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608A - 3d영상 전용안경장치 및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3d영상 전용안경장치 및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2608A
KR20110092608A KR1020100012121A KR20100012121A KR20110092608A KR 20110092608 A KR20110092608 A KR 20110092608A KR 1020100012121 A KR1020100012121 A KR 1020100012121A KR 20100012121 A KR20100012121 A KR 20100012121A KR 20110092608 A KR20110092608 A KR 20110092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wireless signal
synchronization
signal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수
윤승균
김영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2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2608A/ko
Priority to PCT/KR2011/000164 priority patent/WO2011099696A2/ko
Publication of KR20110092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영상을 무선의 전용안경을 통해 제공/시청하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가격/크기 문제 및 무선신호 수신범위의 한계, 그리고 이로 인한 3D영상 제공 환경의 대형화 및 효율성의 제한을 개선할 수 있는 3D영상 전용안경장치 및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 이에 따른 3D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3D영상 전용안경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로부터 소정의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분석/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동기신호를 토대로 상기 3D영상을 주시하는 양안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3D영상 전용안경장치 및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THREE DIMENSIONS DEDICATED GLASSES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3D영상 전용안경장치 및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D영상을 무선의 전용안경을 통해 제공/시청하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가격/크기 문제 및 무선신호 수신범위의 한계, 그리고 이로 인한 3D영상 제공 환경의 대형화 및 효율성의 제한을 개선할 수 있는 3D영상 전용안경장치 및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과, 이에 따른 3D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평면적인 영상이 아닌 입체감 있는 3D(Three Dimensions) 영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3D영상으로 제작된 영화, 비디오컨텐츠 등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3D영상을 보다 깨끗하고 현실감 있게 제공/시청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3D 전용의 특수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3D 전용의 특수 안경은 두 가지가 있는데 편광안경 방식과 액정셔터 방식(Active Glass 방식)이다. 편광안경 방식은 왼쪽 렌즈 즉 좌안은 수평의 빛만 통과시키고 오른쪽 렌즈 즉 우안은 수직의 빛만 통과시켜서 입체로 본다. 이것은 3D영화를 상영하는 영사기가 수평의 빛과 수직의 빛을 각각 영사하기 때문이다. 또한, 액정셔터 방식(Active Glass 방식)은 액정으로 되어 있는 특수 안경에서 매우 짧은 시간에 좌/우 액정 즉 좌안/우안 각각을 번갈아 가면서 On/Off하면서 빛의 정보를 통과시켜준다.
헌데, 본 발명에서 고려하는 액정셔터 방식(Active Glass 방식)에서 기존에 사용하는 적외선 방식의 경우, 영사기 측의 적외선 송신장치 및 특수 안경 측의 적외선 수신장치의 가격, 크기, 무게, 배터리 사용량 등 하드웨어적인 면에서 단점이 매우 크다.
또한, 기존의 액정셔터 방식(Active Glass 방식)은, 적외선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적외선을 발생하는 적외선 송신장치의 수신 범위가 매우 한정적이고, 이로 인해 3D영상을 동시에 제공/시청할 수 있는 관객의 수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그리고, 기존의 액정셔터 방식(Active Glass 방식)은, 적외선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람 또는 기둥 등 장애물로 인하여 적외선을 제대로 수신하지 못하는 구간이 발생함에 따른 제공/시청 환경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로부터 소정의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분석/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동기신호를 토대로 상기 3D영상을 주시하는 양안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3D영상 전용안경장치 및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여, 3D영상을 무선의 전용안경을 통해 제공하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가격/크기 문제 및 무선신호 수신범위의 한계, 그리고 이로 인한 3D영상 제공 환경의 대형화 및 효율성의 제한을 개선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동기제어장치가 소정의 3D(Three Dimensions)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상기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면, 상기 동기제어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한 3D영상 전용안경장치가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상기 동기신호를 토대로 상기 3D영상을 주시하는 양안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3D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여, 3D영상을 무선의 전용안경을 통해 제공하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가격/크기 문제 및 무선신호 수신범위의 한계, 그리고 이로 인한 3D영상 제공 환경의 대형화 및 효율성의 제한을 개선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로부터 소정의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분석/처리하는 무선신호부; 및 상기 무선신호부에서 처리된 상기 동기신호를 토대로 상기 3D영상을 주시하는 양안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양안구동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신호부는, 상기 양방향 통신 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지원하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신호부는, 외부로부터 전원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전원제어명령을 포함하는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전원제어명령을 장치 내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전원제어부에서 상기 전원제어명령에 따라 장치 내부의 전원 공급을 온 또는 오프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 설정된 소정의 상태정보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하는 소정의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신호부에서 상기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를 외부의 해당 동기제어장치로 제공하도록 하는 상태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정보제공부는, 외부의 상기 동기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상수신여부 상태정보와, 상기 무선신호에 따른 동작을 정상적으로 처리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처리응답 상태정보와, 배터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배터리 상태정보와, 소정의 위급상황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위급상황 상태정보와, 유실/도난 여부를 나타내는 유실/도난 상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범용 메모리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신호부 및 상기 상태정보제공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범용 메모리카드에 내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3D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은, 동기제어장치가 소정의 3D(Three Dimensions)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제공장치로부터의 상기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기제어장치가 상기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제어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한 3D영상 전용안경장치가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상기 동기신호를 토대로 상기 3D영상을 주시하는 양안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로부터 소정의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분석/처리하는 무선신호 제어단계; 및 상기 처리된 동기신호를 토대로 상기 3D영상을 주시하는 양안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양안 구동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신호 제어단계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에 따른 근거리 무선신호를 지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로부터 전원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전원제어명령을 포함하는 무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원제어명령에 따라 장치 내부의 전원 공급을 온 또는 오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 설정된 소정의 상태정보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정보이벤트 발생 시 해당하는 소정의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를 외부의 해당 동기제어장치로 제공하는 상태정보 제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정보 제공단계는, 외부의 상기 동기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상수신여부 상태정보와, 상기 무선신호에 따른 동작을 정상적으로 처리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처리응답 상태정보와, 배터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배터리 상태정보와, 소정의 위급상황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위급상황 상태정보와, 유실/도난 여부를 나타내는 유실/도난 상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3D영상 전용안경장치 및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Zigbee 등의 양방향 통신 규격의 WPAN 기술을 적용하여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양안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동기제어장치와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자신의 상태를 보고함으로써, 동기제어장치에서 각 3D영상 전용안경장치에 대한 상태를 효과적으로 인지/관리하여 수신대상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3D영상 전용안경장치 및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Zigbee 등의 양방향 통신 규격의 WPAN 기술을 통해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확보/제공하는 3D영상의 동기제어장치와 연동하는 표준 규격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Display장치의 3D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 동기신호 송/수신 측의 하드웨어적인 가격/크기 문제를 개선하고, 무선신호의 수신 범위 한계 및 장애물로 인한 방해를 효과적으로 극복하며, 3D영상 제공 환경의 대형화 및 효율성의 제한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를 포함하는 3D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소정의 3D(Three Dimensions)영상을 제공하는 영상제공장치(100)로부터의 상기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동기제어장치(200)와,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상기 동기신호를 토대로 동작하는 수신대상(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수신대상(300)은,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상기 동기신호를 토대로 상기 3D영상을 주시하는 양안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본 발명의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제공장치(100)는, 입체영상 즉 3D영상을 제공한다. 이때, 영상제공장치(100)는, 3D영상을 재생하여 스크린(1)에 영사하는 영화관의 영사기, 3D영상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 일반 PC, 3D영상을 표시하는 TV장치와 같이 직접 3D영상을 표시하는 Display장치일 수도 있고, 3D영상의 컨텐츠를 해당하는 장치(예 : 동기제어장치(200))로 제공하는 영상컨텐츠서버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영상제공장치(100)가 3D영상을 스크린(1)에 영사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영상제공장치(100)는, 3D영상을 제공함에 있어서 해당 3D영상에 대응하여 보유한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동기제어장치(200)로 제공한다. 이때, 영상제공장치(100)는, 시분할 동기(Sync)방식에 의해, 3D영상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좌안과 우안의 화면을 동기제어장치(200)로 제공하는 상기 동기신호를 토대로 번갈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영상제공장치(100)가 3D영상의 컨텐츠를 해당하는 장치(예 : 동기제어장치(200))로 제공하는 영상컨텐츠서버인 경우, 영상제공장치(100)는 3D영상의 컨텐츠 즉 시분할 동기(Sync)방식에 의해 동기신호를 토대로 좌안과 우안의 화면을 번갈아 표시하는 3D영상의 컨텐츠를 해당하는 장치(예 : 동기제어장치(200))로 제공함으로써, 해당 장치(예 : 동기제어장치(200))에서 3D영상을 재생하도록 할 것이다.
동기제어장치(200)는, 영상제공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를 외부로 송출한다. 이에, 동기제어장치(200)에서 지원하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에 따른 수신 범위 내의 수신대상(예 : 적어도 하나의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은,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것이다.
이때, 동기제어장치(200)는,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다수의 무선채널(예 : 16개) 중 타 장치(예 : 타 동기제어장치)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아니한 사용 가능의 무선채널을 인지하고, 상기 인지된 무선채널 중 최적의 무선채널을 할당하여, 상기 할당한 무선채널을 통해 상기 생성한 무선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동기제어장치(200)는, 동기제어장치(200)의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되는 거리정보 또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대상(예 : 적어도 하나의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과의 거리를 직접 측정한 결과에 따른 거리정보를 토대로, 생성한 무선신호의 송출 전력레벨을 조정하여 외부로 송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동기제어장치(200)는, 동기제어장치(200) 자신의 전원이 온(Power-On) 또는 오프(Power-Off)되는 경우, 무선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대상 즉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전원제어명령을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송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는, 영상제공장치(100)에 의해 출력되는 3D영상을 관람/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3D 전용의 특수 안경이다. 이러한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는,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무선신호에 포함된 동기신호를 토대로 3D영상을 주시하는 양안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로부터 소정의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분석/처리하는 무선신호부(320)와, 무선신호부(320)에서 처리된 상기 동기신호를 토대로 상기 3D영상을 주시하는 양안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양안구동부(310)와, 안테나부(350), 전원제어부(3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테나부(350)는 동기제어장치(200)의 안테나부(미도시)에 대응될 것이다.
무선신호부(320)는 안테나부(350)를 통해 외부 특히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로부터 소정의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분석/처리한다.
이때, 무선신호부(320)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생성/지원하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무선신호부(320)는, Zigbee모듈과 Bluetooth모듈과 UWB(Ultra Wide Band)모듈 등 다양한 종류의 WPAN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듈을 채택할 수 있다.
즉, 무선신호부(320)는, 안테나(350)를 통해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의 근거리 무선신호(예 : Zigbee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근거리 무선신호(예 : Zigbee 무선신호)를 자신이 채택한 WPAN모듈(예 : Zigbee모듈)에 따라 분석하여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추출하고 동기신호를 양안구동부(310)에서 인식 가능한 신호 형태로 처리할 것이다.
더 나아가, 무선신호부(320)는, 외부로부터 전원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전원제어명령을 포함하는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전원제어명령을 장치 내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360)로 전달하여 전원제어부(360)에서 상기 전원제어명령에 따라 장치 내부의 전원 공급을 온 또는 오프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무선신호부(320)는, 외부 특히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예 : Zigbee 무선신호)를 자신이 채택한 WPAN모듈(예 : Zigbee모듈)에 따라 분석하여 전원제어명령이 존재하는 경우, 즉 전원제어명령을 포함하는 무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전원제어명령을 전원제어부(360)에서 인식 가능한 신호 형태로 처리하여 전원제어부(360)로 제공한다.
이에, 전원제어부(360)는, 현재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무선신호부(320)로부터 전원 온을 명령하는 전원제어명령이 제공되면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 내부의 전원 공급을 온(ON) 하여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구동을 개시하고, 현재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무선신호부(320)로부터 전원 오프를 명령하는 전원제어명령이 제공되면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 내부의 전원 공급을 오프(OFF) 하여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는, Zigbee 등의 WPAN 기술을 적용하여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제공하는 제공대상(예 :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 동기신호를 제공받기에 앞서,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의 전원 온/오프 제어명령에 따라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 자신의 전원을 온/오프 함으로써,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양안구동부(310)는, 무선신호부(320)에서 처리된 동기신호를 토대로, 스크린(1)에 영사되는 3D영상을 주시하는 양안 즉 좌안 및 우안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즉, 양안구동부(310)는, 무선신호부(320)로부터의 동기신호를 토대로, 양안 각각의 Glass 컨트롤 소자에 적기적인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양안 각각을 번갈아 온/오프 시킬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는, Zigbee 등의 WPAN 기술을 적용하여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양안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는, 상태정보제공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태정보제공부(330)는, 기 설정된 소정의 상태정보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하는 소정의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무선신호부(320)에서 상기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를 외부의 해당 동기제어장치(200)로 제공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태정보제공부(330)는, 기 설정된 소정의 상태정보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태정보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는,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 무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의 무선신호에 따른 동작을 처리한 경우, 또는 배터리(미도시)의 잔여량이 소정 경계치 이하인 경우, 또는 사용자에 의한 위급상황 조작이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유실/도난 조작이 입력되거나 또는 기 정의된 유실/도난 발생이 인지되는 경우 등으로 기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상태정보제공부(330)는, 상태정보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하는 소정의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무선신호부(320)에서 상기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예 : Zigbee 무선신호)를 외부의 해당 동기제어장치(200)로 제공하도록 한다.
즉, 상태정보제공부(330)는,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 무선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상수신여부 상태정보와, 상기 무선신호에 따른 동작을 정상적으로 처리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처리응답 상태정보와, 배터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배터리 상태정보와, 소정의 위급상황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위급상황 상태정보와, 유실/도난 여부를 나타내는 유실/도난 상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정보제공부(330)는,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 무선신호(예 : Zigbee 무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상수신여부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의 무선신호(예 : Zigbee 무선신호 채널 교체 명령, 전원제어명령)에 따른 동작을 처리한 경우 이에 따른 동작을 정상적으로 처리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처리응답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배터리(미도시)의 잔여량이 소정 경계치 이하인 경우 배터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에 의한 위급상황 조작이 입력되는 경우 위급상황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위급상황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에 의한 유실/도난 조작이 입력되거나 또는 기 정의된 유실/도난 발생이 인지되는 경우 유실/도난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유실/도난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태정보제공부(330)는, 이처럼 생성된 상태정보를 무선신호부(320)로 제공하고, 이에 무선신호부(320)는 자신이 채택한 WPAN모듈(예 : Zigbee모듈)에 따라 상기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신호(예 : Zigbee 무선신호)를 생성하여 안테나부(350)를 통해 외부의 해당 동기제어장치(200)로 제공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는, Zigbee 등의 양방향 통신 규격의 WPAN 기술을 적용하여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양안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동기제어장치(200)와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자신의 상태를 보고함으로써, 동기제어장치(200)에서 각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에 대한 상태를 효과적으로 인지/관리하여 수신대상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무선신호부(320) 및 상태정보제공부(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범용 메모리카드(340)에 내장되는 형태로 제작되고, 범용 메모리카드(340)가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에 탑재됨에 따라 무선신호부(320) 및 상태정보제공부(330)가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에 구비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무선신호부(320) 및 상태정보제공부(330)는 SD 메모리카드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범용 메모리카드(340)에 내장된 형태로 제작되고, 무선신호부(320) 및 상태정보제공부(330)를 내장하는 탈착 가능한 범용 메모리카드(340)가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에 장착됨으로써, 범용 메모리카드(340)의 무선신호부(320) 및 상태정보제공부(330)가 양안구동부(310) 및 안테나부(350)와의 연동을 통해 전술한 동작들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물론, 안테나부(350) 역시 범용 메모리카드(340)에 내장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는, Zigbee 등의 양방향 통신 규격의 WPAN 기술을 적용하여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양안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동기제어장치(200)와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자신의 상태를 보고함으로써, 동기제어장치(200)에서 각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에 대한 상태를 효과적으로 인지/관리하여 수신대상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에 의하면, Zigbee 등의 양방향 통신 규격의 WPAN 기술을 통해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3D영상의 동기제어장치와 연동하는 표준 규격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Display장치의 3D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 동기신호 송/수신 측의 하드웨어적인 가격/크기 문제를 개선하고, 무선신호의 수신 범위 한계 및 장애물로 인한 방해를 효과적으로 극복하며, 3D영상 제공 환경의 대형화 및 효율성의 제한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영상제공장치(100)는, 3D영상을 재생하여 스크린(1)에 영사하는 영화관의 영사기, 3D영상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 일반 PC, 3D영상을 표시하는 TV장치와 같이 직접 3D영상을 표시하는 Display장치일 수도 있고, 3D영상의 컨텐츠를 해당하는 장치(예 : 동기제어장치(200))로 제공하는 영상컨텐츠서버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영상제공장치(100)가 3D영상을 스크린(1)에 영사하는 실시예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영상제공장치(100)는, 3D영상을 출력함에 있어서 해당 3D영상에 대응하여 보유한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동기제어장치(200)로 제공한다(S20). 이때, 영상제공장치(100)는, 시분할 동기(Sync)방식에 의해, 3D영상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좌안과 우안의 화면을 동기제어장치(200)로 제공하는 상기 동기신호를 토대로 번갈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기제어장치(200)는, 영상제공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수신하고,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를 생성하여(S30) 외부로 송출한다(S40). 이에, 동기제어장치(200)에서 지원하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에 따른 수신 범위 내의 수신대상(예 : 적어도 하나의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a,300b...))은,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것이다.
각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a,300b...)는,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에 포함된 동기신호를 토대로 3D영상을 주시하는 즉 스크린(1)을 주시하는 양안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S50,S60).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제어 방법은, 외부로부터 특히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고(S200), 수신한 무선신호로부터 소정의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분석/처리한다(S210).
즉,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제어 방법은,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의 양방향 통신 규격의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에 따른 근거리 무선신호(예 : Zigbee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근거리 무선신호(예 : Zigbee 무선신호)를 자신이 채택한 WPAN모듈(예 : Zigbee모듈)에 따라 분석하여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추출하고 동기신호를 양안구동부(310)에서 인식 가능한 신호 형태로 처리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제어 방법은, S200단계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를 자신이 채택한 WPAN모듈(예 : Zigbee모듈)에 따라 분석하여 전원제어명령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03), 전원제어명령인 경우 즉 전원제어명령을 포함하는 무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전원제어명령에 따라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 내부의 전원 공급을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전원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206).
즉,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제어 방법은, 현재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전원 온을 명령하는 전원제어명령이 수신된 경우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 내부의 전원 공급을 온(ON) 하여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구동을 개시하고, 현재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전원 오프를 명령하는 전원제어명령이 수신된 경우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 내부의 전원 공급을 오프(OFF) 하여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이에,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 내부의 전원 공급을 오프(OFF)하는 경우인지 여부에 따라(S209), 오프된 경우라면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제어 방법은, 구동 정지에 따라 종료될 것이고, 오프된 경우가 아니라면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제어 방법은,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것이다(S200).
한편, S203단계의 판단 결과 전원제어명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제어 방법은, 수신한 근거리 무선신호(예 : Zigbee 무선신호)에서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추출하고 동기신호를 양안구동부(310)에서 인식 가능한 신호 형태로 처리할 것이다(S21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제어 방법은, S210단계에서 처리된 동기신호를 토대로, 스크린(1)에 영사되는 3D영상을 주시하는 양안 즉 좌안 및 우안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S220). 즉,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제어 방법은, S210단계에서 처리된 동기신호를 토대로, 양안 각각의 Glass 컨트롤 소자에 적기적인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양안 각각을 번갈아 온/오프 시킬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제어 방법은, Zigbee 등의 WPAN 기술을 적용하여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양안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제어 방법은, 기 설정된 소정의 상태정보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여기서, 상태정보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는,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 무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의 무선신호에 따른 동작을 처리한 경우, 또는 배터리(미도시)의 잔여량이 소정 경계치 이하인 경우, 또는 사용자에 의한 위급상황 조작이 입력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에 의한 유실/도난 조작이 입력되거나 또는 기 정의된 유실/도난 발생이 인지되는 경우 등으로 기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제어 방법은, 상태정보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하는 소정의 상태정보를 생성하고(S240), 상기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예 : Zigbee 무선신호)를 외부의 해당 동기제어장치(200)로 송출한다(S250).
즉,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제어 방법은,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 무선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상수신여부 상태정보와, 상기 무선신호에 따른 동작을 정상적으로 처리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처리응답 상태정보와, 배터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배터리 상태정보와, 소정의 위급상황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위급상황 상태정보와, 유실/도난 여부를 나타내는 유실/도난 상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제어 방법은,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 무선신호(예 : Zigbee 무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상수신여부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동기제어장치(200)로부터의 무선신호(예 : Zigbee 무선신호 채널 교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처리한 경우 이에 따른 동작을 정상적으로 처리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처리응답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배터리(미도시)의 잔여량이 소정 경계치 이하인 경우 배터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에 의한 위급상황 조작이 입력되는 경우 위급상황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위급상황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에 의한 유실/도난 조작이 입력되거나 또는 기 정의된 유실/도난 발생이 인지되는 경우 유실/도난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유실/도난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제어 방법은, 자신이 채택한 WPAN모듈(예 : Zigbee모듈)에 따라, S240단계에서 생성한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신호(예 : Zigbee 무선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함으로써, 외부의 해당 동기제어장치(200)로 제공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제어 방법은, Zigbee 등의 양방향 통신 규격의 WPAN 기술을 적용하여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양안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동기제어장치(200)와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자신의 상태를 보고함으로써, 동기제어장치(200)에서 각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에 대한 상태를 효과적으로 인지/관리하여 수신대상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Zigbee 등의 양방향 통신 규격의 WPAN 기술을 통해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확보/제공하는 3D영상의 동기제어장치와 연동하는 표준 규격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Display장치의 3D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 동기신호 송/수신 측의 하드웨어적인 가격/크기 문제를 개선하고, 무선신호의 수신 범위 한계 및 장애물로 인한 방해를 효과적으로 극복하며, 3D영상 제공 환경의 대형화 및 효율성의 제한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 전용안경장치(300)는 영화관의 영사기, 일반 PC, 컴퓨터, 일반 TV장치 및 일반 휴대폰 등 모든 Display장치(본 발명의 영상장치(100)에 대응됨)로부터의 동기신호를 확보/제공하는 동기제어장치(200)와 연동하는 표준 규격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Display장치의 3D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Zigbee 등의 양방향 통신 규격의 WPAN 기술을 동기제어장치 및 3D영상 전용안경장치에 적용함으로써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3D영상 전용안경장치로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동기제어장치와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3D영상 전용안경장치 자신의 상태를 동기제어장치에서 효과적으로 인지/관리하도록 하는 3D영상 전용안경장치 및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을 적용할 경우, 3D영상 제공 환경의 품질 및 대형화 및 효율성 측면, 비용 측면, 사용자 만족도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3D영상 전용안경장치 및 동기제어장치 및 서비스 솔루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다.
1 : 스크린 100 : 영상장치
200 : 동기제어장치 300 : 3D영상 전용안경장치

Claims (12)

  1.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로부터 소정의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분석/처리하는 무선신호부; 및
    상기 무선신호부에서 처리된 상기 동기신호를 토대로 상기 3D영상을 주시하는 양안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양안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영상 전용안경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부는,
    상기 양방향 통신 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지원하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영상 전용안경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부는,
    외부로부터 전원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전원제어명령을 포함하는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전원제어명령을 장치 내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전원제어부에서 상기 전원제어명령에 따라 장치 내부의 전원 공급을 온 또는 오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영상 전용안경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소정의 상태정보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하는 소정의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신호부에서 상기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를 외부의 해당 동기제어장치로 제공하도록 하는 상태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영상 전용안경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제공부는,
    외부의 상기 동기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상수신여부 상태정보와, 상기 무선신호에 따른 동작을 정상적으로 처리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처리응답 상태정보와, 배터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배터리 상태정보와, 소정의 위급상황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위급상황 상태정보와, 유실/도난 여부를 나타내는 유실/도난 상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영상 전용안경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범용 메모리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신호부 및 상기 상태정보제공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범용 메모리카드에 내장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영상 전용안경장치.
  7. 동기제어장치가 소정의 3D(Three Dimensions)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제공장치로부터의 상기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기제어장치가 상기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제어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한 3D영상 전용안경장치가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상기 동기신호를 토대로 상기 3D영상을 주시하는 양안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
  8.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로부터 소정의 3D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분석/처리하는 무선신호 제어단계; 및
    상기 처리된 동기신호를 토대로 상기 3D영상을 주시하는 양안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양안 구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 제어단계는,
    양방향 통신 규격의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에 따른 근거리 무선신호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원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전원제어명령을 포함하는 무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원제어명령에 따라 장치 내부의 전원 공급을 온 또는 오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소정의 상태정보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정보이벤트 발생 시 해당하는 소정의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양방향 통신 규격의 무선신호를 외부의 해당 동기제어장치로 제공하는 상태정보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 제공단계는,
    외부의 상기 동기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상수신여부 상태정보와, 상기 무선신호에 따른 동작을 정상적으로 처리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처리응답 상태정보와, 배터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배터리 상태정보와, 소정의 위급상황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위급상황 상태정보와, 유실/도난 여부를 나타내는 유실/도난 상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00012121A 2010-02-09 2010-02-09 3d영상 전용안경장치 및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 KR20110092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121A KR20110092608A (ko) 2010-02-09 2010-02-09 3d영상 전용안경장치 및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
PCT/KR2011/000164 WO2011099696A2 (ko) 2010-02-09 2011-01-11 3d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121A KR20110092608A (ko) 2010-02-09 2010-02-09 3d영상 전용안경장치 및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608A true KR20110092608A (ko) 2011-08-18

Family

ID=44929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121A KR20110092608A (ko) 2010-02-09 2010-02-09 3d영상 전용안경장치 및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26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8533B1 (en) Shutter glasses capable of changing polarization direction thereof,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and transmitter
US8836759B2 (en) Display apparatus, 3D glass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085183A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730964A2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46336A (ko) 디스플레이장치의 멀티뷰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과,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60084451A (ko) 영상 표시 시스템, 영상 표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영상 송신 장치 및 영상 수신 표시 장치 사이의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영상 송신 장치, 및 영상 수신 표시 장치
CN104380174A (zh) 立体视频观察设备和透射率控制方法
EP2595396A2 (en) Glasses and method for pairing thereof
US20130169764A1 (en) Led stereoscopic display, display method thereof and signal receiver
US20120169778A1 (en) 3d glasses with adjusting device for allowing user to adjust degrees of crosstalk and brightness and related 3d display system thereof
US9225974B2 (en) Multi-view device of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JP6002377B2 (ja) ディスプレー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シャッターメガネ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30065611A (ko) 디스패리티 설정 방법 및 대응하는 디바이스
JP2013516883A (ja) 立体視ビデオストリームの表示を制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88808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5007753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2949518U (zh) 一种3d快门眼镜、显示装置及系统
KR20110092608A (ko) 3d영상 전용안경장치 및 3d영상 전용안경장치의 제어 방법
CN103475844A (zh) 支持多节目模式的电视、液晶眼镜、电视系统及控制方法
US20130106927A1 (en) Multi-view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US2017019370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KR20130139543A (ko) 멀티뷰 디바이스,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
JP2013168693A (ja) 液晶シャッタ眼鏡の駆動装置
KR101510298B1 (ko) 동기제어장치 및 동기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KR20130088663A (ko) 디스플레이 장치, 안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