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034A - 아카이브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 - Google Patents

아카이브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034A
KR20110101034A KR1020100092460A KR20100092460A KR20110101034A KR 20110101034 A KR20110101034 A KR 20110101034A KR 1020100092460 A KR1020100092460 A KR 1020100092460A KR 20100092460 A KR20100092460 A KR 20100092460A KR 20110101034 A KR20110101034 A KR 20110101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ackaging
encryption key
drm
p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철
박선례
김경옥
박종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마크애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마크애니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10101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단일 파일로 구성된 콘텐츠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파일로 구성된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이 제공된다.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은, 콘텐츠 패키징 서버가,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하여 다수의 콘텐츠 파일을 압축하는 단계, 그룹키를 이용하여 콘텐츠 암호키를 재암호화하고 재암호화된 콘텐츠 암호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압축된 콘텐츠 파일의 헤더에 재암호화된 콘텐츠 암호키를 삽입하여 패키징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카이브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Digital right management method for archiving content}
본 발명은 디지털 저작권 보호 기술(Digital Rights Management; DRM)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파일로 구성된 아카이브(Archive)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이 발전하고 대중화됨에 따라, 아날로그 형태로 생산, 보관, 관리되던 일반 상거래 저작물, 예로써, 도서, 만화, 음반, 영화, 방송, 신문 등이 대부분 디지털화 되어가고 있다.
무한히 반복 사용하여 원본의 품질에는 전혀 손상이 없고 수정과 복사가 편리하며,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저작물이라도 짧은 시간 안에 전송과 배포가 가능하다는 디지털의 특성과 장점들이 아날로그 형태의 저작물들을 빠른 속도로 디지털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의 장점은 저작물에 대한 원저작자의 권리와 이익을 침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복사본을 가지고 있어도 원본과 동일하기 때문에, 원본을 구입하고자 하는 의지를 약화시키고, 저작자의 동의 없이도 수정과 복사가 간단하기 때문에 저작물의 도용이 쉬워지며, 전달과 배포의 용이성은 불법적인 복제물이 인터넷을 통해 순식간에 퍼져, 법적인 통제마저도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요소들은 저작자들의 사기를 저하시켜 저작물에 대한 제작 의지를 감소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디지털화를 주저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디지털 저작물에 대해서는 디지털의 장점을 충분히 살리면서도, 저작권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적 보호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일 파일로 구성된 콘텐츠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파일로 구성된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은, 콘텐츠 패키징 서버가,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하여 다수의 콘텐츠 파일을 압축하는 단계, 그룹키를 이용하여 콘텐츠 암호키를 재암호화하고 재암호화된 콘텐츠 암호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압축된 콘텐츠 파일의 헤더에 재암호화된 콘텐츠 암호키를 삽입하여 패키징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아카이브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은, 여러 개의 파일로 구성된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위젯 또는 가젯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뿐만 아니라, Shapefile과 같이 Zip 형태로 제공하는 GIS 서비스 시스템에서도 저작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을 수행하는 저작권 보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패키징 서버의 콘텐츠 패키징 수행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패키징 콘텐츠 설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콘텐츠 실행 동작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을 수행하는 저작권 보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저작권 보호 시스템(10)은 콘텐츠 패키징 서버(100), 콘텐츠 서비스 서버(200) 및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패키징 서버(100)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 DRM) 패키저(110)와 콘텐츠 저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DRM 패키저(110)는 콘텐츠 제공자(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예컨대 다수개의 콘텐츠 파일로부터 아카이브(archive) 형태의 패키징 콘텐츠(PCT)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DRM 패키저(110)는 콘텐츠 암호키(CEK)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콘텐츠 파일을 압축(또는, 아카이빙)하여 하나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DRM 패키저(110)는 콘텐츠 암호키(CEK), 예컨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콘텐츠 파일의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DRM 패키저(110)는 콘텐츠 파일의 압축에 사용된 콘텐츠 암호키(CEK)를 그룹키(GK)로 다시 암호화하여 재암호화된 콘텐츠 암호키(CEK)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DRM 패키저(110)는 압축되어 생성된 하나의 콘텐츠 파일의 헤더에 재암호화된 콘텐츠 암호키(CEK)를 삽입시키는 패키징 동작을 통하여 패키징 콘텐츠(PCT)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DRM 패키저(110)는 사용된 키들, 예컨대 콘텐츠 암호키(CEK) 및 그룹키(GK)를 콘텐츠 서비스 서버(200)의 권한 객체 발급부(210)에 제공하여 공유할 수 있다.
콘텐츠 저장부(120)는 DRM 패키저(110)로부터 출력된 패키징 콘텐츠(PCT)를 저장할 수 있다.
콘텐츠 서비스 서버(200)는 권한 객체 발급부(210) 및 콘텐츠 서비스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권한 객체 발급부(2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패키징 콘텐츠(PCT)에 대한 권한 객체(AO)를 사용자 디바이스(300)로 발급할 수 있다.
여기서, 권한 객체 발급부(210)로부터 발급되는 권한 객체(AO)는 패키징 콘텐츠(PCT)의 사용 권한 또는 DRM 패키저(110)와 공유하는 다수의 암호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서비스부(220)는 사용자의 콘텐츠 요청에 따라 패키징 콘텐츠(PCT)를 사용자 디바이스(3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콘텐츠 서비스부(220)는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요청하면, 요청된 콘텐츠, 즉 콘텐츠 저장부(120)에 저장된 패키징 콘텐츠(PCT)의 다운로드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3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패키징 콘텐츠(PCT)의 다운로드 정보는 그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주소 정보, 즉 UR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서비스부(220)는 사용자가 콘텐츠 저장부(120)에 저장된 모든 패키징 콘텐츠(PCT)에 대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DRM 에이전트(310), 다운로드 에이전트(320), 인스톨러(330) 및 런처(340)를 포함할 수 있다.
DRM 에이전트(310)는 권한 객체 발급부(210)로부터 발급된 권한 객체(AO)를 이용하여 콘텐츠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다운로드 된 패키징 콘텐츠(PCT)에 대한 권한, 예컨대 패키징 콘텐츠(PCT)의 패키징 해제 또는 압축 해제 및 설치 등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다운로드 에이전트(320)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200)에 사용자가 선택한 패키징 콘텐츠(PCT)의 다운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인스톨러(330)는 다운로드 에이전트(320)로부터 다운로드 된 패키징 콘텐츠(PCT)를 제공받아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인스톨러(330)는 DRM 에이전트(310)로부터 권한 객체(AO)를 제공받아 패키징 콘텐츠(PCT)를 설치하거나 또는 DRM 에이전트(310)에서 권한 해제, 예컨대 패키징 해제 또는 압축 해제된 패키징 콘텐츠(PCT)를 제공받아 설치할 수도 있다.
런처(340)는 인스톨러(330)에 의해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설치된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런처(340)는 DRM 에이전트(310)로부터 권한 객체(AO), 예컨대 사용 권한을 제공받아 설치된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패키징 서버의 콘텐츠 패키징 수행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패키징 서버(100)가 다수의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다수의 콘텐츠 파일들을 수신하고(S10), 수신된 다수의 콘텐츠 파일들을 하나의 콘텐츠 파일로 압축하는 아카이빙을 수행할 수 있다(S20).
예컨대, 콘텐츠 패키징 서버(100)의 DRM 패키저(110)는 콘텐츠 암호키(CEK)를 이용하여 다수의 콘텐츠 파일을 하나의 콘텐츠 파일로 아카이빙, 즉 압축할 수 있다(S25).
그리고, DRM 패키저(110)는 콘텐츠 파일의 압축 시 사용된 콘텐츠 암호키(CEK)를 그룹키(GK)를 이용하여 다시 암호화하고, 재암호화된 콘텐츠 암호키(CEK)를 출력할 수 있다(S35).
이어, DRM 패키저(110)는 재암호화된 콘텐츠 암호키(CEK)를 압축된 콘텐츠 파일의 헤더에 삽입하여 패키징 콘텐츠(PCT)를 생성할 수 있다(S30).
한편, DRM 패키저(110)는 콘텐츠 파일의 압축 또는 콘텐츠 암호키(CEK)의 재암호화에 사용된 콘텐츠 암호키(CEK) 및 그룹키(GK)를 콘텐츠 서비스 서버(200)의 권한 객체 발급부(210)와 공유할 수 있다.
또한, DRM 패키저(110)는 패키징 콘텐츠(PCT)를 콘텐츠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패키징 콘텐츠 설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이용하여 콘텐츠 서비스 서버(200)로 패키징 콘텐츠(PCT)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요청된 패키징 콘텐츠(PCT)를 수신할 수 있다(S110).
예컨대,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이용하여 콘텐츠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한 후, 콘텐츠 서비스 서버(200)가 제공하는 브라우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다수의 패키징 콘텐츠(PCT)를 검색하여 다운로드 할 패키징 콘텐츠(PCT)를 선택할 수 있다.
콘텐츠 서비스 서버(200)의 콘텐츠 서비스부(220)는 사용자가 선택한 패키징 콘텐츠(PCT)를 콘텐츠 저장부(120)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 디바이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콘텐츠 서비스부(220)는 사용자가 선택한 패키징 콘텐츠(PCT)의 주소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300)로 전송하고, 사용자는 전송된 패키징 콘텐츠(PCT)의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통해 그 주소 정보로 접속하여 패키징 콘텐츠(PCT)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패키징 콘텐츠(PCT)를 수신한 후, 사용자 디바이스(300)의 DRM 에이전트(310)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200)의 권한 객체 발급부(210)에 해당 패키징 콘텐츠(PCT)에 대한 권한 객체(AO)를 요청하여 발급받을 수 있다(S120).
여기서, 권한 객체 발급부(210)로부터 발급되는 권한 객체(AO)는 패키징 콘텐츠(PCT)의 다수의 암호키와 패키징 콘텐츠(PCT)의 사용 권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수신한 패키징 콘텐츠(PCT)의 패키징을 해제하고(S130), 패키징이 해제된 콘텐츠의 압축을 해제할 수 있다(S140).
예컨대, DRM 에이전트(310)는 패키징 콘텐츠(PCT)의 헤더에 삽입된 재암호화된 콘텐츠 암호키(CEK)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DRM 에이전트(310)는 재암호화된 콘텐츠 암호키(CEK)를 복호화하여 콘텐츠 암호키(CEK)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DRM 에이전트(310)는 권한 객체(AO)에 포함된 그룹키(GK)를 이용하여 재암호화된 콘텐츠 암호키(CEK)를 복호화할 수 있다.
이어, DRM 에이전트(310)는 패키징 콘텐츠(PCT)에서 헤더를 제거하여 패키징을 해제하고, 패키징이 해제된 콘텐츠 파일, 즉 압축 콘텐츠의 압축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 콘텐츠는 다수의 콘텐츠 파일들로 압축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DRM 에이전트(310)는 앞서 복호화한 콘텐츠 암호키(CEK)를 이용하여 패키징이 해제된 콘텐츠의 압축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DRM 에이전트(310)는 압축이 해제된 다수의 콘텐츠 파일 각각을 보호하기 위하여 각각의 콘텐츠 파일을 다시 DRM 콘텐츠(DPCT)로 패키징할 수 있다(S150).
예컨대, DRM 에이전트(310)는 랜덤하게 콘텐츠 암호키(CEK)를 생성하고, 이를 그룹키(GK)를 이용하여 재암호화한 후, 재암호화된 콘텐츠 암호키(CEK)를 각각의 콘텐츠 파일의 헤더에 삽입하는 DRM 패키징 동작을 수행하여 DRM 콘텐츠(DPCT)를 생성할 수 있다.
인스톨러(330)는 DRM 에이전트(310)에 의해 패키징된 DRM 콘텐츠(DPCT) 각각을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설치할 수 있다(S160).
상술한 바와 같이 DRM 콘텐츠(DPCT)는 사용자 디바이스(300)의 DRM 에이전트(310)에서 패키징이 해제되고 압축 해제되어 인스톨러(330)에 의해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인스톨러(330)가 DRM 에이전트(310)로부터 권한 객체(AO)를 제공받아 DRM 콘텐츠(DPCT)의 설치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콘텐츠 실행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300)의 런처(340)는 DRM 에이전트(310)로부터 패키징된 DRM 콘텐츠(DPCT)를 로딩할 수 있다(S210).
DRM 에이전트(310)는 로딩된 DRM 콘텐츠(DPCT)의 헤더에서 재암호화된 콘텐츠 암호키(CEK)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DRM 에이전트(310)는 재암호화된 콘텐츠 암호키(CEK)를 복호화하여 콘텐츠 암호키(CEK)를 추출할 수 있다(S220).
여기서, DRM 에이전트(310)는 권한 객체(AO)에 포함된 그룹키(GK)를 이용하여 재암호화된 콘텐츠 암호키(CEK)를 복호화할 수 있다.
이어, DRM 에이전트(310)는 복호된 콘텐츠 암호키(CEK)를 이용하여 DRM 콘텐츠(DPCT)의 패키징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DRM 에이전트(310)는 패키징이 해제된 콘텐츠(CT)를 런처(340)로 전송할 수 있다(S230).
런처(340)는 패키징이 해제된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S240).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300)에서 다시 패키징 된 DRM 콘텐츠(DPCT)는 DRM 에이전트(310)에서 패키징이 해제되어 런처(340)에 의해 실행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DRM 콘텐츠(DPCT)는 런처(340)가 DRM 에이전트(310)로부터 권한 객체(AO)를 제공받아 DRM 콘텐츠(DPCT)의 패키징을 해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저작권 보호 시스템 100: 콘텐츠 패키징 서버
110: DRM 패키저 120: 콘텐츠 저장부
200: 콘텐츠 서비스 서버 210: 권한 객체 발급부
220: 콘텐츠 서비스부 300: 사용자 디바이스
310: DRM 에이전트 320: 다운로드 에이전트
330: 인스톨러 340: 런처

Claims (1)

  1. 아카이브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패키징 서버가,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하여 다수의 콘텐츠 파일을 압축하는 단계;
    그룹키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암호키를 재암호화하고 재암호화된 콘텐츠 암호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압축된 콘텐츠 파일의 헤더에 상기 재암호화된 콘텐츠 암호키를 삽입하여 패키징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
KR1020100092460A 2010-03-05 2010-09-20 아카이브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 KR201101010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680 2010-03-05
KR20100019680 2010-03-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034A true KR20110101034A (ko) 2011-09-15

Family

ID=4495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460A KR20110101034A (ko) 2010-03-05 2010-09-20 아카이브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10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9837A (zh) * 2011-11-15 2012-11-28 南京师范大学 基于插值预测的线面类型gis矢量数据伪装与还原方法
KR101287367B1 (ko) * 2011-11-07 2013-08-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Drm 시스템의 콘텐츠 공유방법
KR101669481B1 (ko) * 2016-04-05 2016-10-26 국방과학연구소 전술 데이터링크 체계에서 서브 네트워크 운용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367B1 (ko) * 2011-11-07 2013-08-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Drm 시스템의 콘텐츠 공유방법
CN102799837A (zh) * 2011-11-15 2012-11-28 南京师范大学 基于插值预测的线面类型gis矢量数据伪装与还原方法
CN102799837B (zh) * 2011-11-15 2014-10-15 南京师范大学 基于插值预测的线面类型gis矢量数据伪装与还原方法
KR101669481B1 (ko) * 2016-04-05 2016-10-26 국방과학연구소 전술 데이터링크 체계에서 서브 네트워크 운용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5228B2 (en) Receipt, data reduction, and storage of encrypted data
KR101379861B1 (ko) Drm 제공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47026B1 (ko) 디지털 라이선스 요건의 전달 방법 및 그 컴퓨터 판독가능매체
EP1872506B1 (en)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streamed multimedia content
US2015019525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Key Delivery in HTTP Live Streaming
US20060149683A1 (en) User terminal for receiving license
US20110179268A1 (en) Protecting applications with key and usage policy
US20090228450A1 (en) Digital right management cli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as well as digital right management system
US9008305B2 (en) Video data delivery protection
CN101719209B (zh) 一种windows平台上的通用数字版权保护方法
US20060242078A1 (en)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streamed multimedia content
Zhang et al. A novel approach to rights sharing-enabl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mobile multimedia
KR101447194B1 (ko) Drm 에이전트의 공유장치 및 방법
CN102214282A (zh) 一种适合于便携式系统中多媒体数据文件的保护方法
WO2006115608A2 (en)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streamed multimedia content
CN101842783B (zh) 用于管理数字版权管理权利对象的方法和装置
KR20110101034A (ko) 아카이브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
KR100814064B1 (ko) Drm 컨텐츠 패키징 방법 및 시스템
KR100849639B1 (ko) 동영상 파일의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050177873A1 (en) File access controlling method and file access controlling system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KR102199283B1 (ko)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Lee et al. DRMFS: A file system layer for transparent access semantics of DRM-protected contents
Wang et al. An approach to mobile multimedia digital rights management based on android
KR100891564B1 (ko) 독점적 데이터 포맷 콘텐츠를 다루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186901B1 (ko) 데이터 변조를 통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암호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