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815A -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7815A
KR20110087815A KR1020100007426A KR20100007426A KR20110087815A KR 20110087815 A KR20110087815 A KR 20110087815A KR 1020100007426 A KR1020100007426 A KR 1020100007426A KR 20100007426 A KR20100007426 A KR 20100007426A KR 20110087815 A KR20110087815 A KR 20110087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power
voltag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8973B1 (ko
Inventor
송용종
송민종
Original Assignee
송용종
송민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용종, 송민종 filed Critical 송용종
Priority to KR1020100007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973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6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disposed in parallel l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브리지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입력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의 출력 전원에 의해 충전되거나 하기의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의해 방전하여 출력 전원을 승압/강압하는 인덕터; 상기 인덕터를 통해 승압 또는 강압된 전원을 평활하여 직류화하여 부하단에 전달하는 평활회로; 상기 평활회로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이 부하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한 크기로 유지되도록 스위칭 펄스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펄스를 받아 스위칭하여 상기 인덕터에 전류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발광다이오드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피드백부; 상기 평활회로에 직병렬로 연결되어 부하단에서 전원단으로 유입되는 역전압을 제거하고 신호 잡음, 충격전압, 외부 펄스를 제거하는 보호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

Description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Light emitting diode driving circuit}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장치로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부하단에서 유입되는 역전압이나 노이즈로부터 전원단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회로를 구비한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기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하는 조명 장치로는 백열등, 형광등 또는 할로겐 램프 등이 있으며 그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데, 백열등은 유리관 내부의 필라멘트에 전기 에너지가 가해지면 그것을 빛 에너지로 변화시켜 열 및 소비전력을 소비하는 구조이며, 형광등은 방전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전극에 전기에너지가 가해지면 방전관 내부의 각 원자와 전자가 산란을 하여 형광체에 빛을 발산시켜서 사용하는 조명기구이다.
백열등은 스위치를 단시간에 켰다 껐다 반복을 하여도 열에너지로 소비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에 큰 차이가 없지만 단점으로 많은 열이 발생하고, 그에 따른 화재의 위험이 따르며 소비전력이 크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면 비용이 많이 들고, 수명이 매우 짧아서 조명을 자주 바꿔줘야 하는 공수가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형광등은 쉽게 구매가 가능한 저가형으로 일반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단점으로는 백열등과 같이 장시간 사용시 고열이 발생하며 수명은 4,000 ~ 8,000시간 정도로 상대적으로 백열등보다 긴 편이지만 빈번하게 스위치를 켰다 껐다 반복하면 1회에 1시간 정도의 수명이 줄어들게 되어 형광램프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기존 조명 기구에 비하여 높은 신뢰성으로 수명이 길고 유지 보수비가 낮으며 소모 전력이 적어 새로운 조명 장치로서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조명장치가 관심을 끌고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반도체의 P-N접합구조를 이용하여 주입된 소수캐리어(전자 또는 정공)를 만들어내고 이들의 재결합에 의하여 빛에너지를 방출하는 반도체소자로서, 종래의 광원에 비해 소형이고 수명이 길며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직접 변환하기 때문에 발광효율이 높아서 자동차 계기류의 표시소자, 광통신용 광원 등 각종 전자기기의 표시용 램프, 숫자/문자/도형 표시장치, 조명장치, 카드판독기, 액정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직렬 또는 직병렬로 배열한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조명 또는 각종 표시장치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그 입력 전력 및 출력 밝기가 높아져 다양한 영역에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가 점차 고출력으로 변경됨에 따라 발광다이오드 부하단으로부터 전원단으로 역전압, 역전류 또는 노이즈가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드라이버 회로가 파손되거나 과도 상태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 동작 제어용 비절연성 반도체 집적회로를 보호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하단으로부터 전원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역전압이나 역전류 또는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광다이오드 램프가 동작할 때 80% 이상의 부하효율을 나타낼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는 브리지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입력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의 출력 전원에 의해 충전되거나 하기의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의해 방전하여 출력 전원을 승압/강압하는 인덕터; 상기 인덕터를 통해 승압 또는 강압된 전원을 평활하여 직류화하여 부하단에 전달하는 평활회로; 상기 평활회로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이 부하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한 크기로 유지되도록 스위칭 펄스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펄스를 받아 스위칭하여 상기 인덕터에 전류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발광다이오드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피드백부; 상기 평활회로에 직병렬로 연결되어 부하단에서 전원단으로 유입되는 역전압을 제거하고 신호 잡음, 충격전압, 외부 펄스를 제거하는 보호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의 다른 특징은 상기 보호회로가 상기 평활회로와 부하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 일단이 상기 평활회로와 제너다이오드의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1바리스터; 일단이 상기 제어부의 동작 전압 인입단자와 부하단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2바리스터; 및 일단이 상기 제너다이오드에 연결되고 타단이 피드백부에 연결된 제3바리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 제2바리스터의 허용전압이 제3바리스터의 허용전압보다 큰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 제2바리스터는 동일한 규격의 소자인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는 9~25V의 입력전압을 이용하여 40W의 출력을 갖는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구동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부하단으로부터 전원단으로 역전압이나 역전류가 인입되어 회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를 부하단의 역전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셋째, 전원단과 분전반에서 인입하는 각종 기기를 부하단의 역전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 회로(1)는 교류(AC) 전압을 인가받아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D1, LD2, …LDn)로 이루어지는 발광다이오드 그룹을 제어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 그룹은 드라이버 회로에 직렬로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들(LD1, LD2, …LDn)의 집합으로서, 동일하거나 상이한 색상의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는 입력전압 DC 9~25V을 이용하여 40W의 출력을 나타낼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기 위한 드라이버 구성회로로서 Boost-buck 회로를 이용하여 고휘도 발광다이오드에 응용이 가능한 회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는 브리지 다이오드(BD)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입력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10)와, 상기 정류부(10)의 출력 전원에 의해 충전되거나 하기의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의해 방전하여 출력 전원을 승압/강압하는 인덕터(L1)와, 상기 인덕터(L1)를 통해 승압 또는 강압된 전원을 평활하여 직류화하여 부하단에 전달하는 평활회로(20)와, 상기 평활회로(20)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이 부하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한 크기로 유지되도록 스위칭 펄스를 출력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의 스위칭 펄스를 받아 스위칭하여 상기 인덕터에 전류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1), 발광다이오드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를 상기 제어부(40)에 전달하는 피드백부(30)와, 상기 평활회로(20)에 직병렬로 연결되어 부하단에서 전원단으로 유입되는 역전압을 제거하고 신호 잡음, 충격전압, 외부 펄스를 제거하는 보호회로(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9~25V의 입력전압을 이용하여 40W의 출력을 갖는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정류부(10)는 브리지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커패시터(C1, C2, C3)와, 상기 커패시터(C2)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R4)과, 상기 저항(R4)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R1, R3)과, 상기 커패시터(C3)에 병렬로 연결된 다이오드(D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교류 입력 전원을 전파 정류하여 맥류 전원을 출력한다. 상기 저항(R4)은 출력전압의 파형을 감지하여 제어부(40)로 전달하는 동기화 저항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평활회로(20)는 커패시터(C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류부(10)에 의해 정류된 맥류 전원을 평활하여 직류화한다.
상기 다이오드(D1)에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L1)는 상기 정류부(10)로부터 출력되는 맥류 전원에 의해 전류를 일시적으로 충전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스위칭에 의해 충전된 전류를 방전하여 상기 정류부(10)의 출력 전원을 승압/강압하여 상기 평활회로(20)에 공급한다.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1)는 상기 인덕터(L1)에 드레인단이 연결되고, 제어부(40)에 게이트 단이 연결된 전계효과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40)는 저항(R5)을 통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 단자로 펄스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평활회로(20)를 통해 발광다이오드에 정전압 또는 정전류가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스위칭을 제어하며, 디밍(dimming)을 위한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 단자로 인가하는 신호의 펄스폭을 변조한다.
상기 디밍(dimming) 제어신호(d1, d2)는 제어부(40)에 전달되어 발광다이오드의 색상과 출력의 크기를 가변하기 위한 신호이다. 상기 제어부(40)에 연결된 커패시터(C8)는 상기 제어부(40)의 스위칭 동작의 기준이 되는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피드백부(30)는 커패시터(C6)에 병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D4)와 다수의 저항(R9, R10, R11)으로 이루어지며, 발광다이오드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를 상기 제어부(40)에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40)가 피드백 받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1)에 인가하는 펄스 신호의 펄스 폭을 제어한다.
상기 보호회로(100)는 상기 평활회로(20)를 이루는 커패시터(C4)와 부하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1)와, 일단이 상기 커패시터(C4)와 제너다이오드(ZD1)의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1바리스터(VX1)와, 일단이 저항(R2)를 통해 상기 제어부(40)의 동작 전압 인입단자(Vin)와 부하단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2바리스터(VX2)와, 일단이 상기 제너다이오드(ZD1)와 코일(L2)의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피드백부에 연결된 제3바리스터(VX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리스터(VX1, VX2, VX3)의 종류로는 가해지는 전압의 극성에 관계없이, 전압의 크기에 의해 저항이 정해지는 대칭형 바리스터와, 가해지는 전압의 극성에 의해서 달라지는 비대칭형 바리스터로 구분되는데, 서지전압(surge voltage)으로부터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를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너다이오드(ZD1)는 부하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역전압이 평활회로(20)를 거쳐 제어부(40)나 스위칭 트랜지스터(Q1)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1바리스터(VX1)은 상기 제너다이오드(ZD1)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역전압이나 역전류를 접지로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제2바리스터(VX2)는 피드백부(30)의 저항(R7)과 다이오드(D2)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역전압이나 역전류가 제어부(40)나 스위칭 트랜지스터(Q1)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제3바리스터(VX3)는 코일(L2)을 경유하여 피드백부(30)의 저항(R9, R10)을 통해 제어부(40)로 전달되는 역전압이나 역전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제2바리스터(VX1, VX2)는 동일한 규격(05D560K)을 가지며 그 허용전압(allowable voltage)은 AC 35V, DC 45V로써 제3바리스터(VX3)(05D470K)의 허용전압 AC 30V, DC 38V보다 크다.
상기 보호회로(100)는 부하단에서 전원단으로 역류하는 전압과 전류를 제거하기 위하여 일정전압과 특정전류를 차단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를 보호하고 궁극적으로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물론 전원단과 분전반에서 인입하는 각종기기를 보호할 수 있으며, 입출력이 전압, 전류 또는 외부의 노이즈에 의하여 회로가 파손되거나 과도 상태에 따라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위험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즉, 부하단 회로 부분으로부터 쇼트(short)나 잡음(noise) 등이 유입되었을 때, 다수의 바리스터(VX1, VX2, VX3)와 제너다이오드(ZD1)의 동작에 의해 전원단으로 역류하는 전압이나 전류를 제거할 수 있으며,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가 동작하였을 때, 80%이상의 부하효율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구조를 갖는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정류부 20: 평활회로
30: 피드백부 40: 제어부
100: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

Claims (5)

  1. 브리지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입력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의 출력 전원에 의해 충전되거나 하기의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의해 방전하여 출력 전원을 승압/강압하는 인덕터;
    상기 인덕터를 통해 승압 또는 강압된 전원을 평활하여 직류화하여 부하단에 전달하는 평활회로;
    상기 평활회로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이 부하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한 크기로 유지되도록 스위칭 펄스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펄스를 받아 스위칭하여 상기 인덕터에 전류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발광다이오드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피드백부;
    상기 평활회로에 직·병렬로 연결되어 부하단에서 전원단으로 유입되는 역전압을 제거하고 신호 잡음, 충격전압, 외부 펄스를 제거하는 보호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는,
    상기 평활회로와 부하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
    일단이 상기 평활회로와 제너다이오드의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1바리스터;
    일단이 상기 제어부의 동작 전압 인입단자와 부하단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2바리스터;
    일단이 상기 제너다이오드에 연결되고 타단이 피드백부에 연결된 제3바리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바리스터의 허용전압이 제3바리스터의 허용전압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바리스터는 동일한 규격의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는 9~25V의 입력전압을 이용하여 40W의 출력을 갖는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
KR1020100007426A 2010-01-27 2010-01-27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 KR101078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426A KR101078973B1 (ko) 2010-01-27 2010-01-27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426A KR101078973B1 (ko) 2010-01-27 2010-01-27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815A true KR20110087815A (ko) 2011-08-03
KR101078973B1 KR101078973B1 (ko) 2011-11-01

Family

ID=44926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426A KR101078973B1 (ko) 2010-01-27 2010-01-27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97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47686B1 (en) 1999-07-07 2004-01-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lyback converter as led driver
KR100426647B1 (ko) 2001-08-31 2004-04-14 (주)라인 음극예열전류 제어회로를 내장한 전자식 안정기
KR100992167B1 (ko) 2008-06-27 2010-11-05 (주)한국엘에스아이 고역률 및 조도조절이 가능한 엘이디 램프 제어장치
KR100866586B1 (ko) 2008-07-29 2008-11-03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엘이디를 이용한 형광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8973B1 (ko) 201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8542B2 (en) Ballast circuit for LED lamp
JP4952292B2 (ja) Led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システム
US20120256550A1 (en) Led driving circuit
RU2628007C2 (ru) Светоизлу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на белых светодиодах, возбуждаемое непосредственно постоянным током наподобие питания переменным током
CN106465503B (zh) 使用开关电路的led灯
WO2020001262A1 (zh) Led驱动控制器、led驱动电路及led发光装置
US10602597B1 (en) Solid-state lighting with a reduced temporal light artifact
US8669709B2 (en) Solid state lighting driver with THDi bypass circuit
US10542594B2 (en) Direct AC driving circuit and luminaire
KR101771986B1 (ko) 엘이디 조명등 잔불 방지장치
US11172551B2 (en) Solid-state lighting with a driver controllable by a power-line dimmer
JP6174647B2 (ja) 低フリッカーの発光ダイオード照明機器
EP3328160B1 (en) Constant current power supply providing a plurality of current output values for led lamps
KR20110051691A (ko) Led조명등의 정전류 전원공급장치
KR101338395B1 (ko) 조명 소자
KR101435854B1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101078988B1 (ko)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
KR101663271B1 (ko) 전원공급부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KR101078973B1 (ko)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
US11490476B2 (en) Solid-state lighting with a luminaire dimming driver
KR20180002389U (ko) Led 조명 장치
WO2013097694A1 (zh) 交流电直接驱动的白光led发光装置
US11930571B2 (en) Solid-state lighting with a luminaire phase-dimming driver
KR101153404B1 (ko) Led램프 점등 상태에 따라 출력 전류를 제한하는 컨버터 및 이를 구비한 지능형 led가로등
KR20180101699A (ko) 형광등 호환용 엘이디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