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092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092A
KR20110095092A KR1020100041609A KR20100041609A KR20110095092A KR 20110095092 A KR20110095092 A KR 20110095092A KR 1020100041609 A KR1020100041609 A KR 1020100041609A KR 20100041609 A KR20100041609 A KR 20100041609A KR 20110095092 A KR20110095092 A KR 20110095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x
cycle
timer
short
sub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4279B1 (ko
Inventor
오상민
김성훈
권성오
민승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9175723.6A priority Critical patent/EP3565321B1/en
Priority to US13/028,577 priority patent/US8750186B2/en
Priority to JP2012553814A priority patent/JP6076743B2/ja
Priority to EP11744886.0A priority patent/EP2537267B1/en
Priority to PCT/KR2011/001038 priority patent/WO2011102644A2/en
Priority to CN201510124988.7A priority patent/CN104703263B/zh
Priority to CN201180009702.0A priority patent/CN102763347B/zh
Publication of KR20110095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092A/ko
Priority to US14/278,459 priority patent/US9198218B2/en
Priority to JP2015063189A priority patent/JP6121467B2/ja
Priority to US14/867,518 priority patent/US9832810B2/en
Priority to US14/867,494 priority patent/US983280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4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ltering transmission ti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과 단말간의 전송 불일치로 인한 시스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DRX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RX 제어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DRX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과정, 매 서브 프레임마다 DRX 주기의 변경이 일어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DRX 관련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DRX 관련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DRX 주기의 변경이 일어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 검사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 DRX)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기지국과 단말간의 전송 불일치로 인한 시스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DRX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확보하면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무선통신시스템은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음성통신은 물론 고속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근래에는 차세대 무선통신시스템 중 하나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 대한 규격 작업이 진행 중이다. LTE 시스템은 2010년 정도를 상용화 목표로 하고 있으며, 최대 300Mbps 정도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 기반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3GPP LTE 시스템에서는 단말(User Equipment : UE)의 소비 전력 감소를 위해 지원하는 기법의 하나로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 DRX) 동작을 이용한다. LTE 시스템에서 DRX 동작은 단말의 전력 소모를 절감하기 위해 단말이 정해진 주기마다 깨어나서(wakeup)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나머지 시간에는 수신 동작을 중지하는 동작을 말한다. 상기 DRX 동작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AN2(Radio Access Network 2) 규격인 TS 36.321에 기술되어 있으며, 특정 타이머가 만료되었을 시 DRX 주기가 변하도록 되어 있다.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의 DRX 동작은 TS 36.321의 5.7절에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3GPP에서는 단말과 기지국간의 연결 여부에 따라 단말의 상태를 크게 연결이 해제된 유휴 상태(idle state)와 연결이 설정된 연결 상태(connected state)로 구별한다. 단말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RRC_CONNECTED) 상태에서 상기 DRX가 설정되어 있을 때, 소비 전력 감소를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채널인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불연속적으로 관찰한다. 이러한 제어 채널의 불연속적인 관찰은 미리 설정된 주기를 토대로 이루어지며, 이 주기를 DRX 주기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DRX 주기는 DRX 동작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도 1은 LTE 시스템에서 DRX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DRX 주기(101)는 단말이 깨어나서 제어 채널인 PDCCH 관찰 동작을 수행하는 온-구간(on-duration)(103)과, 상기 관찰 동작을 중지할 수 있는 DRX 기회 구간(105)을 포함하며, 상기 DRX 주기(101)에 따라 단말은 관찰 동작의 수행/중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따라서, 상기 DRX 주기(101)는 단말이 깨어나서 예를 들어 제어 채널인 PDCCH 관찰 동작을 수행하는 온-구간(on-duration)(103)이 반복되는 주기를 의미한다. LTE 시스템에서 단말은 온-구간(on-duration)(103)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제어 채널인 PDCCH를 수신할 수 있으며, DRX 기회 구간(105) 동안 상기 PDCCH를 관찰하지 않는 슬립(sleep)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3GPP 표준에 기술된 DRX 동작은, DRX 주기가 변경되는 서브 프레임(subframe)에서 구체적으로 단말이 어떠한 방식으로 동작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지 않다. LTE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불명확성으로 인해, 상기 온-구간(on-duration)(103)의 시간을 계수하는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의 구동 여부 판단 시점에 따라 적용되는 DRX 주기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현재 3GPP에서 TS 36.321 규격에 기술된 DRX 동작은, 한 번 또는 그 이상 DRX 주기가 변경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상기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기지국과 단말간의 DRX 동작에 일관성을 주지 못함은 물론 DRX 주기의 변경으로 인한 상기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의 오 동작을 초래하며, 결과적으로 기지국과 단말간의 전송 불일치로 인한 시스템 성능 저하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RX 주기의 변경을 고려하는 DRX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RX 주기의 변경을 고려하여 DRX 동작 관련 타이머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RX 제어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DRX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매 서브 프레임마다 DRX 주기의 변경이 일어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DRX 관련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RX 제어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DRX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매 서브 프레임마다 DRX 주기의 변경이 일어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DRX 관련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DRX)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DRX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임박한 서브 프레임에서 단기 DRX 타이머가 만료된 후,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임박한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단기 DRX 타이머가 재시작되는 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기 DRX 타이머가 재시작되는 경우 현재 DRX 주기를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DRX)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DRX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임박한 서브 프레임에서 단기 DRX 타이머가 만료된 후,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임박한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단기 DRX 타이머가 재시작되는 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기 DRX 타이머가 재시작되는 경우 현재 DRX 주기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도 1은 LTE 시스템에서 DRX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과 기지국의 제어 평면에서 프로토콜 스택(stack)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X 동작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DRX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DRX 주기의 변화를 고려하여 DRX 동작 관련 타이머의 동작을 제어하는 다양한 방안을 제안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LTE 시스템의 예를 들어 설명될 것이나, 본 발명은 DRX 동작을 지원하는 각종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단말 동작의 예를 들어 설명될 것이나, 기지국 동작에 적용될 수 있음도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과 기지국의 제어 평면에서 프로토콜 스택(stack)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UE)(200)과 기지국(eNB)(300)에서 각각 RRC 계층(210, 310), MAC 계층(230, 330), 및 PHY 계층(250, 350)이 본 발명의 DRX 동작에 관여한다. DRX 동작은 기지국(300)으로부터 단말(200)로의 하향 링크 전송에서 수행되며, 이하 설명될 하향 링크에서 DRX 동작은 상향 링크 전송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서 기지국의 RRC 계층(310)은 단말(200)에게 전송할 DRX 구성 파라미터들의 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파라미터들의 값을 MAC 계층(330)에게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들은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와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의 각 만료 시간(expire tim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와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는 단말이 제어 채널 등을 관찰하는 동작을 종료하고 슬립(sleep) 상태로 들어갈 수 있는 상기 만료 시간을 계수한다. 상기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는 매 DRX 주기마다 단말이 연속적으로 제어 채널을 관찰하는 시간을 지시하며, 상기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는 기지국(300)으로부터 재전송이 아닌 새로운 패킷의 송신/수신이 있는 경우 송신 또는 수신 이후 단말(200)이 연속적으로 깨어 있는 정해진 시간을 지시하는 타이머이다.
또한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들은 장기 DRX 주기(longDRX-Cycle)와, DRX 시작 옵셋(drxStartOffset) 값,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의 만료 시간과 단기 DRX 주기(shortDRX-Cycle)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받은 장기 DRX 주기를 기본 DRX 주기로 적용하고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 적용 시점을 판단하나, 상기 단기 DRX 주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가 만료되는 시점부터 상기 단기 DRX 주기를 적용하여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의 적용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단기 DRX 주기는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될 때까지 적용된다. 상기 DRX 시작 옵셋(drxStartOffset) 값은 상기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의 동작 시작 시간의 옵셋 값을 의미한다. 한편 데이터 송수신의 활발한 정도에 따라서 DRX 주기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징시 단말이 웹 페이지를 다운로딩하는 단계에서는 데이터 송수신이 빈번하기 때문에 짧은 DRX 주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말은 소정의 룰에 따라서 단기 DRX 주기를 사용한다.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읽는 단계에서는 데이터 송수신이 드물기 때문에 긴 DRX 주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말은 소정의 룰에 따라서 장기 DRX 주기를 사용한다.
도 2에서 기지국(300)의 MAC 계층(330)은 전달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DRX구성 파라미터들을 물리(PHY) 계층(350)으로 보내며, 물리 계층(350)은 물리 채널(201)을 통해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들을 단말(200)의 물리 계층(25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단말(200)의 RRC 계층(210)은 물리 계층(250)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들을 해석하여 MAC 계층(230)으로 전달함으로써 DRX 주기의 변경을 고려한 본 발명의 DRX 동작이 단말(200)과 기지국(300)에서 각각 수행된다. DRX 관련 파라미터들의 설정은 단말(200)과 기지국(300)의 RRC 계층(210, 310)에서 수행되며, 상기 설정된 DRX 관련 파라미터들을 이용하는 DRX 동작의 전반적인 제어는 단말(200)과 기지국(300)의 MAC 계층(230, 330)에서 수행되며, 이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DRX 동작 제어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200)의 MAC계층(230)에서 수행되는 DRX 동작을 설명하면, MAC계층(230)은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들인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와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의 만료 시간(expire time), 장기 DRX 주기(longDRX-Cycle)와, DRX 시작 옵셋(drxStartOffset) 값,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의 만료 시간과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DRX 동작을 제어하며, 단말(200)은 아래와 같은 DRX 동작을 수행한다. 즉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와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가 동작하는 동안에는 단말(200)이 PDCCH를 관찰하게 되며, DRX를 사용하도록 설정할 시 단말(200)은 매 서브 프레임마다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가 사용되고, [(SFN * 10) + 서브 프레임 번호]를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로 나눈 나머지와 DRX 시작 옵셋(drxStartOffset)을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로 나눈 나머지가 같으면 단말(200)은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를 시작한다.
- 또한 장기 DRX 주기(longDRX-Cycle)가 사용되고, [(SFN * 10) + 서브 프레임 번호]를 장기 DRX 주기(longDRX-Cycle)로 나눈 나머지가 DRX 시작 옵셋(drxStartOffset)과 같으면, 단말은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를 시작한다.
- 이번 서브 프레임에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가 만료되거나 기지국(300)으로부터 DRX 주기 변경을 나타내는 DRX 명령 MAC 제어 요소(DRX Command MAC control element)가 수신되고,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가 설정되어 있으면,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를 시작하여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를 사용하도록 설정한다.
- 또한 이번 서브 프레임에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가 만료되거나 기지국(300)으로부터 DRX 주기 변경을 나타내는 DRX 명령 MAC 제어 요소(DRX Command MAC control element)가 수신되고, 상기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장기 DRX 주기(longDRX-Cycle)를 사용하도록 설정한다.
- 이번 서브 프레임에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면, 장기 DRX 주기(longDRX-Cycle)을 사용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한 DRX 동작 설명에서, SFN은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한 DRX 동작 제어 방식에 따르면, 이번 서브 프레임에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가 만료되거나 또는 DRX 명령 MAC 제어 요소(DRX Command MAC control element)가 수신되거나 또는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면 DRX 주기가 변경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DRX 주기가 한 번 이상 변경되거나 변경 예정인 경우의 다음과 같은 DRX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하기 실시 예들은 DRX 주기의 변경이 일어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 검사를 수행한 후, DRX 관련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DRX 관련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먼저 판단한 후, DRX 주기의 변경이 일어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 검사를 수행하는 다양한 형태의 DRX 동작 제어 방법을 제안한 것이다.
실시 예1)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DRX 주기가 변경되기 전에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실시 예2)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DRX 주기가 n번 변경된 후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실시 예3)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DRX 주기 변경이 모두 끝난 후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실시 예4)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특정 조건 검사 전 또는 후에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실시 예5)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와 단기 DRX 타이머(drxShortCycleTimer)가 모두 만료될 예정인 경우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가 먼저 만료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실시 예6) 임박한 서브 프레임에서 단기 DRX 타이머가 만료된 후, 재시작되는 경우 짧은 기간내 DRX 주기의 변경이 발생되는 상황을 방지하도록 현재 DRX 주기를 유지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 예1 내지 6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 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DRX 동작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은 매 서브 프레임마다 상기한 DRX 주기 변경이 일어나는 조건 검사 전에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 예1에서 DRX 주기 변경은 이번 서브 프레임에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가 만료되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DRX 명령 MAC 제어 요소(DRX Command MAC control element)가 수신되는 경우,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는 경우에 발생하므로, 이 세 가지 조건 검사 전에 단말은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301) 도 3은 상기 세 가지 조건들 중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는 경우(303)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 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DRX 동작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매 서브 프레임마다 DRX 주기가 n번 변경된 후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DRX 주기 변경은 이번 서브 프레임에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가 만료되는 경우, DRX 명령 MAC 제어 요소(DRX Command MAC control element)가 수신되는 경우,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는 경우에 발생하므로, 상기한 조건 검사 도중 또는 이후 DRX 주기가 n번 바뀌면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도 4는 이 중에서,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어 DRX 주기가 1번 바뀐 이후(401)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403)
<실시 예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DRX 동작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은 매 서브 프레임마다 DRX 주기 변경이 모두 끝난 후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DRX 주기 변경은 이번 서브 프레임에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가 만료되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DRX 명령 MAC 제어 요소(DRX Command MAC control element)가 수신되는 경우,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는 경우에 발생하므로, 상기 조건 검사가 모두 끝난 후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도 5의 실시 예는 상기한 조건 검사가 모두 끝난 후(501, 503), 단말이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505)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DRX 동작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5 단계에 단말은 DRX 구성 파라미터를 인지한다. 이는 호 설정 등의 과정에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를 통보함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와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의 만료 시간(expire time), 장기 DRX 주기(longDRX-Cycle)와, DRX 시작 옵셋(drxStartOffset) 값,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의 만료 시간과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를 인지한 시점부터 DRX 동작을 수행한다. DRX 동작을 수행한다는 것은 매 서브프레임마다 TS 36.321의 5.7절에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는 소정의 타이머 구동 여부를 판단하고, 그 타이머의 구동에 따라서 소정의 동작, 예컨대 PDCCH 관찰 등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말은 상기 DRX 동작을 수행하면서, 610 단계에서 매 서브 프레임마다 DRX 주기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단말은 DRX 주기 변경 여부 판단의 대상이 되는 서브 프레임이 시작되기 직전에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단기 DRX 주기 타이머 혹은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될 예정인지 검사한다.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될 예정이라면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DRX 주기가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에서 장기 DRX 주기(longDRX-Cycle)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가 만료될 예정이거나 DRX 명령 MAC 제어 요소(DRX Command MAC control element)가 수신되고, 해당 시점의 DRX 주기가 장기 DRX 주기(longDRX-Cycle)라면, 단말은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DRX 주기가 장기 DRX 주기(longDRX-Cycle)에서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610 단계에서 DRX 주기가 변경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은 615 단계로 진행해서 현재 DRX 주기를 이용해서 상기 서브 프레임에서 온 구간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610 단계에서 DRX 주기가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은 620 단계로 진행한다. DRX 명령 MAC 제어 요소(DRX Command MAC control element)가 수신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임의의 서브 프레임에서 DRX 주기가 변경된다는 것은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가 만료되거나 또는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거나, 또는 두 타이머들이 모두 만료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두 타이머들 중 하나만 만료되는 경우에는 DRX 주기가 한 번만 변경되는 것을 의미하며, 단말은 상기 DRX 주기가 변경된 후 변경된 DRX 주기를 이용해서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온 구간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즉, 단말은 변경된 DRX 주기가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라면, [(SFN * 10) + 서브 프레임 번호]를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로 나눈 나머지와 DRX 시작 옵셋(drxStartOffset)을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로 나눈 나머지가 같은지 비교해서 온 구간 타이머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변경된 DRX 주기가 장기 DRX 주기(longDRX-Cycle)라면, [(SFN * 10) + 서브 프레임 번호]를 장기 DRX 주기(long DRX-Cycle)로 나눈 나머지와 DRX 시작 옵셋(drxStartOffset)이 같은지 비교해서 온 구간 타이머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비활성화 타이머와 단기 DRX 주기 타이머가 임의의 서브 프레임에서 동시에 만료되면,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DRX 주기가 두 번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DRX 주기가 모두 변경된 후 최종 DRX 주기를 이용해서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온 구간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요컨대 620 단계에서 단말은 임의의 서브 프레임에서 DRX 주기가 모두 변경된 후 온 구간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혹은 단말은 임의의 서브 프레임에서 온 구간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의 최종 DRX 주기를 사용해서 온 구간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한 서브 프레임에서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와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가 모두 만료되는 경우, 어떤 타이머가 먼저 만료되었는지의 판단에 따라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DRX 주기가 변경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다. 예컨대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가 먼저 만료되고 DRX 비활성화 타이머(drx-InactivityTimer)가 만료된 것으로 간주한다면, DRX 주기는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에서 장기 DRX 주기(longDRX-Cycle)로 변경된 후 다시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로 변경된다.
반면 DRX 비활성화 타이머(drx-InactivityTimer)가 먼저 만료된 것으로 간주한다면, 상기 DRX 비활성화 타이머(drx-InactivityTimer)의 만료가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의 재구동을 트리거하기 때문에, DRX 주기는 변경되지 않고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가 유지된다.
상기 두 경우 모두 최종 DRX 주기는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로 동일하지만, 한 서브 프레임에서 DRX 주기를 여러 번 변경하는 것보다는 DRX 주기를 변경하지 않는 것이 단말의 처리 부하를 경감시킨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하기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 예 5에서는 상기 두 타이머가 임의의 서브 프레임에서 동시에 만료될 예정이라면 DRX 비활성화 타이머(drx-InactivityTimer)가 먼저 만료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DRX 주기 변경을 방지한다.
<실시 예 4>
실시 예 4에서 단말은 매 서브 프레임마다 특정 주기 변경 조건 검사의 전 또는 후에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DRX 주기 변경은 이번 서브 프레임에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가 만료되는 경우, DRX 명령 MAC 제어 요소(DRX Command MAC control element)가 수신되는 경우,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는 경우에 발생하므로, 단말은 상기한 조건 검사들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건 검사 전후에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실시 예 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5에 따른 DRX 동작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5 단계에 단말은 DRX 구성 파라미터를 인지한다. 이는 호 설정 등의 과정에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를 통보함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와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의 만료 시간(expire time), 장기 DRX 주기(longDRX-Cycle)와, DRX 시작 옵셋(drxStartOffset) 값,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의 만료 시간과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710 단계에서 단말은 임박한 서브 프레임에서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와 단기 DRX 타이머(drxShortCycleTimer)가 모두 만료될 예정인지 검사한다. 상기 임박한 서브 프레임은 예를 들어 다음 서브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두 타이머가 모두 만료될 예정이 아니라면 단말은 720 단계로 진행해서 종래 기술에 따라 동작한다. 상기 두 타이머가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서 모두 만료될 예정이라면 단말은 715 단계로 진행한다. 71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임박한 서브 프레임에서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가 먼저 만료되는 것으로 간주하고 관련 동작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단말은 단기 DRX 타이머(drxShortCycleTimer) 만료에 따른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기에 앞서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 만료에 따른 소정의 동작을 먼저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의 만료에 따른 소정의 동작은 예를 들어 단기 DRX 주기에서 장기 DRX 주기로의 변경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의 만료에 따른 소정의 동작은 단기 DRX 타이머의 재구동(drxShortCycleTimer)이 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단기 DRX 타이머(drxShortCycleTimer)가 재구동됨에 따라서 상기 서브 프레임에서 단기 DRX 타이머(drxShortCycleTimer)는 만료되지 않고 불필요한 DRX 주기 변경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 예 5는 좀 더 일반화해서, 임의의 서브 프레임에서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를 포함한 다수의 타이머가 만료될 예정이라면,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가 먼저 만료되는 것으로 간주해서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 만료에 따른 소정의 동작을 먼저 수행하는 것으로 확장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 예들에 따른 DRX 동작 제어 방법을 적용하면, 단말과 기지국 모두에 대해 DRX 주기 변화로 인한 활성 시간(active time)의 불일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단말은 DRX 동작에 의한 소비 전력 감소 효과를 유지하면서, 기지국과의 전송 불일치로 인한 시스템 성능 저하를 막을 수 있다.
<실시 예 6>
3GPP 규격에서 TS 36.321 v9.2.0을 참조하면, 단말은 단기 DRX 타이머가 만료되는 서브 프레임에서 장기 DRX를 적용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상기 단기 DRX 타이머가 만료되는 서브 프레임에서 비활성화 타이머가 함께 만료되는 경우, 구현하는 방식에 따라 이전 서브 프레임까지는 단기 DRX 주기를 사용하다가 이번 서브 프레임에는 장기 DRX 주기를 적용하고 다음 서브 프레임에서는 다시 단기 DRX 주기를 적용하는 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타이머들의 만료 상황 발생시, 단기 DRX 타이머(drxShortCycleTimer) 만료 검사,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의 구동 여부 판단,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 만료 검사와 같은 순서로 동작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이전 서브 프레임까지는 단기 DRX 타이머(drxShortCycleTimer) 동작으로 인한 단기 DRX 주기를 사용하다가, 이번 서브 프레임에는 단기 DRX 타이머(drxShortCycleTimer)의 만료로 인한 장기 DRX 주기가 적용되고, 다음 서브 프레임에는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 만료로 인해 다시 단기 DRX 주기가 적용된다. 그러나, 이처럼 짧은 기간 내에 단기 DRX에서 장기 DRX로 다시 장기 DRX에서 단기 DRX로 천이하는 것은 단말의 복잡도만 증가시키며 실익이 없다.
본 발명의 실시 예 6에서는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단말이 장기 DRX로 주기를 변경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 6에 따른 DRX 동작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805 단계에 단말은 DRX 구성 파라미터를 인지한다. 이는 호 설정 등의 과정에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를 통보함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와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의 만료 시간(expire time), 장기 DRX 주기(longDRX-Cycle)와, DRX 시작 옵셋(drxStartOffset) 값,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의 만료 시간과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810 단계에서 단말은 임박한 서브 프레임에서 단기 DRX 타이머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될 예정인지 검사한다. 상기 임박한 서브 프레임은 예를 들어 다음 서브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810 단계에서 상기 단기 DRX 타이머가 만료될 예정이 아니라면 단말은 820 단계로 진행해서 현재 적용 중인 DRX 주기를 유지한다. 상기 단기 DRX 타이머가 만료될 예정이라면 단말은 815 단계로 진행한다. 81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임박한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단기 DRX 타이머가 만료된 후 재시작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또는 상기 임박한 서브 프레임에서 단기 DRX 타이머가 만료된 후 재시작되지 않는다는 것은 상기 임박한 서브 프레임에서 단기 DRX 타이머가 구동 상태가 아닌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815 단계는 단말이 상기 임박한 서브 프레임에서 단기 DRX 타이머가 구동 중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상기 815 단계에서 만약 상기 임박한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단기 DRX 타이머가 만료된 후 재시작된다면(또는 단기 DRX 타이머가 구동 상태라면), 단말은 DRX 주기가 장기 DRX 주기로 천이되지 않도록 820 단계로 진행해서 현재 적용 중인 단기 DRX 주기를 유지한다. 상기 815 단계에서 만약 상기 임박한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단기 DRX 타이머가 만료되고 재시작되지 않는다면(또는 혹은 단기 DRX 타이머가 구동 상태가 아니라면) 단말은 825 단계로 진행해서 장기 DRX 주기를 적용한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 예 6을 적용할 경우, 짧은 기간 내에 불필요한 DRX 천이가 발생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DRX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9의 DRX 동작 제어 장치는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에 구비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수신기(903)는 제어기(905)의 제어하에 기지국(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수신되는 전술한 DRX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한다. 안테나(901)와, 수신기(903)를 통해 수신된 DRX 구성 파라미터는 제어기(905)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기(905)는 상기한 <실시 예1> 내지 <실시 예5> 중 정해진 방식에 따라 매 서브 프레임마다 DRX 주기의 변경이 일어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 검사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DRX 관련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905)는 예컨대, RRC 연결 상태에서 DRX 동작이 설정되어 있을 때,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DRX 동작을 제어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채널 등을 불연속적으로 관찰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905)는 상기한 <실시 예6>을 적용하는 경우, 임박한 서브 프레임에서 단기 DRX 타이머가 만료된 후,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임박한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단기 DRX 타이머가 재시작되는 지 판단하고, 상기 단기 DRX 타이머가 재시작되는 경우 현재 DRX 주기를 유지하도록 제어하여 짧은 기간 내에 불필요한 DRX 천이가 발생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905)는 RRC 계층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X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Claims (16)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DRX)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DRX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과정; 및
    매 서브 프레임마다 DRX 주기의 변경이 일어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DRX 관련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DRX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RX 관련 타이머는 상기 DRX 주기에서 온 구간의 시간을 계수하는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를 포함하는 DRX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는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의 만료 시간,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의 만료 시간(expire time), 장기 DRX 주기(longDRX-Cycle), DRX 시작 옵셋(drxStartOffset),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의 만료 시간, 단기 DRX 주기(shortDRX-Cycle)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DRX 제어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RX 관련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가 사용되고, [(SFN * 10) + 서브 프레임 번호]을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으로 나눈 나머지와 DRX 시작 옵셋(drxStartOffset)을 단기 DRX 주기(short DRX-Cycle)로 나눈 나머지가 같으면, 상기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를 시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DRX 제어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RX 관련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장기 DRX 주기(longDRX-Cycle)가 사용되고, [(SFN * 10) + 서브 프레임 번호]을 장기 DRX 주기(longDRX-Cycle)으로 나눈 나머지가 DRX 시작 옵셋(drxStartOffset)과 같으면, 상기 온 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를 시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DRX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RX 관련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DRX 주기가 변경되기 전에 수행되는 DRX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RX 관련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DRX 주기가 n번 변경된 후 수행되는 DRX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RX 관련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DRX 주기의 변경이 모두 끝난 후 수행되는 DRX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RX 관련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 검사 전후에 수행되는 DRX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 검사는 해당 서브 프레임에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가 만료되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DRX 명령 MAC 제어 요소(DRX Command MAC control element)가 수신되는 경우, 및 단기 DRX 주기 타이머(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 여부를 검사하는 것인 DRX 제어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DRX)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DRX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매 서브 프레임마다 DRX 주기의 변경이 일어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 검사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DRX 관련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DRX 제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에서 상기 DRX 동작을 제어하는 DRX 제어 장치.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DRX)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DRX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과정;
    임박한 서브 프레임에서 단기 DRX 타이머가 만료된 후,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임박한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단기 DRX 타이머가 재시작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단기 DRX 타이머가 재시작되는 경우 현재 DRX 주기를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DRX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기 DRX 타이머가 재시작되지 않는 경우 장기 DRX 주기를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DRX 제어 방법.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DRX)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DRX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임박한 서브 프레임에서 단기 DRX 타이머가 만료된 후, 상기 DRX 구성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임박한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단기 DRX 타이머가 재시작되는 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기 DRX 타이머가 재시작되는 경우 현재 DRX 주기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DRX 제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단기 DRX 타이머가 재시작되지 않는 경우 장기 DRX 주기를 적용하는 제어하는 DRX 제어 장치.
KR1020100041609A 2010-02-16 2010-05-0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64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124988.7A CN104703263B (zh) 2010-02-16 2011-02-16 无线通信系统中控制非连续接收的方法和装置
JP2012553814A JP6076743B2 (ja) 2010-02-16 2011-02-16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不連続受信の制御方法及び装置
EP11744886.0A EP2537267B1 (en) 2010-02-16 2011-02-16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1/001038 WO2011102644A2 (en) 2010-02-16 2011-02-16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9175723.6A EP3565321B1 (en) 2010-02-16 2011-02-16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180009702.0A CN102763347B (zh) 2010-02-16 2011-02-16 无线通信系统中控制非连续接收的方法和装置
US13/028,577 US8750186B2 (en) 2010-02-16 2011-02-16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4/278,459 US9198218B2 (en) 2010-02-16 2014-05-1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5063189A JP6121467B2 (ja) 2010-02-16 2015-03-25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不連続受信の制御方法及び装置
US14/867,518 US9832810B2 (en) 2010-02-16 2015-09-28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4/867,494 US9832809B2 (en) 2010-02-16 2015-09-28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946 2010-02-16
KR20100013946 2010-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092A true KR20110095092A (ko) 2011-08-24
KR101664279B1 KR101664279B1 (ko) 2016-10-12

Family

ID=4493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609A KR101664279B1 (ko) 2010-02-16 2010-05-0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8750186B2 (ko)
EP (2) EP2537267B1 (ko)
JP (2) JP6076743B2 (ko)
KR (1) KR101664279B1 (ko)
CN (2) CN104703263B (ko)
WO (1) WO2011102644A2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8850A1 (ko) * 2012-05-09 2013-1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3168891A1 (ko) * 2012-05-11 2013-11-14 주식회사 팬택 패킷 도착 간격을 고려한 drx 재구성 방법 및 장치
WO2014021595A1 (ko) * 2012-07-31 2014-02-06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4073799A1 (ko) * 2012-11-09 2014-05-15 주식회사 팬택 불연속 수신에 기반한 단말의 전력절감 동작의 수행장치 및 방법
WO2014112751A1 (en) * 2013-01-16 2014-07-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pplying timer for discontinuous reception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pparatus therefor
WO2015065076A1 (ko) * 2013-11-01 2015-05-07 주식회사 아이티엘 이중연결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위한 파라미터 구성 방법 및 장치
WO2020256462A1 (ko) * 2019-06-19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drx에 관련된 ue의 동작 방법
WO2021201442A1 (ko) * 2020-04-02 2021-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주기의 적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8521B2 (en) 2008-03-14 2013-07-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Behavior for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and MAC control elements for LTE DRX operations
KR101664279B1 (ko) * 2010-02-16 2016-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US8688160B2 (en) * 2011-05-02 2014-04-01 Apple Inc. Single-radio device supporting coexistence between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KR101948348B1 (ko) * 2011-04-01 2019-02-14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성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8862188B2 (en) * 2011-09-29 2014-10-14 Nokia Corporation Flexible discontinuous reception scheme based on likelihood of scheduling
CN103797862B (zh) * 2011-09-30 2018-07-20 诺基亚通信公司 非连续接收
CN104094644B (zh) * 2011-10-04 2020-08-25 三星电子株式会社 配置用于连接到无线网络系统的用户设备的无线电接入网络参数的系统和方法
US9313734B2 (en) 2011-10-31 2016-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employing discontinuous reception configurations in a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CN103139920B (zh) 2011-11-24 2016-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非连续接收配置的方法和用户设备
US9161304B2 (en) * 2011-12-14 2015-10-13 Transpacific Ip Management Group Ltd. Power management based on discontinuous reception cycl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658338B1 (ko) * 2012-01-13 2016-09-2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CN103220798B (zh) * 2012-01-19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数据通信方法、基站与用户设备
EP2621242A1 (en) * 2012-01-26 2013-07-31 Panasonic Corporation Improved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with additional wake up opportunities
US8879518B2 (en) 2012-02-08 2014-11-04 Acer Incorporated Method of timing reference management
US8885517B2 (en) * 2012-02-16 2014-11-11 Giri Prassad Deivasigamani Operational state mismatch identification for a mobile device
CN103260225B (zh) * 2012-02-20 2017-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Drx的控制方法及设备
CN107105486B (zh) * 2012-03-13 2020-12-15 Lg电子株式会社 通信装置
US9526091B2 (en) * 2012-03-16 2016-12-20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on of self-optimization functions in a wireless network
US9131516B2 (en) 2012-03-30 2015-09-08 Acer Incorporated Method of preventing random access response collision
JP5993599B2 (ja) * 2012-04-05 2016-09-14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ユーザ装置、基地局、ネットワーク、および通信制御方法。
TWI493941B (zh) * 2012-04-20 2015-07-21 Acer Inc 管理不連續接收功能的方法
US20130279383A1 (en) * 2012-04-20 2013-10-24 Acer Incorporated Method of Managing Discontinuous Reception Functionality
CN103428780B (zh) * 2012-05-14 2018-08-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户设备移动性参数上报方法及系统、ue、网络设备
US20150163740A1 (en) * 2012-07-11 2015-06-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025211A1 (en) * 2012-08-10 2014-02-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discontinuous reception (drx)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40022711A (ko) 2012-08-14 2014-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686619B (zh) * 2012-09-17 2017-02-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集群业务快速建立方法及相关设备、系统
RU2605367C2 (ru) * 2012-09-19 2016-12-20 Хуаве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доступа к каналу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WO2014049198A1 (en) * 2012-09-28 2014-04-03 Nokia Corporation Power preference indicator timer
US8923880B2 (en) * 2012-09-28 2014-12-30 Intel Corporation Selective joinder of user equipment with wireless cell
JP2014072637A (ja) * 2012-09-28 2014-04-21 Ntt Docomo Inc 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US9332584B2 (en) 2012-10-18 2016-05-03 Apple Inc. 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scaling in a wireless device
WO2014076516A1 (en) * 2012-11-16 2014-05-22 Nokia Corporation Discontinuous reception (drx) for diverse traffic
CN103874170A (zh) 2012-12-10 2014-06-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用户设备及利用扩展寻呼周期进行寻呼的方法和系统
JP6094297B2 (ja) * 2013-03-21 2017-03-1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通信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9894610B2 (en) 2013-05-09 2018-02-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onitoring on dur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0568111B2 (en) 2013-06-26 2020-02-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upporting discontinuous reception and apparatus therefo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reconfiguration of wireless resource
WO2015018045A1 (en) * 2013-08-08 2015-02-12 Qualcomm Incorporated Drx solution in eimta systems
TWI484850B (zh) * 2013-11-14 2015-05-11 Univ Nat Chiao Tung 用於長期演進技術中省電資料排程系統及其方法
KR102220934B1 (ko) 2014-05-07 2021-0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연속적 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사용자 장치 및 기지국
US10499451B2 (en) * 2014-06-13 2019-12-03 Apple Inc. Adaptive C-DRX management
US9967838B2 (en) 2014-11-21 2018-05-08 Apple Inc. Network synchronization for system configuration exchanges
US10728951B2 (en) * 2015-07-16 2020-07-28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s terminal,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DRX
US20170026948A1 (en) * 2015-07-20 2017-01-26 Qualcomm Incorporated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measurement scheduling during 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duration
US10165605B2 (en) * 2015-08-27 2018-12-25 Qualcomm Incorporated Discontinuous receive for contention-based radio access technologies
US20170070561A1 (en) * 2015-09-04 2017-03-09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chanism and Method for Constraint Based Fine-Grained Cloud Resource Controls
WO2017049517A1 (en) * 2015-09-24 2017-03-30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Timer handling in communications
JP6743826B2 (ja) * 2015-09-30 2020-08-19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端末、基地局、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21447B2 (en) * 2015-10-26 2019-06-11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a DRX configuration parameter based in part on an M-PDCCH parameter
BR112018009629A8 (pt) * 2015-11-13 2019-02-26 Ntt Docomo Inc dispositivo de comunicação por rádio
AU2017206661B2 (en) * 2016-01-11 2019-11-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ed mode DRX operations
CN107046728B (zh) 2016-02-06 2020-09-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的上报方法及装置、非连续传输的方法
EP3439215A4 (en) * 2016-05-23 2019-11-20 LG Electronics Inc. -1-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CN109792792B (zh) 2016-09-30 2022-09-27 Lg 电子株式会社 在drx配置或者重新配置之后的pdcch监测
CN108307406B (zh) * 2016-09-30 2020-03-0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非连续接收的方法及相关装置
CN113541904A (zh) * 2017-06-16 2021-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Drx配置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和通信系统
CN109842923B (zh) * 2017-09-20 2023-01-1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寻呼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MX2020007963A (es) * 2018-01-31 2020-09-2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odo y dispositivo para transmision discontinua.
WO2019183848A1 (zh) * 2018-03-28 2019-10-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监听pdcch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0621056A (zh) * 2018-06-19 2019-12-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NB-IoT终端模式切换的方法、装置和存储介质
EP4380303A2 (en) * 2018-11-02 2024-06-05 ZTE Corporation Adaptive parameter configu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CN113038582B (zh) * 2019-02-13 2023-02-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省电信号模式的使用方法、装置及终端
CN111726891B (zh) * 2019-03-20 2022-07-2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drx周期启动的方法及设备
US20220295405A1 (en) * 2019-08-15 2022-09-15 Lg Electronics Inc.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4303424B (zh) * 2019-10-10 2024-03-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号传输方法及装置、终端设备
CN112752356A (zh) * 2019-10-31 2021-05-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非连续接收配置方法、装置、基站、终端及存储介质
US11368935B2 (en) * 2019-11-21 2022-06-21 Qualcomm Incorporated Monitoring for a paging signal based on a counter
US20220007456A1 (en) * 2020-07-06 2022-01-06 Qualcomm Incorporated Inactivity timer mechanisms in discontinuous reception
CN113973285A (zh) * 2020-07-24 2022-01-25 夏普株式会社 用户设备执行的方法以及用户设备
EP4187967A4 (en) 2020-09-08 2024-01-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SIDELINK DRX TIMER BASED ENERGY SAVING TERMINAL IN NR V2X
CN116389940A (zh) * 2023-03-31 2023-07-04 广西上善若水发展有限公司 基于eDRX通讯技术的水表远程抄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4414A2 (en) * 2008-06-18 2009-12-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mac pdu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73663B1 (en) * 2006-10-27 2019-09-2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wireless systems
EP2148519A4 (en) * 2007-04-24 2013-12-25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METHOD, BASE RADIO STATION, MOBILE STATION, PROCESSOR
US8249004B2 (en) * 2008-03-14 2012-08-2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ordinated uplink transmission in LTE DRX operations for a wireless transmit receive unit
TWI378675B (en) * 2008-03-21 2012-12-01 Sunplus Mmobile Inc Method for avoiding unnecessary excessive stay of short cycle in discontinuous reception mechanism
HUE059996T2 (hu) * 2008-04-25 2023-01-28 Blackberry Ltd Eljárás és rendszer nem folyamatos vétel vezérlésére vezeték nélküli hálózatban
US8489950B2 (en) * 2008-08-06 2013-07-16 Nokia Siemens Networks Oy Discontinuous reception retransmission timer and method
KR101642309B1 (ko) * 2008-11-06 2016-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KR20100052064A (ko) * 2008-11-10 2010-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0078365A1 (en) * 2008-12-30 2010-07-0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iscontinuous reception for carrier aggregation
BRPI1013144B1 (pt) * 2009-06-15 2021-03-0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e sistema para a operação de recepção descontínua para agregação de portadora avançada de evolução de longo prazo
EP2468050B1 (en) * 2009-08-17 2020-02-12 Nokia Technologies Oy Discontinuous reception for multi-component carrier system
KR101664279B1 (ko) * 2010-02-16 2016-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10237266A1 (en) * 2010-03-26 2011-09-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During Discontinuous Reception
US8724545B2 (en) * 2010-03-31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upport for multi-radio coexistence
WO2013135949A1 (en) * 2012-03-16 2013-09-19 Nokia Corporation Update of timing advance without starting discontinuous reception activity tim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4414A2 (en) * 2008-06-18 2009-12-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mac pdu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 36.321 version 9.0.0 Release 9, ETSI TS 136 321 V9.0.0(2009-10)* *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8850A1 (ko) * 2012-05-09 2013-1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9806873B2 (en) 2012-05-09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3168891A1 (ko) * 2012-05-11 2013-11-14 주식회사 팬택 패킷 도착 간격을 고려한 drx 재구성 방법 및 장치
WO2014021595A1 (ko) * 2012-07-31 2014-02-06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4073799A1 (ko) * 2012-11-09 2014-05-15 주식회사 팬택 불연속 수신에 기반한 단말의 전력절감 동작의 수행장치 및 방법
WO2014112751A1 (en) * 2013-01-16 2014-07-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pplying timer for discontinuous reception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pparatus therefor
US9699829B2 (en) 2013-01-16 2017-07-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pplying timer for discontinuous reception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pparatus therefor
WO2015065076A1 (ko) * 2013-11-01 2015-05-07 주식회사 아이티엘 이중연결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위한 파라미터 구성 방법 및 장치
KR20150050956A (ko) * 2013-11-01 2015-05-11 주식회사 아이티엘 이중연결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위한 파라미터 구성 방법 및 장치
WO2020256462A1 (ko) * 2019-06-19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drx에 관련된 ue의 동작 방법
WO2021201442A1 (ko) * 2020-04-02 2021-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주기의 적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21699A1 (en) 2016-01-21
WO2011102644A2 (en) 2011-08-25
WO2011102644A3 (en) 2012-01-05
US20140301264A1 (en) 2014-10-09
EP3565321B1 (en) 2020-12-30
US20110199910A1 (en) 2011-08-18
US9832809B2 (en) 2017-11-28
JP2015111958A (ja) 2015-06-18
EP2537267B1 (en) 2019-05-22
US9832810B2 (en) 2017-11-28
CN102763347A (zh) 2012-10-31
JP6076743B2 (ja) 2017-02-08
JP6121467B2 (ja) 2017-04-26
CN102763347B (zh) 2015-04-22
EP3565321A1 (en) 2019-11-06
US8750186B2 (en) 2014-06-10
CN104703263B (zh) 2019-03-15
US9198218B2 (en) 2015-11-24
EP2537267A2 (en) 2012-12-26
CN104703263A (zh) 2015-06-10
JP2013520129A (ja) 2013-05-30
EP2537267A4 (en) 2016-07-27
US20160021700A1 (en) 2016-01-21
KR101664279B1 (ko)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146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不連続受信の制御方法及び装置
US79656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active period starting point for user equipment
KR101642309B1 (ko) 단말의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EP254716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rresponding terminal
EP2785112B1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use in discontinuous reception configuration
WO2013102389A1 (zh) 非连续接收的方法及装置
CN110418433B (zh) 一种降低数据接收时延的方法及装置
US201802708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saving during idle to connected mode transitions
EP4106417A1 (en) Discontinuous recept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medium
KR102196546B1 (ko) Iot 환경에서 단말기의 전력소모 절감을 위한 drx 및 스케줄링 최적화 방법
CN101534544A (zh) 不连续接收的控制方法及装置、起始点设置方法
CN101534545B (zh) 不连续接收的控制方法及装置、起始点确定方法
WO2019206249A1 (zh) 一种降低数据接收时延的方法及装置
CN101534546B (zh) 不连续接收的控制方法及装置、起始点确定方法
CN114501689A (zh) 直接通信接口的drx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3518412A (zh) 一种drx持续时间定时器的控制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