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367A - 티비 시청거리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티비 시청거리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367A
KR20110094367A KR1020100013685A KR20100013685A KR20110094367A KR 20110094367 A KR20110094367 A KR 20110094367A KR 1020100013685 A KR1020100013685 A KR 1020100013685A KR 20100013685 A KR20100013685 A KR 20100013685A KR 20110094367 A KR20110094367 A KR 20110094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operation data
angle
screen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주
Original Assignee
임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주 filed Critical 임성주
Priority to KR1020100013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4367A/ko
Publication of KR20110094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3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V시청거리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TV시청거리 유지 장치는, 물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혹은 카메라, 또는 센서 및 카메라와 카메라에 인식된 사물이 사람인지 아닌지 구별하는 소프트웨어와 확인된 시청자가 일정시간 이상 거리 내에서 시청시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어부와, 전달받은 데이터를 통해 화면을 차단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시청자의 설정에 따라 TV의 화면과 소리를 자동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티비 시청거리 유지장치{A TV watching distance maintainer}
본 발명은 TV 시청거리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TV 시청거리에 대응하여 화면 혹은 소리가 차단 혹은 다시 재생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경고음과 화면이 나오거나, 전원이 꺼지고 켜지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영유아 및 유소년 기의 아이들이 티비에 가까이 다가가는 것을 자연스레 막아주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호기심이 많은 영유아기 아이들의 경우 소리와 화면이 나오는 TV를 보게 되면 바로 앞으로 가서 시청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부모들이 이를 제어하기 위해 계속 옆에 함께 있어야 하며, 유소년기의 아이들의 경우 또한 자신이 좋아하는 프로그램을 보면 가까이 전진하여 TV를 보려는 습성이 있어 시력 저하의 큰 원인이 되고 기타 전자파 등에 의한 2차적인 문제도 걱정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설정만 하면 사용할 수 있는 TV 시청거리 유지장치를 사용하여 영유아, 유소년기의 아이들의 TV 시청거리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기존의 기술의 경우는 단지 센서를 이용하여 가까이 다가갈 경우 경보음을 내거나, 리모콘 사용시의 전파 세기로 거리를 측정하는 등 다소 불편한 방법 및 원시적인 효과밖에 얻을 수 없었으나 이 기술은 예전에 비해 많이 발달된 센서와 소형 카메라를 통한 얼굴인식 기능을 통해 거리를 측정하며 카메라의 줌인/줌아웃 기능을 통해 카메라의 반경 안에 들어오는 범위를 시청제한 거리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또한 센서에 사람이 아닌 다른 물체가 있더라도 사람이 아닐 경우는 작동하지 않는 등 기존 기술에 비해 매우 진보적인 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TV를 시청하는 시청자의 거리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TV의 화면, 소리, 혹은 화면과 소리를 끄거나 켜고 혹은 사용자가 의도하는 경고음과 화면을 출력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TV시청거리 유지장치는 물체를 확인하고 물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혹은 카메라와, 상기 측정된 거리와 물체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달받은 데이터를 통해 TV의 화면과 소리, 전원을 조작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TV시청거리 유지장치의 제어방법은, 물체의 거리를 측정하고 물체가 사람인지 아닌지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 후 TV의 화면, 소리, 전원을 조절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TV 시청거리 유지장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맞추어 TV와 시청자와의 적정 시청거리를 유지시켜주고 근접 시 화면, 소리, 전원을 일시적으로 차단하여 적정 시청거리를 유지해주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 시청거리 유지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 시청거리 유지장치의 제어부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 시청거리 유지장치의 데이터 출력부를 도시한 블럭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 시청거리 유지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시청거리 유지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TV시청거리 유지장치는 거리 측정 센서(100)와, 제어부(105)와, 사용자 설정 저장부(110)와 출력부(115)를 포함한다.
거리 측정 센서(100)는 TV의 전원이 켜진 후, TV와 TV에 근접하는 물체의 거리 측정하여 제어부(105)로 전송한다.
시청자의 거리는 적외선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고, 카메라 렌즈를 통해 측정되는 물체의 거리 데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105)는 거리 측정 센서(100)로부터 전달받은 측정된 거리 데이터를 기초로,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설정을 사용자 설정 데이터 저장부(110)에서 선택하여, TV의 출력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출력부(115)는, 제어부(105)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설정에 따라 화면, 소리, 화면과 소리, 전원을 끄거나, 켤 수 있다. 사용자 설정 데이터 저장부(110)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청 거리, 각도, 시청 거리 내 진입 시간 등이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용자 설정 저장부(110)는 사용자가 시청 제한을 원하는 거리, 거리 내에 진입하여 시청하는 시간, 시청자의 시청 범위, 비밀번호 등을 설정하여 기억시켜 놓을 수 있으며, 프리셋으로 여러 개의 설정 저장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시청거리 유지장치의 제어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05)는 마이컴(140), 시청거리 설정모듈(145), 거리 내 시청시간 설정모듈(150), 사물 인식 설정모듈(155), 화면/소리 사전 설정모듈(160) 및 출력모드 선택모듈(165)을 포함한다.
마이컴(140)은 거리 측정 센서(100)로부터 측정된 시청 거리를 기초로 수신받아 설정 거리 내 시청시간, 거리 내 사물의 사람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에 따른 TV전원의 켬/끔에 대한 정보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내장형 TV 시청거리 유지장치의 출력 장치는 TV의 화면을 끄고 켜거나, 소리를 키우고 줄이거나 혹은 대기모드로 변환시키거나 외장형 TV 시청거리 유지장치의 경우 외장형 장치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TV를 켜고 끌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시청거리 유지장치 출력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출력부(115)는 적외선 센서(170), 출력장치(175)를 포함한다.
적외선 센서(170)는 장치가 외장형일 경우 거리 측정용 이외에도 리모콘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추가로 존재하며 TV의 전원을 켜고 끄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제어부(105) 내의 출력모드 선택모듈(165)에 의하여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TV의 자동 조작을 할 수 있다. 물론 내장형에도 TV에 송신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가 아닌 물체를 파악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는 존재한다.
출력장치(175)는 외장형 장치의 경우 제어부의 정보를 TV로 전달하기 위한TV연결선(180), 설정된 화면/소리 출력 장치(185) 및 액정 표시장치(190)를 포함한다.
출력장치(175)는 제어부(105)의 출력모드 선택모듈(165)에서 사용자가 선택하여 원하는 TV의 출력의 제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TV일체형(내장형) 장비의 경우 거리 측정하는 센서와 카메라 혹은센서 또는 카메라만 있으면 되지만 외장형의 경우 TV와 정보를 주고 받아야 하고 그것이 불가능한 경우엔 리모트 콘트롤러와 같은 기능으로 TV를 끄고 켜주는 기능을 해야 하기 때문에 외장형 장비의 경우 TV연결선(180)을 통해 전원을 공급 받을 수도 있고 정보를 전달하여 TV의 전원을 조정할 수 있으며, 혹은 외장형 기기에 부착된 적외선 센서를 통해 TV의 전원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시청거리 유지장치의 액정 표시 장치(190)을 통해, 출력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위의 장비는 또한 추가적인 옵션을 통해 동영상 및 음악, 사진 등의 재생 플레이어로도 사용 가능하다.
.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시청거리 유지장치의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TV시청거리 유지장치의 동작 중 거리 측정센서(100) 또는 카메라를 통해 거리 및 물체의 움직임 및 물체의 사람 여부를 측정한다(S200).
사용자는 원하는 시청거리와 시청거리 내 시청 한계시간을 선택하게 되고(S205), 측정된 정보에 상응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 선택한다(S210).
동작 방법은 전원 끔, 전원 대기(거리 내 물체가 사라지면 다시 켬), 화면 끔등이며 필요에 따라 동작 조건인 사물의 거리 및 거리 내 침범 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물체의 거리에 따라 TV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장치를 ON/OFF 하여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5: 제어부 110: 작동 데이터 저장부
140: 마이컴 145: 시청거리 설정모듈
150: 거리 내 시청시간 설정 모듈
155: 사물인식 설정모듈
160: 화면/소리 사전 설정모듈
165: 출력모드 선택모듈

Claims (20)

  1. 물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카메라 혹은 센서와 카메라
    상기 측정된 거리에 대응하는 작동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측정된 거리를 입력 받아 상기 저장장치로부터 상기 측정 거리에 대응되는 상기 작동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달받은 작동 데이터를 실행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내장형 혹은 외장형 TV 시청거리 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카메라 혹은 센서와 카메라는, 물체의 거리, 물체가 사람인가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청거리 유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데이터는, TV의 전원을 끄고 켜거나, 소리를 유지하거나 줄이고 키우거나, 화면을 끄고 켜거나, 경고음과 경고 화면을 출력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청거리 유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TV 시청거리 유지장치는 TV 내장형 혹은 외장형으로 카메라, 적외선 센서 혹은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청거리 유지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TV 전원 제어는 물체의 거리나 TV와의 각도에 따라 일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TV의 전원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청거리 유지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유지/켬/끔 및 화면 켬/끔은, 물체의 거리나 TV의 각도에 따라 TV의 전원을 유지한 채 시청거리 유지를 위해 화면과 소리 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청거리 유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데이터는, 물체의 거리, 사람/사물 여부, TV 와 물체의 각도 등에 따라 변경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청거리 유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거리와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물체의 거리 및 각도에 대해 단계별 대응을 설정하는 화면 작동 설정 모듈과, 상기 물체의 거리 및 각도에 대해 소리 조절을 설정하는 소리 크기 설정 모듈과, 상기 물체의 거리 및 각도에 의한 출력모드 선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청거리 유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물체의 거리와 각도가 사전 설정되어, 상기 사전 설정된 설정데이터를 선택하는 물체 거리 및 각도 사전 설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청거리 유지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면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청거리 유지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출력부는, TV와 연결을 통해 신호를 보내는 전송부와 적외선 센서를 통해 리모콘처럼 볼륨 혹은 전원을 제어하는 전파 송신기와 상기 작동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청거리 유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장치는, TV 시청거리 유지장치의 TV 연결선, 카메라, 적외선 센서, 및 설정 내용을 볼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청거리 유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장치는, TV 시청거리 유지장치의 TV 연결선, 카메라, 적외선 센서, 및 설정 내용을 볼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음향 디지털 출력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데이터는, 작동 시간, 소리, 화면 등을 자유롭게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청거리 유지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데이터 저장부는, 기 장착된 기본 로컬 디스크 및 탈착 가능한 이동식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청거리 유지장치.
  16. 물체의 거리와 각도 및 사람 여부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 단계 후, 물체에 따른 작동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작동 데이터를 내에서 상기 물체의 행동에 대응하는 작동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작동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청거리 유지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의 거리와 각도 및 사람여부에 대응하는 작동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와 각도 및 사람여부에 대응하는 화면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와 각도 및 사람여부에 대응하는 소리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청거리 유지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의 거리와 각도 및 사람여부에 대응하는 작동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화면 및 소리크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청거리 유지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작동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작동 데이터의 출력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청거리 유지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TV의 화면 출력, 소리 출력, 화면 및 소리 동시 제어 및 전원 켬/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청거리 유지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00013685A 2010-02-16 2010-02-16 티비 시청거리 유지장치 KR20110094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685A KR20110094367A (ko) 2010-02-16 2010-02-16 티비 시청거리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685A KR20110094367A (ko) 2010-02-16 2010-02-16 티비 시청거리 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367A true KR20110094367A (ko) 2011-08-24

Family

ID=44930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685A KR20110094367A (ko) 2010-02-16 2010-02-16 티비 시청거리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436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6381B2 (en) 2015-10-08 2018-07-17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and displaying image
WO2019022364A1 (ko) * 2017-07-25 2019-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와 원격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거리 산출 방법
US10394024B2 (en) 2016-05-27 2019-08-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20200026363A (ko) 2018-08-29 2020-03-11 한국성전(주) 컴퓨터 카메라를 이용한 사용자 자세나 거리 유지 기능을 가지는 컴퓨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자세나 거리 유지 방법
KR20200130576A (ko) 2019-05-10 2020-11-19 희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6381B2 (en) 2015-10-08 2018-07-17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and displaying image
US10394024B2 (en) 2016-05-27 2019-08-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WO2019022364A1 (ko) * 2017-07-25 2019-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와 원격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거리 산출 방법
US11216092B2 (en) 2017-07-25 2022-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remote control device, display system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calculating distance thereof
KR20200026363A (ko) 2018-08-29 2020-03-11 한국성전(주) 컴퓨터 카메라를 이용한 사용자 자세나 거리 유지 기능을 가지는 컴퓨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자세나 거리 유지 방법
KR20200130576A (ko) 2019-05-10 2020-11-19 희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32855A (ja) インテリジェント電気機器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装置
KR20110094367A (ko) 티비 시청거리 유지장치
TWI467958B (zh) 溝通頻率低於WiFi訊號頻率的遠端控制系統
US8427304B2 (en) Proximity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US20140354535A1 (en) System and method of display device
KR102055898B1 (ko)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12012798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arning information, and security monitoring system
CN102740091B (zh) 用于传统电视的三维控制器系统
US201202936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stereoscopic video stream
KR101425598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US9661288B2 (en) Projection display system, and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projector
RU195746U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просмотром телевизора
JP2008269373A (ja) 可搬型マイクロ波監視装置
US20160337743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ttenuation of an audio signal
KR20110041066A (ko) 시청거리에 따른 티브이 영상 크기 조절장치
KR102303781B1 (ko)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0941060B1 (ko) 가상의 ir/rf리모콘을 통해 학습된 rf리모콘을이용한 학습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방법
CN102104745A (zh) 一种电视机的视频控制电路
US20120019663A1 (en) Automatic control module for electronic apparatus
CN112291633A (zh) 一种智能家居设备屏幕亮度的控制方法及装置
CN210514997U (zh) 视力保护提醒盒
CN203084484U (zh) 一种多功能视距报警控制装置
KR20170097594A (ko) 스탑 워치 기능을 갖는 스탠드 조명 장치
CN103096005A (zh) 一种多功能视距报警控制装置
KR102020732B1 (ko) 특이사항 발생 시 따로 녹화하고 알려주는 감시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