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307A -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 - Google Patents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307A
KR20110091307A KR1020100011080A KR20100011080A KR20110091307A KR 20110091307 A KR20110091307 A KR 20110091307A KR 1020100011080 A KR1020100011080 A KR 1020100011080A KR 20100011080 A KR20100011080 A KR 20100011080A KR 20110091307 A KR20110091307 A KR 20110091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ce
power
outlet
electricity
load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2423B1 (ko
Inventor
윤성진
박한규
Original Assignee
박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한규 filed Critical 박한규
Priority to KR1020100011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423B1/ko
Publication of KR20110091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현재 전기 가격에 따라 지능적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하거나 현재 전기의 가격을 시각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소켓부가 구비된 콘센트에 있어서, 전기가격정보 제공장치와 통신 수단으로 접속되어 전기 가격 정보를 수신하는 가격정보통신부와, 상기 가격정보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전기 가격 정보를 시각적 형태로 표시하는 가격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Outlet for smart grid}
본 발명은 전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현재 전기 가격에 따라 자동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하거나 현재 전기의 가격을 시각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그리드 기반의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기의 가격은 산업용, 농업용, 일반용 등 용도에 따라 가격 차이가 있고, 전기의 수요와 공급의 관계나 전기를 공급하는 공급자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지는 않았다.
그러나,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기술이 점차 보급되어 감에 따라 전기의 가격은 더 이상 고정된 것이 아니라, 전기의 수요와 공급의 관계, 전기를 공급하는 공급자 즉, 중앙 발전소, 지역 발전소, 아파트 단지내 발전소, 각 가정내 발전 시설 등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게 되었다.
이러한 공급자에 따른 가격 차이는 이미 국내외에서 시범 단지를 구축하여 이러한 변동 요금제를 시범적으로 적용하여 전기 에너지의 유연한 요금 제도를 검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기의 가격을 상기한 예와 같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전기 사용 요금을 과금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시각각 변화하는 전기 요금에 따라 과금을 할 수 있는 전기 계량기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스마트 미터기(smart meter)"가 개발되어 있다. 스마트 미터기는 종래의 전기 계량기를 대체하여, 시시각각 변화하는 전기 가격에 따라 사용자에게 과금할 전기 요금을 산정해주는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이 접목된 전기 계량기이다.
대한민국 정부는 2020년까지 전국의 모든 전기 계량기를 스마트 미터기로 100% 교체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이와 같이 스마트 미터기의 보급에 서두르는 이유는 전기 수요에 따라 전기의 가격을 유연하게 변화시키면 에너지 수요 피크(peak)를 완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원자력 발전에 비해 전기 생산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은 석유, 가스를 원료로 하는 화력 발전 또는 수력 발전의 의존도를 낮추어 궁극적으로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목적과, 에너지 수요 피크를 완화함으로써 화력 발전에 필요한 석유나 가스와 같은 원자재의 수입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정부의 의도가 반영되어 성공적으로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다.
예를 들면, 전기 사용량이 폭증하는 한여름 낮 시간대에 전력공급회사(예, 한국전력공사)는 전기 가격을 수요에 따라 올릴 것이며, 사용자는 상승한 가격에 따라 자발적으로 전기 사용량을 줄여야(예를 들면 불필요한 전등을 끄거나, 에어컨의 설정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정부가 의도하는 에너지 절약 및 저탄소 성장이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된 기술은 하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문제는 스마트 미터기를 종래의 전기 계량기를 대체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것으로, 종래의 전기 계량기가 설치된 곳에 종래의 전기 계량기를 떼어내고 스마트 미터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이다. 즉, 시시각각 변화하는 전기 가격을 전력공급회사로부터 수신하여 전기 요금을 산정하는 스마트 미터기는 옥외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실제로 실내에서 전기 제품을 사용하는 현장과는 동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 미터기의 액정 디스플레이(LCD)에 현재 전기의 가격이 표시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옥외에 나가 이를 매번 확인하여 에너지 절감에 참여하기란 현실적으로 대단히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가정 내에 설치되어 있는 홈오토메이션 게이트웨이 또는 현재 전기 가격을 표시해주는 전용 단말기가 스마트 미터기로부터 현재 전기 가격을 수신하여 상기 홈오토메이션 게이트웨이 또는 전용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시켜주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홈오토메이션 게이트웨이나 전용 단말기도 거실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전기 가격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홈오토메이션 게이트웨이나 전용 단말기가 있는 곳까지 가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전기 가격에 따라 전기 에너지 절감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가 대단히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문제는 스마트 미터기가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전기 가격을 전력공급회사로부터 수신하기는 하나 스마트 미터기는 변화하는 전기 가격에 따라 사용자에게 청구할 전기 요금을 산정하는 역할을 할 뿐, 이러한 가격 변화에 따라 부하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자동으로 제어(ON/OFF)하는 기능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스마트 미터기는 건물이나 가정으로 전력선이 인입되는 지점(주로 옥외)에 설치되기 때문에 각 부하장치로 입력되는 전력을 따로따로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셋째 문제로, 스마트 그리드 기술이 완전히 보급되는 미래에는 각 전기 제품이 스스로 전기 가격을 인식하여 전기 가격에 따라 전력 사용량을 제어하는 기술을 내장하게 된다는 계획이 제시되어 있기는 하나, 이러한 방식으로 전기 가격에 따른 전력 사용을 제어하려면 기존에 만들어진 모든 가전제품을 스마트 그리드 기술이 내장된 제품으로 교체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기 제품 자체를 스마트 그리드 기술이 내장된 제품으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전기 에너지 수요를 제어하려면, 그러한 가전제품이 보급되는 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전기 제품의 교체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많은 폐기물이 발생되고 새로운 전기 제품을 만들면서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든 전기 제품에 스마트 그리드 기술을 내장하려면 전기 제품의 제작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써, 전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현재 전기의 가격을 바로 확인하고 현재 전기 가격에 따라 유연하게 전기 사용량을 조절하여 에너지 절감에 용이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전기 가격 표시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변화하는 전기 가격에 따라 전기를 사용하는 부하장치로의 전력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거나 차단을 해제할 수 있는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는, 외부의 전기가격정보 제공장치와 연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소켓부가 구비된 콘센트로서, (A) 상기 전기가격정보 제공장치와 통신 수단으로 접속되어 전기 가격 정보를 수신하는 가격정보통신부와 ; (B) ① 상기 가격정보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전기 가격 정보를 시각적 형태로 표시하는 가격표시부 또는 ② 상기 가격정보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전기 가격이 소정의 기준가격을 초과하면 전기 소켓부의 전력이 차단되게 하고, 상기 가격정보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전기 가격이 기준가격을 초과하지 않으면 전기 소켓부가 통전되도록 하여 부하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력제어부를 통하여 부하장치에 전력 공급을 차단하기 전에 부하장치가 전력 차단에 대하여 대비할 수 있는 전력 차단 예고 신호를 부하장치로 전송하는 부하장치통신부와, 상기 가격정보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전기 가격이 기준가격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여 전기 가격정보 및 콘센트별 또는 콘센트의 소켓부마다의 전력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통신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는 콘센트에 구비된 가격표시부로부터 전기 가격을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현재 전기의 가격을 옥외에 위치한 스마트 미터기나 거실에 위치한 홈오토메이션 게이트웨이까지 가서 확인하지 않고도 실제 부하장치를 연결하여 전기를 사용하는 콘센트에서 바로 현재의 전기 가격을 확인하거나 전기 가격 상승에 대한 경고를 받을 수 있게 되므로 현재 전기 가격에 따라 유연하게 전기 사용량을 조절하여 에너지 절감에 훨씬 용이하게 참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 에너지의 수요와 공급의 관계에 의해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전기 가격에 따라 전기를 사용하는 부하장치로의 전력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거나 차단을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에 충전을 할 때에 사람이 전기 가격을 일일이 확인하여 전기 가격이 쌀 때에만 자동차에 전력선을 연결하여 충전을 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 가격이 평균 가격보다 일정치 이상 저렴할 때에만 전력이 공급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를 설정해 놓으면, 자동으로 전기 가격이 저렴할 때에만 전기 자동차에 전력이 공급되어 충전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전기 가격에 따라 자동으로 부하장치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 사용을 제어함으로써, 전기 에너지의 수요를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전기 에너지 수요 피크 시에는 전기 에너지를 생산함에 있어서 발전 비용이 저렴한 원자력 발전 뿐만 아니라, 석유나 가스를 이용한 화력 발전을 함께 가동을 하여야 하는데, 이는 전기 에너지의 생산 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석유나 가스와 같은 원자재 수입 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는 전기 에너지 수요 피크 시에 전기 가격과 연동되어 자동으로 전력 수요를 분산시킴으로써 이러한 전기 에너지의 생산 비용의 증가를 막고 원자재 수입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 가격에 따라 자동으로 전력의 공급을 차단 또는 차단 해제함으로써 전기 에너지 수요가 폭증함으로써 발생되는 정전 사고나 전기의 품질 저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즉, 전기 수요가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상승할 때 전기 가격을 올려 자동으로 부하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을 순차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전기의 소비를 줄여 불의의 정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전력 공급이 잠시 차단되어도 큰 영향이 없으면서도 전력 소비가 큰 전기 히터의 경우 전기 가격이 20% 이상 상승하면 전력을 차단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를 이용하여 설정해 두었다고 하면, 전력 수요가 폭증할 때에 전력공급회사는 전기 가격을 적절히 상승시킬 것이며, 이 때 전기 히터에는 전력 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국가 전체적으로 전력 수요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불측의 정전이 되는 사태를 피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 사용되던 모든 전기 제품을 스마트 그리드 기능이 내장된 제품으로 교체하지 아니하고 단지 종래의 콘센트를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로 교체하는 것만으로 전기 가격에 연동되어 자동으로 전력의 공급을 차단 또는 차단 해제를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많은 비용과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전기 에너지 수요 분산과 에너지 절감이라는 소기의 목적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의 일예의 사시도로서 매설형 콘센트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의 다른 일예의 사시도로서, 멀티탭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콘센트"란, 전력선을 입력 단자에 결선하여 전력을 공급받아, 이 전력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켓을 통하여 부하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고, 이는 멀티탭을 포함하며, "멀티탭"은 넓은 의미의 콘센트의 한 종류로 벽과 같은 지지물에 고정되거나 매입되어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 또는 다른 멀티탭에 플러그를 꽂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하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멀티탭은 벽에 고정되거나 매입된 콘센트 또는 다른 멀티탭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부하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긴 전력연장선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예를 들면 T자형 멀티탭). 통상적으로 콘센트나 멀티탭은 다수의 부하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소켓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콘센트 및 멀티탭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켓을 구비한 모든 종류의 콘센트 및 멀티탭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콘센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콘센트와 멀티탭은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위치, 전력연장선 유무 등에 따라 세부적으로 구분되기도 하나, 광의적 측면에서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을 실시한 장치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는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해야 할 특별한 이유가 없으므로 콘센트와 멀티탭을 통칭하여 "콘센트"로 표기한다.
콘센트의 "입력 단자"는 콘센트의 소켓에 연결된 부하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콘센트로 입력되는 전력선이 콘센트에 접속하는 부분으로, 콘센트의 경우에는 콘센트 내부에 전력선을 결선할 수 있는 단자가 있으며, 멀티탭의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하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소켓부의 타측에 플러그가 존재하여 다른 콘센트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내부 단자 및 플러그를 콘센트의 "입력 단자"로 표기한다.
"스마트 미터기(smart meter)"는 종래의 전기 계량기를 대체하여, 전력공급회사와 같은 유틸리티(utility)에서 현재 전기 가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유무선 통신 수단(CDMA, 광케이블, 전화선, 전력선 등)으로 연결되어 원격 검침 기능뿐만 아니라,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전기 가격을 수신하고 이에 따라 전기 사용 요금을 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스마트 그리드 기술이 접목된 전기 계량기이다. 보통 스마트 미터기는 전면부에 전기 사용량과 현재 전기 가격을 액정 디스플레이(LCD)로 표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면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의 블록도이다.
먼저, 일 실시예의 본 발명의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소켓부(100)가 구비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전기 소켓부(100)와 연결되어 전기 소켓부(100)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단속하는 전력표시단말기(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력표시단말기(10)는 전기가격정보 제공장치(20)와 통신 수단으로 접속되어 전기 가격 정보를 수신하는 가격정보통신부(11)와 ; 상기 가격정보통신부(11)로부터 수신된 전기 가격 정보를 시각적 형태로 표시하는 가격표시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콘센트에 구비된 전기 소켓부(100)는 종래의 콘센트에도 존재하는 구성 요소로, 전력선의 전력을 전기 소켓부(100)에 삽입된 부하장치(200)의 플러그를 통해 부하장치(200)로 공급하는 기능을 하며, 전력선은 교류 전기일 수도 있으며 직류 전기일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콘센트에 구성된 전력표시단말기(10)는 해당 콘센트를 통해 부하장치(200)에 공급되는 전기의 가격을 표시하는 수단으로 상기 전기가격정보 제공장치(20)는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전기의 가격을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에 제공해주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전력공급회사에서 관리하는 전기 가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컴퓨터일 수도 있으며, 각 건물 또는 세대마다 존재하는 스마트 미터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가격정보 제공장치(20)는 전기 가격 정보 제공 서버 컴퓨터나 스마트 미터기로부터 전기 가격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또 다른 장치로 중계하는 홈오토메이션 게이트웨이일 수도 있다.
전력공급회사에서 관리하는 전기 가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컴퓨터나, 스마트 미터기, 홈오토메이션 게이트웨이 등은 처리 용량과 처리 속도면에서 차이가 있을 뿐 기본적으로 모두 디지털 정보의 처리, 저장, 전송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이므로 이러한 장치가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컴퓨터간 통신에 사용되는 다양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가격정보통신부(11)에 가격 정보를 전송하고, 이 가격 정보는 상기 가격표시부(12)에 표시되는 것이다.
상기 가격정보통신부(11)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수단에 의해 접속되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CDMA와 같은 셀룰러 무선 통신, 지그비(ZigBee)나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이더넷(Ethernet)과 같은 근거리 유선 통신, Wi-Fi와 같은 무선 통신, 전화선을 이용한 유선 통신, 전력선을 이용한 유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및 이들과 균등한 통신 수단 또는 이들의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격정보통신부(11)와 전기가격정보 제공장치(20)를 연결하는 통신수단으로 전력선 통신(PLC)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기가격정보 제공장치인 스마트 미터기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가 접속하고 있는 전력선 자체를 통신 매체로 사용하기 때문에 스마트 미터기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 간에 별도의 통신 선로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통신 수단으로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그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그비를 상기 통신 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블루투스에 비해 통신이 가능한 거리가 길고, 블루투스에 비해 더 많은 장치가 동시에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Wi-Fi보다 제조 단가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다양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주지 관용 기술이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격표시부(12)가 상기 가격정보통신부(11)를 통하여 수신된 전기 가격을 표시하는 방법은 상대적 전기 가격 표시 방법과 절대적 전기 가격 표시 방법이 있을 수 있고, 상대적 전기 가격 표시 방법은 표준 전기 가격에 대비하여 현재 전기 가격이 얼마나 비싸거나 싼지를 표시하는 방법을 의미하며, 절대적 전기 가격 표시 방법은 정확한 전기의 가격을 표기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대적 전기 가격 표시 방법은 표준 전기 가격에 대비하여 20%가 저렴하다거나, 30원이 저렴하다는 식으로 현재 전기 가격을 표시할 수 있을 것이고, 절대적 가격 표시 방법으로는 현재의 전기 가격을 "200원/kWh"와 같은 정확한 가격으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상대적 전기 가격 표시 방법에서 가격의 기준이 되는 표준 전기 가격이란 할인이나 할증이 되지 않은 전기의 가격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대적 전기 가격 표시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전기 가격을 표시할 때에는 가격정보통신부(11)를 통하여 전기 가격정보 제공장치(20)로부터 전기 가격을 수신할 때 현재 전기 가격뿐만 아니라, 기준이 되는 표준 전기 가격 정보도 함께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가격정보통신부(11)로부터 수신된 전기 가격을 소정의 기간 동안 소정의 간격(예를 들면 1시간 간격으로 24시간 동안)으로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전기 가격의 평균을 구하여, 이를 표준 전기 가격으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가격표시부(12)를 구성하는 수단으로는 발광다이오드(LED), 액정 디스플레이(LCD), FND(Flexible Numeric Display)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발광 다이오드(LED)를 이용하여 가격표시부(12)를 구현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면, 발광 다이오드는 구체적인 문자를 표기할 수 없으므로 현재 전기 가격이 표준 가격과 10% 미만의 차이가 난다면 백색 LED를 점등하고, 현재 전기 가격이 표준 전기 가격보다 10% 이상 비싸다면 적색 LED를 점등하고, 현재 전기 가격이 표준 전기 가격보다 10% 이상 저렴하다면 녹색 LED를 점등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전기 가격을 표시해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다수의 LED 소자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LED 바 어레이를 이용하여 전기 가격에 따라 점등되는 LED 소자의 위치를 달리 함으로서 사용자에게 전기 가격의 상승 또는 하락 정도를 상대적으로 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이용하여 가격표시부(12)를 구현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면, LCD는 자유롭게 문자나 그래픽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격정보통신부(11)를 통하여 전기 가격정보 제공장치(20)로부터 수신한 현재 전기 가격을 절대적 전기 가격 표시 방법으로 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가격정보통신부(11)를 통하여 수신한 현재 전기 가격이 1kWh당 200원이라면, LCD를 이용하여 "200원/kWh"라고 문자 형태로 표기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LCD에도 현재 전기 가격을 문자 또는 그래픽을 이용하여 상대적 전기 가격 표시 방법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절대적 전기 가격 표시 방법과 상대적 전기 가격 표시 방법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 외의 가격표시부(12)를 구성할 수 있는 장치로 FND(Flexible Numeric Display; 일명 7-segment) 모듈을 이용할 경우에도 현재 전기 가격을 절대적 전기 가격 표시 방법(예를 들면 "200", "320" 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며, 상대적 전기 가격 표시 방법(예를 들면 "+30", "-20" 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LED나 FND를 이용하여 가격표시부(12)를 구현할 때의 장점은, LED나 FND는 시인성(視認性)이 우수하고 전력 소비가 현저히 적다는 점이다. 또한, LCD를 이용하여 가격표시부(12)를 구현할 때의 장점은 전력 소비가 현저히 적을 뿐만 아니라 문자나 그래픽을 이용하여 전기의 가격을 자유로운 형식으로 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격표시부(12)는 상기에 예시한 특정 전자 소자(LED, LCD, FND 등), 특정 색상의 LED, LCD에 표기되는 특정 형식의 문구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예시는 단지 가격표시부(12)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상기한 설명과 같이 다양한 전자 소자(LED, LCD, FND 등)를 이용하여 시각적 형태로 정보를 표기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전기, 전자 분야 및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고 실시되고 있는 주지 관용 기술이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콘센트에 구비된 전력표시단말기(10)는 단순히 가격 정보만을 표시할 경우 절전의 효과가 적으므로 전력을 근본적으로 단속할 수 있는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스위칭 수단으로는 전력제어부(13)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력제어부(13)는 상기 가격정보통신부(11)로부터 수신한 전기 가격이 기준가격을 초과하면 전기 소켓부(100)가 단전되어 부하장치(200)에 전력이 차단하고, 상기 가격정보통신부(11)로부터 수신한 전기 가격이 기준가격을 초과하지 않으면 전기 소켓부가 통전되어 부하장치에 전력이 공급되게 하는 전력 제어용 스위치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전력제어부(1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선과 전기 소켓부(10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력선이 전력제어부(13)로 입력되고 전력제어부(13)에서 출력되는 전력이 전기 소켓부(100)로 접속되도록 하여 전기 소켓부(100)에 접속된 부하장치(200)로 공급되는 전력선의 전력 공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제어부(13)는 전자석이나 반도체 등을 이용한 릴레이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부하장치(200)가 컴퓨터 등의 전산 장비일 경우, 또는 사용자가 직접 통제하고 있는 장치인 경우 등, 부하장치(200)의 종류나 사용상태 등에 따라서는 전기 가격이 기준가격을 초과하더라도 강제적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예를 들면, 컴퓨터 등의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갑자기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데이터가 손상되는 등 많은 피해를 입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전력표시단말기(10)에는 ① 상기 전력제어부(13)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기 가격이 기준가격을 초과하였다"는 취지의 정보(신호)를 사용자(또는 부하장치)에게 전송하며, ② 상기 전력제어부(13)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기 가격이 기준가격을 초과하였기에 소정시간 경과 후에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겠다"는 취지의 차단예고 정보(신호)를 부하장치(200)로 전송하는 부하장치통신부(14)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하장치통신부(14)는 ① 전기 가격이 상승하였음을 고지하여 사용자가 직접 전기사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거나, ② 상기 전력제어부(13)를 이용하여 부하장치(2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전에 부하장치(200)로 곧 전력을 차단할 예정이니 이에 대비하라는 경고신호를 부하장치(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기 소켓부(100)에 접속된 부하장치(200)가 개인용 컴퓨터인 경우 갑자기 전력을 차단한다면 컴퓨터 하드웨어에 무리가 갈 뿐만 아니라, 작업중인 데이터나 파일 등이 망실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부하장치(200)의 경우에는 자동으로 전력을 차단할 것이 아니라 전기 가격정보를 사용자(또는 부하장치)에게 알림으로써 고가의 전기를 계속 그대로 사용할 것인지, 전기 소비량을 줄일 것인지(냉난방기 경우), 아니면 부하장치(200)의 사용을 중지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결정하게 하게 하는 것이다. 반면, 예를 들어 부하장치(200)가 세탁기나 전기자동차, 냉난방기 등일 경우에는 [전자처럼 할 수도 있지만] 전력을 차단하기 전에 미리 이에 대해 부하장치(200)에게 전력이 차단됨을 예고하여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계속 부하장치(200)를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부하장치통신부(14)와 부하장치(200)는 다양한 통신 수단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 수단의 예로는 이더넷, Wi-Fi, RS-232, USB, 블루투스, 지그비, 전력선 통신, TTL 레벨 통신 등이 있다.
예를 들어 부하장치(200)가 개인용 컴퓨터인 경우에 USB 케이블을 물리적인 통신 매체로 이용하여 개인용 컴퓨터로 전력 차단에 대한 예고 정보를 전송하고, 개인용 컴퓨터는 이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전력 차단을 경고하고 작업중이던 파일을 하드디스크 등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한 후 안전하게 컴퓨터를 종료하거나, 사용자로 하여금 작업계속 여부를 결정하게 함으로써 자료의 망실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컴퓨터에는 상기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전력 차단 예고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스(process)가 부팅과 동시에 항시 실행되어 있어서, 상기 부하장치통신부(14)로부터 전력 차단에 대한 예고 정보가 수신되었을 때 곧바로 안전한 종료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하장치(200)가 TTL 레벨 신호로 ON/OFF 가능한 전기 제품인 경우에는 부하장치통신부(14)와 부하장치(200)간의 통신 수단(160)으로 TTL 레벨 신호의 전달이 가능한 도선을 이용하여 TTL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부하장치(200)를 OFF시킬 수 있을 것이고, 상기 부하장치(200)가 스마트 그리드 기술이 내장된 전기 제품인 경우에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수단으로 OFF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부하장치(200)를 안전하게 OFF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부하장치통신부(14)를 통해 ① 단순히, 전기 가격이 상승하였음을 고지하거나, ② 전기 가격이 상승하였기에 소정시간 이후에 전기를 차단할 예정이니 이에 대비하라는 경고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즉, 본 발명의 콘센트를 구성하는 상기 전력표시단말기(10)는 상기 가격정보통신부(11)로부터 수신된 전기 가격이 기준가격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고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경고부(15)는 상기 가격정보통신부(11)를 통하여 수신한 현재 전기 가격이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 가격을 초과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경고하며, 이를 위해 시각적 수단, 청각적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을 사용한다.
사용자에게 전기 가격의 상승에 대한 경고를 하기 위한 소정의 기준가격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평균 전기 가격보다 10% 이상 가격이 상승한 경우에 경고를 할 수도 있을 것이며, kWh당 가격이 특정 수치(예를 들면 kWh당 200원)를 초과하는 경우에 경고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에게 전기 가격의 상승에 대해 경고할 때에 사용되는 시각적 경고 수단의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LED)를 점등 또는 점멸할 수도 있을 것이며, LCD의 백라이트를 특정 색상으로 점등 또는 점멸함으로써 가격 상승에 대해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경고의 다른 방법으로는 LCD 화면 내에 특정 경고 문구(예를 들면 "전기 가격 상승 경고"와 같은 문구)를 표기하는 형태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시각적 경고 수단은 먼 거리에서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시인성(視認性)이 우수한 색상(예를 들면 적색 또는 등색)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각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경고부(15)를 구현할 경우에 이 경고부(15)를 가격표시부(12)와 동일한 시각적 표시 수단을 공유하여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예와 같이 LCD를 특정한 색상으로 점등 또는 점멸하거나 LCD에 특정 문구를 표시하는 경우가 그러한 예이다.
사용자에게 전기 가격의 상승에 대해 경고할 때에 사용되는 청각적 경고 수단의 예를 들면, 부저, 스피커 또는 이들과 균등한 수단을 이용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청각적 경고 수단을 이용할 때의 장점은 사용자가 경고수단을 항시 주시하고 있지 않더라도 청각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전기 가격의 상승에 대한 경고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가 사용자의 시야에 용이하게 들어오지 않는 곳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시각적 경고 수단보다 청각적 경고 수단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부저, 스피커 또는 이들과 균등한 수단을 이용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주지 관용 기술이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경고부(15)는 단순하게 전기 가격이 기준가격보다 높아진 것을 알리거나 또는 기 설정된 기준가격과 실제 전기가격을 모두 표시할 수 있으며, 전자의 경우에는 소리나 빛을 통해 단순히 알리는 수단으로 발광다이오드(LED)나 부져(BUZZER)가 사용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발광다이오드(LED), 액정 디스플레이(LCD), FND(Flexible Numeric Display)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콘센트를 구성하는 전력표시단말기(10)는 상기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논리, 산술 연산을 담당하는 중앙 제어부(1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16)는 상기 각 부를 제어하며 논리, 산술 연산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각 부를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외부 장치용 입출력 핀에 연결하여 정보 교환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중앙 제어부(16)를 구현하는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에 내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가 제어되므로, 세부적인 기능을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 조절 또는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기 가격이 평균 가격보다 10% 이상 비쌀 때에만 전력을 차단해야 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전기 가격이 평균 가격보다 10% 이상 저렴할 때에만 전력을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고, 현재 전기 가격에 상관없이 항시 전력을 공급해야 하는 상황도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다양한 상황에 따라 마이크로컨트롤러 내에 내장된 소프트웨어만 상황과 요구에 맞도록 교체, 변경 또는 설정하면 하드웨어 자체를 재설계 또는 변경할 필요 없이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전력표시단말기(10)는 콘센트와 분리되어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상기한 전력표시단말기(10)로 이를 기존의 콘센트의 일측에 설치할 수 있도록 콘센트와 분리하여 구성하거나 콘센트와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전기 소켓부(100)가 구비된 콘센트의 경우 상기 전력제어부(13)를 각 전기 소켓부(100)마다 따로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른 본 발명의 콘센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소켓부(100)가 구비된 콘센트에 있어서, 전기가격정보 제공장치(20)와 통신 수단으로 접속되어 전기 가격 정보를 수신하는 가격정보통신부(11)와 ; 상기 가격정보통신부(11)로부터 수신한 전기 가격이 기준가격을 초과하면 전기 소켓부(100)가 단전되어 부하장치(200)에 전력이 차단되게 하는 전력제어부(13)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전력제어부(13)는 상기 가격정보통신부(11)로부터 수신한 전기 가격이 기준가격을 초과하지 않으면 전기 소켓부(100)가 통전되어 부하장치(200)에 전력이 공급되게 제어한다.
이러한 전력제어부(13)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가격정보통신부(11)는 전기가격정보 제공장치(20)로부터 현재 전기 가격을 수신한다(S1). 이 때 현재 전기 가격 정보와 함께 표준 전기 가격 정보도 수신할 수 있으며, 가격표시부(12)는 상기 가격정보통신부(11)로부터 수신된 현재 전기 가격을 시각적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한다(S2).
상기 가격정보통신부(11)로부터 수신된 표준 전기 가격을 이용하여 현재 전기 가격이 평균 전기 가격과 대비하여 얼마나 비싸거나 저렴한지에 대한 정보도 함께 표기할 수도 있고, 상기 가격정보통신부(11)로부터 수신한 현재 전기 가격이 기 설정된 소정의 전기 기준가격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3).
만약, 현재 전기 가격이 기 설정된 소정의 전기 기준가격을 초과하였다면, 경고부(15)는 시각적 수단, 청각적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기 가격 상승에 대하여 경고한다(S4).
부하장치통신부(14)는 부하장치(2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기에 앞서 전력 공급을 차단하겠다는 예고 정보를 부하장치(200)로 송신한다(S5).
전력 차단 예고 신호를 전송한 후, 부하장치(200)가 전력 차단에 대비할 수 있도록 소정의 시간 여유(예를 들면 5분)를 준 뒤, 전력제어부(13)는 부하장치(2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S6).
만약 상기 S3 단계에서 현재 전기 가격이 기 설정된 소정의 전기 기준가격을 초과하지 않았다면, 전력제어부(13)는 부하장치(200)로의 전력 공급 차단을 해제한다(S7).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의 서로 다른 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로, 도 3에 도시한 콘센트는 벽과 같은 지지물에 고정 또는 매입되는 형태의 콘센트 또는 또 다른 콘센트의 소켓부에 접속되는 전력연장선이 구비되지 않은 것이고, 도 4는 전력연장선이 구비된 멀티탭에 대한 예시도이다.
단, 도 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를 실시하고자 하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 도면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도 3, 도 4에서 도시한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창작 능력에 따라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또는 전력연장선을 구비하지 않은 멀티탭은 종래의 콘센트처럼 부하장치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켓부(214)를 구비하고 있으며, 콘센트로 입력되는 전력선은 도 3에 도시한 콘센트의 후면부의 입력 단자(미도시)로 접속되는 것으로 한다.
도 3에 예시한 콘센트에는 LCD를 이용하여 가격표시부(213)가 구현되어 있어 가격정보통신부(11)를 통하여 전기가격정보 제공장치(20)로부터 수신한 현재 전기의 가격정보가 LCD에 표기되도록 하였다.
경고부(15)는 시각적 경고수단(211)과 청각적 경고수단(212)을 병용하여 구현되었다. 도 3의 시각적 경고수단(211)은 가격정보통신부(11)를 통해 수신한 현재 전기 가격이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 가격을 초과한 경우에 점등 또는 점멸하는 LED이며, 청각적 경고수단(212)은 가격정보통신부(11)를 통해 수신한 현재 전기 가격이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 가격을 초과한 경우에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저 또는 스피커이다.
상기한 예와 같이 경고부(15)는 시각적 경고수단(211)과 청각적 경고수단(212)을 병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가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지만 사용자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시인성이 우수한 색상의 LED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전기 가격 상승에 대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가 사용자와 근거리에 위치하지만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지 않는 곳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경고음을 통해 사용자가 전기 가격 상승에 대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가 설치되는 현장의 특성이나 제조 단가를 고려하여 시각적 수단 또는 청각적 수단 중 어느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도 3의 예에서 현재 전기 가격을 표시하기 위한 가격표시부(213)를 구성하는 LCD에 특정 문구를 이용하여 전기 가격 상승을 표기하거나, 특정 색상의 LCD 백라이트를 점등 또는 점멸함으로써 경고부(15)를 구현할 수도 있다는 사실 역시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에 도시된 전력연장선의 일측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용 멀티탭(3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전력연장선의 타측(미도시)에는 다른 콘센트의 소켓부에 삽입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플러그(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에 예시한 멀티탭은 종래의 멀티탭과 같이 부하장치 또는 다른 콘센트를 연결할 수 있는 소켓부(314)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있으며, 도 3에 예시한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와 같이 LCD를 이용하여 가격표시부(313)가 구성되어 있고, LED로 구성된 시각적 경고수단(311)과 부저 또는 스피커로 구성된 청각적 경고수단(312)을 이용하여 경고부(15)를 구현하였다. 이러한 각 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의 각 대응되는 부분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여 전기 가격정보 및 콘센트별 또는 콘센트의 소켓부마다의 전력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통신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예컨대 옥내의 모든 부하장치에 대한 전기사용에 관한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력제어정보는 부하 장치로의 전력 공급 여부와 부하 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전력제어정보를 홈오토메이션 게이트웨이로 전송하여 옥내의 모든 부하장치의 전력 제어 상태를 홈오토메이션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외부 단말기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전력제어정보를 스마트 미터기로 전송하고, 스마트 미터기는 다시 이 정보를 전력공급회사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전력공급회사는 옥내에서 사용중인 부하장치별 전력 사용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소켓마다 부하 장치의 종류를 지정하고 상기 전력제어정보를 원격 단말기로 전송할 때에 부하 장치의 종류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부하 장치의 종류별로 소비되는 전력량을 정확히 통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소켓을 구비한 콘센트의 경우 첫 번째 소켓에 연결된 부하 장치가 에어컨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단말기통신부는 첫 번째 소켓에서 에어컨으로의 전력 공급 여부, 소비 전력량 정보와 함께 부하 장치의 종류가 에어컨이라는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전력표시단말기
11 : 가격정보통신부 12 : 가격표시부
13 : 전력 제어부 14 : 부하장치통신부
15 : 경고부 16 : 중앙 제어부
20 : 전기가격정보 제공장치
210, 310 : 콘센트
211, 311 : 시각적 경고수단 212, 312 : 청각적 경고수단
213, 313 : 가격표시부 214, 314 : 소켓부
100 : 전기 소켓부
200 : 부하장치
310 : 스마트 그리드용 멀티탭

Claims (10)

  1. 외부의 전기가격정보 제공장치와 연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소켓부가 구비된 콘센트로서,
    (A) 상기 전기가격정보 제공장치와 통신수단으로 접속되어 전기 가격 정보를 수신하는 가격정보통신부; 및
    (B) 상기 가격정보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전기 가격 정보를 시각적 형태로 표시하는 가격표시부, 또는 상기 가격정보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전기 가격과 기준가격을 비교하여 부하장치로의 전력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전력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가격표시부와 전력제어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가격정보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전기 가격이 기준가격을 초과하지 않으면 전기 소켓부가 통전되어 부하장치에 전력이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부를 통하여 부하장치에 전력 공급을 차단하기 전에 부하장치가 전력 차단에 대하여 대비할 수 있는 전력 차단 예고 신호를 부하장치로 전송하는 부하장치통신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격정보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전기 가격이 기준가격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고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전기 가격 상승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 또는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시각적 또는 청각적 경고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격정보 통신수단은 지그비(zigbee), 전력선 통신(PLC)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부는 전기 소켓부마다 따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부는 전기 소켓부마다 따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여 가격정보 및 콘센트별 또는 콘센트의 소켓부마다의 전력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통신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
KR1020100011080A 2010-02-05 2010-02-05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 KR101092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080A KR101092423B1 (ko) 2010-02-05 2010-02-05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080A KR101092423B1 (ko) 2010-02-05 2010-02-05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307A true KR20110091307A (ko) 2011-08-11
KR101092423B1 KR101092423B1 (ko) 2011-12-13

Family

ID=4492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080A KR101092423B1 (ko) 2010-02-05 2010-02-05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4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897B1 (ko) * 2013-11-12 2014-04-29 (주)성진엠케이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KR20170001522A (ko) 2015-06-27 2017-01-04 김일환 스마트 전기 콘센트
WO2023010154A1 (en) * 2021-08-02 2023-02-09 Rheem Australia Pt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electrical appliances to an electrical gri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236Y1 (ko) * 1997-03-07 2000-12-01 전관재 전력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안전 탭
KR100887919B1 (ko) * 2007-04-30 2009-03-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탭 제어 시스템
KR100909598B1 (ko) * 2009-05-21 2009-07-24 (주)다산지앤지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및 소비전력 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897B1 (ko) * 2013-11-12 2014-04-29 (주)성진엠케이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KR20170001522A (ko) 2015-06-27 2017-01-04 김일환 스마트 전기 콘센트
WO2023010154A1 (en) * 2021-08-02 2023-02-09 Rheem Australia Pt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electrical appliances to an electrical gr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2423B1 (ko) 201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93233B (zh) 管理局域电力网络中使用的电力
US10069332B2 (en) Electrical power status indicator
CA2787310A1 (en) Wireless annunciator for an electrical generator
US9847628B2 (en) Plug and power distribution and control apparatus
US20140277800A1 (en)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 Structure
KR101092423B1 (ko) 스마트 그리드용 콘센트
KR101596345B1 (ko) 스마트 그리드를 이용한 통합 전력 관리 시스템
KR100994375B1 (ko) 스마트 미터가 내장된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JP6179590B2 (ja) 連携アダプタ、分電盤、分電盤システム
US20200106223A1 (en) Remote sensing unit
WO2010089438A1 (es) Micro contador de consumo de energía eléctrica
KR20110069574A (ko) 착탈가능한 통신모뎀이 장착된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101095439B1 (ko) 스마트전력제어시스템
KR20110111050A (ko) 대기전력 개별 제어 시스템
CN205123407U (zh) 基于远程网络控制的金融网点低压配电智能系统
KR101176972B1 (ko) 스마트 그리드용 스위치
US20100106340A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consumption of a utility
JP2012005250A (ja) 電源遮断装置、テーブルタップおよび分電盤
CN109947033A (zh) 一种控制电路板及控制系统
CN203276007U (zh) 基于can总线的智能数据采集监控装置
KR20120100852A (ko) 스마트 그리드용 절전 장치
CN208862636U (zh) 变电站直流电源智能测控装置
US8995105B2 (en) Device control modules for demand management systems
KR20170128802A (ko) 개별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CN201383680Y (zh) 智能电源柜控制系统、以及带该系统的电源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