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252A -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을 함유한 서방성 면역 억제제 - Google Patents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을 함유한 서방성 면역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252A
KR20110091252A KR1020100010994A KR20100010994A KR20110091252A KR 20110091252 A KR20110091252 A KR 20110091252A KR 1020100010994 A KR1020100010994 A KR 1020100010994A KR 20100010994 A KR20100010994 A KR 20100010994A KR 20110091252 A KR20110091252 A KR 20110091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ycophenolate mofetil
present
release
weight ratio
sustai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상
주재량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0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1252A/ko
Publication of KR20110091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25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을 포함하는 서방성 면역 억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서방성 고분자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이용하여 약물의 용출 패턴을 개선할 수 있는 제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면역 억제제는 체내에 투여 시에 속방형 면역 억제제와 비교하여 위장관계 부작용 감소 특성과 효과 및 작용 지속 기간이 현저하고, 보다 추가적으로 증진되어져 활성성분의 일일 투여횟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 뿐 아니라 다른 난용성 약물에도 비교적 쉽게 적용이 가능한 진보된 가용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을 함유한 서방성 면역 억제제{A sustained releasing agent of an immunosuppressant comprising mycophenolate mofetil}
본 발명은 서방성 면역 억제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내에 투여 시에 속방형 면역 억제제와 비교하여 위장관계 부작용 감소 특성과 효과 및 작용 지속 기간이 현저하고, 보다 추가적으로 증진되어져 활성성분의 일일 투여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서방성 면역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은 약학적 유용성, 예를 들어 항종양성, 항바이러스성, 면역 억제성, 항건선성, 및 항염증성 활성을 보유한 약제이다. 화학명 6-(1,3-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6-메톡시-7-메틸-3-옥소-5-이소벤조 푸라닐)-4-메틸-4-헥센산으로서 공지된 미코페놀산(MPA)은 최초로 페니실리움 브레비콤팍툼(Penicillium brevicompactum)의 발효 육즙 내에서 발견되는 활성이 약한 항생제로서 기재되어 있다. MPA 및 다음 구조식을 갖는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MPA의 모르폴리노에틸 에스테르, 화학명 모르포리노에틸 E-6-(1,3-디하이드로-4-하이드록시-6-메톡시-7-메틸-3-옥소-5-이소벤조 푸라닐)-4-메틸-4-헥세노에이트로 공지됨] 등의 관련 화합물들은, 예를 들어 면역 억제 약물 등의 치료에 사용하기에 특히 유리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보다 최근에 기재되어 있다[본원에서 전문이 참조 문헌으로서 인용되는 미국 특허 제3,880,995호, 미국 특허 제4,727,069호, 미국 특허 제4,753,935호 및 미국 특허 제4,786,637호.
Figure pat00001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은 장기이식 후 환자가 평생을 복용해야 하는 약물로 위장관 장애 등이 그 부작용으로 지적되어 왔다. 설사, 위식도 역류, 복통 등이 대표적인 위장관 부작용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부작용은 장기적으로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 복용의 감량 또는 중단을 야기함으로써 이식편 소실 및 환자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이식환자의 약 45% 가량이 이러한 위장관 부작용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소화기계 약물을 병용함으로써 전체 치료비용 또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의 조절 방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내이용율이 개선된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의 서방성 제형에 관한 것이다.
정제는 히드로겔에 분산된 고체 분산물로 정의된 정제 코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정제에서는, 물을 흡수하면 팽창되어 히드로겔을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나 고분자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투여형으로 압축된다. 이와 같은 투여형으로부터의 활성 성분 방출 속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제 표면의 침식에 의해서, 또는 팽창된 정제로부터 분산에 의해 조정된다. 활성 성분의 방출 속도는 사용되는 고분자의 고유 점도에 의해서, 또는 정제당 고분자의 양에 의해서 조정될 수도 있다.
수팽윤성(water swellable) 고분자는 5 내지 75 중량비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가 적합하다. 알맞게는, HPMC 또는 그 외의 수팽윤성 셀룰로오스 고분자가 5 내지 75 중량비, 좀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중량비로 함유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HPMC의 특히 바람직한 유형은 Methocel이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되는 HPMC이다. HPMC 또는 그 외의 수팽윤성 고분자의 사용량은 그의 점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도가 큰 고분자일수록 바람직한 방출 특성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고분자 양이 좀더 적다. 바람직한 Methocel은 Methocel 100M, 4,000M, 15,000M 센티푸아즈의 점도를 갖는 등급이다. 그 외의 적절한 Methocel은 바람직한 방출 특성에 따라, Methocel K4M, K100LV 또는 E, F 및 J 등급들이다. 상기한바와 같이, 히드로겔은 정제를 팽창시켜, 정제으로부터의 확산 및 정제 표면의 침식에 의한 조정된 방식으로 약물을 방출시킨다. 다양한 고유 점도의 셀룰로오스 고분자가 용해 속도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제화의 목적을 위해서는, 미결정 셀룰로오스, 좀더 바람직하게는 아비셀®(avicel)이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되는 미결정 셀룰로오스, 예컨대 아비셀 PH101과 같은 압축제 또는 희석제를 사용하는 것도 또한 통상적이다.
또한 정제의 일정 경도 유지를 위해 소량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염 (Magenesium stearate)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체내에 투여 시에 속방형 면역 억제제와 비교하여 위장관계 부작용 감소 특성과 효과 및 작용 지속 기간이 현저하고, 보다 추가적으로 증진되어져 활성성분의 일일 투여횟수를 감소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음과 같은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을 포함하는 면역 억제제.
(2) 상기 (1)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있어서,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이 50 내지 80 중량비,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100M, 4,000M, 15,000M)가 0 내지 30 중량비, 아비셀® PH-101이 3 내지 30 중량비, 포비돈이 0 내지 10 중량비,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염이 1 중량비로 함유된 면역 억제제.
(3) 상기 (1) 내지 (2)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있어서,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이 62.5 중량비,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15,000M)가 10.0 중량비, 아비셀® PH-101이 21.5 중량비, 포비돈이 5.0 중량비,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염이 1.0 중량비로 함유된 면역 억제제.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의하면, 체내에 투여 시에 속방형 면역 억제제와 비교하여 위장관계 부작용 감소 특성과 효과 및 작용 지속 기간이 현저하고, 보다 추가적으로 증진되어져 활성성분의 일일 투여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인공위액 pH 1.2 900 mL에서 시험시작 후 2 시간, 이 후 인산염완충액 pH 6.8 900 mL에서 24시간까지의 실시예 1의 정제의 용출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인공위액 pH 1.2 900 mL에서 시험시작 후 2 시간, 이 후 인산염완충액 pH 6.8 900 mL에서 24시간까지의 선행기술에 따라 제조, 시판되는 조성물(대조제제, CELLCEPT®)과 실시예 2의 정제의 용출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선행기술에 따라 제조, 시판되는 조성물(대조제제, CELLCEPT®)과 실시예 2-3의 정제의 제제 투여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이 포함된 서방성 면역 억제제를 포함한다.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은 결정성의 백색 가루형이다. 중성 pH의 물에서는 용해도가 낮은 반면(43 ug/mL, pH 7.4), 산성 pH의 물에서는 용해도가 증가한다(4.27 mg/mL, pH 3.6). 그러므로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을 함유한 제형이 경구로 투약되었을 경우 통과하는 위장관계의 환경에 따라 약물의 용출속도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제는 히드로겔에 분산된 고체 분산물로 정의된 정제 코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정제에서는, 물을 흡수하면 팽창되어 히드로겔을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나 고분자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투여형으로 압축된다. 이와 같은 투여형으로부터의 활성 성분 방출 속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제 표면의 침식에 의해서, 또는 팽창된 정제로부터 분산에 의해 조정된다. 활성 성분의 방출 속도는 사용되는 고분자의 고유 점도에 의해서, 또는 정제당 고분자의 양에 의해서 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의 특히 바람직한 유형은 Methocel이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되는 HPMC이다. HPMC 또는 그 외의 수팽윤성 고분자의 사용량은 그의 점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도가 큰 고분자일수록 바람직한 방출 특성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고분자 양이 좀더 적다. 바람직한 Methocel은 Methocel 100M, 4,000M, 15,000M 센티푸아즈의 점도를 갖는 등급이다. 그 외의 적절한 Methocel은 바람직한 방출 특성에 따라, Methocel K4M, K100LV 또는 E, F 및 J 등급들이다. 상기한바와 같이, 히드로겔은 정제를 팽창시켜, 정제으로부터의 확산 및 정제 표면의 침식에 의한 조정된 방식으로 약물을 방출시킨다. 다양한 고유 점도의 셀룰로오스 고분자가 용해 속도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서방성 제제는 체내에 투여 시에 속방형 면역 억제제와 비교하여 위장관계 부작용 감소 특성과 효과 및 작용 지속 기간이 현저하고, 보다 추가적으로 증진되어져 활성성분의 일일 투여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필요에 따라 방부제, 용해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감미제, 착색제, 향미제, 삼투압 조절제, 완충제, 코팅제 및/또는 산화방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라 처방될 수 있는 제형의 구체적인 바람직한 제형의 예를 들면,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이 50 내지 80 중량비,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100M, 4,000M, 15,000M)가 0 내지 30 중량비, 아비셀® PH-101이 3 내지 30 중량비, 포비돈이 0 내지 10 중량비,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염이 1 중량비로 함유된 면역 억제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정제를 제조하였다.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아비셀® PH-101 및 포비돈을 유동층 과립-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화시키고, 건조하였다. 체로 쳐서 직경이 200 ~ 500 um인 과립을 얻어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염(magnesium stearate)과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타정기를 이용하여 각각 400 ㎎의 정제로 타정하였다.
원료 1정제당 함량(mg)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 250.0 250.0 250.0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60.0
(HPMC 100M)
60.0
(HPMC 4,000M)
60.0
(HPMC 15,000M)
아비셀® PH-101 66.0 66.0 66.0
포비돈 20.0 20.0 20.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염 4.0 4.0 4.0
합계 400.0 400.0 400.0
하기 표2에 기재된 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정제를 제조하였다.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아비셀® PH-101 및 포비돈을 유동층 과립-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화시키고, 건조하였다. 체로 쳐서 직경이 200 ~ 500 um인 과립을 얻어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염(magnesium stearate)과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타정기를 이용하여 각각 400 ㎎의 정제로 타정하였다.
원료 1정제당 함량(mg)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실시예 2-5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 250.0 250.0 250.0 250.0 250.0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HPMC 15,000M)
0.0 20.0 40.0 60.0 80.0
아비셀® PH-101 126.0 106.0 86.0 66.0 46.0
포비돈 20.0 20.0 20.0 20.0 20.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염 4.0 4.0 4.0 4.0 4.0
합계 400.0 400.0 400.0 400.0 400.0
상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정제는 별도의 코팅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외부 습기에 의해 조합 제제내의 약물이 변성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 용출시험 >
하기의 시험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제제의 현저한 특성을 입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정제를 각각 대한약전 8개정의 용출시험 패들법에 준하여 50 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인공위액 pH 1.2 900 mL에서 시험시작 후 2 시간, 이 후 인산염완충액 pH 6.8 900 mL에서 24 시간까지 용출시험을 진행하며 시료를 분취하여 자외-가시선 분광광도계(UV-Vis Spectrophotometer)에 의해 각 약물의 용출률을 측정하였다.
도 1은 실시예 1의 정제를 인공위액 pH 1.2 900 mL에서 시험시작 후 2 시간동안 용출시험한 후 인산염완충액 pH 6.8 900 mL에서 24 시간까지 용출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의 결과에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의 점도가 높을수록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의 용출속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도 2는 선행기술에 따라 제조, 시판되는 조성물(대조제제, CELLCEPT® 250 mg 1정)과 실시예 2의 정제를 인공위액 pH 1.2 900 mL에서 시험시작 후 2 시간동안 용출시험한 후 인산염완충액 pH 6.8 900 mL에서 24 시간까지 용출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의 결과에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의 중량비가 높을수록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의 용출속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의 결과에 따르면,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는 정제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의 점도와 중량비에 따라 용출속도를 조절하기가 용이하고 이를 이용하여 목표한 약효능을 달성할 수 있음을 기대하게 한다. 또한, 실시예 2-1의 경우 대조제제와 용출패턴이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 제제 투여 실험 >
선행기술에 따라 제조, 시판되는 조성물(대조제제, CELLCEPT®)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시험제제, 실시예 2-3)의 개에서의 생체내이용율 비교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동물로는 10 마리의 개(수컷, 체중 11.0 내지 15.0 ㎏)를 사용하며, 5 마리를 한그룹으로 하여 2 주간의 휴약기간을 두고 교차시험법을 수행하였다. 시험조성물의 투약 18 시간 전부터는 물 이외에는 어떤 음식물도 섭취하지 않도록 하였으며 개 1 마리의 체중당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로서 20 ㎎/㎏ 에 해당하는 제제로 투여한 후 물 50 mL 씩을 공급하였다. 약제투여 4 시간 후부터 음식물을 공급하였다. 약제의 투여 전에 공시험용 혈액을 취하였고, 약제를 투여한 후 정해진 시간마다 복대정맥에서 혈액 2 mL 씩 채혈하였다. 채혈한 혈액은 -18 ℃ 에서 냉동보관하였으며 분석은 RIA 분석하였다.
대조제제 시험제제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AUC(0-24 hr )(nghr/mL) 18226 2687 26155 4913
Cmax(ng/mL) 7134 932 4539 843
Tmax(hr) 1.5 4
표 3과 도 3은 10 마리의 개에 대하여 상기의 방법으로 두가지 조성물을 투여한 결과를 나타낸 표와 그래프이다. 표 3과 도 3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면역 억제제가 선행기술에 따르는 시판제제와 비교할 때 실질적으로 1.4 배 이상에 달하는 약물의 흡수패턴를 보이고 있다. 또한 대조제제에 비해 시험 약물의 혈중농도가 서서히 증가하고 치료범위(therapeutic window) 내에서 장시간 유지하는 것으로 보아 시험제제의 서방형의 약물용출로 인한 위장관계 부작용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는 결과를 나타냈음을 시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는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 함유 서방성 면역 억제제는 선행기술의 제제와 1.4 배 이상 수준의 신뢰성 있는 약물학적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선행기술의 제제들이 가지고 있는 전술한 바와 같은 여러가지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우수한 제제임이 명백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을 포함하는 면역 억제제.
  2. 제 1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이 50 내지 80 중량비,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가 0 내지 30 중량비, 아비셀® PH-101이 3 내지 30 중량비, 포비돈이 0 내지 10 중량비,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염이 1 중량비로 함유된 면역 억제제.
  3. 제 1항 내지 제 2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이 62.5 중량비,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15,000M)가 10.0 중량비, 아비셀® PH-101이 21.5 중량비, 포비돈이 5.0 중량비,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염이 1.0 중량비로 함유된 면역 억제제.
KR1020100010994A 2010-02-05 2010-02-05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을 함유한 서방성 면역 억제제 Ceased KR20110091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994A KR20110091252A (ko) 2010-02-05 2010-02-05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을 함유한 서방성 면역 억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994A KR20110091252A (ko) 2010-02-05 2010-02-05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을 함유한 서방성 면역 억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252A true KR20110091252A (ko) 2011-08-11

Family

ID=44928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994A Ceased KR20110091252A (ko) 2010-02-05 2010-02-05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을 함유한 서방성 면역 억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125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0022A3 (en) * 2017-03-13 2018-11-08 Okava 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elivering mycophenolic acid active agents to non-human mammals
US10835489B2 (en) 2018-03-09 2020-11-17 University Of Saskatchewan Modified release formulations of mycophenolate mofetil
JP2022506007A (ja) * 2018-09-07 2022-01-17 オカヴァ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ミコフェノール酸活性剤を非ヒト哺乳動物に送達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0022A3 (en) * 2017-03-13 2018-11-08 Okava 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elivering mycophenolic acid active agents to non-human mammals
JP2020510691A (ja) * 2017-03-13 2020-04-09 オカヴァ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非ヒト哺乳動物にミコフェノール酸活性剤を送達す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US11633378B2 (en) 2017-03-13 2023-04-25 Okava 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elivering mycophenolic acid active agents to non-human mammals
US11786505B2 (en) 2017-03-13 2023-10-17 Okava 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elivering mycophenolic acid active agents to non-human mammals
AU2018236225B2 (en) * 2017-03-13 2023-11-30 Okava 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elivering mycophenolic acid active agents to non-human mammals
US10835489B2 (en) 2018-03-09 2020-11-17 University Of Saskatchewan Modified release formulations of mycophenolate mofetil
JP2022506007A (ja) * 2018-09-07 2022-01-17 オカヴァ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ミコフェノール酸活性剤を非ヒト哺乳動物に送達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8045B1 (ko) 3-(3-디메틸아미노-1-에틸-2-메틸-프로필)페놀을 함유하고활성 성분의 방출이 지연되는 약제
JP3806740B2 (ja) 薬剤運搬組成物
EP2057984B1 (de) Retardtabletten mit Hydromorphon
AU2008310735B2 (en) Methods of treating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dependent of the intake of food
TWI827535B (zh) 乳酸鈣組成物及使用方法
EP0311582A1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 with extended release of a dihydropyridine and a beta-adrenoreceptor antagonist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MX2010009704A (es) Composiciones farmaceuticas de liberacion modifcada que comprenden micofenolato y procesos de estas.
WO2002092078A1 (en) Oral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one-a-day therapy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cardiac and circulatory diseases
AU2002314515A1 (en) Oral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one-a-day therapy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cardiac and circulatory diseases
JPWO2005092336A1 (ja) 溶出制御製剤とその製造方法
WO2006108519A1 (de) Kombination zur therapie bei benigner prostatahyperplasie
US2023019073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nitroxoline prodrug,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for
NO323230B1 (no) Mikrogranulater for kontrollert frigjoring for oral administrering som inneholder cisplatin, farmasoytiske preparater derav og anvendelse derav.
AU2017304029B2 (en) Formulation having improved pH-dependent drug-release characteristics, containing esomeprazol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KR102727681B1 (ko) 덱스란소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안정한 경구투여용 약학 제제
CZ20024216A3 (cs) Přípravky s chinolonovými antibiotiky s prodlouženým účinkem a způsob jejich výroby
KR101912191B1 (ko)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EP2968179B1 (en)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dosage forms
KR20110091252A (ko)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을 함유한 서방성 면역 억제제
KR20100025427A (ko) 체내 흡수가 증진된 탈니플루메이트 함유 서방정
EP2386302A1 (en) A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dosage form of trimetazidine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EP0373417A1 (en) Sustained release diltiazem formulation
DE60319983T2 (de) Universelle Zusammensetzung zur kontrollierten Wirkstoffabgabe enthaltend Chitosan
KR20050097269A (ko) 메트포르민의 경구투여용 서방성 제제
JP7218372B2 (ja) エベロリムスを含む安定化した薬剤学的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8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