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554A - 터치 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2554A
KR20110092554A KR1020100012034A KR20100012034A KR20110092554A KR 20110092554 A KR20110092554 A KR 20110092554A KR 1020100012034 A KR1020100012034 A KR 1020100012034A KR 20100012034 A KR20100012034 A KR 20100012034A KR 20110092554 A KR20110092554 A KR 20110092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oving
distance
poin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8570B1 (ko
Inventor
이제형
홍선기
김두일
박대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2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570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터치스크린상의 제1 지점을 접촉하는 제1 입력을 감지하고, 그 터치스크린상의 제2 지점을 접촉하는 제2 입력을 감지하고, 그 터치스크린상에서 제1 입력 및 제2 입력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방향에 따라 이동되면, 그 입력들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들을 감지한 후, 그 입력들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들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operation of device having touch screen}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스크린의 비용절감 및 터치스크린 사용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향상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멀티터치(multi touch) 기술의 사용도 늘어나고 있다. 상기 멀티터치 기술이란 두 개 이상의 터치를 동시에 인식하는 기술로서, 두 손가락을 이용한 멀티터치 기술은 종래 한손가락에 의한 단순한 터치 기술보다 스크롤(scroll), 줌인(zoom in), 줌아웃(zoom out), 패닝(panning) 등 더 많은 기능을 구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상의 제1 지점을 접촉하는 제1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상의 제2 지점을 접촉하는 제2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상에서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방향에 따라 이동되면, 상기 입력들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들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들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의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 및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의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의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방향 및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의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방향과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방향이 모두 제1 방향이거나 모두 제2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 및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 중에서 상대적으로 더 긴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확대하여 출력하거나 축소하여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방향이 제1 방향이고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가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보다 길 때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확대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가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보다 짧을 때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방향과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방향이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입력과 상기 제2 입력 중에서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 각각으로부터 더 긴 거리를 이동한 입력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상기 제1 입력은 이동되고 상기 제2 입력은 이동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방향이 제1 방향인지 또는 제2 방향인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거리이고,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는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거리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들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들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 또는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가 임계치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입력이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입력이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이 모두 감지되면,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줌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을 제외한 상기 터치스크린을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이 더 감지되면, 상기 줌 모드는 해제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상의 제1 지점을 접촉하는 제1 입력 및 제2 지점을 접촉하는 제2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방향에 따라 이동되면, 상기 입력들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들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입력들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 각각의 위치를 저장하는 위치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상의 제1 지점을 접촉하는 제1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상의 제2 지점을 접촉하는 제2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상에서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방향에 따라 이동되면, 상기 입력들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들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들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을 이용한 제1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을 이용한 제2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을 이용한 제3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을 이용한 제4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을 이용한 제5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110에서는, 터치스크린상의 제1 지점을 접촉(touching)하는 제1 입력을 감지한다.
단계 120에서는, 터치스크린상의 제2 지점을 접촉하는 제2 입력을 감지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입력과 제2 입력이 터치스크린상에 동시에 감지될 필요는 없다. 즉, 제1 입력과 제2 입력 사이에 긴 시간 간격이 있더라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현하는 데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터치스크린상에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이 모두 감지되면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줌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단계 130에서는, 터치스크린상에서 제1 입력 및 제2 입력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방향에 따라 이동되면, 그 입력들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들을 감지한다.
예컨대, 터치스크린 상에서 제1 입력이 제1 지점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2 입력이 제2 지점으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입력의 이동 방향은 위쪽 방향이 되고, 제2 입력의 이동 방향은 아래쪽 방향이 된다. 또한, 제1 입력의 이동 거리는 제1 지점을 기준으로 감지되고, 제2 입력의 이동 거리는 제2 지점을 기준으로 감지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그 이동 거리는 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되거나, 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 거리를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측정하는 경우에는, 제1 입력이 제1 지점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1cm 떨어지고, 위쪽 방향으로 0.5cm 떨어진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도 제1 입력의 이동 거리는 제1 지점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떨어진 거리인 0.5cm로 측정될 것이다. 다만, 이동 거리를 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할 경우에는 상기 예에서 제1 입력의 이동 거리는 1cm로 측정될 것이다.
한편, 터치스크린 상에서 제1 입력이 이동될 때 제2 입력이 이동되지 않을 수도 있고, 제1 입력이 이동되지 않을 때 제2 입력이 이동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이 실제로 모두 이동된 경우라도, 제1 입력의 이동 거리 또는 제2 입력의 이동 거리가 임계치 이하인지를 판단한 후, 그 이동 거리가 임계치 이하인 입력은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입력이 위쪽으로 0.05cm 이동한 경우에 임계치가 0.1cm라면 제1 입력은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될 것이다. 이와 같이 임계치를 이용하여 입력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게 되면,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미끄러뜨리는 때와 같이 사용자의 잘못된 접촉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오동작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단계 140에서는, 그 입력들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들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터치스크린상에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이 모두 감지됨에 따라 디바이스가 줌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따라 디바이스에서 현재 출력중인 컨텐트가 소정의 비율로 확대되어 출력되거나 또는 축소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을 제외하고 그 터치스크린을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이 더 감지되면, 줌 모드가 해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줌 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이 터치스크린 상에서 이동하더라도 디바이스의 동작이 그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의 이동에 의하여 제어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컨텐트의 확대 및 축소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의 다양한 동작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터치스크린에 대한 멀티 터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동작을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해준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의 응용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을 이용한 제1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210)의 터치스크린(220)의 제1 지점(222)과 제2 지점(224)을 2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접촉한 후, 그 2개의 손가락을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220)에 접촉된 2개의 손가락을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면, 휴대용 디바이스(210)가 그 2개의 손가락이 제1 지점(222)과 제2 지점(224)으로부터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여 현재 출력하고 있는 컨텐트를 확대하여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220)에 접촉된 2개의 손가락을 아랫쪽 방향으로 이동하면, 휴대용 디바이스(210)가 그 2개의 손가락이 제1 지점(222)과 제2 지점(224)으로부터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여 현재 출력하고 있는 컨텐트를 축소하여 출력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220)에 접촉된 2개의 손가락을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면 휴대용 디바이스(210)가 현재 출력하고 있는 컨텐트를 축소하여 출력하고, 그 2개의 손가락을 아랫쪽 방향으로 이동하면 휴대용 디바이스(210)가 현재 출력하고 있는 컨텐트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220)에 접촉된 2개의 손가락을 위쪽 방향 또는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210)가 현재 출력하고 있는 컨텐트를 확대하여 출력하거나 축소하여 출력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220)에 접촉된 2개의 손가락을 왼쪽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210)가 현재 출력하고 있는 컨텐트를 확대하여 출력하거나 축소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한쪽 손의 2개의 손가락을 휴대용 디바이스(210)의 터치스크린(220)에 접촉하기 때문에, 2개의 손가락에 의한 제1 입력과 제2 입력이 모두 동일한 이동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두 개의 손에서 각각 하나씩의 손가락을 터치스크린(220)의 제1 지점(222)과 제2 지점(224)에 접촉하게 되면, 그 2개의 손가락에 의한 제1 입력과 제2 입력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을 이용한 제2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두 개의 손에서 각각 하나씩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휴대용 디바이스(310)의 터치스크린(320)의 제1 지점(322)과 제2 지점(324)을 접촉한 후, 그 2개의 손가락을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는, 제1 지점(322)으로부터의 제1 입력의 이동 거리는 제2 지점으로부터(324)의 제2 입력의 이동 거리보다 짧은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2 입력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휴대용 디바이스(310)가 현재 출력하고 있는 컨텐트를 확대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때, 컨텐트가 확대되어 출력되는 이유는 제2 입력의 이동 방향이 위쪽 방향이기 때문이다. 즉,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제1 입력과 제2 입력 중에서 더 긴 이동 거리를 가지는 제2 입력의 이동 방향과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휴대용 디바이스(310)의 동작이 제어된다.
도 3에서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이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또는 아래쪽방향으로 이동하는지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310)의 동작이 제어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이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는지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310)의 동작이 제어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을 이용한 제3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두 개의 손에서 각각 하나씩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휴대용 디바이스(410)의 터치스크린(420)의 제1 지점(422)과 제2 지점(424)을 접촉한 후, 제1 지점(422)에 접촉한 손가락은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제2 지점(424)에 접촉한 손가락은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제1 지점(422)으로부터의 제1 입력의 이동 거리가 제2 지점(424)으로부터의 제2 입력의 이동 거리보다 긴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1 입력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휴대용 디바이스(410)가 현재 출력하고 있는 컨텐트를 축소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때, 컨텐트가 축소되어 출력되는 이유는 제1 입력의 이동 방향이 아랫쪽 방향이기 때문이다. 즉, 도 4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제1 입력과 제2 입력 중에서 더 긴 이동 거리를 가지는 제1 입력의 이동 방향과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휴대용 디바이스(410)의 동작이 제어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제1 입력이 제2 입력보다 더 긴 이동 거리를 가지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제2 입력이 더 이동되어 제1 입력보다 긴 이동 거리를 가지게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2 입력이 제1 입력보다 짧은 이동 거리를 가질때까지는 휴대용 디바이스(410)가 제1 입력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현재 출력하고 있는 컨텐트를 축소하여 출력하다가, 제2 입력이 제1 입력보다 긴 이동 거리를 가지게 되면 휴대용 디바이스(410)가 제2 입력의 이동 거리에 대응되는 비율로 현재 출력하고 있는 컨텐트를 갑자기 확대하여 출력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 중에서 소정의 임계 시간 이내에 더 긴 이동 거리만큼 이동한 입력에 의해서만 휴대용 디바이스(410)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서 임계 시간 내에 제1 지점(422)으로부터의 제1 입력이 제2 지점(424)으로부터의 제2 입력보다 더 긴 이동 거리를 이동하게 된다면, 임계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2 입력이 제1 입력보다 더 긴 이동 거리를 이동하게 되었다고 하더라도, 휴대용 디바이스(410)는 제1 입력에 의해서만 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이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또는 아래쪽방향으로 이동하는지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410)의 동작이 제어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이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는지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410)의 동작이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 중에서 하나만 이동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을 이용한 제4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두 개의 손에서 각각 하나씩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휴대용 디바이스(510)의 터치스크린(520)의 제1 지점(522)과 제2 지점(524)을 접촉한 후, 제1 지점(522)에 접촉한 손가락은 이동하지 않고, 제2 지점(524)에 접촉한 손가락은 위쪽 방향 또는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휴대용 디바이스(510)가 제2 입력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현재 출력하고 있는 컨텐트를 확대하여 출력하거나 축소하여 출력하게 된다. 즉, 제2 지점(524)으로부터의 제2 입력이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면 휴대용 디바이스(510)가 현재 출력하고 있는 컨텐트를 확대하여 출력하고, 제2 지점(524)으로부터의 제2 입력이 아랫쪽 방향으로 이동하면 휴대용 디바이스(510)가 현재 출력하고 있는 컨텐트를 축소하여 출력하게 된다.
종래 기술들 중에는 제1 입력과 제2 입력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휴대용 디바이스(510)가 현재 출력하고 있는 컨텐트를 확대해서 출력하거나 확대해서 출력하는 종래 기술이 존재하는데, 그 종래 기술에 따르면 도 5의 실시예에서 제2 지점(524)으로부터의 제2 입력이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입력과 제2 입력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어 휴대용 디바이스가(510)가 컨텐트를 축소하여 출력하게 되고, 제2 입력이 아랫쪽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입력과 제2 입력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휴대용 디바이스가(510)가 컨텐트를 확대하여 출력하게 된다.
하지만,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1 입력과 제2 입력간의 거리는 휴대용 디바이스(510)의 동작을 제어할 때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단지 제2 입력이 제2 지점(524)으로부터 이동한 방향이 위쪽 방향인지 또는 아래쪽 방향인지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510)의 동작이 제어되므로, 제1 입력과 제2 입력간의 거리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510)가 수행하는 동작은 종래 기술과는 반대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1 입력과 제2 입력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가 각각 제1 지점(522) 및 제2 지점(524)을 기준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제1 지점(522) 및 제2 지점(524)의 위치가 중요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최초에 터치스크린(520)을 접촉하였을 때 그 터치스크린(520)상에서 접촉되는 제1 지점(522) 및 제2 지점(524)의 위치를 저장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을 이용한 제5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610에서는, 터치스크린상의 제1 지점을 접촉하는 제1 입력 및 제2 지점을 접촉하는 제2 입력을 감지한다.
단계 620에서는, 터치스크린상에서 Y축 방향의 제1 지점의 좌표와 제2 지점의 좌표를 저장한다.
예컨대, 디바이스의 최하단 지점의 좌표를 0으로 정하고, 제1 지점이 그 최하단 지점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0.1cm 멀어질 때마다 제1 지점의 좌표를 1씩 증가시켜 제1 지점의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지점이 최하단 지점으로부터 위쪽으로 1cm 떨어진 지점이라면 그 제1 지점의 좌표는 +10으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630에서는, 제1 입력이 제1 이동 지점으로 이동되고 제2 입력이 제2 이동 지점으로 이동되면, 제1 지점의 좌표와 제1 이동 지점의 좌표간의 차이값인 제1 좌표 차이값과 제2 지점의 좌표와 제2 이동 지점의 좌표간의 차이값인 제2 좌표 차이값을 계산한다.
예컨대, 제1 지점의 좌표가 +10이고, 제1 이동 지점의 좌표가 +20인 경우 제1 좌표 차이값은 +10이 되고, 제2 지점의 좌표가 +5이고, 제2 이동 지점의 좌표가 0인 경우 제2 좌표 차이값은 -5가 된다.
단계 640에서는, 제1 좌표 차이값과 제2 좌표 차이값 중에서 절대값이 더 큰 값을 선택한다.
예컨대, 전술한 예에서와 같이 제1 좌표 차이값이 +10이고 제2 좌표 차이값이 -5인 경우에는 제1 좌표 차이값의 절대값이 더 크므로, 제1 좌표 차이값이 선택될 것이다.
단계 650에서는, 그 선택된 값의 부호와 크기에 기초하여 디바이스가 현재 출력하고 있는 컨텐트를 확대해서 출력하거나 축소해서 출력한다.
예컨대, 전술한 예에서와 같이 선택된 제1 좌표 차이값이 +10인 경우에는 제1 좌표 차이값이 "+" 부호를 가지므로 디바이스가 현재 출력하고 있는 컨텐트를 확대하여 출력 할 수 있고, 제1 좌표 차이값이 "10"의 크기를 가지므로 그 컨텐트를 확대할 때 10에 대응되는 비율로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만일, 제1 좌표 차이값이 "-"부호를 가지는 경우에는 디바이스는 현재 출력하고 있는 컨텐트를 축소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 제어 장치는 감지부(710) 및 제어부(720)를 포함한다.
감지부(710)는 터치스크린상의 제1 지점을 접촉하는 제1 입력 및 제2 지점을 접촉하는 제2 입력을 감지하고, 그 제1 입력 및 제2 입력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방향에 따라 이동되면 그 입력들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들을 감지한다.
이때, 감지부(720)는 제1 입력의 이동 거리 또는 제2 입력의 이동 거리가 임계치 이하인지를 판단한 후, 제1 입력의 이동 거리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그 제1 입력이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고, 제2 입력의 이동 거리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그 제2 입력이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720)는 입력들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들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 제어 장치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이 모두 감지되면,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줌 모드로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을 제외하고 터치스크린을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이 감지부(720)에 의하여 더 감지되면, 모드 설정부는 줌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상의 제1 지점을 접촉하는 제1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상의 제2 지점을 접촉하는 제2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상에서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방향에 따라 이동되면, 상기 입력들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들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들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의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 및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의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의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방향 및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의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방향과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방향이 모두 제1 방향이거나 모두 제2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 및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 중에서 상대적으로 더 긴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확대하여 출력하거나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방향이 제1 방향이고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가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보다 길 때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확대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가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보다 짧을 때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방향과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방향이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입력과 상기 제2 입력 중에서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 각각으로부터 더 긴 거리를 이동한 입력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상기 제1 입력은 이동되고 상기 제2 입력은 이동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방향이 제1 방향인지 또는 제2 방향인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거리이고,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는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들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들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 또는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가 임계치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입력이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입력이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이 모두 감지되면,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줌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을 제외한 상기 터치스크린을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이 더 감지되면, 상기 줌 모드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 방법.
  10.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상의 제1 지점을 접촉하는 제1 입력 및 제2 지점을 접촉하는 제2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방향에 따라 이동되면, 상기 입력들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들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입력들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의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 및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의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의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방향 및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의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방향과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방향이 모두 제1 방향이거나 모두 제2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 및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 중에서 상대적으로 더 긴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확대하여 출력하거나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방향이 제1 방향이고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가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보다 길 때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확대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가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보다 짧을 때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방향과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방향이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입력과 상기 제2 입력 중에서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 각각으로부터 더 긴 거리를 이동한 입력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상기 제1 입력은 이동되고 상기 제2 입력은 이동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방향이 제1 방향인지 또는 제2 방향인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거리이고,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는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 또는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가 임계치 이하인지를 판단한 후, 상기 제1 입력의 이동 거리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입력이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입력이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이 모두 감지되면,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줌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을 제외한 상기 터치스크린을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이 더 감지되면, 상기 모드 설정부는 상기 줌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 장치.
  19.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
    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00012034A 2010-02-09 2010-02-09 터치 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678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034A KR101678570B1 (ko) 2010-02-09 2010-02-09 터치 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034A KR101678570B1 (ko) 2010-02-09 2010-02-09 터치 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554A true KR20110092554A (ko) 2011-08-18
KR101678570B1 KR101678570B1 (ko) 2016-11-22

Family

ID=4492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034A KR101678570B1 (ko) 2010-02-09 2010-02-09 터치 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5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398A1 (ko) * 2015-11-02 2017-05-11 염의준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 입력 방법, 모바일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206A (ko) * 2007-03-15 200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출력 제어장치 및 입출력 제어방법과 그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90089707A (ko) * 2008-02-19 2009-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206A (ko) * 2007-03-15 200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출력 제어장치 및 입출력 제어방법과 그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90089707A (ko) * 2008-02-19 2009-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398A1 (ko) * 2015-11-02 2017-05-11 염의준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 입력 방법, 모바일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416880B2 (en) 2015-11-02 2019-09-17 Xogames Inc. Touch input method for mobile device, mobile device, and computer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570B1 (ko)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567B1 (ko) 단말기에서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
US95075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697100B2 (ja) インタラクティブ電子ホワイトボードに基づくタッチ操作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83053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formation scrolling on touch-screen
CN108334264B (zh) 在便携式终端中用于提供多点触摸交互的方法和设备
EP2652580B1 (en) Using movement of a computing device to enhance interpretation of input events produced when interacting with the computing device
TWI514248B (zh) 防止誤觸發邊緣滑動手勢之方法及手勢觸發方法
JP6113490B2 (ja) 携帯端末機のタッチ入力方法及び装置
US20130227464A1 (en) Screen change method of touch screen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JP588780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123879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端末装置
KR101504310B1 (ko)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인터페이싱 방법
TW201019179A (en) Touch panel and quick scrolling method thereof
KR102161061B1 (ko) 복수의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20140055880A (ko) 가상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78570B1 (ko) 터치 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656753B1 (ko) 터치에 기초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085340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ipulating scale or rotation of graphic on display
JP577793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WO2014010543A1 (ja) 情報処理装置、入力受付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041595A1 (ja)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