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326A - 미니 임프란트를 고정원으로 구비한 치아교정기구 - Google Patents
미니 임프란트를 고정원으로 구비한 치아교정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96326A KR20110096326A KR1020100015711A KR20100015711A KR20110096326A KR 20110096326 A KR20110096326 A KR 20110096326A KR 1020100015711 A KR1020100015711 A KR 1020100015711A KR 20100015711 A KR20100015711 A KR 20100015711A KR 20110096326 A KR20110096326 A KR 201100963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g
- mini
- fixed
- orthodontic appliance
- orthodont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07—Production methods using sand blas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치아교정기구는 구내 협측 치조골에 고정되고 외력에 대한 회전저항력을 가지는 제1 고정원과, 구내 설측 치조골 또는 구개측 교두에 고정되고 외력에 대한 회전저항력을 가지는 제2 고정원 및 상기 제1 고정원과 제2 고정원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치아의 교합면에 교정력을 탄력적으로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고정원인 미니 임플란트의 나사부가 구내 골조직과 골유착을 일으켜 치아교정기구가 치아에 가하는 교정력에 따른 반작용에 견고하게 버틸 수 있고, 특히 치아에 작용하는 교정력이 정확한 벡터를 가지도록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열을 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치아교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니 임플란트의 나사부가 구내 골조직과 골유착(osseointegrating)을 일으켜 치아교정기구가 치아에 가하는 교정력에 따른 반작용에 견고하게 버틸 수 있는 고정원(anchorage)으로 기능할 수 있고, 특히 치아에 작용하는 교정력이 정확한 벡터를 가지도록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는 치아교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수명은 생활환경의 개선과 의학기술의 발전 등에 힘입어 나날이 늘어나고 있다. 더 나아가 근자에는 단순히 수명의 연장에만 관심을 가지는 것에서 벗어나 삶의 질이라는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대중의 관심은 여러 방면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그 중의 하나로 꼽을 수 있는 것이 치과보정술(Orthodontics)에 관한 것이다.
치과보정술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치아의 일부가 손상·결손되거나 치열의 부교합과 같은 치과학적 이상기능(parafunction)을 정상적으로 재건시키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치과보정술은 특히 수명 연장에 따라 노령인구가 증가하면서 점점 더 새로운 기술의 개발과 시술이 촉진되고 있다. 또한 단순히 치아기능의 재건뿐만 아니라 미용적인 측면에서도 치과보정술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결손된 치아를 인공치아 보철물로 재건하고 약간의 치열교정을 하는 것만으로도 사람의 인상은 크게 바뀌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외모개선을 위한 치과시술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치과보정술은 여러 갈래로 나뉘어질 수 있는데, 특히 여기서 관심을 가지는 것은 치열교정에 대한 부분이다. 치열교정은 장기간에 걸쳐 치아에 지속적인 교정력을 가함으로써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서서히 이동시키는 시술이다. 따라서 치열교정에는 교정력을 가하기 위한 여러 기구가 환자의 구내에 장착된다.
종래에는 치열 전체의 이동, 예컨대 돌출된 입을 후퇴시키기 위하여 치열궁 전체를 아치 형태로 감싸는 교정기구(full-arch appliance)를 설치하는 일이 많았다. 위 교정기구는 주로 구치(臼齒)를 보정기구의 고정원으로 하여 치열을 후퇴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고정 구조는 고정원인 구치에 교정력에 따른 반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원하는 그대로의 교정효과가 구현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치과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치아 골격에 고정원을 두는 시스템(skeletal anchorage system)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교정되어야 할 치아에 직접적으로 교정력이 가해진다는 점에서 종래에 비해 단시간내에 상당히 우수한 교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부각된다.
치아 골격에 고정원을 두는 시스템의 예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9-0080515호의 "와이어 유지부를 갖는 치아 본딩 패드 및 관련 방법"을 들 수 있는데, 이에 관련된 구성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위 발명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임플란트(14)가 환자의 구내 지지구조(13) 안으로 고정되고, 치아(12)의 표면에 부착된 치아 본딩 패드(22,52)와 치열교정용 임플란트(14)에 교정력을 가하는 와이어(16)의 양단이 각각 결찰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교정기구는 고정원이 구내 지지구조(대개의 경우 치아 골격구조)에 고정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교정력을 받는 치아 이외의 다른 치아에 대한 영향이 매우 작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치아 골격에 고정원을 두는 교정기구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도 1의 경우를 보면, 치아 본딩 패드(22)가 교합면(occlusal face), 특히 치아(12)의 교두에 부착되는데, 이는 환자의 저작을 방해하는 요소가 된다. 또한 이러한 치아 본딩 패드(22)는 근심교두나 원심교두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데, 이러한 치아 본딩 패드(22)의 위치는 치근을 돌리는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치근의 회전은 부교합을 일으키는 부정적인 부작용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지속적이고도 빈번히 사후조정을 해야 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도 2는 치아 본딩 패드(52)를 교합면이 아닌 설면(lingual face) 또는 협면(buccal face)에 부착한 예를 보여주는데, 이는 환자의 저작을 편하게 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여전히 치아 본딩 패드(52)가 부착된 설협측으로 치아(12)를 기울인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치아(12)를 순전히 압하(intrusion)시켜야 하는 경우나 또는 미소하게 설협측으로 기울여 교정해야 하는 경우에는 교정기구 설계상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치아 골격에 고정원을 두는 교정기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정기구의 설계자유도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고정원과 스프링(특히 와이어) 외에 별도의 기구를 추가하지 않고도 충분한 교정력을 얻을 수 있는 치아교정기구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기구는 구내 협측 치조골에 고정되고, 외력에 대한 회전저항력을 가지는 제1 고정원;과, 구내 설측 치조골 또는 구개측 교두에 고정되고, 외력에 대한 회전저항력을 가지는 제2 고정원; 및 상기 제1 고정원과 제2 고정원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치아의 교합면에 교정력을 탄력적으로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1 고정원과 제2 고정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사부와 헤드부로 이루어진 미니 임플란트이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원과 제2 고정원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미니 임플란트이면, 나머지 하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미니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튜브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니 임플란트의 헤드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이때 상기 미니 임플란트는 상기 나사부와 헤드부가 분리체결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튜브는 상기 미니 스크류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판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채널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미니 임플란트의 나사부는 구내 골조직과 골유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골유착이 촉진되도록 상기 임플란트의 나사부에 SLA(Sand-blasted, Large-grit and Acid-etched) 표면처리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은 베타-티타늄 합금(TMA) 재질의 와이어이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은 설측과 협측에 각각 상기 와이어가 나선형으로 감긴 탄력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치아의 교합면 중 설측교두 또는 협측교두를 감싸는 루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프링은 상기 치아의 교합면 중 설면구와 협면구를 가로지르는 루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원과 제2 고정원은 각각 300∼600gf·㎝ 범위의 회전저항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치아교정기구는 고정원의 일부가 구내 골조직에 골유착되어 외력에 대한 충분한 회전저항력을 가지기 때문에 별도의 부가기구가 필요없는 단순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고정원을 설협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하여 교정력을 가하는 스프링의 설계자유도를 극대화시켰기 때문에 치아에 가해지는 교정력의 벡터를 시술계획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치아교정기구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치아교정기구의 또 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기구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기구가 가상적으로 환자 구내에 설치된 상태를 교합면에서 살펴본 도면.
도 5는 도 4의 치아교정기구를 설측(구개측)에서 살펴본 도면.
도 6은 도 4의 치아교정기구를 협측에서 살펴본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치아교정기구의 또 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기구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기구가 가상적으로 환자 구내에 설치된 상태를 교합면에서 살펴본 도면.
도 5는 도 4의 치아교정기구를 설측(구개측)에서 살펴본 도면.
도 6은 도 4의 치아교정기구를 협측에서 살펴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기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다. 또한 도면을 참조할 때에는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아울러 후술되는 용어들 중에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 또는 형상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기구(100)는 제1 고정원(110)과 제2 고정원(120) 및 제1/제2 고정원(110,120)에 그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스프링(130)을 포함한다.
제1 고정원(110)은 환자의 구내 협측(B) 치조골에 고정되는데, 외력에 대한 회전저항력을 가진다. 여기서 외력이란 치아(T)에 가해지는 교정력에 따른 반력을 의미한다.
또한 제1 고정원(110)에 대향하여, 구내 설측(L) 치조골 또는 구개측 교두에 제2 고정원(120)이 고정되는데, 제2 고정원(120) 역시 외력에 대한 회전저항력을 가진다.
그리고 스프링(130)은 제1 고정원(110)과 제2 고정원(120)에 그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치아(T)의 교합면(O)에 교정력을 탄력적으로 가한다. 스프링(130)이 가하는 교정력은 스프링(130)의 양단이 제1 고정원(110)과 제2 고정원(12)에 고정된 상태에서 교합면(O)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된 탄성변형에 의해 발생된다. 따라서 스프링(130)의 탄성변형량을 가감함으로써 교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1 고정원(110)과 제2 고정원(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사부(210)와 헤드부(220)로 이루어진 미니 임플란트(200)로 구성된다. 미니 임플란트(200)의 나사부(210)는 구내 골격구조 안에 삽입되어 매립되는 부분인데, 이 나사부(210)가 골조직과 골유착을 함으로써 미니 임플란트(200)는 교정력에 의한 반력의 작용에도 회전하지 않는 강한 회전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만일 하나의 미니 임플란트(200)가 고정원으로 사용된다면, 환자의 구내 상태에 따라 다르겠지만, 이물감이 최소화되도록 설측(L)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미니 임플란트(200)의 나사부(210)가 구내 골조직과 골유착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골유착이 촉진되도록 미니 임플란트(200)의 나사부(210)에는 SLA(Sand-blasted, Large-grit and Acid-etched) 표면처리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미니 임플란트(200)의 헤드부(220)에는 관통공(2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스프링(130)의 일단이 관통공(222)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필요하다면 관통공(222)을 통과한 스프링(130)의 일단을 결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미니 임플란트(200)의 두 부분인 나사부(210)와 헤드부(220)가 분리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미니 임플란트(200)를 압입·회전시켜 골조직에 나사부(210)를 매립시킬 때 헤드부(220)에 직접 토크가 가해지면 전단응력에 의해 미니 임플란트(200)가 손상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만일 미니 임플란트(200)가 손상되면 매립과 제거 과정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반력에 대한 회전저항력이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는 나사부(210)에 직접 토크를 가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따라서 미니 임플란트(200)를 분리체결식 나사부(210)와 헤드부(22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리체결식 미니 임플란트(200)는 골유착이 일어나는 동안(참고로 미니 임플란트의 골유착에는 대개 몇 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에는 불필요한 헤드부(220)를 떼어놓을 수 있다는 점에서도 편리하다. 나사부(210)와 헤드부(220)의 결합은 기계적인 끼어맞춤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1 고정원(110)과 제2 고정원(120) 중 어느 하나가 미니 임플란트(200)라면, 나머지 하나는 미니 스크류(340)에 의해 고정되는 튜브(30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니 스크류(340)는 미니 임플란트(200)와는 다르게 골유착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튜브(300)가 회전저항력을 갖도록 미니 스크류(34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구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튜브(300)는 미니 스크류(340)가 삽입되는 체결공(320)이 형성된 판형의 몸체(310)와, 몸체(31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스프링(130)의 일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채널(3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제2 고정원(110,120)에 그 양단이 각각 지지되는 스프링(130)은 베타-티타늄 합금(TMA) 재질의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타-티타늄 합금 재질의 와이어는 약한 힘을 지속적으로 가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교정력을 제공해야 하는 치아교정기구(100)의 스프링(130)에 적합하다.
또한 스프링(130)은 설측(L)과 협측(B)에 각각 와이어가 나선형으로 감긴 탄력유지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력유지부(132)는 스프링(130)의 형태에 약간의 변형이 일어나더라도 이를 흡수해 스프링(130)의 탄성변형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도록 도와주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탄력유지부(132)는 와이어를 1∼2회 정도 감아서 만들어진다.
또한 스프링(130)은 치아의 교합면(O) 중 설측교두 또는 협측교두를 감싸는 루프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교정기구(100)의 스프링(130)은 하방으로 누르는 교정력을 가해 치아(T)를 압하(intrusion)시키게 되는데, 만일 교정되어야 할 치아(T)가 돌출되었을 뿐만 아니라 협측(B) 또는 설측(L)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는 교정력은 기울어진 반대쪽을 비스듬하게 누르는 벡터를 가져야 한다. 스프링(130)의 루프부(134)는 바로 교정력의 벡터가 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치아(T)에 교정력을 가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치아(T)가 설측(L)으로 기울어져 있다면, 루프부(134)는 반대쪽인 협측(B)에 위치하게 된다.
실제에 있어서 스프링(130)이 환자의 저작을 방해하지 않고 장기간 초기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돌출부위의 아래쪽에 지지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루프부(134)는 (원심/근심)설측교두 또는 (원심/근심)협측교두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교정대상 치아(T)가 기울어짐이 없이 단순히 돌출된 경우라면 교정력의 벡터는 순전히 하방으로 향해야 한다. 이런 경우라면 루프부(134)는 협측(B) 또는 설측(L)으로 편향되지 않고 치아(T)의 중간부분(중심와 부분)을 가로지르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든다면 루프부(134)는 치아(T)의 교합면(O) 중 설면구와 협면구를 가로지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기구(100)는 독립적으로 고정되며 각기 회전저항력을 가진 제1/제2 고정원(110,120)을 포함하기 때문에, 스프링(130)의 형태를 자유로이 설계하여 교정력의 벡터를 원하는 대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실제 치아(T)에 가해지는 교정력의 크기를 고려할 때, 제1 고정원(110)과 제2 고정원(120)은 각각 300∼600gf·㎝ 범위의 회전저항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기구(100)를 이용한 치열교정의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우선 시술자는 환자의 구내 치열 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파노라마 CT 촬영 등을 통해 해부학적 구조를 정밀히 검사할 수 있다.
검사 결과와 환자의 의견에 따라 치아교정 계획을 수립한다. 수립된 계획은 3차원 CT 촬영된 구내 해부학적 구조의 이미지에 기반을 둔 시뮬레이션을 통해 모사되고 검증된다. 도 4 내지 도 6은 교합되는 치아의 결손에 의해 돌출되고 협측(B)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악 제2 대구치의 교정을 시뮬레이션한 것인데, 파란색 화살표는 교정력을, 그리고 주황색 화살표는 제1/제2 고정원(110,120)에 가해지는 반력을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협측(B)에 고정되는 제1 고정원(110)은 튜브(300)로, 설측(L)에 고정되는 제2 고정원(120)을 미니 임플란트(200)로 구성하였는데, 이는 협측(B)으로 기울어진 상악 제2 대구치를 정상위치로 돌려놓기 위해 설측(L)으로 치우쳐 교정력이 가해지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이제 완성된 계획에 따라 실제로 치아교정이 이루어지는데, 먼저 제2 고정원(120)인 미니 임플란트(200)의 식립이 수행된다. 분리 체결식 미니 임플란트(200)를 사용하기 때문에 나사부(210)만을 환자의 구개측 교두(또는 설측 치조골)에 매립시킨다. 이 상태에서 식립된 나사부(210)의 골유착을 위해 충분한 시간을 기다린다.
식립된 나사부(210)의 골유착이 충분히 성숙되면, 나머지 치아교정기구(100)의 장착이 이루어진다. 이때 성인처럼 사회활동을 위해 교정기간의 단축이 필요하다면 AOO(Accelerated Osteogenic Orthodontics)와 같은 급속교정이 선행될 수 있다. 잇몸뼈는 바깥쪽의 단단한 치밀골과 안쪽의 덜 단단한 해면골로 이루어져 있는데, 성인에서는 바깥쪽의 피질골의 밀도가 더욱 단단해지기 때문에 치아의 이동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피질골 절단술(Corticotomy)에서는 단단한 피질골을 제거해 주어 치아이동을 빠르게 일으키고 있으며, AOO 술식은 피질골을 제거하는 대신 약간의 자극을 준다. 급속교정에서는 시술 후 즉각적으로 교정력을 가하게 된다.
이후 제1 고정원(110)인 튜브(300)의 미니 스크류(340)는 골유착이 없기 때문에 회전저항력이 생기도록 튜브(300)는 두 개의 미니 스크류(340)로 치조골에 고정된다. 한편 제2 고정원(120)인 미니 임플란트(200)에도 헤드부가 장착된다.
제1/제2 고정원(110,120)의 설치가 모두 완료되면, 제1/제2 고정원(110,120)의 채널(330)과 관통공(222)에 각각 스프링(130)의 양단이 고정되어 교정력이 가해진다. 여기서 스프링(130)의 루프부(134)는 돌출되고 협측(B)으로 기울어진 치아를 되돌리기 위해 설측교두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모든 시술이 완료되면 주기적으로 환자를 진료하여 교정의 진행상태를 확인하게 되고, 급속교정의 경우에는 대개 수개월의 시간이 지나면 교정이 완성된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또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치아교정기구 110 : 제1 고정원
120 : 제2 고정원 130 : 스프링
132 : 탄력유지부 134 : 루프부
200 : 미니 임플란트 210 : 나사부
220 : 헤드부 222 : 관통공
300 : 튜브 310 : 몸체
320 : 체결공 330 : 채널
340 : 미니 스크류
T : 치아 B : 협측
L : 설측 O : 교합면
100 : 치아교정기구 110 : 제1 고정원
120 : 제2 고정원 130 : 스프링
132 : 탄력유지부 134 : 루프부
200 : 미니 임플란트 210 : 나사부
220 : 헤드부 222 : 관통공
300 : 튜브 310 : 몸체
320 : 체결공 330 : 채널
340 : 미니 스크류
T : 치아 B : 협측
L : 설측 O : 교합면
Claims (13)
- 구내 협측 치조골에 고정되고, 외력에 대한 회전저항력을 가지는 제1 고정원;
구내 설측 치조골 또는 구개측 교두에 고정되고, 외력에 대한 회전저항력을 가지는 제2 고정원; 및
상기 제1 고정원과 제2 고정원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치아의 교합면에 교정력을 탄력적으로 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치아교정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원과 제2 고정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사부와 헤드부로 이루어진 미니 임플란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기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원과 제2 고정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미니 임플란트이고, 나머지 하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미니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기구.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 임플란트의 헤드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기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 임플란트는 상기 나사부와 헤드부가 분리체결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기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미니 스크류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판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채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기구.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 임플란트의 나사부는 구내 골조직과 골유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기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나사부에 SLA(Sand-blasted, Large-grit and Acid-etched) 표면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베타-티타늄 합금(TMA) 재질의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기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설측과 협측에 각각 상기 와이어가 나선형으로 감긴 탄력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기구.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치아의 교합면 중 설측교두 또는 협측교두를 감싸는 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기구.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치아의 교합면 중 설면구와 협면구를 가로지르는 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원과 제2 고정원은 각각 300∼600gf·㎝ 범위의 회전저항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5711A KR101097477B1 (ko) | 2010-02-22 | 2010-02-22 | 미니 임프란트를 고정원으로 구비한 치아교정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5711A KR101097477B1 (ko) | 2010-02-22 | 2010-02-22 | 미니 임프란트를 고정원으로 구비한 치아교정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6326A true KR20110096326A (ko) | 2011-08-30 |
KR101097477B1 KR101097477B1 (ko) | 2011-12-22 |
Family
ID=4493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5711A KR101097477B1 (ko) | 2010-02-22 | 2010-02-22 | 미니 임프란트를 고정원으로 구비한 치아교정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747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018841A (ja) * | 2018-06-21 | 2020-02-06 | 澄祥 洪 | 取り外し可能な歯列矯正装置 |
CN116098721A (zh) * | 2023-01-10 | 2023-05-12 | 武汉大学 | 一种隐形矫治用间接支抗装置及其使用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2556B1 (ko) | 2012-01-31 | 2012-12-14 |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 치아 교정용 고정체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3420B1 (ko) * | 2008-02-18 | 2010-02-19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치아 교정용 임플란트 |
-
2010
- 2010-02-22 KR KR1020100015711A patent/KR10109747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018841A (ja) * | 2018-06-21 | 2020-02-06 | 澄祥 洪 | 取り外し可能な歯列矯正装置 |
JP2021120005A (ja) * | 2018-06-21 | 2021-08-19 | 澄祥 洪 | 取り外し可能な歯列矯正装置 |
CN116098721A (zh) * | 2023-01-10 | 2023-05-12 | 武汉大学 | 一种隐形矫治用间接支抗装置及其使用方法 |
CN116098721B (zh) * | 2023-01-10 | 2024-11-01 | 武汉大学 | 一种隐形矫治用间接支抗装置及其使用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97477B1 (ko) | 2011-1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urns |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treatment: consensus and controversy | |
D. Mericske‐Stern et al. | Management of the edentulous patient | |
Reisberg | Dental and prosthodontic care for patients with cleft or craniofacial conditions | |
CA2081466C (en) | Bone anchor | |
Haanaes et al. | The efficacy of two-stage titanium implants as orthodontic anchorage in the preprosthodontic correction of third molars in adults—a report of three cases | |
AU2005286092B2 (en) | Temporary dental prosthesis | |
Cornelini et al. | Immediate restoration of single-tooth implants in mandibular molar sites: a 12-month preliminary report. | |
Hug et al. | Clinical evaluation of 3 overdenture concepts with tooth roots and implants: 2-year results. | |
JP4369491B2 (ja) | 歯科補綴物維持装置 | |
KR101097477B1 (ko) | 미니 임프란트를 고정원으로 구비한 치아교정기구 | |
Tortamano et al. | Outcomes of Fixed Prostheses Supported by Immediately Loaded Endosseous Implants. | |
Balshi | Single, tuberosity-osseointegrated implant support for a tissue-integrated prosthesis. | |
Prencipe et al. | Removable Partial Prosthesis (RPP) with acrylic resin flange for the mandibular guidance therapy | |
NOJIMA et al. | The use of an osseointegrated implant for orthodontic anchorage to a Class II Div 1 malocclusion | |
Spitzer et al. | Achieving Ideal Esthetics in Osseointegrated Prostheses. Pert II. The Single Unit. | |
Minoretti et al. | Unconventional implants for distal cantilever fixed full-arch prostheses: a long-term evaluation of four cases. | |
Rostom et al. | Evaluation of the Retention of Two Different Retention Mechanisms (Nylon Caps and Retention Sil) in Locators Retained Implant Mandibular Over-Dentur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Rct) | |
Chun et al. | Management of extruded maxillary molars to accommodate a mandibular restoration: a clinical report | |
Azzaldeen et al. | Atrophied Edentulous Mandible with Implant-SupportedOverdenture; A 10-year follow-up | |
Jain | Fp1 Prosthesis in Maxillary Ridge Defect and Fixed Partial Denture in Mandibular Ridge Defect-A Case Report | |
Bacchi et al. | Prosthetic improvement of pronounced buccally positioned zygomatic implants: a clinical report | |
Askar et al. | Cast metal versus infibra ribbon bar retaining implant mandibular complete overdenture supported with distally placed implants: Radiographic evaluation | |
Ionescu et al. | Implant overdenture and locator system in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ly resorbed mandible-a case report | |
Verma | Prosthetic rehabilitation of an edentulous mandible by two implants-retained Mandibular Overdenture: A | |
Amelia | Rehabilitation single tooth loss with screw retained implant crown: Case repo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