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8643A -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 Google Patents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643A
KR20110098643A KR1020110015970A KR20110015970A KR20110098643A KR 20110098643 A KR20110098643 A KR 20110098643A KR 1020110015970 A KR1020110015970 A KR 1020110015970A KR 20110015970 A KR20110015970 A KR 20110015970A KR 20110098643 A KR20110098643 A KR 20110098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ductor
portions
lock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9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48556B1 (en
Inventor
šœ타로 와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8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6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5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9Snap means not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onsisting of at least two resilient arms contacting the same counterpart

Abstract

(과제 )
회로 기판에 대한 단자의 땜납 접속시, 단자에 있어서의 땜납 위크를 방지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를 한다.
(해결 수단)
단자 (10 ; 20) 의 판면에서 유지되는 유지홈 (41 ; 42) 이 형성된 하우징 (40) 과, 단자의 피압부 (14 ; 24) 에 힘을 가하기 위한 가압부 (63 ; 64) 가 형성되어 있고 평형 도체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단자에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 (60) 를 갖고, 단자는 평형 도체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아암부 (11 ; 12) 와 하아암부 (12 ; 22) 가 중간 위치에서 연결부 (13 ; 23) 에 의해 연결되고, 상아암부가 연결부보다 평형 도체의 전부에 피압부 (14 ; 24) 를 그리고 후부에 압압부 (15 ; 25) 를 갖고 있고, 유지홈 (41 ; 42) 은 단자의 연결부의 일부를 포함하는 범위의 부분이 타부보다 홈 폭이 넓은 폭광부 (41A ; 42A) 를 형성하고, 폭광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게 위치하고 있다.
(assignment )
In soldering a terminal to a circuit board, a problem is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that prevents solder wicks in the terminal.
(Solution)
A housing 40 having a holding groove 41; 42 held on a plate surface of the terminal 10; 20, and a pressing portion 63; 64 for applying a force to the pressurized portion 14; 24 of the terminal, And a movable member 60 movable between an open position for closing the flat conductor and a closed position for pressing the terminal, the terminal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insertion of the flat conductor and the lower arm portion 11; 12 and the lower arm portion 12. 22 is connected by connecting portions 13 and 23 at an intermediate position, and the upper arm portion has a pressing portion 14; 24 on the whole of the balanced conductor rather than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pressing portion 15; 25 on the rear portion; The retaining grooves 41 and 42 form the light-expanding portions 41A and 42A in which a portion of the range including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erminal has a groove width wider than the other portions, and the light-emitting portions are at least partially positioned differently.

Description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본 발명은,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배열되는 단자 수가 많기 때문에, 극소 피치로 배열될 것이 요구되고, 따라서, 단자는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지고, 그 판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상기 극소 피치의 배열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In this type of connector, since the number of terminals arranged is large, it is required to be arranged at a very small pitch. Therefore, the terminals are made while maintaining a flat plate surface of a metal plate, and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te surface, whereby the minimum pitch Enables array of.

이와 같은 커넥터로는,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진 단자는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2 종이 이용되고 있으며, 서로 판면이 평행이 되도록 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단자와 제 2 단자를 유지하는 하우징의 제 1 단자 유지 오목부와 제 2 단자 유지 오목부는, 각각의 단자 유지벽에서 제 1 단자 그리고 제 2 단자의 판면과 접면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 에서는, 상기 단자 유지벽에는, 부분적으로 단자의 판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폭광부 또는 노치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폭광부 또는 노치부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제 1 단자 그리고 제 2 단자에 대한 위치 관계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도면에서 알 수 있는 한, 제 1 단자에 대한 위치와 제 2 단자에 대한 위치는 동일하다.As such a connector, the connector disclosed by patent document 1 is known. As for the connector of this patent document 1, the terminal made by holding the flat plate surface as mentioned above is used by the two types of a 1st terminal and a 2nd terminal, and is arrange | positioned alternately so that a plate surface may become mutually parallel. The first terminal holding recess and the second terminal holding recess of the housing hold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 contact with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on each terminal holding wall. Moreover, in patent document 1, the terminal holding wall is provided with the light-emitting part or notch part which forms a clearance gap with the plate surface of a terminal partially. The light emitting portion or notched portion does not describe how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when viewed from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is described, but as can be seen from the drawings,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not described. The positions for the terminals are the same.

이와 같은 폭광부 또는 노치부에서, 상기 단자 유지벽과 단자의 판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땜납시에 플럭스가 단자의 판면을 따라 상승해도, 상기 폭광부 또는 노치부에서의 간극으로, 플럭스의 그 이상의 상승을 저지하고, 단자의 상부에 형성된 접촉부 (컨택트) 까지 상기 플럭스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By forming a portion that forms a gap between the terminal holding wall and the plate surface of the terminal in such a light portion or notch, even if the flux rises along the plate surface of the terminal during soldering, the gap in the light portion or notch portion This prevents further increase of the flux and prevents the flux from reaching the contact portion (contac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terminal.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87398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7-287398

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제 1 단자와 제 2 단자가 교대로 위치하도록 배열되어 있지만, 플럭스 상승 방지를 위해 간극을 형성하는 폭광부 또는 노치부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를 극소 피치로 배열하고자 하면, 인접하는 단자 사이의 단자 유지벽의 두께가 상기 간극만큼 얇아져 유지 강도가 저하된다. 그러나, 유지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간극만큼 벽두께를 크게 해야 하므로, 그것으로는 극소 피치 배열은 실현할 수 없다. In the connector of this patent document 1, although the 1st terminal and the 2nd terminal are arrange | positioned alternately, the light-exposure part or notch part which forms a clearance gap in order to prevent a flux rise is located in the same position when it sees from a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Formed. Therefore, when the terminals are to be arranged at the minimum pitch,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holding wall between adjacent terminals becomes thinner by the gap, so that the holding strength is lowered. However, in order to secure the holding strength, the wall thickness must be made larger than the gap, so that a very small pitch arrangement cannot be realized.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하우징에 의한 단자 유지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플럭스 상승 방지를 위한 간극을 형성해도, 단자를 극소 피치 배열할 수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 situ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capable of arranging terminals at a minimum pitch even if a gap for preventing flux rise is formed without reducing the terminal holding strength caused by the housing. do.

본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고, 삽입된 평형 도체를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져 있고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접촉부,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 평형 도체를 누르는 압압 (押壓) 부, 그 압압부를 압압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힘을 수용하는 피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판면에 직각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자와, 삽입된 평형 도체의 접속 부분을 수용하는 수입 (受入)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가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위치에 상기 단자를 그 단자의 판면에서 유지하는 유지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단자의 피압부에 힘을 가하기 위한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어 평형 도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에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를 갖고, 상기 단자는 평형 도체의 삽입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상아암부와 하아암부가 그들의 길이 방향 중간 위치에서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아암부가 연결부보다 평형 도체의 삽입 방향 앞쪽의 전부에 피압부를 그리고 후부에 압압부를 갖고 있다. The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n electrical connector arrange | positioned on a circuit board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inserted flat conductor with a circuit board, The contact part which is made maintaining the flat plate surface of a metal plate, and contacts a flat conductor,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balanced conductor, and a pressing portion for receiving a force for displacing the pressing portion in the pressing direction,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ranged at right angles to the plate surface; A housing having an import space for receiv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inserted flat conductor and a holding groove for holding the terminal on the plate surface of the terminal at a position where the contact portion contacts the balanced conductor; Pressing part is formed to apply force to the pressure part, so that the contact position of the terminal with the open position and the balanced conductor enabling the insertion of the balanced conductor Having a movable member movable between closed positions pressed against the terminal, wherein the terminal is formed by connecting an ivory arm portion and a lower arm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allel conductor by a connecting portion at their longitudinal intermediate positions, and the ivory arm portion Has a pressed part in the whole of the insertion direction front side of a balanced conductor rather than a connection part, and a pressed part in a rear part.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유지홈은 적어도 단자의 연결부의 일부를 포함하는 범위의 부분이 타부보다 홈 폭이 넓은 폭광부를 형성하고, 그 폭광부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게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In such a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ing groove forms a light-emitting portion having a groove width wider than the other portion at least in a part including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erminal, and the light-emitting portion is viewed from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t least one part is characterized by being located differently at the time.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자를 유지하는 유지홈에 각 단자에 대해 폭광부를 형성하고 그 폭광부에서의 간극에 의해 플럭스 상승을 방지함에 있어서, 폭광부는 연결부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땜납이 실시되는 접속부를 갖는 하아암부로부터 접촉부를 갖는 상아암부에 대한 플럭스 상승의 유일한 상승 경로가 될 수 있는 연결부에서 유효하게 플럭스 상승이 방지된다. 게다가, 인접 단자 끼리에서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 폭광부끼리가 어긋나 있으므로, 그 폭광부에서 간극을 형성하면서도, 상기 어긋남에 의해 폭광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 단자 유지를 위한 벽면을 확보할 수 있어, 유지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유지홈끼리간의 벽두께를 얇게 하여, 단자의 극소 피치 배열을 가능하게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light emitting portion is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in forming a light emitting portion for each terminal in the holding groove holding the terminal and preventing the flux from rising due to the gap in the light emitting portion. Flux rise is effectively prevented at the connecting portion, which can be the only ascending path of flux rise from the lower arm portion having the soldered connection portion to the upper arm portion having the contact portion. In addition, in the adjacent terminals, the light-emitting portions are shifted from each other when viewed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thereby securing a wall surface for retaining the terminal in a portion where the light-emitting portion is not formed by the misalignment while forming a gap in the light-expanded portions. Since the holding strength can be secured, the wall thickness between the holding grooves can be made thin to enable the arrangement of the minimum pitch of the terminals.

본 발명에 있어서, 인접하는 단자에 대한 폭광부끼리는, 적어도 일부가 전후 방향에서 상이하게 위치하게 할 수도 있고, 혹은 적어도 일부가 상하 방향에서 상이하게 위치하게 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emitting portions with respect to the adjacent terminals may be at least partially positioned differently in the front-back direction, or at least a portion may be differently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적어도 단자의 연결부의 제 1 부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폭광부를 형성함으로써 간극을 형성하고, 인접하는 단자에 대한 폭광부끼리를,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게 위치하도록 했으므로, 단자의 양면 측에 간극을 형성하면서도, 상기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의 양면에 접면하여 유지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 경우는 없어져, 플럭스 상승 방지를 연결부에서 유효하게 저지함과 함께, 단자 유지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단자의 극소 피치 배열을 가능하게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gap by forming a light-emitting portion at least in a range including the first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terminal, and at least a portion thereof is formed when the light-emitting portions for adjacent terminals are viewed from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Since different positions are provided, gap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erminal, and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there is no case where the portion held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terminal is no longer present,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flux rise prevention at the connecting portion. In addition, the minimum pitch arrangement of the terminals is possible without degrading the terminal holding strength.

도 1 은 본 실시형태로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와 이것에 삽입되는 평형 도체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에 대해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서 평형 도체가 삽입 전에 있어서의 단면도로서, (A)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2 종의 단자 중 1 종의 단자의 위치에서, (B) 는 타종의 단자의 위치에서, 그리고 (C) 는 로크 금구의 위치에서 단면한 도면이다.
도 3 은 도 2(C) 의 단면도에 상당하는 위치에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커넥터에 대한 단자 그리고 로크 금구의 연결부의 위치에서의 좌단부 근방의 횡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예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연결부의 위치에서의 횡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예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연결부의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7 은 캠부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도 2(A), (B) 의 캠부 에 대한 도면, (B) 는 변형예로서의 캠부에 대한 도면이다.
도 8 은 도 2 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서, 평형 도체의 삽입 후를 나타낸다.
도 9 는 도 2 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평형 도체의 삽입 후에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 왔을 때를 나타낸다.
도 10 은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커넥터의 일부를 후방에서 보았을 때의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커넥터의 종단면로서, (A)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로크 금구의 위치, (B) 는 (A) 의 위치보다 약간 커넥터 측단으로 어긋난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나타나 있다.
도 12 는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로크 금구 위치에서의 단면도로서, (A) 는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 (B) 는 닫힘 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낸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a part of the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of this embodiment, and the balanced conductor inserted in this.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of FIG. 1 before the balanced conductor is inserted in the position where the movable member is opened, (A)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t the position of one of two terminals, (B) Is a cross section at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of a different kind, and (C) is a position of the lock bracket.
3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2C.
4 is a cross sectional view near the left end at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and the lock bracket for the connector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at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showing a modification to the example of FIG. 4.
FIG.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t the position of a connecting portion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to the example of FIG. 4. FIG.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principle of the cam portion, (A) is a view of the cam portion of Figs. 2 (A) and (B), and (B) is a view of the cam portion as a modification.
FIG. 8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2, illustrating the insertion of the balanced conductor after the movable member is in the open position. FIG.
FIG. 9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2, showing when the movable member is in the closed position after insertion of the balanced conductor. FIG.
10 shows another embodiment, and is a partially broken front view when a part of the connector is viewed from the rear.
Fig. 11 is a longitudinal cross section of the connector of Fig. 10, wherein (A) is a cross-sectional view at a position where the lock bracket is shifted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nd (B) is slightly shifted to the connector side end than the position of (A).
12 is a cross-sectional view at the lock bracket position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wherein (A) shows when the movable member is in the open position and (B) is in the closed position.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an accompanying drawing.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이하, 「커넥터」) 의 전체 그리고 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평형 도체의 전단부의 접속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onnection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flat conductor connected to the whole of the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hereafter "connector") of this embodiment, and this connector.

평형 도체 (F) 는, 그 선단부 하면에서 피복이 제거되어 있어 도체부 (도시 생략) 가 드러나 있고, 상면에서는 그 도체부보다 더욱 전방으로 커넥터 (1) 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시트 형상의 보강재 (F1)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보강재 (F1) 는, 도체부보다 전방에 있어서의 좌우의 측부 가장자리에 노치 형상의 피걸림부 (F2) 가 형성되어 있다. The flat conductor F has a sheet-like reinforcing material F1 so that the covering is remov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so that the conductor portion (not shown) is exposed, and the upper surface protrudes toward the connector 1 more forward than the conductor portion. Is formed. As for the reinforcing material F1, the notch-shaped caught part F2 is formed in the left-right side edge in front of a conductor part.

커넥터 (1) 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단자 (10 ; 20), 로크 금구 (30), 이들을 유지하는 하우징 (40), 그리고 하우징 (40) 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되어 있는 가동 부재 (60) 를 갖고 있다. The connector 1 has a terminal 10 made of a metal plate, a lock bracket 30, a housing 40 holding them, and a movable member 60 supported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in the housing 40. Have

단자 (10 ; 20) 와 로크 금구 (30) 는 모두,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져 있다. 단자는 2 종의 단자 (10 ; 20) 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이 단자 (10 ; 20) 의 판면에 직각인 방향에서 교대로 위치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동 방향에서 양단에 위치하는 단자 (10 ; 20) 에 인접하여 로크 금구 (30) 가 형성되어 있다. Both the terminals 10 and 20 and the lock bracket 30 are made to hold the flat surface of the metal plate. The terminals are composed of two kinds of terminals 10; 20, and are arranged so that they are alternately position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te surface of the terminals 10; 20, and are located at both ends in the same direction. The lock bracket 30 is formed adjacent to it.

2 종의 단자 (10 ; 20) 는, 각각의 단자 (10 ; 20) 에서의 단면도인 도 2(A), (B)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두 횡 H 형을 이루고, 각각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아암부 (11 ; 21), 하아암부 (12 ; 22) 그리고 양 아암부를 그들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 연결하는 연결부 (13 ; 23) 를 갖고 있다. 상아암부 (11 ; 21) 는, 평형 도체 (F) 의 삽입 방향 앞쪽인 전부에, 후술하는 가동 부재의 캠부에의해 눌려지는 피압부 (14 ; 24), 후부에 평형 도체를 상방으로부터 누르는 압압부 (15 ; 25) 가 형성되어 있다. 하아암부 (12 ; 22) 의 전부에는, 상기 캠부를 위한 지지부 (16 ; 26) 그리고 후부에는 평형 도체의 도체부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 (17 ; 27)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아암부 (12 ; 22) 에는, 회로 기판과의 땜납 접속을 위한 접속부 (18 ; 28) 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2A and 2B, which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respective terminals 10 and 20, the two types of terminals 10 and 20 each form a horizontal H shape, and each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upper and lower arm portions 11 and 21, the lower arm portions 12 and 22, and the connecting portions 13 and 23 connecting both arm portions at their longitudinal middle portions. The upper arm parts 11 and 21 are pressed parts 14 and 24 pressed by the cam part of the movable member mentioned later to the whole in the insertion direction front of the balanced conductor F, and the press part which presses a balanced conductor from upper part in the back part. (15; 25) is formed. In all of the lower arm portions 12 and 22, support portions 16 and 26 for the cam portion are formed, and contact portions 17 and 27 for contacting the conductor portions of the flat conductor are formed in the rear portion. In the lower arm portions 12 and 22, connection portions 18 and 28 for solder connection with the circuit board are formed.

이상은, 2 종의 단자 (10 ; 20) 에 대한 공통점을 서술했지만, 다음으로 상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common point with respect to two types of terminals 10 and 20 was described, difference is demonstrated next.

단자 (10) 의 상아암부 (11) 는, 도 2(A)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부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피압부 (14) 가 오목부를 이루고 있고, 또, 연결부 (13) 로부터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고 그 후단에 돌기 형상의 압압부 (15) 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단자 (20) 의 상아암부 (21) 는, 도 2(B)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피압부 (24) 는 직상 (直狀) 가장자리에서 형성되고, 또, 연결부 (23) 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단자 (10) 의 경우보다 짧고, 그 후단에 돌기 형상의 압압부 (25) 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A), the upper arm portion 11 of the terminal 10 has a recessed portion formed on the lower edge of the whole, and further extends backwar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13. The protruding pressing portion 15 is formed at the rear end thereof.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B), the upper arm portion 21 of the terminal 20 is provided with the to-be-pressed portion 24 formed at the lower edge of the whole, and is formed at the straight edge. The portion extending backwar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23 is shorter than in the case of the terminal 10, and a protruding pressing portion 25 is formed at the rear end thereof.

단자 (10) 의 하아암부 (12) 는, 도 2(A)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 (13) 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하우징 (40) 밖으로 연장된 부분에 접속부 (18) 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 (18) 는 하방으로 오목 만곡된 홈 형상의 고정부 (18A) 도 갖고 있다. 연결부 (13) 와 접속부 (18) 사이의 부분에는 상측 가장자리가 오목 형상을 이루고 캠부를 수용하는 지지부 (16) 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단자 (20) 의 하아암부 (22) 는, 도 2(B)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 (23) 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상측 가장자리 직상 가장자리를 이루고 지지부 (26) 가 형성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하우징 (40) 밖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자 (10) 의 접속부 (18) 와 대략 전후 대칭형의 접속부 (28) 그리고 고정부 (28A) 를 갖고 있다. 이 단자 (20) 의 하아암부 (22) 는, 전후 방향에서, 연결부 (23) 와 접속부 (28) 의 중간부에서 상아암부 (21) 의 압압부 (25) 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 형상의 접촉부 (27) 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A, the lower arm portion 12 of the terminal 10 has a connecting portion 18 formed at a portion extending forwar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13 and extending out of the housing 40. The connection part 18 also has 18 A of groove-shaped fixed parts recessed downward. In the part between the connection part 13 and the connection part 18, the support part 16 in which the upper edge becomes concave shape and accommodates a cam part is formed. On the other hand, the lower arm portion 22 of the terminal 20 forms an edge immediately above the upper edge of the portion extending forwar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23, as shown in FIG. 2 (B), and the supporting portion 26 is formed. The portion extending rearward extends out of the housing 40, and has a connecting portion 18 of the terminal 10, a connecting portion 28 and a fixing portion 28A of approximately front-back symmetry. The lower arm portion 22 of the terminal 20 is a protruding contact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portion 25 of the upper arm portion 21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3 and the connecting portion 28 in the front-rear direction. 27 is formed.

이와 같이 형성된 2 종의 단자 (10 ; 20) 는, 도 1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10) 이 전방으로부터 그리고 단자 (20) 가 후방으로부터 하우징 (40) 에 장착되어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two types of terminals 10 and 20 thus formed are alternately arranged with the terminal 10 mounted on the housing 40 from the front and the terminal 20 mounted from the rear.

로크 금구 (30) 는, 도 2(C) 그리고 도 3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20) 와 유사한 횡 H 형을 이루고 있고, 단자 (20) 와 동일하게 상아암부 (31) 와 하아암부 (32) 를 갖고, 양자는 그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 연결부 (33)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로크 금구 (30) 는, 전부에 있어서는, 상아암부 (31) 도 하아암부 (32) 도, 상기 단자 (20) 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있고, 상아암부 (31) 의 전부에는 직상 가장자리에서 피압부 (34) 가, 그리고 하아암부 (32) 의 전부에는 대략 직상 가장자리의 지지부 (36)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로크 금구 (30) 의 후부는, 상기 단자 (20) 와 형태를 상이하게 하고 있는 점이 있다. 상아암부 (31) 의 후부는, 길이로서는 단자 (20) 보다 길고, 단자 (10) 와 거의 동일한 위치이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로크 아암 (31A) 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 후단에는 하방을 향하는 비교적 큰 돌기 형상의 로크부 (35)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크 아암 (31A) 은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그 로크 아암 (31A) 은, 상기 피압부 (34) 가 후술하는 닫힘 위치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의 캠부에 의해 눌려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변위되었을 때에, 지레의 원리에 의해 연결부 (33) 를 지점으로 하여 하방으로 변위되고, 그 결과, 대략 수평 위치에 오게 된다. 이 경우, 로크 아암 (31A) 은 완전한 수평 위치가 아니어도, 다소의 기울기가 남아 있어도, 실질적으로 수평 상태라고 할 수 있는 자세가 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경사를 갖고 있는 로크 아암이,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 왔을 때에, 그 경사각을 줄여 수평 위치에 가까워 지도록 되어는 있지만 약간의 기울기가 남아 있거나, 혹은 수평 위치를 넘어 반대측으로 약간의 기울기를 발생시키고 있는 것으로 해도, 그 경사가 작은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로크 아암 (31A) 의 후단에 형성된 돌기 형상의 로크부 (35) 는, 전부 가장자리 (35A) 가 거의 수직 자장자리를 이루고, 후부 가장자리 (35B) 가 하방을 향하여 전방으로 경사져 있다. 이 로크부 (35) 는, 상아암부 (31) 가 피압부 (34) 에서 캠부로부터의 힘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평형 도체 (F) 가 삽입되었을 때, 그 평형 도체 (F) 의 전단 가장자리와 간섭하는 높이 방향에서의 위치 관계에 있다. 또, 상기 하아암부 (32) 의 후단에는, 단자 (20) 의 접속부 (28) 와 동일한 형태의 고정 다리 (38) 가 형성되고, 거기에는, 홈 형상의 고정부 (38A) 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C) and FIG. 3, the locking bracket 30 has a horizontal H-shape similar to that of the terminal 20, and the upper arm portion 31 and the lower arm portion ( 32, both of which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portion 33 at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thereof. In all of these lock brackets 30, the upper arm part 31 and the lower arm part 32 also have the same form as the terminal 20, and all of the upper arm parts 31 are directly pressurized at the edges. The support part 36 of the substantially straight edge is formed in 34 and all of the lower arm parts 32. As shown in FIG. The rear part of the locking bracket 30 may have a different shape from the terminal 20. The rear part of the upper arm part 31 is longer than the terminal 20 as a length, and is substantially the same position as the terminal 10, and forms the lock arm 31A extended rearward. And the lock part 35 of the comparatively large protrusion shape facing downward is formed in the rear end. The lock arm 31A extends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side. When the lock arm 31A is pressed by the cam portion of the movable member in the closed position described later, the lock arm 31A is lifted upward and displaced, the connecting portion 33 is a point by the principle of lever. It is displaced downward, and as a result is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position. In this case, even if the lock arm 31A is not a perfect horizontal position, and even some inclination remains, it is only necessary that the lock arm 31A be in a posture that can be said to be substantially horizontal. For example, a lock arm having an inclination when the movable member is in the open position is intended to reduce its inclination angle to become close to the horizontal position when the movable member is in the closed position, but some inclination remains or is horizontal Even if a slight inclination is generated beyond the position to the opposite side, it can be said to be a substantially horizontal position when the inclination is small. As for the projection-shaped lock part 35 formed in the rear end of the said lock arm 31A, the edge 35A has almost a vertical magnetic field, and the rear edge 35B is inclined forward toward downward. The lock portion 35 is formed with the front edge of the balanced conductor F when the balanced conductor F is inserted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arm portion 31 is not subjected to a force from the cam portion at the to-be-pressed portion 34. It is i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in the height direction which interferes. Moreover, the fixing leg 38 of the same form as the connection part 28 of the terminal 20 is formed in the rear end of the said lower arm part 32, and the groove shaped fixing part 38A is formed there.

상기 서술한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를 유지하는 하우징 (40) 은,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고, 도 1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적 평탄한 대략 직육면체 외형을 이루고 있고, 도 2 와 같이, 전후로 (도면에서 우측 방향 그리고 좌측 방향) 관통하여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를 각각 유지하는 단자 유지홈 (41 ; 42) 그리고 로크 금구 유지홈 (43)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단자 유지홈 (41 ; 42) 그리고 로크 금구 유지홈 (43) 은, 판 형상의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를 이들의 판면과 약간의 간극을 유지하면서 대면하여 유지하도록, 도 2 에서 지면 (紙面) 에 직각 방향으로 그 판두께에 상당하는 홈 폭의 슬릿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자 유지홈 (41 ; 42) 그리고 로크 금구 유지홈 (43) 에 대해,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는, 그들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기 (19 ; 29) 그리고 돌기 (39) 에 의해, 홈 바닥에 걸려 상하 가장자리에서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 이들 단자 유지홈 (41 ; 42) 그리고 로크 금구 유지홈 (43) 은, 하우징 (40) 의 전부에서 상방을 향하여 크게 노치된 전부 공간 (44) 에 연통되어 있고, 또한 전후 방향에서 중간 위치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형성된 평형 도체 (F) 를 위한 수입 공간으로서의 삽입홈 (45) 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이 삽입홈 (45) 의 형성에 의해, 하우징 (40) 은 그 상하 위치에 상벽 (46) 그리고 하벽 (47) 을 갖게 되고, 그 상벽 (46) 그리고 하벽 (47) 의 면에 단자 유지홈 (41 ; 42) 이 개구홈으로서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 상벽 (46) 은, 로크 금구 (30) 의 위치에서는, 그 로크 금구 (30) 의 로크 아암 (31A) 이 진입하는 홈부 (48) 가 상하로 관통하여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벽 (47) 은 단자 (10) 에 대해서는, 전단이 대략 테이퍼 형상으로 얇게 형성되어 있어 단자 (10) 의 홈 형상의 고정부 (18A) 가 끼워 장착되는 유지부 (47A) 를 이루고, 단자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에 대해서는, 후단에서 동일하게 형성된, 단자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각각의 고정부 (28A 그리고 38A) 를 위한 유지부 (47A) 를 이루고 있다. 또, 상기 하벽 (47) 에서 상방으로 개구되는 단자 (10) 를 위한 단자 유지홈 (41) 은, 단자 (10) 의 하아암부 (12) 의 후부가 하방으로 휘는 것을 허용하도록, 그 홈 바닥 (41A) 이 후방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홈 깊이를 점차 크게 하고 있다. The housing 10 holding the above-mentioned terminals 10 and 20 and the lock bracket 30 is made of an electrical insulating material, and as shown in FIG. 1, has a relatively flat and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s shown in FIGS. Similarly, terminal retaining grooves 41 and 42 and lock bracket retaining grooves 43 are formed to penetrate back and forth (right and left directions in the drawing) to hold the terminals 10 and 20 and the lock bracket 30, respectively. . These terminal holding grooves 41 and 42 and the lock bracket holding grooves 43 hold the plate-shaped terminals 10 and 20 and the lock bracket 30 face to face while maintaining a slight gap therebetween, In FIG. 2, it is formed as a slit of the groove width corresponding to the plate | board thickness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urface. With respect to such terminal retaining grooves 41 and 42 and the lock bracket retaining groove 43, the terminals 10 and 20 and the lock bracket 30 are formed with projections 19 and 29 and projections 39 formed at their lower edges. By this, it hangs on the groove bottom and is reliably maintained at the upper and lower edges. In addition, these terminal holding grooves 41 and 42 and the lock bracket holding groove 43 communicate with all the spaces 44 notched largely upward in all of the housings 40, and are also intermediate positions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is communicated by the insertion groove 45 as an import space for the balanced conductor F formed toward from the back. By the formation of the insertion groove 45, the housing 40 has an upper wall 46 and a lower wall 47 at its upper and lower positions, and a terminal holding groove (on the surface of the upper wall 46 and the lower wall 47). 41; 42) It takes the form of this opening groove. The upper wall 46 is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lock bracket 30 so that the groove 48 through which the lock arm 31A of the lock bracket 30 enters penetrates up and down to have a slit shape. The lower wall 47 forms a holding part 47A in which the front end is thinly formed in the shape of a taper in the taper shape of the terminal 10, and the fixing part 18A of the groove shape of the terminal 10 is fitted, and the terminal 20 is connected. ) And the locking bracket 30 constitutes a holding portion 47A for the fixing portions 28A and 38A of each of the terminal 20 and the locking bracket 30, which are similarly formed at the rear end. In addition, the terminal holding groove 41 for the terminal 10 opened upward from the lower wall 47 has its groove bottom () so as to allow the rear portion of the lower arm portion 12 of the terminal 10 to be bent downward. 41A)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toward the rear, and the groove depth is gradually increased.

하우징 (40) 은, 도 1 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의 양단부에서, 단자 배열 범위를 포함하여 양단의 로크 금구 (30) 끼리 사이의 범위에 있어서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 (49)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부 (49) 는, 도 2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후방에서 본 형상이 횡 U 자 형상을 이루고, 평형 도체 (F) 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 (폭 방향에서 피걸림부 (F2) 가 존재하는 범위) 를 후방으로부터 받아들이도록, 삽입홈 (45) 의 폭 방향 양단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이 연장부 (49) 는, 후방에 있어서의 입구부에 상하에서 테이퍼의 도입면 (49A ; 49B) 을 갖고 있다. 상기 연장부 (49) 에 있어서의 이 삽입홈 (45) 의 내측면 그리고 상하 내면은, 삽입되는 평형 도체 (F) 를 그 폭 방향 그리고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부 (50) 를 형성한다. 또, 이 규제부 (50) 중 평형 도체의 삽입시의 재치면과 동일 레벨에 있는 하내면에는, 평형 도체 (F) 의 피걸림부 (F2) 에 걸리는 돌기부로서의 걸림 돌기 (51)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걸림 돌기 (51) 는, 도 1 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는 로크 금구 (30) 에 대해 어긋난 위치에 있고, 전후 방향에서는, 도 2(C)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크 금구 (30) 의 로크부 (35) 와 거의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 걸림 돌기 (51) 는 종단면이 사다리꼴을 이루고 있고, 전부 가장자리 (51A) 가 수직면을 그리고 후측 가장자리 (51B) 가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그 걸림 돌기 (51) 의 상면 (51C) 은 평탄면이며,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 2(C)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로크부 (35) 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지만,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 옴으로써 로크부 (35) 가 하방으로 변위되었 때에는, 이 로크부 (35) 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 또,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2(A), (B)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 돌기 (51) 의 상면은, 단자 (10 ; 20) 의 하아암부 (12 ; 22) 에 형성된 접촉부 (17 ; 27) 의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As can be seen from FIG. 1, the housing 40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end edge in the range between the lock brackets 30 at both ends, including the terminal arrangement range, at both ends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The extension part 49 is formed. As shown in FIG. 2, this extension part 49 has a horizontal U shape in the shape seen from the back, and the width direction both edges of the balanced conductor F (the caught part F2 exists in the width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both ends of the insertion groove 45 are formed so as to receive the range from the back side. This extension part 49 has the introduction surface 49A; 49B of a taper up and down in the inlet part in the back. The inner surface and the upper and lower inner surfaces of the insertion groove 45 in the extension portion 49 form a restricting portion 50 for regulating the position of the flat conductor F to be inserted in its width direction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do. Moreover, the locking protrusion 51 as a protrusion part which catches the caught part F2 of the balanced conductor F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which is the same level as the mounting surface at the time of insertion of a balanced conductor among these control parts 50, have. As can be seen from FIG. 1, the locking projection 51 is located at a position shifted from the lock bracket 30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nd as can be seen from FIG. 2 (C)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is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position as the lock portion 35 of the lock bracket 30. The engaging projection 51 is trapezoidal in longitudinal section, the edge 51A is a vertical surface, and the rear edge 51B is a tapered surface. The upper surface 51C of the locking projection 51 is a flat surface and is locat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lock portion 35 as shown in Fig. 2C showing when the movable member is in the open position. When the lock part 35 is displaced downward by coming to the closed position, the height is set so that it may be located above the lower end of this lock part 35. In addition, when the movable member is in the open position,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rojection 51 is the lower arm portions 12 and 22 of the terminals 10 and 20. It is locat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contact part 17;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 왔을 때에, 로크부 (35) 와 걸림 돌기 (51) 는,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 (F2) 에 대해 상방 그리고 하방으로부터 보완하여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예와 같이,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 왔을 때에, 걸림 돌기 (51) 의 상면 (51C) 이, 반드시 로크부 (35) 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로크부 (35) 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보완에 의한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걸림 돌기는, 하우징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다른 부재, 예를 들어, 보강 금구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나아가서는, 로크 아암부를 갖는 금구 자체에 로크부와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vable member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lock portion 35 and the locking projection 51 are caught by being complemented from above and below with respect to the caught portion F2 of the flat conductor. Therefore, as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 when the movable member comes to the closed position, the upper surface 51C of the locking projection 51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locat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lock portion 35, and the lock is not required. It may be locat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part 35, and nevertheless obtains the effect by the above-mentioned complement.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projection may be formed in another member held by the housing, for example, a reinforcing bracket, even if the locking projection is not formed in the housing. It may be formed so as to face.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는, 기술한 바와 같이, 그들을 위한 단자 유지홈 (41 ; 42) 그리고 로크 금구 유지홈 (43) 의 홈 바닥에 확실하게 유지되고 있고, 홈 내면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의 판면과의 사이의 간극은, 그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의 부위에 의해, 대소의 차이가 있고, 즉, 홈 폭에 넓고 좁음이 있다. The terminals 10 and 20 and the lock bracket 30 are reliably held at the bottom of the grooves of the terminal retaining grooves 41 and 42 and the lock bracket retaining grooves 43 for them, as described above. Although a small gap is formed between the gaps, the gap between the terminal 10; 20 and the plate surface of the lock bracket 30 is formed by the site of the terminal 10; 20 and the lock bracket 30. There are large and small differences, that is, wide and narrow groove width.

연결부 (13 ; 23 그리고 33) 가 위치하는 높이에서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4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 (13 ; 23 ; 33) 를 포함하는 각각의 영역에서의 단자 유지홈 (41 ; 42) 그리고 로크 금구 유지홈 (43) 의 홈 폭은 타 영역에서의 홈 폭보다 커, 폭광부 (41A ; 42A: 43A) 를 형성하고 있다. 그 폭광부 (41A ; 42A ; 43A) 의 영역에서는,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의 판면과의 사이에, 타 영역보다 넓은 간극 (hl ; h2 ; h3) 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h1 = h2 이다. 단자 배열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된 이들 단자 (10 ; 20) 에 대한 폭광부 (41A ; 42A) 는, 전후 방향 (도 4 에서 상하 방향) 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도 4 에서, 이미 서술한 걸림 돌기 (51) 가 단자 배열 방향에서 로크 금구 (30) 보다 어긋나 위치하고, 그 로크 금구 (30) 에 근접하여 있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도 4 의 예에서는, 단자 (10 ; 20) 의 연결부 (13 ; 23) 가 전후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었으므로, 전후 방향에서 그 연결부 (13 ; 23) 에 대응하는 영역에 폭광부 (41A ; 42A)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폭광부 (41A ; 42A) 나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 위치하게 된다. 이에 대해, 상이한 형태로서 단자 (10 ; 20) 의 연결부 (13 ; 23) 가, 도 5 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을 때에는, 폭광부 (41A ; 42A) 는, 테이퍼부를 거쳐 전후로 어긋나 폭광부 (41A ; 42A) 로 이행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연결부 (13 ; 23) 는, 상아암부 (11 ; 21) 와 하아암부 (12 ; 22) 를 연결하는 형태로서 양팔부의 간격에 상당하는 상하 방향에서의 길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연결부 (13 ; 23) 가 전후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있어도, 도 6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폭광부 (41A ; 42A) 를 형성하도록 하여, 큰 간격 (hl, h2) 을 상하로 어긋나게 형성해도 된다. Terminal retaining grooves 41; 42 in each region including the connecting portions 13; 23; 33, as shown in FIG. 4 showing the cross section at the height at which the connecting portions 13; 23 and 33 are located. The groove width of the lock bracket retaining groove 43 is larger than the groove width in the other region, and forms the light-emitting portions 41A (42A: 43A). In the area | region of the light-exposure part 41A; 42A; 43A, the clearance gap (hl; h2; h3) wider than another area | region is formed between the terminal 10; 20 and the plate surface of the lock bracket 30, respectively. . In this embodiment, h1 = h2. The light-expansion parts 41A and 42A with respect to these terminals 10 and 20 alternately arrange | positioned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re shift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up-down direction in FIG. 4). In addition, in this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above-mentioned locking projection 51 is shifted from the locking bracket 30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nd is close to the locking bracket 30. In the example of FIG. 4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necting portions 13 and 23 of the terminals 10 and 20 were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widths in the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portions 13 and 23 in the front-back direction were wide. Only by forming the light portions 41A; 42A, the light portions 41A; 42A are shifted and positioned in the light emitting portions 41A; 42A.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necting parts 13 and 23 of the terminals 10 and 20 are in the same posi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as shown in FIG. 5, the light-exposure portions 41A and 42A are shifted back and forth through the tapered portions. You may form so that it may transition to light part 41A; 42A. Furthermore, since the connection parts 13 and 23 have the length in the up-down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pace | interval of both arms as a form which connects the upper arm parts 11 and 21 and the lower arm parts 12 and 22, the connection part 13 Even when 23 is at the same posi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shown in FIG. 6, the light-emitting portions 41A and 42A are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up-down direction, so that the large gaps hl and h2 are shifted up and down. You may also

도 1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에는,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진 가동 부재 (60) 가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가동 부재 (60) 는, 하우징 (40) 의 전부에 형성된 전부 공간 (44) 에 위치하고 있다. 그 가동 부재 (60) 는, 하우징 (40) 의 폭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치수) 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도 2(A) ∼ (C)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립 (垂立) 하는 자세의 열림 위치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넘어지는 도 9(A) ∼ (C) 의 닫힘 위치까지의 사이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가동 부재 (60) 는,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의 상아암부 (11 ; 21 그리고 31) 의 후부에 하방에 대한 변위를 주는 것으로서, 열림 위치는 이 변위를 발생시키기 전에 하우징 (40) 의 삽입홈 (45) 에 평형 도체 (F) 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그 가동 부재 (60) 의 위치이고, 한편, 닫힘 위치는 변위를 발생시켜 삽입 후의 평형 도체 (F) 를 하방으로 누르는 위치이다. As shown in FIG. 1, the connector 1 is formed so that the movable member 60 made of an electrical insulating material can freely rotate. The movable member 60 is located in all the spaces 44 formed in all of the housings 40. The movable member 60 extends over the width (dimensions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housing 40 and has a posture established as shown in Figs. 2A to 2C. It is possible to rotate freely between the open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of Figs. 9 (A) to (C) fall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movable member 60 gives downward displacement to the rear of the terminals 10; 20 and the upper arm portions 11; 21 and 31 of the lock bracket 30, and the open position before the displacement is generated. The movable member 60 is a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60 that allows the flat conductor F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5 of the housing 40, while the closed position generates displacement and moves the flat conductor F after insertion downward. It is a pressing position.

상기 가동 부재 (60) 는, 열림 위치에서, 도 2(A) ∼ (C) 와 같이 전부 공간 (44) 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조작부 (61) 를 갖고, 그 조작부 (61) 보다 하방의 부위에 전후로 관통하는 슬릿 형상의 홈부 (62) 가 형성되어 있다. 그 홈부 (62)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각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그 홈부 (62) 의 홈 폭 (도 2(A) ∼ (C ) 에서 지면에 대해 직각인 방향에서의 홈 내 폭 치수) 가 대응하는 상기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의 판두께보다 약간 큰 정도로 되어 있다. 홈부 (62) 의 하부에는,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에 대한 가압부로서 각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에 대응한 캠부 (63 ; 64 ; 65)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캠부 (63 ; 64 ; 65) 는 홈부 (62) 의 대향되는 홈 내면끼리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The said movable member 60 has the operation part 61 which protrudes upwards from all the space 44 like FIG.2 (A)-(C) in an open position, and is located in the site | part below the operation part 61. The slit-shaped groove part 62 which penetrates back and forth is formed. The groove portion 6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terminal 10; 20 and the lock bracket 30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nd the groove width of the groove portion 62 (FIGS. 2A to 2C). ), The groove width dimensio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s slightly larger than the plate thickness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s 10 and 20 and the lock bracket 30. In the lower part of the groove part 62, the cam part 63; 64; 65 corresponding to each terminal 10; 20 and the lock bracket 30 is provided as a pressing part for the terminal 10; 20 and the lock bracket 30. Formed. Each cam part 63 (64; 65) is formed so that the groove | channel inner surface of the groove part 62 which opposes may be connected.

단자 (10) 에 대응하여 형성된 캠부 (63) 는, 도 2(A)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6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가로 길이를 이루는 타원형 단면 형상을 갖고 있고, 단자 (10) 의 하아암부 (12) 의 전부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한 형상의 지지부 (16) 내에 있고, 상아암부 (11) 의 피압부 (14) 에 대해서는 간격을 갖고 있어 비접촉 상태에 있다. 도 2(A) 에 있어서의 이 캠부 (63) 의 가로 길이는, 동 도면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부 (16) 와 피압부 (14) 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부재 (60) 가 닫힘 위치에 왔을 때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캠부 (63) 는 세로로 긴 자세를 취하고, 상기피압부 (14) 를 상방으로 눌러 탄성 변위시킨다. As shown in FIG. 2A, the cam portion 63 formed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10 has an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that forms a horizontal length when the movable member 60 is in the open position. It is in the recessed support part 16 formed in the upper edge of all the lower arm parts 12 of 10), and it has a space |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to-be-pressed part 14 of the upper arm part 11, and is in a non-contact state. The horizontal length of this cam part 63 in FIG.2 (A) is set larger than the space | interval of the said support part 16 and the to-be-pressed part 14 in the same figure. Therefore, when the movable member 60 has come to the closed position, as described later, the cam portion 63 takes a vertically long posture, and pushes the pressure portion 14 upward to elastically displace it.

단자 (20) 에 대응하여 형성된 캠부 (64) 는, 도 2(B)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6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단자 (10) 를 위한 가로로 긴 타원형의 캠부 (63) 의 우측 상부 구석부를 각 (角) 형상으로 변형시킨 단면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지지부 (26) 에 접해 있다. 또, 동 도면에서의 높이 치수도 상기 캠부 (63) 보다 크다. 따라서, 캠부 (64) 는 좌부에서는 반원형, 우부에서는 평탄면을 가지면서 그 하부에 둥그스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캠부 (64) 도, 가동 부재 (6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단자 (20) 의 상아암부 (21) 에 형성된 피압부 (24) 에 대해 간격을 갖고 비접촉 상태에 있고, 가동 부재 (60) 가 닫힘 위치에 왔을 때에, 세로로 긴 자세가 되고, 그 피압부 (24) 를 상방으로 눌러 탄성 변위시킨다. The cam portion 64 formed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20 has a horizontally long elliptical cam portion for the terminal 10 when the movable member 60 is in the open position, as shown in FIG. 2 (B). It has a cross-sectional shape which deform | transformed the upper right corner part of 63 into an angular shape, and contact | connects the said support part 26. Moreover, the height dimension in the same figure is also larger than the said cam part 63. FIG. Accordingly, the cam portion 64 has a semicircular shape at the left side and a flat surface at the bottom thereof, and has a rounded shape at the bottom thereof. When the cam part 64 is also in the open position, the cam part 64 is in a non-contact state with a gap with respect to the to-be-pressed part 24 formed in the upper arm part 21 of the terminal 20, and the movable member 60 ) Comes to the closed position, it becomes a longitudinally long posture, and presses the to-be-pressed part 24 upwards to elastically displace.

로크 금구 (30) 에 대응하여 형성된 캠부 (65) 는, 단면 형상이 상기 캠부 (64) 와 유사하지만, 가동 부재 (60) 가 열림 위치에 있어도, 로크 금구 (30) 의 상아암부 (31) 에 형성된 피압부 (34) 에 접해 있다. 가동 부재 (60) 가 닫힘 위치에 오면 그 캠부 (65) 는 상기 피압부 (34) 를 눌러 탄성 변위시킨다. The cam portion 65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ck bracket 30 has a cross-sectional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cam portion 64, but even when the movable member 60 is in the open position, the cam portion 65 is provided with the upper arm portion 31 of the lock bracket 30. It is in contact with the formed to-be-pressed part 34. When the movable member 6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cam portion 65 depresses the pressure portion 34 to elastically displace it.

2 종의 단자 (10 ; 20) 에 각각 대응한 캠부 (63 ; 64) 는, 가동 부재 (60) 사 닫힘 위치에 왔을 때에, 이들의 회전 축선의 방향, 즉, 도 2 에 있어서 지면에 직각인 방향에서 보면, 도 7(A) 와 동일한 위치 관계에 있다. 도 7(A) 에 있어서, 가동 부재 (60) 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세로로 긴 자세를 취하고 있는 캠부 (63) 와 캠부 (64) 는, 단자 (10) 의 피압부 (14) 와 지지부 (16) 로부터 각각 동일한 힘의 반력 (A, B) 을 그리고 단자 (20) 의 피압부 (24) 와 지지부 (26) 로부터 각각 동일한 힘의 반력 (C, D) 을 받는다. 일방의 캠부 (63) 에 대한 반력 (A, B) 은 그들의 작용선이 일치하고 있어 캠의 회전 중심 (P) 을 통과하는 하나의 선 (X) 상에 있다. 이에 대해, 타방의 캠부 (64) 에서는, 그 폭이 캠부 (63) 보다 넓고, 그리고 상단의 원호가 우측에 치우쳐 있음으로써, 피압부 (24) 로부터의 반력 (C) 이 상기 캠부 (63) 에 있어서의 반력 (A) 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있고, 또, 지지부 (26) 로부터의 반력이 캠부 (64) 의 평탄한 저면에 작용하기 때문에 반력 (D) 의 중심이 그 중심 위치가 되고, 결국 상기 반력 (C) 과 동일한 선 (Y) 상의 작용선을 갖게 된다. 즉, 캠부 (63 ; 64) 를 동시에 보았을 때에, 반력 (A 와 B) 이 하나의 선 (X) 상에서 균형이 잡히고, 그리고 반력 (C 와 D) 이 선 X 로부터 떨어진 다른 선 (Y) 상에서 균형이 잡히게 된다. 따라서 캠부 (63 ; 64) 의 양방에서, 상하 방향에서 균형이 잡히는 반력 (A, B) 그리고 동일하게 상하 방향에서 균형이 잡히는 C, D 를 상기 캠의 회전 중심 (P) 로부터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받게 되어, 닫힘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60) 는, 닫힘 위치에서 중립 상태를 취하게 된다. 가동 부재 (60) 은, 이 중립 상태로부터, 열림 위치 방향 혹은 그 반대 방향으로 어긋나려고 해도, 상기 두 개의 선 (X, Y) 상의 반력 (A, B) 그리고 C, D 에 의한 모멘트에 의해 당초의 중립 상태로 되돌아 가게 되어, 안정적으로 중립 상태를 유지한다. When the cam parts 63 and 64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two types of terminals 10 and 20 come to the movable member 60's closed position, the cams 63 and 64 ar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n the direction of their rotation axis, that is, in Fig. 2. 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it is in the same positional relationship as in Fig. 7A. In FIG. 7 (A), when the movable member 6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cam portion 63 and the cam portion 64 that are in the longitudinally long posture are the to-be-pressed portion 14 and the support portion of the terminal 10. Reaction forces (A, B) of the same force are respectively received from (16) and reaction forces (C, D) of the same force are respectively received from the to-be-pressed part 24 and the support part 26 of the terminal 20, respectively. The reaction forces A, B for one cam portion 63 are on one line X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rotation P of the cams because their lines of action coincide. On the other hand, in the other cam part 64, the width | variety is wider than the cam part 63, and the circular arc of the upper end is biased to the right side, and the reaction force C from the to-be-pressed part 24 is transmitted to the said cam part 63 It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reaction force A in this case, and since the reaction force from the support portion 26 acts on the flat bottom face of the cam portion 64, the center of the reaction force D becomes its center position, and eventually the reaction force ( It has a line of action on the same line (Y) as in C). That is, when the cam portions 63; 64 are viewed simultaneously, the reaction forces A and B are balanced on one line X, and the reaction forces C and D are balanced on the other line Y away from the line X. This is caught. Therefore, on both sides of the cam portions 63 and 64, reaction forces A and B that are balanc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C and D that are equally balanc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re received at positions away from the rotational center P of the cam. Thus, the movable member 60 in the closed position takes a neutral state in the closed position. Even if the movable member 60 tries to shift in the opening position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is neutral state, it is initially based on the reaction force (A, B) on the two lines (X, Y) and the moment by C, D. It returns to the neutral state of and maintains the neutral state stably.

이러한 중립 상태는, 2 종의 캠부 (63 ; 64) 의 반력 (A, C) 에 대해서의 반력 (B, D) 의 위치 관계를 반대로 해도 얻어진다. 도 7(B) 에 있어서,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2 종의 캠부 (63 ; 64) 의 타원에 있어 장축이 교차하도록 양 캠부를 형성하면, 일방의 캠부 (63) 의 반력 (A, B) 의 작용선은 서로 어긋나고, 그리고 타방의 캠부 (64) 의 반력 (C, D) 의 작용선도 서로 어긋난다. 그러나, 2 종의 캠부 (63 ; 64) 를 동시에 보면, 4 개의 반력 (A, B, C, D) 은, 도 7(A) 의 경우와 비교하여 반력 (B, D) 의 위치가 바꼈을 뿐, 전체로서는 도 7(B) 일 때와 동일하게 균형이 잡힌다. 따라서, 이 경우도 중립 상태가 안정된다. Such a neutral state is obtained even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reaction force (B, D) with respect to reaction force (A, C) of two types of cam parts (63; 64) is reversed. In FIG. 7B, when the movable member is in the closed position, if both cam portions are formed such that the long axes intersect in the ellipses of the two kinds of cam portions 63; 64, the reaction force A of one cam portion 63 is formed. And the line of action of B) are shifted from each other, and the line of action of reaction forces C and D of the other cam portion 64 is also shifted from each other. However, when the two kinds of cam portions 63 and 64 are viewed at the same time, the four reaction forces A, B, C, and D have changed positions of the reaction forces B and 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Fig. 7A. In addition, as a whole, the same balance as in the case of Fig. 7B is achieved. Therefore, the neutral state is stabilized also in this case.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그 사용 요령을 설명한다. Next, the usage method of the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of this embodiment comprised in this way is demonstrated.

(1) 먼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 (1) 를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고, 단자 (10 ; 20) 의 접속부 (18 ; 28) 와 로크 금구 (30) 의 고정 다리 (38) 양자를, 회로 기판의 각각의 대응부와 땜납 접속한다. 땜납은, 하아암부 (12 ; 22 그리고 32) 에 형성된 상기 접속부 (18 ; 28) 그리고 고정 다리 (38) 로부터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의 각각의 판면을 따라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의 하아암부 (12 ; 22 ; 32) 는, 연결부 (13 ; 23 ; 33) 만으로 상아암부 (11 ; 21, 31) 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만일 땜납이 상승해도, 땜납은 상아암부 (11 ; 21 ; 31) 에 도달하려면, 땜납은 이 연결부 (13 ; 23 ; 33) 를 통과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도 4 ∼ 6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 (13 ; 23 ; 33) 에 대해, 하우징 (40) 은 폭광부 (41A ; 42A 43A) 와 큰 간극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땜납 상승은 여기서 정지하고, 상아암부 (11, 21 ; 31) 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이 땜납 상승 저지의 효과는, 프랙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얻어진다. (1) First, the connector 1 shown in FIG. 1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a circuit board (not shown), and the connection part 18; 28 of the terminal 10; 20, and the fixing leg of the lock bracket 30 ( 38) Solder is connected to each corresponding part of a circuit board. Solder is likely to rise along the respective plates of the terminals 10 and 20 and the lock bracket 30 from the connecting portions 18 and 28 and the fixing legs 38 formed on the lower arm portions 12; 22 and 32. have. However, since the lower arm portions 12 and 22 and 32 of the terminal 10 and 20 and the lock bracket 30 are connected to the upper arm portions 11 and 21 and 31 only by the connecting portions 13 and 23 and 33, Even if the solder rises, in order for the solder to reach the upper arm portions 11; 21; 31, the solder must pass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s 13; 23; 33. However, as shown in Figs. 4 to 6, for the connecting portions 13; 23 and 33, the housing 40 forms a large gap with the light emitting portions 41A and 42A 43A, so that the solder rise stops here. , The ivory arm parts 11, 21; 31 do not reach. The effect of the solder rise prevention is similarly obtained for the freck.

(2) 다음으로, 도 2(A) ∼ (C)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60) 를 수립시키는 열림 위치에 가져와, 평형 도체 (F) 의 삽입에 대비한다. 이 가동 부재 (60) 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의 피압부 (14 ; 24 ; 34) 는 가동 부재 (60) 의 대응 캠부 (63 ; 64 ; 65) 로부터 전혀 힘을 받지 않고, 따라서, 압압부 (15 ; 25 ; 35) 는 변위되어 있지 않은 당초의 위치에 있고, 단자 (10 ; 20) 는, 평형 도체 (F) 를 용이하게 수용하는 상태에 있다. 여기서 로크 금구 (30) 는, 기술한 바와 같이, 그 압압부 (35) 가 평형 도체 (F) 의 삽입 경로와 간섭하는 위치에 있다. (2) Next, as shown to FIG. 2 (A)-(C), it brings to the open position which sets the movable member 60, and prepares for insertion of the balanced conductor F. As shown to FIG. In the state where the movable member 60 is in the open position, the terminals 10 and 20 and the pressurized portions 14 and 24 and 34 of the lock bracket 30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cam portions 63 and 64 of the movable member 60; Since no pressure is applied from 65 at all, the pressing portions 15; 25; 35 are at their original positions which are not displaced, and the terminals 10; 20 easily receive the balanced conductors F. Is in. As described above, the lock fitting 30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pressing portion 35 interferes with the insertion path of the balanced conductor F. As shown in FIG.

(3) 그 후, 도 8(A) ∼ (C)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F) 를 하우징 (40) 의 삽입홈 (45) 에 삽입한다. 그 때, 평형 도체 (F) 는, 단자 (10 ; 20) 에 접하기 전에,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40) 에 형성된 연장부 (49) 의 규제부 (50) 에 의해, 상하 그리고 측방에서의 위치가 규제되어 소정 위치에서 삽입된다. 따라서, 삽입시에, 단자 (10 ; 20) 는 평형 도체 (F) 로부터 무리한 힘을 수용하는 경우는 없다. 평형 도체 (F) 의 삽입시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동 부재 (60) 는 열림 위치에 있고, 단자 (10 ; 20) 의 압압부 (15 ; 25) 는, 여전히 하방으로 변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단자 (10 ; 20) 에 대해서는, 평형 도체 (F) 는 용이하게 상아암부 (11 ; 21) 와 하아암부 (12 ; 22) 사이에 진입한다. 평형 도체 (F) 의 삽입시, 로크 금구 (30)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로크부 (35) 가 평형 도체 (F) 와 간섭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평형 도체 (F) 는 그 전단에서 그 로크부 (35) 를 밀어 올리면서 전진한다. 로크 아암 (31A) 은, 평형 도체 (F) 의 삽입 전부터, 후방을 향하여 상방에 기울어 있으므로, 로크부 (35) 의 경사지는 후부 가장자리 (35B) 에서 평형 도체 (F) 로부터의 맞닿음력을 받으면, 상방에 대한 분력에 의해 기울기를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휘며 변위되어, 평형 도체 (F) 의 전진을 용이하게 한다. 평형 도체 (F) 가 소정 위치까지 전진하면, 도 8(C) 와 같이, 로크부 (35) 가 평형 도체 (F) 의 노치부인 피걸림부 (F2) 에 돌입하여 전부 가장자리 (35A) 에서 그 피걸림부 (F2) 의 전부 가장자리에 대해 걸림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로크 아암 (31A) 은, 당초의 기울기로 되돌아온다. 도 8(C) 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F) 의 피걸림부 (F2) 에 상기 로크부 (35) 가 상방으로부터 돌입하고 있음과 함께, 그 평형 도체 (F) 는 하우징 (40) 의 걸림 돌기 (51) 에 대해 상방에 위치하고 있지만, 전후 방향에서는 상기 피걸림부 (F2) 가 그 걸림 돌기 (51) 의 위치에 있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는 로크부 (35) 와는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이 걸림 돌기 (51) 와 걸림 가능한 상태에 있다. (3) After that, as shown in FIGS. 8A to 8C, the balanced conductor F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5 of the housing 40. At that time, the balanced conductor F is formed by the restricting portion 50 of the extension portion 49 formed in the housing 40 extending rearward before contacting the terminals 10; The position is regulated and inser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refore, at the time of insertion, the terminals 10 and 20 do not receive an excessive force from the balanced conductor F. At the time of insertion of the balanced conductor F, as described above, the movable member 60 is in the open position, and the pressing portions 15 and 25 of the terminals 10 and 20 are still not displaced downward. Therefore, with respect to the terminals 10; 20, the balanced conductor F easily enters between the upper arm portions 11; 21 and the lower arm portions 12; 22. When inserting the balanced conductor F, the lock bracket 30 is in a position where the lock part 35 interferes with the balanced conductor F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balanced conductor F is locked at its front end. Advance while pushing up the part 35. Since the lock arm 31A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from before the insertion of the balanced conductor F, whe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lock portion 35 receives the contact force from the balanced conductor F at the rear edge 35B, The component is bent and displaced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inclination by the component force on the upper side, thereby facilitating the advancement of the balanced conductor F. When the balanced conductor F advance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s shown in Fig. 8C, the lock portion 35 enters into the caught portion F2, which is the notched portion of the balanced conductor F, and the edge portion 35A is entirely at the edge 35A. It becomes a state which can be caught with respect to all the edges of the to-be-engaged part F2. In this state, the lock arm 31A returns to the original inclination. As can be seen from FIG. 8 (C), while the lock portion 35 has entered the caught portion F2 of the balanced conductor F from above, the balanced conductor F has a housing ( Although it is locat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locking projection 51 of 40,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said caught part F2 is in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rojection 51, and is located in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lock part 35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It is in the state which can be caught with this latching process | protrusion 51 formed.

(4) 다음으로, 가동 부재 (60) 를 도 9 와 같이 시계 회전 방향으로 닫힘 위치에 가져온다. 이 닫힘 위치에서는, 가동 부재 (60) 의 캠부 (63 ; 64 ; 65) 는 세로로 긴 자세가 되고, 캠부 (63) 가 단자 (10) 의 피압부 (14) 를, 캠부 (64) 가 단자 (20) 의 피압부 (24) 를, 그리고 캠부 (65) 가 로크 금구 (30) 의 피압부 (34) 를 각각 상방으로 눌러 올린다. 피압부 (14 ; 24 ; 34) 가 들어올려지면, 단자 (10 ; 20) 그리고 로크 금구 (30) 의 상아암부 (11 ; 21 ; 31) 는 각각 연결부 (13 ; 23 ; 33) 를 지점으로 하여 지레의 원리에 의해 그 연결부 (13 ; 23 ; 33) 보다 후방 부분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되어 후단의 압압부 (15 ; 25) 가 하방으로 변위된다. 이렇게 하여, 단자 (10, 20) 는 그 압압부 (15 ; 25) 에 의해 평형 도체 (F) 를 하방으로 압압하여 그 평형 도체 (F) 와 단자 (10 ; 20) 의 접촉부 (17 ; 27) 와의 접압을 높여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하여 정규의 접속 상태를 얻는다. 한편, 로크 금구 (30) 는, 후방을 향하여 상방에 경사져 있던 로크 아암 (31A) 이 이 경사를 줄이도록 하방으로 휘며 변위되어 수평 위치를 취하게 된다. 이 수평 위치에서는, 로크부 (35) 는 하아암부 (32) 에 접할 때까지 하방으로 변위되어 상기 평형 도체 (F) 의 피걸림부 (F2) 와의 걸림을 더욱 강하게 한다. 또한 평형 도체 (F) 는 단자 (10 ; 20) 의 압압부 (15, 25) 에 의해 하방으로 밀려 강하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걸림부 (F2) 내에 상기 하우징 (4) 의 걸림 돌기 (51) 가 진입한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평형 도체 (F) 는, 그 피걸림부 (F2) 내에 상방으로부터 로크부 (35) 가 그리고 하방으로부터 걸림 돌기 (51) 가 진입하고 있고, 평형 도체 (F) 가 후방으로 당겨졌을 때의 걸림력은 강력하여 확실하게 작용한다. 이 상태, 즉 가동 부재 (60) 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캠부 (63 ; 64) 는, 도 7(A) 상태에 있고, 확실하게 중립 상태를 유지하여, 가동 부재 (60) 가 다소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어도, 원래의 중립 상태로 복귀한다. (4) Next, the movable member 60 is brought to the closed position in the 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FIG. 9. In this closed position, the cam portions 63 (64; 65) of the movable member 60 are in an elongated posture, and the cam portion 63 is the to-be-pressed portion 14 of the terminal 10 and the cam portion 64 is a terminal. The to-be-pressed part 24 of 20 and the cam part 65 press up the to-be-pressed part 34 of the lock bracket 30, respectively. When the to-be-pressed part 14; 24; 34 is lifted up, the upper arm part 11; 21; 31 of the terminal 10; 20 and the lock bracket 30 are each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13; 23; 33.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lever, the rear portion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connecting portions 13; 23; 33, and the pressing portions 15; 25 at the rear end are displaced downward. In this way, the terminal 10, 20 presses the balanced conductor F downward by the press part 15; 25, and the contact part 17 and 27 of the said balanced conductor F and the terminal 10; 20. The contact pressure with is increased to ensure electrical connection, thereby obtaining a normal connection state. On the other hand, the lock arm 30 is displaced downward so as to reduce the inclination of the lock arm 31A, which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to take a horizontal position. In this horizontal position, the lock part 35 is displaced downward until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lower arm part 32, thereby making the locking part F2 of the said flat conductor F stronger. In addition, since the flat conductor F is pushed downward by the pressing parts 15 and 25 of the terminals 10 and 20, the locking projection 51 of the housing 4 is held in the caught portion F2. It enters the entered state. In this way, when the balanced part F enters the caught part F2, the locking part 35 enters from the upper direction, and the locking protrusion 51 enters from the lower part, and the balanced conductor F is pulled back. The locking force is strong and works reliably. In this state,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movable member 6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cam portions 63 and 64 are in the state of FIG. 7 (A), which are surely maintained in a neutral state, and the movable member 60 is somewhat unstable. Even if it rotates in a direction, it returns to an original neutral state.

(5) 이렇게 하여, 평형 도체 (F) 가 정규의 접속 상태에 있을 때에, 부주의한 외력에 의해 후방, 즉, 발출 방향으로 당겨졌다고 하면, 평형 도체 (F) 의 피걸림부 (F2) 의 전부 가장자리가 로크 금구 (30) 의 로크부 (35) 를 그 전부 가장자리 (35A) 에서 후방으로 누르게 된다. 이 전부 가장자리 (35A) 는 수직이므로, 피 걸림부 (F2) 와 학실하게 서로 걸려, 후방으로의 반력을 받아, 로크 아암 (31A) 이 후방으로 당겨지게 된다. 그러나, 이 로크 아암 (31A) 은, 가동 부재 (6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수평 방향으로 향하고 있어, 수평 방향에 대해 기울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반력에 의한 인장력을 받아도 상방에 대한 분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이 수평 방향의 자세를 유지하여, 로크 기능이 약해지는 경우는 없다. 또한, 상기 전부 가장자리 (35A) 는, 완전한 수직이 아니어도, 약간 상하로 경사져 있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이면 충분하다. (5) In this way, if the balanced conductor F is pulled in the rear, i.e., the outgoing direction by inadvertent external force when the balanced conductor F is in the normal connection state, all of the caught portions F2 of the balanced conductor F are The edge presses the lock part 35 of the lock fitting 30 back at its edge 35A. Since all of these edges 35A are vertical, the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ith the caught portion F2 in a careful manner, and the lock arms 31A are pulled backward by the reaction force to the rear. However, this lock arm 31A faces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movable member 60 is in the closed position, and does not inclin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the lock arm 31A does not generate a component force upward even when subjected to the tension force by the reaction force. In this case, the pos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maintained, and the locking function is not weakened. In addition, even if the said all edge 35A is not completely vertical, even if it is inclined slightly up and down, it is sufficient if it is substantially vertical.

본 발명은, 도 1 ∼ 9 에 나타낸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우징에 형성되는 돌기부는 걸림 돌기로 할 필요는 없고,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의 주변에서, 그 평형 도체를 위한 재치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도 10 의 경우, 하우징 (40) 은, 평형 도체 (F) 의 삽입시의 재치면 (52) 에 대해, 로크 금구 (30) 의 주변에서 높게 되어 있는 돌기부 (51')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 (51')는, 도 11(A), (B) 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크 금구 (30) 의 로크부 (35) 의 전방 주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60) 가 닫힘 위치에 오면, 평형 도체 (F) 는, 단자 배열 범위에서는 상기 재치면 (52) 을 향하여 하방으로 밀리고, 피걸림부 (F2) 가 존재하는 측부에서는 상기 돌기부 (51') 에 의해 상대적으로 들어올려져, 폭방향에서 오목한 상태로 휜다. 즉, 피걸림부 (F2) 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로크부 (35) 와 확실하게 걸리게 된다.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shown in FIGS. 1-9, A various change is possible. For example, the projection formed in the housing does not need to be a locking projection, and may be formed to be formed higher than the mounting surface for the balanced conductor around the caught portion of the balanced conductor. In the case of FIG. 10, the housing 40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51 ′ that is raised around the lock bracket 30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52 at the time of insertion of the balanced conductor F. As shown in FIG. As can be seen from Figs. 11A and 11B, the protruding portion 51 'extends forward from the front periphery of the lock portion 35 of the lock bracket 30. As shown in Figs. In this form, when the movable member 6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balanced conductor F is pushed downward toward the placing surface 52 in the terminal arrangement range, and on the side where the caught portion F2 is present. The projections 51 'are relatively lifted up and are recessed in the width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caught portion F2 is lifted upward and securely engaged with the lock portion 35.

다음으로, 전출한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금구 (30) 의 상아암부 (31) 의 로크 아암 (31A) 은, 가동 부재 (60) 가 열림 위치에서는 피압부 (34) 에 그 가동 부재 (60) 로부터 전혀 힘을 받지 않고,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져 있고, 가동 부재 (60) 가 닫힘 위치에 왔을 때에 상기 상아암부 (31) 의 피압부 (34) 가 가동 부재 (60) 의 캠부 (65) 에 눌려, 로크 아암 (31A) 이 수평 방향이 자세를 취함으로써, 로크부 (35) 가 하방으로 변위되었지만, 도 12 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림 위치에서 상기 상아암부 (31) 가 캠부 (63) 로부터 힘을 받아 로크 아암 (31A) 이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는 자세를 취하고, 닫힘 위치에서는 이 힘이 해제되어 수평 방향의 자세를 취하도록 할 수도 있다. Next, in embodiment which moved out, the lock arm 31A of the upper arm part 31 of the lock bracket 30 is moved from the movable member 60 to the to-be-pressed part 34 by the movable member 60 in the open position. When the movable member 60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without receiving any force and the movable member 6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pressure portion 34 of the upper arm portion 31 is pressed against the cam portion 65 of the movable member 60. Although the lock portion 35 is displaced downward by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lock arm 31A, in the present embodiment shown in FIG. 12, the upper arm portion 31 is moved from the cam portion 63 in the open position. Under the force, the lock arm 31A may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side, and the force may be released in the closed position to take the horizontal position.

도 12(A) 에 있어서, 가동 부재 (60) 는 조작부 (61) 의 하측 가장자리에서 홈부 (62) 와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대략 반원 형상의 캠부 (65) 를 가압부로서 갖고 있다. 그 캠부 (65) 는, 도 12(A) 에 나타내는 가동 부재 (6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로크 금구 (30) 의 상아암부 (31) 의 전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피압부 (34) 에 탑재되어 그 피압부 (34) 를 하방으로 누르고 있다. 따라서, 상아암부 (31) 의 후부인 로크 아암 (31A) 은, 연결부 (33) 를 지점으로 하여,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는 자세를 취하도록 변위된다. 또, 가동 부재 (60) 가 축부 (66) 주위에 회전 운동하여 도 12(B) 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에 오게 되면, 상기 캠부 (65) 는 피압부 (34) 로부터 떨어져, 로크 아암 (31A) 의 변위가 해제되어, 그 로크 아암 (31A) 은 수평 상태가 자세를 취한다. In FIG. 12 (A), the movable member 60 has the cam part 65 of the substantially semicircle shape as a press part in the part which forms the boundary with the groove part 62 in the lower edge of the operation part 61. In FIG. When the movable member 60 shown in FIG. 12 (A) is in the open position, the cam portion 65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portion 34 formed at the upper edge of all the upper arm portions 31 of the lock bracket 30. It is mounted and presses the to-be-pressed part 34 downward. Therefore, the lock arm 31A, which is the rear portion of the upper arm portion 31, is displaced so as to take a posture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with the connecting portion 33 as a point. Moreover, when the movable member 60 rotates around the shaft part 66 and comes to the closed position shown to FIG. 12 (B), the said cam part 65 will separate from the to-be-pressed part 34, and the The displacement is released, and the lock arm 31A is in a horizontal position.

또, 본 발명은, 평형 도체의 상면에 도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응할 때에는, 단자는 하아암부에 접촉부를 갖고 있을 필요는 없고, 상아암부의 압압부가 접촉부를 겸하고 있어 상기 도체부와 접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하아암부에 접촉부를 갖는 단자와 상아암부의 압압부가 접촉부를 겸하고 있는 단자를 혼합하여, 이른바 지그재그 배치로 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ductor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anced conductor, the terminal does not have to have a contact portion in the lower arm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of the upper arm portion also serves as the contact portion so as to contact the conductor portion. You may. Furthermore, the terminal which has a contact part in a lower arm part, and the terminal which the press part of an upper arm part also serves as a contact part can be mixed, and it can also be set as what is called a zigzag arrangement.

10 ; 20 단자 18 ; 28 접속부
11 ; 21 상아암부 40 하우징
12 ; 22 하아암부 41 ; 42 (단자) 유지홈
13 ; 23 연결부 41A ; 42A 폭광부
14 ; 24 피압부 45 수입 공간 (삽입홈)
15 ; 25 압압부 60 가동 부재
17 ; 27 접촉부 63 ; 64 가압부 (캠부)
10; 20 terminal 18; 28 connections
11; 21 Upper Arm 40 Housing
12; 22 lower arm 41; 42 (terminal) groove
13; 23 connections 41A; 42A Floodlight
14; 24 Pressed parts 45 Imported space (Inset groove)
15; 25 pressing part 60 movable member
17; 27 contacts 63; 64 Pressing part (cam part)

Claims (3)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고, 삽입된 평형 도체를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져 있고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접촉부,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 평형 도체를 누르는 압압 (押壓) 부, 그 압압부를 압압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힘을 수용하는 피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판면에 직각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자와, 삽입된 평형 도체의 접속 부분을 수용하는 수입 (受入)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가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위치에 상기 단자를 그 단자의 판면에서 유지하는 유지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단자의 피압부에 힘을 가하기 위한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어 평형 도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에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를 갖고, 상기 단자는 평형 도체의 삽입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하는 상아암부와 하아암부가 그들의 길이 방향 중간 위치에서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아암부가 연결부보다 평형 도체의 삽입 방향 앞쪽의 전부에 피압부를 그리고 후부에 압압부를 갖고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유지홈은 적어도 단자의 연결부의 일부를 포함하는 범위의 부분이 타부보다 홈 폭이 넓은 폭광부를 형성하고, 그 폭광부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게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An electrical connector disposed on a circuit board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inserted flat conductor to the circuit board, the electrical connector being made to maintain a flat plate surface of the metal plate and making contact with the flat conductor,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nd the flat conductor being pressed. A pressing portion, a press portion for receiving a force for displacing the pressing portion in the pressing direction, is formed, and receives a plurality of terminal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te surface and a connection portion of the inserted flat conductor. A housing in which an import space is formed and a holding groove for holding the terminal on the plate surface of the terminal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contac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balanced conductor, and a pressing portion for applying a force to the pressure portion of the terminal is formed. Is it possible to move between an open position that allows insertion of a balanced conductor and a closed position that presses the balanced conductor to the contact of the terminal? And a terminal having an upper arm portion and a lower arm portion extending by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lat conduct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ed by a connecting portion at their longitudinal intermediate position, wherein the upper arm portion is insert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lat conductor ahead of the connecting portion. In the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which has a to-be-pressed part in the whole part, and a pressed part in the back part,
The retaining groove is a portion of the range incl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terminal to form a light-emitting portion having a wider groove width than the other portion, and the light-emitting portion is at least partially positioned when viewed from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Electrical connectors for circuit boards.
제 1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단자에 대한 폭광부끼리는, 적어도 일부가 전후 방향에서 상이하게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in which the light-exposure parts with respect to the adjacent terminal are located at least one part differently in the front-back dir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단자에 대한 폭광부끼리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 방향에서 상이하게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in which the light-exposure parts with respect to the adjacent terminal are located at least one part differently in an up-down direction.
KR1020110015970A 2010-02-26 2011-02-23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KR10134855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41726 2010-02-26
JP2010041726A JP4980438B2 (en) 2010-02-26 2010-02-26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643A true KR20110098643A (en) 2011-09-01
KR101348556B1 KR101348556B1 (en) 2014-01-07

Family

ID=4460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970A KR101348556B1 (en) 2010-02-26 2011-02-23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80438B2 (en)
KR (1) KR101348556B1 (en)
CN (1) CN102195167B (en)
TW (1) TWI46094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1086B2 (en) * 2010-04-08 2012-06-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connector
JP2013026101A (en) * 2011-07-25 2013-02-04 Smk Corp Fpc connector
JP5632420B2 (en) * 2012-05-07 2014-11-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JP5956902B2 (en) 2012-10-22 2016-07-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JP6526590B2 (en) * 2016-03-15 2019-06-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Flat type 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JP6634348B2 (en) * 2016-06-22 2020-01-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and cable harness
JP7033727B2 (en) * 2017-08-09 2022-03-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connector
JP7228798B2 (en) * 2017-08-09 2023-0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7597B2 (en) * 2006-04-13 2011-06-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Cable connector
JP4922815B2 (en) * 2007-04-27 2012-04-25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JP4330084B2 (en) * 2007-06-12 2009-09-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Flat 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JP4951429B2 (en) * 2007-07-13 2012-06-13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JP5376784B2 (en) * 2007-09-27 2013-12-2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2009176426A (en) * 2008-01-21 2009-08-06 Tyco Electronics Amp Kk Surface-mounted component, and electric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03760A (en) 2012-01-16
JP4980438B2 (en) 2012-07-18
KR101348556B1 (en) 2014-01-07
CN102195167A (en) 2011-09-21
JP2011181210A (en) 2011-09-15
CN102195167B (en) 2014-06-25
TWI460943B (en) 2014-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556B1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KR101331295B1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JP4338738B2 (en) Flat 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JP4330084B2 (en) Flat 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JP5121884B2 (en) Flat 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KR101331303B1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US9735503B2 (en) Connector for receiv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a cable
JP2008123946A (en)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KR101668914B1 (en)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JP6643154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US9698510B2 (en) Connector for securing a flat cable
JP5574514B2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TWM548377U (en) Connector
KR101287330B1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JP6095167B2 (en) connector
JP5473638B2 (en) Electrical connector
WO2022054443A1 (en) Surface mount connector
JP2009059719A (en)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JP5377739B2 (en) Flat 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