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4590A - 이모티콘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이모티콘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4590A
KR20110104590A KR1020100023554A KR20100023554A KR20110104590A KR 20110104590 A KR20110104590 A KR 20110104590A KR 1020100023554 A KR1020100023554 A KR 1020100023554A KR 20100023554 A KR20100023554 A KR 20100023554A KR 20110104590 A KR20110104590 A KR 20110104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oticon
input
key
emoticons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7978B1 (ko
Inventor
임영택
Original Assignee
임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택 filed Critical 임영택
Priority to KR1020100023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978B1/ko
Publication of KR20110104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모티콘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모티콘 입력시스템은,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및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이 저장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각 이모티콘의 입력 및 편집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모티콘 설정부(100); 입력장치(1)의 어느 일측에 위치하며, 표준키(10)와 연동되어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되, 사용자 설정에 따른 단어를 입력한 후, 해당키를 누를 경우, 상기 이모티콘 설정부(100)를 통하여, 입력된 단어에 대응되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출력하는 이모티콘 입력키(200); 및 입력장치(1)의 어느 일측에 위치하며, 표준키(10)와 연동되어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되, 해당키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표준키(10) 중 어느 하나를 누를 경우, 상기 이모티콘 설정부(100)를 통하여, 눌러진 표준키(a)에 설정된 다수의 텍스트, 그래픽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이 각 표준키와 일대일로 대응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각 이모티콘에 일대일로 대응된 표준키(10') 중 어느 하나를 누를 경우 눌러진 표준키(a')에 해당되는 이모티콘을 출력하는 이모티콘 제어키(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모티콘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에 의하면, 텍스트, 그래픽,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입력할 수 있도록 이모티콘키가 구비되는 입력장치와, O/S와 연동되며 사용자 정의에 의해 텍스트, 그래픽,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입력 및 편집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모티콘 설정부를 통하여 모든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모티콘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Emoticon input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모티콘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텍스트, 그래픽,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입력할 수 있도록 이모티콘키가 구비되는 입력장치와, O/S와 연동되며 사용자 정의에 의해 텍스트, 그래픽,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입력 및 편집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모티콘 설정부를 통하여 모든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이모티콘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과 컴퓨터 통신의 발달로 사용자들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상호 의사전달 및 통신을 하고 있으며 통신시 활용하는 정보전달 매개로 이모티콘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각종 메신져 프로그램(Messenger Program), 블로그(Blog), 인터넷 메일(Internet Mail),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등 각종 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Web Application Program)에서 사용자들은 이모티콘으로 글자의 모양을 조합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그래픽 이미지(Graphics Image)등을 사용하여 상호 교감을 증대 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모티콘 사용은 각각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이모티콘을 해당 응용프로그램에만 한정되어 사용이 가능하므로, 모든 응용 프로그램에서 자신이 원하는 이모티콘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하나의 이모티콘 프로그램을 이용해 자신이 원하는 이모티콘을 직접 편집하고 여러 응용프로그램에 공용으로 입력하며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텍스트, 그래픽,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입력할 수 있도록 이모티콘키가 구비되는 입력장치와, O/S와 연동되며 사용자 정의에 의해 텍스트, 그래픽,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입력 및 편집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모티콘 설정부를 통하여 모든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이모티콘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모티콘 입력시스템은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및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이 저장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각 이모티콘의 입력 및 편집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모티콘 설정부(100); 입력장치(1)의 어느 일측에 위치하며, 표준키(10)와 연동되어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되, 사용자 설정에 따른 단어를 입력한 후, 해당키를 누를 경우, 상기 이모티콘 설정부(100)를 통하여, 입력된 단어에 대응되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출력하는 이모티콘 입력키(200); 및 입력장치(1)의 어느 일측에 위치하며, 표준키(10)와 연동되어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되, 해당키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표준키(10) 중 어느 하나를 누를 경우, 상기 이모티콘 설정부(100)를 통하여, 눌러진 표준키(a)에 설정된 다수의 텍스트, 그래픽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이 각 표준키와 일대일로 대응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각 이모티콘에 일대일로 대응된 표준키(10') 중 어느 하나를 누를 경우 눌러진 표준키(a')에 해당되는 이모티콘을 출력하는 이모티콘 제어키(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장치(1)는, 표준키(10)와 연계되어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되, 해당키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표준키(10) 중 어느 하나를 누를 경우, 눌러진 표준키(a)에 설정된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출력하는 이모티콘 시프트키(340); 상기 이모티콘 시프트키(340)와 조합되어 사용되며, 한 번 누를때마다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모드를 전환시키는 모드전환키(350); 사용자 설정에 따른 문자를 입력한 후, 해당키를 누를 경우 입력된 문자에 대응되는 문장을 출력하는 이모티콘 문장키(360); 이모티콘 입력 및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종료시키는 종료키(3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모티콘 설정부(100)는, 용자가 이모티콘 입력모드의 세팅 및 이모티콘의 입력 또는 편집을 진행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제공부(110); 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및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이 저장되는 이모티콘 저장부(121)와, 대상 응용프로그램 또는 오에스(OS)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이모티콘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제공부(122)가 구비된 이모티콘 라이브러리부(120); 기 이모티콘 라이브러리부(120) 및 오에스(OS)와 통신하는 이모티콘 API(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모티콘 입력시스템을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은, 이모티콘 설정부(100)를 통하여 표준키(1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에 해당하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각각 설정하는 이모티콘 설정단계(S100); 상기 표준키(10)를 통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이모티콘에 대한 단어를 입력하는 단어 입력단계(S200); 상기 표준키(10)를 통하여 입력된 단어를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으로 변환하는 이모티콘 입력키(200)를 선택하는 이모티콘 입력키 선택단계(S300); 상기 이모티콘 입력키 선택단계(S300)에서 선택된 이모티콘 입력키(200)에 따라 상기 단어 입력단계(S200)에서 입력된 단어에 해당하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출력하는 이모티콘 출력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모티콘 설정부(100)를 통하여 표준키(10)의 각각에 해당하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설정하는 이모티콘 설정단계(S500); 상기 표준키(10)와 연계되어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의 배열화면을 표시하는 이모티콘 제어키(300)를 선택하는 이모티콘 제어키 선택단계(S600); 상기 표준키(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표준키 선택단계(S700); 상기 표준키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표준키(a)에 설정된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이 각 표준키(10')와 일대일로 대응된 배열화면이 표시되는 이모티콘 표시단계(S800); 상기 이모티콘 표시단계(S800)에서 표시되는 표준키(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시, 선택된 표준키(a')에 해당하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출력하는 이모티콘 출력단계(S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모티콘 설정부(100)는 상기 표준키(10)에 사용자가 사용하고자하는 이모티콘을 입력,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되, OS와 연동되며, 사용자가 이모티콘을 입력할 대상 응용프로그램을 설정시 설정된 응용프로그램에 상기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텍스트, 그래픽,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입력할 수 있도록 이모티콘키가 구비되는 입력장치와, O/S와 연동되며 사용자 정의에 의해 텍스트, 그래픽,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입력 및 편집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모티콘 설정부를 통하여 모든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입력시스템의 입력장치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텍스트 이모티콘 입력키를 이용한 텍스트 이모티콘 설정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텍스트 이모티콘 제어키를 이용한 텍스트 이모티콘 설정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모티콘 문장키를 이용한 문장 설정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모티콘 설정부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입력시스템의 입력장치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입력시스템을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입력시스템을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입력시스템의 입력장치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텍스트 이모티콘 입력키를 이용한 텍스트 이모티콘 설정과정을 보인 설명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텍스트 이모티콘 제어키를 이용한 텍스트 이모티콘 설정과정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모티콘 문장키를 이용한 문장 설정과정을 보인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이모티콘 설정부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입력시스템은 이모티콘 설정부(100), 이모티콘 입력키(200), 이모티콘 제어키(300)가 포함된다.
상기 이모티콘 설정부(100)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및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이 저장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각 이모티콘의 입력 및 편집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제공부(110), 이모티콘 라이브러리부(120), 이모티콘 API(13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제공부(110)는 사용자가 이모티콘 입력모드의 세팅 및 이모티콘의 입력 또는 편집을 진행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모티콘을 사용하기 위하여 각각의 표준키(10) 및 표준키(10)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단어 또는 문장 등에 해당하는 이모티콘을 각각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제공부(110)는 사용자가 편집모드에서 이모티콘을 편집시에 이모티콘 입력키(200)를 통하여 특정 단어에 설정한 이모티콘을 마우스를 이용한 Drag & Drop 형식으로 표준키(10)에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이모티콘 라이브러리부(120)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이모티콘이 저장되는 것으로서,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및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이 저장되는 이모티콘 저장부(121)가 구비되며, 사용자 요청에 따른 이모티콘의 호출이 가능하도록 대상 응용프로그램 또는 오에스(OS)의 접근이 가능한 이모티콘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제공부(122)가 구비된다.
상기 이모티콘 API(130)는 상기 이모티콘 라이브러리부(120), 이모티콘이 입력되는 대상 응용프로그램 및 오에스(OS)와 통신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설정한 이모티콘 세팅 방법에 의해 각종 응용프로그램에서 이모티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이모티콘 API(130)는 이모티콘 라이브러리부(120)에 저장된 텍스트, 그래픽 및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메신져, 블로그, 이메일 등에 자신이 원하는 이모티콘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이모티콘을 입력할 대상 응용프로그램(140)에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이 입력되도록 상기 이모티콘 API(130)와 통신하는 이모티콘 API(141)가 탑재되며, 상기 오에스(OS)(150)에도 이모티콘 API(130)와 통신하는 이모티콘 API(151)가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모티콘 입력키(200)는 입력장치(1)의 어느 일측에 위치하며, 표준키(10)와 연동되어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기설정한 단어에 해당하는 이모티콘을 출력하게 되는데, 텍스트 이모티콘을 출력하는 텍스트 이모티콘 입력키(210)와, 그래픽 이모티콘을 출력하는 그래픽 이모티콘 입력키(220)와,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입력키(230)로 구성된다.
상기 이모티콘 입력키(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히가'라는 단어를 입력한 후, 텍스트 이모티콘 입력키(210)를 누를 경우,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텍스트 이모티콘인 ';ㅡ>'를 표시하게 되며, 이와 동일하게 '히히가'라는 단어를 입력한 후, 그래픽 이모티콘 입력키(220)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입력키(230)를 누를 경우, '히히가'라는 단어에 해당하는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이모티콘 제어키(300)는 입력장치(1)의 어느 일측에 위치하며, 표준키(10)와 연동되어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설정에 따라 표준키(10)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이모티콘을 출력하게 되는데, 텍스트 이모티콘을 출력하는 텍스트 이모티콘 제어키(310)와, 그래픽 이모티콘을 출력하는 그래픽 이모티콘 제어키(320)와,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제어키(330)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이모티콘 제어키(310)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표준키(10) 중 어느 하나를 누를 경우, 상기 이모티콘 설정부(100)를 통하여, 눌러진 표준키(a)에 설정된 다수의 텍스트 이모티콘이 각 표준키와 일대일로 대응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각 이모티콘에 일대일로 대응된 표준키(10') 중 어느 하나를 누를 경우 눌러진 표준키(a')에 해당되는 이모티콘인 '^|^'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일하게 그래픽 이모티콘 제어키(320)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제어키(330)를 누른 상태에서 표준키(10) 중 어느 하나를 누를 경우, 이모티콘 설정부(100)를 통하여, 눌러진 표준키(a)에 설정된 다수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이 각 표준키와 일대일로 대응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각 이모티콘에 일대일로 대응된 표준키(10') 중 어느 하나를 누를 경우 눌러진 표준키(a')에 해당되는 그래픽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이 출력된다.
한편, 상기 입력장치(1)는 표준키(10)와 연계되어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되, 해당키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표준키(10) 중 어느 하나를 누를 경우, 눌러진 표준키(a)에 설정된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출력하는 이모티콘 시프트키(340)와, 상기 이모티콘 시프트키(340)와 조합되어 사용되며, 한 번 누를때마다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모드를 전환시키는 모드전환키(350)와, 사용자 설정에 따른 문자를 입력한 후, 해당키를 누를 경우 입력된 문자에 대응되는 문장을 출력하는 이모티콘 문장키(360)와, 이모티콘 입력 및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종료시키는 종료키(370)가 구비된다.
상기 이모티콘 문장키(3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Hi Tom'이란 문자를 입력한 후, 이모티콘 문장키(360)를 누를 경우, 사용자가 기설정한 사용자 정의에 따라 'Hi Tom'이란 문자에 대응되는 'Tom :=)How are you :-> :=)'(b)의 문장을 출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입력장치는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필요에 따른 이모티콘 입력을 위한 최소한의 이모티콘 입력키(200) 및 제어키(300)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한대, 이때,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요구에 따라 이모티콘 입력을 위한 이모티콘 입력키(200) 및 제어키(300) 등 각 입력키의 위치를 변경하여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모티콘 입력키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입력키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모티콘 입력키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은 먼저, 사용자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및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이 저장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각 이모티콘의 입력 및 편집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모티콘 설정부(100)를 통하여 표준키(1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에 해당하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각각 설정한다.(S100)
상기와 같이 이모티콘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표준키(10)를 통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이모티콘에 대한 단어를 입력(S200)하게 되며, 단어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단어에 해당하는 이모티콘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모티콘 입력키(200)를 선택한다(S300). 이때,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단어를 표현하고 싶은 이모티콘에 따라텍스트 이모티콘 입력키(210), 그래픽 이모티콘 입력키(220)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입력키(230)를 선택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모티콘 입력키 선택단계(S300)에서 선택된 이모티콘 입력키(200)에 따라 상기 단어 입력단계(S200)에서 입력된 단어에 해당하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의 출력이 이루어지게 되는데(S400), 이모티콘의 출력시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하나만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의 조합을 통한 출력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모티콘 제어키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제어키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모티콘 제어키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은 먼저, 사용자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및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이 저장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각 이모티콘의 입력 및 편집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모티콘 설정부(100)를 통하여 표준키(10)의 각각에 해당하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설정한다.(S500)
상기와 같이 이모티콘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표준키(10)와 연계되어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의 배열화면을 표시하는 이모티콘 제어키(300)를 선택한다.(S600) 이때, 사용자는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이모티콘에 따라 텍스트 이모티콘 제어키(310), 그래픽 이모티콘 제어키(320)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제어키(330)를 선택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모티콘 제어키(300)가 눌러진 상태에서 상기 표준키(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S700)하게 되면, 상기 표준키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표준키(a)에 설정된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이 각 표준키(10')와 일대일로 대응된 배열화면이 표시(S800)되며, 상기 이모티콘 표시단계(S800)에서 표시되는 표준키(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시, 선택된 표준키(a')에 해당하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의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S900)
상기와 같이 이모티콘 제어키(300)를 통한 이모티콘의 출력시에도, 이모티콘 입력키(200)를 통한 이모티콘 출력과 동일하게 사용자 설정에 따라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하나만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의 조합을 통한 출력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이모티콘 입력키(200) 및 이모티콘 제어키(300)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시에는 이모티콘 설정부(1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이모티콘을 입력할 대상 응용프로그램을 설정하는 응용프로그램 설정단계가 포함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0': 표준키
100: 이모티콘 설정부 110: 사용자 인터페이스제공부
120: 이모티콘 라이브러리부 121: 이모티콘 저장부
122: 이모티콘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제공부
130,141,151: 이모티콘 API 140: 대상 응용프로그램
150: OS
200: 이모티콘 입력키 210: 텍스트 이모티콘 입력키
220: 그래픽 이모티콘 입력키 230: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입력키
300: 이모티콘 제어키 310: 텍스트 이모티콘 제어키
320: 그래픽 이모티콘 제어키 330: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제어키
340: 이모티콘 시프트키 350: 모드전환키
360: 이모티콘 문장키 370: 종료키
S100: 이모티콘 설정단계 S200: 단어 입력단계
S300: 이모티콘 입력키 선택단계 S400: 이모티콘 출력단계
S500: 이모티콘 설정단계 S600: 이모티콘 제어키 선택단계
S700: 표준키 선택단계 S800: 이모티콘 표시단계
S900: 이모티콘 출력단계

Claims (6)

  1.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및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이 저장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각 이모티콘의 입력 및 편집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모티콘 설정부(100);
    입력장치(1)의 어느 일측에 위치하며, 표준키(10)와 연동되어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되, 사용자 설정에 따른 단어를 입력한 후, 해당키를 누를 경우, 상기 이모티콘 설정부(100)를 통하여, 입력된 단어에 대응되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출력하는 이모티콘 입력키(200); 및
    입력장치(1)의 어느 일측에 위치하며, 표준키(10)와 연동되어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되, 해당키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표준키(10) 중 어느 하나를 누를 경우, 상기 이모티콘 설정부(100)를 통하여, 눌러진 표준키(a)에 설정된 다수의 텍스트, 그래픽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이 각 표준키와 일대일로 대응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각 이모티콘에 일대일로 대응된 표준키(10') 중 어느 하나를 누를 경우 눌러진 표준키(a')에 해당되는 이모티콘을 출력하는 이모티콘 제어키(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티콘 입력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1)는,
    표준키(10)와 연계되어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되, 해당키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표준키(10) 중 어느 하나를 누를 경우, 눌러진 표준키(a)에 설정된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출력하는 이모티콘 시프트키(340);
    상기 이모티콘 시프트키(340)와 조합되어 사용되며, 한 번 누를때마다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모드를 전환시키는 모드전환키(350);
    사용자 설정에 따른 문자를 입력한 후, 해당키를 누를 경우 입력된 문자에 대응되는 문장을 출력하는 이모티콘 문장키(360);
    이모티콘 입력 및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종료시키는 종료키(3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티콘 입력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모티콘 설정부(100)는,
    사용자가 이모티콘 입력모드의 세팅 및 이모티콘의 입력 또는 편집을 진행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제공부(110);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및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이 저장되는 이모티콘 저장부(121)와, 대상 응용프로그램 또는 오에스(OS)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이모티콘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제공부(122)가 구비된 이모티콘 라이브러리부(120);
    상기 이모티콘 라이브러리부(120), 이모티콘이 입력되는 대상 응용프로그램 (140) 및 오에스(OS)(150)와 통신하는 이모티콘 API(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티콘 입력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대상 응용프로그램(140)에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이 입력되도록 상기 이모티콘 API(130)와 통신하는 이모티콘 API(141)가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티콘 입력시스템.
  5. 이모티콘 설정부(100)를 통하여 표준키(1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에 해당하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각각 설정하는 이모티콘 설정단계(S100);
    상기 표준키(10)를 통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이모티콘에 대한 단어를 입력하는 단어 입력단계(S200);
    상기 표준키(10)를 통하여 입력된 단어를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으로 변환하는 이모티콘 입력키(200)를 선택하는 이모티콘 입력키 선택단계(S300);
    상기 이모티콘 입력키 선택단계(S300)에서 선택된 이모티콘 입력키(200)에 따라 상기 단어 입력단계(S200)에서 입력된 단어에 해당하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출력하는 이모티콘 출력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티콘 입력시스템을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
  6. 이모티콘 설정부(100)를 통하여 표준키(10)의 각각에 해당하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설정하는 이모티콘 설정단계(S500);
    상기 표준키(10)와 연계되어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의 배열화면을 표시하는 이모티콘 제어키(300)를 선택하는 이모티콘 제어키 선택단계(S600);
    상기 표준키(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표준키 선택단계(S700);
    상기 표준키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표준키(a)에 설정된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또는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이 각 표준키(10')와 일대일로 대응된 배열화면이 표시되는 이모티콘 표시단계(S800);
    상기 이모티콘 표시단계(S800)에서 표시되는 표준키(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시, 선택된 표준키(a')에 해당하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이모티콘을 출력하는 이모티콘 출력단계(S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티콘 입력시스템을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
KR1020100023554A 2010-03-17 2010-03-17 이모티콘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 KR101107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554A KR101107978B1 (ko) 2010-03-17 2010-03-17 이모티콘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554A KR101107978B1 (ko) 2010-03-17 2010-03-17 이모티콘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590A true KR20110104590A (ko) 2011-09-23
KR101107978B1 KR101107978B1 (ko) 2012-01-25

Family

ID=4495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554A KR101107978B1 (ko) 2010-03-17 2010-03-17 이모티콘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9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727A (ko) * 2013-09-03 2015-03-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편집형 영상 객체 생성 장치 및 방법
WO2019149065A1 (zh) * 2018-02-02 2019-08-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绘文字兼容显示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565B1 (ko) * 2003-12-31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키 입력 시스템 및 키 입력 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30085B1 (ko) * 2004-02-06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단말기의 조합형 이모티콘 입력방법
KR20060031715A (ko) * 2004-10-09 2006-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712908B1 (ko) * 2004-11-23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727A (ko) * 2013-09-03 2015-03-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편집형 영상 객체 생성 장치 및 방법
WO2019149065A1 (zh) * 2018-02-02 2019-08-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绘文字兼容显示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7978B1 (ko)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331B1 (ko) 문자 입력에 대해 비주얼 효과를 부여하는 문자 입력 방법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1724777B1 (ko) 융통성 있는 폰트
KR101214176B1 (ko) 이동 장치 키패드들을 개인화하고 브랜드화하는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20150128064A1 (en) Intelligent rendering of information in a limited display environment
TWI408905B (zh) 使用數字鍵之語音輸入
US201000709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pting or rejecting suggested text corrections
JP2008084286A (ja) 電子漫画配信サーバ、および翻訳電子漫画作成装置
US20160103608A1 (en) Virtual keyboard of a computing device to create a rich output and associated methods
US20090213079A1 (en) Multi-Purpose Input Using Remote Control
JP6722360B2 (ja) 文字入力装置
KR100508123B1 (ko) 기호 입력방법 및 장치
TWI381295B (zh) 預示輸出字元的方法、電子裝置、儲存媒體,以及電腦程式產品
US2013033282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etting text-appearance formation of mobile terminals and mobile terminal
KR101461286B1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입력장치
US200702342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ext effect item
KR101107978B1 (ko) 이모티콘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
JP6636604B2 (ja) 感情テキスト表示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502635B2 (ja) 入力支援装置、メッセージ送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28219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keyboard input
CN101320318A (zh) 图像描绘方法、便携式终端以及计算机程序
AU2011202042A1 (en) A method and system applied on a mobile device comprising means to transmit an image of a message
KR10039379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편집 방법
KR102607377B1 (ko) 컨텐츠 추천 방법 및 사용자 단말
KR100550760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의 글자체로 문자 메시지를전송하는 방법
KR20170075904A (ko) 부가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용 소프트웨어 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