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431A -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6431A
KR20110086431A KR1020100006158A KR20100006158A KR20110086431A KR 20110086431 A KR20110086431 A KR 20110086431A KR 1020100006158 A KR1020100006158 A KR 1020100006158A KR 20100006158 A KR20100006158 A KR 20100006158A KR 20110086431 A KR20110086431 A KR 20110086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lamp
driving
luminaire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성창전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창전기(주) filed Critical 성창전기(주)
Priority to KR1020100006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6431A/ko
Publication of KR20110086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조명광원을 제공하는 조명등과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조명기구 내에 구현하여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를 독립적으로 또는 종속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는,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 데이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명등 구동제어신호 또는 디스플레이의 구동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 상용 교류전원을 제공받아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구동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조명등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등을 구동하는 조명등 구동부; 구동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 조명등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조명광원을 제공하는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표시문자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는 구동 제어부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디스플레이가 조명등의 조명광원과 상이한 방향으로 표시문자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 {Lighting apparatus having data output function}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조명광원을 제공하는 조명장치에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현함으로써,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데이터 출력은 문자 데이터의 표시를 포함하며, 또는 음원이나 음악의 재생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실내 및 실외의 일정 위치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전기를 빛으로 변환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조명장치에서 조명기구는 조명등과 상기 조명등에서 빛을 발생할 수 있도록 전원 등을 공급을 제어하는 조명제어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현재의 조명장치는 단순히 빛을 밝히는 조명 기능 이외에 상품의 전시, 무대의 효과 등을 높일 수 있는 특수 조명 기능들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조명등은 단색으로 일정한 밝기를 가진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색상의 램프들이 출시되어 시판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조명기구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조명기구는 교류전원(11), 제어부(12), 조명전원 발생부(13), 조명 구동부(14) 및 조명등(15)을 포함할 수 있다. 교류전원(11)은 일반 옥내 상용전원으로서, 예를 들면, 220V의 60Hz 교류전원이 될 수 있다. 조명등(15)은 램프, 전구, 형광등과 같은 조명등일 수 있다.
제어부(12)는 상기 조명등(15)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조명전원 발생부(13)는 상기 교류전원(11)을 인가받아, 상기 교류전원(11)을 상기 조명제어신호에 의해 대응되는 조명등(15)의 동작 전원으로 사용되는 조명전원을 발생한다. 예를 들면, 상기 조명전원은 상기 교류전원(11)을 조명제어신호에 의해 위상 제어하여 설정된 위상의 교류전원을 조명전원으로 발생할 수 있다.
조명 구동부(14)는 상기 조명전원 발생부(13)에서 발생되는 조명전원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등(15)을 점등하거나 작동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전압, 전류 및 파장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조명등(15)에 인가한다.
한편, 종래의 형광등, 백열등을 포함하는 조명기구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적외선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01-44597호(출원일: 2001년 07월 24일)에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컴퓨터, 휴대폰, 헤드셋,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조명의 점등 및 소등이 제어되며, 외부의 밝기에 따라 조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는 크게 조명기구(20) 및 리모콘(30)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조명기구(20)는,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위한 전원 스위치(21); 공급된 전원을 적정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22); 키 입력을 위한 키 입력부(23); 상기 키 입력부(2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각 구성요소의 제어 및 시간 계수, 그리고 조명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4);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25); 조광부(26); 근거리 무선 데이터 수신을 위한 RF 수신부 및 기저대역 처리부로 이루어진 블루투스 수신모듈(27)을 포함한다. 또한, 리모콘(30)은 무선 제어수단으로서, 상기 조명기구(20)의 무선 제어를 위해 제어부(31); 및 RF 송신부 및 기저대역 처리부로 이루어지는 블루투스 송신모듈(32)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 스위치(21)가 온(On)이 되면 조명기구(20)에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22)는 상기 공급된 전원을 AC 및 DC 전원으로 변환시키고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적정 전원으로 공급해 준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22)는 배터리로 대체할 수도 있으며, 전원 공급 및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키 입력부(23)는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신호의 수동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 키를 구비하고 있는데, 키패드 또는 OSD(On Screen Display)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23)를 통해 임의 시간을 입력하면, 그 시간에 점등 또는 소등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24)는 중앙 처리부(CPU), 타이머, 카운터, 롬, 램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타이머에서 시간을 계수하면 계수된 시간을 표시해 주고, 카운터에서 시간 계수에 따른 일/시간/분 단위 등의 주기로 카운트를 반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키 입력부(23)로부터 전송되는 시간과 상기 타이머의 시간이 일치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자동으로 점등 및 소등을 한다.
상기 조도 감지부(25)는 외부 환경의 밝기 정보를 감지한 후 제어부(24)로 출력해 주면, 제어부(24)에서 기준 이득값과 상기 감지된 밝기 정보를 비교하여 감지된 조도에 따라 밝기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조도 감지부(25)는 현관에서 사용되는 조명등에 많이 사용될 수 있으며, 거실의 밝기에 따라 조명의 밝기를 다르게 함으로써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광부(26)는 상기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전원 공급부(22)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점등된다.
그리고 블루투스 수신모듈(27)은 RF 수신부 및 기저대역 처리부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RF 수신부는 근거리에 있는 무선 데이터 송신기기, 즉, 리모콘(3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증폭한 후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기저대역 처리부에 전달한다. 또한, 기저대역 처리부는 상기 수신 데이터를 HCI(Host Control Interface) 패킷으로 변경하여 제어부(24)에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24)는 HCI 패킷에 포함된 액세스 코드와 헤더 코드를 분석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블루투스는 적외선(IrDA)과는 달리 2.4GHz의 고주파를 사용하여 장애물과 상관없이 전송이 가능하며, 또한 속도가 721Kbps로 상당히 빠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으로 리모콘(30)이 마스터가 되고 조명기구(20)가 슬레이브가 된다. 상기 조명기구(20)는 상기 리모콘(30)으로부터 무선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탑재된 컴퓨터, 휴대폰, PDA 등의 통신 기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 기기는 가전기기 자동화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가전기기와의 통신하는 주체가 될 수 있다.
상기 조명기구(20)는 블루투스를 탑재하여 근거리에 있는 주변기기와 무선통신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조명기구(20)를 슬레이브로 동작시키고 외부 주변기기 즉, 리모콘을 마스터(Master)로서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인 리모콘(30)은 점등 또는 소등을 위한 제어신호를 무선 데이터로 송신하며, 내부 구성요소로서 제어부(31)는 블루투스 송신모듈(32)로 제어정보를 전달하며, 블루투스 송신모듈(32)은 각종 HCI 데이터 패킷에 액세스 코드 및 헤더를 부가하는 패킷 포맷으로 변경하고, 이를 다시 무선 송신을 위한 소정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여 RF 송신부를 통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송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기구는 단지 조명광원만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명광원을 제공하는 조명등과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조명기구 내에 구현하여 조명등과 디스플레이를 직접 또는 원격 구동할 수 있는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를 조명기구 내에 구현할 때, 조명등에 의한 조명 영역과 디스플레이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다르게 함으로써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를 조명기구 내에 구현할 때, 조명등에 의한 조명 영역과 디스플레이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를 서로 종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는,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명등 구동제어신호 또는 디스플레이의 구동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 상용 교류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구동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조명등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등을 구동하는 조명등 구동부; 상기 구동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 상기 조명등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조명광원을 제공하는 조명등; 및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표시문자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는 상기 구동 제어부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조명등의 조명광원과 상이한 방향으로 표시문자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제어명령을 정해진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표시문자 데이터, 조명등 상태 설정 데이터, 또는 디스플레이 상태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어명령 및 상기 조명등 상태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상기 조명등의 출력 상태를 설정하여 조명등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조명등 상태 설정부; 및 상기 제어명령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상태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태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터치 방식 또는 키 입력 방식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는, 상기 조명등 근처에 인체가 있는지 감지하는 인체감지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조명등 근처에서 인체가 감지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문자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명등 근처에 인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표시문자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는, 외부의 USB 메모리와 연결되어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음원을 제공받기 위한 USB 포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는, 기저장된 음원 또는 상기 USB로부터 제공된 음원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 및 상기 음원 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음원 재생부에 의한 음원 재생시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음원의 가사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레벨메터(Level Meter)에 의해 음의 높낮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는, 상기 조명등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 색상 및 색온도를 확인하여 각각 설정할 수 있는 상태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는,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명등 구동제어신호 또는 디스플레이의 구동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 상용 교류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조명등에 의해 제공되는 조명광원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표시문자 광원을 조절하는 광원 조절부; 상기 광원 조절부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구동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조명등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등을 구동하는 조명등 구동부; 상기 광원 조절부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구동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 상기 조명등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조명광원을 제공하는 조명등; 및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표시문자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는 상기 구동 제어부에 의해 서로 종속적으로 제어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조명등의 조명광원과 동일한 방향으로 표시문자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문자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경우 상기 조명등을 기설정된 밝기로 점등하고, 상기 표시문자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상기 조명등을 상기 기설정된 밝기보다 약한 밝기로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는, 조명등, 디스플레이 및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등에 의한 조명광원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이한 방향으로 설정되며, 표시문자 데이터 및 원격 제어명령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표시문자 데이터 및 원격 제어명령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조명등의 구동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등에 의해 조명광원을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문자를 출력하는 조명기구; 및 상기 조명기구의 조명등의 구동을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명령을 선택하고, 상기 조명기구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될 표시문자를 입력하며, 상기 표시문자 데이터 및 원격 제어명령을 송신부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하는 원격 제어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조명기구의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는 상기 구동 제어부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상기 조명기구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조명등의 조명광원과 상이한 방향으로 표시문자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원격 제어단말은, 상기 조명기구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된 표시문자를 입력하는 표시문자 입력부; 상기 조명기구의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원격 조작부; 상기 표시문자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표시문자 또는 상기 원격 조작부에서 생성되는 원격 제어명령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문자 또는 상기 원격 제어명령을 무선 송신을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된 표시문자 데이터 및 원격 제어명령을 상기 조명기구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는, 조명등, 디스플레이 및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등에 의한 조명광원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동일 방향으로 설정되며, 표시문자 데이터 및 원격 제어명령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표시문자 데이터 및 원격 제어명령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조명등의 구동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등에 의해 조명광원을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문자를 출력하는 조명기구; 및 상기 조명기구의 조명등의 구동을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명령을 선택하고, 상기 조명기구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될 표시문자를 입력하며, 상기 표시문자 데이터 및 원격 제어명령을 송신부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하는 원격 제어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조명기구의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는 상기 구동 제어부에 의해 서로 종속적으로 제어되어, 상기 조명기구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조명등의 조명광원과 동일한 방향으로 표시문자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광원을 제공하는 조명등과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조명기구 내에 구현하여 직접 또는 원격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를 조명기구 내에 구현할 때, 조명등에 의한 조명 영역과 디스플레이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다르게 함으로써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를 조명기구 내에 구현할 때, 조명등에 의한 조명 영역과 디스플레이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를 서로 종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조명기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기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기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에서 구동 제어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식탁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기구에 상태 표시부가 구현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에서 인체감지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가 원격제어 단말을 구비한 것을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원격제어 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 구현되는 것을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2a 및 12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이 지그비 모듈로 구현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의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조명광원을 제공하는 조명등과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조명기구 내에 구현하여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를 직접 또는 원격 구동할 수 있도록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기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원격 제어단말, 예를 들면, 리모콘 또는 핸드폰으로 전송된 문자나 음악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기구가 제공된다. 여기서, 데이터 출력은 문자 데이터의 표시를 포함하며, 또는 음원이나 음악의 재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기구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기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기구(100)는, 조명기구 하우징(101)의 하단 방향으로 하단 LED 조명등(170), 예를 들면, 식탁등이 배치되고, 조명기구 하우징(101)의 측면 방향으로 측면 LED 디스플레이(280)가 배치됨으로써, 측면 LED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하단 LED 조명등(170) 및 측면 LED 디스플레이(180)는 원격 제어단말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LED 조명등(170)이 식탁등인 경우, 설치 조명 중에서 인체에 가장 가깝고 눈높이를 맞추기 용이하며 상기 측면 LED 디스플레이(170)에 의한 메시지 판독 시에 정면성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기구(100)는 조명광원과 디스플레이 영역을 각각 하단과 측면으로 구분하여 배치함으로써 조명광원에 의한 조도 확보와 메시지 전달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기구(500)는, 조명기구 하우징(501)의 측면 방향으로 측면 LED 조명등(570) 및 측면 LED 디스플레이(580)가 배치됨으로써, 측면 LED 조명등(570), 예를 들면, 벽등을 통해 조명광원을 제공하고, 측면 LED 디스플레이(580)를 통해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LED 조명등(570)이 벽등인 경우, 설치 높이 또한 위치 변경이 가능하므로 디스플레이 판독 시에 정면성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기구(500)는 조명광원 영역과 디스플레이 영역을 동일 방향으로 배치하고, 이때, 표시문자에 의한 메시지 전달시 약한 밝기로 점등되며, 조명으로 사용시 원하는 밝기로 사용가능한 원격 제어단말 작동으로 메시지 작성 및 조명 연출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기구(100, 500)에 따르면, 세대 내에 구비된 조명기구(100, 500)에 표시문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창을 결합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표시하고자 하는 문자 또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는, 데이터 입력부(110), 인체감지 센서(115), 구동 제어부(120), USB 포트(116), 전원 공급부(130), 조명등 구동부(140), 디스플레이 구동부(150), 음원 재생부(160), 조명등(170), 디스플레이(180) 및 스피커(190)를 포함한다.
데이터 입력부(110)는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벽면이나 조명등 자체에 설치되어 터치 방식,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또는 키 입력 방식, 예를 들면, 버튼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 제어부(120)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된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등(170)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명등 구동제어신호 또는 디스플레이(180)의 구동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30)는 상용 교류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조명등(170) 및 디스플레이(18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조명등 구동부(140)는 상기 구동 제어부(120)에서 출력되는 조명등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등(170)을 구동한다.
디스플레이 구동부(150)는 상기 구동 제어부(120)에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80)를 구동한다.
조명등(170)은 상기 조명등 구동부(140)에 의해 구동되어 조명광원을 제공하고, 디스플레이(180)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150)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표시문자를 출력한다. 이때, 이때, 상기 조명등(170) 및 디스플레이(180)는 상기 구동 제어부(120)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상기 디스플레이(180)가 상기 조명등(170)의 조명광원과 상이한 방향으로 표시문자를 출력하게 된다.
음원 재생부(160)는 기저장된 음원 또는 USB(310)로부터 제공된 음원을 재생하고, 스피커(190)는 상기 음원 재생부(160)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한다. 이때, 상기 구동 제어부(120)는 상기 음원 재생부(160)에 의한 음원 재생시 상기 디스플레이(180)에 상기 음원의 가사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레벨메터(Level Meter)에 의해 음의 높낮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인체감지 센서(115)는 상기 조명등(170) 근처에 인체가 있는지 감지하며, 이때, 상기 구동 제어부(120)는, 상기 인체감지 센서(115)에 의해 상기 조명등(170) 근처에서 인체가 감지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문자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명등(170) 근처에 인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표시문자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USB 포트(116)는 외부의 USB(310) 메모리와 연결되어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음원을 제공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USB(310)와 연결되는 USB 포트(116)가 예시되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음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수단들이 가능하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에서 구동 제어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에서 구동 제어부(120)는 데이터 처리부(121), 메모리(122), 조명등 상태 설정부(123), 디스플레이 상태 설정부(124) 및 음원 상태 설정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21)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된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제어명령을 정해진 형식으로 변환한다.
메모리(122)는 상기 입력된 표시문자 데이터, 조명등 상태 설정 데이터, 또는 디스플레이 상태 설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조명등 상태 설정부(123)는 상기 제어명령 및 상기 조명등 상태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상기 조명등의 출력 상태를 설정하여 조명등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상태 설정부(124)는 상기 제어명령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상태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음원 상태 설정부(125)는 상기 제어명령 및 상기 음원 상태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의 상태를 설정하는 음원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식탁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에서, 조명기구(100)의 조명등(170)이 식탁등인 경우, 조명기구(100)의 디스플레이(180)가 상기 조명등(170)의 조명광원과 상이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표시문자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조명등(170)은 식탁등, 벽등, 스탠드등과 같이 눈높이를 맞출 수 있는 조명등일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기구에 상태 표시부가 구현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기구(100)는, 상기 조명등(170)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180)의 밝기, 색상 및 색온도를 확인하여 각각 설정할 수 있는 상태 표시부(19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등(170)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180)의 밝기, 색상 및 색온도는 상기 원격 제어단말(400)에 의해 원격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상태 표시부(195)가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스피커(190)가 상기 조명등(170)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18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등(170)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180)는 LED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스피커(190)가 상기 음원 재생부(160)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할 때, 전술한 구동 제어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180)에 상기 음원의 가사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레벨메터(Level Meter)에 의해 음의 높낮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에서 인체감지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인체감지 센서(115)는 일정한 적외선을 띤 물체가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예를 들면, 인체를 감지하여 조명등 근처에 사람이 진입하면 자동으로 조명등 또는 디스플레이가 켜지는 등의 용도에 사용하며,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PIR(Passive Infrared) 센서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강유전체가 적외선을 받으면 그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자발 분극의 변화를 일으키고, 그 변화량에 비례하여 전하가 유기되는데, 그 현상을 초전 효과라고 하며, 인체감지 센서(115)는 파인 세라믹(Fine ceramic)의 초전 효과를 이용하여 인체 등에서 발생하는 소량의 적외선을 예민하게 감지한다. 예를 들면, 인체의 온도는 36.5℃로서, 이 범위는 적외선 범위이기 때문에 IR로 표기한다. 그러나 인체의 온도는 일정하지만, 사람에 따라서는 방사되는 양에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실제로 IR Detector로 측정하면, 9.4㎛ 내지 10.4㎛ 정도로 나타난다. 따라서 인체감지 센서(115)는 일정한 양의 적외선을 띈 물체가 움직이면 감지하여 출력을 발생하는데, 사람의 움직임이 없으면 출력은 나오지 않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감지 센서(115)가, 예를 들면, 천정에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며, 감지 공간 내에 피사체, 즉, 인체가 있는 경우, 인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외선을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인체감지 센서(115)는 상기 감지 공간 내의 다른 부분의 적외선과 인체의 적외선을 비교하여 그 변화량을 검출하고, 인체감지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가 원격제어 단말을 구비한 것을 예시하는 구성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원격제어 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 구현되는 것을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는, 크게 원격 제어단말(400), 조명기구(200) 및 교류전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격 제어단말(400)은 표시문자 입력부(410), 조작부(420), 인터페이스 모듈(430), 표시부(440), 데이터 처리부(450) 및 송신부(460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기구(200)는 수신부(210a), 구동 제어부(220), 전원 공급부(230), 조명등 구동부(240), 디스플레이 구동부(250), 음원 재생부(260), 조명등(270), 디스플레이(280) 및 스피커(29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기구(200)는 조명등(270), 디스플레이(280) 및 구동 제어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등(270)에 의한 조명광원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280)에 의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이한 방향으로 설정되며, 표시문자 데이터 및 원격 제어명령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220)가 상기 수신된 표시문자 데이터 및 원격 제어명령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조명등(270)의 구동 및 상기 디스플레이(280)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등(270)에 의해 조명광원을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280)에 의해 표시문자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조명기구(200)의 조명등(270) 및 디스플레이(280)는 상기 구동 제어부(220)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상기 조명기구(200)의 디스플레이(280)가 상기 조명등(270)의 조명광원과 상이한 방향으로 표시문자를 출력할 수 있다.
원격 제어단말(400)은 상기 조명기구(200)의 조명등(270)의 구동을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명령을 선택하고, 상기 조명기구(200)의 디스플레이(280)에 의해 표시될 표시문자를 입력하며, 상기 표시문자 데이터 및 원격 제어명령을 적외선 통신모듈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무선으로 송신한다. 상기 원격 제어단말(400)은 일반적인 리모콘(remote controller)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단말(400)은 표시문자를 입력하여 상기 조명기구(200)에 전송할 수 있고, 원격 제어명령에 의해 상기 조명기구(20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면, 핸드폰 내에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원격 제어단말(400)의 송신부(460a)는 적외선 통신모듈이거나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60b)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조명기구(200)의 수신부(210a)는 적외선 통신모듈이거나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모듈(210b)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을 다시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기구(200)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210b)은 상기 원격 제어단말(400)로부터 입력된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원격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상기 조명기구(200)의 구동 제어부(220)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210b)에 의해 수신된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원격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조명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명등 구동제어신호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구동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조명기구(200)의 전원 공급부(230)는 상용 교류전원(300)을 제공받아 상기 조명기구의 조명등(270) 및 디스플레이(28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전원 공급부(230)는 상기 조명등(270), 디스플레이(280) 및 구동 제어부(220)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 케이블을 이용해 AC 전원, DC 전원을 직접 인가받을 수도 있고, 태양전지와 같은 자체적인 발전수단에 의해 전원을 생성할 수도 있으며, 전파를 수신하여 원격으로 전원을 생성하는 마그네틱 코일 등을 이용해 전원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원 공급부(230)를 통해 생성되거나 인가받은 전원은, 각 구성요소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되어 각기 인가된다. 예를 들어, 구동 제어부(220)에 필요한 전압이 5V이고 조명등(270)에 필요한 전압이 25V라면, 상기 전원 공급부(230)에서 인가받은 전원을 5V 및 25V로 각각 변환되어 인가된다.
상기 조명기구(200)의 조명등 구동부(240)는 상기 구동 제어부(230)에서 출력되는 조명등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등(270)을 구동하며, 상기 조명기구(200)의 디스플레이 구동부(250)는 상기 구동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동한다.
상기 조명기구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외부의 USB 메모리와 연결되어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음원을 제공받기 위한 USB 포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조명기구(200)의 음원 재생부(260)는 기저장된 음원, USB로부터 제공된 음원 또는 상기 원격 제어단말로부터 제공된 음원을 재생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120)는 상기 음원 재생부(160)에 의한 음원 재생시 상기 디스플레이(180)에 상기 음원의 가사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레벨메터(Level Meter)에 의해 음의 높낮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조명기구(200)의 조명등(270)은 상기 조명등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조명광원을 제공한다. 상기 조명등(270)은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이 다른 광원으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상기 광원은 저전력 고휘도의 조명이 가능한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또는 적외선램프, 형광 램프, 백열 램프, 네온램프 등 특수 기능을 갖는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등(270)은 일정한 방향으로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등기구(미도시) 또는 반사판(미도시) 등의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여 모듈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명등(270)은 조명의 목적 또는 장소에 따라, 조명의 밝기 또는 외부 디자인을 다르게 설계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일체형으로 모듈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별도로 분리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일반 시중에서 구매할 수 있는 조명등을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다.
조명기구(200)의 디스플레이(280)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표시문자를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280)는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이 다른 광원으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상기 광원은 저전력 고휘도의 조명이 가능한 발광다이오드(LED)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LED 디스플레이는 다수 배열로 설치된 LED의 점멸 순서, 발광색상, 밝기 등의 제어에 의해 다양한 문자의 표시가 가능하다.
조명기구(200)의 스피커(290)는 상기 음원 재생부(260)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한다.
상기 조명기구(200)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데이터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벽면이나 조명등 자체에 설치되어 터치 방식,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또는 키 입력 방식, 예를 들면, 버튼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명장치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인체감지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시 센서에 대해서는 앞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원격 제어단말(400)의 표시문자 입력부(410)는 상기 조명기구의 디스플레이(280)를 통해 출력될 표시문자를 입력한다.
원격 제어단말(400)의 조작부(420)는 상기 조명기구의 조명등(270) 및 디스플레이(280)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상기 원격 제어단말(400)의 인터페이스 모듈(430)은 다른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예를 들면, USB 포트일 수 있으며, 상기 음원 재생부(260)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이 MP3 음악인 경우, USB로부터 MP3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아 저장하고, 이와 같이 저장된 MP3 데이터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60b)을 통해 상기 조명기구(2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단말(400)의 표시부(440)는 상기 표시문자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표시문자 또는 상기 원격 조작부에서 생성되는 원격 제어명령을 화면으로 표시한다.
상기 원격 제어단말(400)의 데이터 처리부(450)는 상기 표시문자 또는 상기 원격 제어명령을 무선 송신을 위한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원격 제어단말(400)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60b)은 상기 데이터 처리부(450)에서 처리된 표시문자 데이터 및 원격 제어명령을 상기 조명기구(2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원격 제어단말(400)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60b) 및 상기 조명기구(200)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210b)은 지그비(ZigBee)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및 UWB(Ultra-wideband) 모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는, 원격 제어단말(400)에 의해 조명기구(200)의 조명등(270)을 원격 제어하면서 조명기구(200)의 디스플레이(280)를 통해 문자를 표시하거나 스피커(290)를 통해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에서 무선통신모듈이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원격 제어단말(400) 내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60b) 및 조명기구(200) 내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210b)일 수 있으며, 이때,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60b, 210b)은, 예를 들면, 지그비 모듈(ZigBee Module),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및 UWB(Ultra-wideband) 모듈 중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근거리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어떠한 경우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60b, 210b)이 지그비(ZigBee)를 통해 구현된 예가 설명된다.
도 12a 및 12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이 지그비 모듈로 구현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에서 무선통신용 지그비 모듈이 인쇄회로기판(205) 상에 구현된 것을 예시하며, 도 12b는 지그비 모듈의 구성도이다.
구체적으로, 지그비 통신은 IEEE 802.15.4 표준기반의 저전력 저속 근거리 개인 무선통신으로서, 2.400GHz~2.4835GHz 16개 채널은 전 세계에서 무허가로 사용되며, 무선 전송 속도는 250Kbps에 해당한다. 또한, 송출 출력과 전송 거리도 1mW(0dBm)에서 실내는 약 30m이고, 실외는 약 100m 전송이 가능하며, 1mW 이상에서는 100m 이상 전송이 가능하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기구(200) 내의 지그비 모듈(210b)은, 무선 안테나(211), RF 수신부(212), 위상동기회로(PLL; Phase Locked Loop)(213), 전력제어회로(214), RF 송신부(215), MAC 처리부(216) 및 모듈 제어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F 수신부(212), RF 송신부(215), 위상동기회로(213) 및 전력제어회로(214)는 지그비 프로토콜 스택의 PHY 계층에 해당되는 동작을 처리하는 구성부들로서 RF 통신 구조와 네트워크 토폴리지를 결정한다.
상기 RF 수신부(212)와 RF 송신부(215)는 증폭기, 필터 등을 구비하여 해당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는데, 위상동기회로(213)는 RF 수신부(212)와 RF 송신부(215)가 중간 주파수 신호를 합성하도록 기준 주파수 신호를 제공하고, 전력제어회로(214)는 수신 신호의 세기를 판별하여 송신 전력량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IEEE 802.15.4 표준은 2가지 종류(2.4GHz, 866/915MHz)의 PHY 계층을 정의하며, 2.4GHz 대역에는 16채널, 902MHz 내지 928MHz 대역에는 10채널, 868MHz 내지 870MHz 대역에는 1개 채널이 할당된다.
상기 RF 수신부(212)와 RF 송신부(215)는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를 이용하며, 2.4GHz 대역의 경우, 32 PN 코드 길이의 O-QPSK (Offset-Quadrature Phase-Shift Keying) 변조 방식이 사용되고, 1 GHz 이하 대역의 경우 15 PN 코드 길이의 BPSK(Binary Phase-Shift Keying) 변조 방식이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아날로그 신호가 처리되면, 상기 RF 수신부(212)와 RF 송신부(215)는 베이스밴드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데, RF 수신부(212)의 경우 디지털 신호의 동기화(Synchronization), 역확산(Despreading), 복조, 디지털 필터링 등을 처리하고, RF 송신부(215)의 경우 확산, 신호 정형(Pulse Shaping) 등을 처리한다. 이때, BPSK 변조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RF수신부(212)와 RF송신부(215)가 구성하는 베이스밴드 처리 경로(Path)는 하나로 통합 구현가능하다.
상기 MAC(Media Access Controller) 처리부(216)는 PHY 계층의 디지털 처리가 끝나면,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해석하여 프레임을 승인하고, 에러를 감지하여(Error Detection; CRC 또는 Checksum을 통하여 감지함)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며, 패킷 라우팅을 처리한다. 즉, 상기 MAC 처리부(216)는 초기의 하드웨어적 네트워크 연결을 처리하는 구성부로서, 시간 동기를 위한 비콘 및 GTS(Guaranteed Time Slot; 충돌/지연 방지를 가능케 함)와 관련된 부가적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며,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방식으로 채널 접속을 처리한다.
또한, 상기 모듈 제어부(217)는 나머지 MAC 계층의 기능(상기 MAC 처리부(Hardware-MAC)와 대응하여 "Software-MAC"이라 함),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 프레임워크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구성하고, 응용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는, 조명기구(500) 및 교류전원(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기구(500)는 데이터 입력부(510), 인체감지 센서(515), 구동 제어부(520), 전원 공급부(530), 조명등 구동부(540), 디스플레이 구동부(550), 광원 조절부(560), 조명등(570) 및 디스플레이(580)를 포함할 수 있고, 음원 재생부 및 스피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는, 광원 조절부(560)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와 동일할 수 있다.
조명기구(500)는 조명등(570), 디스플레이(580) 및 구동 제어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등(570)에 의한 조명광원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580)에 의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동일 방향으로 설정되며, 표시문자 데이터 및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520)가 상기 수신된 표시문자 데이터 및 제어명령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조명등(570)의 구동 및 상기 디스플레이(580)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등(570)에 의해 조명광원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580)에 의해 표시문자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기구(500)의 조명등(570) 및 디스플레이(580)는 상기 구동 제어부(520)에 의해 서로 종속적으로 제어되어, 상기 조명기구(500)의 디스플레이(580)가 상기 조명등(570)의 조명광원과 동일한 방향으로 표시문자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종속적이라는 것은 상기 조명등(570) 및 디스플레이(580)가 독립적으로 제어되지 않고 서로 상관된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기구(500)의 데이터 입력부(510)는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제어명령을 입력한다.
상기 조명기구(500)의 구동 제어부(520)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510)에 의해 입력된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조명등(570)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명등 구동제어신호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580)의 구동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광원 영역과 디스플레이 영역이 동일하므로, 상기 구동 제어부(520)에 의해 서로 종속적으로 제어된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문자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경우 상기 조명등(570)을 기설정된 밝기로 점등하고, 상기 표시문자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상기 조명등(570)을 상기 기설정된 밝기보다 약한 밝기로 점등할 수 있다.
상기 조명기구(500)의 전원 공급부(530)는 상용 교류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조명기구의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상기 조명기구(500)의 광원 조절부(560)는 상기 조명등에 의해 제공되는 조명광원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표시문자 광원을 조절한다.
상기 조명기구(500)의 조명등 구동부(540)는 상기 광원 조절부(560)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구동 제어부(520)에서 출력되는 조명등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등(570)을 구동하며, 또한, 상기 조명기구(500)의 디스플레이 구동부(550)는 상기 광원 조절부(560)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구동 제어부(520)에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580)를 구동한다.
상기 조명기구(500)의 조명등(570)은 상기 조명등 구동부(540)에 의해 구동되어 조명광원을 제공하게 되고, 또한, 상기 조명기구(500)의 디스플레이(580)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550)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표시문자를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는 원격 제어단말을 포함할 수 있는데, 원격 제어단말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의 원격 제어단말(400)과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원격 제어단말은 상기 조명기구(500)의 조명등(570)의 구동을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명령을 선택하고, 상기 조명기구(500)의 디스플레이(580)에 의해 표시될 표시문자를 입력하며, 상기 표시문자 데이터 및 원격 제어명령을 적외선 통신모듈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명기구(500)는, 광원 영역과 디스플레이 영역이 동일한 경우, 원격 제어단말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조명을 연출하면서 동시에 디스플레이를 통해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500: 조명기구
110: 데이터 입력부 115: 인체감지 센서
120: 구동 제어부 125: USB 포트
130: 전원 공급부 140: 조명등 구동부
150: 디스플레이 구동부 160: 음원 재생부
170: 조명등 180: 디스플레이
190: 스피커 121: 데이터 처리부
122: 메모리 123: 조명등 상태 설정부
124: 디스플레이 상태 설정부 125: 음원 상태 설정부
210a: 수신부 210b: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300: 교류전원(AC) 310: USB
400: 원격 제어단말(리모콘) 410: 표시문자 입력부
420: 조작부 430: 인터페이스 모듈
440: 표시부 450: 데이터 처리부
460a: 송신부 460b: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Claims (8)

  1. 조명등, 디스플레이 및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등에 의한 조명광원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이한 방향으로 설정되며, 표시문자 데이터 및 원격 제어명령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표시문자 데이터 및 원격 제어명령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조명등의 구동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등에 의해 조명광원을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문자를 출력하는 조명기구; 및
    상기 조명기구의 조명등의 구동을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명령을 선택하고, 상기 조명기구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될 표시문자를 입력하며, 상기 표시문자 데이터 및 원격 제어명령을 송신부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하는 원격 제어단말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조명기구의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는 상기 구동 제어부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상기 조명기구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조명등의 조명광원과 상이한 방향으로 표시문자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는,
    적외선 통신모듈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원격 제어단말로부터 입력된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원격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원격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조명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명등 구동제어신호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구동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
    상용 교류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조명기구의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구동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조명등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등을 구동하는 조명등 구동부;
    상기 구동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
    상기 조명등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조명광원을 제공하는 조명등; 및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표시문자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원격 제어명령을 정해진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수신된 표시문자 데이터, 조명등 상태 설정 데이터, 또는 디스플레이 상태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원격 제어명령 및 상기 조명등 상태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상기 조명등의 출력 상태를 설정하여 조명등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조명등 상태 설정부; 및
    상기 원격 제어명령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상태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태 설정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단말은,
    상기 조명기구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된 표시문자를 입력하는 표시문자 입력부;
    상기 조명기구의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원격 조작부;
    상기 표시문자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표시문자 또는 상기 원격 조작부에서 생성되는 원격 제어명령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문자 또는 상기 원격 제어명령을 무선 송신을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된 표시문자 데이터 및 원격 제어명령을 적외선 통신모듈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에 의해 상기 조명기구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는,
    기저장된 음원 또는 상기 원격 제어단말로부터 제공된 음원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 및
    상기 음원 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추가로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는
    상기 조명등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 색상 및 색온도를 확인하여 각각 설정할 수 있는 상태 표시부 ;
    터치 방식 또는 키 입력 방식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 ;
    외부의 USB 메모리와 연결되어 표시문자 데이터 또는 음원을 제공받기 위한 USB 포트 ; 및
    상기 조명등 근처에 인체가 있는지 감지하는 인체감지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조명등 근처에서 인체가 감지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문자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명등 근처에 인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표시문자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
  7. 조명등, 디스플레이 및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등에 의한 조명광원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동일 방향으로 설정되며, 표시문자 데이터 및 원격 제어명령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표시문자 데이터 및 원격 제어명령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조명등의 구동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등에 의해 조명광원을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문자를 출력하는 조명기구; 및
    상기 조명기구의 조명등의 구동을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명령을 선택하고, 상기 조명기구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될 표시문자를 입력하며, 상기 표시문자 데이터 및 원격 제어명령을 송신부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하는 원격 제어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조명기구의 조명등 및 디스플레이는 상기 구동 제어부에 의해 서로 종속적으로 제어되어, 상기 조명기구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조명등의 조명광원과 동일한 방향으로 표시문자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는, 상기 표시문자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경우 상기 조명등을 기설정된 밝기로 점등하고, 상기 표시문자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상기 조명등을 상기 기설정된 밝기보다 약한 밝기로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
KR1020100006158A 2010-01-22 2010-01-22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 KR20110086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158A KR20110086431A (ko) 2010-01-22 2010-01-22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158A KR20110086431A (ko) 2010-01-22 2010-01-22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431A true KR20110086431A (ko) 2011-07-28

Family

ID=44922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158A KR20110086431A (ko) 2010-01-22 2010-01-22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64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259B1 (ko) * 2012-03-02 2013-11-11 주식회사 이엑스크리에이티브 동작 감지 조명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KR20160037665A (ko) * 2014-09-29 2016-04-06 백승권 무선 조명 및 스피커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259B1 (ko) * 2012-03-02 2013-11-11 주식회사 이엑스크리에이티브 동작 감지 조명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KR20160037665A (ko) * 2014-09-29 2016-04-06 백승권 무선 조명 및 스피커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
WO2016052956A1 (ko) * 2014-09-29 2016-04-07 백승권 무선 조명 및 스피커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1541B2 (en) LED lighting device
US9967960B2 (en) LED lighting device
US7548698B2 (en) Light communication system and illumination apparatus therefor
US996174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ing
CN107004342B (zh) 照明控制设备和方法
KR101436306B1 (ko) 보안기능을 갖는 조명 시스템
EP2289287B1 (en) Light sensor device and light control device
JP4727965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20120081775A (ko) 저전력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led 조명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20230019044A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ES2837650T3 (es) Sistemas y procedimientos para proporcionar energía y datos a dispositivos de iluminación
TWM507488U (zh) Led照明模組
KR101121059B1 (ko) Led 조명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10086431A (ko) 데이터 출력 기능이 부가된 조명장치
KR101622330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컨버터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398820B1 (ko) 무선으로 제어되는 다기능이 부여된 장식조형물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장식조형물 제어시스템
CA2669248C (en) Lighting system having master and slave lighting fixtures
KR102188131B1 (ko) 휴대용 조명제어장치 및 그를 가지는 스마트 조명시스템
CN219124402U (zh) 一种多功能智能音响灯
KR20220026985A (ko) 스마트 조명시스템 및 조명시스템의 id 등록 및 그룹핑 방법
JP2010193365A (ja) 可視光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213

Effective date: 2013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