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9707A -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9707A
KR20090089707A KR1020080015019A KR20080015019A KR20090089707A KR 20090089707 A KR20090089707 A KR 20090089707A KR 1020080015019 A KR1020080015019 A KR 1020080015019A KR 20080015019 A KR20080015019 A KR 20080015019A KR 20090089707 A KR20090089707 A KR 20090089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zoom
input position
state
scree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0363B1 (ko
Inventor
황태환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5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363B1/ko
Publication of KR20090089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Zoom In/Out) 방법에 있어서, 초기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에 첫 번째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여 터치 스크린의 입력 신호의 위치인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미리 설정된 줌 영역(Zoom Region)에 해당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에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를 저장하고 준비 상태로 변경하는 과정과, 준비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이동할 경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저장된 기준 위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문턱값보다 크면, 기준 위치에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를 저장하여 기준 위치를 갱신하고, 줌 상태로 변경하는 과정과, 줌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이동할 경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갱신된 기준 위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2문턱값보다 작으면,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기준 위치 간의 거리에 미리 설정된 일정비(Ratio R)를 곱한 만큼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멀티 터치(Multi-Touch), 줌(Zoom), 단말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ZOOM IN/OUT USING TOUCH-SCREEN}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싱글 입력 방식을 사용하는 터치 스크린에서 간단한 입력을 통하여 화면을 확대 및 축소(Zoom in/out)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Screen)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스타일러스(Stylus)와 같은 입력 수단이 닿으면, 입력 수단이 접촉된(touch)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 자료를 받을 수 있게 한 입출력장치이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은 정보의 입력과 표시를 하나의 스크린에서 수행하는 입력 장치 겸 표시 장치이다. 터치 스크린은 마우스와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입력 장치로서 점점 그 사용영역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터치 스크린을 휴대용 단말의 표시장치에 이용하면 기존의 키패드를 없앨 수 있으므로 표시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점점 소형화되고 경량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시계 타입 또는 목걸이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들과 같은 작은 크기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키패드를 구비하는 대신에 터치 스크린에 쿼티(QWERTY) 자판이나 키패드 모양을 그대로 출력한다. 따라서 전술한 경우 터치 스크린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를 대신하는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기존의 화면의 확대/축소를 위한 터치스크린 입력 방법에는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어 있다.
먼저 표시 화면에 별도의 확대/축소 슬라이더를 배치하여 화면의 일정 영역에 배치된 슬라이더를 이용하여 확대/축소 슬라이더를 움직인 만큼 확대/축소를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화면에 배치된 슬라이더만큼 화면의 크기가 줄어드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한된 화면을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에서는 큰 단점이 된다.
또한, 키 패드와 터치 스크린의 입력을 조합하여 확대/축소를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의 예로서는 국내 기 출원된 특허 10-2003-28518호(출원번호: 10-2003-0028518, 출원일: 2003년 5월 6일, 출원인: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명자: 명대운, 황정환, 명칭: '휴대용 개인 단말기의 화면 확대 방법')를 들 수 있다. 상기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기존의 휴대용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키 패드와 터치 스크린의 입력을 조합하여 확대/축소를 수행하는 방법은, 미리 설정된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에 특정 영역을 입력하면 입력된 특정 영역을 설정된 비율만큼 확대/축소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확대/축소되는 연속적인 과정을 인지할 수 없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크기를 찾기 힘들다. 또한 최소한의 키패드만을 사용하거나 아예 키패드가 존재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만을 이용하여 입력을 수행하는 최근 추세의 휴대용 단말에서는 구현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애플(APPLE)'사의 '아이폰(iPhone)'에서 사용되는 방식과 같이 멀티 입력 방식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멀티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입력된 두 지점 간의 거리 변화만큼 화면의 확대/축소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멀티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다중 입력 방식의 터치 패널을 이용해야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싱글 입력 방식의 터치 스크린보다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싱글 입력 방식의 터치 스크린에서 간단한 동작을 통해 화면의 확대/축소(Zoom In/Out)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Zoom In/Out) 방법에 있어서, 초기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첫 번째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입력 신호의 위치인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미리 설정된 줌 영역(Zoom Region)에 해당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에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를 저장하고 준비 상태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준비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이동할 경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상기 저장된 기준 위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문턱값보다 크면, 상기 기준 위치에 상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를 저장하여 상기 기준 위치를 갱신하고, 줌 상태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줌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이동할 경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갱신된 상기 기준 위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2문턱값보다 작으면,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 간의 거리에 미리 설정된 일정비(Ratio R)를 곱한 만큼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Zoom In/Out) 장치에 있어서, 출력 화면을 표시하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의 확대/축소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화면 확대/축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입력 위치의 좌표를 추출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움직임 감지부와, 화면 확대/축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모든 구성 요소를 제어하며, 초기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첫 번째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입력 신호의 위치인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미리 설정된 줌 영역(Zoom Region)에 해당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에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를 저장하고 준비 상태로 변경하며, 상기 준비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이동할 경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상기 저장된 기준 위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문턱값보다 크면, 상기 기준 위치에 상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를 저장하여 상기 기준 위치를 갱신하고, 줌 상태로 변경하며, 상기 줌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이동할 경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갱신된 상기 기준 위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2문턱값보다 작으면,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 간의 거리에 미리 설정된 일정비(Ratio R)를 곱한 만큼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싱글 입력 방식의 터치 스크린에서 간단한 동작을 통해 화면의 확대/축소(Zoom In/Out)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별도의 메뉴나 아이콘을 사용하지 않고 최소한의 입력으로 빠른 화면의 확대/축소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존의 멀티 입력 터치 스크린 방식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확대/축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장치 및 동작 방법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싱글 입력 방식의 터치 스크린에서 간단한 동작을 통해 화면의 확대/축소(Zoom In/Out)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요지로 한다. 특히 싱글 입력 방식의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에서 포토(Photo)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와 같이 제한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시, 간단한 동작을 통해 화면의 확대/축소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의 동작을 사용자 측면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초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내의 화면 확대/축소를 위해 설정된 특정 영역(본 발명에서는 우측 상단 모서리)을 손가락(또는 스타일러스)으로 터치한 상태로 유지하면 화면의 확대/축소를 위한 준비 상태가 되며, 첫 번째 사용자 입력을 유지한 채로, 다른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의 중앙 부근에 두 번째 사용자 입력을 하여 유지하면 줌 상태가 된다. 이때 입력된 두 번째 손가락을 움직이면 첫 번째 사용자 입력과 두 번째 사용자 입력 간의 거리에 따라, 두 지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확대를 수행하고 두 지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축소를 수행하여 화면의 확대 축소 동작이 수행된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입력 방식은 고가의 멀티 입력 방식의 터치 스크린에서 사용되는 화면 확대/축소를 위한 입력 방식과 유사한 입력 제스쳐(Gesture)를 사용하여 화면 확대/축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동작은 크게 마우스 다운(Event Mouse Down)과 마우스 무브(Event Mouse Move)와 마우스 업(Event Mouse Up)으로 구분할 수 있다.
마우스 다운은 터치 스크린 상의 한 점이 눌렸을 때 발생하며, 눌린 점의 입력 위치 좌표가 추출된다.
마우스 무브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한 점이 눌린 상태로 입력 위치가 이동할 때 발생한다. 이 경우에도 현재 눌린 점의 위치 좌표가 추출된다. 마우스 무브가 발생하려면 먼저 마우스 다운이 발생해야 한다.
마우스 업은 터치 스크린 상의 눌린 한 점이 떨어질 때 발생한다. 마우스 업이 발생할 때는 다른 위치의 눌린 점이 없어야 한다. 다른 위치에 눌린 점이 존 재하는 경우에는 마우스 업이 발생 되지 않고 눌려있는 다른 위치로 마우스 무브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마우스 업이 발생한 경우에도 떨어진 점의 좌표가 추출되며, 마우스 업이 발생하려면 먼저 마우스 다운이 발생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장치는 제어부(220)와 메모리부(230)와 움직임 감지부(240)와 표시부(2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에 따른 화면 확대/축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한 부분만 설명하기로 하며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표시부(210)는 출력 화면을 표시하며 싱글 입력 방식의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다. 또한 제어부(2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의 확대/축소를 표시한다.
상기 메모리부(230)는 화면 확대/축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필요한 프로그램과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마우스 다운이나 마우스 업, 마우스 무브가 발생할 경우 추출되는 위치 좌표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메모리부(230)는 확대/축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 위치와 문턱 값 등을 저장한다.
상기 움직임 감지부(240)는 터치 스크린으로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의 좌표를 추출하여 제어부로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싱글 입력 방식의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에 의해 두 개의 지점이 동시에 눌려지면 두 개의 지점의 중간 지점을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로 판단하여 중간 지점의 위치 좌표를 추 출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화면 확대/축소 장치의 모든 구성들을 제어하며, 움직임 감지부(240)를 통해 추출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에 기초하여 화면 확대/축소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움직임 감지부(240)로부터 전달받은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확대/축소 장치가 '초기 상태', '준비 상태', '줌 상태'의 세 가지 상태로 상태 변환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20)의 상세한 동작은 하기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동작시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동작은 터치 스크린의 입력 위치에 따라 제어부에서 아래와 같은 세 가지의 상태를 설정한다.
먼저 확대/축소가 가능한 사진이나 화면이 표시부에 표시되는 경우 화면의 확대/축소를 위한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초기 상태(Start State)'와, 첫 번째 사용자 입력에 의해 줌 영역이 터치 되어 화면의 확대/축소를 위한 준비 상태를 나타내는 '준비 상태(Ready State)'와, 두 번째 사용자 입력 지점이 이동되면 그에 따라 화면의 확대/축소 동작을 수행하는 '줌 상태(Zoom State)'로 설정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확대/축소 동작시 각 상태 변화를 살펴보면, 먼저 포토 어플리케이션(Appication)이나 웹브라우저와 같은 프로그램 실행시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한 사진이나 웹브라우저 화면 등이 표시 부에 표시되는 경우 초기 상태가 된다.
상기 초기 상태에서 마우스 다운이나 마우스 무브가 발생하여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미리 설정된 영역인 터치 스크린의 우측 상단 모서리의 줌 영역(Zoom Region)에 해당 되면 준비상태로 변경된다(a). 이때 상기 줌 영역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를 기준 위치로 저장한다. 상기 기준 위치는 메모리부(230)에 저장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의 위치 좌표를 저장한다. 상기 줌 영역은 초기 상태에서 준비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터치 스크린의 우측 상단 모서리로 설정하였으나 좌측 하단 또는 우측 하단 등 다른 특정 위치로 설정할 수 있으며, 반투명의 아이콘 등으로 사용자에게 인지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초기 상태에서 준비 상태로 변경되면, 터치 스크린 상에서는 줌 영역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같은 입력 장치로 눌려져 있는 상태이다. 상기 준비 상태에서 마우스 업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마우스 무브가 발생하여 마우스 무브의 입력 좌표와 저장된 기준 위치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가 D1(제1문턱값) 미만이며 입력 좌표가 줌 영역에 해당 되지 않으면 다시 초기 상태로 변경한다(c). 상기 마우스 무브의 입력 좌표와 저장된 기준 위치 간의 거리가 D1 미만이지만 입력 좌표가 줌 영역에 해당 되면 준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D1은 준비 상태에서 줌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기준이 되는 거리로서 두 번째 손가락이 눌려졌는지 판단하기 위한 제1문턱값으로 사용되며, 터치 스크린의 반응 속도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한다.
또한 준비 상태에서 마우스 무브 이벤트가 발생하여, 마우스 무브의 입력 좌표와 상기 저장된 기준 위치 간의 거리가 D1 이상이면 줌 상태로 변경한다(b). 이때 줌 상태로 변경하게 되면 기준 위치를 현재 터치 스크린의 입력 위치 즉, 마우스 무브의 입력 위치로 갱신한다. 상기 갱신되는 위치는 사용자가 두 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된 두 지점의 중간 위치 좌표가 된다.
준비 상태에서 줌 상태로 변경되면, 터치 스크린 상에는 상기 줌 영역을 누르고 있는 첫 번째 손가락은 계속 유지한 상태로, 두 번째 손가락이 눌러진 상태가 된다. 상기 줌 상태에서 마우스 업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마우스 무브가 발생하여 마우스 무브의 입력 좌표가 줌 영역에 해당하면 초기 상태로 변경한다(d). 이는 전자는 두 손가락이 모두 떨어진 것을 나타내고, 후자는 첫 번째 손가락은 유지되고 있지만 두 번째 손가락이 떨어진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줌 상태에서 마우스 무브가 발생하여 상기 마우스 무브의 입력 좌표와 저장된 기준 위치 간의 거리가 D2(제2문턱값) 보다 작으면, 상기 마우스 무브의 입력 좌표와 저장된 기준 위치 간의 거리에 미리 설정된 일정 비율(Ratio R)을 곱하여 그 결과만큼 화면을 확대/축소한다. 이 경우 새로운 마우스 무브의 입력 좌표를 기준 위치에 저장하고 줌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측정한 거리가 D2 보다 크면 줌 영역의 입력을 해제한 것으로 판단하여 초기 상태로 변경한다(d). 상기 D2는 줌 상태에서 초기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기준이 되는 거리로서 첫 번째 손가락과 두 번째 손가락이 모두 눌려져 있는 상태에서 첫 번째 손가락이 떨어졌는지 판단하기 위한 제2문턱값으로 사용되며, 터치 스크린의 반응 속도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동작이 시작되어 초기 상태에서 마우스 다운이 발생한 경우 310단계에서 마우스 다운에 의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줌 영역에 해당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줌 영역에 해당 되지 않으면 계속 초기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310단계에서 판단 결과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줌 영역에 해당 되면 32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를 기준 위치로 설정하여 저장하고 준비 상태로 변경한다. 다음 330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스크린에 마우스 무브가 발생하는 경우 마우스 무브에 의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상기 320단계에서 저장된 기준 위치 사이의 거리가 제1문턱값(D1) 이상인지 판단한다. 상기 330단계에서 판단결과 마우스 무브에 의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기준 위치 사이의 거리가 D1 이상이 아니면 340단계로 진행하여 마우스 무브에 의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줌 영역에 해당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340단계의 판단 결과 마우스 무브에 의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줌 영역에 해당 되면, 두 번째 입력이 발생하지 않고 첫 번째 입력된 손가락이 줌 영역 내에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여 330단계로 진행하고 준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340단계에서 판단결과 마우스 무브에 의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줌 영역에 해당 되지 않으면, 두 번째 입력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첫 번째 입력된 손가락이 줌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여 310단계로 진행하고, 다시 초기 상태가 된다.
상기 330단계에서 판단 결과 마우스 무브에 의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기준 위치 사이의 거리가 D1 이상이면, 두 번째 입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350단계로 진행하여 기준 위치를 마우스 무브에 의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두 입력 지점의 중간 위치)로 갱신하고 줌 상태가 된다.
다음 360단계로 진행하여 줌 상태에서 마우스 무브가 발생한 경우 입력된 두 손가락 중에서 어느 한 손가락이 떨어졌는지 판단하기 위해, 마우스 무브에 의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줌 영역에 해당되거나, 또는 마우스 무브에 의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기준 위치 간의 거리가 D2보다 큰지 판단한다. 상기 360단계에서 판단 결과 마우스 무브의 입력 위치가 줌 영역에 해당 되면, 두 번째 입력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하여 310단계로 진행하고 초기 상태가 된다. 또한 마우스 무브의 입력 위치와 기준 위치 간의 거리가 D2 보다 크면, 첫 번째 입력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하여 310단계로 진행하고 초기 상태가 된다.
상기 360단계에서 판단 결과 마우스 무브에 의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줌 영역에 해당되지 않고, 마우스 무브에 의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기준 위치 간의 거리가 D2 보다 작으면 확대/축소를 위한 사용자 제스쳐로 판단하여 370단계로 진행한다. 370단계에서는 마우스 무브에 의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기준 위치 간의 거리에 일정비(Ratio R)를 곱하여 그 결과값 만큼 화면의 확대/축소를 수행한다. 여기서 기준 위치와 입력 위치 간의 거리를 계산할 때 입력 위치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줌 영역의 반대편에 위치하면 계산한 거리는 양수가 되고, 입력 위치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줌 영역 쪽에 위치하면 계산한 거리는 음수가 된다. 이에 따라 거리가 양수이면 거리에 R 비만큼 확대(Zoom in)가 되고, 거리가 음수이면 거리의 R 비만큼 축소(Zoom out)된다. 다음 380단계에서는 터치 스크린의 입력 위치를 기준 위치로 갱신하고 다시 360단계로 진행하여 줌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모든 단계들을 수행하는 도중에 마우스 업이 발생하게 되면 어떤 단계에서 라도 동작이 종료되어 초기 상태로 변경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동작의 사용자 입력 절차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의 확대/축소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510단계에서 사용자는 현재 출력되는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 상의 줌 영역을 손가락으로 누른다.
다음 520단계에서 상기 줌 영역을 누른 손가락을 움직이지 말고 누른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른 손가락으로 터치 스크린을 임의의 지점을 누른다.
다음 530단계에서는 상기 첫 번째 손가락을 움직이지 않고 누른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520단계에서 누른 두 번째 손가락을 움직여 화면을 확대/축소한다. 상기 510단계에서 누른 첫 번째 손가락과 상기 520단계에서 누른 두 번째 손가락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화면이 축소(Zoom out)되고 두 손가락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화면이 확대(Zoom in)된다. 상기 확대/축소는 두 손가락 중 하나라도 떨어지면 종료한다.
기존의 싱글 입력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한 확대/축소 유저인터페이스(UI) 상에서는 별도의 메뉴나 아이콘을 통해서 확대/축소 모드를 활성화해야 했으므로 입력 횟수가 늘어나고 속도가 느렸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구현한 애플리케이션은 이러한 부분을 개선하여 최소한의 입력으로 빠른 확대/축소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멀티 입력 터치 스크린 제품에서 주로 사용되는 멀티 터치 UI는 화면의 확대/축소로서 본 제안으로 싱글 입력 터치 스크린 상에서도 멀티 터치에서 구현한 기능을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다. 멀티 입력 터치 스크린은 싱글 입력 터치 스크린보다 고가이며 단말의 소형화 경향으로 멀티 터치로 할 수 있는 기능은 그리 많지 않다. 일부 기능의 구현을 위해 고가의 부품을 채용하는 것보다 기존의 저가의 부품으로 기능을 구현한다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방법 및 장치의 동작 및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휴대용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방법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동작시 각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동작의 절차를 도시한 예시도

Claims (19)

  1.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Zoom In/Out) 방법에 있어서,
    초기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첫 번째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입력 신호의 위치인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미리 설정된 줌 영역(Zoom Region)에 해당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에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를 저장하고 준비 상태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준비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이동할 경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상기 저장된 기준 위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문턱값보다 크면, 상기 기준 위치에 상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를 저장하여 상기 기준 위치를 갱신하고, 줌 상태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줌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이동할 경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갱신된 상기 기준 위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2문턱값보다 작으면,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 간의 거리에 미리 설정된 일정비(Ratio R)를 곱한 만큼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확대/축소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줌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 축소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줌 상태에서,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한 후, 상기 기준 위치에 상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를 저장하여 상기 기준 위치를 갱신하고, 상기 줌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확대/축소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이동할 경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상기 저장된 기준 위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문턱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상기 줌 영역에 해당 될 경우 상기 준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상기 줌 영역에 해당 되지 않는 경우 상기 초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확대/축소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상태 및 상기 줌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이 해제되면, 상기 초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확대/축소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줌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이동할 경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줌 영역에 해당 되면, 초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확대/축소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줌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이동할 경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갱신된 상기 기준 위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2문턱값보다 작지 않으면, 초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확대/축소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줌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입력 위치는 상기 첫 번째 사용자 입력 위치와 상기 두 번째 사용자 입력 위치의 중간 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확대/축소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줌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상기 기준 값 간의 거리 계산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줌 영역의 반대편에 위치하면, 계산한 거리에 미리 설정된 상기 일정비를 곱한 만큼 화면을 확대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줌 영역 쪽에 위치하면 미리 설정된 상기 일정비를 곱한 만큼 화면을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확대/축소 방법.
  10.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Zoom In/Out) 장치에 있어서,
    출력 화면을 표시하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의 확대/축소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화면 확대/축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입력 위치의 좌표를 추출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움직임 감지부와,
    화면 확대/축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모든 구성 요소를 제어하며, 초기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첫 번째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입력 신호의 위치인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미리 설정된 줌 영역(Zoom Region)에 해당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에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를 저장하고 준비 상태로 변경하며, 상기 준비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이동할 경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상기 저장된 기준 위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문턱값보다 크면, 상기 기준 위치에 상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를 저장하여 상기 기준 위치를 갱신하고, 줌 상태로 변경하며, 상기 줌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이동할 경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갱신된 상기 기준 위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2문턱값보다 작으면,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 간의 거리에 미리 설정된 일정비(Ratio R)를 곱한 만큼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축소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에서 추출한 터치 스크린의 입력 위치 좌표를 저장하며, 상기 기준 위치 및 제1문턱값, 제2문턱값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축소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줌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미리 설정된 일정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줌 상태에서,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한 후, 상기 기준 위치에 상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를 저장하여 상기 기준 위치를 갱신하고, 상기 줌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확대/축소 장치.
  14. 제 10에 있어서, 상기 준비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이동할 경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상기 저장된 기준 위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문턱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상기 줌 영역에 해당 될 경우 상기 준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상기 줌 영역에 해당 되지 않는 경우 상기 초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확대/축소 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상태 및 상기 줌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이 해제되면, 상기 초기 상태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확대/축소 장치.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줌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이동할 경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줌 영역에 해당 되면, 초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확대/축소 장치.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줌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이동할 경우, 이동된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갱신된 상기 기준 위치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2문턱값보다 작지 않으면, 초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확대/축소 장치.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줌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입력 위치는 상기 첫 번째 사용자 입력 위치와 상기 두 번째 사용자 입력 위치의 중간 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확대/축소 장치.
  19.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줌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와 상기 기준 값 간의 거리 계산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줌 영역의 반대편에 위치하면, 계산한 거리에 미리 설정된 상기 일정비를 곱한 만큼 화면을 확대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 위치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줌 영역 쪽에 위치하면 미리 설정된 상기 일정비를 곱한 만큼 화면을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확대/축소 장치.
KR1020080015019A 2008-02-19 2008-02-19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방법 및 장치 KR101460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019A KR101460363B1 (ko) 2008-02-19 2008-02-19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019A KR101460363B1 (ko) 2008-02-19 2008-02-19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707A true KR20090089707A (ko) 2009-08-24
KR101460363B1 KR101460363B1 (ko) 2014-11-10

Family

ID=4120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019A KR101460363B1 (ko) 2008-02-19 2008-02-19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3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2554A (ko) * 2010-02-09 201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47494A (ko) * 2011-10-31 2013-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크기 조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60135438A (ko) * 2015-05-18 2016-11-28 주식회사 태양씨앤엘 터치 패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055117B2 (en) 2010-02-23 2018-08-2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a terminal to provide content related to the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77B1 (ko) * 2006-03-30 2007-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 크기 조절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2554A (ko) * 2010-02-09 201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0055117B2 (en) 2010-02-23 2018-08-2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a terminal to provide content related to the refrigerator
KR20130047494A (ko) * 2011-10-31 2013-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크기 조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60135438A (ko) * 2015-05-18 2016-11-28 주식회사 태양씨앤엘 터치 패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363B1 (ko) 201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21457B (zh) 提供字符输入界面的方法和设备
US90358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virtual keyboards on a user interface
EP3002664B1 (en) Text processing method and touchscreen device
EP2825950B1 (en) Touch screen hover input handling
US10684751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8839154B2 (en) Enhanced zooming functionality
RU254185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м интерфейсом на основе движений
US2014002221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peration input method and operation input program
US20130076659A1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2010205050A (ja) タッチパネル付き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制御方法、およ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制御プログラム
KR101971982B1 (ko)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EP26132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keypad o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EP2382528A1 (en) Touch-click keypad
JPWO2012132802A1 (ja) 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並びに表示用プログラム
KR20140089224A (ko)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을 실행하는 디바이스 및 동작 실행 방법
WO2010145033A1 (en) Selection on a touch-sensitive display
WO2013161170A1 (ja) 入力装置、入力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470575B (zh) 电子装置及其输入方法
EP21464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key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WO2018112803A1 (zh) 触摸屏手势识别的方法及装置
KR101460363B1 (ko)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방법 및 장치
JP2013003949A (ja) 情報端末装置、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17059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display program product
KR101403079B1 (ko) 터치스크린에서 화면 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101920864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