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4750A - 치조골용 버 - Google Patents

치조골용 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4750A
KR20110104750A KR1020100023829A KR20100023829A KR20110104750A KR 20110104750 A KR20110104750 A KR 20110104750A KR 1020100023829 A KR1020100023829 A KR 1020100023829A KR 20100023829 A KR20100023829 A KR 20100023829A KR 20110104750 A KR20110104750 A KR 20110104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veolar bone
main body
body portion
bur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9596B1 (ko
Inventor
조상춘
Original Assignee
(주)이비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비아이 filed Critical (주)이비아이
Priority to KR1020100023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596B1/ko
Priority to PCT/KR2010/006332 priority patent/WO2011115339A1/ko
Publication of KR20110104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596B1/ko
Priority to US13/619,320 priority patent/US2013001181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핸드 피스에 물려 사용할 수 있고, 치조골의 외형을 다듬는데 적합한 새로운 치조골용 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절삭 날이 형성된 본체부; 및 치과용 핸드피스에 물려 고정되는 부분으로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에 결합 홈이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상기 본체부는, 반구형으로 형성된 선단부; 상기 연결부와 직접 연결되는 타단부; 상기 선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에 위치하며 중앙 부분의 직경이 가장 작고, 선단부와 타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 만곡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절삭 날은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 방향 홈에 형성된 길이 방향 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용 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조골용 버{Bur for alveolar bone}
본 발명은 치조골(alveolar bone)용 버(bur)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발치된 상태의 치조골을 임플란트를 심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다듬는데 사용되는 치조골용 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치과 임플란트 시술은 발치 후 6개월을 기다려서 발치와가 충분히 아문 후에 임플란트를 심고, 다시 4 내지 6개월을 기다렸다가 상부 보철물을 제작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긴 시간과 시술 회수가 소요되는 임플란트 시술을 보다 빠르고 시술 횟수도 더 적게 하면서 아무는 기간을 줄이기 위해 임상 치과의사들은 많은 노력을 해왔다.
많은 노력의 결과로 최근에는 임플란트를 심고 당일에 상부 보철물을 제작하는 방식(immediate loading)으로 시술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술식은 환자가 시술 즉시 심미성, 기능성을 회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 발치 후 발치와에 즉시 임플란트를 시술하여 성공적인 결과를 얻은 것으로 보고된 예가 있다. 이러한 시술은 특히 골질이 우수한 하악에서 성공률이 높게 보고 되었으며, 전악 시술 시에 성공률이 높게 보고 되었다. 치근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하악 전치부에서는 발치 후 치조골을 수평적으로 삭제하고 임플란트를 심을 경우, 심어진 임플란트는 완전히 아문 치조골에서와 같은 안정성(stability)을 얻을 수 있어 선호되는 시술이다. 이러한 시술을 위해서는 발치 후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발치와를 인접 연조직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적절히 다듬어 임플란트를 심기에 적절한 치조골의 외형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이와 같이 치조골의 외형을 인접 연조직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다듬기에 적합한 도구가 없어서 치아를 절삭하는데 사용하는 버를 사용하여 왔다. 이에 치조골의 외형을 다듬는데 적합한 새로운 치조골용 버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포함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핸드 피스에 물려 사용할 수 있고, 치조골의 외형을 다듬는데 적합한 새로운 치조골용 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절삭 날이 형성된 본체부; 및
치과용 핸드피스에 물려 고정되는 부분으로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에 결합 홈이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상기 본체부는,
반구형으로 형성된 선단부;
상기 연결부와 직접 연결되는 타단부;
상기 선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에 위치하며 중앙 부분의 직경이 가장 작고, 선단부와 타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 만곡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절삭 날은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 방향 홈에 형성된 길이 방향 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용 버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상기 본체부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둘레 방향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여기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연결된 나선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절삭 날은 상기 만곡부의 직경이 작은 부분에서는 높이가 낮고, 선단부와 타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에 사용되는 임플란트 시술용 핸드 피스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멸균하여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로써, 가공 후 열처리 한 후에 사용되므로, 이를 사용하여 치조골을 다듬을 때 다이아몬드 버(diamond bur)와는 다르게 잔존물이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용 버를 사용하면, 발치한 후에 곧장 치조골의 형상을 아문 치조골의 형상으로 쉽게 형성할 수 있어 발치 당일에 임플란트 시술을 완료하는 시술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조골용 버는 상악의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서 상악동 거상술에서 상악동의 점막을 들어올리거나 점막을 들어올려 생긴 공간에 뼈를 이식하여 다지고 위치를 잡는 작업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상악동 거상술을 위해 상악동이 개구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버를 사용하면, 상악동 점막을 찢지 않고 윈도우 면적을 크게 만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치조골용 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치조골용 버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치조골용 버의 측면도.
도 4는 발치 후 치은이 절개되어 노출된 치조골의 사진.
도 5는 발치된 치조골을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용 버를 사용하여 다듬은 상태의 치조골의 사진.
도 6은 임플란트용 스크루 식립을 위해 치조골에 천공한 상태의 치조골 사진.
도 7은 치조골에 임플란트용 스크루가 식립된 상태의 치조골의 사진.
도 8은 상악동 거상술을 위해 상악동이 개구된 상태에서 열린 윈도우를 통해 본 발명의 버가 삽입된 상태의 사진.
본 발명의 명칭 및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사용되는 용어로써 "버(bur)"는 치과에서 핸드피스에 물려 사용하는 공구를 지칭한다. "버"라는 용어는 치과에서 널리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치조골용 버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치조골용 버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치조골용 버(100)는 본체부(110)와 연결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10)는 절삭 날(111)이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에 의해 치조골 등을 다듬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아령 모양으로 형성되어 만곡부(110a), 선단부(110b) 및 타단부(110c)를 포함한다.
만곡부(110a)는 치조골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중앙부분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양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는 형상을 가지고, 절삭 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단부(110b)는 실질적으로 반구형에 가까운 외형을 가지는 부분으로 길이방향으로 힘을 가할 때 눌리는 부분에 흠집이 나지 않는 형상이다. 이 부분의 용도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타단부(110c)는 상기 연결부(150)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선단부(110b)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경을 가진다.
이와 같은 외형을 가지는 상기 본체부(110)에는 선단부(110b), 만곡부(110a) 및 타단부(110c)가 합쳐져서 전체적으로 아령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단부(110b), 만곡부(110a) 및 타단부(110c)에 걸쳐 길이 방향의 절삭 날(111)이 복수 열로 형성되어 있다. 절삭 날(111)은 길이 방향으로 일자로 형성되어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저면에서 본체부를 바라보면 톱니 형상이 된다.
본체부의 전체적인 형상이 아령 모양이기 때문에 만곡부에서 직경이 작은 부분에서의 절삭 날의 높이는 선단부와 타단부에서의 절삭 날의 높이에 비해 더 작게 된다. 특히,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절삭 날은 상기 만곡부의 직경이 작은 부분에서는 높이가 낮고, 선단부와 타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치조골의 중앙 부분을 조금씩 세밀하게 깎을 수 있는 형상이어서 바람직할뿐만 아니라 제작 가공을 위해 편리하기도 하다.
상기 본체부(110)에는 길이 방향의 절삭 날(111) 외에도 둘레 방향으로 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1에서는 둘레 방향의 홈(112)은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치조골을 다듬는 작업은 균일한 형태의 대상에 대해 수행되는 것이 아니고, 한번 치조골을 절삭한 부분은 다시 돌이킬 수 없으므로, 둘레 방향으로 홈(112)이 형성되도록 하여, 한번에 조금씩 치조골이 절삭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150)는 통상의 치조골용 버가 핸드피스에 물리기 위해 규격화된 형상과 동일하다. 즉,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단이 형성되어 있고, 끝단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둘레 방향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핸드피스는 각종 치과용 버가 장착되면 이를 회전시켜 치아 절삭 등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부재를 말하는 것으로 치과 계통에서 널리 사용하는 관용 부재의 명칭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치조골용 버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시예2의 치조골용 버가 실시예1의 치조골용 버와 상이한 점은 본체부(210)의 둘레 방향의 홈의 형상이 본체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실시예1의 둘레 방향 홈은, 본체부(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둘레 방향 홈(112)들이 서로 평형하게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지만, 실시예2의 경우에는 본체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된 하나의 나선형의 홈(212)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그밖에 본체부(210), 만곡부(210b), 선단부(210a), 타단부(210c), 길이 방향 절삭 날(211), 연결부(150)는 실시예1 및 실시예2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실시예1과 실시예2의 치조골용 버를 실제 사용할 때에는 두 가지 형태가 모두 치조골의 형태를 다듬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용 버를 사용하여 치조골을 다듬고 곧장 임플란트용 스크루를 치조골에 식립하는 시술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사진들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는 발치 후 치은이 절개되어 노출된 치조골의 사진, 도 5는 발치된 치조골을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용 버를 사용하여 다듬은 상태의 치조골의 사진, 도 6은 임플란트용 스크루 식립을 위해 치조골에 천공한 상태의 치조골 사진이고, 도 7은 치조골에 임플란트용 스크루가 식립된 상태의 치조골의 사진이다.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치조골을 다듬어 임플란트를 식립하기에 적합한 상태로 만드는데 본 발명의 치조골용 버는 대단히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용 버를 한 환자에게 사용한 후 다른 환자에게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 후 멸균하여야 하는데, 멸균은 고압증기멸균(autoclaving) 방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치조골용 버에서 선단부의 직경이 가장 큰 부분과 타단부의 직경이 가장 큰 부분 간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사람의 치조골의 폭에 의해 결정되는데, 사람마다 치조골의 폭이 상이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용 버를 선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거리가 조금씩 다르도록 복수 개 제작하여 치조골용 버 세트를 만들어 환자마다 다른 치조골의 폭에 대응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용 버는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서 상악동 거상술을 시술할 때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악동 거상술이란, 상악에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상악동의 점막을 들어올리고 이곳에 뼈를 이식하여 임플란트를 심을 수 있을 정도로 두꺼운 치조골을 인공적으로 형성해주는 시술을 말하는데, 치과 임플란트에 있어서는 널리 알려진 시술법이다. 이 시술을 위해서는 상악동의 점막을 들어올리는 것은 물론이고, 뼈를 이식하여 위치를 고정할 때에 비교적 직경이 작으면서 둥근 형상의 도구를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치조골용 버는 본체부의 선단부가 구형의 형상을 하고 있어서 상악동의 점막을 들어올리거나 뼈를 이식하여 다지고 위치를 잡을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악동 거상술을 위해서는 발치된 치조골에 천공을 하여 상악동과 통하는 윈도우를 형성하고 이 윈도우를 통해 이식할 뼈와 이를 다지기 위한 도구를 삽입하게 된다. 도 8에는 상악동 거상술을 위해 상악동이 개구된 상태에서 열린 윈도우를 통해 본 발명의 버가 삽입된 상태의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상악동 거상술을 위해 상악동이 개구된 상태에서 열린 윈도우의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서 기존의 버를 사용하게 되면 버의 선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악동 점막을 찢기 쉽다. 그런데, 본 발명의 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선단부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선단부의 반구형 부분은 버가 회전할 때에도 점막을 손상시키지 않으므로, 윈도우의 면적을 넓힐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치조골용 버
110, 210: 본체부
110a, 210a: 만곡부
110b, 210b: 선단부
110c, 210c: 타단부
111: 길이 방향 절삭 날
112: 둘레 방향 홈
150: 연결부
212: 나선형 홈

Claims (4)

  1. 절삭 날이 형성된 본체부; 및
    치과용 핸드피스에 물려 고정되는 부분으로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에 결합 홈이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상기 본체부는,
    반구형으로 형성된 선단부;
    상기 연결부와 직접 연결되는 타단부;
    상기 선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에 위치하며 중앙 부분의 직경이 가장 작고, 선단부와 타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 만곡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절삭 날은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 방향 절삭 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용 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상기 본체부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둘레 방향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용 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연결된 나선형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용 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절삭 날은 상기 만곡부의 직경이 작은 부분에서는 높이가 낮고, 선단부와 타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용 버.
KR1020100023829A 2010-03-17 2010-03-17 치조골용 버 KR101099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829A KR101099596B1 (ko) 2010-03-17 2010-03-17 치조골용 버
PCT/KR2010/006332 WO2011115339A1 (ko) 2010-03-17 2010-09-16 치조골용 버
US13/619,320 US20130011810A1 (en) 2010-03-17 2012-09-14 Burr for alveolar b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829A KR101099596B1 (ko) 2010-03-17 2010-03-17 치조골용 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750A true KR20110104750A (ko) 2011-09-23
KR101099596B1 KR101099596B1 (ko) 2011-12-28

Family

ID=4464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829A KR101099596B1 (ko) 2010-03-17 2010-03-17 치조골용 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011810A1 (ko)
KR (1) KR101099596B1 (ko)
WO (1) WO20111153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0817A1 (ko) 2012-08-21 2014-02-27 Lee Jae Young 골프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6256B2 (en) * 2014-03-07 2018-07-10 Earl Wayne Simmons, Jr.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dental implant site
USD741484S1 (en) 2014-04-30 2015-10-20 Ebi Co., Ltd. Drill head for dental implant surgery
JP6341506B2 (ja) * 2014-06-24 2018-06-13 長田電機工業株式会社 切削工具および骨手術用インスツルメント
USD763448S1 (en) * 2015-01-28 2016-08-09 EBI Inc. Dental bu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3273A (en) * 1905-03-29 1907-02-05 Willy Homann Dental bur and excavator.
US1358432A (en) * 1919-12-26 1920-11-09 Israel J Fink Dental drill
US2807264A (en) * 1953-09-10 1957-09-24 Albert C Tuck Instruments for contouring bones
US4389192A (en) * 1979-08-20 1983-06-21 Neuwirth Siegmund A Dental reducing tool
US4264307A (en) * 1979-08-20 1981-04-28 Neuwirth Siegmund A Dental reducing tool
US4284406A (en) * 1980-08-19 1981-08-18 Hughes Thomas E Dental tooth bur
JPS63318937A (ja) * 1987-06-24 1988-12-27 Matsutani Seisakusho:Kk 歯科用高速切削具
US6863529B2 (en) * 2001-05-18 2005-03-08 Biohorizons Implant Systems, Inc. Dental drill system and method of use
US7232311B1 (en) * 2002-04-19 2007-06-19 Greggs Thomas S Bur for preparing metal substrates
DE102006002722B4 (de) * 2006-01-19 2007-11-08 Gebr. Brasseler Gmbh & Co. Kg Dentalfräser
DE202007018284U1 (de) * 2007-02-15 2008-07-03 Acurata G + K Mahnhardt Dental E.K. Dentalfräser
US20090053674A1 (en) * 2007-08-22 2009-02-26 Gebr. Brasseler Gmbh & Co. Kg Dental drill
KR100930911B1 (ko) * 2007-11-22 2009-12-1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0817A1 (ko) 2012-08-21 2014-02-27 Lee Jae Young 골프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9596B1 (ko) 2011-12-28
US20130011810A1 (en) 2013-01-10
WO2011115339A1 (ko)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2663B2 (ja) 上顎洞膜挙上用ドリル
KR100841218B1 (ko) 임플란트 장치
US8491304B2 (en) Dental implant fixture
JP2009502441A (ja) 歯周外科手術の方法と器具
JP2007502648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US20210330426A1 (en) Endodontic file
Barnes Surgical endodontics: a colour manual
KR101446072B1 (ko)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KR101099596B1 (ko) 치조골용 버
US20140038134A1 (en) Custom dental implants, systems, devices and methods
KR101113306B1 (ko) 상악동 거상술용 드릴 유닛
US20140030674A1 (en) Prefabricated immediate no-drill dental implant
CN111214299B (zh) 正畸微螺钉导板的制造方法及正畸微螺钉导板
Al Dary et al. The socket shield technique using bone trephine: a case report
KR101388185B1 (ko)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KR101516949B1 (ko)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
US11986372B2 (en) Dental surgery method
US20090069834A1 (en) Auxiliary tool for formation of implant pre-hole
Verma et al. SOCKET SHIELD TECHNIQUE-A NEW APPROACH TO IMMEDIATE IMPLANT PLACEMENT.
Palmer et al. Immediate and early replacement implants and restorations
Al Dary et al. One-year follow-up of socket shield on a molar site
AU2018201058B2 (en) Dental Surgery Method
CN214857163U (zh) 一种种植体周边去骨钻
CN214549667U (zh) 一种牙龈剥离器
KR20190043697A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