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039A -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2039A
KR20110092039A KR1020100011464A KR20100011464A KR20110092039A KR 20110092039 A KR20110092039 A KR 20110092039A KR 1020100011464 A KR1020100011464 A KR 1020100011464A KR 20100011464 A KR20100011464 A KR 20100011464A KR 20110092039 A KR20110092039 A KR 20110092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glass plate
glass
infrared shielding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5235B1 (ko
Inventor
박성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로힘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로힘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로힘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100011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23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 A63G9/12Special fastenings of the suspensory poi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9Glazing, e.g. vacuum gl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22Glazing, e.g. vaccum glazing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녹는 점이 높고 저온에서는 잘 산화되지 않는 적외선 차폐 조성물을 유리판에 코팅함으로써 대기 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변색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아 진공 챔버를 사용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개의 유리판(11)(12)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내측이 진공상태가 되도록 밀봉됨과 아울러 상기 유리판(11)(12)이 진공으로 인해 달라붙지 않도록 상기 유리판(11)(12)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진공 브릿지(13)를 포함하는 진공창호유리에 있어서, 염화제2주석 40~45 중량%, 염화아연 2~3중량%, 염산 40~50중량% 및 증류수 3~2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적외선 차폐 조성물(15)이 적어도 바깥쪽에 위치된 제1유리판(11)의 전면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Vacuum Window Glass Capable of Blocking Infrared Ra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판유리 사이의 공간이 진공상태가 되도록 복수의 유리판을 겹쳐서 만든 진공창호유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판유리의 일면에 적외선 차폐 조성물을 코팅함으로써, 실내외의 온도차가 클 경우에도 유리를 통한 열전달을 차단하여 실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새롭게 건설되는 대부분의 건물들은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전망을 살리기 위하여 건물의 외벽 전체 또는 상당 부분을 유리로 마감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이 건물의 외부를 유리로 마감하는 경우 건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유리가 가지는 특성상 많은 약점이 있다.
즉, 유리는 투광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유리를 통해 태양의 빛이 그대로 입사하여 시각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건물 입주자들이 태양의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태양을 가릴 다양한 차양장치를 설치하게 되며 그로 인해 부대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 유리는 단열율이 낮기 때문에 태양으로부터의 직사광선을 그대로 받아들이거나 실내의 열을 그대로 배출하게 되며, 그로 인하여 통상의 콘크리트 벽에 비해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즉, 여름철에는 외부의 열이 그대로 실내로 유입되어 냉방비가 증가하고, 겨울철에는 실내의 열이 유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난방비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리로 이루어진 창호는 벽체에 비해 열전도율이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창호에서의 단열율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낱장으로 된 창호유리 대신에 복층의 창호유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복층의 창호유리는 유리판과 유리판 사이에 인장력이 큰 필름을 넣어 압착한 형태 또는 유리판 사이를 이격시켜 둘 사이에 건조한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다.
전자는 주로 파괴시 날카로운 파편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안전유리로 사용되고, 후자는 공기층에 의해 단열효과가 향상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단열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공기층 대신에 진공층이 형성된 진공창호유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진공창호유리는 두 겹의 유리판 사이에 다수의 진공 브릿지를 배치한 후 둘 사이의 공간을 진공으로 기밀하기 위하여 그 둘레를 실링재로 밀봉하고, 일면의 유리판에 구멍을 뚫어 배기시킨 후 밀폐시켜 제조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통상의 진공창호유리는 유리판에 타공한 후 배기관 등을 이용하여 진공 배기하게 되므로, 배기가 완료된 후 구멍을 밀봉했을 때 흔적이 남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최근에는 진공창호유리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리판에 금속막을 코팅한 로이유리(Low-E 유리, Low-Emissivity Glass)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로이유리란 유리의 내부에 적외선 반사율이 높은 금속막을 코팅한 유리로서, 실내외 열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실내의 온도 변화를 줄여주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로이유리를 이용한 진공창호유리는 두 겹의 유리판 사이에 배치된 실링재가 주로 유리가루로 형성되어 400~600℃의 고온으로 가열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에너지 소비량이 증대되고 열이 식을 동안 작업을 실시할 수 없으므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경제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대기 중에서 실링재를 용융시키기 위하여 유리판을 고온으로 가열하게 되므로, 로이유리의 금속코팅막이 산화되어 변색되어 복사열 차폐기능을 상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등록특허 10-0905101호에서는 진공 분위기 하에서 두 겹의 판유리를 접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 방법의 경우에는 진공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고가의 진공 챔버를 형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녹는 점이 높고 저온에서는 잘 산화되지 않는 적외선 차폐 조성물을 유리판에 코팅함으로써, 대기 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변색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아 진공 챔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적외선 차폐 기능을 구비한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진공 브릿지 및 밀봉재로서 유리가루가 아닌 투명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저온에서도 유리판의 접합이 가능하여 에너지 소비량이 감소되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2개의 유리판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내측이 진공상태가 되도록 밀봉됨과 아울러 상기 유리판이 진공으로 인해 달라붙지 않도록 상기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진공 브릿지를 포함하는 진공창호유리에 있어서, 염화제2주석 40~45 중량%, 염화아연 2~3중량%, 염산 40~50중량% 및 증류수 3~20중량%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적외선 차폐 조성물이 적어도 바깥쪽에 위치된 제1유리판의 전면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에 따르면, 상기 제1유리판의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밀봉재와 상기 진공 브릿지는, PC 수지, ABS 수지, PET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투명 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에 따르면, 상기 밀봉재의 외측에 실리콘 마감재가 코킹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에 따르면, 상기 적외선 차폐 조성물이 코팅되지 않은 제2유리판의 후면에 일정 간격으로 제3유리판이 배치되어 복층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유리판의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실리카 겔로 형성된 흡수식 간격유지부재가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외측에 실리콘 마감재가 코킹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의 제조방법은, 제2유리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투명 수지재의 진공 브릿지를 형성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2유리판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투명 수지재로 이루어진 밀봉재를 상기 진공 브릿지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제2유리판의 상부에 제1유리판을 올려놓는 제3공정과; 상기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의 정렬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가열하여 상기 진공 브릿지 및 밀봉재가 융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진공펌프의 노즐이 상기 밀봉재를 관통하도록 삽입하여 상기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 사이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제4공정과; 상기 유리판 사이의 진공도가 기준을 만족하면 상기 진공펌프의 노즐을 빼내고 구멍을 밀폐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제5공정과; 상기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밀봉재의 외측에 실리콘 마감재를 코킹하는 제6공정; 및 상기 제1유리판의 전면에 적외선 차폐 조성물을 코팅하는 제7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공정은 복수의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제2유리판을 이송하면서 상기 제2유리판의 상부에서 회전하는 인쇄롤러를 이용하여 투명 수지를 인쇄함으로써 진공 브릿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쇄롤러는 내부에 겔 상의 투명 수지가 채워짐과 아울러 상기 투명 수지의 경화를 방지하기 위한 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롤러에 구비된 복수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겔 상의 투명 수지가 상기 제1유리판의 전면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공정 및 제2공정에서 사용되는 투명 수지는 PC 수지, ABS 수지, PET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적외선 차폐 조성물은, 염화제2주석 40~45 중량%, 염화아연 2~3중량%, 염산 40~50중량% 및 증류수 3~2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은, 저온에서는 잘 산화되지 않는 적외선 차폐 조성물을 유리판에 코팅하게 되므로 진공 챔버가 아닌 대기 중에서 유리판 접착이 가능하여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진공 브릿지 및 밀봉재가 투명 수지로 형성되므로 150~180℃의 저온에서 밀봉재를 용융시켜 유리판을 접합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냉각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유리판에 타공하지 않고 진공펌프의 노즐이 밀봉재를 관통하도록 한 상태에서 진공 배기하게 되므로, 유리판에 흔적이 남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진공 브릿지를 배치하기 위하여 인쇄 롤러를 사용함에 따라 작업이 단순화되고 진공 브릿지를 균일하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의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진공창호유리 제조방법 중 진공 브릿지를 형성하는 모습이 도시된 참고도.
도 5는 진공 브릿지가 인쇄된 유리판과 그 위에 다른 유리판이 적층/정렬된 모습이 도시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진공 배기 공정이 도시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차폐유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내측이 진공상태가 되도록 가장자리가 밀봉재에 의해 밀폐된 한 쌍의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11)(12)들이 진공으로 인해 달라붙지 않도록 상기 유리판(11)(12)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진공 브릿지(13)와, 상기 유리판 중 적어도 바깥쪽에 위치된 제1유리판(11)의 전면에 코팅된 적외선 차폐 조성물(15)과, 상기 밀봉재(14)의 외측에 코킹된 실리콘 마감재(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 차폐 조성물은, 염화제2주석 40~45 중량%, 염화아연 2~3중량%, 염산 40~50중량% 및 증류수 3~20중량%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밀봉재(14)와 상기 진공 브릿지(13)는, PC(Polycarbonate) 수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lene의 3원공중합체) 수지,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투명 수지로 형성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외선 차폐 조성물(15)이 코팅되지 않은 제2유리판(12)의 후면에 일정 간격으로 제3유리판(17)이 배치되어 복층공간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유리판(12)의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실리카 겔로 형성된 흡수식 간격유지부재(18)가 배치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18)의 외측에 실리콘 마감재(16)가 코킹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의 공정을 통해 제작된다.
즉, 상기 제2유리판(12)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투명 수지재의 진공 브릿지(13)를 형성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2유리판(12)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투명 수지재로 이루어진 밀봉재(14)를 상기 진공 브릿지(13)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제2유리판(12)의 상부에 제1유리판(11)을 올려놓는 제3공정과; 상기 제1유리판(11)과 제2유리판(12)의 정렬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대략 150~180℃로 가열하여 상기 진공 브릿지(13) 및 밀봉재(14)가 상기 유리판(11)(12)에 각각 융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진공펌프(20)의 노즐(25)이 상기 밀봉재(14)를 관통하도록 삽입하여 상기 제1유리판(11)과 제2유리판(12) 사이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제4공정과; 상기 유리판(11)(12) 사이의 진공도가 기준을 만족하면 상기 진공펌프(20)의 노즐(25)을 빼내고 구멍을 밀폐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제5공정과; 상기 제1유리판(11)과 제2유리판(1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밀봉재(14)의 외측에 실리콘 마감재(16)를 코킹하는 제6공정; 및 상기 제1유리판(11)의 전면에 적외선 차폐 조성물(15)을 코팅하는 제7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위 공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공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롤러(35)를 이용하여 상기 제2유리판(12)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제2유리판(12)의 상부에서 회전하는 인쇄롤러(30)를 이용하여 투명 수지(33)를 인쇄함으로써 진공 브릿지(13)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인쇄롤러(30)의 내부에는 겔 상의 투명 수지(33)가 채워짐과 아울러 상기 투명 수지(33)의 경화를 방지하기 위한 히터(34)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인쇄롤러(30)에 구비된 복수의 배출공(31)을 통해 배출되는 겔 상의 투명 수지(33)가 상기 제2유리판(11)의 상면에 인쇄되어 상기 진공 브릿지(13)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공정은 상기 제2유리판(12)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투명 수지로 형성된의 밀봉재(14)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이때, 상기 진공 브릿지(13) 및 밀봉재(14)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로는, PC 수지, ABS 수지, PET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이는 이들 수지가 비교적 녹는 점이 낮아 저온에서도 용융되어 상기 유리판(11)(12)에 융착될 수 있다.
또, 상기 제3공정과 제4공정은 상기 제2유리판(11)의 상측에 제1유리판(11)을 적층 및 정렬한 후, 상기 진공 브릿지(13) 및 밀봉재(14)를 상기 유리판들(11)(12)에 융착시킴과 아울러 진공 배기시키는 공정이다.
이때, 상기 진공펌프(20)의 노즐(25)을 용융 상태의 상기 밀봉재(14)에 관통시켜 진공 배기하게 되므로, 배기가 완료된 후 상기 노즐(25)을 이탈시켰을 때 별도의 밀폐 작업을 실시하지 않더라도 내부의 부압에 의해 상기 밀봉재(14)가 밀려들어 가면서 자연스럽게 밀폐된다.
이와 같이 진공 배기가 측면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유리판들(11)(12)에 타공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며, 상기 유리판들(11)(12)에 손상이 생기지 않게 된다.
상기 제5공정은 상기 진공 브릿지(13) 및 밀봉재(14)가 융착된 두 겹의 유리판들(11)(12)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공정으로, 상기 유리판들(11)(12)이 150~180℃의 비교적 저온으로 가열됨에 따라 냉각시간이 짧아지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 제6공정은 상기 밀봉재(14)의 외측에 실리콘 마감재(16)를 코팅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실리콘 마감재(16)로 인해 상기 밀봉재(14)가 손상되는 일이 방지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7공정은 상기 제1유리판(11)의 전면에 적외선 차폐 조성물(15)을 코팅하는 공정으로, 상기 적외선 차폐 조성물(15)은 염화제2주석 40~45 중량%, 염화아연 2~3중량%, 염산 40~50중량% 및 증류수 3~20중량%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이상은 두 겹으로 이루어진 진공창호유리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며, 여기에 제3유리판(17)을 더 부착하는 공정은 일반적인 공정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 제1유리판 12: 제2유리판
13: 진공 브릿지 14: 밀봉재
15: 적외선 차폐 조성물 16, 19: 실리콘 마감재
17: 제3유리판 18: 간격유지부재
20: 진공펌프 25: 노즐
30: 인쇄롤러 31: 배출공
33: 투명 수지 34: 히터
35: 롤러

Claims (9)

  1. 2개의 유리판(11)(12)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내측이 진공상태가 되도록 밀봉됨과 아울러 상기 유리판(11)(12)이 진공으로 인해 달라붙지 않도록 상기 유리판(11)(12)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진공 브릿지(13)를 포함하는 진공창호유리에 있어서,
    염화제2주석 40~45 중량%, 염화아연 2~3중량%, 염산 40~50중량% 및 증류수 3~2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적외선 차폐 조성물(15)이 적어도 바깥쪽에 위치된 제1유리판(11)의 전면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리판(11)의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밀봉재(14)와 상기 진공 브릿지(13)는, PC(Polycarbonate) 수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lene의 3원공중합체) 수지,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투명 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14)의 외측에 실리콘 마감재(16)가 코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차폐 조성물(15)이 코팅되지 않은 제2유리판(12)의 후면에 일정 간격으로 제3유리판(17)이 배치되어 복층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유리판(12)의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실리카 겔로 형성된 흡수식 간격유지부재(18)가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간격유지부재(18)의 외측에 실리콘 마감재(16)가 코킹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
  5. 제2유리판(12)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투명 수지재의 진공 브릿지(13)를 형성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2유리판(12)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투명 수지재로 이루어진 밀봉재(14)를 상기 진공 브릿지(13)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제2유리판(12)의 상부에 제1유리판(11)을 올려놓는 제3공정과;
    상기 제1유리판(11)과 제2유리판(12)의 정렬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가열하여 상기 진공 브릿지(13) 및 밀봉재(14)가 상기 유리판(11)(12)에 각각 융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진공펌프(20)의 노즐(25)이 상기 밀봉재(14)를 관통하도록 삽입하여 상기 제1유리판(11)과 제2유리판(12) 사이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제4공정과;
    상기 유리판(11)(12) 사이의 진공도가 기준을 만족하면 상기 진공펌프(20)의 노즐(25)을 빼내고 구멍을 밀폐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제5공정과;
    상기 제1유리판(11)과 제2유리판(1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밀봉재(14)의 외측에 실리콘 마감재(16)를 코킹하는 제6공정; 및
    상기 제1유리판(11)의 전면에 적외선 차폐 조성물(15)을 코팅하는 제7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은 복수의 롤러(35)를 이용하여 상기 제2유리판(12)을 이송하면서 상기 제2유리판(12)의 상부에서 회전하는 인쇄롤러(30)를 이용하여 투명 수지(33)를 인쇄함으로써 진공 브릿지(1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롤러(30)는 내부에 겔 상의 투명 수지(33)가 채워짐과 아울러 상기 투명 수지(33)의 경화를 방지하기 위한 히터(34)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롤러(30)에 구비된 복수의 배출공(31)을 통해 배출되는 겔 상의 투명 수지(33)가 상기 제2유리판(11)의 상면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의 제조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 및 제2공정에서 사용되는 투명 수지(33)는 PC(Polycarbonate) 수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lene의 3원공중합체) 수지,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의 제조방법.
  9.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차폐 조성물(15)은, 염화제2주석 40~45 중량%, 염화아연 2~3중량%, 염산 40~50중량% 및 증류수 3~2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의 제조방법.
KR1020100011464A 2010-02-08 2010-02-08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105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464A KR101105235B1 (ko) 2010-02-08 2010-02-08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464A KR101105235B1 (ko) 2010-02-08 2010-02-08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039A true KR20110092039A (ko) 2011-08-17
KR101105235B1 KR101105235B1 (ko) 2012-01-13

Family

ID=4492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464A KR101105235B1 (ko) 2010-02-08 2010-02-08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2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8452B2 (en) * 2016-10-26 2020-10-20 Gwan-Ho KIM Double glazed window of polycarbonate layer
WO2022191516A1 (ko) * 2021-03-12 2022-09-15 김관호 폴리카보네이트 2중 진공 3중 유리 및 2중진공 3중 유리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6014B2 (ja) * 1995-07-24 1998-02-18 日本電気株式会社 実行オブジェクト格納方式
JPH10297944A (ja) 1997-04-24 1998-11-10 Central Glass Co Ltd 複層ガラスパネル
US6218018B1 (en) * 1998-08-21 2001-04-17 Atofina Chemicals, Inc. Solar control coated glass
US8679587B2 (en) 2005-11-29 2014-03-25 State of Oregon acting by and through the State Board of Higher Education action on Behalf of Oregon State University Solution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s and electronic devices made comprising the inorganic materia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8452B2 (en) * 2016-10-26 2020-10-20 Gwan-Ho KIM Double glazed window of polycarbonate layer
WO2022191516A1 (ko) * 2021-03-12 2022-09-15 김관호 폴리카보네이트 2중 진공 3중 유리 및 2중진공 3중 유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5235B1 (ko) 201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9172B2 (ja) 絶縁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に用いられるスペーサ、当該スペーサを有する絶縁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当該スペーサの製造方法及び使用
US20170028686A1 (en) Durable and lightweight glazing units
EP3168402B1 (en) High r-value window unit with vacuum ig unit and insulating frame
CN105645789B (zh) 一种热垒中空玻璃
CA3086376A1 (en) Multi-layer insulated glass unit comprising a low cte glass layer
EP2188479B1 (en) Window with a masked pane
CN105134027A (zh) 一种中空玻璃及其制造方法
KR101105235B1 (ko) 적외선 차폐가 가능한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
CN107724935A (zh) 一种带有百叶帘的低传热窗玻璃
CN204877127U (zh) 一种防火型温控遮阳中空玻璃
CN105064876B (zh) 一种气凝胶隔热保温玻璃的制备方法
US20220186548A1 (en) Spacer for insulated glazing
CN103613292A (zh) 一种low-e节能夹层安全玻璃
WO2016158241A1 (ja) 複層ガラス、および複層ガラスの製造方法
KR101082020B1 (ko) 진공창의 제조방법
EP3911610A1 (en) Photochromic glass and photochromic glass windows
CN210343116U (zh) 一种用于建筑窗户的玻璃窗板结构
CN106193906B (zh) 一种节能窗
CN205604996U (zh) 一种新型中空保温玻璃
CN104369477B (zh) 夜光安全节能环保玻璃
CN203947975U (zh) 一种遮阳low-e中空玻璃
CN217461985U (zh) 一种调光单元及中空玻璃
CN204222323U (zh) 夜光安全节能环保玻璃
CN210287155U (zh) 隔热防爆自清洁双层中空钢化玻璃
CN216476981U (zh) 一种可防辐射的多曲面中空玻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