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656A - 배낭용 프레임과 그 프레임을 이용한 배낭 - Google Patents

배낭용 프레임과 그 프레임을 이용한 배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656A
KR20110101656A KR1020100020817A KR20100020817A KR20110101656A KR 20110101656 A KR20110101656 A KR 20110101656A KR 1020100020817 A KR1020100020817 A KR 1020100020817A KR 20100020817 A KR20100020817 A KR 20100020817A KR 20110101656 A KR20110101656 A KR 20110101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lastic block
backpack
longitudinal suppor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7825B1 (ko
Inventor
이도관
Original Assignee
이도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관 filed Critical 이도관
Priority to KR1020100020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825B1/ko
Publication of KR20110101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8Carrying-frames; Frames combined with sa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 A45F2003/127Dorsal or hip pads for the lumbar back or for the waist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에 사람의 등과 허리의 체형에 맞는 등받이를 설치시켜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편안함과 안락감을 높이는 동시에 프레임의 길이를 가변시켜 부피가 큰 배낭 또는, 보조백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배낭용 프레임과 그 프레임을 이용한 배낭에 관한 것으로서, 관을 구부려 양측 종지지부와 양측 종지지부의 상부에 횡지지부로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 양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횡지지부에 형성된 고정고리와, 상기 종지지부에 형성된 판체에 양단이 각각 설치되는 멜빵과 상기 양측 종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사용자의 등으로 받치도록 설치되는 등받이구로 구성시킴으로써, 프레임에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모두 수용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등과 허리체형에 맞도록 하고, 잦은 사용이나 기후의 영향으로 쿠션의 볼륨감 및 무게의 가중을 방지하며, 제품장착을 간편하게 하고, 한번 설치로 계속해서 사용이 가능하며, 파손된 부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배낭의 길이에 구애되지 않으며, 별도의 보조백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낭용 프레임 및 그 프레임에 장착되는 배낭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낭용 프레임과 그 프레임을 이용한 배낭{A knapsack that use frame and the frame for a knapsack}
본 발명은 배낭용 프레임과 그 프레임을 이용한 배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사람의 등과 허리의 체형에 맞는 등받이를 설치시켜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편안함과 안락감을 높이는 동시에 프레임의 길이를 가변시켜 부피가 큰 배낭 또는, 보조백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배낭용 프레임과 그 프레임을 이용한 배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낭은 여행, 등산, 등반, 또는 군에서 작전시에 필요한 소지품 및 장비와 같은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한 상태로 사용자의 등에 메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학생들의 가방으로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레포츠를 즐기는 사용자도 늘어남에 따라 기능성 및 착용감이 향상된 배낭을 선호하는 한편, 군부대에서 군장으로 사용되는 배낭 역시 현대전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기동성에 맞추어 군인들이 배낭을 메었을 때, 가볍고, 기능성 및 착용감을 향상시켜 군장이 수납 보관된 배낭을 메고, 산악이나 평지를 쉽게 행군할 수 있도록 기동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은 사용되는 종래의 배낭은, 대체로 가벼운 물건을 수납보관할 때 사용되도록 배낭과 멜빵으로 이루어진 형태와, 또는, 중량의 물건을 수납보관할 때 사용되는 배낭에는 프레임에 배낭을 설치시켜 사용되는데, 상기의 프레임은 배낭에 수납된 물건의 양에 상관없이 그 형태가 변하지 않도록 하여 무게가 고르게 사용자의 어깨와 등에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가벼운 물건을 수납하는 배낭은 사용자의 등이 닿는 부분에 쿠션을 넣어서 배낭과 일체로 형성시켜 사용되지만, 프레임을 사용하는 배낭은 프레임과 배낭의 이격되는 간격 때문에 프레임에 별도의 탈부착되는 등받이와 허리받이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의 탈부착용 등받이는 쿠션으로 사용되는 섬유 또는 스펀지가 내장되고, 다수의 조임끈을 이용해서 프레임과 결합시켜 사용하는데, 상기 등받이 및 허리받이는 오랜 기간을 사용하면 쿠션이 납작해지면서 볼륨감이 저하되고, 또한, 비나 눈에 의해 젖으면서 배낭의 무게를 가중시키는 한편, 탈부착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또한, 장착 후 길이가 남은 조임끈은 끈처리가 용이하지 않아 나뭇가지에 걸려지면서 풀어지고, 타인에게는 제품의 품질이 떨어져 심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기술의 발달로 안전장치, 소지품 또는 장비가 많이 생산되는 최근에는, 상기의 도구를 수용하기 위해 배낭도 부피가 커지고, 상기와 같은 도구를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보조백을 사용하는데, 종래의 프레임은 한정된 길이로 인하여 상기와 같은 배낭 및 보조백을 장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프레임에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모두 수용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등과 허리체형에 맞도록 하고, 잦은 사용이나 기후의 영향으로 쿠션의 볼륨감 및 무게의 가중을 방지하며, 제품의 장착을 간편하게 하고, 한번 설치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파손된 부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배낭의 길이에 구애되지 않으며, 별도의 보조백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낭용 프레임 및 그 프레임에 장착되는 배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관을 구부려 양측 종지지부와 양측 종지지부의 상부에 횡지지부로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 양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횡지지부에 형성된 고정고리와, 상기 종지지부에 형성된 판체에 양단이 각각 설치되는 멜빵과, 상기 양측 종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사용자의 등으로 받치도록 설치되는 등받이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구는, 상기 양측 종지지부에 양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 중앙 공간에 설치되는 등판과, 상기 등판의 전면에 고정되도록 고정볼트와 결합되는 너트가 내장된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를 매개로 하고, 탄성체의 타단에 구비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전면에 설치되는 쿠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등받이구는, 상기 양측 종지지부에 양 단부가 회전되게 핀으로 결합되도록 핀구멍이 형성되고, 중앙은 볼륨감을 갖도록 형성된 다수의 장형탄성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등받이구는, 다수로 분할되고, 탄성력과 쿠션력을 갖는 탄성블록으로 구성시키되, 상기 양측 종지지부에 회전되도록 핀으로 결합되도록 핀구멍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철부를 갖는 제1 탄성블록과, 양측에 요부가 형성되어 일측 요부가 상기 제1 탄성블록의 철부와 결합되는 제2 탄성블록과, 상기 제2 탄성블록의 타측 요부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철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요부가 형성된 제3 탄성블록과; 상기 제3 탄성블록을 연속해서 설치하여, 상기 종지지부에 설치되는 제1 탄성블록과 결합시켜 등받이가 마련되며, 상기 각각의 철부와 요부에는 관통된 힌지구멍이 형성되고, 이를 회전가능하게 힌지핀으로 결합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제1 탄성블록과 양측에 요부가 형성되어 일측 요부가 상기 제1 탄성블록의 철부와 결합되는 제2 탄성블록과 상기 제2 탄성블록의 타측 요부에 결합되도록 양측에 철부가 형성된 제3 탄성블록과 상기 제2 탄성블록과 제3 탄성블록을 연속으로 반복하여 결합시켜, 상기 종지지부에 설치되는 제1 탄성블록과 결합시켜 등받이가 마련되며, 상기 각각의 철부와 요부에는 관통된 힌지구멍이 형성되고, 이를 회전가능하게 힌지핀으로 결합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관을 구부려 양측 종지지부와 양측 종지지부의 상부에 횡지지부로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 양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횡지지부에 형성된 고정고리와, 상기 종지지부에 형성된 판체에 양단이 각각 설치되는 멜빵과, 상기 양측 종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사용자의 등으로 받치도록 설치되는 등받이구와, 상기 프레임의 양측 종지지부의 내부에 삽입되었다가 하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관과, 상기 보조관의 하측에 설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종지지부의 하부측 양측면에는 설치구멍이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관의 내부에는 상기 설치구멍에 돌설되어 보조관이 종지지부로부터 길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돌기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는 연결끈으로 설치되는 배낭과, 상기 하부로 인출되는 보조관에 원터치식 연결구로 설치되는 보조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에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서 형성된 등받이 또는 사용자의 등과 허리부와 맞닿으면서 자연스럽게 변형되는 등받이를 설치함으로써, 배낭의 착용감을 향상시켜 장시간의 이동에도 피로감을 줄여 기동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탄성체 또는 탄성블록은 내구성이 강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또한, 방수능력이 우수해 눈이나 비로 인한 제품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파손된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어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프레임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배낭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장착이 가능한 효과와, 별도의 보조백 또한 쉽고 용이하게 장착이 가능하여 많은 장비를 보관하여 이동할 수 있는 효과와, 별도로 허리받이를 설치하지 않아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등받이구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구를 횡으로 단면한 단면도
도 3b는 본 도 3a의 등받이구가 동작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구의 다른 실시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등받이구의 실시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6의 탄성블록을 발췌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등받이구의 실시례인 탄성블록을 발췌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에 받침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배낭 및 보조백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내부에 물건이 수납되도록 구성된 배낭(10)을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20)을 구성함에 있어서, 관을 구부려 양측 종지지부(21)와 양측 종지지부(21)의 상부에 횡지지부(23)로 형성된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전방 양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횡지지부(23)에 형성된 고정고리(231)와, 상기 종지지부(21)에 형성된 판체(22)에 양단이 각각 설치되는 멜빵(30)과, 상기 양측 종지지부 (2)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20)을 사용자의 등으로 받치도록 설치되는 등받이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제1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멜빵(30)은, 멜빵(30)의 하부 즉, 사용자의 어깨부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쿠션이 설치되고, 또한, 사용자의 어깨에 맞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또한, 양 멜빵에는 전면에 횡으로 설치되어 멜빵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밴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횡지지부(23)의 고정고리(231)와 종지지부(21)에 형성된 판체(22)의 구멍(221)에 설치시켜 사용되고, 또한, 상기 배낭(10)은 프레임(20)과 연결끈(12)과, 원터치식으로 결합되는 연결구(11)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20)의 하부에는 프레임(20)과 일체로 구성되어 배낭(10)을 받쳐주는 받침대(61)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구(40)는, 상기 양측 종지지부(21)에 양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20) 중앙 공간에 설치되는 등판(411)과, 상기 등판(411)의 전면에 등판(411)의 관통구멍(417)을 통해 고정되도록 고정볼트(415)와 결합되는 너트(416)가 내장된 탄성체(412)와, 상기 탄성체(412)를 매개로 하고, 탄성체(412)의 타단에 구비되는 지지판(413)과, 상기 지지판(413) 전면에 설치되는 쿠션(4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413)과 쿠션(414)은 사용자의 척추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설치되고, 사람의 등과 허리부분의 곡선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신장에 맞추는 맞춤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신장에 맞춰 생산된 제품을 구입해서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체(412) 및 후술할 장형탄성체(420)와, 탄성블록(430)의 재질은 자유롭게 변형되면서도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보유한 재질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고탄력합성수지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412)는 한쪽 지지대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상은 원기둥 형태이거나, 신축가능한 주름관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첨부된 도면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등받이구(40)는, 상기 양측 종지지부(21)에 양 단부가 회전되게 핀(421)으로 결합되도록 핀구멍(422)이 형성되고, 중앙은 볼륨감을 갖도록 형성된 다수의 장형탄성체(420)가 설치된다.
상기 장형탄성체(420)의 양측단은 절곡된 형태로 형성시켜 구성되는데, 프레임(20)과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목적과, 사용자의 옆구리부분이 프레임(20)에 닿는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프레임(20)으로부터 회전되게 설치되는 장형탄성체(420)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각각 임의로 자유롭게 움직여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장형탄성체(420)는 프레임(20)의 수직방향으로 다수 설치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첨부된 도면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등받이구(40)는, 다수로 분할되고, 탄성력과 쿠션력을 갖는 탄성블록(430)으로 구성시키되, 상기 양측 종지지부(21)에 형성된 설치구멍(24)에 회전되도록 핀(421)으로 결합되는 핀구멍(422)이 형성되고, 측면에 철부(434)를 갖는 제1 탄성블록(431)과, 양측에 요부(435)가 형성되어 일측 요부(435)가 상기 제1 탄성블록(431)의 철부(434)와 결합되는 제2 탄성블록(432)과, 상기 제2 탄성블록(432)의 타측 요부(435)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철부(434)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요부(435)가 형성된 제3 탄성블록(433)과, 상기 제3 탄성블록(433)을 연속해서 설치하여, 상기 타측 종지지부(21)에 설치되는 제1 탄성블록(431)과 결합시켜 등받이가 마련되며, 상기 각각의 철부(434)와 요부(435)에는 관통된 힌지구멍(436)이 형성되고, 이를 회전가능하게 힌지핀(437)으로 결합시켜 구성된다.
상기 양측의 종지지부(21)에 설치되는 제1 탄성블록(431) 중 어느 한 제1 탄성블록(431)과 결합되는 제2 탄성블록(432)은 양측에 요부(435)만 형성되어야 연속해서 설치되는 제3 탄성블록(433)의 철부(434)와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첨부된 도면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등받이구(40)는, 다수로 분할되고, 탄성력과 쿠션력을 갖는 탄성블록(430')으로 구성시키되, 상기 양측 종지지부(21)에 회전되도록 핀(421)으로 결합되도록 핀구멍(422)이 형성되고, 측면에 철부(434)를 갖는 제1 탄성블록(431')과, 양측에 요부(435)가 형성되어 일측 요부(435)가 상기 제1 탄성블록(431')의 철부(434)와 결합되는 제2 탄성블록(432')과, 상기 제2 탄성블록(432')의 타측 요부(435)에 결합되도록 양측에 철부(434)가 형성된 제3 탄성블록(433')과, 상기 제2 탄성블록(432')과 제3 탄성블록(433')을 연속으로 반복하여 결합시켜, 상기 타측 종지지부(21)에 설치되는 제1 탄성블록(431')과 결합시켜 등받이가 마련되며, 상기 각각의 철부(434)와 요부(435)에는 관통된 힌지구멍(436)이 형성되고, 이를 회전가능하게 힌지핀(437)으로 결합시켜 구성된다.
즉, 상기 탄성블록(430')은 반복을 연속하는 형태로 제2 탄성블록(432')과 제3 탄성블록을(433') 번갈아 가면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탄성블록(430)(430')은 입체감있게 회전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보다더 밀착시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430) 또는 탄성블록(430)(430')의 핀구멍(422) 및 힌지구멍(436)에는 배낭(10)의 무게가 집중되는 하중에 의해 구멍이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구(50)가 설치되며 이는 관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의 양측 종지지부(21)의 내부에 삽입되었다가 하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관(60)과 상기 보조관(60)의 하측에 설치되는 받침대(61)와 상기 종지지부(21)의 하부측 양측면에는 설치구멍(24')이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관(60)의 내부에는 상기 설치구멍(24')에 돌설되어 보조관(60)이 종지지부(21)로부터 길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돌기(62)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돌기(62)는 누르면 종지지부(21)의 설치구멍(24')으로 해제되는 형태로써, 돌기(62)는 유턴되어 일측이 보조관(60)의 내부에 고정되는 탄성편(63)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62)는 보조관(60)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64)을 통해 돌설된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 도 11에서와 같이, 관을 구부려 양측 종지지부(21)와 양측 종지지부(21)의 상부에 횡지지부(23)로 형성된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전방 양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횡지지부(23)에 형성된 고정고리(231)와, 상기 종지지부(21)에 형성된 판체(22)에 양단이 각각 설치되는 멜빵(30)과, 상기 양측 종지지부(2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20)을 사용자의 등으로 받치도록 설치되는 등받이구(40)와, 상기 프레임(20)의 양측 종지지부(21)의 내부에 삽입되었다가 하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관(60)과, 상기 보조관(60)의 하측에 설치되는 받침대(61)와, 상기 종지지부(21)의 하부측 양측면에는 설치구멍(24')이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관(60)의 내부에는 상기 설치구멍(24')에 돌설되어 보조관(60)이 종지지부(21)로부터 길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돌기(62)와, 상기 프레임(20)의 후방에는 연결끈(12)과 연결구(11)로 설치되는 배낭(20)과, 상기 하부로 인출되는 보조관(60)에도 연결끈(12)과 연결구(11)로 설치되는 보조백(1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제2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낭(10) 및 보조백(13)은 위치를 변경하여 장착할 수도 있으며, 상기 보조백(13)에 설치된 연결끈(12)과 연결구(11)를 이용하여 배낭(10)이 설치된 후방에 위치에 해당하는 프레임(10)부분에 연결하거나, 배낭(10)에 직접 장착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연결끈(12)과 연결구(11)를 암수로 이루어진 밸크로파스너 교체 가능함 물론이며, 상기 보조백(13)은 보조관(60)이 인출되는 길이에 따라 복수로 장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프레임(20)에 배낭(10)을 장착하고 사용자의 어깨에 멜빵(30)을 메면 프레임(20)에 설치된 등받이구(40)는 사용자의 등과 허리부분에 맞춰 회전되거나, 변형되면서 적정위치로 이동되면서 사용자와 등받이구(40)가 밀착되면서 착용감이 향상되고, 그에 따라 배낭(10)에서 전해져 오는 무게감을 줄여 피로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낭(10)을 사용하다가 부피가 큰 배낭(10)으로 교체하거나, 또는 별도의 보조백(13)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종지지부(21)의 하부 측면에 돌설된 돌기(62)를 눌러 종지지부(21)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던 보조관(60)을 해재시키고, 외부로 인출시켜 전체 프레임(20)의 길이를 연장시키고, 이렇게 인출된 보조관(60)은 부피가 큰 배낭(20)을 수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별도로 소지하고 있던 보조백(13)을 장착시켜 사용자가 레포츠나 또는 군부대 훈련중에 필요한 소지품을 손에 들지 않고 이동할 수 있어 기동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배낭: 10 연결구: 11 연결끈: 12 보조백: 13
프레임: 20 종지지부: 21 판체: 22 구멍: 221
횡지지부: 23 고정고리: 231 설치구멍: 24,24' 멜빵: 30
등받이구: 40 등판: 411 탄성체: 412 지지판: 413 쿠션: 414 고정볼트: 415 너트: 416 관통구멍:417
장형탄성체: 420 핀: 421 핀구멍: 422
탄성블록: 430,430' 철부: 434 요부: 435 힌지구멍: 436 힌지핀: 437
제1 탄성블록: 431,431' 제2 탄성블록: 432,432' 제3 탄성블록: 433,433'
보강구: 50 보조관: 60 받침대: 61 돌기: 62
탄성편: 63 구멍: 64

Claims (8)

  1. 내부에 물건이 수납되도록 구성된 배낭(10)을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20)을 구성함에 있어서,
    관을 구부려 양측 종지지부(21)와 양측 종지지부(21)의 상부에 횡지지부(23)로 형성된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전방 양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횡지지부(23)에 형성된 고정고리(231)와, 상기 종지지부(21)에 형성된 판체(22)에 양단이 각각 설치되는 멜빵(30)과;
    상기 양측 종지지부(2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20)을 사용자의 등으로 받치도록 설치되는 등받이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용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구(40)는, 상기 양측 종지지부(21)에 양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20) 중앙 공간에 설치되는 등판(411)과;
    상기 등판(411)의 전면에 고정되도록 고정볼트(415)와 결합되는 너트(416)가 내장된 탄성체(412)와;
    상기 탄성체(412)를 매개로 하고, 탄성체(412)의 타단에 구비되는 지지판(413)과;
    상기 지지판(413) 전면에 설치되는 쿠션(41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용 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구(40)는, 상기 양측 종지지부(21)에 양 단부가 회전되게 핀(421)으로 결합되도록 핀구멍(422)이 형성되고, 중앙은 볼륨감을 갖도록 형성된 다수의 장형탄성체(4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용 프레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구(40)는, 다수로 분할되고, 탄성력과 쿠션력을 갖는 탄성블록(430)으로 구성시키되, 상기 양측 종지지부(21)에 형성된 설치구멍(24)에 회전되도록 핀(421)으로 결합되는 핀구멍(422)이 형성되고, 측면에 철부(434)를 갖는 제1 탄성블록(431)과,
    양측에 요부(435)가 형성되어 일측 요부(435)가 상기 제1 탄성블록(431)의 철부(434)와 결합되는 제2 탄성블록(432)과,
    상기 제2 탄성블록(432)의 타측 요부(435)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철부(434)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요부(435)가 형성된 제3 탄성블록(433)과;
    상기 제3 탄성블록(433)을 연속해서 설치하여, 상기 타측 종지지부(21)에 설치되는 제1 탄성블록(431)과 결합시켜 등받이가 마련되며, 상기 각각의 철부(434)와 요부(435)에는 관통된 힌지구멍(436)이 형성되고, 이를 회전가능하게 힌지핀(435)으로 결합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 프레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구(40)는, 다수로 분할되고, 탄성력과 쿠션력을 갖는 탄성블록(430')으로 구성시키되, 상기 양측 종지지부(21)에 형성된 설치구멍(24)에 회전되도록 핀(421)으로 결합되는 핀구멍(421)이 형성되고, 측면에 철부(434)를 갖는 제1 탄성블록(431')과,
    양측에 요부(435)가 형성되어 일측 요부(435)가 상기 제1 탄성블록(431')의 철부(434)와 결합되는 제2 탄성블록(432')과;
    상기 제2 탄성블록(432')의 타측 요부(435)에 결합되도록 양측에 철부(434)가 형성된 제3 탄성블록(433')과;
    상기 제2 탄성블록(432')과 제3 탄성블록(433')을 연속으로 반복하여 결합시켜, 상기 타측 종지지부(21)에 설치되는 제1 탄성블록(431')과 결합시켜 등받이가 마련되며, 상기 각각의 철부(434)와 요부(435)에는 관통된 힌지구멍(436)이 형성되고, 이를 회전가능하게 힌지핀(437)으로 결합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 프레임.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412) 또는 탄성블록(430)(430')의 핀구멍(422) 및 힌지구멍(436)에는 집중하중에 의해 각각의 구멍이 파손됨을 방지하는 보강구(50);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 프레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의 양측 종지지부(21)의 내부에 삽입되었다가 하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관(60)과;
    상기 보조관(60)의 하측에 설치되는 받침대(61)와;
    상기 종지지부(21)의 하부측 양측면에는 설치구멍(24')이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관(60)의 내부에는 상기 설치구멍(24')에 돌설되어 보조관(60)이 종지지부(21)로부터 길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돌기(62)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 프레임.
  8. 관을 구부려 양측 종지지부(21)와 양측 종지지부(21)의 상부에 횡지지부(23)로 형성된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전방 양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횡지지부(23)에 형성된 고정고리(231)와, 상기 종지지부(21)에 형성된 판체(22)에 양단이 각각 설치되는 멜빵(30)과;
    상기 양측 종지지부(2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20)을 사용자의 등으로 받치도록 설치되는 등받이구(40)와;
    상기 프레임(20)의 양측 종지지부(21)의 내부에 삽입되었다가 하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관(60)과;
    상기 보조관(60)의 하측에 설치되는 받침대(61)와;
    상기 종지지부(21)의 하부측 양측면에는 설치구멍(24')이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관(60)의 내부에는 상기 설치구멍(24')에 돌설되어 보조관(60)이 종지지부(21)로부터 길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돌기(62)와;
    상기 프레임(20)의 후방에는 연결끈(12)과 연결구(11)로 설치되는 배낭(10)과;
    상기 하부로 인출되는 보조관(60)에 연결끈(12)과 연결구(11)로 설치되는 보조백(1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용 프레임과 그 프레임을 이용한 배낭.



KR1020100020817A 2010-03-09 2010-03-09 배낭용 프레임 KR101167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817A KR101167825B1 (ko) 2010-03-09 2010-03-09 배낭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817A KR101167825B1 (ko) 2010-03-09 2010-03-09 배낭용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656A true KR20110101656A (ko) 2011-09-16
KR101167825B1 KR101167825B1 (ko) 2012-07-26

Family

ID=4495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817A KR101167825B1 (ko) 2010-03-09 2010-03-09 배낭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82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099B1 (ko) * 2014-03-13 2015-03-03 임진영 허리고정 받침대
KR101502661B1 (ko) * 2012-07-13 2015-03-16 김정인 백브리지배낭
CN105831945A (zh) * 2016-03-15 2016-08-10 王中彧 一种多功能智能背包
KR20160143127A (ko) * 2015-06-04 2016-12-14 주식회사 엘에프 등산용 배낭 등판구조
EP3851087A1 (en) * 2020-01-16 2021-07-21 Comau S.p.A. A system for interfacing with an operator s body for a function unit
KR200496492Y1 (ko) * 2021-08-30 2023-02-09 이응렬 가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382B1 (ko) 2012-09-10 2014-03-18 전철웅 충격 흡수형 배낭
KR20200131124A (ko) 2019-05-13 2020-11-23 정영우 좌우 이동 가능한 배낭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481B1 (ko) * 2002-06-27 2004-09-30 이규민 배낭의 프레임 회전지지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661B1 (ko) * 2012-07-13 2015-03-16 김정인 백브리지배낭
KR101497099B1 (ko) * 2014-03-13 2015-03-03 임진영 허리고정 받침대
KR20160143127A (ko) * 2015-06-04 2016-12-14 주식회사 엘에프 등산용 배낭 등판구조
CN105831945A (zh) * 2016-03-15 2016-08-10 王中彧 一种多功能智能背包
EP3851087A1 (en) * 2020-01-16 2021-07-21 Comau S.p.A. A system for interfacing with an operator s body for a function unit
US20210219705A1 (en) * 2020-01-16 2021-07-22 Comau S.P.A. System For Interfacing With An Operator's Body For A Function Unit
US11717073B2 (en) * 2020-01-16 2023-08-08 Comau S.P.A. System for interfacing with an operator's body for a function unit
KR200496492Y1 (ko) * 2021-08-30 2023-02-09 이응렬 가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825B1 (ko)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825B1 (ko) 배낭용 프레임
US8708206B2 (en) Bag that distributes weight over the back of a person
US20120292361A1 (en) Backpack exoskeleton
US9756920B2 (en) Backpack with removable straps and adjustable belts
US20060240960A1 (en) Backpack support apparatus
US20110162509A1 (en) Apparatus for using a person's hips to carry the load of marching percussion equipment or other objects which are carried near waist-height and in front of a person
US7367483B2 (en) Strap assembly with cushioning elements
US20140061263A1 (en) Carrier frame for back load
WO2015066793A1 (en) Waist belt for load bearing applications
US20130105537A1 (en) Back support for backpack
KR200476355Y1 (ko) 가방의 어깨끈에 부착되는 가방 하중 분산 부재
KR20160115162A (ko) 전후 이동 가능한 백팩
KR20180077119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쿠션방석.
ES2809480T3 (es) Marco de soporte para una mochila o equivalente
KR101502661B1 (ko) 백브리지배낭
CN111053357B (zh) 一种自回复背负装置
KR200468599Y1 (ko) S자형 곡면 등판부가 구비된 배낭
CN216220570U (zh) 舒适减压护脊背包
CN2879771Y (zh) 多功能肩部减负书包
KR200284167Y1 (ko) 통풍수단이 구비된 배낭
US20240130510A1 (en) Two-Way Adjustable Shock-Absorbing Backpack
CN215303677U (zh) 一种可随身体转动的弹力减负背板及包含该结构的双肩包
CN214630650U (zh) 一种带s型护脊的书包
CN220756827U (zh) 一种减负书包
KR20170110304A (ko) 겨드랑이 지지대가 구비된 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