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512A - 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512A
KR20110101512A KR1020100020544A KR20100020544A KR20110101512A KR 20110101512 A KR20110101512 A KR 20110101512A KR 1020100020544 A KR1020100020544 A KR 1020100020544A KR 20100020544 A KR20100020544 A KR 20100020544A KR 20110101512 A KR20110101512 A KR 20110101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content
information
data
cli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4705B1 (ko
Inventor
박경모
송재연
유성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0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70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02054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84705B1/ko
Priority to CN201180012823.0A priority patent/CN102792710B/zh
Priority to JP2012556029A priority patent/JP5781550B2/ja
Priority to PCT/KR2011/001604 priority patent/WO2011111987A2/en
Priority to US13/042,929 priority patent/US8930442B2/en
Priority to EP11753592.2A priority patent/EP2545706A4/en
Publication of KR20110101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1Reference data, e.g. a movie identifier for ordering a movie or a product identifier in a home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전송 받은 미디어 컨텐츠 재생에 관하여 배속 재생 (Trick Play) 기능 및 랜덤 액세스 (Random Access)의 지연을 최소화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에서 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은, 서버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서술자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미디어 컨텐츠 서술자에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에 관한 변경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변경 정보를 근거로 일반 모드 트랙의 GOP 단위 구간 내에서 정밀한 트랙 모드의 새로운 GOP 단위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된 새로운 GOP 단위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복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EDIA CONTENTS}
본 발명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전송 받은 미디어 컨텐츠 재생에 관하여 배속 재생 (Trick Play) 기능 및 랜덤 액세스 (Random Access)의 지연을 최소화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데이터 통신 망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 서비스 (content service)를 이용하는 방법은 크게 다운 로드 (download) 방식과 스트리밍 (stream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서비스는 방송, 영화, 음악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미디어 데이터 (digital media data) 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통칭한다. 이때, 상기 디지털 미디어 데이터는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여 만들어진 영상, 음향, 장면 등의 디지털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다운 로드 방식은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대응한 디지털 미디어 데이터를 비실시간으로 다운 로드 받아 저장 매체에 저장을 하고, 상기 저장된 디지털 미디어 데이터에 의해 원하는 시간에 컨텐츠 소비를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상기 다운 로드 방식은 비실시간성을 요구하는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컨텐츠 서비스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스트리밍 방식은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대응하여 현 시점에 필요한 디지털 미디어 데이터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디지털 미디어 데이터에 의해 원하는 컨텐츠를 소비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상기 스트리밍 방식은 실시간성을 요구하는 뉴스나 스포츠 중계 등과 같은 실시간 방송물에 상응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주로 사용된다.
기존에는 엠펙 (MPEG :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하여 배속 재생 및 랜덤 액세스 기능을 지원하는 것은 파일 포맷에서 제공하는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배속 재생 정보 및 랜덤 액세스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할 수 밖에 없었다. 그 이유는 기존 엠펙 파일 포맷은 서버에서 브로드 캐스트를 고려한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구현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망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기존에 정의된 엠펙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가 요청하는 정밀한 배속 재생 기능 및 랜덤 액세스 기능을 제공할 수가 없다. 이에 기존에 정의된 엠펙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배속 재생 및 랜덤 액세스 기능을 제공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을 이용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속 재생 기능 및 랜덤 액세스 기능을 위한 스트림 그룹으로 구성된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공되는 컨텐츠의 의미적 구성 및 역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형태 및 의도에 따라 조정 및 제어 가능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에서 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은, 서버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서술자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미디어 컨텐츠 서술자에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에 관한 변경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변경 정보를 근거로 일반 모드 트랙의 GOP 단위 구간 내에서 정밀한 트랙 모드의 새로운 GOP 단위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된 새로운 GOP 단위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복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소스 컨텐츠 또는 복수개의 스트림으로 구성된 복합 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 스트리밍 방식 및 다운로드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털 TV와 같은 동영상 서비스에서 별도의 트랙 모드의 인트라 프레임의 반복 주기를 종래 기술의 인트라 프레임의 반복 주기보다 짧게 설정함으로써, 정밀한 배속 재생 기능 지원 및 랜덤 엑세스시 비트율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트랙 모드 계층의 인트라 프레임의 시간적 위치와 기본 계층의 인트라 프레임의 시간적 위치를 서로 불일치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비트율이 인트라 프레임에 집중되어 피크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여 비트율의 평탄화를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수적 효과로서, PIP 화면의 복잡도를 1/4 또는 수십 분의 1로 줄임으로써 PIP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무선망이나 인터넷망처럼 가용한 비트율이 가변적일 경우 네트워크 상황에 맞추어서 별도의 트랙 모드 계층 스트림만을 전송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단일 계층 부호화의 I, P, B 프레임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배속 재생 및 랜덤 액세스 시 문제 상황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장치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서의 미디어 컨텐츠 서술자에 따른 파일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을 나타낸 도면.
상기의 기능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본 발명은 미디어 재생에 관한 정밀한 배속 재생 기능 및 랜덤 액세스의 지연을 최소화하는 기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비디오 스트리밍 혹은 다운 로드 서비스를 받아 압축된 동영상을 재생할 때, 사용자 요청에 의한 정밀한 배속(x2 or 0.5x) 재생 기능 및 특정 시점 부터의 재생 요청시 화면이 뜰 때까지의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랜덤 엑세스의 지연을 최소화하는 방법 및 상기 배속 재생 및 랜던 액세스 동작 모드에서 일반 재생 모드로 변환하는 기법에 있어 사용자에게 친화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비디오 복부호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인 MPEG2, MPEG4, H.263, H.264 및 최근 표준화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HVC 등의 비디오 압축 기술에서는 압축 효율을 높이기 위한 3가지 방식이 있다.
첫째는, RGB 입력을 YCbCr의 형태로 변환하는 방식, 즉, R,G,B에서 중복되어 존재하는 밝기 및 색차 정보를 Y 및 Cb, Cr 로 변환하는 것이다. 둘째는, 이렇게 변환된 데이터의 공간적 중복성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화면 내에 존재하는 공간적인 유사성을 이산 여현 변환(DCT, Discrete Cosine Transform), 양자화(Quantization) 및 가변 길이 부호화(VLC,Variable Length Coding)등을 이용하여 제거하게 된다. 셋째는, 연속된 화면의 시간적 중복성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연속된 이미지는 시간적으로 가까운 경우에 비슷한 부분이 많다는 것에 착안한다.
이러한 시간적 중복성을 제거하는 것은 움직임 추정(ME, Motion Estimation)을 통해 측정된 움직임 벡터(MV, Motion Vector)를 이용하며, DPCM(DifferentialPulse Code Modulation)과 같은 예측(Prediction) 기법을 이용한다.
도 1은 시간적 중복성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단일 계층 부호화의 I, P, B 프레임의 배열 및 참조 형태를 보이고 있다.
시간적 중복성을 제거하기 위해 엠펙 기술에서는 도 1과 같이 각각의 프레임의 타입을 설정하게 되는데 프레임의 타입에는 I(Intra), P(Predictive), B(Bi-directional)이 존재한다. 상기 I 프레임은 독립된 프레임으로 자체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복호화가 가능하며, P 프레임은 앞의 B 프레임을 참조하여 복호화를 하게 되고, B 프레임은 앞과 뒤의 I 프레임 또는 P 프레임을 참조하여 복호화를 하게 된다.
여기에서 GOP(Group of Picture)는 하나의 I 프레임에서 다음의 I 프레임 이 나올 때까지의 프레임의 개수로서, 도 1에서의 GOP 값은 9이다. P 프레임은 I 프레임을 참조하여야 하며, B 프레임은 I 프레임과 P 프레임을 참조하거나 좌우의 P 프레임을 참조하게 된다. 부호화시 이렇게 참조된 프레임간의 움직임 추정(Motion Estimation) 및 예측(Prediction)을 이용하여 압축을 수행한다.
또한, 모든 부호화 방식에서는 일반적으로 첫 화면은 I 프레임으로 부호화를 시작하며, 이후에는 P 프레임이나 B 프레임으로 부호화해야 비트율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P 프레임과 B 프레임만 있을 경우에는 한번 에러가 생기면 연속해서 화면이 깨지며 복구가 되지 않으며, 이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정밀한 랜덤 엑세스시 복호화를 할 수가 없다. 따라서, 중간에 I 프레임을 삽입하게 되는데 이를 인트라 리프레쉬(Intra Refresh)라고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배속 재생 및 랜덤 액세스 시 문제 상황을 보이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보통 15 프레임에 한번 인트라 리프레쉬를 하는데, 1초당 30 프레임의 속도를 갖는 동영상에서는 0.5 초까지의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는 방송 뿐만 아니라 저장된 동영상을 재생할 때도 같은 문제가 생긴다.
그리고 사용자의 요청이 GOP 단위 내부에서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복호화를 위하여, 일정 시간 (d1) 만큼을 이동하여 첫 I Frame 부터 부호화를 하게 되며, 이 경우 정밀한 미디어 재생을 위한 제어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 2와 같은 같은 데이터 구조를 이용한 배속 재생 기능은 I프레임만을 부호화하게 되므로, 정수배 배속 재생을 제외한 효율적인 배속 재생 기능을 지원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효율적으로 배속 재생 기능을 지원하고 및 랜덤 액세스의 지연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의 내부 블록도를 보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350)는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300)와 연결된다. 상기 클라이언트(350)는 서버(300)로부터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을 통해 수신한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재생하거나, 일정 부분을 저장부(357)에 기록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분석하여 미디어를 재생하는 장치로, DTV, 컴퓨터, 모바일, DV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클라이언트(350)는 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라이언트(350)는 저장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미디어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버(300)와 클라이언트(350)를 연결하는 통신망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서버(300)는 방송국, 통신 사업자, 영화 제작사 또는 일반 컨텐츠 제공자가 운영하는 것으로, 서버(300)에는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또는 이들에 대한 메타데이터 등의 각종 복합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클라이언트(350)가 서버(300)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 받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클라이언트(350)는 서버(300) 이외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받아 이를 저장하거나 재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클라이언트(350)는 통신부(351), 저장부(357), 분석기(355), 복호화기(361), 제어부(353) 및 출력부(359)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클라이언트(35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요청을 제어부에 전달한다. 유저 인터페이스부는 통상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 받는 부분으로 키보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 햅틱 장치 또는 마이크로폰과 같은 물리적 변환부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로부터 명령, 문자, 이벤트, 숫자 또는 음성 정보 등을 입력 받아 이를 제어부에 통지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최초의 GOP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배속 재생 모드로 재생할 것을 명령하고, 최초의 GOP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가 배속 재생 모드로 재생되는 동안 다음 GOP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어떻게 재생할 것인가를 설정할 수 있다.
통신부(351)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300) 또는 제 3의 데이터 베이스에 결합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통신부(351)가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데이터 패킷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서버(300)와 클라이언트(350)간의 제어 명령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방법으로는 무선 랜(WLA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브로(WiBro), 와이미디어(WiMedia), 3G 등 이동 통신 기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저장부(357)는 통신부(351)가 서버(300)나 제 3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한다. 분석기(355)는 저장부(357)나 제 3의 저장 매체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미디어 컨텐츠를 복호화기(361)로 전달한다. 복호화기(361)는 분석기(355)가 분석한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엠펙 파일 구조를 기반으로 부호화한 방법의 역으로 복호화화여 복호화된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생성한다. 복호화기(361)는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분리하여 각각을 해당하는 출력부(359)로 전달한다. 예컨데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가 일반 모드와 별도의 트랙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353)가 최초 수신되어 분석된 미디어 컨텐츠 서술자를 바탕으로 일반 모드 또는 트랙 모드를 선택하여 복호화기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출력부(359)는 복호화기(361)를 통해 복호된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359)는 클라이언트의 전반적인 상태,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화면이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클라이언트(350)는 별도의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되면 출력된다.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최초 GOP 미디어 컨텐츠가 배속 재생 모드로 재생되는 동안 다음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어떻게 재생할 수 있을지 설정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클라이언트(350)는 사용자의 제어와 상관없이 클라이언트(350)의 내부에 미리 정의된 방법을 통해 다음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구체적인 설명에 있어, 아래 <표 1>은 미디어 컨텐츠 서술자의 구조를 나타낸다.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서술자는 일반 모드를 서술하는 것 이외의 배속 재생 모드와 랜덤 액세스 기능을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서술하는 데이터 구조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며, 본 서술자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개시하는 최초 시점 혹은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에 주기적으로 삽입되어 서버 혹은 제 3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서술자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전체 또는 일부를 통해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달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미디어 컨텐츠 서술자는 크게 특징(Manifest) 정보와 파일 구조(File structure)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Manifest 정보로는 해당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 서술자가 참조하고 있는 개요(Schema) 정보를 나타내는 컨텐츠(Contents)의 속성, 해당 미디어 컨텐츠의 제목(Title), 해당 미디어 컨텐츠의 시놉시스(Synopsis), 해당 미디어 컨텐츠의 생성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OriginSite, 해당 미디어 컨텐츠의 생성자 이름을 담고 있는 OriginSiteName, 해당 미디어 컨텐츠의 구별을 위한 ContentID, 해당 미디어 컨텐츠의 제어 정보를 참고할 수 있는 ControlURL 정보 및 이를 나타내는 ContentItem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File structure는 해당 미디어 컨텐츠의 파일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ContentType 속성을 컨테이너로 하여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 로드 방식 등에서 실제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의 위치 방식을 표현하는 URLTemplate, 다음 GOP 단위를 기반으로 제어되는 NextControlURL, 배속 정보 또는 랜덤 액세스 시 지원 가능한 시간 정보 등 부가 정보를 참고 할 수 있는 RelDataURL, 일반 모드 및 배속 재생 모드, 랜덤 엑세스를 위한 별도의 트랙 모드를 구별할 수 있는 TrackID 등 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350)의 제어부(353)는 Manifest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ContentURL의 MainContentsDescription.xml 파일을 분석하여 원하는 미디어 데이터 정보를 GOP 단위로 서버(300)에 요청할 수 있다. 예컨데, 최초 일반 모드로 시청 중인 사용자의 요청으로 인해, 배속 재생 기능 및 불특정한 구간으로 이동으로 모드를 변경하는 경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35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배속 재생 기능 및 랜덤 액세스 정보를 서버로 요청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데이터 파일 구조를 분석하여 서버(300)와 클라이언트(350)간의 동작 방법은 도 4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동작을 보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401 단계에서 클라이언트(350)는 Manifest 정보를 서버(300)로 요청한다. 이에 403 단계에서 서버(300)는 요청된 Manifest 정보를 클라이언트(350)로 전송한다. 그리고 405 단계에서 클라이언트(350)는 전송된 Manifest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ContentURL의 MainContentsDescription.xml 파일을 분석하여 분석결과 배속 재생인 경우 배속 재생 기능을 서버(300)로 요청한다. 그러면, 407 단계에서 서버(300)는 배속 재생 플래그먼트 박스를 클라이언트(350)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술자에 표현되는 데이터의 구조는 도 5a 내지 도 5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복합 미디어 컨텐츠로 구성된 복합 컨텐츠 집합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합 컨텐츠와 단일 트랙 모드 컨텐츠 또는 복수개의 태랙 모드 컨텐츠의 집합체로써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 모드와 별도의 트릭 모드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는 독립적인 것을 전제 조건으로 한다. 따라서 일반 모드 데이터와 별도의 트릭 모드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은 독립적으로 수행되므로 별도의 시점에서 재생이 시작될 수 있다.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일반 모드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별도의 트랙 모드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빨리 감기나 되로 돌리기, 특정 시점 재생을 위한 랜덤 액세스 기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일반 모드로 재생 중인 환경에서 동일한 미디어 컨텐츠에 대하여 배속 재생 모드로 재생하는 경우, 별도의 트랙 모드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분석된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요청하여 재생되거나 복호화기에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재생된다. 제어부(353)는 사용자가 일반 모드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배속 재생 모드로 재생할 것을 선택하면, 출력부(359) 및 복호화기(361)에 일반 모드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에 시간 신호를 제공하는 시스템 시간 클럭 정보를 분석하여 별도의 트랙 모드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선택하여 요청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 모드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가 2배속으로 재생되는 경우, 트랙 모드의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2배 빠르게 요청하여 재생하게 된다. 별도의 트랙 모드 미디어 컨텐츠는 일반 모드에 비하여 1/4배 또는 수십분의 1로 변환하여 부호화되어 있으며, 일반 모드의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에 비해 데이터량이 적고 빈번하게 삽입되어 있는 I 프레임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빠른 전송 및 복호화가 가능하다. 또한 랜덤 엑세스 기능을 위한 특정 구간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도 6에 도식되어 있는 파일 구조를 이용하여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일반 모드에서 d1 의 지연 시간에 비하여 별도의 트랙 모드를 이용하여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서는 d2 만큼의 짧은 지연 시간으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를 보이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701 단계에서 클라이언트(350)는 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미디어 컨텐츠 서술자를 분석한다. 그리고 703 단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350)는 일반 모드의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705 단계에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술자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로부터 일반 모드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가 배속 재생 혹은 랜덤 액세스 모드로 변환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일반 모드의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의 복호화를 중지하고 707 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705 단계에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술자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로부터 일반 모드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가 배속 재생 혹은 랜덤 액세스 모드로 변환을 요청받지 않은 경우, 709 단계로 진행하여 계속하여 일반 모드의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상기 707 단계에서 클라이언트(350)는 상기 분석된 미디어 컨텐츠 서술자에 포함된 별도의 트랙 정보 혹은 시스템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300)로 해당 일반 모드 트랙의 GOP 단위 구간 내에서 가장 정밀한 트랙 모드의 새로운 GOP 단위를 요청하여, 상기 서버(300)로부터 가장 정밀한 트랙 모드의 새로운 GOP 단위를 수신한다.
이에 709 단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350)는 수신된 가장 정밀한 트랙 모드의 새로운 GOP 단위를 이용하여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화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을 보이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350)는 사용자로부터 배속 재생 혹은 랜덤 액세스 기능 모드로 재생되는 동안 일반 모드의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는 재생하지 않을 것을 선택받는다. 제어부(353)는 사용자가 일반 모드의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로 전환 여부를 판단한다. 복호화부(361)는 일반 모드로 복귀하여 재생될 것을 선택받은 경우, 미디어 서술자 정보를 분석하여 일반 모드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의 차기 GOP 단위로 새로운 I 프레임을 서버(300)로 요청하게 된다. 서버(300)로부터 일반 모드의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 구간의 새로운 GOP의 I 프레임 정보가 복호화 되기 전까지는 기존의 트릭 모드의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로 복호화단계를 계속 수행하게된다. 새로운 GOP 구간의 I 프레임부터 수신이 완료되면 제어부(353)는 트릭 모드의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의 복호화 단계 수행을 일반 모드의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로 변경하여 동일한 복호화 단계를 거쳐 화면에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상기 설정 정보는 해당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및 설정 또는 초기화 등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manifest, configuration 등 그 명칭을 달리한다 하여도 동일한 의미 또는 역할을 위한 정보라면 같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필드 또는 속성 정보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설정 파일의 정보는 사용 환경이나 서비스에 따라, 추가적인 정보를 필드 및 속성으로 더 포함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설정 파일에 포함된 정보들의 논리적 의미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시스템 및 서비스 제작 또는 제공 환경에 따라 xml, binary data, format화된 정보 구조체 등의 다양한 정보 표현 구조 또는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에서 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서술자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미디어 컨텐츠 서술자에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에 관한 변경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변경 정보를 근거로 일반 모드 트랙의 GOP 단위 구간 내에서 정밀한 트랙 모드의 새로운 GOP(Group Of Picture) 단위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된 새로운 GOP 단위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복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정보는,
    별도의 트랙 정보 및 시스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술자는,
    특징(Manifest) 정보와 파일 구조(File structure)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정보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 서술자가 참조하고 있는 개요(Schema) 정보를 나타내는 컨텐츠(Contents)의 속성,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제목(Title),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시놉시스(Synopsis),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생성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OriginSite),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생성자 이름을 담고 있는 사이트 이름(OriginSiteName),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구별을 위한 컨텐츠 아이디(ContentID),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제어 정보를 참고할 수 있는 주소(ControlURL) 정보 및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아이템(ContentItem)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
KR1020100020544A 2010-03-08 2010-03-08 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1684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544A KR101684705B1 (ko) 2010-03-08 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CN201180012823.0A CN102792710B (zh) 2010-03-08 2011-03-08 用于播放媒体内容数据的设备和方法
JP2012556029A JP5781550B2 (ja) 2010-03-08 2011-03-08 メディアコンテンツデータ再生装置及び方法
PCT/KR2011/001604 WO2011111987A2 (en) 2010-03-08 2011-03-08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edia content data
US13/042,929 US8930442B2 (en) 2010-03-08 2011-03-08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edia content data
EP11753592.2A EP2545706A4 (en) 2010-03-08 2011-03-08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 MULTIMEDIA CONTENT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544A KR101684705B1 (ko) 2010-03-08 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512A true KR20110101512A (ko) 2011-09-16
KR101684705B1 KR101684705B1 (ko) 2016-12-09

Family

I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811A1 (ko) * 2013-12-16 2015-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트릭 플레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신호 송수신 방법
KR102072615B1 (ko) * 2018-09-19 2020-02-0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Hevc의 복호화 지연 감소 기술을 적용한 임의 접근 영상 스트리밍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811A1 (ko) * 2013-12-16 2015-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트릭 플레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신호 송수신 방법
US10230999B2 (en) 2013-12-16 2019-03-12 Lg Electronics Inc.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and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for providing trick play service
KR102072615B1 (ko) * 2018-09-19 2020-02-0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Hevc의 복호화 지연 감소 기술을 적용한 임의 접근 영상 스트리밍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5706A4 (en) 2013-09-11
JP2013521696A (ja) 2013-06-10
CN102792710A (zh) 2012-11-21
WO2011111987A2 (en) 2011-09-15
US20110219063A1 (en) 2011-09-08
EP2545706A2 (en) 2013-01-16
US8930442B2 (en) 2015-01-06
WO2011111987A3 (en) 2012-01-05
JP5781550B2 (ja) 2015-09-24
CN102792710B (zh)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280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5814900B (zh) 用于在自适应流播环境中管理相邻频道的系统和方法
JP5781550B2 (ja) メディアコンテンツデータ再生装置及び方法
KR102195414B1 (ko)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한 마트로스카 컨테이너 파일들에 저장된 미디어의 적응적 비트레이트 스트리밍
US7974517B2 (en) Determination of decoding information
CN102859933A (zh) 用于提供特技播放服务的方法和装置
CN103843301A (zh) 经译码多媒体数据的网络串流期间的表示之间的切换
KR20030021558A (ko) 영상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4294933B2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編集装置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再生装置
CN101073271A (zh) 用于数字视频记录器中的分层数字视频编码的系统和方法
US20090282443A1 (en) Strea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key frame
US11765421B2 (en) Client based storage of remote element resolutions
JPWO2018142946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9451201B2 (en) Apparatus for outputting broadcast recorded by schedule record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002494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101452269B1 (ko) 콘텐트 가상 세그멘테이션 방법과, 이를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5122821A (zh) 服务器装置、内容提供方法以及计算机程序
KR101684705B1 (ko) 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2049119B1 (ko) 클라우드 환경에서 녹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8074348A (ja)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および映像処理プログラム
JP7324012B2 (ja) 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060353A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並びに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受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KR20090116613A (ko) 키 프레임을 이용하는 스트리밍 방법 및 그 장치
Sakhare et al. Design of Android based Media Player
Vetro Media Format Interoper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