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053A - Simulator for training of pupillary reflex and fundus examination - Google Patents

Simulator for training of pupillary reflex and fundus examin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053A
KR20110095053A KR1020100014855A KR20100014855A KR20110095053A KR 20110095053 A KR20110095053 A KR 20110095053A KR 1020100014855 A KR1020100014855 A KR 1020100014855A KR 20100014855 A KR20100014855 A KR 20100014855A KR 20110095053 A KR20110095053 A KR 20110095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ertures
fundus
training
apertu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8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33255B1 (en
Inventor
양승진
김남혁
김대용
장인배
김병진
노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티
Priority to KR1020100014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255B1/en
Publication of KR20110095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0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2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lgebra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PURPOSE: A papillary reflex and funduscopy training simulator is provided to without set a real human body as a target for training, thereby enabling to perform a papillary reflex and funduscopy training close to reality. CONSTITUTION: A papillary reflex and funduscopy training simulator includes a face mask(110), a pair of lens(120), an aperture module(130), a light intensity detecting module(150), a display part(160), and a controller(170). The pair of lenses is installed corresponding to both eyes. The aperture module adjusts a hole size from each rear side of the lenses and light intensity passing through the lenses. The display part outputs a fundus image for training of apertures in each rear side. The light intensity detecting module detects light intensity entering through apertures. The light intensity detecting module is placed in order to deviate from the rear surface of apertures when setting a funduscopy mode. The controller controls a position of the light intensity detecting module according to a papillary reflex or funduscopy mode setting. The aperture module is controlled according to detected light intensity by the light intensity detecting module and manipulation of a control part.

Description

동공반사 및 안저검사 훈련용 시뮬레이터{Simulator for training of pupillary reflex and fundus examination}Simulator for training of pupillary reflex and fundus examination

본 발명은 동공반사 및 안저검사 훈련용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술자 혹은 훈련자가 실제와 비슷한 상태로 동공반사 및 안저검사를 훈련할 수 있게 하는 동공반사 및 안저검사 훈련용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ulator for training pupillary reflex and fundus examin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mulator for training pupillary reflex and fundus examination in which a practitioner or trainer can train pupillary reflex and fundus examination in a state similar to the actual state. .

동공반사란 눈에 들어가는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동공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것을 말한다. 대광반사라고도 하며 통상 어두운 곳에서 먼 곳을 응시한 상태로 옆쪽부터 빛을 진행시켜 동공의 반응을 살핀다. 동공반사 검사를 통해 뇌병증 및 약물 반응 등을 검진할 수 있다. 동공반사 검사 과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upil reflections mean that the pupils grow or shrink to control the amount of light entering the eye. It is also called light reflection and looks at the distant place in the dark. Pupil reflexes can be used to check for encephalopathy and drug reactions. A brief description of the pupillary test is as follows.

먼저, 어두운 방에서 검진할 대상자에게 먼 곳을 응시하라고 한다. 이에 따라 대상자의 동공은 확대되며, 이 상태에서 대상자의 옆쪽에서부터 빛을 진행시키면서 동공의 반응을 주의하여 살핀다. 정상적으로는 빛을 비추는 쪽의 동공이 수축하는데, 이를 직접 대광반사라 한다. 또한, 빛을 비추지 않은 쪽의 동공도 동시에 수축하는데, 이를 교감 대광반사라 한다. 동공의 반응을 살피면서 특별한 눈의 병리적 변화가 없다면 정상으로 보고, 만약 확장되어 고정된 상태 또는 축소되어 고정된 상태 또는 한쪽 동공만 반응하는 상태가 발견되면 뇌손상의 경우로 본다. First, ask the person to be examined in a dark room to look away. As a result, the pupil of the subject is enlarged, and in this state, the light reacts carefully while advancing light from the side of the subject. Normally, the light emitting pupils contract, which is called direct light reflection. In addition, the pupil of the non-light side also contracts at the same time, it is called sympathetic light reflection. If there is no pathological change in the eye while looking at the pupil's response, it is considered normal, and if it finds an enlarged, fixed, or pinned or only one pupil reaction, it is considered a brain injury.

한편, 안저검사란 암실에서 검안경으로 안저의 상태를 검사하는 것으로, 눈병 외에 당뇨병, 동맥경화증 등의 진단과 경과 판정을 위해 시행된다. 안저검사 과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fundus examination is to check the condition of the eye fundus with an ophthalmoscope in the dark room, is performed for the diagnosis and progress of diagnosis of diabetes, arteriosclerosis, etc. in addition to the eye disease. Brief description of the fundus examination process is as follows.

먼저, 대상자의 안저를 검사하기 위해 방을 어둡게 하여 대상자의 동공을 확대시킨다. 이때, 안저 배경과 황반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산동제를 사용하여 동공을 확대시킬 수 있다. 산동제는 대상자가 녹내장을 갖는 경우 이로 인한 응급상황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녹내장이 없을 경우에만 사용된다. First, the subject's pupils are enlarged by darkening the room to examine the subject's fundus. At this time, the pupil may be enlarged by using a shandong agent to better see the fundus background and the macula. Shandong is used only in the absence of glaucoma, since there is a risk of causing an emergency if the subject has glaucoma.

검사시에 시술자와 대상자 모두 안경을 벗어야 하며, 콘텍트 렌즈는 깨끗할 경우 착용 가능하다. 시술자는 검안경을 이용하여 동공을 통해 눈 안에 빛을 들여보내어 눈 내부를 조명하며, 검안경 렌즈의 (+)디옵터와 (-)디옵터를 조정해서 초점을 맞춘 후, 안저를 검사한다. Both the operator and the subject should take off their glasses at the time of examination. Contact lenses may be worn if clean. The surgeon uses an optoscope to illuminate the inside of the eye by letting light into the eye through the pupil, focusing by adjusting the (+) diopter and (-) diopter of the ophthalmoscope lens and examining the fundus.

전술한 바와 같은 동공반사 및 안저검사를 통해 대상자의 병변을 정확히 관찰 및 진단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시술자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시술자가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검사를 훈련할 경우, 환자 눈에 무리를 줄 수 있으므로, 반복하여 연습하기 어렵다. 또한, 다양한 증례에 대해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검사를 훈련하기에는 환자가 충분하지 못하므로, 다양한 훈련 경험을 쌓기 어렵다. Skilled practitioners are required to accurately observe and diagnose lesions of the subject through pupillary reflex and fundus examination as described above. However, when the practitioner trains a test on a real patient, it may be difficult for the patient's eyes, and thus it is difficult to practice repeatedly. In addition, since there are not enough patients to train the test for actual patients for various cases, it is difficult to obtain various training experience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훈련용 시뮬레이터가 개발되어 있는데, 종래의 훈련용 시뮬레이터는 그 방식이 수동이어서, 작동에 불편함이 있고 시술자 혹은 훈련자의 숙련 정도를 시험하기 어렵다. 또한, 수동 방식의 훈련용 시뮬레이터는 실제 인체와는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전술한 훈련용 시뮬레이터를 통해 훈련했던 시술자 혹은 훈련자는 실제 인체를 대면하여 시술할 때 큰 이질감을 느끼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raining simulator has been developed. In the conventional training simulator, the method is manual, which is inconvenient to operate and difficult to test the skill of the operator or the trainer. In addition, since the manual training simulator has a lot of differences from the actual human body, the operator or trainer who has train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training simulator may have a problem of feeling great heterogeneity when facing the actual human body.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술자 혹은 훈련자가 실제 인체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도 실제에 가까운 동공반사 및 안저검사를 훈련하도록 하여 반복 연습에 따른 숙련도를 높일 수 있는 동공반사 및 안저검사 훈련용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perator or trainer to train the pupil reflection and fundus examination close to the actual without having to target the actual human body by the pupil reflection and fundus that can increase the proficiency according to repetitive practice To provide a test training simulator.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공반사 및 안저검사 훈련용 시뮬레이터는, 안면 마스크; 상기 안면 마스크의 양쪽 눈 영역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렌즈들; 상기 렌즈들의 각 후방에서 구멍 크기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렌즈들을 통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들과, 상기 조리개들의 각 구멍 크기를 조절하는 조리개 구동부를 구비한 조리개 모듈; 상기 조리개들의 각 후방에서 훈련을 위한 안저 이미지를 전송받아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동공반사검사 모드 설정시 상기 조리개들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조리개들을 통해 들어오는 빛의 양을 검출하며, 안저검사 모드 설정시 상기 조리개들의 후면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위치되는 광량검출 모듈; 및 동공반사검사 모드 또는 안저검사 모드 설정에 따라 상기 광량검출 모듈의 위치를 제어하고, 동공반사검사 모드 설정시 상기 광량검출 모듈에 의해 검출된 광량과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리개 구동부를 제어하며, 안저검사 모드 설정시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리개 구동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Simulator for pupillary reflection and fundus examination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ace mask; A pair of lenses installed to correspond to both eye regions of the face mask; An aperture module having apertures for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es as the hole size is adjusted at each rear of the lenses, and an aperture driver for adjusting the size of each hole of the apertures; A display unit for receiving a fundus image for training from each rear of the apertures and outputting the image to a screen; A light quantity detection module position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s of the apertures when the pupil reflection inspection mode is set, and to detect an amount of light that enters through the apertures;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upil reflection inspection mode or the fundus inspection mode setting, and controlling the apertur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by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module and an oper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when the pupil reflection inspection mode is se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aperture driving unit and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when the fundus test mode is set.

본 발명에 따르면, 동공반사검사 훈련을 위해 실제 인체의 동공반사를 자동으로 모사할 수 있고, 간편한 조작만으로도, 안저검사 훈련을 위해 환자의 상태를 원하는 대로 설정해서 모사할 수 있다. 따라서, 동공반사검사 및 안저검사 훈련을 위한 작동이 편리할 수 있고, 시술자 혹은 훈련자의 숙련 정도를 시험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훈련자의 선택에 따라 동공반사검사 또는 안저검사를 훈련할 수 있으므로, 다용도로 활용 가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pil reflection can be automatically simulated for the actual pupil reflection training, and with a simple operation, the patient's condition can be set and simulated as desired for the fundus examination training. Thus, operations for pupillary examination and fundus examination training may be convenient and may be easy to test the skill of the operator or trainer. In addition, since the pupil reflex test or fundus test can be trained according to the choice of the trainer, it may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인체에 가깝게 모사할 수 있으므로, 시술자 혹은 훈련자는 실제 인체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도 실제에 가까운 검사들을 훈련할 수 있다. 따라서, 반복 연습에 따른 숙련도를 높일 수 있고, 훈련용 시뮬레이터를 통해 훈련했던 시술자 혹은 훈련자는 실제 인체를 대면하여 시술할 때 이질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can be simulated closer to the actual human body, the operator or trainer can train the tests closer to the real body without targeting the actual human bod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ficiency according to the repetitive practice, the operator or the trainer who trained through the training simulator may not feel heterogeneity when performing the procedure facing the actual human body.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저검사 훈련시 실제 인체의 원시 또는 정시 또는 근시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훈련자는 검안경을 이용하여 검안경 렌즈의 (+)디옵터, (-)디옵터를 이용하여 초점 맞추는 연습을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raining of the fundus examination can implement the actual human's hyperopia or punctual or myopia, the trainer can practice focusing by using the (+) diopter and (-) diopter of the ophthalmoscope lens by using the ophthalmoscope.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공반사 및 안저검사 훈련용 시뮬레이터에 대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안면 마스크의 내부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대해 후방에서 바라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 광량검출 모듈을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5에 있어서, 광량검출 모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7는 도 4에 있어서, 조리개 모듈을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7에 있어서, 조리개 모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1 is a front view of the pupil reflection and fundus examination training s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ior of the face mask of FIG. 2;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rear with respect to FIG.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module in FIG. 4; FIG.
FIG. 6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light quantity detecting module in FIG. 5. FIG.
FIG. 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aperture module in FIG. 4; FIG.
8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aperture module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공반사 및 안저검사 훈련용 시뮬레이터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안면 마스크의 내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대해 후방에서 바라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the pupil reflection and fundus examination training s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the face mask in FIG. 2, and FIG.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rear of FIG. 3.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동공반사 및 안저검사 훈련용 시뮬레이터(100)는, 안면 마스크(110)와, 한 쌍의 렌즈(120)들과, 조리개 모듈(130)과, 광량검출 모듈(150), 디스플레이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1 to 4, the simulator 100 for pupillary reflection and fundus examination training includes a face mask 110, a pair of lenses 120, an aperture module 130, and a light quantity detection module ( 150, a display 160, and a controller 170.

안면 마스크(110)는 인체의 얼굴 모양과 유사한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안면 마스크(110)는 촉감이 인체의 피부를 연상시킬 수 있고, 이물질이 묻었을 때 쉽게 제거 가능하도록 실리콘 재질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안면 마스크(110)에서 양쪽 눈 영역의 위치는 인체의 표준 얼굴 형태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The face mask 110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face of the human body. The face mask 110 may be made of a silicon material or the like so that the touch may resemble the skin of the human body and may be easily removed when foreign matter is buried. The position of both eye regions in the face mask 110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a standard facial shape of the human body.

한 쌍의 렌즈(120)들은 안면 마스크(110)의 양쪽 눈 영역에 하나씩 대응되게 설치된다. 각각의 렌즈(120)는 인체의 안구에 있는 수정체를 모사하기 위한 것이다. 렌즈(120)는 렌즈 홀더(121)의 중공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렌즈 홀더(121)는 지지 브래킷(101)의 전면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The pair of lenses 120 are installed to correspond to one eye area of the face mask 110 one by one. Each lens 120 is for simulating the lens in the eye of the human body. The lens 120 may be mounted in the hollow of the lens holder 121. The lens holder 121 may be mounted and suppor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101.

조리개 모듈(130)은 조리개(131)들과 조리개 구동부(141)를 구비한다. 조리개(131)들은 렌즈(120)들의 각 후방에서 구멍 크기가 조절됨에 따라 렌즈(120)들을 통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각각의 조리개(131)는 인체의 안구에 있는 홍채를 모사하기 위한 것이다. 조리개(131)는 구멍 중심이 렌즈(120)의 광축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조리개(131)는 지지 브래킷(101)의 후면에 장착되어 렌즈(120)와 함께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브래킷(101)은 조리개 구동부(141)를 매개로 베이스 판넬(102)에 지지되어 렌즈 홀더(121) 및 조리개(131)가 베이스 판넬(102) 상에 지지되게 할 수 있다. The aperture module 130 includes apertures 131 and an aperture driver 141. The apertures 131 adjust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es 120 as the hole size is adjusted at each rear of the lenses 120. Each aperture 131 is for simulating the iris in the eye of the human body. The diaphragm 131 is disposed such that the center of the hole coincides with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120. The iris 131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101 to be supported together with the lens 120. In addition, the support bracket 101 may be supported by the base panel 102 through the aperture driving unit 141 to allow the lens holder 121 and the aperture 131 to be supported on the base panel 102.

조리개 구동부(141)는 조리개(131)들의 각 구멍 크기를 조절함에 따라, 실제 인체에서 동공의 확장, 정상, 축소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동공의 확장 크기는 5mm ~ 7mm 이고, 정상 크기는 3mm ~ 5mm 이며, 축소 크기는 1mm ~ 3mm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동공 확장을 위한 약물 투여에 대한 동일한 동공의 변화가 모사될 수 있다. The aperture driver 141 adjusts the size of each hole of the apertures 131, thereby realizing the expansion, normalization, and reduction of the pupil in the actual human body. The enlarged size of the pupil is 5mm ~ 7mm, the normal size is 3mm ~ 5mm, the reduction size can be set to 1mm ~ 3mm. Thus, the same pupillary changes for drug administration for pupillary expansion can be simulated.

광량검출 모듈(150)은 동공반사검사 모드 설정시 조리개(131)들을 통해 들어오는 빛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동공반사검사 모드 설정시 광량검출 모듈 (150)은 조리개(131)들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위치된다. 반면, 안저검사 모드 설정시 광량검출 모듈(150)은 조리개(131)들의 후면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위치된다. 이는 동공반사검사 모드와 안저검사 모드를 개별적으로 구동하기 위해서이다.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module 150 detects the amount of light coming through the apertures 131 when the pupil reflection inspection mode is set. When the pupil reflection test mode is set,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module 150 is positioned to closely contact the rear surfaces of the apertures 131. On the other hand, when setting the fundus inspection mode, the light amount detection module 150 is positioned to deviate from the rear of the apertures 131. This is to drive the pupil reflection test mode and the fundus test mode separately.

디스플레이부(160)는 조리개 모듈(130)들의 후방에서 훈련을 위한 안저 이미지를 전송받아 렌즈(120)들에 각각 대응되는 화면들에 출력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60)는 다양한 증례의 안저 이미지들 중 선택된 안저 이미지를 화면들에 출력하여 실제 인체의 양쪽 안구에서 안저 상태를 모사할 수 있게 한다. The display unit 160 receives the fundus image for training from the rear of the aperture module 130 and outputs the image to the screens corresponding to the lenses 120, respectively. That is, the display unit 160 may output the selected fundus image of the various fundus images of the various cases on the screens to simulate the fundus state in both eyes of the actual human body.

안저 이미지들로는 정상 안저, 고혈압성 망막증, 단순/지증식성 당뇨병성 망막증, 만성유도부종, 급성유도부종, 녹내장성 시신경위축, 망막정맥 폐쇄(급성), 망막정맥 폐쇄(광응고 치료흔적), 특소플라즈마종, 노인성 황반병성 등의 각종 안저 이미지들일 수 있다. Fundus images include normal fundus, hypertensive retinopathy, simple / lipophilic diabetic retinopathy, chronic induced edema, acute induced edema, glaucoma optic atrophy, retinal vein occlusion (acute), retinal vein occlusion (marked photocoagulation), special Various fundus images such as plasma species, senile macular disease,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60)는 한 쌍의 LCD(16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LCD(161)들은 각각의 화면이 조리개(131)들의 각 후방에 하나씩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LCD(161)들은 지지 판넬(162)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60 may include a pair of LCDs 161. In this case, the LCDs 161 may be arranged so that each screen corresponds to one rear of each of the apertures 131. The LCDs 161 may be mounted on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anel 162.

제어부(170)는 동공반사검사 모드 또는 안저검사 모드 설정에 따라 광량검출 모듈(150)의 위치를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동공반사 모드 또는 안저검사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부(171)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드 설정부(171)에는 동공반사 모드 또는 안저검사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들이 마련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module 150 according to the pupil reflection test mode or the fundus test mode setting. The controller 170 may be connected to the mode setting unit 171 for setting the pupil reflection mode or the fundus examination mode. In this case, the mode setting unit 171 may be provided with operation units for selecting the pupil reflection mode or the fundus inspection mode.

만일, 모드 설정부(171)를 통해 동공반사검사 모드가 설정된다면, 제어부(170)는 광량검출 모듈(150)이 조리개(131)들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광량검출 모듈 (150)의 위치를 제어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170)는 광량검출 모듈(150)에 의해 검출된 광량과 조작부(172)의 조작에 따라 조리개 구동부(141)를 제어한다. 여기서, 조작부(172)의 조작에 따라 동공반사의 다양한 증례, 예컨대 정상(좌,우측 동일한 반응), 동공 확장고정, 동공 축소고정, 우측동공반응(좌측고정), 좌측동공반응(우측고정) 등이 설정될 수 있다. If the pupil reflection inspection mode is set through the mode setting unit 171,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module 150 such that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module 1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s of the apertures 131. . In this state,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aperture driver 141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by the light amount detection module 150 and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72. Here, various cases of pupil refl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72, for example, normal (left, right side reaction), pupil dilation fixation, pupil reduction fixation, right pupil reaction (left fixation), left pupil reaction (right fixation), etc. Can be set.

조작부(172)의 조작을 통해 훈련하고자 하는 동공반사의 증례가 설정된 상태에서, 훈련자가 렌즈(120)의 전방에 빛을 비추면, 조리개(131)의 열린 구멍을 통해 빛이 들어가서 광량검출 모듈(150)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면, 광량검출 모듈(150)은 빛의 양을 검출해서 제어부(170)로 전송하며, 제어부(170)는 광량검출 모듈(150)에 의해 검출된 광량과 각 증례별로 설정된 값을 기초로 조리개 구동부(141)를 제어하게 된다. 그 결과, 각 증례별로 실제 인체에 대한 동공반사가 모사될 수 있다. In the state where the case of the pupil reflection to be trained through the manipulation of the operation unit 172 is set, when the trainer illuminates the front of the lens 120, the light enters through the open hole of the aperture 131 to detect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module ( 150). Then, the light amount detection module 150 detects the amount of light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70, and the control unit 170 based on the light amount detected by the light amount detection module 150 and a value set for each case. 141 is controlled. As a result, the pupil reflection of the actual human body can be simulated for each case.

만일, 안저검사 모드가 설정된다면, 제어부(170)는 광량검출 모듈(150)이 조리개(131)들의 후면으로부터 벗어나도록 광량검출 모듈(150)의 위치를 제어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170)는 조작부(172)의 조작에 따라 조리개 구동부(141) 및 디스플레이부(160)를 제어한다. 예컨대, 안저검사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훈련자가 조작부(172)에서 동공의 확장을 모사하기 위해 조리개 스위치를 조작하면, 제어부(170)는 조작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조리개 구동부(141)로 출력하여, 조리개 구동부(141)에 의해 조리개(131)의 구멍 크기가 확장되게 한다. If the fundus test mode is set,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light amount detection module 150 so that the light amount detection module 150 deviate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apertures 131. In this state,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aperture driving unit 141 and the display unit 16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72. For example, when the trainer operates the aperture switch to simulate the pupil dilation in the operation unit 172, the controller 170 outpu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signal to the aperture driver 141. The aperture size of the aperture 131 is expanded by the aperture driver 141.

만약, 훈련자가 조작부(172)에서 동공의 정상 또는 동공의 축소를 모사하기 위해 조리개 스위치를 조작하면, 제어부(170)는 조작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조리개 구동부(141)로 출력하여, 조리개 구동부(141)에 의해 조리개(131)의 구멍 크기가 정상 또는 축소되게 한다. If the trainer manipulates the aperture switch in order to simulate the normalization or reduction of the pupil in the operation unit 172, the control unit 170 outpu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to the aperture driver 141, the aperture driver ( 141 allows the aperture size of the aperture 131 to be normal or reduced.

그리고, 훈련자가 조작부(172)에서 훈련하고자 하는 환자 상태를 설정하기 위해 이미지 선택 스위치를 조작하면, 제어부(170)는 조작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60)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부(160)에 의해 선택된 안저 이미지가 LCD(161)들의 화면에 표시되게 한다. 따라서, 훈련자는 다양한 증례에 대한 안저 이미지를 선택해가며 다양한 훈련을 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70)는 동공반사 및 안저검사 훈련용 시뮬레이터(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172)는 버튼입력 방식 또는 터치입력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rainer manipulates the image selection switch to set the patient state to be trained on the manipulation unit 172, the controller 170 outpu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signal to the display unit 160, thereby displaying the display unit 160. The fundus image selected by)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LCDs 161. Therefore, the trainer can select a fundus image for various cases and perform various trainings. The controller 170 may be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pupil reflection and fundus examination training simulator 100. The operation unit 172 may be configured as a button input method or a touch input method.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동공반사 및 안저검사 훈련용 시뮬레이터(100)에 의하면, 동공반사검사 훈련을 위해 실제 인체의 동공반사를 자동으로 모사할 수 있다. 또한, 간편한 조작만으로도, 안저검사 훈련을 위해 환자의 상태를 원하는 대로 설정해서 모사할 수 있다. 따라서, 동공반사검사 및 안저검사 훈련을 위한 작동이 편리할 수 있고, 시술자 혹은 훈련자의 숙련 정도를 시험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upil reflex and fundus inspection training simulator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pupil reflection of the actual human body can be automatically simulated for the pupil reflex inspection training. In addition, with simple manipulation, the patient's condition can be set and simulated as desired for fundus examination training. Thus, operations for pupillary examination and fundus examination training may be convenient and may be easy to test the skill of the operator or trainer.

그리고, 시술자 혹은 훈련자는 실제 인체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도 실제에 가까운 동공반사검사 및 안저검사를 훈련할 수 있으므로, 반복 연습에 따른 숙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동공반사 및 안저검사 훈련용 시뮬레이터(100)는 실제 인체에 가깝게 모사될 수 있기 때문에, 동공반사 및 안저검사 훈련용 시뮬레이터(100)를 통해 훈련했던 시술자 혹은 훈련자는 실제 인체를 대면하여 시술할 때 이질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or or trainer can train the pupil reflection test and the fundus test close to reality without targeting the actual human body, thereby improving the proficiency according to the repetitive practice. In addition, since the pupil reflection and fundus examination training simulator 100 can be simulated close to the actual human body, the operator or trainer who has trained through the pupil reflection and fundus examination training simulator 100 can perform the procedure by facing the actual human body. When you do not feel heterogeneous.

한편, 광량검출 모듈(15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151)들과 광센서 이송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광센서(151)들은 조리개(131)들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조리개(131)들에 하나씩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광량을 검출한다. 광센서(151)들은 센서 판넬(152)에 탑재되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지지될 수 있다. 광센서(151)로는 황화카드뮴(CdS) 셀 등의 광도전 셀이 이용될 수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5 and 6,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module 150 may include optical sensors 151 and an optical sensor transfer unit 156. The light sensors 151 ar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apertures 131 one by on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s of the apertures 131 to detect the amount of light. The photosensors 151 may be mounted on the sensor panel 152 and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s the optical sensor 151, a photoconductive cell such as a cadmium sulfide (CdS) cell may be used.

광센서 이송부(156)는 동공반사검사 모드 또는 안저검사 모드 설정에 따라 광센서(151)들을 조리개(131)들의 후면에 밀착시키는 위치 또는 조리개(131)들의 후면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위치로 이송시키도록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된다. The optical sensor transfer unit 156 controls the optical sensor 151 to be moved to a position in which the optical sensors 151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s of the apertures 131 or deviated from the rear surfaces of the apertures 131 according to the pupil reflection inspection mode or the fundus inspection mode setting. Controlled by 170.

즉, 동공반사검사 모드가 설정되면, 광센서 이송부(15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151)들을 조리개(131)들의 후면에 밀착시키는 위치로 이송시키도록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된다. 만일, 안저검사 모드가 설정되면, 광센서 이송부(15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151)들을 조리개(131)들의 후면으로부터 벗어나는 위치로 이송시키도록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된다. That is, when the pupil reflection inspection mode is set, the optical sensor transfer unit 156 is moved by the controller 170 to move the optical sensors 151 to a posi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s of the apertures 131 as shown in FIG. 5. Controlled. If the fundus test mode is set, the optical sensor transfer unit 156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70 to transfer the optical sensors 151 to a position away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apertures 131 as shown in FIG. 6. .

광센서 이송부(156)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광센서(151)들을 상하로 회전시키면서 조리개(131)들의 후면에 밀착 또는 분리시키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안면 마스크(110) 내에서 사용되지 않는 상부 공간이 활용될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The optical sensor transfer unit 156 may be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rear of the apertures 131 while rotating the optical sensors 151 up and down about the horizontal axis. Accordingly, an upper space that is not used in the face mask 110 may be utilized, thereby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광센서 이송부(156)는 정,역 가능한 회전 모터(157)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모터(157)는 광센서(151)들보다 상측에 모터 브래킷(158)에 의해 지지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모터 브래킷(158)은 베이스 판넬(102) 상에 장착되어 지지된다. 회전 모터(157)는 회전축이 센서 판넬(152)에 결합되어 센서 판넬(152)을 정,역 회전시킴에 따라 광센서(151)들을 조리개(131)들의 후면에 밀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The optical sensor transfer unit 156 may include a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or 157. The rotary motor 157 is disposed to be supported by the motor bracket 158 above the light sensors 151. Here, the motor bracket 158 is mounted and supported on the base panel 102. The rotary motor 157 is coupled to the sensor panel 152 to rotate the sensor panel 152 forward and reverse, so that the optical sensors 151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rear of the iris 131.

한편, 디스플레이부(160)는 리니어 구동부(166)에 의해 렌즈(120)들에 대해 근접 또는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조작부(172)의 조작에 따라 실제 인체의 원시 또는 정시 또는 근시를 구현하도록 리니어 구동부(166)를 제어할 수 있다. The display 160 may be proximate or spaced apart from the lenses 120 by the linear driver 166.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linear driving unit 166 to implement hyperopia, timing or myopia of the actual human body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172.

즉, 디스플레이부(160)의 안저 이미지가 렌즈(120)와의 거리가 조정되면서, 렌즈(120)의 초점이 디스플레이부(160)의 안저 이미지에 맺히면 정시, 디스플레이부(160)의 안저 이미지보다 뒤쪽에 맺히면 원시, 디스플레이부(160)의 안저 이미지보다 앞쪽에 맺히면 근시가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훈련자는 조작부(172)에서 초점 조절 스위치를 조작해서 실제 인체의 원시 또는 근시로 설정한 상태에서, 검안경을 이용하여 검안경 렌즈의 (+)디옵터, (-)디옵터를 이용하여 초점 맞추는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fundus image of the display unit 160 is adjusted to the lens 120, the focal point of the lens 120 is formed on the fundus image of the display unit 160. When it is formed at the back, the hyperopia may be implemented at the front of the fundus image of the display unit 160. Therefore, the trainer exercises the focus using the (+) diopter, (-) diopter of the ophthalmoscope lens by using the optometrist while operating the focus control switch on the operation unit 172 to set the hyperopia or myopia of the actual human body. You can do it.

리니어 구동부(166)는 슬라이드 가이드(167)와 리니어 액추에이터(168)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167)는 디스플레이부(160)가 장착된 지지 판넬(162)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베이스 판넬(102) 상에 설치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가이드(167)는 지지 판넬(162)의 하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 판넬(162)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지지 판넬(162)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드 가이드(167)는 지지 판넬(162)을 안정되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리니어 액추에이터(168)는 지지 판넬(162)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지지 판넬(162)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리니어 액추에이터(168)로는 리니어 모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linear driver 166 may include a slide guide 167 and a linear actuator 168. The slide guide 167 is installed on the base panel 102 to guide the slide movement of the support panel 162 on which the display unit 160 is mounted. In addition, the slide guide 167 is configured to exten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pport panel 162 so that the support panel 162 slides in a state of being fitt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nel 162. The slide guide 167 may be configured in a pair so as to stably slide the support panel 162. The linear actuator 168 slides the support panel 162 and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anel 162. A linear motor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linear actuator 168.

한편, 디스플레이부(160)는 훈련을 위한 안저 이미지가 다수 저장된 저장기기(173)로부터 안저 이미지를 전송받을 수 있다. 저장기기(173)는 메모리 카드 등의 소형 저장기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저장기기(173)는 LCD(161) 후면과 지지 판넬(162) 사이의 공간과 같이 좁은 공간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장착 공간을 비교적 작게 차지할 수 있다. 또한, 저장기기(173)는 장착과 분리를 손쉽게 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안저 이미지들을 외부로부터 저장받아서 디스플레이부(16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훈련자는 보다 다양한 증례에 대한 훈련이 가능하게 된다. The display 160 may receive a fundus image from the storage device 173 in which a plurality of fundus images for training are stored. The storage device 173 may be a small storage device such as a memory card. In this case, since the storage device 173 may be mounted in a narrow space such as a space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LCD 161 and the support panel 162, the storage device 173 may occupy a relatively small mounting space. In addition, since the storage device 173 may be easily mounted and detached, the storage device 173 may receive more various fundus images from the outside and provide the same to the display unit 160. Therefore, the trainer can train for more various cases.

한편, 조리개(131)들은 일 예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링(132)과, 복수의 조리개 날들(133)들과, 가이드 링(134), 및 회전 레버(135)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apertures 131 may be, for example, a base ring 132, a plurality of aperture blades 133, a guide ring 134, and a rotation lever 135, as illustrated in FIGS. 7 and 8.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each.

조리개 날(133)들은 베이스 링(132)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각각의 일단이 결합되고, 가이드 돌기(133a)가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가이드 돌기(133a)들은 가이드 링(134)의 가이드 홀(134a)들에 각각 끼워져 안내를 받도록 형성된다. 조리개 날(133)들은 휘어진 부채꼴 형상으로 각각 이루어지고, 타단들 사이에 형성되는 구멍(131a)이 확장 또는 축소될 때 서로 겹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Each of the aperture blades 133 is coupled to the base ring 132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guide protrusions 133a are formed. The guide protrusions 133a are formed to be guided by being fitted into the guide holes 134a of the guide ring 134, respectively. The aperture blades 133 may each have a curved fan shape, and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maintaining an overlapped state when the holes 131a formed between the other ends are expanded or contracted.

가이드 링(134)은 베이스 링(132)에 동축 상으로 배치된다. 가이드 링(134)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홀(134a)들이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홀(134a)들은 가이드 링(134)이 베이스 링(132)에 대해 정,역 회전할 때 조리개 날(133)들이 힌지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구멍(131a)의 크기가 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가이드 돌기(133a)들의 이동을 안내한다. The guide ring 134 is disposed coaxially with the base ring 132. The guide holes 134a are formed in the guide ring 134 in the same patter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guide holes 134a may be configured to expand or contract the size of the hole 131a as the aperture blades 133 rotate about the hinge engagement portion when the guide ring 134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ring 132. Guide the movement of the guide projections (133a).

회전 레버(135)는 가이드 링(134)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 링(134)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The rotation lever 135 is for rotating the guide ring 134 and protrudes radially from the guide ring 134.

그리고, 조리개 구동부(141)는 전술한 조리개(131)들을 각각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조리개 구동부(141)는 회전 모터(142)와, 링크 기구(143)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 모터(142)는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베이스 판넬(102) 상에 장착된다. 링크 기구(143)는 회전 모터(142)로부터 정,역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회전 레버(135)를 정,역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aperture driver 141 may be configured as a pair to drive the apertures 131 described above. Each aperture driver 141 may include a rotation motor 142 and a link mechanism 143. The rotary motor 142 is configured to be rotated forward and reverse and mounted on the base panel 102. The link mechanism 143 receives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force from the rotation motor 142 to rotate the rotation lever 135 forward and reverse.

링크 기구(143)는 좁은 공간에서 회전 모터(142)의 회전력을 회전 레버(135)로 전달할 수 있도록 1절 링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링크 기구(143)의 일단은 회전 모터(142)의 회전축에 결합된다. 그리고, 링크 기구(143)의 타단은 회전 레버(135)를 수용해서 정,역 방향으로 밀수 있도록 적어도 3단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ink mechanism 143 may be formed in a one-section link structure so as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motor 142 to the rotary lever 135 in a narrow space. In this case, one end of the link mechanism 143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rotary motor 142.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link mechanism 143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three steps are bent to accommodate the rotation lever 135 and to push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동공반사 및 안저검사 훈련용 시뮬레이터(100)에 대한 작용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example for the pupil reflection and fundus examination training simulator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훈련자가 동공반사검사를 훈련하기 위해 동공반사검사 모드를 설정하면, 제어부(170)는 광센서(151)들이 조리개(131)들의 후면에 밀착되어 위치하도록 광센서 이송부(156)를 제어한다. 그리고, 훈련자가 훈련하고자 하는 동공반사의 증례를 설정한 상태에서, 렌즈(120)의 전방에 빛을 비추면, 조리개(131)의 열린 구멍을 통해 빛이 들어가서 광량검출 모듈(150)에 의해 광량이 검출되며, 검출된 광량은 제어부(170)로 전송된다. When the trainer sets the pupil reflex test mode in order to train the pupil reflex test,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optical sensor transfer unit 156 such that the optical sensors 151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s of the apertures 131. Then, in the state in which the trainer sets the case of the pupil reflection, if the light shines in front of the lens 120, the light enters through the open hole of the aperture 131, the amount of light by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module 150 Is detected, and the detected amount of ligh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70.

그러면, 제어부(170)는 검출된 광량과 설정된 각 증례별로 설정된 값을 기초로 조리개(131)가 축소 또는 확대 또는 고정되도록 조리개 구동부(141)를 제어함으로써, 각 증례별로 실제 인체에 대한 동공반사를 모사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훈련자는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동공반사검사가 숙련될 때까지 연습할 수 있다. Then,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aperture driving unit 141 so that the aperture 131 is reduced or enlarged or fixed based on the detected amount of light and the value set for each case. I can simulate it. Thereafter, the trainer may practice until the pupil reflection test is skilled,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만일, 훈련자가 안저검사를 훈련하기 위해 안저검사 모드를 설정하면, 제어부는 광센서(151)들이 조리개(131)들의 후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벗어나도록 광센서 이송부를 제어한다. 이 상태에서, 훈련자는 조리개 스위치를 조작해서 조리개(131)의 구멍 크기를 확장시킨다. If the trainer sets the fundus examination mode to train the fundus examinatio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photosensor transfer unit such that the photosensors 151 deviate upward from the rear of the apertures 131. In this state, the trainer operates the aperture switch to expand the hole size of the aperture 131.

이후, 훈련자는 검안경을 이용하여 확장된 조리개(131) 구멍을 통해 빛을 들여보내어 조리개(131) 후방을 조명한다. 그리고, 훈련자는 이미지 선택 스위치를 조작해서 원하는 환자 상태에 해당하는 안저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60)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선택한다. Afterwards, the trainer injects light through the enlarged aperture 131 hole by using an ophthalmoscope to illuminate the back of the aperture 131. The trainer selects the fundus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patient state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by operating the image selection switch.

이때, 초점 맞추기 연습을 하고자 한다면, 훈련자는 초점 조절 스위치를 조작해서 실제 인체의 원시 또는 근시 상태로 설정한 후, 검안경 렌즈의 (+)디옵터와 (-)디옵터를 조정해서 초점을 맞춘 후, 안저 이미지를 보면서 증례를 진단 및 관찰할 수 있다. 한 차례의 훈련이 끝나면, 훈련자는 조리개 스위치를 조작해서 조리개(131)의 구멍 크기를 정상 크기로 축소시켜 둘 수 있다. 이후, 훈련자는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안저검사가 숙련될 때까지 연습할 수 있다. At this time, if you want to practice focusing, the trainer sets the actual human's hyperopia or myopia by operating the focus control switch, adjusts the (+) diopter and (-) diopter of the ophthalmoscope lens, and then focuses. The image can be diagnosed and observed while viewing the image. After one training, the trainer can operate the aperture switch to reduce the size of the aperture of the aperture 131 to the normal size. The trainer can then practice the procedure described above until the fundus examination is skilled.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Could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10..안면 마스크 120..렌즈
130..조리개 모듈 131..조리개
141..조리개 구동부 150..광량검출 모듈
151..광센서 156..광센서 이송부
160..디스플레이부 166..리니어 구동부
170..제어부 172..조작부
173..저장기기
110.Face Mask 120.Lens
130. Aperture module 131. Aperture
141. Aperture drive 150. Light intensity detection module
151. Optical sensor 156. Optical sensor feeder
160.Display unit 166.Linear drive unit
170. Control part 172 Control part
173..Storage Devices

Claims (5)

안면 마스크;
상기 안면 마스크의 양쪽 눈 영역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렌즈들;
상기 렌즈들의 각 후방에서 구멍 크기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렌즈들을 통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들과, 상기 조리개들의 각 구멍 크기를 조절하는 조리개 구동부를 구비한 조리개 모듈;
상기 조리개들의 각 후방에서 훈련을 위한 안저 이미지를 전송받아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동공반사검사 모드 설정시 상기 조리개들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조리개들을 통해 들어오는 빛의 양을 검출하며, 안저검사 모드 설정시 상기 조리개들의 후면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위치되는 광량검출 모듈; 및
동공반사검사 모드 또는 안저검사 모드 설정에 따라 상기 광량검출 모듈의 위치를 제어하고, 동공반사검사 모드 설정시 상기 광량검출 모듈에 의해 검출된 광량과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리개 구동부를 제어하며, 안저검사 모드 설정시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리개 구동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동공반사 및 안저검사 훈련용 시뮬레이터.
Facial masks;
A pair of lenses installed to correspond to both eye regions of the face mask;
An aperture module having apertures for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es as the hole size is adjusted at each rear of the lenses, and an aperture driver for adjusting the size of each hole of the apertures;
A display unit for receiving a fundus image for training from each rear of the apertures and outputting the image to a screen;
A light quantity detection module position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s of the apertures when the pupil reflection inspection mode is set, and to detect an amount of light entering through the apertures; And
The position of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module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upil reflection inspection mode or the fundus inspection mode setting, and when the pupil reflection inspection mode is set, the aperture driving uni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by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module and the oper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aperture driving unit and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n operation unit when setting an inspection mode;
Simulator for training pupillary and fundus examination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검출 모듈은:
상기 조리개들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개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광량을 검출하는 광센서들, 및
동공반사검사 모드 또는 안저검사 모드 설정에 따라 상기 광센서들을 상기 조리개들의 후면에 밀착시키는 위치 또는 상기 조리개들의 후면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위치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광센서 이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공반사 및 안저검사 훈련용 시뮬레이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module is:
Optical sensor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aperture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s of the apertures, respectively, for detecting an amount of light;
And an optical sensor transfer unit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o transfer the optical sensors to a posi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s of the apertures or a position away from the rear surfaces of the apertures according to a pupil reflection test mode or a fundus test mode setting. Simulator for training pupillary and fundus examin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리니어 구동부에 의해 상기 렌즈들에 대해 근접 또는 이격되며;
상기 제어부는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원시 또는 정시 또는 근시를 구현하도록 상기 리니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공반사 및 안저검사 훈련용 시뮬레이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portion is proximate or spaced apart from the lenses by a linear driving portion;
The control unit for the pupillary reflection and fundus inspection training,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linear drive unit to implement hyperopia, punctual or myopi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는:
베이스 링과, 상기 베이스 링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각각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조리개 날들과, 상기 베이스 링에 대해 정,역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들의 각 이동을 안내하여 상기 조리개 날들의 타단들 사이에 형성되는 구멍의 크기가 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하는 가이드 링, 및 상기 가이드 링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조리개 구동부는: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 모터로부터 정,역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 레버를 정,역 회전시키는 링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공반사 및 안저검사 훈련용 시뮬레이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aperture is:
A base ring, aperture blades hi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ase ring, and guide blades formed with guide protrusions, and guide each movement of the guide protrusions as the base ring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 guide ring for expanding or contracting the size of a hole formed between the other ends of the aperture blades, and a rotation lever for rotating the guide ring;
The aperture driving unit:
And a rotating mechanism and a link mechanism for rotating the rotary lever forward and reverse while receiv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force from the rotary m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훈련을 위한 안저 이미지가 다수 저장된 저장기기로부터 안저 이미지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공반사 및 안저검사 훈련용 시뮬레이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unit pupil reflection and fundus examination training simul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 fundus image from a storage device that stores a plurality of fundus images for training.
KR1020100014855A 2010-02-18 2010-02-18 Simulator for training of pupillary reflex and fundus examination KR1011332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855A KR101133255B1 (en) 2010-02-18 2010-02-18 Simulator for training of pupillary reflex and fundus examin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855A KR101133255B1 (en) 2010-02-18 2010-02-18 Simulator for training of pupillary reflex and fundus examin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053A true KR20110095053A (en) 2011-08-24
KR101133255B1 KR101133255B1 (en) 2012-04-09

Family

ID=4493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855A KR101133255B1 (en) 2010-02-18 2010-02-18 Simulator for training of pupillary reflex and fundus examin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25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37405A (en) * 2022-05-16 2022-08-23 苏州君信视达医疗科技有限公司 Teaching aid for fundus examination and laser treatment of ey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6124A (en) 1997-10-23 1999-09-21 Dan; Jacob Automated threshold-related objective perimetry
JPH11225964A (en) 1998-02-16 1999-08-24 Canon Inc Ophthalmology test device
JP3429274B2 (en) * 2000-12-26 2003-07-22 株式会社京都科学 Optometry model
JP2006065094A (en) * 2004-08-27 2006-03-09 Giyourin Cho Eye movement simulation system, robot for eye movement simulation, and eye movement simul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37405A (en) * 2022-05-16 2022-08-23 苏州君信视达医疗科技有限公司 Teaching aid for fundus examination and laser treatment of eyes
CN114937405B (en) * 2022-05-16 2024-05-17 苏州君信视达医疗科技有限公司 Teaching aid for fundus examination and laser treatment of ey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3255B1 (en) 201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8142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ophthalmic testing and measurement
JP6098061B2 (en) Fundus photographing device
EP2471442B1 (en) Ophthalmic device
JP6537843B2 (en) Optometry device, awareness measurement method using chart for optometry
JP7320662B2 (en) ophthalmic equipment
JP6277295B2 (en) Optometry equipment
WO2017217884A1 (en) Portable device for examining visual functions
JP2023138863A (en) Ophthalmologic apparatus
KR101133255B1 (en) Simulator for training of pupillary reflex and fundus examination
JP4494075B2 (en) Optometry equipment
KR20110095054A (en) Simulator for training of fundus examination
JP7265897B2 (en) ophthalmic equipment
WO2024029359A1 (en) Ophthalmological device
WO2024070829A1 (en) Ophthalmological device
JP7227811B2 (en) ophthalmic equipment
US20220369921A1 (en) Ophthalmologic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ame
JP2022002768A (en) Ophthalmologic apparatus
CN117119946A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objectively assessing ocular accommo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