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4229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절약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절약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4229A
KR20110084229A KR1020117010545A KR20117010545A KR20110084229A KR 20110084229 A KR20110084229 A KR 20110084229A KR 1020117010545 A KR1020117010545 A KR 1020117010545A KR 20117010545 A KR20117010545 A KR 20117010545A KR 20110084229 A KR20110084229 A KR 20110084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vals
powered
control signal
transmitter
radio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0160B1 (ko
Inventor
쳉즈히 팬
조셉 패트릭 버키
크리스티안 호렌스틴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84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및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 동안 수신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regulate)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또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 동안 송신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regulate)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절약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출원은 "POWER TIME-GATING OF HANDSET FRONT END"라는 명칭으로 2008년 10월 9일 출원된 가출원 61/104,205호를 우선권으로 청구하며, 상기 가출원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명백하게 통합된다.
본 출원은 개괄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 게이팅(time gating)을 통해 전력 보존을 촉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널리 전개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예를 들어, 대역폭 및 전송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 시스템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접속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접속(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시스템들,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시스템들, LET 어드밴스트(LTE-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시스템들, 및 단일 캐리어 FDMA(SC-FDMA)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턴 온되는 동안은 물론 기지국 및/또는 기지국을 통해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기간 동안에도 전력(예를 들어, 배터리 전력)을 사용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연산)에 부분적으로 의존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량의 감소는 이러한 감소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향상된 전체 성능 외에도 연장된 배터리 수명 및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배터리의 사용을 위한 감소된 비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술 분야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보존을 촉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하기 설명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러한 양상들의 간략화된 요약을 제공한다. 본 요약은 모든 고려되는 양상들의 포괄적인 개요는 아니며, 모든 양상들의 핵심 또는 주요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임의의 또는 모든 양상들을 기술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후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론으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일부 개념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및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 동안 수신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regulate)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 동안 수신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 동안 수신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및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 동안 수신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및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 동안 송신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 동안 송신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 동안 송신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및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 동안 송신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 및 관련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은 아래에서 충분히 설명되고, 특히 청구항에서 특정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아래 설명 및 관련 도면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어떤 예시적인 특징들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들은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일부만을 나타내며, 이러한 설명은 모든 이러한 양상들 및 이들의 균등물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설명된 양상들은, 설명을 위해 제공되지만 개시된 양상들을 제한하지 않는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기재될 것이며,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나타낸다.
도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양상들을 도시한다.
도2는 기지국과 액세스 단말 사이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3은 통신 시스템에 대한 프로토콜 스택의 일부 양상들을 도시한다.
도4는 자원 블록 및 자원 엘리먼트들을 보여주는 무선 프레임 구조 및 자원 격자를 도시한다.
도5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보존을 촉진하는 액세스 단말의 예를 도시한다.
도6은 수신기에 대한 시간 게이팅 패턴의 예를 도시한다.
도7은 송신기에 대한 시간 게이팅 패턴의 예를 도시한다.
도8은 수신기에서 전력 보존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9는 송신기에서 전력 보존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10은 수신기에서 전력 보존을 촉진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11은 송신기에서 전력 보존을 촉진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하의 개시에서는 설명을 위해, 다양한 특정 세부 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듯이,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장치 등은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와 같은 컴퓨터-관련 엔티티를 포함하도록 의도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가능한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에 로컬화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이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의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컴포넌트로부터의 그리고/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거치는 데이터)에 따르는 것과 같이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들을 통해, 상기 신호에 의해 다른 시스템들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이 무선 단말 또는 유선 단말일 수 있는 단말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단말은 또한 시스템, 디바이스,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모바일 디바이스, 원격국,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단말,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단말은 셀룰러 폰, 위성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국, 개인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접속 성능을 갖는 휴대용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게다가, 다양한 양상들이 기지국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기지국은 무선 단말(들)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이벌브드 노드 B(eNB), 또는 일부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순열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한다는 예들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만족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서 제시되는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종종 서로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유니버셜 지상 무선 액세스(UTRA),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들을 구현한다. UTRA는 광대역 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또한,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시스템은 이동 통신용 범용 시스템(GSM)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이벌브드 UTRA(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플래쉬 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유니버셜 이동 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이다. 3GPP 롱 텀 에벌루션(LTE) 및 LTE 어드밴스는 다운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고 업링크에서 SC-FDMA를 사용하는, E-UTRA를 사용하는 새로운 릴리스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 어드밴스 및 GSM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로 명명된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cdma2000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로 명명된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종종 쌍을 이루지 않은 비인가 스펙트럼들, 802.xx 무선 랜, 블루투스 및 임의의 다른 단거리 및 장거리 무선 통신 기술들을 이용하는 피어 투 피어(예를 들어, 모바일 투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들에 관하여 제공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도면과 관련하여 논의된 추가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모두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들의 결합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세한 설명에서, 용어 “예시적인”은 예, 보기,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것을 의미하도록 이용된다. “예시적인”것으로서 여기 기재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반드시 다른 양상들 또는 설계들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예시적인이란 용어의 사용은 구체적인 방식으로 개념들을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도1은 3GPP LTE E-UTRA 시스템일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시스템(100)은 3GPP에 의해 기술되는 기지국들(110)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하는 고정국일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110)은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지국의 전체 커버리지 영역은 다수(예를 들어, 3개)의 더 작은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더 작은 영역은 각각의 기지국 서브시스템에 의해 서비스될 수 있다. 3GPP에서, "셀"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커버리지 영역에 서비스하는 기지국 및/또는 기지국 서브시스템의 가장 작은 커버리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기(130)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서빙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세트의 기지국들에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기지국들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S-GW는 패킷 데이터, VoIP, 비디오, 메시지 등과 같은 데이터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다. MME는 핸드오버에서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에서 경로 스위칭을 전담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기(130)는 코어 및/또는 데이터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으며, 코어/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엔티티들(예를 들어, 원격 서버들 및 단말들)과 통신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들(120)은 네트워크 전체에 분산될 수 있고, 각각의 액세스 단말은 고정식이거나 이동식일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기지국으로부터 액세스 단말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하고,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액세스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한다. 도1에서, 이중 실선 화살표는 기지국과 액세스 단말 사이의 능동적인 통신을 나타낸다.
도2는 기지국(204)과 액세스 단말(208) 사이의 업링크(212) 및 다운링크(214)를 포함하는 시스템(200)을 도시한다. 기지국(204) 및 액세스 단말(208)은 도1에 도시된 기지국(110) 및 액세스 단말(120)에 대응할 수 있다. 업링크(212)는 액세스 단말(208)로부터 기지국(204)으로의 전송을 의미하며, 다운링크(214)는 기지국(204)으로부터 액세스 단말(208)로의 전송을 의미한다.
도3은 통신 시스템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의 일부 양상들을 도시한다. 기지국(204) 및 액세스 단말(208) 모두는 도3에 도시된 프로토콜 스택(3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토콜 스택은 물리 계층(PHY)(316), 매체 액세스 제어(MAC)(318), 및 상위 계층들(32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토콜은 상위 서브계층/계층으로부터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들을 수신하고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UD)들을 하위 서브계층/계층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MAC 계층(318)은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322)을 통해 상위 계층들(3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위 계층들(320)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및 무선 링크 제어(RLC)를 포함할 수 있다.
MAC 계층(318)은 논리 채널들(322)과 전송 채널들(324) 사이의 맵핑, 논리 채널들(322)에 대한 다양한 PDU들의 전송 채널들(324)에 대한 전송 블록들로 멀티플렉싱 및 그로부터의 디멀티플렉싱,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HARQ)를 통한 에러 보정, 트래픽 볼륨 측정 보고, 액세스 단말의 논리 채널들(322) 사이의 우선 순위 조절, 동적 스케줄링을 통한 액세스 단말들 사이의 우선 순위 조절, 전송 포맷 선택, 패딩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물리 계층(316)은 다수의 물리 제어 채널들(326)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204)은 이러한 세트의 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리 계층(316)은 또한 물리 채널들(326)을 통해 데이터 전송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운링크 신호 전송들을 위한 물리 채널들 중 일부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물리 하이브리드 ARQ 표시자 채널(PHICH) 및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일 수 있다. 업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물리 채널들 중 일부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및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일 수 있다.
시스템(100)은 다운링크에 대해 직교 OFDMA를 이용하고 업링크에 대해 SC-FDMA를 이용할 수 있다. OFDM의 근간을 이루는 기본적인 개념은 이용가능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수 개의 서브캐리어들로 분할하는 것이다. 높은 스펙트럼 효율을 획득하기 위해, 서브캐리어들의 주파수 응답은 중첩 및 직교한다. 시스템(100)에서, OFDMA 다운링크 전송들 및 업링크 전송들은 무선 프레임들로 구조화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대략 10ms의 지속 기간을 갖는다. 10ms 무선 프레임은 예시적이며, 개시된 양상들은 상이한 지속 기간들 및 프레임 구조들을 갖는 다른 무선 프레임들에 적용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프레임 구조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개별 외부 지향(outward) 신호 및 리턴 신호들에 대한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의 적용) 및 시분할 듀플렉스(TDD)(개별 외부 지향 신호 및 리턴 신호에 대한 시분할 멀티플렉싱의 적용)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10ms 길이이고, 0 내지 19로 번호 표시된 20개의 0.5ms 슬롯들로 구성된다. 서브프레임은 두 개의 연속한 슬롯들로서 정의되며, 여기서 서브프레임 i는 슬롯들(2i 및 2i+1)로 구성된다. 서브프레임은 전송 시간 간격(TTI)으로 지칭될 수 있다. FDD의 경우, 각각 10ms 간격으로, 10개의 서브프레임들이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이용가능하며, 10개의 서브프레임들이 업링크 전송을 위해 이용가능하다.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분리된다. TDD의 경우,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전송에 할당되거나 업링크 전송에 할당된다. 서브프레임 0 및 서브프레임 5는 언제나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에서의 신호는 NscRB개의 서브캐리어들 및 NSYMB개의 심벌들의 자원 격자에 의해 표현될 수 있는데, NSYMB개의 심벌들은 다운링크의 경우 OFDM 심벌들이거나, 업링크의 경우 SC-FDMA 심벌들일 수 있다. 각각의 심벌은 대략 71.4㎲의 지속 기간일 수 있다. 기지국(110)으로부터의 다중 안테나 전송의 경우, 안테나 포트 당 정의된 하나의 자원 격자가 있을 수 있다. 안테나 포트는 셀 내에서 고유한 다운링크 참조 신호(DLRS)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안테나 포트 p에 대한 자원 격자의 각각의 엘리먼트는 자원 엘리먼트로 지칭될 수 있으며, 지수 쌍(k, l)에 의해 고유하게 식별되는데, 여기서, k 및 l은 각각 주파수 및 시간 도메인에서의 지수들이다. 하나, 둘, 넷 또는 그 이상의 안테나 포트들이 지원될 수 있다. 물리 자원 블록은 시간 도메인에서 NSYMB개의 연속 심벌들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 NscRB(예를 들어, 12)개의 연속한 서브캐리어들로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자원 블록은 NSYMB ×NscRB개의 자원 엘리먼트들로 구성된다.
시스템(100)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비실시간(NRT) 데이터 또는 실시간(RT) 데이터로 분류될 수 있다. NRT 데이터의 예들은 액세스 단말에 의한 웹 브라우징 또는 액세스 단말로의 텍스트 메시징 동안 전송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한편, RT 데이터의 예는 액세스 단말들 간의 음성 통신이다.
데이터 패킷들(NRT 및 RT)은 PDSCH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액세스 단말들로 전송된다. 다양한 변조 및 코딩 방식(MCS)들이 PDSCH에 대해 지원된다. 변조 방식들은 직교 위상 편이 변조(QPSK)와, 16-QAM 및 64-QAM과 같은 직교 진폭 변조(QAM)를 포함한다. 에러 정정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코딩 레이트들이 이용될 수 있다. 변조 방식들 및 코딩 레이트들의 결합은 많은 수, 예를 들어, 30개의 가능한 MCS들을 초래할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PDCCH 및 PHICH로 전송될 수 있다. PDCCH는 일반적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로서 사용될 수 있다. PDCCH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PHICH는 패킷이 올바르게 수신된 경우 확인응답 신호(ACK)의 형태로, 그리고 패킷이 올바르지 않게 수신된 경우 부정응답 신호(NAK)의 형태로 피드백을 전송함으로써, 업링크 패킷이 기지국에서 올바르게 수신되었는 지의 여부를 다운링크를 통해 액세스 단말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자원들을 스케줄링할 때, 기지국은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에서 상당한 양의 물리 자원들을 특정 액세스 단말에 승인하는 스케줄링 승인을 PD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의 경우, 이러한 양의 물리 자원들은 다수의 업링크 자원 블록들로 구성된다. 이어 기지국은, 일단 승인된 세트의 업링크 자원 블록들이 통과되면, 액세스 단말이 자신의 업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도록 적절하게 ACK 또는 NACK를 액세스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5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보존을 촉진하는 액세스 단말의 설명이다. 액세스 단말(500)은 도1에 도시된 액세스 단말들(120) 중 하나에 응답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단말(50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수신 안테나들(미도시)로부터 다수의 신호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들에 대한 전형적인 동작(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 등)을 수행하고, 조정된 신호들을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획득하는 수신기(50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50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수신기이거나, 각각의 개별 통신 프로토콜에 관련한 다수의 수신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502)는 또한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서(506)에 제공하기 전에 필요한 아날로그 신호 프로세싱의 수행을 전담하는 아날로그 프론트엔드(RX AFE)(5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X AFE(504)는 각각의 신호로부터 수신된 심벌들을 복조할 수 있는 복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기의 일부로서, 또는 복조기에 별도로, RX AFE(504)는 저잡음 증폭기(LAN), 믹서, 기저대역 필터(BBF),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및 위상 동기 루프 기반 로컬 오실레이터(PLL/LO)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물론 다른 컴포넌트들이 수신기(502)의 RX AFE(504)를 구성할 수 있다. 수신기(502)는 또한 디지털 신호 버퍼들, 디지털 저역 통과 필터(DLPE), 데시메이터, 고속 푸리에 변환기(FET), 동기화기, 등화기, 복조기, 디코더 등과 같은 디지털 백엔드(DBE)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또한 시간 게이팅될 수 있다.
프로세서(506)는 수신기(502)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고 그리고/또는 송신기(512)에 의한 전송을 위한 정보를 생성하도록 전용되는 프로세서, 액세스 단말(5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수신기(502)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고, 송신기(512)에 의한 전송을 위한 정보를 생성하고, 액세스 단말(5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송신기(5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송신기이거나, 각각의 개별 통신 프로토콜에 관련한 다수의 송신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512)는 또한 예를 들어, 위성, 기지국, 웹/인터넷 액세스 포인트 이름(APN), 및 다른 액세스 단말들로의 전송을 위해 안테나(미도시)로 신호를 제공하기 전에 필요한 아날로그 신호 프로세싱의 수행을 전담하는 아날로그 프론트엔드(TX AFE)(5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X AFE(514)는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을 변조할 수 있는 변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변조기의 일부로서 또는 변조기와 별도로, TX AFE(514)는 스펙트럼 형성 필터(spectrum shaping filter),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 믹서, BBF, 전력 증폭기, 및 PLL/LO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물론 다른 컴포넌트들이 송신기(512)의 TX AFE(514)를 구성할 수 있다.
수신기(502) 및 송신기(5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또는 프로세서(506)를 통해 제어기(510)에 추가로 동작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어기(510)는 특정 시간 게이팅 패턴에 기반하여 RX AFE(504) 및 TX AFE(514)를 파워 다운 및 파워 업 함으로써 수신기(502) 및 송신기(512)의 전력 소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기(51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자원 스케줄링 정보, 액세스 단말(500)에 의한 시간 주파수 자원 사용, 및 다른 인자들(예를 들어, 제어 프로세싱 지연, 아날로그 블록 웨이크업 시간, 로컬 오실레이터 주파수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들로부터 RX AFE(504) 및 TX AFE(514)에 대한 각각의 시간 게이팅 패턴들을 도출할 수 있다. 각각의 시간 게이팅 패턴은 수신기(502) 및 송신기(512)의 컴포넌트들 모두 또는 대부분이 파워 온 및 오프되는 서브프레임들 및 심벌들(자원 엘리먼트)을 제어함으로써 제어기(510)가 수신기(502) 및 송신기(512)의 전력 소비를 일시적으로 조절하게 한다. 수신기(502)의 다른 DBE 컴포넌트들은 또한 RX AFE(504)와 유사한 방식으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시간 게이팅될 수 있다. 시간 게이팅될 때, 제어기(510)는 액세스 단말(500)이 신호들을 효율적으로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도록, RX AFE(504) 및 TX AFE(514)에서 각각의 컴포넌트에 대한 특정 웨이크업 시간(즉, 컴포넌트가 파워 온되는 시간 기간)을 구성할 수 있다. RX AFE(504) 및 TX AFE(514)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이 개별적으로 파워 온 또는 오프될 수 있으며, 웨이크업 시간은 서브 심벌 기간(예를 들어, 5-10㎲)일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타이머는 LAN의 경우 10㎲, ADC, DAC, LO 드라이버들 및 기저대역 증폭기들의 경우 5㎲, 합성기(synthesizer)의 경우 150㎲로 설정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500)은 무선 프레임에서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게이팅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500)은 기지국(110)으로부터 무선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프레임의 첫 번째 심벌, 처음 2개 심벌들 또는 처음 3개의 심벌들은, 인입(incoming) 전송이 액세스 단말(500)로 향하는 것인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액세스 단말(500)은 다양한 다운링크 자원 엘리먼트들을 액세스 단말(500)에 할당하는 스케줄을 기지국(110)으로부터 앞서 수신했을 수 있으며, 스케줄은 또한 인입 전송이 액세스 단말(500)로 향하는 것인 지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스케줄은 PDC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제어기(510)는 제어 정보 또는 스케줄을 프로세싱하고 인입 전송이 액세스 단말(500)로 향하는 것인 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 프레임이 액세스 단말(500)로 향하는 것이라고 제어기(510)가 결정하면, 액세스 단말(500)이 무선 프레임의 나머지를 수신하여 프로세싱하게 하도록, 제어기는 적어도 무선 프레임의 지속 기간 동안 RX AFE(504)에 대한 전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기(510)가 제어 정보 또는 스케줄로부터, 무선 프레임이 액세스 단말(500)로 향하는 것이 아니라고 결정하면, 제어기는 시간 게이팅 패턴을 생성하고, 적절한 정보가 수신되는 것으로 예상될 경우만 RX AFE(504)가 파워 온 되도록 시간 게이팅 패턴에 따라 RX AFE(504)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수신기(502)에 대한 이러한 시간 게이팅 패턴의 예가 도6에 도시된다. 엘리먼트들(602)은 액세스 단말(500)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포함하는 심벌들을 표시한다. 각각의 심벌은 대략 71.4㎲의 지속 기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벌 0, 심벌 1 및 심벌 2 내의 엘리먼트들(602)은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기(510)는 제어 정보로부터 시간 게이팅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제어기(510)는 무선 프레임이 액세스 단말(500)로 향하는 것이 아니라고 결정하였고, 그에 따라, 기지국(110)으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할 때(즉, 심벌 4, 심벌 8, 심벌 12 등 동안)에만 RX AFE(504)가 온(on)이 되게 하는 시간 게이팅 패턴을 생성하였다. 그 다음, RX AFE(504)의 컴포넌트들은 심벌 4, 심벌 8, 심벌 12 등 동안 파일럿 신호들을 갖는 심벌들을 수신하기 위해 파워 온으로 진행하고, 비활동적인 유휴 상태로 있지 않기 위해 모든 다른 심벌 3, 심벌 5, 심벌 6, 심벌 7, 심벌 9, 심벌 10, 심벌 11, 심벌 13 등 동안 파워 다운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기(510)는 액세스 단말(500)에 대한 전력을 보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RX AFE(504)의 컴포넌트들은 또한 파일럿 신호들을 갖는 심벌들 중 일부 또는 모두에 대해 파워 다운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시간 게이팅 패턴은 채널 추정 품질을 희생하고 더 많은 전력 보존을 제공할 수 있다. RX AFE(504)로 하여금, 프로세싱 지연으로 인해 적어도 심벌 3의 부분 동안 파워 온 되게 할 수 있는 수신된 제어 정보의 프로세싱과 관련되는 일부 지연이 존재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제어기(510)는 또한 적절한 할당 모드 및 스케줄링된 할당 모드와 같이 다양한 상이한 모드들로 동작할 수 있다. 적절한 할당 모드에서, 첫 번째 3개의 심벌들이 수신되어 디코딩되고, 수 개(예를 들어, 10개)의 무선 프레임들마다 한 번씩 자원들이 적절하게 할당된다고 제어기(510)가 결정할 때, 제어기(510)는 어떠한 프로세싱 지연도 없음을 가정하고, 현재의 무선 프레임에 대한 현재의 서브프레임에서 모든 나머지 11개의 심벌들 동안 RX AFE(504)를 파워 오프할 수 있다. 스케줄링된 할당 모드에서, RX AFE(504)가 모든 PDCCH 동안 파워 온 될 수 있는 경우, 제어기(510)는 제2 슬롯에서 파일럿들을 수신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RX AFE(504)는 제2 슬롯 전체 및 제1 슬롯의 나머지 부분 동안 파워 오프 될 수 있다.
제어기(510)는 마찬가지로 송신기(512)의 TX AFE(514)에 대한 시간 게이팅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500)은 다양한 업링크 자원 엘리먼트들을 액세스 단말(500)에 할당하는 스케줄을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스케줄은 PUC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스케줄은 또한 액세스 단말(500)이 다른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또는 음성 패키지를 수신하고 있는 지를 표시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또는 음성 패키지가 인입하고 있지 않으면, 액세스 단말(500)은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유지하도록 기지국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제어기(510)는 제어 정보를 프로세싱하여, 언제 그리고 얼마 동안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기(510)가 데이터 또는 음성 패키지가 인입하고 있다고 결정하면, 제어기는 적어도 데이터 또는 음성 패키지의 지속 기간 동안 TX AFE(514)에 대한 전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음성 및/또는 데이터 패키지들이 연속하여 인입하지 않고 있거나 전송되지 않고 있는 경우, 제어기(510)는 또한 실시간 음성 호 동안 또는 데이터 서비스의 사용 동안 시간 게이팅 패턴에 따라 TX AFE(514) 및 RX AFE(504)를 파워 오프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기지국(110)의 자원 스케줄러가, 액세스 단말(500)에 대한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을 시간 버스티(bursty)(즉, 연속하여 서브프레임들을 수신 또는 전송하지 않음)하게 구성하는 경우일 수 있다. 그러나 제어 정보로부터, 어떠한 인입 데이터 또는 음성 패키지가 존재하지 않고, 특정 서브프레임 동안 액세스 단말(500)이 상태 정보를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고 제어기(510)가 결정하면, 상기 하나의 서브프레임 또는 액세스 단말(500)이 기지국(110)으로 정보를 전송하도록 요구되는 다른 서브프레임들의 전송 동안에만 TX AFE(514)가 파워 온 되도록, 제어기는 시간 게이팅 패턴을 생성하고 시간 게이팅 패턴에 따라 TX AFE(514)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게이팅 패턴의 예가 도7에 도시된다. 이러한 예에서, 제어기(510)는, 어떠한 인입 데이터 또는 음성 패키지도 존재하지 않으며, 액세스 단말(500)이 무선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 동안 상태 정보를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했다. 따라서 제어기(510)는, 상태 정보를 기지국(110)으로 전송하는 제1 서브프레임 0 동안에만 TX AFE(514)가 온(on)이 되게 하는 시간 게이팅 패턴을 생성했다. 그 다음, TX AFE(514)의 컴포넌트들은 서브프레임 0 동안 상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파워 온으로 진행하고, 비활동적으로 유휴 상태로 있지 않기 위해 모든 다른 서브프레임 동안 파워 다운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기(500)는 송신기(512)에 의한 전력 보존을 촉진시킬 수 있다.
액세스 단말(500)은 프로세서(506)에 동작하게 연결되고, 전송될 데이터, 수신된 데이터, 이용가능한 채널들에 관련되는 정보, 분석된 신호 및/또는 간섭 강도와 관련되는 데이터, 할당된 채널에 관련되는 정보, 전력, 레이트 등 및 채널을 추정하고 채널을 통해 전달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508)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08)는 채널의 추정 및 또는 이용(예를 들어, 성능 기반, 용량 기반 등)과 관련되는 프로토콜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을 부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데이터 저장소(예를 들어, 메모리(508))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하나 일 수 있으며,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로써, 제한적이지는 않지만,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램가능 ROM(P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램가능한 ROM(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PROM(EEPROM), 또는 플래쉬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 동작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써, 제한적이지는 않지만, RAM은 동기 RAM(SRAM), 동적 RAM(DRAM), 동기 DRAM(SDRAM), 2배 데이터 레이트 SDRAM(DDR SDRAM), 확장 SDRAM(ESDRAM), 동기링크 DRAM(SLDRAM) 및 직접 램버스 RAM(DRRAM)과 같은 다양한 형태들로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508)는 다양한 다른 적절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어기(510)는 메모리(508)에서의 획득(acquisitino) 및 저장을 제어하고, 프로세서(506)를 통한 송신기(512)와의 인터페이싱에 의해 다른 네트워크들 상의 기지국들, 위성들 및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조정할 있다.
비록 프로세서(506)와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제어기(510)는 프로세서(506) 또는 다수의 프로세스들(미도시)의 일부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더욱이, 제어기(510)의 기능들은, 운영 체계에서 애플리케이션 계층, 데이터 스택, HTTP 스택에, 인터넷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에, 또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에 통합될 수 있다.
도8은 수신기에서 전력 보존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프로세스는 액세스 단말들(5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802)에서, 제어 정보가 수신되었는 지에 관한 결정이 행해질 수 있다. 제어 정보가 수신되었다면, 프로세스는 블록(804)으로 진행할 수 있고, 그렇지 않다면, 프로세스는 블록(802)으로 복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500)은 기지국(110)으로부터 제어 정보 또는 스케줄을 수신할 수 있다.
블록(804)에서, 무선 프레임과 같은 인입 전송이 액세스 단말로 향한 것인지에 관한 결정이 행해질 수 있다. 전송이 액세스 단말로 향한 것이면, 프로세스는 블록(80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블록(808)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 또는 스케줄을 디코딩할 때, 제어기(510)는 전송 또는 프레임이 액세스 단말(500)로 향하는 것인 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블록(806)에서, 수신기가 액세스 단말로 향하는 모든 전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일정한 전력이 수신기에 제공 및/또는 유지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스는 블록(812)으로 진행할 수 있다.
블록(808)에서, 시간 게이팅 패턴이 생성될 수 있으며, 프로세스는 블록(810)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510)는 RX AFE(504)가 파워 온 및 오프될 때를 조절하는 시간 게이팅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블록(810)에서, 수신기의 전력은 생성된 시간 게이팅 패턴에 기반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프로세스는 블록(812)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510)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예를 들어, 대략 하나의 심벌의 지속 기간) 동안 RX AFE(504)를 파워 오프함으로써 이러한 간격들 동안 수신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할 수 있다.
블록(812)에서, 액세스 단말(500)이 파워 오프되는 지에 관한 결정이 행해질 수 있다. 액세스 단말(500)이 파워 오프되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블록(802)으로 복귀한다.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종료한다.
도9는 송신기에서 전력 보존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프로세스는 액세스 단말들(5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902)에서, 제어 정보가 수신되었는 지에 관한 결정이 행해질 수 있다. 제어 정보가 수신되었다면, 프로세스는 블록(904)으로 계속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블록(902)으로 복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500)은 기지국(110)으로부터 제어 정보 또는 스케줄을 수신할 수 있다.
블록(904)에서, 송신기가 계속하여 파워 온 될 필요가 있는 지에 관한 결정이 행해질 수 있다. 송신기가 계속하여 파워 온 될 필요가 있다면, 프로세스는 블록(906)으로 진행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블록(908)으로 진행할 수 있다.
블록(906)에서, 송신기가 임의의 적절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일정한 전력이 송신기에 제공 및/또는 유지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스는 블록(912)으로 진행한다.
블록(908)에서, 시간 게이팅 패턴이 생성될 수 있으며, 프로세스는 블록(910)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510)는 TX AFE(514)가 파워 온 및 오프되는 때를 조절하는 시간 게이팅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블록(910)에서, 송신기의 전력이 생성된 시간 게이팅 패턴에 기반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프로세스는 블록(912)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510)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예를 들어, 대략 하나의 심벌의 지속 기간) 동안 TX AFE(514)를 파워 온 함으로써 이러한 간격들 동안 송신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할 수 있다.
블록(912)에서, 액세스 단말(500)이 파워 오프되는 지에 관한 결정이 행해질 수 있다. 액세스 단말(500)이 파워 오프되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블록(902)으로 복귀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종료할 수 있다.
도10은 수신기에서 전력 보존을 촉진하는 예시적인 시스템(1000)의 설명이다. 예를 들어, 시스템(1000)은 액세스 단말 등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시스템(1000)이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것을 이해해야 하며, 여기서 기능 블록들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일 수 있다. 시스템(1000)은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는 수단들의 논리 그룹(10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논리 그룹(1002)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1004); 및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 동안 수신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1006)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시스템(1000)은 수단들(1004 내지 1006)과 관련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1008)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08)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하나 이상의 수단들(1004 내지 1006)중 하나 이상이 메모리(1008) 내에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11은 송신기에서 전력 보존을 촉진하는 예시적인 시스템(1100)의 설명이다. 예를 들어, 시스템(1100)은 액세스 단말 등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시스템(1100)이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것을 이해해야 하며, 여기서 기능 블록들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일 수 있다. 시스템(1100)은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는 수단들의 논리 그룹(11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논리 그룹(1102)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1104); 및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 동안 송신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1106)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시스템(1100)은 수단들(1104 내지 1106)과 관련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1108)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8)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하나 이상의 수단들(1104 내지 1106)이 메모리(1108) 내에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들,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이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논리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상용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계산 장치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관련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들의 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전술된 단계들 및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명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기술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소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양상들에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위치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위치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서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일부 양상들에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통합될 수 있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 및/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코드들 및/또는 명령들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 또는 이들의 세트로서 존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들,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 또는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disk 및 disc은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 광 disc, 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는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조합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전술한 개시가 예시적인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을 설명하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설명된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들 및 변화들이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비록 설명된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엘리먼트들이 단수로 설명 또는 청구될 수 있지만, 단수로 한정한다는 명시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복수도 고려된다. 부가적으로, 임의의 양상 및/또는 실시예의 모두 또는 일부가, 다르게 설명되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양상 및/또는 실시예의 모두 또는 일부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0)

  1. 무선 통신 장치로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및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 동안 상기 수신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regulate)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의 서브프레임보다 짧은 지속 기간을 갖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의 심벌보다 짧은 지속 기간을 갖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심벌은 대략 71.4㎲의 지속 기간을 갖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간격들의 시간적 위치를 표시하는 패턴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의 상기 시간적 위치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의존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간격들 동안 파워 오프(powered off) 되는, 무선 통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간격들 사이에서 파워 온(powered on) 되는, 무선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두 간격들 사이에서, 상기 수신기는 하나의 서브프레임보다 작은 시간 기간 동안 파워 온 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두 간격들 사이에서, 상기 수신기는 1ms보다 작은 시간 기간 동안 파워 온 되는, 무선 통신 장치.
  1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 동안 상기 수신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의 서브프레임보다 짧은 지속 기간을 갖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의 심벌보다 짧은 지속 기간을 갖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심벌은 대략 71.4㎲의 지속 기간을 갖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의 시간적 위치를 표시하는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의 상기 시간적 위치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의존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간격들 동안 파워 오프(powered off) 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간격들 사이에서 파워 온(powered on) 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두 간격들 사이에서, 상기 수신기는 하나의 서브프레임보다 작은 시간 기간 동안 파워 온 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두 간격들 사이에서, 상기 수신기는 1ms보다 작은 시간 기간 동안 파워 온 되는, 방법.
  21.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 동안 상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의 서브프레임보다 짧은 지속 기간을 갖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의 심벌보다 짧은 지속 기간을 갖는,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심벌은 대략 71.4㎲의 지속 기간을 갖는,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의 시간적 위치를 표시하는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의 상기 시간적 위치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의존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간격들 동안 파워 오프(powered off) 되는,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간격들 사이에서 파워 온(powered on) 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두 간격들 사이에서, 상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하나의 서브프레임보다 작은 시간 기간 동안 파워 온 되는,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두 간격들 사이에서, 상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1ms보다 작은 시간 기간 동안 파워 온 되는, 장치.
  31.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 동안 수신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의 서브프레임보다 짧은 지속 기간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의 심벌보다 짧은 지속 기간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심벌은 대략 71.4㎲의 지속 기간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의 시간적 위치를 표시하는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의 상기 시간적 위치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의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간격들 동안 파워 오프(powered off) 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간격들 사이에서 파워 온(powered on) 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두 간격들 사이에서, 상기 수신기는 하나의 서브프레임보다 작은 시간 기간 동안 파워 온 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두 간격들 사이에서, 상기 수신기는 1ms보다 작은 시간 기간 동안 파워 온 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1. 무선 통신 장치로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및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 동안 송신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지속 기간인, 무선 통신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지속 기간이 작은, 무선 통신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대략 1ms의 지속 기간을 갖는, 무선 통신 장치.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간격들의 시간적 위치를 표시하는 패턴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의 상기 시간적 위치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의존하는, 무선 통신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간격들 동안 파워 온(powered on) 되는, 무선 통신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간격들 사이에서 파워 오프(powered off) 되는, 무선 통신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두 간격들 사이에서, 상기 송신기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시간 기간 동안 파워 오프 되는, 무선 통신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간격 동안, 상기 송신기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시간 기간 동안 파워 온 되는, 무선 통신 장치.
  5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 동안 상기 송신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지속 기간인,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지속 기간이 작은,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대략 1ms의 지속 기간을 갖는, 방법.
  55.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의 시간적 위치를 표시하는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의 상기 시간적 위치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의존하는,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간격들 동안 파워 온(powered on) 되는,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간격들 사이에서 파워 오프(powered off) 되는,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두 간격들 사이에서, 상기 송신기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시간 기간 동안 파워 오프 되는, 방법.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간격 동안, 상기 송신기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시간 기간 동안 파워 온 되는, 방법.
  61.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 동안 송신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지속 기간인, 장치.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지속 기간이 작은, 장치.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대략 1ms의 지속 기간을 갖는, 장치.
  65.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의 시간적 위치를 표시하는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의 상기 시간적 위치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의존하는, 장치.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간격들 동안 파워 온(powered on) 되는, 장치.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간격들 사이에서 파워 오프(powered off) 되는, 장치.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두 간격들 사이에서, 상기 송신기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시간 기간 동안 파워 오프 되는, 장치.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간격 동안, 상기 송신기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시간 기간 동안 파워 온 되는, 장치.
  71.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간격들 동안 송신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지속 기간인,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지속 기간이 작은,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대략 1ms의 지속 기간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75.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의 시간적 위치를 표시하는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의 상기 시간적 위치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의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간격들 동안 파워 온(powered on) 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간격들 사이에서 파워 오프(powered off) 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79.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두 간격들 사이에서, 상기 송신기는 하나의 서브프레임보다 작은 시간 기간 동안 파워 오프 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간격 동안, 상기 송신기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보다 작은 시간 기간 동안 파워 온 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KR1020117010545A 2008-10-09 2009-10-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절약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90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420508P 2008-10-09 2008-10-09
US61/104,205 2008-10-09
US12/575,695 2009-10-08
US12/575,695 US8874065B2 (en) 2008-10-09 2009-10-08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via time-g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US2009/060114 WO2010042789A1 (en) 2008-10-09 2009-10-09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229A true KR20110084229A (ko) 2011-07-21
KR101290160B1 KR101290160B1 (ko) 2013-07-26

Family

ID=4209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545A KR101290160B1 (ko) 2008-10-09 2009-10-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절약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874065B2 (ko)
EP (1) EP2342831B1 (ko)
JP (1) JP5559180B2 (ko)
KR (1) KR101290160B1 (ko)
CN (2) CN102160294B (ko)
TW (1) TW201029344A (ko)
WO (1) WO20100427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4065B2 (en) 2008-10-09 2014-10-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via time-g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00184489A1 (en) * 2009-01-16 2010-07-2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device
WO2012010194A1 (en) * 2010-07-19 2012-01-26 Nokia Siemens Networks Oy Energy saving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KR20120018266A (ko) 2010-08-20 2012-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법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증폭기 소모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9602849B2 (en) 2010-09-17 2017-03-21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rub preview services
US9686815B2 (en) * 2011-11-02 2017-06-20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managing discontinuous transmission at a wireless access terminal
US9008734B2 (en) * 2011-11-21 2015-04-14 Broadcom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reduced power consumption
US20140098727A1 (en) * 2012-10-04 2014-04-10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network signaling during low-power operation
JP6246823B2 (ja) * 2012-10-29 2017-12-13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ワイヤレスアクセス端末において間欠送信を管理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WO2014140907A2 (en) * 2013-03-15 2014-09-18 Powerwave Technologies S.A.R.L. Downlink power management
US10701685B2 (en) 2014-03-31 2020-06-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synchronous OFDMA/SC-FDMA
US9419770B2 (en) 2014-03-31 2016-08-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synchronous OFDMA/SC-FDMA
US10531432B2 (en) 2015-03-25 2020-01-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for sparse code multiple access transmissions
US9572106B2 (en) * 2014-10-31 2017-02-14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bandwidth switching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9629066B2 (en) * 2015-02-24 2017-04-1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time intervals
US10805000B2 (en) 2015-07-23 2020-10-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ntinuous transmission in bent-pipe relay in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
US10827431B2 (en) 2016-01-06 2020-11-03 Apple Inc. Receiver front-end power consumption reduction via linearity and sensitivity adaptation
US10412669B2 (en) * 2016-03-14 2019-09-10 Apple Inc. Low power cellular modem system architecture
CN110710174A (zh) * 2017-04-06 2020-01-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无线通信波形生成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1542A (en) * 1991-08-23 1993-08-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ttery efficient operation of scheduled access protocol
JP2689927B2 (ja) 1994-12-09 1997-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ペクトラム拡散受信機
US6097933A (en) * 1997-12-04 2000-08-01 Glenayre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erving power in a pager
JP3463555B2 (ja) 1998-03-17 2003-11-05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局、及び制御局
US6876866B1 (en) 2000-07-13 2005-04-05 Qualcomm Incorporated Multi-state power control mechanis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829468B2 (en) 2001-03-05 2004-12-07 Lucent Technologies Inc. Reverse-link power control overshoot considering mobile station transmission limitations
US6586999B2 (en) * 2001-07-11 2003-07-01 Multispectral Solutions, Inc. Ultra wideband transmitter with gated push-pull RF amplifier
US7277417B2 (en) * 2003-04-29 2007-10-02 Broadcom Corporation Low power protocol for wireless terminal peer-to-peer communications
EP1728407A4 (en) * 2004-03-25 2007-05-30 Research In Motion Ltd WIRELESS ACCESS POINT PROCESS AND DEVICE FOR REDUCED POWER CONSUMPTION AND REDUCED COSTS
KR100663492B1 (ko) * 2004-10-26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인터넷 단말기의 전원제어방법 및 장치
WO2008096243A2 (en) 2007-02-06 2008-08-1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fficient discontinuous communication
US20080192622A1 (en) * 2007-02-09 2008-08-14 Comsys Communication & Signal Processing Ltd. Control channel signaling in a multiple acces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24013B2 (en) * 2008-07-09 2011-09-2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Regulating power duty cycle of an RF transmitter/receiver responsive to distance moved
US8874065B2 (en) 2008-10-09 2014-10-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via time-g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55062B2 (en) 2009-05-28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selection of subframe formats in a wireless network
US8411707B2 (en) * 2009-10-07 2013-04-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w power, high speed multi-channel data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36449B2 (en) 2018-04-03
JP2012505611A (ja) 2012-03-01
KR101290160B1 (ko) 2013-07-26
US8874065B2 (en) 2014-10-28
TW201029344A (en) 2010-08-01
JP5559180B2 (ja) 2014-07-23
CN105188120A (zh) 2015-12-23
US20140254448A1 (en) 2014-09-11
CN102160294A (zh) 2011-08-17
CN102160294B (zh) 2016-09-28
EP2342831B1 (en) 2016-08-31
US20100093288A1 (en) 2010-04-15
EP2342831A1 (en) 2011-07-13
WO2010042789A1 (en)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16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절약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2592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power control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520487B1 (en) Use of reference signals to improve user equipment (ue) warm-up before transitioning from an off duration of the ue to an on duration of the ue with respect to a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KR101774323B1 (ko)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413481B2 (en)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674940B1 (ko)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302417B2 (ja) 伝送電力を制御する方法及び伝送電力を制御する装置
CN108141874B (zh) 用于共享射频频谱带中的下行链路调度和上行链路调度的技术
US20130322276A1 (en) Device-to-device (d2d) link adaptation
JP2019533378A (ja) ワイヤレス通信における送信電力を調整するための技法
JP2010518786A (ja) 無線通信のアップリンク電力制御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11699740B (zh) 具有缩短的传输时间间隔的信道的传输块尺寸
US20120300727A1 (en) User equipment that transmits an uplink signal in a multi-carrier suppor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US9451629B2 (en) Resource allocation for the coexistence of peer discovery and legacy LTE traffic
TWI837259B (zh) 用於在不連續接收期間促進喚醒訊號傳遞的方法和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