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9059A -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photosensitive colored composition, color filter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 Google Patents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photosensitive colored composition, color filter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9059A
KR20110089059A KR1020110002270A KR20110002270A KR20110089059A KR 20110089059 A KR20110089059 A KR 20110089059A KR 1020110002270 A KR1020110002270 A KR 1020110002270A KR 20110002270 A KR20110002270 A KR 20110002270A KR 20110089059 A KR20110089059 A KR 20110089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red
composition
preferable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2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카주마사 모로주미
마사토 나카오
슈이치로 오사다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18426A external-priority patent/JP5557541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6737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195796A/en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9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059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33Blends of pigments; Mixtured crystals; Solid solutions
    • C09B67/0046Mixtures of two or more azo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tical Filter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Abstract

PURPOSE: A photosensitive colored composition is provided to respond to high request characteristics in precision image-related apparatus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to ensure high contrast and high brightness. CONSTITUTION: A photosensitive colored composition for a color filter includes pigment red 146 and pigment red 254 as red pigment and further yellow pigments. The pigment red 146 has a microparticle phase and the average first particle diameter thereof is 50nm or less, and the crystal particle size is 2~20 nm. 40% or more and less than 100% of the red pigment is the pigment red 146. The yellow pigment is pigment yellow 150 or pigment yellow 138.

Description

안료 분산 조성물, 감광성 착색 조성물, 이것을 이용한 컬러 필터, 및 액정 표시 장치{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PHOTOSENSITIVE COLORED COMPOSITION, COLOR FILTER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color filter using thi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PHOTOSENSITIVE COLORED COMPOSITION, COLOR FILTER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안료 분산 조성물, 이것을 사용한 감광성 착색 조성물, 잉크젯 잉크, 감광성 수지 전사 재료, 적색 화소, 컬러 필터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a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using the same, an inkjet ink, a photosensitive resin transfer material, a red pixel, a color filter,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 액정 표시 소자(LCD 등)나 고체 촬상 소자(CCD, CMOS 등)에 사용되는 컬러 필터용의 색재로서 안료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안료를 사용함으로써, 염료를 사용했을 때의 문제점이었던 내광성이나 내열성이 개선되어 내구성이 높은 제품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안료를 사용한 컬러 필터에서는 콘트라스트 향상이 과제가 되고, 그 실현을 위해 보다 미소한 입자 사이즈의 안료가 요구된다. 또한, 제조 적성을 고려해서 감광성 착색 조성물의 저점도화나 분산 안정성의 향상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 관해서, 개량을 가한 양호한 특성을 갖는 감광성 착색 조성물이 지금까지 여러가지로 제안되어 왔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등 참조). 1. It is proposed to use pigment fine particles as a color material for color filters used 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LCD, etc.) and solid-state imaging devices (CCD, CMOS, etc.). By using a pigment, the light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which were the problems at the time of using a dye are improved, and it can be set as the product with high durability. On the other hand, in the color filter using a pigment, contrast improvement becomes a subject and for the realization, the pigment of a smaller particle size is calculated | required. In addition, in view of production aptitude, attempts have been made to lower the viscosity of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and to improve the dispersion stability. With respect to this point, various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s having favorable characteristics to which improvements have been proposed have been proposed so far (see Patent Document 1, Patent Document 2, etc.).

그런데, 최근의 환경 적합성에의 높은 요구에 대하여 이 종류의 액정 표시 장치를 비롯한 정밀 화상 관련 기기에 관해서도 한층 더 에너지 절약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것은 공업적인 요구에 머무르지 않고, 점두로 판매되는 시판 제품에 있어서도 에너지 소비량의 저감폭이 구매 동향에 크게 영향을 줄 정도가 되고 있다. 소위 에너지 절약화(에코)는 화상 재현성 등의 기본 성능과 함께 이 종류 제품의 성능에 있어서 큰 위치를 차지하는 것에 이르고 있다. 그 과제에 대하여, 컬러 필터의 적색 화소에 사용되는 색재가 나타내는 휘도가 중요한 개발 항목으로서 열거된다. By the way, with respect to the recent high demand for environmental suitability, energy saving is further demanded also regarding the precision image-related apparatuses including this kin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is is not limited to industrial demands, and the extent to which energy consumption is reduced also greatly affects the purchase trend even in commercial products sold in stores. So-called energy saving (eco) has come to occupy a large position in the performance of this kind of products, along with basic performance such as image reproducibility. For the problem, the luminance represented by the color material used for the red pixel of the color filter is listed as an important development item.

현재, 컬러 필터의 적색(R) 화소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Pigment Red 177(PR177)과 Pigment Red 254(PR254)의 혼합 색재는 높은 콘트라스트를 나타내지만, 한편으로 Y값(휘도)이 낮아져버린다. 특히, 컬러 필터는 3색(R, G, B)으로 이용될 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비하여 상기 혼합 색재에 의한 잭색 화소는 그 휘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그 결과, 액정 표시 장치이면 컬러 화상의 충분한 색 재현성 및 선명함을 실현하기 위해서 상기 적색 화소의 휘도에 맞추어 고출력의 백라이트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반대로 하면, 상기 적색 화소의 콘트라스트를 떨어뜨리지 않고 높은 휘도의 것으로 할 수 있으면, 백라이트의 휘도를 떨어뜨려 소비 전력량을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색 안료의 휘도 및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PR254에 비표면적이 큰 Pigment Red 176(PR176)을 사용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At present, the mixed color material of Pigment Red 177 (PR177) and Pigment Red 254 (PR254), which are mainly used for the red (R) pixels of the color filter, exhibits high contrast, while the Y value (luminance) is lowered. In particular, when the color filter is used in three colors (R, G, B), the luminance of the jack color pixel by the mixed color material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green pixel and the blue pixel. As a result, 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high output backlight must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luminance of the red pixel in order to realize sufficient color reproducibility and sharpness of the color image. On the contrary, if the brightness of the red pixel can be made high without reducing the contrast, the brightness of the backlight can be lowere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Specifically, Pigment Red 176 (PR176) having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has been proposed for PR254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luminance and contrast of the red pigment (see Patent Document 3).

2. 컬러 필터에 대해서는 고성능ㆍ고품질이 요구되고 있고, 그 제작에 사용되는 유기 안료의 개량이 시도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안료 분산체의 조제에 있어서 저장 안정성이 우수한 것, 이것을 사용한 컬러 필터 착색 화소부의 도막의 콘트라스트가 우수한 것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응하기 위해, 예를 들면 안료 입자를 10~100nm의 범위까지 소사이즈화하고, 또한 분산 안정화시키는 연구가 정력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나노미터 사이즈로 함으로써 처음으로 발현되는 작용 효과를 살리고, 종래 예상할 수 없었던 새로운 특성을 효과적으로 끌어 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상기의 컬러 필터 용도는 물론 예를 들면 도료, 인쇄 잉크, 전자 사진용 토너, 잉크젯 잉크 등에 있어서도 그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상기의 컬러 필터나 잉크젯 잉크에 대해서는 정밀 화학 기술을 구사한 고성능화를 위한 대처가 이루어져 그 성과가 기대되고 있다. 2. High performance and high quality are demanded about a color filter, and the improvement of the organic pigment used for the manufacture is tried. Specifically, what is excellent in storage stability in preparation of a pigment dispersion, what is excellent in the contrast of the coating film of the color filter colored pixel part using this, etc. is calculated | required. In order to meet these requirements, the research which small sized and disperse | distributes a pigment particle to the range of 10-100 nm, for example, is vigorously progressing. As a result, the nanometer size makes it possible to make use of the effect produced for the first time and to effectively draw out new characteristics that have not been previously predicted. In addition to the color filter applications described above,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also being conducted in paints, printing inks, electrophotographic toners, inkjet inks,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above-mentioned color filters and inkjet inks are coped with for high performance utilizing fine chemical technology, and the results are expected.

여기에서, 유기 안료의 분산 방법에 대해서 말하면 브레이크다운법과 액상법으로 크게 구별되고, 브레이크다운법으로서는 비즈밀법이나 솔트밀링법 등의 각종 밀링법에 의해 안료를 미세화하는 방법이 열거된다. 브레이크다운법에 의해 조제된 안료 미립자를 잉크 등에 활용하는 것을 개시한 것으로서 특허문헌 4 및 특허문헌 5 등이 있다. 한편, 액상법으로서는 안료를 양용매(제 1 용매)에 용해시킨 안료 용액과 빈용매(제 2 용매)를 혼합해서 나노 입자를 석출시키는 재침법이 열거된다. 최근에는 이 재침법으로 얻어진 분산액에 소정의 고분자 화합물을 분산제로서 첨가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6~특허문헌 8 참조). Here, the dispersion method of the organic pigment is largely divided into the breakdown method and the liquid phase method, and the breakdown method includes a method of miniaturizing the pigment by various milling methods such as the bead mill method and the salt milling method. Patent Literature 4, Patent Literature 5, and the like have been disclosed in which the pigment fine particles prepared by the breakdown method are utilized for an ink or the like. On the other hand, as a liquid phase method, the reprecipitation method which precipitates a nanoparticle by mixing the pigment solution which melt | dissolved a pigment in the good solvent (1st solvent), and a poor solvent (2nd solvent) is mentioned. In recent years, adding a predetermined high molecular compound as a dispersing agent to the dispersion liquid obtained by this reprecipitation method is proposed (refer patent document 6-patent document 8).

지금까지, 고성능 표시 장치나 인화 장치에 적합한 안료 미립자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브레이크다운법 및 액상법을 사용하여 안료 미립자를 나노미터 사이즈까지 미세화하고, 또한 양호한 분산성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그 이외의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복수의 안료를 조합시키는 것을 검토한 예는 거의 없고, 그 물성이나 색 특성에 관한 지견도 별로 없다. 컬러 필터에 적용되는 적색의 색재를 보아도, 표시 장치로서의 색 특성을 고려하여 오히려 PR254 단독 또는 이것과 PR177을 조합한 것이 전제로 여겨져 왔다. 그 중에는 그 적색의 색 특성을 유지하면서 투명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Pigment Red 242(PR242)를 PR177 내지 PR254와 조합하는 것을 제안하는 경우가 있다(특허문헌 9 참조). 그러나, 이 특허문헌에 대해서 보아도 안료 미립자의 입경이나 컬러 필터로 했을 때의 상세한 성능은 개시되어 있지 않고, 최근 요구되는 컬러 필터의 고콘트라스트화나 고내광성을 만족할 수 있는 것인지는 모른다. 특히,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것을 고려하여 입자의 평균 입경을 떨어뜨려 미분산화하면, 내광성은 반대로 저하되어 버리는 관계가 된다. 통상 어느 쪽을 희생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들 특성의 양립은 곤란했다. Until now, the pigment fine particles suitable for a high performance display device or a ignition device have been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miniaturizing the pigment fine particles down to the nanometer size by using the breakdown method and the liquid phase method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ing good dispersibility. come. As a method other than that, there are few examples which consider combining several pigments, for example, and there is little knowledge about the physical property and a color characteristic. Even in view of the red color material applied to the color filter, it has been assumed that PR254 alone or a combination of this and PR177 is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color characteristics as a display device. Among them, it may be proposed to combine Pigment Red 242 (PR242) with PR177 to PR254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ransparency while maintaining the red color characteristics (see Patent Document 9). However, even with respect to this patent document, the detailed performance of the particle size and color filter of the pigment fine particles is not disclosed, and it is not known whether the high-contrastization and high light resistance of the color filter required in recent years can be satisfied. In particular, whe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ticles is reduced and finely divided in consideration of improving the contrast, the light resistance is inversely lowered. Usually, either must be sacrificed, and compatibility of these characteristics was difficult.

일본 특허 공개 2007-262378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7-262378 일본 특허 공개 2009-84417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9-84417 일본 특허 공개 2009-237462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9-237462 일본 특허 공개 2007-186681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7-186681 일본 특허 공개 2000-160084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0-160084 국제 공개 제 WO 2006/121016호 팜플렛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 2006/121016 Brochure 일본 특허 공개 2004-43776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4-43776 일본 특허 공개 2007-119586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7-119586 일본 특허 3927872호 명세서Japanese Patent No. 3927872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최근 요구되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정밀 화상 관련 기기에 있어서의 높은 요구 특성에 응할 수 있는 고콘트라스트와 고휘도(Y값)를 양립한 감광성 착색 조성물, 이것을 사용한 적색 화소, 컬러 필터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view of the above points,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having both high contrast and high brightness (Y value) that can meet high demand characteristics in precision image-related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which are recently required; It is to provide a red pixel, a color filter,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최근 요구되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정밀 화상 관련 기기에 있어서의 높은 요구 특성에 응할 수 있는 컬러 필터로 했을 때에 고콘트라스트와 고내광성을 양립할 수 있는 안료 분산 조성물, 이것을 사용한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잉크젯 잉크 및 감광성 수지 전사 재료 및 컬러 필터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capable of achieving high contrast and high light resistance when using a color filter capable of meeting high demand characteristics in a precision image related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recently required, and using the sam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ore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 inkjet ink and a photosensitive resin transfer material, a color filter,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상기 과제는 이하의 수단에 의해 해결되었다. The problem has been solved by the following means.

(1-1) 적색 안료로서 Pigment Red 146과 Pigment Red 254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감광성 착색 조성물. (1-1)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for color filters containing Pigment Red 146 and Pigment Red 254 as a red pigment.

(1-2) (1-1)에 있어서, 황색 안료를 더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감광성 착색 조성물. (1-2)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for color filters of (1-1) which further contains a yellow pigment.

(1-3)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Pigment Red 146은 미립자상으로 되며, 그 평균 1차 입경이 50nm 이하이며, 또한 그 결정 입자 사이즈가 2~2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감광성 착색 조성물. (1-3) In (1-1) or (1-2), the Pigment Red 146 is in a particulate form, the average primary particle size of which is 50 nm or less, and the crystal grain size of 2 to 20 nm.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for color filter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1-4) (1-1)~(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질량 기준으로 적색 안료의 40% 이상 100% 미만이 상기 Pigment Red 14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감광성 착색 조성물. (1-4)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for color filters in any one of (1-1)-(1-3) whose 40% or more and less than 100% of a red pigment are said Pigment Red 146 by mass basis. .

(1-5) (1-1)~(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황색 안료는 Pigment Yellow 150 또는 Pigment Yellow 1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감광성 착색 조성물. (1-5)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for color filters in any one of (1-1)-(1-4) whose said yellow pigment is Pigment Yellow 150 or Pigment Yellow 138.

(1-6) (1-1)~(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중합성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유기 용매를 매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감광성 착색 조성물. (1-6)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for color filters in any one of (1-1)-(1-5) which uses the organic solvent which contains a polymeric compound further as a medium.

(1-7) (1-6)에 기재된 컬러 필터용 감광성 착색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적색 화소. (1-7) It formed using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for color filters as described in (1-6), The red pixel for color filter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1-8) (1-7)에 기재된 적색 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 (1-8) The color filter provided with the red pixel as described in (1-7).

(1-9) (1-8)에 기재된 컬러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9) The color filter as described in (1-8) is provide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2-1) C. I. Pigment Red 146과 C. I. Pigment Red 242의 2종의 안료 미립자를 함유하고, 상기 C. I. Pigment Red 146의 질량이 상기 C. I. Pigmetn Red 242와 상기 C. I. Pigment Red 146의 합계 질량에 차지하는 비율(CIPR146/(CIPR146+CIPR242))이 0.1 이상 0.95 이하이며, 상기 2종의 안료 미립자의 입자 사이즈가 4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분산 조성물. (2-1) A ratio containing two kinds of pigment fine particles of CI Pigment Red 146 and CI Pigment Red 242, wherein the mass of CI Pigment Red 146 accounts for the total mass of CI Pigmetn Red 242 and CI Pigment Red 146 ( CIPR146 / (CIPR146 + CIPR242)) is 0.1 or more and 0.95 or less,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said 2 types of pigment fine particles is 40 nm or less, The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2-2) (2-1)에 있어서, 상기 C. I. Pigment Red 146의 질량 비율(CIPR146/(CIPR146+CIPR242))이 0.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분산 조성물. (2-2) The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as described in (2-1) whose mass ratio (CIPR146 / (CIPR146 + CIPR242)) of said C. I. Pigment Red 146 is 0.2 or more.

(2-3) (2-1) 또는 (2-2)에 있어서, 질량 평균 분자량 1000~100000의 고분자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분산 조성물. (2-3) The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as described in (2-1) or (2-2) containing the polymer compound of the mass mean molecular weights 1000-100000.

(2-4) (2-1)~(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산성기를 50mgKOH/g 이상 200mgKOH/g 이하의 범위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분산 조성물. (2-4) The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2-1) to (2-3), wherein the polymer compound has an acid group in a range of 50 mgKOH / g or more and 200 mgKOH / g or less.

(2-5) (2-1)~(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안료 분산 조성물과, 바인더와,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와, 광중합 개시제 또는 광중합 개시제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2-5) Colored pigment photosensitive resin containing the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as described in any one of (2-1)-(2-4), a binder, a monomer or an oligomer, and a photoinitiator or a photoinitiator system. Composition.

(2-6) (2-1)~(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안료 분산 조성물과, 바인더와,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컬러 필터용 잉크젯 잉크. (2-6) The inkjet ink for color filters containing the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as described in any one of (2-1)-(2-4), a binder, and a monomer or an oligomer.

(2-7) 가 지지체 상에 적어도 (2-5)에 기재된 착색 감광성 수지조성물을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전사 재료. The photosensitive resin transfer material (2-7) provided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containing the coloring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of at least (2-5) on a support body.

(2-8) (2-5)에 기재된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2-6)에 기재된 컬러 필터용 잉크젯 잉크 및/또는 (2-7)에 기재된 감광성 수지 전사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한 상기 안료 분산 조성물 중의 안료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 (2-8) the said pigment produced using the coloring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of (2-5), the inkjet ink for color filters of (2-6), and / or the photosensitive resin transfer material of (2-7). A color filter containing pigment fine particles in a dispersion composition.

(2-9) (2-8)에 기재된 컬러 필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9) The color filter as described in (2-8) was provide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발명의 효과> Effec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제 1 해결 수단에 의한 감광성 착색 조성물은 최근 요구되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정밀 화상 관련 기기에 있어서의 높은 요구 특성에 응할 수 있고, 컬러 필터로 했을 때에 고콘트라스트와 고휘도를 양립해서 발휘한다고 하는 우수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의 특성을 갖는 감광성 착색 조성물을 사용한 적색 화소, 컬러 필터 및 액정 표시 장치는 충분한 화상 재현성을 실현하면서 백라이트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환경 적합성이 우수하다.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by the 1st solution means of this invention is able to respond to the high demand characteristic in precision image related apparatus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are recently requested | required, and when it uses as a color filter, it exhibits both high contrast and high brightness. Exhibits excellent effect. Moreover, the red pixel, the color filter,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which have said characteristic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a backlight, realizing sufficient image reproducibility, and are excellent in environmental suitability.

본 발명의 제 2 해결 수단에 의한 안료 분산 조성물은 최근 요구되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정밀 화상 관련 기기에 있어서의 높은 요구 특성에 응할 수 있고, 컬러 필터로 했을 때에 고콘트라스트와 고내광성을 양립해서 발휘한다고 하는 우수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의 특성을 갖는 안료 분산 조성물을 사용한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잉크젯 잉크 및 감광성 수지 전사 재료에 의해 제작한 컬러 필터 및 액정 표시 장치는 적색미와 흑색의 선명함(백라이트로부터의 조사광을 차단하여 흑색 표시로 했을 때에 광의 누설이 없이 흑색이 깊고 어둡게 보이는 것)이 우수하고, 장기간의 사용에 있어서도 그 우수한 적색의 표시 성능을 발휘한다. The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by the 2nd solution means of this invention can respond to the high request | requirement characteristic in precision image related apparatus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are recently requested | required, and exhibits high contrast and high light resistance at the time of setting it as a color filter It shows excellent effect. Moreover, the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were produced by the coloring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the inkjet ink, and the photosensitive resin transfer material using the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which have the said characteristic have redness and black vividness (black by blocking the irradiation light from a backlight When the display is used, the black color is deep and dark without leakage of light), and excellent red display performance is obtained even in long-term use.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서 제 1 실시형태와 제 2 실시형태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양 실시형태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특별한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의 발명이 단일의 일반적 발명 개념을 형성하도록 연관되어 있는 기술적 관계인 것이다. Below,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separately into 1st Embodiment and 2nd Embodiment. In addi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nd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both embodiments have the same or corresponding special technical features, and the technical relationships are related to these inventions to form a single general invention concept. .

(제 1 실시형태) (1st embodiment)

본 실시형태의 컬러필터 용도에 특히 적합한 감광성 착색 조성물은 Pigment Red 146과 Pigment Red 254를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황색 안료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especially suitable for the color filter use of this embodiment contains Pigment Red 146 and Pigment Red 254,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ntaining a yellow pigment preferably.

우선, 종래의 색재에 관한 제약에 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PR254는 특히 휘도가 우수한 안료이고 착색력도 높기 때문에 컬러 필터용의 색재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한편, PR254는 미세화 후의 내열성이 낮아 착색 도막으로 했을 때에 콘트라스트가 저하되어 버린다. 이 점을 보충하기 위해서, 콘트라스트가 높은 PR177을 혼합해서 안료 조성물로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번은 반대로 PR177은 휘도ㆍ착색력이 낮기 때문에 함유율을 높게 할 수 없다. 그 결과, 휘도 및 콘트라스트의 쌍방에 있어서의 성능의 향상에는 한계가 있었다. First, the constraint regarding the conventional color material is demonstrated as follows. PR254 has been widely used as a colorant for color filters because it is a pigment having excellent brightness and high coloring power. On the other hand, PR254 is low in heat resistance after miniaturization, and contrast is reduced when it is used as a coloring coating film. In order to supplement this point, it is generally performed to mix PR177 with high contrast and to make a pigment composition. However, on the contrary, since PR177 has low luminance and coloring power, the content cannot be increased. As a result, there was a limit to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in both the brightness and the contrast.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복수의 안료의 조합에 의해 종래의 색재(PR254와 PR177의 조합)로는 곤란했던 콘트라스트 및 휘도의 한층 더 높은 레벨에서의 양립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이유(작용 기서)에 대해서는 미해명의 점도 있지만, PR146 미립자는 광의 흡수 피크와 흡수가 0이 되는 파장에 매우 근접하고, 흡수하는 광과 투과하는 광의 스위칭이 명확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pigments described above can realize both the contrast and the luminance at a higher level that were difficult with the conventional colorant (combination of PR254 and PR177). Although there is some unexplained reason for such a remarkable effect, the PR146 microparticles are very close to the absorption peak and the wavelength at which the absorption becomes zero, and the switching between the absorbing light and the transmitted light is clear. I think.

[안료] [Pigment]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색 안료로 Pigment Red 146과 Pigment Red 254가 사용된다. 양자의 함유율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컬러 필터 용도의 일반적인 색조 등을 고려하면 PR254 100질량부에 대하여 PR146이 10~3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67~30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양쪽 안료를 상기의 범위로 조합해서 사용함으로써 양호한 콘트라스트에 추가로 특히 높은 휘도가 얻어져 바람직하다. 안료 전량에서 차지하는 PR146의 비율로서 말하면, 함유율 40질량% 이상 100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5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Pigment Red 146 and Pigment Red 254 are used as a red pigment. Although the content rate of both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n consideration of general color tone etc. of a color filter use, it is preferable that PR146 is 10-300 mass parts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PR254,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67-300 mass parts. By using the said both pigments in combination in said range, especially high brightness is obtained in addition to a favorable contrast, and it is preferable. Speaking as the ratio of PR146 which occupies for pigment whole quantit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40 mass% or more and less than 100 mass%,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50 mass% or more and 80 mass% or less.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황색 안료를 더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황색 안료로서는 PY150 또는 PY138이 열거된다. 황색 안료의 함유율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PR254 100질량부에 대하여 1~3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황색 안료를 상기 범위로 조합해서 사용함으로써 색재로서의 조색성은 물론, 감광성 착색 조성물의 휘도가 한층 더 높아지므로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use a combination of a yellow pigment further, and PY150 or PY138 is mentioned as a yellow pigment. Although the content rate of a yellow pigmen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30 mass parts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PR254,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10 mass parts. By using a yellow pigment in combination in the said range, since the luminance of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becomes high further, as well as the coloring property as a color material, it is preferable.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착색 조성물에 있어서의 안료의 총 함유율은 그 전체 고형분 성분에 대하여 10질량%~70질량%가 바람직하고, 20질량%~6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30질량%~50질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미세화되어 표면적이 증가된 안료 미립자를 안정 분산시킬 수 있고, 상기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안료 유도체의 과잉 첨가에 의한 색가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 소망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이외의 안료를 더 조합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방해되는 것은 아니다. 10 mass%-70 mass% are preferable with respect to the total solid component, and, as for the total content rate of the pigment in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20 mass%-60 mass% are more preferable, 30 mass%-50 mass mass % Is most preferred. By setting it as the said lower limit or more, the pigm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refine | miniaturized and the surface area increased can be disperse | distributed stably, and below the said upper limit can prevent the fall of the color value by the addition of a pigment derivative.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using in combination further with the pigment of that excepting the above in the range which does not impair the desired effect is not prevented.

○ 안료 미립자 ○ pigment fine particles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안료 미립자(1차 입자)의 평균 입경은 100nm 이하가 바람직하고, 75n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50n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한값은 특별하게 없지만, 1nm 이상인 것이 실제적이다. 또한, 입자의 균일성(단분산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특별하게 기재하지 않는 한 CV를 사용한다. CV는 수 평균 입경(L)과 L의 표준 편차(σ)의 비(σ/L)로 나타내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안료 미립자(1차 입자)의 단분산도, 즉 CV는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안료 미립자의 결정 입자 지름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2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n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20nm 이하인 것이 실제적이다. 상기 입경, 결정 입자 지름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특별하게 언급하지 않는 한 실시예에서 채용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유기 안료 미립자의 바람직한 범위는 적어도 PR146이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포함되는 모든 안료 미립자가 상기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100 nm or less is preferable, as for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 pigment fine particle (primary particle), 75 nm or less is more preferable,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50 nm or less. Although there is no special lower limit, it is practical that it is 1 nm or more.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CV is used as an index which shows the uniformity (monodispersibility) of particle | grains unless there is particular notice in this embodiment. CV is represented by the ratio (σ / L) of the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L) and the standard deviation (σ) of L.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monodispersity, ie CV, of a pigment fine particle (primary particle) is 30% or less,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20% or less. Although the crystal grain diameter of a pigment fine particle in this embodimen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2 nm or more,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3 nm or more. Although an upper limi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is practical that it is 20 nm or less. As a measuring method of the said particle size and a crystal grain diameter, it measures by the method employ | adopted in the Example unless there is particular notice. Moreover, as for the preferable range of the said organic pigment microparticle, it is preferable that PR146 is the said range at least,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all the pigm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contained are the said range.

○ 분쇄법 ○ grinding

본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안료 미립자는 특별하게 미립화 방법에 제한은 없지만, 분쇄법 등의 브레이크다운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그 때에는 필요에 따라 각종 용제, 수지, 와니스 등을 혼합해서 횡형 샌드밀, 종형 샌드밀, 환형 비즈밀, 아토라이터 등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니더 등의 혼련 장치를 이용하여 유기 안료를 무기염으로 마쇄해서 유기 안료의 1차 입자 지름을 더욱 미세해지도록 솔트 밀링 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후술하는 특정 고분자 화합물이나 그 이외의 안료 분산제는 모든 성분을 혼합하고나서 분산시켜도 좋지만, 처음에 안료와 특정 고분자 화합물(특정 중합체) 등, 안료만 또는 안료와 안료 분산제만을 분산시키고, 이어서 다른 성분을 첨가해서 재분산을 행해도 좋다. 또한, 미립화 처리시에 첨가해도 좋다. Although the pigment fine particle used for this embodiment does not have a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in the atomization method, It can prepare by breakdown methods, such as a grinding | pulverization method. In that case, it can obtain by mixing various solvents, resin, varnish, etc. as needed and disperse | distributing to a horizontal sand mill, a vertical sand mill, a circular bead mill, an Ato writer, etc. Moreover, what grind | pulverized the organic pigment with inorganic salt using kneading | mixing apparatus, such as a kneader, and the salt milling process so that the primary particle diameter of an organic pigment may become more fine can also be used. The specific polymer compound or other pigment dispersant described later may be dispersed after mixing all the components, but first, only the pigment, such as the pigment and the specific polymer compound (specific polymer), or the pigment and the pigment dispersant is dispersed, and then other components are dispersed. You may add and redisperse. Moreover, you may add at the time of an atomization process.

또한, 횡형 샌드밀, 종형 샌드밀, 환형 비즈밀, 아토라이트 등으로 분산을 행하기 전에 니더, 3개 롤밀 등의 연육 혼합기를 사용한 전분산, 2개 롤밀 등에 의한 고형 분산, 또는 안료에의 염기성기를 갖는 시너지스트 및/또는 분산제의 처리를 행해도 좋다. 또한, 하이스피드 믹서, 호모 믹서, 볼밀, 롤밀, 맷돌식 밀, 초음파 분산기 등의 분산기나 혼합기를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before dispersing with a horizontal sand mill, a vertical sand mill, a circular bead mill, an atorite, etc., predispersion using a meat mixer such as a kneader and three roll mills, solid dispersion by two roll mills or the like, or basicity to a pigment The synergy and / or dispersant having a group may be treated. Moreover, dispersers and mixers, such as a high speed mixer, a homo mixer, a ball mill, a roll mill, a mill mill, an ultrasonic disperser, can be used.

○ 재침법 ○ reprecipitation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기 안료 입자는 유기 안료를 양용매(이하, 이것을 제 1 용매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에 용해시킨 유기 안료의 용해액과 상기 양용매에 대해서 상용성을 갖고, 유기 안료에 대하여 빈용매(이하, 이것을 제 2 용매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가 되는 용매를 혼합함으로써 생성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한 것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8-29119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7-262378호 공보, 2004-43776호 공보, 2008-231415호 공보 등을 참조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rganic pigment particles have compatibility with the solution of the organic pigment in which the organic pigment is dissolved in a good solvent (hereinafter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solvent) and the good solvent. What was produced by mixing the solvent used as a poor solvent (Hereinafter, this may be called a 2nd solvent) can be used.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8-291193, Japanese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7-262378, 2004-43776, 2008-231415, etc. can be referred.

[중합성 화합물] [Polymerizable Compoun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합성 화합물을 사용해도 좋다.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적어도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부가 중합성 화합물을 열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말단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적어도 1개,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갖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이와 같은 화합물군은 해당 산업분야에 있어서 널리 공지되어 있는 것이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을 특별한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면 모노머, 프리폴리머, 즉 2량체, 3량체 및 올리고머, 또는 그들의 혼합물 및 그들의 (공)중합체 등의 화학적 형태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In this embodiment, you may use a polymeric compound. As a polymeric compound, the addition polymeric compound which has at least 1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can be mentioned, for example. Specifically, it is selected from compounds which have at least one, preferably two or more terminal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s. Such a compound group is well known in the said industrial field, and can use these without a restriction | limiting in this embodiment. These may be, for example, any of the chemical forms of monomers, prepolymers, ie dimers, trimers and oligomers, or mixtures thereof and their (co) polymers.

모노머 및 그 (공)중합체의 예로서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말레산 등)이나 그 에스테르류, 아미드류 및 이들의 (공)중합체가 열거되고,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카르복실산과 지방족 다가 알콜 화합물의 에스테르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과 지방족 다가 아민 화합물의 아미드류 및 이들의 (공)중합체이다. 또한, 히드록실기나 아미노기, 메르캅토기 등의 구핵성 치환기를 갖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또는 아미드류와 단관능 또는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류 또는 에폭시류의 부가 반응물이나 단관능 또는 다관능의 카르복실산의 탈수 축합 반응물 등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기나 에폭시기 등의 친전자성 치환기를 갖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또는 아미드류와 단관능 또는 다관능의 알콜류, 아민류, 티올류의 부가 반응물, 또한 할로겐기나 토실옥시기 등의 탈리성 치환기를 갖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또는 아미드류와 단관능 또는 다관능의 알콜류, 아민류, 티올류의 치환 반응물도 바람직하다. 또한, 별도의 예로서 상기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대신에 불포화 포스폰산, 스티렌, 비닐에테르 등으로 치환된 화합물군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Examples of monomers and their (co) polymers inclu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itaconic acid, crotonic acid, isocrotonic acid, maleic acid, etc.), esters thereof, amides and their (co) Polymers are listed, preferably ester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nd aliphatic polyhydric alcohol compounds and amide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nd aliphatic polyhydric amine compounds and their (co) polymers. Moreover, addition reaction, monofunctional or polyfunctional carboxylic acid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or amide which has nucleophilic substituent, such as a hydroxyl group, an amino group, and a mercapto group, and monofunctional or polyfunctional isocyanate, or epoxys Dehydration condensation reactants and the like are also preferably used. Moreover, the addition reaction product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or amides which have electrophilic substituents, such as an isocyanate group and an epoxy group, and monofunctional or polyfunctional alcohol, amines, and thiols, and also detachable substituents, such as a halogen group and a tosyloxy group, can be used. Substituted reactant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s or amides having monofunctional or polyfunctional alcohols, amines and thiols are also preferable. As anothe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ompound group substituted with unsaturated phosphonic acid, styrene, vinyl ether or the like instead of the abov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지방족 다가 알콜 화합물과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의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테르, 트리메틸롤에탄트리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디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소르비톨트리아크릴레이트, 소르비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소르비톨펜타아크릴레이트, 소르비톨헥사아크릴레이트, 트리(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이소시아누르산 EO 변성 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이 열거된다.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monomer of the ester of an aliphatic polyhydric alcohol compound and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it is an acrylic ester, for example, ethylene glycol di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acrylate, 1, 3- butanediol diacrylate, tetramethylene glycol diacryl Rate, propylene glycol diacrylate, neopentyl glycol di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 (acryloyloxypropyl) ether, trimethylol ethane triacrylate, hexanediol diacrylate, 1, 4-cyclohexanediol di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pentaerythritol diacrylate, 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dipentaerythritol di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sorbitol tree Acrylic ray And sorbitol tetraacrylate, sorbitol pentaacrylate, sorbitol hexaacrylate, tri (acryloyloxyethyl) isocyanurate, polyester acrylate oligomer, isocyanuric acid EO modified triacrylate, and the like.

또한,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로서 예를 들면 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에탄트리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디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크릴레이트, 소르비톨트리메타크릴레이트, 소르비톨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비스[p-(3-메타크릴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디메틸메탄, 비스-[p-(메타크릴옥시에톡시)페닐]디메틸메탄 등이 열거된다. Moreover, as methacrylic acid ester, for example, tetram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neopentyl glycol dimeth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trimethylol ethane trimeth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1,3-butanediol dimethacrylate, hexanediol d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d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r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methacrylate, dipentaerythritol dimethacrylate 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methacrylate, sorbitol trimethacrylate, sorbitol tetramethacrylate, bis [p- (3-methacryloxy-2-hydroxypropoxy) phenyl] dimethylmethane, bis- [p -(Methacryloxyethoxy) phenyl] dimethylmethane etc. are mentioned.

또한, 이타콘산에스테르로서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이타코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이타코네이트, 1,3-부탄디올디이타코네이트, 1,4-부탄디올디이타코네이트, 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이타코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이타코네이트, 소르비톨테트라이타코네이트 등이, 또한 크로톤산에스테르로서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크로토네이트, 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크로토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크로토네이트, 소르비톨테트라디크로토네이트 등이, 이소크로톤산에스테르로서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이소크로토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이소크로토네이트, 소르비톨테트라이소크로토네이트 등이, 또한 말레산에스테르로서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말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말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말레이트, 소르비톨테트라말레이트 등이 열거된다. As itaconic acid ester, for example, ethylene glycol diitaconate, propylene glycol diitaconate, 1,3-butanediol diitaconate, 1,4-butanediol diitaconate, tetramethylene glycol diitaconate, pentaerythritol diitaco Nate, sorbitol tetrataconate, and the like are also crotonic acid esters, for example, ethylene glycol dicrotonate, tetramethylene glycol dicrotonate, pentaerythritol dicrotonate, sorbitol tetradicrotonate, and the like. For example, ethylene glycol diisocrotonate, pentaerythritol diisocrotonate, sorbitol tetraisocrotonate, etc. are also maleic acid esters, for example, ethylene glycol dimaleate, triethylene glycol dimaleate, pentaerythritol dimaleate Sorbitol tetramalate, etc. It is exemplified.

그 이외의 에스테르의 예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고 소 51-4733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 57-196231호 공보 기재의 지방족 알콜계 에스테르류나 일본 특허 공개 소 59-524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 59-524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2-226149호 공보 기재의 방향족계 골격을 갖는 것, 일본 특허 공개 평 1-165613호 공보 기재의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것 등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술의 에스테르 모노머는 혼합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As examples of other esters, for example, aliphatic alcohol esters described in JP-A-51-47334, JP-A-57-196231, JP-A-59-5240, and JP-A-JP The thing which has the aromatic skeleton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59-5241,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226149, containing the amino group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165613, etc. is also used preferably.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ester monomer can be used also as a mixture.

또한, 지방족 다가 아민 화합물과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아미드의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메틸렌비스-메타크릴아미드, 1,6-헥사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1,6-헥사메틸렌비스-메타크릴아미드, 디에틸렌트리아민트리스아크릴아미드, 크실릴렌비스아크릴아미드, 크실릴렌비스메타크릴아미드 등이 있다. Moreover, as an example of the monomer of the amide of an aliphatic polyhydric amine compound and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ethylenebis- acrylamide, methylenebis-methacrylamide, 1, 6- hexamethylenebis- acrylamide, 1, 6- hexamethylene bis- Methacrylamide, diethylenetriamine trisacrylamide, xylylenebisacrylamide, xylylenebismethacrylamide and the like.

그 이외의 바람직한 아미드계 모노머의 예로서는 일본 특허 공고 소 54-21726호 공보에 기재된 시클로헥실렌 구조를 갖는 것을 열거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the other preferable amide monomer, what has the cyclohexylene structure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54-21726 can be mentioned.

또한, 이소시아네이트와 수산기의 부가 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우레탄계 부가 중합성 화합물도 바람직하고, 이러한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고 소 48-41708호 공보 중에 기재된 1분자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하기 일반식(A)로 나타내어지는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비닐 모노머를 부가시킨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중합성 비닐기를 함유하는 비닐 우레탄 화합물 등이 열거된다. Moreover, the urethane type addition polymeric compound manufactured using addition reaction of an isocyanate and a hydroxyl group is also preferable, As this specific example, polyisocyanate which has two or more isocyanate groups in 1 molecule as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48-41708, for example. The vinyl urethane compound etc. which contain two or more polymerizable vinyl groups in 1 molecule which added the vinyl monomer containing the hydroxyl group represented by following General formula (A) to a compound are mentioned.

CH2=C(R)COOCH2CH(R')OH … (A) CH 2 = C (R) COOCH 2 CH (R ′) OH... (A)

[일반식(A) 중 R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H3 나타낸다.] [In Formula (A), R and R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H or CH 3. ]

이들의 중합성 화합물에 대해서 그 구조, 단독 사용인가 병용인가, 첨가량 등의 사용 방법의 상세한 것은 감광성 착색 조성물의 최종적인 성능 설계에 맞춰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도의 관점에서는 1분자당의 불포화기 함량이 많은 구조가 바람직하고, 많은 경우에는 2관능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착색 경화막의 강도를 높이는 관점에서는 3관능 이상의 것이 좋고, 또한 다른 관능수ㆍ다른 중합성기(예를 들면,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스티렌계 화합물, 비닐에테르계 화합물)의 것을 병용함으로써 감도와 강도의 양쪽을 조절하는 방법도 유효하다. 또한, 감광성 착색 조성물에 함유되는 다른 성분(예를 들면, 광중합 개시제, 착색제(안료), 바인더 폴리머 등)과의 상용성, 분산성에 대해서도 중합성 화합물의 선택ㆍ사용법은 중요한 요인이고, 예를 들면 저순도 화합물의 사용이나 2종 이상의 병용에 의해 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지지체 등의 경질 표면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특정한 구조를 선택할 수도 있다. About these polymeric compounds, the detail of usage methods, such as the structure, single use, combined use, and addition amount, can be arbitrarily set according to the final performance design of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For example, a structure with many unsaturated group content per molecule is preferable from a viewpoint of a sensitivity, and in many cases, bifunctional or more is preferable. Moreover, from a viewpoint of raising the intensity | strength of a colored cured film, a trifunctional or more thing is good, and also by using together the thing of another functional water and another polymerizable group (for example, acrylic acid ester, methacrylic acid ester, a styrene type compound, a vinyl ether type compound) The method of adjusting both sensitivity and intensity is also effective. In addition, the compatibility and dispersibility with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 colorant (pigment), a binder polymer, etc.) contained in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are also important factors. Compatibility may be improved by using a low-purity compound or using 2 or more types together. Moreover, a specific structure can also be selected from a viewpoint of improving adhesiveness with hard surfaces, such as a support body.

감광성 착색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 중에 있어서의 중합성 화합물의 함유량(2종 이상의 경우에는 총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하게 한정은 없고, 본 실시형태의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얻는 관점에서 10질량%~80질량%가 바람직하고, 15질량%~7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20질량%~60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as content (in the case of 2 or more types, total content) of the polymeric compound in the total solid of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10 mass%-80 mass% are preferable from a viewpoint which acquires the effect of this embodiment more effectively. 15 mass%-75 mass% are more preferable, and 20 mass%-60 mass% are especially preferable.

[광중합 개시제]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착색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것은 잉크젯 잉크로서 이용하는 타입의 컬러 레지스트의 경우에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도포법에 있어서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컬러 레지스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는 상술의 중합성 화합물을 중합시킬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하게 제한은 없고, 특성, 개시 효율, 흡수 파장, 입수성, 코스트 등의 관점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may contain the photoinitiator. This is not necessarily necessary in the case of the color resist of the type used as inkjet ink, and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color resist containing a polymerization initiator in the coating method mentioned later. 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if a photoinitiator can superpose | polymerize the above-mentioned polymeric compound, It is preferable to select from a viewpoint of a characteristic, start efficiency, absorption wavelength, availability, cost, etc.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할로메틸옥사디아졸 화합물 및 할로메틸-s-트리아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활성 할로겐 화합물, 3-아릴 치환 쿠마린 화합물, 로핀 2량체, 벤조페논 화합물, 아세토페논 화합물 및 그 유도체, 시클로펜타디엔-벤젠-철 착체 및 그 염, 옥심계 화합물 등이 열거된다. 광중합 개시제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2004-295116호 공보의 단락 [0070]~[0077]에 기재된 것이 열거된다. 그 중에서도, 중합 반응이 신속한 점 등에서 옥심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As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for example, at least one active halogen compound selected from a halomethyloxadiazole compound and a halomethyl-s-triazine compound, a 3-aryl substituted coumarin compound, a ropin dimer, a benzophenone compound, an acetophenone compound, and Derivatives thereof, cyclopentadiene-benzene-iron complexes and salts thereof, oxime compounds and the like. Specific examples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those described in paragraphs [0070] to [0077] of JP2004-295116A. Especially, an oxime type compound is preferable at the point of rapid polymerization reaction.

상기 옥심계 화합물(이하,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라고도 함)로서는 특별하게 한정은 없고,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0-80068호 공보, WO 02/100903 A1, 일본 특허 공개 2001-233842호 공보 등에 기재된 옥심계 화합물이 열거된다. 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as said oxime type compound (henceforth an "oxime type photoinitiator"), For example,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0-80068, WO 02/100903 A1,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1-233842, etc. Listed oxime compounds are listed.

구체적인 예로서는 2-(O-벤조일옥심)-1-[4-(페닐티오)페닐]-1,2-부탄디온, 2-(O-벤조일옥심)-1-[4-(페닐티오)페닐]-1,2-펜탄디온, 2-(O-벤조일옥심)-1-[4-(페닐티오)페닐]-1,2-헥산디온, 2-(O-벤조일옥심)-1-[4-(페닐티오)페닐]-1,2-헵탄디온, 2-(O-벤조일옥심)-1-[4-(페닐티오)페닐]-1,2-옥탄디온, 2-(O-벤조일옥심)-1-[4-(메틸페닐티오)페닐]-1,2-부탄디온, 2-(O-벤조일옥심)-1-[4-(에틸페닐티오)페닐]-1,2-부탄디온, 2-(O-벤조일옥심)-1-[4-(부틸페닐티오)페닐]-1,2-부탄디온, 1-(O-아세틸옥심)-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에탄온, 1-(O-아세틸옥심)-1-[9-메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에탄온, 1-(O-아세틸옥심)-1-[9-프로필-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에탄온, 1-(O-아세틸옥심)-1-[9-에틸-6-(2-에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에탄온, 1-(O-아세틸옥심)-1-[9-에틸-6-(2-부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에탄온 등이 열거된다. 단,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pecific examples include 2- (O-benzoyloxime) -1- [4- (phenylthio) phenyl] -1,2-butanedione, 2- (O-benzoyloxime) -1- [4- (phenylthio) phenyl] -1,2-pentanedione, 2- (O-benzoyloxime) -1- [4- (phenylthio) phenyl] -1,2-hexanedione, 2- (O-benzoyloxime) -1- [4- (Phenylthio) phenyl] -1,2-heptanedione, 2- (O-benzoyloxime) -1- [4- (phenylthio) phenyl] -1,2-octanedione, 2- (O-benzoyloxime) -1- [4- (methylphenylthio) phenyl] -1,2-butanedione, 2- (O-benzoyloxime) -1- [4- (ethylphenylthio) phenyl] -1,2-butanedione, 2 -(O-benzoyloxime) -1- [4- (butylphenylthio) phenyl] -1,2-butanedione, 1- (O-acetyloxime) -1- [9-ethyl-6- (2-methyl Benzoyl) -9H-carbazol-3-yl] ethanone, 1- (O-acetyloxime) -1- [9-methyl-6- (2-methylbenzoyl) -9H-carbazol-3-yl] ethane On, 1- (O-acetyloxime) -1- [9-propyl-6- (2-methylbenzoyl) -9H-carbazol-3-yl] ethanone, 1- (O-acetyloxime) -1- [9-ethyl-6- (2-ethylbenzoyl) -9H-carbazol-3-yl] ethanone, 1- (O-acetyloxime) -1- [9-ethyl-6- (2-butylbenzoyl) -9H- Le carbazole-3-yl] ethanone are listed the lik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se.

이들 중, 보다 적은 노광량으로 형상(특히, 고체 촬상 소자의 경우에는 패턴의 직사각형성)의 양호한 패턴이 얻어지는 점에서 2-(O-벤조일옥심)-1-[4-(페닐티오)페닐]-1,2-옥탄디온, 1-(O-아세틸옥심)-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에탄온 등의 옥심-O-아실계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CGI-124, CGI-242(이상, Ciba Specialty Chemicals K. K. 제품) 등이 열거된다. Among them, 2- (O-benzoyloxime) -1- [4- (phenylthio) phenyl]-in terms of obtaining a good pattern of a shape (particularly, a rectangular shape of a pattern in the case of a solid-state imaging device) with a smaller exposure dose. Oxime-O-acyl, such as 1,2-octanedione and 1- (O-acetyloxime) -1- [9-ethyl-6- (2-methylbenzoyl) -9H-carbazol-3-yl] ethanone System compounds are particularly preferable,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CGI-124, CGI-242 (above, manufactured by Ciba Specialty Chemicals KK), and the like.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감도, 경시 안정성, 후가열시의 착색의 관점에서 옥심계 화합물로서 하기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llowing General formula (1) as an oxime compound is more preferable from a viewpoint of a sensitivity, stability with time, and coloring at the time of post-heating.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일반식(1) 중 R 및 X는 각각 독립적으로 1가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A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내며, Ar은 아릴기를 나타낸다. n은 1~5의 정수이다. In said general formula (1), R and X respectively independently represent a monovalent substituent, A represents a divalent organic group, and Ar represents an aryl group. n is an integer of 1-5.

R로서는 고감도화의 점에서 아실기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벤조일기, 톨루일기가 바람직하다. As R, an acyl group is preferable at the point of high sensitivity, and an acetyl group, a propionyl group, a benzoyl group, and a toluyl group are specifically, preferable.

A로서는 감도를 높이고 가열 경시에 의한 착색을 억제하는 점에서 무치환의 알킬렌기, 알킬기(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tert-부틸기, 도데실기)로 치환된 알킬렌기, 알케닐기(예를 들면, 비닐기, 알릴기)로 치환된 알킬렌기, 아릴기(예를 들면, 페닐기, p-톨릴기, 크실릴기, 쿠메닐기, 나프틸기, 안트릴기, 페난트릴기, 스티릴기)로 치환된 알킬렌기가 바람직하다. A is an alkylene group substituted with an unsubstituted alkylene group, an alkyl group (eg, methyl group, ethyl group, tert-butyl group, dodecyl group) and alkenyl group (eg For example, an alkylene group substituted with a vinyl group or an allyl group, or an aryl group (for example, a phenyl group, p-tolyl group, xylyl group, cumenyl group, naphthyl group, anthryl group, phenanthryl group, styryl group) Substituted alkylene groups are preferred.

Ar로서는 감도를 높이고 가열 경시에 의한 착색을 억제하는 점에서 치환 또는 무치환의 페닐기가 바람직하다. 치환 페닐기의 경우, 그 치환기로서는 예를 들면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할로겐기가 바람직하다. As A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phenyl group is preferable at the point which raises a sensitivity and suppresses coloring by the time of heating. In the case of a substituted phenyl group, as this substituent, halogen groups, such as a fluorine atom, a chlorine atom, a bromine atom, and an iodine atom, are preferable, for example.

X로서는 용제 용해성과 장파장 영역의 흡수 효율 향상의 점에서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옥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알킬티옥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티옥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미노기가 바람직하다. X may be an alk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an ar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an alken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an alkyn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or a substituent in view of solvent solubility and the absorption efficiency improvement of a long wavelength region. The alkoxy group, the aryloxy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the alkylthioxy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the arylthioxy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and the amino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are preferable.

또한, 일반식(1)에 있어서의 n은 1~2의 정수가 바람직하다. Moreover, the integer of 1-2 is preferable in n in General formula (1).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착색 조성물에는 상기의 광중합 개시제 이외에 일본 특허 공개 2004-295116호 공보의 단락 [0079]에 기재된 다른 공지의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해도 좋다. 광중합 개시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함유할 수 있다. 감광성 착색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 중에 있어서의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2종 이상의 경우에는 총 함유량)은 본 실시형태의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얻는 관점에서 3질량%~20질량%가 바람직하고, 4질량%~19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5질량%~18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Moreover, you may use other well-known photoinitiator of Paragraph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4-295116 for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other than said photoinitiator. A photoinitiator can be contained individually by 1 type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As for content (in the case of 2 or more types, total content) of the photoinitiator in the total solid of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3 mass%-20 mass% are preferable from a viewpoint of obtaining the effect of this embodiment more effectively, 4 mass%-19 Mass% is more preferable, and 5 mass%-18 mass% are especially preferable.

[유기 용제] [Organic Solvent]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착색 조성물은 유기 용제를 매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는 병존하는 각 성분의 용해성이나 감광성 착색 조성물로 했을 때의 도포성을 만족할 수 있는 연속상을 이루는 것이면 기본적으로는 특별하게 제한은 없고, 특히 바인더의 용해성, 도포성, 안전성을 고려해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로서는 하기 에스테르 화합물(류) 용매, 에테르 화합물(류) 용매 및 탄화 방향족 수소 화합물(류)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uses an organic solvent as a medium. The organic solvent is basically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forms a continuous phase that can satisfy the solubility of each component to coexist and the coating properties when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is used. In particular, the organic solvent i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olubility, coating property, and safety of the binder. It is desirable to. As an organic solven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t least 1 sort (s) chosen from the group which consists of the following ester compound (s) solvent, an ether compound (s) solvent, and a hydrocarbon aromatic hydrogen compound (s) solvent.

유기 용제로서는 에스테르류로서 예를 들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포름산아밀, 아세트산이소아밀, 아세트산이소부틸, 프로피온산부틸, 부티르산이소프로필, 부티르산에틸, 부티르산부틸, 락트산메틸, 락트산에틸, 옥시아세트산알킬에스테르류(예: 옥시아세트산메틸, 옥시아세트산에틸, 옥시아세트산부틸(구체적으로는 메톡시아세트산메틸, 메톡시아세트산에틸, 메톡시아세트산부틸, 에톡시아세트산메틸, 에톡시아세트산에틸 등이 열거된다.)), 3-옥시프로피온산알킬에스테르류(예: 3-옥시프로피온산메틸, 3-옥시프로피온산에틸 등(구체적으로는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3-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등이 열거된다.)), 2-옥시프로피온산알킬에스테르류(예: 2-옥시프로피온산메틸, 2-옥시프로피온산에틸, 2-옥시프로피온산프로필 등(구체적으로는 2-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2-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2-메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2-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2-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등이 열거된다.)), 2-옥시-2-메틸프로피온산메틸, 2-옥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구체적으로는 2-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메틸, 2-에톡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등이 열거된다.), 피루브산메틸, 피루브산에틸, 피루브산프로필, 아세토아세트산메틸, 아세토아세트산에틸, 2-옥소부탄산메틸, 2-옥소부탄산에틸 등이 열거된다. As the organic solvent, for example, ethyl acetate, n-butyl acetate, isobutyl acetate, amyl formate, isoam acetate, isobutyl acetate, butyl propionate, isopropyl butyrate, ethyl butyrate, butyl butyrate, methyl lactate, Ethyl lactate, alkyl oxyacetates (e.g., methyl oxyacetate, ethyl oxyacetate, butyl oxyacetate (specifically methyl methoxyacetate, methoxyacetate, methoxyacetate butyl, ethoxyacetate, ethyl ethoxyacetate) And 3-oxypropionate alkyl esters (e.g., methyl 3-oxypropionate, ethyl 3-oxypropionate, and the like (specifically, methyl 3-methoxypropionate, ethyl 3-methoxypropionate, 3-) Methyl ethoxypropionate, ethyl 3-ethoxypropionate, etc.)) and 2-oxypropionic acid alkyl esters (for example, 2-oxypropionic acid). Methyl, 2-oxypropionate, propyl 2-oxypropionate and the like (specifically, 2-methoxypropionate methyl, 2-methoxypropionate, 2-methoxypropionate, methyl 2-ethoxypropionate, 2-ethoxy Ethyl propionate, etc.)), methyl 2-oxy-2-methylpropionate, ethyl 2-oxy-2-methylpropionate (specifically methyl 2-methoxy-2-methylpropionate, 2-ethoxy-2, etc.). -Ethyl methyl propionate, etc.), methyl pyruvate, ethyl pyruvate, propyl pyruvate, methyl acetoacetate, ethyl acetoacetate, methyl 2-oxobutyrate, ethyl 2-oxobutanoate, etc. are mentioned.

또한, 에테르류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이 열거된다. Moreover, as ether, for example, di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tetrahydrofuran, 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methyl cellosolve acetate, ethyl cellosolve acetate, d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di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d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propyl ether acetate and the like.

케톤류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2-헵타논, 3-헵타논 등이 열거된다. As ketones, methyl ethyl ketone, cyclohexanone, 2-heptanone, 3-heptanone,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방향족 탄화수소류로서는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등이 바람직하게 열거된다. As aromatic hydrocarbons, toluene, xylene, etc. are mentioned preferably, for example.

이들의 유기 용제는 상술의 각 성분의 용해성 및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를 포함하는 경우는 그 용해성, 도포면 형상의 개량 등의 관점에서 2종 이상을 혼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3-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락트산에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아세트산부틸,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2-헵타논, 시클로헥사논, 에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 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및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혼합 용액이다. When these organic solvents contain the solubility and alkali-soluble binder of each component mentioned above, it is also preferable to mix 2 or more types from a viewpoint of the solubility, improvement of a coated surface shape, etc. In this case, Especially preferably, 3-ethoxy propionate methyl, 3-ethoxy propionate ethyl, ethyl cellosolve acetate, ethyl lactate, di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butyl acetate, 3-methoxy propionate methyl, 2-heptanone , Cyclohexanone, ethyl carbitol acetate, butyl carbitol acetate, 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nd 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유기 용제의 감광성 착색 조성물에 있어서의 함유량으로서는 조성물 중의 전체 고형분 농도가 10질량%~80질량%가 되는 양이 바람직하고, 15질량%~60질량%가 되는 양이 보다 바람직하다. As content in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of an organic solvent, the quantity which becomes 10 mass%-80 mass% of the total solid content concentration in a composition is preferable, and the quantity which becomes 15 mass%-60 mass% is more preferable.

[다른 성분] [Other Ingredients]

○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 alkali-soluble binder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착색 조성물은 상기의 각 성분에 추가로 그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를 더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는 알칼리 가용성을 갖는 것 이외에는 특별하게 한정은 없고, 바람직하게는 내열성, 현상성, 입수성 등의 관점에서 선택할 수 있다.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로서는 선상 유기 고분자 중합체이고, 또한 유기 용제에 가용이며, 약 알카리 수용액에서 현상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선상 유기 고분자 중합체로서는 측쇄에 카르복실산을 갖는 폴리머,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소 59-44615호, 일본 특허 공고 소 54-34327호, 일본 특허 공고 소 58-12577호, 일본 특허 공고 소 54-25957호, 일본 특허 공개 소 59-53836호, 일본 특허 공개 소 59-71048호의 각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 공중합체, 이타콘산 공중합체, 크로톤산 공중합체, 말레산 공중합체, 부분 에스테르화 말레산 공중합체 등이 열거되고, 마찬가지로 측쇄에 카르복실산을 갖는 산성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유용하다.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contain alkali-soluble binder in the range which does not impair the effect further to said each component. An alkali-soluble bind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except having alkali solubility, Preferably, it can select from a viewpoint of heat resistance, developability, water availability, etc .. The alkali-soluble binder is preferably a linear organic polymer, soluble in an organic solvent, and capable of being developed in a weak alkaline aqueous solution. As such a linear organic polymer, a polymer having a carboxylic acid in the side cha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9-44615,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4-34327,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8-12577, and Japanese Patent Publication Methacrylic acid copolymers, acrylic acid copolymers, itaconic acid copolymers, crotonic acid copolymers, as described in the respective publications of 54-25957,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9-53836,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9-71048; Maleic acid copolymers, partially esterified maleic acid copolymers, and the like, and likewise, acidic cellulose derivatives having a carboxylic acid in the side chain are useful.

상술한 것 이외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로서는 히드록실기를 갖는 폴리머에 산 무수물을 부가시킨 것 등이나, 폴리히드록시스티렌계 수지, 폴리실록산계 수지, 폴리(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이나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비닐알콜 등도 유용하다. 또한, 선상 유기 고분자 중합체는 친수성을 갖는 모노머를 공중합한 것이어도 좋다. 이 예로서는 알콕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롤아크릴아미드, 2급 또는 3급의 알킬아크릴아미드, 디알킬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르폴린(메타)아크릴레이트,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비닐이미다졸, 비닐트리아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분기 또는 직쇄의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분기 또는 직쇄의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페녹시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열거된다. 그 이외에, 친수성을 갖는 모노머로서는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기, 인산기, 인산에스테르기, 4급 암모늄염기, 에틸렌옥시쇄, 프로필렌옥시쇄, 술폰산기 및 그 염 유래의 기, 모르폴린에틸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노머 등도 유용하다. As alkali-soluble binder in this embodiment other than what was mentioned above, what added the acid anhydride to the polymer which has a hydroxyl group, etc., polyhydroxy styrene resin, polysiloxane resin, poly (2-hydroxyethyl ( Meta) acrylate), polyvinylpyrrolidone, polyethylene oxide, polyvinyl alcohol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linear organic polymer may be a copolymer of a monomer having hydrophilicity. Examples include alkoxyalkyl (meth) acrylates, hydroxyalkyl (meth) acrylates, glycerol (meth) acrylates, (meth) acrylamides, N-methylol acrylamides, secondary or tertiary alkylacrylamides, di Alkylaminoalkyl (meth) acrylate, morpholine (meth) acrylate, N-vinylpyrrolidone, N-vinylcaprolactam, vinylimidazole, vinyltriazole,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n acrylate, a branched or linear propyl (meth) acrylate, a branched or linear butyl (meth) acrylate, a phenoxyhydroxypropyl (meth) acrylate, etc. are mentioned. In addition, the hydrophilic monomers include tetrahydrofurfuryl group, phosphoric acid group, phosphate ester group, quaternary ammonium base group, ethyleneoxy chain, propyleneoxy chain, sulfonic acid group and group derived from salt thereof, morpholine ethyl group and the like. Monomers are also useful.

또한,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는 가교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중합성기를 측쇄에 가져도 좋고, 예를 들면 알릴기, (메타)아크릴기, 알릴옥시알킬기 등을 측쇄에 함유하는 폴리머 등도 유용하다. 상술의 중합성기를 함유하는 폴리머의 예로서는 시판품 KS Resist-106(상품명, OSAKA ORGANIC CHEMICAL INDUSTRY LTD. 제품), Cyclomer P 시리즈(상품명,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 등이 열거된다. 또한, 경화 피막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알콜 가용성 나일론이나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과 에피클로로히드린의 폴리에테르 등도 유용하다. Moreover, an alkali-soluble binder may have a polymeric group in a side chain in order to improve crosslinking efficiency, For example, the polymer etc. which contain an allyl group, a (meth) acryl group, an allyloxyalkyl group, etc. in a side chain are also useful. Examples of the polymer containing the polymerizable group includ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KS Resist-106 (trade name, manufactured by OSAKA ORGANIC CHEMICAL INDUSTRY LTD.), Cyclomer P series (trade name, manufactured by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And the like. In addition, alcohol-soluble nylon, polyether of 2,2-bis- (4-hydroxyphenyl) -propane, epichlorohydrin, etc. are also useful in order to raise the strength of a hardened film.

이들 각종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중에서도, 내열성의 관점에서는 폴리히드록시스티렌계 수지, 폴리실록산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아미드계 수지, 아크릴/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수지가 바람직하고, 현상성 제어의 관점에서는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아미드계 수지, 아크릴/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수지가 바람직하다. Among these various alkali-soluble binders, polyhydroxystyrene resins, polysiloxane resins, acrylic resins, acrylamide resins and acryl / acrylamide copolymer resins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heat resistance, and acrylic resins, Acrylamide type resin and acryl / acrylamide copolymer resin are preferable.

상기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아미드 등에서 선택되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나 시판품의 KS Resist-106(OSAKA ORGANIC CHEMICAL INDUSTRY LTD. 제품), Cyclomer P 시리즈(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 등이 바람직하다. As said acrylic resin, KS Resist-106 (OSAKA ORGANIC CHEMICAL INDUSTRY) of the copolymer which consists of a monomer chosen from benzyl (meth) acrylate, (meth) acrylic acid, hydroxyethyl (meth) acrylate, (meth) acrylamide, etc., or a commercial item LTD.), Cyclomer P series (product of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And the like.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는 현상성, 액 점도 등의 관점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GPC법으로 측정된 폴리스티렌 환산값)이 1000~2×105인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2000~1×105인 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며, 5000~5×104인 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The alkali-soluble binder is preferably a 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polystyrene equivalent value measured by the GPC method) of 1000 to 2 × 10 5 from the viewpoint of developability, liquid viscosity, and the like, and more preferably 2000 to 1 × 10 5 . The polymer of 5000-5 * 10 <4> is especially preferable.

○ 가교제 ○ crosslinking agent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착색 조성물에 보충적으로 가교제를 사용하여 감광성 착색 조성물을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착색 경화막의 경도를 보다 높일 수도 있다. 가교제로서는 가교 반응에 의해 막 경화를 행하는 것이면 특별하게 한정은 없고, 예를 들면 (a) 에폭시 수지, (b) 메틸롤기, 알콕시메틸기 및 아실옥시메틸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치환기로 치환된 멜라민 화합물, 구아나민 화합물, 글리콜우릴 화합물 또는 우레아 화합물, (c) 메틸롤기, 알콕시메틸기 및 아실옥시메틸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놀 화합물, 나프톨 화합물 또는 히드록시안트라센 화합물이 열거된다. 그 중에서도, 다관능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구체예 등의 상세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2004-295116호 공보의 단락 [0134]~[0147]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The hardness of the colored cured film formed by hardening | curing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using a crosslinking agent supplementally to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can also be made higher. As a crosslinking agent, if it hardens | cures a film by crosslinking reaction, there will be no limitation in particular, For example, the melamine compound substituted by the at least 1 substituent chosen from (a) epoxy resin, (b) methylol group, an alkoxy methyl group, and an acyloxymethyl group. And phenol compounds, naphthol compounds or hydroxyanthracene compounds substituted with at least one substituent selected from, guanamine compounds, glycoluril compounds or urea compounds, (c) methylol groups, alkoxymethyl groups and acyloxymethyl groups. Especially, polyfunctional epoxy resin is preferable. For details, such as the specific example of a crosslinking agent, description of Paragraph [0134]-[0147]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4-295116 can be referred.

○ 기타의 첨가제 ○ Other additives

감광성 착색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충전제, 상기 이외의 고분자 화합물, 비이온계, 양이온계, 음이온계 등의 계면활성제, 밀착 촉진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응집 방지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이들의 첨가물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2004-295116호 공보의 단락 [0155]~[0156]에 기재된 것을 열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착색 조성물에 있어서는 일본 특허 공개 2004-295116호 공보의 단락 [0078]에 기재된 증감제나 광 안정제, 동일 공보의 단락 [0081]에 기재된 열중합 방지제를 함유할 수 있다. To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various additives, for example, fillers, polymer compound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surfactants such as nonionics, cationics and anionics, adhesion promoters, antioxidants, ultraviolet absorbers, anti-agglomerating agents, and the like may be blended. Can be. As these additives, the thing of Paragraph [0155]-[0156]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4-295116 can be mentioned. In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the sensitizer and light stabilizer of Paragraph [0078]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4-295116, and the thermal polymerization inhibitor of Paragraph [0081] of the same publication can be contained.

또한, 비노광 영역의 알칼리 용해성을 촉진하고, 감광성 착색 조성물의 현상성을 더 향상시키는 것을 도모할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에 유기 카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1000 이하의 저분자량 유기 카르복실산의 첨가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when promoting alkali solubility of a non-exposure area | region and further improving developability of a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addition of organic carboxylic acid, preferably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carboxylic acid of molecular weight 1000 or less to the said composition.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피발산, 카프로산, 디에틸 아세트산, 에난트산, 카프릴산 등의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스베린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브라실릭산, 메틸말론산, 에틸말론산, 디메틸말론산, 메틸숙신산, 테트라메틸숙신산, 시트라콘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트리카르발릴산, 아코니트산, 캄포론산 등의 지방족 트리카르복실산; 벤조산, 톨루익산, 쿠민산, 헤멜리트산, 메시틸렌산 등의 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신산, 멜로판산, 피로멜리트산 등의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페닐아세트산, 히드라트로핀산, 히드로신남산, 만델산, 페닐숙신산, 아트로프산, 신남산, 신남산메틸, 신남산벤질, 신나밀리덴아세트산, 쿠말산, 움벨산 등의 기타 카르복실산이 열거된다. Specific examples include aliphatic monocarboxylic acids such as form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 butyric acid, valeric acid, pivalic acid, caproic acid, diethyl acetic acid, enanthic acid and caprylic acid; Oxalic acid, malonic acid, succinic acid, glutaric acid, adipic acid, pimelic acid, sublinic acid, azelaic acid, sebacic acid, brassic acid, methylmalonic acid, ethylmalonic acid, dimethylmalonic acid, methyl succinic acid, tetramethylsuccinic acid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citraconic acid; Aliphatic tricarboxylic acids such as tricarballylic acid, aconitic acid and camphoronic acid; Aromatic monocarboxylic acids such as benzoic acid, toluic acid, cuminic acid, hemelic acid and mesitylene acid; Aromatic polycarboxylic acids such as 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terephthalic acid, trimellitic acid, trimesic acid, melanoic acid and pyromellitic acid; And other carboxylic acids such as phenylacetic acid, hydratropinic acid, hydrocinnamic acid, mandelic acid, phenylsuccinic acid, atroic acid, cinnamic acid, methyl cinnamic acid, cinnamic acid benzyl, cinnamildeacetic acid, coumalic acid and umbelic acid. .

[감광성 착색 조성물의 조제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착색 조성물은 상술의 필수 성분과 필요에 따라 임의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안료의 분산성 향상을 위해 미리 안료를 분산시킨 안료 분산액을 조제해 두고, 이 안료 분산액을 이용하여 감광성 착색 조성물을 조제해도 좋다.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can be prepared by mixing the above-mentioned essential component and arbitrary components as needed. Moreover, in order to improve the dispersibility of a pigment, the pigment dispersion liquid which disperse | distributed the pigment previously is prepared, and you may prepare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using this pigment dispersion liquid.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착색 조성물은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안료를 사용한 것에 의한 이점으로서의 내광성이 한층 높아지며, 특히 공업적으로 생산되는 컬러 필터용의 색재로서 우수한 착색 경화막을 형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소자(LCD)나 고체 촬상 소자(예를 들면, CCD, CMOS 등)에 사용되는 컬러 필터 등의 착색 화소 형성용으로서 유용성이 높다. 또한, 인쇄 잉크, 잉크젯 잉크 및 도료 등의 제작 용도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CCD 및 CMOS 등의 액정 표시 소자용의 착색 화소 형성용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is preferable because it is excellent in storage stability, the light resistance as an advantage by using a pigment becomes further high, and can form the colored cured film excellent as a color material for color filters especially produced industrially. For example, it is useful for forming colored pixels, such as a color filter use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LCD) and a solid-state image sensor (for example, CCD, CMOS, etc.). Moreover, it can use suitably as a manufacturing use of printing ink, inkjet ink, and a coating material. Moreover, it can use suitably for coloring pixel formation for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s, such as CCD and CMOS.

[컬러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Color filt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도포법 ○ Coating method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상술의 감광성 착색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제조 방법으로서는 기재(지지체 또는 가 지지체) 상에 상술의 감광성 착색 조성물을 도포해서 감광성 착색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공정(이하, 도포 공정이라고 칭한다.)과 마스크를 통해 상기 감광성 착색 조성물층을 노광한 후 현상해서 착색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이하, 노광ㆍ현상 공정이라고 칭한다.)을 갖는다. 이하, 도포 공정 및 노광ㆍ현상 공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color filter,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mentioned above can be used. As a manufacturing method which concerns on the said embodiment, the said photosensitive coloring is carried out by apply | coating the above-mentioned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on a base material (support body or temporary support body), and forming a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layer (henceforth an application process.) And the said photosensitive coloring through a mask. After exposing a composition layer, it develops and forms a coloring pattern (henceforth an exposure and development process.). Hereinafter, the coating step and the exposure and development step will be described.

ㆍ 도포 공정 ㆍ coating process

도포 공정에서는 지지체 상에 회전 도포, 유연 도포, 롤 도포 등의 도포 방법에 의해 감광성 착색 조성물을 도포한다. 도포된 막에는 프리베이킹이 행해져 감광성 착색 조성물층이 형성된다. 형성된 감광성 착색 조성물층의 두께로서는 1.0㎛~5.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액정 표시 소자용의 컬러 필터의 박층화나 색 재현성의 관점에서 1.0㎛~4.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며, 1.0㎛~3.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In a coating process,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is apply | coated on a support body by coating methods, such as rotational coating, casting | flow_spread coating, and roll application | coating. Prebaking is performed to the apply | coated film | membrane, and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layer is formed. As thickness of the formed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layer, the range of 1.0 micrometer-5.0 micrometers is preferable, Especially the range of 1.0 micrometer-4.0 micrometers is mo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thinning and color reproducibility of the color filt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s, 1.0 micrometer- The range of 3.0 micrometers is more preferable.

지지체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소자 등에 사용되는 소다 유리, Pyrex(등록 상표) 유리, 석영 유리 및 이들에 투명 도전막을 부착시킨 것이나, 촬상 소자 등에 사용되는 광전 변환 소자 기판, 예를 들면 실리콘 기판 등이나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CMOS) 기판 등이 열거된다. 이들의 기판은 각 화소를 격리하는 블랙 스트라이프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들의 지지체 상에는 필요에 따라 상부의 층과의 밀착 개량, 물질의 확산 방지 또는 표면의 평탄화를 위해 하부 도포층을 형성해도 좋다. Examples of the support include soda glass, Pyrex (registered trademark) glass, quartz glass, and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ttached thereto,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substrates, for example, silicon substrates, and the like, used in imaging devices and the like. And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substrates. These board | substrates may be provided with the black stripe which isolate | separates each pixel. In addition, a lower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se supports to improve adhesion to the upper layer, to prevent diffusion of materials, or to planarize the surface.

ㆍ 노광 공정 Exposure process

계속해서, 지지체 상에 형성된 감광성 착색 조성물층에는 마스크를 통한 노광이 행해진다. 이 노광에 적용할 수 있는 광 또는 방사선으로서는 g선, h선, i선 등의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노광은 프록시미티 방식, 미러 프로젝션 방식 및 스텝퍼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노광을 행해도 좋지만, 특히 스텝퍼 방식(축소 투영 노광기를 사용한 축소 투영 노광 방식)으로 노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퍼 방식은 노광량을 단계적으로 변동하면서 노광을 행함으로써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고, 스텝퍼 노광을 행했을 때에 특히 패턴의 직사각형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텝퍼 노광에 사용하는 노광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i선 스텝퍼(상품명: FPA-3000i5+, cannon(주) 제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노광시의 노광량으로서는 특별하게 제한은 없지만, 50mJ/㎠~1000mJ/㎠가 바람직하다. Subsequently, exposure through a mask is performed on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layer formed on the support. As light or radiation which can be applied to this exposure, ultraviolet rays such as g-ray, h-ray and i-ray are preferable. Although exposure may be performed by any of a proximity method, a mirror projection method, and a stepper method, it is preferable to perform exposure especially by a stepper method (reduced projection exposure method using a reduction projection exposure machine). The stepper method is to form a pattern by performing exposure while varying the exposure amount stepwise, and when the stepper exposure is performed, the rectangularity of the pattern can be particularly improved. Moreover, as an exposure apparatus used for stepper exposure, i line | wire stepper (brand name: FPA-3000i5 +, cannon Corporation make) etc. can be used, for example. Moreover, 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as an exposure amount at the time of exposure, 50mJ / cm <2> -1000mJ / cm <2> is preferable.

ㆍ 현상 공정 Development Process

계속해서, 노광 후의 감광성 착색 조성물층에 대하여 현상을 행한다. 현상은 현상액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현상액으로서는 감광성 착색 조성물층의 미경화부(미노광부)를 용해시키는 한편, 경화부(노광부)를 용해시키지 않는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유기 용제의 조합이나 알칼리성의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제로서는 감광성 착색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 사용되는 상술의 유기 용제가 열거된다. 알칼리성의 수용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알칼리성 화합물을 농도가 0.001질량%~10질량%, 바람직하게는 0.01질량%~1질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이루어지는 알칼리성 수용액이 바람직하다. 알칼리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규산나트륨, 메타규산나트륨, 암모니아수,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테트라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테트라에틸암모늄히드록시드, 콜린, 피롤, 피페리딘, 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센 등이 열거된다. 또한, 알칼리성 수용액을 현상액으로서 사용했을 경우, 일반적으로 현상 후에 물로 세정이 행하여진다. Then, image development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layer after exposure. Development can be performed using a developing solution. As a developing solution, as long as it melt | dissolves the uncured part (unexposed part) of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layer, and does not melt a hardened part (exposed part), any can be used. Specifically, a combination of various organic solvents and an alkaline aqueous solution can be used. As an organic solvent, the above-mentioned organic solvent used when preparing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is mentioned. As alkaline aqueous solution, the alkaline aqueous solution which melt | dissolves an alkaline compound so that concentration may be 0.001 mass%-10 mass%, preferably 0.01 mass%-1 mass% is preferable, for example. Examples of the alkaline compound include 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sodium carbonate, sodium silicate, sodium metasilicate, ammonia water, ethylamine, diethylamine, dimethylethanolamine,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tetraethylammonium hydroxide, choline, Pyrrole, piperidine, 1,8-diazabicyclo- [5.4.0] -7-undecene and the like. In addition, when alkaline aqueous solution is used as a developing solution, generally washing with water is performed after image development.

ㆍ 기타(가열 처리 등) ㆍ Others (heating, etc.)

상술한 바와 같이, 도포 공정, 노광ㆍ현상 공정을 거침으로써 착색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얻어진 착색 패턴에는 가열 처리를 더 행해도 좋다. 형성된 착색 패턴을 가열(소위, 포스트베이킹)함으로써 더욱 경화시킬 수 있다. 가열 처리는 예를 들면 핫플레이트, 각종 히터, 오븐 등의 패턴의 가열을 행할 수 있는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a coloring pattern can be formed by going through an application | coating process and an exposure and development process. You may further heat-process to the obtained coloring pattern. The colored pattern formed can be further cured by heating (so-called postbaking). The heat treatment can be performed by, for example, a method capable of heating a pattern such as a hot plate, various heaters, an oven, and the like.

가열 처리의 온도로서는 경화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점에서 160℃~260℃가 바람직하고, 180℃~220℃가 보다 바람직하다. 가열 처리의 시간은 가열 온도에서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3분간~10분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emperature of heat processing, 160 degreeC-260 degreeC is preferable at the point which hardens efficiently, and 180 degreeC-220 degreeC is more preferable. Although the time of heat processing changes with heating temperature, it is generally preferable to carry out for 3 to 10 minutes.

상기의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도포 공정, 노광ㆍ현상 공정 및 필요에 따라 가열 공정을 소망의 컬러수에 맞춰서 반복함으로써 소망의 수의 색상의 착색 패턴(화소)을 갖는 컬러 필터를 얻을 수 있다.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id color filter, a color filter which has the coloring pattern (pixel) of the desired number of colors can be obtained by repeating a coating process, an exposure and image development process, and a heating process according to a desired number of colors as needed. .

○ 잉크젯법 ○ Inkjet metho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잉크젯법에 의해 컬러 필터를 제작해도 좋다. 그 잉크젯 잉크로서 본 실시형태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2-201387호에 기재된 방법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잉크젯 잉크는 상기 감광성 착색 조성물로 광중합 개시제 또는 광중합 개시제계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you may produce a color filter by the inkjet method. 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this embodiment as this inkjet ink, For example, the method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2-201387, etc. can be used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inkjet ink does not use a photoinitiator or a photoinitiator system as said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잉크젯 잉크에 대해서는 점도의 변동 폭이 ±5% 이내가 되도록 잉크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출시의 점도는 5~25mPaㆍs인 것이 바람직하고, 8~22mPaㆍ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20mPaㆍs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점도는 특별하게 언급하지 않는 한 25℃일 때의 값이다.). 상기 사출 온도의 설정 이외에, 잉크에 함유시키는 성분의 종류와 첨가량을 조절함으로써 점도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점도는 예를 들면 원추 평판형 회전 점도계나 E형 점도계 등의 통상의 장치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For inkjet inks, the ink temperature is preferably controlled so that the variation in viscosity is within ± 5%. It is preferable that the viscosity at the time of injection is 5-25 mPa * s,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8-22 mPa * s,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10-20 mPa * s (In this embodiment, a viscosity is not specifically mentioned). Value at 25 ° C.). In addition to the setting of the injection temperature, the viscosity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type and amount of the component to be contained in the ink. The said viscosity can be measured by normal apparatuses, such as a conical flat rotational viscometer and an E-type viscometer, for example.

또한, 사출시 잉크의 표면 장력은 15~40mN/m인 것이 화소의 평탄성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 장력은 특별하게 언급하지 않는 한 23℃일 때의 값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5mN/m, 가장 바람직하게는 25~30mN/m이다. 표면 장력은 계면활성제의 첨가나 용제의 종류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장력은 예를 들면 표면 장력 측정 장치(Kyowa Interface Science Co., LTD. 제품, CBVP-Z)나 전자동 평형식 일렉트로 표면 장력계 ESB-V(Kyowa Scientific Co., Ltd. 제품) 등의 측정기를 이용하여 백금 플레이트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tension of the ink at the time of injection is 15-40 mN / m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flatness of the pixel (in this embodiment, the surface tension is a value at 23 ° C unless otherwise specified). . More preferably, it is 20-35 mN / m, Most preferably, it is 25-30 mN / m. Surface tension can be adjusted by addition of surfactant and the kind of solvent. The surface tension is measured by, for example, a surface tension measuring device (Cyowa Interface Science Co., Ltd., CBVP-Z) or a fully automatic balance type electro surface tension meter ESB-V (manufactured by Kyowa Scientific Co., Ltd.). It can be measured by the platinum plate method using.

컬러 필터용 잉크젯 잉크의 분사로서는 대전된 잉크를 연속적으로 분사하여 전장에 의해 제어하는 방법,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간헐적으로 잉크를 분사하는 방법, 잉크를 가열하여 그 발포를 이용해서 간헐적으로 분사하는 방법 등 각종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각 화소 형성을 위해 사용하는 잉크젯법에 관해서는 잉크를 열경화시키는 방법, 광경화시키는 방법, 미리 기판 상에 투명한 수상층을 형성해두고 나서 타적하는 방법 등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As the jet of the color filter inkjet ink, a method of controlling the electric field by continuously spraying charged ink, a method of intermittently injecting ink using a piezoelectric element, and a method of intermittently ejecting using the foam by heating the ink Various methods, such as these, can be employ | adopted. In addition, regarding the inkjet method used for forming each pixel,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a method of thermosetting ink, a photocuring method, and a method of forming a transparent aqueous phase layer on a substrate in advance and then performing the method can be use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컬러 필터용 잉크젯 잉크를 이용하여 화소를 형성하기 전에 미리 격벽을 제작하고, 상기 격벽에 둘러싸여진 부분에 잉크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격벽은 어느 것이어도 좋지만, 컬러 필터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블랙 매트릭스의 기능을 가진 차광성을 갖는 격벽(이하, 단지 「격벽」이라고도 말한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은 통상의 컬러 필터용 블랙 매트릭스와 동일한 소재,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make a partition beforehand and to provide ink to the part enclosed by the said partition, before forming a pixel using the inkjet ink for color filters. Any one of these partitions may be used. However, in the case of producing a color filter, the partitions are preferably partitions having a light shielding function having a black matrix functio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simply as "blocks"). The partition wall can be produced by the same material and method as those of the usual black matrix for color filters.

그 후, 상기 「가열 처리 등」의 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가열 처리를 행하고, 상기 분사된 잉크젯 잉크의 층을 고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n,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heat processing as described in the term of the above-mentioned "heating process" and to solidify the layer of the jetted inkjet ink.

○ 컬러 필터의 성능 ○ color filter performance

본 실시형태의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컬러 필터(본 실시형태의 컬러 필터)는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착색 조성물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내광성이 우수해진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컬러 필터는 액정 표시 소자나 CCD 등의 고체 촬상 소자에 사용할 수 있다. Since the color filter (color filter of this embodiment) obtain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lor filter of this embodiment uses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it becomes excellent in light resistance. Therefore, the color filter of this invention can be used for solid-state image sensor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nd a CCD.

[액정 표시 소자]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본 발명의 컬러 필터는 텔레비젼용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F10 광원에 의한 레드(R), 그린(G) 및 블루(B)의 각각 모든 단색의 색도가 하기 표에 기재된 값(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 「목표 색도」라고 한다.)과의 차(ΔE)에서 5 이내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3 이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 이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When the color filter of this invention is used for television use, the chromaticity of all the monochromatic colors of red (R), green (G), and blue (B) by an F10 light source is the valu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hereinafter, i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range within 5 within the difference ((DELTA) E) from "the target chromaticity."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 있어서, 색도는 현미 분광 광도계(OLYMPUS CORPORATION 제품; OSP100 또는 200[상품명])에 의해 측정하여 F10 광원 시야 2도의 결과로서 계산해서 xyz 표색계의 xyY값으로 나타낸다. 또한, 목표 색도와의 차는 La*b* 표색계의 색차로 나타낸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romaticity is measured by a microscopic spectrophotometer (OLYMPUS CORPORATION; OSP100 or 200 [trade name]),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F10 light source field of view 2 degrees, and represented by the xyY value of the xyz colorimeter. The difference from the target chromaticity is represented by the color difference of the La * b * color system.

본 발명의 컬러 필터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는 콘트라스트가 높고, 흑색의 선명함 등의 묘사력이 우수하며, 특히 VA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노트북 PC용 디스플레이나 텔레비젼 모니터 등의 대화면의 액정 표시 장치 등으로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컬러 필터는 CCD 디바이스에 사용할 수 있고,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color filter of this invention is high in contrast, excellent in descriptive power, such as black clarity, and especially VA system. It can also be used suitably also as a larg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uch as a display for notebook PCs, a television monitor, etc. Moreover, the color filter of this invention can be used for a CCD device, and shows the outstanding performance.

(제 2 실시형태) (2nd embodiment)

본 실시형태의 안료 분산 조성물은 C. I. Pigment Red 146과 C. I. Pigment Red 242의 2종의 안료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2종의 안료 미립자의 조합에 의해 컬러 필터로 했을 때에 종래의 PR254와 PR177의 조합으로는 실현 곤란이었을 만큼 높은 레벨로 고콘트라스트화 및 고내광성을 양립해서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이유에 대해서는 미해명인 점도 있지만, 광이 조사되었을 때에 미립자화된 PR146과 미립자화된 PR242의 사이에서의 에너지 이동이 일어나고, 광 흡수에 의한 분해 반응이 억제되기 때문에, 미세화 안료임에도 불구하고 내광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것이 고려된다. The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two pigment fine particles of C. I. Pigment Red 146 and C. I. Pigment Red 242.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it is set as a color filter by the combination of 2 types of pigment fine particles mentioned above, it can implement | achieve both high contrast and high light resistance at the level high enough that it was difficult to implement with conventional combination of PR254 and PR177. . Although the reason for showing such a remarkable effect is unexplained, the micronized pigment becaus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particulated PR146 and the particulated PR242 occurs when light is irradiated, and the decomposition reaction due to light absorption is suppressed. Nevertheless, it is considered that the light resistance is remarkably improved.

[안료] [Pigment]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색 안료로 Pigment Red 146과 Pigment Red 242가 사용된다. 양자의 함유율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PR146의 양쪽 안료에 대한 비(PR146/PR146+PR242)로 하면 0.1 이상 0.95 이하가 바람직하고, 0.2 이상 0.9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0.4 이상 0.9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양쪽 안료를 상기의 범위로 조합해서 사용함으로써, 컬러 필터 용도의 일반적인 색 특성을 만족시키고, 양호한 콘트라스트에 추가로 특히 높은 내광성이 얻어져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 효과의 범위에서 상기 이외의 안료 미립자나 염료를 조성물 중에 함유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방해되는 것은 아니다. In this embodiment, Pigment Red 146 and Pigment Red 242 are used as a red pigment. Although the content rate of both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e ratio (PR146 / PR146 + PR242) with respect to both pigments of PR146 is preferably 0.1 or more and 0.95 or less, more preferably 0.2 or more and 0.95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0.4 or more and 0.95 or less. Do. By using the said both pigments in combination in the said range, general color characteristics of a color filter use are satisfy | filled, and especially high light resistance is obtained in addition to favorable contrast, and it is preferable.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it is not prevented to contain pigment microparticles and dyes other than the above in a composition in the range of the effect, and to use.

본 실시형태의 안료 분산 조성물에 있어서의 안료의 총 함유율은 그 전체 고형분 성분에 대하여 10질량%~70질량%가 바람직하고, 20질량%~6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30질량%~50질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미세화되어 표면적이 증가된 안료 미립자를 안정 분산시킬 수 있고, 상기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안료 유도체의 과잉 첨가에 의한 색가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 소망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이외의 안료를 더 조합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방해되는 것은 아니다. 10 mass%-70 mass% are preferable with respect to the total solid component, and, as for the total content rate of the pigment in the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20 mass%-60 mass% are more preferable, 30 mass%-50 mass mass % Is most preferred. By setting it as the said lower limit or more, the pigm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refine | miniaturized and the surface area increased can be disperse | distributed stably, and below the said upper limit can prevent the fall of the color value by the addition of a pigment derivative.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using in combination further with the pigment of that excepting the above in the range which does not impair the desired effect is not prevented.

ㆍ 안료 미립자 Pigment Fine Particles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안료 미립자(1차 입자)의 평균 입경은 40nm 이하이다. 이와 같은 미세화된 영역에서 내광성을 유지하는 것은 특히 어렵고, 본 실시형태의 효과가 현저하게 발휘되어서 바람직하다. 하한값은 특별히 없지만, 1nm 이상인 것이 실제적이다. 또한, 입자의 균일성(단분산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특별하게 기재하지 않는 한 CV를 사용한다. CV는 수 평균 입경(L)과 L의 표준 편차(σ)의 비(σ/L)로 나타내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안료 미립자(1차 입자)의 단분산도, 즉 CV는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안료 미립자의 결정 입자 지름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2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n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20nm 이하인 것이 실제적이다. 상기 입경, 결정 입자 지름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특별하게 기재하지 않는 한 실시예에서 채용된 방법에 의해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유기 안료 미립자의 바람직한 범위는 적어도 PR146이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포함되는 모든 안료 미립자가 상기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pigm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primary particle) is 40 nm or less. Maintaining light resistance in such a refined region is particularly difficult, and the eff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remarkably exhibited, which is preferable. Although there is no minimum in particular, it is practical that it is 1 nm or more.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 in this embodiment, CV is used as an index which shows the uniformity (monodispersibility) of particle | grains. CV is represented by the ratio (σ / L) of the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L) and the standard deviation (σ) of L.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monodispersity, ie CV, of pigm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primary particle) is 30% or less,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20% or less. Although the crystal grain diameter of a pigment fine particle in this embodimen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2 nm or more,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3 nm or more. Although an upper limi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is practical that it is 20 nm or less. As a measuring method of the said particle diameter and a crystal grain diameter, it measures by the method employ | adopted in the Example unless there is particular notice. Moreover, as for the preferable range of the said organic pigment microparticle, it is preferable that PR146 is the said range at least,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all the pigm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contained are the said range.

ㆍ 분쇄법 ㆍ grinding method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안료 미립자는 미립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분쇄법 등의 브레이크다운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이 때에는 필요에 따라 각종 용제, 수지, 와니스 등을 혼합해서 횡형 샌드밀, 종형 샌드밀, 환형 비드밀, 아토라이터 등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니더 등의 혼련 장치를 이용하여 유기 안료를 무기염으로 마쇄하고, 유기 안료의 1차 입자 지름을 더욱 미세해지도록 솔트 밀링 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후술하는 특정 고분자 화합물이나 그 이외의 안료 분산제는 모든 성분을 혼합하고 나서 분산시켜도 좋지만, 처음에 안료와 특정 고분자 화합물(특정 중합체) 등, 안료만 또는 안료와 안료 분산제만을 분산시키고, 이어서 다른 성분을 첨가해서 재차 분산을 행해도 좋다. 또한, 미립화 처리시에 첨가해도 좋다. Although the pigm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used by this embodiment do not have a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in the atomization method, It can prepare by breakdown methods, such as a grinding | pulverization method. In this case, various solvents, resins, varnishes, and the like may be mixed and dispersed in a horizontal sand mill, a vertical sand mill, a circular bead mill, an atomizer, or the like as necessary. Moreover, what grind | pulverized an organic pigment with an inorganic salt using kneading apparatuses, such as a kneader, and performed salt milling process so that the primary particle diameter of an organic pigment may become finer may be used. Although the specific polymeric compound and other pigment dispersants mentioned later may disperse | distribute after mixing all the components, only the pigments, such as a pigment and a specific polymeric compound (specific polymer), or only a pigment and a pigment dispersant are disperse | distributed first, and then another component You may add and disperse again. Moreover, you may add at the time of an atomization process.

또한, 횡형 샌드밀, 종형 샌드밀, 환형 비드밀, 아토라이터 등으로 분산을 행하기 전에 니더, 3개 롤밀 등의 연육 혼합기를 사용한 전분산, 2개 롤밀 등에 의한 고형 분산 또는 안료에의 염기성기를 갖는 시너지스트 및/또는 분산제의 처리를 행해도 좋다. 또한, 하이 스피드 믹서, 호모 믹서, 볼밀, 롤밀, 맷돌식 밀, 초음파 분산기 등의 분산기나 혼합기를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before dispersing with a horizontal sand mill, a vertical sand mill, an annular bead mill, an atomizer, and the like, a solid dispersion or a basic group to a pigment by pre-dispersion using a meat mixer such as a kneader or three roll mills, two roll mills, or the like You may perform the process of the synergy and / or dispersing agent which have. Moreover, dispersers and mixers, such as a high speed mixer, a homo mixer, a ball mill, a roll mill, a mill mill, an ultrasonic disperser, can be used.

ㆍ 재침법 Reprecipitation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기 안료 입자는 유기 안료를 양용매(이하, 이것을 제 1 용매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에 용해시킨 유기 안료의 용해액과 상기 양용매에 대하여 상용성을 갖고, 유기 안료에 대하여 빈용매(이하, 이것을 제 2 용매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가 되는 용매를 혼합함으로써 생성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한 것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8-29119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7-262378호 공보, 2004-43776호 공보, 2008-231415호 공보 등을 참조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rganic pigment particles have compatibility with the solution of the organic pigment in which the organic pigment is dissolved in a good solvent (hereinafter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solvent) and the good solvent. What was produced by mixing the solvent used as a poor solvent (Hereinafter, this may be called a 2nd solvent) can be used.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8-291193, Japanese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7-262378, 2004-43776, 2008-231415, etc. can be referred.

[고분자 분산제] [Polymer dispersant]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쇄법 또는 재침법으로 조제한 분산체에 질량 평균 분자량 1000~100000의 고분자 화합물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질량 평균 분자량 5000~70000의 고분자 화합물을 함유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때, 재침법으로 얻은 분산체에 대해서는 용매를 제거해서 소정의 유기 용매 등으로 치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안료의 분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목적으로 특정 안료 분산제나 계면활성제 등의 분산제 등을 본 실시형태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하는 분산제를 앞서 설명한 재침법에 있어서 사용하여, 예를 들면 안료 미립자의 석출시에 공존시켜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자량이라고 할 때 특별하게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 평균 분자량을 의미하고, 분자량 및 분산도는 하기의 측정 방법으로 측정한 값을 말한다.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contain the polymer compound of the mass mean molecular weights 1000-100000 in the dispersion prepared by the grinding | pulverization method or the reprecipitation method as mentioned above,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contain the high molecular compound of the mass mean molecular weights 5000-70000. Do.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remove a solvent and replace with a predetermined organic solvent etc. about the dispersion obtained by the reprecipitation method. At this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dispersibility of a pigment further, dispersing agents, such as a specific pigment dispersing agent and surfactant, can also be added unless the effect of this embodiment is impaired. In addition, you may use the dispersing agent used here in the reprecipitation method mentioned above and coexist at the time of precipitation of pigm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for example.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unless it mentions especially molecular weight, it means a mass mean molecular weight, and molecular weight and dispersion degree mean the valu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고분자 화합물의 분자량ㆍ분산도의 측정 방법) (Measurement Method of Molecular Weight and Dispersion of Polymer Compound)

분자량 및 분산도는 특별하게 기재하지 않는 한 GPC(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GPC법에 사용하는 컬럼에 충전되어 있는 겔은 방향족 화합물을 반복 단위로 갖는 겔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겔이 열거된다. 컬럼은 2~6개 연결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용매는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용매, N-메틸피롤리디논 등의 아미드계 용매가 열거되지만,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용매가 바람직하다. 측정은 용매의 유속이 0.1~2mL/분인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1.5mL/분인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에서 측정을 행함으로써 장치에 부하가 걸리지 않아 더욱 효율적으로 측정을 할 수 있다. 측정 온도는 10~50℃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40℃로 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Molecular weight and dispersion degree are measured using GPC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method unless otherwise stated. The gel packed in the column used in the GPC method is preferably a gel having an aromatic compound as a repeating unit. Examples thereof include gels composed of styrene-divinylbenzene copolymers. It is preferable to use two to six columns. Examples of the solvent used include ether solvents such as tetrahydrofuran and amide solvents such as N-methylpyrrolidinone, but ether solvents such as tetrahydrofuran are preferabl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measurement in the range whose solvent flow rate is 0.1-2 mL / min, and it is most preferable to carry out in the range which is 0.5-1.5 mL / min. By performing the measurement within this range, no load is applied to the device, and the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It is preferable to perform measurement temperature at 10-50 degreeC, and it is most preferable to carry out at 20-40 degreeC.

이하에 분자량 측정의 구체적인 조건을 나타낸다. Specific conditions of molecular weight measurement are shown below.

장치: HLC-8220 GPC(TOSOH Corporation 제품) Device: HLC-8220 GPC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검출기: 시차 굴절계(RI 검출기) Detector: Differential Refractometer (RI Detector)

프리컬럼: TSK GUARD COLUMN MP(XL) Precolumn: TSK GUARD COLUMN MP (XL)

6mm×40mm(TOSOH Corporation 제품)           6 mm x 40 mm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샘플측 컬럼: 이하의 2개를 직결(모두 TOSOH Corporation 제품) Sample side column: Directly connect two of the following (all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ㆍ TSK-GEL Multipore-HXL-M 7.8mm×300mm ㆍ TSK-GEL Multipore-HXL-M 7.8mm × 300mm

레퍼런스측 컬럼: 샘플측 컬럼에 동일함Reference side column: same for sample side column

항온조 온도: 40℃ Bath temperature: 40 ℃

이동층: 테트라히드로푸란 Mobile layer: tetrahydrofuran

샘플측 이동층 유량: 1.0mL/분 Sample-side mobile bed flow rate: 1.0 mL / min

레퍼런스측 이동층 유량: 0.3mL/분 Moving bed reference flow rate: 0.3 mL / min

시료 농도: 0.1질량% Sample concentration: 0.1% by mass

시료 주입량: 100㎕ Sample injection volume: 100 μl

데이터 채취 시간: 시료 주입 후 16분~46분 Data collection time: 16 to 46 minutes after sample injection

샘플링 피치: 300msec Sampling Pitch: 300msec

또한,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산성기를 갖고, 산가가 50mgKOH/g 이상 200mgKOH/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mgKOH/g 이상 160mgKOH/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현상액 중에서의 석출물의 생성 억제 효과를 발휘하고, 또한 2차 응집체의 응집력을 효과적으로 약화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고분자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인 분산제 A 및 분산제 B에 관하여 설명한다.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high molecular compound has an acidic group, and acid value is 50 mgKOH / g or more and 200 mgKOH / g or less,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70 mgKOH / g or more and 160 mgKOH / g or less. By setting it as such a range, the production suppression effect of the precipitate in a developing solution can be exhibited and the cohesion force of a secondary aggregate can be weakened effectively. Hereinafter, the dispersing agent A and the dispersing agent B which are preferable examples of the said high molecular compound are demonstrated.

(분산제 A) (Dispersant A)

본 실시형태의 안료 분산체에는 가공 안료의 분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목적으로 안료 분산제나 계면활성제 등의 분산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분산제(안료 분산제)로서는 고분자 분산제[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아민과 그 염, 폴리카르복실산과 그 염, 고분자량 불포화산 에스테르, 변성 폴리우레탄, 변성 폴리에스테르, 변성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알칸올아민, 안료 유도체 등을 열거할 수 있다. 고분자 분산제는 그 구조에서 직쇄상 고분자, 말단 변성형 고분자, 그래프트형 고분자, 블록형 고분자로 더 분류할 수 있다. You may add dispersing agents, such as a pigment dispersing agent and surfactant, to the pigment dispersion of this embodiment in order to improve the dispersibility of a process pigment further. As a dispersant (pigment dispersant), a polymeric dispersant [for example, polyamideamine and its salt, polycarboxylic acid and its salt, high molecular weight unsaturated acid ester, modified polyurethane, modified polyester, modified poly (meth) acrylate, ( Meta) acrylic copolymers, naphthalenesulfonic acid formalin condensates] and polyoxyethylene alkyl phosphate esters, polyoxyethylene alkylamines, alkanolamines, pigment derivatives, and the like. Polymeric dispersants may be further classified into linear polymers, terminal modified polymers, graft polymers, and block polymers in the structure thereof.

고분자 분산제는 안료의 표면에 흡착되어 재응집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그 때문에, 안료 표면에의 앵커 부위를 갖는 말단 변성형 고분자, 그래프트형 고분자, 블록형 고분자를 바람직한 구조로서 열거할 수 있다. 한편으로, 안료 유도체는 안료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고분자 분산제의 흡착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고분자 분산제는 분산 공정에 있어서 안료의 표면에 흡착하고, 재응집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그 때문에, 안료 표면에의 앵커 부위를 갖는 블록형 고분자, 그래프트형 고분자, 말단 변성형 고분자가 바람직한 구조로서 열거될 수 있다. 한편으로, 안료 유도체는 안료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고분자 분산제의 흡착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The polymeric dispersant adsorbs on the surface of the pigment and acts to prevent reagglomeration. Therefore, terminal modified polymers, graft polymers, and block polymers having anchor sites on the pigment surface can be listed as preferable structures. On the other hand, the pigment derivative has the effect of promoting the adsorption of the polymer dispersant by modifying the pigment surface. The polymer dispersant adsorbs on the surface of the pigment in the dispersing process and acts to prevent reagglomeration. Therefore, block type polymers, graft type polymers, and terminal modified polymers having anchor sites on the pigment surface can be enumerated as preferable structures. On the other hand, the pigment derivative has the effect of promoting the adsorption of the polymer dispersant by modifying the pigment surface.

ㆍ 그래프트형 고분자 Graft Type Polymer

그래프트형 고분자에 대해서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지만, 일본 특허 공개 소 54-3708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 61-174939호 공보 등에 기재된 폴리알킬렌이민과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을 반응시킨 화합물, 일본 특허 공개 평 9-169821호 공보에 기재된 폴리알릴아민의 측쇄의 아미노기를 폴리에스테르로 수식한 화합물, 일본 특허 공개 소 60-166318호 공보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부가 폴리우레탄 등이 바람직하게 열거되고,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 9-171253호 공보나 매크로 모노머의 화학과 공업(IPC 출판부, 1989년) 등에 있는 바와 같이 중합성 올리고머(이하, 매크로 모노머라고 칭함)를 공중합 성분으로 하는 그래프트형 고분자도 바람직하게 열거할 수 있다. 또한, 안료에 흡착시키고, 양호한 분산성을 부여한다고 하는 점에 있어서 일본 특허 공개 2003-238837에 기재된 유기 색소 부분을 갖는 그래프트형 고분자가 바람직하다. 그래프트형 고분자의 가지부는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프로필렌옥시드, 폴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카프로락톤 등이 바람직하게 열거되지만, 폴리카프로락톤쇄를 갖는 그래프트형 고분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그래프트형 고분자의 시판품으로서는 Solsperse 24000, Solserse 28000, Solsperse 32000, Solsperse 38500, Solsperse 39000, Solsperse 55000(이상, Lubrizol 제품), Disperbyk-161, Disperbyk-171, Disperbyk-174(이상, BYK Chemie 제품) 등[모두 상품명]이 열거된다. Although it does not restrict | limit especially about a graft type polymer, The compound which made the polyalkylene imine and the polyester compound react as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54-37082, 61-174939, etc., Unexamined-Japanese-Patent No. 9 The compound which modified the amino group of the side chain of polyallylamine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69821 with polyester, the polyester polyol addition polyurethane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60-166318, etc. are mentioned preferably, Furthermore, Unexamined-Japanese-Patent No. Graft-type polymers containing a polymerizable oligom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acromonomer) as a copolymerization component may also be preferably listed, a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9-171253 and the chemistry and industry of macromonomers (IPC Publishing, 1989). Moreover, the graft type polymer which has the organic pigment | dye part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3-238837 is preferable at the point which adsorb | sucks to a pigment and gives favorable dispersibility. The branched portion of the graft polymer is preferably polystyrene, polyethylene oxide, polypropylene oxide, poly (meth) acrylic acid ester, polycaprolactone, or the like, but a graft polymer having a polycaprolactone chain is more preferabl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of the graft polymer include Solsperse 24000, Solserse 28000, Solsperse 32000, Solsperse 38500, Solsperse 39000, Solsperse 55000 (above Lubrizol), Disperbyk-161, Disperbyk-171, Disperbyk-174 (above, BYK Chemie) [All brand names] are listed.

ㆍ 말단 변성형 고분자 Terminal modified polymer

말단 변성형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 9-77994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2002-27319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7-27751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7-140487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폴리머의 말단에 관능기를 갖는 고분자를 열거할 수 있다. As the terminal-modified polymer, for example, the polymer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7799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27319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27751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140487, and the like. The polymer which has a functional group at the terminal can be mentioned.

ㆍ 블록형 고분자 Block type polymer

블록형 고분자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안료 흡착 블록과 안료에 흡착되지 않는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형 고분자가 열거된다. 안료 흡착 블록을 구성하는 단량체로서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안료에 흡착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가 열거된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색소 구조 또는 복소환 구조를 갖는 모노머,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 염기성 질소 원자를 갖는 모노머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유기 색소 구조 또는 복소환 구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3-238837호에 기재된 유기 색소 골격이나 말레이미드 유도체 등이 열거된다. 블록형 고분자로서는 시판품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Disperbyk-2000, Disperbyk-2001(이상, BYK Chemie 제품), EFKA 4330, EFKA 4340(이상, EFKA 제품) 등[모두 상품명]을 열거할 수 있다. 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block type polymer, The block type polymer which consists of a pigment adsorption block and the block which is not adsorb | sucked by a pigment is mentioned. 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monomer which comprises a pigment adsorption block, For example, the monomer which has a functional group which can be adsorb | sucked to a pigment is mentioned. Specifically, the monomer which has an organic pigment | dye structure or heterocyclic structure, the monomer which has an acidic group, the monomer which has a basic nitrogen atom, etc. can be mentioned. As a monomer which has an organic pigment | dye structure or a heterocyclic structure, the organic pigment | dye skeleton, maleimide derivative, etc. which were described, for example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3-238837 are mentioned.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ommercial item as a block polymer. As a specific example, Disperbyk-2000, Disperbyk-2001 (above, BYK Chemie), EFKA 4330, EFKA 4340 (above, EFKA), etc. (all are brand names) can be mentioned.

분산체 내의 분산제 A의 사용량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컬러 필터와의 색재로서의 이용을 고려하면 예를 들면 안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10~4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20~20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lthough the usage-amount of the dispersing agent A in a dispersion is not specifically limited, When using as a color material with a color filter,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0-400 mass parts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pigments,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20-200 mass parts. Do.

(분산제 B) (Dispersant B)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기 일반식(I) 및 일반식(II)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는 반복 단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이하, 「분산제 B」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polymeric compound containing the at least 1 sort (s) of repeating unit chosen from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either of following General formula (I) and General formula (II) may be called "dispersant B." It is preferable to contain).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상기 일반식(I) 및 일반식(II) 중 R21~R2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1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X21 및 X22는 각각 독립적으로 -CO-, -C(=O)O-, -CONH-, -OC(=O)- 또는 페닐렌기를 나타내며, L21 및 L2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2가의 유기 연결기를 나타내고, A21 및 A22는 각각 독립적으로 1가의 유기기를 나타내며, ma 및 na는 각각 독립적으로 2~8의 정수를 나타내고,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1~100의 정수를 나타낸다. In Formulas (I) and (II), R 21 to R 26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monovalent organic group, and X 21 and X 2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CO- and -C (= 0). O-, -CONH-, -OC (= O)-or a phenylene group, L 21 and L 2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single bond or a divalent organic linking group, and A 21 and A 2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monovalent An organic group is represented, ma and na respectively independently represent the integer of 2-8, p and q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the integer of 1-100.

R21~R2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1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1가의 유기기로서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12개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8개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탄소수 1~4개의 알킬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알킬기가 치환기를 가질 경우, 상기 치환기로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기, 알콕시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5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메톡시기, 에톡시기, 시클로헥실옥시기 등이 열거된다. 바람직한 알킬기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n-부틸기, i-부틸기, t-부틸기, n-헥실기, 시클로헥실기, 2-히드록시에틸기, 3-히드록시프로필기, 2-히드록시프로필기, 2-메톡시에틸기가 열거된다. R21, R22, R24 및 R25로서는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고, R23 및 R26으로서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가 안료 표면에의 흡착 효율의 점에서도 가장 바람직하다. R 21 to R 26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monovalent organic group. As monovalent organic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is preferable. As an alkyl group, a C1-C12 alkyl group is preferable, A C1-C8 alkyl group is more preferable, A C1-C4 alkyl group is especially preferable. When the alkyl group has a substituent, for example, as the substituent, a hydroxy group, an alkoxy group (preferably 1 to 5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1 to 3 carbon atoms), methoxy group, ethoxy group, cyclohex And siloxy groups. Specifically as a preferable alkyl group, For example, a methyl group, an ethyl group, a propyl group, n-butyl group, i-butyl group, t-butyl group, n-hexyl group, a cyclohexyl group, 2-hydroxyethyl group, 3-hydroxy A hydroxypropyl group, 2-hydroxypropyl group, and 2-methoxyethyl group are mentioned. As R <21> , R <22> , R <24> and R <25>, a hydrogen atom is preferable and R <23> and R <26> are the most preferable also at the point of the adsorption efficiency on a pigment surface a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X21 및 X22는 각각 독립적으로 -CO-, -C(=O)O-, -CONH-, -OC(=O)- 또는 페닐렌기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C(=O)O-, -CONH-, 페닐렌기가 안료에의 흡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C(=O)O-가 가장 바람직하다. X 21 and X 2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CO—, —C (═O) O—, —CONH—, —OC (═O) — or a phenylene group. Especially, -C (= O) O-, -CONH-, and a phenylene group are preferable from a viewpoint of adsorption to a pigment, and -C (= O) O- is the most preferable.

L21 및 L2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2가의 유기 연결기를 나타낸다. 2가의 유기 연결기로서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렌기나 상기 알킬렌기와 헤테로 원자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부분 구조로 이루어지는 2가의 유기 연결기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알킬렌기로서는 탄소수 1~12개의 알킬렌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8개의 알킬렌기가 더욱 바람직하며, 탄소수 1~4개의 알킬렌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부분 구조에 있어서의 헤테로 원자로서는 예를 들면 산소 원자, 질소 원자, 황 원자가 열거되고, 그 중에서도 산소 원자, 질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알킬렌기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트리메틸렌기, 테트라메틸렌기가 열거된다. 알킬렌기가 치환기를 가질 경우, 상기 치환기로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기 등이 열거된다. 2가의 유기 연결기로서는 상기의 알킬렌기의 말단에 -C(=O)-, -OC(=O)-, -NHC(=O)-에서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부분 구조를 갖고, 상기 헤테로 원자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부분 구조를 통해서 인접한 산소 원자와 연결한 것이 안료에의 흡착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인접한 산소 원자란 일반식(I)에 있어서의 L21 및 일반식(II)에 있어서의 L22에 대하여 측쇄 말단측에서 결합하는 산소 원자를 의미한다. L 21 and L 2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single bond or a divalent organic linking group. As a divalent organic coupling group, the bivalent organic coupling group which consists of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ene group and the partial structure containing the said alkylene group and a hetero atom or a hetero atom is preferable. Here, as an alkylene group, a C1-C12 alkylene group is preferable, A C1-C8 alkylene group is more preferable, A C1-C4 alkylene group is especially preferable. Moreover, as a hetero atom in the partial structure containing a hetero atom, an oxygen atom, a nitrogen atom, and a sulfur atom are mentioned, for example, Especially, an oxygen atom and a nitrogen atom are preferable. As a preferable alkylene group, a methylene group, an ethylene group, a propylene group, trimethylene group, tetramethylene group is mentioned specifically ,. When an alkylene group has a substituent, the said hydroxyl group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The divalent organic linking group has a partial structure containing a hetero atom or a hetero atom selected from -C (= 0)-, -OC (= 0)-, and -NHC (= 0)-at the terminal of the alkylene group. In connection with the adjacent oxygen atom through the heterostructure or the partial structure containing a hetero atom, it is preferable at the point of adsorption to a pigment. Here, an adjacent oxygen atom means the oxygen atom couple | bonded with L <21> in general formula (I) and L <22> in general formula (II) by the side chain terminal side.

A21 및 A22로서는 분산 안정성, 현상성의 점에서 탄소 원자수 1~20개까지의 직쇄상, 탄소 원자수 3개~20개까지의 분기상 및 탄소 원자수 5~20개까지의 환상의 알킬기에서 선택되는 기가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4~15개까지의 직쇄상, 탄소 원자수 4~15개까지의 분기상 및 탄소 원자수 6~10개까지의 환상의 알킬기에서 선택되는 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탄소 원자수 6~10개까지의 직쇄상 및 탄소 원자수 6~12개까지의 분기상의 알킬기에서 선택되는 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As A 21 and A 22 , in terms of dispersion stability and developability, a linear chain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 branched phase having 3 to 20 carbon atoms, and a cyclic alkyl group having 5 to 20 carbon atoms Groups selected from are preferred, more preferably a straight chain of up to 4 to 15 carbon atoms, a branched up to 4 to 15 carbon atoms, and a cyclic alkyl group of up to 6 to 10 carbon atoms, More preferable is a group selected from linear alkyl groups having up to 6 to 10 carbon atoms and branched alkyl groups having up to 6 to 12 carbon atoms.

ma 및 na는 각각 독립적으로 2~8의 정수를 나타낸다. 분산 안정성, 현상성의 점에서 4~6이 바람직하고, 5가 특히 바람직하다. ma and na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the integer of 2-8. 4-6 are preferable and 5 is especially preferable at the point of dispersion stability and developability.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1~100의 정수를 나타낸다. p가 다른 것, q가 다른 것이 2종 이상 혼합되어도 좋다. p 및 q는 분산 안정성, 현상성의 점에서 5~60이 바람직하고, 5~40이 보다 바람직하며, 5~20이 더욱 바람직하다. p and q respectively independently represent the integer of 1-100. Different p and different q may be mixed. 5-60 are preferable from a point of dispersion stability and developability, 5-40 are more preferable, and 5-20 are more preferabl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산제 B로서는 분산 안정성의 점에서 상기 일반식(I)로 나타내어지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ersing agent B in this embodiment contains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said General formula (I) from a point of dispersion stability.

또한, 일반식(I)로 나타내어지는 반복 단위로서는 하기 일반식(I)-2로 나타내어지는 반복 단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Moreover, as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general formula (I),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with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I) -2.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상기 일반식(I)-2 중 R21~R2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1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La는 탄소수 2~10개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Lb는 -C(=O)- 또는 -NHC(=O)-를 나타내고, A21은 1가의 유기기를 나타내며, ma는 2~8의 정수를 나타내고, p는 1~100의 정수를 나타낸다. In General Formula (I) -2, R 21 to R 2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monovalent organic group, La represents a C2-C10 alkylene group, and Lb is -C (= 0)-or- NHC (= O)-is represented, A <21> represents monovalent organic group, ma represents the integer of 2-8, p represents the integer of 1-100.

일반식(I), 일반식(II) 또는 일반식(I)-2로 나타내어지는 반복 단위는 각각 하기 일반식(i), 일반식(ii) 또는 일반식(i)-2로 나타내어지는 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함으로써 고분자 화합물의 반복 단위로서 도입된다.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general formula (I), general formula (II), or general formula (I) -2 is a monomer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i), general formula (ii) or general formula (i) -2, respectively. It is introduced as a repeating unit of a high molecular compound by superposing | polymerizing or copolymerizing.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상기 일반식(i), 일반식(ii) 및 일반식(i)-2 중 R21~R2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1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X21 및 X22는 각각 독립적으로 -CO-, -C(=O)O-, -CONH-, -OC(=O)- 또는 페닐렌기를 나타내며, L21 및 L2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2가의 유기 연결기를 나타내고, La는 탄소수 2~10개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Lb는 -C(=O)- 또는 -NHC(=O)-를 나타내고, A21 및 A22는 각각 독립적으로 1가의 유기기를 나타내며, ma 및 na는 각각 독립적으로 2~8의 정수를 나타내고,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1~100의 정수를 나타낸다. In the general formulas (i), (ii) and (i) -2, R 21 to R 26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monovalent organic group, and X 21 and X 2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CO. -, -C (= O) O-, -CONH-, -OC (= O)-or a phenylene group, L 21 and L 2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single bond or a divalent organic linking group, and La is a carbon number 2-10 alkylene groups, Lb represents -C (= 0)-or -NHC (= 0)-, A 21 and A 2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monovalent organic group, and ma and na each independently The integer of 2-8 is represented, and p and q respectively independently represent the integer of 1-100.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산제 B는 그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공중합 가능한 비닐 모노머에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더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Dispersant B in this embodiment may further contain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vinyl monomer which can be copolymerized in the range which does not impair the effect.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산제 B의 바람직한 형태는 적어도 일반식(i), 일반식(ii) 또는 일반식(i)-2로 나타내어지는 단량체와 유기 색소 구조 또는 복소환 구조를 갖는 모노머를 공중합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술의 일반식(i)-2로 나타내어지는 단량체와 상술의 일반식(11)로 나타내어지는 단량체와 산기를 갖는 모노머를 공중합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안료 흡착이 우수하고, 또한 현상성이 우수한 안료 분산체를 제공할 수 있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ispersant B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polymer of at least a monomer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i), the general formula (ii) or the general formula (i) -2 with a monomer having an organic dye structure or a heterocyclic structure. More preferably, at least the monomer represented by general formula (i) -2 mentioned above, the monomer represented by general formula (11) above, and the monomer which has an acidic radical are copolymerized. Thereby, the pigment dispersion which is excellent in pigment adsorption and excellent in developability can be provided.

본 실시형태에 분산제 B의 바람직한 분자량은 질량 평균 분자량(Mw)으로 1,000~100,000의 범위, 수 평균 분자량(Mn)으로 400~50,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질량 평균 분자량(Mw)으로 5,000~50,000의 범위, 수 평균 분자량(Mn)으로 2,000~30,000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질량 평균 분자량(Mw)으로 8,000~30,000의 범위, 수 평균 분자량(Mn)으로 4,000~12,000의 범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안료의 1차 입자의 응집체인 2차 응집체를 효과적으로 풀거나 또는 재응집을 효과적으로 약화시키기 위한 관점에서는 분산제 B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1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료 분산체를 함유하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에 의해 컬러 필터를 제조할 때의 현상성의 관점에서는 분산제 B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3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ferable molecular weight of the dispersing agent B in this embodiment is the range of 400-100,000 in the range of 1,000-100,000 and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by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s for mass mean molecular weight (Mw),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the range of 2,000-30,000 in the range of 5,000-50,000, and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In particular, it is most preferable that it is the range of 8,000-30,000 in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the range of 4,000-12,000 in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It is preferable that the mass mean molecular weight (Mw) of the dispersing agent B is 1000 or more from a viewpoint of effectively loosening the secondary aggregate which is an aggregate of the primary particle of a pigment, or effectively weakening reaggregation.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mass mean molecular weight (Mw) of the dispersing agent B is 30000 or less from a developable viewpoint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a color filter with the coloring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ntaining a pigment dispersion.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산제 B는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i), 일반식(ii) 또는 일반식(i)-2로 나타내어지는 단량체와 공중합 성분으로서 다른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모노머)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라디칼 중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현탁 중합법 또는 용액 중합법 등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분산제 B를 합성할 때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에틸렌, 시클로헥사논,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2-메톡시에틸아세테이트, 1-메톡시-2-프로판올, 1-메톡시-2-프로필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톨루엔, 아세트산에틸, 락트산메틸, 락트산에틸 등이 열거된다. 이들의 용매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해도 좋다. 또한, 라디칼 중합시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연쇄 이동제(예, 2-메르캅토에탄올 및 도데실메르캅탄)을 더 사용할 수 있다. The dispersant B in this embodiment is a rad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different from the monomer and copolymerization component represented by following General formula (i), General formula (ii), or General formula (i) -2 (as mentioned above), for example. Various monomers), and can be produced by a general radical polymerization method. Generally, suspension polymerization or solution polymerization is used. Examples of the solvent used when synthesizing such a dispersant B include ethylene chloride, cyclohexanone, methyl ethyl ketone, acetone,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2- Methoxyethyl acetate, 1-methoxy-2-propanol, 1-methoxy-2-propylacetate, N, N-dimethylformamide, N, N-dimethylacetamide, dimethyl sulfoxide, toluene, ethyl acetate, lactic acid Methyl, ethyl lactate, etc. are mentioned. These solve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In addition,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used in the radical polymerization, and a chain transfer agent (for example, 2-mercaptoethanol and dodecyl mercaptan) may be further used.

본 실시형태의 안료 분산체 내 분산제 B의 함유량으로서는 질량비로 안료:분산제 B=1:0.1~1:2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1:1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4~1:0.7이다. As content of the dispersing agent B in the pigment dispersion of this embodiment, pigment: dispersant B = 1: 0.1-1: 2 are preferable by mass ratio, More preferably, it is 1: 0.2-1: 1, More preferably, 1: 0.4-1: 0.7.

또한, 본 실시형태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상기의 특정 공중합체 이외에 다른 고분자 화합물을 동시에 사용해도 좋다. 다른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천연 수지, 변성 천연 수지, 합성 수지, 천연 수지로 변성된 합성 수지 등이 사용된다. 천연 수지로서는 로진이 대표적이고, 변성 천연 수지로서는 로진 유도체, 섬유소 유도체, 고무 유도체, 단백 유도체 및 그들의 올리고머가 열거된다. 합성 수지로서는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말레산 수지, 부티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이 열거된다. 천연 수지로 변성된 합성 수지로서는 로진 변성 말레산 수지, 로진 변성 페놀 수지 등이 열거된다. 합성 수지로서는 폴리아미드아민과 그 염, 폴리카르복실산과 그 염, 고분자량 불포화산 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나프탈렌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이 열거된다. In addition, in the range which does not impair the effect of this embodiment, you may use simultaneously other high molecular compounds other than said specific copolymer as needed. As another high molecular compound, a natural resin, a modified natural resin, a synthetic resin, a synthetic resin modified with a natural resin, etc. are used. Rosin is typical as a natural resin, and rosin derivative, a cellulose derivative, a rubber derivative, a protein derivative, and those oligomers are mentioned as a modified natural resin. Examples of the synthetic resins include epoxy resins, acrylic resins, maleic acid resins, butyral resins, polyester resins, melamine resins, phenol resins and polyurethane resins. Examples of the synthetic resin modified with natural resins include rosin-modified maleic acid resins and rosin-modified phenolic resins. Examples of the synthetic resin include polyamideamine and salts thereof, polycarboxylic acids and salts thereof, high molecular weight unsaturated acid esters, polyurethanes, polyesters, poly (meth) acrylates, (meth) acrylic copolymers, and naphthalenesulfonic acid formalin condensates. do.

컬러 필터, 그 원료 조성물ㆍ재료로서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감광성 전사 재료, 잉크젯 잉크 등에 대해서는 그 구체적인 실시형태나 바람직한 범위에 관해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The color filter, the colore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s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and the material, the photosensitive transfer material, the inkjet ink and the like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the preferred ranges.

실시예 Example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주지를 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별하게 기재하지 않는 한 「부」, 「%」는 모두 질량 기준이다. Hereinafter, although an Example demonstrates this invention further more concretely,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following example, unless the meaning is exceeded. In addition, "part" and "%" are mass references | standards unless there is particular notice.

[제조예 1-1] [Production Example 1-1]

안료 C. I. Pigment Red 146(Clariant, Permanent Carmine FBB02[상품명]) 1질량부, 분쇄된 염화나트륨 7질량부, 디에틸렌글리콜 1.6질량부를 쌍완형 니더에 투입하여 100℃에서 4시간 혼련했다. 혼련 후, 80℃의 물 100질량부에 꺼내어 1시간 교반 후 여과하고, 80℃의 온수 세정을 행하여 90℃에서 건조시키고, 해머 밀로 분쇄하여 안료 분체 1-A를 얻었다. 1 mass part of pigment C. I. Pigment Red 146 (Clariant, Permanent Carmine FBB02 [brand name]), 7 mass parts of crushed sodium chloride, and 1.6 mass parts of diethylene glycol were thrown into a twin kneader, and it knead | mixed at 100 degreeC for 4 hours. After kneading, the mixture was taken out to 100 parts by mass of 80 ° C water, stirred for 1 hour, filtered, washed with warm water at 80 ° C, dried at 90 ° C, and pulverized with a hammer mill to obtain pigment powder 1-A.

안료 분체 1-A를 사용하여 하기 조성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A를 조정했다.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A of the following composition was adjusted using pigment powder 1-A.

--------------------------------------------------- -------------------------------------------------- -

안료 분체 A 12.0g Pigment Powder A 12.0g

Disperbyk 2155(상품명, BYK Chemie 제품) 6.0g 6.0 g of Disperbyk 2155 (brand name, BYK Chemie product)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32.0g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32.0g

--------------------------------------------------- -------------------------------------------------- -

상기 조성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을 모터 밀 M-50(상품명, EIGER Co., Ltd. 제품)으로 지름 0.5mm의 산화지르코늄 비즈를 사용하여 2000rpm으로 1시간, 이어서 지름 0.1mm의 산화지르코늄 비즈를 사용하여 2000rpm으로 4시간 분산시키고,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A를 얻었다. 분산 조성물 1-A의 안료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지름 및 단분산도의 측정은 이하와 같이 행했다.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of the above composition was used as motor mill M-50 (trade name, manufactured by EIGER Co., Ltd.) using zirconium oxide beads having a diameter of 0.5 mm for 1 hour at 2000 rpm, followed by zirconium oxide beads having a diameter of 0.1 mm. It disperse | distributed at 2000 rpm for 4 hours, and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A was obtained. The measurement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and monodispersity of the pigment fine particles of the dispersion composition 1-A was carried out as follows.

전자 현미경(JEOL Ltd. 제품, JEM-1200EX(상품명))으로 관찰 촬영한 사진 화상을 사용하여 200개의 입자에 있어서 원 상당 지름을 산정해서 그 수 평균을 1차 입자의 평균 입경, 200개의 입경의 표준 편차/평균 입경을 CV라고 했다. 또한, 결정 입자 사이즈는 디클로로디케토피롤 안료에 관해서 CuKα선을 사용한 분말 X선 회절 측정을 행했다. 측정은 일본 공업 규격 JIS K03131(X선 회절 분석 통칙)에 준하여 브래그각(2θ)이 23°~30°인 범위에서 행했다. 얻어진 X선 회절 패턴으로부터 백그라운드를 제거한 회절 패턴을 구했다. 여기에서, 백그라운드의 제거 방법은 상기 측정 패턴의 저각측의 브래그각(2θ)=23.3° 부근의 하부와 고각측의 브래그각(2θ)=29.7° 부근의 하부에 접하는 직선을 그어 이 직선으로 나타내어지는 X선 회절 강도의 값을 백그라운드로 하고, 원래의 패턴으로부터 공제한 것을 백그라운드를 제거한 X선 회절 패턴으로 한다. Using a photographic image observed with an electron microscope (JEOL Ltd., JEM-1200EX (trade name)), a circle equivalent diameter was calculated for 200 particles, and the number average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rimary particles and 200 particle diameters was calculated. The standard deviation / average particle diameter was called CV. In addition, the crystal particle size performed the powder X-ray diffraction measurement using CuK (alpha) ray about the dichloro diketopyrrole pigment.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in the range whose Bragg angle (2theta) is 23 degrees-30 degrees according to Japanese Industrial Standard JIS K03131 (the X-ray diffraction analysis general rule). The diffraction pattern which removed the background from the obtained X-ray diffraction pattern was calculated | required. Here, the background removal method draws a straight line contacting the lower part of the Bragg angle (2θ) = 23.3 ° of the low angle side of the measurement pattern and the lower part of the Bragg angle (2θ) = 29.7 ° of the high angle side and represented by this straight line. The value of the losing X-ray diffraction intensity is set as the background, and the subtracted from the original pattern is used as the X-ray diffraction pattern from which the background is removed.

얻어진 백그라운드를 제거한 X선 회절 패턴으로부터 23.0°~ 30.0°에서 최대의 회절 강도를 부여하는 피크에 대하여 반값폭 및 회절 피크의 브래그각(2θ)을 구한다. 반값폭의 산출은 상기 측정 범위에 존재하는 회절 피크 각각을 시판의 데이터 해석 소프트를 이용하여 피크 분리를 행함으로써 산출 가능해진다. 실시예에 있어서는 Wave Metorics 제품 데이터 해석 소프트 Igor Pro를 사용하여 피크 형상을 Voigt 함수로서 피팅을 행하여 산출되는 반값폭의 값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From the X-ray diffraction pattern from which the obtained background is removed, the half-angle width and the Bragg angle (2θ) of the diffraction peak are obtained for the peak giving the maximum diffraction intensity at 23.0 ° to 30.0 °. The half value width can be calculated by performing peak separation on each of the diffraction peaks existing in the measurement range using commercial data analysis software. In the example, the value of the half value width calculated by fitting the peak shape as a Voigt function using Wave Metorics product data analysis software Igor Pro is used.

산출된 회절 피크 반값폭 및 하기 셰라의 식에 의해 결정 입자 사이즈를 산출한다. The crystal grain size is calculated by the calculated diffraction peak half-width and the formula below.

D=Kλ/(10×B×cos A) D = Kλ / (10 × B × cos A)

B=Bobs-b B = Bobs-b

여기에서, From here,

D: 결정 입자 사이즈(nm) D: crystal grain size (nm)

Bobs: (2)에서 산출한 반값폭(rad) Bobs: half width (rad) from (2)

b: X선 회절 장치 각도 분해능 보정 계수이고, 표준 실리콘 결정 측정시의 반값폭(rad). 본 발명에서는 하기 장치 구성 및 측정 조건에서 표준 실리콘 결정을 측정하고, b=0.2로 했다. b: X-ray diffraction apparatus angular resolution correction coefficient, and half value width (rad) at the time of a standard silicon crystal measure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standard silicon crystals were measured under the following device configuration and measurement conditions, and b = 0.2.

A: 회절 피크 브래그각 2θ(rad) A: diffraction peak Bragg angle 2θ (rad)

K: 셰라 정수(K=0.94로 정의함) K: Shera integer (defined as K = 0.94)

λ: X선 파장(Å)(CuKα선이기 때문에 λ=1.54) λ: X-ray wavelength (λ = 1.54 since it is a CuKα ray)

측정 조건의 상세한 것은 하기와 같다. The detail of the measurement conditions is as follows.

X선 회절 장치: Rigaku Corporation 제품 RINT 2500 X-ray diffractometer: RINT 2500 from Rigaku Corporation

고니오미터: Rigaku Corporation RINT 2000 종형 고니오미터 Goniometers: Rigaku Corporation RINT 2000 vertical goniometers

샘플링 폭: 0.01° Sampling Width: 0.01 °

스텝 시간: 1초 Step time: 1 second

발산 슬릿: 2° Divergence Slit: 2 °

산란 슬릿: 2° Scattering Slit: 2 °

수광 슬릿: 0.6mm Receiving Slit: 0.6mm

관 구: Cu Tube Sphere: Cu

관 전압: 55KV Tube voltage: 55KV

관 전류: 280mA Tube current: 280mA

측정한 결과, 하기 표와 같았다. As a result of measurement, it was as follows.

[제조예 1-2~제조예 1-10] [Manufacture example 1-2-manufacture example 1-10]

제조예 1-1의 Pigment Red 146 대신에 하기 각 안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1과 동일하게 해서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B~1-J를 얻었다.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s 1-B to 1-J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1-1, except that the following pigments were used instead of Pigment Red 146 in Production Example 1-1.

[제조예 1-11] [Production Example 1-11]

디메틸술폭시드(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 20질량부에 안료 C. I. Pigment Red 146(Clariant, Permanent Carmine FBB02[상품명]) 1질량부를 분산시키고, 여기에 나트륨메톡시드 28% 메탄올 용액 0.5질량부를 적하해서 안료 용액을 조제했다. 이 안료 용액을 Viscomate VM-10A-L(상품명, CBC Materials 제품)을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한 결과, 안료 용액의 액온이 24.5℃일 때의 점도가 12.3mPaㆍs이었다. 이것과는 별도로 빈용매로서 1몰/L 염산(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 160g을 함유한 물 1000ml를 준비했다. 1 part by mass of pigment CI Pigment Red 146 (Clariant, Permanent Carmine FBB02 [trade name]) was dispersed in 20 parts by mass of dimethyl sulfoxide (manufactured by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and 0.5 part by mass of 28% methanol solution of sodium methoxide was added thereto. It dripped and prepared the pigment solution. When the viscosity was measured for this pigment solution using Viscomate VM-10A-L (brand name, the product made by CBC Materials), the viscosity when the liquid temperature of a pigment solution was 24.5 degreeC was 12.3 mPa * s. Separately from this, 1000 ml of water containing 160 g of 1 mol / L hydrochloric acid (manufactured by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was prepared as a poor solvent.

여기에서, 10℃로 온도 컨트롤하고, GK-0222-10형 라몬드스터러(상품명,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제품)에 의해 500rpm으로 교반한 빈용매 1000ml에 안료 용액을 NP-KX-500형 대용량 무맥류 펌프(상품명, Nippon Fine Chemical 제품)를 이용하여 유로 지름 1.1mm의 송액 배관으로부터 유속 400ml/분으로 100ml 주입함으로써 유기 안료 입자를 형성하여 유기 안료 나노 입자 분산액 1-K를 조제했다. Here, NP-KX-500 the pigment solution to 1000 ml of the poor solvent which temperature-controlled at 10 degreeC and stirred at 500 rpm by GK-0222-10 type | mold Ramondsterer (brand name, the product made by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An organic pigment particle was formed by injecting 100 ml at a flow rate of 400 ml / min from a liquid feed pipe having a flow path diameter of 1.1 mm by using a large-capacity no-flow pump (trade name, manufactured by Nippon Fine Chemical) to prepare an organic pigment nanoparticle dispersion 1-K.

상기의 순서로 조제한 유기 안료 나노 입자 분산액 1-K를 KOKUSAN Co., Ltd. 제품 H-112형 원심 여과기 및 Shikishima Canvas Co., Ltd. 제품 P89C형 여과천을 이용하여 5000rpm으로 90분 농축했다. 얻어진 페이스트를 물로 염을 제거할 수 있을 때까지 수세한후 유기 안료 나노 입자 농축 페이스트 1-K를 회수했다. The organic pigment nanoparticle dispersion liquid 1-K prepared in the above-mentioned procedure was carried out by KOKUSAN Co., Ltd. Products H-112 Centrifugal Filters and Shikishima Canvas Co., Ltd. It concentrated at 5000 rpm for 90 minutes using the product P89C type filter cloth. The obtained paste was washed with water until the salt could be removed with water, and then the organic pigment nanoparticle-concentrated paste 1-K was recovered.

이 유기 안료 나노 입자 농축 페이스트 K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로 3배 희석하고, KOKUSAN Co., Ltd. 제품 H-112형 원심 여과기 및 Shikishima Canvas Co., Ltd. 제품 P89C형 여과천을 이용하여 14000rpm으로 90분 농축했다. 이 조작을 함수율이 1%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하여 행하고, 유기 안료 나노 입자 농축 페이스트 1-K(나노 입자 농도 32.2%)를 얻었다. This organic pigment nanoparticle concentration paste K was diluted three times with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and KOKUSAN Co., Ltd. Products H-112 Centrifugal Filters and Shikishima Canvas Co., Ltd. The product was concentrated for 90 minutes at 14000 rpm using the product P89C type filter cloth. This operation was repeated until water content became 1% or less, and organic pigment nanoparticle concentration paste 1-K (nanoparticle concentration 32.2%) was obtained.

유기 안료 나노 입자 농축 페이스트 1-K를 사용하여 하기 조성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K를 조제했다.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K of the following composition was prepared using organic pigment nanoparticle concentration paste 1-K.

유기 안료 나노 입자 농축 페이스트 1-K 37.3g Organic Pigment Nanoparticles Concentrate Paste 1-K 37.3g

Disperbyk 2155(상품명, BYK Chemie 제품) 6.0g 6.0 g of Disperbyk 2155 (brand name, BYK Chemie product)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6.7g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6.7 g

상기 조성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을 모터 밀 M-50(EIGER Co., Ltd. 제품)으로 지름 0.5mm의 산화지르코늄 비즈를 사용하여 2000rpm으로 1시간, 이어서 지름 0.1mm의 산화지르코늄 비즈를 사용하여 2000rpm으로 4시간 분산시켜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K를 얻었다.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of the above composition was used as motor mill M-50 (manufactured by EIGER Co., Ltd.) at 2000 rpm using 0.5 mm zirconium oxide beads, followed by 2000 rpm using zirconium oxide beads 0.1 mm in diameter. It disperse | distributed for 4 hours and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K was obtained.


#

#

#

#

안료(상품명)

Pigment (brand name)
평균 입경
(nm)
Average particle diameter
(nm)
단분산도Monodispersity 결정 입자 지름
(nm)
Crystal grain diameter
(nm)

1-1

1-1

1-A

1-A
C. I. Pigment Red 146
(Clariant 제품,
Permanent Carmine FBB02)
CI Pigment Red 146
(Clariant products,
Permanent Carmine FBB02)

37.2

37.2

22.2

22.2

18.3

18.3

1-2

1-2

1-B

1-B
C. I. Pigment Red 177
(Ciba Specialty Chemicals, K.K. 제품,
Cromophtal Red A2B)
CI Pigment Red 177
(Ciba Specialty Chemicals, KK products,
Cromophtal Red A2B)

34.1

34.1

18.5

18.5

17.6

17.6

1-3

1-3

1-C

1-C
C. I. Pigment Red 254
(Ciba Specialty Chemicals, K. K. 제품,
Irgazine DPP Red 2030)
CI Pigment Red 254
(Ciba Specialty Chemicals, KK products,
Irgazine DPP Red 2030)

27.3

27.3

22.1

22.1

13.9

13.9

1-4

1-4

1-D

1-D
C. I. Pigment Red 255
(Ciba Specialty Chemicals, K. K. 제품,
Irgazine DPP Scarlet EK)
CI Pigment Red 255
(Ciba Specialty Chemicals, KK products,
Irgazine DPP Scarlet EK)

42.1

42.1

29.6

29.6

20.6

20.6

1-5

1-5

1-E

1-E
C. I. Pigment Red 122
(Ciba Specialty Chemicals, K. K. 제품,
Cromophtal Red PT)
CI Pigment Red 122
(Ciba Specialty Chemicals, KK products,
Cromophtal Red PT)

35.2

35.2

24.7

24.7

18.1

18.1

1-6

1-6

1-F

1-F
C. I. Pigment Red 208
(Clariant 제품,
Novoperm Red HF2B)
CI Pigment Red 208
(Clariant products,
Novoperm Red HF2B)

40.2

40.2

20.3

20.3

19.3

19.3

1-7

1-7

1-G

1-G
C. I. Pigment Red 209
(Ciba Specialty Chemicals, K. K. 제품,
Hostaperm Red EG transp)
CI Pigment Red 209
(Ciba Specialty Chemicals, KK products,
Hostaperm Red EG transp)

32.3

32.3

29.8

29.8

16.2

16.2

1-8

1-8

1-H

1-H
C. I. Pigment Yellow 150
(LANXESS 제품,
Byplast Yellow E4GN)
CI Pigment Yellow 150
(LANXESS products,
Byplast Yellow E4GN)

23.5

23.5

21.6

21.6

17.9

17.9

1-9

1-9

1-I

1-I
C. I. Pigment Yellow 138
(BASF 제품,
Paliotol Yellow D 0960)
CI Pigment Yellow 138
(BASF products,
Paliotol Yellow D 0960)

38.8

38.8

30.3

30.3

23.1

23.1

1-10

1-10

1-J

1-J
C. I. Pigment Yellow 176
(Clariant 제품,
Graphtol Carmine HF3C)
CI Pigment Yellow 176
(Clariant products,
Graphtol Carmine HF3C)

34.6

34.6

24.1

24.1

20.8

20.8

1-11

1-11

1-K

1-K
C. I. Pigment Red 146
(Clariant 제품,
Permanent Carmine FBB02)-빌드업
CI Pigment Red 146
(Clariant products,
Permanent Carmine FBB02)-Build Up

28.0

28.0

15.1

15.1

15.9

15.9

(실시예 1-1) (Example 1-1)

제조예 1-1에서 얻어진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A 7.5질량부, 제조예 1-3에서 얻어진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C 7.5질량부, 알칼리 가용성 수지 A(메타크릴산벤질/메타크릴산(=75/25[질량비]) 공중합체(중량 평균 분자량: 12,000)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용액(고형분 30%)) 17질량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5질량부를 혼합하여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101a를 얻었다. 이것을 조제된 착색 감광성 조성물(컬러 레지스트액)을 100mm×100mm의 유리 기판(1737, Corning 제품) 상에 색 농도의 지표가 되는 x값이 0.650이 되도록 도포하고, 90℃의 오븐에서 60초간 건조시켜 컬러 필터용 적색 화소부 101을 얻었다. 7.5 parts by mass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A obtained in Production Example 1-1, 7.5 parts by mass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C obtained in Production Example 1-3, alkali-soluble resin A (benzyl methacrylate / methacrylic acid ( = 75/25 [mass ratio]) 17 mass parts of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solutions (solid content 30%) of a copolymer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12,000), 15 mass parts of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s were mixed, and the coloring for color filters was carried out. Composition 101a was obtained. The prepared colored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lor resist liquid) was applied onto a 100 mm × 100 mm glass substrate (1737, Corning) so that the x value, which is an index of color density, was 0.650, and dried in an oven at 90 ° C. for 60 seconds. The red pixel part 101 for color filters was obtained.

(실시예 1-2) (Example 1-2)

제조예 1-1에서 얻어진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A 11.1질량부, 제조예 1-3에서 얻어진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C 1.6질량부, 제조예 1-8에서 얻어진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H 2.2질량부, 알칼리 가용성 수지 A 17질량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5질량부를 혼합하여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102a를 얻었다. 이것을 조제된 착색 감광성 조성물(컬러 레지스트액)을 100mm×100mm의 유리 기판(1737, Corning 제품) 상에 색 농도의 지표가 되는 x값이 0.660, y값이 0.320이 되도록 도포하고, 90℃의 오븐에서 60초간 건조시켜 컬러 필터용 적색 화소부 102를 얻었다. 11.1 parts by mass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A obtained in Production Example 1-1, 1.6 parts by mass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C obtained in Production Example 1-3, and 1-H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obtained in Production Example 1-8. 2.2 mass parts, 17 mass parts of alkali-soluble resin A, and 15 mass parts of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were mixed, and the coloring composition 102a for color filters was obtained. The prepared colored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lor resist liquid) was applied onto a glass substrate (1737, manufactured by Corning) of 100 mm x 100 mm so that the x value serving as an index of color density was 0.660 and the y value was 0.320. It dried for 60 second at and obtained the red pixel part 102 for color filters.

(실시예 1-3) (Example 1-3)

실시예 1-2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A 대신에 제조예 1-11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K 11.1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동일하게 해서 컬러 필터용 적색 화소부 103을 얻었다. Red pixel part 103 for color filters similarly to Example 1-2 except having used 11.1 mass part of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s 1-K of Manufacturing Example 1-11 instead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A of Example 1-2. Got.

(실시예 1-4) (Examples 1-4)

실시예 1-2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A의 혼합량을 10.6질량부로 하고, 또한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H 대신에 제조예 1-9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I 2.8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동일하게 해서 컬러 필터용 적색 화소부 104를 얻었다. The mixing amount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A of Example 1-2 was 10.6 parts by mass, and 2.8 parts by mass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I of Production Example 1-9 was used instead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H.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2, the red pixel portion 104 for a color filter was obtained.

(비교예 1-1) (Comparative Example 1-1)

제조예 1-1에서 얻어진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A 15질량부, 알칼리 가용성 수지 A(메타크릴산벤질/메타크릴산(=75/25[질량비]) 공중합체(중량 평균 분자량: 12,000)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용액(고형분 30%)) 17질량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5질량부를 혼합하여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c01a를 얻었다. 이것을 조제된 착색 감광성 조성물(컬러 레지스트액)을 100mm×100mm의 유리 기판(1737, Corning 제품) 상에 색 농도의 지표가 되는 x값이 0.660, y값이 0.320이 되도록 도포하고, 90℃의 오븐에서 60초간 건조시켜 컬러 필터용 적색 화소부 c01을 얻었다. Of 15 parts by mass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A obtained in Production Example 1-1 and an alkali-soluble resin A (benzyl methacrylate / methacrylic acid (= 75/25 [mass ratio]) copolymer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12,000) 17 mass parts of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solutions (30% of solid content), and 15 mass parts of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s were mixed, and the coloring composition c01a for color filters was obtained. The prepared colored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lor resist liquid) was applied onto a glass substrate (1737, manufactured by Corning) of 100 mm x 100 mm so that the x value serving as an index of color density was 0.660 and the y value was 0.320. It dried for 60 second at and obtained the red pixel part c01 for color filters.

(비교예 1-2) (Comparative Example 1-2)

실시예 1-1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A 대신에 제조예 2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B 6.9질량부로 하고,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C의 혼합량을 8.1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컬러 필터용 적색 화소부 c02를 얻었다. It replaces with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A of Example 1-1, and it is set to 6.9 mass parts of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B of manufacture example 2, except having changed the mixing amount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C into 8.1 mass parts. In the same manner as in 1, the red pixel portion c02 for a color filter was obtained.

(비교예 1-3) (Comparative Example 1-3)

실시예 1-2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A 대신에 제조예 2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B 7.2질량부로 하고,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C의 혼합량을 7.6질량부로 하며,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H의 혼합량을 0.2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동일하게 해서 컬러 필터용 적색화소부 c03을 얻었다. It is 7.2 mass parts of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s 1-B of manufacture example 2 instead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A of Example 1-2, the mixing amount of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s 1-C is 7.6 mass parts, and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is The red pixel part c03 for color filters was obtained like Example 1-2 except having changed the mixed amount of 1-H into 0.2 mass part.

(비교예 1-4) (Comparative Example 1-4)

실시예 1-1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A의 혼합량을 8.8질량부로 하고, 또한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C 대신에 제조예 1-4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D 6.2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해서 컬러 필터용 적색 화소부 c04를 얻었다. The mixing amount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A of Example 1-1 was 8.8 parts by mass, and 6.2 parts by mass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D of Production Example 1-4 was used instead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C.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the red pixel portion c04 for color filters was obtained.

(비교예 1-5) (Comparative Example 1-5)

실시예 1-1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C 대신에 제조예 5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E 5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해서 컬러 필터용 적색 화소부 c05를 얻었다. A red pixel part c05 for a color filt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except that 5 parts by mass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E of Production Example 5 was used instead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C of Example 1-1. .

(비교예 1-6) (Comparative Example 1-6)

실시예 1-1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A의 혼합량을 7.0질량부로 하고, 또한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C 대신에 제조예 1-6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F 8.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해서 컬러 필터용 적색 화소부 c06을 얻었다. Except having made the mixing amount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A of Example 1-1 into 7.0 mass part, and also replaced with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C of 8.0 mass part of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s 1-F of manufacture example 1-6.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the red pixel portion c06 for a color filter was obtained.

(비교예 1-7) (Comparative Example 1-7)

실시예 1-1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A의 혼합량을 1.5질량부로 하고, 또한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C 대신에 제조예 1-7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G 13.5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해서 컬러 필터용 적색 화소부 c07을 얻었다. The mixing amount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A of Example 1-1 was set to 1.5 parts by mass, and 13.5 parts by mass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G of Production Example 1-7 was used instead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C.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the red pixel portion c07 for color filters was obtained.

(비교예 1-8) (Comparative Example 1-8)

실시예 1-1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A 대신에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1-J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해서 컬러 필터용 적색 화소부 c08을 얻었다. 이 때, 안료 분산 조성물 1-J(PR176)의 BET 비표면적은 80㎡/g 이상이었다. The red pixel part c08 for color filters was obtained like Example 1-1 except having used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J instead of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A of Example 1-1. At this time, the BET specific surface area of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1-J (PR176) was 80 m <2> / g or more.

[컬러 필터 적색 화소부의 평가 방법] [Evaluation Method of Color Filter Red Pixel Part]

○ 콘트라스트 ○ contrast

컬러 필터의 착색 패턴 상에 편광판을 설치하여 착색 패턴을 삽입하고, 편광판이 평행시의 휘도와 직교시의 휘도를 TOPCON CORPORATION 제품인 BM-5(상품명)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평행시의 휘도를 직교시의 휘도로 나누어서 얻어지는 값(=평행시의 휘도/직교시의 휘도)을 콘트라스트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했다. 값이 클수록 고콘트라스트인 것을 나타낸다. A polarizing plate was placed on the color pattern of the color filter, and the coloring pattern was inserted, and the brightness at the time of parallel polarization and the brightness at orthogonality were measured using BM-5 (brand name) made by TOPCON CORPORATION, and the brightness at the time of parallel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by the luminance of time (= luminance at parallel / luminance at orthogonal angle) was used as an index for evaluating contrast. Larger values indicate higher contrast.

○ Y값의 측정 ○ Measurement of Y value

얻어진 컬러 필터용 적색 화소부를 이용하여 각종 컬러 필터 특성을 평가했다. 색상(x, y) 및 휘도(Y값)는 Ohtsuka 제품인 현미 분광 광도계 MCPD-3000(상품명)을 사용해서 구했다. 컬러 필터용 적색 화소부 각각에 대해서 F10 광원측색에 있어서의 색도 좌표 x값과 y값 및 CIE 발색계 색도에 있어서의 Y값을 측정했다. 휘도 Y값이 17 이상이면, 실용상 우수한 컬러 필터 적색 화소부라고 말할 수가 있다. Various color filter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using the obtained red pixel part for color filters. Color (x, y) and luminance (Y value) were determined using a brown rice spectrophotometer MCPD-3000 (trade name) manufactured by Ohtsuka. About the red pixel part for color filters, the chromaticity coordinate x value and y value in F10 light source side color, and the Y value in CIE colorimeter chromaticity were measured. If luminance Y value is 17 or m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a color filter red pixel part excellent in practical use.

Yes ## 안료 1Pigment 1 안료 2Pigment 2 안료 3Pigment 3 휘도Luminance 콘트라스트Contrast 실시예 1-1Example 1-1 101101 A(PR146)A (PR146) C(PR254)C (PR254) -- 17.3317.33 38443844 실시예 1-2Example 1-2 102102 A(PR146)A (PR146) C(PR254)C (PR254) H(PY150)H (PY150) 17.5817.58 43984398 실시예 1-3Example 1-3 103103 K(PR146)*K (PR146) * C(PR254)C (PR254) H(PY150)H (PY150) 17.4317.43 64136413 실시예 1-4Example 1-4 104104 A(PR146)A (PR146) C(PR254)C (PR254) I(PY138)I (PY138) 17.5117.51 23812381 비교예 1-1Comparative Example 1-1 c01c01 A(PR146)A (PR146) -- -- 조색 불가Toning impossibility 비교예 1-2Comparative Example 1-2 c02c02 B(PR177)B (PR177) C(PR254)C (PR254) -- 16.7216.72 33403340 비교예 1-3Comparative Example 1-3 c03c03 B(PR177)B (PR177) C(PR254)C (PR254) H(PY150)H (PY150) 16.7216.72 36823682 비교예 1-4Comparative Example 1-4 c04c04 A(PR146)A (PR146) D(PR255)D (PR255) -- 16.5416.54 15231523 비교예 1-5Comparative Example 1-5 c05c05 A(PR146)A (PR146) E(PR122)E (PR122) -- 조색 불가Toning impossibility 비교예 1-6Comparative Example 1-6 c06c06 A(PR146)A (PR146) F(PR208)F (PR208) -- 16.9316.93 16871687 비교예 1-7Comparative Example 1-7 c07c07 A(PR146)A (PR146) G(PR209)G (PR209) -- 15.8915.89 102102 비교예 1-8Comparative Example 1-8 c08c08 J(PR176)J (PR176) C(PR254)C (PR254) -- 16.8716.87 18331833

* 빌드업* Build up

비교예 1-1과 비교예 1-5는 소망의 색(x=0.660, y=0.320)을 내는 것 자체 할 수 없었다. 또한,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146과 R254의 조합의 것은 그 이외의 조합의 것과 비교해서 최소로도 0.4 이상 휘도가 높고(비교예 1-6, 실시예 1-1 대비 참조), 최대로 약 1.7의 차가 있어(비교예 1-7, 실시예 1-2 참조) 컬러 필터용의 색재로서 지극히 우위했다. Comparative Example 1-1 and Comparative Example 1-5 could not themselves produce a desired color (x = 0.660, y = 0.320). As can be seen from the table, the combination of R146 and R254 has a high luminance of at least 0.4 or mor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6 and Example 1-1), compared to the other combinations of the other combinations. There was a difference of about 1.7 (see Comparative Example 1-7, Example 1-2), which was extremely superior as a color material for color filters.

[제조예 2] [Production Example 2]

안료 C. I. Pigment Red 146(Clariant, Permanent Carmine FBB02[상품명]) 1질량부, 분쇄된 염화나트륨 7질량부, 디에틸렌글리콜 1.6질량부를 쌍완형 니더에 투입하고, 100℃에서 4시간 혼련했다. 혼련 후, 80℃의 물 100질량부에 꺼내어 1시간 교반 후 여과하고, 80℃의 온수 세정을 행하여 90℃에서 건조시키고, 해머 밀로 분쇄하여 안료 분체 A를 얻었다. 1 mass part of pigment C. I. Pigment Red 146 (Clariant, Permanent Carmine FBB02 [brand name]), 7 mass parts of crushed sodium chloride, and 1.6 mass parts of diethylene glycol were thrown into a twin kneader, and it knead | mixed at 100 degreeC for 4 hours. After kneading, the mixture was taken out in 100 parts by mass of 80 ° C water, stirred for 1 hour, filtered, washed with warm water at 80 ° C, dried at 90 ° C, and pulverized with a hammer mill to obtain pigment powder A.

안료 분체 A를 사용하여 하기 조성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A를 조정했다.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A of the following composition was adjusted using pigment powder A.

--------------------------------------------------- -------------------------------------------------- -

안료 분체 A 7.5g Pigment Powder A 7.5g

Disperbyk 2155(상품명, BYK Chemie 제품) 4.5g 4.5 g of Disperbyk 2155 (brand name, BYK Chemie product)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38.0g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38.0 g

--------------------------------------------------- -------------------------------------------------- -

상기 조성의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을 모터 밀 M-50(상품명, EIGER Co., Ltd. 제품)으로 지름 0.5mm의 산화지르코늄 비즈를 사용하여 2000rpm으로 1시간, 이어서 지름 0.1mm의 산화지르코늄 비즈를 사용하여 2000rpm으로 4시간 분산시키고,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A를 얻었다. 분산 조성물 A의 안료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지름 및 단분산도의 측정은 이하와 같이 행했다.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of the above composition was used as motor mill M-50 (trade name, manufactured by EIGER Co., Ltd.) using zirconium oxide beads having a diameter of 0.5 mm for 1 hour at 2000 rpm, followed by zirconium oxide beads having a diameter of 0.1 mm. It disperse | distributed at 2000 rpm for 4 hours and the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A was obtained. The measurement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and monodispersity of the pigment fine particles of the dispersion composition A was carried out as follows.

전자 현미경(JEOL Ltd. 제품, JEM-1200EX(상품명))으로 관찰 촬영한 사진 화상을 사용하여 200개의 입자에 있어서 원 상당 지름을 산정해서 그 수 평균을 1차 입자의 평균 입경, 200개의 입경의 표준 편차/평균 입경을 CV라고 했다. 측정한 결과, 하기 표와 같았다. Using a photographic image observed with an electron microscope (JEOL Ltd., JEM-1200EX (trade name)), a circle equivalent diameter was calculated for 200 particles, and the number average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rimary particles and 200 particle diameters was calculated. The standard deviation / average particle diameter was called CV. As a result of measurement, it was as follows.

이하에, 상기 제조예의 Pigment Red 146 및 쌍완형 니더에서의 혼련 시간을 표 1대로 변경해서 안료 분산 조성물 2-B~2-L을 얻었다. Below, the kneading time in Pigment Red 146 and the twin kneader of the above production example was changed as shown in Table 1 to obtain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s 2-B to 2-L.


#

#

#

#

안료(상품명)

Pigment (brand name)
혼련 시간
(시간)
Kneading time
(time)
평균 입경
(nm)
Average particle diameter
(nm)

단분산도

Monodispersity

2-1

2-1

2-A

2-A
C. I. Pigment Red 146
(Clariant 제품,
Permanent Carmine FBB02)
CI Pigment Red 146
(Clariant products,
Permanent Carmine FBB02)

4

4

37.2

37.2

22.2

22.2

2-2

2-2

2-B

2-B
C. I. Pigment Red 146
(Clariant 제품,
Permanent Carmine FBB02)
CI Pigment Red 146
(Clariant products,
Permanent Carmine FBB02)

7

7

18.3

18.3

25.6

25.6

2-3

2-3

2-C

2-C
C. I. Pigment Red 146
(Clariant 제품,
Permanent Carmine FBB02)
CI Pigment Red 146
(Clariant products,
Permanent Carmine FBB02)

2

2

52.1

52.1

21.8

21.8

2-4

2-4

2-D

2-D
C. I. Pigment Red 242
(Clariant 제품,
Novoperm Scarlet 4RF)
CI Pigment Red 242
(Clariant products,
Novoperm Scarlet 4RF)

4

4

27.3

27.3

22.1

22.1

2-5

2-5

2-E

2-E
C. I. Pigment Red 242
(Clariant 제품,
Novoperm Scarlet 4RF)
CI Pigment Red 242
(Clariant products,
Novoperm Scarlet 4RF)

7

7

19.6

19.6

26.0

26.0

2-6

2-6

2-F

2-F
C. I. Pigment Red 242
(Clariant 제품,
Novoperm Scarlet 4RF)
CI Pigment Red 242
(Clariant products,
Novoperm Scarlet 4RF)

2

2

55.0

55.0

21.1

21.1

2-7

2-7

2-G

2-G
C. I. Pigment Red 177
(Ciba Specialty Chemicals, K. K. 제품,
Cromophtal Red A2B)
CI Pigment Red 177
(Ciba Specialty Chemicals, KK products,
Cromophtal Red A2B)

4

4

34.1

34.1

18.5

18.5

2-8

2-8

2-H

2-H
C. I. Pigment Red 254
(Ciba Specialty Chemicals, K. K. 제품,
Irgazine DPP Red 2030)
CI Pigment Red 254
(Ciba Specialty Chemicals, KK products,
Irgazine DPP Red 2030)

4

4

28.1

28.1

19.6

19.6

2-9

2-9

2-I

2-I
C. I. Pigment Red 122
(Ciba Specialty Chemicals, K. K. 제품,
Cromophtal Red PT)
CI Pigment Red 122
(Ciba Specialty Chemicals, KK products,
Cromophtal Red PT)

4

4

35.2

35.2

24.7

24.7

2-10

2-10

2-J

2-J
C. I. Pigment Red 208
(Clariant 제품,
Novoperm Red HF2B)
CI Pigment Red 208
(Clariant products,
Novoperm Red HF2B)

4

4

36.2

36.2

20.3

20.3

2-11

2-11

2-K

2-K
C. I. Pigment Red 209
(Ciba Specialty Chemicals, K. K. 제품,
Hostaperm Red EG transp)
CI Pigment Red 209
(Ciba Specialty Chemicals, KK products,
Hostaperm Red EG transp)

4

4

32.3

32.3

29.8

29.8

2-12

2-12

2-L

2-L
C. I. Pigment Yellow 150
(LANXESS 제품,
Byplast Yellow E4GN)
CI Pigment Yellow 150
(LANXESS products,
Byplast Yellow E4GN)

4

4

23.5

23.5

21.6

21.6

[실시예 2-1] Example 2-1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2-A 7.5질량부, 유기 안료 분산 조성물 2-C 7.5질량부, 알칼리 가용성 수지 A(메타크릴산벤질/메타크릴산(=75/25[질량비]) 공중합체(질량 평균 분자량: 12,000, 산가: 120mgKOH)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용액(고형분 30%)) 17질량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5질량부를 혼합하여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201을 얻었다. 이것을 조제된 착색 감광성 조성물(컬러 레지스트액)을 100mm×100mm의 유리 기판(1737, Coring 제품) 상에 색 농도의 지표가 되는 x값이 0.650이 되도록 도포하고, 90℃의 오븐에서 60초간 건조시켜 컬러 필터용 적색 화소부 201을 얻었다. 7.5 mass parts of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s 2-A, 7.5 mass parts of organic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s 2-C, alkali-soluble resin A (benzyl methacrylate / methacrylic acid (= 75/25 [mass ratio]) copolymer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 12,000, acid value: 120 mgKOH) 17 mass parts of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solutions (solid content 30%), and 15 mass parts of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s were mixed, and the coloring composition 201 for color filters was obtained. The prepared colored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lor resist liquid) was applied onto a glass substrate (1737, Coring Products) having a thickness of 100 mm x 100 mm so as to have an x value of 0.650, and dried in an oven at 90 ° C. for 60 seconds. The red pixel part 201 for color filters was obtained.

[실시예 2-2~실시예 2-7, 비교예 2-1~비교예 2-13] [Example 2-2-Example 2-7, Comparative Example 2-1-Comparative Example 2-13]

안료 분산 조성물 및 그 질량을 하기 표 4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해서 컬러 필터용 적색 화소부(202~207, c11~c23)를 얻었다. Except having made the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and its mass into the following Table 4,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2-1, and obtained the red pixel part (202-207, c11-c23) for color filters.

[컬러 필터 적색 화소부의 평가 방법] [Evaluation Method of Color Filter Red Pixel Part]

(콘트라스트의 측정, 평가)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contrast)

얻어진 안료 분산 조성물을 유리 기판 상에 도포하고, 건조 후의 도포막의 두께가 1㎛가 되도록 샘플을 제작했다. 2매의 편광판 사이에 이 샘플을 두고, 편광축이 평행일 때와 수직일 때의 투과 광량을 측정하여 그 비를 콘트라스트로 했다(이 평가법은 「1990년 제 7 회 색채 광학 컨퍼런스, 512색 표시 10.4" 사이즈 TFT-LCD용 컬러 필터, 우에키, 코제키, 후쿠나가, 야마나카」를 참고로 했다). 여기에서, 콘트라스트가 높은 것은 안료가 고도로 미세화된 상태에서 균일하게 분산되어져 있기 때문에 투과율, 즉 착색력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The obtained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was apply | coated on a glass substrate, and the sample was produc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after drying might be set to 1 micrometer. This sample was placed between two polarizing plates, and the amount of transmitted light when the polarization axis was parallel and perpendicular was measured, and the ratio was made to be contrast. Color filter for size TFT-LCD, Ueki, Kozeki, Fukunaga, Yamanaka). It is high.

(내광성의 측정) (Measurement of light resistance)

상기 콘트라스트의 측정에 사용한 샘플을 90mW/㎠의 고압 수은 램프로 24시간 조사하고, 조사 전후의 색차를 측정하여 내광성의 지표로 했다. 또한, 색도는 현미 분광 광도계(OLYMPUS CORPORATION 제품; OSP 100 또는 200)에 의해 측정하고, C광원 시야 2도의 결과로 계산하여 xyz 표색계의 xyY값으로 나타낸다. 또한, 색도의 차는 La*b* 표색계의 색차(ΔEab)로 나타낸다. 이 색차가 작을수록 내광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The sample used for the measurement of the contrast was irradiated with a high-pressure mercury lamp of 90 mW / cm 2 for 24 hours, and the color difference before and after irradiation was measured to be an index of light resistance. In addition, chromaticity is measured with a microscopic spectrophotometer (OLYMPUS CORPORATION; OSP 100 or 200), it calculates as a result of 2 degree C light source visual field, and shows it as the xyY value of a xyz colorimeter. The difference in chromaticity is represented by the color difference ΔEab of the La * b * color system. The smaller the color difference, the higher the light resistance.

각 컬러 필터용 적색 화소부의 콘트라스트 및 내광성 시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Table 4 shows the contrast and light resistance test results of the red pixel portion for each color filter.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상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PR146의 미립자와 PR242의 미립자를 혼합한 색재에 있어서는 이것을 이용하여 컬러 필터로 했을 때에 높은 콘트라스트와 내광성을 양립해서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안료 조성물을 사용한 것은 표시 장치에 요구되는 적색 특성의 범위에 있고, 컬러 필터용의 색재로서 유용한 것을 확인했다. As shown in the above table, in the color material in which the fine particles of the PR146 and the fine particles of the PR242 were mixed, it was found that when using this as a color filter, high contrast and light resistance could be achieved. Moreover, using the pigment composition of the said Example exists in the range of the red characteristic calculated | required by the display apparatus, and confirmed that it was useful as a color material for color filters.

Claims (18)

적색 안료로서 Pigment Red 146과 Pigment Red 254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감광성 착색 조성물. Pigment Red 146 and Pigment Red 254 as a red pigment,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for color filter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황색 안료를 더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감광성 착색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contains a yellow pigment,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for color filter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igment Red 146은 미립자상으로 되고, 그 평균 1차 입경이 50nm 이하이며, 또한 그 결정 입자 사이즈가 2~2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감광성 착색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Pigment Red 146 is in a particulate form, the average primary particle diameter is 50nm or less, and the crystal grain size is 2 ~ 20nm,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for color filter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질량 기준으로 적색 안료의 40% 이상 100% 미만은 상기 Pigment Red 14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감광성 착색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40% or more and less than 100% of the red pigment on a mass basis is Pigment Red 146.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for color filt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황색 안료는 Pigment Yellow 150 또는 Pigment Yellow 1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감광성 착색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yellow pigment is Pigment Yellow 150 or Pigment Yellow 138,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for color filters,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성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유기 용매를 매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감광성 착색 조성물.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for color filters, further comprising an organic solvent containing a polymerizable compound as a medium.
제 6 항에 기재된 컬러 필터용 감광성 착색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적색 화소. It formed using the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for color filters of Claim 6, The red pixel for color filter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7 항에 기재된 컬러 필터용 적색 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 The red filter for color filters of Claim 7 is provided, The color filt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8 항에 기재된 컬러 필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The color filter of Claim 8 was provide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C. I. Pigment Red 146과 C. I. Pigment Red 242의 2종의 안료 미립자를 함유하고, 상기 C. I. Pigment Red 242와 상기 C. I. Pigment Red 146의 합계 질량에 차지하는 상기 C. I. Pigment Red 146의 질량의 비율(CIPR146/(CIPR146+CIPR242))은 0.1 이상 0.95 이하이며, 상기 2종의 안료 미립자의 입자 사이즈가 4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분산 조성물. The ratio of the mass of the CI Pigment Red 146 containing two pigment fine particles of CI Pigment Red 146 and CI Pigment Red 242 to the total mass of the CI Pigment Red 242 and the CI Pigment Red 146 (CIPR146 / (CIPR146 + CIPR242)) is 0.1 or more and 0.95 or less, The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characterized by the particle size of the said 2 types of pigment fine particles being 40 nm or les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I. Pigment Red 146의 질량의 비율(CIPR146/(CIPR146+CIPR242))은 0.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분산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0,
The ratio of the mass of CI Pigment Red 146 (CIPR146 / (CIPR146 + CIPR242)) is a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0.2 or more.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질량 평균 분자량 1000~100000의 고분자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분산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0 or 11,
The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containing the high molecular weight compound of the mass mean molecular weights 1000-100000.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산성기를 50mgKOH/g 이상 200mgKOH/g 이하의 범위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분산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The polymer compound has a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acid group in the range of 50mgKOH / g or more and 200mgKOH / g or less.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료 분산 조성물과, 바인더와,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와, 광중합 개시제 또는 광중합 개시제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The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as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10-13, a binder, a monomer or an oligomer, and a photoinitiator or a photoinitiator system are included, The coloring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료 분산 조성물과, 바인더와,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잉크젯 잉크. The ink dispersion ink for color filters containing the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as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10-13, a binder, and a monomer or an oligomer. 가 지지체 상에 적어도 제 14 항에 기재된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전사 재료. The photosensitive resin transfer material formed on the support body at least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containing the coloring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of Claim 14. 제 14 항에 기재된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제 15 항에 기재된 컬러 필터용 잉크젯 잉크 및/또는 제 16 항에 기재된 감광성 수지 전사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한 안료 분산 조성물 중의 안료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 The pigment fine particle in the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produced using the coloring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of Claim 14, the inkjet ink for color filters of Claim 15, and / or the photosensitive resin transfer material of Claim 16 is contained,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Color filter. 제 17 항에 기재된 컬러 필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The color filter of Claim 17 was provide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KR1020110002270A 2010-01-29 2011-01-10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photosensitive colored composition, color filter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2011008905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18426 2010-01-29
JP2010018426A JP5557541B2 (en) 2010-01-29 2010-01-29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red pixel using the same,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JP-P-2010-067377 2010-03-24
JP2010067377A JP2011195796A (en) 2010-03-24 2010-03-24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colore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inkjet ink, and photosensitive resin transferring material, and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059A true KR20110089059A (en) 2011-08-04

Family

ID=44927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270A KR20110089059A (en) 2010-01-29 2011-01-10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photosensitive colored composition, color filter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905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0233B (en)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colored photosensitive composition, photocurable composition, color filter, liquid display device, and solid imaging device
TWI460234B (en)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olored 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color filt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TWI445769B (en)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colored photocurable composition, and color fil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921468B2 (en) Colored composition, colored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lor filte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solid-state imaging device
TWI519548B (en) Colore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pattern forming method, method for producing color filter, color filter, an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JP5191194B2 (en) Processed pigment,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using the same, colored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color filter
TWI444439B (en) Modified pigment, and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colored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lor filter, liquid crystal element, and solid-state imaging element using the same
KR20120112188A (en) Red colored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and color filter
KR20120022668A (en) Colored photosensitive composition, method of producing color filter,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20120066629A (en) Color curable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olor filt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KR20100131437A (en) Curable composition and color filter
JP2011099974A (en) Colored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0175878A (en) Color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00033928A (en) Colored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472287B2 (en) Color filter for LCD
JP2011099975A (en) Colored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557541B2 (en)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red pixel using the same,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990804B1 (en) Colored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lor filter,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JP5917982B2 (en) Colored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lor filter,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JP2018158962A (en) Method for producing diketopyrrolopyrrole pigment
JP2012208329A (en) Color-filter coloring composition
KR20110089059A (en)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photosensitive colored composition, color filter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20100115710A (en) Colored curable composition, method of forming colored pattern,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4191000A (en) Color filter pigment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oloring composition using the same, and color filter
JP6834606B2 (en) Pigment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coloring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and color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