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671A - 살균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살균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671A
KR20110088671A KR1020100008278A KR20100008278A KR20110088671A KR 20110088671 A KR20110088671 A KR 20110088671A KR 1020100008278 A KR1020100008278 A KR 1020100008278A KR 20100008278 A KR20100008278 A KR 20100008278A KR 20110088671 A KR20110088671 A KR 20110088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sodium chloride
hypochlorous acid
diaphragm
aqueous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5326B1 (ko
Inventor
신현수
김민용
조태신
김정식
정붕익
Original Assignee
(주) 테크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테크윈 filed Critical (주) 테크윈
Priority to KR1020100008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32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4Cur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살균력이 우수한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살균수 제조방법은, 염화나트륨수용액을 무격막 전해조에서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생성하는 차아염소산수용액생성단계; 및
차아염소산수용액생성단계에 의해 얻어진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를 설정된 범위로 조절하기 위해 차아염소산수용액생성단계를 통해 생성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을 격막을 갖는 유격막 전해조의 양극실에 공급한 후 전기분해하는 공정을 가지는 pH조절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살균수 제조장치는, 투입된 염화나트륨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수용액이 생성되도록 하는 무격막 전해조; 및
격막에 의해 분리된 양극실과 음극실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무격막 전해조에서 생성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이 양극실로 투입되고, 투입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를 낮추는 유격막 전해조를 가지며, 상기 유격막 전해조의 양극실을 경유한 차아염소산수용액이나 유격막 전해조의 양극실에 위치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를 측정하는 pH측정기를 가지는 pH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살균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STERILE WATER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각종 물품이나 공기를 살균할 목적 등으로 사용되는 살균수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아염소산수용액 살균수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물품이나 공기를 살균할 목적으로 다양한 살균제가 사용되고 있다.
염소계 살균수인 차아염소산(하이포염소산 - hypochlorous acid)수용액은 제조 원가가 저렴하고 비교적 안전하여 식품이나 식자재 등의 살균, 소독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제조함에 있어서 염산을 전기분해하여 제조하고 있었다.
따라서 차아염소산수용액 자체가 다른 살균제에 비하여 안전하지만 식품 및 식자재에 사용할 때는 상당한 주의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차아염소산수용액이 만족할 정도로 우수한 살균력을 보이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차아염소산수용액이 식품이나 식자재 등의 살균제로 사용되는 것은 살균력이 만족할 정도로 우수하기 때문이라기보다는 다른 살균제에 비하여 안전하면서도 비교적 높은 살균력을 가지기 때문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경친화적인 물질인 염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살균력이 우수하고 안전한 차아염소산수용액을 대량 생산하는 것이 용이하고, 생산공정이 안전한 차아염소산수용액 살균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염화나트륨수용액을 무격막 전해조에 투입한 후 전기분해하여 다량의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차암염소산수용액을 격막에 의해 분리된 양극실과 음극실을 갖는 유격막 전해조의 양극실에 투입한 상태에서 전기분해함으로써 살균력이 우수한 pH를 가지는 차아염소산수용액이 되도록 함으로써 살균력이 우수하고 안전한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신속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살균수 제조방법은, 염화나트륨수용액을 무격막 전해조에서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생성하는 차아염소산수용액생성단계를 갖는다.
또, 상기 차아염소산수용액생성단계에 의해 얻어진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를 설정된 범위로 조절하기 위해 차아염소산수용액생성단계를 통해 생성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을 격막을 갖는 유격막 전해조의 양극실에 공급한 후 전기분해하는 공정을 가지는 pH조절단계를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살균수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수와 염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염화나트륨수용액을 얻는 염화나트륨수용액제조단계가 더 포함되어 있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데 이때 염화나트륨수용액제조단계는, 원수가 염화나트륨저장조를 경유하면서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이 되도록 하는 염화나트륨수용액생성단계를 갖고, 상기 염화나트륨수용액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과 원수를 혼합하여 희석된 염화나트륨수용액을 제조하는 희석단계를 갖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 pH조절단계는 원수와 혼합된 상태의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를 pH측정기를 통해 측정하고, 이 측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유격막 전해조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거나 전해조로 공급되는 용액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 pH조절단계는 유격막 전해조의 양극실에서 전기분해된 차아염소산수용액에 원수를 혼합하여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를 설정된 수치로 조절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균수 제조장치는, 투입된 염화나트륨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수용액이 생성되도록 하는 무격막 전해조를 갖는다.
또, 격막에 의해 분리된 양극실과 음극실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무격막 전해조에서 생성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이 양극실로 투입되고, 투입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를 낮추는 유격막 전해조를 가지며, 상기 유격막 전해조의 양극실을 경유한 차아염소산수용액이나 전해조의 양극실에 위치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를 측정하는 pH측정기를 가지는 pH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살균수 제조방법은, 염화나트륨수용액을 무격막 전해조에서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생성하는 차아염소산수용액생성단계; 및
차아염소산수용액생성단계에 의해 얻어진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를 설정된 범위로 조절하기 위해 차아염소산수용액생성단계를 통해 생성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을 격막을 갖는 유격막 전해조의 양극실에 공급한 후 전기분해하는 공정을 가지는 pH조절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환경친화적인 소재인 염화나트륨을 사용해서 살균력이 우수하고 매우 안전한 차아염소산수용액을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고, 생산공정이 안전한 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의 살균수 제조장치는 상기와 같은 살균수 제조방법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살균수 제조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염화나트륨수용액이 무격막 전해조와 반응액저장조를 순환하도록 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살균수 제조장치의 개략도
도 3은 염화나트륨수용액이 무격막 전해조와 반응액저장조를 순환하고, 유격막 전해조의 음극실에도 원수와 혼합된 염화나트륨수용액이 공급되며, 유격막 전해조의 양극실에 염화나트륨수용액이 공급될 때 원수와 혼합된 상태로 공급되도록 된 본 발명의 살균수 제조장치의 개략도
도 4는 염화나트륨수용액이 무격막 전해조와 반응액저장조를 순환하고, 유격막 전해조의 음극실에도 염화나트륨수용액이 공급되며, 유격막 전해조의 양극실에 염화나트륨수용액이 공급될 때 원수와 혼합된 상태로 공급되도록 된 본 발명의 살균수 제조장치의 개략도
도 5는 염화나트륨수용액이 무격막 전해조와 반응액저장조를 순환하고, 유격막 전해조의 음극실에도 염화나트륨수용액이 공급되며, 유격막 전해조의 양극실에 전기분해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이 유격막 전해조의 외부에서 원수와 혼합되도록 된 본 발명의 살균수 제조장치의 개략도
도 6은 염화나트륨수용액이 무격막 전해조와 반응액저장조를 순환하고, 유격막 전해조의 음극실에도 염화나트륨 성분을 갖는 수용액이 공급되며, 유격막 전해조의 양극실에 원수가 공급되고, 유격막 전해조 후단에서 반응액저장조의 용액(차아염소산 성분을 갖는 수용액)과 혼합되도록 된 본 발명의 살균수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살균수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염산이 아닌 염화나트륨수용액을 사용하여 살균력이 우수한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신속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살균수 제조방법은 종래와 같이 전기분해를 통해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갖는다.
다만, 종래에는 염산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제조하였던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염화나트륨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제조함으로써 안전성이 더욱 우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단순히 염화나트륨수용액을 전기분해하는 것 만으로는 우수한 살균력을 가지는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얻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대량 생산하는 것도 어렵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다양한 연구와 실험을 통해 염화나트륨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얻어진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 정도에 따라 살균력에 큰 차이가 발생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 차아염소산수용액이 우수한 살균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pH 5∼6.5가 되도록 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 차아염소산수용액이 가지는 유리잔류염소의 수치에 따라서도 살균력에 큰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되었는데 유리잔류염소가 30ppm 이상이 되어야 충분한 살균력을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다만 안전성과 살균력을 고려할 때 30ppm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고, 차아염소산수용액이 pH 5∼6.5일 때 25ppm∼35ppm의 유리잔류염소가 확보되면 만족할만한 안전성과 살균력을 얻을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안전성과 살균력이 우수한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신속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염화나트륨수용액을 무격막 전해조(20)에서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생성하는 차아염소산수용액생성단계를 실시하고,
상기 차아염소산수용액생성단계에 의해 얻어진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를 설정된 범위로 조절하기 위해 차아염소산수용액생성단계를 통해 생성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을 격막(31a)을 갖는 유격막 전해조(31)의 양극실(31b)에 공급한 후 전기분해하는 공정을 가지는 pH조절단계를 갖는 방법을 안출하였다.
즉, 무격막 전해조(20)에 염화나트륨수용액을 투입시켜 전기분해함으로써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짧은 시간에 대량 생산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염화나트륨수용액을 무격막 전해조를 통해 전해반응시켜 pH가 8∼10이고, 차아염소산이온(OCl-)이 다량 함유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을 다량 생산할 수 있는 방식이다.
그런데 상기 방식으로 생성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의 유리잔류염소("유효염소량"이라고 하기도 함)은 4,000ppm∼10,000ppm에 이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무격막 전해조(20)에서 생성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와 유리잔류염소를 적정수준(만족할 만한 살균력과 안전성이 확보되는 수준)으로 조절하되 신속하게 다량의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격막(31a)에 의해 양극실(31b)과 음극실(31c)을 갖는 전해조의 양극실(31b)에 차아염소산수용액을 투입하여 전기분해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차아염소산수용액을 음극실(31c)에 투입할 경우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이 어렵다.)
대량 생산 등을 고려할 때 반응액저장조(15)를 구비해 놓고 이 반응액저장조(15)에 존재하는 용액이 무격막 전해조(20)와 반응액저장조(15)를 순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내지 제 6 참조 - 본 발명의 제조장치를 구동한 초기에는 반응액저장조(15)에 염화나트륨수용액이 존재하지만 이 염화나트륨수용액이 무격막 전해조(20)를 순환하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반응액저장조(15)에는 생성된 차아염소산수용액으로 채워지게 된다.)
상기 pH조절단계는 원수와 혼합된 상태의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를 pH측정기(32)를 통해 측정하고, 이 측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유격막 전해조(31)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거나 유격막 전해조(31)로 공급되는 용액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양극실(31b)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높이면 양극실(31b)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pH를 가지는 차아염소산수용액이 만들어지고, 전류량을 낮추면 상대적으로 높은 pH를 가지는 차아염소산수용액이 만들어진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살균수 제조장치는, 투입된 염화나트륨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수용액이 생성되도록 하는 무격막 전해조(20): 및
격막(31a)에 의해 분리된 양극실(31b)과 음극실(31c)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무격막 전해조(20)에서 생성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이 양극실(31b)로 투입되고, 투입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를 낮추는 유격막 전해조(31)를 가지는 pH조절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유격막 전해조(31)의 양극실(31b)을 경유한 차아염소산수용액이나 유격막 전해조의 양극실(31b)에 위치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를 측정하는 pH측정기(32)도 구비된다.
pH측정기(32)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유격막 전해조(31)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거나 유격막 전해조(31)로 공급되는 용액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기(3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어기(33)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나 각종 전자기기의 제어기 등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 무격막 전해조(20)나 유격막 전해조(31)의 구성 및 그러한 전해조에서 염산 등의 액체를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생성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전에 제조된 염화나트륨수용액이 무격막 전해조(20)에 투입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염화나트륨저장조(10)를 경유하면서 생성된 후 무격막 전해조(20)에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살균수 제조방법은, 원수와 염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염화나트륨수용액을 얻는 염화나트륨수용액제조단계를 갖는다.
이러한 염화나트륨수용액제조단계는, 원수가 염화나트륨저장조(10)를 경유하면서 염화나트륨수용액이 되도록 하는 염화나트륨수용액생성단계; 및
염화나트륨수용액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염화나트륨수용액과 원수를 혼합하여 희석(3% 정도로 희석되는 것이 바람직함)된 염화나트륨수용액을 제조하는 희석단계;를 갖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원수가 염화나트륨저장조(10)를 경유하면서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염화나트륨이 저장되고, 원수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되어 있되 유입된 원수에 저장되어 있는 염화나트륨이 녹아서 원수가 염화나트륨수용액이 되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염화나트륨저장조(10)가 더 구비된 형태가 된다.
염화나트륨저장조(10)를 경유한 염화나트륨수용액이 희석을 위해 원수와 혼합되도록 함에 있어서는 염화나트륨수용액이 공급되는 염화나트륨수용액공급배관(41) 및 이 염화나트륨수용액공급배관(41)에 연결된 원수공급관(51)을 갖도록 함으로써 염화나트륨수용액의 유동 과정에서 원수와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염화나트륨수용액과 원수가 혼합탱크로 유입되어 임펠러 등에 의해 혼합됨으로써 희석이 이루어진 후 무격막 전해조(20)로 공급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pH조절단계는 도 5과 같이 유격막 전해조(31)의 양극실(31b)에서 전기분해된 차아염소산수용액에 원수를 혼합하여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를 설정된 수치로 조절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유격막 전해조(31)의 양극실(31b)을 경유하면서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가 설정된 수치에 근접하게 조절된 후 양극실(31b)에서 배출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이 원수와 혼합되면서 다시 한번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가 조절(세밀하게 조절)되도록 된 구조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어느 한쪽이 유격막 전해조(31)의 양극실(31b)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이 원수공급배관(52)에 연결된 차아염소산수용액공급배관(61)을 가지고 있다.
또, 원수공급배관(52)과 차아염소산수용액공급배관(61)의 연결부 후단에 pH측정기(32)가 위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격막 전해조(31)의 음극실(31c)에는 원수가 투입되도록 할 수도 있고 염화나트륨수용액이 투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원활한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도록 원수만을 투입하는 것보다는 염화나트륨수용액이 투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나트륨수용액이 투입되도록 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염화나트륨저장조(10)를 경유하면서 제조된 염화나트륨수용액이 염화나트륨수용액공급배관(41)을 통해 공급되어 유격막 전해조(31)의 음극실(31c)에 투입되도록 할 수도 있고, 사전 제작된 별도의 염화나트륨수용액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유격막 전해조의 양극실로 유입되는 용액(차아염소산수용액)은 무격막 전해조를 경유한 용액만이 되도록 할 수도 있고, 무격막 전해조를 경유한 용액과 원수가 혼합된 상태의 용액이 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무격막 전해조를 경유한 용액과 원수 및 염화나트륨수용액이 혼합된 상태의 용액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6과 같이 염화나트륨수용액이 무격막 전해조(20)와 반응액저장조(15)를 순환하고, 유격막 전해조(31)의 음극실(31c)에도 염화나트륨 성분을 갖는 수용액이 공급되며, 유격막 전해조(31)의 양극실(31b)에 원수가 공급되고, 유격막 전해조(31)를 경유하면서 전기분해된 용액(차아염소산수용액이)이 반응액저장조(15)의 용액(차아염소산 성분을 갖는 수용액)과 혼합되어 pH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첨부된 도면에서는 반응액저장조(15)에 연결된 배관을 통해 반응액조장조(15)의 용액이 공급되면서 혼합되도록 되어 있음)
그러나 pH조절의 용이성 등을 고려할 때 상기와 같은 구조 보다는 도 1 내지 도 5의 구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pH조절단계에서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는 5∼6.5가 되도록 하되 유리잔류염소가 25∼35ppm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염화나트륨수용액이나 원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염화나트륨수용액이나 원수를 강제로 유동시키는 펌프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펌프는 정량펌프(70, 71, 72, 73, 74, 75, 76, 77,)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80은 원수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는 유량제어밸브이고, 85는 전기신호 등을 수신 받아 구동되는 자동밸브이다.
10. 염화나트륨저장조 15. 반응액저장조
20. 무격막 전해조 30. pH조절수단
31. 유격막 전해조 31a. 격막
31b. 양극실 31c. 음극실
32. pH측정기 41. 염화나트륨수용액공급배관
51, 52. 원수공급배관 61. 차아염소산수용액공급배관
70, 71, 72, 73, 74, 75, 76. 77. 정량펌프 80. 유량제어밸브
85. 자동밸브

Claims (11)

  1. 차아염소산수용액 살균수를 제조하는 살균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염화나트륨수용액을 무격막 전해조(20)에서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생성하는 차아염소산수용액생성단계; 및
    상기 차아염소산수용액생성단계에 의해 얻어진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를 설정된 범위로 조절하기 위해 차아염소산수용액생성단계를 통해 생성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을 격막(31a)을 갖는 유격막 전해조(31)의 양극실(31b)에 공급한 후 전기분해하는 공정을 가지는 pH조절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살균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원수와 염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염화나트륨수용액을 얻는 염화나트륨수용액제조단계가 더 포함되어 있되 이 염화나트륨수용액제조단계는 원수가 염화나트륨저장조(10)를 경유하면서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이 되도록 하는 염화나트륨수용액생성단계;
    상기 염화나트륨수용액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과 원수를 혼합하여 희석된 염화나트륨수용액을 제조하는 희석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pH조절단계는 원수와 혼합된 상태의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를 pH측정기(32)를 통해 측정하고, 이 측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유격막 전해조(31)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거나 유격막 전해조(31)로 공급되는 용액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제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pH조절단계는 상기 유격막 전해조(31)의 양극실(31b)에서 전기분해된 차아염소산수용액에 원수를 혼합하여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를 설정된 수치로 조절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제조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반응액저장조(15)가 구비되어 있되 반응액저장조(15)에 존재하는 용액이 무격막 전해조(20)와 반응액저장조(15)를 순환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유격막 전해조(31)의 양극실(31b)에 원수가 공급되고, 유격막 전해조(31)를 경유하면서 전기분해된 용액이 반응액저장조(15)의 용액과 혼합되어 pH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살균수 제조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막 전해조(31)의 음극실(31c)에 염화나트륨수용액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제조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pH조절단계에서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는 5∼6.5가 되고 유리잔류염소는 25∼35ppm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제조방법.
  8. 차아염소산수용액 살균수를 제조하는 살균수 제조장치에 있어서,
    투입된 염화나트륨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수용액이 생성되도록 하는 무격막 전해조(20); 및
    격막(31a)에 의해 분리된 양극실(31b)과 음극실(31c)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무격막 전해조(20)에서 생성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이 양극실(31b)로 투입되고, 투입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를 낮추는 유격막 전해조(31)를 가지며, 상기 유격막 전해조(31)의 양극실(31b)을 경유한 차아염소산수용액이나 유격막 전해조(31)의 양극실(31b)에 위치된 차아염소산수용액의 pH를 측정하는 pH측정기(32)를 가지는 pH조절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 살균수 제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염화나트륨이 저장되고, 원수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되어 있되 유입된 원수에 저장되어 있는 염화나트륨이 녹아서 원수가 염화나트륨수용액이 되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염화나트륨저장조(1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제조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pH측정기(32)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유격막 전해조(31)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거나 유격막 전해조(31)로 공급되는 용액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기(3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제조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막 전해조(31)의 음극실(31c)에 염화나트륨수용액이 투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제조장치.
KR1020100008278A 2010-01-29 2010-01-29 살균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145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278A KR101145326B1 (ko) 2010-01-29 2010-01-29 살균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278A KR101145326B1 (ko) 2010-01-29 2010-01-29 살균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671A true KR20110088671A (ko) 2011-08-04
KR101145326B1 KR101145326B1 (ko) 2012-05-14

Family

ID=44927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278A KR101145326B1 (ko) 2010-01-29 2010-01-29 살균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3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795B1 (ko) * 2011-12-14 2012-03-21 (주) 테크윈 소독부산물 저감형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101415726B1 (ko) * 2012-08-02 2014-07-14 (주)삼바이오텍 염화나트륨을 첨가한 차아염소산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8396B1 (ko) * 2018-01-31 2019-08-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살균 지속형 소독수 생산 시스템
KR102048734B1 (ko) 2019-08-02 2019-11-26 주식회사 대영 세라믹옥필터를 이용한 광물활성수 제조장치 및 광물활성수 제조방법
KR20210006032A (ko) 2019-07-08 2021-01-18 한미경 살균·소독수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699B1 (ko) * 2017-02-17 2019-01-22 주식회사 이플로우솔루션 전해수 생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6271A (ja) * 1996-07-10 1998-03-24 Yoshiya Okazaki 次亜塩素酸殺菌水生成装置のpH及び次亜塩素酸濃度維持運転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制御手段を備えた次亜塩素酸殺菌水生成装置
KR100250539B1 (ko) * 1998-03-02 2000-04-01 김명호 차아염소산의 생성시스템
JP2000226680A (ja) * 1998-12-02 2000-08-15 Asahi Pretec Corp 殺菌性を有する電解水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2104908A (ja) 2000-09-27 2002-04-10 Asahi Pretec Corp 殺菌性を有する農業用電解水及び製造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795B1 (ko) * 2011-12-14 2012-03-21 (주) 테크윈 소독부산물 저감형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WO2013089366A1 (ko) * 2011-12-14 2013-06-20 (주)테크윈 소독부산물 저감형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CN104114496A (zh) * 2011-12-14 2014-10-22 泰可源株式会社 消毒副产物减少型高效次氯酸钠发生装置
US9650721B2 (en) 2011-12-14 2017-05-16 Techwin Co., Ltd. Highly efficient sodium hypochlorite generation apparatus capable of decreasing disinfection by-products
KR101415726B1 (ko) * 2012-08-02 2014-07-14 (주)삼바이오텍 염화나트륨을 첨가한 차아염소산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8396B1 (ko) * 2018-01-31 2019-08-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살균 지속형 소독수 생산 시스템
KR20210006032A (ko) 2019-07-08 2021-01-18 한미경 살균·소독수 제조 장치
KR102048734B1 (ko) 2019-08-02 2019-11-26 주식회사 대영 세라믹옥필터를 이용한 광물활성수 제조장치 및 광물활성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326B1 (ko) 2012-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326B1 (ko) 살균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139917B1 (ko) 살균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20110189302A1 (en) Electrochemical device
KR101619595B1 (ko)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생성장치
KR101216227B1 (ko) 고농도의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50005010A (ko) 염소와 오존을 포함하는 살균수 처리장치
JP2009136814A (ja) 微酸性電解水の調製法
KR101371616B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의 차염 희석구조
KR101840234B1 (ko) 염소 주입량 및 온도 조절이 가능한 염소수 전해소독 장치
CN203653706U (zh) 一种次氯酸溶液发生器及其电解装置
KR20200001254A (ko) 브롬이온을 제거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성장치
US11279636B2 (en) Brine feed system
KR20120028515A (ko) 살균제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
KR101346551B1 (ko) 미산성 차아염소산용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차아염소산용액
KR101436111B1 (ko) 살균소독제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
KR200333575Y1 (ko) 전해반응기를 이용한 음용수 살균 장치
JP5010037B2 (ja) 電解水の生成方法および組成物
CN213327865U (zh) 一种次氯酸钠消毒装置
KR101448123B1 (ko) 과초산용액의 농도 측정방법 및 그 측정방법을 이용한 과초산용액의 자동주입장치
CN210065943U (zh) 高氧化水生成设备
KR20130103875A (ko)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제조방법 및 이의 장치
JP2012115749A (ja) 次亜塩素酸水生成用電解装置及び次亜塩素酸水の生成方法
WO2022243474A1 (en) An apparatus, a system and a method for electrolysing brine
RU269136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ксидантов из водных растворов хлористого натрия
CN100586841C (zh) 一种复合二氧化氯的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