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054A - Surgery apparatus for suturing - Google Patents

Surgery apparatus for sutu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054A
KR20110091054A KR1020100010679A KR20100010679A KR20110091054A KR 20110091054 A KR20110091054 A KR 20110091054A KR 1020100010679 A KR1020100010679 A KR 1020100010679A KR 20100010679 A KR20100010679 A KR 20100010679A KR 20110091054 A KR20110091054 A KR 20110091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needle
push
pair
nee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6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32070B1 (en
Inventor
박상윤
임명철
김광기
남경원
김현호
Original Assignee
국립암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암센터 filed Critical 국립암센터
Priority to KR1020100010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070B1/en
Publication of KR20110091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0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0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2Needle manip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61B2017/0472Multiple-needled, e.g. double-needled,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61B2017/0474Knot push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sealing apparatus for operation is provided to improve convenience and to reduce a level of difficulty of surgical operation by gradually releasing sealing needles after detachably connecting sealing needle assembly. CONSTITUTION: A sealing apparatus for operation a body portion, a sealing needle assembly, a tightening supporting member(400), a needle push portion(500), an elastic member(700), and a push controlling portion(900). The body portion comprises a first main body part(120), a second body portion(140), and a projection reception portion. The projection reception portion detachably connects with the sealing needle assembly of the second body portion. The sealing needle assembly comprises a cartridge and a projection.

Description

수술용 봉합장치{SURGERY APPARATUS FOR SUTURING}Surgical Suture Device {SURGERY APPARATUS FOR SUTURING}

본 발명은, 수술용 봉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 시 절개된 부위를 봉합하는 수술용 봉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sutur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rgical suture device for closing the incision site during surgery.

일반적인 개복 절개 수술의 경우, 절개 부위가 크기 때문에 수술 후 커다란 흉터가 남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개복 절개 수술 시, 절개 부위가 크기 때문에 발생하는 출혈량이 많은 단점도 있다.In the case of general open surgery, a large scar remains after surgery due to the large incision site. In addition, during open surgery,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large amount of bleeding occurs due to the large incision site.

그래서, 최근 개복 절개 수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소 침습 수술(MIS: Minimal Invasive Surgery) 및 무흉터 수술(NOTES: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등의 새로운 수술 기법이 개발되어 시술되고 있다.Therefore, recently, new surgical techniques such as Minimal Invasive Surgery (MIS) and Natural Scarific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NOTES) have been developed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open surgery.

예를 들면, 최소 침습 수술은 수술을 위해 필요한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가늘고 긴 수술 도구들을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에 최소한의 부위만을 절개하여 시술하는 수술 기법이다.For example, minimally invasive surgery is a surgical technique in which only a minimal portion of the incision is performed on a patient's body using long, thin surgical tools specifically designed to minimize the incision required for surgery.

그리고, 무흉터 수술은 환자의 체내에 있는 시술 부위로 수술 도구를 이송하기 위해 환자의 신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구멍(예, 항문, 식도, 질 등)을 통해 수술 도구를 인입시켜 시술하는 수술 기법이다.In addition, scarless surgery is a surgical technique in which a surgical tool is inserted through a hole (eg, anus, esophagus, vagina, etc.) naturally present in the patient's body to transfer the surgical tool to a surgical site within the patient's body. to be.

이러한 최소 침습 수술 및 무흉터 수술은 시술을 위해 필요한 절개 부위가 적고, 시술 시 출혈량이 개복 절개 수술 대비 현저히 적은 장점이 있다. 또한, 최소 침습 수술 및 무흉터 수술은 수술 후 환자의 회복 기간이 빠르고 외부로 노출되는 흉터가 작다는 장점도 있다.Such minimally invasive surgery and scar-free surgery has the advantages of less incision site required for the procedure, and significantly less bleeding during the procedure compared to laparotomy. In addition, minimally invasive surgery and scar-free surgery has the advantage that the recovery period of the patient after the operation is fast and the scar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is small.

한편, 최소 침습 수술 및 무흉터 수술은 환자의 신체 절개 부위가 개복 절개 수술에 비해 현저히 작고, 환자의 신체 내부에서 절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강경 수술 도구 등을 이용하여 의료용 봉합사로 절개 부위를 봉합한다.On the other hand, minimally invasive surgery and scar-free surgery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incision of the patient's body incision, because the incision is made inside the patient's body suture the incision with a medical suture using a laparoscopic surgical tool.

그런데, 종래의 최소 침습 수술 및 무흉터 수술 기법에 의해 절개된 부위의 봉합은 복강경 수술 도구를 이용하여 의료용 봉합사를 잡고 한땀씩 꿰매는 방식으로 봉합하여 봉합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uture of the incision site by the conventional minimally invasive surgery and scar-free surgery technique has a problem that the suture time is increased by holding the medical suture using a laparoscopic surgical tool and stitched by stitching.

또한, 복강경 기구를 이용하여 봉합침을 잡고 꿰매는 고난도의 작업을 반복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봉합 시간 증가 이외에 시술자의 피로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of the high difficulty of holding and sewing the suture needle using a laparoscopic apparatus is repeated, there i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fatigue of the operator in addition to the increase of the suture time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개 부위의 봉합 시 봉합 시간 감소 및 시술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수술용 봉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rgical suture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reduce the suture time and reduce the fatigue of the operator when the incision is closed.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며 적어도 한 쌍의 봉합침 및 상기 한 쌍의 봉합침을 각각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가 수용되는 봉합침 조립체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봉합침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봉합침을 상기 봉합침 조립체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키는 니들 푸시부와, 상기 니들 푸시부와 연결되고 한 쌍의 상기 봉합침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한 쌍의 상기 봉합침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기 니들 푸시부에 의해 제공되는 가압력의 제공위치를 조절시키는 푸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ture assembly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he suture assembly is accommodated at least one pair of suture needles and a suture interconnecting the pair of suture needles, A needle push par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and providing a pressing force to the suture needle to release the suture needle to the outside from the suture needle assembly; and a pair of the suture needles connected to the needle push part and sequentially released It is made by a surgical sutu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ush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force provided by the needle push unit selectively with respect to the pair of suture needles.

여기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니들 푸시부 및 상기 푸시 조절부가 내부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통 형상으로 마련된 제1몸체부와, 일측은 상기 봉합침 조립체가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1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봉합침에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니들 푸시부가 왕복 이동되도록 통 형상으로 마련된 제2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body portion provided in a tubular shape so that the needle push portion and the push adjusting portion reciprocate in the inside, one side is mounted with the suture needle assembly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uture The needle push unit may include a second body portion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o reciprocate to provide a pressing force to the needle.

상기 봉합침 조립체는 상기 봉합침 및 상기 봉합사가 상기 니들 푸시부에 의해 방출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상기 제2몸체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ture needle assembly may include a cartridge in which the suture needle and the suture are releasably received by the needle push portion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portion.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몸체와,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내부에 한 쌍의 상기 봉합침이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니들 수용부와, 한 쌍의 상기 니들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봉합침들을 상호 연결한 상기 봉합사를 수용하는 봉합사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cartridge is formed between the cartridge body, a pair of needl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each of the pair of the suture needle in the interior of the cartridge bod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air of the needle receiving portion It may include a suture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suture interconnected the suture needles.

상기 니들 수용부들과 상기 봉합사 수용부 사이에는 상기 니들 수용부들과 상기 봉합사 수용부가 상호 연통되는 연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홈은 상기 봉합침의 지름보다는 작고 상기 봉합사의 지름보다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A communication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needle receiving portion and the suture receiving portion to communicate with the needle receiving portion and the suture receiving portion. The communicating groove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ture needle an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ture thread.

바람직하게 상기 봉합침 조립체와 상기 제2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와 맞물리는 돌기수용부가 마련되어, 상기 봉합침 조립체와 상기 제2몸체부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Preferably, one of the suture needle assembly and the second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that engages with the projection portion, the suture needle assembly and the second body portion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hav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돌기부와 상기 돌기수용부는 상호 상기 니들 푸시부의 왕복 이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protrusion part and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needle push part.

상기 수술용 봉합장치는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와 상기 돌기수용부의 체결 시, 상기 제2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어 상기 돌기부와 상기 돌기수용부의 상호 체결 방향으로의 이탈을 저지 및 허용하기 위해 상기 돌기부와 상기 돌기수용부의 체결 영역을 수용 및 수용 해제하는 체결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rgical suture device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when the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the reciprocating movem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is mutually the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support member configured to receive and release the fastening area of the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in order to prevent and allow deviation in the fastening direction.

그리고, 상기 니들 푸시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돌출되어 시술자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고 상기 봉합침들에 접촉되어 상기 가압부로부터 전달된 가압력을 각각의 상기 봉합침으로 제공하는 푸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edle push part protrudes outside the body part to be pressed by an operator, and provides press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pressing part to each of the sewing needles connected to the pressing part and in contact with the suture needles. It may include a push unit.

바람직하게 상기 푸시부는 상기 가압부에 대해 편심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ush portion may be disposed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pressing portion.

또한, 상기 니들 푸시부는 상기 가압부에 수용되며, 상기 푸시부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푸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needle push part may further include a push guide part accommodated in the pressing part and in which a guide hole for reciprocating the push part is formed.

상기 제2몸체부 내부와 상기 푸시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에는 이동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와 맞물려서 상기 니들 푸시부의 왕복 이동에 따른 편심을 방지하는 가이드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of the in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push guide portion is formed with a moving guide portion protruding, and the other is formed with a guide receiving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moving guide portion to prevent the eccentricity due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needle push portion Do.

상기 푸시 조절부는 상기 니들 푸시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니들 푸시부의 길이 방항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푸시부가 상기 봉합침들의 선단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푸시부의 위치를 조절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ush adjuster is configur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pusher so that the connecting part is connected to the needle pusher and protrudes from the connecting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needle pusher, and the pusher is selectively positioned at the tip of the suture needles.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여기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니들 푸시부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봉합침들에 대해 상기 푸시부를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djusting uni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the needle push unit to selectively position the push unit with respect to the suture needles.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니들 푸시부가 상기 봉합침을 가압하는 가압위치와 상기 봉합침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는 가압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reciprocate between the pressing position for pressing the needle push portion and the pressing release position for releasing the pressing force on the suture needle.

한편,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몸체부와, 한 쌍의 봉합침 및 상기 한 쌍의 봉합침를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로 이루어진 단위체가 적어도 하나 수용되며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리지를 갖는 봉합침 조립체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봉합침에 가압력이 제공되도록 편심 배치되는 푸시부를 가지고 상기 봉합침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봉합침을 상기 봉합침 조립체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키는 니들 푸시부와, 상기 니들 푸시부와 연결되고 한 쌍의 상기 봉합침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상기 니들 푸시부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한 쌍의 상기 봉합침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기 푸시부의 위치를 조절시키는 푸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unit consisting of a body portion, a pair of sutures and a suture interconnecting the pair of suture needles is accommodated and detachable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 suture needle assembly having a cartridge coupled thereto and a push portion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eccentrically disposed so as to provide a pressing force to the suture needle, thereby providing a force to the suture needle to move the suture needle out of the suture needle assembly. A needle pusher for discharging and a position of the pusher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pair of suture needles by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the needle pusher so as to b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needle pusher and the pair of suture needles are sequentially released It is also made by a surgical sutu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ush control unit.

또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며 적어도 한 쌍의 봉합침 및 상기 한 쌍의 봉합침을 각각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가 수용되는 봉합침 조립체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봉합침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한 쌍의 상기 봉합침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기 봉합침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봉합침을 상기 봉합침 조립체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키는 니들 푸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suture assembly is mounted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suture assembly is accommodated at least a pair of suture needles and a pair of sutures interconnecting the pair of suture needles, respectively. And providing a pressing force to the suture needle selectively with respect to the pair of suture needles so that the suture needle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the pair of suture needles are sequentially released. It is also made by a surgical suture device comprising a needle push to release.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따라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한 쌍의 봉합침 및 이를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로 이루어진 단위체가 수용된 봉합침 조립체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봉합침을 순차적으로 방출시킴으로써, 시술의 난이도를 감소시킴과 함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술용 봉합장치가 제공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olution of the problem, by detachably combining the suture needle assembly containing a unit consisting of a pair of suture needles and sutures interconnecting them by releasing the suture needles sequentially, reducing the difficulty of the procedure and Surgical suture device is provided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together.

또한, 기존 복강경 수술도구의 단점을 극복하여 봉합침의 순차적인 방출과 봉합침 상호 간의 매듭에 의해 절개 부위의 봉합이 이루어지므로, 봉합에 따른 시술 소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술용 봉합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overcoming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laparoscopic surgical instruments is the suture of the incision site is made by the sequential release of the suture needle and the knot between the suture needle, providing a surgical suture device that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dure do.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봉합침 조립체의 제1투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봉합침 조립체의 제2투시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봉합침 조립체와 몸체부의 결합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봉합침 조립체와 몸체부의 결합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제2몸체부에 대한 투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니들 푸시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A 및 B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니들 푸시부 확대 결합 투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봉합침 조립체의 정면도,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작동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rgical su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rgical su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irst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a suture needle assembly of a surgical sut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perspective view of the suture needle assembly of the surgical sut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suture needle assembly and the body of the surgical sut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suture needle assembly and the body portion of the surgical su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body portion of the surgical sut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needle push unit of the surgical su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reas A and B shown in FIG. 11;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eedle push unit expansion coupling perspective view of the surgical su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ront view of the suture needle assembly of the surgical sutur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to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surgical su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구성 및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embodiments are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For referenc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는 부인과 시술 중 복강경을 통한 자궁 절제 시술 시 자궁 절제부를 봉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됨을 미리 밝혀둔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surgical sutur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order to suture the hysterectomy during laparoscopic hysterectomy during gynecological proced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한 부호로 기재되었음을 미리 밝혀둔다. 단, 본 발명의 돌기수용부 및 돌기부는 각각 체결 방식이 상이하므로 상이한 도면 부호로 기재되었음을 미리 밝혀둔다.In addition, the surgical sutur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ound in advance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nfiguration. However, since the projection receiving part and the projec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in the fastening method, it is noted that it is described with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in advance.

물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는 예를 들어 자궁 절제부를 봉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될 뿐, 이외에도 다양한 절개 부위를 봉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Of course, the surgical sutur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being used for suturing the hysterectomy,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at it can be used to suture a variety of incision site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rgical sutur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rgical sutur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1)는 몸체부(100), 봉합침 조립체(300), 체결지지부재(400), 니들 푸시부(500), 탄성부재(700) 및 푸시 조절부(9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궁 절제부를 봉합하기 위한 것과 같이, 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수술용 봉합장치(1)의 구성들은 생체 적합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surgical suture device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dy portion 100, suture needle assembly 300, fastening support member 400, needle pusher 500, an elastic member 700, and a push control unit 900. Here, as for suturing the hysterectomy, the components of the surgical suture device 1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is preferably made of a biocompatible material.

몸체부(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1몸체부(120), 제2몸체부(140) 및 돌기수용부(16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봉합침 조립체(300), 체결지지부재(400), 니들 푸시부(500), 탄성부재(700) 및 푸시 조절부(900)가 연결 또는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body part 100 includes,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body part 120, a second body part 140, and a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Body portion 100 is provided so that the suture assembly 300, the fastening support member 400, the needle push unit 500, the elastic member 700 and the push control unit 900 can be connected or accommodated.

제1몸체부(120)는 니들 푸시부(500) 및 푸시 조절부(900)가 내부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통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1몸체부(120)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나, 설계 변경에 따라 사각통 형상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몸체부(120)는 인체 내부에 삽입 시, 인체 내부의 조직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또는 저항력을 고려하여 본 발명과 같이,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body part 12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needle push part 500 and the push adjusting part 900 reciprocate in the interior. The first body portion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cylinder shape according to the design change. However, when the first body part 120 is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body part 120 is manufactured in a cylindrical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pressure or resistance applied by the tissue inside the human body.

한편, 제1몸체부(120)는 파지부(122)와 가이드홈(124)을 포함한다. 파지부(122)는 시술자에 의해 파지되어, 니들 푸시부(500)에 가압력 제공 시 시술자의 편의성을 확보해 준다. 파지부(1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니들 푸시부(500)와 인접한 선단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 절곡되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body portion 120 includes a grip portion 122 and the guide groove 124. The grip portion 122 is gripped by the operator,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when providing a pressing force to the needle push unit (500). The gripping portion 122 is formed by protruding b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tip adjacent to the needle pusher 500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가이드홈(124)은 푸시 조절부(900)가 회전 및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제1몸체부(12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다. 가이드홈(124)은 후술할 푸시 조절부(900)의 조절부(940)가 파지 가능하게 돌출되며, 조절부(940)가 니들 푸시부(500)의 가압력에 의해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가이드홈(124)은 본 발명과 달리, 푸시 조절부(900)가 제1몸체부(120)의 선단에 인접하여 배치될 경우, 푸시 조절부(90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1몸체부(120)의 선단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Guide groove 12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20 so that the push adjustment unit 900 can be rotated and reciprocated. The guide groove 124 protrudes so that the adjusting part 940 of the push adjusting part 9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adjusting part 940 is formed to be reciprocat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needle push part 500. . However, the guide groove 124 is different from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ush adjuster 9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120, the first body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push adjuster 900 It may be formed in the tip region of the portion 120.

제2몸체부(140)는 봉합침 조립체(300)와 제1몸체부(120) 사이에 개재된다. 제2몸체부(140)의 일측에는 봉합침 조립체(300)와 연결되고, 제2몸체부(140)의 타측은 제1몸체부(120)와 연결된다. 제2몸체부(140)는 봉합침 조립체(300)가 장착되며, 내부에서 니들 푸시부(500)가 왕복 이동되도록 통 형상으로 마련된다. 물론, 제2몸체부(140)는 전술한 제1몸체부(120)와 같이, 사각통 형상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portion 140 is interposed between the suture needle assembly 300 and the first body portion 120. One side of the second body part 140 is connected to the suture needle assembly 300,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ody part 140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part 120. The second body part 140 is equipped with a suture needle assembly 300, and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needle push part 500 reciprocates therein. Of course, the second body part 14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cylinder shape, like the first body part 120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제2몸체부(140)는 이동 가이드부(142: 도 10 참조)와 연통공(144: 도 10 참조)을 포함한다. 이동 가이드부(142)는 후술할 푸시 가이드부(560)의 가이드 수용부(556: 도 11 및 도 12 참조)와 맞물려서 니들 푸시부(500)의 왕복 이동에 따른 제2몸체부(140)와 니들 푸시부(500)의 상호 편심을 방지한다. 이동 가이드부(14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할 푸시 가이드부(560)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second body part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ement guide part 142 (see FIG. 10) and a communication hole 144 (see FIG. 10). The movement guide part 142 meshes with the guide receiving part 556 (see FIGS. 11 and 12) of the push guide part 56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econd body part 140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needle push part 500. Preventing mutual eccentricity of the needle push unit 50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ovement guide 14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ush guide 560 to be described later.

연통공(144)은 봉합침 조립체(300)에 수용된 봉합침(10)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니들 푸시부(500)의 푸시부(540)가 봉합침 조립체(300)로 삽입되도록 이동로 역할을 한다. 연통공(144)은 봉합침 조립체(300) 내부에 수용된 봉합침(10)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연통공(144)은 후술할 푸시 가이드부(560)의 가이드공(564: 도 11 및 도 12 참조)과 연통되어 푸시부(540)의 왕복 이동을 안내한다.The communication hole 144 serves as a movement path so that the push part 540 of the needle push part 500 which releases the suture needle 10 accommodated in the suture needle assembly 300 to the suture assembly 300 is inserted into the suture assembly 300. do. The communication hole 144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suture needles 10 accommodated in the suture needle assembly 300. The communication hole 144 communicates with the guide hole 564 (see FIGS. 11 and 12) of the push guide part 560 to be described later to guide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ush part 540.

돌기수용부(160: 도 5 및 도 6 참조)는 제2몸체부(140)와 봉합침 조립체(300) 사이에 마련된다. 즉, 돌기수용부(160)는 봉합침 조립체(300)와 대면되는 제2몸체부(140)의 일단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돌기수용부(160)는 돌기수용부 몸체(162: 도 5 및 도 6 참조) 및 체결수용부(164: 도 5 및 도 6 참조)를 포함한다. 돌기수용부 몸체(162)는 제2몸체부(140)와 연결된다. 체결수용부(164)는 돌기수용부 몸체(162) 내부에 홈 형상으로 마련된다. 체결수용부(16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할 돌기부(340: 도 3 내지 도 6 참조)에서 함께 하기로 한다.Protruding portion 160 (see FIGS. 5 and 6)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body portion 140 and the suture assembly 300. That is,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second body part 140 facing the suture needle assembly 300.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body 162 (see FIGS. 5 and 6) and a fastening accommodating part 164 (see FIGS. 5 and 6).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body 162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part 140. The fastening accommodating part 164 is provided in a groove shape in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body 162. Details of the fastening accommodation portion 164 will be described together in the protrusion 340 (see FIGS. 3 to 6) to be described later.

돌기수용부(160)는 제2몸체부(140)와 봉합침 조립체(300)가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돌기수용부(160)는 제2몸체부(140)와 봉합침 조립체(3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후술할 봉합침 조립체(300)의 돌기부(340)와 맞물린다. 돌기수용부(160)는 돌기부(340)와 상호 니들 푸시부(500)의 왕복 이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체결된다.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is disposed such that the second body part 140 and the suture needle assembly 300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In detail,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is engaged with the protrusion 340 of the suture needle 30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second body 140 and the suture needle 300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is faste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reciprocat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protrusion 340 and the mutual needle push part 500.

한편, 돌기수용부(1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2몸체부(140)의 일단에 배치되나, 후술할 돌기부(340)와 치환하여 봉합침 조립체(30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돌기수용부(160)가 봉합침 조립체(300)에 배치되면, 돌기부(340)는 제2몸체부(140)의 일단에 배치되어야 한다.Meanwhile,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second body part 140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disposed in the suture assembly 300 in place of the protrusion 340 to be described later. . At this time, when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is disposed in the suture assembly 300, the protrusion 340 should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second body part 140.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봉합침 조립체의 제1투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봉합침 조립체의 제2투시 사시도,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봉합침 조립체와 몸체부의 결합 사시도이다.Next, Figure 3 is a first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the suture needle assembly of the surgical sut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econd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the suture needle assembly of the surgical sutur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Figures 5 to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ture needle assembly and the body portion of the surgical sut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봉합침 조립체(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320) 및 돌기부(340)를 포함한다. 봉합침 조립체(300)는 몸체부(100)의 일측에 장착되어, 한 쌍의 봉합침(10) 및 이를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30)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단위체가 수용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봉합침 조립체(300)는 몸체부(10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작된다.The suture assembly 300 includes a cartridge 320 and a protrusion 340, as shown in FIGS. 3 and 4. Suture needle assembly 30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0, is provided to accommodate at least one unit consisting of a pair of suture needles 10 and the suture 30 to interconnect them. Then, the suture needle assembly 300 is manufact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00.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1)의 봉합침 조립체(300) 내부에는 한 쌍의 봉합침(10)으로 이루어진 한 개의 단위체만 수용된다. 그러나, 설계 변경에 따라 봉합침 조립체(300) 내부에는 한 개의 단위체를 초과한 복수개의 단위체가 수용될 수도 있다.Here, in the suture needle assembly 300 of the surgical suture device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one unit composed of a pair of suture needles 10 is accommodated. However, according to a design change, a plurality of units exceeding one unit may be accommodated in the suture assembly 300.

카트리지(320)는 카트리지(320) 외관을 형성하는 카트리지 몸체(322)를 포함하고, 카트리지 몸체(322)에는 한 쌍의 봉합침(10) 및 이를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30)로 이루어진 단위체를 수용하는 니들 수용부(324) 및 봉합사 수용부(326)가 형성된다.The cartridge 320 includes a cartridge body 322 forming an appearance of the cartridge 320, and the cartridge body 322 accommodates a unit consisting of a pair of suture needles 10 and a suture 30 interconnecting them. The needle accommodating part 324 and the suture accommodating part 326 are formed.

니들 수용부(324)는 한 쌍의 봉합침(10)이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수용되도록 카트리지 몸체(322) 내부에 한 쌍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니들 수용부(324) 사이에는 한 쌍의 봉합침(10)을 상호 연결한 봉합사(30)를 수용하는 봉합사 수용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니들 수용부(324)와 봉합사 수용부(326) 사이에는 연통홈(328)이 형성된다. 니들 수용부(324)와 봉합사 수용부(326)는 니들 푸시부(500)에 의해 봉합침 조립체(300) 외부로 각각의 봉합침(10)이 방출될 때, 한 쌍의 봉합침(10)을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30)의 방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여기서, 봉합사 수용부(326)에는 봉합사(30)가 지그재그 형태로 수용되나, 나선형과 같은 형태로 수용될 수도 있다. 물론, 봉합사 수용부(326) 내부에 수용되는 봉합사(30)는 봉합침(10) 방출 시 간섭이 없는 형태로 수용되어야 한다.;The needle accommodating part 324 is formed in a pair inside the cartridge body 322 such that the pair of suture needles 10 are receiv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respectively. And, between the pair of needle receiving portion 324 is formed a suture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suture 30 interconnected a pair of suture needles (10). Here, the communication groove 328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needle receiving portion 324 and the suture receiving portion 326. The needle accommodating portion 324 and the suture accommodating portion 326 have a pair of suture needles 10 when each of the suture needles 10 is discharged out of the suture needle assembly 300 by the needle pusher 500. It is formed to prevent the emission interference of the suture 30 to interconnect the. Here, the suture 30 is accommodated in the zigzag form in the suture receiving portion 326, but may also be received in a helical shape. Of course, the suture 30 accommodated inside the suture receiving portion 326 should be accommodated in the form of no interference when the suture needle 10 is released.

니들 수용부(324)와 봉합사 수용부(32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한 쌍의 봉합침(10) 및 이를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30)로 이루어진 단위체 1개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니들 수용부(324)와 봉합사 수용부(326)는 카트리지 몸체(322)에 수용되는 단위체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단위체가 카트리지 몸체(322)에 수용될 경우, 니들 수용부(324)와 봉합사 수용부(326)는 각각 두 쌍 및 2개로 형성된다.The needle accommodating part 324 and the suture accommodating part 326 are formed to correspond to one unit including a pair of suture needles 10 and a suture 30 interconnecting the needles 10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needle receiver 324 and the suture receiver 326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units accommodated in the cartridge body 322. For example, when two units are accommodated in the cartridge body 322, the needle receiving portion 324 and the suture receiving portion 326 are formed in two pairs and two, respectively.

연통홈(328)은 봉합침(10)의 지름보다는 작고, 봉합사(3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연통홈(328)은 봉합침(10)의 지름보다 작게 마련되어, 봉합침(10)의 방출 시 봉합침(10)이 봉합사 수용부(326)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면, 연통홈(328)은 봉합사(3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봉합침(10) 방출 시 봉합사(30)가 봉합침(10)을 따라 간섭없이 방출되도록 한다.The communication groove 328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ture needle 10, and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ture 30. The communication groove 328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ture needle 10 to prevent the suture needle 10 from flowing to the suture receiving portion 326 when the suture needle 10 is released.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groove 328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ture 30, so that the suture 30 is released along the suture needle 10 without interference when the suture needle 10 is released.

돌기부(340)는 카트리지(320)와 제2몸체부(140) 사이에 개재된다. 돌기부(340)는 카트리지(320)와 제2몸체부(140)가 대면되는 카트리지(320)의 일측에 배치된다. 돌기부(340)는 봉합침 조립체(300)와 제2몸체부(1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전술한 돌기수용부(160)와 맞물린다.The protrusion 340 is interposed between the cartridge 320 and the second body 140. The protrusion 34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artridge 320 in which the cartridge 320 and the second body 140 face each other. The protrusion 340 is engaged with the above-mentioned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so that the suture assembly 300 and the second body part 140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돌기부(340)는 돌기몸체(342) 및 체결돌기(344)를 포함한다. 돌기몸체(342)는 봉합침 조립체(300)의 일단에 배치되며, 돌기수용부(16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체결돌기(344)는 돌기몸체(342)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체결수용부(164)와 맞물려서 몸체부(100)와 봉합침 조립체(300)의 상호 결합력을 유지시킨다.The protrusion 34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trusion body 342 and a fastening protrusion 344. The protrusion body 342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suture needle assembly 300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In addition, the fastening protrusion 34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protruding body 342 and is engaged with the fastening accommodation portion 164 to maintain the mutual coupling force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suture assembly 300.

다음으로 체결지지부재(400)는 제1몸체부(120)와 제2몸체부(140) 사이에 배치된다. 체결지지부재(400)는 제2몸체부(140)를 수용하며, 제2몸체부(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된다. 즉, 체결지지부재(400)는 제2몸체부(140)의 외표면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것이다. 체결지지부재(400)는 제2몸체부(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어, 돌기수용부(160)와 돌기부(340)의 상호 체결 방향으로의 이탈을 저지 및 허용한다. 상세한 체결지지부재(400)의 역할은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몸체부(100)와 봉합침 조립체(300)의 결합 과정과 함께 이하에서 설명한다.Next, the fastening support member 4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part 120 and the second body part 140. The fastening support member 400 accommodates the second body part 140 and is reciproc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part 140. That is, the fastening support member 400 is reciprocat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140. The fastening support member 400 is reciproc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part 140 to prevent and allow the departure of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and the protrusion 340 in the mutual fastening direction. The role of the detailed fastening support member 400 will be described below along with the coupling process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suture assembly 300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여기서, 체결지지부재(400)는 왕복 이동 시, 돌기수용부(160)와 돌기부(340)의 상호 체결 방향으로의 이탈을 저지 및 허용하는 위치에서 임의로 움직이지 않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위치 결정 및 고정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결정 및 고정 장치는 일반적인 내용이므로 상세한 실시 예는 생략한다.Here, the fastening support member 400 is positioned and fix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astening support member 400 does not move arbitrarily in a position that prevents and permits deviation of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and the protrusion 340 in the mutual fastening direction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It may include a device (not shown). Since the positioning and fixing device is a general content, a detail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몸체부(100)와 봉합침 조립체(300)는 각각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체결된다. 몸체부(100)의 돌기수용부(160)에 대해 봉합침 조립체(300)의 돌기부(340)가 측부에서 삽입되어 체결된다.Body portion 100 and the suture assembly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each longitudinal direction. The protrusion 340 of the suture assembly 300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of the body part 100.

여기서, 몸체부(100)와 봉합침 조립체(300)는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는 체결력이 유지되어 상호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몸체부(100)와 봉합침 조립체(300)는 체결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00)와 봉합침 조립체(300)의 분리는 체결지지부재(400)에 의해 저지될 수 있다.Here,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suture assembly 300 are maintained in the respective longitudinal direction fastening force is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However, the body part 100 and the suture assembly 300 may be separated by sliding in the fastening direction. At this time, the separation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suture assembly 300 may be prevented by the fastening support member 400.

체결지지부재(400)는 돌기수용부(160)와 돌기부(340)의 상호 체결 시, 제2몸체부(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돌기수용부(160)와 돌기부(340)의 체결 영역을 수용한다. 이렇게 체결지지부재(400)에 의해 돌기수용부(160)와 돌기부(340)의 체결 영역이 수용되면, 몸체부(100)와 봉합침 조립체(300)의 체결 방향으로의 상호 이탈이 저지된다.The fastening support member 400 is slidably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part 140 when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and the protrusion 340 are fastened to each other, and thus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and the protrusion 340 are fastened to each other. To accommodate the fastening area. When the fastening area of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and the protrusion 340 is accommodated by the fastening support member 400, mutual separation in the fastening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suture needle assembly 300 is prevented.

물론, 봉합침 조립체(300) 내부의 봉합침(10)을 방출 한 후, 몸체부(100)와 봉합침 조립체(300)의 분리 과정은 상기 전술한 내용의 역순으로 진행된다.Of course, after releasing the suture needle 10 inside the suture needle assembly 300,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suture needle 300 proceeds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 description.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봉합침 조립체와 몸체부의 결합 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s 8 and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suture needle assembly and the body portion of the surgical su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수용부(160') 및 돌기부(340')의 체결 방식은 전술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돌기수용부(160) 및 돌기부(340)의 체결방식과 상이하다. 물론, 돌기수용부(16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돌기수용부(160)와 같이, 돌기수용부 몸체(162') 및 체결수용부(164')를 포함한다. 또한, 돌기부(340')는 돌기몸체(342') 및 체결돌기(34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fastening method of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 and the protrusion 340 ′ may include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and the protrusion 340 shown in FIGS. 5 and 6. It is different from the fastening method. Of course,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160 ', like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160 shown in FIGS. 5 and 6, includes a projection receiving body 162' and a fastening receiving portion 164 '. In addition, the protrusion 340 'includes a protrusion body 342' and a fastening protrusion 344 '.

돌기수용부(160')는 몸체부(100)와 봉합침 조립체(3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돌기부(340')와 상호 맞물린다. 돌기수용부(160')는 돌기부(340')와 상호 체결되는 과정에서 돌기부(340')가 돌기수용부 몸체(162')로 삽입될 때 입구 부위의 경사면이 양측 방향으로 점차 벌어지게 된다. 돌기부(340')가 체결수용부(164') 내부의 안쪽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면 벌어졌던 돌기수용부 몸체(162')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고, 이에 따라 돌기수용부(160')와 돌기부(340')가 상호 체결된다. 체결 해제 시, 돌기수용부(160')의 선단은 경사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돌기수용부(160')와 돌기부(340')는 몸체부(100)로부터 봉합침 조립체(300)가 인출될 때 돌기수용부(160')가 점차 벌어져서 체결 해제된다. 이와 같은 돌기수용부(160')와 돌기부(340')의 체결 방식에서 돌기수용부(160')에 있는 걸림턱의 높이는 돌기수용부(160') 탄성 변형량 이하로 선정한다.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 meshes with the protrusion part 340 ′ such that the body part 100 and the suture assembly 300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body 162 ′ while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 is interlocked with the protruding part 340 ′,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let part gradually opens in both directions. When the projection 34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side the fastening accommodation portion 164', the opened projection accommodation body 162 'is restored to an initial state, and thus the projection accommodation portion 160' and the projection ( 340 'are mutually fastened. When the fastening is released, the tip of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160 'has an inclined surface, and thus,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160' and the protrusion 340 'protrude when the suture assembly 300 is withdrawn from the body 100. Receptacle 160 'is gradually opened and released. In the fastening method of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160 'and the protrusion 340', the height of the locking jaw in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160 'is selected to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amount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160'.

여기서, 체결지지부재(400)는 돌기수용부(160')와 돌기부(340')의 체결 방향이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체결지지부재(400)가 마련될 경우, 체결지지부재(400)는 돌기수용부(160')와 돌기부(340')의 체결 영역을 수용하여 봉합침 조립체(300)의 길이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제공될 때 돌기수용부(160')의 벌어짐을 저지할 수 있다.Here, the fastening support member 400 may not be used because the fastening directions of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60 ′ and the protrusion 340 ′ are made in the respective longitudinal directions. However, when the fastening support member 400 is provided, the fastening support member 400 accommodates the fastening region of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160 ′ and the protrusion 340 ′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ture needle assembly 300. When the pressing force is provided, the opening of the protrusion accommodation portion 160 ′ can be prevented.

다음으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제2몸체부에 대한 투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니들 푸시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A 및 B 영역의 확대 사시도,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니들 푸시부 확대 결합 투시 사시도이다.Next, Figure 10 i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body portion of the surgical su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needle push unit of the surgical su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shown in Figure 11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reas A and B, and FIG. 1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needle push unit of the surgical su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니들 푸시부(500)는 가압부(520), 푸시부(540) 및 푸시 가이드부(560)를 포함한다. 니들 푸시부(500)는 몸체부(100)의 타측에 배치되어 봉합침(10)이 봉합침 조립체(300)로부터 절개 부위로 방출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한다. 니들 푸시부(5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몸체부(100)의 내표면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주사기 방식으로 마련된다. 그러나, 니들 푸시부(500)는 설계 변경에 따라 방아쇠 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도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0 to 13, the needle push par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ing part 520, a push part 540, and a push guide part 560. The needle push part 50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100 to provide the pressing force so that the suture needle 10 is released from the suture needle 300 to the incision site. The needle push part 500 is provided as a syringe type which reciprocates along an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needle push unit 5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a trigger method according to a design change.

가압부(520)는 가압부 몸체(522) 및 결합수용부(524)를 포함한다. 가압부 몸체(522)의 일 영역은 몸체부(100) 외부로 노출되어 시술자에 의해 가압되고, 타 영역은 몸체부(100) 내부에 수용된다.The pressurizing part 520 includes a pressurizing part body 522 and a coupling accommodating part 524. One region of the pressing portion body 52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00 is pressed by the operator, the other region is accommodated in the body portion 100.

결합수용부(524)는 가압부 몸체(522)에 형성되어, 푸시 가이드부(560)를 수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결합수용부(524)의 단면 형상은 사각 단면을 갖는 푸시 가이드부(56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결합수용부(524)의 단면 형상은 푸시 가이드부(560)의 단면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coupling accommodating part 524 is formed in the pressing part body 522 to accommodate the push guide part 56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upling receiving portion 524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ush guide portion 560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However,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upling accommodating part 524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ush guide part 560.

푸시부(540)는 가압부(520)에 연결되고 봉합침(10)들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어, 가압부(520)로부터 전달된 가압력을 해당 봉합침(10)으로 제공한다. 즉, 푸시부(54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봉합침(10)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봉합침(10)들 중 어느 하나에만 가압력을 제공한다.The push unit 540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unit 520 and contacts any one of the suture needles 10 to provide a press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pressing unit 520 to the suture needle 10. That is, the push unit 540 provides a pressing force only to any one of the suture needles 10 so that the pair of suture needles 10 are sequentially released.

푸시부(540)는 푸시 조절부(900)에 의해 가압부(520)가 회전될 때, 각각의 봉합침(10)에 선택적으로 가압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가압부(520)의 단면에 대해 편심되어 배치된다. 푸시부(540)가 가압부(520)의 단면에 편심 배치됨으로써, 가압부(520)의 회전에 따라 가압력을 제공하고자 하는 푸시부(540)의 위치가 변동된다. 물론, 푸시부(540)가 가압부(520)의 단면에 대해 편심 배치될 수 있도록 푸시부(540)의 단면적은 가압부(520)의 단면적보다 작다.The push unit 540 is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cross section of the press unit 520 so that when the press unit 520 is rotated by the push adjusting unit 900, a pressing force can be selectively provided to each suture needle 10. Are arranged. Since the push unit 540 is eccentrically dispose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press unit 520, the position of the push unit 540 to provide a pressing for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ress unit 520. Of cours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ush unit 540 is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essing unit 520 so that the push unit 540 may be eccentr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cross section of the pressing unit 520.

푸시 가이드부(560)는 푸시가이드 몸체(562), 가이드공(564) 및 가이드 수용부(566)를 포함한다. 푸시 가이드부(560)는 가압부(520)의 결합수용부(524)에 수용되며, 푸시부(540)의 왕복 이동 안내, 푸시부(540)의 편심 방지 및 니들 푸시부(500)의 편심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push guide part 560 includes a push guide body 562, a guide hole 564, and a guide receiving part 566. The push guide part 560 is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receiving part 524 of the pressing part 520, the reciprocating movement guide of the push part 540, preventing the eccentricity of the push part 540 and the eccentricity of the needle push part 500 Serves to prevent.

푸시가이드 몸체(562)는 제1푸시가이드 몸체(562a) 및 제2푸시가이드 몸체(562b)를 포함한다. 제1푸시가이드 몸체(562a)의 일측단은 가압부(520)의 결합수용부(524)에 수용된다. 여기서, 제1푸시가이드 몸체(562a)는 가압부(520)와 상호 상대 회전 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다. 즉, 제1푸시가이드 몸체(562a)는 가압부(520)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물론, 제1푸시가이드 몸체(562a)는 사각 단면 형상 이외에 삼각 단면 형상과 같은 다각형 단면 현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푸시가이드 몸체(562a)는 푸시부(540)의 처짐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The push guide body 562 includes a first push guide body 562a and a second push guide body 562b. One end of the first push guide body 562a is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accommodating part 524 of the pressing part 520. Here, the first push guide body 562a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n order to prevent relative rotational movements with the pressing unit 520. That is, the first push guide body 562a is provided to be linked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ressing unit 520. Of course, the first push guide body 562a may have a polygonal cross-sectional phenomenon such as a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n addition to the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n addition, the first push guide body 562a also serves to prevent sagging of the push part 540.

반면, 제2푸시가이드 몸체(562b)는 가압부(520)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가압부(520)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므로, 제2푸시가이드 몸체(562b) 또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ush guide body 562b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essing unit 520.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essing unit 520 is circular, the second push guide body 562b also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가이드공(564)은 제2푸시가이드 몸체(562b)에 관통 형성된다. 가이드공(564)은 가압부(520)의 단면적에 대해 편심 배치된 푸시부(540)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가이드공(564)은 푸시부(540)의 왕복 이동 시, 푸시부(540)의 편심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이드공(564)은 제2몸체부(140)의 연통공(144)과 연통된다.The guide hole 564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push guide body 562b. The guide hole 564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ush portion 540 disposed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essing portion 520. The guide hole 564 serves to prevent the eccentricity of the push unit 540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ush unit 540. The guide hole 564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hole 144 of the second body part 140.

가이드 수용부(566)는 제2푸시가이드 몸체(562b)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다. 가이드 수용부(566)는 전술한 제2몸체부(140)의 이동 가이드부(142)와 맞물려서 니들 푸시부(500)의 왕복 이동 시 발생될 수 있는 편심을 방지한다.The guide receiving portion 566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second push guide body 562b. The guide accommodating part 566 meshes with the moving guide part 142 of the second body part 140 to prevent eccentricity that may occur when the needle push part 500 reciprocates.

다음으로 탄성부재(700)는 몸체부(100) 내부에 마련되어, 니들 푸시부(500)가 봉합침(10)을 가압하는 가압위치와 봉합침(10)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는 가압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탄성부재(700)는 코일 스프링으로 제작되어, 니들 푸시부(500)가 가압위치에서 가압 해제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Next, the elastic member 700 is provided in the body part 100, and the needle push part 500 presses the pressing position for pressing the suture needle 10 and the pressing release position for releasing the pressing force on the suture needle 10. Provides elastic force to reciprocate in the In detail, the elastic member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coil spring, and provides the elastic force so that the needle push unit 500 is restored from the pressing position to the pressing release position.

마지막으로 푸시 조절부(900)는 연결부(920) 및 조절부(940)를 포함한다. 푸시 조절부(900)는 니들 푸시부(500)와 연결되고 봉합침 조립체(300) 내부에 수용된 한 쌍의 봉합침(10)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한 쌍의 봉합침(10)에 대해 선택적으로 푸시부(540)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즉, 푸시 조절부(900)는 니들 푸시부(50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한 쌍의 봉합침(10)에 대해 선택적으로 푸시부(540)의 위치를 조절시킨다. 본 발명의 푸시 조절부(900)는 니들 푸시부(50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나, 니들 푸시부(500)의 끝단과 같은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니들 푸시부(500)의 위치가 변경되면 제1몸체부(120)의 가이드홈(124)의 위치도 대응되어 변경된다.Finally, the push controller 900 includes a connector 920 and an adjuster 940. The push adjuster 900 is optional for the pair of suture needles 10 so as to be sequentially connected with the needle pusher 500 and the pair of suture needles 10 contained within the suture assembly 300 are sequentially releas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push unit 540. That is, the push adjustment unit 900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the needle push unit 500 to selectiv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push unit 540 with respect to the pair of suture needles 10. The push adjuster 9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needle pusher 500, but may be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the end of the needle pusher 500. Of course, if the position of the needle push unit 500 is changed, the position of the guide groove 124 of the first body portion 120 is also correspondingly changed.

연결부(920)는 가압부(520)의 외표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조절부(940)는 연결부(920)로부터 니들 푸시부(5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시술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돌출된다. 조절부(940)는 니들 푸시부(500)의 푸시부(540)가 봉합침 조립체(300)에 수용된 한 쌍의 봉합침(10)의 선단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니들 푸시부(50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절부(940)는 180도 간격을 두고 회전되어 푸시부(540)의 위치가 180도 간격으로 변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연결부(920)와 조절부(940)는 몸체부 내부로의 결합을 위해 상호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920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520. In addition, the adjusting unit 940 protrudes from the connection unit 920 to be gripped by the operator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needle push unit 500. The adjusting unit 940 is a needle pusher 500 so that the pusher 540 of the needle pusher 500 can be selectively positioned at the tip of the pair of sutures 10 received in the suture needle 300. To provide torque. The adjusting unit 9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at intervals of 180 degrees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ush unit 540 is changed at intervals of 180 degrees. Here, the connecting portion 920 and the adjusting unit 940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to each other for coupling into the body.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봉합침 조립체의 정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4 is a front view of the suture needle assembly of the surgical su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봉합침 조립체(300) 내부에는 한 쌍의 봉합침(10) 및 이를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30)로 이루어진 단위체가 봉합침 조립체(300) 내부에 2개가 수용된다. 이에, 조절부(940)는 4개의 봉합침(10)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90도 간격을 두고 회전된다. 여기서, 조절부(940)는 단위체의 봉합침(10)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회전 방향이 정해진다. 도 14에 도시된 조절부(940)는 단위체의 배치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As shown in FIG. 14, in the suture needle assembly 300 of another embodiment, two units of a suture needle 10 and a suture 30 that interconnect the two are formed inside the suture assembly 300. Are accepted. Thus, the adjusting unit 940 is rotat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so that the four suture needles 10 are sequentially released. Here, the adjusting unit 940 is the rotation direction is determined so that the suture needle 10 of the unit is sequentially released. The adjusting unit 940 shown in FIG. 14 is rotated clockwis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units.

봉합침 조립체(300) 내부에 수용되는 한 쌍의 봉합침(10)으로 구성된 단위체는 2개를 초과하여 수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절부(940)의 회전 간격은 봉합침 조립체(300) 내부에 수용된 단위체들 갯수에 대응되어 변동된다.The unit consisting of a pair of suture needles 10 accommodated in the suture needle assembly 300 may be accommodated in more than two, so that the rotation interval of the adjusting unit 940 is inside the suture needle assembly 300 The number of units accommodated in is varied.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1)의 작동 과정을 이하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surgical suture device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작동 사시도이다.15 to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surgical su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전술한 도 5 내지 도 7의 과정에 의해 봉합침 조립체(300)와 몸체부(100)를 상호 결합한다. 일 실시 예의 시술인 자궁절제부를 봉합하기 위해 도 15에 도시된 수술용 봉합장치(1)를 질 내부로 삽입시킨다.First, the suture assembly 300 and the body portion 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FIGS. 5 to 7. The surgical suture device 1 shown in FIG. 15 is inserted into the vagina to suture the hysterectomy,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ocedure.

질 내부로 삽입된 수술용 봉합장치(1)의 봉합침 조립체(300)가 절개 부위에 도달되면 시술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 푸시부(500)의 가압부(520)를 가압한다. 그러면, 몸체부(100) 내부의 푸시부(540)는 한 쌍의 봉합침(10) 중 어느 하나의 봉합침(10)에 가압력을 제공하고, 이에 해당 봉합침(10)은 방출되어 절개 부위 영역에 관통된다. 봉합침(10)에 연결된 봉합사(30)의 일부도 방출된다.When the suture needle assembly 300 of the surgical suture device 1 inserted into the vagina reaches the incision site, the operator presses the pressing part 520 of the needle push part 500, as shown in FIG. 16. . Then, the push unit 540 inside the body portion 100 provides a pressing force to any one of the pair of suture needle 10, the suture needle 10 is released to the incision site Penetrates the area. A portion of the suture 30 connected to the suture needle 10 is also released.

도 16의 상태에서 시술자가 가압력을 해제하면, 탄성부재(70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520)는 가압 해제위치로 복원된다. 봉합침 조립체(300) 내부에 수용된 나머지 한 개의 봉합침(10)을 방출하기 위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는 푸시 조절부(900)를 180도 회전시킨다. 이때, 푸시 조절부(900)에 연결된 니들 푸시부(500)는 푸시 조절부(900)의 회전에 연동됨으로 푸시부(540)의 위치는 변동된다.When the operator releases the pressing force in the state of FIG. 16, the pressing unit 520 is restored to the pressing release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700. As shown in FIG. 17, the operator rotates the push adjustment unit 180 by 180 degrees to release the other one of the suture needles 10 contained inside the suture needle assembly 300. At this time, the needle pusher 500 connected to the push adjuster 900 is linked to the rotation of the push adjuster 90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usher 540 is changed.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조절부(900)를 회전 시킨 후 도 15의 과정처럼 시술자는 니들 푸시부(500)의 가압부(520)를 가압한다. 그러면, 봉합침 조립체(300)에 남아있던 봉합침(10)과 함께 봉합사(30)도 방출되어 절개 부위 영역에 관통된다. 이렇게 2개의 봉합침(10)이 방출되어 절개 부위에 관통되면, 2개의 봉합침(10)을 상호 매듭지어 절개 부위를 봉합한다.As shown in FIG. 18, after rotating the push control unit 900, the operator presses the pressing unit 520 of the needle push unit 500 as in the process of FIG. 15. Then, the suture 30 is also released along with the suture needle 10 remaining in the suture assembly 300 to penetrate the incision region. When the two suture needles 10 are released and penetrated through the incision site, the two suture needles 10 are knotted together to seal the incision site.

봉합침(10)이 방출된 후, 시술자는 봉합침 조립체(300)와 몸체부(100)를 분리시키고 봉합침(10)이 수용된 새로운 봉합침 조립체(300)를 몸체부(100)와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도 15 내지 도 18의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절개 부위를 봉합한다.After the suture needle 10 is released, the operator separates the suture needle assembly 300 and the body portion 100 and couples the new suture needle assembly 300 containing the suture needle 10 to the body portion 100. . Then, the series of processes of FIGS. 15 to 18 as described above are repeated to suture the incision site.

이에, 한 쌍의 봉합침 및 이를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로 이루어진 단위체가 수용된 봉합침 조립체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봉합침을 순차적으로 방출시킴으로써, 시술의 난이도를 감소시킴과 함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us, by releasing the suture needle by detachably combining the suture needle assembly containing the unit consisting of a pair of suture needles and sutures interconnecting them, the suture needles are sequentially released, thereby reducing the difficulty of the procedure and increasing convenience.

또한, 기존 복강경 수술도구의 단점을 극복하여 봉합침의 순차적인 방출과 봉합침 상호 간의 매듭에 의해 절개 부위의 봉합이 이루어지므로, 봉합에 따른 시술 소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overcoming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laparoscopic surgical instruments is the suture of the incision site by the sequential release of the suture needle and the knot between the suture need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dur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 수술용 봉합장치 10: 봉합침
30: 봉합사 100: 몸체부
120: 제1몸체부 140: 제2몸체부
142: 이동 가이드부 160: 돌기수용부
160': 돌기수용부 300: 봉합침 조립체
320: 카트리지 322: 카트리지 몸체
324: 니들 수용부 326: 봉합사 수용부
328: 연통홈 340: 돌기부
340': 돌기부 400: 체결지지부재
500: 니들 푸시부 520: 가압부
540: 푸시부 560: 푸시 가이드부
566: 가이드 수용부 700: 탄성부재
900: 푸시 조절부 920: 연결부
940: 조절부
1: surgical suture 10: suture needle
30: suture 100: body portion
120: first body portion 140: second body portion
142: movement guide portion 160: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160 ':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300: suture assembly
320: cartridge 322: cartridge body
324: needle receiving portion 326: suture receiving portion
328: communication groove 340: projection
340 ': projection 400: fastening support member
500: needle push portion 520: pressing portion
540: push portion 560: push guide portion
566: guide receiving portion 700: elastic member
900: push adjusting portion 920: connecting portion
940: control unit

Claims (17)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며, 적어도 한 쌍의 봉합침 및 상기 한 쌍의 봉합침을 각각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가 수용되는 봉합침 조립체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봉합침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봉합침을 상기 봉합침 조립체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키는 니들 푸시부와;
상기 니들 푸시부와 연결되고 한 쌍의 상기 봉합침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한 쌍의 상기 봉합침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기 니들 푸시부에 의해 제공되는 가압력의 제공위치를 조절시키는 푸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A body part;
A suture needle assem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ccommodating at least one pair of suture needles and a suture interconnecting the pair of suture needles;
A needle push part dis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and providing a pressing force to the suture needle to release the suture needle to the outside from the suture needle assembly;
And a push adjuster which is connected to the needle pusher and adjusts the provision position of the pressing force provided by the needle pusher selectively with respect to the pair of suture needles so that the pair of suture needles are sequentially released. Surgical sutu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니들 푸시부 및 상기 푸시 조절부가 내부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통 형상으로 마련된 제1몸체부와;
일측은 상기 봉합침 조립체가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1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봉합침에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니들 푸시부가 왕복 이동되도록 통 형상으로 마련된 제2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ortion
A first body part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such that the needle push part and the push adjuster are reciprocated in the interior;
One side is mounted to the suture needle assembly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body portion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needle push portion reciprocating to provide a pressing force to the suture needle Surgical suture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침 조립체는,
상기 봉합침 및 상기 봉합사가 상기 니들 푸시부에 의해 방출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상기 제2몸체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uture assembly,
And the suture needle and the suture are releasably received by the needle pusher, and include a cartridg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몸체와;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내부에 한 쌍의 상기 봉합침이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니들 수용부와,
한 쌍의 상기 니들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봉합침들을 상호 연결한 상기 봉합사를 수용하는 봉합사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artridge,
A cartridge body;
A pair of needle accommodating portions formed in the cartridge body so that the pair of suture needles are accommoda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respectively;
Surgical suture device formed between a pair of the needle receiving portion, comprising a suture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suture interconnected the suture needl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수용부들과 상기 봉합사 수용부 사이에는 상기 니들 수용부들과 상기 봉합사 수용부가 상호 연통되는 연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홈은 상기 봉합침의 지름보다는 작고 상기 봉합사의 지름보다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communication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needle receiving parts and the suture receiving part so that the needle receiving parts and the suture receiving par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communication groove is a surgical sutu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the diameter of the suture needle an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tu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침 조립체와 상기 제2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와 맞물리는 돌기수용부가 마련되어, 상기 봉합침 조립체와 상기 제2몸체부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2,
One of the suture needle assembly and the second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for engaging the proj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ble needle assembly and the second body portion to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Surgical suture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상기 돌기수용부는 상호 상기 니들 푸시부의 왕복 이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6,
Surgical sutu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is faste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reciprocat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needle push portion mutuall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봉합장치는,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와 상기 돌기수용부의 체결 시,
상기 제2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어, 상기 돌기부와 상기 돌기수용부의 상호 체결 방향으로의 이탈을 저지 및 허용하기 위해 상기 돌기부와 상기 돌기수용부의 체결 영역을 수용 및 수용 해제하는 체결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urgical suture device,
When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when the projection and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A fastening support member which is reciproc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part to receive and release the fastening area of the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to prevent and allow the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in the mutual fastening direction. Surgical sutu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푸시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돌출되어, 시술자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고 상기 봉합침들에 접촉되어, 상기 가압부로부터 전달된 가압력을 각각의 상기 봉합침으로 제공하는 푸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needle push unit,
Protruding out of the body portion, the pressing portion is pressed by the operator;
Surgical sutu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ush portion connected to the pressing portion and in contact with the suture needles, providing a press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pressing portion to each of the suture needl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상기 가압부에 대해 편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Surgical sutu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ush portion is disposed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pressing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푸시부는,
상기 가압부에 수용되며, 상기 푸시부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푸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침.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needle push unit,
Surgical suture need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ush guide portion accommodated in the pressing portion, the guide hole is formed to guide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ush por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부 내부와 상기 푸시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에는 이동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와 맞물려서 상기 니들 푸시부의 왕복 이동에 따른 편심을 방지하는 가이드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침.
The method of claim 11,
Any one of the in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push guide portion is formed with a protruding movement guide,
The other is a surgical suture nee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engagement with the movement guide portion to prevent the eccentricity due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needle push.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조절부는,
상기 니들 푸시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니들 푸시부의 길이 방항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푸시부가 상기 봉합침들의 선단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푸시부의 위치를 조절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ush adjustment unit,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needle push part;
Surgical suture device protrudes from the connecting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ush portion so that the push portion is selectively positioned at the tip of the suture needle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니들 푸시부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봉합침들에 대해 상기 푸시부를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침.
The method of claim 13,
The adjusting par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the needle push, surgical suture needle,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vely positioning the push relative to the suture need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니들 푸시부가 상기 봉합침을 가압하는 가압위치와 상기 봉합침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는 가압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is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reciprocate between the pressurized position for pressing the needle push portion and the pressurized release position for releasing the pressing force to the suture needle Surgical suture device.
몸체부와;
한 쌍의 봉합침 및 상기 한 쌍의 봉합침를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로 이루어진 단위체가 적어도 하나 수용되며,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리지를 갖는 봉합침 조립체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봉합침에 가압력이 제공되도록 편심 배치되는 푸시부를 가지고 상기 봉합침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봉합침을 상기 봉합침 조립체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키는 니들 푸시부와;
상기 니들 푸시부와 연결되고 한 쌍의 상기 봉합침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상기 니들 푸시부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한 쌍의 상기 봉합침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기 푸시부의 위치를 조절시키는 푸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A body part;
A suture needle assembly having at least one unit composed of a pair of suture needles and sutures interconnecting the pair of suture needles, the suture needle assembly having a cartridge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 needle push part dis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and having a push part which is eccentrically arranged to provide a pressing force to the suture needle to provide a pressing force to the suture needle to release the suture needle to the outside from the suture needle assembly;
And a push adjuster which is connected to the needle pusher and adjusts the position of the pusher selectively with respect to the pair of suture needles by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the needle pusher so that the pair of suture needles are sequentially released. Surgical sutu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며, 적어도 한 쌍의 봉합침 및 상기 한 쌍의 봉합침을 각각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가 수용되는 봉합침 조립체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봉합침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한 쌍의 상기 봉합침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기 봉합침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봉합침을 상기 봉합침 조립체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키는 니들 푸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A body part;
A suture needle assem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ccommodating at least one pair of suture needles and a suture interconnecting the pair of suture needle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selectively applying pressure to the suture needle against the pair of suture needles to release the suture needle from the suture assembly to the outside so that the pair of suture needles are sequentially released Surgical suture device comprising a needle push.
KR1020100010679A 2010-02-05 2010-02-05 Surgery apparatus for suturing KR1011320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679A KR101132070B1 (en) 2010-02-05 2010-02-05 Surgery apparatus for sutu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679A KR101132070B1 (en) 2010-02-05 2010-02-05 Surgery apparatus for sutu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054A true KR20110091054A (en) 2011-08-11
KR101132070B1 KR101132070B1 (en) 2012-04-02

Family

ID=44928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679A KR101132070B1 (en) 2010-02-05 2010-02-05 Surgery apparatus for sutu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070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2716A (en) * 2014-11-21 2017-01-26 ソン キム,キ Laparoscopic port site closure device
KR20180058923A (en)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이앰 Assistant Device for Laparoscopic Surgery
KR101942060B1 (en) 2017-08-09 2019-01-24 한문석 Assistant Device for Laparoscopic Surgery
KR102120596B1 (en) 2019-11-14 2020-06-09 한문석 Closure Device built in Trocar
KR20200132514A (en) 2019-05-17 2020-11-25 한문석 Closure Device built in Trocar
KR20210121665A (en) 2020-03-31 2021-10-08 한문석 Closure Device built in Troca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611B1 (en) 2016-08-05 2017-03-06 김기성 Laparoscopic port sit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97066A1 (en) * 1995-06-07 1996-12-19 Philippe Poncet Wound closure device
JP4137249B2 (en) * 1998-10-10 2008-08-20 エシコン・エンド−サージェリ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urgical instrument for forming a knot
KR200335371Y1 (en) 2003-09-08 2003-12-06 박경도 Laparoscope surgical instrument
KR100803388B1 (en) 2007-06-04 2008-02-13 김동준 Biodegradability yarn insertion ki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2716A (en) * 2014-11-21 2017-01-26 ソン キム,キ Laparoscopic port site closure device
KR20180058923A (en)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이앰 Assistant Device for Laparoscopic Surgery
KR101942060B1 (en) 2017-08-09 2019-01-24 한문석 Assistant Device for Laparoscopic Surgery
KR20200132514A (en) 2019-05-17 2020-11-25 한문석 Closure Device built in Trocar
KR102120596B1 (en) 2019-11-14 2020-06-09 한문석 Closure Device built in Trocar
KR20210121665A (en) 2020-03-31 2021-10-08 한문석 Closure Device built in Tro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070B1 (en) 2012-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070B1 (en) Surgery apparatus for suturing
US20210267590A1 (en) Surgical fastener delivery and locking mechanism
US10709442B2 (en) Stitching device with long needle
JP6138905B2 (en) Device for supplying surgical fasteners within tissue and simultaneously generating external marks reflecting the number and position of surgical fasteners supplied
RU2579624C2 (en) Applicator instruments with bowed and articulated shafts for surgical anchors unscrewing and related methods
EP2992835B1 (en) Devices for facilitating closing and clamping of an end effector of a surgical device
ES2279301T3 (en)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THAT INCORPORATES AN ENCHAVETTED SHOOTING MECHANISM.
US8480689B2 (en) Suturing device
ES2625411T3 (en) Applicator instruments that have distal end caps to facilitate accurate positioning of surgical fasteners during open repair procedures
JP5602842B2 (en) Surgical fasteners, applicator instruments, and methods of deploying surgical fasteners
RU2627149C2 (en) Clamping devices for surgical fasteners supply to soft environment
US8734469B2 (en) Suture clip applier
US7648514B1 (en) Deep endoscopic staple and stapler
CA2980685A1 (en) Articulating medical device
JPH05505732A (en) Suture binding device and suture instrument
WO200611577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ture placement
KR101942060B1 (en) Assistant Device for Laparoscopic Surgery
KR20180058923A (en) Assistant Device for Laparoscopic Surgery
RU2667609C2 (en) Surgical fastening elements with hinged connections and tips made with possibility to deflect
CN112690850A (en) Pouch anastomat with adjustable length
RU2310405C2 (en) Surgical strapling instrument
AU20062403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ture pla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