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594A -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594A
KR20110093594A KR1020100131411A KR20100131411A KR20110093594A KR 20110093594 A KR20110093594 A KR 20110093594A KR 1020100131411 A KR1020100131411 A KR 1020100131411A KR 20100131411 A KR20100131411 A KR 20100131411A KR 20110093594 A KR20110093594 A KR 20110093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nnection pad
secondary battery
electrode tab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4918B1 (ko
Inventor
장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93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전극탭과 제 2 전극탭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회로기판, 상기 제 1 전극탭에 연결되는 제 1 연결패드 및 상기 제 2 전극탭과 연결되는 제 2 연결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결패드와 제 2 연결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로기판에 일정 깊이로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셀룰라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콤팩트하고 경량화된 전기/전자장치들이 활발하게 개발 및 생산되고 있으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들은 별도의 전원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작동될 수 있도록 전지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전지는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를 채용하고 있다. 상기 전지에는 대표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가 있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로서, 휴대용 전자 장비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3배나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이차 전지는 크게 전기 에너지를 충방전할 수 있는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의 충반전을 제어할 수 있는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전극 조립체와 보호회로모듈은 전극 탭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전극 조립체와 보호회로모듈을 전기적인 손실 없이 연결하기 위한 많은 연구 및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 조립체로부터 연장된 전극 탭과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는 연결 패드를 구비한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한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 1 전극탭과 제 2 전극탭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회로기판, 상기 제 1 전극탭에 연결되는 제 1 연결패드 및 상기 제 2 전극탭과 연결되는 제 2 연결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결패드와 제 2 연결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로기판에 일정 깊이로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연결패드와 제 2 연결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구리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는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제 1 전극을 제 2 전극과 절연시키며, 상기 제 1 전극탭은 제 1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전극탭은 제 2 전극에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탭은 상기 제 1 전극의 제 1 전극 집전체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의 제 1 전극 집전체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탭은 상기 제 2 전극의 제 2 전극 집전체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의 제 2 전극 집전체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패드는 상기 제 1 전극탭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패드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패드는 상기 제 2 전극탭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패드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일정 깊이는 0.2mm 이상이고, 회로기판의 두께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의 두께는 0.8mm일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패드와 제 2 연결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로기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패드와 제 2 연결패드 중 하나의 돌출된 부분의 높이는 0mm 초과 0.05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패드와 제 2 연결패드 중 하나의 두께는 0.2mm 이상 0.65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패드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연결패드는 구리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패드와 제 2 연결패드 중 다른 하나는 제 1 플레이트,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의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회로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을 따르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의하며, 전극 조립체로부터 연장된 전극 탭과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는 연결 패드를 구비한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한 이차전지를 제공하므로써 접촉 저항이 최소화된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분해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보호회로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분해한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보호회로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설명하면, 상기 이차전지(1000)는 전극 조립체(100), 외장 케이스(200) 및 보호회로모듈(3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100)는 제1전극(110), 제2전극(120), 세퍼레이터(130), 제1전극 탭(140) 및 상기 제2전극 탭(15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전극(110)은 제1집전체와 상기 제1집전체 상에 코팅된 제1활물질층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전극(120)은 제2집전체와 상기 제2집전체 상에 코팅된 제2활물질층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1전극(110)은 양극이고, 상기 제2전극(120)은 음극일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제1전극(110)이 음극이고, 상기 제2전극(120)이 양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전극(110)이 양극이고 상기 제2전극(120)이 음극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상기 제1전극(110)의 제1집전체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극(120)의 제2집전체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전극(110)의 제1활물질층은 칼코게나이드(chalcogenide) 화합물이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 LiCoO2, LiMn2O4, LiNiO2, LiNi1-xCoxO2(0<x<1), LiMnO2 등의 복합 금속 산화물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120)의 제2활물질층은 탄소(C) 계열 물질, Si, Sn, 틴 옥사이드, 틴 합금 복합체(composite tin alloys), 전이 금속 산화물, 리튬 금속 나이트라이드 또는 리튬 금속 산화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130)는 상기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을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퍼레이터(130)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100)는 상기 제1전극(110), 제2전극(120) 및 상기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 사이를 절연하는 세퍼레이터(130)가 대략 원형으로 권취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1전극 탭(140)은 상기 제1전극(110)으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전극 탭(140)은 상기 제1전극(110)의 제1집전체와 동일한 물질인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전극 탭(140)은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전극 탭(140)은 상기 제1전극(1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연장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전극(110)의 제1집전체 상에 부착된 형태로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전극 탭(140)은 그 일정 위치에 제1절연 부재(16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절연 부재(160)는 상기 외장 케이스(200)의 실링 시, 상기 제1전극 탭(14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전극 탭(150)은 상기 제2전극(120)으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전극 탭(150)은 상기 제2전극(120)의 제2집전체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전극 탭(150)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극 탭(150)은 이후 설명될 제2연결 패드(340)와 용접 특성이 우수한 물질로 이루질 수 있다.
상기 제2전극 탭(150)은 상기 제2전극(12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연장될 수도 있고, 상기 제2전극(120)의 제2집전체 상에 부착된 형태로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전극 탭(150)은 그 일정 위치에 제2절연 부재(17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절연 부재(170)는 상기 외장 케이스(200)의 실링 시, 상기 제2전극 탭(14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장 케이스(200)는 파우치형일 수 있다.
상기 외장 케이스(200)는 본체(210) 및 커버(2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210)는 상기 전극 조립체(100)가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부(212) 및 상기 수용부(212)의 입구로부터 연장되고 확장되어 형성된 밀봉부(2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버(220)는 상기 본체(210)의 밀봉부(214)의 어느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상기 커버(220)는 상기 본체(210)의 수용부(212)를 모두 덮으면서 상기 본체(210)의 밀봉부(214)와 밀봉됨으로 상기 본체(210)의 수용부(212)와 대응되는 수용부 덮개 영역(222) 및 상기 본체(210)에 대응되는 밀봉부(214)에 대응되는 밀봉부(224)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1000)는 상기 전극 조립체(100)가 상기 본체(210)의 수용부(212)에 수용되면, 상기 커버(220)를 덮은 후 밀착하고, 상기 본체(210)의 밀봉부(214)와 상기 커버(220)의 밀봉부(224)를 열융착과 같은 방법으로 밀봉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전극 탭(140) 및 제2전극 탭(150)은 상기 외장 케이스(200)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보호회로모듈(300)은 회로기판(310) 및 상기 회로기판(310)의 일측 표면 상에 구비된 소자들(320), 제1연결 패드(330) 및 제2연결 패드(3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보호회로모듈(300)은 상기 회로기판(310)의 타측 표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1000)를 외부 기기와 연결하는 외부 단자들(3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로기판(310)은 절연 기판이다. 상기 회로기판(310)은 배선(미도시)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배선들은 상기 회로기판(310)에 구비된 상기 소자들(320), 제1연결 패드(330), 제2연결 패드(340) 및 외부 단자들(3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소자들(320)은 상기 이차전지(1000)를 제어하는 IC 소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PTC 소자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이차전지(1000)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연결 패드(330)는 상기 제1전극 탭(140)와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 패드(330)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니켈 및 니켈 합금 중 어느 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연결 패드(330)는 상기 제1전극 탭(14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결 패드(330)는 제1플레이트(332) 및 제2플레이트(33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플레이트(332) 및 제2플레이트(334) 사이에는 절곡부(33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332)는 상기 회로기판(310)에 부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절곡부(336)는 상기 제2플레이트(334)를 절곡시켜 상기 제1플레이트(332)와 대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 패드(330)는 상기 제1연결 탭(140)의 끝단이 상기 제1플레이트(332) 상에 위치하면, 상기 제2플레이트(334)를 상기 절곡부(336)를 기준으로 절곡시켜, 상기 제1플레이트(332), 제1연결 탭(140)의 끝단 및 제2플레이트(334) 순으로 적층되도록 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332), 제1연결 탭(140)의 끝단 및 제2플레이트(334)를 동시에 체결하므로써 상기 제1연결 탭(140)과 체결되어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플레이트(332), 제1연결 탭(140)의 끝단 및 제2플레이트(334)의 체결은 저항 용접 등과 같은 용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연결 패드(340)는 상기 제2전극 탭(150)과 연결된다.
상기 제2연결 패드(340)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연결 패드(340)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진 구리 패드일 수 있다.
상기 제2연결 패드(340)는 상기 회로기판(310)에 매립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2연결 패드(340)는 최소 0.2mm의 매립 깊이(T1)로 매립된다. 상기 제2연결 패드(340)의 매립 깊이(T1)가 0.2mm 이상이 되어야 하는 이유는 상기 제2연결 패드(340)의 매립 깊이가 얇은 경우 상기 제2연결 패드(340)와 제2전극 탭(150)을 연결할 때 폭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2전극 탭(150)을 상기 제2연결 패드(340)에 SMT(surface mount technology)로 실장할 때 폭화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는 최소 매립 깊이(T1)가 0.2mm 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2연결 패드(340)는 최대 상기 회로기판(310)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T2) 보다는 작은 깊이(T1)로 매립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연결 패드(340)는 상기 회로기판(310)을 관통하여 상기 회로기판(310)의 타측 표면까지 노출되지 않도록 매립하여야 한다. 이는 상기 제2연결 패드(340)가 타측 표면에 노출되어 다른 소자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310)은 그 두께(T2)가 0.8mm일 수 있다. 물론 상기 회로기판(310)은 더 두꺼울 수도 있고 얇을 수도 있다.
상기 제2연결 패드(340)는 상기 회로기판(310)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일정 돌출 높이(H)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 패드(340)는 최대 0.05mm의 돌출 높이(H)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 패드(340)의 두께(T3)는 상기 제2연결 패드(340)의 매립 깊이(T1)의 최소 내지 상기 제2연결 패드(340)의 매립 깊이(T1)의 최대와 돌출 높이(H)의 최대의 합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연결 패드(340)의 두께(T3)는 0.2mm 내지 0.65mm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1000)는 상기 전극 조립체(100)로부터 연장된 제1전극 탭(140) 및 제2전극 탭(150)과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 패드(330) 및 제2연결 패드(340)를 구비한 보호회로모듈(300)을 구비하되, 상기 제1연결 패드(330)는 제1플레이트(332) 및 제2플레이트(334)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전극 탭(140)과 용이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연결 패드(340)는 상기 보호회모듈(300)의 회로기판(310)에 일정 깊이로 매립되며 또한 일정 높이로 돌출된 구리 패드로 구비되므로써 상기 제2전극 탭(150)과 용이하게 연결된다. 특히, 상기 제1연결 패드(330) 및 제2연결 패드(340)는 각각 상기 제1전극 탭(140) 및 제2전극 탭(15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용접 특성이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제1연결 패드(330) 및 제2연결 패드(340)과 상기 제1전극 탭(140) 및 제2전극 탭(150)은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1000)는 상기 연결 패드들과 전극 탭들 사이를 용이하게 체결하므로써 접촉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신뢰성 있는 체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들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0 : 이차전지 100 : 전극 조립체
110 : 제1전극 120 : 제2전극
130 : 세퍼레이터 140 : 제1전극 탭
150 : 제2전극 탭 200 : 외장 케이스
300 : 보호회로모듈 310 : 회로기판
320 : 소자들 330 : 제1연결 패드
340 : 제2연결 패드 350 : 외부 단자

Claims (18)

  1. 제 1 전극탭과 제 2 전극탭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회로기판;
    상기 제 1 전극탭에 연결되는 제 1 연결패드; 및
    상기 제 2 전극탭과 연결되는 제 2 연결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결패드와 제 2 연결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로기판에 일정 깊이로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패드와 제 2 연결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구리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제 1 전극을 제 2 전극과 절연시키며,
    상기 제 1 전극탭은 제 1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전극탭은 제 2 전극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탭은 상기 제 1 전극의 제 1 전극 집전체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의 제 1 전극 집전체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탭은 상기 제 2 전극의 제 2 전극 집전체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의 제 2 전극 집전체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패드는 상기 제 1 전극탭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연결패드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패드는 상기 제 2 전극탭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패드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깊이는 0.2mm 이상이고, 회로기판의 두께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회로기판의 두께는 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패드와 제 2 연결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로기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패드와 제 2 연결패드 중 하나의 돌출된 부분의 높이는 0mm 초과 0.0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패드와 제 2 연결패드 중 하나의 두께는 0.2mm 이상 0.6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패드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연결패드는 구리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패드와 제 2 연결패드 중 다른 하나는 제 1 플레이트,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의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회로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100131411A 2010-02-09 2010-12-21 이차전지 KR101274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0267710P 2010-02-09 2010-02-09
US61/302,677 2010-02-09
US12/958,243 2010-12-01
US12/958,243 US20110195281A1 (en) 2010-02-09 2010-12-01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594A true KR20110093594A (ko) 2011-08-18
KR101274918B1 KR101274918B1 (ko) 2013-06-14

Family

ID=4435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411A KR101274918B1 (ko) 2010-02-09 2010-12-21 이차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95281A1 (ko)
KR (1) KR1012749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7838A (ko) * 2012-08-01 2014-0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9240582B2 (en) 2012-09-13 2016-01-19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7380B2 (ja) * 1998-06-02 2004-02-16 日本碍子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EP1071147A1 (en) * 1999-07-19 2001-01-24 Toshiba Battery Co., Ltd. Battery pack
KR100322098B1 (ko) * 1999-11-18 2002-02-06 김순택 2차 전지
US20030227275A1 (en) * 2002-03-29 2003-12-11 Takashi Kishi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with AC/DC conversion circuit board
KR100889524B1 (ko) * 2002-10-02 2009-03-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KR100496305B1 (ko) * 2003-05-22 2005-06-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와 이의 제조 방법
KR100834693B1 (ko) * 2006-05-12 2008-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트리옥사실로칸을 포함하는 올레핀 중합용 촉매계 및 이를이용한 올레핀 중합방법
KR100760784B1 (ko) * 2006-07-04 2007-09-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보호회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전지 팩
WO2009066953A2 (en) * 2007-11-23 2009-05-28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pack providing excellent productivity and structural stability
KR20090096954A (ko) * 2008-03-10 2009-09-15 양해술 보호회로가 영구적으로 부착된 전지 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7838A (ko) * 2012-08-01 2014-0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9240582B2 (en) 2012-09-13 2016-01-19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95281A1 (en) 2011-08-11
KR101274918B1 (ko)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1174B1 (en) Secondary battery pack
KR100659856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EP2744017B1 (en) Secondary battery pack
US10601081B2 (en) Battery pack
JP4926534B2 (ja) 巻取型電極組立体及びこれを備えるリチウム二次電池
US8228033B2 (en) Protective circuit board having groove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US9905835B2 (en) Secondary battery pack
EP2725639A2 (en) Secondary battery pack
EP2058875B1 (en) Secondary battery with protection circuit module
EP2731172B1 (en) Secondary battery pack
JP4497372B2 (ja) パウチ形リチウム二次電池
US9786958B2 (en) Rechargeable battery with temperature-protecting element
US8546005B2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KR20150025974A (ko) 이차 전지
KR20130025165A (ko)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 팩
KR102283960B1 (ko) 베터리 팩
EP2337108B1 (en) Secondary battery
KR100635743B1 (ko) 이차 전지
KR101274918B1 (ko) 이차전지
KR100614401B1 (ko) 이차 전지
KR100995408B1 (ko) 전지 팩
KR101386168B1 (ko)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 팩
KR100659887B1 (ko)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CN210956743U (zh) 电池组
KR100502353B1 (ko)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