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9507A - 데이터 저장장치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저장장치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9507A
KR20110099507A KR1020100018573A KR20100018573A KR20110099507A KR 20110099507 A KR20110099507 A KR 20110099507A KR 1020100018573 A KR1020100018573 A KR 1020100018573A KR 20100018573 A KR20100018573 A KR 20100018573A KR 20110099507 A KR20110099507 A KR 20110099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network
storage device
data storage
network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3808B1 (ko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앤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앤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앤다스
Priority to KR1020100018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808B1/ko
Publication of KR20110099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74Peer-to-peer [P2P] networks for supporting data block transmission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데이터 저장장치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데이터 생성장치로부터 발생되며 데이터 및 저장명령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패킷을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는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로부터의 네트워크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경유하여 수신하며, 상기 네트워크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 저장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내부의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 패킷에 포함되는 어드레스는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를 그 목적지로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어드레스를 확인하여 상기 네트워크 패킷을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저장장치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Network System having a structure of sharing data storag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 저장장치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다수의 데이터 생성장치 및 데이터 사용장치들이 데이터 저장장치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 미디어 등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하는 다수의 데이터 처리장치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의 장치들과 상기 다수의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시스템 내에 구비되는데,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널리 사용되는 LAN은 라우터를 기반으로 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또는 스위칭 기술을 적용한 스위칭 허브 등의 네트워크 장치로서 구비될 수 있다.
데이터 생성/사용 장치로서 다양한 예가 설명될 수 있다. 일예로서,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된 다수의 퍼스널 컴퓨터나, 소정의 데이터를 발생하는 장치(일예로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발생하는 장치) 및 데이터를 사용하는 장치(일예로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각각 사용하는 스피커 및 모니터 등의 장치)가 데이터 생성/사용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데이터 생성/사용 장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하나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한다.
종래에는, 다수의 장치들에 대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수의 데이터 생성장치 각각에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또한 다수의 데이터 생성장치 각각에 어드레스를 할당하였으며, 네트워크 장치 내부에는 소정의 정보 저장수단이 구비되어 다수의 데이터 생성/사용장치 각각의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였다. 이에 따라,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패킷이 네트워크 장치로 제공되면, 네트워크 장치는 네트워크 패킷으로부터 어드레스 정보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 패킷을 해당 데이터 사용장치로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하였다. 또한, 다수의 장치들이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된 경우, 목적지 장치의 포트 상태에 따라 데이터 전송에 트래픽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패킷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버퍼가 네트워크 장치에 필요로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데이터 생성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가 다수의 데이터 사용장치들로 동시에 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데이터 생성장치와 다수의 데이터 사용장치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데이터 경로가 형성되어야 한다. 특히, 고화질 또는 고음질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그 데이터양이 증가하므로, 하나의 데이터 생성장치로부터 형성할 수 있는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경로의 수는 그 한계가 있다. 즉, 네트워크 시스템이 다수의 데이터 생성장치와 다수의 데이터 사용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종래 방식에 따르면 데이터 경로의 복잡도가 증가하게 되고, 단위 시간당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양이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이터 생성장치 및 데이터 사용장치의 수를 증가시키는 데 한계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데이터 생성장치 및 데이터 사용장치들이 데이터 저장장치를 공유하도록 함에 의하여, 데이터 경로의 복잡도를 감소시키고 또한 다수의 데이터 생성/사용장치의 연결이 가능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생성장치로부터 발생되며 데이터 및 저장명령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패킷을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는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로부터의 네트워크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경유하여 수신하며, 상기 네트워크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 저장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내부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 패킷에 포함되는 어드레스는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를 그 목적지로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어드레스를 확인하여 상기 네트워크 패킷을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내지 제n 데이터 생성장치로부터 각각 제1 내지 제n 네트워크 패킷을 수신하고(단 n은 1 이상의 정수), 상기 제1 내지 제n 네트워크 패킷에 각각 포함되는 제1 내지 제n 어드레스는, 상기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를 그 목적지로 하는 동일한 정보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의 메모리부는 디램(DRAM), 플래시 메모리 및 하드(HDD) 중 어느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로부터의 네트워크 패킷에 포함되는 저장명령은,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의 메모리부의 타입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사용장치로부터 발생되며 독출명령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패킷을 더 수신하고,상기 데이터 저장장치로부터의 독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사용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 사용장치로부터의 네트워크 패킷은,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를 상기 네트워크 상의 목적지로 하는 어드레스와,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에 구비되는 메모리부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데이터 독출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네트워크 패킷으로부터 데이터 저장명령 또는 데이터 독출명령을 추출하는 명령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데이터를 독출하는 것을 제어하는 메모리 콘트롤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는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이며, 상기 데이터 사용장치는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니터 시스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와 상기 데이터 사용장치가 하나의 단말기를 구현하고, 상기 하나의 단말기의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는 카메라이고 상기 데이터 사용장치는 모니터이며, 상기 시스템은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를 다른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화상회의 시스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각각 제1 네트워크 패킷을 발생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패킷은 제1 어드레스, 데이터 및 저장명령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생성장치와, 각각 제2 네트워크 패킷을 발생하며, 상기 제2 네트워크 패킷은 제2 어드레스 및 독출명령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사용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패킷을 수신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패킷에 포함되는 저장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내부의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패킷에 포함되는 독출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데이터 저장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데이터 생성장치로부터 제1 어드레스, 데이터 및 저장명령을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 패킷을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패킷을 데이터 저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패킷에 포함되는 상기 저장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데이터 사용장치로부터 제2 어드레스 및 독출명령을 포함하는 제2 네트워크 패킷을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패킷을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패킷에 포함되는 상기 독출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사용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데이터 생성장치 및 데이터 사용장치들이 네트워크 시스템에 구비될 수 있으며, 데이터 생성장치와 데이터 사용장치 사이의 데이터 경로의 복잡도를 감소시키고 큰 용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구현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를 구비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구현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구현예를 자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b,c는 도 2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 및 데이터 저장장치의 일구현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및 네트워크 패킷의 일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화상회의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구현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생성장치(111, 112)와 하나 이상의 데이터 사용장치(121, 122)와 데이터 저장장치(130)를 구비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장치(111, 112)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어떠한 장치여도 무방하며, 일예로서 카메라, 오디오 마이크, 컴퓨터 등의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사용장치(121, 122)는 데이터 생성장치(111, 112)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사용하는 장치로서, 모니터, 스피커 또는 다른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장치(130)는 디램(DRAM), 플래시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HDD) 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임의의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데이터 저장장치(130)가 네트워크 시스템(100)에 구비되는 예가 도시되었으나, 두 개 이상의 데이터 저장장치가 네트워크 시스템(10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다 많은 수의 데이터 사용장치 및 데이터 생성장치가 네트워크 시스템(100)에 구비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장치(130)는 네트워크 시스템(100)에서 데이터 생성장치(111, 112)와 데이터 사용장치(121, 122)에 공통하게 사용된다. 즉, 데이터 저장장치(130)를 데이터 생성장치(111, 112) 및 데이터 사용장치(121, 122)에 연결하여, 데이터 생성장치(111, 112) 및 데이터 사용장치(121, 122)이 모두 각각 자신의 내부 부품과 같이 데이터 저장장치(130)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고 이용한다.
데이터 저장장치(130)는 다양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데이터 저장장치(130)는 어느 하나의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타입의 두 개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데이터 저장장치(130)는 기존의 디램(DRAM), 플래시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HDD)의 인터페이스를 변형하여, 다수의 장치들에 동시에 인터페이스 시킬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로직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 저장장치(130)에 연결되는 장치들의 개수가 일정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장치들이 서로 독립적인 장치들이며 공간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라우터, 네트워크 스위치 등과 같은 네트워크 장치를 네트워크 시스템(100)에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를 구비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구현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200)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생성장치(211, 212), 하나 이상의 데이터 사용장치(221, 222), 데이터 저장장치(230) 및 네트워크 장치(240)를 구비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240)는 네트워크로서 LAN으로 널리 사용되는 이더넷 스위치 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더넷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임의의 네트워크, 일예로서 광섬유 링, SAN 스위치 등의 임의의 네트워크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240)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시스템(200)을 구현하는 경우, 데이터 생성장치(211, 212)나 데이터 사용장치(221, 222)는 데이터 저장장치(230)를 억세스하기 위한 저장장치 인터페이스가 그 내부에 구비될 필요가 없다. 즉, 종래의 경우에는 데이터 생성장치나 데이터 사용장치가 그 내부에 저장장치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각각 상기 저장장치를 억세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200)에 구비되는 데이터 생성장치(211, 212)나 데이터 사용장치(221, 222)는 네트워크 장치(240)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만을 구비하여도 데이터 저장장치(230)의 억세스가 가능하다. 또한, 다수 개의 타입의 저장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종래의 데이터 생성장치나 데이터 사용장치는 각각의 타입의 저장장치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200)에 구비되는 데이터 생성장치(211, 212)나 데이터 사용장치(221, 222)는 다수의 타입의 저장장치들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상기 저장장치들 각각에 대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필요가 없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200)에서, 데이터 생성장치(211, 212)나 데이터 사용장치(221, 222)들 각각은 데이터 저장장치(230) 내에 구비되는 메모리의 타입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명령들을 발생한다. 일예로서, 데이터 저장장치(230)가 DRAM을 구비하는 경우, 데이터 생성장치(211, 212)나 데이터 사용장치(221, 222)들 각각은 DRAM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발생하여 DRAM을 억세스한다. 네트워크 장치(240)가 네트워크 시스템(200)에 구비되는 경우, 데이터 생성장치(211, 212)나 데이터 사용장치(221, 222)들은 네트워크 장치(240)를 통하여 데이터 저장장치(230)를 억세스하므로, 데이터 생성장치(211, 212)나 데이터 사용장치(221, 222)들 각각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미도시)에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메모리 명령을 네트워크 패킷으로 담아 보내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장치(230)는 네트워크 패킷으로부터 메모리 명령만을 추출하고 이를 처리하여 메모리에 대한 데이터 저장 또는 독출동작을 수행한다.
도 3은 도 2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구현예를 자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200)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생성장치(211, 212), 하나 이상의 데이터 사용장치(221, 222), 데이터 저장장치(230) 및 네트워크 장치(240)를 구비한다. 또한 각각의 데이터 생성장치, 일예로서 제1 데이터 생성장치(211)는, 데이터 발생부(211_1), 패킷 생성부(211_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1_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데이터 사용장치, 일예로서 제1 데이터 사용장치(22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1_1), 패킷 생성부(221_2) 및 데이터 수신부(221_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는, 제1 데이터 생성장치(211)의 패킷 생성부(211_2)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1_3)가 서로 분리된 구성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패킷 생성부(211_2)의 기능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1_3)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1 데이터 사용장치(221)의 패킷 생성부(221_2)의 기능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1_1)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되어도 무방하다.
카메라, 오디오 마이크, 컴퓨터 등의 데이터 생성장치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각종 데이터는 네트워크 패킷으로 변환되며, 상기 네트워크 패킷에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목적지와 관련된 어드레스와, 데이터 저장장치(230)에 구비되는 메모리에 대한 명령과, 실제 타 장치에서 사용될 데이터가 포함된다. 패킷 생성부(211_2)에서 생성된 네트워크 패킷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1_3)로 제공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1_3)를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패킷이 네트워크 장치(240)로 전송된다.
네트워크 장치(240)는 네트워크 패킷의 어드레스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네트워크 패킷을 네트워크 상의 해당 목적지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패킷에 포함되는 어드레스는 네트워크 상에서 항상 데이터 저장장치(230)가 목적지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장치(240)는 상기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패킷을 데이터 저장장치(230)로 전송한다. 데이터 저장장치(230)에서는 데이터 저장명령을 추출하고 이를 처리하여, 네트워크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한편, 제1 데이터 사용장치(221)의 패킷 생성부(221_2)에서는 데이터 독출명령을 네트워크 패킷으로 변환하고 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1_1)를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240)로 전송한다. 제1 데이터 사용장치(221)에서 발생되는 네트워크 패킷 또한 네트워크 상에서의 목적지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데이터 사용장치(221)에서 발생되는 네트워크 패킷의 어드레스 또한 네트워크 상에서 항상 데이터 저장장치(230)가 목적지가 되도록 한다. 데이터 저장장치(230)는 제1 데이터 사용장치(221)로부터의 네트워크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네트워크 패킷으로부터 데이터 독출명령을 추출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독출명령에 응답하여 메모리에 대한 독출동작을 수행하고, 독출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장치(240)로 제공한다. 네트워크 장치(240)는 데이터 요청을 한 제1 데이터 사용장치(221)로 독출 데이터를 전달한다.
도 4a,b,c는 도 2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 및 데이터 저장장치의 일구현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및 네트워크 패킷의 일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200)에 구비되는 데이터 저장장치(2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1), 명령 추출부(232), 메모리 콘트롤러(233) 및 메모리부(234)를 구비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1)는 네트워크 장치(240)와 연결되어 네트워크 패킷을 송수신한다. 명령 추출부(232)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1)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패킷으로부터 메모리 명령을 추출하고 이를 메모리 콘트롤러(233)로 제공한다. 메모리 콘트롤러(233)는 상기 추출된 명령을 처리하여 메모리부(234)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한다. 이에 따라 메모리부(234)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메모리부(234)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한다. 독출된 데이터는 메모리 콘트롤러(233)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1)를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240)로 제공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1)는 상기 독출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패킷으로 변환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240)는 독출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 패킷을 요청한 데이터 사용장치로 전달한다.
다수의 데이터 사용장치들(221, 222)이 하나의 데이터 저장장치(230)를 공유하는 경우, 데이터 사용장치들(221, 222)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각자가 필요한 데이터 블록에 접근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사용장치들(221, 222)이 동시에 데이터 저장장치(230)의 서로 동일한 데이터 블록에 접근하여도 무방하다.
도 4b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이더넷을 사용하고 데이터 저장장치로서는 SATA 방식의 HDD를 사용하는 경우의 네트워크 패킷을 나타낸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패킷은 HDD의 SATA를 인캡슐레이션함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데이터 생성장치(211, 212)나 데이터 사용장치(221, 222)는 각각 HDD의 SATA를 인캡슐레이션함에 의하여 네트워크 패킷을 발생하고, 이를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240)로 전송한다. 만약, 하나의 네트워크 패킷에 데이터 저장장치의 명령 및 데이터를 모두 인캡슐레이션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를 다수 개의 네트워크 패킷에 나누어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장치(230)는 수신된 데이터를 그 자체의 데이터 저장단위로 저장한다. 만약, 데이터 저장장치(230)가 SATA HDD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저장장치(230)로 제공된 데이터는 SATA 프로토콜에 정의되어 있는 데이터 블록 단위로 저장된다. 즉, 데이터 생성장치(211, 212)에 SATA HDD 타입의 메모리가 구비되어 있다면, 생성된 데이터를 SATA HDD 블록단위로 저장하는 것과 동일하게,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네트워크 장치(240)를 통해 데이터 저장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장치(230)는 수신된 블록 단위의 데이터 그대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만약, 데이터 저장장치(230)가 DRAM이나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데이터의 저장, 독출 단위가 페이지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240)는 어드레스 확인부(241)와 데이터 송수신부(242)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4c에 도시된 네트워크 패킷들(이하, 제1 네트워크 패킷, 211_4, 211_5)은 데이터 생성장치에서 발생된 패킷들이며, 다른 네트워크 패킷들(이하, 제2 네트워크 패킷, 221_4, 221_5)은 데이터 사용장치에서 발생된 패킷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패킷들(211_4, 211_5, 221_4, 221_5)의 어드레스는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동일한 목적지를 나타내며, 일예로서 상기 네트워크 패킷들(211_4, 211_5, 221_4, 221_5)의 어드레스(Add1)는 메모리 장치(230)를 그 목적지로 나타낸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패킷들(211_4, 211_5, 221_4, 221_5)에 포함된 명령들(CMD1, CMD2)은 메모리 장치(230)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명령이며, 다른 명령들(CMD3, CMD4)은 메모리 장치(2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독출명령이다. 또한, 제1 네트워크 패킷(211_4, 211_5)에는 메모리 장치(230)에 저장을 요하는 데이터(DATA1, DATA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어드레스 확인부(241)는 상기 어드레스(Add1)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데이터 송수신부(242)는 어드레스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패킷들(211_4, 211_5, 221_4, 221_5)을 데이터 저장장치(230)로 전달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생성장치(211, 212)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다수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 사용장치(221, 222)로 직접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장치(230)로 공통하게 제공하여 고속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사용장치(221, 222)는 다수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직접 제공받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 저장장치(230)를 억세스함으로써, 데이터 저장장치(230)에 저장된 데이터가 다수의 데이터 사용장치(221, 222)에 실시간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시스템(200)에서 데이터 이동 경로의 수를 최소화하여 데이터를 고속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여러 장치들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데이터 생성장치(211, 212) 각각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다수의 데이터 사용장치(221, 222)로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데이터의 이동 회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전체 데이터 이동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화상회의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상회의 시스템(300)은 다수 개의 데이터 생성/사용 장치(310, 320)와, 데이터 저장장치(330) 및 네트워크 장치(340)를 구비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사용 장치(310, 320)들 각각은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와 데이터를 사용하는 장치를 동시에 구비한다. 화상회의 시스템(300)의 데이터 생성/사용 장치(310, 320)들 각각은 하나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서 제1 데이터 생성/사용 장치(310)는 데이터 생성장치로서의 카메라(311)와 데이터 사용장치로서의 모니터(312)를 구비할 수 있다.
종래의 화상회의 시스템의 경우, 어느 하나의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카메라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다수의 나머지 단말기들로 동시에 제공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다수의 데이터 경로가 시스템에 구현되어야 했다. 데이터 경로의 복잡도 및 데이터 전송용량을 고려할 때, 화상회의 시스템에 구비될 수 있는 단말기의 수는 그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회의 시스템(300)에서는, 데이터 생성/사용 장치들(310, 320) 각각은 서로 공통한 데이터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데이터 생성/사용 장치(310, 320)들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는 서로 공통한 경로를 통해 데이터 저장장치(330)를 그 목적지로 하여 전송된다. 일예로서, 제1 데이터 생성/사용 장치(310)는 제1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네트워크 패킷을 데이터 저장장치(330)로 전송한다. 나머지 데이터 생성/사용 장치들로부터의 데이터 요청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패킷은 상기 제1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 저장장치(330)로 전송된다.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330)로부터의 독출 데이터는 제2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나머지 데이터 생성/사용 장치들로 제공된다. 상기 제1 데이터 경로와 제2 데이터 경로는 서로 물리적으로 동일한 경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서로 다른 경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현되는 본 발명의 화상회의 시스템(300)은, 참여하는 회의실의 개수가 늘어나도 카메라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경로가 하나로 동일하므로 화상회의 시스템(300)의 회의실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그 성능이 저하됨이 없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카메라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는 데이터 사용장치로 직접 전송됨에 없이 데이터 저장장치(330)에 저장만이 되도록 하며, 데이터를 사용하는 모니터는 데이터 저장장치(330)를 억세스하는 것만에 의하여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다수의 데이터 생성장치(일예로서, 카메라)와 데이터 사용장치와의 연결을 유지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데이터 생성장치는 데이터 저장장치와의 연결만을 유지하면 되므로, 데이터 이동경로의 개수를 최소화하며, 또한 데이터 사용장치가 데이터 생성장치와의 연결 유지 오버헤드 없이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시카메라 시스템(400)은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411, 412, 413), 모니터 시스템(420),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장치(431, 432) 및 네트워크 장치(4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 시스템(420)은 감시용 카메라(411, 412, 413)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DVR(Digital Video Recoder)로 구현될 수 있다.
종래의 감시카메라 시스템의 경우, 시스템에 구비되는 DVR은 그 내부에 카메라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프로세스와,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DVR 내부에 저장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야 했다. 이와 같은 방식의 감시카메라 시스템은, 하나의 DVR 시스템이 운영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저장 및 사용 프로세스의 성능에 제한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DVR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는 카메라들의 개수에 제한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하나의 DVR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는 카메라들의 개수가 제한됨에 따라, 감시카메라 시스템에는 다수 개의 DVR 시스템이 구비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다수 개의 카메라들과 다수 개의 DVR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전송 경로의 복잡도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감시카메라 시스템(400)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411, 412, 413)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는 네트워크 장치(440)를 통하여 데이터 저장장치(431, 432)로 제공된다. 어느 하나의 카메라, 일예로서 제1 카메라(411)로부터 발생된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장치(431, 432)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감시카메라 시스템(400)에 두 개의 데이터 저장장치(431, 432)가 구비되는 경우,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411, 412, 413) 중 일부의 카메라로부터의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장치(431, 432)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으며, 나머지 카메라로부터의 데이터는 다른 하나의 데이터 저장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감시카메라 시스템(400)에 있어서도 생성 데이터의 데이터 저장장치(431, 432)로의 전송 경로가 두 개 이상이 되어도 무방하나, 그 전송 경로의 수는 데이터 저장장치(431, 432)의 개수와 관련되므로 전송 경로의 수가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한편,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411, 412, 413) 각각은 네트워크 장치(44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영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패킷으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네트워크 패킷을 네트워크 장치(440)로 제공한다.
한편, 감시용 카메라(411, 412, 413)로부터의 영상을 이용하여 감시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모니터 시스템(420)은 데이터 저장장치(431, 432)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감시동작을 수행한다. 모니터 시스템(420)은 데이터 저장장치(431, 432)를 억세스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감시용 카메라(411, 412, 413)로부터 생성된 데이터의 총량, 데이터 저장 성능, 디스플레이 성능의 제한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감시 카메라의 대수, 비디오 저장용량,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개수에 제약 없이 시스템을 경제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저장함에 있어서 저장장치에 구비되는 메모리의 타입에 따라 데이터를 블록 또는 페이지 단위로 저장할 수 있으므로, 저장되는 데이터의 단위를 선택 가능하며,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전송 및 저장되는 데이터를 용이하게 동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생성장치에서 데이터가 생성되면(S11), 네트워크 시스템에 구비되는 데이터 저장장치의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명령 및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 패킷을 발생한다(S12). 상기 제1 명령은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명령에 관련되며, 제1 네트워크 패킷은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목적지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제1 네트워크 패킷은 네트워크 장치로 제공되며,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네트워크 패킷의 어드레스를 확인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패킷을 데이터 저장장치로 전송한다(S13). 데이터 저장장치는 제1 네트워크 패킷으로부터 제1 명령을 추출하고, 추출된 제1 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한다(S14).
한편, 데이터 사용장치는 데이터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하여, 제2 명령을 제2 네트워크 패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2 네트워크 패킷을 네트워크 장치로 제공한다(S15). 상기 제2 네트워크 패킷은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목적지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를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2 네트워크 패킷의 어드레스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패킷을 데이터 저장장치로 전송한다(S16). 데이터 저장장치는 제2 네트워크 패킷으로부터 제2 명령을 추출하고, 추출된 제2 명령을 처리하여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한다(S17). 상기 독출된 데이터는 네트워크 패킷으로 변환되어 네트워크 장치로 제공되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패킷을 데이터 사용장치로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데이터 사용장치는 데이터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를 수신한다(S18).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네트워크 시스템
211, 212: 데이터 생성장치
221, 222: 데이터 사용장치
230: 데이터 저장장치
240: 네트워크 장치

Claims (12)

  1. 하나 이상의 데이터 생성장치로부터 발생되며 데이터 및 저장명령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패킷을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는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로부터의 네트워크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경유하여 수신하며, 상기 네트워크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 저장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내부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 패킷에 포함되는 어드레스는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를 그 목적지로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어드레스를 확인하여 상기 네트워크 패킷을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내지 제n 데이터 생성장치로부터 각각 제1 내지 제n 네트워크 패킷을 수신하고(단 n은 1 이상의 정수),
    상기 제1 내지 제n 네트워크 패킷에 각각 포함되는 제1 내지 제n 어드레스는, 상기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를 그 목적지로 하는 동일한 정보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의 메모리부는 디램(DRAM), 플래시 메모리 및 하드(HDD) 중 어느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로부터의 네트워크 패킷에 포함되는 저장명령은,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의 메모리부의 타입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사용장치로부터 발생되며 독출명령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패킷을 더 수신하고,상기 데이터 저장장치로부터의 독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사용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 사용장치로부터의 네트워크 패킷은,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를 상기 네트워크 상의 목적지로 하는 어드레스와,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에 구비되는 메모리부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데이터 독출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네트워크 패킷으로부터 데이터 저장명령 또는 데이터 독출명령을 추출하는 명령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데이터를 독출하는 것을 제어하는 메모리 콘트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는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이며, 상기 데이터 사용장치는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니터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와 상기 데이터 사용장치가 하나의 단말기를 구현하고, 상기 하나의 단말기의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는 카메라이고 상기 데이터 사용장치는 모니터이며, 상기 시스템은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를 다른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화상회의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8. 각각 제1 네트워크 패킷을 발생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패킷은 제1 어드레스, 데이터 및 저장명령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생성장치;
    각각 제2 네트워크 패킷을 발생하며, 상기 제2 네트워크 패킷은 제2 어드레스 및 독출명령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사용장치;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패킷을 수신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패킷에 포함되는 저장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내부의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패킷에 포함되는 독출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데이터 저장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드레스 및 제2 어드레스 각각은, 상기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를 그 목적지로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장치는 복수 개의 데이터 생성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 사용장치는 복수 개의 데이터 사용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생성장치와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 사이의 공통한 제1 경로를 통해 다수 개의 제1 네트워크 패킷이 전달되며,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사용장치와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 사이의 공통한 제2 경로를 통해 다수 개의 제2 네트워크 패킷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1. 데이터 생성장치로부터 제1 어드레스, 데이터 및 저장명령을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 패킷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제1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패킷을 데이터 저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패킷에 포함되는 상기 저장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데이터 사용장치로부터 제2 어드레스 및 독출명령을 포함하는 제2 네트워크 패킷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제2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패킷을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패킷에 포함되는 상기 독출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사용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데이터 생성장치 및 다수 개의 데이터 생성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에 공통하게 연결되며,
    상기 다수 개의 데이터 생성장치로부터의 제1 네트워크 패킷의 제1 어드레스와 상기 다수 개의 데이터 생성장치로부터의 제2 네트워크 패킷의 제2 어드레스는 상기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를 그 목적지로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100018573A 2010-03-02 2010-03-02 데이터 저장장치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093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573A KR101093808B1 (ko) 2010-03-02 2010-03-02 데이터 저장장치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573A KR101093808B1 (ko) 2010-03-02 2010-03-02 데이터 저장장치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507A true KR20110099507A (ko) 2011-09-08
KR101093808B1 KR101093808B1 (ko) 2011-12-19

Family

ID=4495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573A KR101093808B1 (ko) 2010-03-02 2010-03-02 데이터 저장장치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80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372B1 (ko) * 2006-02-06 2008-06-04 주식회사 우주아이티 네트워크 카메라 촬영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3808B1 (ko) 201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40029B (zh) 一种视频流上墙展示的方法和装置
JP4822866B2 (ja)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を用いたシリアルバスを介したデータ電送を実行するための方法及び当該方法を利用するための装置
US20150134860A1 (en) System for improving hdmi cec perform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140375818A1 (en) Distributing network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9030609B1 (en) Segmented video data processing
US11350161B2 (en) Digital video recorder with additional video inputs over a packet link
WO2017043702A1 (ko) 통신 시스템의 암호화 패킷 전송 방법
JP2013539566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当該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を動作させる方法
US874423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recorder, and video recorder adopting the method
CN110659080B (zh) 页面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7496114B2 (en) IP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US11134114B2 (en) User input based adaptive streaming
KR101093808B1 (ko) 데이터 저장장치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60140012A (ko) 영상 데이터 전송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168948B1 (ko) 모바일 영상 관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0602431A (zh) 配置参数修改方法、装置
KR20160026573A (ko) 감시 시스템
KR20200017323A (ko) 다중화 스트리밍 및 네트워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3866401A1 (en) Move stream content from point to point over the existing ip gateway
WO2010114491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electronic image content for display
JP6433012B2 (ja) データ配信システム
KR101257017B1 (ko) 네트워크 스위치 제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JP2011250264A (ja) 廃棄パケット監視装置、廃棄パケット監視方法および廃棄パケット監視プログラム
Zarovsky et al. Architecture of software for video surveillance systems with different types of cameras
KR101509185B1 (ko) Avb 기반으로 전송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에 대한 블록단위 직접저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