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2910A - 1,3,4-옥사디아졸 유도체 및 당뇨병의 치료를 위한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1,3,4-옥사디아졸 유도체 및 당뇨병의 치료를 위한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2910A
KR20110102910A KR1020117016778A KR20117016778A KR20110102910A KR 20110102910 A KR20110102910 A KR 20110102910A KR 1020117016778 A KR1020117016778 A KR 1020117016778A KR 20117016778 A KR20117016778 A KR 20117016778A KR 20110102910 A KR20110102910 A KR 20110102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oxadiazole
carboxamido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6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앨런 마틴 버치
샤르미스타 팔
안나 페터젠
게리 피터 톰킨슨
Original Assignee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filed Critical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Publication of KR20110102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9/00Refuelling during f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45Oxa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1/101,3,4-Oxadiazoles; Hydrogenated 1,3,4-oxadiazoles
    • C07D271/1131,3,4-Oxadiazoles; Hydrogenated 1,3,4-oxadiazoles with oxygen, sulfur or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the nitrogen atoms not forming part of a nitro radical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DGAT-1 억제제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약학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예컨대 비만의 치료에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72
   
식 중, n은 0, 1, 2 또는 3이고, R은 독립적으로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트리플루오로메틸, 메톡시, 디플루오로메톡시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에서 선택되며, Z는 카르복시 또는 이의 유사체 또는 생동등체(bioisostere), 히드록실, 히드록시메틸 또는 -CONRbRc인데, 여기서, Rb 및 Rc는 독립적으로 수소 및 (1-4C)알킬에서 선택되고, 상기 (1-4C)알킬 기는 임의로 카르복시 또는 이의 유사체 또는 생동등체에 의하여 치환될 수 있다.

Description

1,3,4-옥사디아졸 유도체 및 당뇨병의 치료를 위한 이의 용도{1,3,4-OXADIAZOLE DERIVATIVES AND THEIR USES TO TREAT DIABETES}
본 발명은 아세틸 CoA(아세틸 조효소 A):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DGAT1)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이것을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DGAT1 활성과 관련된 질병 상태의 치료를 위한 방법, 약제로서의 이의 용도 및 인간과 같은 온혈 동물에서 DGAT1의 억제에 사용되는 약제의 제조에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인간과 같은 온혈 동물에서 II형 당뇨병, 인슐린 내성, 내당 장애 및 비만의 치료에 유용한 화합물, 더 구체적으로, 인간과 같은 온혈 동물에서 II형 당뇨병, 인슐린 내성, 내당 장애 및 비만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서 이들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아실 CoA: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DGAT)는 세포의 미세소체 분획에서 발견된다. 이는 디아실글리세롤과 지방 아실 CoA의 결합을 촉진시킴으로써 세포 내 트리글리세리드 합성의 주 경로인 것으로 고려되는 글리세롤 포스페이트 경로에서 최종 반응을 촉매하여 트리글리세리드를 형성시킨다. DGAT가 트리글리세리드 합성에서 속도를 제한하는 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이러한 유형의 분자를 생성할 경로 내 유일한 단계를 촉매한다[Lehner & Kuksis (1996) Biosynthesis of triacylglycerols. Prog. Lipid Res. 35: 169-201].
두 가지 DGAT 유전자가 클로닝되고 특성화되었다. 코딩된 단백질들은 서열 상동성을 공유하고 있지는 않지만, 이들 둘 다 동일한 반응을 촉매한다. DGAT1 유전자는 아실 CoA:콜레스테롤 아실트랜스퍼라제(ACAT)와 유사하기 때문에 서열 데이터베이스 서치로부터 동정하였다[Cases et al (1998) Identification of a gene encoding an acyl CoA: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a key enzyme in triacylglycerol synthesis. Proc. Natl. Acad. Sci. USA 95: 13018-13023]. DGAT1 활성은 지방 세포를 비롯하여 많은 포유류 조직에서 발견되었다.
기존에는 분자 프로브가 없었기 때문에, DGAT1의 조절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DGAT1은 지방 세포 분화 동안에 상당히 상향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자 녹아웃 마우스 연구는 DGAT1 활성의 조절 인자가 II형 당뇨병 및 비만의 치료에 유용할 것임을 시사하였다. DGAT1 녹아웃(Dgat1 -/- ) 마우스는, 정상적인 공복시 혈청 트리글리세리드 수치와 정상적인 지방 세포 조직 조성으로 입증된 바와 같이, 실행 가능하고, 트리글리세리드를 합성할 수 있다. Dgat1 -/- 마우스는 베이스라인의 야생형 마우스보다 지방 세포 조직을 덜 가지며, 음식 유발 비만에 대해 내성이다. 대사율은 상식(regular diet) 및 고지방식에 대해서 Dgat1 -/- 마우스가 야생형 마우스보다 ~20% 더 높다[Smith et al (2000) Obesity resistance and multiple mechanisms of triglyceride synthesis in mice lacking DGAT. Nature Genetics 25: 87-90]. Dgat1 -/- 마우스의 증가된 물리적 활성은 부분적으로 그 증가된 에너지 소비에 기인한다. 또한, Dgat1 -/- 마우스는 인슐린 민감도 증가 및 글루코스 이용률의 20% 증가를 나타낸다. 렙틴 수치는 체지방 50% 감소와 더불어 Dgat1 -/- 마우스에게서 50% 감소된다.
Dgat1 -/- 마우스를 ob/ob 마우스와 교배시키면, 이들 마우스는 ob/ob 표현형을 나타내는데[Chen et al (2002) Increased insulin and leptin sensitivity in mice lacking acyl CoA: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J. Clin. Invest. 109: 1049-1055], 이는 Dgat1 -/- 표현형이 온전한 렙틴 경로를 요구함을 시사한다. Dgat1 -/- 마우스를 Agouti 마우스와 교배시키면, 야생형, agouti 또는 ob/ob/ Dgat1 -/- 마우스와 비교하였을 때, 글루코스 수치는 정상이고, 인슐린 수치는 70% 감소함과 더불어, 체중 감소를 나타낸다.
Dgat1 -/- 마우스로부터의 지방 세포 조직을 야생형 마우스에게 이식하면, 이러한 마우스에게서 음식 유발 비만에 대한 내성이 생기고, 글루코스 대사가 개선된다[Chen et al (2003) Obesity resistance and enhanced glucose metabolism in mice transplanted with white adipose tissue lacking acyl CoA: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J. Clin. Invest. 111: 1715-1722].
국제 특허 출원 WO 2006/064189호에는 DGAT-1을 억제하는 특정한 옥사디아졸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목적하는 성질, 예를 들면 약동학/약력학 및/또는 물리화학적 및/또는 독성학적 프로파일 및/또는 DGAT1에 대한 선택 활성을 가진 더 이상의 DGAT-1 억제제에 대한 필요성은 남아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식 중, n은 0, 1, 2 또는 3이고, R은 독립적으로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트리플루오로메틸, 메톡시, 디플루오로메톡시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에서 선택되며, Z는 카르복시 또는 이의 유사체 또는 생동등체(bioisostere), 히드록실, 히드록시메틸 또는 -CONRbRc인데, 여기서, Rb 및 Rc는 독립적으로 수소 및 (1-4C)알킬에서 선택되고, 상기 (1-4C)알킬 기는 임의로 카르복시 또는 이의 유사체 또는 생동등체에 의하여 치환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카르복실산 유사체 또는 생동등체도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카르복실산 유사체 또는 생동등체는 문헌[The Practice of Medicinal Chemistry, Wermuth C.G. Ed.: Academic Press: New York, 1996, p203]에 개시된 바와 같은 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의 구체적인 예는 -SO3H, -S(O)2NHR13, S(O)2NHC(O)R13, -CH2S(O)2R13, -C(O)NHS(O)2R13, -C(O)NHOH, -C(O)NHCN, -CH(CF3)OH, C(CF3)2OH, -P(O)(OH)2 및 하기 화학식 (a)-(i')의 기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식 중, p는 1 또는 2이고, R27 및 R28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1-6C)알콕시, 티올, (1-6C)알킬티오, -C(O)R29, -S(O)R30, -SO2R31, -NR32R33, -NHCN, 할로겐 및 트리할로메틸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R29, R30 및 R31은 -OR34, (1-6C)알킬, -NR32R33 또는 트리할로메틸이고, R32 및 R33은 독립적으로 수소, (1-6C)알킬, -SO2R34 및 -COR35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R35는 (1-6C)알킬 또는 트리할로메틸이고, R34는 수소, (1-6C)알킬 또는 트리할로메틸이며 R13은 수소, (1-6C)알킬, 히드록시, 할로, 아미노, 시아노, ((1-3C)알킬)CONH, 카르복시, (1-6C)알콕시, (1-6C)알콕시카르보닐, 카르바모일, N-((1-6C)알킬)카르바모일, 할로((1-6C)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와 같은), (1-6C)알킬설포닐 또는 (1-6C)알킬설피닐에서 선택된다. R27 또는 R28의 구체적인 예는 히드록시이다.
카르복실산 유사체 또는 생동등체의 추가의 구체적인 예는 이하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05
구체적인 카르복실산 유사체 또는 생동등체는 화학식 (b)의 테트라졸기 및 -C(O)NHS(O)2Me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킬"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다면 직쇄 및 분지쇄 알킬기를 모두 포함하며, "프로필"과 같은 개별 알킬기에 대한 언급은 직쇄형만을 특정한다. 유사한 관례가 다른 일반 용어에 적용된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다면, "알킬"은 유리하게는 1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 적절하게는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사슬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콕시"는 산소 원자에 연결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기를 의미한다.
선형 (1-3C)알킬에 대한 특정예는 메틸, 에틸 및 프로필을 포함하며; (1-4C)알킬에 대한 특정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을 포함하고; (2-3C)알케닐에 대한 특정예는 에테닐; (2-3C)알키닐에 대한 특정예는 에티닐; (1-2C)알콕시에 대한 특정예는 메톡시 및 에톡시를 포함하며; (1-6C)알콕시 및 (1-4C)알콕시에 대한 특정예는 메톡시, 에톡시 및 프로폭시를 포함한다.
3 개 이하의 플루오로 원자로 임의 치환될 수 있는 선형 (1-3C)알킬, (1-2C)알콕시, (1-4C)알킬 또는 (1-4C)알콕시 기내 임의의 탄소 원자에 대한 특정예는 예컨대, 트리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톡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톡시와 같은 기를 포함한다.
불명료함을 피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기가 '상기 정의된' 또는 '위에서 정의된'으로 수식된 경우, 상기 기는 먼저 정의된 가장 넓은 정의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그 기에 대한 특정한 정의 각각 및 모두를 포함한다.
다른 곳에서 언급되지 않은 경우, 특정 기에 대한 적절한 임의의 치환기는 본 명세서에서 유사한 기에 대해 언급된 바와 같은 것들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안정한 산 염 또는 염기 염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화합물을 염으로서 투여하는 것이 적당할 수 있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후술되는 것과 같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적절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또한 산 부가 염, 예컨대 메탄술포네이트, 토실레이트, α-글리세로포스페이트, 푸마르산염, 염산염, 시트르산염, 말레산염, 타르타르산염 및 (덜 바람직하지만) 브롬산염을 포함한다. 또한, 인산 및 황산으로 형성된 염도 적절하다. 다른 양태에서, 적절한 염은 염기 염, 예컨대 I족(알칼리 금속) 염, II족(알칼리토) 금속 염, 유기 아민 염,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 모르폴린, N-메틸피페리딘, N-에틸피페리딘, 프로카인, 디벤질아민, N,N-디벤질에틸아민,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아민, N-메틸 d-글루카민 및 아미노산, 예컨대 리신이다. 하전된 작용기의 수 및 양이온 또는 음이온의 원자가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양이온 또는 음이온이 존재할 수 있다.
적절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또한 예컨대 문헌[Berge et al. (J. Pharm. Sci., 1977, 66, 1-19) 및/또는 Handbook of Pharmaceutical Salts: Properties, Selection and Use by Stahl and Wermuth (Wiley-VCH, 2002)]에 언급된 것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제조 동안 염의 단리를 촉진하기 위하여, 약학적으로 허용되든 아니든, 선택된 용매에 덜 가용성인 염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본 발명 내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호변이성질 현상을 나타낼 수 있고, 본 명세서 내 화학식은 가능한 호변이성질체 중 단 하나만을 나타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DGAT1 활성을 억제하는 임의의 호변이성질체를 포함하며, 화학식에 사용된 임의의 한 가지 호변이성질체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특정 원자의 동위 원소, 예컨대, 수소 원자 대신 중수소 원자가 포함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프로드러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도 제공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프로드러그 및 이의 염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다양한 형태의 프로드러그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프로드러그 유도체의 예에 대해서 다음 문헌들을 참조할 수 있다:
a) 문헌[Design of Prodrugs, edited by H. Bundgaard, (Elsevier, 1985) and Methods in Enzymology, Vol. 42, p. 309-396, edited by K. Widder, et al. (Academic Press, 1985)];
b) 문헌[A Textbook of Drug Design and Development, edited by Krogsgaard-Larsen and H. Bundgaard, Chapter 5 "Design and Application of Prodrugs", by H. Bundgaard p. 113-191 (1991)];
c) 문헌[H. Bundgaard,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8, 1-38 (1992)];
d) 문헌[H. Bundgaard, et al.,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77, 285 (1988)]; 및
e) 문헌[N. Kakeya, et al., Chem Pharm Bull, 32, 692 (1984)].
그러한 프로드러그의 예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체내 개열 가능한 에스테르이다. 카르복시기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체내 개열 가능한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인간 또는 동물 체내에서 개열되어 모체 산을 생성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에스테르이다. 카르복시에 대한 적절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에스테르는 (1-6C)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틸 또는 에틸; (1-6C)알콕시메틸 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톡시메틸; (1-6C)알카노일옥시메틸 에스테르, 예를 들면 피발로일옥시메틸; 프탈리딜 에스테르; (3-8C)시클로알콕시카르보닐옥시(1-6C)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1-시클로헥실카르보닐옥시에틸; 1,3-디옥솔란-2-일메틸 에스테르, 예를 들면 5-메틸-1,3-디옥솔란-2-일메틸; (1-6C)알콕시카르보닐옥시에틸 에스테르, 예를 들면 1-메톡시카르보닐옥시에틸; 아미노카르보닐메틸 에스테르 및 이의 모노 또는 디-N-((1-6C)알킬) 형, 예를 들면 N,N-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 에스테르 및 N-에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 에스테르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화합물 내 임의의 카르복시기에 형성될 수 있다.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체내 개열 가능한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인간 또는 동물 체내에서 개열되어 모체 히드록시기를 생성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에스테르이다. 히드록시에 대한 적절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에스테르는 (1-6C)알카노일 에스테르, 예를 들면 아세틸 에스테르; 및 페닐기가 아미노메틸 또는 N-치환 모노 또는 디-(1-6C)알킬 아미노메틸로 치환될 수도 있는 벤조일 에스테르, 예를 들면 4-아미노메틸벤조일 에스테르 및 4-N,N-디메틸아미노메틸벤조일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특정한 프로드러그는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카르복실산의 (1-4C)알킬 에스테르이다.
당업자라면, 화학식 (I)의 특정한 화합물이 비대칭적으로 치환된 탄소 및/또는 황 원자를 함유하며, 따라서 광학 활성 형태 및 라세미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단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화학식 (I)의 일부 화합물은 동질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DGAT1 활성을 억제하는 데 유용한 성질을 보유한 임의의 라세미 형태, 광학 활성 형태, 동질이상 또는 입체이성질 형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광학 활성 형태의 제조 방법(예를 들면, 재결정 기술에 의한 라세미 형태의 분해, 광학 활성 출발 물질로부터의 합성, 키랄 합성, 효소 분해, 생체전환 또는 키랄 고정상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및 후술되는 표준 테스트에 의해 DGAT1 활성의 억제에 대한 효능을 측정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화학식 (I)의 특정한 화합물 및 이의 염은 용매화 형태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수화 형태와 같은 비용매화 형태로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DGAT1 활성을 억제하는 모든 그러한 용매화 형태를 포함함을 이해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양호한 DGAT1 억제 활성을 가진 다양한 화합물들을 발견하였다. 이들은 대체로 양호한 물성 및/또는 약동학적 성질을 가진다. 하기 화합물들은 특히 바람직한 특성, 예컨대 약동학적/약력학적 및/또는 독성학적 프로필 및/또는 DGAT1에 대한 선택적 활성을 보유한다.
한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정의된 플루오로기 및 정의된 Z (예컨대, 카르복시) 기 (또는 이의 적절한 치환기)를 함유하는 페닐 고리는 서로에 관해 시클로헥실 고리에 걸쳐서 시스 배열 또는 트랜스 배열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적절할 경우, 본 발명은 시스 이성질체와 트랜스 이성질체 둘 다 포함한다. 그러한 이성질체의 분리 기술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한 양태에서는, 정의된 플루오로기 및 정의된 카르복시기를 함유하는 페닐 고리가 시클로헥실 고리에 걸쳐서 시스 배열되어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을 제공한다(변수는 상기 또는 하기 정의되는 바와 같음):
Figure pct00006
따라서, 다른 양태에서는, 정의된 플루오로기 및 정의된 카르복시기를 함유하는 페닐 고리가 시클로헥실 고리에 걸쳐서 트랜스 배열되어 하기 화학식 (I)B의 화합물을 제공한다(변수는 상기 또는 하기 정의되는 바와 같음):
Figure pct00007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한 상기 또는 하기 언급은 화학식 (IA) 및 (IB)의 화합물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화학식 (I), (IA) 및 (IB)의 화합물이 제공되며, 대안의 구체예에서, 화학식 (I), (IA) 및 (IB)의 화합물의 염, 특히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화학식 (I), (IA) 및 (IB)의 화합물의 프로드러그, 특히 생체내 개열 가능한 에스테르가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화학식 (I), (IA) 및 (IB)의 화합물의 프로드러그의 염, 특히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화학식 (I), (IA) 및 (IB)의 화합물 내 치환기의 특정 변수는 다음과 같다(그러한 변수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또는 하기 정의된 다른 변수, 정의, 청구항 또는 구체예 중 임의의 것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음)...
(a) n은 1, 2 또는 3;
(b) n은 2 또는 3;
(c) n은 2;
(d) n은 3;
(e) R은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
(f) R은 플루오로;
(g) n은 2 또는 3, R은 플루오로
(h) n은 1, R은 트리플로로메틸;
(i) n은 1, R은 디플로로메톡시;
(j) n은 1, R은 트리플로로메톡시;
(k) Z는 카르복시.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이하의 화학식(IC)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하며, 여기서 n은 2 또는 3이고 R은 독립적으로 플루오로, 클로로, 트리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톡시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에서 선택된다.
Figure pct00008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 또는 (IC)의 화합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n은 2 또는 3이고 R은 독립적으로 플루오로, 클로로, 트리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톡시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에서 선택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 또는 (IC)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하며, 여기서 n은 2 또는 3이고 R은 플루오로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n은 2 또는 3이고 R은 플루오로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9
식 중, n은 2 또는 3이고 R은 플루오로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B)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10
식 중, n은 2 또는 3이고 R은 플루오로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정 화합물은 실시예 각각이며 이들 각각은 본 발명의 추가의 독립적 양태를 제공한다.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실시예의 임의의 특정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예컨대, 나트륨, 마그네슘, tert-부틸암모늄, 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암모늄, 트리에탄올암모늄, 디에탄올암모늄, 에탄올암모늄, 메틸에탄올암모늄, 디에틸암모늄 또는 니코틴아미드 염과 같은)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은 화학적 관련 화합물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는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제조에 사용될 때,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으로서 제공된다.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이 이하의 공정, 실시예의 공정 및 유사 공정(여기서 모든 변수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하여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고 이후 필요할 경우 임의의 보호기를 제거 및/또는 적절한 염을 형성할 수 있음을 제공한다. 임의의 규정된 카르복실산기는 적절하다면 이의 유사체 또는 생동등체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에 의하여 수득될 수 있는 화합물이 본 발명의 양태로서 포함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화학적 관련 화합물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는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제조에 사용될 때,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으로서 제공된다.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프로드러그가 다음과 같은 공정 a) 내지 c)(여기서 모든 변수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하여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시스 또는 트랜스 화합물은 적절한 중간체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상이한 Z기를 갖는 화합물은 적절한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음) 및 이후 필요할 경우, 임의의 보호기를 제거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프로드러그를 형성하는 공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음을 제공한다:
a)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다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공정;
b) 하기 화학식 (2)의 아민-에스테르와 하기 화학식 (3)의 카르복실레이트 염을 반응시킨 다음 (Rx = 메틸 또는 에틸일 경우 염기 가수분해를 이용하고 Rx = t-부틸일 경우 산 탈보호를 이용하여) 탈보호하는 공정;
Figure pct00011
식 중, Rx는, 예컨대, 메틸, 에틸 또는 t-부틸이다.
Figure pct00012
c)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의 고리화 공정:
Figure pct00013
여기서 Rx는 예컨대, 메틸, 에틸 또는 t-부틸.
본 명세서내 구조식 및 반응식에서, R 및 n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공정 a)
업계 숙련자에게 널리 공지된 화학식 (I)의 한 화합물을 화학식 (I)의 다른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예는 가수분해(특히 에스테르 가수분해)와 같은 작용기 상호전환, (산의 알콜로의 환원과 같은) 산화 또는 환원 또는 산의 아미드로의 전환 및/또는 표준 반응에 의한 추가의 작용기화를 포함한다.
공정 b)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하기 반응식 1 및 실시예에 예시된 바와 같은 업계에 잘 알려진 표준 합성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ct00014
키랄 중심을 갖거나 또는 시스/트랜스 이성질체와 같은 상이한 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은 적절할 경우 개개의 이성질체로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에서 적절한 화학양론량은 또한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재결정화와 같은 표준 절차에 의하여 소정 이성질체를 분리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재결정화는 반응식 1에 도시된 마지막 두 화합물 중 어느 것에 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재결정화를 돕기 위하여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히드로클로라이드 염과 같은) 염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에서 Rx기는 예컨대 KOH를 사용하여 가수분해로 제거될 수 있다.
화학식 (3)의 화합물은 공개된 절차(J. Het. Chem. 1977, 14, 1385-1388)를 이용하여 제조될 때 에스테르(3a)의 알칼리 가수분해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에스테르(3a)는 화학식 (4)의 화합물에 대하여 공정 c)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학식 (3b)의 화합물의 결정화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Figure pct00015
화학식 (3a)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별법을 이하에 예시한다:
Figure pct00016
화학식 (2)의 화합물은 아미드 결합의 형성을 위한 표준 조건하에서 화학식 (3)의 화합물과 커플링될 수 있다. 실온에서 DCM, 클로로포름 또는 DMF와 같은 적절한 용매 중에서 DMAP의 존재하에 예컨대 EDAC로 수행되는 카르보디이미드 커플링 반응과 같은 적절한 커플링 반응을 이용한다.
공정 c)
X가 S인 화학식 (4) 및 (3b)의 화합물은 0∼100℃의 온도에서 DMF 또는 MeCN과 같은 적당한 용매 중에서 아미노카르보닐 아실히드라진 또는 에톡시카르보닐 아실히드라진과 티오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아미노티오카르보닐 이미다졸과 같은 티오이소시아네이트 등가물의 반응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아닐린으로부터 아미노카르보닐 아실히드라진 및 에톡시카르보닐 아실히드라진의 제조는 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예컨대 피리딘의 존재하에 DCM과 같은 적당한 용매 중에서 아닐린을 메틸 클로로옥소아세테이트과 반응시킨 다음 0∼100℃의 온도에서 에탄올과 같은 적당한 용매 중에서 히드라진과 반응시킨다.
이후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예컨대 카르보닐디이미다졸 또는 염화토실 및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적당한 염기를 사용하여 업계에 공지된 조건 하에서 고리화할 수 있다.
화학식 (4) 및 (3b)(여기서, X는 O)의 화합물은 적절한 이소시아네이트의 유사한 사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공정 c)의 예는 반응식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7
키랄 중심을 갖거나 상이한 시스/트랜스 이성질체와 같은 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반응식 2의 화합물은 적절할 경우 개별 이성질체로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에서 Ry기는 적절한 탈보호 기술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이소(티오)시아네이트 R1-NCX(여기서, X는 O 또는 S)는 시판되거나 산 염화물 R1-NH2와 예컨대 (티오)포스겐 또는 (티오)포스겐 등가물의 반응 및 이어서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적당한 염기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4)의 화합물은 화학식 (2)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내 다양한 고리 치환기 R 중 일부는 전술한 공정 전에 또는 그 직후에 통상의 작용기 변경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본 발명의 공정 양태에 포함됨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한 반응은 예컨대 하나의 Z기에서 다른 Z기로의 상호 전환과 같이 화학식 (I)의 한 화합물을 화학식 (I)의 다른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러한 절차를 위한 시약 및 반응 조건은 화학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다.
시중에서 입수할 수 없다면, 전술한 것과 같은 상기 절차에 필요한 출발 물질은 표준 유기 화학 기술 중에서 선택되는 절차, 공지된 구조적으로 유사한 화합물의 합성과 유사한 기술, 전술한 참조 문헌에 기재되거나 예시된 기술 또는 전술한 절차 또는 실시예에 기재된 절차와 유사한 기술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반응 조건 및 시약에 대한 일반 지침에 관해서는 문헌[Advanced Organic Chemistry, 5th Edition, by Jerry March and Michael Smith, published by John Wiley & Sons 2001]을 더 참조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한 일부 중간체 또한 신규하며, 이들은 본 발명의 별개의 독립적인 양태로서 제공됨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반응 중 일부에서, 화합물 내 임의의 민감성 기를 보호할 것이 필요/요망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보호가 필요하거나 요망되는 경우는 그러한 보호에 적절한 방법이 알려진 바와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통상의 보호기는 표준 관행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실례로서, 문헌[T.W. Greene,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and Sons, 1991] 참조).
보호기는 해당 보호기의 제거를 위해 필요에 따라서 문헌에 기재되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편리한 방법에 의해 제거할 수 있으며, 그러한 방법은 그 분자 내 다른 곳의 기들을 최소한으로 간섭하면서 상기 보호기 제거를 실시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반응물이, 예를 들면 아미노, 카르복시 또는 히드록시와 같은 기들을 포함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반응의 일부 중에서 상기 기를 보호하는 것이 요망될 수 있다.
히드록시기에 적절한 보호기의 예는, 아실기, 예컨대 아세틸과 같은 알카노일기, 아로일기, 예를 들면 벤조일, 트리메틸실릴과 같은 실릴기 또는 아릴메틸기, 예를 들면 벤질이다. 상기 보호기를 위한 탈보호 조건은 보호기의 선택에 따라 불가피하게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알카노일기 또는 아로일기와 같은 아실기는, 예컨대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예를 들면 수산화리튬 또는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적절한 염기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대안으로, 트리메틸실릴 또는 SEM과 같은 실릴기는, 예를 들면 불화물 또는 수성 산에 의해서 제거할 수 있으며, 또는 벤질기와 같은 아릴메틸기는, 예를 들면 탄소상 팔라듐과 같은 촉매의 존재 하에 수소화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아미노기에 대한 적절한 보호기의 예로는 아실기, 예를 들면 알카노일기, 예컨대 아세틸, 알콕시카르보닐기, 예를 들면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또는 tert-부톡시카르보닐기, 아릴메톡시카르보닐기, 예를 들면 벤질옥시카르보닐, 또는 아로일기, 예를 들면 벤조일이 있다. 상기 보호기를 위한 탈보호 조건은 보호기의 선택에 따라 불가피하게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알카노일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아로일기와 같은 아실기는, 예컨대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예를 들면 수산화리튬 또는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적절한 염기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대안으로, t-부톡시카르보닐기와 같은 아실기는, 예를 들면 염산, 황산 또는 인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고, 벤질옥시카르보닐기와 같은 아릴메톡시카르보닐기는, 예를 들면 탄소상 팔라듐과 같은 촉매 상에서 수소화하거나, 또는 루이스산, 예를 들면 트리스(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붕소로 처리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1차 아미노기에 대한 적절한 대안의 보호기는, 예를 들면 프탈로일기인데, 이는 알킬아민, 예를 들면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또는 2-히드록시에틸아민으로 처리하거나, 히드라진으로 처리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카르복시기에 대한 적절한 보호기의 예로는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염기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는 에스테르화 기, 예를 들면 메틸 또는 에틸기; 또는 산,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으로 처리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는 t-부틸기; 또는 탄소상 팔라듐과 같은 촉매 상에서 수소화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는 벤질기를 들 수 있다.
수지도 보호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보호기는 화학 분야에 널리 알려진 통상의 기술을 사용하여 합성 중의 임의의 편리한 단계에서 제거할 수 있거나, 이들은 후속 반응 단계 또는 워크업 단계 중에 제거할 수 있다.
숙련된 유기 화학자라면, 필요한 출발 물질과 생성물을 얻기 위하여 상기 참조 문헌들, 그리고 그 문헌들에 첨부된 실시예들 및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에 포함되고 언급된 정보를 사용하고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임의의 보호기의 제거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성은 표준 기술을 사용하는 통상의 유기 화학 기술 내에 있다. 더욱이, 이러한 단계에 대한 상세는 앞에서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광학 활성 형태가 요구되는 경우, 이는 (예를 들면, 적절한 반응 단계의 비대칭 유도에 의하여 형성된) 광학 활성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상기 절차 중 하나를 수행하거나, 또는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화합물 또는 중간체의 라세미 형태를 분해하거나, 또는 부분 입체 이성질체(생성된다면)를 크로마토그래피 분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효소 기술도 광학 활성 화합물 및/또는 중간체의 제조에 유용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화합물의 순수한 위치 이성질체가 요구되는 경우, 이는 출발 물질로서 순수한 위치 이성질체를 사용하여 상기 절차 중 하나를 수행하거나, 또는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위치 이성질체 또는 중간체의 혼합물을 분해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IA) 또는 (IB) 또는 (IC)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용(예컨대, 정제, 로젠지, 경질 또는 연질 캡슐,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에멀션, 분산 가능한 분말 또는 과립, 시럽 또는 엘릭서), 국소용(예컨대, 크림, 연고, 겔, 또는 수성 또는 유성 용액 또는 현탁액), 흡입 투여용(예컨대, 미분말 또는 액상 에어로졸), 통기 투여용(예컨대, 미분말) 또는 비경구 투여용(예컨대, 정맥내, 피하, 근육내 또는 근육내 투여를 위한 멸균 수성 또는 유성 용액 또는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으로 적절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통상의 약학 부형제를 사용하여 용이한 절차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경구용으로 의도된 조성물은, 예를 들면 1 이상의 착색제, 감미제, 향미제 및/또는 방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 제형에 적절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예로는 비활성 희석제, 예컨대 락토스, 탄산나트륨, 인산나트륨 또는 탄산칼슘; 과립화제 및 붕해제, 예컨대 옥수수 전분 또는 알겐산; 결합제, 예컨대 전분; 활택제, 예컨대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또는 탈크; 방부제, 예컨대 에틸 또는 페닐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및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이 있다. 정제 제형은 위장관 내에서 활성 성분의 붕해에 이은 흡수를 조절하거나, 그 안정성 및/또는 외관을 개선하기 위하여, 어떤 경우에서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통상의 코팅 제제 및 절차를 사용하여 코팅하거나 코팅하지 않을 수 있다.
경구용 조성물은 활성 성분을 비활성 고상 희석제, 예를 들면 탄산칼슘, 인산칼슘 또는 카올린과 혼합한 경질 젤라틴 캡슐 형태이거나, 활성 성분을 물 또는 오일, 예컨대 낙화생유, 유동 파라핀 또는 올리브유와 혼합한 연질 젤라틴 캡슐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성 현탁액은 1 이상의 현탁제, 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알긴산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트라가칸트 검 및 아카시아 검; 분산 또는 습윤제, 예컨대 레시틴 또는 알킬렌 옥시드와 지방산의 축합 생성물(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또는 에틸렌 옥시드와 장쇄 지방 알코올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면 헵타데카에틸렌옥시세탄올, 또는 에틸렌 옥시드와 지방산 및 헥시톨로부터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와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모노올레에이트, 또는 에틸렌 옥시드와 장쇄 지방 알코올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면 헵타데카에틸렌옥시세탄올, 또는 에틸렌 옥시드와 지방산 및 헥시톨로부터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모노올레에이트, 또는 에틸렌 옥시드와 지방산 및 헤시톨 무수물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와 함께 미분 형태로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수성 현탁액은 또한, 1 이상의 방부제(예컨대, 에틸 또는 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항산화제(예컨대, 아스코르브산), 착색제, 향미제 및/또는 감미제(예컨대, 수크로스, 사카린 또는 아스파르탐)를 함유할 수 있다.
유성 현탁액은 활성 성분을 식물유(예컨대, 낙화생유, 올리브유, 참깨유 또는 코코넛유) 또는 광유(예컨대, 유동 파라핀) 중에 현탁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유성 현탁액은 또한 농후제, 예컨대 밀랍, 경질 파라핀 또는 세틸 알코올을 함유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은 감미제와 향미제를 첨가하여 가미된 경구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를 첨가하여 보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첨에 의한 수성 현탁액의 제조에 적절한 분산 가능한 분말 및 과립은 활성 성분을 분산 또는 습윤제, 현탁제 및 1 이상의 방부제와 함께 함유한다. 적절한 분산 또는 습윤제와 현탁제는 앞에서 이미 언급한 것들을 예로 들 수 있다. 감미제, 향미제 및 착색제와 같은 추가의 부형제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수중유 에멀션 형태일 수 있다. 유상은 식물유, 예컨대 올리브유 또는 낙화생유, 광유, 예컨대 유동 파라핀 또는 이들 중 임의의 것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절한 유화제의 예로는 천연 검, 예컨대 아카시아 검, 트라가칸트 검, 천연 포스파티드, 예컨대 대두유, 레시틴,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도된 에스테르 또는 부분 에스테르(예를 들면,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및 상기 부분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시드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를 들 수 있다. 에멀션은 또한 감미제, 향미제 및 방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시럽 및 엘릭서는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소르비톨, 아스파르탐 또는 수크로스와 같은 감미제로 조제할 수 있으며, 또한 완화제, 방부제, 향미제 및/또는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약학 조성물은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적절한 분산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공지된 절차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멸균 주사용 제제는 무독성의 비경구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액 또는 용매 중의 멸균 주사용 용액 또는 현탁액, 예를 들면 1,3-부탄디올 중의 용액일 수 있다.
흡입 투여용 조성물은 미분 고체 또는 액적을 함유하는 에어로졸로서 활성 성분을 분배하도록 마련된 통상의 가압 에어로졸 형태일 수 있다. 휘발성 플루오르화 탄화수소 또는 탄화수소와 같은 통상의 에어로졸 추진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장치는 계량된 양의 활성 성분을 분배하도록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예컨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예컨대 다음과 같이 나노현탁액(일반적으로 평균 입도 < 1 μm)으로서,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에어로졸 OT의 비히클 중에 조제될 수 있다:
일반적인 비히클 제조(예컨대 100 ml):
0.67 g의 폴리비닐피롤리돈(Kollidon 25 등급, BASF사) 및 0.033 g의 에어로졸 OT-100(디옥틸설포숙신산나트륨, Cydex Industries사)을 100 ml의 용량 플라스크에 계량해 넣는다. 약 70 ml의 탈이온수를 첨가하고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플라스크를 초음파처리한다. 탈이온수로 부피를 맞추어 탈이온수 중 폴리비닐피롤리돈(0.67% w/v)/에어로졸 OT(0.033% w/v)을 함유하는 용액을 생성한다.
나노현탁액 제조:
현탁액 중 약물의 최종 농도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양의 화합물을 부피를 미리 표시한 적당한 용기에 계량해 넣는다.
소량의 비히클을 화합물에 첨가하고 혼합하여 화합물을 습식시키고 슬러리를 형성한다. 이후 비히클을 이용하여 슬러리 부피를 맞춘다.
이렇게 형성된 슬러리를 이후 800 rpm의 Fritsch P7 볼 마이크로밀에서 0.6∼0.8 mm 직경의 지르코니아 밀링 비드를 갖는 지르코니아 밀링 포트에서 비드 밀링한다. 밀링 시간은 보통 4 x 30분 밀링 실행을 하고 각 실행 사이에 15분 냉각 기간을 둔다. 밀링 후밀링 포크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나노현탁액을 비드로부터 분리한다.
제형에 관한 추가 정보에 대해서는 문헌[Chapter 25.2 in Volume 5 of Comprehensive Medicinal Chemistry (Corwin Hansch; Chairman of Editorial Board), Pergamon Press 1990]을 참조할 수 있다.
단일 제형을 제조하기 위해 1 종 이상의 부형제와 배합되는 활성 성분의 양은 치료되는 숙주 및 특정한 투여 경로에 따라 불가피하게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면, 인간에 대한 경구 투여용으로 의도된 제형은, 예를 들면 0.5 mg 내지 2 g의 활성 성분을 총 조성물의 약 5 내지 약 98 중량% 범위일 수 있는 적절하고 용이한 양의 부형제와 배합하여 함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위 제형은 약 1 mg 내지 약 500 mg의 활성 성분을 함유할 것이다. 투여 경로 및 투약 섭생에 관한 추가 정보에 대해서는 문헌[Chapter 25.3 in Volume 5 of Comprehensive Medicinal Chemistry (Corwin Hansch; Chairman of Editorial Board), Pergamon Press 1990]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인간 또는 동물 신체를 요법에 의해 치료하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IA) 및/또는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프로드러그가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DGAT1 활성을 억제하고, 따라서 혈당 저하 효과에 관심을 끌게 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은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IA) 및/또는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프로드러그이다.
편리하게 이것은 인간과 같은 온혈 동물에게서 DGAT1 활성 억제를 생성하기 (위한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IA) 및/또는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프로드러그이다.
특히 이것은 인간과 같은 온혈 동물에게서 당뇨병 및/또는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IA) 및/또는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프로드러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인간과 같은 온혈 동물에게서 DGAT1 활성 억제를 생성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화학식 (I), (IA) 및/또는 (IB)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프로드러그의 용도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인간과 같은 온혈 동물에게서 당뇨병 및/또는 비만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화학식 (I), (IA) 및/또는 (IB)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프로드러그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인간과 같은 온혈 동물에게서 DGAT1 활성 억제를 생성하는 데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IA) 또는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프로드러그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인간과 같은 온혈 동물에게서 당뇨병 및/또는 비만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IA) 또는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프로드러그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DGAT1 활성 억제의 치료가 필요한 인간과 같은 온혈 동물에게서 DGAT1 활성 억제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IA) 및/또는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프로드러그의 유효량을 상기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당뇨병 및/또는 비만의 치료가 필요한 인간과 같은 온혈 동물에게서 당뇨병 및/또는 비만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IA) 및/또는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프로드러그의 유효량을 상기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질환 상태의 치료 또는 예방에 요구되는 투여량의 규모는 치료되는 숙주, 투여 경로 및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불가피하게 달라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mg/kg 범위의 1 일 투여량이 사용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1 일 투여량은 0.01∼50 mg/kg, 특히 0.01∼10 mg/kg, 0.01∼1 mg/kg 또는 0.01∼0.1 mg/kg 범위이다. 그러나, 1 일 투여량은 치료되는 숙주, 특정 투여 경로 및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불가피하게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최적의 투여량은 임의의 특정 환자를 치료하는 담당의가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정의된 화합물은 DGAT1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그 능력에 관심이 모아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뇨병, 보다 구체적으로는 2형 당뇨병(T2DM) 및 그로부터 생기는 합병증(예를 들면, 망막병증, 신경병증 및 신장병증), 내당능 장애(IGT), 공복 혈당 부전의 병태, 대사산증, 케톤증, 대사 이상 증후군, 관절염, 골다공증, 비만, 비만 관련 장애(말초 혈관 질환(예컨대, 간헐성 파행), 심부전 및 심근병증, 심근 허혈, 대뇌 허혈 및 재관류, 고지혈증, 죽상 경화증, 불임증 및 다낭성 난소 증후군)를 비롯한 다양한 질환 상태의 예방, 지연 또는 치료에 유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근육 쇠약, 여드름과 같은 피부 질환, 다양한 면역 조절 질환(예컨대, 건선), HIV 감염, 염증성 장 증후군 및 염증성 장 질환, 예컨대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에 유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뇨병 및/또는 비만 및/또는 비만 관련 장애의 예방, 지연 또는 치료에 대해 관심을 끌고 있다. 한 가지 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뇨병의 예방, 지연 또는 치료에 사용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만의 예방, 지연 또는 치료에 사용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만 관련 장애의 예방, 지연 또는 치료에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DGAT1 활성의 억제는 단독 요법으로서, 또는 치료하고자 하는 징후를 위한 하나 이상의 다른 물질 및/또는 치료와 병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그러한 병용 치료는 치료의 개별 구성 요소의 동시, 연속 또는 별개 투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동시 치료는 단일 정제 또는 개별 정제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러한 병용 치료는 대사 증후군[복부 비만(인종 및 성별 특이적인 커트 포인트에 대한 허리 둘레로 측정함)과 다음 중 두 항목으로 정의함: 고중성지방혈증(>150 mg/dl; 1.7 mmol/l); 저 HDLc(남성의 경우 <40 mg/dl 또는 <1.03 mmol/l 및 여성의 경우 <50 mg/dl 또는 1.29 mmol/l) 또는 저 HDL 치료 중(고밀도 지단백); 고혈압(SBP ≥130 mmHg, DBP ≥85 mmHg) 또는 고혈압 치료 중; 및 고혈당증(공복 혈장 당 ≥100 mg/dl 또는 5.6 mmol/l 또는 내당능 장애 또는 기존의 당뇨병) - 국제 당뇨병 협회 및 IAS/NCEP로부터의 인풋]의 치료에 유리할 수 있다.
그러한 병용 치료는 다음 주요 카테고리 1) 내지 13)을 포함할 수 있다:
1) 항비만 요법, 예컨대 음식물 섭취, 영양분 흡수 또는 에너지 소비에 의해 체중 감량을 유발하는 것, 예를 들어 오를리스타트, 시부트라민 등.
2) 인슐린 분비 촉진제, 예컨대 술포닐우레아(예를 들면, 글리벤클라미드, 글리피지드), 식중 당 조절제(prandial glucose regulator)(예를 들면, 레파글리니드, 나테글리니드).
3) 인크레틴 작용을 개선하는 제제(예를 들면, 디펩티딜 펩티다제 IV 억제제 및 GLP-1 작동제).
4) 인슐린 자극제(insulin sensitising agent), 예컨대 PPAR 감마 작동제(예를 들면, 피오글리타존 및 로시글리타존), 및 복합 PPAR 알파 및 감마 활성을 가진 제제.
5) 간의 당 균형을 조절하는 제제(예를 들면, 메타포르민, 프럭토스 1, 6 비스포스파타제 억제제, 글리코겐 포스포릴라제 억제제, 글리코겐 신타제 키나제 억제제, 글루코키나제 활성화제).
6) 장으로부터의 당 흡수를 줄이도록 고안된 제제(예를 들면, 아카르보스).
7) 신장에 의한 당 재흡수를 방지하는 제제(SGLT 억제제).
8) 지속된 고혈당증의 합병증을 치료하도록 고안된 제제(예를 들면, 알도스 리덕타제 억제제).
9) 항이상지질혈증제, 예컨대 HMG-CoA 리덕타제 억제제(예컨대, 스타틴류); PPAR α-작동제(피브레이트, 예컨대 겜피브로질), 담즙산 격리제(콜레스티라민);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제(식물성 스타놀류, 합성 억제제); 담즙산 흡수 억제제(IBATi) 및 니코틴산 및 유사체(니아신 및 저속 방출 제제).
10) 항고혈압제, 예를 들어 β-차단제(예컨대, 아테놀롤, 인데랄); ACE 억제제(예컨대, 리시노프릴); 칼슘 길항제(예컨대, 니페디핀);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제(예컨대, 칸데사르탄), α-길항제 및 이뇨제(예컨대, 푸로세미드, 벤즈티아지드).
11) 지혈 조절제, 예컨대 항혈전제, 섬유소 용해 억제제 및 항혈소판제; 트롬빈 길항제; 인자 Xa 억제제; 인자 VIIa 억제제; 항혈소판제(예컨대, 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항응고제(헤파린 및 저분자량 유사체, 히루딘) 및 와르파린.
12) 글루카곤의 작용을 길항하는 제제.
13) 항염증제, 예컨대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 약물(예컨대, 아스피린) 및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예컨대, 코르티손).
치료 약물에서의 그 용도 이외에도,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또한,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연구의 일부로서 고양이, 개, 토끼, 원숭이, 래트 및 마우스와 같은 실험실 동물에게서의 DGAT1 활성의 억제제 효과의 평가를 위한 시험관내 및 생체내 테스트 시스템의 개발 및 표준화에서 약리학적 도구로서도 유용하다.
상기의 다른 약학 조성물, 공정, 방법, 용도 및 의약 제조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화합물의 대안적 구체예 및 바람직한 구체예도 적용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다른, 특정의, 바람직한 구체예도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프로드러그에 적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화합물 및 이의 상응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DGAT1을 억제하는 데 유용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상응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 염의 DGAT1을 억제하는 능력은 하기 효소 분석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인간 효소 분석
예컨대, 국제 출원 WO 2005/044250호 참조.
DGAT1 억제제를 동정하기 위한 시험관내 분석은 효소원으로서 곤충 세포막에서 발현된 인간 DGAT1을 사용한다(Proc. Natl. Acad. Sci. 1998, 95, 13018-13023). 간단히 말하면, sf9 세포를, 인간 DGAT1 코딩 서열을 함유하는 재조합 바큘로바이러스로 감염시키고, 48 시간 후에 수확하였다. 세포를 초음파에 의해 용해시키고, 막을 28000 rpm에서 1 시간 동안 4℃에서 41% 수크로스 구배로 원심분리하여 단리하였다. 계면에서의 막 분획을 수집하고, 세척하였으며, 액체 질소 중에 저장하였다.
DGAT1 활성은 문헌[Coleman, Methods in Enzymology 1992, 209, 98-102]에 기재된 방법의 변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0.0000256 내지 33 μM(최종 농도)(일반적으로 10 μM)의 화합물을, 4 ㎍/ml(최종 농도) 막 단백질, 5 mM MgCl2 및 100 μM 1,2-디올레일-sn-글리세롤(10%의 아세톤의 최종 분석 농도로 아세톤에 용해됨)로 96 웰 플레이트 중의 200 ㎕의 총 분석 부피로 하여 항온 처리하였다. 반응은 14C 올레일 조효소 A(30μM 최종 농도)를 가하여 시작하였으며, 실온에서 30 분 동안 항온 처리하였다. 200 ㎕ 2-프로판올:헵탄 7:1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300 ㎕ 헵탄 및 100 ㎕ 0.1 M 탄산 완충액(pH 9.5)을 가하여 방사성 트리올레인 생성물을 유기상으로 분리하였다. 액체 신틸로그래피에 의해 상부 헵탄층의 분액을 계수하여 DGAT1 활성을 정량하였다.
이 분석을 사용하면, 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IC50 <10 μM, 바람직하게는 < 10 μM(즉, IC50 <10 μM), 바람직하게는 < 1 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μM, 특히, <0.05 μM, 더욱 특히, <0.01 μM을 나타낸다. 언급된 수치는 보통 표준 실시에 따른 다수의 측정(보통 2회 측정)의 평균이다.
실시예 1 내지 8은 각각 IC50 = 0.016 μM; 0.028 μM; 0.011 μM; 0.012 μM; 0.0055 μM; 0.0037 μM; 0.0092 μM 및 0.0047 μM을 나타내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상응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염의 DGAT1을 억제하는 능력은 하기 전세포 분석을 사용하여 더 입증될 수 있다.
HuTu 80 세포 내 트리글리세리드 합성의 측정
HuTu80 세포를 우태 혈청을 함유하는 필수 배지로 6 웰 플레이트에서 컨플루언스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배지를 무혈청 배지로 바꾸고, 세포를 DMSO에 용해시킨 화합물(최종 농도 0.1%)로 30 분 동안 예비 배앙하였다. 0.12 mM 올레산나트륨과 0.03 mM BSA에 복합체화된 1 μCi/mL 14C-올레산나트륨을 각각의 웰에 추가로 2 시간 동안 첨가함으로써 새로운 지방 형성을 측정하였다. 세포를 인산 완충 염수 중에서 세척하고, 1% 도데실 황산나트륨에 용해시켰다. 단백질 측정을 위하여 문헌(Lowry, J. Biol. Chem., 1951, 193, 265-275)의 방법에 기초한 단백질 평가 키트(Perbio)를 사용하여 분액을 제거하였다. 문헌(Coleman, Methods in Enzymology, 1992, 209, 98-104)의 방법에 따라서 지질을 헵탄:프로판-2-올:물(80:20:2) 혼합물, 이어서 물과 헵탄의 분액을 사용하여 지질을 유기상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수집하고, 용매를 질소 스트림 하에 증발시켰다. 문헌(Silversand and Haux, 1997)의 방법에 따라서 추출물을 이소헥산:아세트산(99:1)에 용해시키고, Lichrosper 디올-5, 4 x 250 mm 컬럼 및 이소헥산:아세트산(99:1) 및 이소헥산:프로판-2-올:아세트산(85:15:1)의 구배 용매 시스템, 1 mL/분의 유속을 사용하여 순상 고성능 액상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지질을 분리하였다. HPLC 장치에 연결된 Radiomatic Floone Detector(Packard)를 사용하여 트리글리세리드 분획으로 도입된 방사선 표지를 분석하였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예시된 화합물은 본 발명의 독특하고 독립적인 양태를 나타낸다. 하기 비한정 실시예에서, 달리 설명하지 않는 한:
(i) 증발은 감압 하에 회전 증발에 의해 수행하였고, 워크업 절차는 여과에 의해 건조제와 같은 잔류 고형분을 제거한 후에 수행하였다.
(ii) 조작은 18 내지 25℃ 범위의 실온과, 아르곤 또는 질소와 같은 비활성 기체의 분위기 하에서 수행하였다.
(iii) 수율은 단지 예시를 위해 제공할 뿐이고, 반드시 얻을 수 있는 최대치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iv) 화학식 (I)의 최종 생성물의 구조는 핵(일반적으로 양성자) 자기 공명(NMR) 및 질량 분광 기술에 의해 확인하였으며, 양성자 자기 공명 화하기 이동 값은 델타 스케일로 측정하였고, 피크 다중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s, 일중항; d, 이중항; t, 삼중항; m, 다중항; br, 브로드; q, 사중항; quin, 오중항.
(v) 중간체는 일반적으로 완전히 특성화하지 않았으며, 순도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고성능 액상 크로마토그래피(HPLC), 적외선(IR) 또는 NMR 분석에 의해 평가하였다.
(vi)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는 달리 설명하지 않는 한 실리카 상에서 수행하였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는 Biotage Silica 칼럼을 이용하는 Biotage SP1 또는 SP4 기기 상에서 실행하였다.
(vii) 질량 스펙트럼은 LC-Agilent 1100 LC 시스템을 사용하는 Waters ZQ로 이루어지는 ESI(LC-MS) 또는 LC-MS 시스템이 장착된 Finnigan LCQ Duo 이온 트랩 질량 분석기에서 기록하였다.
(viii) 1H NMR 측정은 300 및 400의 1H 진동수에서 작동하는 Varian Mercury VXR 300 및 400 분광계 및 각각 400, 500 및 600의 1H 진동수에서 작동하는 Varian UNITY plus 400, 500 및 600 분광계에서 실행하였다. 화학 이동은 내부 표준으로서 용매를 사용하여 ppm으로 주어진다. NH 및 OH 양성자와 같은 헤테로원자 상의 양성자는 오직 NMR에서 검출될 때 기록되므로 누락될 수 있다.
(ix) HPLC 분리는 Waters YMC-ODS AQS-3 120Å 3 x 500 mm 또는 Kromasil C8, 10 ㎛ 칼럼을 사용하는 Delta Prep Systems에서 수행하였다. 산성 HPLC는 이동상 A: 100% ACN 및 이동상 B: 5% ACN + 95% H2O + 0.2% FA 구배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중성 HPLC는 이동상 A: 100% ACN 및 이동상 B: 5% ACN + 95% 0.1 M NH4OAc 구배를이용하여 실시하였다.
(x) 마이크로파 오븐에서 수행되는 반응은 Biotage Initiator Instrument에서 실행되었다.
(xi) Struc=Name/CambridgeSoft ELN이 화합물의 명명에 사용되었다. ACDName; ACDLabs Name: Release 9:00, 제품 버전 9.04와 같은 다른 화합물 명명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같은 본 발명 화합물의 물리적 특성은 이하에 개시되는 기술들과 같은 다양한 기술로 측정될 수 있다.
X선 분말 회절
규소 단결정(SSC) 웨이퍼에 결정질 물질의 샘플을 놓고 현미경 슬라이드로 보조하여 샘플을 박층에 확산시킴으로써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샘플을 (통계 계측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분당 30 회전으로 스피닝하고 1.5406Å의 파장을 갖고 40 kV 및 40 mA에서 작동되는 구리 LFF관에 의하여 발생되는 X선으로 조사하였다. 시준된 X선 공급원을 V20에 셋팅한 자동 가변 발산 슬릿에 통과시키고 반사광을 2 mm 산란방지 슬릿 및 0.2 mm 검출기 슬릿을 통해 배향시켰다. 샘플을 세타-세타 모드에서 2°내지 40 또는 50°2-θ 범위에 걸쳐 0.02°2-θ 증가당(연속 스캔 모드) 1초간 노출시켰다. 기구에 검출기로서 신틸레이션 계수기를 장착하였다. 제어 및 데이터 수집은 Diffract+ 소프트웨어로 작동하는 Dell Optiplex 686 NT 4.0 Workstation에 의하였다. X선 분말 회절 업계의 숙련자는 피크의 상대 강도가 예컨대 크기가 30 미크론을 초과하는 입자 및 샘플 분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불균일한 종횡비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숙련자는 또한 반사 위치가 회절계 및 회절계의 영점 조정에서 샘플이 위치하는 정확한 높이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샘플의 표면 평탄성도 작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시된 회절 패턴 데이터는 절대적인 값으로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사용되는 장비 또는 기계에 같은) 측정 조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측정 오차를 갖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이 수득될 수 있음은 공지되어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X선 분말 회절 패턴에서의 강도는 측정 조건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은 공지이다.
X선 분말 회절 업계의 숙련자는 피크의 상대 강도가 예컨대 크기가 30 미크론을 초과하는 입자 및 샘플 분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불균일한 종횡비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숙련자는 또한 반사 위치가 회절계 및 회절계의 영점 조정에서 샘플이 위치하는 정확한 높이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샘플의 표면 평탄성도 작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시된 회절 패턴 데이터는 절대적인 값으로서 고려되지 않는다. (Jenkins, R & Snyder, R.L. ‘Introduction to X-Ray Powder Diffractometry’ John Wiley & Sons 1996; Bunn, C.W. (1948), Chemical Crystallography, Clarendon Press, London; Klug, H. P. & Alexander, L. E. (1974), X-Ray Diffraction Procedures).
일반적으로, X선 분말 회절도에서 회절각의 측정 오차는 대략 ±0.5°2-θ이고, 이러한 측정 오차의 정도는 X선 분말 회절 데이터를 고려할 때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강도는 실험 조건 및 샘플 제조(바람직한 배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의 정의가 사용되었다.
Figure pct00018
* 상대 강도는 고정된 슬릿으로 측정되는 회절도에서 유도됨
분석 기기: Siemens D5000.
본 발명이 결정형에 관한 것이라 할 때, 결정도는 편리하게는 약 60% 초과, 더 편리하게는 약 80% 초과, 특별히 약 90% 초과, 더 특별히 약 95% 초과이다. 가장 특별하게는 결정도는 약 98% 초과이다.
시차 주사 열량분석(DSC)
TA DSC Q1000 또는 Q2000 기기 상에서 시차 주사 열량분석에 의하여 열적 이벤트를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예컨대 TA DSC Q1000을 이용하여) 분당 5℃ 또는 10℃의 일정한 가열 속도에서 25∼340℃의 온도 범위에 걸쳐 핀홀을 구비한 표준 알루미늄 밀폐 컵에 5 mg 미만의 물질을 포함시킨다. 질소를 이용하는 퍼지 가스를 사용하였다(유속 분당 100 m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약어 일람:
ACN 아세토니트릴
aq 수성
Boc tert-부틸옥시카르보닐
Brine 수중 염화나트륨의 포화 용액
BSA 소 혈청 알부민
DCE 1,2-디클로로에탄
DCM 디클로로메탄
DEE 디에틸에테르
DIPEA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MAP 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설폭시드
Dppf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EDCI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
EDTA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EtOH 에탄올
FA 포름산
HOAc 아세트산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WE Horner-Wadsworth-Emmons
Hz 헤르츠
IPA 이소프로필알콜
iPr 이소프로필
LC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m-CPBA 메타-클로로퍼옥시벤조산
MeOH 메탄올
MHz 메가헤르츠
mL 밀리리터
MS 질량 스펙트럼
NMM N-메틸모르폴린
NMP N-메틸피페라진
NMR 핵자기공명
OAc 아세테이트
Ph 페닐
PyBOP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PyBROP 브로모-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RT 실온
sat 포화
TEA 트리에틸아민
Tf 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HF 테트라히드로푸란
TLC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Ts p-톨루엔설포닐
실시예 1: (1r,4r)-4-(3-플루오로-4-(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Figure pct00019
수산화나트륨(2M; 3.56 mL, 7.12 mmol)을 MeOH(25 mL) 중 중간체 1-1(741 mg, 1.42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수성 잔류물(20 mL)을 2M HCl(5 mL)로 pH 2로 조절하였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EtOH로부터 결정화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7.0 mg, 5.28%)을 백색 결정질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13 MHz, DMSO-d6) δ 1.38 - 1.55 (4H, m), 1.78 - 1.90 (2H, m), 1.90 - 2.05 (2H, m), 2.20 - 2.30 (1H, m), 2.40 - 2.60 (1H, m), 7.10 (1H, dd), 7.19 (1H, dd), 7.45 (1H, t), 7.78 (4H, dd), 10.70 (1H, s), 11.43 (1H, s), 12.02 (1H, s)
m/z (ES+) (M+H)+ = 493.39.
중간체 1-1: (1r,4r)-에틸 4-(3-플루오로-4-(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0
DMF(10 mL) 중 중간체 1-2(500 mg, 1.42 mmol)의 용액에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이소티오시아네이트(347 mg, 1.71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45℃에서 45분 동안 교반하고,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396 mg, 2.06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5℃에서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물(15 mL)을 첨가하고,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고, 물(10 mL)로 세정하고 공기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얻고, 이것을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m/z (ESI+) (M+H)+ = 521.46.
중간체 1-2: (1r,4r)-에틸 4-(3-플루오로-4-(2-히드라지닐-2-옥소아세트아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1
EtOH(300 mL) 중 중간체 1-3(3.55 g, 10.10 mmol)의 현탁액에 히드라진 일수화물(0.539 mL, 11.11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현탁액을 70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 건조하여 소정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여액을 증발 건조하여 추가의 생성물을 얻고, 이것을 여과된 고체와 합하여 표제 화합물(3.01 g, 85%)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δ 1.18 (3H, t), 1.40 - 1.53 (4H, m), 1.79 - 1.84 (2H, m), 1.97 - 2.02 (2H, m), 2.31 - 2.37 (1H, m), 2.51 - 2.55 (1H, m), 4.06 (2H, q), 4.61 (2H, s), 7.06 - 7.08 (1H, m), 7.14 - 7.18 (1H, m), 7.57 (1H, t), 10.07 (1H, s), 10.29 (1H, s); m/z (M+H)+ 352.
중간체 1-2의 별법 제조
히드라진 일수화물(9.42 mL)을 질소 하에 20℃에서 에탄올(930 mL) 중 중간체 1-3(62 g)에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걸쭉한 슬러리를 2 시간 동안 20℃에서 교반하고 슬러리를 여과하고 에탄올로 세정하고 밤새 45℃ 진공 오븐에서 건조하여 (1r,4r)-에틸 4-(3-플루오로-4-(2-히드라지닐-2-옥소아세트아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55.0 g, 89%)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d 1.19 (3H, t), 1.39-1.58 (4H, m), 1.84 (2H, d), 1.99 (2H, d), 2.30-2.40 (1H, m), 2.51-2.60 (1H, m), 4.07 (2H, q), 4.65 (2H, s), 7.08 (1H, dd), 7.18 (1H, dd), 7.56 (1H, t), 10.15 (1H, s), 10.35 (1H, s).
중간체 1-3: (1r,4r)-에틸 4-(3-플루오로-4-(2-메톡시-2-옥소아세트아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2
메틸 클로로옥소아세테이트(1.208 mL, 13.14 mmol)를 DCM(80 mL) 중 중간체 1-4(3.05 g, 10.11 mmol) 및 피리딘(1.796 mL, 22.23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상온에서 9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50 mL)으로 희석하고, 포화 염수(50 mL)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Mg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 및 증발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얻고 이것을 이소헥산 중 0 내지 20 내지 60% EtOAc의 용리 구배로 플래쉬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3.55 g, 100%)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1.27 (3H, t), 1.38 - 1.48 (2H, m), 1.54 - 1.64 (2H, m), 1.95 - 1.99 (2H, m), 2.09 - 2.14 (2H, m), 2.29 - 2.37 (1H, m), 2.47 - 2.55 (1H, m), 3.98 (3H, s), 4.14 (2H, q), 6.97 - 7.03 (2H, m), 8.24 (1H, t), 9.00 (1H, s); m/z (M+H)+ 352.
중간체 1-3의 별법 제조
메틸 클로로옥소아세테이트(22.08 mL)를 질소 하에 10분에 걸쳐 20℃에서 중간체 1-4 (53.5 g) 및 DCM (802 mL) 중 피리딘 (31.5 mL)에 한방울씩 적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2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535 mL)으로 희석한 다음 순차적으로 물(535 mL) 및 포화 염수(535 mL)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증발시켜 미정제 (1r,4r)-에틸 4-(3-플루오로-4-(2-메톡시-2-옥소아세트아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를 얻고 이것을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25 (3H, t), 1.33-1.48 (2H, m), 1.48-1.64 (2H, m), 1.88-1.99 (2H, m), 2.03-2.14 (2H, m), 2.24-2.38 (1H, m), 2.43-2.56 (1H, m), 3.97 (3H, s), 4.13 (2H, q), 6.97 (2H, dd), 8.22 (1H, t), 9.00 (1H, s).
중간체 1-4: (1r,4r)-에틸 4-(4-아미노-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
Figure pct00023
디옥산(17.81 mL, 71.23 mmol) 중 4M 염화수소를 1,4-디옥산(10 mL) 중 중간체 1-5(5.2 g, 14.23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 때 용액이 고체가 된 다음 상온에서 밤새 정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미정제 고체를 비등 EtOAc(~25 mL)로 부수어 고형분을 얻고 이것을 여과로 수집하고 진공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3.10 g)을 베이지색 고체로서 얻었다. 여액으로부터 추가의 고체 생성물(255 mg)이 생성되었고 이것을 여과하고 건조한 다음 제1 생성물과 합하여 표제 화합물(3.36 g, 78%)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δ 1.18 (3H, t), 1.38 - 1.49 (4H, m), 1.79 - 1.81 (2H, m), 1.93 - 1.98 (2H, m), 2.28 - 2.36 (2H, m), 4.05 (2H, q), 6.97 - 6.99 (1H, m), 7.08 - 7.14 (2H, m); NH2 not seen; m/z (M+H)+ 266.
중간체 1-4의 별법 제조
디옥산(280 mL) 중 4M 염화수소를 질소 하에 20℃에서 디옥산(820 mL) 중 (1s,4s)-에틸 4-(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82 g)에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5일 동안 2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미정제 잔류물을 EtOAc(820 mL)로 부수고 고형분을 여과로 수집하고 진공 건조하여 (1r,4r)-에틸 4-(4-아미노-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53.5 g, 79%)을 크림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δ 1.18 (3H, t), 1.38 - 1.54 (4H, m), 1.75 -1.86 (2H, m), 1.91 - 2.02 (2H, m), 2.26 - 2.40 (1H, m), 2.51 - 2.56 (1H, m), 4.06 (2H, q), 7.07 (1H, dd), 7.20 (1H, dd), 7.31 (1H, t).
중간체 1-5: (1r,4r)-에틸 4-(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트랜스) 및
중간체 1-6: (1s,4s)-에틸 4-(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시스)
Figure pct00024
EtOH(100 mL)에서 중간체 1-7(8.3 g, 22.84 mmol) 및 10% 탄소상 팔라듐(1.215 g, 1.14 mmol)의 혼합물을 5 시간 동안 상온에서 수소 분위기 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A를 얻었다. 여액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EtOH(50 mL)로부터 재결정하여 시스 이성질체(1.39 g)를 얻었다. 모액을 약 50%까지 농축한 다음 90분 동안 순수한 시스 이성질체의 결정 몇 개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고 진공 건조하여 추가의 시스 화합물을 백색 고체(131 mg)로서 얻었다. 여액을 농축하여 다소 혼탁한 담황색 검(2.18 g)을 남기고 이것을 무수 EtOH(5 mL)에 재용해시키고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소량의 순수한 시스 화합물과 교반하고 밤새 정치시켰다. 침전물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진공 건조하여 순수한 시스 화합물을 얻었다. 여액을 농축하여 트랜스 이성질체를 얻었다. 여과된 고체 A를 DCM(2 x 25 mL)으로 세정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순수한 시스 이성질체 3.02 g을 얻었다.
시스 이성질체의 총 회수 = 4.61 g, 12.62 mmol, 55.2%
트랜스 이성질체의 총 회수 = 2.04 g, 5.58 mmol, 24.4%
(1s,4s)-에틸 4-(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1H NMR (400 MHz, CDCl3) δ 1.28 (3H, t), 1.52 (9H, s), 1.57 - 1.67 (4H, m), 1.70 - 1.78 (2H, m), 2.21 - 2.28 (2H, m), 2.46 - 2.52 (1H, m), 2.66 - 2.69 (1H, m), 4.18 (2H, q), 6.58 (1H, s), 6.87 - 6.93 (2H, m), 7.91 (1H, t); m/z (M+Na)+ 388.
(1r,4r)-에틸 4-(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1H NMR (400 MHz, CDCl3) δ 1.18 - 1.32 (3H, m), 1.35 - 1.47 (2H, m), 1.52 (9H, s), 1.55 - 1.63 (2H, m), 1.92 - 1.97 (2H, m), 2.07 - 2.12 (2H, m), 2.27 - 2.35 (1H, m), 2.42 - 2.50 (1H, m), 4.10 - 4.17 (2H, m), 6.59 (1H, s), 6.87 - 6.91 (1H, m), 6.92 - 6.94 (1H, m), 7.93 (1H, t); m/z (M+Na)+ 388.
중간체 1-5 및 1-6의 별법 제조
에탄올(2000 mL) 중 중간체 1-7(200 g), 탄소상 백금 5 중량%(50% 습) JM형 128M(40 g)을 4 시간 동안 5 bar 및 40℃에서 수소 분위기 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EtOH(1800 mL)로부터의 결정화에 의하여 정제하여 (1s,4s)-에틸 4-(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117 g, 54%)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모액을 증발시키고 이 물질을 에탄올(150mL)로부터 재결정화하여 (1s,4s)-에틸 4-(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9.5 g, 5%)를 얻었다. 모액을 증발 건조시켜 황색 오일 (1r,4r)-에틸 4-(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72.0 g, 35.8%)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19 (3H, t), 1.27 - 1.58 (13H, m), 1.82 - 1.92 (2H, m), 1.95 - 2.08 (2H, m), 2.19 - 2.30 (1H, m), 2.33 - 2.50 (1H, m), 3.98 - 4.18 (2H, m), 6.55 (1H, s), 6.84 (2H, dd), 7.87 (1H, s).
중간체 1-4를 얻기 위한 시스/트랜스 이성화 및 탈보호 공정
칼륨 2-메틸프로판-2-올레이트(87 g)를 질소 하에 tert-부탄올(1310 mL) 중 중간체 1-6(130.6 g)에 일부 첨가하였다. 4 시간 후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1300 mL)을 첨가하고 농축 HCl을 사용하여 수성층의 pH를 1로 조절하고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6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증발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1300 mL)에 흡수시키고 합한 유기층을 2M HCl(1300 mL) 포화 수성 염수(1300 mL)로 세정하고 건조시키고(MgSO4) 증발시켜 미정제 트랜스 이성질체(136 g)를 얻고 이것을 에탄올(1310 mL)에 용해시키고 디옥산(448 mL) 중 4M 염화수소를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황색 용액을 20℃에서 3일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증발시키고 미정제 잔류물을 EtOAc(1310 mL)로 부수어 고형분을 얻고 이것을 여과로 수집하여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정하고 40℃ 진공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켜 (1r,4r)-에틸 4-(4-아미노-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99 g, 92%)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δ 1.18 (3H, t), 1.38 - 1.54 (4H, m), 1.75 - 1.86 (2H, m), 1.91 - 2.02 (2H, m), 2.26 - 2.40 (1H, m), 2.51 - 2.56 (1H, m), 4.06 (2H, q), 7.07 (1H, dd), 7.20 (1H, dd), 7.31 (1H, t).
중간체 1-7: 에틸 4-(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스-3-렌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5
1,2-디메톡시에탄(178 mL) 및 물(100 mL) 중 중간체 1-8(6.85 g, 23.60 mmol) 및 중간체 1-9(6.99 g, 23.60 mmol)의 용액을 10분 동안 질소를 버블링하여 탈기하였다.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 디클로라이드(0.971 g, 1.18 mmol) 및 탄산칼륨(8.15 g, 59.0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가열하고 85℃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증발시켜 유기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EtOAc(200 mL)에 재용해시키고 포화 염수(500 mL)로 세정하고, 수성층을 EtOAc(100 mL)로 재추출하고,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증발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이소헥산 중 0∼20% EtOAc의 용리 구배로 상기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쉬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에틸 4-(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스-3-엔카르복실레이트(86%)를 담황색 검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1.27 (3H, t), 1.52 (9H, s), 1.77 - 1.88 (1H, m), 2.14 - 2.20 (1H, m), 2.36 - 2.51 (4H, m), 2.55 - 2.63 (1H, m), 4.17 (2H, q), 6.05 - 6.08 (1H, m), 6.65 (1H, s), 7.06 - 7.13 (2H, m), 7.99 (1H, t); m/z (M-tBu)+ 308.
중간체 1-7의 별법 제조
Pd-118 [PdCl2(dbpf)] (17.94 g)에 아세토니트릴(769 mL)을 첨가하고 슬러리를 5분 동안 교반한 다음 탄산칼륨(152 g), 물(769 mL)을 넣은 후 에틸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시클로헥스-3-엔카르복실레이트(162 g)를 넣고 다시 5분 후 tert-부틸 4-브로모-2-플루오로페닐카르바메이트(159 g)를 넣고 반응물을 80℃로 가열하였다. 2 시간 후 반응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이소헥산 중 0∼10% EtOAc의 용리 구배로 플래쉬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에틸 4-(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스-3-엔카르복실레이트(167 g, 84%)를 황색 오일로 얻었고 이것은 정치시 고화되었다.
1H NMR (400.13 MHz, CDCl3) δ 1.20 (3H, t), 1.45 (9H, s), 1.76 (1H, d), 2.08 - 2.12 (1H, m), 2.34 - 2.39 (4H, m), 2.50 - 2.53 (1H, m), 4.09 (2H, q), 6.00 (1H, s), 6.60 (1H, s), 6.98 - 7.02 (1H, m), 7.03 - 7.06 (1H, m), 7.92 (1H, s).
중간체 1-8: tert-부틸 4-브로모-2-플루오로페닐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026
THF(50 mL) 중 4-브로모-2-플루오로아닐린(9.5 g, 50.00 mmol)의 빙냉 용액에 THF 중 나트륨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100 mL, 99.99 mmol)의 1M 용액을 30분에 걸쳐 질소 하에(내부 온도 5℃)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진한 청색 용액을 10분에 걸쳐 상온으로 가온하였다. THF (50 mL) 중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10.91 g, 50.00 mmol)의 용액을 한방울씩 첨가하고 생성되는 혼합물을 상온에서 9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600 mL)에 붓고 에테르(3 x 500 mL) 내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포화 염수(500 mL)로 세정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증발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이소헥산 중 0∼15% EtOAc의 용리 구배로 상기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쉬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시켜 tert-부틸 4-브로모-2-플루오로페닐카르바메이트(12.43 g, 86%)를 적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1.52 (9H, s), 6.66 (1H, s), 7.21 - 7.25 (2H, m), 8.01 (1H, t); m/z (ESI+) M+Na 313.
중간체 1-9: 에틸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시클로헥스-3-엔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7
15분 동안 질소 버블링에 의하여 디옥산(300 mL) 중 중간체 1-10(16.7 g, 55.25 mmol)의 용액에서 산소를 제거하였다. 아세트산칼륨(16.27 g, 165.75 mmol),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15.43 g, 60.77 m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1.548 g, 2.76 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2.273 g, 2.76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되는 현탁액을 8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증발 건조시키고, EtOAc(300 mL)에 재용해시키고, 포화 염수(2 x 200 mL)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증발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이소헥산 중 0∼20% EtOAc의 용리 구배로 상기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쉬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시켜 에틸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시클로헥스-3-엔카르복실레이트(6.99 g, 45.2%)를 무색 검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1.25 (3H, t), 1.26 (12H, s), 1.58 - 1.65 (1H, m), 1.98 - 2.04 (1H, m), 2.07 - 2.18 (1H, m), 2.24 - 2.36 (3H, m), 2.47 - 2.56 (1H, m), 4.14 (2H, q), 6.53 - 6.55 (1H, m).
중간체 1-9의 별법 제조
에틸 4-(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옥시)시클로헥스-3-엔카르복실레이트(325 g)를 탈기된 디옥산(3250 mL) 중 용액으로서 질소 하에 20℃에서 디옥산(2178 mL) 중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300 g),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 아세톤 부가생성물(44.2 g)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30.1 g), 아세트산칼륨(317 g)에 첨가하였다. 적색 현탁액을 8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550 mL) 및 물(650 mL)에 흡수시키고 포화 수성 염수(2 x 3250 mL)로 세정하고 건조시키고(MgSO4) 증발시켰다. 미정제 갈색 오일을 이소헥산 중 0∼10% EtOAc의 용리 구배로 플래쉬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여 에틸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시클로헥스-3-엔카르복실레이트(190 g, 63.1%)를 황색 오일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1.16 - 1.22 (15H, m), 1.46 - 1.61 (1H, m), 1.88 - 1.99 (1H, m), 2.13 - 1.99 (1H, m), 2.15 - 2.31 (3H, m), 2.39 - 2.50 (1H, m), 4.02 - 4.11 (2H, m), 6.48 (1H, s).
중간체 1-10: 에틸 4-(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옥시)시클로헥스-3-엔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8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무수물(516 mL)을 질소 하에 1 시간에 걸쳐 20℃에서 디클로로메탄(3500 mL) 중 2,6-루티딘(359 mL), 에틸 4-옥소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350 g)에 한방울씩 첨가하엿다. 생성되는 용액을 상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고; 추가의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무수물(172 mL)을 항방울씩 넣고 1 시간 후 추가의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무수물(34 mL)을 넣고 적색 반응 혼합물을 증발 건조시키고 미정제 생성물을 이소헥산 중 0∼10% EtOAc의 용리 구배로 플래쉬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여 에틸 4-(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옥시)시클로헥스-3-엔카르복실레이트(425 g, 68.4%)를 황색 오일로서 얻었다.
1H NMR (400.132 MHz, CDCl3) δ 1.26 (3H, t), 1.87 - 1.98 (1H, m), 2.09 - 2.18 (1H, m), 2.38 - 2.49 (4H, m), 2.55 - 2.64 (1H, m), 4.16 (2H, q), 5.75 - 5.79 (1H, m)
실시예 2: (1r,4r)-4-(4-(5-(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Figure pct00029
수산화나트륨(2M; 3.56 mL, 7.12 mmol)을 MeOH(25 mL) 중 중간체 2-1(738 mg, 1.42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2M HCl(5 mL)을 사용하여 수성 잔류물(20 mL)의 pH를 2로 조절하였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상기 미정제 생성물을 AcOH로부터 결정화하여 정제하여 (1r,4r)-4-(4-(5-(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320 mg, 45.8%)을 백색 결정질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13 MHz, DMSO-d6) δ 1.38 - 1.55 (4H, m), 1.78 - 1.90 (2H, m), 1.90 - 2.05 (2H, m), 2.20 - 2.30 (1H, m), 2.40 - 2.60 (1H, m), 7.06 - 7.25 (5H, m), 7.45 (1H, t), 7.62 (2H, dd), 10.63 (1H, s), 11.04 (1H, s), 12.02 (1H, s)
m/z (ES+) (M+H)+ = 491.41.
중간체 2-1: (1r,4r)-에틸 4-(4-(5-(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30
DMF(20 mL) 중 중간체 1-2(500 mg, 1.42 mmol)의 용액에 1-(디플루오로메톡시)-4-이소티오시아네이토벤젠(0.258 mL, 1.71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45℃에서 45분 동안 교반하고,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396 mg, 2.06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5℃에서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물(15 mL)을 첨가하고,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여, 물(10 mL)로 세정하고 공기 건조시켜 소정 생성물을 황색 고체로서 얻고, 이것을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m/z (ESI+) (M-H)- = 517.46.
실시예 3: (1r,4r)-4-(3-플루오로-4-(5-(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Figure pct00031
수산화나트륨(2M; 3.56 mL, 7.12 mmol)을 MeOH(25 mL) 중 중간체 3-1(763 mg, 1.42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2M HCl(5 mL)을 사용하여 수성 잔류물(20 mL)의 pH를 2로 조절하였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상기 미정제 생성물을 AcOH로부터의 결정화에 의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93 mg, 54.3%)을 백색 결정질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13 MHz, DMSO-d6) δ 1.38 - 1.55 (4H, m), 1.78 - 1.90 (2H, m), 1.90 - 2.05 (2H, m), 2.20 - 2.30 (1H, m), 2.40 - 2.60 (1H, m), 7.10 (1H, dd), 7.18 (1H, dd), 7.40 (1H, s), 7.42 (1H, s), 7.45 (1H, t), 7.69 (2H, dd), 10.66 (1H, s), 11.19 (1H, s), 12.02 (1H, s)
m/z (ES+) (M+H)+ = 509.43.
중간체 3-1: (1r,4r)-에틸 4-(3-플루오로-4-(5-(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32
DMF(10 mL) 중 중간체 1-2 (500 mg, 1.42 mmol)의 용액에 1-이소티오시아네이토-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젠(0.277 mL, 1.71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45℃에서 45분 동안 교반하고,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396 mg, 2.06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5℃에서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물(15 mL)을 첨가하고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고, 물(10 mL)로 세정하고 공기 건조하여 소정 생성물을 황색 고체로서 얻고, 이것을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m/z (ESI+) (M+H)+ = 537.47.
실시예 4: (1r,4r)-4-(4-(5-(3-클로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Figure pct00033
수산화나트륨(2M; 3.56 mL, 7.12 mmol)을 MeOH(25 mL) 중 중간체 4-1(693 mg, 1.42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2M HCl(5 mL)을 사용하여 수성 잔류물(20 mL)의 pH를 2로 조절하였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상기 미정제 생성물을 AcOH로부터의 결정화에 의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03 mg, 46.4%)을 백색 결정질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13 MHz, DMSO-d6) δ 1.38 - 1.55 (4H, m), 1.78 - 1.90 (2H, m), 1.90 - 2.05 (2H, m), 2.20 - 2.30 (1H, m), 2.40 - 2.60 (1H, m), 7.11 (2H, ddd), 7.18 (1H, dd), 7.41 (1H, t), 7.46 (1H, d), 7.50 (1H, dq), 7.73 (1H, t), 10.67 (1H, s), 11.22 (1H, s), 12.02 (1H, s). m/z (ES+) (M+H)+ = 459.46.
중간체 4-1: (1r,4r)-에틸 4-(4-(5-(3-클로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34
DMF(10 mL) 중 중간체 1-2(500 mg, 1.42 mmol)의 용액에 1-클로로-3-이소티오시아네이토벤젠(0.224 mL, 1.71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45℃에서 45분 동안 교반하고,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396 mg, 2.06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5℃에서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물(15 mL)을 첨가하고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고, 물(10 mL)로 세정하고 공기 건조하여 소정 생성물을 황색 고체로서 얻고, 이것을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m/z (ESI+) (M-H)- = 485.43.
실시예 5: (1r,4r)-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Figure pct00035
MeOH(100 mL) 및 THF(50.0 mL) 중 중간체 5-1(3.63 g, 7.43 mmol)의 현탁액에 2N 수산화나트륨(18.58 mL, 37.16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상온에서 3일 동안 교반하였다. 1N 시트르산을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의 pH를 4로 조절하고 현탁액을 증발시켜 유기 용매를 제거하였다.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고, 물(50 mL)로 세정하고 공기 건조시켜 소정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서 얻고, 이것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물(90 mL)에서 슬러리로 만들었다. 현탁액을 여과로 수집하고, 물(20 mL)로 세정하고 공기 건조한 다음 2일에 걸쳐 50℃에서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3.30 g, 96%)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δ 1.40 - 1.54 (4H, m), 1.77 - 1.90 (2H, m), 1.92 - 2.08 (2H, m), 2.23 - 2.30 (1H, m), 2.51 - 2.59 (1H, m), 7.09 - 7.11 (1H, m), 7.17 - 7.20 (1H, m), 7.33 - 7.36 (1H, m), 7.43 - 7.51 (2H, m), 7.66 - 7.71 (1H, m), 10.67 (1H, s), 11.23 (1H, s), 12.02 (1H, s); m/z (ES-) (M-H)- 459.
실시예 5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물질이 융점 286.2℃(개시)의 결정질임을 나타내었다. 이 물질을 A형이라 명명한다. 추가의 측정은 물질이 융점 270∼300℃(개시)의 결정질임을 나타내었다. A형의 DSC 분석은 중량 손실로 인한 용융 전의 초기 이벤트를 나타내었다.
A형이라 명명된 물질은, 본 조사에 따르면, 표 A에 도시된 10 개의 가장 두드러진 피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이하의 d-값 및 강도를 나타내는 X-선 분말 회절 패턴(도 1 참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크의 상대 강도는 테스트 샘플의 배향 및 사용되는 기기의 유형 및 셋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X-선 분말 회절 기록에서의 강도가 예시적이며 절대적 비교를 위해 사용될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Figure pct00036
강도 및 Bragg 식으로부터 계산된 d-값으로 확인되는 피크는 A형의 회절도로부터 추출되었다. 상대 강도는 임의의 발산 슬릿 변환 없이 추정되었고 다양한 슬릿을 가지고 측정한 회절도로부터 유도된다.
실시예 5B
실시예 5 물질을 메탄올에 슬러리화함으로써, 추가 형태(B형)를 제조하였다. 약 20 mg의 물질을 마그네틱 플리(magnetic flea)를 구비한 유리병에 넣고, 약 2 ml의 메탄올을 첨가한 다음, 유리병을 뚜껑으로 단단히 밀봉하고 자기 교반기 플레이트 상에 교반되게 두었다. 3일 후,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샘플을 제거하고, 뚜껑을 열고, 슬러리를 주변 환경에서 건조되게 둔 후 XRPD 및 DSC로 분석하였다. XRPD에 의하여 이 형태(B형)가 융점 288.6℃(개시)의 결정질인지를 측정하였다.
CuKa 방사선: 6.2 및 27.6을 사용하여 표 B-1에 도시된 10개의 가장 두드러진 피크를 포함하는 B형에 대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얻었다:
Figure pct00037
본 발명에 따라 ±0.5°2-세타일 수 있는 약 2-θ = 16.2°및 27.6°에서 2 이상의 특이한 피크를 갖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결정형 B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0.5°2-세타일 수 있는 2-θ 16.2, 27.6, 25.5, 20.2, 6.6, 26.7, 9.8, 27.0, 31.5, 23.9°에서 특이한 피크를 갖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결정형 B형이 제공된다.
B형의 DSC 분석은 209.9℃에서 개시 및 219.0℃에서 피크를 갖는 초기 이벤트 및 이어서 288.6℃에서 개시 및 293.4℃에서 피크를 갖는 후속 용융을 나타내었다. B형의 추가 DSC 분석은 중량 손실로 인한 용융 전의 초기 이벤트 및 이어서 280∼310℃(개시)의 개시를 갖는 후속 용융을 나타내었다.
이 물질(B형)은, 본 조사에 따르면, 표 B-2에 도시된 10 개의 가장 두드러진 피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이하의 d-값 및 강도를 나타내는 X-선 분말 회절 패턴(도 2 참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크의 상대 강도는 테스트 샘플의 배향 및 사용되는 기기의 유형 및 셋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X-선 분말 회절 기록에서의 강도가 예시적이며 절대적 비교를 위해 사용될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Figure pct00038
강도 및 Bragg 식으로부터 계산된 d-값으로 확인되는 피크는 B형의 회절도로부터 추출되었다. 상대 강도는 임의의 발산 슬릿 변환 없이 추정되었고 다양한 슬릿을 가지고 측정한 회절도로부터 유도된다.
실시예 5의 별법 제조
20℃에서 에탄올(2300 mL) 중 중간체 5-1(114.7 g)에 수산화나트륨(587 mL)을 30분에 걸쳐 한방울씩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20℃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pH 4까지 1M 시트르산을 첨가하고 슬러리를 여과하고, 물(3000 mL)로 세정하고, 일정한 중량까지 P2O5 상에서 50℃에서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EtOH로부터의 결정화에 의하여 정제하고, 고형분을 여과하고, 45℃에서 48 시간 동안 진공 오븐에서 건조하여 55.5 g의 소정 생성물을 XRPD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다형 결정형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이 물질을 B형(상기 참조)의 시드 결정의 존재 하에 주말에 걸쳐 메탄올(550 mL)에 슬러리화하여 모두 이 형태로 전환시켰다. 크림 슬러리를 여과하고 고형분을 진공 오븐에서 48 시간 동안 40℃에서 건조시켜 (1r,4r)-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54.5 g)을 크림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1.37 -1.58 (4H, m), 1.75 - 1.91 (2H, m), 1.93 - 2.09 (2H, m), 2.20 - 2.36 (1H, m), 2.51 - 2.63 (1H, m), 7.06 - 7.15 (1H, m), 7.16 - 7.25 (1H, m), 7.30 - 7.39 (1H, m), 7.39 - 7.55 (2H, m), 7.65 -7.76 (1H, m), 10.75 (1H, s), 11.29 (1H, s), 12.10 (1H, s).
주의사항: 화합물 (1r,4r)-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실시예 5 참조)은 달리 다음과 같이 명명될 수 있음
트랜스-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또는
트랜스-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일}카르보닐)아미노]-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중간체 5-1: (1r,4r)-에틸 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39
DMF(134 mL) 중 중간체 1-2(3.01 g, 8.57 mmol)의 용액에 3,4-디플루오로페닐 이소티오시아네이트(1.760 g, 10.28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45℃에서 45분 동안 교반하고,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2.381 g, 12.42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5℃에서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물(140 mL)을 첨가하고,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고, 물(10 mL)로 세정하고 공기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3.63 g, 87%)을 크림색 고체로서 얻고, 이것을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1.19 (3H, t), 1.42 - 1.55 (4H, m), 1.81 - 1.86 (2H, m), 1.98 - 2.00 (2H, m), 2.31 - 2.39 (1H, m), 2.51 - 2.55 (1H, m), 4.07 (2H, q), 7.08 - 7.11 (1H, m), 7.16 - 7.20 (1H, m), 7.33 - 7.36 (1H, m), 7.43 - 7.51 (2H, m), 7.66 - 7.72 (1H, m), 10.67 (1H, s), 11.23 (1H, s); m/z (M+H)+ 489.
중간체 5-1의 별법 제조
1,2-디플루오로-4-이소티오시아네이토벤젠(50.1 g)을 20℃에서 DMF(1275 mL) 중 중간체 1-2(85.7 g)에 한방울씩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4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67.8 g)을 넣고 반응물을 85℃로 가열하였다. 30분 후 반응물을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물(1720 mL)을 한방울씩 첨가하고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고, 물(3000 mL)로 세정하고 일정한 중량까지 P2O5 상에서 50℃에서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1r,4r)-에틸 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111 g, 93%)를 황색 고체로서 얻고, 이것을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1.20 (3H, t), 1.40 - 1.59 (4H, m), 1.78 - 1.91 (2H, m), 1.93 - 2.06 (2H, m), 2.30 - 2.41 (1H, m), 2.51 - 2.62 (1H, m), 4.07 (2H, q), 7.08 - 7.13 (1H, m), 7.20 (1H, dd), 7.32 - 7.38 (1H, m), 7.41 - 7.56 (2H, m), 7.70 (1H, ddd), 10.76 (1H, s), 11.29 (1H, s).
실시예 5의 별법 제조: 실시예 5C
MeOH(700 ml) 중 중간체 5-1(6.98 g, 14.29 mmol)의 현탁액에 2N 수산화나트륨(35.7 ml, 71.45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되는 용액을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불완전하므로 추가의 2N 수산화나트륨(20 ml) 및 THF(100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추가로 2일 동안 교반하였다. 1N 시트르산을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의 pH를 5로 조절하고 현탁액을 증발시켜 유기 용매를 제거하였다. 1N 시트르산을 사용하여 현탁액의 pH를 4로 조절하고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고 물(150 ml)로 세정하고 공기 건조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미정제 고체를 ACN(60 ml)에 현탁시키고 10분 동안 100℃로 가열하고 현탁액을 여과로 수집하고 진공 건조시켜 불순한 생성물(5.38 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이 과정을 ACN(70 ml)으로 반복하고 현탁액을 여과로 수집하고 진공 건조시켜 (1r,4r)-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5.08 g, 77%)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13 MHz, DMSO-d6) δ 1.40 - 1.53 (4H, m), 1.77 - 1.90 (2H, m), 1.92 - 2.08 (2H, m), 2.23 - 2.30 (1H, m), 2.51 - 2.59 (1H, m), 7.10 (1H, d), 7.18 (1H, d), 7.33 (1H, d), 7.43 - 7.50 (2H, m), 7.66 - 7.71 (1H, m), 10.67 (1H, s), 11.23 (1H, s)
m/z (ES-) (M-H)- = 459.
이 형태(C형)는 XRPD에 의하여 결정질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C형의 DSC 분석은 중량 손실로 인한 용융 전의 초기 이벤트 및 260∼390℃(개시)의 개시를 갖는 후속 용융을 나타내었다. 이 물질(C형)은, 본 조사에 따르면, 표 C에 나타낸 12 개의 가장 두드러진 피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이하의 d-값 및 강도를 나타내는 X-선 분말 회절 패턴(도 3 참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크의 상대 강도는 테스트 샘플의 배향 및 사용되는 기기의 유형 및 셋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X-선 분말 회절 기록에서의 강도가 예시적이며 절대적 비교를 위해 사용될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Figure pct00040
강도 및 Bragg 식으로부터 계산된 d-값으로 확인되는 피크는 C형의 회절도로부터 추출되었다. 상대 강도는 임의의 발산 슬릿 변환 없이 추정되었고 다양한 슬릿을 가지고 측정한 회절도로부터 유도된다.
실시예 5의 별법 제조: 실시예 5D
이하의 반응식 D 참조
반응식 D
Figure pct00041
25℃에서 15분에 걸쳐 EtOH(150 ml) 중 중간체 5-1(10 g, 20.47 mmol)의 현탁액에 물(150 ml) 중 수산화나트륨(4.34 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혼합물을 물(100 ml) 중 시트르산(10.43 g)의 용액으로 산성화하였다. 크림 백색 고형분을 여과하고 25℃에서 1 시간 동안 물(100 ml)에 슬러리화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오븐에서 50℃에서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1r,4r)-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8.6 g, 91%)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상기 고체의 XRPD는 D형을 나타내었다. 이 물질을 75℃에서 5 시간 동안 이소프로판올(100 ml)로 슬러리화하여 더 정제하였다. 생성되는 현탁액을 25℃로 냉각하고 여과하였다. 이 물질을 진공 오븐에서 50℃에서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7.7 g의 크림 백색 고체를 얻었는데 이것의 XRPD는 D형과 일치하였다. D형의 DSC 분석은 중량 손실로 인한 용융 전의 초기 이벤트를 나타내지 않았고 260∼310℃(개시)의 개시를 갖는 용융을 나타내었다. 이 물질(D형), 본 조사에 따르면, 표 D에 나타낸 12 개의 가장 두드러진 피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이하의 d-값 및 강도를 나타내는 X-선 분말 회절 패턴(도 4 참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크의 상대 강도는 테스트 샘플의 배향 및 사용되는 기기의 유형 및 셋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X-선 분말 회절 기록에서의 강도가 예시적이며 절대적 비교를 위해 사용될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Figure pct00042
강도 및 Bragg 식으로부터 계산된 d-값으로 확인되는 피크는 D형의 회절도로부터 추출되었다. 상대 강도는 임의의 발산 슬릿 변환 없이 추정되었고 다양한 슬릿을 가지고 측정한 회절도로부터 유도된다.
실시예 5의 별법 제조: 실시예 5E
대략적인 양의 공지된 B형의 (1r,4r)-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약 10 mg)을 분말 x-선 회절도에 맞는 온도 챔버에서 242℃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생성되는 고체의 PXRD는 E형을 나타내었고, 이것은 260∼300℃의 융점 개시를 가졌다. 반복 실험은 상기 고체를 240℃ 초과의 온도로 가열할 때 동일한 형태가 수득됨을 나타내었다. 이 물질(E형), 본 조사에 따르면, 표 E에 나타낸 10 개의 가장 두드러진 피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이하의 d-값 및 강도를 나타내는 X-선 분말 회절 패턴(도 5 참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크의 상대 강도는 테스트 샘플의 배향 및 사용되는 기기의 유형 및 셋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X-선 분말 회절 기록에서의 강도가 예시적이며 절대적 비교를 위해 사용될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Figure pct00043
강도 및 Bragg 식으로부터 계산된 d-값으로 확인되는 피크는 E형의 회절도로부터 추출되었다. 상대 강도는 임의의 발산 슬릿 변환 없이 추정되었고 다양한 슬릿을 가지고 측정한 회절도로부터 유도된다.
실시예 5의 별법 제조: 실시예 5F
수산화나트륨(5850 ml, 11700.06 mmol)을 30분에 걸쳐 20℃에서 에탄올(20 부피%)(22860 ml) 중 중간체 5-1(1143 g, 2340.01 mmol)에 한방울씩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황색/녹색 용액을 20℃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출발 물질이 없음을 나타내었고, 반응 온도를 20℃에서 유지하면서 상기 황색 용액에 pH 4.7(10000 ml)까지 1M 시트르산을 첨가하였으며, 슬러리를 여과하고, 에탄올(4500 ml, 4 부피), 물(28000 ml, 25 부피)로 세정하였다. 백색 고체를 일정한 중량까지 P2O5 상에서 진공 오븐에서 50℃에서 건조시켰다. (1r,4r)-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969 g, 90%)이 백색 고체로서 수득되었다.
HPLC 분석은 순도 99.3%를 나타내었다. 상기 고체의 PXRD는 F형을 나타내었고, 이것은 280∼310℃의 용융 개시를 가졌다. XRPD 분석은 이 물질이 본 조사에 따르면 표 F에 나타낸 14 개의 가장 두드러진 피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이하의 d-값 및 강도를 나타내는 X-선 분말 회절 패턴(도 6 참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을 나타내었다. 피크의 상대 강도는 테스트 샘플의 배향 및 사용되는 기기의 유형 및 셋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X-선 분말 회절 기록에서의 강도가 예시적이며 절대적 비교를 위해 사용될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Figure pct00044
강도 및 Bragg 식으로부터 계산된 d-값으로 확인되는 피크는 F형의 회절도로부터 추출되었다. 상대 강도는 임의의 발산 슬릿 변환 없이 추정되었고 다양한 슬릿을 가지고 측정한 회절도로부터 유도된다.
실시예 5G: (1r,4r)-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나노현탁액
B형 나노현탁액의 제조에 사용되는 비히클은 탈이온수 중 폴리비닐피롤리돈(0.67% w/v)/에어로졸 OT(0.033% w/v)/만니톨(5% w/v)이었다. 사용되는 비히클은 일반적으로 이하의 방식(예컨대 100 ml)으로 제조된다: 폴리비닐피롤리돈(0.67 g, BASF사의 Kollidone 25 등급), 에어로졸 OT-100(0.033 g, Cydex Industries사의 나트륨 디옥틸 설포숙시네이트) 및 만니톨(5 g)을 용량 플라스크에 계량해 넣었다. 탈이온수(약 70 ml)를 첨가하고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초음파 처리하였다. 탈이온수로 부피를 만들어 탈이온수 중 폴리비닐피롤리돈(0.67% w/v), 에어로졸 OT(0.033% w/v) 및 만니톨(5% w/v)을 함유하는 용액을 생성하였다.
최종 농도의 현탁액 중 약물을 얻기에 필요한 양의 화합물을 적당한 용기에 계량해 넣고 소량의 비히클을 첨가하여 상기 화합물을 습윤시켰다. 생성되는 슬러리를 초음파 처리에 의하여 혼합하였다.
B형의 나노현탁액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밀링하였다(나노현탁액 제조). 생성되는 나노현탁액의 XRPD 분석은 이 물질이 본 조사에 따르면 표 G에 나타낸 10 개의 가장 두드러진 피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이하의 d-값 및 강도를 나타내는 X-선 분말 회절 패턴(도 7 참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크의 상대 강도는 테스트 샘플의 배향 및 사용되는 기기의 유형 및 셋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X-선 분말 회절 기록에서의 강도가 예시적이며 절대적 비교를 위해 사용될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Figure pct00045
강도 및 Bragg 식으로부터 계산된 d-값으로 확인되는 피크는 이 나노현탁액의 회절도로부터 추출되었다. 상대 강도는 임의의 발산 슬릿 변환 없이 추정되었고 다양한 슬릿을 가지고 측정한 회절도로부터 유도된다.
별법 제조: 실시예 5H
D형 나노현탁액의 제조에 사용되는 비히클은 탈이온수 중 폴리비닐피롤리돈(0.67% w/v)/에어로졸 OT(0.033% w/v)/만니톨(5% w/v)이었다. 비히클 제조 설명에 관해서는 실시예 5G 참조.
최종 농도의 현탁액 중 약물을 얻기에 필요한 양의 화합물을 적당한 용기에 계량해 넣고 소량의 비히클을 첨가하여 상기 화합물을 습윤시켰다. 생성되는 슬러리를 초음파 처리에 의하여 혼합하였다.
D형의 나노현탁액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밀링하였다(나노현탁액 제조). 생성되는 나노현탁액의 XRPD 분석은 이 물질이 본 조사에 따르면 표 H에 나타낸 10 개의 가장 두드러진 피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이하의 d-값 및 강도를 나타내는 X-선 분말 회절 패턴(도 8 참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크의 상대 강도는 테스트 샘플의 배향 및 사용되는 기기의 유형 및 셋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X-선 분말 회절 기록에서의 강도가 예시적이며 절대적 비교를 위해 사용될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Figure pct00046
강도 및 Bragg 식으로부터 계산된 d-값으로 확인되는 피크는 이 나노현탁액의 회절도로부터 추출되었다. 상대 강도는 임의의 발산 슬릿 변환 없이 추정되었고 다양한 슬릿을 가지고 측정한 회절도로부터 유도된다.
별법 제조: 실시예 5I
F형 나노현탁액의 제조에 사용되는 비히클은 탈이온수 중 폴리비닐피롤리돈(0.67% w/v)/에어로졸 OT(0.033% w/v)/만니톨(5% w/v)이었다. 비히클 제조 설명에 관해서는 실시예 5G 참조.
최종 농도의 현탁액 중 약물을 얻기에 필요한 양의 화합물을 적당한 용기에 계량해 넣고 소량의 비히클을 첨가하여 상기 화합물을 습윤시켰다. 생성되는 슬러리를 초음파 처리에 의하여 혼합하였다.
F형의 나노현탁액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밀링하였다(나노현탁액 제조). 생성되는 나노현탁액의 XRPD 분석은 이 물질이 본 조사에 따르면 표 I에 나타낸 10 개의 가장 두드러진 피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이하의 d-값 및 강도를 나타내는 X-선 분말 회절 패턴(도 9 참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크의 상대 강도는 테스트 샘플의 배향 및 사용되는 기기의 유형 및 셋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X-선 분말 회절 기록에서의 강도가 예시적이며 절대적 비교를 위해 사용될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Figure pct00047
강도 및 Bragg 식으로부터 계산된 d-값으로 확인되는 피크는 이 나노현탁액의 회절도로부터 추출되었다. 상대 강도는 임의의 발산 슬릿 변환 없이 추정되었고 다양한 슬릿을 가지고 측정한 회절도로부터 유도된다.
실시예 5J: 수중에서 (1r,4r)-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B형의 밀링
B형의 나노현탁액의 제조에 사용되는 비히클은 순수한 탈이온수였다.
최종 농도의 현탁액 중 약물을 얻기에 필요한 양의 화합물을 적당한 용기에 계량해 넣고 소량의 비히클을 첨가하여 상기 화합물을 습윤시켰다. 생성되는 슬러리를 초음파 처리에 의하여 혼합하였다.
B형의 나노현탁액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밀링하였다(나노현탁액 제조). 생성되는 현탁액의 XRPD 분석은 이 물질이 본 조사에 따르면 표 J에 나타낸 10 개의 가장 두드러진 피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이하의 d-값 및 강도를 나타내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크의 상대 강도는 테스트 샘플의 배향 및 사용되는 기기의 유형 및 셋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X-선 분말 회절 기록에서의 강도가 예시적이며 절대적 비교를 위해 사용될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Figure pct00048
강도 및 Bragg 식으로부터 계산된 d-값으로 확인되는 피크는 이 현탁액의 회절도로부터 추출되었다. 상대 강도는 임의의 발산 슬릿 변환 없이 추정되었고 다양한 슬릿을 가지고 측정한 회절도로부터 유도된다.
실시예 5K: 수중에서 (1r,4r)-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D형의 밀링
D형의 현탁액의 제조에 사용되는 비히클은 순수한 탈이온수였다.
최종 농도의 현탁액 중 약물을 얻기에 필요한 양의 화합물을 적당한 용기에 계량해 넣고 소량의 비히클을 첨가하여 상기 화합물을 습윤시켰다. 생성되는 슬러리를 초음파 처리에 의하여 혼합하였다. D형의 현탁액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밀링하였다(나노현탁액 제조). 생성되는 현탁액의 XRPD 분석은 이 물질이 본 조사에 따르면 표 K에 나타낸 10 개의 가장 두드러진 피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이하의 d-값 및 강도를 나타내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크의 상대 강도는 테스트 샘플의 배향 및 사용되는 기기의 유형 및 셋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X-선 분말 회절 기록에서의 강도가 예시적이며 절대적 비교를 위해 사용될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Figure pct00049
강도 및 Bragg 식으로부터 계산된 d-값으로 확인되는 피크는 이 현탁액의 회절도로부터 추출되었다. 상대 강도는 임의의 발산 슬릿 변환 없이 추정되었고 다양한 슬릿을 가지고 측정한 회절도로부터 유도된다.
실시예 5L: (1r,4r)-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의 나트륨염의 제조
유리병에 (1r,4r)-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5.7 mg) 및 THF(4 ml)를 첨가하였다. 수산화나트륨을 1:1 염:현탁액 비로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건조 물질이 얻어질 때까지 정치시켰다. 라만 현미경 검사, 열분석 및 분말 X-선 회절은 염 형성을 나타내었다. 생성되는 물질의 XRPD 분석은 이 물질이 본 조사에 따르면 표 L에 나타낸 15 개의 가장 두드러진 피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이하의 d-값 및 강도를 나타내는 X-선 분말 회절 패턴(도 10 참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크의 상대 강도는 테스트 샘플의 배향 및 사용되는 기기의 유형 및 셋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X-선 분말 회절 기록에서의 강도가 예시적이며 절대적 비교를 위해 사용될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Figure pct00050
강도 및 Bragg 식으로부터 계산된 d-값으로 확인되는 피크는 이 염의 회절도로부터 추출되었다. 상대 강도는 임의의 발산 슬릿 변환 없이 추정되었고 다양한 슬릿을 가지고 측정한 회절도로부터 유도된다.
실시예 5M: (1r,4r)-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의 마그네슘염의 제조
유리병에 (1r,4r)-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5.7 mg)및 THF(4 ml)를 첨가하였다. 수산화마그네슘을 1:1 염:물질 비로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건조 물질이 얻어질 때까지 정치시켰다. 라만 현미경 검사, 열분석 및 분말 X-선 회절은 염 형성을 나타내었다. 생성되는 물질의 XRPD 분석은 본 조사에 따르면 표 M에 나타낸 10 개의 가장 두드러진 피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이하의 d-값 및 강도를 나타내는 X-선 분말 회절 패턴(도 11 참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크의 상대 강도는 테스트 샘플의 배향 및 사용되는 기기의 유형 및 셋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X-선 분말 회절 기록에서의 강도가 예시적이며 절대적 비교를 위해 사용될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Figure pct00051
강도 및 Bragg 식으로부터 계산된 d-값으로 확인되는 피크는 이 염의 회절도로부터 추출되었다. 상대 강도는 임의의 발산 슬릿 변환 없이 추정되었고 다양한 슬릿을 가지고 측정한 회절도로부터 유도된다.
실시예 6: (1r,4r)-4-(3-플루오로-4-(5-(2,4,5-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Figure pct00052
MeOH(10 mL) 및 THF(5 mL) 중 중간체 6-1(0.400 g, 0.79 mmol)의 현탁액에 2N 수산화나트륨(1.975 mL, 3.95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밤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2M HCl로 수성 잔류물을 pH로 조절하였다.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고, 물(10 mL)로 세정하여 소정 생성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비등하는 AcOH 빙초산(10 mL)으로부터 재결정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157 g, 41.5%)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δ 1.39 - 1.53 (4H, m), 1.79 - 1.88 (2H, m), 1.97 - 2.02 (2H, m), 2.23 - 2.31 (1H, m), 2.51 - 2.57 (1H, m), 7.10 (1H, d), 7.18 (1H, d), 7.44 (1H, t), 7.66 - 7.73 (1H, m), 8.11 - 8.20 (1H, m), 10.68 (1H, s), 11.06 (1H, s), 12.01 (1H, s); m/z (M+H)+ 479.
중간체 6-1: (1r,4r)-에틸 4-(3-플루오로-4-(5-(2,4,5-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53
DMF(10 mL) 중 중간체 1-2(278 mg, 0.79 mmol)의 용액에 2,4,5-트리플루오로페닐 이소티오시아네이트(150 mg, 0.79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45℃에서 45분 동안 교반하고,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220 mg, 1.15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5℃에서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물(10 mL)을 첨가하고,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여, 물(10 mL)로 세정하고 공기 건조시켜 소정 생성물(401 mg, 100%)을 황색 고체로서 얻고, 이것을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1.18 (3H, t), 1.44 - 1.52 (4H, m), 1.82 - 1.87 (2H, m), 1.96 - 2.02 (2H, m), 2.31 - 2.40 (1H, m), 2.54 - 2.60 (1H, m), 4.06 (2H, q), 7.10 (1H, d), 7.17 (1H, d), 7.43 (1H, t), 7.65 - 7.73 (1H, m), 8.11 - 8.19 (1H, m), 10.68 (1H, s), 11.04 (1H, s); m/z (M+H)+ 507.
실시예 7: (1s,4s)-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Figure pct00054
MeOH(10 mL) 및 THF(5 mL) 중 중간체 7-1(0.361 g, 0.74 mmol)의 현탁액에 2N 수산화나트륨(1.850 mL, 3.70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밤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2M HCl로 수성 잔류물을 pH 2로 조절하였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건조하여 소정 생성물을 얻었다. 이것을 비등하는 AcOH 빙초산(10 mL)으로부터 재결정하고, 용액을 서서히 냉각시키고 현탁액을 여과 및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0.150 g, 44.0%)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δ 1.51 - 1.64 (4H, m), 1.67 - 1.73 (2H, m), 2.06 - 2.12 (2H, m), 2.58 - 2.64 (2H, m), 7.05 (1H, d), 7.10 (1H, d), 7.31 - 7.36 (1H, m), 7.43 - 7.48 (2H, m), 7.65 - 7.71 (1H, m), 10.66 (1H, s), 11.23 (1H, s), 12.07 (1H, s); m/z (M+H)+ 461.
중간체 7-1: (1s,4s)-에틸 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55
DMF(10 mL) 중 중간체 7-2(260 mg, 0.74 mmol)의 용액에 3,4-디플루오로페닐 이소티오시아네이트(152 mg, 0.89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45℃에서 45분 동안 교반하고,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206 mg, 1.07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5℃에서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물(10 mL)을 첨가하고,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여, 물(10 mL)로 세정하고 공기 건조시켜 소정 생성물(361 mg, 100%)을 황색 고체로서 얻고, 이것을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1.21 (3H, t), 1.45 - 1.75 (6H, m), 2.07 - 2.12 (2H, m), 2.57 - 2.64 (1H, m), 2.69 - 2.72 (1H, m), 4.12 (2H, q), 7.04 - 7.13 (2H, m), 7.31 - 7.36 (1H, m), 7.43 - 7.51 (2H, m), 7.65 - 7.71 (1H, m), 10.67 (1H, s), 11.22 (1H, s); m/z (M+H)+ 489.
중간체 7-2: (1s,4s)-에틸 4-(3-플루오로-4-(2-히드라지닐-2-옥소아세트아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56
에탄올(30 mL) 중 중간체 7-3(755 mg, 2.15 mmol)의 용액에 히드라진 일수화물(0.115 mL, 2.36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현탁액을 상온에서 6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755 mg, 100%)을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δ 1.20 (3H, t), 1.46 - 1.72 (6H, m), 2.05 - 2.11 (2H, m), 2.54 - 2.62 (1H, m), 2.66 - 2.73 (1H, m), 4.12 (2H, q), 7.03 (1H, d), 7.09 (1H, d), 7.56 (1H, t); NH 양성자 관찰안됨. m/z (M+H)+ 352.
중간체 7-3: (1s,4s)-에틸 4-(3-플루오로-4-(2-메톡시-2-옥소아세트아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57
DCM(20 mL) 중 중간체 7-4(674 mg, 2.54 mmol)의 용액에 피리딘(0.246 mL, 3.05 mmol) 및 메틸 옥살릴 클로라이드(0.304 mL, 3.30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50 mL)으로 희석하고, 포화 염수(50 mL)로 세정하고, 유기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755 mg, 85%)을 황색 검으로서 얻고, 이것을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28 (3H, t), 1.60 - 1.80 (6H, m), 2.22 - 2.27 (2H, m), 2.50 - 2.58 (1H, m), 2.67 - 2.70 (1H, m), 3.97 (3H, s), 4.19 (2H, q), 6.97 - 7.02 (2H, m), 8.22 (1H, t), 8.99 (1H, s); m/z (M+Na)+ 374.
중간체 7-4: (1s,4s)-에틸 4-(4-아미노-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58
디옥산(15.02 mL, 60.06 mmol) 중 4M 염화수소를 1,4-디옥산(5 mL) 중 중간체 1-6(4.39 g, 12.01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상온에서 9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불완전하여 추가의 디옥산(6 mL, 24 mmol) 중 4M 염화수소를 첨가하고 용액을 상온에서 추가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2M NaOH로 혼합물을 pH 10으로 조절하고 EtOAc(2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증발시켜 (1s,4s)-에틸 4-(4-아미노-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3.19 g, 100%)를 갈색 검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1.28 (3H, t), 1.52 - 1.66 (4H, m), 1.69 - 1.74 (2H, m), 2.17 - 2.24 (2H, m), 2.41 - 2.47 (1H, m), 2.64 - 2.66 (1H, m), 3.57 (2H, s), 4.18 (2H, q), 6.67 - 6.71 (1H, m), 6.75 - 6.84 (2H, m); m/z (M+H)+ 266.
실시예 8: (1s,4s)-4-(3-플루오로-4-(5-(2,4,5-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Figure pct00059
TFA(100 mL)를 중간체 8-1(7.15 g, 13.38 mmol)에 첨가하고 생성되는 용액을 0℃에서 5분 동안 교반한 다음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에테르(100 mL)로 슬러리화하고 혼합물을 농축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상기 미정제 생성물을 비등하는 MeCN(90 mL)에 현탁시키고 현탁액을 여과 및 진공 건조하여 4.83 g의 소정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액을 농축하고 DCM 중 0∼3% MeOH 용리 구배로 플래쉬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한 다음 비등하는 MeCN(~7 mL)에 현탁시키고, 여과 및 건조하여 추가의 487 mg의 소정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샘플을 합하여 (1s,4s)-4-(3-플루오로-4-(5-(2,4,5-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83%)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δ 1.50 - 1.64 (4H, m), 1.70 - 1.76 (2H, m), 2.06 - 2.10 (2H, m), 2.59 - 2.65 (2H, m), 7.04 - 7.12 (2H, m), 7.45 (1H, t), 7.66 - 7.73 (1H, m), 8.12 - 8.19 (1H, m), 10.69 (1H, s), 11.05 (1H, s), 12.12 (1H, s); m/z (M+H)+ 478.
중간체 8-1: (1s,4s)-tert-부틸 4-(3-플루오로-4-(5-(2,4,5-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60
2,4,5-트리플루오로페닐 이소티오시아네이트(2.84 g, 14.99 mmol)를 DMF(60 mL) 중 (1s,4s)-tert-부틸 4-(3-플루오로-4-(2-히드라지닐-2-옥소아세트아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4.74 g, 12.49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45℃에서 45분 동안 교반하고,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3.47 g, 18.11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5℃에서 6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물(70 mL)을 첨가하고,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여, 물(50 mL)로 세정하고 건조시켜 (1s,4s)-tert-부틸 4-(3-플루오로-4-(5-(2,4,5-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6.09 g, 91%)를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δ 1.44 (9H, s), 1.46 - 1.63 (4H, m), 1.68 - 1.73 (2H, m), 2.04 - 2.07 (2H, m), 2.59 - 2.63 (2H, m), 7.03 - 7.10 (2H, m), 7.43 - 7.49 (1H, m), 7.65 - 7.73 (1H, m), 8.12 - 8.19 (1H, m), 10.69 (1H, s), 11.03 (1H, s); m/z (M+H)+ 535.
중간체 8-2: (1s,4s)-tert-부틸 4-(3-플루오로-4-(2-히드라지닐-2-옥소아세트아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61
에탄올(250 mL) 중 중간체 8-3(4.75 g, 12.52 mmol)의 교반 용액에 히드라진 일수화물(1.044 mL, 13.77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60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 건조하여 소정 생성물(1.98g)을 백색 고체로서 얻고, 여액을 3분의 2 정도 증발시키고 현탁액을 다시 여과하고, 제1 생성물과 합하고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4.74 g, 100%)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δ 1.40 - 1.43 (9H, m), 1.46 - 1.61 (4H, m), 1.67 - 1.70 (2H, m), 2.03 - 2.06 (2H, m), 2.55 - 2.59 (2H, m), 4.61 (2H, s), 7.00 - 7.08 (2H, m), 7.57 (1H, t), 10.08 (1H, s), 10.29 (1H, s); m/z (M-H)- 378.
중간체 8-3: (1s,4s)-tert-부틸 4-(3-플루오로-4-(2-메톡시-2-옥소아세트아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62
메틸 옥살릴 클로라이드(1.190 mL, 12.94 mmol)를 DCM(100 mL) 중 중간체 8-4(2.92 g, 9.95 mmol) 및 피리딘(0.965 mL, 11.94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N 시트르산(100 mL), 포화 염수(100 mL)로 순차적으로 세정하고 합한 수성상을 DCM(50 mL)으로 재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Mg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 및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3.78 g, 100%)을 담갈색 오일로서 얻었고, 이것은 정치시 고화되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1.48 (9H, s), 1.58 - 1.68 (4H, m), 1.70 - 1.78 (2H, m), 2.18 - 2.21 (2H, m), 2.50 - 2.55 (1H, m), 2.60 - 2.62 (1H, m), 3.98 (3H, s), 6.96 - 7.02 (2H, m), 8.23 (1H, t), 9.00 (1H, s); m/z (M+Na)+ 402.
중간체 8-4: (1s,4s)-tert-부틸 4-(4-아미노-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63
EtOAc(100 mL) 중 탄소상 10% 팔라듐(400 mg, 3.76 mmol) 및 중간체 8-5(4.85 g, 11.34 mmol)를 수소로 배출(3 사이클) 배출시킨 다음 상온에서 90분 동안 수소 벌룬 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 및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2.92 g, 88%)을 정치시 고화되는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1.48 (9H, s), 1.55 - 1.67 (4H, m), 1.71 - 1.73 (2H, m), 2.15 - 2.19 (2H, m), 2.35 - 2.45 (1H, m), 2.56 - 2.58 (1H, m), 6.67 - 6.71 (1H, m), 6.75 - 6.78 (1H, m), 6.80 - 6.84 (1H, m); NH2 관찰되지 않음; m/z (M+H)+ 294.
중간체 8-5: (1s,4s)-tert-부틸 4-(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64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tert-부틸 아세탈(15.58 mL, 65.15 mmol)을 톨루엔(200 mL) 중 중간체 8-6(6.05 g, 16.29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85℃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불완전하여 추가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tert-부틸 아세탈(6 mL, 32 mmol)을 첨가하고 용액을 85℃에서 추가로 16 시간 동안 (밤새) 교반하고, 추가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tert-부틸 아세탈(3 mL)을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얻고, 이것을 이소헥산 중 0∼20% EtOAc의 용리 구배로 플래쉬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4.15 g, 59.6%)을 담황색 검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1.48 (9H, s), 1.50 - 1.66 (4H, m), 1.68 - 1.76 (2H, m), 2.17 - 2.23 (2H, m), 2.46 - 2.51 (1H, m), 2.58 - 2.60 (1H, m), 5.21 (2H, s), 6.79 (1H, s), 6.88 - 6.91 (1H, m), 6.94 - 6.96 (1H, m), 7.31 - 7.42 (5H, m), 7.90 - 7.98 (1H, m); m/z (M+18) 445.
중간체 8-6: (1s,4s)-4-(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Figure pct00065
6M 염산(20.65 mL, 123.92 mmol)을 디옥산(85 mL) 중 중간체 8-7(9.90 g, 24.78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80℃에서 밤대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EtOAc(300 mL)로 희석하고, 포화 염수(200 mL)로 세정하고, 수성층을 EtOAc(200 mL)로 재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Mg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 및 증발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이소헥산 중 0∼50% EtOAc의 용리 구배로 플래쉬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6.22 g, 67.6%)을 백색 고체로서 얻고 이것을 밤새 더 진공 건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1.46 - 1.61 (4H, m), 1.65 - 1.70 (2H, m), 2.05 - 2.08 (2H, m), 2.54 - 2.61 (2H, m), 5.13 (2H, s), 6.95 - 7.01 (2H, m), 7.30 - 7.42 (5H, m), 7.48 (1H, t), 9.28 (1H, s), 12.10 (1H, s); m/z (M-H)- 370.
중간체 8-7: (1s,4s)-에틸 4-(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66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4.63 mL, 32.40 mmol)를 질소 하에 상온에서 DCM (52 mL) 중 DIPEA(10.26 mL, 58.92 mmol) 및 중간체 7-4(8.89 g, 29.46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용액을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50 mL)으로 희석하고, 포화 염수(75 mL), 1N 시트르산(75 mL) 및 포화 염수(75 mL)로 순차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증발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이소헥산 중 0∼20% EtOAc의 용리 구배로 플래쉬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9.90 g, 84%)을 정치시 고화되는 담황색 오일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1.28 (3H, t), 1.57 - 1.67 (4H, m), 1.71 - 1.77 (2H, m), 2.19 - 2.25 (2H, m), 2.47 - 2.53 (1H, m), 2.66 - 2.67 (1H, m), 4.18 (2H, q), 5.21 (2H, s), 6.80 (1H, s), 6.88 - 6.92 (1H, m), 6.95 (1H, s), 7.31 - 7.42 (5H, m), 7.95 (1H, t); m/z (M+Na)+ 422.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67
       
    식 중, n은 0, 1, 2 또는 3이고, R은 독립적으로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트리플루오로메틸, 메톡시, 디플루오로메톡시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에서 선택되며, Z는 카르복시 또는 이의 유사체 또는 생동등체(bioisostere), 히드록실, 히드록시메틸 또는 -CONRbRc인데, 여기서, Rb 및 Rc는 독립적으로 수소 및 (1-4C)알킬에서 선택되고, 상기 (1-4C)알킬 기는 임의로 카르복시 또는 이의 유사체 또는 생동등체에 의하여 치환될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68

    식 중, n 및 R은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3.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69

    식 중, n 및 R은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이 2 또는 3이고 R이 플루오로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5. 제1항에 있어서,
    (1r,4r)-4-(3-플루오로-4-(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1r,4r)-4-(4-(5-(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1r,4r)-4-(3-플루오로-4-(5-(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1r,4r)-4-(4-(5-(3-클로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1r,4r)-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1r,4r)-4-(3-플루오로-4-(5-(2,4,5-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1s,4s)-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및
    (1s,4s)-4-(3-플루오로-4-(5-(2,4,5-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또는 이들 중 임의의 것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D)의 화합물 (1r,4r)-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70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D)의 화합물 (1r,4r)-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Figure pct00071
  8. 제1항에 있어서, 약 2-θ = 16.2° 및 27.6°에서 특정 피크를 갖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r,4r)-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9. 제1항에 있어서,
    (a) 17.3, 5.2 및 3.66Å;
    (b) 5.5, 13.3, 3.50, 3.33 및 6.6Å;
    (c) 4.72, 5.1, 3.45, 3.43 및 15.6Å;
    (d) 4.78, 3.38, 4.12, 5.29, 6.2, 3.7 및 21.6Å;
    (e) 3.75, 4.43 및 14.2Å 또는
    (f) 13.8, 5.5, 3.48 및 3.22Å
    의 d-값에서 특정 피크를 갖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에서 선택되는 형태의 화합물 (1r,4r)-4-(4-(5-(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1,3,4-옥사디아졸-2-카르복사미도)-3-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10.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1. 제10항에 있어서, 인간과 같은 온혈 동물에서 당뇨병 및/또는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2. 인간과 같은 온혈 동물에서 DGAT-1 활성 억제의 생성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13. 인간과 같은 온혈 동물에서 당뇨병 및/또는 비만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제12항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14. 당뇨병 및/또는 비만의 치료가 필요한 인간과 같은 온혈 동물에게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동물에서 당뇨병 및/또는 비만의 치료 방법.
  15.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117016778A 2008-12-19 2009-12-17 1,3,4-옥사디아졸 유도체 및 당뇨병의 치료를 위한 이의 용도 KR201101029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03208P 2008-12-19 2008-12-19
US61/139,032 2008-1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910A true KR20110102910A (ko) 2011-09-19

Family

ID=42268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6778A KR20110102910A (ko) 2008-12-19 2009-12-17 1,3,4-옥사디아졸 유도체 및 당뇨병의 치료를 위한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00184813A1 (ko)
EP (1) EP2379516A1 (ko)
JP (1) JP2012512860A (ko)
KR (1) KR20110102910A (ko)
CN (1) CN102395572A (ko)
AR (1) AR074807A1 (ko)
AU (1) AU2009329345A1 (ko)
BR (1) BRPI0924669A2 (ko)
CA (1) CA2747306A1 (ko)
MX (1) MX2011006672A (ko)
RU (1) RU2011121300A (ko)
TW (1) TW201024271A (ko)
UY (1) UY32343A (ko)
WO (1) WO20100703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33806A1 (en) * 2004-12-14 2007-09-19 AstraZeneca AB Oxadiazole derivatives as dgat inhibitors
US7749997B2 (en) * 2005-12-22 2010-07-06 Astrazeneca Ab Pyrimido [4,5-B] -Oxazines for use as DGAT inhibitors
US8084478B2 (en) * 2006-05-30 2011-12-27 Asstrazeneca Ab Substituted 5- phenylamino- 1, 3, 4-oxadiazol-2-ylcarbonylamino-4-phenoxy-cyclohexane carboxylic acid as inhibitors of acetyl coenzyme A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US8003676B2 (en) * 2006-05-30 2011-08-23 Astrazeneca Ab 1,3,4-oxadiazole derivatives as DGAT1 inhibitors
AU2007255180B2 (en) * 2006-06-08 2011-02-03 Astrazeneca Ab Benzimidazoles and their use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US20100153235A1 (en) * 2007-06-30 2010-06-17 Responselogix, Inc. Alternative selections for compound price quoting
US20110092547A1 (en) * 2007-08-17 2011-04-21 Alan Martin Birch Chemical compounds 979
NZ586104A (en) 2007-12-20 2012-02-24 Astrazeneca Ab Carbamoyl compounds as dgat1 inhibitors 190
UY32716A (es) * 2009-06-19 2011-01-31 Astrazeneca Ab Compuestos de pirazina carboxamida útiles para el tratamiento de diabetes y obesidad
FR2963005B1 (fr) * 2010-07-23 2012-08-17 Sanofi Aventis Derives d'oxadiazoles et de pyridazines,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WO2013055910A1 (en) 2011-10-12 2013-04-18 Arena Pharmaceuticals, Inc. Modulators of the gpr119 receptor and the treatment of disorders related thereto
WO2014074668A1 (en) 2012-11-08 2014-05-15 Arena Pharmaceuticals, Inc. Modulators of gpr119 and the treatment of disorders related thereto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5989A (en) * 1962-12-15 1966-04-12 Acraf 3-aminophenyl-5-aminoloweralkyl-1, 2, 4-oxadiazoles
US4983731A (en) * 1989-03-17 1991-01-08 Nebraska Department Of Economic Development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sugar esters
US5491172A (en) * 1993-05-14 1996-02-13 Warner-Lambert Company N-acyl sulfamic acid esters (or thioesters), N-acyl sulfonamides, and N-sulfonyl carbamic acid esters (or thioesters) as hypercholesterolemic agents
US20030167483A1 (en) * 1998-06-24 2003-09-04 Farese Robert V. Diacylglycerol O-acyltransferase
US6608185B1 (en) * 1999-03-25 2003-08-19 Kitasato Institute Substances KF-1040T4A,KF-1040T4B, KF-1040T5A, and KF-1040T5B,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GB0021670D0 (en) * 2000-09-04 2000-10-18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CA2369967A1 (en) * 2001-02-12 2002-08-12 Joseph Anthony Cornicelli Methods of treating nuclear factor-kappa b mediated diseases and disorders
MXPA04001850A (es) * 2001-08-31 2004-06-15 Aventis Pharma Gmbh Derivados de diarilcicloalquilo, procedimientos para su preparacion y su utilizacion como agentes activadores de ppar.
FR2840301B1 (fr) * 2002-05-29 2007-03-23 Sanofi Synthelabo Derives de phenyl-cyclohexyl-propanolamine,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on en therapeutique
BR0312697A (pt) * 2002-07-12 2005-04-26 Aventis Pharma Gmbh Benzoiluréias substituìdas heterociclicamente, processo para a sua preparação e sua aplicação como medicamento
JP2007501801A (ja) * 2003-08-07 2007-02-0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ピロロ[1,2−b]ピリダジン誘導体
GB0325192D0 (en) 2003-10-29 2003-12-03 Astrazeneca Ab Method of use
EP1764360A4 (en) * 2004-07-02 2010-08-11 Sankyo Co UREA DERIVATIVE
EP1833806A1 (en) 2004-12-14 2007-09-19 AstraZeneca AB Oxadiazole derivatives as dgat inhibitors
US20090048258A1 (en) * 2005-02-01 2009-02-19 Masaki Ogino Amide Compound
JP2008543747A (ja) * 2005-06-11 2008-12-04 アストラゼネカ アクチボラグ Dgat阻害剤としてのオキサジアゾール誘導体
KR20080063865A (ko) * 2005-11-28 2008-07-07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다이아실글리세롤 아실전이효소(dgat)의 저해제
US7749997B2 (en) * 2005-12-22 2010-07-06 Astrazeneca Ab Pyrimido [4,5-B] -Oxazines for use as DGAT inhibitors
US8003676B2 (en) * 2006-05-30 2011-08-23 Astrazeneca Ab 1,3,4-oxadiazole derivatives as DGAT1 inhibitors
US8084478B2 (en) * 2006-05-30 2011-12-27 Asstrazeneca Ab Substituted 5- phenylamino- 1, 3, 4-oxadiazol-2-ylcarbonylamino-4-phenoxy-cyclohexane carboxylic acid as inhibitors of acetyl coenzyme A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JP2009539816A (ja) * 2006-06-06 2009-11-19 アストラゼネカ アクチボラグ 化学化合物
AU2007255180B2 (en) * 2006-06-08 2011-02-03 Astrazeneca Ab Benzimidazoles and their use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GB0611507D0 (en) * 2006-06-10 2006-07-19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GB0611506D0 (en) * 2006-06-10 2006-07-19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US7569590B2 (en) * 2006-09-19 2009-08-0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Use of thianecarboxamides as dgat inhibitors
GB0707662D0 (en) * 2007-04-20 2007-05-30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US8058299B2 (en) * 2007-05-22 2011-11-15 Via Pharmaceuticals, Inc.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inhibitors
NZ586104A (en) * 2007-12-20 2012-02-24 Astrazeneca Ab Carbamoyl compounds as dgat1 inhibitors 19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12860A (ja) 2012-06-07
AR074807A1 (es) 2011-02-16
BRPI0924669A2 (pt) 2016-01-26
WO2010070343A1 (en) 2010-06-24
MX2011006672A (es) 2011-07-20
TW201024271A (en) 2010-07-01
EP2379516A1 (en) 2011-10-26
CN102395572A (zh) 2012-03-28
AU2009329345A1 (en) 2011-06-30
UY32343A (es) 2010-07-30
RU2011121300A (ru) 2013-01-27
CA2747306A1 (en) 2010-06-24
US20100184813A1 (en)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2910A (ko) 1,3,4-옥사디아졸 유도체 및 당뇨병의 치료를 위한 이의 용도
EP2041100B1 (en) Substituted 5- phenylamino- 1, 3, 4-oxadiaz0l-2-ylcarbonylamino-4-phenoxy-cyclohexane carboxylic acid as inhibitors of acetyl coenzyme a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EP2234978B1 (en) Carbamoyl compounds as dgat1 inhibitors 190
ES2359653T3 (es) Bencimidazoles y su uso para el tratamiento de la diabetes.
KR20090010092A (ko) Dgat1 억제제로서의 1,3,4-옥사디아졸 유도체
JP2009520786A (ja) Dgat阻害剤として使用するためのピリミド−[4,5−b]−オキサジン
US20110092547A1 (en) Chemical compounds 979
CA2653550A1 (en) Crystalline form of (trans-4- [( { 5-[(3,4-difluorophenyl) amino]-1,3,4-oxadiazol-2-yl}carbonyl)amino]phenyl}cyclohexyl) acetic acid
US8188092B2 (en) Substituted pyrazines as DGAT-1 inhibitors
WO2008129319A1 (en) Salts of oxadiazole derivatives as dgat inhib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