based on the searched path SL. have. As shown in FIG. 9,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Chereville (PR1), Morocco (PR2), Hanmi Tower (PR3), Crossroad (PR4), Immanuel Church (PR5), and Olympic Park. A reference point located near the searched path SL, such as South Gate 4 (PR6) and Olympic Park South Gate 4, may be acquired.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탐색된 경로(SL)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이 복수개인 경우, 소정 기준에 따라 복수개의 기준점 중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기준은, 기준점에 부여된 가중치, 기준점에 부여된 순위, 기준점의 종류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출발지(SP)와 목적지(EP)에 더불어 소정 개수의 기준점도 입력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소정 개수의 기준점은 필수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located near the found path SL,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elect some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Here,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include a weight assigned to the reference point, a rank assigned to the reference point, a type of the reference point,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when a predetermined number of reference points are input from the user together with the starting point SP and the destination EP,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essentially select the predetermined number of reference points input from the user. have.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기준점 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30). 여기서, 안내 정보는, 기준점 정보에 기초한 기준점을 포함하는 구절로 표현되는 텍스트(text), 텍스트에 대응되는 맵 이미지, 목적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는, 출발지로부터 기준점에 도달하기 위한 방향 정보 또는 거리 정보, 기준점으로부터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방향 정보 또는 거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탐색된 경로에서 복수의 기준점이 획득된 경우, 텍스트는, 복수의 기준점 간의 방향 정보 또는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gain.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btain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from a departure point to a destination using reference point information (S230). Here, the guide information may include text represented by a phrase including a reference point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text,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text included in the guide information may include direction information or distance information for reaching the reference point from the starting point, direction information or distance informa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from the reference point, and the like. Meanwhile, when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are obtained from the found path, the text may include direction information or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방향 정보는, A 지점으로부터 B지점에 도달하기 위한 방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지점을 지나", "A 지점을 건너", "A 지점 앞에서 좌회전", "A 지점 앞에서 우회전", "B 지점 방면으로", "B 지점 방면으로 직진", "B 지점 방향으로", "B 지점 방향으로 직진"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방향 정보와 기준점이 결합함으로써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The direction information indicates the direction for reaching the point B from the point A. For example, "over point A", "cross point A", "turn left in front of point A", "turn right in front of point A", "to point B", "go straight toward point B", "point B Direction "," straight in the B point direction ", and the like. In this way, the direction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point are combined to guide the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거리 정보는, A지점으로부터 B지점에 도달하기 위한 거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지점 앞에서 좌회전 후 30M", "A 지점을 건너 50M", "B 지점 방향으로 100M", "B 지점 방면으로 200M" 등이 있다. 이와 같이, 거리 정보, 방향 정보, 및 기준점이 결합함으로써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방향뿐만 아니라 거리도 안내할 수 있다.The distance information indicates a distance for reaching point B from point A. For example, "30M after turning left in front of point A", "50M across point A", "100M in the direction of point B", "200M in the direction of point B", and the like. In this way, the distance information, the direction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point are combined to guide the distance as well as the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즉, 안내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는, 복수의 서브 안내 정보가 구절 형태로 결합되어 표현될 수 있다. 서브 안내 정보는, 기준점, 방향 정보, 거리 정보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지점을 지나", "B 지점 앞에서 우회전 후 50M" 등을 말한다. 이와 같은 서브 안내 정보가 결합하여 "A 지점을 지나, B 지점 앞에서 우회전 후 50M" 등과 같은 텍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That is, the text included in the guide information may be express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sub guide information in a phrase form. The sub guide information includes a reference point, direction information,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like. For example, "over point A", "50M after turning right in front of point B", and the like. Such sub-guiding information may be combined to form text such as “50M after passing point A, turning right in front of point B”, and the like.

도 10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안내 정보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to 14, the guide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10 to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 지점(SP1, SP2, SP3, SP4)을 출발지로 하고, "한미타워"를 목적지(EP)로 하는 경우에 획득된 안내 정보를 각 출발지 별로 설명한다.As shown in Fig. 10, the guidance information obtained when four points SP1, SP2, SP3, SP4 are set as the starting point, and "Hanmi Tower" is set as the destination EP will be described for each starting point.

먼저, 도 11을 참고하여, 출발지(SP1)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SL1)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AR1)에 대해 설명한다. 안내 정보(AR1)는, 텍스트("몽촌토성역 1번출구 앞 횡단보도를 건너, 시티은행 앞에서 좌회전 후 30M"), 목적지 정보("한미타워"), 및 텍스트에 대응되는 경로(SL1) 등이 표시된 맵 이미지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경로(SL1)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몽촌토성역 1번 출구", "횡단보도", "시티은행"), 방향 정보("앞", "건너", "앞에서 좌회전 후"), 및 거리 정보("30M") 등을 획득하고, 획득된 기준점, 방향 정보, 및 거리 정보로부터 서브 안내 정보("몽촌토성역 1번출구 앞 횡단보도를 건너", "시티은행 앞에서 좌회전 후 30M")를 획득하여 출발지(SP1)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SL1)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AR1)를 획득할 수 있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11, the guide information AR1 for guiding the route SL1 from the departure point SP1 to the destination EP will be described. The information (AR1) includes text ("crossing the crosswalk in front of exit 1 of Mongchontoseong Station, turn left in front of Citibank, 30M"), destination information ("Hanmi Tower"), and a route (SL1) corresponding to the text. Contains the displayed map image.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reference point ("Mongchontoseong Station Exit 1", "Pedestrian Crossing", "City Bank") located near the path SL1, direction information ("front", "Crossing", "after turning left in front of", and distance information ("30M"), and the like, and from the obtained reference point, direction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cross the sub-guiding information ("Mongchontoseong Station Exit 1, crosswalk" "," 30M after turning left in front of the city bank ") to obtain the guide information AR1 for guiding the route SL1 from the starting point SP1 to the destination EP.

도 12를 참고하여, 출발지(SP2)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SL2)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AR2)에 대해 설명한다. 안내 정보(AR2)는, 텍스트("올림픽공원 남4문 앞 삼거리에서 임마누엘 교회 방면으로 횡단보도를 건너 50M"), 목적지 정보("한미타워"), 및 텍스트에 대응되는 경로(SL2) 등이 표시된 맵 이미지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경로(SL2)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올림픽공원 남4문", "삼거리", "임마누엘 교회", "횡단보도"), 방향 정보("앞", "에서", "방면으로", "건너"), 및 거리 정보("50M") 등을 획득하고, 획득된 기준점, 방향 정보, 및 거리 정보로부터 서브 안내 정보("올림픽공원 남4문 앞 삼거리에서", "임마누엘 교회 방면으로", "횡단보도를 건너 50M")를 획득하여 출발지(SP2)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SL2)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AR2)를 획득할 수 있다.With reference to FIG. 12, the guide information AR2 for guiding the route SL2 from the departure point SP2 to the destination EP will be described. The information (AR2) includes text ("50M" across the crosswalk toward Immanuel Church at the intersection of South Gate of the Olympic Park), destination information ("Hanmi Tower"), and a route (SL2) corresponding to the text. Contains the displayed map image.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reference points ("Olympic Park South Gate," "Tree Street", "Immanuel Church", "Pedestrian Crossing") located near the path SL2, and direction information (" Front "," in "," toward "," cross "), and distance information (" 50M "), and the like, and obtain sub-guide information (" Olympic Park South 4 ") from the obtained reference point, direction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At the three-way intersection in front of the door "," Toward the Immanuel Church "," 50M across the pedestrian crossing ") to obtain guidance information (AR2) to guide the route (SL2) from the starting point (SP2) to the destination (EP) Can be.

도 13을 참고하여, 출발지(SP3)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SL3)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AR3)에 대해 설명한다. 안내 정보(AR3)는, 텍스트("방이2동 동사무소 앞에서 올림픽공원 방향으로 100M 직진 후, 임마누엘 교회에서 좌회전 후 50M"), 목적지 정보("한미타워"), 및 텍스트에 대응되는 경로(SL3) 등이 표시된 맵 이미지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경로(SL3)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방이2동 동사무소", "올림픽 공원", "임마누엘 교회"), 방향 정보("앞에서", "방향으로 직진", "에서 좌회전"), 및 거리 정보("100M", "50M") 등을 획득하고, 획득된 기준점, 방향 정보, 및 거리 정보로부터 서브 안내 정보("방이2동 동사무소 앞에서 올림픽공원 방향으로 100M 직진", "임마누엘 교회에서 좌회전 후 50M")를 획득하여 출발지(SP3)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SL3)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AR3)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guide information AR3 for guiding a route SL3 from the departure point SP3 to the destination EP will be described. The information (AR3) is text ("100M straight ahead in the direction of Olympic Park in the direction of Bangi 2-dong office, 50M after turning left at Immanuel Church"), destination information ("Hanmi Tower"), and the path corresponding to the text (SL3). It includes a map image is displayed.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reference point ("Buii 2 Dong office", "Olympic Park", "Immanuel Church") located near the path SL3, direction information ("from the front", "direction"). Go straight to "," turn left at "), and distance information (" 100M "," 50M "), etc., and obtain sub-guide information (" Olym Park in front of Bangi 2-dong office ") from the obtained reference point, direction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Direction, go straight 100M "," 50M after turning left at Immanuel Church ") to obtain guide information AR3 for guiding the route SL3 from the starting point SP3 to the destination EP.

도 14를 참고하여, 출발지(SP4)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SL4)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AR4)에 대해 설명한다. 안내 정보(AR4)는, 텍스트("송파구청에서 올림픽공원 방면으로 200M 직진 후, 8호선 몽촌토성역 2번출구 방향으로 우회전 후 50M"), 목적지 정보("한미타워"), 및 텍스트에 대응되는 경로(SL4) 등이 표시된 맵 이미지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경로(SL4)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송파구청", "올림픽공원", "8호선 몽촌토성역 2번출구"), 방향 정보("에서", "방면으로 직진", "방향으로 우회전"), 및 거리 정보("200M", "50M") 등을 획득하고, 획득된 기준점, 방향 정보, 및 거리 정보로부터 서브 안내 정보("송파구청에서 올림픽공원 방면으로 200M 직진", "8호선 몽촌토성역 2번출구 방향으로 우회전 후 50M")를 획득하여 출발지(SP4)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SL4)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AR4)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guide information AR4 for guiding the route SL4 from the departure point SP4 to the destination EP will be described. The guide information (AR4) corresponds to the text ("50M after going straight 200m from Songpa-gu Office toward Olympic Park, turning right in the direction of Exit 2 of Mongchontoseong Station on Line 8"), destination information ("Hanmi Tower"), and text corresponding to It includes a map image in which the route SL4 and the like are displayed.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a reference point ("Songpa-gu Office", "Olympic Park", "Line 8 Mongchontoseong Station Exit 2") located near the path SL4, direction information (in "") , "Go straight ahead", "turn right", and distance information ("200M", "50M") and the like, and obtain sub-guiding information ("at the Songpa-gu Office") from the obtained reference point, direction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Go straight 200m toward Olympic Park "," 50M after turning right in exit 2 of Mongchontoseong Station on Line 8 ") to guide information (AR4) to guide the route (SL4) from the starting point (SP4) to the destination (EP) Can be obtained.

이와 같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가, 시설물 등과 같은 기준점을 기준으로 구절로 표현되어 있어, 구술로 길을 안내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이에 따라, 길을 모르는 사용자도 안내 정보를 보면서 손쉽게 목적지까지 찾아 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the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is expressed as a phrase based on a reference point such as a facility, and thus, the same effect as guiding the path by oral expression can be obtained.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even a user who does not know the road can easily go to a destination while viewing the guide information.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출력부(130)를 통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25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내 정보는, 기준점을 포함하는 구절로 표현되는 텍스트, 텍스트에 대응되는 맵 이미지, 목적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출력부(130)를 통해 텍스트만을 출력하거나, 텍스트와 이에 대응되는 맵 이미지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gain,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utput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130 (S250).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information may include text represented by a phrase including a reference point, a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text,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utput only text through the output unit 130, or may output text and a map image corresponding thereto.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기준점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되는 기준점의 글꼴, 색상, 크기, 형태 등을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텍스트와 이에 대응되는 맵 이미지를 함께 출력하는 경우, 텍스트에 포함된 기준점과 이에 대응되는 맵 이미지 상의 기준점 위치를 서로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사용자가 기준점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change the font, color, size, shape, etc. of the reference point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reference point. In addition, when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outputs the text and the map image corresponding thereto, the first control unit 160 displays the reference point included in the text and the reference point positions on the map image corresponding thereto in the same color. Through such a method,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reference point.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S270).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이동통신 시스템(30)을 통해 타 이동 단말기(100)에 안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SMS(short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의 방식에 의해 안내 정보를 타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유무선으로 직접 타 이동 단말기(100)에 안내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Next,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transmit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from a departure point to a destination (S270).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transmit guide information to the other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In this case,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rovide guidance information to another mobile terminal by a scheme such as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 long message service (LMS),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or the like. 100). Of course,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transmit guide information to the other mobile terminal 100 directly by wire or wireless.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통신망(20)을 통해 이메일(e-mail) 등의 방식에 의해 안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자는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 등에 접속하여 안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통신망(20)을 통해 웹 사이트, 블로그 등에 접속하여 안내 정보를 게시판 등에 등록하기 위해 안내 정보를 해당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transmit the guide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20 by an e-mail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recipient can check the guidance information by accessing a web site or the like that provides an email service. In addition,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transmit the guide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external device in order to register the guide information on a bulletin board or the like by accessing a web site, a blog, or the lik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텍스트만을 전송하거나, 텍스트와 이에 대응되는 맵 이미지를 함께 전송하거나, 안내 정보에 대응되는 기준점 정보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소정 기준에 따라 위치 별로 부여된 고유의 코드 값, GPS 좌표 정보 등 일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JPEG 등의 이지 코덱 기술을 이용하여 안내 정보를 이미지 형태로 전송할 수도 있다.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transmit only text, transmit text together with a map image corresponding thereto, or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reference poi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guid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 unique code value, GPS coordinate information, etc. assigned to each loc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In this case,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transmit guid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n image by using an easy codec technology such as JPEG.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기준점 정보에 GPS 좌표 정보 등의 위치 정보를 태깅하여 안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transmit guide information by tagging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GPS coordinate information to reference point information.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로부터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수신한 안내 정보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내 정보는, 기준점을 포함하는 구절로 표현되는 텍스트, 텍스트에 대응되는 맵 이미지, 목적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출력부(130)를 통해 텍스트만을 출력하거나, 텍스트와 이에 대응되는 맵 이미지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the guide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utput the received guide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130.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information may include text represented by a phrase including a reference point, a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text,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utput only text through the output unit 130, or may output text and a map image corresponding thereto.

한편, 외부로부터 수신한 안내 정보가 텍스트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출력부(130)를 통해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수신한 안내 정보가 기준점 정보의 식별 정보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준점 정보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탐색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획득하고, 출력부(130)를 통해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guid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utside includes only text,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utput text through the output unit 130. In addition, when the guid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utside includes only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searches for a path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from a departure point to a destination may be obtained, and the guidance information may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30.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기준점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되는 기준점의 글꼴, 색상, 크기, 형태 등을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텍스트와 이에 대응되는 맵 이미지를 함께 출력하는 경우, 텍스트에 포함된 기준점과 이에 대응되는 맵 이미지 상의 기준점 위치를 서로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사용자가 기준점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change the font, color, size, shape, etc. of the reference point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reference point. In addition, when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outputs the text and the map image corresponding thereto, the first control unit 160 displays the reference point included in the text and the reference point positions on the map image corresponding thereto in the same color. Through such a method,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reference point.

외부로부터 수신한 안내 정보에 포함된 기준점 정보에 위치 정보가 태깅되어 있는 경우에,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된 안내 정보 중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특정 기준점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지도 어플리케이션 등을 구동하고 해당 기준점 정보에 태깅되어 있는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을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agged in 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uid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controls the user's operation among the guide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30. When the specific reference point information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ap application may be driven and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agged to 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map.

한편, 안내 정보 획득 단계(S230) 후에, 안내 정보 출력 단계(S250), 및 안내 정보 전송 단계(S270)가 수행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안내 정보 출력 단계(S250)나 안내 정보 전송 단계(S270)는 생략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guide information output step S250 and the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270 are performed after the guide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S230, the guide information output step is not limited thereto. (S250) or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guide information (S270) may be omitted.

그러면, 도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카테고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Next, a reference point categ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for setting a reference point categ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출력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영역(DS)에 기준점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팝업 창(CS)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영역(DS)에 표시된 카테고리 팝업 창(CS)에서, 사용자는 소정 개수의 기준점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utput a pop-up window CS for setting a reference point category on the display area DS through the output unit 130. As described above, in the category popup window C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DS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user may select a predetermined number of reference point categories.

여기서, 카테고리는, "지하철역", "기차역", "버스터미널" 등과 같은 교통 시설 등이 포함된 교통 시설물 카테고리, "대학교", "중학교" 등과 같은 교육기관 등이 포함된 교육 시설물 카테고리, 고층 건물 등이 포함된 고층 시설물 카테고리, "대리점", "AS 센터" 등과 같은 편의 시설 등이 포함된 편의 시설물 카테고리, "백화점" 등과 같은 쇼핑 시설 등이 포함된 쇼핑 시설물 카테고리, "은행" 등과 같은 금융기관 등이 포함된 금융 시설물 카테고리, "서울 시청" 등과 같은 공공기관 등이 포함된 공공 시설물 카테고리, "횡단보도" 등과 같은 도로에 설치된 시설 등이 포함된 도로 시설물 카테고리, "호텔", "모텔" 등과 같은 숙박 시설 등이 포함된 숙박 시설물 카테고리, "야구장", "축구장" 등과 같은 스포츠 시설 등이 포함된 스포츠 시설물 카테고리, "공원" 등과 같이 문화 시설 등이 포함된 문화 시설물 카테고리,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지점이 포함된 사용자 설정 카테고리 등을 말한다.Here, the category is a traffic facility category including a traffic facility such as "subway station", "train station", "bus terminal", etc., an education facility category including a "university", "junior high school", etc. Amenities such as high-rise facility category, including "Agency", "AS Center", etc., shopping facility category including "Shopping Department", financial institutions such as "Bank", etc. Financial facility categories, including public facilities categories such as "Seoul City Hall", road facility categories including facilities installed on the road, such as "pedestrian crossing", "hotels", "motels", etc. Accommodation category that includes such accommodations, sports facility category that includes sporting facilities such as "baseball field", "soccer field," "park", etc. Cultural facilities, etc. This category includes the cultural facilities, says that contain a specific point that you set custom categories and more.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되거나 기본적으로 지정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기준점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되거나 기본적으로 지정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기준점을 이용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미리 선택되거나 지정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기준점이 경로 부근에 위치하도록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btain a reference point corresponding to a category previously selected or basically designated by a user among reference points located near a path from a departure point to a destination. In addition,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btain a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using a reference point corresponding to a category previously selected or basically designated by the user. That is, the route may be searched such that a reference point corresponding to a preselected or designated category is located near the route.

그러면, 도 16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탐색 기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18은 각각 탐색 기준에 따라 탐색된 경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Next, the route search criter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18. 16 to 1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route searched according to a search criterion, respectively.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탐색 기준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거나, 기본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탐색 기준은, 고층 건물 등이 위치한 도로를 위주로 경로를 탐색하는 고층 시설물 기준, 교육기관 등이 위치한 도로를 위주로 경로를 탐색하는 교육 시설물 기준, 쇼핑 시설 등이 위치한 도로를 위주로 경로를 탐색하는 쇼핑 시설물 기준, 편의 시설 등이 위치한 도로를 위주로 경로를 탐색하는 편의 시설물 기준, 금융기관 등이 위치한 도로를 위주로 경로를 탐색하는 금융 시설물 기준, 스포츠 시설 등이 위치한 도로를 위주로 경로를 탐색하는 스포츠 시설물 기준, 숙박 시설 등이 위치한 도로를 위주로 경로를 탐색하는 숙박 시설물 기준, 유동 인구가 많은 도로를 위주로 경로를 탐색하는 유동 인구 기준, 도로 폭이 넓은 도로를 위주로 경로를 탐색하는 도로 폭 기준 등을 말한다.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elect a search criterion from the user or basically designate the search criteria. Here, the search criteria are high-level facility standards for searching a path centered on a road where high-rise buildings and the like are located, an education facility standard for searching a path centered on a road where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located, and a path for a road centered on a road where shopping facilities are located. Based on shopping facilities, facilities that search routes based on roads where amenities are located, standards on financial facilities that search routes based on roads where financial institutions are located, sports facilities that search routes based on roads where sports facilities are located Refers to accommodation accommodations based on roads where standards and accommodations are located, floating populations based on roads with high floating populations, and road widths based on roads with wider roads. .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미리 선택되거나 지정된 탐색 기준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을 획득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earch for a route from a starting point to a destination based on a preselected or designated search criterion, and obtain a reference point located near the searched route.

도 16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탐색 기준에 따라 탐색된 경로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6은 고층 시설물 기준, 도 17은 편의 시설물 기준, 도 18은 숙박 시설물 기준에 기초하여 탐색된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An example of a route searched according to a search criter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18. FIG.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oute searched based on a high-rise facility standard, FIG. 17 is a convenience facility standard, and FIG. 18 is a accommodation facility standard.

도 16을 참고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한미타워"와 같이 고층 시설(HPB)이 위치한 도로를 위주로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SLH)를 탐색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탐색된 경로(SLH)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파타야 모텔", "한미타워")을 획득하고, 기준점("파타야 모텔", "한미타워")을 이용하여 "파타야 모텔 방면으로 50M 직진 후, 한미타워에서 좌회전 후 60M 부근"과 같은 텍스트를 포함하는 안내 정보(ARH)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based on a road on which a high-rise facility HPB is located, such as “Hanmi Tower”. ).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a reference point ("Pattaya Motel", "Hanmi Tower") located near the searched route SLH, and obtains a reference point ("Pattaya Motel", "Hanmi Tower"). ) Can be used to obtain guide information (ARH) including text such as "After going straight to Pattaya Motel, turning left at Hanmi Tower and around 60M".

도 17을 참고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SHOW 대리점"과 같이 편의 시설(CPB)이 위치한 도로를 위주로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SLC)를 탐색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탐색된 경로(SLC)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팅크웨어 AS 센터", "SHOW 대리점")을 획득하고, 기준점("팅크웨어 AS 센터", "SHOW 대리점")을 이용하여 "팅크웨어 AS 센터 방면으로 50M 직진 후, SHOW 대리점에서 우회전 후 60M 부근"과 같은 텍스트를 포함하는 안내 정보(ARC)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route (SLC) from the starting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mainly on a road where a convenience facility CPB is located, such as a “SHOW agent”. ).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a reference point ("Tinkware AS center", "SHOW agent") located near the searched path SLC, and obtains a reference point ("Tinkware AS center", "SHOW Dealer") can be used to obtain guidance information (ARC) including text such as "50M straight to the Tinware AS Center, then turn right at SHOW Dealer, near 60M".

도 18을 참고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파타야 모텔"과 같이 숙박 시설(SPB)이 위치한 도로를 위주로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SLS)를 탐색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탐색된 경로(SLS)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대중빌딩", "파타야 모텔")을 획득하고, 기준점("대중빌딩", "파타야 모텔")을 이용하여 "대중빌딩 방면으로 50M 직진 후, 파타야 모텔에서 좌회전 후 50M 부근"과 같은 텍스트를 포함하는 안내 정보(ARS)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based on a road where the accommodation facility SPB is located, such as “Pattaya Motel”. ).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a reference point (“mass building”, “Pattaya motel”) located near the found route SLS, and obtains a reference point (“public building”, “Pattaya motel”). ) May be used to obtain guide information (ARS) including text such as "After going straight 50M toward the public building, turning left at the Pattaya motel and near 50M".

그러면, 도 19 및 도 2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안내 정보가 표시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Next, a process of providing a plurality of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and 20. FIG. 1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plurality of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on which a plurality of guide informa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먼저,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 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복수의 경로를 탐색한다(S310).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서로 다른 탐색 기준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복수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탐색 기준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제1 경로를 탐색하고, 제2 탐색 기준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제2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에 더불어 소정 개수의 기준점도 입력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입력된 소정 개수의 기준점을 이용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복수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First,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searches for a plurality of routes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map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40 (S310). In this case,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earch for a plurality of routes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based on different search criteria. For example, the first route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may be searched based on the first search criteria, and the second route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may be searched based on the second search criteria. On the other hand, when a predetermined number of reference points are also input from the user in addition to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uses a predetermined number of input points to input a plurality of paths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You can navigate.

이후,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탐색된 복수의 경로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기준점 정보를 복수의 경로 부근에서 획득한다(S330).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각각 서로 다른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기준점 정보를 복수의 경로 부근에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제1 경로 부근에서 제1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제1 기준점 정보를 획득하고,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제2 경로 부근에서 제2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제2 기준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reafter,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 information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found plurality of paths in the vicinity of the plurality of paths (S330). In this case,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btain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different categories, respectively, in the vicinity of the plurality of paths. For example, the first reference poi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ategory is acquired near the first route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destin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poi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ategory is obtained near the second route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destination. can do.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복수의 기준점 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 정보를 획득한다(S35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안내 정보는, 기준점을 포함하는 구절로 표현되는 텍스트, 텍스트에 대응되는 맵 이미지, 목적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a plurality of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using the plurality of reference point information (S350). As described above, each guide information may include text represented by a phrase including a reference point, a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text,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복수의 안내 정보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하거나,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출력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영역(DS)에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 정보(ML1, ML2, ML3, ML4)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utput a plurality of guide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130 or provide the external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s shown in FIG. 20,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guides the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in the display area DS through the output unit 130. A plurality of guide information (ML1, ML2, ML3, ML4) can be displayed.

그러면, 도 21 내지 도 2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정보의 레벨(level)을 이용하여 기준점을 획득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정보의 레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의 경우에 획득되는 기준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의 경우에 획득되는 기준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Next, a process of obtaining a reference point by using a level of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1 to 23. 2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evel of 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obtained in the case of a remot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FIG.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reference point information obtained in a case of short dista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을 참고하면, 기준점은, 카테고리, 인지도, 위치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레벨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레벨(A, B, C)로 구분한다고 가정하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벨 A"에는, "서울역", "강남역" 등과 같이 잘 알려진 교통 시설물, "63빌딩" 등과 같이 잘 알려진 고층 시설물, "롯데월드" 등과 같이 잘 알려진 문화 시설물 등이 대응되고, "레벨 B"에는, "마트", "동사무소", "롯데리아", "스타벅스" 등과 같이 일정 지역에서 잘 알려진 시설물 등이 대응되며, "레벨 C"에는, "약국", "동네 의원", "은행" 등과 같이 잘 알려지지 않은 시설물 등이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도 21에 레벨이 3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수효는 증감할 수 있다. 또한, 도 21에 도시된 각 레벨에 대응되어 있는 시설물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다른 기준에 따라 시설물이 각 레벨에 대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a reference point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evels in consideration of a category, recognition, location, and the like. For example, assuming three levels A, B, and C, as shown in FIG. 21, "Level A" includes well-known transportation facilities such as "Seoul Station", "Gangnam Station", and the like. Well-known high-rise facilities such as "Building" and well-known cultural facilities such as "Lotte World" correspond to "Level B", and certain areas such as "Mart", "Office", "Lotteria", "Starbucks", etc. Well-known facilities and the like correspond to, "level C", the well-known facilities such as "pharmacy", "home neighborhood", "bank" and the like can correspond. Meanwhile, although FIG. 21 shows three level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thereof may increase or decrease. In addition, the facility corresponding to each level shown in FIG. 21 is only one example, and the facility may correspond to each level according to another criterion.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의 길이에 따라 선택된 레벨에 대응되는 기준점 정보를 경로 부근에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거리가 원거리인 경우에는, 상위 레벨(예를 들어, "레벨 A")에 대응되는 기준점 정보를 획득하고, 근거리인 경우에는, 하위 레벨(예를 들어, "레벨 B", "레벨 C")에 대응되는 기준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acquir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evel selec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ath from the departure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in the vicinity of the path. 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from the starting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is a long distanc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higher level (for example, "level A") is obtained, and in a short distance, the lower level Reference poi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g, “level B” and “level C”) may be acquired.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의 길이(15km)가 미리 정해진 거리(예를 들어, 10km 등) 이상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 중 "레벨 A" 등과 같이 상위 레벨에 대응되는 기준점(AP1, AP2)을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획득된 기준점(AP1, AP2)을 이용하여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2, when the length (15 km) of the path from the starting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10 km, etc.), the first control unit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160 may acquire the reference points AP1 and AP2 corresponding to the higher level, such as "level A", among the reference points located near the path from the starting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btain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from the departure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using the obtained reference points AP1 and AP2.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의 길이(5km)가 미리 정해진 거리(예를 들어, 10km 등) 이내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 중 "레벨 B", "레벨 C" 등과 같이 하위 레벨에 대응되는 기준점(BP, CP1, CP2)을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획득된 기준점(BP, CP1, CP2)을 이용하여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3, when the length (5 km) of the path from the starting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10 km, etc.), the first control unit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reference point 160 may acquire reference points BP, CP1, and CP2 corresponding to lower levels, such as “level B” and “level C”, among the reference points located near the path from the starting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have.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btain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from the departure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using the obtained reference points BP, CP1 and CP2.

그러면, 도 2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근처의 대표 지점을 이용하여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근처의 대표 지점을 이용하여 경로를 안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Next, a method of guiding a route using a representative point near a dest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4. FIG. 24 illustrates a process of guiding a route using a representative point near a dest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의 길이(15km)가 미리 정해진 거리(예를 들어, 10km 등) 이상인 경우, 목적지(EP)까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예를 들어, 1km 등) 이내인 대표 지점(LP)을 경로 부근에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일정 지역을 대표하는 기준점이나, 잘 알려진 기준점 등을 대표 지점(LP)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목적지(EP) 근처에서 획득된 대표 지점(LP)을 시작점으로 하여 목적지(EP)까지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탐색된 경로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 정보를 획득하고, 기준점 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When the length (15 km) of the path from the departure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eg, 10 km),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the destination EP. A representative point LP having a distance to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eg, 1 km, etc.) may be acquired near the path. In this case,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elect a reference point representing a predetermined region, a well-known reference point, or the like as the representative point LP.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earch for a path to the destination EP using the representative point LP acquired near the destination EP as a starting point.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reference point information located near the found route, and obtains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using 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can do.

그러면, 도 2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를 구간 별로 획득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를 구간 별로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Next, a process of obtaining guide information for each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5. 2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process of acquiring guide information for each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의 길이(15km)가 미리 정해진 거리(예를 들어, 10km 등) 이상인 경우, 일정 거리 간격으로 대표 지점(LP1, LP2)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일정 지역을 대표하는 기준점이나, 잘 알려진 기준점 등을 대표 지점(LP1, LP2)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획득한 대표 지점(LP1, LP2)을 기준으로 구간 별 안내 정보(NP1, NP2, NP3)를 획득하여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NP)를 획득할 수 있다.When the length (15 km) of the path from the starting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10 km or the like),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interval. Representative points LP1 and LP2 may be obtained. In this case,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elect a reference point representing a predetermined region, a well-known reference point, or the like as the representative points LP1 and LP2.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guide information NP1, NP2, and NP3 for each section based on the obtained representative points LP1 and LP2, and then, from the starting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Guide information (NP) for guiding a path may be obtained.

한편,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에 따라 안내 정보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가, 출발지(SP)와 제1 대표 지점(LP1) 사이에 위치한 경우에는 제1 안내 정보(NP1), 제1 대표 지점(LP1)과 제2 대표 지점(LP2) 사이에 위치한 경우에는 제2 안내 정보(NP2), 제2 대표 지점(LP2)과 목적지(EP) 사이에 위치한 경우에는 제3 안내 정보(NP3)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change and output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between the starting point SP and the first representative point LP1, the first guide information NP1, the first representative point LP1, and the second representative When located between the points LP2, the second guide information (NP2), when located between the second representative point (LP2) and the destination (EP) outputs the third guide information (NP3) through the output unit 130 can do.

그러면, 도 26 내지 도 2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유지를 지나가는 안내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유지를 지나가는 안내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7 내지 도 29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유지 추가에 따른 안내 정보 업데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Next, a process of obtaining guide information passing through a way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6 to 29. FIG. 2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cquiring guide information passing through a way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7 to 29 each show update of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addition of a way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사용자로부터 경유지가 입력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경유지까지의 제1 경로와 경유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제2 경로를 탐색한다(S410).When a waypoint is input from the user,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searches for a first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waypoint and a second route from the waypoint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map data (S410). .

이후,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탐색된 제1 및 제2 경로에 각각 대응되는 제1 및 제2 기준점 정보를 제1 및 제2 경로 부근에서 획득한다(S430).Thereafter,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first and second reference poi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first and second paths, respectively,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and second paths (S430).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획득한 제1 및 제2 기준점 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획득한다(S450).Next,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using the obtained first and second reference point information (S450).

한편, 경유지를 기준으로 구간 별로 경로를 탐색하고 기준점을 획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경유지를 지나가는 경로를 탐색하고, 경로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을 획득할 때 경유지를 기준점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In the meantime, the route is searched for each section based on the waypoint and the reference point is obtain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oute passing through the waypoint is searched, and when the reference point located near the route is obtained, You can also choose.

도 27을 참고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OSL)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OAR)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손가락(FG) 등을 이용하여 특정 지점(TP)을 선택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특정 지점(TP)을 경유지로 하여 경로(CSL)를 다시 탐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재 탐색된 경로(CSL)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을 획득하고, 획득한 기준점을 이용하여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재 탐색된 경로(CSL)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CAR)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7,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outputs the guide information OAR for guiding a path OSL from the starting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Can be output via Subsequently, when the user selects the specific point TP by using the finger FG,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passes through the path (i) via the specific point TP selected by the user. CSL) can be explored again.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a reference point located near the re-discovered path CSL and re-searches the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using the obtained reference point. Guide information (CAR) for guiding the CSL may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30.

도 28을 참고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OSL)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OAR)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손가락(FG) 등을 이용하여 특정 지점을 선택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특정 지정을 중심점으로 하여 미리 정해진 반경(100m 등) 안에 위치한 기준점 리스트(NP)를 출력부(1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기준점 리스트(NP) 중 특정 기준점을 선택하여 경유지로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8,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outputs the guide information OAR for guiding a path OSL from the starting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Can be output via Then,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point by using the finger FG,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100 m or the like) with a specific designation selected by the user as a center point. The located reference point list NP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output unit 130. The user may select a specific reference point from the displayed reference point list NP and set it as a waypoint.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특정 기준점을 경유지로 하여 경로(CSL)를 다시 탐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재 탐색된 경로(CSL)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을 획득하고, 획득한 기준점을 이용하여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재 탐색된 경로(CSL)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CAR)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earch for the route CSL again via the specific reference point selected by the user.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a reference point located near the re-discovered path CSL and re-searches the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using the obtained reference point. Guide information (CAR) for guiding the CSL may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30.

도 29를 참고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OSL)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OAR)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손가락(FG) 등을 이용하여 일정 방향(DI)으로 드래그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드래그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CSL)를 다시 탐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재 탐색된 경로(CSL)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을 획득하고, 획득한 기준점을 이용하여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재 탐색된 경로(CSL)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CAR)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9,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outputs the guide information OAR for guiding a path OSL from the starting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Can be output via Subsequently, when the user drags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DI using the finger FG,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earch for the path CSL again using the drag information. have.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a reference point located near the re-discovered path CSL and re-searches the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using the obtained reference point. Guide information (CAR) for guiding the CSL may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30.

그러면, 도 30 내지 도 3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생성한 기준점을 이용하여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기준점을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생성한 기준점을 이용한 안내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Next, an operation of providing guide information using a reference point generated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0 to 32. 3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generating a reference point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2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uide information using a reference point generated by a user. Referring to FIG.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SLN)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ARN)를 제공할 수 있다. 안내 정보(ARN)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텍스트("파타야 모텔 방면으로 50M 직진 후, 한미타워에서 좌회전 후 60M 부근", 목적지 정보("현대자동차 정비소"), 및 텍스트에 대응되는 경로(SLN) 등이 표시된 맵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0,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rovide guide information ARN for guiding a route SLN from the departure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 The guide information (ARN) is, as described above, the text ("50M straight toward Pattaya Motel, turn left at Hanmi Tower, near 60M", destination information ("Hyundai Motor shop"), and the path corresponding to the text (SLN ) May include a map image and the like.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생성한 기준점을 이용하여 안내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공된 안내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소정 지점을 기준점으로 생성할 수 있다. 지도가 표시된 화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지점이나,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등을 기준점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31을 참고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기준점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해, 출력부(130)를 통해 기준점 생성 팝업 창(VPI)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기준점 생성 팝업 창(VPI)을 통해, 사용자는 명칭("가나은행"), 분류("금융 시설물"), 설명("7층 건물이며 옥상에 전광판 광고판이 설치되어 있음") 등을 입력하여 기준점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기준점(VP)이 생성되고, 지도 상에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rovide guide information or update the provided guide information by using a reference point generated by the user. The user may generate a predetermined point as a reference point. A point touched by the user on the screen on which the map is displayed or a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generated as a reference point. Referring to FIG. 31,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a reference point generation pop-up window (VPI) through the output unit 130 to receive information on a reference point generated by a user. I can display it. Through the reference point creation pop-up window (VPI), the user inputs a name ("Gana Bank"), a classification ("financial facility"), a description ("a seven-storey building with a billboard on the roof") and a reference point. Can be generated. Accordingly, the user reference point VP may be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map.

한편, 지도가 표시된 화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지점이나,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등을 기준점으로 생성 시, "건물" 등과 같은 시설물이 아니라, 기준점을 생성하고자 하는 지역을 설명할 수 있는 명칭을 기준점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수지", "수문", "전신주", "소형 교량", "비닐하우스", "상징성이 있는 나무", "바위" 등과 같이 일정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명칭을 기준점 명칭으로 이용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point touched by a user on a screen on which a map is displayed or a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generated as a reference point, the name may describe an area where the reference point is to be created, not a facility such as a "building". It can also be created as a reference point. For example, the name of the reference point can be used to represent a certain area such as "reservoir", "sluice", "telephone", "small bridge", "vinyl house", "tree with symbolism", "rock", etc. It is available.

도 32를 참고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생성한 기준점(VP)("가나은행")을 이용하여 출발지(SP)로부터 목적지(EP)까지의 경로(SLV)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ARV)를 제공할 수 있다. 안내 정보(ARV)는, 텍스트("팅크웨어 AS 센터 방면으로 50M 직진 후, SHOW 대리점에서 우회전 후, 가나은행을 지나 50M 부근"), 목적지 정보("현대자동차 정비소"), 및 텍스트에 대응되는 경로(SLV) 등이 표시된 맵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2,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uses a reference point VP (“Gana Bank”) generated by a user to determine a path from the starting point SP to the destination EP. Guidance information (ARV) for guiding the SLV may be provided. The guidance information (ARV) corresponds to the text ("50M straight to the Tinware AS Center, turn right at the SHOW dealership, pass the bank of Ghana, near 50M"), destination information ("Hyundai Motor Shop"), and text The map SLV may include a map image and the like.

그러면, 도 3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Next, a system including a web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3. 3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including a web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앞선 실시예에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이하 설명한다.Since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only differences are described below.

웹 서버(50)는 통신망(2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40), 이동통신 시스템(30), 이동 단말기(100) 등과 연결되어 있다. 웹 서버(50)는, 경로 탐색, 안내 정보 제공 등과 같은 지도를 기반으로 하는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웹 서버(50)는, 사용자 단말기(40)의 요청에 따라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0), 이동 단말기(100) 등에 제공할 수 있다.The web server 5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lik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The web server 50 is a device that provides various web sites for providing a web service based on a map such as route search and guide information. The web server 5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40,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like with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a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40.

사용자 단말기(40)는 사용자가 웹 서버(50)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 단말 장치로서, 인터넷(internet) 등의 통신망(20)를 통해 웹 서버(50)에 접속하여 각종 데이터, 정보 등을 송수신한다. 사용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등과 같은 웹 브라우저(web browser)나 사용자 단말기(4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웹 서버(50)에 접속하여 경로 탐색, 안내 정보 획득 등과 같은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40 is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used by a user to use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the web server 50. The user terminal 40 connects to the web server 5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20 such as the Internet and the like. Send and receive data and information. The user accesses the web server 50 by using a web browser such as an Internet explorer or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40 to use various services such as path search and guide information acquisition. Can be.

사용자 단말기(40)는 데스크톱 컴퓨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팜톱(palmtop) 컴퓨터,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태블릿(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웹 패드, 휴대전화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ser terminal 40 may be a desktop computer, as well as a laptop computer, a workstation, a palmtop computer, an 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a tablet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web pad, a portable computer. It can be made of a terminal having a computing capability by mounting a microprocessor such as a telephone and the like.

그러면, 도 3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서버(50)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4는 도 33에 도시한 웹 서버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Then, the web server 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4. 3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web server shown in FIG. 33 in more detail.

웹 서버(50)는, 제2 통신부(51), 제2 저장부(53), 제2 전원부(55), 및 제2 제어부(57)를 포함할 수 있다.The web server 50 may include a second communication unit 51, a second storage unit 53, a second power supply unit 55, and a second control unit 57.

제2 통신부(51)는, 다른 장치와 각종 신호,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제2 통신부(51)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100)의 제1 통신부(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51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signals, data, and the like with other devices. Sinc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51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described in the foregoing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 저장부(53)는, 웹 서버(5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동작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여기서, 웹 서버(5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는, 운영 체제, 경로 탐색 어플리케이션, 맵 데이터, 웹 사이트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 등이 있다. 웹 서버(50)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에는, 탐색된 경로가 포함된 웹 페이지, 안내 정보가 포함된 웹 페이지 등이 있다.The second storage unit 53 stores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web server 50, data generated by the operation, and the like. Here, the programs and data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web server 50 include an operating system, a route search application, map data, various data related to a web site, and the like. The data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web server 50 may include a web page including a searched path, a web page including guide information, and the like.

제2 저장부(53)는, 웹 서버(50)의 내부에 저장된 저장 매체이거나, 탈부착 가능한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물론, 제2 저장부(53)는, 웹 서버(50)와는 별개의 독립적인 장치이고, 웹 서버(50)와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도 있다.The second storage unit 53 may be a storage medium stored in the web server 50 or a removable storage medium. Of course, the second storage unit 53 is an independent device separate from the web server 5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web server 50 to exchange various data.

제2 전원부(55)는, 웹 서버(50)의 동작 또는 웹 서버(50)와 연결된 다른 장치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2 전원부(55)는, 웹 서버(50)에 내장된 배터리거나, 외부 장치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장치일 수 있다.The second power supply unit 55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web server 50 or the operation of another device connected to the web server 50.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55 may be a battery built in the web server 50 or a device that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device.

제2 제어부(57)는, 웹 서버(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40)의 요청에 따라,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탐색된 경로가 포함된 웹 페이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가 포함된 웹 페이지 등을 사용자 단말기(40)에 제공하거나, 이와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57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eb server 50. For example, a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40, the user terminal 40 may include a web page including a searched route from a departure point to a destination, a web page including guidance information guiding a route from the departure point to a destination, and the like. ), Or control and processing related thereto.

그러면, 도 3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Next, a process of providing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5. 3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 단말기(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웹 서버(50)에 전송한다(S510). 이때, 사용자 단말기(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소정 개수의 기준점에 기초한 기준점 정보를 추가적으로 웹 서버(50)에 전송할 수 있다.First, the user terminal 40 transmits the source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o the web server 5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S510).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40 may additionally transmit 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based o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reference points input from the user to the web server 50.

이후, 웹 서버(50)의 제2 제어부(57)는, 제2 저장부(53)에 저장된 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 수신한 출발지 정보에 기초한 출발지로부터 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 수신한 목적지 정보에 기초한 목적지까지의 경로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 정보를 획득한다(S530). 한편, 웹 서버(50)의 제2 저장부(53)에 저장된 맵 데이터는, 시설물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 데이터가 맵 데이터와는 별개로 제2 저장부(53)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웹 서버(50)의 제2 제어부(57)는, 제2 저장부(53)에 저장된 시설물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설물을 획득할 수 있다.Then, the second control unit 57 of the web server 50, based on the map data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53, from the starting point based on the starting poi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40, the user terminal 40 Reference point information located in the vicinity of a path to a destination based 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vice is obtained (S530). Meanwhile, the map data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53 of the web server 50 may include facility data. In addition, the facility data may b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53 separately from the map data. In this case, the second control unit 57 of the web server 50 may acquire the facility based on the facility data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53.

즉, 웹 서버(50)의 제2 제어부(57)는, 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 상에 위치한 기준점이나, 탐색된 경로와 인접한 곳에 위치한 기준점 중에서 소정 개수의 기준점을 획득할 수 있다. 기준점을 획득하는 과정은,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더불어 소정 개수의 기준점 정보도 수신한 경우, 웹 서버(50)의 제2 제어부(57)는, 소정 개수의 기준점 정보에 기초한 기준점이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버(50)의 제2 제어부(57)는, 탐색된 경로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 중 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 수신한 소정 개수의 기준점 정보에 기초한 기준점을 선택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control unit 57 of the web server 50 searches for a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map data, and selects a reference point located on the searched route or a reference point located adjacent to the searched route. A number of reference points can be obtained.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reference poi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in the foregoing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On the other hand, when a predetermined number of reference poin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40 in addition to the starting point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 second control unit 57 of the web server 50 controls the reference point based o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reference point information on the path. You can search for a route located at. 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ler 57 of the web server 50 may select a reference point based on a predetermined number of reference poi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40 among the reference points located near the found path.

다음으로, 웹 서버(50)의 제2 제어부(57)는, 기준점 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5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내 정보는, 기준점을 포함하는 구절로 표현되는 텍스트, 텍스트에 대응되는 맵 이미지, 목적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Next, the second control unit 57 of the web server 50 may obtain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using 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S550).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information may include text represented by a phrase including a reference point, a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text,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guide informa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in the foregoing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웹 서버(50)의 제2 제어부(57)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0)에 전송할 수 있다(S570). 이후, 사용자 단말기(40)는, 웹 서버(50)로부터 수신한 안내 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안내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방식은,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ler 57 of the web server 50 may transmit, to the user terminal 40,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S570). Thereafter, the user terminal 40 may output the guid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50 on the screen. Since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guide information on the scree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oregoing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웹 서버(50)의 제2 제어부(57)는, 사용자 단말기(40)의 요청에 따라 안내 정보를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웹 서버(50)의 제2 제어부(57)는, 텍스트만을 전송하거나, 텍스트와 이에 대응되는 맵 이미지를 함께 전송하거나, 안내 정보에 대응되는 기준점 정보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unit 57 of the web server 50 may transmit guide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40. In this case, the second controller 57 of the web server 50 may transmit only text, transmit text together with a map image corresponding thereto, or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reference poi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guide information.

즉, 웹 서버(50)의 제2 제어부(57)는, 이동통신 시스템(30)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안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웹 서버(50)의 제2 제어부(57)는, SMS, LMS, MMS, 이메일 등의 방식에 의해 안내 정보를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controller 57 of the web server 50 may transmit guid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The second control unit 57 of the web server 50 may transmit the guid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by SMS, LMS, MMS, email, or the lik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카테고리, 경로 탐색 기준, 복수의 안내 정보 제공, 기준점 정보의 레벨을 이용하여 기준점 획득, 목적지 근처의 대표 지점을 이용하여 경로를 안내, 안내 정보를 구간 별로 획득, 경유지를 지나가는 안내 정보 획득 등은,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reference point categories, route search criteria, providing a plurality of guide information, obtaining reference points using levels of reference point information, guiding routes using representative points near a destination, and obtaining guide information for each section and waypoints Acquiring the guide information passing through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so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지도를 기반으로 하여 제공되는 웹 서비스 중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웹 서버(50)가 제공하기 위한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웹 서버(50)는, 경로 탐색, 위치 검색 등과 같이 지도를 기반으로 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웹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of providing the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among the web services provided based on the map has been described only for the oper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web services provided based on a map, such as a route search and a location search, can be provided to a us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지금까지 설명한 안내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hard disk),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recording media),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nclude a computer readable medium contain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This medium records a program for executing the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described so far. The media may include,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h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Examples of such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s and DVDs, and ROMs. Hardware devices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code, such as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20 : 통신망 30 : 이동통신 시스템
40 : 사용자 단말기 50 : 웹 서버
51 : 제2 통신부 53 : 제2 저장부
55 : 제2 전원부 57 : 제2 제어부
100 : 이동 단말기 110 : 제1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출력부
140 : 제1 저장부 150 : 제1 전원부
160 : 제1 제어부
20: communication network 30: mobile communication system
40: user terminal 50: web server
51: second communication unit 53: second storage unit
55: second power supply unit 57: second control unit
100: mobile terminal 110: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input unit 130: output unit
140: first storage unit 150: first power supply unit
160: first control unit

Claims (29)

맵 데이터(map data)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맵 데이터에서,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의 경로 부근에 위치한 시설물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 storage unit which stores map data;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using the facility information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path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in the map data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정보는,
상기 시설물 정보에 기초한 시설물을 포함하는 구절로 표현되는 텍스트(tex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route guide information,
And a text represented by a phrase including a facility based on the facility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정보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시설물 정보에 기초한 시설물에 도달하기 위한 제1 방향 정보 및 상기 시설물로부터 상기 제2 지점에 도달하기 위한 제2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route guide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first direction information for reaching the facility based on the facility information from the first point and second direction information for reaching the second point from the facility.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정보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시설물 정보에 기초한 시설물에 도달하기 위한 제1 거리 정보 및 상기 시설물로부터 상기 제2 지점에 도달하기 위한 제2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route guide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first distance information for reaching the facility based on the facility information from the first point and second distance information for reaching the second point from the faci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정보는, 복수의 시설물을 포함하며,
상기 경로 안내 정보는,
상기 복수의 시설물 간의 방향 정보 및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acility inform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acilities,
The route guide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direction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facilit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경로 부근에 위치한 상기 시설물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searching for a route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and obtaining the facility information located near the found rou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색된 경로 부근에 위치한 시설물 정보 중 미리 선택되거나 지정된 카테고리(category)에 대응되는 상기 시설물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And obtaining the facil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ategory selected in advance from among facility information located near the found rou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선택되거나 지정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상기 시설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obtaining the route using the facil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selected or designated categor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는,
교통 시설물 카테고리, 교육 시설물 카테고리, 고층 시설물 카테고리, 편의 시설물 카테고리, 쇼핑 시설물 카테고리, 금융 시설물 카테고리, 공공 시설물 카테고리, 도로 시설물 카테고리, 숙박 시설물 카테고리, 스포츠 시설물 카테고리, 문화 시설물 카테고리 및 사용자 설정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category,
At least one of transportation facility category, education facility category, high-rise facility category, amenities category, shopping facility category, financial facility category, public utility category, road facility category, accommodation category, sports facility category, cultural facility category, and custom category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경로 부근에 위치한 시설물 정보 중 상기 경로의 길이에 따라 선택된 레벨(level)에 대응되는 상기 시설물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Search for a path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and obtain facil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evel selec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ath among facility information located near the found path;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선택되거나 지정된 탐색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경로 부근에 위치한 상기 시설물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searching for a route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based on a preselected or specified search criterion and obtaining the facility information located near the searched rou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복수의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복수의 경로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시설물 정보를 상기 복수의 경로 부근에서 획득하며, 상기 복수의 시설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경로를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경로는, 각각 서로 다른 탐색 기준에 기초하여 탐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Search a plurality of paths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obtain a plurality of facil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aths in the vicinity of the plurality of paths, and use the plurality of facility information Outputs a plurality of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of
The plurality of paths are each searched based on different search criteri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기준은,
고층 시설물 기준, 교육 시설물 기준, 쇼핑 시설물 기준, 편의 시설물 기준, 금융 시설물 기준, 스포츠 시설물 기준, 숙박 시설물 기준, 유동 인구 기준 및 도로 폭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arch criteria,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high-level facility standard, an education facility standard, a shopping facility standard, a convenience facility standard, a financial facility standard, a sports facility standard, an accommodation facility standard, a floating population standard, and a road width stand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경로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준점 정보에 기초한 기준점을 경유지로 하여 상기 경로를 탐색하며, 상기 탐색된 경로 부근에 위치한 상기 시설물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cquiring reference point information located near a path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searching for the path using a reference point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nd acquiring the facility information located near the found path;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경로 부근에 위치한 기준점 정보 중 상기 제2 지점까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인 기준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준점 정보에 기초한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며, 상기 탐색된 경로 부근에 위치한 상기 시설물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cquiring reference point information in which the distance to the second point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mong reference point information located near the path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and obtaining from the reference point to the second point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nd searching for a route and obtaining the facility information located near the found route.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은,
도로 데이터, 교통 시설물, 교육 시설물, 고층 시설물, 편의 시설물, 쇼핑 시설물, 금융 시설물, 공공 시설물, 도로 시설물, 숙박 시설물, 스포츠 시설물, 문화 시설물 및 사용자 설정 시설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The reference point,
A movement comprising at least one of road data, transportation facilities, educational facilities, high-rise facilities, amenities, shopping facilities, financial facilities, public facilities, road facilities, accommodations, sports facilities, cultural facilities and user-defined facilities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시설물 데이터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설물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age unit further stores the facility data,
The control unit,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obtain the facility information using the facility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내 정보를 SMS(short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및 이메일(e-mail)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The gui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by at least one of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 long message service (LMS),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and an e-mail.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내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시설물 정보의 식별 정보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맵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맵 데이터에서,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의 경로 부근에 위치한 시설물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버.
A storage unit for storing map data;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using the facility information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path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in the map data
Web server comprising a.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 정보와 상기 제2 지점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공하며,
상기 경로 안내 정보는, 상기 시설물 정보에 기초한 기준점을 포함하는 구절로 표현되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버.
The method of claim 20,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first point information and the second poin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e control unit,
Providing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includes a web server including text represented by a phrase including a reference point based on the facility information.
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의 경로 부근에 위치한 시설물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안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정보 제공 방법.
Obtain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using facility information located near a route from a first point to a second point based on the map data; And
Outputting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정보는,
상기 시설물 정보에 기초한 시설물을 포함하는 구절로 표현되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The route guide information,
Guidan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text expressed in the phrase containing the facility based on the facility information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정보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시설물 정보에 기초한 시설물에 도달하기 위한 제1 방향 정보 및 상기 시설물로부터 상기 제2 지점에 도달하기 위한 제2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The route guide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first direction information for reaching the facility based on the facility information from the first point and second direction information for reaching the second point from the facility.
제22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정보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시설물 정보에 기초한 시설물에 도달하기 위한 제1 거리 정보 및 상기 시설물로부터 상기 제2 지점에 도달하기 위한 제2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or 24,
The route guide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first distance information for reaching the facility based on the facility information from the first point and second distance information for reaching the second point from the facility.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정보 획득 단계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경로 부근에 위치한 상기 시설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The step of obtain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Searching for a path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And
And obtaining the facility information located near the found rout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정보 획득 단계는,
미리 선택되거나 지정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상기 시설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The step of obtain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And obtaining the route using the facil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selected or designated category.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정보 획득 단계는,
미리 선택되거나 지정된 탐색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경로 부근에 위치한 상기 시설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The step of obtain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Searching for a path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based on a preselected or specified search criterion; And
And obtaining the facility information located near the found route.
컴퓨터에 제22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A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22 to 28.
KR1020100025364A 2010-03-22 2010-03-22 A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 mobile terminal, and a web server using the method KR1012124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364A KR101212444B1 (en) 2010-03-22 2010-03-22 A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 mobile terminal, and a web server us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364A KR101212444B1 (en) 2010-03-22 2010-03-22 A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 mobile terminal, and a web server using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122A true KR20110106122A (en) 2011-09-28
KR101212444B1 KR101212444B1 (en) 2012-12-13

Family

ID=44956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364A KR101212444B1 (en) 2010-03-22 2010-03-22 A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 mobile terminal, and a web server us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44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6141A (en) * 2014-02-14 2015-08-2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for measuring the distance on electronic map,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WO2015187124A1 (en) * 2014-06-02 2015-12-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aypoint navig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555A1 (en) * 2014-05-19 2015-11-2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Rout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device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with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6141A (en) * 2014-02-14 2015-08-2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for measuring the distance on electronic map,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WO2015187124A1 (en) * 2014-06-02 2015-12-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aypoint navigator
US10578449B2 (en) 2014-06-02 2020-03-03 Ent. Services Development Corporation Lp Waypoint navig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2444B1 (en) 201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4336B2 (en) Mobile search based on predicted location
US10809090B2 (en) Electronic map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N109891195B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visual landmarks in initial navigation
EP2783357B1 (en) User-assisted identification of location conditions
US20140358427A1 (en) Enhancing driving navigation via passive drivers feedback
US20160054137A1 (en) Navigation device with enhanced widgets and applications
CN107209021B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 relevance ranking of navigation maps
WO2016054300A1 (en) Content presentation based on travel patterns
EP1995558A1 (en) Position registration device, route search device, position registration method, position registra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62201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9354076B2 (en) Guiding server, gui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guiding program
KR101212444B1 (en) A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 mobile terminal, and a web server using the method
US10157187B2 (en) Information terminal and program
JP5104183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JP4644618B2 (en) Location registration device, route search device, location registration method, location registra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0378918B2 (en) Generating routes from lines based on zoom levels
JP2016211915A (en) Notification system, server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program, and notification method
US20100030468A1 (en) Method of generating navigation message and system thereof
JP2008070204A (en) Route-computing apparatus
WO2007026708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path guiding apparatus, path gu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path guid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EP4352460A1 (en) Vehicle routing with dynamic selection of turns across opposing traffic
JP2010026803A (en) Traffic jam prediction device, route search device, traffic jam prediction method, route search method, traffic jam prediction program, route search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8660788B2 (en) Navigation system with audio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2008191157A (en) Navigation device
JP2012132785A (en) Additional display support method of gps spot displayed on display device of road traffic information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