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483A - 컨텐츠 재생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재생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483A
KR20110095483A KR1020100014965A KR20100014965A KR20110095483A KR 20110095483 A KR20110095483 A KR 20110095483A KR 1020100014965 A KR1020100014965 A KR 1020100014965A KR 20100014965 A KR20100014965 A KR 20100014965A KR 20110095483 A KR20110095483 A KR 20110095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image
image
content
menu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5777B1 (ko
Inventor
오승보
이태희
한홍규
조성기
이호신
진세민
곽유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4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777B1/ko
Priority to EP11150441A priority patent/EP2365692A3/en
Priority to US13/022,028 priority patent/US20110205224A1/en
Priority to CN2011100358982A priority patent/CN102164300A/zh
Publication of KR20110095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83On-screen display [OSD] information, e.g. subtitle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5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xternal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Abstract

컨텐츠 영상과 메뉴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지원 능력을 확인하여 메뉴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컨텐츠 영상과 메뉴 영상을 바꾸어 디스플레이할 때 영상 포맷의 전환으로 인한 화면의 깜박거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구성품의 지원 능력을 안내 정보로 알려 주고 사용자로부터 확인 받아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재생 장치 및 그 제어방법{CONTENTS REPRODUC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컨텐츠 영상과 메뉴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입체 영상을 구현하려는 다양한 노력이 지속되어 왔다. 그러한 방법의 하나로서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3차원(3-Dimensional ,3D) 영상에 입체감을 주는 것을 들 수 있다.
3차원 컨텐츠는 고 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광 기록 매체에 기록되고, 재생기기가 광 기록 매체의 3차원 컨텐츠를 읽어 내어 디지털 텔레비전(Digital Television, DTV), 모니터 등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한다. 이때 고화질 영상과 고음질의 오디오를 제공하기 위하여 재생기기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리시버를 연결하기도 한다.
컨텐츠 재생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기기를 직접 연결하거나 리시버를 매개로 재생기기를 접속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컨텐츠 재생에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기능의 선택과 조정을 충족시키기 위해 메뉴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 메뉴 영상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려 주는 텍스트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모양의 아이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컨텐츠의 타이틀, 저장 용량, 재생 시간 등의 컨텐츠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아이콘과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아이콘 등을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컨텐츠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3차원 영상으로 제작되는 3차원 컨텐츠와 다르게 메뉴 정보가 2차원 영상으로 제작되어 재생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3차원 컨텐츠 영상과 2차원 메뉴 영상을 바꾸어 디스플레이할 때 영상 포맷의 전환으로 화면의 깜박거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영상을 지원하는 텔레비전에서 2차원 메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때 메뉴 영상의 포맷을 인식하여 그 메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까지 일시적으로 화면이 깜박거리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주게 됨은 물론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텔레비전이나 리시버 마다 컨텐츠를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의 차이가 있다. 재생기기에 텔레비전을 직접 접속하거나 또는 리시버를 매개로 접속 시 3차원 컨텐츠를 전송하거나 처리할 수 없는 상태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면 사용 편리를 높일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각각의 컨텐츠 재생장치를 구성하는 구성품의 지원 능력을 알려 주어 컨텐츠의 이용 시 부적절한 사용자 선택을 줄일 수 있다.
영상 포맷을 전환 시 발생하는 화면의 깜박거림을 방지하고 컨텐츠를 원활하게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는, 컨텐츠에 관련된 메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메뉴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없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하는 새로운 메뉴 영상을 출력하는 재생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재생 기기 사이에 연결되는 리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생 기기가 상기 리시버를 통해 상기 새로운 메뉴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상기 메뉴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요구가 있을 때, 상기 재생 기기가 2차원 메뉴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한다.
상기 재생 기기는 상기 2차원 메뉴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2차원 메뉴 영상으로부터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재생 기기는, 상기 3차원 메뉴 영상을 디코딩하는 3차원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3차원 메뉴 영상을 3차원 포맷에 맞게 영상 변환하는 3차원 포맷터, 상기 3차원 포맷으로 영상 변환된 메뉴 영상을 출력하는 HDMI 송신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원 메뉴 영상을 복사한 L 메뉴 영상 및 R 메뉴 영상으로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원 메뉴 영상을 복사한 L 메뉴 영상 및 R 메뉴 영상을 X축 방향으로 각각 시프트하고, 시프트된 X-시프트 L 메뉴 영상과 X-시프트 R 메뉴 영상으로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원 메뉴 영상을 복사한 L 메뉴 영상과 상기 L 메뉴 영상의 각 픽셀에 대한 L 메뉴 영상 깊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L 메뉴 영상과 상기 L 메뉴 영상 깊이 정보로 R 메뉴 영상을 재 구성하여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L 메뉴 영상 깊이 정보는 각 픽셀의 X 좌표와 Y 좌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L 메뉴 영상 및 상기 재구성한 R 메뉴 영상의 아이콘 또는 텍스트에 대해 X 좌표와 Y 좌표를 설정하여 상기 아이콘 및 상기 텍스트의 깊이감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는, 컨텐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컨텐츠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사용자 요구 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원 능력을 알려 주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안내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의사를 확인받은 후 상기 컨텐츠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재생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리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생 기기가 컨텐츠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요구 시 상기 리시버의 지원 능력을 알려 주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안내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의사를 확인받은 후 상기 컨텐츠 영상을 상기 리시버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은, 재생 기기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에 관련된 메뉴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메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메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없을 때 상기 메뉴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하는 새로운 메뉴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메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EDID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메뉴 영상의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새로운 메뉴 영상을 출력하는 것은 상기 재생 기기에서 2차원 메뉴 영상을 복사한 L 메뉴 영상 및 R 메뉴 영상으로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새로운 메뉴 영상을 출력하는 것은 상기 재생 기기에서 2차원 메뉴 영상을 복사한 L 메뉴 영상 및 R 메뉴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L 메뉴 영상 및 R 메뉴 영상을 X축 방향을 시프트하고, 상기 시프트된 X-시프트 L 메뉴 영상 및 X-시프트 R 메뉴 영상으로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새로운 메뉴 영상을 출력하는 것은 상기 재생 기기에서 2차원 메뉴 영상을 복사한 L 메뉴 영상과 상기 L 메뉴 영상의 각 픽셀에 대한 L 메뉴 영상 깊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L 메뉴 영상과 상기 L 메뉴 영상 깊이 정보로 R 메뉴 영상을 재 구성하여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L 메뉴 영상 깊이 정보는 각 픽셀의 X 좌표와 Y 좌표를 포함하고, 상기 L 메뉴 영상 및 상기 재구성한 R 메뉴 영상의 아이콘 또는 텍스트에 대해 X 좌표와 Y 좌표를 설정하여 상기 아이콘 및 상기 텍스트의 깊이감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은, 재생 기기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사용자 요구 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컨텐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원 능력을 알려 주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의사를 확인받은 후 상기 컨텐츠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한다.
상기 컨텐츠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하지 않아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 키 입력이 없으면 사용자에 의한 선택 이전으로 복귀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재생 기기 사이에 연결된 리시버를 통해 상기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요구 시 상기 리시버의 지원 능력을 알려 주기 위한 안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안내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의사를 확인받은 후 상기 컨텐츠 영상을 상기 리시버에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영상을 상기 리시버에서 지원하지 않아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 키 입력이 없으면 사용자에 의한 선택 이전으로 복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재생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재생 기기에서 제공하는 메뉴 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할 때 화면 깜박거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원 능력에 대한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고 사용자의 확인을 받아 컨텐츠 영상을 출력하므로 원활하게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재생기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생성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생성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3차원 영상의 생성 원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생성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장치가 텔레비전에 직접 접속 시 3차원 영상의 시청을 요구하는 사용자 의사를 다시 확인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컨텐츠 재생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장치가 리시버를 매개로 텔레비전에 접속 시 3차원 영상의 재생을 요구하는 사용자 의사를 다시 확인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컨텐츠 재생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기기(100)가 리시버(101)를 매개로 디스플레이 장치(102)에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텔레비전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장치가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지원하는 모니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재생 기기(100)가 기록매체에 저장된 컨텐츠를 리시버(101)를 통해 텔레비전(102)에 제공한다. 이때 기기들 사이는 High Difinition Multimedia Interface(HDMI)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HDMI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모두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의 인터페이스이다.
텔레비전(102)이 자신의 지원 능력에 대한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EDID) 정보를 내장 메모리에 저장하고 리시버(101)에 전달할 수 있다. 이 EDID는 헤더, 제조자 식별코드, 제품 식별코드, 제조 연월일, EDID 구조, 기본적인 디스플레이 변수 및 최대 해상도, 색특성, 타이밍 정보와 2차원 또는 3차원 컨텐츠의 지원 여부 등 디스플레이 정보와 에러 검출을 위한 체크-섬(check-sum) 바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리시버(101)는 내장 메모리에 자신의 EDID 정보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102)으로부터 전달받은 EDID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EDID 정보를 재생기기(10)에 전달할 수 있다.
메뉴 영상을 보기 위한 사용자의 요구가 있으면, 재생기기(100)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메뉴 영상을 리시버(101)를 통해 텔레비전(102)에 전달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기기(1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3)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텔레비전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장치가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지원하는 모니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재생기기(100)가 기록매체에 저장된 2차원 또는 3차원 컨텐츠를 텔레비전(103)에 전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메뉴 영상을 텔레비전(103)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기기들 사이는 HDMI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도 3에서 재생 기기(100)는 픽업부(110), 메모리(120), 3차원 디코더(130), 3차원 포맷터(140), HDMI 송신단(HDMI TX)(150),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픽업부(110)는 Digital Video Disc(DVD), Blue Disc(BD) 등 고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광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를 읽어 낸다.
메모리(120)는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컨텐츠에 관련된 메뉴 정보를 포함한다. 메뉴 정보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려 주는 텍스트 이외에 여러 가지 모양의 아이콘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아이콘은 컨텐츠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아이콘과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로 구현할 수 있다.
3차원 디코더(130)는 픽업부(110)에서 읽은 컨텐츠를 디코딩하는 것으로, 3차원 영상인 경우 복수 카메라로 서로 다른 각도로 촬영한 L 영상과 R 영상을 각각 디코딩한다.
3차원 포맷터(140)는 디코딩된 L 영상과 R 영상을 3차원 포맷에 맞게 영상 변환한다. 이때 3차원 포맷터(140)는 프레임 패킹(Frame Packing)을 이용하여 영상 변환한다. 여기서 영상 변환 시 프레임 패킹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3차원 포맷으로 바꿀 수 있는 다른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HDMI 송신단(150)이 프레임 패킹 등의 여러 가지 3차원 입체영상을 전송하는 포멧에 의해 3차원 포맷으로 변환된 3차원 영상을 리시버(101)에 출력한다. 그러면 도 1의 리시버(101)가 3차원 영상을 텔레비전(102)에 전달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HDMI 송신단(150)이 3차원 영상을 텔레비전(103)에 직접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메모리(120)의 메뉴 정보를 제공할 때 영상 포맷이 바뀜으로 인하여 화면의 깜박거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2차원 메뉴 영상으로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3차원 영상을 재생하거나 시청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메뉴 출력 요구가 있고 메뉴 정보가 2차원 영상이면 그 2차원 메뉴 영상을 그대로 출력하는 것이 아니고 3차원 영상으로 바꾸어 출력한다.
2차원 메뉴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바꾸는 실시예들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120)에서 읽어 낸 2차원 메뉴영상(10)을 복사하여 그 메뉴 영상(10)과 동일한 복수의 영상(20)(30)을 생성한다. 복수의 영상 중 하나를 L 영상(20)으로 다른 하나를 R 영상(30)으로 각각 설정한다. 그런 다음 3차원 디코더(130)가 L 영상(20)과 R 영상(30)을 각각 디코딩하고, 3차원 포맷터(140)가 디코딩된 L 영상(20)과 R 영상(30)에 대해 프레임 패킹 등의 여러 가지 3차원 입체영상을 전송하는 포멧을 이용하여 3차원 포맷으로 변환한 후 HDMI 송신단(150)을 통해 출력한다. 이에 따라 텔레비전(102)(103)이 3차원 메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메뉴 영상은 깊이감을 가지지 않는다.
다음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120)에서 읽어 낸 2차원 메뉴 영상(10)을 복사하여 그 메뉴 영상(10)과 동일한 복수의 영상(20)(30)을 생성하고, 그 복수의 영상(20)(30) 각각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시프트(shift)하여 X-시프트 L 메뉴영상(40)과 X-시프트 R 메뉴 영상(50)을 생성한다.
도 6에서 2차원 메뉴 영상(10)을 복사한 L 메뉴 영상(20)은 6개 메뉴 아이콘(21)(22)(23)(24)(25)(26)을 포함하고, 2차원 메뉴 영상(10)을 복사한 R 메뉴 영상(30) 역시 6개 메뉴 아이콘(31)(32)(33)(34)(35)(36)을 포함한다. 여기서 L 메뉴 영상(20)은 6개 메뉴 아이콘(21)(22)(23)(24)(25)(26)과 R 메뉴 영상(30) 역시 6개 메뉴 아이콘(31)(32)(33)(34)(35)(36)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L 메뉴 영상(20)의 6개 메뉴 아이콘(21)(22)(23)(24)(25)(26)이 X축 방향의 일측으로 시프트된 X-시프트 L 메뉴영상(40)을 생성하고 R 메뉴 영상(30)의 6개 메뉴 아이콘(31)(32)(33)(34)(35)(36)이 X축 방향의 타측으로 시프트된 X-시프트 R 메뉴영상(50)을 생성하며, 이러한 X-시프트 L 메뉴영상(40)과 X-시프트 R 메뉴영상(40)을 번갈아 디스플레이하면 깊이감을 가지는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 아이콘이 X축 방향으로 얼마나 이동할 지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 아이콘을 대상으로 X 시프트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텍스트 메뉴에 대해서도 X 시프트하여 X 시프트 영상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3차원 디코더(130)가 X-시프트된 L 메뉴영상(40)과 X-시프트된 R 메뉴 영상(50)을 각각 디코딩하여 3차원 포맷터(140)에 제공한다. 3차원 포맷터(140)가 X-시프트된 L 메뉴영상(40)과 X-시프트된 R 메뉴 영상(50)에 대해 프레임 패킹 등의 여러 가지 3차원 입체영상을 전송하는 포멧을 이용하여 3차원 포맷으로 변환한 후 HDMI 송신단(150)을 통해 출력한다. 이에 따라 텔레비전(102)(103)이 3차원 메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X-시프트된 L 메뉴영상(40)과 X-시프트된 R 메뉴 영상은 도 4에서 설명한 3차원 메뉴 영상과 달리 깊이감을 가짐에 따라 텔레비전(102)(103)를 보는 사용자가 메뉴 영상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120)에서 읽어 낸 2차원 메뉴 영상(10)을 복사하여 그 메뉴 영상(10)과 동일한 L 메뉴 영상(20)을 생성하고, 그 L 메뉴 영상(20)의 각 픽셀에 대한 깊이 정보를 포함하는 L 메뉴 영상 깊이 정보(60)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 L 메뉴 영상 깊이 정보(60)는 메모리(1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각 픽셀의 깊이 정보는 X 좌표와 Y좌표로 된 (X, Y)로 표현할 수 있다. L 메뉴 영상(20)과 L 메뉴 영상 깊이 정보(60)가 HDMI 송신단(150)을 통해 출력되는데, 이를 전달받은 텔레비전(102)(103)에서는 L 메뉴 영상(20)과 L 메뉴 영상 깊이 정보(60)을 이용하여 R 메뉴 영상을 재 구성할 수 있다. 재 구성하는 R 메뉴 영상은 L 메뉴 영상의 아이콘에 대해 X좌표와 Y좌표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텔레비전(102)(103)은 L 메뉴 영상 깊이 정보(60)를 이용하여 아이콘 각각에 대해 깊이감을 다르게 할 수 있고 재 구성된 R 메뉴 영상의 아이콘에 대해서도 각각 깊이감을 다르게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텔레비전(102)(103)은 L 메뉴 영상(20)과 재 구성한 R 메뉴 영상에 대해 디코딩하고 3차원 포맷으로 바꾸어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텔레비전(102)(103)에서 재생 기기(100)로부터 제공된 3차원 컨텐츠를 디스플레하여 시청할 수 있다. 이때 재생 기기(100)의 제어부(160)가 사용자의 메뉴 출력 요구가 있는지 판단한다(400).
메뉴 출력 요구가 있으면(400의 예), 메모리(120)에 저장된 메뉴 영상의 포맷 형식과 리시버(102)를 통하거나 또는 직접 텔레비전(102)(103)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된 EDID 정보를 읽어 낸다(410).
텔레비전(102)(103)에서 메모리(120)에 저장된 메뉴 영상의 포맷 형식을 지원하는 경우 재생기기(100)의 HDMI 송신단(150)을 통해 2차원 메뉴 영상을 출력한다(421).
텔레비전(102)(103)에서 메모리(120)에 저장된 메뉴 영상의 포맷 형식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420의 아니오), 2차원 메뉴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하는 하나의 방법은 도 4와 같이 2차원 메뉴 영상(10)을 복사하여 L 메뉴 영상(20)과 R 메뉴 영상(30)을 생성한다(430). 그런 다음 3차원 디코더(130)가 L 메뉴 영상(20)과 R 메뉴 영상(30)을 디코딩하여 3차원 포맷터(140)에 제공하고, 3차원 포맷터(140)가 3차원 포맷에 맞출 수 있도록 디코딩된 L 메뉴 영상(20)과 R 메뉴 영상(30)을 영상 변환한다(440). 이후 HDMI 송신단(150)이 영상 변환된 3차원 메뉴 영상을 출력한다(450). 그러면 텔레비전(102)(103)에서는 3차원 영상과 동일한 포맷 형식을 가진 3차원 메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영상 포맷의 전환은 발생하지 않는다.
2차원 메뉴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하는 다른 방법은 도 5와 같이 2차원 메뉴 영상(10)을 복사하여 L 메뉴 영상(20)과 R 메뉴 영상(30)을 생성한다(431).
L 메뉴 영상(20)과 R 메뉴 영상(30)을 X축 방향으로 시프트하여 X-시프트 L 메뉴 영상(40)과 X-시프트 R 메뉴 영상(50)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L 메뉴 영상(20)의 6개 메뉴 아이콘(21)(22)(23)(24)(25)(26)이 X축 방향의 일측으로 시프트된 X-시프트 L 메뉴영상(40)을 생성하고 R 메뉴 영상(30)의 6개 메뉴 아이콘(31)(32)(33)(34)(35)(36)이 X축 방향의 타측으로 시프트된 X-시프트 R 메뉴영상(50)을 생성할 수 있다(441).
그런 다음 3차원 디코더(130)가 X-시프트 L 메뉴 영상(40)과 X-시프트 R 메뉴 영상(50)을 디코딩하여 3차원 포맷터(140)에 제공하고, 3차원 포맷터(140)가 3차원 포맷에 맞출 수 있도록 디코딩된 X-시프트 L 메뉴 영상(40)과 X-시프트 R 메뉴 영상(50)을 영상 변환한다(451). 이후 HDMI 송신단(150)이 영상 변환된 3차원 메뉴 영상을 출력한다(452). 그러면 텔레비전(102)(103)에서는 3차원 영상과 동일한 포맷 형식을 가진 3차원 메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영상 포맷의 전환은 발생하지 않는다.
2차원 메뉴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하는 또 다른 방법은 도 7과 같이 2차원 메뉴 영상(10)을 복사한 L 메뉴 영상(20)과 L 메뉴 영상 깊이 정보(60)을 출력하는 것이다(432). 그러면 텔레비전(102)(103)에서는 L 메뉴 영상(20)과 L 메뉴 영상 깊이 정보(60)을 이용하여 R 메뉴 영상을 재 구성하고, L 메뉴 영상(20)과 재 구성한 R 메뉴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한다. 그러면 3차원 영상과 동일한 포맷 형식을 가진 3차원 메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에도 영상 포맷의 전환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장치가 텔레비전에 직접 접속 시 3차원 영상의 시청을 요구하는 사용자 의사를 다시 확인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컨텐츠 재생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고하여 재생 기기(100)에 텔레비전(103)을 직접 접속할 때 그 텔레비전(103)에서 컨텐츠를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이 다를 수 있다. 즉, 텔레비전(103)이 2차원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거나 2차원 영상과 3차원 영상을 모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텔레비전(103)의 지원 능력에 관련하여 사용자가 숙지하고 있다면 텔레비전(103)에서 이용할 수 없는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시청하기 위한 사용자 부절한 요구를 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많은 종류의 텔레비전을 모두 숙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적절하지 않은 컨텐츠의 시청을 요구하는 것에 대비하여 사용자에게 안내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텔레비전(103)이 2차원 영상과 3차원 영상을 모두 지원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3차원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요구가 있으면(500의 예) 재생 기기(100)가 시청할 컨텐츠의 포맷 형식과 텔레비전(103)의 EDID 정보를 읽어 내어 텔레비전(103)에서의 지원 능력에 따라 2차원 안내 정보를 텔레비전(103)에 출력한다(510)(520)(530)(580).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텔레비전(103)에서는 2차원 화면(170)의 제1 및 제2안내 정보 영역(171)(172)에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제1안내 정보 영역(171)에는 3차원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안경 착용과 3차원 영상이 HDMI로 출력되는 것을 알려 주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제1안내 정보 영역(171)에 디스플레이할 정보는 텔레비전(103)의 EDID 정보를 바탕으로 설정한다.
이전에 텔레비전(103)에서 2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였고 2차원 화면(170의 Cancel 버튼(174)이 선택되면(540) 사용자가 3차원 영상을 시청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인정하여 텔레비전(103)에서는 2차원 영상을 2차원 화면(185)에 디스플레이한다(541).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173)이 선택되면(540) 재생 기기(100)가 3차원 안내 정보를 텔레비전(103)에 출력한다(550). 그러면 텔레비전(103)에서는 3차원 화면(175)의 제3안내 정보 영역(176)에 사용자의 의사를 다시 확인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의사가 있는지를 확인받는다. 또는, 사용자가 3차원 컨텐츠를 2차원으로 재생하기를 원한다면 2차원에 해당하는 버튼을 선택하여 사용자는 직접 3차원 영상 컨텐츠를 L또는 R프레임을 이용한다거나 R,L두 개의 프레임을 동시에 이용하여 2차원 영상을 시청할 수 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177)이 선택되면(560의 예) 재생 기기(100)가 3차원 영상을 출력하고, 텔레비전(103)에서는 재생 기기(100)로부터 제공받는 3차원 영상을 3차원 화면(179)에 디스플레이한다(570).
3차원 화면(175)의 Cancel 버튼(178)이 선택되면(560의 아니오) 사용자가 3차원 영상을 시청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인정하여 2차원 화면(170)으로 복귀한다(561).
텔레비전(103)의 EDID 정보에 오류가 있을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1안내 정보 영역(171)에 디스플레이되는 잘못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 요구가 입력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제2안내 정보 영역(172)에는 화면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 경우 일정 시간 기다리면 사용자 선택을 하기 이전 모드로 복귀된다는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173)이 선택되었지만, 텔레비전(103)에서 3차원 영상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텔레비전(103)에서 3차원 화면(175)를 정상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가 일정 시간 예를 들어 15초 지나면 2차원 화면(170)을 디스플레이한다.
텔레비전(103)이 2차원 영상만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520의 아니오) 재생 기기(100)가 3차원 영상을 지원하지 못하는 텔레비전(103)의 지원 능력에 맞는 2차원 정보를 텔레비전(103)에 출력한다(580). 도 9와 같이 텔레비전(103)에서는 2차원 화면(180)의 제4 및 제5안내 정보 영역(181)(182)에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제4안내 정보 영역(181)에는 텔레비전(103)에서 3차원 영상을 지원하지 않음을 알려 주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제5안내 정보 영역(182)에는 사용자에 의해 부적절한 선택이 되면 그 다음에 디스플레이될 화면이 정상적으로 나타나지 않을 경우를 고려한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전에 텔레비전(103)에서 2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였고 2차원 화면(180의 Cancel 버튼(184)이 선택되면(590) 사용자가 3차원 영상을 시청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인정하여 텔레비전(103)에서는 2차원 영상을 2차원 화면(185)에 디스플레이한다(591).
이전에 텔레비전(103)에서 2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였고 2차원 화면(180)의 OK 버튼(183)이 선택되면(590) 텔레비전(103)이 3차원 영상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알려 주었음에도 사용자가 3차원 출력을 설정한 것이므로, 3차원 화면(175)이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되지 않기 때문에 일정 시간 예를 들어 15초가 지나면 재생기기(100)에서는 3차원 영상 출력을 보류하며, 텔레비전(103)에서는 이전의 2차원 영상을 2차원 화면(185)에 디스플레이한다(600).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장치가 리시버를 매개로 텔레비전에 접속 시 3차원 영상의 재생을 요구하는 사용자 의사를 다시 확인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컨텐츠 재생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재생 기기(100)에서 재생된 3차원 영상을 텔레비전(102)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텔레비전(102)과 리시버(101) 모두가 3차원 영상을 지원해야 가능하다.
리시버(101)가 3차원 영상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리시버(101)가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포트만을 가지고 있으면 그 출력포트로는 3차원 영상을 출력할 수 없으므로 텔레비전(102)에서 3차원 영상을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것이다. 사용자에게 리시버(101)에서 3차원 영상의 지원 여부에 관련된 안내 정보를 알려 주어 사용자에게 적절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텔레비전(102)이 3차원 영상을 지원하고 사용자에 의해 3차원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요구가 있으면(610의 예) 재생 기기(100)가 재생할 컨텐츠의 포맷 형식과 리시버(101)의 EDID 정보를 읽어 내어 리시버(101)의 지원 능력에 따라 2차원 안내 정보를 텔레비전(102)에 출력한다(620)(630)(640)(690).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텔레비전(102)에서는 2차원 화면(186)의 제6 및 제7안내 정보 영역(187)(188)에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제6안내 정보 영역(187)에는 3차원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안경 착용과 3차원 영상이 HDMI로 출력되는 것을 알려 주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제6안내 정보 영역(187)에 디스플레이할 정보는 리시버(101)의 EDID 정보를 바탕으로 설정한다.
2차원 화면(186) 하단의 Cancel 버튼(190)이 선택되면(650) 사용자가 3차원 영상을 재생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인정하여 재생기기(100)에서 3차원 영상의 출력을 보류한 후 종료 처리한다(651).
사용자에 의해 2차원 화면(186) 하단의 OK 버튼(189)이 선택되면(650) 재생 기기(100)가 3차원 안내 정보를 출력하여 리시버(101)를 통해 텔레비전(102)에 전달한다(660). 그러면 텔레비전(102)에서는 3차원 화면(191)의 제8안내 정보 영역(192)에 사용자의 의사를 다시 확인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의사가 있는지를 확인받는다.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193)이 선택되면(670의 예) 재생기기(100)가 3차원 영상을 리시버(101)에 출력한다(680). 텔레비전(102)에서는 리시버(101)를 통해 제공받는 3차원 영상을 3차원 화면(195)에 디스플레이한다.
3차원 화면(191)의 Cancel 버튼(194)이 선택되면(670의 아니오) 사용자 선택을 하기 이전 모드인 2차원 화면(186)으로 복귀한다(661).
리시버(101)의 EDID 정보에 오류가 있을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6안내 정보 영역(187)에 디스플레이되는 잘못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 요구가 입력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제7안내 정보 영역(188)에는 화면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 경우 일정 시간 기다리면 사용자 선택을 하기 이전 모드로 복귀된다는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189)이 선택되었지만, 리시버(101)에서 3차원 영상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텔레비전(102)에서 3차원 화면(191)를 정상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가 일정 시간 예를 들어 15초 지나면 2차원 화면(186)을 디스플레이한다.
리시버(101)가 2차원 영상만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630의 아니오) 재생 기기(100)가 3차원 영상을 지원하지 못하는 리시버(101)의 지원 능력에 맞는 2차원 정보를 출력한다(690). 도 11과 같이 텔레비전(102)에서는 2차원 화면(196)의 제9 및 제10안내 정보 영역(197)(198)에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제9안내 정보 영역(197)에는 리시버(101)에서 3차원 영상을 지원하지 않음을 알려 주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제10안내 정보 영역(198)에는 사용자에 의해 부적절한 선택이 되면 그 다음에 디스플레이될 화면이 정상적으로 나타나지 않을 경우를 고려한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2차원 화면(196)의 Cancel 버튼(200)이 선택되면(700) 사용자가 3차원 영상을 재생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인정하여 재생기기(100)에서 3차원 영상의 출력을 보류한 후 종료 처리한다(701).
2차원 화면(196) 하단의 OK 버튼(199)이 선택되면(700), 연결된 장치인 리시버(101)가 3차원 영상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알려 주었음에도 사용자가 3차원 출력을 설정한 것이므로 3차원 화면(191)이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되지 않기 때문에 일정 시간 예를 들어 15초가 지나는 동안 키 입력이 없으면 재생기기(100)에서는 3차원 영상 출력을 보류하고, 텔레비전(102)에서는 2차원 화면(196)을 디스플레이한다(710).
100 : 재생기기
101 : 리시버
102, 103 : 디스플레이 장치(텔레비전)

Claims (23)

  1. 컨텐츠에 관련된 메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메뉴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없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하는 새로운 메뉴 영상을 출력하는 재생 기기;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재생 기기 사이에 연결되는 리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생 기기가 상기 리시버를 통해 상기 새로운 메뉴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상기 메뉴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요구가 있을 때,
    상기 재생 기기가 2차원 메뉴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기기는 상기 2차원 메뉴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2차원 메뉴 영상으로부터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기기는, 상기 3차원 메뉴 영상을 디코딩하는 3차원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3차원 메뉴 영상을 3차원 포맷에 맞게 영상 변환하는 3차원 포맷터, 상기 3차원 포맷으로 영상 변환된 메뉴 영상을 출력하는 HDMI 송신단을 더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원 메뉴 영상을 복사한 L 메뉴 영상 및 R 메뉴 영상으로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원 메뉴 영상을 복사한 L 메뉴 영상 및 R 메뉴 영상을 X축 방향으로 각각 시프트하고, 시프트된 X-시프트 L 메뉴 영상과 X-시프트 R 메뉴 영상으로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원 메뉴 영상을 복사한 L 메뉴 영상과 상기 L 메뉴 영상의 각 픽셀에 대한 L 메뉴 영상 깊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L 메뉴 영상과 상기 L 메뉴 영상 깊이 정보로 R 메뉴 영상을 재 구성하여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L 메뉴 영상 깊이 정보는 각 픽셀의 X 좌표와 Y 좌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L 메뉴 영상 및 상기 재구성한 R 메뉴 영상의 아이콘 또는 텍스트에 대해 X 좌표와 Y 좌표를 설정하여 상기 아이콘 및 상기 텍스트의 깊이감을 다르게 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인 컨텐츠 재생 장치.
  11. 컨텐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컨텐츠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사용자 요구 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원 능력을 알려 주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안내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의사를 확인받은 후 상기 컨텐츠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재생 기기;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리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생 기기가 컨텐츠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요구 시 상기 리시버의 지원 능력을 알려 주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안내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의사를 확인받은 후 상기 컨텐츠 영상을 상기 리시버에 출력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13. 재생 기기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에 관련된 메뉴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메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메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없을 때 상기 메뉴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하는 새로운 메뉴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메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EDID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메뉴 영상의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메뉴 영상을 출력하는 것은
    상기 재생 기기에서 2차원 메뉴 영상을 복사한 L 메뉴 영상 및 R 메뉴 영상으로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메뉴 영상을 출력하는 것은
    상기 재생 기기에서 2차원 메뉴 영상을 복사한 L 메뉴 영상 및 R 메뉴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L 메뉴 영상 및 R 메뉴 영상을 X축 방향을 시프트하고, 상기 시프트된 X-시프트 L 메뉴 영상 및 X-시프트 R 메뉴 영상으로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메뉴 영상을 출력하는 것은
    상기 재생 기기에서 2차원 메뉴 영상을 복사한 L 메뉴 영상과 상기 L 메뉴 영상의 각 픽셀에 대한 L 메뉴 영상 깊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L 메뉴 영상과 상기 L 메뉴 영상 깊이 정보로 R 메뉴 영상을 재 구성하여 3차원 메뉴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L 메뉴 영상 깊이 정보는 각 픽셀의 X 좌표와 Y 좌표를 포함하고,
    상기 L 메뉴 영상 및 상기 재구성한 R 메뉴 영상의 아이콘 또는 텍스트에 대해 X 좌표와 Y 좌표를 설정하여 상기 아이콘 및 상기 텍스트의 깊이감을 다르게 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19. 재생 기기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사용자 요구 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컨텐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원 능력을 알려 주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의사를 확인받은 후 상기 컨텐츠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하지 않아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 키 입력이 없으면 사용자에 의한 선택 이전으로 복귀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재생 기기 사이에 연결된 리시버를 통해 상기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요구 시 상기 리시버의 지원 능력을 알려 주기 위한 안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안내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의사를 확인받은 후 상기 컨텐츠 영상을 상기 리시버에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영상을 상기 리시버에서 지원하지 않아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 키 입력이 없으면 사용자에 의한 선택 이전으로 복귀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00014965A 2010-02-19 2010-02-19 재생 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45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965A KR101445777B1 (ko) 2010-02-19 2010-02-19 재생 기기 및 그 제어방법
EP11150441A EP2365692A3 (en) 2010-02-19 2011-01-10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3/022,028 US20110205224A1 (en) 2010-02-19 2011-02-07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1100358982A CN102164300A (zh) 2010-02-19 2011-02-11 内容再现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965A KR101445777B1 (ko) 2010-02-19 2010-02-19 재생 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483A true KR20110095483A (ko) 2011-08-25
KR101445777B1 KR101445777B1 (ko) 2014-11-04

Family

ID=4380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965A KR101445777B1 (ko) 2010-02-19 2010-02-19 재생 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205224A1 (ko)
EP (1) EP2365692A3 (ko)
KR (1) KR101445777B1 (ko)
CN (1) CN1021643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0864A1 (ko) * 2014-06-12 2015-12-17 엘지전자(주) 고속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객체 기반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5725B (en) * 2011-10-18 2014-10-01 Sony Comp Entertainment Europe Image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GB2495907B (en) 2011-10-18 2013-09-18 Sony Comp Entertainment Europe Image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CN111212251B (zh) * 2014-09-10 2022-05-27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再现装置以及再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5168B2 (en) * 1994-11-14 2006-01-10 Reveo, Inc. Intelligent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nd displaying stereoscopically-multiplexed images of three-dimensional objects for use in realistic stereoscopic viewing thereof in interactive virtual reality display environments
CA2250021C (en) * 1997-05-19 2007-02-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Graphic display apparatus, synchronous reproduction method, and av synchronous reproduction apparatus
JP4093833B2 (ja) * 2002-09-25 2008-06-04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1841728B (zh) * 2003-04-17 2012-08-08 夏普株式会社 三维图像处理装置
CN101714387B (zh) * 2004-05-11 2012-06-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再现装置、再现方法
KR100541956B1 (ko) * 2004-06-22 2006-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입력신호를 변환하는 dvd 재생장치 및 그 방법
JP4250574B2 (ja) * 2004-08-05 2009-04-08 株式会社東芝 メタデータのデータ構造及びメタデータの再生方法
KR100813977B1 (ko) * 2005-07-08 200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고해상도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CN101278348A (zh) * 2005-10-11 2008-10-01 三星电子株式会社 同时再现多条数据的再现方法和设备
JP2007115293A (ja) * 2005-10-17 2007-05-10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プログラム、情報再生方法、情報再生装置、データ転送方法、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4816106B2 (ja) * 2006-01-27 2011-11-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プログラム、音楽再生装置及び音楽再生プログラム
CN101094423B (zh) * 2006-06-23 2010-08-04 南京Lg新港显示有限公司 图像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US20080036854A1 (en) * 2006-08-08 2008-02-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of communicating and rendering stereoscopic and dual-view images
CN101523924B (zh) * 2006-09-28 2011-07-0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3d菜单显示
WO2008044191A2 (en) * 2006-10-11 2008-04-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reating three dimensional graphics data
JP4709178B2 (ja) * 2007-01-12 2011-06-22 富士通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KR20080100609A (ko) * 2007-05-14 2008-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및 그 콘텐츠 재생방법
KR101167246B1 (ko) * 2007-07-23 2012-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콘텐츠 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9135686A (ja) * 2007-11-29 2009-06-18 Mitsubishi Electric Corp 立体映像記録方法、立体映像記録媒体、立体映像再生方法、立体映像記録装置、立体映像再生装置
KR20090066582A (ko) * 2007-12-20 2009-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이치디엠아이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분기방법
JP4657313B2 (ja) * 2008-03-05 2011-03-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506219B1 (ko) * 2008-03-25 2015-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재생 방법, 그 장치 및 그기록매체
GB0806183D0 (en) * 2008-04-04 2008-05-14 Picsel Res Ltd Presentation of objects in 3D displays
KR20100002032A (ko) * 2008-06-24 201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생성 방법,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AU2009275052B2 (en) * 2008-07-24 2014-05-29 Panasonic Corporation Playback device capable of stereoscopic playback, playback method, and program
US8233035B2 (en) * 2009-01-09 2012-07-31 Eastman Kodak Company Dual-view stereoscopic display using linear modulator array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0864A1 (ko) * 2014-06-12 2015-12-17 엘지전자(주) 고속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객체 기반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0009650B2 (en) 2014-06-12 2018-06-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bject-based audio data using high-speed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5692A3 (en) 2011-11-30
US20110205224A1 (en) 2011-08-25
CN102164300A (zh) 2011-08-24
EP2365692A2 (en) 2011-09-14
KR101445777B1 (ko) 201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3869B2 (en) Stereoscopic video playback device and stereoscopic video display device
JP5642695B2 (ja) 柔軟な出力を有する3dビデオ・プレーヤー
US20080303832A1 (en) Method of generating two-dimensional/three-dimensional convertible stereoscopic image bitstrea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same
US201102932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over a video interface and for compositing 3d video and 3d overlays
US20110063422A1 (en) Video processing system and video processing method
CA2767511A1 (en)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ing screen size of display device
JP2012518317A (ja) 3d観察者メタデータの転送
JP2008103820A (ja) 立体画像処理装置
JP2012516070A (ja) 3d画像データの転送
TWI587683B (zh) 交錯式三維視訊
JP2012049933A (ja) 伝送システム
KR101445777B1 (ko) 재생 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10134226A1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3d image thereof
US20140099065A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recording medium and method thereof
JP2012049934A (ja) 伝送システム
JP5568404B2 (ja) 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再生装置
US20130266287A1 (en) Reproduction device and reproduction method
US20110228058A1 (en) Reproducing device, reproduc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5527730B2 (ja) 再生装置
CN102378034A (zh) 视频显示系统、显示装置以及再生装置
JP2012039243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20033934A1 (en) Video displaying system and reproduc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