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9574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검색어 추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검색어 추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9574A
KR20110099574A KR1020100018674A KR20100018674A KR20110099574A KR 20110099574 A KR20110099574 A KR 20110099574A KR 1020100018674 A KR1020100018674 A KR 1020100018674A KR 20100018674 A KR20100018674 A KR 20100018674A KR 20110099574 A KR20110099574 A KR 20110099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information
user
word
recomm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1641B1 (ko
Inventor
양성봉
이광조
김택헌
박석인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8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64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9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검색어 추천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추천방법은 추천 검색어와 상기 추천 검색어의 상위 항목인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가지는 계층적 구조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단말장치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미완성 검색 질의어 및 상기 미완성 검색 질의어와 관련된 추천 검색어를 추출하기 위한 검색조건 데이터를 수신 받는 단계,상기 미완성 검색 질의어와 상기 검색조건 데이터에 부합하는 추천 검색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추천 검색어의 상위 항목인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검색어와 상기 추천 검색어의 상위 항목인 상기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계층적 구조의 정보로서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색조건 데이터는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를 반영할 수 있는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추천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고려한 추천 검색어를 계층적 구조로 사용자에게 제공 함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에 빠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검색어 추천 방법 및 장치{Keyword recommender method and device using mobile communication }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검색어 추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추천된 검색어를 카테고리 별로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검색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어 추천방법 및 장치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정보화 시대는 우리 실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예컨대,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휴대폰, PDA 등으로 대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편리한 이용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발달로 먼 거리에서도 정보를 서로 쉽게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이러한 디지털 방식의 전자 정보 교환은 텍스트, 음향, 영상 등 필요한 데이터를 그 형태에 관계없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제공받을 수 있게 하였다. 게다가, 물리적 이동에 의해서만 가능했던 활동들을 이동 없이도 실현시켜 물리적 거리를 극복하게 하는 등 실생활에 다양한 편의성을 제공하였다.
최근 들어 이러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시켰으며, 이에 따라 시간과 공간에 관계없이 정보를 검색하고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와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종래의 이동통신에서 사용된 검색기술은 위치 정보와 검색어만을 활용하여 검색어가 추천되는 형태로서 사용자가 자신의 선호하는 검색결과를 쉽게 구분 할 수 없으며 자신의 선호도 역시 반영할 수 없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검색 기술은 사용자의 보다 편한 검색 결과를 도출 하기 위하여 최근 검색된 검색어들에 순위를 부여하여 순위가 높은 순서로 검색어를 추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현재 이는 Google, Naver 등의 자동완성 시스템에 적용이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검색 방식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분야에 대한 검색 의도가 반영되기 어렵고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 크기가 소형 이여서 추천된 검색어가 한번에 디스플레이 될 경우 필요한 검색어를 선택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서버를 구축하고 사용자의 선호도 검색 조건을 반영하여 추천 검색어를 추출하고 계층적 구조로 검색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추천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추천 방법은 추천 검색어와 상기 추천 검색어의 상위 항목인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가지는 계층적 구조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단말장치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미완성 검색 질의어 및 상기 미완성 검색 질의어와 관련된 추천 검색어를 추출하기 위한 검색조건 데이터를 수신 받는 단계, 상기 미완성 검색 질의어와 상기 검색조건 데이터에 부합하는 추천 검색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추천 검색어의 상위 항목인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검색어와 상기 추천 검색어의 상위 항목인 상기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계층적 구조의 정보로서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색조건 데이터는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를 반영할 수 있는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추천 방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계층적 구조의 정보를 상위 레벨부터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하위 레벨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면서 마지막 하위 레벨에는 상기 추천 검색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추천 서버는 추천 검색어와 상기 추천 검색어의 상위 항목인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가지는 계층적 구조의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단말장치에 입력하는 미완성 검색 질의어와 상기 미완성 검색 질의어와 관련된 검색어를 추출하기 위한 검색조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자소 단위 데이터와 상기 검색조건 데이터에 부합되는 상기 추천 검색어와 상기 추천 검색어의 상위 항목인 계층적 구조의 카테고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검색어 및 상기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계층적 구조의 정보로서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를 완성하기 위해 입력하는 미완성 검색 질의어를 검색어 추천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검색어 추천 서버부터 추출된 추천 검색어 및 상기 추출된 추천 검색어의 상위 항목인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계층적 구조의 정보로서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계층적 구조의 정보를 상위 레벨부터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하위 레벨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면서 마지막 하위 레벨에는 상기 추천 검색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검색어 추천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고려 함으로서 불필요한 추천 검색어를 필터링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존보다 효율적으로 검색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추천 검색어와 이와 연관된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계층적 구조로 제공 함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에 빠른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경제성을 제고시킨다. 즉 사용자는 카테고리 별로 검색을 진행하여 불필요한 검색 결과를 집중해서 볼 필요가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추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추천 검색어와 카테고리 정보의 계층적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말장치에서 사용자가 검색 조건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말장치에서 추천 검색어를 제공 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어 및 검색 조건 데이터 관련된 테이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어 및 카테고리 정보와 관련된 테이블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위치정보 및 지역명칭 정보와 관련된 테이블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추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추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따르면 검색어 추천 시스템(100)은 단말장치(110), 검색어 추천 서버(120),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검색어 추천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관리자 단말기(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10)는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휴대용 모바일 기기 이다. 단말장치는 휴대폰,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무선랜 또는 랜이 장착된 PDA 및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10)는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의 일부만 입력 하더라도 검색어 추천 서버(120)와 연동하여 카테고리 정보 및 추천 검색어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카테고리 정보는 추천 검색어의 상위 개념 항목을 말한다. 사용자가 일부만 입력한 미완성 검색 질의어가 있는 경우 그와 연관된 수많은 추천 검색어들이 존재한다. 추천 검색어들은 특정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고 상기 추천 검색어들은 카테고리 정보의 하위개념을 이루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카테고리 정보는 여러 레벨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최상위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부터 각 하위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가 분류되고 마지막 하위 레벨에는 추천 검색어가 위치하는 계층적 구조를 가진다.
일례로서, 상기 계층적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 이라는 미완성 검색 질의어가 있는 경우 이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 들이 존재하고 상기 추천 검색어는 날씨, 연예, 경제 및 기타 카테고리들로 분류될 수 있고 날씨, 드라마, 부동산등의 카테고리 정보는 상위의 카테고리 정보인 생활, 연예, 경제 등으로 분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10)는 사용자의 선호도, 위치정보, 성별 등의 검색 조건 데이터 등을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검색 조건 데이터는 단말장치(110)의 위치정보, 사용자의 선호도, 성별 등으로 이루어진다.
단말장치(110)의 위치정보를 검색 조건으로 하는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검색어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 강남 지역에서 음식점을 검색하는 경우 강남 지역의 음식점 이름이 검색어로 추천 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호도를 검색 조건으로 하는 경우 사용자가 평소 관심을 가지는 생활, 예능, 의학 등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검색어를 추천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장치(110)에 입력하는 자소 단위의 미완성 검색 질의어를 통해 검색어를 추출 하는 경우 무수히 많은 추천 검색어가 추출되게 되어 사용자자 원하는 검색어를 효율적으로 추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말장치(110)의 경우 소형 디스플레이부를 가지고 있어 한 화면에 추천 할 수 있는 검색어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검색어의 의도가 반영된 검색어를 추천하는 것이 요구된다.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불필요한 추천 검색어들이 필터링 되고 선별된 추천 검색어가 추출 되므로 단말장치(110)에 보다 효율적인 추천 검색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성별의 검색어 조건은 검색 조건에 남녀의 구분을 두어 남성과 여성의 취향,관심도 등이 반영된 검색어를 추천 받을 수도 있다.
상기 위치조건, 사용자의 선호도, 성별 등의 검색 조건 데이터는 일례에 불과 하며 다양한 검색 조건을 추가 할 수 있다. 검색 조건 데이터 정보는 단말장치(110)에서 직접 입력 받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추천 검색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시 선호분야, 성별 등의 정보를 등록하거나 검색 조건 데이터 입력 메뉴에서 설정 등을 통해 검색조건 데이터를 미리 설정 할 수도 있다.
단말장치(11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조건 데이터를 직접 선택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위치정보만을 고려한 검색어를 추천 받거나, 위치정보와는 관계없이 선호도를 중심으로 검색어를 추천 받는 것을 원할 수 있다. 또는 검색조건 없이 사용자가 입력한 미완성 검색 질의어를 통해서만 검색어를 추천 받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조건 데이터를 직접 선택한다면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의 선호도 만을 고려한 검색어를 추천 받을 수도 있고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선호도를 함께 고려한 검색어를 추천 받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검색 조건 데이터 간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여러 검색어 추출 조건을 만들어 검색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추출 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3은 상기 설명한 검색조건 데이터 선택을 위한 단말장치(110)를 도시 한 것이다. 사용자는 미완성 검색 질의어의 입력 전에 검색 조건 셀렉트 박스(300)를 체크 하는 방법으로 검색 조건 데이터를 선택 할 수 있다.
상기 셀렉트 박스(300)가 체크된 상태를 유지 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추후 검색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셀렉트 박스(300)를 매번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도록 구현 할 수도 있다.
검색어 추천 서버(120)는 단말장치(110)에서 입력된 미완성 검색 질의어와 검색 조건 데이터에 부합하는 추천 검색어를 데이타베이스(130)에서 추출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검색어 추천 서버(120)는 상기 미완성 검색 질의어를 자소 단위로 분해하여 얻은 데이터와 상기 검색 조건 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색어 관련 데이터베이스로(130)로부터 추천 검색어를 추출한다. 동시에 추출된 추천 검색어의 카테고리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130)부터 상기 추출된 추천 검색어에 대한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추출된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는 추천 검색어와 관계에서 계층적 구조를 이루게 되고 검색어 추천 서버(120)는 상기 계층적 구조를 가진 정보를 단말장치(110)에 전송한다.
단말장치(110)는 검색어 추천 서버(120)로부터 수신 받은 상기 계층적 구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단말장치(110)는 사용자가 입력한 미완성 검색 질의어와 관련된 추천 검색어 의 제공시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되는 카테고리 정보를 상위 레벨부터 선택해 나가면서 계층적 구조의 하위 부분을 열어 나간다.
구체적으로는 한정된 크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단말장치(110)에 추천된 검색어가 전부 디스플레이 됨으로서 사용자가 적절한 검색어를 선택 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와 관련된 카테고리를 정보를 우선적으로 제공하고 사용자는 관심 있는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를 좀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선택 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설명한 단말장치(110)의 추천 검색어 디스플레이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110)에 날씨, 연예, 경제 등의 카테고리 정보와 카테고리 정보별 추천된 검색어의 개수가 디스플레이 되게 되고 사용자가 날씨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경우 날씨에 관련된 추천 검색어가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이로서 사용자는 미완성 검색 질의어를 자소 단위로 입력시 검색어 추천 서버(120)로부터 추천되는 검색어를 모두 참조 할 필요 없이 원하는 카테고리 정보에 관련된 추천 검색어만을 참조하게 되어 보다 빠르게 검색어를 선택 할 수 있다.
검색어 추천 서버(120)는 사용자가 단말장치(110)에서 특정 추천 검색어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검색어 정보를 단말장치(110)로부터 전송 받는다. 상기 선택된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 또는 검색결과에 대한 사이트 링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추출하여 단말장치(110)로 전송한다.
검색어 추천 서버(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추천 검색어 정보 또는 선택된 링크 등의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130)에 업데이트 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검색이 예상되는 다양한 검색어들을 저장한다. 이러한 검색어는 단어임이 보통이나 구, 문장 등으로 형성 되는 것도 가능하다. 검색어와 연관된 위치정보, 사용자의 선호도, 성별 등의 데이터도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30)에서 테이블은 여러 개일 수 있으며 검색어와 위치정보, 사용자 선호도 등의 검색 조건 데이터와의 연관관계가 저장된 테이블, 검색어와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가진 테이블, 위치데이터에 대한 지역명칭 정보를 가진 테이블 및 검색어와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 또는 검색결과 정보를 가지고 있는 링크에 대한 정보를 가진 테이블 등이 존재 할 수 있다.
일례로서, 데이터베이스(130)의 테이블은 도 5, 6,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 될 수 있다.
검색어 추천 서버(120)는 단말장치(110)에서 사용자가 선호도 검색 조건을 이용하여 검색어를 추천 받아 특정 검색어를 선택하는 경우 선호도별 상기 선택한 특정 검색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업데이트하여 사용자의 선택 성향을 반영 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업데이트는 도 5에 도시된 검색어 관련 테이블에서 검색횟수 필드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에 검색어 관련 테이블에 있는 검색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위치정보 또는 선호분야에 대해 중복되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놀부 보쌈집이 검색어인 경우 경우 서울의 강남, 종로, 광화문 등에 대한 위치 정보에 대해 AREA002-놀부보쌈, AREA024-놀부보쌈, AREA030-놀부보쌈처럼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130)에 존재할 수 있다.
검색어 추천 서버(120)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30)는 추천 검색어, 카테고리 및 검색어와 관련된 검색 결과 또는 링크를 제공한다.
관리자 단말기(140)는 검색어 추천 서버(120)를 관리 감독하는 자가 접속하는 단말기로서 데이테베이스(130)의 저장 정보를 수정하거나 추가 할 수 있고 검색어 추천 서버(120)에서 추천되는 검색어 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반영하는 작업을 할 수도 있다. 관리자가 접속하는 경우 회원 인증 절차를 걸치는 과정을 추가 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추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장치(110)는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특정문자를 입력하면 이를 감지한다(S900). 단말장치(110)는 S900 단계의 실행을 위해 사용자에 의한 키패드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감지 모듈을 구비 할 수 있다.
단말장치(110)는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 추출을 위한 검색조건 데이터 정보를 단말장치에서 추출한다(S905). 이때 단말장치는 검색조건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직접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단말장치(110)는 사용자가 입력한 미완성 입력 질의어와 검색 조건 데이터를 검색어 추천 서버(120)로 전송한다(S110). 사용자가 검색 조건 데이터 중 일부 만을 검색 조건으로 하고 싶은 경우 단말장치(110)를 통해 원하는 검색 조건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보를 검색어 추천 서버(120)로 전송한다(S910).
검색어 추천 서버는(120) 단말장치(110)으로부터 수신한 검색 조건 데이터를 분해하여 위치정보, 성별, 선호도로 구분한다(S915).
미완성 입력 질의어는 자음이나 모음과 같이 자소단위 정보인 것이 일반이나 음절, 단어 등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검색어 추천 서버(120)가 자소 단위로 분해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게 된다. 예컨데 미완성 입력 질의어가 [집]인 경우 'ㅈ', 'ㅣ', 'ㅂ' 인 자소 단위로 분해한다(S920).
검색어 추천 서버(120)는 미완성 입력 질의어의 자소 단위로 분해된 데이터와 검색 조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30)로 전송한다. 사용자가 검색 조건 데이터를 한정하여 선택한 경우 선택된 검색 조건 데이터만 데이터베이스(130)로 전송한다( S930).
데이터베이스(130)는 검색 조건 데이터와 자소 단위로 분해된 데이터와 검색조건 데이터에 부합하는 모든 추천 검색어를 추출한다(S235). 검색어를 추출 할 때 자소 단위 데이터가 'ㅈ', 'ㅣ', 'ㅂ'인 경우 '집' 으로 이해함에 한정 하지 않는다. 즉 'ㅈㅣ', 'ㅂ'으로 인식하여 지붕, 지반, 지붕킥 등을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자소 단위가 데이터가 'ㅈ', 'ㅂ' 인 경우에는 자본, 정부, 중부지방 등을 추출 하게 된다.
자소 단위 데이터는 반드시 추천 검색어의 서두 부분에 위치할 필요는 없고 추천 검색어의 후미나 중간에 위치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자소 단위 데이터가 'ㅈ', 'ㅣ', 'ㅂ' 인 경우 상기 추출된 검색어 뿐만 아니라 선릉집, 국가대표팀 소집, 싸고 맛있는 집 등의 검색어가 추출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추출된 추천 검색어에 대한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한다(S940).
데이터베이스(130)는 추출된 추천 검색어와 이에 대한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계층적 구조의 정보로 검색어 추천 서버(120)로 전송한다(S945).
검색어 추천 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수신한 상기 계층적 구조의 정보를 단말장치(110)로 전송한다(S950). 이때 카테고리 정보 별 추천 검색어의 개수 정보를 함께 단말장치(110)로 전송 할 수 있다(S950).
단말장치(110)는 검색어 추천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계층적 구조로 디스플레이 한다(S955). 구체적으로는 단말장치(110)는 검색어 추천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상위 레벨부터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카테고리 정보의 상위 레벨부터 선택해 나가면 하위 레벨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마지막 하위 레벨에는 추천 검색어를 디스플레이 한다. 단말장치(110)가 카테고리 정보를 디스플레이시 카테고리 정보별로 분류된 추천 검색어의 개수에 의해 정렬할 수 있다. 카테고리 정보와 상기 추천 검색어의 개수를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추천 검색어들 중에 입력하려고 하는 검색어가 존재하면 단말장치(110)를 통해 이를 선택한다. 단말장치는(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추천 검색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어 추천 서버(120)에 요청하기 위해 선택된 추천 검색어를 검색어 추천 서버(120)로 전송한다(S960).
검색어 추천 서버(120)는 수신된 추천 검색어와 부합하는 검색 결과 데이터 또는 검색 결과에 관한 링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추출하여 단말장치(110)에 전송한다(S965).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추천 검색어들 중에 입력하려고 하는 검색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검색어의 다음 자소단위 정보를 입력한다(S970). 그러면 검색어 추천 시스템은 상술한 단계(S900)부터 다시 반복된다.
100 : 검색어 추천 시스템 110 : 단말장치
120 : 검색어 추천 서버 130 : 데이터베이스
300 : 검색 조건 셀렉트 박스

Claims (15)

  1. 추천 검색어와 상기 추천 검색어의 상위 항목인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가지는 계층적 구조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단말장치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미완성 검색 질의어 및 상기 미완성 검색 질의어와 관련된 추천 검색어를 추출하기 위한 검색조건 데이터를 수신 받는 단계;
    상기 미완성 검색 질의어와 상기 검색조건 데이터에 부합하는 추천 검색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추천 검색어의 상위 항목인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검색어와 상기 추천 검색어의 상위 항목인 상기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계층적 구조의 정보로서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추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계층적 구조의 정보를 상위 레벨부터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하위 레벨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면서 마지막 하위 레벨에는 상기 추천 검색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추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조건 데이터는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를 반영할 수 있는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추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조건 데이터는 위치 정보 및 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추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조건 데이터는 상기 단말장치 또는 서버부터 수신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추천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각 카테고리 정보의 하위 항목인 검색어의 개수 정보를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추천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완성 검색 질의어는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추천 방법.
  8. 추천 검색어와 상기 추천 검색어의 상위 항목인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가지는 계층적 구조의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단말장치에 입력하는 미완성 검색 질의어와 상기 미완성 검색 질의어와 관련된 검색어를 추출하기 위한 검색조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자소 단위 데이터와 상기 검색조건 데이터에 부합되는 상기 추천 검색어와 상기 추천 검색어의 상위 항목인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계층적 구조의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검색어 및 상기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계층적 구조의 정보로서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추천 서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추천 검색어와 연관된 검색 결과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가 위치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추천 서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추출된 검색어 중에서 특정 검색어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전송부는 상기 추천 검색어와 연관된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가 위치한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추천 서버.
  11.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를 완성하기 위해 입력하는 미완성 검색 질의어를 검색어 추천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검색어 추천 서버부터 추출된 추천 검색어 및 상기 추출된 추천 검색어의 상위 항목인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를 계층적 구조의 정보로서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계층적 구조의 정보를 상위 레벨부터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하위 레벨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면서 마지막 하위 레벨에는 상기 추천 검색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여러 레벨의 카테고리 정보의 하위 항목인 추천 검색어의 개수 정보를 더 수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 정보의 디스플레이시 상기 각 카테고리 정보의 하위 항목인 상기 추천 검색어의 개수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 정보의 디스플레이시 상기 각 카테고리 정보의 하위 항목인 상기 추천 검색어의 개수에 따라 정렬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검색조건 데이터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검색조건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KR1020100018674A 2010-03-02 2010-03-0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검색어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1101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674A KR101101641B1 (ko) 2010-03-02 2010-03-0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검색어 추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674A KR101101641B1 (ko) 2010-03-02 2010-03-0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검색어 추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574A true KR20110099574A (ko) 2011-09-08
KR101101641B1 KR101101641B1 (ko) 2012-01-02

Family

ID=4495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674A KR101101641B1 (ko) 2010-03-02 2010-03-0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검색어 추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64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7165A (ko) * 2011-10-31 2013-05-08 엔에이치엔(주) 추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50008566A (ko) * 2013-07-15 2015-01-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7634A (ko) * 2015-03-04 2016-09-19 네이버 주식회사 추천 검색어의 조합을 이용한 검색 방법
KR20180037720A (ko) * 2016-10-05 2018-04-13 경동현 통합형 다이얼러 어플리케이션 실행 가능한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WO2018186599A1 (ko) * 2017-04-06 2018-10-11 네이버 주식회사 주제별 질의의 서브토픽 자동 추출 및 구조화
KR20180113438A (ko) * 2017-04-06 2018-10-16 네이버 주식회사 주제별 질의의 서브토픽 자동 추출 및 구조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0680A (ja) 2004-09-07 2006-03-23 Nhk Engineering Services Inc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プログラム
KR20080094289A (ko) * 2007-04-19 2008-10-23 주식회사 버츄얼웨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7165A (ko) * 2011-10-31 2013-05-08 엔에이치엔(주) 추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50008566A (ko) * 2013-07-15 2015-01-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7634A (ko) * 2015-03-04 2016-09-19 네이버 주식회사 추천 검색어의 조합을 이용한 검색 방법
KR20180037720A (ko) * 2016-10-05 2018-04-13 경동현 통합형 다이얼러 어플리케이션 실행 가능한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WO2018186599A1 (ko) * 2017-04-06 2018-10-11 네이버 주식회사 주제별 질의의 서브토픽 자동 추출 및 구조화
KR20180113438A (ko) * 2017-04-06 2018-10-16 네이버 주식회사 주제별 질의의 서브토픽 자동 추출 및 구조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1641B1 (ko) 201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19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using downloads of applications based on user intents
US10318111B2 (en) Identification of electronic content significant to a user
US108780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KR101101641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검색어 추천 방법 및 장치
WO2016008453A1 (zh) 智能服务交互平台装置、系统及其实现方法
US20110289015A1 (en) Mobile device recommendations
CN102866785A (zh) 一种文字输入方法、系统以及装置
KR101425093B1 (ko) 이동 단말의 개인화 검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
KR10162687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전송 방법
CN105453578A (zh) 用于提供会话话题的设备、服务器和方法
CN106030578B (zh) 搜索系统以及搜索系统的控制方法
CN107257359A (zh) 基于用户动作向计算设备提供可操作内容
WO2016050214A1 (zh) 智能预测的输入方法和系统
CN104063440A (zh) 基于终端拨号盘的数据检索方法及装置
CN111143543A (zh) 一种对象推荐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160171122A1 (en) Multimodal search response
JP2008021212A (ja) アンケート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26346A (ko) 자동으로 비즈니스 다이얼링 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671374B1 (ko) 키워드 추천 장치와 방법 및 키워드 지식베이스 구축 방법
US20200043074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commending items based on areas
CN112765424B (zh) 数据查询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EP24585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content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65564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lation of application metadata
CN110609956B (zh) 一种信息搜索方法、装置、介质及设备
JP2011113116A (ja) 情報提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