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2737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2737A
KR20110102737A KR1020100021901A KR20100021901A KR20110102737A KR 20110102737 A KR20110102737 A KR 20110102737A KR 1020100021901 A KR1020100021901 A KR 1020100021901A KR 20100021901 A KR20100021901 A KR 20100021901A KR 20110102737 A KR20110102737 A KR 20110102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ground
pad
mobile terminal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7714B1 (ko
Inventor
임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1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714B1/ko
Priority to EP10013895.7A priority patent/EP2320520B1/en
Priority to US12/910,649 priority patent/US8564495B2/en
Priority to CN201010537077.4A priority patent/CN102097675B/zh
Publication of KR20110102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에 내장되는 하이브리드 안테나가 개시된다. 하이브리드 안테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칩과, 상기 유전체칩의 제1면에 제1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게 형성된 제1방사패치, 및 상기 유전체칩의 제2면에 상기 제1방사패치를 급전시키기 위한 급전패드와 상기 급전패드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라운드 패드가 형성된 제1안테나; 및 상기 제1대역보다 높은 제2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급전패드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안테나와 하나의 급전패스를 통하여 급전되도록 구성된 제2안테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은 종합적으로 탑재되어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를 구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기술 방향은 회로 스위칭(circuit switching)에서 패킷(packet) 기반으로 많은 데이터 전송이 수반되는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3GPP2에서는 LTE 시스템 개발을 위한 회의가 계속되고 있고 이동 단말기 시장에서도 LTE&CDMA, CDMA_AWS Band가 추가된 형태의 이동 단말기, 다이버시티(Diversity)가 기본적으로 구현된 단말기 등을 요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LTE System은 MIMO 기술 구현을 위해 안테나를 추가하도록 하고 있고, CDMA_AWS Band cover를 위해 현재보다 더 큰 폼팩터(form factor)를 요구하거나, CDMA EVDO_A를 위해 Rx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추가하는 것을 권장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한된 공간에서 설치되는 안테나 간의 상호 커플링을 최소화하고 다이버시티를 구현하기 용이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테나의 소형화에 따라 수반될 수 있는 고가화 또는 성능의 저하를 최소화시키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말기 바디; 및 상기 단말기 바디에 내장될 수 있게 설치되며, 상이한 형태를 갖는 복수의 안테나가 조합된 하이브리드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안테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칩과, 상기 유전체칩의 제1면에 제1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게 형성된 제1방사패치, 및 상기 유전체칩의 제2면에 상기 제1방사패치를 급전시키기 위한 급전패드와 상기 급전패드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라운드 패드가 형성된 제1안테나; 및 상기 제1대역보다 높은 제2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급전패드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안테나와 하나의 급전패스를 통하여 급전되도록 구성된 제2안테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그라운드 패드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그라운드 연장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라운드 연장부는 상기 그라운드 패드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운드 패드는 상기 급전패드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그라운드 연장부는 상기 그라운드 패드들로부터 각각 연장된 후 하나의 면에서 만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안테나는 플렉시블 피씨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급전패스는 동축 케이블 또는 플렉시블 피씨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의 내부 형상에 맞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안테나 및 제2안테나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 바디의 제1위치에 배치되는 주안테나; 상기 제1위치와 이격된 상기 제1단말기 바디의 제2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주안테나의 다이버시티를 구현할 수 있게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안테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칩과, 상기 유전체칩의 제1면에 제1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게 형성된 제1방사패치, 및 상기 유전체칩의 제2면에 상기 제1방사패치를 급전시키기 위한 급전패드와 상기 급전패드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라운드 패드가 형성된 제1안테나; 및 상기 제1대역보다 높은 제2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급전패드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안테나와 하나의 급전패스를 통하여 급전되도록 구성된 제2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 의하면, 제1안테나는 패치형태로 되어 있는 반면, 제2안테나 제1안테나와는 별개의 형태로 된 것이므로, 저역대를 담당하는 제1안테나의 광대역화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안테나 및 제2안테나를 하나의 패치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고역대의 무선특성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안테나만을 패치형태로 구성하고 제2안테나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할 수 있는 플렉시블 피씨비 또는 프레스 타입의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테나의 설치공간면에서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패치 형태의 제1안테나는 이동 단말기 내의 주안테나에 대하여 다이버시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주안테나의 그라운드와는 분리된 것이므로 작은 이동 단말기 내에 설치되는 여러 안테나 사이의 무선특성의 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안테나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하이브리드 안테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하이브리드 안테나의 구체적인 일 예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하이브리드 안테나를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의 하이브리드 안테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다른 일 예의 하이브리드 안테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하이브리드 안테나가 적용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이동 단말기 내에 장착되는 안테나 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투영도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안테나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안테나 시스템(10)은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안테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이동통신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주안테나(20)와 주안테나(20)의 다이버시티를 구현할 수 있게 형성되는 제1안테나(30) 및 상대적으로 고역대에서 동작할 수 있게 구성되는 제2안테나(40)를 포함한다.
주안테나(20)는 회로기판(50)에 마련된 RF처리부(60)에 제1급전패스(21)에 의하여 급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제1안테나(30)와 제2안테나(40)는 주안테나(20)의 다이버시티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1안테나(20)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제1안테나(30)는 상대적으로 저역대(예: 대략 700~800MHz의 대역)를 담당하도록 구성된 반면, 제2안테나(40)는 상대적으로 고역대(예: 1900~2600 MHz의 대역)를 담당하는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안테나(30)에는 제1안테나(30)에 최적화된 제1급전부(31)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2안테나(40)에는 제2안테나(40)에 최적화된 제2급전부(41)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제1급전부(31)와 제2급전부(41)는 서로 다른 대역을 담당하는 제1안테나(30)의 신호와 제2안테나(40)의 신호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 예를 들어 다이플렉서(diplexer; 63) 또는 스위치에 의하여 한 곳에서 만난 후 제2급전패스(61)로 연결될 수 있다. 제2급전패스(61)와 다이플렉서(63) 사이에는 안테나단(30,40)과 RF처리부(6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모바일 스위치(62)가 구비된다. 구현의 면에 있어서 제1안테나(30) 및 제2안테나(40)의 특징은 도 2 이하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하이브리드 안테나(100)의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안테나(130) 및 제2안테나(140)는 적절한 지지체(101)를 통하여 모듈화된 일체(one body)를 구성하고 있다.
제1안테나(130)는 주로 저역대(예: 500MHz, LTE band 12, LTE band 13, LTE band 17, 850MHz, 900MHz 등)를 담당하는 것으로서, 광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패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안테나(140)는 주로 고역대(예: LTE band 4, LTE band 7, 1900MHz, WCDMA 2100MHz 등)를 담당하는 것으로서, 칩형태, 피씨비 형태 또는 프레스 타입(적절한 형상을 갖는 플라스틱 캐리어에 방사체가 될 도전성 금속 플레이트를 프레스 장착시킨 것을 말한다)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안테나(130)를 급전시키기 위한 제1급전부(131)와 제2안테나(40)를 급전시키기 위한 제2급전부(141)는 하나의 급전패스(161)로 합류되어 RF처리를 위한 회로기판 등으로 급전된다.
이와 같은 안테나 시스템은, 예를 들어 MIMO(Multi Input Multi Out)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으로서, 서로 다른 대역을 담당하면서도 각각 상이한 형태를 가진다는 점에서 '하이브리드 안테나'의 일종으로 여겨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지지체(101)는 제1안테나(130) 및 제2안테나(140)를 지지 또는 고정하기 위한 형상이나 구조(예: 후크, 스크루 조립홈) 또는 그들의 변형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체(101)는 이동 단말기 또는 무선모뎀 장치류의 내부환경에 맞도록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하이브리드 안테나의 구체적인 일 예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하이브리드 안테나를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이브리드 안테나(200)를 이루는 제1안테나(230)는 패치형태로 되어 있는 반면, 제2안테나(240)는 그가 갖는 급전선(241)이 제1안테나(230)의 급전패드(235)에 연결되고 있을 뿐 패치형태의 제1안테나(230)와는 별개의 형태로 되어 있다.
제1안테나(230)는 저역대(예: 500MHz, LTE band 12, LTE band 13, LTE band 17, 850MHz, 900MHz 등)에서 광대역을 구현이 용이하도록 유전체칩(231) 및 방사패치(232)를 포함한다. 방사패치(232)는 유전체칩(23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공진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특정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전체칩(231)은 안테나의 소형화를 위하여 수십 또는 그 이상의 고유전율(예: 10 ~ 80)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유전체칩(231)은 또한,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갖거나 동일한 유전율을 갖는 복수의 유전체층을 적층시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유전체층과 유전체층 사이에는 방사패치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전체층과 유전체층 사이에는 에어갭이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유전체칩(231)의 하면에는 그라운드 패드(233,234)와 급전패드(235)가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패드(233,234)는 제1안테나(30)가 기판에 견고하게 실장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방사패치(232)의 공진을 위한 충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그라운드 패드(233,234)는 도 3과 같이 유전체칩(231)의 하면 상에서 양 쪽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음을 볼 수 있다.
급전패드(235)는 두 그라운드 패드(233,234)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급전패드(235)와 방사패치(232)는 관통핀(23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안테나(230)는 저역대를 담당하면서도 넓은 대역을 확보하는데 적합하다.
패치 형태로 형성된 제1안테나(230)와 달리 제2안테나(240)는 모노폴 형태의 안테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조에 있어서 제2안테나(240)는 피씨비 형태, 프레스 타입 또는 에프피씨비(Flexibl PCB) 형태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급전선(241)에 의하여 제1안테나(30)의 급전패드(2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있다. 급전선(241)은 절연필름(242)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으며, 절연필름(242)에는 그라운드 금속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안테나(240)는 고역대를 담당하는 것으로 패치 형태의 제1안테나(230)에 적층된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적어도 4 dB 이상의 성능 향상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제2안테나(240)는 얇으면서도 이동 단말기 또는 무선모뎀 장치의 내부의 형상에 맞게 조절이 용이하므로 기존의 안테나 사이즈를 현저히 축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하이브리드 안테나의 측정결과의 일 예를 보인 것이다. 즉,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역대(중심주파수 기준 약 750MHz 부근)와 고역대(중심주파수 기준 약 1900MHz 부근)에서의 평균 이득은 -3 dB이내로서 양 대역 모두 이득이 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Freq.[GHz] Avg.[dBi]
0.746 -2.58
0.75 -2.88
0.756 -2.85
0.777 -3.08
0.782 -2.71
0.787 -2.87
0.824 -4.63
0.849 -5.42
0.869 -4.81
0.88 -4.7
0.894 -5.16
1.57 -17.25
1.575 -18.02
1.58 -17.35
1.85 -8.01
1.89 -4.68
1.91 -3.2
1.93 -1.29
1.96 -0.33
1.99 -1.55
제1안테나(230) 및 제2안테나(240)는 제1안테나(230)의 급전패드(235)에서 공통으로 연결된 후 하나의 급전선(261)에 의하여 급전된다. 즉, 본 발명과 관련된 일 특징으로써, 광대역을 제공하는 패치 형태의 제1안테나(230)와 고역대의 무선특성을 개선한 제2안테나(240)가 하나의 RF선로인 급전선(바람직하게는 동축케이블 또는 RF FPCB)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의 하이브리드 안테나(300)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다른 일 예의 하이브리드 안테나(400)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치 형태로 형성된 제1안테나(330,430)의 그라운드 패드(333,433,434)는 보다 그라운드 면적을 확장하기 위하여 특정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확장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는 그라운드 패드들(333,334) 중 하나의 패드(333)로부터 연장된 그라운드 연장부(337)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고, 도 6에서는 그라운드 패드들(433,434) 중 모두로부터 연장된 후 이들이 하나의 면에서 만난 형태의 그라운드 연장부(437)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그라운드 연장부(437)는 이동 단말기 등의 전자기기의 내부 환경에 맞게 적절한 모양이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라운드 연장부(437)에 의하여 확장된 그라운드는 제1안테나(430)의 대역폭을 더욱 넓힐 수 있다. 나아가, 그라운드 연장부(437)는 강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시킴으로 인해 이동 단말기가 갖는 기구물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구성 즉, 급전패드(335,435), 관통핀(336,436), 급전패스(361,461)는 앞의 도 3을 토대로 설명한 대응되는 구성들과 유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하이브리드 안테나가 적용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이동 단말기 내에 장착되는 안테나 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투영도이다.
도 7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는 '바(bar)' 타입의 단말기 바디(2)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도 7에 개시된 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개의 단말기 바디가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folder)'타입이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slide)' 타입 등 다른 타입이나 폼팩터(form factor)를 갖는 이동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단말기 바디(2)의 전면에는 제1조작부(8), 디스플레이부(3), 음향출력부(4), 영상입력부(5), 음향 입력부(9)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1조작부(8)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디스플레이부(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 페이퍼(e-paper), TOLED(Transparent OLED) 등을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다. 터치감지수단은 윈도우의 내부에 배치되는 투명전극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입력부(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입력부(9)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부(3) 및 음향출력부(4)는 단말기바디(2)의 다른 면(예: 단말기바디의 측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거나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의 측면에는 제2조작부(7), 인터페이스부(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조작부(7)는 제1조작부(8)와 더불어 제2조작부(7)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8)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과 같은 정보 또는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메뉴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7)는 스크롤 기능 외에 영상입력부(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6)는 이동 단말기(1)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도 8과 같이, 단말기바디(2)의 내부에는 앞에서 설명한 주안테나(20), 제1안테나(30) 및 제2안테나(40)가 내장된다.
주안테나(20)는 단말기바디(2)가 갖는 제1그라운드(51)와의 조합에 의하여 공진을 하게 되는 반면, 제1안테나(30)는 제1그라운드(51)와는 별개의 제2그라운드(37)와의 조합에 의하여 공진을 하게 된다. 여기서, 제1그라운드(51)는 메인회로기판에 형성되는 그라운드를 의미하며, 제2그라운드(37)는 앞에서 설명한 그라운드 패드(233,234,333,334,433,434) 또는 그라운드 패드로부터 연장하는 그라운드 연장부(337,437) 등이 이에 해당된다.
즉, 제1그라운드(51)와 제2그라운드(37)는 상호 분리된 형태로 되어 있어, 제1안테나(30) 및 제2안테나(40)는 주안테나(20)의 방사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으며, 반대로 주안테나(20) 역시 제1,2안테나(30,40)에 의하여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단말기 바디; 및
    상기 단말기 바디에 내장될 수 있게 설치되며, 상이한 형태를 갖는 복수의 안테나가 조합된 하이브리드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안테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칩과, 상기 유전체칩의 제1면에 제1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게 형성된 제1방사패치, 및 상기 유전체칩의 제2면에 상기 제1방사패치를 급전시키기 위한 급전패드와 상기 급전패드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라운드 패드가 형성된 제1안테나; 및
    상기 제1대역보다 높은 제2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급전패드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안테나와 하나의 급전패스를 통하여 급전되도록 구성된 제2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패드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그라운드 연장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연장부는 상기 그라운드 패드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패드는 상기 급전패드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그라운드 연장부는 상기 그라운드 패드들로부터 각각 연장된 후 하나의 면에서 만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테나는 플렉시블 피씨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패스는 동축 케이블 또는 플렉시블 피씨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의 내부 형상에 맞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안테나 및 제2안테나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8. 단말기 바디의 제1위치에 배치되는 주안테나;
    상기 제1위치와 이격된 상기 제1단말기 바디의 제2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주안테나의 다이버시티를 구현할 수 있게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안테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칩과, 상기 유전체칩의 제1면에 제1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게 형성된 제1방사패치, 및 상기 유전체칩의 제2면에 상기 제1방사패치를 급전시키기 위한 급전패드와 상기 급전패드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라운드 패드가 형성된 제1안테나; 및
    상기 제1대역보다 높은 제2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급전패드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안테나와 하나의 급전패스를 통하여 급전되도록 구성된 제2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패드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그라운드 연장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연장부는 상기 그라운드 패드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패드는 상기 급전패드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그라운드 연장부는 상기 그라운드 패드들로부터 각각 연장된 후 하나의 면에서 만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패드 및 그라운드 연장부는 상기 주안테나의 그라운드와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테나는 플렉시블 피씨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패스는 동축 케이블 또는 플렉시블 피씨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8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의 내부 형상에 맞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안테나 및 제2안테나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00021901A 2009-11-05 2010-03-11 이동 단말기 KR101667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901A KR101667714B1 (ko) 2010-03-11 2010-03-11 이동 단말기
EP10013895.7A EP2320520B1 (en) 2009-11-05 2010-10-22 Portable terminal
US12/910,649 US8564495B2 (en) 2009-11-05 2010-10-22 Portable terminal
CN201010537077.4A CN102097675B (zh) 2009-11-05 2010-11-05 便携式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901A KR101667714B1 (ko) 2010-03-11 2010-03-11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737A true KR20110102737A (ko) 2011-09-19
KR101667714B1 KR101667714B1 (ko) 2016-10-19

Family

ID=44954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901A KR101667714B1 (ko) 2009-11-05 2010-03-11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7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7382A1 (ko) * 2018-03-14 2019-09-19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120135A (ko) * 2017-12-28 2019-10-23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N112968273A (zh) * 2021-02-03 2021-06-1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天线结构以及终端设备
KR20210079262A (ko) * 2017-12-28 2021-06-29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US11710889B2 (en) 2018-03-14 2023-07-25 Dongwoo Fine-Chem Co., Ltd. Antenna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9642A1 (en) * 2005-06-17 2008-04-0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Antenna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90004235A (ko) * 2007-07-06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090012620A (ko) * 2007-07-30 2009-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20090121948A1 (en) * 2007-09-04 2009-05-14 Sierra Wireless, Inc. Antenna Configurations for Compact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9642A1 (en) * 2005-06-17 2008-04-0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Antenna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90004235A (ko) * 2007-07-06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090012620A (ko) * 2007-07-30 2009-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20090121948A1 (en) * 2007-09-04 2009-05-14 Sierra Wireless, Inc. Antenna Configurations for Compact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135A (ko) * 2017-12-28 2019-10-23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20210079262A (ko) * 2017-12-28 2021-06-29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WO2019177382A1 (ko) * 2018-03-14 2019-09-19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710889B2 (en) 2018-03-14 2023-07-25 Dongwoo Fine-Chem Co., Ltd. Antenna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2968273A (zh) * 2021-02-03 2021-06-1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天线结构以及终端设备
CN112968273B (zh) * 2021-02-03 2024-05-1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天线结构以及终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714B1 (ko)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4495B2 (en) Portable terminal
US8144063B2 (en) Antenna isol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887935B1 (ko)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US8754815B2 (en) Portable terminal and antenna device thereof
EP3332448B1 (en) Antenna arrangement for an electronic device
US7671804B2 (en) Tunable antennas for handheld devices
EP2100375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s with isolated antennas
KR101572037B1 (ko) 이동 단말기
US7298339B1 (en) Multiband multimode compact antenna system
KR101718032B1 (ko) 이동 단말기
US20150244063A1 (en)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2110887A (zh) 倒f天线和手持电子设备
KR101667714B1 (ko) 이동 단말기
EP4054005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5g antenna
KR101587133B1 (ko) 이동 단말기
KR101604715B1 (ko) 휴대 단말기
JP2010103662A (ja) 携帯無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