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445A - 필름스피커 - Google Patents

필름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0445A
KR20110090445A KR1020100010218A KR20100010218A KR20110090445A KR 20110090445 A KR20110090445 A KR 20110090445A KR 1020100010218 A KR1020100010218 A KR 1020100010218A KR 20100010218 A KR20100010218 A KR 20100010218A KR 20110090445 A KR20110090445 A KR 20110090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peaker
support
frame
film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100010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0445A/ko
Publication of KR20110090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4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04R17/005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using a piezoelectric polymer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44Special adaptations for subaqueous use, e.g. for hydroph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눈으로 입사되는 빛의 세기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빛을 차단시켜 눈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필름스피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머리 받침대를 구비한 가구물에 장착되는 필름스피커로서, 상기 필름스피커는 지지대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머리 받침대에 장착되어 선회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름스피커{Film Speaker}
본 발명은 필름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대어 눕거나 앉을 수 있는 가구물에 장착되어 차광하는 필름스피커를 이용하여 음악을 청취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건강미를 갖기 위해 선탠을 한다. 태양광을 이용하는 선탠은 주로 햇빛이 잘 드는 해변 또는 실외수영장에서 이루어지며, 썬베드에 누운 상태에서 피부를 햇빛에 노출시켜 선탠한다.
적당하게 선탠하기 위해서는 햇빛에서 장시간 동안 누워 있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선글라스를 착용하여 강한 햇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고, 지루하지 않도록 음악을 듣는다. 하지만, 전체적인 균일한 선탠을 위해서는 선글라스를 착용하지 않고서 선탠을 하여야 한다. 이는 선글라스과 안면 사이의 공간이 좁아 햇빛이 선글라스 안쪽까지 회절하지 않기 때문에 선탠 후에 얼굴에 선글라스 자국이 형성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썬베드에는 음향기기가 장착되어 있지 않아 대부분 본인이 준비한 음향기기에 헤드폰 및 이어폰(이하 통칭하여 이어폰이라 함)을 연결하고 이어폰을 귀에 꽂아 음악을 듣는다. 이와 같이 이어폰을 착용하고 선탠하는 중에 사용자가 돌아 눕거나 움직이면 이어폰과 음향기기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몸과 꼬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어폰을 귀에 착용하고 음악을 듣게 되면 귀의 건강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선글라스 또는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사용자일 경우에 선글라스는 머리쪽 신경을 자극하여 두통을 유발하고 심할 경우에는 구토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선탠의 경우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침대에서 취침하는 경우에도 타인의 편의에 의해 실내등을 켜두어야 할 경우 및 음악을 들으면서 취침하는 경우에도 이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기대어 눕거나 앉을 수 있는 가구물에 장착되어 눈으로 입사되는 빛의 세기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빛을 차단시켜 눈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필름스피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머리를 받쳐주는 받침대에 장착되는 필름스피커로서, 상기 필름스피커는 지지대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받침대에 장착되어 상기 필름스피커가 머리와 대응하여 위치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는 상기 받침대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스피커의 가장자리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받침대의 측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는, 일단이 힌지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부로 연장되거나 또는 상부로 연장된 상태에서 받침대 전방으로 만곡되게 연장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 상기 필름스피커의 가장자리가 결속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는, 일단이 힌지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부로 연장되거나 또는 상부로 연장된 상태에서 받침대 전방으로 만곡되게 연장된 프레임와 상기 프레임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필름스피커와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된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의 구멍에 상기 필름스피커가 대응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필름스피커가 결속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는 상기 힌지에 의해 상기 받침대 밖으로 또는 안쪽으로 선회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스피커는 빛의 투과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빛의 투과를 차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름스피커는 썬베드 또는 의자 등과 같은 가구물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특히 머리를 받쳐주는 받침대에 장착되어 선탠하는 중에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필름스피커로 햇빛을 차단하거나 또는 투과하는 빛의 세기를 감소시켜 눈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스피커는 눈 앞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위치함에 따라 햇빛이 회절하여 눈 주위로 입사됨에 따라 얼굴 전체적으로 균일한 선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종래와 같이 선글라스를 끼고 선택할 경우에는 선글라스의 자국이 얼굴에 형성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스피커는 상기 필름스피커를 통해 음악을 청취할 수 있어 이어폰을 귀에 꼽지 않음으로써, 귀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스피커는 방수처리하여 물가에 위치하더라도 음을 청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름스피커가 장착된 썬베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름스피커의 지지대가 선회하는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지대와 썬베드의 힌지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지지대에 장착된 필름스피커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필름스피커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필름스피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름스피커가 장착된 썬베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실시예]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스피커(200)는 썬베드(100)에 장착된다. 썬베드(100)는 사용자의 머리와 등을 받쳐주는 상반신 받침대(101a)과 엉덩이 및 다리를 받쳐주는 하반신 받침대(101b)으로 분할된 상판(101)과, 상판(101)을 지지하는 다리(103)를 포함하며, 상반신 받침대(101a)의 기울기를 높이면 사용자가 상반신 받침대(101a)과 하반신 받침대(101b)을 이용하여 다리를 뻗은 상태로 앉은 자세를 취할 수 있고, 상반신 받침대(101a)의 기울기를 낮춰 하반신 받침대(101b)와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하면 사용자가 상반신 받침대(101a)와 하반신 받침대(101b)에 누울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썬베드에는 필름스피커(200)가 장착된다.
필름스피커(200)는 고분자 압전 쉬트(예 PVDF)의 양면에 전극층을 형성하고 상기 전극층에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고분자 압전 쉬트가 진동하면서 가청주파수의 음을 발생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필름스피커(200)는 인장한 방향으로 만곡되었을 때에 주파수 대역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평편한 형태보다는 곡률반경을 갖고 만곡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필름스피커를 라미네이팅 처리하여 물에 강하도록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5에 보이듯이, 상기 필름스피커(200)는 지지대(110)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110)는 썬베드(100)에 사용자가 누웠을 때에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부위에 장착되는데, 바람직한 부위는 사용자의 머리와 대응하는 측부에 지지대(110)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지지대(110)는 썬베드(100)의 안쪽 상부로 만곡되게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대(110)는 U자형 프레임(111)과, 상기 프레임(111)의 안쪽 폐쇄부위에 형성된 지지판(113)과, 상기 지지판(113)에 형성된 구멍(115)에 위치하는 필름스피커(200)와, 상기 프레임(111)의 개방된 양단부가 고정되며 썬베드(100)의 측면에 장착된 힌지(12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1) 및 지지판(113)은 내수성 및 탄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로서, 프레임(111)의 개방된 양단부는 썬베드(100)의 측면에 장착된 힌지(120)에 고정된 상태로 프레임(111)은 상향으로 썬베드(100) 안쪽으로 만곡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13)은 썬베드(100)와 마주하는 프레임(111)의 폐쇄된 안쪽부분에 프레임(111)과 일체로 형성된다.
도 3에 보이듯이, 상기 지지판(113)은 썬베드(100)와 마주하여 직사각형의 구멍(115)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113)에는 상기 구멍(115)의 가장자리를 따라 필름스피커(200)가 위치할 단턱(117)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117)에 필름스피커(200)가 위치한 상태에서 필름스피커(200)의 가장자리에 단턱(117)과 대응하는 사각형의 보강대(119)가 위치한다. 그리고 보강대(119)를 관통한 나사못이 지지판(113)에 체결됨으로써 보강대(119)와 지지판(113)의 단턱(117) 사이에 필름스피커(200)가 고정된다. 상기 필름스피커(200)는 햇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불투명 필름 또는 햇빛의 세기를 감소시키는 반투명 필름으로 라미네이팅 처리된다. 따라서 필름스피커(200)는 라미네이팅된 필름에 의해 투과하는 햇빛의 세기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필름으로 라미네이팅되어 내수성이 우수하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보이듯이, 상기 프레임(111)이 고정된 힌지(120)는 썬베드(100)의 측면에 고정된 고정체(121)와, 상기 고정체(121)에 정합되며 상기 프레임(111)의 개방된 양단부가 고정된 회전체(125)와, 상기 회전체(125)가 고정체(121)에 대해 회전하도록 장착된 회전축(129)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125)는 회전축(12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고정체(121)는 썬베드(100)의 측면에 형성되며 고정체(121)에 형성된 중공에 회전축(129)이 삽입되어 위치한다. 그리고 고정체(121)의 일면 즉 회전체(125)와 마주하는 고정체(121)의 일면에는 상기 중공의 둘레를 따라 등각으로 동일한 거리에 홈(1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121)에 대응하게 위치한 회전체(125)에도 회전축(129)이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125)의 일면에는 탄성돌기(127)가 고정체(121)에 형성된 홈(123)과 대응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체(125)가 회전축(129)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탄성돌기(127)가 고정체(121)의 홈(123)에 정합하거나 이탈하게 되는데, 탄성돌기(127)가 홈(123)에 정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돌기(127)의 탄성력보다 큰 힘이 지지대(110)에 가해지면 탄성돌기(127)가 변형되어 홈(123)에서 이탈하게 되고 지지대(110)가 회전하게 된다. 지지대(110)에 외부 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 탄성돌기(127)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대(110)가 지지된다.
한편, 회전축(129)은 회전체(125)와 고정체(121)를 관통하여 고정체(121)에 고정되는데, 회전축(129)의 단부에는 걸림턱(130)이 형성되고 걸림턱(130)은 회전체(125)의 중공보다 커서 회전체(125)가 고정체(121)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힌지(120)에 의해 지지대(110)는 도 2에 보이듯이, 상하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며, 사용자가 썬베드(100)에 누운 상태에서 지지대(110)를 눈 앞으로 위치시키면 지지대(110)가 눈의 전방에 위치하여 햇빛을 차단한다.
그리고 필름스피커(200)에 음향기기(220)를 연결하고 필름스피커(200)에서 출력되는 음을 청취한다.
아래에서는 필름스피커(200)의 음향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 보이듯이, 지지대(110)의 단턱(117)과 보강대(119) 사이로 연장된 필름스피커(200)의 단자(201)에는 케이블(203)의 단자(201)가 접속되고, 케이블(203)은 지지대(110)를 따라 썬베드(100)의 손잡이(105)로 연장된다. 썬베드(100)의 손잡이(105)에는 방수키패드(205) 및 음향기기(220)와 접속되는 접속포트(207)가 형성되며, 방수를 위해 접속포트(207)에는 방수고무마개가 씌워진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05)에는 필름스피커(200)에 연결되는 앰프(209)와 트랜스포머(210) 등이 장착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필름스피커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음향기기(220)를 접속포트(207)에 접속한다. 그리고 방수키패드(205)를 조작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음향기기(22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신호는 필름스피커(200)로 입력되어 음을 방출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썬베드(100)에 눕고 지지대(110)를 선회시켜 필름스피커(200)가 눈 앞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면 필름스피커(200)는 강한 햇빛을 차단하면서 음을 방출한다.
[제2실시예]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썬베드는 한 개의 지지대가 설치되어 썬베드에 누워있는 사용자의 눈앞으로 선회하도록 구성한 것이나, 제2실시예에 따른 썬베드에는 양측에 필름스피커가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 선회하여 누워있는 사용자의 양측 귀와 마주하게 위치하는 것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면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름스피커가 장착된 썬베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썬베드(100)의 양측에는 각각 힌지(120)가 장착되며 힌지(120)에는 지지대(110)가 장착된다. 지지대(110)는 프레임(111)의 양단이 힌지(120)의 회전체(125)에 고정된 형태로 필름스피커(200)는 상기 프레임(111)의 안쪽에 위치하며 결속구에 의해 프레임(111)에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결속구를 사용하지 않고 접착제 등으로 필름스피커를 프레임에 접착하여 고정할 수 있으나, 필름스피커(200)의 가장자리를 접착하여 고정하면 고분자 압전쉬트의 가장자리의 진동이 억제되어 음량이 작아진다.
상기 결속구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유사한 예로서, 보강대(119)를 프레임(111)에 고정하고, 보강대(119)와 프레임(111)의 사이에 필름스피커(200)가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프레임(111)에 고정된 고리 및 클립 등을 이용하여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111)에 지지된 필름스피커(200)는 힌지(120)에 의해 선회하면서 상반신 받침대(101a)의 상부로 선회해 올라올 수 있으며, 상반신 받침대(101a)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향기기(220)에서 출력되는 음을 필름스피커(200)를 통해 청취하기 위해서 지지대(110)를 회전시켜 필름스피커(200)가 사용자의 귀와 마주하도록 상반신 받침대(101a)의 상부로 올라오도록 위치하고 출력되는 음악을 듣는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는 지지대(110)가 썬베드(100)의 상반신 받침대(101a)에 장착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머리와 등을 받쳐주는 상반신 받침대를 포함한 침대 또는 의자 등과 같은 가구물에 적용 가능하며, 상반신 받침대와 하반신 받침대로 분할되지 않은 일체형 침대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는 지지대가 힌지결합되어 선회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필름스피커가 상반신 받침대에 위치한 머리와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지지대가 상반신 받침대에 고정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지지대가 고정되어 있어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필름스피커가 지지대와 함께 선회하지 않는다.
100 : 썬베드 101 : 상판
103 : 다리 105 : 손잡이
110 : 지지대 111 : 프레임
113 : 지지판 115 : 구멍
117 : 단턱 119 : 보강대
120 : 힌지 121 : 고정체
123 : 홈 125 : 회전체
127 : 탄성돌기 129 : 회전축
130 : 걸림턱 200 : 필름스피커
201 : 단자 203 : 케이블
205 : 키패드 207 : 접속포트
209 : 앰프 210 : 트랜스포머
220 : 음향기기

Claims (7)

  1. 머리를 받쳐주는 받침대에 장착되는 필름스피커로서,
    상기 필름스피커는 지지대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받침대에 장착되어 상기 필름스피커가 머리와 대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받침대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스피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스피커의 가장자리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받침대의 측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스피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일단이 힌지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부로 연장되거나 또는 상부로 연장된 상태에서 받침대 전방으로 만곡되게 연장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 상기 필름스피커의 가장자리가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스피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일단이 힌지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부로 연장되거나 또는 상부로 연장된 상태에서 받침대 전방으로 만곡되게 연장된 프레임와 상기 프레임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필름스피커와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된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의 구멍에 대응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스피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힌지에 의해 상기 받침대 밖으로 또는 안쪽으로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스피커.
  7. 제1항 또는 제2항은 에 있어서,
    상기 필름스피커는 빛의 투과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스피커.
KR1020100010218A 2010-02-04 2010-02-04 필름스피커 KR201100904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218A KR20110090445A (ko) 2010-02-04 2010-02-04 필름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218A KR20110090445A (ko) 2010-02-04 2010-02-04 필름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445A true KR20110090445A (ko) 2011-08-10

Family

ID=4492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218A KR20110090445A (ko) 2010-02-04 2010-02-04 필름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04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6915A (ja) * 2017-07-06 2019-01-31 株式会社伊川総合研究所 音声発生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6915A (ja) * 2017-07-06 2019-01-31 株式会社伊川総合研究所 音声発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24644A1 (en) Bone conduction speaker and compound vibration device thereof
WO2020038474A1 (zh) 一种扬声器
WO2017024595A1 (zh) 一种骨传导扬声器
CN111432300B (zh) 用于颈部背面的感官刺激或监视装置
US7391878B2 (en) Earphone device having composite functions
US8098872B2 (en) Headphone
US10499138B2 (en) Electronic headphone
WO2019134377A1 (zh) 骨传导发声装置
US20170099537A1 (en) Ear earphone, its variations and methods of wearing the earphone
WO2008123667A1 (en) Headphone with vibration speaker
WO2007100398A9 (en) Eyewear device with signal communicative members
CN217335858U (zh) 一种骨传导耳机
KR100905252B1 (ko) 개방형 청취장치
CN107797308B (zh) 一种可灵活调节骨传导耳机位置的太阳眼镜
CN109314811B (zh) 具有配线伸缩性的耳机和其佩戴方法
US20220254325A1 (en) Wearable speaker
KR20110090445A (ko) 필름스피커
CN217135671U (zh) 一种骨传导耳机
CN217135670U (zh) 一种骨传导耳机
KR101353588B1 (ko) 헤드폰 조립체
WO2019104503A1 (zh) 一种带有骨传导耳机的太阳眼镜
US11575994B2 (en) Bone conduction speaker and compound vibration device thereof
JPH05137630A (ja) 安楽椅子
CN210839993U (zh) 一种带眼镜的骨传导耳机
CN209821540U (zh) 一种可调节骨传导耳机位置的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