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576A - 모듈형 가구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듈형 가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576A
KR20110088576A KR1020117013956A KR20117013956A KR20110088576A KR 20110088576 A KR20110088576 A KR 20110088576A KR 1020117013956 A KR1020117013956 A KR 1020117013956A KR 20117013956 A KR20117013956 A KR 20117013956A KR 20110088576 A KR20110088576 A KR 20110088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upler
transverse member
assembly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버디3세 화이트
숀 디 넬슨
다니엘 내피
데이비드 언더우드
매트 리치
Original Assignee
삭 액큐지션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삭 액큐지션 엘엘씨 filed Critical 삭 액큐지션 엘엘씨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06/022753 external-priority patent/WO2006135855A2/en
Publication of KR20110088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 A47C13/005Modular s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Abstract

본 발명은 편리하고 다목적인 모듈형 가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모듈형 가구 조립체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 및 커플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베이스에 수동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횡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및 횡부재는 여러 가지 상이한 유형, 구조 및 크기의 가구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는 정의된 공간 관계식을 갖는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횡부재가 제 1 가구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고 제 2 가구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 2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된다.

Description

모듈형 가구 조립체{Modular furniture assembly}
본 발명은 가구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모듈형 가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년 동안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가구가 안락함과 장식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되어 왔다. 소비자들은 가구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많은 주의를 요하지 않아도 일상적인 사용에 견뎌낼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가구는 다목적이며, 내구성이 좋고 및 비교적 유지가 편리한 가구이다.
일단 구입을 하고 나면, 소비자는 가구가 이미 조립되어 있거나 또는 쉽게 조립될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일단 조립되고 나면, 대부분의 가구는 다시 분해하기가 쉽지 않다. 대부분의 가구는 못, 꺽쇠, 에폭시 등 기타 유형의 파스너를 사용하여 조립하게 된다. 더욱이, 다양한 유형의 가구는 상기 파스너를 커버하는 실내장식 재료를 가지는데, 이는 가구의 분해를 어렵게 한다. 이는 가구를 한곳에서 다른 곳으로 옮기려 할 때 특히 소비자에게 어려운 도전이 된다.
또한, 일단 조립되면, 소비자는 가구의 청소가 용이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부분의 실내장식 재료들은 못 및/또는 꺽쇠를 사용하여 가구에 장착되고, 따라서 오염되거나 얼룩이 생길 때 제거하거나 청소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예를 들면, 대형 가구는 선적 동안 큰 공간을 요한다. 대부분의 비입체 가구들은 포장 및 선적 시 활용 공간을 최대화하기가 어렵다. 이는 가구가 필요한 공간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차지하는가의 여부와는 상관없이 가구가 요하는 공간의 크기로 인하여 선적 비용을 상승시키는 이유가 된다.
가구 비용이 과해지는 또 다른 문제는 적재의 곤란함에 있다. 대형 가구의 적재 시, 하단에 적재된 가구가 종종 파손되는 일이 있다. 이러한 파손은 포장된 가구의 형태 및 비입체 특성으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적재를 쉽게 하기 위하여 가구를 분해 및 박스 포장하는 경우에도, 여전히 상당한 공간이 낭비된다. 낭비되는 공간은 선적 비용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기타의 가구를 적재할 베이스를 불안정하게 하기도 한다.
여러 점의 가구를 구매할 여유가 없는 구매자들은 다목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가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퓨탄 침대(futon bed:일본식 침대)는 침대 및 카우치의 역할을 모두 갖는다. 그러나 퓨탄 침대는 부피가 커서 상술한 바와 같은 비용 요소가 문제가 된다.
더욱이, 퓨탄 매트리스는 카우치 및 침대로서는 너무 얇거나 불편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조립, 분해, 재배열, 이송 및 청소가 최소한의 노력만으로도 빠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모듈형 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모듈형 가구 조립체는 베이스, 적어도 하나의 횡부재 및 상기 횡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가구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한 커플러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는 사용자가 그 위에 앉기 위한 지지 표면의 역할을 하며, 상기 횡부재는 사용자가 등이나 팔을 기대기 위한 표면의 역할을 한다.
상기 커플러는 사용자가 상기 횡부재와 상기 베이스를 아무런 연장도 사용하지 않은 채 최소한의 노력으로 빠르게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횡부재와 상기 베이스의 결합의 용이함은 소비자로 하여금 여러 가지 구조의 가구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베이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횡부재 근처에 위치되어 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모듈형 가구 조립체에 다양한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이런 식으로, 많은 베이스 및 횡부재가 여러 가지의 상이한 가구 조립체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베이스와 하나의 횡부재를 사용하여 의자를 형성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3개의 횡부재를 하나의 베이스에 결합하여 팔걸이 의자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들) 및 횡부재(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의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상이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및 횡부재는 정의된 공간 관계식의 크기 및 구조로 된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의 길이(x)는 상기 횡부재의 길이(x')와 실질적으로 같고, 상기 베이스의 길이(x)는 상기 베이스의 폭(y)과 상기 횡부재의 폭(z)의 총 합과 실질적으로 같다. 그러므로, x는 실질적으로 y+z이다. 이 관계식은 여러 가지 상이한 유형, 크기 및 구조의 가구 조립체를 편리하게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사용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로 된 하나 이상의 베이스들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로 된 하나 이상이 횡부재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 및 횡부재의 규격화된 구조는 사용자로 하여금 여러 가지 상이한 유형 및 구조의 가구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제조업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로 된 일련의 베이스들 및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로 된 일련의 횡부재를 생산하여, 여러 가지 상이한 유형의 가구를 형성하도록 다양한 구조로 상기 베이스들 및 횡부재들을 배열할 수 있으므로(또는 최종 사용자로 하여금 배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이는 또한 제조를 편리하게 해준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동일한 구조의 베이스들 및 하나 이상의 동일한 구조의 횡부재들을 구매하여, 이들을 여러 상이한 가구 조립체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베이스 및 제 1 횡부재를 함께 사용하여 등받이가 있는 의자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횡부재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로 된 제 2 및 제 3 횡부재가 추가하면 팔걸이 의자를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i) 상기 제 1 베이스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로 된 제 2 베이스; 및 (ii) 상기 제 1 횡부재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로 된 제 2, 제 3 및 제 4 횡부재들;을 추가함으로써 카우치를 형성할 수 있다.
각각 규격화되고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로 된 베이스들과 횡부재들을 사용함으로써 무수히 다양한 가구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제조업자는 또한 상기 공간 관계식으로 상기 베이스들 및 횡부재들을 비례적인 크기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이한 신체 사이즈의 개인들을 위한 가구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들 및 횡부재들은 아동용 가구 조립체를 형성하기에 적당한 비례적인 크기로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베이스들 및 횡부재들은 성인 또는 특대 사이즈의 성인을 위한 가구 조립체를 형성하기에 적당한 비례적인 크기로 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들) 및 상기 횡부재(들)은 다양한 크기의 가구를 형성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 및 횡부재의 구조는 소비자 및 소매업자 모두에게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소비자로 하여금 부피 및/또는 크기로 인하여 종래에는 이송이 불가능했던 가구들을 벽지에서도 받아볼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은 용이하게 분해가능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상기 베이스(들) 및/또는 횡부재(들)을 다른 방식으로는 놓기 어려운 곳에도 위치시킬 수 있게 하고 이들을 조립하여 가구 조립체로서 형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조업자 및/또는 소매업자로 하여금 2점의 가구 부분, 즉 베이스 및 횡부재를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이는 선적 및 보관에 유익하다.
예를 들면, 제조업자 및/또는 소매업자는 단순히 주요 2점을 보관하면 되며, 화물로부터의 로딩 및 언로딩시 각각 동일한 구조로 되는 베이스들 또는 횡부재들을 서로의 위에 적재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횡부재 및 베이스는 제거 가능한 외부 라이너를 포함한다. 상기 제거 가능한 외부 라이너는 소비자가 상기 가구 조립체를 용이하게 세탁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제거 가능한 외부 라이너를 활용하면 소비자는 상이한 색조 및 스타일의 라이너를 상호 교환하여 독특하고 개성있는 가구 조립체를 창조해낼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가구 조립체는 다목적이며, 모듈형이고, 상호 교환이 가능하며, 편리하다.
본 발명의 베이스 및 횡부재의 구조는 소비자 및 소매업자 모두에게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소비자로 하여금 부피와 크기로 인하여 종래에는 이송이 불가능했던 가구들을 벽지에도 받아볼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은 용이하게 분해가능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상기 베이스 및 횡부재를 다른 방식으로는 놓기 어려운 곳에도 위치시킬 수 있게 하고 이들을 조립하여 가구 조립체로서 형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의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횡부재에 결합되는 베이스를 갖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1의 베이스를 전개하여 도시하는 절취도
도 3은 도1의 상기 횡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는 커플러 및 풋 커플러의 사시도
도 5a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가 조립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b는 도1의 횡부재와 베이스에 관한 커플러의 위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c는 조립된 모듈형 가구 조립체의 단면도
도 6a는 오토만(ottoman;등받이, 팔걸이가 없는 의자)의 구조로 된 모듈형가구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 6b는 벤치의 구조로 된 모듈형 가구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 6c는 팔걸이 의자의 구조로 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 6d는 셰이즈(chaise)의 구조로 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 6e는 러브 시트(love seat)의 구조로 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 6f는 딥 소파(deep sofa)의 구조로 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 6g는 조립식 구조로 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 6h는 트위스터(twister)의 구조로 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 6i는 플레이펜(playpen:아기 놀이울)의 구조로 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 6j는 침대의 구조로 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j의 베이스 양자택일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전개 사시도
도 8은 도 6j의 베이스 및 커플러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6j의 베이스 및 횡부재에 관한 발 부분의 위치를 도시하기 위한 개략적인 상면도
도 10은 풋 커플러의 상면도
도 11은 도6j의 베이스 및 횡부재에 대한 풋 커플러의 사용을 도시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의 개략적인 상면도;
도 12는 도 11의 횡부재의 구멍(aperture)에 대한 상기 베이스의 홈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조립된 모듈형 가구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조립, 분해, 재배열, 이송 및 청소를 최소한의 노력으로도 빠르고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여러 상이한 가구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 관계식을 갖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듈형 가구 조립체는 베이스, 적어도 하나의 횡부재 및 상기 횡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의자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된 커플러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및 횡부재는 사용자로 하여금 여러 상이한 가구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된다.
상기 베이스는 사용자가 그 위에 앉을 수 있는 지지 표면의 역할을 하며, 상기 횡부재는 사용자가 등이나 팔을 기대기 위한 표면의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횡부재가 다양한 위치에서 그 근처에 위치되어 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이한 유형의 가구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로 된다. 상기 커플러는 사용자가 상기 횡부재와 상기 베이스를 아무런 연장도 사용하지 않은 채 최소한의 노력으로 빠르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된다. 상기 횡부재와 상기 베이스의 결합의 용이함은 가구 조립체를 여러 가지 구조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다양한 가구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많은 베이스 및 횡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및 횡부재는 상이한 신체 사이즈의 개인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비례적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유형, 크기 및 구조의 가구를 빠르고 편리한 방식으로 만들 수 있다.
도 1은 모듈형 가구 조립체(1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듈형 가구 조립체(10)는 베이스(12) 및 커플러(15)(도4)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횡부재(14)로 이루어진다. 베이스(12) 및 횡부재(14)는 다양한 방식 및 구조로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채택되어 다양한 독특하고 맞춤식 가구 조립체를 형성한다. 또한, 베이스(12) 및 횡부재(14)는 정의된 공간 관계식에 의한 크기 및 구조로 된다. 베이스(12)와 횡부재(14) 사이의 상기 정의된 공간 관계식은, 이후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i) 여러 가지 상이한 유형의 가구 조립체를 편리하게 형성할 수 있게 하고; (ii) 여러 가지 상이한 구조의 가구 조립체를 편리하게 형성할 수 있게 하며; (iii) 제조업자로 하여금 어린이 또는 성인과 같이 다양한 신체 사이즈의 개인들을 위하여 비례적인 크기로 베이스 및 횡부재의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베이스(12)는 소비자가 안락하게 앉는 표면을 제공하는 구조로 된다. 베이스(12)는 또한 재배열, 이송, 보관 및/또는 선적 시 용이하게 해체되는 구조로 된다. 이 실시예에서, 베이스(12)는 프레임 조립체(16), 쿠션(18) 및 상기 프레임 조립체(16) 상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발 부분(20a-d)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 조립체(16)는 소비자가 베이스(12)에 앉아 있는 동안 소비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구조로 된다. 쿠션(18)은 상기 프레임 조립체(16) 상에 장착되어 소비자에게 유용하며 안락한 착좌 영역을 제공하는 구조로 된다. 쿠션(18)은 상기 프레임 조립체(16)에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다.
발 부분(20a-d)은 상기 프레임 조립체(16)의 아래쪽에 결합된다. 발 부분(20a-d)은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 조립체(16)에 결합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발 부분(20a-d)은 나사로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 발 부분(20a-d)은 상기 프레임 조립체(16)에 용이하게 결합 및/또는 분리될 수 있으므로, 발 부분(20a-d)의 포장, 선적, 보관, 이송 및/또는 교환이 용이해진다. 그러나, 상기 발 부분(20a-d)은 못, 에폭시 또는 풀, 또는 임의의 그의 조합으로써 보다 영구적인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 조립체(16) 결합될 수도 있다. 발 부분(20a-d)을 풋 커플러(34) 및/또는 (34a)와 같은 풋 커플러와 연계되어 사용할 때, 발 부분(20a-d)은 상기 횡부재(14)를 상기 베이스(12)에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발 부분(20a-d)은 또한 소비자의 체중을 지지하고 바닥 위로 베이스(12)를 들어 올리는 구조로 된다. 나사를 사용하여 발 부분(20a-d)을 상기 프레임 조립체(16)에 결합할 때, 쿠션(18)의 제거가능성과 결부된 발 부분(20a-d)의 제거가능성은 베이스(12)가 재배열, 이송, 보관 및/또는 선적을 위하여 용이하게 해체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12)는 횡부재(14)의 인접 표면(28)에 인접하여 위치가능하고 이에 인접하는 구조로 된 다수개의 인접 표면(26a-d)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베이스(12)는 여러 가지 상이한 가구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횡부재(14)가 임의의 인접 표면(26a-d)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는 구조로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베이스(12) 및 횡부재(14)는 정의된 공간 관계식을 갖는다. 상기 베이스(12)와 횡부재(14) 사이의 공간 관계식은 여러 가지 상이한 유형, 크기 및 구조의 가구 조립체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길이(x) 및 폭(y)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12)의 길이(x)는 상기 베이스(12)의 폭(y)보다 크고, 횡부재(14)는 길이(x') 및 폭(z)을 가지며, 상기 횡부재(14)의 길이(x')는 상기 횡부재(14)의 폭(z)보다 크다. 이 실시예에서, 베이스(12) 및 횡부재(14)는 상기 베이스(12)의 길이(x)가 상기 횡부재(14)의 길이(x')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베이스(12)의 길이(x)가 상기 베이스(12)의 폭(y)과 상기 횡부재의 폭(z)의 총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된다. 이와 같이, (x)는 (y)+(z)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베이스(12)의 폭(y)과 상기 횡부재의 폭(z)의 총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베이스(12)의 길이(x)의 관계식은 상기 베이스(12)와 횡부재(14) 사이에 정의된 공간 관계식이다. 더욱이, 횡부재(14)의 높이(h')는 베이스(12)의 높이(h)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므로, 횡부재(14)는 베이스(12)가 시트로서 이용되는 동안 등받이 또는 팔걸이로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렇게 정의된 공간 관계식은 사용자로 하여금 여러 가지 상이한 유형의 가구 조립체를 편리하게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베이스(12) 및 제 1 횡부재(14)는 하나의 의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상기 제 1 횡부재(14)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로 된 제 2 및 제 3 횡부재들(14)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팔걸이 및 제 2 팔걸이를 갖는 팔걸이 의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추가될 수 있다. 이에 사용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라는 표현은 상기 베이스 및/또는 횡부재가 각각 상호 교환 가능한 크기 및 구조로 됨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카우치는 도 6e 및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상기 제 1 베이스(12)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로 된 제 2 베이스(12); 및 (ii) 상기 제 1 횡부재(14)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로 된 제 2, 제 3 및 제 4 횡부재(14);를 추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이한 유형의 가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베이스(들) 및/또는 횡부재(들)을 추가할 수 있는 이러한 능력은 상기의 정의된 공간 관계식이 사용자로 하여금 여러 가지 상이한 유형의 가구를 얼마나 편리하게 형성할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
도 6e 내지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의된 공간 관계식은 사용자로 하여금 여러 가지 상이한 구조의 가구 조립체를 편리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2개의 베이스들(12) 및 4개의 횡부재들(14)을 활용하여 형성되는 카우치는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브 시트를 형성하거나, 또는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딥 소파를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도 6e의 러브 시트 및 상기 도 6f의 딥 소파는 동일한 베이스들(12) 및 동일한 횡부재들(14)을 사용하지만 배열을 달리 함으로써 구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상기 정의된 공간 관계식은 사용자로 하여금 여러 가지 상이한 구조의 가구 조립체를 편리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정의된 공간 관계식은 또한 제조업자로 하여금 상이한 신체 사이즈의 개인들을 위하여 상이한 크기의 베이스 및 횡부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조업자는 베이스 및 횡부재가 서로 착탈가능하여, 가구 조립체가 아동용 크기로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 및 횡부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가구 조립체는 성인이 사용하기에는 너무 작아서 불편하다. 반면, 제조업자는 상기 공간 관계식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들) 및 횡부재(들)의 크기를 확대함으로써 이들이 서로 결합될 때 가구 조립체가 성인을 안락하게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되도록 상기 베이스(들) 및 횡부재(들)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베이스(12)와 횡부재(14) 사이의 공간 관계식은 여러 가지 상이한 크기로 가구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하여 도 1을 참조하면, 횡부재(14)는 베이스(12)와 결합될 때 소비자를 횡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된다. 다양한 가구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횡부재(14)는 베이스(12)의 임의의 인접 표면(26a-d)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다수개의 발 부분(30a-b)은 횡부재(14)의 아래쪽에 결합된다. 발 부분(30a-b)은 횡부재(14)를 베이스(12)에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는 구조로 된다. 발 부분(30a-b)은 또한 소비자의 체중을 지지하고 횡부재(14)가 위치된 바닥 위로 횡부재(14)를 들어 올려주는 구조로 된다. 발 부분(30a-b)은 베이스(12)에 결합된 발 부분(20a-d)과 유사한 방식으로 횡부재(14)에 결합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발 부분(30a-b)은 그 각각이 횡부재(14)의 앞뒤 표면 및 각각의 인접 측면으로부터 같은 거리, "이격 거리(offset distance)" 만큼 이격(offset)되도록 각각 위치된다. 예를 들면, 횡부재의 폭(z)이 10인치인 경우, 상기 이격 거리는 5인치이다. 그러므로, 발 부분(30a-b)은 각각 상기 횡부재(14)의 앞뒤 표면으로부터(즉, 앞뒤 표면의 중간부로부터) 5인치에 위치되고, 횡부재(14)의 각각의 인접 측면으로부터 5인치에 위치된다. 마찬가지로, 베이스(12)의 발 부분(20a-d)은 각각의 인접 표면(26a-d)으로부터 각각 상기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이런 식으로, 일 실시예에서: (i) 발 부분(20a)은 인접 표면(26a) 및 인접 표면(26b) 모두로부터 상기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고; (ii) 발 부분(20b)은 인접 표면(26b) 및 인접 표면(26c) 모두로부터 상기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고; (iii) 발 부분(20c)은 인접 표면(26c) 및 인접 표면(26d) 모두로부터 상기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고; (iv) 발 부분(20d)은 인접 표면(26d) 및 인접 표면(26a) 모두로부터 상기 이격 거리만큼 이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듈형 가구 조립체(10)는, 예를 들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는, 다수개의 풋 커플러(34-35)를 더욱 포함한다. 풋 커플러(34-35)는 베이스(12)에 횡부재(14)를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채택된다. 풋 커플러(34-35)는 또한 결합 시 베이스(12)와 횡부재(14)에 지지를 제공하도록 채택된다. 풋 커플러(34)는 베이스(12)의 발 부분(20d) 및 상기 베이스(12)의 발 부분(20d)에 인접한 횡부재(14)의 발 부분(30a)을 활용하여 횡부재(14)를 베이스(12)에게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풋 커플러(35)는 베이스(12)의 발 부분(20c) 및 횡부재(14)의 인접 발 부분(30b)을 활용하여 횡부재(14)를 베이스(12)에게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횡부재(14), 프레임 조립체(16) 및 쿠션(18) 각각은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한 외부 라이너(32),(22),(24)를 각각 포함한다. 제거 가능한 외부 라이너(32),(22),(24)는 제거 및 재부착이 용이한 구조로 되어 아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의 세탁이 용이하도록 한다. 더욱이, 외부 라이너(32),(22),(24)의 선택적인 제거가능성은 소비자로 하여금 색상 및 디자인을 믹스매치하여 독특한 맞춤형 가구 조립체를 창조해낼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베이스(12)의 전개 절취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레임 조립체(16)는 프레임(36) 및 프레임(36)에 연합된 쿠션 조립체(38)로 이루어진다. 프레임(36)은 모듈형 가구 조립체(10)를 사용하는 소비자의 체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 및 배열로 이루어진다. 프레임(36)은 목재, 금속재, 합성물, 플라스틱 또는 기타 구조재 또는 그의 조합으로 된 다수개의 구조 부재로 이루어진다.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36) 및 방향을 형성하는 상기 구조 부재는 크기 및/또는 중량 요건과 같은 상이한 명세사항을 충족시키도록 수정 및/또는 재배열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레임 조립체(16)는 프레임(36) 상에 장착되는 지지 부재(58)를 더욱 포함한다. 지지 부재(58)는 프레임(36)의 오목부(44) 내에 위치된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58)는 상기 오목부(44) 내에 위치되는 4개의 직립 포스트(59) 및/또는 직립 슬랫(61) 상에 장착된다. 지지 부재(58)는 다수개의 홈(61a-f)이 내부에 형성된 목재 또는 기타 구조재와 같은 시트재로 이루어진다. 홈(62a-f)은 지지 부재(58)의 둘레를 따라 위치되며 커플러(15)의 일부가 그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된다. 홈(62a-f)은 지지 부재(58) 내에 위치되어 베이스(12) 상에 다양한 결합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횡부재(14)가 베이스(12)에 및/또는 베이스(12)가 다른 베이스(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 부재(58)가 프레임(36)의 오목부(44) 내에 위치될 때, 홈(62a-f) 각각은 프레임 조립체(16) 내에 구멍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도 5b 참조).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홈(62a-b,d-e)은 각각의 인접 표면(26a,c)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하나의 홈(62c,f)은 각각의 인접 표면(26b.d)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횡부재(14)를 각각의 인접 표면(26a,c)에 인접한 2개의 상이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개의 홈(62a-b,d-e)은 각각의 인접 표면(26a,c)에 인접하여 각각 위치된다. 횡부재(14)를 베이스(12)에 인접한 다수개의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능력은 상이한 가구 구조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런 식으로, 횡부재(14)는 커플러(15)에 의하여 베이스(12)에 대하여 적어도 6개소의 상이한 위치에 위치 및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횡부재(14)의 구멍(64)(도 3)을 임의의 홈(62a-f)에 맞추어 배열하고, 구멍(64) 및 프레임 조립체(16)의 바람직한 구멍 각각에 커플러(15)의 일부를 위치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지지 부재(58) 내의 홈(62a-f)의 구조 및 위치는 베이스(12)에 대하여 횡부재(14)를 상이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형 가구 조립체를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만들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횡부재(14)의 구멍(64)은 임의의 홈(62a-f)에 배열될 수 있다. 일단 배열되면, 커플러(15)(도4)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부재(14)에 베이스(12)를 연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베이스(12)의 홈(62c) 또는 (62f)은 제 2 베이스(12)의 홈(62c) 또는 (62f) 중 어느 하나에 배열될 수 있으므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베이스를 함께 결합할 수 있다. 다수개의 베이스(12) 및 횡부재(14)를 함께 결합할 수 있는 다목적성은 여러 가지 상이하고 독특한 가구 조립체를 만들 수 있게 하는 능력이다. 제 1 베이스(12)의 구멍을 제 2 베이스(12)의 구멍에 배열하고 커플러(15)의 일부를 제 1 베이스(12)의 구멍 및 제 2 베이스(12)의 구멍에 위치시킴으로써 제 1 베이스(12)는 제 2 베이스(1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j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5)를 이용하여 베이스들(12)을 횡부재들(14) 및/또는 베이스들(12)에 결합함으로써 베이스들(12) 및 횡부재들(14)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가구 조립체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쿠션 조립체(38)는 프레임(36)의 외부 표면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쿠션 부재(40a-c) 및 지지 부재(58)가 프레임(36) 내에 장착될 때 지지 부재(58)에 장착되는 추가 쿠션 부재(40d)로 이루어진다. 쿠션 부재(40a-c,d)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10)를 사용하는 소비자에게 쿠션 표면을 제공하기 위한 구조로 된다. 쿠션 조립체(38)를 갖는 프레임(36)의 쿠션은 보다 안락한 가구를 위하여 제공된다. 쿠션 부재(40a-c) 각각은 프레임(36)의 외부를 커버하기 위하여 프레임(36) 외부 표면 각각에 위치되도록 채택된 사각형 발포편으로 이루어진다. 인접 표면(26c)에 인접한 프레임 표면에 쿠션을 제공하기 위하여 채택된 추가의 사각형 발포편은 도 2에는 도시 생략된다. 이러한 쿠션 부재(40a-c)(인접 표면(26c)에 인접하는 추가편을 포함함)는 프레임 조립체(16)의 바람직한 장력 및 패딩(padding)을 수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발포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쿠션 부재(40a-c)는 단일의 발포편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폴리우레탄 발포층 위에 위치되는 메모리 발포층과 같은 발포층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쿠션 부재(40a-c)는 내부 라이너(46)에 의하여 커버된다. 이 실시예에서, 쿠션 부재(40d)는 또한 라이너(42)에 의하여 커버되는 발포편으로 이루어진다. 쿠션 부재(40d)는 지지 부재(58)의 상부에서 프레임(36)의 오목부(44)내로 위치 가능한 구조로 된다. 쿠션 부재(40d)의 발포편은 단일의 폴리우레탄 발포편, 또는 상이한 발포 유형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쿠션 부재(40d)는 단일의 폴리우레탄 발포편 및 쿠션 부재(40d)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단일의 폴리우레탄 발포편 상에 위치되는 유사한 형상의 메모리 발포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 부재(40d)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10)를 사용하는 소비자에게 안락한 착좌 표면을 제공하는 구조로 된다.
라이너(42) 및 내부 라이너(46)는 프레임 조립체(16)의 쿠션 부재(40a-d)를 커버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로 된다. 라이너(42) 및 내부 라이너(46)는 흡수성 또는 방수성 섬유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수성 라이너의 장점은 소다수 같은 액체가 프레임 조립체(16) 위로 엎질러지는 경우에 내부 라이너가 프레임(36) 및 쿠션 부재(40a-d)를 보호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프레임 조립체(16)는 또한 제거 가능한 외부 라이너(22)를 포함한다. 제거 가능한 외부 라이너(22)는 프레임(36) 및 쿠션 부재(40a-c)를 추가적으로 보호하고 및 심미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프레임 조립체(16)에 활용되는 구조로 된다. 제거 가능한 외부 라이너(22)는 내부 라이너(46) 상에 장착되어 쿠션(24)이 그 위에 장착될 때 내부 라이너(46)의 노출 부위를 커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부 라이너(22)는 후크 및 파일 메커니즘과 같은 제거 가능한 안착 메커니즘(48), 예를 들면, 벨크로(VELCRO)를 이용하여 프레임 조립체(16)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외부 라이너(22)는 외부 라이너(22)가 오염 및/또는 얼룩졌을 경우 선택적으로 제거 및 세탁가능하다.
제거 가능한 안착 메커니즘(48), 즉, 벨크로는 또한 소비자로 하여금 프레임 조립체(16)의 내부 라이너(46)에 외부 라이너(22)를 쉽고 빠르게 효과적으로 부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외부 라이너(22)의 선택적인 제거가능성은 소비자로 하여금 모듈형 가구 조립체(10)의 외부 라이너를 다양한 스타일, 디자인 및 구조로 믹스맥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소망 및 취향에 따라 독특한 맞춤형의 모듈형 가구 조립체를 창조해낼 수 있게 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베이스(10)는 다수개의 인접 표면(26a-d)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접 표면(26a-d)은 각각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 구조로 되어 횡부재(14)의 실질적으로 편평한 인접 표면(28)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횡부재(14)의 인접 표면(28)은 베이스(12)가 횡부재(14)와 인접 관계에 있을 때 베이스(12)의 인접 표면(26a-d)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구조로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플러(15)는 횡부재(14)를 베이스(12)에 결합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쿠션(18)은 베이스(12)를 형성하기 위하여 프레임 조립체(16) 상에 위치 및 장착되는 구조로 된다. 쿠션(18)은 쿠션(18)의 둘레가 프레임 조립체(16)의 둘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는 크기로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쿠션(18)은 내부 라이너(52)에 의하여 커버되는 발포편(50)으로 이루어진다. 발포편(50)은 사용자가 모듈형 가구 조립체(10)에 앉았을 때 안락한 착좌 표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충분한 장력 및 적당한 물성을 갖는 단일의 발포편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발포편(50)은 폴리우레탄 발포층 및 폴리우레탄 발포층의 위에 장착되는 메모리 발포층과 같이 여러 유형 및 구조로 된 발포편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라이너(52)는 발포편(50)을 커버한다. 내부 라이너(52)는 발포편(50)을 실질적으로 커버하기에 충분한 섬유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라이너(52)는 내부 라이너(46) 및/또는 라이너(4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부 라이너(52)는 사용자가 앉기에 미적으로 아름답고 안락한 쿠션 표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거 가능한 외부 라이너(24)에 의하여 커버된다. 제거 가능한 외부 라이너(24,22)는 유사성을 갖는다. 제거 가능한 외부 라이너(22,24)는 여러 가지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거 가능한 외부 라이너(22,24)는 면, 가죽, 마이크로-파이버, 스웨이드, 또는 기타 소비자가 활용하고자 하는 유형의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제거 가능한 외부 라이너(22,24)는 후크 및 파일 메커니즘과 같은 제거 가능한 안착 메커니즘, 예를 들면, 벨크로, 하나 이상의 지퍼, 암수 스냅 부재, 후크 및 래치형 파스너, 또는 기타 외부 라이너(22,24)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비자는 다양한 유형, 스타일, 및 구조의 제거 가능한 외부 라이너(22,24)를 믹스 매치하기 위한 선택권을 가지며, 따라서 그들의 소망 및 취향에 따라 맞춤된 가구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횡부재(14)를 도시하는 부분적인 절취도이다. 횡부재(14)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10)를 형성하기 위하여 베이스(12)에 결합되는 구조로 된다. 도 3에 더욱 도시된 바와 같이, 횡부재(14)는 횡부재(14)가 장착되는 지지 표면의 평면, 예를 들면, 땅이나 바닥에 대하여 횡부재(14)의 횡축이 실질적으로 가로놓이도록 위치되는 구조로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횡부재(14)는 프레임 조립체(54), 프레임 조립체(54)를 커버하는 내부 라이너(56), 제거 가능한 외부 라이너(32), 프레임 조립체(54)의 아래쪽에 결합된 발 부분(30a-b), 및 횡부재(14)를 베이스(12)에 결합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프레임 조립체(54) 내에 형성되는 구멍(64)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 조립체(54)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10)를 사용하는 소비자에게 횡방향 지지를 제공하기 위한 구조로 된다. 프레임 조립체(54)는 소비자가 그 위에서 쉴 수 있는 안락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한 구조로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레임 조립체(54)는 프레임(66) 및 쿠션 조립체(68)로 이루어진다. 프레임(66)은 횡부재(14)가 베이스(12)에 결합될 때 모듈형 가구 조립체(10) 위에 앉는 소비자에게 횡방향 지지를 제공하기 위한 구조로 된다. 프레임(66)은 목재, 금속재, 합성물, 플라스틱 또는 기타 구조재 또는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구조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66) 및 그의 방향을 형성하는 상기 구조 부재는 크기 및/또는 중량 요건과 같은 상이한 명세사항을 충족시키도록 수정 및/또는 재배열될 수 있다.
쿠션 조립체(68)는 다수개의 쿠션 부재(70) 및 프레임(66)에 연합된 쐐기(72)로 이루어져 패딩된 안락한 표면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쐐기(72)는 쐐기형의 발포편으로 이루어진다. 쐐기(72)는 프레임(66)과 함께 사각형 입체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프레임(66)의 각진 앞 표면 상에 장착되는 구조로 된다. 쿠션 부재(70)는 프레임(66) 및 쐐기(72)를 에워싸고 커버하는 구조로 된다. 쿠션 부재(70)는 프레임(66)과 쐐기(72) 모두를 커버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된 발포편으로 이루어진다. 쿠션 조립체(68)를 커버하는 것은 내부 라이너(56) 및 제거 가능한 외부 라이너(32)이다. 내부 라이너(56)는 내부 라이너(46),(52), 및 라이너(42)와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거 가능한 외부 라이너(32)는 외부 라이너(22),(24)와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구멍(64)은 횡부재(14)를 베이스(12)에 결합하는 것을 돕는 구조로 위치된다. 구멍(64)은 다양한 유형 및 구조의 가구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횡부재(14)의 인접 표면(28)에 인접하여 중앙으로 위치된다. 구멍(64)은 횡부재(14)가 베이스(12)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임의의 홈(62a-f)에 맞추어 배열될 수 있도록 위치된다. 구멍(64)은 프레임 조립체(54) 및 내외부 라이너(56),(32)를 통하여 연장된다. 구멍(64)은 커플러(15)의 일부가 이를 통하여 수용되기에 충분한 크기로 된다.
도 4는 커플러(15) 및 풋 커플러(34),(34a)를 포함하는 임의의 커플러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커플러(15)는 횡부재(14)를 베이스(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로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플러(15)는 횡부재(14)의 구멍(64) 및 지지 부재(58)의 홈(62a-f) 중 하나의 내부에 위치가능하거나, 또는 2개의 베이스를 서로 결합할 때 제 1 베이스(12)의 홈(62a-f) 중의 하나 및 제 2 베이스(12)의 홈(62a-f) 중의 하나 내에 위치가능한 구조로 되는 연장된 U-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커플러(15)는,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2)의 프레임(36) 및 횡부재(14)의 프레임(66)의 내부 표면들을 맞물림시키는 구조로 되어 횡부재(14)의 일부 및 베이스(12)의 일부가 함께 커플러(15) 부분들 사이에서 샌드위치된다. 커플러(15)는 베이스(12)에 대하여 횡부재(14) 상부 부분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구조로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플러(15)는 베이스(12)에 대하여 적어도 제 1 방향으로 횡부재(14)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커플러(15)는 금속재, 또는 기타 구조재로 만들 수 있다. 커플러(15)는 커플러(15)의 삽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돕기 위하여 커플러(15)의 상부 표면에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15)는 몸체부(15b)에 결합되는 제 1 다리부(15a)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15b)에는 또한 제 2 다리부(15c)가 결합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다리부(15a)는 베이스(12)를 횡부재(14)에 편리하게 결합하도록 돕고 커플러(15) 상에 유도되는 힘에 저항하도록 제 2 다리부(15c)보다 길게 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 1 다리부(15a)는 제 2 다리부(15c)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된다.
커플러(15) 및 풋 커플러(34),(34a)는 횡부재(14)를 베이스(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돕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풋 커플러(34)는 이를 통하여 형성되는 다수개의 구멍(74a-b)를 갖는 블록으로 이루어진다. 구멍(74a-b)은 베이스(12) 또는 횡부재(14)의 발 부분을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크기 및 구조로 된다. 풋 커플러(34)의 구멍(74a-b)은 충분히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어서 발 부분(30)이 횡부재(14)로부터 구멍(74a) 내에 위치되고 발 부분(20)이 베이스(12)로부터 구멍(74b) 내에 위치될 때 횡부재(14) 및 베이스(12)가 서로 인접하여 접촉되도록 한다.
풋 커플러(34-35)는 베이스(12)에 대한 횡부재(14) 바닥부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구조로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풋 커플러(34-35)는 베이스(12)에 대하여 적어도 제 2 방향으로의 횡부재(14)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예를 들면,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플러(15)는 적어도 제 1 방향, 즉, 베이스(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횡부재(14) 상부 부분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고, 풋 커플러(34-35)는 적어도 제 2 방향, 즉, 베이스(1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횡부재(14) 상부 부분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도 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의 풋 커플러(34a)를 도시한다. 풋 커플러(34a)는 풋 커플러(34)와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다. 풋 커플러(34a)는 풋 커플러(34)를 대체할 수 있고, 추가의 발 부분들을 연결하기 위한 추가의 구멍을 갖는다. 따라서, 풋 커플러(34a)는 베이스(12)에 대하여 횡부재(14) 바닥부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구조로 된다. 풋 커플러(34a)는, 도 6c 내지 도 6j에 도시된 가구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풋 커플러(34a)가 베이스(12)를 다수개의 횡부재들(14) 및/또는 베이스들(12)에 연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4개의 구멍(74a-d)을 갖는다. 예를 들면, 도 6c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풋 커플러(34a)는 등받이로서 위치되는 제 1 횡부재(14)의 하나의 다리부 및 팔걸이로서 위치되는 제 2 횡부재(14)의 하나의 다리부와 함께 베이스의 하나의 다리부를 결합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풋 커플러(34a)는 상기 제 1 횡부재(14)의 제 2 다리부 및 또 다른 하나의 팔걸이로 위치되는 제 3 횡부재(14)의 하나의 다리부에 베이스(12)의 제 2 다리부를 함께 결합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예에 있어서, 각각의 풋 커플러(34a)의 하나의 구멍은 사용되지 않으나, 풋 커플러(34a)의 대칭적인 구조는 소비자로 하여금 풋 커플러(34a)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상이한 구조의 가구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풋 커플러는 그 내부에 형성되는 구멍(74)의 수에 제한을 둘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풋 커플러는 2개의 베이스(12) 및 4개의 횡부재(14)의 발 부분을 결합함으로써 소파의 형성을 돕기에 적당한 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크기 및 구조로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풋 커플러는 베이스(12)의 발 부분(20)을 횡부재(14)의 발 부분(30) 또는 다른 베이스(12)의 발 부분(20)에 결합 및/또는 다수의 베이스(12)의 각각의 발 부분(20)을 다수의 횡부재(14)의 각각의 발 부분(30)에 임의의 구조로 결합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만큼의 구멍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멍(74)은 소비자가 그 내부에 발 부분을 삽입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도록 테이퍼된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양자택일적인 실시예에서, 풋 커플러는 3개의 구멍을 갖는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풋 커플러는 5개의 구멍을 갖는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풋 커플러는 6개의 구멍을 갖는다.
도 5a 내지 도 5c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10)를 조립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시된 이 실시예에서, 구멍(64)이 지지 부재(58) 내의 홈(62f)에 인접하여 이에 배열되도록 베이스(12)의 프레임 조립체(16)는 횡부재(14)에 대하여 위치된다. 일단 배열되면, 커플러(15)는 횡부재(14)의 구멍(64) 내에 위치되고 소비자에 의하여 하방으로 밀어져서, 횡부재(14) 프레임(66)의 편평한 내부 표면과 베이스(12) 프레임(36)의 편평한 내부 표면을,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리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플러(15)는 베이스(12) 및 횡부재(14)를 연결한다.
또한, 베이스(12)의 발 부분(20d)은 풋 커플러(34)의 구멍(74b) 내에 수용되고 횡부재(14)의 발 부분(30a)은 풋 커플러(34)의 구멍(74a) 내에 수용된다. 마찬가지로, 풋 커플러(34)와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될 수 있는 풋 커플러(35)는 풋 커플러(34)와 유사한 방식으로 이용되며, 여기에서 발 부분(20c)은 풋 커플러(35)의 구멍(74b) 내에 수용되고 발 부분(30b)은 풋 커플러(35)의 구멍(74a) 내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커플러(15) 및 풋 커플러(34-35)의 사용은 본 발명의 가구 조립체(10)를 형성하기 위하여 횡부재(14)를 베이스(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소비자는 베이스(12)를 횡부재(14) 및/또는 다른 베이스(12)에 수동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커플러(15) 및 풋 커플러(34),(34a) 및/또는 (35)를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비자는 커플러(15)를 베이스(12) 및 횡부재(14)에 연결 또는 연결해제 하기 위하여 아무런 연장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아무런 연장도 필요 없으므로, 소비자는 커플러(15) 및 풋 커플러(34),(34a),(35)를 경우에 따라 베이스(12), 횡부재(14) 및/또는 다른 베이스(12)에 손수 연결하거나 또는 이들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사용된 바, “수동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다”라는 표현은 커플러 및 풋 커플러가 베이스(12), 횡부재(14) 및/또는 다른 베이스(12)를 해머나 스크류 드라이버 또는 기타 기계적인 장치와 같은 연장을 사용하지 않고도 결합 또는 결합 해제함을 의미한다.
일단 커플러(15)가 베이스(12) 및 횡부재(14)에 연결되면, 가구 조립체(10)를 형성하기 위하여 쿠션(18)이 프레임 조립체(16)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바와 같이, 모듈형 가구 조립체(10)를 해체하기 위하여 풋 커플러(34),(34a) 및 커플러(15)는 쉽게 수동으로 연결해제되어 제거된다.
도 5b는 베이스(12)에 횡부재(14)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커플러(15)를 도시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10)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커플러(15)는 횡부재(14)의 구멍(64) 및 베이스(12)의 구멍을 통하여 수용된다. 커플러(15)가 수용되는 베이스(12)의 구멍은 홈(62f) 및 프레임(36)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플러(15)는 베이스(12)에 횡부재(14)를 결합하는 것을 돕도록 활용된다. 또한, 풋 커플러(34)는 발 부분(20d) 및 (30a) 상에 장착되고, 풋 커플러(35)는 발 부분(20c) 및 (30b) 상에 장착된다.
도 5c는 커플러(15) 및 풋 커플러(34-35)가 베이스(12) 및 횡부재(14)에 연결될 때의 모듈형 가구 조립체(10)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플러(12)가 베이스(12) 및 횡부재(14)에 연결될 때, 커플러(12)는 프레임(36)의 실질적으로 편평한 부분들과 프레임(66)의 실질적으로 편평한 부분들을 샌드위치시킨다. 커플러(15)는 베이스(12) 및 횡부재(14)에 연결될 때 구멍(64) 및 홈(62f) 내에 수용된다. 풋 커플러(35)는 또한 횡부재(14)의 발 부분(30b) 및 베이스(12)의 발 부분(20c)이 풋 커플러(35) 내에 수용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된다.
모듈형 가구 조립체(10)는 베이스(12), 횡부재(14), 커플러(15) 및 풋 커플러(34-35)를 활용함으로써 빠르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플러(15) 및 풋 커플러(34-35) 제거의 용이함은 소비자로 하여금 모듈형 가구 조립체(10)의 이송 및/또는 포장을 위하여 모듈형 가구 조립체(10)를 쉽게 분해 또는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소비자는 베이스(12), 횡부재(14), 커플러(15), 다수개의 풋 커플러(34-35)를 구매하여, 의자처럼 등부분과 베이스 부분을 갖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들을 조립할 수 있다. 소비자는 베이스(12)를 횡부재(14)에 인접하여 위치시키고, 커플러(15)를 삽입함으로써, 횡부재(14)의 프레임과 베이스(12)의 프레임을 맞물리게 하고, 풋 커플러(34-35)를 베이스(12) 및 횡부재(14)의 대향 측부의 발 부분 위로 위치시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락 의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모듈형 가구 조립체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소비자가 상기 의자를 이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의자는 상기 커플러 및 풋 커플러를 제거함으로써 쉽게 분해되고, 따라서 가구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편리하게 이송 및 재조립될 수 있는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된다.
가구 조립체의 이송과 관련하여 소비자에게 이어진 바와 동일한 장점들은 선적 및 포장에도 이어진다. 예를 들면, 모듈형 가구 조립체의 제조업자는 횡부재를 베이스와 따로 떼어서 포장할 수 있다. 횡부재 및 베이스의 균일한 사각형 형상은 횡부재 및 베이스의 포장 및 선적을 용이하게 한다. 베이스(12) 및 횡부재(14)를 사용함으로써, 제조업자 및/또는 소매업자는 방대한 수의 2가지 유형의 가구 부분을 제작, 보관 및 선적할 수 있으므로, 제조, 선적, 보관 과정이 매우 효율적으로 된다. 또한, 발 부분이 횡부재 및 베이스 상에 나사 결합되면, 상기 발 부분은 횡부재 및 베이스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고 또한 쉽게 재부착될 수 있어서 횡부재 및 베이스 선적 및 그 형상의 균일성을 도모하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i는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12) 및 횡부재(14)를 이용하는 가구 조립체의 상이한 구조들을 경우에 따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6a 내지 도 6j에 도시된 베이스들(12) 각각은 도시된 나머지 베이스(12) 각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가지므로 베이스(12)는 상호 교환이 가능하고, 도 6a 내지 도 6j에 도시된 횡부재(14) 각각은 나머지 횡부재(14) 각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가지므로 횡부재(14) 또한 상호 교환이 가능하다.
도 6a는 오토만을 형성하기 위하여 베이스(12)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6b는 벤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것으로, 2개의 베이스(12)가 벤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함께 사용 및 결합된다. 도 6c는 팔걸이 의자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3개의 횡부재들(14)은 의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베이스(12)와 연계되어 사용된다. 도 6d는 함께 결합된 2개의 베이스(12) 및 2개의 횡부재(14)에 의하여 형성되는 셰이즈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j에 도시된 가구 구조 각각에는 적당한 수의 커플러(15)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12)를 베이스(12)에 결합하여 도 6b의 벤치를 형성하는 데에는 단일의 커플러(15)를 사용할 수 있다. 양자택일적으로, 도 6b의 벤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베이스(12)를 베이스(12)에 결합하는 데에 제 1 및 제 2 커플러(15)가 사용된다. 도 6c의 의자를 형성하는 데에는 각각의 횡부재들(14)을 베이스(12)에 결합하기 위하여 제 1, 제 2 및 제 3 커플러(15)가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6d의 셰이즈에는 베이스(12)를 베이스(12)에 결합하기 위하여 단일의 커플러(15)가 사용되고, 각각의 횡부재들(14)을 베이스들(12) 중 하나에 결합하는 데에는 제 2 및 제 3 커플러(15)가 사용된다. 도 6e 내지 도 6j에 도시된 조립체들도 마찬가지로 원하는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베이스들(12)과 횡부재들(14)을 결합하기 위하여 커플러(15)를 사용하는 바와 같이 커플러들의 사용을 통하여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도 6e는 2개의 베이스들(12)과 4개의 횡부재들(14)로부터 형성되는 소파를 도시한다. 도 6f는 함께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2개의 베이스들(12)과 4개의 횡부재들(14)이 사용되는 딥 러브 시트(deep love seat)를 도시한다. 도 6g는 6개의 베이스들(12)과 이에 결합된 7개의 횡부재들(14)을 갖는 조립식 가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6h는 4개의 베이스들(12)과 4개의 횡부재들(14)이 사용되는 트위스터 디자인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6i는 플레이펜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베이스들(12)과 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8개의 횡부재들(14)가 사용된 플레이펜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6j는 침대의 구조를 도시하는데, 여기에서 6개의 베이스들(12)은 침대를 형성하기 위하여 함께 결합되고 2개의 횡부재들(14)은 침대의 헤드보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들(12) 중 2개에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6개의 베이스들(12)은 사용자가 그 위에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구조로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커플러(15)는, 도 6a 내지 도 6j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각의 베이스(12)와 횡부재(14) 및/또는 다른 베이스(12) 사이의 연결을 위하여 이용된다.
도 7은 베이스(112)의 양자택일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레임(136)은 지지 부재(158)가 각진 구조로 된다. 지지 부재(158)의 각짐은 사용자가 베이스(112) 상에 앉아 있는 동안 자연스럽게 몸이 기울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쿠션 부재(140e)는 플러쉬 상부 표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프레임 조립체(116)의 오목부(144) 내에 수용되는 구조로 된 쐐기형 발포편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쿠션(118)은 그 위에 앉는 사용자가 기댈 수 있도록 쿠션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발포편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쿠션(118)은 사각형 입체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쐐기형 발포편(120) 및 제 1 쐐기형 발포편(120)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 2 쐐기형 발포편(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그 위에 앉을 수 있는 쿠션(118)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2 쐐기형 발포편(122) 상에는 메모리폼 층(124)이 위치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바와 같이, 메모리폼 층(124)은 베이스(112) 위에 앉는 사용자에게 추가의 안락함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쿠션(118) 위에 앉을 때와 같이 압력이 가해질 때 제 2 발포편(122)이 더한 안락함을 제공토록 하기 위하여 제 1 발포편(120)은 제 2 발포편(122)보다 더 조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2개의 발포 쐐기(120),(122)의 조밀도에 차이가 있는 것은 소비자가 쿠션(118) 위에 앉을 때 소비자의 몸이 자연스럽게 기울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베이스 및 다양한 커플러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베이스(212)는 프레임(236) 및 프레임(236) 상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장착판(261)을 갖는 프레임 조립체(216)로 이루어진다. 프레임(236)은 쿠션이나 쿠션 부재를 위에 장착할 수 있는 지지 부재(258)로 이루어진다. 지지 부재(258)는 단단하고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으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258)는 홈을 갖지 않는다. 커플러(15)가 베이스(212)와 함께 사용될 때, 커플러(15)의 제 1 단부(15a)는 지지 부재(258)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짧게 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12) 및 베이스(212)는 동일한 가구 조립체에 사용될 수 있다.
장착판(261)은 커플러(15), 플레어형 커플러(flared coupler, 215) 및/또는 래치형 커플러(ratcheting coupler, 217)를 이용하여 베이스(212)를 횡부재(14)에 간편하게 수동으로, 착탈가능토록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위치된 실질적으로 편평한 강화 표면이다. 장착판(261)은 베이스(12)에 대하여 홈(62a-f)이 위치되는 바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프레임(236)의 둘레를 따라 위치된다. 베이스(212)의 둘레를 따라 장착판(261)을 각각 위치시키는 것은 원하는 가구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베이스(212)에 대하여 횡부재(14)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장착판(261)은 프레임(236) 및/또는 횡부재(14)의 내부 표면 상에 장착된다.
플레어형 커플러(215)는 서로에 대하여 외측으로 만곡되어 종료되는 플레어 단부를 갖는 U-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어 단부는 커플러(215)를 횡부재(14) 및 베이스(212) 내에 삽입하는 것을 돕도록 만곡된다. 플레어형 커플러(215)는, 도 6b 내지 도 6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5)가 베이스(212)를 횡부재(14) 및/또는 다른 베이스(212)에 수동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바와 동일 및 유사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플레어형 커플러(215)의 다리부의 길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될 수 있고, 또는, 예를 들면, 상이하게 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래치형 커플러(217)는 베이스(212)를 횡부재(14)에 수동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제 1 부(217a), 제 2 부(217b), 및 래치부(217c)로 이루어진다. 제 1 부(217a)는 선택적으로 래치부(217c)에 의하여 그 내부에 안착되어 수용될 수 있는 구조로 된다. 래치부(217c)는 제 2 부(217b)와 결합되고, 내부에 제 1 부(217a)를 선택적으로 수용 및 안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된다. 래치부(217c)는 또한 래치부(217c)가 구동될 때 래치부(217c) 내부에서 제 1 부(217a)가 전진하도록 하는 구조로 된다. 래치부(217c)는 또한 소비자가 제 1 부(217a)를 제 2 부(217b)로부터 빠르고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래치부(217c)로부터 제 1 부(217a)를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구조로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부(217a)는 베이스(212)에 결합되고, 제 2 부(217b)는 횡부재(14)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제 1 부(217a)는 임의의 장착판(261)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 1 부(217a)는 베이스(212)를 횡부재(14)에 수동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제 2 부(217b)에 안착된다. 래치형 커플러(217)은 베이스(12)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래치형 커플러(217) 유형에 대한 유용한 예로는 주로 스노우보드 바인딩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커플러가 있다. 주로 스노우보드 바인딩과 함께 이용되는 래치형 커플러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홈을 갖는 제 1 스트랩, 및 이에 결합되는 래치형 메커니즘을 갖는 연합의 제 2 스트랩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스트랩은 상기 래치형 메커니즘에 의하여 그 내부에 안착되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래치형 메커니즘은 레버를 포함하는데, 이 레버를 잡아 구동시키면 레버는 상기 제 1 스트랩 내의 홈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래치형 메커니즘 내로 상기 제 1 스트랩을 전진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래치형 메커니즘으로부터 상기 제 1 스트랩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버튼이나 레버를 구동하는 바와 같이, 상기 래치형 메커니즘으로부터 상기 제 1 스트랩을 해제하기 위하여 버튼이나 추가의 레버 같은 수단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제 1 스트랩은 상기 제 2 스트랩에 안착된다.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커플러나 기타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프레임(236)에 연결된 보관실(257)을 이용할 수 있다. 보관실(257)은 그 내부에 다수의 다양한 커플러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 및 구조로 될 수 있다. 보관실(257)은 지지 부재(258) 내에 형성되는 트랩 도어(259)를 사용함으로써 폐쇄가능하다. 보관실(257)은 소비자의 물품 및/또는 가구 조립체와 관련된 철물들 중 일부를 보관하기 위한 유용하고 편리한 보관 영역을 제공한다. 커플러(15), 플레어형 커플러(215), 레그 커플러(34-35) 및 래치형 커플러(217)는 베이스(212)(또는 12)를 횡부재(14) 및/또는 다른 베이스(212)(또는 12)에 수동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커플러의 예이다.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 요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수동의, 착탈가능한 결합을 위한 다양한 유형 및 구조의 커플러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커플러는 기계적인 후크 및 래치 시스템으로 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커플러는 시계에 사용되는 걸쇠와 같은 걸쇠로 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커플러는 여러 가지 상이한 유형의 빠른 해제 시스템으로 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커플러는 다수개의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커플러는 스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커플러는 스트랩 및 버클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트랩의 일단부는 횡부재(14)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스트랩의 타단부는 그에 결합된 버클의 암부(female portion)를 갖는다. 제 2 스트랩의 일단부는 베이스(12)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버클의 수부(male portion) 내에 미끄러짐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수부가 상기 암부 내에 수용될 때 상기 제 2 스트랩이 잡아당겨져 그 편들을 함께 조일 수 있다.
도 9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10)의 개략적인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듈형 가구 조립체(10)는 베이스(12) 및 횡부재(14)로 이루어진다. 상술된 바와 같이, 베이스(12)는 베이스(12) 아래쪽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발 부분(20a-d)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횡부재(14)는 횡부재(14)의 아래쪽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발 부분(30a-b)을 포함한다. 베이스(12)의 발 부분(20a-d) 및 횡부재(14)의 발 부분(30a-b)은 베이스(12)를 횡부재(1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서로에 대하여 위치된다.
베이스(12)의 측부 또는 인접 표면(26a-d)에 대해서 및 횡부재(14)의 발 부분(30a-b)에 대해서 베이스(12)의 발 부분(20a-d)의 위치 사이에는 특정 관계식이 존재한다. 이 특정 관계식은 여러 가지 상이한 유형 및 구조의 가구 조립체를 빠르고 쉽게 저렴한 방식으로 형성하기 위한 능력을 도모한다. 예를 들면, 베이스에 대한 발 부분(20a-d) 및 횡부재(14)에 대한 발 부분(30a-b)의 위치는 여러 가지 상이한 유형 및 구조의 가구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규격화된 풋 커플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베이스(12)의 발 부분(20a-d)은 베이스(12)의 각각의 인접 측부로부터 이격거리(o)만큼 이격된다. 예를 들면, 베이스(12)의 발 부분(20b)은 인접 표면(26b) 및 인접 표면(26c)으로부터 상기 이격거리(o)만큼 이격되는데, 인접 표면(26b)으로부터 발 부분(20b)의 중앙까지의 거리는 상기 이격 거리(o)이고, 인접 표면(26c)으로부터 발 부분(20b)의 중앙까지의 거리는 상기 이격 거리(o)이다. 베이스(12)의 발 부분(20b)과 마찬가지로, 발 부분(20a)은 인접 표면(26b)으로부터 상기 이격 거리(o)로 이격되고, 인접 표면(26a)으로부터 상기 이격 거리(o)로 이격된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베이스(12)의 발 부분(20c)은 인접 표면(26c) 및 (26d)로부터 상기 이격 거리(o)로 이격되고, 베이스(12)의 발 부분(20d)은 인접 표면(26a) 및 (26d)로부터 상기 이격 거리(o)로 이격된다. 베이스(12)의 발 부분(20a-d)과 마찬가지로, 횡부재의 발 부분(30a-b)은 각각의 인접 측부로부터 상기 이격 거리(o)로 이격되어, 발 부분(30a-b)은 실질적으로 횡부재(14)의 앞뒤 표면의 중앙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1, 도 5, 도 6, 도 8, 도 9,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2)가 횡부재(14)에 대하여 위치될 때, 상기 이격 거리(o)와, 예를 들면, 베이스(12)의 발 부분(20c)과 횡부재(14)의 발 부분(30b) 사이의 거리 사이에는 특정의 관계식이 존재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베이스(12)의 발 부분(20c)과 횡부재(14)의 발 부분(30b) 사이의 거리는 (A)로 표시된다. 여기에서, 베이스(12)의 발 부분(20c) 중앙과 횡부재(14)의 발 부분(30b) 중앙 사이의 거리는 상기 거리(A)와 동일하며, 이는 상기 이격 거리(o)의 2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이격 거리(o)와 상기 횡부재(14)의 발 부분(30)과 베이스(12)의 발 부분(20) 사이의 거리 사이의 관계식은 베이스(12)를 횡부재(1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도울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다수개의 베이스 및 다수개의 횡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유형 및 구조의 가구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 및 횡부재 상의 발 부분의 위치 사이의 관계식은 다양한 유형 및 구조의 가구 조립체를 형성하는 데에 다수개의 베이스 및 다수개의 횡부재와 연계하여 규격화된 풋 커플러(즉, 풋 커플러(34),(34a))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횡부재(14)의 폭(z)이 상기 이격 거리(o)의 2배 및 상기 거리(A)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이 도시된다. 자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베이스의 프레임에 적용되는 발포 또는 패딩은 두께가 다소 달라질 수 있다.
도 10은 풋 커플러(34),(34a)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풋 커플러(34) 구멍(74a)의 중심과 풋 커플러(34) 구멍(74b)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A)로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A)는 상기 이격 거리(o)의 2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풋 커플러(34a)의 구멍(74a)의 중심과 풋 커플러(34a)의 구멍(74b)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거리(A)이다. 마찬가지로, 풋 커플러(34a)의 구멍(74b) 및 (74c)의 중심들 사이의 거리는 거리(A)이고, 구멍(74c) 및 (74d)의 중심들 사이의 거리는 거리(A)이고, 구멍(74d) 및 (74a)의 중심들 사이의 거리는 거리(A)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멍의 규격화된 간격은 본 발명에 의하여 다양한 유형 및 구조의 가구 조립체를 형성하는 데에 규격화된 커플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규격화된 풋 커플러로서 다양한 크기 및 구조의 풋 커플러를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가구 조립체의 경우에서와 같이, 풋 커플러가 베이스의 발 부분을 횡부재의 발 부분에 결합하기에 충분하도록 3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풋 커플러는 또한: (i) 제 1 횡부재의 발 부분을 베이스의 발 부분에, (ii) 제 2 횡부재의 발 부분을 상기 베이스의 상기 발 부분에, 그리고 (iii) 상기 제 1 횡부재의 상기 발 부분을 상기 제 2 횡부재의 상기 발 부분에 연결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도 11은 단일의 베이스(12) 및 베이스(12)에 연결되는 3개의 횡부재(14a-c)를 갖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를 나타낸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및/또는 횡부재 중의 어느 하나의 각 측부에 대한 발 부분의 위치 사이의 관계식은 다양한 유형의 가구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규격화된 풋 커플러(34),(34a)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4개의 구멍을 갖는 2개의 풋 커플러 및 2개의 구멍을 갖는 2개의 풋 커플러를 사용한다.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 요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풋 커플러(34)는 4개의 구멍을 갖는 풋 커플러(34a)로 대체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횡부재를 베이스에 대하여 위치시킬 때, 풋 커플러는 횡부재를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돕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 베이스(12)의 발 부분(20a)은 풋 커플러(34)의 구멍(74b) 내에 수용되고, 횡부재(14c)의 발 부분(30a)은 풋 커플러(34)의 구멍(74a) 내에 수용된다. 마찬가지로, 발 부분(20b)은 커플러(34)의 구멍(74a) 내에 수용되고, 횡부재(14a)의 발 부분(30a)은 풋 커플러(34)의 구멍(74b) 내에 수용된다. 베이스(12)의 발 부분(20c)은 풋 커플러(34a)의 구멍(74b) 내에 수용되고, 횡부재(14b)의 발 부분(30b)은 풋 커플러(34a)의 구멍(74a) 내에 수용되며, 횡부재(14a)의 발 부분(30b)은 풋 커플러(34a)의 구멍(74d) 내에 수용된다. 비슷한 방식으로, 베이스(12)의 발 부분(20d)은 풋 커플러(34a)의 구멍(74c) 내에 수용되고, 횡부재(14b)의 발 부분(30a)은 풋 커플러(34a)의 구멍(74d) 내에 수용되며, 횡부재(14c)의 발 부분(30b)은 풋 커플러(34a)의 구멍(74a) 내에 수용된다.
도 12는 횡부재(14)의 구멍(64)에 대한 홈(62)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모듈형 가구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인접 표면(26a)와 홈(62f)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거리(B)로 표시된다. 베이스 내에 홈을 위치시키는 것은 다양한 유형 및 구조의 가구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횡부재(들)을 베이스에 대하여 쉽고 편리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돕는다. 더욱이, 홈(62e)의 중심과 베이스(12)의 인접 표면(26b) 사이의 거리는 거리(B)이며, 홈(62d)의 중심과 인접 표면(26d) 사이의 거리는 상기 거리(B)이다. 비슷한 방식으로, 횡부재의 구멍(64)은 횡부재(14)의 길이(x')의 대략 중앙에 위치되어, 구멍(64)의 중심과 횡부재(14)의 측부 표면 사이의 거리는 거리(B)이다. 횡부재의 길이(x')는 상기 거리(B)의 2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홈(62)을 포함하는 상기 지지 부재는 목재 또는 합성재로 된 시트와 같은 단단한 재료편으로 이루어진다. 양자택일적으로, 상기 지지 부재는 다수개의 스프링에 의하여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는 섬유 조각과 같은 물질의 조각으로 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베이스의 프레임에 상기 재료를 연결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위에 앉을 때 스프링의 탄성으로 인하여 더욱 안락한 표면을 제공받도록 한다.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은 베이스 위에 앉는 사용자의 상이한 체중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 및 구조로 된다. 또한, 다수개의 스프링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위에 앉을 때 상기 지지 부재에 탄성을 더할 수 있고, 스프링의 수는 사용자의 상이한 체중을 수용하기 위하여 조정될 수 있다.
도 13은 커플러(15) 및 풋 커플러(35)를 사용하여 횡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12)의 절취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베이스(12)는 횡부재(14)에 대하여 인접하여 위치된다. 풋 커플러(35)는 횡부재(14)의 바닥부를 베이스(12)의 바닥부에 결합한다. 횡부재(14)의 발 부분(30b) 및 베이스의 발 부분(20c)를 내부에 수용하는 풋 커플러(35)를 사용함으로써, 횡부재(12)의 상부가 (D')로 표시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실질적으로 감소 또는 방지된다.
예를 들면, 횡부재(14) 상부의 (D') 방향 이동은 횡부재 및 베이스의 프레임에 부분적으로 기인하여 실질적으로 감소 또는 방지된다. 예를 들면, 내부에 발 부분(30b),(20c)을 수용하는 풋 커플러(35)는 베이스의 바닥부를 횡부재의 바닥부에 실질적으로 안착시킨다. 베이스 및 횡부재의 바닥부가 실질적으로 함께 안착되고 횡부재가 베이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할 때, 횡부재 상부의 (D') 방향 이동은 횡부재의 프레임과 베이스의 프레임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제한된다. 그러나, 자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 및 횡부재를 에워싸는 데에 이용되는 쿠션 부재(들)의 압축 결과에 따라, 횡부재(14)의 상부는 (D') 방향으로 최소한의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횡부재의 상부가 (D') 방향으로 이동하면, 횡부재(14) 및 베이스(12)의 프레임 각각은 서로 접촉하여 이동에 저항한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5)가 위치되지 않은 경우, 횡부재의 상부는 (D)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커플러(15)는 풋 커플러(35)와 같은 방식으로 (즉, 횡부재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횡부재(14)에 대하여 횡부재의 상부가 (D')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한다.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바와 같이, 풋 커플러(34a) 또는 (35)는 풋 커플러(35)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다수개의 횡부재를 사용하여 의자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방향 (D) 및 (D')는 각각의 횡부재에 대하여 구체화되는 것으로, 제 1 횡부재의 방향(D')은 제 2 횡부재의 방향(D)과 동일한 방향으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횡부재가 베이스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경우 그러하다.
본 발명은 그의 기본 요지 및 근본적인 특성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기타의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관점에서 예시적으로 고려될 뿐 제한적으로 인식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제시된다. 상기 청구의 범위의 등가물의 의미 및 범위 내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모듈형 가구 조립체 12 : 베이스
14 : 횡부재 15 : 커플러
16 : 프레임 조립체 18 : 쿠션
20a-d : 발 부분 28 : 인접 표면
34 : 커플러 26a-d : 인접 표면

Claims (31)

  1.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아래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발로 구성되는 베이스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발은 상기 베이스가 놓여지는 바닥 위로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들어올리고, 상기 프레임 조립체는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 조립체를 포함하는 횡부재로서, 상기 횡부재는 상기 횡부재의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아래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발을 포함하고, 상기 횡부재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발은 상기 바닥 위로 상기 횡부재의 상기 프레임 조립체를 들어올리고,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갖는 횡부재; 및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횡부재가 상기 바닥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횡부재의 상기 구멍들이 일렬로 되었을 때 상기 횡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로서, 상기 횡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제 1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제 1 가구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횡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제 2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제 2 가구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는 커플러로 구성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로서,
    상기 커플러는 하방으로 밀어져 상기 횡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결합시키므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횡부재가 수직 방향으로 상기 바닥에 배치될 때 상기 커플러가 삽입 또는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횡부재의 편평한 부분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편평한 부분으로 구성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부재와 상기 베이스 각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제 1 및 제 2의 제거 가능한 라이너를 더 포함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부재는 세로축이 지지 표면의 평면을 가로지르도록 위치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부재는 등받이 또는 팔걸이가 될 수 있도록 위치될 수 있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횡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된 하나 이상의 풋 커플러를 포함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7. 베이스;
    횡부재; 및
    상기 횡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로 구성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로서,
    상기 횡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제 1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제 1 가구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횡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제 2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제 2 가구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커플러는 래치형 커플러로 구성되며, 상기 래치형 커플러의 일부분은 상기 횡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래치형 커플러의 타 부분은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커플러의 상기 부분들 각각이 함께 연결됨에 따라 상기 횡부재와 베이스가 결합되도록 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횡부재의 일부분과 상기 베이스의 일부분을 U-형 부재 사이로 샌드위치시키는 U-형 부재로 구성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횡부재가 적어도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횡부재가 적어도 제 2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커플러로 더 구성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횡부재는 정의된 공간 관계식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의 길이(x)는 상기 베이스의 폭(y)과 상기 횡부재의 폭(z)의 합과 동일한 모듈형 가구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i) 베이스들의 상호 교환이 가능하도록 제 1 베이스 부재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 2 베이스; 및 (ii) 상기 횡부재들의 상호 교환이 가능하도록 제 1 횡부재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 2 횡부재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여러 가지 상이한 가구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횡부재들의 상호 교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횡부재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 3 횡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횡부재가 각각 등받이 및 팔걸이 중 하나 이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프레임 조립체에 장착되는 쿠션으로 구성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다른 종류의 쿠션 재질로 구성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의 적어도 일부는 메모리 폼(memory foam)으로 구성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서로 다른 밀도를 갖는 제 1 및 제 2 폼 부재로 구성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18. 길이(x)와 폭(y)을 갖는 구조로 된 베이스;
    길이(x')와 폭(z)을 갖는 구조로 된 횡부재로 구성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로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횡부재는 정의된 공간 관계식을 가지며, 상기 정의된 공간 관계식은
    상기 베이스의 길이(x)가 상기 횡부재의 길이(x')와 동일하고,
    상기 베이스의 길이(x)가 상기 베이스의 폭(y)과 상기 횡부재의 폭(z)의 합과 동일하여 상이한 가구 구조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횡부재는 정의된 공간 관계식을 가지며, 상기 횡부재의 길이(x')는 상기 베이스의 폭(y)과 상기 횡부재의 폭(z)의 합과 동일한 모듈형 가구 조립체.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횡부재의 높이(h')는 상기 베이스의 높이(h)보다 더 큰 모듈형 가구 조립체.
  21. 앉아 있는 동안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구조로 되고, 복수의 인접 표면 및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갖는 베이스;
    하나의 인접 표면 및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갖는 횡부재로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인접 표면들과 상기 횡부재의 상기 인접 표면은 상기 베이스가 상기 횡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맞추어지며, 상기 횡부재의 인접 표면은 상기 베이스가 상기 횡부재와 인접 관계로 배치될 때 상기 베이스의 상기 인접 표면들 중 하나 이상과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 횡부재; 및
    상기 횡부재의 상기 인접 표면 및 상기 구멍이 상기 베이스의 하나의 인접표면 및 구멍과 각각 일렬로 되었을 때 상기 베이스를 상기 횡부재에 수동으로 착탈가능하게 수동으로 결합시키는 커플러로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횡부재는 바닥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가 제 1 위치에서 상기 횡부재에 수동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가 제 2 위치에서 상기 횡부재에 수동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커플러는 하방으로 밀어져서 상기 횡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횡부재가 수직 방향으로 상기 바닥에 배치될 때 상기 커플러가 삽입 또는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커플러로 구성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횡부재는 정의된 공간 관계식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의 길이(x)는 상기 베이스의 폭(y)과 상기 횡부재의 폭(z)의 합과 동일한 모듈형 가구 조립체.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인접 표면은 편평한 표면으로 구성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부재의 상기 인접 표면은 편평한 표면으로 구성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인접 표면은 상기 베이스의 편평한 표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횡부재의 상기 인접 표면은 상기 횡부재의 편평한 표면으로 구성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는 일부분과 상기 횡부재와 연결되는 타부분을 갖는 2-부분 커플러로 구성되며, 상기 커플러의 부분들은 서로 수동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27.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아래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발로 구성되는 베이스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발은 상기 베이스가 놓여지는 바닥 위로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들어올리는 베이스;
    제 1 횡부재;
    제 2 횡부재;
    제 3 횡부재로서, 상기 횡부재들은 상호 교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횡부재 각각이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횡부재 각각은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횡부재의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아래쪽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발을 포함하고, 상기 횡부재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발은 상기 바닥 위로 상기 횡부재의 상기 프레임 조립체를 들어올리는, 제 3 횡부재;
    상기 제 1 횡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 1 커플러;
    상기 제 2 횡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 2 커플러; 및
    상기 제 3 횡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켜 의자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발을 상기 제 3 횡부재의 상기 하나 이상의 발에 결합시키는 제 3 커플러로 구성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횡부재는 정의된 공간 관계식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의 길이(x)가 상기 베이스의 폭(y)과 상기 제 1 횡부재의 폭(z)의 합과 동일한 모듈형 가구 조립체.
  29. 길이(x)와 폭(y)을 갖는 제 1 베이스;
    베이스들이 상호 교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베이스와 동일한 수치를 갖는 제 2 베이스;
    길이(x')와 폭(z)을 갖는 제 1 횡부재;
    제 2 횡부재;
    제 3 횡부재; 및
    제 4 횡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횡부재 각각은 동일한 수치를 가져서 상기 횡부재들은 상호 교환이 가능한 모듈형 소파 조립체로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x)가 상기 제 1 횡부재의 길이(x')와 동일하고,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x)가 상기 베이스의 폭(y)과 상기 제 1 횡부재의 폭(z)의 합과 동일하여, 상기 베이스들과 상기 횡부재들은 제 1 위치에 배치되어 제 1 소파 조립체를 형성하며, 제 2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소파 조립체와 다른 구조를 갖는 제 2 소파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는 모듈형 소파 조립체.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를 결합시키는 구조로 된 제 1 U-형 커플러; 및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횡부재 각각을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 중 하나 이상에 결합시키는 구조로 된 제 2, 제 3, 제 4 및 제 5 U-형 커플러로 더 구성되는 모듈형 소파 조립체.
  31.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아래쪽에 결합되는 2개 이상의 발로 구성되는 베이스로서, 상기 2개 이상의 발은 상기 베이스가 놓여지는 바닥 위로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들어올리는 베이스;
    프레임 조립체 및 횡부재의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아래쪽에 결합되는 2개 이상의 발을 포함하고, 상기 횡부재의 상기 2개 이상의 발은 상기 바닥 위로 상기 횡부재의 상기 프레임 조립체를 들어올리는 횡부재;
    상기 횡부재가 적어도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베이스의 인접 표면을 상기 횡부재의 인접 표면에 결합시키는 제 1 커플러; 및
    상기 횡부재가 적어도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베이스의 하나 이상의 발 부분을 상기 횡부재의 하나 이상의 발 부분에 결합시키는 제 2 커플러로 구성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KR1020117013956A 2006-06-09 2006-06-09 모듈형 가구 조립체 KR201100885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6/022753 WO2006135855A2 (en) 2005-06-10 2006-06-09 Modular furniture assembl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932A Division KR101073748B1 (ko) 2005-06-10 2006-06-09 모듈형 가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576A true KR20110088576A (ko) 2011-08-03

Family

ID=4492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956A KR20110088576A (ko) 2006-06-09 2006-06-09 모듈형 가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85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299B1 (ko) * 2013-06-24 2013-09-27 윤정혜 커버 탈착이 용이한 소파
KR101500621B1 (ko) * 2013-11-29 2015-03-18 주식회사 지누스 경성 플라스틱의 공동의 쉘 주위를 몰딩한 폼 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299B1 (ko) * 2013-06-24 2013-09-27 윤정혜 커버 탈착이 용이한 소파
KR101500621B1 (ko) * 2013-11-29 2015-03-18 주식회사 지누스 경성 플라스틱의 공동의 쉘 주위를 몰딩한 폼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748B1 (ko) 모듈형 가구 조립체
US11253073B2 (en) Modular furniture system with storage base
US9277826B2 (en) Mounting platform for modular furniture assembly
US6796614B1 (en) Modular furniture unit
US20050099052A1 (en) Stackable chair with modular slide-on seat back
KR20110088576A (ko) 모듈형 가구 조립체
NZ564041A (en) Modular furniture assembly
WO2023141742A1 (en) Headrest for furniture
KR200286427Y1 (ko) 분리 가능한 소파 팔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