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055A - Hdcp시스템에서의 채널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Hdcp시스템에서의 채널 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055A
KR20110100055A KR1020100019132A KR20100019132A KR20110100055A KR 20110100055 A KR20110100055 A KR 20110100055A KR 1020100019132 A KR1020100019132 A KR 1020100019132A KR 20100019132 A KR20100019132 A KR 20100019132A KR 20110100055 A KR20110100055 A KR 20110100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seudo random
random value
media content
source device
pseud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6016B1 (ko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9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016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9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random numbers or see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7Establishing a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the client and a peripheral device or smart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DMI(High-speed Multimedia Interface)에 사용되는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의 적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HDCP에서 사용되는 의사 랜덤값의 발생 주기를 일정하게 하고, 상기 일정한 발생 주기를 이용하여 싱크 장치와 소스 장치 간의 인증 상태를 가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채널 전환 시에 새로운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 간의 인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HDCP시스템에서의 채널 변경 방법{A METHOD FOR CHANGING CHANNEL IN AN HDCP SYSTEM}
본 발명은 HDMI(High-speed Multimedia Interface)에 사용되는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의 적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HDCP에서 사용되는 의사 랜덤값의 발생 주기를 일정하게 하고, 상기 일정한 발생 주기를 이용하여 싱크 장치와 소스 장치 간의 인증 상태를 가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채널 전환 시에 새로운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 간의 인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해상도 영상표시장치의 등장으로 대용량의 영상, 음향 정보를 송수신 하기 위한 HDMI,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등의 고속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고속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에는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도 내장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기술이 채용되고 있다.
HDCP 시스템은 정보를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소스 장치와 정보를 수신하여 복호화하는 싱크(sink) 장치 양단으로 구성된다. 각 장치의 암호화기(cipher)에서 정해진 시간에 동일한 의사 랜덤값(Pseudo-Random Value)를 생성한다. 소스 장치는 자체에서 생성한 의사 랜덤값으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싱크 장치에서는 자체에서 생성한 의사 랜덤값으로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이와 동시에, 소스 장치는 싱크 장치로부터 싱크 장치가 생성한 의사 랜덤값을 일정 주기로 수신하여, 자신이 생성한 의사랜덤 값과 비교하여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동일하면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 송신을 계속하고, 동일하지 않으면, 인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 송신을 중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위와 같은 인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2가지 단계가 요구된다. 먼저 최초 의사 랜덤값을 생성하여 비교함으로써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가 서로 정보 보호에 적합한 장치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인 제1 인증 프로토콜 파트(1st Part of Authentication Protocol)과, 그 이후 지속적으로 양단에서 생성한 의사 랜덤값을 비교하는 제3 인증 프로토콜 파트(3rd Part of Authentication Protocol)이 있다.
싱크 장치에서 수신된 정보의 복호화는 실질적으로 제1 인증 프로토콜 파트이 완료된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HDCP 시스템의 구동한 후, 또는 채널 변경이 발생한 후에는 이러한 제1 인증 프로토콜 파트을 수행하는 시간과, 기타 초기화 등에 걸리는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신하는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 화면에 아무런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시간 지연을 체감하게 한다.
즉, HDCP 인증 과정에서 데이터의 암호화, 복호화가 실제로 이루어지는 시점은 제3 인증 프로토콜 적용 이후이므로 전 단계인 1st Part of Authentication protocol 수행 시간 만큼은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데 까지 지연이 발생한다. 특히 HDMI에 채용된 HDCP 시스템의 특성상 Authentication이 Source Device에 의해 주도되므로 Sink Device는 구동 대기 시간까지를 포함한 초기 구동시간이 소요되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다채널 HDMI 장치 상의 채널 변경 시 사용자가 체감하는 지연이 길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HDCP 시스템을 구동함에 있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초기 동작 지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HDCP 구동 초기 지연을 억제하기 위해 Sink Device가 지원하는 HDMI 채널 개수 만큼의 HDMI 디코더와 HDCP 엔진을 마련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각 채널의 HDMI 디코더와 HDCP 엔진을 미리 구동하여 놓고, 제3 인증 프로토콜 파트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할 때 HDCP 시스템 재시작으로 인한 지연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디코더가 복수개 필요하고,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한 개의 HDMI 채널 이외의 나머지 채널들도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구동되어야 하므로 설계와 사용 모든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특허 US20090222905A1과 US20090219447A1에서는, 싱크 장치에 HDCP 엔진을 채널 개수만큼 사용하고 HDMI 디코더는 두 개를 사용하여 선택된 채널의 데이터는 항상 처리하도록 하고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채널들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여 HDCP 시스템의 인증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영상표시에 선택되지 않은 채널들에 대해서는 HDCP 인증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지만, HDMI 디코더가 두 개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HDCP 시스템에서 소스 장치 및 싱크 장치 간 통신에 이용되는 DDC(Display Data Channel) 상의 데이터 흐름만을 이용하여 하나의 디코더만을 사용하여 HDCP 인증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HDCP 시스템의 구동에 있어 초기에 발생하는 시간 지연을 단축하되 싱크 장치의 내부 구조를 크게 확장하지 않고 HDCP 인증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소스 장치와 연결되어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싱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소스 장치에 해당하는 의사 랜덤 값을 생성하는 암호화기를 포함하고, 일정 주기 마다 상기 생성된 의사 랜덤 값을 해당 소스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상기 소스 장치로의 채널 변경 명령이 검출되면, 상기 의사 랜덤값 송신 주기에 의사 랜덤값 송신하고, 상기 송신된 의사 랜덤값을 사용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복호화하는 복수의 HDCP 엔진; 및 복호화된 미디어 컨텐츠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HDMI 싱크 장치의 미디어 컨텐츠 수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최초 인증을 위한 의사 랜덤 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의사 랜덤 값을 소스 장치 중 하나로 송신하는 단계; 다음 인증을 위한 의사 랜덤값을 생성하는 단계; 일정 주기 마다 상기 생성된 다음 인증을 위한 의사 랜덤값을 송신하고, 다음 의사 랜덤값을 생성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 채널 변경 명령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의사 랜덤값 송신 주기에 의사 랜덤값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된 의사 랜덤값을 사용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복호화된 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HDCP 시스템의 구동 초기 지연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하였을 때 체감하는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라 인증 상태를 유지하느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MI 소스 장치(10a,10b)와 싱크 장치(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장치(10b)와 싱크 장치(20)가 연결된 후의 초기 HDCP 인증 과정과 그 이후에 인증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채널 선택 여부와 관계없이 제3 인증 프로토콜 파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소스 장치(10a 또는 10b)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택되지 않은 채널에 해당하는 소스 장치(10b)와 제3 인증 프로토콜 파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싱크 장치(20)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MI 소스 장치(10a,10b)와 싱크 장치(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소스 장치(10a,10b)와 싱크 장치(2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모두 HDMI 기능 및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기능을 지원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싱크 장치(20)에 복수개의 소스 장치(10a,10b)가 연결된다. 싱크 장치(20)는 예컨대 TV 또는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고, 소스 장치(10a,10b)는 예컨대 DVD 플레이어, 게임기, VCR, 캠코더 등 HDMI 기능 및 HDCP 기능을 지원하는 임의의 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또는 미디어 컨텐츠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소스 장치(10a,10b)는 각각 미디어 컨텐츠를 싱크 장치(20)로 전송한다. 싱크 장치는 소스 장치(10a,10b)들 하나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컨텐츠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도 4에는 2개의 소스 장치(10a,10b)만 도시되어 있으나, 그 이상의 소스 장치가 싱크 장치(20)에 연결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싱크 장치(20)가 소스 장치(10a)와 연결되어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싱크 장치(20)가 소스 장치(10a)와 연결되면, 소스 장치(10a)는 데이터 전송 전에 일련의 초기화 과정 및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소스 장치(10a)의 초기화 작업은 싱크 장치(20)의 EDID 정보, 식별 정보 등을 읽어 오는 일련의 작업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 과정은 HDCP 표준(예컨대, 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System, Revision 1.4, 2009년 7월 8일)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인증 프로토콜 파트(1st Part of Authentication Protocol)과 제3 프로토콜 파트(3rd Part of Authentication Protocol)을 포함할 수 있다.
HDCP 인증을 위해 송수신장치 양측의 Ri, Ri’를 확인하는 데는 양방향 통신이 필요하므로 TMDS 채널은 사용할 수 없고 DDC를 통하여 HDCP 시스템 구동을 위한 명령 등을 송수신한다.
제1 인증 프로토콜 파트에서는 소스 장치(10a)와 싱크 장치(20) 양측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고 최초 의사 랜덤값(pseudo random value), Ri, Ri'(i=0)를 각각 생성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Ri는 소스 장치(10a)에서 생성한 의사 랜덤값이고, Ri'는 싱크 장치(20)에서 생성한 의사 랜덤값이다. 제3 인증 프로토콜 파트에서는 소스 장치(10a)와 싱크 장치(20) 양측에서 동일한 Ri, Ri'를 계속 생성하고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Ri와 Ri'가 동일하지 않으면, 소스 장치(10a)에서 미디어 컨텐츠 송신을 중단한다. Ri, Ri'의 동일성은 주기적으로 판단되며, 그 주기는 128 프레임 또는 2초일 수 있다.
소스 장치(10a)와 싱크 장치(20)에서는 매 픽셀 단위로 의사 랜덤값을 생성한다. 소스 장치(10a)와 싱크 장치(20)는 이 의사 랜덤값을 사용하여 픽셀을 암호화 또는 복호화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암호화 및 복호화에 사용되는 의사 랜덤값 중 일정 주기, 예컨대 128 프레임 또는 2초 주기로 추출한 것을 Ri 또는 Ri'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싱크 장치(20)는 상기 복수의 소스 장치에 해당하는 복수의 HDCP 엔진(22a,22b)과 복호화된 미디어 컨텐츠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HDMI 디코더(21)를 포함할 수 있다. HDCP 엔진(22a,22b)는 의사 랜덤 값을 생성하는 암호화기(23a,23b)를 포함한다. 소스 장치(10a,10b)가 복수개이기 때문에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TMDS 채널과 DDC(Display Data Channel)는 다수의 소스 장치(10a,10b)로부터 동시에 입력될 수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한 개의 채널만 출력된다.
현재 싱크 장치(20)가 소스 장치(10a)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있고, 사용자가 채널 변경 명령을 입력하여 소스 장치(10b)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채널 변경 명령이 검출되기 전에, 즉 싱크 장치(20)가 소스 장치(10a)의 채널에 맞춰져 있고, 소스 장치(10a)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싱크 장치(20)의 HDCP 엔진(22a)은 정상적으로 의사 랜덤값을 생성하여, 128 프레임마다 소스 장치(10a)로 송신한다. 128 프레임에 도달하는 시점은 HDMI 디코더(21)에 의해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수직 동기 신호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HDCP 엔진(22b)은 각각 일정 주기 마다 암호화기(23a,23b)가 생성한 의사 랜덤 값을 해당 소스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그 과정 반복 중에, 소스 장치(10b)로의 채널 변경 명령이 검출되면, 상기 의사 랜덤값 송신 주기에 의사 랜덤값을 송신하고, 상기 송신된 의사 랜덤값을 사용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복호화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HDCP 시스템에서, 소스 장치(10b)와 싱크 장치(20) 간에 일정한 주기로 의사 랜덤값, 즉 Ri, Ri'를 생성하도록 한다. 싱크 장치(20)에서는 수신된 미디어 컨텐츠에 생성한 Ri'를 XOR 연산을 하는 방법으로 복호화를 수행한다. 소스 장치(10b)에서는 싱크 장치(20)에서 생성한 의사 랜덤값 Ri'와 자신이 생성한 의사 랜덤값 Ri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싱크 장치(20)를 인증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채널 전환 명령이 검출되었을 때, 채널 전환을 요청하였을 때 실제 전환 시점을 늦추어 Ri' 갱신 시점에 맞추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채널 전환이 최대 128프레임 만큼 지연될 수 있으므로 이 구간 동안은 이전에 선택되었던 채널을 계속 유지하는 방법으로 체감 지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HDMI 디코더를 한 개만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장치(10b)와 싱크 장치(20)가 연결된 후의 초기 HDCP 인증 과정과 그 이후에 인증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동작은, 도 4에서 현재 선택되지 않은 채널에 할당된 소스 장치(10b)가 싱크 장치(20)와 연결되었을 때 수행되는 동작이다. 도 5에 도시된 동작을 통해 소스 장치(10b)의 채널은 선택되지 않았지만, 인증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소스 장치(10b)의 채널을 선택하면 딜레이 없이 즉시 수신된 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소스 장치(10b)와 싱크 장치(20)가 연결되면, 제1 인증 프로토콜 파트이 수행된다. 즉, 도 5의 (41)에서, 소스 장치는 싱크 장치로 ksv(key selection vector)와 암호화기에서 생성한 최초 n(의사 랜덤값)을 송신함으로써, 인증 절차를 개시한다. 도 5에서는 소스 장치의 ksv은 Aksv, 소스 장치의 최초 의사 랜덤값은 An으로 표시되어 있다. (45)에서, 싱크 장치는 Aksv와 An에 대한 응답으로, Bksv를 송신하고, 최초 의사 랜덤값 R0'를 생성한다. (46)에서, 소스 장치가 Ri' 요청을 보내면, 싱크 장치는 생성해 놓은 R0'를 송신하고, 바로 다음 의사 랜덤값 R1'을 생성한다. 이 때 생성하는 R1'은 128 프레임 주기 후에 생성될 의사 랜덤값을 미리 예측하여 생성하는 것이다. 즉, R1'은 128 프레임 주기 후에 소스 장치에서 생성될 R1과 동일한 의사 랜덤값이다.
소스 장치(10b)와 싱크 장치(20)에 포함되어 있는 암호화기는 각각 의사 랜덤값을 발생시키는데, 이것은 128 프레임 주기 또는 2초 주기로 주기성을 갖는다. 따라서, 소스 장치(10b)와 싱크 장치(20)가 실질적으로 연결되어 디코더에 의해 수직동기신호를 추출하지 않아도, 싱크 장치(20)는 그 주기성을 기반으로 소스 장치(10b)와 동일한 의사 랜덤값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HDCP 시스템에서는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 양측의 의사 랜덤값 Ri, Ri'을 비교하는 주기를 맞추기 위해서는 비디오 신호의 수직 동기 신호(Vertical Sync; VS)가 필요했다. 수직 동기 신호를 제공하여 인증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선택된 채널의 소스 장치를 위한 디코더 외에, 추가적인 HDMI 디코더가 더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에서 생성하는 의사 랜덤값은 일정 주기성을 갖기 때문에, 싱크 장치에서는 정확한 VS 신호 없이도 일정 주기, 예컨대 128 프레임 이후의 Ri'를 미리 생성해 놓고, 소스 장치가 요구하는 시점에 생성해 놓은 의사 랜덤값을 제공할 수 있다면 제3 인증 프로토콜 파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HDMI 디코더가 제공하는 VS 신호 대신 DDC 상에서 발견되는 소스 장치의 Ri' 요청 발생 주기성을 이용하여, 그 주기에 맞는 Ri'를 미리 생성함으로써 제3 인증 프로토콜 파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R0'를 송신하고 R1'을 생성하고 나면 다음 128 프레임 주기까지 중간에 발생하는 소스 장치로부터의 Ri' 요청은 무시된다. 즉 마스크 신호(48,49)로 마스킹 처리할 수 있다. 이는 소스 장치에서 싱크 장치를 인증하기 위해 128 프레임 주기로 요청하는 Ri'외에 부정기적인 Ri' 요청을 무시하고, 128 프레임 주기로 수신되는 Ri' 요청에 대해서만 미리 생성해 놓은 Ri'를 송신할 수 있다.
DDC 상에서 검출되는 소스 장치(10b)의 Ri' 요청을 이용하여 의미 있는 주기성을 파악하기 위하여는 Ri' 요청을 걸러내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는 사용자가 연결하려는 가전 제품마다 DDC를 통해 주고 받는 신호의 시점과 반복 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마스크 신호(48,49)로 걸러내어 일정 시간, 예컨대 1초 미만의 시간 동안 여러 차례 발생한 Ri' 요청은 무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인증 프로토콜 파트가 유지된 상태에서, 소스 장치(10b)로의 채널 전환 명령이 검출되면, 다음 Ri' 요청 시에 Ri'를 소스 장치(10b)로 전송함과 동시에 소스 장치(10b)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컨텐츠의 복호화를 개시한다. 예컨대, 3번 프레임째(50)에서 소스 장치(10b)로의 채널 전환 명령이 검출되면, 싱크 장치(20)는 (47)에서 미리 생성한 R1'를 소스 장치(10b)로 송신하고, 다음 128개의 프레임(44)부터 복호화를 개시하고,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싱크 장치(20)는 채널이 선택되지 않은 소스 장치(10b)에 대해서도 제3 인증 프로토콜 파트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종래보다 빠르게 채널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에 따르면, 128개의 프레임 주기 중간에, 즉 전술한 예에서 3번 프레임(50)의 시점에서 채널 전환이 검출된 경우, 다음 128개의 프레임(44)까지는 딜레이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주기 중간에 채널 전환 명령이 검출된 경우라도 가상 수직 동기 신호를 사용하여 다음 128개의 프레임까지 기다릴 필요없이 채널 전환 명령이 검출된 후 즉시 복호화를 개시할 수 있다.
채널 전환 명령이 검출된 후, 즉시 채널 전환된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컨텐츠의 복호화를 수행하여 출력하기 위해서는,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신호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신호, 즉 수직 동기 신호가 필요하다.
싱크 장치(20)에서는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의사 랜덤값 Ri'의 주기를 이용해서 의사 수직 동기 신호(VS')를 생성할 수 있다. 최초 의사 수직 동기 신호는 최초 128개의 프레임(43)이 끝난 시점 이후에 R2'를 송신할 때(47), 의사 수직 동기 신호 카운트를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의사 수직 동기 신호 카운트가 개시된 이후에는, Ri'의 발생 주기를 프레임 수로 나누어서 프레임 별 수직 동기 신호의 발생 시간을 계산해낼 수 있다.
프레임 단위의 의사 수직 동기 신호의 발생 간(VS'frame)은 아래 식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VS'frame = (tRi +1' - tRi')/ 128 (1)
여기서, tRi +1'은 싱크 장치(20)의 i+1번째 의사 랜덤값 송신 시간이고, tRi'는 i번째 의사 랜덤값 송신 시간이다.
싱크 장치(20)는 Ri' 발생 주기로부터 몇번째 세트의 128개 프레임인지를 파악하고, 의사 수직 동기 신호를 사용하여 128개의 프레임 중 몇번째 프레임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싱크 장치(20) 자체에서 의사 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함으로써, 프레임 주기 중간에 채널 변경 명령이 검출되더라도, 채널 명령 변경이 검출된 그 시점에서의 프레임을 계산할 수 있으므로, 즉시 신호 복호화를 개시하여 딜레이 없이 비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채널 선택 여부와 관계없이 제3 인증 프로토콜 파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소스 장치(10a 또는 10b)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S101)에서, 싱크 장치(20)와 연결되면 싱크 장치(20)로 키 선택 벡터(ksv)와 최초 의사 랜덤값을 송신한다. 단계(S102)에서, 싱크 장치(20)로부터 키 선택 벡터 및 의사 랜덤값을 수신한다. 단계(S103)에서, 수신한 의사 랜덤값이 소스 장치(10b)에서 생성한 의사 랜덤값과 동일한지 판단하여 싱크 장치(20)를 인증한다. 이 인증 단계는 제1 인증 프로토콜 파트에 해당한다. 단계(S104)에서, 싱크 장치(20)로 미디어 컨텐츠를 송신한다. 단계(S105)에서, 싱크 장치(20)에 일정 주기로 발생되는 의사 랜덤값을 요청한다. 단계(S106)에서, 싱크 장치(20)로부터 수신한 의사 랜덤값을 자체적으로 생성한 의사 랜덤값과 비교하여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한다. 단계(S107)에서, 인증에 성공하면 미디어 컨텐츠를 계속 송신하고, 인증에 실패하면 미디어 컨텐츠 전송을 중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택되지 않은 채널에 해당하는 소스 장치(10b)와 제3 인증 프로토콜 파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싱크 장치(20)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의 소스 장치(10a)에서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다가 채널 변경 명령이 수신되어 소스 장치(10b)로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에 싱크 장치(20)에서 수행되는 방법이다. 채널 선택된 소스 장치(10a)와의 통신 과정은 생략하고, 새로 연결될 소스 장치(10b)와의 송수신 방법을 설명한다.
단계(S201)에서, 소스 장치(10b)로부터 키선택 벡터 및 의사 랜덤값을 수신하고, 단계(S202)에서 그에 응답하여 키 선택 벡터 및 의사 랜덤값을 소스 장치(10b)로 송신한다. 단계(S203)에서, 다음 주기에 송신할 의사 랜덤값을 생성한다. 단계(S204)에서, 소스 장치(10b)로부터 일정 주기의 의사 랜덤값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S205)에서는 요청에 응답하여 단계(S203)에서 생성한 의사 랜덤값을 송신한다. 단계(S203)~단계(S205)를 채널 변경 명령이 검출될 때까지 반복한다.
단계(S206)에서, 소스 장치(10b)로의 채널 변경 명령이 검출되면, 단계(S207)에서 의사 랜덤값을 생성하고, 단계(S208)에서 의사 랜덤값 요청을 수신하고, 단계(S209)에서 생성된 의사 랜덤값을 송신하면서 채널을 변경한다. 단계(S210)에서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여 복호화를 개시한다. 종료 명령이 검출될 때까지 위 과정을 반복한다. 단계(S211)에서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또는 다른 채널로의 채널 변경 명령이 수신되면 다시 단계(S203)~단계(S205)를 반복한다.
이상 다양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위 실시예들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고, 이들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소스 장치 20 : 싱크 장치
21 : HDMI 디코더 22 : HDCP 엔진
23 : 암호화기 24,25 : 멀티플렉서

Claims (10)

  1. 복수의 소스 장치와 연결되어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싱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 장치에 해당하는 의사 랜덤 값을 생성하는 암호화기를 포함하고, 일정 주기 마다 상기 생성된 의사 랜덤 값을 해당 소스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상기 소스 장치로의 채널 변경 명령이 검출되면, 상기 의사 랜덤값 송신 주기에 의사 랜덤값 송신하고, 상기 송신된 의사 랜덤값을 사용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복호화하는 복수의 HDCP 엔진; 및
    복호화된 미디어 컨텐츠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싱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DCP 엔진은 상기 의사 랜덤값을 송신함과 동시에, 의사 수직 동기 신호를 카운트를 개시하도록 구성된 싱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HDCP 엔진은 상기 의사 수직 동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채널 변경 명령이 검출된 시점의 프레임부터 미디어 컨텐츠 복호화를 개시하도록 구성된 싱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DCP 엔진은 상기 일정 주기 사이에 생성된 의사 랜덤값은 무시하도록 구성된 싱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랜덤값은 미디어 컨텐츠의 각 픽셀에 해당하는 랜덤값들 중 일정 주기로 추출한 값인 싱크 장치.
  6. HDMI 싱크 장치의 미디어 컨텐츠 수신 방법에 있어서,
    최초 인증을 위한 의사 랜덤 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의사 랜덤 값을 소스 장치 중 하나로 송신하는 단계;
    다음 인증을 위한 의사 랜덤값을 생성하는 단계;
    일정 주기 마다 상기 생성된 다음 인증을 위한 의사 랜덤값을 송신하고, 다음 의사 랜덤값을 생성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
    채널 변경 명령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의사 랜덤값 송신 주기에 의사 랜덤값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된 의사 랜덤값을 사용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복호화된 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수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랜덤값을 송신함과 동시에, 의사 수직 동기 신호를 카운트를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수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수직 동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채널 변경 명령이 검출된 시점의 프레임부터 미디어 컨텐츠 복호화를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수신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주기 사이에 생성된 의사 랜덤값은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수신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랜덤값은 미디어 컨텐츠의 각 픽셀에 해당하는 랜덤값들 일정 주기로 추출한 값인 미디어 컨텐츠 수신 방법.
KR1020100019132A 2010-03-03 2010-03-03 Hdcp시스템에서의 채널 변경 방법 KR101116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132A KR101116016B1 (ko) 2010-03-03 2010-03-03 Hdcp시스템에서의 채널 변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132A KR101116016B1 (ko) 2010-03-03 2010-03-03 Hdcp시스템에서의 채널 변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055A true KR20110100055A (ko) 2011-09-09
KR101116016B1 KR101116016B1 (ko) 2012-02-13

Family

ID=4495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132A KR101116016B1 (ko) 2010-03-03 2010-03-03 Hdcp시스템에서의 채널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0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355B1 (ko) 2017-08-28 2022-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506A (ko) * 2007-01-12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00009924A (ko) * 2008-07-21 2010-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의 인증방법
JP5210244B2 (ja) 2008-08-13 2013-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制御装置及び映像制御装置を制御する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6016B1 (ko) 2012-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2447B2 (ja) ソースデバイス、そのコンテンツ提供方法、シンクデバイス及びその制御方法
US8374346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e-authentication and keep-authentication of content protected ports
US8832844B2 (en) Fast switching for multimedia interface system having content protection
KR101499925B1 (ko) 미디어 콘텐츠 스트림의 복호화 방법과 장치와 시스템
US20120027203A1 (en) Interface circuit
TWI554113B (zh) 影像切換器及其切換方法
KR101891147B1 (ko) 에이치디엠아이 신호로 방송 수신기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US8166499B2 (en) Method, apparatus and set-top device for transmitting content to a receiver
US9432345B2 (en) Authentication engine and stream cipher engine sharing in digital content protection architectures
KR101538711B1 (ko)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에러 검출을 이용하는 암호화의 검출
USRE47119E1 (en) Enabling/disabling display data channel access to enable/disable 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US7499545B1 (en) Method and system for dual link communications encryption
US8903086B2 (en) Enabling/disabling display data channel access to enable/disable 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JP5172591B2 (ja) 無線伝送システム
KR101485790B1 (ko) 소스 디바이스, 그의 컨텐츠 제공 방법, 싱크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7431832B (zh) 通过发送帧号来维持跨设备的加密过程的同步
KR101116016B1 (ko) Hdcp시스템에서의 채널 변경 방법
KR20100135505A (ko) 컨텐츠 암호화 방법, 컨텐츠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JP2008131567A (ja) 画像暗号化送信装置
KR20100009924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의 인증방법
JP2012080264A (ja) インタフェース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