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667A - 전자기기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0667A
KR20110090667A KR1020100010595A KR20100010595A KR20110090667A KR 20110090667 A KR20110090667 A KR 20110090667A KR 1020100010595 A KR1020100010595 A KR 1020100010595A KR 20100010595 A KR20100010595 A KR 20100010595A KR 20110090667 A KR20110090667 A KR 20110090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lectronic device
negative electrode
charging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태준
최원만
Original Assignee
엄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태준 filed Critical 엄태준
Priority to KR1020100010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0667A/ko
Publication of KR20110090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를 충전하는데 있어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전자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전자기기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에 충전하고자 하는 전자기기를 올려놓는 것만으로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전자기기가 충전 되도록,
전자기기의 양,음극 충전 전극단자와 접촉되며 충전기측 양,음극 면상전도부와 접촉되도록 형상화된 양,음극 연장전도부;
상기 전자기기의 양,음극 연장전도부와 접촉되며 전도성 물질을 그 재료로 하여 충전장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면상 형태로 형성된 양,음극 면상전도부;
상기 전자기기의 양,음극 연장전도부와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의 접촉유무를 확인하여 전원공급을 단속하며,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응 접촉하도록 상기 충전장치 측 양,음극 면성전도부의 극성을 상호 변경시키는 스위칭제어부; 및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단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을 변압하여 출력하는 전압변환기 및 상기 전압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기가 포함된 충전장치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기기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Re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를 충전하는데 있어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전자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전자기기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에 충전하고자 하는 전자기기를 올려놓는 것만으로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전자기기가 충전 되도록,
전자기기의 양,음극 충전 전극단자와 접촉되며 충전장치 측 양,음극 면상전도부와 접촉되도록 형상화된 양,음극 연장전도부;
상기 전자기기의 양,음극 연장전도부와 접촉되며 전도성 물질을 그 재료로 하여 충전장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면상 형태로 형성된 양,음극 면상전도부;
상기 전자기기의 양,음극 연장전도부와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의 접촉유무를 확인하여 전원공급을 단속하며,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응 접촉하도록 상기 충전장치 측 양,음극 면성전도부의 극성을 상호 변경시키는 스위칭제어부; 및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단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을 변압하여 출력하는 전압변환기 및 상기 전압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기가 포함된 충전장치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에 대한 것이다.
노트북, 휴대폰, PDA, MP3 등 다양한 전자기기는 기술의 발달과 함께 더욱 다양화되고 소형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기기는 내부에 수용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을 전기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이 필요하며, 이러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보통 충전식 배터리가 사용되고 있다.
충전식 배터리는 전원이 일정량 충전되며, 전자기기의 동작으로 인하여 소진된 전원을 보충하도록 재충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사용하는 전자기기들은 그 기능이나 구조상의 차이로 인하여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이나 구조는 상이하며, 이런 이유로 인하여 전자기기별로 별도의 충전기기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충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별로 별도의 충전기기를 사용하여 발생 되는 자원의 낭비 및 사용자들의 불편함에 대한 문제해결의 요구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를 충전하는 범용 배터리 충전기나, 기기별로 통일된 배터리 충전기를 이용하여 자원의 낭비를 막고자하는 기술개발의 노력은 있었으나 그 성과는 현재 미미한 실정이다.
예를들면, 휴대폰의 경우에 휴대폰 제조회사나 모델에 따라 그 크기나 형태가 상이하므로 전용 배터리 충전기를 필요로 하게되며, 휴대폰을 교체하는 경우 전용 배터리 충전기를 별도로 구입해야되므로 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휴대폰 배터리 충전의 경우에, 배터리의 구조에 상관 없이 휴대폰의 배터리의 전극단자와 연결하여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하는 만능 충전기기 기술이 공지되었으나, 휴대폰 배터리의 전극단자와 충전기의 전극단자를 정확하게 접촉시켜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이 있었으며, 외부로 돌출된 충전기의 전극단자로 인하여 충전기의 미감이 좋지 못하며, 충전기를 휴대하여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미국특허제6,650,088호에서는충전기의접촉단자를넓게하여휴대기기가충전기의특정위치에정확하게결합되지않더라도충전이가능한방법을제안하고있다. 대한민국특허출원제10-2007-0002719호는하나의충전기를이용하여다양한크기와형태를갖는다수의휴대기기를접촉위치와전극에상관없이동시에충전할수있는방법을제안하고있다. 대한민국특허제10-0497929호는다양한종류의휴대폰에장착된배터리를충전단자의형상위치및간격그리고배터리의모양에관계없이간편하고,신속하게충전할수있도록개선한휴대폰의배터리충전장치및방법에대하여제안하고있다.
상기의 미국 특허 제 6,650,088호는 하나의 충전기의 접촉단자에 서로 다른 극성의 다수의 휴대기기를 접촉하여 동시에 충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02719호는 외부로 충전 전극단자가 노출되어 있는 휴대기기만을 충전할 수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10-0497929호는 휴대폰 배터리의 전극단자와 충전기의 전극단자를 정확하게 접촉시켜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기기를 충전하는데 있어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전자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전자기기 충전장치 및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에 충전하고자 하는 전자기기를 올려놓는 것만으로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전자기기가 충전 되도록,
전자기기의 양,음극 충전 전극단자와 접촉되며 충전기측 양,음극 면상전도부와 접촉되도록 형상화된 양,음극 연장전도부;
상기 전자기기의 양,음극 연장전도부와 접촉되며 전도성 물질을 그 재료로 하여 충전장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면상 형태로 형성된 양,음극 면상전도부;
상기 전자기기의 양,음극 연장전도부와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의 접촉유무를 확인하여 전원공급을 단속하며,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응 접촉하도록 상기 충전장치 측 양,음극 면성전도부의 극성을 상호 변경시키는 스위칭제어부; 및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단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을 변압하여 출력하는 전압변환기 및 상기 전압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기가 포함된 충전장치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배터리의 형상이나 구조와 관계없이 다양한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충전기를 구매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이며 자원의 낭비를 막고, 충전기의 평면상에 올려놓기만 하면 충전이 가능하므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다양한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자기기 충전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충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돌기가 돌출된 양,음극 면상전도부(3)(4)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배터리 외부 케이스와 일체화된 양,음극 연장전도부(3)(4)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결단자가 추가로 구비된 본 발명의 전자기기 충전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충전장치의 충전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충전장치는, 전자기기의 배터리에 외부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양,음극 충전 전극단자와 접촉되며 충전기측 양,음극 면상전도부와 접촉되도록 형상화된 양,음극 연장전도부;
상기 전자기기의 양,음극 연장전도부와 접촉되며 전도성 물질을 그 재료로 하여 충전장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면상 형태로 형성된 양,음극 면상전도부;
상기 전자기기의 양,음극 연장전도부와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의 접촉유무를 확인하여 전원공급을 단속하며,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응 접촉하도록 상기 충전장치 측 양,음극 면성전도부의 극성을 상호 변경시키는 스위칭제어부; 및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단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을 변압하여 출력하는 전압변환기 및 상기 전압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기가 포함된 충전장치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자기기를 충전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배터리의 양,음극 충전 단자와 접촉하도록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를 전자기기 배터리의 양,음극 충전 단자와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전자기기 배터리의 양,음극 충전 단자와 접촉된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를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와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접촉된 양,음극 연장전도부와 양,음극 면상전도부가 정방향으로 연결되었는지, 역방향으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정방향으로 연결되었을시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를 통하여 전류가 공급되어 상기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며, 역방향으로 연결되었을시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의 극성을 변환시킨 후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를 통하여 전류가 공급되어 상기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충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하고도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충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충전장치는 양,음극 연장전도부(3)(4), 충전기측 양,음극 면상전도부(5)(6), 스위칭제어부(7), 전원공급단자(8), 전압변환기(9), 및 정류기(10)를 포함하는 충전본체(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3)(4)는 충전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양,음극 충전 전극단자(1)(2)와 접촉되며 충전장치측의 양,음극 면상전도부(5)(6)와 접촉된다.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3)(4)는 전자기기의 양,음극 충전 단자(1)(2)와 연결되어 전자기기의 외부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충전장치측 양,음극 면상전도부(5)(6)와 각각 접촉되도록 양,음극 연장전도부(3)(4)는 상호 간에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양극 연장전도부(3)와 음극 연장전도부(4) 상호 간은 서로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구비되므로 양극 연장전도부(3)와 음극 연장전도부(4) 상호 간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3)(4)는 양,음극 충전단자(1)(2)와 전도성 케이블로 연결되며, 전자기기의 외부 케이스의 일측에 전도성 물질을 그 재료로 하여 면상 형태로 형상화되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3)(4)는 전자기기에 배터리를 삽입한 후 삽입된 배터리가 전자기기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외부케이스와 일체화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전자기기의 배터리 외부케이스와 일체화된 형태로 구비된 양,음극 연장전도부(3)(4)의 개략도 이다.
도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3)(4)는 전자기기의 배터리 외부 케이스와 일체화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 외부 케이스는 전자기기에 배터리가 삽입된 후에 전자기기에 결합 된다.
이때 전자기기의 양,음극충전단자(1)(2)와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3)(4)는 서로 접촉되며,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3)(4)가 상기 충전기측 양,음극 면상전도부(5)(6)와 접촉하도록 상기 전자기기를 위치시키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상기 충전기측 양,음극 면상전도부(5)(6)를 통하여,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3)(4)로 공급되어 배터리는 충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3)(4)는, 상기 전자기기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기기의 외부 케이스의 일측에 양,음극 연장전도부(3)(4)상호 간에 서로 이격된 형태로 전자기기의 외부 케이스와 일체화되어 구비될 수 있다.
충전장치측 양,음극 면상전도부(5)(6)는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3)(4)와 접촉되면 전류가 흐르도록 전도성 물질을 그 재료로 하여 충전기 본체(11)의 일측에 면상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충전장치측 양,음극 면상전도부(5)(6)는 도면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양극 면상전도부(5)와 음극 면상전도부(6)간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므로 양극 면상전도부(5)와 음극 면상전도부(6) 상호 간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상기 충전장치측 양,음극 면상전도부(5)(6)는 충전기 본체(11)의 일측에 면상 형태로 구비되므로 충전장치 본체(11)에 구비된 양,음극 면상전도부(5)(6)와 양,음극 연장전도부(3)(4)가 상호 접촉하도록 올려놓기만 하면 신속하고 편리하게 전자기기의 배터리가 충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전장치측 양,음극 면상전도부(5)(6)는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다수의 돌기가 돌출된 돌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된 다수의 돌기부(20)는 전도성 고무와 같은 연성 전도성 재료를 그 재료로 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양,음극 연장전도부(3)(4)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외부 형상에 관계없이 쉽게 충전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5)(6)는 충전장치 본체(11)와 분리와 연결이 용이하도록 그 일측에 연결단자(15)가 다수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양,음극 면상전도부(5)(6)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단자(15)는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5)(6)를 다수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형상화 되어 있다.
상기 연결단자(15)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5)(6)는 다수의 전자기기를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스위칭제어부(7)는 충전장치 본체(11)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3)(4)와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5)(6)가 상호 접촉할 시에 회로를 구성하여 전류를 도통 시킨다.
상기 스위칭제어부(7)는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3)(4)와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5)(6)가 정방향으로 접촉되었을 경우에는 극성의 변환 없이 전류를 도통 시키며,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3)(4)와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5)(6)가 역방향으로 접촉되는 경우에는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5)(6)의 극성을 변환시켜서 전류를 도통 시켜준다.
상기 스위칭제어부(7)의 극성변환 제어로 인하여 사용자는 전자기기 충전시극성을 맞출 필요 없이 전자기기를 충전장치 본체(11)의 일측에 구비된 양,음극 면상전도부(5)(6)위에 단순히 올려놓는 것만으로도 편리하게 배터리가 충전된다.
충전장치 본체(11)의 일측에 양,음극 면상전도부(5)(6)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면상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충전장치 본체(11)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외부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전원공급단자(8)가 구비된다.
전압변환기(9)는 상기 충전장치 본체(11)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전원의 전압을 변압하여 정류기(10)로 출력한다.
정류기(10)는 상기 충전장치 본체(11)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전압변환기(9)로부터 입력받은 전압을 직류로 정류하여 상기 스위칭제어부(7)로 출력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전자기기 충전장치는 상기 충전장치 본체(11)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부(12)가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는 전자기기의 배터리 충전시 그 충전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배터리가 충전이 필요한 상태인지, 충전중인지, 충전이 완료되었는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해 준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12)는 다수의 LED로 구성될 수 있는데, LED의 발광 색상의 변화나 점등 또는 점멸상태의 변화로 배터리 충전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해 준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전자기기 충전장치는 외부전원의 입력을 차단하는 ON/OFF 스위치(13)가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ON/OFF 스위치(13)는 충전기 본체(1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는데,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충전장치로 입력되는 외부입력전원을 차단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전자기기 충전장치는 상기 전압변환기(9)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전압조절스위치(14)가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전원스위치(14)는 충전하고자 하는 배터리에 적합한 전원으로 상기 전압변환기(9)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원의 세기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전자기기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자기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방법은,
상기 전자기기 배터리의 양,음극 충전 단자(1)(2)와 접촉하도록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3)(4)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전자기기 배터리의 양,음극 충전 단자(1)(2)와 접촉된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3)(4)를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5)(6)와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접촉된 양,음극 연장전도부(3)(4)와 양,음극 면상전도부(5)(6)가 정방향으로 연결되었는지, 역방향으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정방향으로 연결되었을시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5)(6)를 통하여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며, 역방향으로 연결되었을시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5)(6)의 극성을 변환시킨 후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5)(6)를 통하여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충전방법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충전장치의 충전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사용으로 배터리를 재충전하고자 할 경우에, 먼저 상기 전자기기 배터리의 양,음극 충전단자(1)(2)를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3)(4)와 접촉시킨다.
이후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3)(4)와 충전기 본체(11)의 일측에 구비된 양,음극 면상전도부(5)(6)와 접촉시킨다.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3)(4)가 전자기기의 외부 케이스와 일체형으로 되어 전자기기 배터리의 양,음극 충전단자(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구비된 경우에는 바로 충전기 측의 양,음극 면상전도부(5)(6)와 접촉시킨다.
이후에 스위칭제어부(7)는 상기 상호 접촉된 양,음극 연장전도부(3)(4)와 양,음극 면상전도부(5)가 정방향으로 연결되었는지, 역방향으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스위칭제어부(7)의 판단결과 정방향으로 연결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5)(6)의 극성을 변환하지 않고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며, 역방향으로 연결되었을시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5)(6)의 극성을 역으로 변환시킨 후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5)(6)를 통하여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에 전자기기의 배터리 충전상태가 실시간으로 시각적으로 표시되므로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에서 전자기기의 배터리가 완충 되었다고 표시된 경우에는 전자기기를 충전장치로부터 제거한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출력전원스위치(14)를 사용하여 다양한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충전할 수 있다.
1: 양극 충전단자 2: 음극 충전단자
3: 양극 연장전도부 4: 음극 연장전도부
5: 양극 면상전도부 6: 음극 면상전도부
7: 스위칭제어부 8: 전원공급단자
9: 전압변환기 10: 정류기
11: 충전장치 본체 12: 디스플레이부
13: ON/0FF 스위치 14:전압조절스위치
15: 연결단자 20: 다수의 돌기

Claims (10)

  1. 전자기기의 배터리에 외부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양,음극 충전 전극단자와 접촉되며 충전기측 양,음극 면상전도부와 접촉되도록 형상화된 양,음극 연장전도부;
    상기 전자기기의 양,음극 연장전도부와 접촉되며 전도성 물질을 그 재료로 하여 충전장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면상 형태로 형성된 양,음극 면상전도부;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와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의 접촉유무를 확인하여 전원공급을 단속하며,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응 접촉하도록 상기 충전장치 측 양,음극 면성전도부의 극성을 상호 변경시키는 스위칭제어부; 및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단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을 변압하여 출력하는 전압변환기 및 상기 전압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기가 포함된 충전장치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충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는, 전자기기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기기에 배터리를 삽입한 후 삽입된 배터리가 전자기기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외부케이스와 일체화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충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는, 전자기기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기기의 내부 부품 등을 보호하는 외부 케이스의 일측에 양,음극 연장전도부(3)(4)상호 간에 서로 이격된 형태로 전자기기의 외부 케이스와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충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 측 양,음극 면상전도부는 돌기가 다수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충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다수의 돌기부는 전도성 고무와 같은 연성 전도성 재료를 그 재료로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충전장치.
  6. 제 1항, 제 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 본체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부가 추가로 더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충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다수의 LED로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충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외부전원의 입력을 차단하는 ON/OFF 스위치가 추가로 더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충전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전압조절스위치가 추가로 더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충전장치.
  10. 전자기기 배터리의 양,음극 충전 단자(1)(2)와 접촉하도록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3)(4)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전자기기 배터리의 양,음극 충전 단자(1)(2)와 접촉된 상기 양,음극 연장전도부(3)(4)를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5)(6)와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접촉된 양,음극 연장전도부(3)(4)와 양,음극 면상전도부(5)(6)가 정방향으로 연결되었는지, 역방향으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정방향으로 연결되었을시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5)(6)를 통하여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며, 역방향으로 연결되었을시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5)(6)의 극성을 변환시킨 후 상기 양,음극 면상전도부(5)(6)를 통하여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충전방법
KR1020100010595A 2010-02-04 2010-02-04 전자기기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KR20110090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595A KR20110090667A (ko) 2010-02-04 2010-02-04 전자기기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595A KR20110090667A (ko) 2010-02-04 2010-02-04 전자기기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667A true KR20110090667A (ko) 2011-08-10

Family

ID=44928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595A KR20110090667A (ko) 2010-02-04 2010-02-04 전자기기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06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0289A1 (en) Portable backup power supply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JP3180247U (ja) 逆方向への放電が可能となる携帯機器の保護カバー
CN108270271A (zh) 电源装置
JP2008131707A (ja) 携帯電話機用充電装置
KR101290890B1 (ko) 다종다양한 충전 밧데리용 유무선 겸용 만능 충전기
CN102593930A (zh) 一种移动终端的充电系统
JP4180001B2 (ja) バッテリーベースより双方向に入出力可能な充電装置
CN106685011B (zh) 智能表面接触充电装置、系统及方法
US20110285360A1 (en) Energy-Saving Charger
JP3147870U (ja) 可変式充電装置
KR20130130285A (ko) 휴대폰 충전장치
KR20170027347A (ko) 스마트폰용 무선충전장치
CN102904325A (zh) 一种移动终端的一体化充电器和移动终端的充电方法
KR20110099601A (ko) 전자기기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CN207691493U (zh) 一种智能充电器
KR20110090667A (ko) 전자기기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KR20100010649U (ko) 무접점 충전 정위치 표시기능이 구비된 스탠드 조명장치
CN108565919A (zh) 自适应无线充电壳体、充电方法及无线充电器
KR20090117295A (ko) 무접점겸용충전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202190103U (zh) 可让手持装置反向放电的保护套
CN207732481U (zh) 充电设备
CN102761143A (zh) 一种便携式手机充电器
JP5816814B2 (ja) 充電器
JP3202196U (ja) 充電ケーブル及び充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