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7312A -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 - Google Patents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7312A
KR20110097312A KR1020100017097A KR20100017097A KR20110097312A KR 20110097312 A KR20110097312 A KR 20110097312A KR 1020100017097 A KR1020100017097 A KR 1020100017097A KR 20100017097 A KR20100017097 A KR 20100017097A KR 20110097312 A KR20110097312 A KR 20110097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wave
wastewater
clone
pip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5576B1 (ko
Inventor
김수미
Original Assignee
(주) 에이에이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에이브이 filed Critical (주) 에이에이브이
Priority to KR1020100017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576B1/ko
Publication of KR20110097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빌딩의 오·배수배관으로 배수된 유체가 배관의 방향이 수직관에서 수평관으로 바뀌게 되면서 유체의 방향과 반대로 생성된 양의 공기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인 압력파를 감쇄시키는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이며, 상기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는 상기 압력파를 감쇄시키는 감쇄수단과; 상기 감쇄수단이 내장되고 오·배수와 상기 압력파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삽입되어 오배수 입상배관과 연결되어 상층의 오·배수가 인입되고 오배수의 낙하속도를 감소시키는 상부인입부로 구성되며, 상기 감쇄수단은 상기 압력파가 흡입되어 감쇄 후 배출되는 다수 개의 클론과; 상기 클론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부착되는 클론케이싱으로 구성되며, 상기 클론케이싱은 같은 형상의 다수 개의 클론삽입부로 분할되어지며, 각각의 상기 클론삽입부에는 상기 압력파가 흡입되는 각각의 흡입부와, 흡입된 압력파가 35~40°의 각도로 경사지게 상승되는 각각의 통로부와, 상기 통로부의 상부에서 밴딩되어 아래로 굽어져 형성된 각각의 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인입부에는 상층의 오·배수가 유입되면서 유입속도를 감소시키는 회전유도돌기가 형성되는 구조인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이다.
본 발명의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는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에 의한 압력파를 제거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도피통기인 입상배관이나 방지장치를 사용하는데 설치장소의 어려움이나 공간을 차지하는 면적을 현저히 축소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파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역류나 냄새, 소음의 전이를 소멸시킬 수 있고, 반드시 수직으로 세워야 하는 오배수 입상배관에 설치되므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 인건비 절감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파로 인하여 봉수의 요동이나 봉수를 마르게 하여 봉수의 깊이를 낮추어 바이러스성 세균이나 병원균 같은 2차피해 발생을 예방하여 각종 세균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고, 배관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게 되면 양변기 세면기 씽크대 등의 트랩의 봉수를 파괴시키기도 하는 요인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Positive Air Pressure Attenuation Device for Drainage Systems}
본 발명은 오배수라인에서 발생하는 압력파 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0층 이상의 고층건물의 오·배수배관 관로 내에서 발생하는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 즉 배수되는 물의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바뀌어 가속도가 붙어 수직으로 낙하했다가 최하부의 엘보우 등에서 유체의 유동이 급격히 차단되므로 역방향으로 발생되는 높은 압력파를 흡수하여 소멸케 하는 장치로서, 회전유도체와 하우징 내에 클론케이싱과 클론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장치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상기 압력파를 소멸시키는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 설치된 배수 시스템의 목적은 화장실, 세면기, 목욕통 등과 같은 위생 설비로부터의 폐수를, 건물의 지하에 통상적으로 위치된 하수구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다층 건물의 경우에는 배수 시스템은, 각 층에 존재하는 위생 설비 각각으로부터의 폐수를 커넥터를 사용하여 수직 스택(vertical stack)으로 전달하기 위한 분기관(branch pipe)과 각 층 바닥을 통해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스택을 구비하고 있다. 스택 및/또는 분기관 또는 각각의 개별 위생 설비조차도 통기 밸브 또는 다른 적절한 환기 장치 및/또는 공기 양압 감쇠 장치(positive air pressure device)를 구비할 수 있다.
워터 트랩(water trap) 또는 워터 실(water seal)은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위생 장비에 대해서 사용된다. 워터트랩 또는 워터 실의 목적은 하수구로부터 나온 오염된 공기가 주변 공간 또는 거주 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대체적으로 워터 트랩은 U 자형 또는 병 모양의 하우징들로 구성되고, 일반적으로 위생 장치 각각에 연결되고, 일정 양의 물이 제 위치에 남아서 스택 또는 하수구로부터의 공기를 차단한다. 수세식 변소는 고정설치물 그 자체 내에 설치된 워터 트랩을 구비하고 있다.
음의 공기압 또는 양의 공기압 상태와 같은 특정 상태 하에서는, 워터 트랩들이 붕괴 될 수 도 있는데, 이것은 배출관으로부터의 차단을 보장하기 위한 충분한 양의 물이 제 위치에 남아 있지 않아서 오염된 공기가 하수구로부터 거주 공간으로 들어가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한 결함은 초과 압력으로 인한 병원체의 전달 경로가 발생시키거나 또는 시스템 파괴를 야기해서 결과적으로 거주 공간을 오염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 시스템의 통기는 시스템의 공기압 차이를 방지하는 데 중요하며 대부분의 시스템에서는 배관파이프를 사용한 통기배관과 통기 밸브(AAV: air admittance valve)들을 사용한다.
통기 밸브는, 위생 설비가 작동되어 물이 관을 통해 흐를 때 일방향 공기 밸브를 통해서 공기가 배수 시스템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폐수 기둥이 수직 스택을 통해서 낙하할 때, 이것은 기류를 수반하는데 그 필요성의 존재로 인해서 국부적 흡입 또는 음압이 발생된다. 이러한 것들은 망을 통해서 전달되고 설비 워터 트랩 실들에 사이펀 작용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음압을 보상하기 위하여 통기 밸브의 멤브레인(membrane)을 일시적으로 올려서 주위 공기가 배수 시스템으로 들어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압력 요동의 정도는 방출되는 물의 유체 부피에 의하여 결정된다. 과도한 공기 음압은 통기 밸브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위생 설비의 트랩들의 워터 실(water seal)로부터 물을 빨아들일 수 있다.
반면에, 배수로 내의 공기압이 주변보다 갑자기 높아진다면 이러한 과도적 양 변화(positive transient)는 폐수와 공기가 위생 설비로 밀려서는 트랩 실을 파괴해서 끔찍한 위생 및 건강상 결과를 가져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양압 감쇠기 장치(positive air pressure attenuator device)들이 개발되어 특히 고층 또는 다층 건물에서 그러한 오염의 위험을 감소시키도록 제안되었다.
부언해서 설명하면 10층 이상의 고층빌딩에 있어서 오,배수계통으로 배수된 유체는 한계속도에 달하면 배관 내부를 감싸며 흐르게 되고 배관의 중간 부위로 공기를 유도하게 된다.
배관의 방향이 수직관에서 수평관으로 바뀌게 되면(입상관 하부 또는 배관의 진행방향이 바뀌는 곳) 물로 인한 커튼이 생성되게 되며, 이 커튼에 공기가 부딪히면 공기의 압력은 뒤쪽으로 향하게 되며 이것이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이다.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는 배수계통을 따라서 이동하는 낮은 파장의 속도가 아주 높은 압력파로서 321 m/sec의 거의 음속 수준의 속도이며, 약 반 갤론정도의 공기량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유동적이다.
이 압력파는 위생기구의 봉수를 요동하게 만들거나 최소화 시키는 등 봉수의 깊이를 감소시킨다.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는 재래식 배관계통내를 최장 3일까지 공명을 일으키는것이 증명되었으며, 더하여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는 트랩의 봉수를 파괴하지 않으면서도 역한 냄새나 병원균의 실내침투를 가능하게 하는 거품의 전달의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상기와 같은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피통기를 시행한다.
Sovent system 은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를 배관계통에서 임계속도에 달하는것을 막아주어 정압전이를 서서히 낮추어가는 간접적인 방법이며 특수한 통기나 제기를 위한 부속을 배관의 가지마다 사용하여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가 형성되는 것을 막아주어야 한다.
단독 입상 배관방식(필라델피아 시스템)은 지붕을 뚫고 통기하는 방식으로 결국 다수의 지붕 관통을 가져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도피통기를 자재비와 인건비 설치 공간 등이 많이 들는 문제점이 있다.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를 감쇄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0879154 배수 시스템의 정의 공기압 경감 장치로 게시된 것이 있으나 오배수라인에 분기하여 설치하거나 최상부에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유도체와 하우징 내에 클론케이싱과 클론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감쇄수단을 이용하여 10층 이상의 고층빌딩의 오,배수계통에서 발생하는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에 의한 압력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역류나 냄새, 소음의 전이를 소멸할 수 있고, 반드시 수직으로 세워야 하는 오배수 입상배관에 설치하므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봉수의 요동이나 봉수를 마르게 하여 봉수의 깊이를 낮추는 것을 방지하며 양변기 세면기 씽크대 등의 트랩의 봉수를 파괴시키기도 하는 요인을 제거하는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이다.
본 발명의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는 상기 압력파를 감쇄시키는 감쇄수단과; 상기 감쇄수단이 내장되고 오·배수와 상기 압력파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삽입되어 오배수 입상배관과 연결되어 상층의 오·배수가 인입되고 오배수의 낙하속도를 감소시키는 상부인입부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감쇄수단의 하부가 고정되며, 상기 압력파가 흡입되고, 오배수와 감쇄된 공기가 하부로 배출되는 흡입바디틀과; 상기 감쇄수단의 상부가 내장되고 고정되는 원통형의 중앙바디틀과; 상기 중앙바디틀과 상기 흡입바디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감쇄수단를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하는 하부바디틀과; 상기 상부인입부가 삽입되고 상기 중앙바디틀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 두껑 역할을 하는 상부바디틀로 구성된다.
상기 감쇄수단은 상기 압력파가 흡입되어 감쇄 후 배출되는 다수 개의 클론과; 상기 클론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부착되는 클론케이싱으로 구성되며, 상기 클론케이싱은 각각의 상기 클론을 삽입하기 위한 같은 형상의 다수 개의 클론삽입부로 분할되어지며, 각각의 상기 클론삽입부에는 상기 압력파가 흡입되는 각각의 흡입부와, 흡입된 압력파가 35~40°의 각도로 경사지게 상승되는 각각의 통로부와, 상기 통로부의 상부에서 밴딩되어 아래로 굽어져 형성된 각각의 배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인입부는 상기 상부바디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층의 오·배수가 인입되는 유입파이프와, 상기 오배수 입상배관과 연결을 위한 파이프 고정너트캡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입파이프의 내부에는 상층의 오·배수가 유입되면서 유입속도를 감소시키는 회전유도돌기가 형성되는 구조인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이다.
이와 같은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는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에 의한 압력파를 제거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도피통기인 입상배관이나 방지장치를 사용하는데 설치장소의 어려움이나 공간을 차지하는 면적을 현저히 축소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역류나 냄새, 소음의 전이를 소멸시킬 수 있고, 반드시 수직으로 세워야 하는 오배수 입상배관에 설치되므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 인건비 절감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파로 인하여 봉수의 요동이나 봉수를 마르게 하여 봉수의 깊이를 낮추어 바이러스성 세균이나 병원균 같은 2차피해 발생을 예방하여 각종 세균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고, 배관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게 되면 양변기 세면기 씽크대 등의 트랩의 봉수를 파괴시키기도 하는 요인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오배수 배관에서 발생하는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인 압력파 발생 및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 설치에 의해 감쇄되는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의 전체 정면도 및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의 하우징 정면 일부단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의 클론케이싱 부분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의 콜론케이싱 부분별 회전상승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의 흡입바디틀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의 하부바디틀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의 상부인입부 상세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 에어벤트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오배수 배관에서 발생하는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인 압력파 발생 및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 설치에 의해 감쇄되는 시스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의 전체 정면도 및 일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의 하우징 정면 일부단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의 클론케이싱 부분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의 콜론케이싱 부분별 회전상승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의 흡입바디틀 상세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의 하부바디틀 상세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의 상부인입부 상세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푸른색이 배수된 유체이고 붉은색의 화살표가 압력파인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를 나타낸다.
이것을 상세히 설명하면 10층 이상의 고층빌딩의 오·배수배관으로 배수된 유체가 낙하시 가속도가 붙어 한계속도에 달하면 배관 내부를 감싸며 흐르게 되고, 배관의 중간부위로 공기가 유도되며, 배관의 방향이 수직관에서 수평관으로 바뀌게 될 때 즉 입상관 하부 또는 배관의 진행 방향이 바뀌는 곳에서 물로 인한 커튼이 생성되고, 이 커튼에 공기가 부딪히면 공기의 압력은 뒤쪽으로 생성되게 된다.
이렇게 뒤쪽을 발생하는 낮은 파장의 속도가 아주 높은 압력파인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가 일어난다.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는 배수계통을 따라서 이동하는 낮은 파장의 속도가 아주 높은 압력파로서 321 m/sec의 거의 음속 수준의 속도이며, 약 반 갤론정도의 공기량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유동적이다.
이 압력파는 위생기구의 봉수를 요동하게 만들거나 최소화 시키는 등 봉수의 깊이를 감소시킨다.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는 재래식 배관계통내를 최장 3일까지 공명을 일으키는것이 증명되었으며, 더하여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는 트랩의 봉수를 파괴하지 않으면서도 역한 냄새나 병원균의 실내침투를 가능하게 하는 거품의 전달의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본 발명은 상기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인 압력파를 감쇄하는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A)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A)는 상기 압력파를 감쇄시키는 감쇄수단(1)과; 상기 감쇄수단(1)이 내장되고 오·배수와 상기 압력파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의 상부에 삽입되어 오배수 입상배관(VP)과 연결되어 상층의 오·배수가 인입되고 오배수의 낙하속도를 감소시키는 상부인입부(3)로 구성된다.
상기 감쇄수단(1)은 상기 압력파가 흡입되어 감쇄 후 배출되는 다수 개의 클론(11)과; 상기 클론(11)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부착되는 클론케이싱(12)으로 구성된다.
상기 클론케이싱(12)은 각각의 상기 클론(11)을 삽입하기 위한 같은 형상의 다수 개의 클론삽입부(12a,b,c,d)로 분할되어지며, 각각의 상기 클론삽입부(12a,b,c,d)에는 상기 압력파가 흡입되는 각각의 흡입부(121a,b,c,d)와, 흡입된 압력파가 35~40°의 각도로 경사지게 상승되는 각각의 통로부(122a,b,c,d)와, 상기 통로부(122a,b,c,d)의 상부에서 밴딩되어 아래로 굽어져 형성된 각각의 배출부(123a,b,c,d)가 형성된다.
도 1에서도 설명한 것 같이 상층의 위생기구에서 사용하고 오·배수배관으로 배수된 유체는 상부인입부(3)을 통하여 하부로 일단 배출되고, 배출된 유체가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인 압력파를 발생할 시 역으로 올라가는 압력파는 상기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A)의 클론케이싱(12)의 흡입부(121)로 인입되고 상기 클론케이싱(12) 내부에 설치된 탄성이 있는 클론(11)을 회전하면서 35~40°의 각도로 상부로 올라가면서 감쇄가 된 후 배출된다.
상기 클론(11)은 상기 클론케이싱(12)의 내벽 즉 상기 클론삽입부(12a, b, c, d)의 내벽과 3~6mm 간격을 두고 내피를 입히듯이 설치가 되므로, 상기 클론(11)이 압력파의 충격을 받으면 탄성에 의해 늘어나면서 압력파가 감쇄되어 저압의 공기가 배출부(123)으로 배출된다.
상기 클론케이싱(12)의 내벽에는 상기 클론(11)과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클론부착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클론부착돌기는 내벽에서 3~6mm 튀어나와야 한다.
상기 압력파에 의해 상기 클론(11)이 늘어나 상기 클론케이싱(12)과 맞닿더라도 상기 클론케이싱(12) 외부에 상기 하우징(2)가 있는 이중구조이므로 압력파에 의한 소음은 무시해도 좋을 정도로 소음도 감쇄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하우징(2)은 상기 감쇄수단(1)의 하부가 고정되며, 상기 압력파가 흡입되고, 오·배수와 감쇄된 공기가 하부로 배출되는 흡입바디틀(21)과; 상기 감쇄수단(1)의 상부가 내장되고 고정되는 원통형의 중앙바디틀(22)과; 상기 중앙바디틀(22)과 상기 흡입바디틀(2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감쇄수단(1)를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하는 하부바디틀(23)과; 상기 상부인입부(3)가 삽입되고 상기 중앙바디틀(22)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 두껑 역할을 하는 상부바디틀(24)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은 상기 압력파에 의한 충격이 전해질 수 있으므로 충격에 의해 크랙이 가지 않는 재질로 선택하여야 한다.
상기 흡입바디틀(21)과 중앙바디틀(22)과 하부바디틀(23)과 상부바디틀(24)은 상기 감쇄수단(1)을 설치한 후 접착제나 용접으로 영구 접착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도 4-1은 상기 클론케이싱(12)의 하부 단면도이며, 도 4-2는 중앙부 단면도이며, 도 4-3은 상부 단면도이다.
상기 감쇄수단(1)은 상기 압력파가 흡입되어 감쇄 후 배출되는 다수 개의 클론(11)과; 상기 클론(11)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부착되는 클론케이싱(12)으로 구성된다.
상기 클론(11)은 상기 클론케이싱(12)의 내벽과 3~6mm 간격을 두고 점부착되어 상기 압력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설치되며, 탄성이 있고 충격 흡수가 되는 실리콘 라버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이 있고 충격 흡수가 되는 또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상기 클론(11)의 하부는 넓으며 상기 흡입부(121a,b,c)와 형상이 동일하나 약간 크기가 작고 오픈 되어 있으며, 상기 클론삽입부(12a,b,c,d)와 동일한 형상으로 좁아지며 최상부는 감쇄된 압력파가 배출되도록 오픈되어 있다.
상기 클론케이싱(12)은 각각의 상기 클론(11)을 삽입하기 위한 같은 형상의 다수 개의 클론삽입부(12a,b,c,d)로 분할되어지며, 각각의 클론삽입부(12a,b,c,d)에 상기 클론(11)이 하나씩 삽입되어진다.
도면의 실시예는 4개의 클론삽입부로 분할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각 클론삽입부를 제1클론삽입부(12a), 제2클론삽입부(12b), 제3클론삽입부(12c), 제4클론삽입부(12d)로 명칭을 정하면, 제1클론삽입부(12a)에는 상기 압력파가 흡입되는 제1흡입부(121a)와 흡입된 압력파가 35~40°의 각도로 경사지게 상승되는 제1통로부(122a)와 상기 제1통로부(122a)의 상부에서 밴딩되어 아래로 굽어져 형성된 제1배출부(123a)가 형성되고, 제2클론삽입부(12b)에는 상기 압력파가 흡입되는 제2흡입부(121b)와 흡입된 압력파가 35~40°의 각도로 경사지게 상승되는 제2통로부(122b)와 상기 제2통로부(122b)의 상부에서 밴딩되어 아래로 굽어져 형성된 제2배출부(123b)가 형성되며, 제3클론삽입부(12c)에는 상기 압력파가 흡입되는 제3흡입부(121c)와 흡입된 압력파가 35~40°의 각도로 경사지게 상승되는 제3통로부(122c)와 상기 제3통로부(122c)의 상부에서 밴딩되어 아래로 굽어져 형성된 제3배출부(123c)가 형성되며, 제4클론삽입부(12d)에는 상기 압력파가 흡입되는 제4흡입부(121d)와 흡입된 압력파가 35~40°의 각도로 경사지게 상승되는 제4통로부(122d)와 상기 제4통로부(122d)의 상부에서 밴딩되어 아래로 굽어져 형성된 제4배출부(123d)가 형성된다.
상기 클론케이싱(12)는 상기 클론(11)의 삽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반으로 분리하여 제작할 수도 있으며, 상기 클론케이싱(12)의 내벽에는 상기 클론(11)과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클론부착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클론부착돌기는 내벽에서 3~6mm 튀어나와야 한다.
각 클론삽입부(12a,b,c,d)는 흡입부(121a,b,c,d)에서는 넓게 형성되며, 상부로 올라가면서 넓이가 좁아지고, 일정높이에서는 좁아진 넓이를 유지하며, 35~40°의 각도로 경사지게 상승되므로 중간부분의 통로부(122a,b,c,d)는 도 4-2에서와 같이 180°회전한 위치에 가게 되며, 계속 35~40°의 각도로 경사지게 상승하여 최상부 부분은 도 4-3에서와 같이 360°회전하여 제자리로 오며, 상기 통로부(122a,b,c,d)에서 상기 배출부(123a,b,c,d)로 방향이 바뀌는 부분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압력파 리턴유도체(124)가 형성되어 곡선으로 방향이 바뀌어 상기 통로부(122a,b,c,d)가 상기 배출부(123a,b,c,d)로 바뀐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각 클론삽입부(12a,b,c,d)는 도 4에서 상술한 것 같이 35~40°의 각도로 경사지게 상승하는 것을 보여주며, 상기 각 클론삽입부(12a,b,c,d)에 상기 클론(11)이 삽입되어 상기 클론(11) 내부로 상기 압력파가 통과하면서 감쇄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흡입바디틀(21)에는 하부 오배수관과 연결되는 오배수배출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오배수배출부(211)에는 숫나사(2111)와 파이프고정너트캡(2112)과, 상기 클론(11)의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클론 하부고정돌기(214)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바디틀(21)의 내부에는 상기 압력파에 의한 충격 및 소음방지를 위한 방음층(212)과, 상기 방음층(212)의 상부에는 방충을 위한 피막층(213)이 형성된다.
상기 방음층(212)은 상기 압력파가 상기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A)에 유입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고, 상기 피막층(213)은 충격에 의한 마모와 방충역할을 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하부바디틀(23)의 내부에는 상기 압력파에 의한 충격 및 소음방지를 위한 방음층(231)이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상부인입부(3)는 상기 상부바디틀(24)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층의 오·배수가 인입되는 유입파이프(31)와, 상기 오배수 입상배관(VP)과 연결을 위한 파이프 고정너트캡(32)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입파이프(31)의 내부에는 상층의 오·배수가 유입되면서 유입속도를 감소시키는 회전유도돌기(311)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회전유도돌기(311)는 반구 형상의 띠와 같이 상기 유입파이프(31)의 내측에 형성되며, 회전유도돌기 폭(3111) 25 ~35mm, 회전유도돌기 높이(3112) 4 ~ 8mm, 회전유도돌기 간격(3113) 30 ~ 70mm, 회전유도돌기 회전각도(3114) 20 ~ 40°로 형성되어 상기 오·배수가 낙하되면서 발생하는 속도 증가를 낮추어 상기 오·배수가 한계속도를 넘어서는 것을 일부 미연에 방지하여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인 상기 압력파가 발생하는 양을 감소시킨다.
상술한 본 발명의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는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에 의한 압력파를 제거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도피통기인 입상배관이나 방지장치를 사용하는데 설치장소의 어려움이나 공간을 차지하는 면적을 현저히 축소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파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역류나 냄새, 소음의 전이를 소멸시킬 수 있고, 반드시 수직으로 세워야 하는 오배수 입상배관에 설치되므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 인건비 절감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파로 인하여 봉수의 요동이나 봉수를 마르게 하여 봉수의 깊이를 낮추어 바이러스성 세균이나 병원균 같은 2차피해 발생을 예방하여 각종 세균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고, 배관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게 되면 양변기 세면기 씽크대 등의 트랩의 봉수를 파괴시키기도 하는 요인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A :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 AVT : 티형 오배수에어벤트
AVE:엘보우형 오배수에어벤트 AVY : 와이형 오배수에어벤트
B1 : 지하1층 슬라브 F1 : 1층 슬라브
FT : 옥상 슬라브 FD : 플로워드레인
HBP : 오배수 횡지관 HP : 오배수 수평주배관
VP : 오배수 입상배관 VTVP : 통기관입상라인
VTT : 신정통기관 VTCP : 환상통기라인
SWP : 오수라인 WWP : 배수라인
WS : 봉수
1 : 감쇄수단 11 : 클론
12 : 클론케이싱
12a : 제1클론삽입부 12b : 제2클론삽입부
12c : 제3클론삽입부 12d : 제4클론삽입부
121 : 흡입부 121a~d : 제1흡입부~제4흡입부
122 : 통로부 122a~d : 제1통로부~제4통로부
123 : 배출부 123a~d : 제1배출부~제4배출부
124 : 압력파 리턴유도체 2 : 하우징
21 : 흡입바디틀 211 : 오배수배출부
2111 : 숫나사 2112 : 파이프고정너트캡
212 : 방음층 213 : 피막층
214 : 클론 하부고정돌기 22 : 중앙바디틀
23 : 하부바디틀 231 : 방음층
24 : 상부바디틀 241 : 오픈부
3 : 상부인입부 31 : 유입파이프
311 : 회전유도돌기 3111 : 회전유도돌기 폭
3112 : 회전유도돌기 높이 3113 : 회전유도돌기 간격
3114 : 회전유돌기 회전각도 32 : 파이프고정너트캡

Claims (6)

  1. 고층빌딩의 오·배수배관으로 배수된 유체가 배관의 방향이 수직관에서 수평관으로 바뀌게 되면서 유체의 방향과 반대로 생성된 양의 공기압 전이(Positive Air Transients)인 압력파를 감쇄시키는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A)에 있어서,
    상기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A)는 상기 압력파를 감쇄시키는 감쇄수단(1)과;
    상기 감쇄수단(1)이 내장되고 오·배수와 상기 압력파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의 상부에 삽입되어 오배수 입상배관(VP)과 연결되어 상층의 오·배수가 인입되고 오배수의 낙하속도를 감소시키는 상부인입부(3)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2)은 상기 감쇄수단(1)의 하부가 고정되며, 상기 압력파가 흡입되고, 오·배수와 감쇄된 공기가 하부로 배출되는 흡입바디틀(21)과;
    상기 감쇄수단(1)의 상부가 내장되고 고정되는 원통형의 중앙바디틀(22)과;
    상기 중앙바디틀(22)과 상기 흡입바디틀(2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감쇄수단(1)를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하는 하부바디틀(23)과;
    상기 상부인입부(3)가 삽입되고 상기 중앙바디틀(22)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 두껑 역할을 하는 상부바디틀(24)로 구성되고,
    상기 감쇄수단(1)은 상기 압력파가 흡입되어 감쇄 후 배출되는 다수 개의 클론(11)과;
    상기 클론(11)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부착되는 클론케이싱(12)으로 구성되며,
    상기 클론케이싱(12)은 각각의 상기 클론(11)을 삽입하기 위한 같은 형상의 다수 개의 클론삽입부(12a,b,c,d)로 분할되어지며, 각각의 상기 클론삽입부(12a,b,c,d)에는 상기 압력파가 흡입되는 각각의 흡입부(121a,b,c,d)와, 흡입된 압력파가 35~40°의 각도로 경사지게 상승되는 각각의 통로부(122a,b,c,d)와, 상기 통로부(122a,b,c,d)의 상부에서 밴딩되어 아래로 굽어져 형성된 각각의 배출부(123a,b,c,d)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인입부(3)는 상기 상부바디틀(24)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층의 오·배수가 인입되는 유입파이프(31)와, 상기 오배수 입상배관(VP)과 연결을 위한 파이프 고정너트캡(32)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입파이프(31)의 내부에는 상층의 오·배수가 유입되면서 유입속도를 감소시키는 회전유도돌기(311)가 형성되는 구조인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돌기(311)는 폭 25 ~35mm, 높이 4 ~ 8mm, 간격 30 ~ 70mm, 회전각도 20 ~ 4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론(11)은 상기 클론케이싱(12)의 내벽과 3~6mm 간격을 두고 점부착되어 상기 압력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설치되며, 실리콘 라버 재질로 제작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론케이싱(12)의 상기 통로부(122a,b,c,d)에서 상기 배출부(123a,b,c,d)로 방향이 바뀌는 최상단에는 상기 클론(11)이 곡선으로 방향을 바꿀 수 있게 유도하는 압력파 리턴유도체(124)가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바디틀(21)에는 하부 오배수관과 연결되는 오배수배출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오배수배출부(211)에는 숫나사(2111)와 파이프고정너트캡(2112)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바디틀(21)의 내부에는 상기 압력파에 의한 충격 및 소음방지를 위한 방음층(212)과, 상기 방음층(212)의 상부에는 방충을 위한 피막층(2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틀(23)의 내부에는 상기 압력파에 의한 충격 및 소음방지를 위한 방음층(2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
KR1020100017097A 2010-02-25 2010-02-25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 KR101075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097A KR101075576B1 (ko) 2010-02-25 2010-02-25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097A KR101075576B1 (ko) 2010-02-25 2010-02-25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312A true KR20110097312A (ko) 2011-08-31
KR101075576B1 KR101075576B1 (ko) 2011-10-20

Family

ID=44932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097A KR101075576B1 (ko) 2010-02-25 2010-02-25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5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330B1 (ko) 2020-07-28 2022-06-16 김혁진 건축용 정압완충기
KR20220121659A (ko) 2021-02-25 2022-09-01 주식회사 알루스타 건축용 배관에 구비되는 정압완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4391B2 (ja) 2000-03-21 2009-11-18 株式会社キッツ 排水用通気装置
GB2379459B (en) 2001-09-06 2005-01-19 Studor Sa Pressure relief device in drainage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5576B1 (ko)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57248A1 (en) Plumbing fitting
US20050050621A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AU2008217536B2 (en) Sewer overflow relief device
KR101075576B1 (ko) 오배수 압력파 감쇄장치
KR101050739B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WO2016053116A1 (en) A combined inspection gully dish and trap apparatus
KR101009571B1 (ko) 압력파 감쇄장치
KR101485864B1 (ko) 배수관용 압력파 제거장치
KR200482098Y1 (ko)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소음이 방지되는 욕실용 배관구조
KR101333988B1 (ko) 다양한 조건의 오배수관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통기트랩
KR101272643B1 (ko) 오배수관의 압력 소멸장치
JP2019044522A (ja) トラップ
KR20110097308A (ko) 오배수 통기밴트
CN102518182A (zh) 建筑同层排水技术系统及公式应用
JP2006037455A (ja) 排水構造
KR102327751B1 (ko) 건축물 배관 설계 시스템
JP2004225480A (ja) 排水管構造
JP2703829B2 (ja) 排水システム
KR101164443B1 (ko) 오배수 통기 이음배관
US20060201088A1 (en) Sealed off building drainage and vent system
JP4248388B2 (ja) 浴槽・浴室兼用排水装置
KR102313000B1 (ko) 배수관용 압력소멸장치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KR101301855B1 (ko) 빗면과 부력을 이용한 아파트 우수관 장치
KR100354050B1 (ko) 배수관 소음저감 구조
KR102312819B1 (ko) 배수관용 압력소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