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413A -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7413A
KR20110087413A KR1020100006822A KR20100006822A KR20110087413A KR 20110087413 A KR20110087413 A KR 20110087413A KR 1020100006822 A KR1020100006822 A KR 1020100006822A KR 20100006822 A KR20100006822 A KR 20100006822A KR 20110087413 A KR20110087413 A KR 20110087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s
display device
controll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9955B1 (ko
Inventor
김석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6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955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가변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Multi-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ulti-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가변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의 출력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하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및 배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0인치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정방형으로 여러 개 조합하여 구성된 대형 디스플레이 모듈이, 가정, 병원, 관공서, 공항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효율적인 제어와,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콘텐츠에 대한 효율적인 접근을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가변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의 출력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는,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가변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가변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가변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전력 낭비를 방지하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의 출력 상태를 다양한 기준에 의해 가변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단말(2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2개의 카메라를 통해 외부의 영상을 획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각 디스플레이에 대응된 아이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환경은,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 단말(20), 전자 기기(30), 네트워크(40), 영상 획득 장치(50) 및 조도 센서(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는,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한다.
도 2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9개의 디스플레이들은 예시일 뿐이고,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과 같은 경계로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단말(20)은,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단말(20)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을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20)은,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상기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말(20)은, 서버(serve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단말(20)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단말(20)은, 통신부(210), 메모리(230), 인터페이스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전자 기기(3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전자 기기(30)와 다양한 통신방식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전자 기기(30)와 근거리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무선통신 방식으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네트워크(4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210)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P(Internet Protocol) 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4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40)는 인터넷(internet)에 해당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210)는, 방송망으로부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양방향 방송망인 경우,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양방향 방송망으로부터 방송을 수신하고, 상기 양방향 방송망을 통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30)는, 상기 제어부(25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230)는,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10)로 제공되어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10)에 표시될 다양한 콘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들은,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230)는, 후술하는 제1 내지 제3 신체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40)는, 상기 단말(2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4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단말(2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상기 단말(2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해 상기 단말(2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단말(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251)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기 단말(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30)는,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 또는 상기 단말(20)과 통신하여,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거나,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상기 전자 기기(3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영상 획득 장치(5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외부의 영상을 획득한다.
도 4는, 2개의 카메라를 통해 외부의 영상을 획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획득 장치(50)는, 제1 및 제2 카메라(50a, 50b)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70)를 포함하는 외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50a, 50b)의 화각은, 각각 α 및 β이다.
상기 영상 획득 장치(50)가 복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경우, 2차원 영상 뿐만 아니라 3차원 영상까지도 획득할 수 있고, 1개의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좀 더 고화질의 정교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조도 센서(51)는, 외부 광원의 세기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로서,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에 인접하여 또는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도 센서(51)는,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가 설치된 공간에서 빛의 세기를 센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단,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기 단말(20)과 상기 영상 획득 장치(50)와 상기 조도 센서(5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상기 영상 획득 장치(50)를 영상 획득부(50)로 호칭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각 디스플레이에 대응된 아이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시스템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 및 상기 단말(20)을 포함하는 상기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상기 전자 기기(30)를 통한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원을 온(on)시킬 수 있다[S100].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각각에 대해 표시할 아이템의 유무를 확인한다[S110].
상기 아이템은,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에 각각 대응되어 있는 아이템의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10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10b)에는, 서로 다른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제1 방송 및 제2 방송이 각각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제3 디스플레이(10c)에는 사진이 대응되어 있고, 상기 제4 디스플레이(10d)에는 인터넷이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디스플레이(10c)는 상기 메모리(230)에 저장된 사진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4 디스플레이(10d)는 인터넷으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정보 및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 디스플레이(10d)에는, 상기 인터넷 검색을 위한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대응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제5 디스플레이(10e)에는 스케쥴러가 대응되어 있고, 상기 제6 디스플레이(10f)에는 게임이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제7 디스플레이(10g)에는 음악이 대응되어 있고, 상기 제8 디스플레이(10h)에는 증권이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7 디스플레이(10g)는, 상기 제어부(250)에 의해 출력되는 음악에 대응되는 이미지(예를 들어, 앨범 이미지) 또는 각종 텍스트 정보(예를 들어, 가사, 장르, 가수 등)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8 디스플레이(10h)는, 상기 네트워크(40)를 통해 수신되는 증권 정보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제9 디스플레이(10i)에는, 아무런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과 각종 아이템들 간의 상기 대응관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중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그룹에 대해 1개의 아이템이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에 상기 제1 방송이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S110 단계에서 수행된 상기 확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대응되는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S120].
도 7 및 도 8은, 상기 S120 단계가 수행되는 예들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로 구성되는 전체 화면에 상기 제1 방송(60)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도 6에 도시된 대응 관계에 따라,상기 제1 디스플레이(10a)에 상기 제1 방송(60)을 출력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10c)에 사진(61)을 출력하고, 상기 제6 디스플레이(10f)에 게임 콘텐츠(62)를 출력하고, 상기 제7 디스플레이(10g)에 음악과 관련된 콘텐츠(63)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10b), 상기 제4 디스플레이(10d), 상기 제5 디스플레이(10e) 및 상기 제8 디스플레이(10h)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대응 관계에 따른 아이템을 표시하지 않고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가변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출력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S130].
도 9는, 디스플레이의 출력 상태 및 상기 출력 상태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디스플레이 출력 상태와 관련된 다양한 모드(mode)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파워온(power on) 모드는,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에 노멀 모드(normal moede)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로서, 해당 디스플레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동작 중이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이다.
딤(dim) 모드는, 상기 파워온 모드와 동일한 상태로서, 상기 파워온 모드에 비해 화면의 밝기가 어두워진 상태이다.
인액티브(inactive) 모드는, 특정 디스플레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동작 중이지만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에 콘텐츠를 표시하지 않는 상태이다. 상기 인액티브 모드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외부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상기 파워온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는, 특정 디스플레이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고, 마지막 실행 상태가 상기 메모리(230)에 저장된 상태이다. 사용자의 요청 또는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이 재구동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마지막 실행 상태가 로드(load)되고 상기 파워온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파워오프(power off) 모드는, 특정 디스플레이가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 상태이다. 사용자가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면,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는 상기 파워온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의 적어도 하나가 도 9에 도시된 다양한 출력 모드들 간에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파워온 모드에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일정 시간동안 수신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상기 딤 모드, 상기 인액티브 모드, 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 및 상기 파워오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6 실시예를 통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이 상기 출력 모드들 간에 전환되는 구체적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시스템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 및 상기 단말(20)을 포함하는 상기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중 특정 디스플레이에 대응된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S200],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의 출력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4 디스플레이(10d)에는 인터넷이 대응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인터넷에 접속하라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예약에 따라, 인터넷에 접속하고, 인터넷에 접속하는 과정 및 접속 결과를 상기 제4 디스플레이(10d)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디스플레이(10d)의 출력 모드는, 상기 파워온 모드에 해당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접속 예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4 디스플레이(10d)의 출력 모드를 상기 파워오프 모드 또는 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디스플레이(10d)는 아무런 정보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제4 디스플레이(10d)에 대해 대응되어 있는 작업이 인터넷을 통한 특정 콘텐츠("제1 영화")의 다운로드(download)인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1 영화를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 작업 과정을 상기 제4 디스플레이(10d)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4 디스플레이(10d)를 상기 파워온 모드, 상기 딤 모드 및 상기 인액티브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1 영화의 다운로드를 시작하는 경우 상기 제4 디스플레이(10d)를 상기 파워온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제1 영화의 다운로드의 시작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부터 상기 제1 영화의 다운로드가 완료되기까지 상기 제4 디스플레이(10d)를 상기 딤 모드 또는 상기 인액티브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1 영화의 다운로드가 완료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상기 제4 디스플레이(10d)를 다시 상기 파워온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시스템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 및 상기 단말(20)을 포함하는 상기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중 특정 디스플레이에 대응된 콘텐츠를 확인하고[S300], 상기 콘텐츠의 유무 및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의 출력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10b)에는 제2 방송이 대응되어 있다. 여기서, 다양한 상황에 따라 상기 제2 방송의 수신이 불가능하거나 상기 제2 방송을 수신할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10b)에 표시할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방송에 대응되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거나, 사용자의 예약 설정에 대응되는 시각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10b)를 통해 출력할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10b)에 표시할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10b)의 출력 모드를 상기 파워오프 모드 또는 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로 전환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예약한 시간이 도래하여 상기 제2 방송을 출력해야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10b)에 표시할 콘텐츠(여기서는, 상기 제2 방송에 해당하는 콘텐츠)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10b)에 표시할 콘텐츠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10b)의 출력 모드를 상기 파워온 모드로 전환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50)는, 콘텐츠의 속성에 따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의 출력 모드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영화의 다운로드 과정에 관한 정보가 상기 제4 디스플레이(10d)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1 영화를 다운로드하는 시작 단계와 완료 단계에서만 상기 제4 디스플레이(10d)를 온(on)시키고, 상기 시작 단계와 상기 완료 단계의 중간 단계에서는 상기 제4 디스플레이(10d)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전체 또는 각각에 대해 대응되는 콘텐츠의 유무 및 속성에 따라 출력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중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들이 서로 인접하도록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의 출력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상태에서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들이 서로 인접하도록 제어된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8에서는, 상기 제1, 제3, 제6 및 제7 디스플레이(10a, 10c, 10f, 10g)에 대해 대응되어 있는 콘텐츠(또는 애플리케이션)가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250)는, 도 8에 도시된 출력 상태를 도 13에 도시된 출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시스템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 및 상기 단말(20)을 포함하는 상기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에 또는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00].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에 대한 판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영상 획득부(50)를 통해 획득된 외부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S400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존재하면, 도 1의 상기 S120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S400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부존재하면, 상기 사용자의 부존재를 인식한 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S410].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1 설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전체를 상기 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420]. 따라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전체의 화면 밝기가 어두워질 수 있다.
다만, 상기 S420 단계의 수행 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중, 이미 상기 딤 모드, 상기 인액티브 모드, 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 또는 상기 파워오프 모드로 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는, 출력 상태의 변화가 없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딤 모드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제2 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30].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딤 모드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2 설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전체를 상기 파워오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S420 단계의 수행에 의한 상기 딤 모드 또는 상기 S440 단계의 수행에 의한 상기 파워오프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존재를 인식하게 되면, 상기 S120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시스템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 및 상기 단말(20)을 포함하는 상기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조도 센서(51)로부터 외부 광원의 세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00].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외부 광원의 세기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의 출력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S510].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가 설치된 공간이 밝으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의 밝기(brightness)를 상향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가 설치된 공간이 어두워지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의 밝기 또는 명암을 하향 조정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시스템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 및 상기 단말(20)을 포함하는 상기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중 특정 디스플레이가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해 상기 파워오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에 대응되는 아이템에 관한 동작 상태를 상기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S600].
상기 저장되는 동작 상태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의 출력 모드가 상기 파워온 모드로 전환되는지를 판단하여[S610], 상기 파워온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 및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에 대응되는 아이템을 동작시킬 수 있다[S620]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전자 기기(30)를 조작하여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를 오프(off)시키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전체에 대한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는 아무런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어부(250)는, 도 7의 상태를 상기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전자 기기(30)를 조작하여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를 온(on)시키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저장된 도 7의 상태를 호출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가 도 7의 상태대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디스플레이 모듈)
20: 단말(서버)
30: 전자 기기
40: 네트워크
50: 영상 획득 장치(영상 획득부, 카메라)
51: 조도 센서

Claims (14)

  1.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가변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콘텐츠의 유무 및 상기 콘텐츠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현재 표시할 콘텐츠가 대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온(on)시키고, 현재 표시할 콘텐츠가 대응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표시할 콘텐츠가 대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일정 시간동안 수신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표시할 콘텐츠가 대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어둡게 하거나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들이 서로 인접하도록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를 제어하여 획득되는 외부 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부존재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전부의 출력 상태를 어둡게 하거나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광원의 세기를 획득하기 위한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외부 광원의 세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전부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8.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가변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콘텐츠의 유무 및 상기 콘텐츠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현재 표시할 콘텐츠가 대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온(on)시키고, 현재 표시할 콘텐츠가 대응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표시할 콘텐츠가 대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일정 시간동안 수신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표시할 콘텐츠가 대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어둡게 하거나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들이 서로 인접하도록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외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외부 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부존재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전부의 출력 상태를 어둡게 하거나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외부 광원의 세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외부 광원의 세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전부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00006822A 2010-01-26 2010-01-26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659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822A KR101659955B1 (ko) 2010-01-26 2010-01-26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822A KR101659955B1 (ko) 2010-01-26 2010-01-26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413A true KR20110087413A (ko) 2011-08-03
KR101659955B1 KR101659955B1 (ko) 2016-09-26

Family

ID=44926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822A KR101659955B1 (ko) 2010-01-26 2010-01-26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9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685A1 (en) * 2012-12-26 2014-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nu thereof
US20160358582A1 (en) * 2015-06-03 2016-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stem for enhancing visibility and methods thereof
KR102270764B1 (ko) * 2020-02-07 2021-06-30 옵티시스 주식회사 비디오 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6484A1 (fr) * 1999-07-14 2001-01-25 Sony Corporation Circuit d'attaque et affichage le comprenant, circuit de pixels et procede d'attaque
KR20050117940A (ko) * 2004-06-11 2005-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78684A (ko) * 2006-01-27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090075175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전의 전원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6484A1 (fr) * 1999-07-14 2001-01-25 Sony Corporation Circuit d'attaque et affichage le comprenant, circuit de pixels et procede d'attaque
KR20050117940A (ko) * 2004-06-11 2005-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78684A (ko) * 2006-01-27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090075175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전의 전원 제어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685A1 (en) * 2012-12-26 2014-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nu thereof
US20160358582A1 (en) * 2015-06-03 2016-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stem for enhancing visibility and methods thereof
CN106251800A (zh) * 2015-06-03 2016-12-2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增强可见度的显示系统及其方法
US10127889B2 (en) * 2015-06-03 201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stem for enhancing visibility and methods thereof
CN106251800B (zh) * 2015-06-03 2021-10-08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增强可见度的显示系统及其方法
KR102270764B1 (ko) * 2020-02-07 2021-06-30 옵티시스 주식회사 비디오 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955B1 (ko) 2016-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7632B2 (en) Operating method of portable device, operating method of content reproducing device, portable device, and content reproducing device
RU2640727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контента и компьютер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для этого
US9860440B2 (en) Power saving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RU2596980C2 (ru) Способ операций над данными для терминала, включающего в себя блоки трехсекционного дисплея, и терминал, поддерживающий способ
US85946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application in mobile device
US9055388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covering wireless devices thereof
AU20132030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20070078552A1 (en) Gaze-based power conservation for portable media players
US20140184516A1 (en) Host device,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host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CN105681969A (zh) 电子装置、音频装置、控制电子装置和音频装置电源的方法
RU2647683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контента, устройство и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которые используют их
KR20120048886A (ko) 웹 페이지 출력 방법 및 장치
US9013370B2 (en) Display system for meeting roo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84909B2 (en)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10119283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6538702A (ja) バックライト輝度制御方法及び装置
WO2021238933A1 (zh) 一种应用于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20200136256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3810542A (zh) 一种应用于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0377256B (zh) 多媒体文件的投放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KR20110087413A (ko)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EP43028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controlling to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and the lighting devices
US20190050063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hereof
WO2017168855A1 (ja) 制御内容管理システム、電力制御システム、制御内容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345112A1 (en) Audio device and method of recognizing position of audio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