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757A - 밀폐성이 증진된 다용도 케이스 - Google Patents

밀폐성이 증진된 다용도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757A
KR20110103757A KR1020100022976A KR20100022976A KR20110103757A KR 20110103757 A KR20110103757 A KR 20110103757A KR 1020100022976 A KR1020100022976 A KR 1020100022976A KR 20100022976 A KR20100022976 A KR 20100022976A KR 20110103757 A KR20110103757 A KR 20110103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upled
protection tube
sealing means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3073B1 (ko
Inventor
김종출
Original Assignee
김종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출 filed Critical 김종출
Priority to KR1020100022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073B1/ko
Publication of KR20110103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B65D83/0016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the contents being forced out through the screw-shaf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45D2040/207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the relative movement being made by an axial action, e.g. by push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이나 필기구 용도 등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밀폐성이 증진된 다용도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납된 화장품이나 필기구 등이 외기와 접촉하여 변형되거나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통 및 보관시간이 길어지고, 판매 후 장시간 사용에도 제품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밀폐성이 향상된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성이 증진된 다용도 케이스는 상단부에 입출공을 갖는 상부 수납부, 하부 공회전 구속부, 그리고 직선운동 안내부를 갖는 심보호관; 상기 심보호관의 공회전 구속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와, 선회운동 구동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동부재; 상기 심보호관의 직선운동 안내부와 결합되는 피안내부와, 상기 가동부재의 선회운동 구동부와 결합되는 종동부와, 심결합부를 갖고, 상기 심보호관 내부를 따라 운동하는 심대; 상기 심보호관을 덮는 상부캡; 상기 심보호관과 상기 심대의 접면에 위치하는 제1밀폐수단; 및 상기 심보호관과 상기 상부캡의 접면에 위치하는 제2밀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밀폐성이 증진된 다용도 케이스{MULTIPURPOSE CASE}
본 발명은 화장품이나 필기구 용도 등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밀폐성이 증진된 다용도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납된 화장품이나 필기구 등이 외기와 접촉하여 변형되거나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통 및 보관시간이 길어지고, 판매 후 장시간 사용에도 제품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밀폐성이 향상된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여성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 중에서 케이스 내부에 심, 붓, 연필 등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는 종류로는 립스틱(lipstick), 립글로즈(lip-gloss) 등과 같은 입술에 사용하는 심이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종류, 아이섀도(eye shadow), 화장솔 등과 같이 입술을 제외한 얼굴의 다른 부위에 사용하는 붓이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종류 등이 있다.
상기 화장품 중에서 특히 사용자의 입술에 사용하는 립스틱, 립글로즈 등은 심(립스틱, 립글로즈 등의 내부에 수용되며 필요에 따라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자가 사용하는 부분)이 외부공기와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변질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심을 형성하는 다양한 재료 중에서 천연재료의 사용이 많아질수록 외부공기에 짧은 시간 노출되어도 쉽게 변질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천연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화학재료를 많이 사용한 심의 경우에는 외부공기에 노출될 때 변질 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으나, 화학재료는 인체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이미 여러 문헌 및 방송에 의해서 알려져 있어 사용자로부터 점차적으로 외면 받고 있다.
이러한 케이스의 낮은 밀폐성으로 인한 문제는 소위 형광펜이나 싸인펜 등의 필기구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인데,
본 발명의 출원인은 특허 제0895004호(2009년04월20일) 『밀폐성이 향상된 화장품 케이스』를 제시하여 밀폐성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특허 제0895004호를 더욱 개선하여 새로운 밀폐성 증진 다용도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밀폐성이 증진된 다용도 케이스는
상단부에 입출공을 갖는 상부 수납부, 하부 공회전 구속부, 그리고 직선운동 안내부를 갖는 심보호관;
상기 심보호관의 공회전 구속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와, 선회운동 구동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동부재;
상기 심보호관의 직선운동 안내부와 결합되는 피안내부와, 상기 가동부재의 선회운동 구동부와 결합되는 종동부와, 심결합부를 갖고, 상기 심보호관 내부를 따라 운동하는 심대;
상기 심보호관을 덮는 상부캡;
상기 심보호관과 상기 심대의 접면에 위치하는 제1밀폐수단; 및
상기 심보호관과 상기 상부캡의 접면에 위치하는 제2밀폐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밀폐성이 증진된 다용도 케이스에서
상기 제2밀폐수단은 상기 상부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밀폐수단은 상기 심보호관의 입출공에 결합되는 끼움부를 갖고,
상기 심보호관의 하부에는 탄성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편의 내외면에는 상기 직선운동 안내부와 상기 공회전구속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밀폐수단은 상기 심대에 결합된 패킹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성이 증진된 다용도 케이스는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구성요소와 구성요소 사이의 경계면에 밀폐수단을 도입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내부에 수납된 화장품이나 필기구 등이 외기와 접촉하여 변형되거나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통 및 보관시간이 길어지고, 판매 후 장시간 사용에도 제품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밀폐수단의 조립성을 향상시켜 생산성과 단가경쟁력을 확보하고, 아울러 화장품이나 필기구 사용시 상부캡을 열고 닺는 과정에서 마치 개구를 막고 주사기의 피스톤을 움직이는 경우와 같이 내장된 공기가 압축되면서 저항을 일으키는 문제의 발생 우려를 통기공을 형성하여 제거하고, 이 통기공에도 불구하고 밀폐성에 문제가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제3~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특허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케이스(C)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심보호관(10)의 입출공(11) 쪽을 상부로 정하고, 공회전 구속부(13) 쪽을 하부로 정한다.
또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는 편의상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먼저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성이 증진된 다용도 케이스(C)는 크게 립스틱, 눈썹연필심, 브러시 등의 화장품이나 브러시, 형광펜, 싸인펜 등의 필기구를 구성하는 심(lead)(L1, 도시된 형태는 펜슬형 립스틱을 위한 것이다)을 위한 심결합부(33)를 갖는 심대(30)(형광펜이나 싸인펜 등의 필기구를 구성하는 경우나 특정 화장품(예: 립글로즈) 등에서 각종 잉크 또는 잉크 흡수체(예: 스폰지), 유동상(또는 액상) 화장품 성분이 심대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심대를 내부에 수용하고 입출공(11A)을 갖는 심보호관(10), 상기 심대의 종동부(31)와 나사결합되는 구동부(21)를 갖는 가동부재(20), 상기 심보호관(10)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캡(40), 그리고 각 구성요소의 접면에 구비되는 밀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심보호관(10)은 도 1과 같이 외주면 형상이 상단부로 갈수록 테이퍼 진 형상이거나, 대안적으로 필요에 따라 외주면이 균일한 횡단면적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또 상기 심보호관(10)은 심(lead)(L1) 및 심대(30)의 심결합부(33)가 내장되는 상부 수납부(11)의 상단부에 심(lead)의 출몰을 위한 입출공(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부재(20)의 구동부(21)와 심대(30)의 종동부(31)가 맞물려 가동부재(20)가 선회하는 경우 상기 심대(30)가 직선 승하강운동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심보호관(10)은 상기 가동부재(20)의 상부 체결부(23)와 결합되는 공회전 구속부(13)를 갖고, 상기 심대(30)의 피안내부(35)와 결합되는 직선운동 안내부(15)를 갖고,
도면에서 상기 체결부(23)는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환형 홈 형상이고, 상기 공회전 구속부(13)는 이에 암수결합되고 억지끼움되는 환형 돌기 형상을 가지며,
또 도면에서 상기 구동부(21)는 상기 가동부재(20)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선이고, 상기 종동부(31)는 상기 나선형 구동부에 결합되고, 나사산의 일부에 구성하는 나선돌기 형상인데, 이러한 나선돌기형 종동부는 완전히 심대의 외주면을 따라 360도의 형성된 길이를 갖는 것이 아니라
도 1에서 중간 하부에 횡단면도로 도시한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 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나선형 구동부에 가능한 적게 접촉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하여 부분 접촉하는 나선돌기 형상을 갖는다.
나아가 도 1에서 중간 상부에 횡단면도로 수납부(11)만 도시한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 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심보호관(10)의 수납부(11)의 단면 형상이 타원형이고, 상기 심대의 심결합부가 이에 상응하는 타원형(심(L1) 파지를 위한 탄성부여를 위하여 절개부(33a)를 갖는 심결합부(33) 및 종동부(31) 부근의 심대(30) 본체의 횡단면도 참조)이어서
(이 경우 타원형상의 수납부(11) 및 심결합부(33) 등의 심대(30)가 안내부(15) 및 피안내부(35)의 역할을 하게 된다)
가동부재(20)의 원운동이 심대(30)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념을 보다 확장하면 상호 대응 결합이 가능한 비원형 형상의 수납부 및 심결합부가 안내부 및 피안내부의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또 대안적으로 다른 구현예로서, 도 1의 좌측 중간에서 심보호관(10)의 외관사시도 및 그 결합단면도와, 또 다른 구현예와 관련하여 도 1 우측에서 심대(30)만의 단면도를 도시한 각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 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심보호관(10)의 직선운동 안내부(15)는 돌기 형상으로 수(雌)부재(결합단면도에서 확인 가능) 역할을 하고,
상기 심대(30)의 피안내부(35)는 이와 결합되는 길이 방향 장홈 형상으로 암(雄)부재 역할을 하는데, 다양한 안내부(15) 및 피안내부(35)의 수암(雄雌) 형상이 가능하고, 또 암수 위치가 상호 뒤바뀔 수 있다.
나아가 도 1의 좌측 중간에서 심보호관(10)의 외관사시도 및 심보호관(10) 등의 결합단면도를 도시한 각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 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심보호관(10)의 직선운동 안내부(15) 및 상기 공회전구속부(13)는
상기 심보호관(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편(17)의 내외면 각각에 형성될 수 있는데
(절개슬릿(17a)으로 인하여 탄성을 갖게 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탄성편(17)에는 필요에 따라 직선운동 안내부(15) 및 상기 공회전구속부(13) 중 어느 하나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편(17)은 둘레의 절개 슬릿(17a)으로 인하여 탄성을 갖게 되며,
먼저 심대(30)를 심보호관(10) 수납부(11)에 하부에서 상부로 결합하면, 심대의 피안내부(35)와 심보호관의 안내부(15)의 결합이 가능하고, 다시 심보호관 하단에 억지끼움 형태로 가동부재를 끼우면 구속부(13)와 체결부(23)가 상호 결합될 수 있어 제조용이성, 결합 편리성, 내구성 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의 구동부는 연속된 나선이 아니고 도시된 심대의 종동부와 같이 부분적으로 나선부의 일부를 이루는 돌기 형상이고, 이에 대응되는 심대의 종동부는 연속된 나사산을 갖는 형태이거나,
구동부 및 종동부 모두 연속된 나선을 갖는 부재로 변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부재(20)는 외주면에 미관향상 및 파지감 향상을 위하여 외피(5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또 상호 결합된 가동부재(20), 심대(30), 외피(50)에는 상호 연통되는 주입공(25)(39)(51)
(심대(30)의 주입공(39)은 도 1 중간에 심대(30)만의 단면도를 도시한 각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주입공을 통하여 연성(軟性)의 립스틱 심(lead)이나 볼펜심 등의 화장품이나 필기구 구성요소가 투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외피(50)의 주입공(51) 또는 가동부재(20)의 주입공(25)은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제3밀폐수단(80)이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는 가동부재(20)의 주입공(25)이 제3밀폐수단에 의하여 폐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특히 상기 가동부재(20)의 주입공(25) 둘레에는 조립편리성을 위하여 경사진 진입유도부(25a)(중간 하부에 도시된 일점 쇄선 원 내의 횡단면도 참고)가 형성되어 있고,
제3밀폐수단(80)은 가동부재(20) 외부에 노출되는 디스크(81)와,
주입공(25)에의 조립 편리성 증진을 위한 테이퍼 진 진입경사부(83a)를 가지며, 결합시 상기 가동부재(20)의 주입공(25) 내측에 위치하는 걸림부(83)를 갖고,
상기 디스크(81)와 상기 걸림부(83)는 걸림환턱(85)을 통하여 연결되며,
도 1의 좌측 하부 확대된 일점 쇄선 원 내의 부분 절단 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81)의 상면에는 마치 흡판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동심원을 이루는 복수의 환홈(81a)이 형성되어 있어 외기가 주입공(25)으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디스크(81) 상면에는 접착재가 도포되어 외피 하단에 완전히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3 밀폐수단은 연질의 엘라스토머이거나 일정 정도(엘라스토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경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심보호관(20)의 수납부(11)를 따라 승하강하는 심대(30)와 상기 심보호관(10)의 접면에도 외기 유입 방지를 위하여 밀폐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제1밀폐수단(60)은 패킹링 형상이며 이 패킹링은 심대의 심결합부(33) 외주면의 환홈(37)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대안적으로 제1밀폐수단은 이중사출 등의 방식으로 심대에 일체로 성형되거나,
심대의 성형시 외주면에 환형 돌출부를 구성하고 이 돌출부(필요에 따라 연질 탄성소재 활용 가능)가 심보호관(10) 내주면에 밀착되어 밀폐기능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심보호관(10)과 상기 심보호관을 덮는 상부캡(40)의 접면에도 제2밀폐수단(70)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밀폐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디스크, 특히 연질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디스크이거나,
나아가 대안적으로 도 1 좌우측 각각에서 확대된 일점 쇄선 원 내에 결합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제3밀폐수단(80)과 유사하게
상기 제2밀폐수단은 상기 상부캡(40) 내주면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심보호관(10)의 입출공(11A)에 결합되어 입출공을 폐쇄할 수 있는 끼움부(75)를 가져 보다 완벽한 입출공 폐쇄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조립성, 생산성, 단가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상기 제2밀폐수단(80)은 상기 상부캡(40)의 상단 결합공(41)에 끼워지는 형태로 조립되는데,
상기 상부캡(40)의 상단에 노출되는 디스크(71)와,
상기 결합공(41)에의 조립 편리성 증진을 위한 테이퍼 진 제1진입경사부(73a)를 갖고 결합시 상기 상부캡 결합공(41) 내측에 위치하는 걸림부(73)를 갖고,
상기 디스크(71)와 상기 걸림부(73)는 제1걸림환턱(77a)을 통하여 연결되며,
역시 상기 디스크(71)의 하면에는 마치 흡판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동심원을 이루는 복수의 환홈(71a)이 형성되어 있어 외기가 결합공(41)으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상기 디스크(71) 상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외피 하단에 완전히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걸림부(73) 하부에는 제2결합환턱(75a)을 거쳐 연결된 끼움부(7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부(75) 하부에는 역시 테이퍼 진 제2진입경사부(75a)를 가져 심보호관(10)의 입출공(11A)에 끼워지기 용이하게 되어 있고,
상기 심보호관(10)의 입출공(11A) 역시 중심을 향하여 경사진 진입유도부(11a)를 가져 결합 용이성의 향상을 꾀하였고,
또 상기 심보호관 입출공(11A) 주변에는 제2결합환턱(77b)에 결합되는 내주면 돌출 돌기(도 1 좌측의 확대된 원 내에 도시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좌측 확대 결합단면도에 비하여 우측의 결합단면도에서는 심보호관(10) 입출공(11A)에 제2밀폐수단(70)의 끼움부(75)는 완전히 결합되지 않고 일부만 삽입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제2 밀폐수단은 역시 연질의 엘라스토머이거나 경질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제2밀폐수단(70)과 관련하여 화장품이나 필기구 사용시 상부캡(40)을 열고 닺는 과정에서 마치 개구를 막고 주사기의 피스톤을 움직이는 경우와 같이 내장된 공기가 압축되면서 저항을 일으키는 문제의 발생 우려를 상부캡(40)에 통기공(43)을 형성하여 제거할 수 있고, 이 통기공에도 불구하고 밀폐성에는 전혀 문제가 없게 된다.
또 상기 외피(50)의 하단부에는 다른 종류의 심(L2), 특히 화장용도인 마스카라용 브러시가 일종의 심대(30A) 하단에 결합되어 있고, 이 심(L2)은 하부캡(40A)에 의하여 보호되며,
필요에 따라 상하 캡(40)(40A)은 상호 결합되는 구조에서 분리된 어느 하나의 캡이 분실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구체적이고 다양하게 화장품이나 필긱구에 본 발명의 케이스가 적용되는 방식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케이스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다용도 케이스 10: 심보호관
11: 수납부 13: 공회전구속부
15: 직선운동 안내부 20: 가동부재
21: 구동부 23: 체결부
30: 심대 31: 종동부
33: 심결합부 35: 피안내부
37: 환홈 39: 주입공
40: 상부캡 60,70,80: 밀폐수단

Claims (4)

  1. 상단부에 입출공을 갖는 상부 수납부, 하부 공회전 구속부, 그리고 직선운동 안내부를 갖는 심보호관;
    상기 심보호관의 공회전 구속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와, 선회운동 구동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동부재;
    상기 심보호관의 직선운동 안내부와 결합되는 피안내부와, 상기 가동부재의 선회운동 구동부와 결합되는 종동부와, 심결합부를 갖고, 상기 심보호관 내부를 따라 운동하는 심대;
    상기 심보호관을 덮는 상부캡;
    상기 심보호관과 상기 심대의 접면에 위치하는 제1밀폐수단; 및
    상기 심보호관과 상기 상부캡의 접면에 위치하는 제2밀폐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밀폐성이 증진된 다용도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폐수단은 상기 상부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밀폐수단은 상기 심보호관의 입출공에 결합되는 끼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성이 증진된 다용도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보호관의 하부에는 탄성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편의 내외면에는 상기 직선운동 안내부와 상기 공회전구속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성이 증진된 다용도 케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폐수단은 상기 심대에 결합된 패킹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성이 증진된 다용도 케이스.
KR1020100022976A 2010-03-15 2010-03-15 밀폐성이 증진된 다용도 케이스 KR101713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976A KR101713073B1 (ko) 2010-03-15 2010-03-15 밀폐성이 증진된 다용도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976A KR101713073B1 (ko) 2010-03-15 2010-03-15 밀폐성이 증진된 다용도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757A true KR20110103757A (ko) 2011-09-21
KR101713073B1 KR101713073B1 (ko) 2017-03-07

Family

ID=4495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976A KR101713073B1 (ko) 2010-03-15 2010-03-15 밀폐성이 증진된 다용도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0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109B1 (ko) * 2013-09-10 2015-01-07 김태훈 밀폐성이 향상된 다용도 용기
US9093687B2 (en) 2012-10-15 2015-07-28 Samsung Sdi Co., Ltd. Sealing ca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637A (ko) * 1994-07-08 1996-02-23 마쓰누마 히데오 화장품 용기
JP3072588B2 (ja) * 1995-09-04 2000-07-31 株式会社トキワ 揮発性化粧料密閉容器
KR200392116Y1 (ko) * 2005-04-27 2005-08-11 심은진 리필용 화장품 용기
KR100895004B1 (ko) * 2008-09-04 2009-04-27 김종출 밀폐성이 향상된 화장품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637A (ko) * 1994-07-08 1996-02-23 마쓰누마 히데오 화장품 용기
JP3072588B2 (ja) * 1995-09-04 2000-07-31 株式会社トキワ 揮発性化粧料密閉容器
KR200392116Y1 (ko) * 2005-04-27 2005-08-11 심은진 리필용 화장품 용기
KR100895004B1 (ko) * 2008-09-04 2009-04-27 김종출 밀폐성이 향상된 화장품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3687B2 (en) 2012-10-15 2015-07-28 Samsung Sdi Co., Ltd. Sealing case
KR101479109B1 (ko) * 2013-09-10 2015-01-07 김태훈 밀폐성이 향상된 다용도 용기
WO2015037903A1 (ko) * 2013-09-10 2015-03-19 Kim Tae Hoon 밀폐성이 향상된 다용도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073B1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1625B2 (ja) 組成物例えば化粧品用包装及び塗布装置
US8070373B2 (en) Deformable mascara brush
JP2006081890A (ja) 化粧料容器
KR20090027340A (ko)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CN106333472B (zh) 具有偏心刷棒的手指插入型睫毛膏容器
WO2008072823A1 (en) A dispenser container provided with an applier
AU2017278128B2 (en) Cosmetic applicator having molded brush and comb portions
KR102498982B1 (ko) 화장 도구
KR20110103757A (ko) 밀폐성이 증진된 다용도 케이스
US10390597B2 (en) Device for applying a cosmetic composition
KR101794508B1 (ko) 립스틱홀더의 유동을 방지한 립스틱 케이스
KR101897961B1 (ko) 밀폐력이 향상된 에어타이트 립 화장품 용기
TWM514773U (zh) 雙頭眼線筆
KR20110103758A (ko) 밀폐성이 증진된 화장품 케이스
JP4749778B2 (ja) 化粧料塗布具
CN108175173A (zh) 一种二合一唇彩睫毛刷瓶
CN210747821U (zh) 一种眉眼部化妆笔
CN203986623U (zh) 多功能敷抹器
CN206213506U (zh) 可转动眉笔的双头式化妆笔
CN108652183B (zh) 一种化妆粉容器
CN108433326B (zh) 一种拉拔式口红包装管
KR200452750Y1 (ko) 화장용 솔
CN215603755U (zh) 一种化妆笔及中节连接机构
CN213550249U (zh) 一种直液式液体眉笔
CN220212224U (zh) 棒状化妆品的中束芯及具有该中束芯的收纳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