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986A - Elevator door with reinforced derail preven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Elevator door with reinforced derail preventio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986A
KR20110083986A KR1020100003997A KR20100003997A KR20110083986A KR 20110083986 A KR20110083986 A KR 20110083986A KR 1020100003997 A KR1020100003997 A KR 1020100003997A KR 20100003997 A KR20100003997 A KR 20100003997A KR 20110083986 A KR20110083986 A KR 20110083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separation
guide groov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9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49751B1 (en
Inventor
장병원
Original Assignee
성원금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원금속(주) filed Critical 성원금속(주)
Priority to KR1020100003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751B1/en
Publication of KR20110083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9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7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Abstract

PURPOSE: An elevator door having an anti-separation structure which prevents the separation of door rail is provided to prevent damage to an anti-separation bracket from an inner wall of a door rail due to external shock. CONSTITUTION: An elevator door having an anti-separation structure comprises a door panel(20), a guide shoe(30), and an anti-separation bracket(40). The door panel is independently installed on the separate platform from the door of an elevator cage. The guide shoe is formed on the door panel. The guide shoe is combined in the guide groove of the door rail. The anti-separation bracket comprises an inner side(42) and an outer side(44) and is formed in sheet form. The anti-separation bracket is combined in the guide groove of the door rail.

Description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Elevator door with reinforced derail prevention structure}Elevator door with reinforced derail preven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장에서 승객의 실수나 장난 등에 의해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하단 부분이 도어 레일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함으로써 각종 안전 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landing door complementing the departure prevention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even if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due to a passenger's mistake or mischief in the landing, the lower part is reliably prevented from being randomly separated from the door rail. It relates to an elevator landing door that can be fully protected against safety accidents.

엘리베이터는 고층 건물의 각 층에 설치하여 사람이나 화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든 승강 장치로서, 대부분의 엘리베이터는 균형추, 케이블과 고정 도르래 장치를 사용해서 전동기로 움직인다.Elevators are elevators that are installed on each floor of a high-rise building to allow people or cargo to move. Most elevators use a counterweight, cable, and a fixed pulley to move the motor.

건물의 각 층에는 엘리베이터 승강 케이지가 정지하는 위치에 승강장이 구비되고, 승강장에는 탑승 대기자가 승강통로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설치된다.Each floor of the building is provided with a platform at a location where the elevator cage stops, and the platform is provided with elevator platform doors to prevent the passengers from falling into the platform and to wait safely.

이러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는 승강 케이지가 해당 층에 정위치 되었을 때 승강 케이지에 설치된 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개방되어 승객이 탑승 또는 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하부에 설치된 슈우가 도어 레일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수용된 상태로 상부에 설치되는 도어 개폐 제어장치에 의해 옆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슈우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When the elevator cage door is positioned on the floor, the elevator landing door is opened simultaneously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installed in the elevator cage so that passengers can get on or off, and a sho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is formed on the door rail. Sliding sideways by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in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slide groove. The shoe is installed to prevent the elevator landing door from falling off.

그런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외부에서 강한 충격을 받게 되면 하부에 설치된 슈우가 직접 굉장히 큰 외력을 받게 되어 도어 레일에 수용되어 있는 슈우가 구부러지거나 슈우를 고정하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가 헐거워져 망실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승강통로로 추락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는 심각한 인명 피해 및 재산상의 손해를 끼치게 되는 것이다.However, when the elevator landing door is subjected to a strong shock from the outside, the sho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receives a very large external force directly, so that the shoe contained in the door rail is bent or the fixing member such as a bolt fixing the shoe is loose and lost. It often happens that the landing door falls into the landing passage. This will cause serious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는 하단부에 가이드슈가 구비되어, 이러한 가이드슈 부분이 엘리베이터 승강구에 설치된 도어 레일에 결합된 상태로 옆으로 여닫히게 되는데, 승객의 부주의 또는 장난으로 인한 충격 등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대략 중간 부분이 안쪽 방향(즉, 엘리베이터 케이지 방향)으로 휘어지고, 동시에 가이드슈 부분이 도어 레일에서 이탈되면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임의로 개방되므로, 승객이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The elevator platform door is provided with a guide shoe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the guide shoe part is opened and closed sidely coupled to the door rail installed at the elevator hatch. Since the part is bent inwardly (that is, the elevator cage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elevator platform door is arbitrarily opened as the guide shoe part is separated from the door rail, a safety accident such as a passenger falling may occu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를 이동하는 승강 케이지와는 별도로 건물 각 층의 승강장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승강장에서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하단 부분이 도어 레일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안전 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landing door that is installed in a landing on each floor of a building separately from a lifting cage that moves an elevator pit, and the lower part is randomly separated from the door rail even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in the land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landing door complementary to a departure prevention structure designed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by reliably preventing the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피트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케이지의 도어와는 별도로 승강구에 직립 설치되는 도어 패널(20)과, 상기 도어 패널(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승강구에 설치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슈우(30)와, 안쪽면(42)과 바깥면(44)을 갖는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 패널(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승강장에 설치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결합되는 이탈방지 브라켓(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과 상기 가이드홈(3)의 바깥 벽부(3b) 사이의 이격 거리(D)에 비하여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안쪽면(42)과 상기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의 이격 거리(d)가 상대적으로 작도록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이 상기 도어 패널(20)의 하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oor panel 20 is installed upright in the hatch separate from the door of the lifting cage tha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elevator pit, and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panel 20 And a guide shoe 30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installed at the hatch, and having a plate shape having an inner surface 42 and an outer surface 44. 2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and comprises a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40 coupled to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installed in the platform, and the outer surface 44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42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and the inner wall portion 3c of the guide groove 3 as compared with th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outer wall portions 3b of the guide groove 3.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is the door pad so that (d) is relatively small The elevator landing door supplement the withdrawal preven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lower side of (20) is provided.

상기 도어 패널(20)의 하부측 안쪽면(42)에는 스페이스 너트(50)가 구비되고,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이 상기 스페이스 너트(5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울 관통하는 볼트(52)가 상기 스페이스 너트(5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이 상기 도어 패널(20)의 상하 방향 중심선에서 후방으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pace nut 50 is provid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42 of the door panel 20, and the outer surface 44 of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40 is in contact with the space nut 50. The bolt 52 penetrating the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40 is fastened to the space nut 50 so that the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40 is disposed at a position eccentrically rearward from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door panel 20.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도어 패널(20) 하부에 구비된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에는 상기 도어 레일(1)의 상기 가이드홈(3)에 수용되는 보조 지지부(6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uter surface 44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provided in the lower door panel 20, an auxiliary support part 60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is protruded. It is done.

상기 보조 지지부(60)는 상기 도어 레일(1)의 상기 가이드홈(3)을 구성하는 바깥 벽부(3b)와 마주하는 면에 곡면부(160)가 구비되고, 상기 곡면부(16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곡률 반경이 커지는 복수개의 원호부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xiliary support part 60 is provided with a curved portion 160 on a surface facing the outer wall portion 3b constituting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the curved portion 160 is the upper side In the low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circular arcs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is increased continuously.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은 안쪽면(42)에 표면이 거칠게 처리된 보조 이탈방지면(1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4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42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departure prevention surface 140, the surface is roughened.

상기 도어 패널(20)의 양단부에는 승강 케이지 방향으로 절곡된 제1비드(22)와, 상기 제1비드(22)의 끝단에서 상기 도어 패널(20)과 나란한 방향으로 2차 절곡된 제2비드(24)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 패널(20)의 안쪽면(42) 하부에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더 두꺼운 보강패널(70)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패널(70)의 안쪽면(42)에는 스페이스 너트(50)가 고정되어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을 관통하는 볼트(52)가 상기 스페이스 너트(50)에 체결되어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이 상기 스페이스 너트(50)에 의해 상기 보강패널(70)의 안쪽면(42)에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도어 패널(20)의 안쪽면(42)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바아(8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Both ends of the door panel 20 have a first bead 22 bent in a lifting cage direction and a second bead secondly bent in parallel with the door panel 20 at an end of the first bead 22. 24 is provided, a reinforcement panel 70 having a relatively thicker thickness is provided below the inner surface 42 of the door panel 20, and a space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42 of the reinforcement panel 70. The nut 50 is fixed so that the bolt 52 penetrating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40 is fastened to the space nut 50 so that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40 is connected to the reinforcement panel by the space nut 50. It is fix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42 of the 70,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42 of the door panel 20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bar 8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은 주요부인 이탈방지 브라켓의 바깥면과 도어 레일의 가이드홈 바깥 벽부 사이의 이격 거리에 비하여 이탈방지 브라켓의 안쪽면과 가이드홈의 안쪽 벽부의 이격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도록 이탈방지 브라켓을 도어 패널의 하측에 장착하여 이탈방지 브라켓이 도어 레일의 가이드홈을 이루는 안쪽 벽부에 최대한 근접된 상태로 결합된 구조이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이탈방지 브라켓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종래에 비하여 훨씬 낮추어 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승강장 위치에서 충격력이 가해질 때 이탈방지 브라켓이 크게 변형되어 도어 레일의 가이드홈에서 이탈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하측 부분이 빠지면서 임의로 개방됨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to the release prevention bracket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release prevention bracket and the inner wall of the guide groove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release prevention bracket, which is the main part, and the outer wall of the guide groove of the door rail.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panel,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is coupl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inner wall forming the guide groove of the door rail, so that the impact force applied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momentarily can be much lower than before. Therefore, when the impact force is applied at the landing point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is greatly deformed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guide groove of the door rail. Therefore, various safety is caused by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being opened arbitrarily. The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주요부인 이탈방지 브라켓이 도어 레일의 가이드홈 안쪽 벽부에 최대한 근접 배치되어 있는 구조라서, 도어 레일의 가이드홈 안쪽 벽부에 이탈방지 브라켓이 밀리면서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처럼 이탈방지 브라켓이 밀리면서 강하게 도어 레일의 가이드홈에 부딪히는 높은 충격력이 작용될 여지를 없앤 것이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방지 브라켓이 도어 레일에서 쉽게 이탈되면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임의로 열려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종 안전사고 방지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which is a main part, is dispos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inner wall of the guide groove of the door rail,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may be pressed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guide groove of the door rail, thereby preventing a phenomenon of being hit. As the release prevention bracket is pushed down, the high impact force that hits the guide groove of the door rail strongly is eliminated, so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is easily detached from the door rail by the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elevator landing do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opening arbitrarily,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ke full efforts to prevent various safety accidents.

또한,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이탈방지 브라켓의 바깥면에 보조 지지부가 더 구비되고, 이러한 보조 지지부는 도어 레일의 가이드홈을 구성하는 바깥 벽부와 최대한 근접되도록 돌출되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휘어지는 경우 이탈방지 브라켓이 도어 레일의 가이드홈에서 이탈되지 않고 강하게 끼이는 현상(이른바, 잼 현상)을 발생시켜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하부의 이탈방지 브라켓의 이탈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므로, 궁극적으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임의로 개방됨으로 인한 안전사고 방지에 더욱 기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support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which is the main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support protrudes as close as possible to the outer wall constituting the guide groove of the door rail, the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elevator landing door When the elevator landing door is bent,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is not caught in the guide groove of the door rail but is strongly caught (so-called jam phenomenon), thereby more reliably preventing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under the elevator landing door. Therefore, ultimately, the elevator landing door may further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due to the random open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하측부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설치된 상태를 안쪽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주요부가 도어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a와 도 15b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트 승강장 도어에 충격력이 가해질 때에 이탈방지 브라켓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하측부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주요부가 도어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하측부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주요부가 도어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0a는 안전성 평가 이전의 승강장 도어 조립체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10b는 안전성 평가 이후의 승강장 도어 조립체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11a는 안전성 평가 이전의 가이드슈 및 이탈방지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진
도 11b는 안전성 평가 이후의 가이드슈 및 이탈방지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진
도 12a는 안전성 평가 이전의 하부 이탈방지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진
도 12b는 안전성 평가 이후의 하부 이탈방지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진
도 13a는 안전성 평가 이전의 행거 및 업트러스트 롤러를 보여주는 사진
도 13b는 안전성 평가 이후의 행거 및 업트러스트 롤러를 보여주는 사진
도 14a는 안전성 평가 이전의 업트러스트 롤러를 보여주는 사진
도 14b는 안전성 평가 이후의 업트러스트 롤러를 보여주는 사진
도 15a는 안전성 평가 이전의 상부 이탈방지 구조를 보여주는 사진
도 15b는 안전성 평가 이후의 상부 이탈방지 구조를 보여주는 사진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lowe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portion shown in Figure 1 combined
3 is a view showing an installed state of the elevator platform door shown in FIG. 2 from the inside;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portion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door rail
Figures 5a and 15b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of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to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when the impact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platform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lower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portion of the elevator platform door shown in Figure 6 is coupled to the door rail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lower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main parts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shown in FIG. 8 are coupled to a door rail; FIG.
10A is a front view of the landing door assembly prior to safety assessment.
10B is a front view of the landing door assembly after safety assessment.
Figure 11a is a photograph showing the guide shoe and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before safety evaluation
Figure 11b is a photograph showing the guide shoe and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after the safety evaluation
12A is a photograph showing the lower drop prevention bracket before safety evaluation
12b is a photograph showing the lowe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after the safety evaluation
13A is a photograph showing a hanger and uptrust roller before safety assessment
13B is a photograph showing the hanger and uptrust roller after safety assessment
14A is a photograph showing the uptrust roller before safety evaluation
14B is a photograph showing the uptrust roller after safety assessment
Figure 15a is a photograph showing the top departure prevention structure before safety evaluation
15b is a photograph showing the top departure prevention structure after safety evalu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하측부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설치된 상태를 안쪽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주요부가 도어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케이지의 도어와는 별도로 승강구에 직립 설치되는 도어 패널(20)과, 이러한 도어 패널(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승강구에 설치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슈우(30)와, 안쪽면(42)과 바깥면(44)을 갖는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도어 패널(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승강장에 설치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의 바깥 벽부(3b)보다 안쪽 벽부(3c)에 상대적으로 더 근접되도록 상기 가이드홈(3)에 수용되는 이탈방지 브라켓(40)을 포함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lowe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bined main part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n installed state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shown in Figure 2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part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door rail. Referring to th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panel 20 which is installed upright in the hatch separately from the door of the lifting cage tha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elevator pit, and the door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panel 20 A guide shoe 30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groove 3 of the rail 1 and a plate shape having an inner surface 42 and an outer surface 44 a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door panel 20. And an anti-separation bracket 40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3 so as to be closer to the inner wall portion 3c than the outer wall portion 3b of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installed in the platform. It is an elevator landing door complementing the departure prevention structure.

상기 도어 패널(20)은 직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도어 패널(20)의 양단부에는 승강 케이지 방향으로 직각 절곡된 제1비드(22)와, 이러한 제1비드(22)의 끝단에서 도어 패널(20)의 안쪽면(42)과 나란한 방향으로 2차 절곡된 제2비드(24)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어 패널(20) 자체의 강도가 보다 보강될 수 있다. The door panel 20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both ends of the door panel 20 have a first bead 22 perpendicularly bent in a lifting cage direction and a door panel at an end of the first bead 22. The second bead 24 bent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42 of the (20) is provided. Therefore, the strength of the door panel 20 itself can be further reinforced.

또한, 도어 패널(20)의 안쪽면(42) 하부에는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보강패널(70)이 구비된다. 보강패널(70)의 두께는 대략 도어 패널(20)의 2배 정도이다. 이때, 보강패널(70)은 도어 패널(20)의 안쪽면(42) 하부에 직접 접촉되는 평면 보강부(72)와, 이 평면 보강부(72)의 상단부에서 승강 케이지 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수평 보강부(74)와, 이 수평 지지부의 끝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상측 보강부(76)를 갖는 구조이다. 이처럼 도어 패널(20)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보강패널(70)이 도어 패널(20)의 안쪽면(42) 하부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도어 패널(20)의 하부 전체의 강도가 보다 높아질 수 있게 된다. 보강패널(70)은 강력 접착제나 접합제 등을 매개로 도어 패널(20)의 안쪽면(42)에 부착될 수 있는데, 보강패널(70)의 양단부가 도어 패널(20)의 양단부에 구비된 제2비드(24) 안쪽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부착됨으로써, 제1비드(22)와 제2비드(24) 및 보강패널(70) 자체가 연계하여 도어 패널(20)의 강도를 더 보강하게 된다.In addition, a relatively thicker reinforcement panel 70 is provided below the inner surface 42 of the door panel 20.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nel 70 is about twice that of the door panel 20. At this time, the reinforcement panel 70 is a flat reinforcement portion 72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urface 42 of the door panel 20, and horizontally extended in the lifting cage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flat reinforcement portion 72 It is a structure which has the reinforcement part 74 and the upper reinforcement part 76 extended upward from the edge part of this horizontal support part. Since the reinforcement panel 70, which is relatively thicker than the door panel 20,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urface 42 of the door panel 20, the strength of the entire lower part of the door panel 20 may be increased. . The reinforcement panel 70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42 of the door panel 20 using a strong adhesive or a bonding agent, and both ends of the reinforcement panel 70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door panel 20. By being attached in the state of entering the second bead 24, the first bead 22, the second bead 24 and the reinforcing panel 70 itself is linked to further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door panel 20.

상기 도어 패널(20)의 안쪽면(42)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바아(80)가 더 구비된다. 보강바아(80)는 단면 디귿자형의 채널형 보강부(82)와, 이러한 채널형 보강부(82)의 양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도어 패널(20)의 안쪽면(42)에 부착되는 측방 보강부(84)를 갖는 구조로서, 측방 보강부(84)가 강력 접착제 등을 매개로 도어 패널(20)의 안쪽면(42)에 고정된다. 또한, 보강바아(80)의 하단부는 보강패널(70)의 상측 보강부(76) 안쪽에 끼워진 상태에서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보강바아(80) 역시 도어 패널(20)의 자체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보강바아(80)의 하단부측이 보강패널(70)에 접합됨으로 인하여 보강바아(80)와 보강패널(70)의 연계 작동에 의해 도어 패널(20) 자체의 강도를 더욱더 견고히 할 수 있다.The inner side 42 of the door panel 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inforcement bar 8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einforcement bar 80 has a channel-shaped reinforcement 82 having a cross-sectional recess and a side reinforcement extending outwardly at both ends of the channel-shaped reinforcement 82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42 of the door panel 20. As a structure having the portion 84, the side reinforcement portion 84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42 of the door panel 20 via a strong adhesiv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ement bar 80 has a structure joined by a method such as welding in the state of being fitted inside the upper reinforcement portion 76 of the reinforcement panel 70. The reinforcement bar 80 may further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door panel 20 itself, and because the lower end side of the reinforcement bar 80 is joined to the reinforcement panel 70, the reinforcement bar 80 and the reinforcement panel 70. By the inter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panel 20 itself can be further strengthened.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은 도어 패널(20)의 하부 안쪽면(42)에 고정된다. 도어 패널(20)의 상부 안쪽면(42)에도 이탈방지 브라켓(40)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어 패널(20)의 하부측 안쪽면(42) 중앙부에는 보강패널(70)의 접합되어 있고, 이러한 보강패널(70)의 평면 보강부(72) 안쪽면(42)에 스페이스 너트(50)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상부측 바깥면(44)이 스페이스 너트(50)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볼트(52)공을 관통하는 볼트(52)가 스페이스 너트(50)에 체결됨으로써 이탈방지 브라켓(40)이 스페이스 너트(50)와 볼트(5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도어 패널(20)의 상하 방향 중심선에서 후방으로 더 들어간 편심된 위치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이탈방지 브라켓(40)은 바깥면(44)과 안쪽면(42)을 갖는 대략 직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과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 바깥 벽부(3b) 사이의 이격 거리(D)에 비하여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안쪽면(42)과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의 이격 거리(d)가 상대적으로 작도록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패널(20)의 하측에 구비된 것이다. 도 4 참조.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40 is fixed to the lower inner surface 42 of the door panel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40 is also fixed to the upper inner surface 42 of the door panel 20. Specifically, the reinforcement panel 70 is join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inner side 42 of the door panel 20, and the space nut ()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42 of the flat reinforcement 72 of the reinforcement panel 70. 50 is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so that the bolt 52 hole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is opened while the upper outer surface 44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is in contact with the space nut 50. As the penetrating bolt 52 is fastened to the space nut 50,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40 is supported by the space nut 50 and the bolt 52 to be rearward from the vertical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panel 20. It is placed in a more eccentric position. In other words, the anti-separation bracket 4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n outer surface 44 and an inner surface 42, and the outer surface 44 and the door rail 1 of the anti-separation bracket 40. Distance (d) of the inner surface (42)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and the inner wall (3c) of the guide groove (3) compared to th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outer wall (3b) of the guide groove (3)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door panel 20 so as to be relatively small. See FIG. 4.

따라서,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을 이루는 안쪽 벽부(3c)에 최대한 근접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안쪽면(42)과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 사이의 이격 거리(d)는 대략 0.5mm~1.1mm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을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드되면서도 최대한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에 근접시켜 설치하는 최적의 이격 거리라 할 수 있다.Therefore, the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40 may be coupled in a stat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inner wall portion 3c constituting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At this time, th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inner surface 42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and the inner wall portion 3c of the guide groove 3 is preferably about 0.5 mm to 1.1 mm. While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slides smoothly along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it can be referred to as an optimum separation distance installed as close to the inner wall portion 3c of the guide groove 3 as possible.

또한, 이탈방지 브라켓(40)은 보강패널(7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두께는 도어 패널(20)의 두께에 비하여 대략 5배 내지 7배 정도이다.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외부의 충격력이 가해질 때, 이탈방지 브라켓(40)이 충분한 강도로 버틸 수 있는 두께이다. In addi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is relatively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nel 70, the thickness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is about 5 to 7 times the thickness of the door panel 20. When an external impact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landing door,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is a thickness that can withstand a sufficient strength.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과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 바깥 벽부(3b) 사이의 이격 거리(D)에 비하여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안쪽면(42)과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의 이격 거리(d)가 상대적으로 작도록 이탈방지 브라켓(40)을 도어 패널(20)의 하측에 장착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도어 패널(20) 방향, 즉 승강 케이지 방향으로 충격력이 가해져서 도어 패널(20)이 휘어짐과 동시에 도어 패널(20) 하부의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딸려 올라가는데, 상기와 같이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을 이루는 안쪽 벽부(3c)에 최대한 근접된 상태로 결합된 구조이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이탈방지 브라켓(40)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종래에 비하여 훨씬 낮추어 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compared with th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outer surface 44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and the outer wall portion 3b of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By mounting the anti-separation bracket 40 on the lower side of the door panel 20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inner surface 42 of the 40 and the inner wall 3c of the guide groove 3 is relatively small, the elevator Impact force is applied to the door panel 20 direction, that is, the lifting cage direction at the landing, and the door panel 20 is bent and the release prevention bracket 40 at the bottom of the door panel 20 comes up. Since the bracket 40 is coupled to the inner wall portion 3c forming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as close as possible, the impact force applied to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40 is momentarily applied. It can be much lower than that.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승강장 위치에서 충격력이 가해질 때 이탈방지 브라켓(40)이 크게 변형되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서 이탈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하측 부분이 빠지면서 임의로 개방됨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impact force is applied in the landing position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40 can be greatly deformed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It is possible to prevent various safety accidents due to the random opening while falling out.

다시 말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은 바닥부(3a)의 앞뒤에 바깥 벽부(3b)와 안쪽 벽부(3c)가 있는 형상인데,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에 최대한 근접 배치되지 않고 가이드홈(3)의 가운데에 배치되거나 가이드홈(3)의 바깥 벽부(3b)에 위치된 상태(다시 말해,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 안쪽 벽부(3c)에서 많이 떨어져 있는 상태)라면, 승강장에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외부에서 충격력이 가해지면 도어 패널(20)이 휘어짐과 동시에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밀리면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 특히 안쪽 벽부(3c)에 부딪히는 충격력이 배가되거나 그 이상이 되고, 이처럼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밀리면서 부딪힘으로 인하여 충격력이 배가되거나 그 이상이 되면,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더 많이 변형되면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서 쉽게 빠질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임의로 개방될 여지가 더 많은 것이다.In other words,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has a shape having an outer wall portion 3b and an inner wall portion 3c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bottom portion 3a. ) Is not dispos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inner wall portion 3c of the guide groove 3, bu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guide groove 3 or located in the outer wall portion 3b of the guide groove 3 (that is,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If 40 is far from the inner wall portion 3c of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when the impact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in the landing hall, the door panel 20 is bent and released. As the prevention bracket 40 is pushed, the impact force that hits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in particular, the inner wall 3c, is doubled or more, and thus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is pushed and hit by the impact. When the impact force doubles or exceeds, the deviation preventing bracket 40 changes more. Because as easily dislodged from the grooves (3) of the door rail (1), it will have a lot more room for an elevator landing door to be opened at random.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주요부인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 안쪽 벽부(3c)에 최대한 근접 배치되어 있는 구조라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 안쪽 벽부(3c)에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밀리면서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처럼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밀리면서 강하게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부딪히는 높은 충격력이 작용될 여지를 없앤 것이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에서 쉽게 이탈되면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임의로 열려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종 안전사고 방지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40, which is a main part, is dispos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inner wall portion 3c of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pushes against the inner wall portion 3c, and thus the high impact force that strongly hits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while the release prevention bracket 40 is pushed. Since there is no room for action,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40 is easily released from the door rail 1 by an external shock applied to the elevator landing door, thereby preventing the elevator landing door from being arbitrarily opened. In addition, various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이를테면,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안쪽면(42)이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에 최대한 근접되도록 배치되어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강하게 부딪히는 현상을 근절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충격력이 가해지더라도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이탈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임의로 개방됨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근절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어떤 물체가 다른 물체에서 많이 떨어진 상태에서 부딪히면 충격력이 그만큼 높아지지만, 어떤 물체와 다른 물체 사이에 떨어진 공간이 없는 상태에서 어떤 물체가 다른 물체에 부딪히면 충격력이 그만큼 감쇠된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For example, the inner surface 42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is disposed to b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inner wall portion 3c of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so that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of the door rail 1 By eliminating the phenomenon of being strongly hit by the guide groove 3, even if an impact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landing door, the departure preventing bracket 40 does not leave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so that the elevator landing door is It has the effect of erasing various safety accidents due to the arbitrarily open. The impact force is increased when an object hits a lot away from other objects, but the impact force is attenuated when an object hits another object without a space between one object and another.

또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충격력이 가해지면 도어 패널(20)이 휘어짐과 동시에 이탈방지 브라켓(40)도 어느 정도 휘어지면서 위로 딸려 올라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탈방지 브라켓(40)이 상기와 같이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에 최대한 밀착되어 있어서 이탈방지 슈유 자체가 휘어지는 경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 부분은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의 바깥 벽부(3b)에 걸리고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안쪽면(42) 부분은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에 걸리는 이른바 이중 지점에서 걸리는 작용을 하므로, 이탈방지 브라켓(40)이 이탈되지 않고 버티는 힘이 충분히 클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역시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an impact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landing door, the door panel 20 is bent and at the same time,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40 also bends upward while bending to some extent.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shoe oil itself is bent as closely as possible to the inner wall portion 3c of the guide groove (3) of the rail (1), the outer surface (44) portion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is the door rail (1) guide groove (3). Since the inner wall 42 of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40 and the inner wall portion 3c of the guide rail 3 of the door rail 1 are engaged at a so-called double point, The anti-separation bracket 40 may not be detached and may be sufficiently large, and this phenomenon may also more reliably prevent the phenomenon of the anti-separation bracket 40 from escaping from the door rail 1.

참고로,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하여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거의 꽉차도록 설계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끼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원활하게 슬라이드 작동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안쪽면(42)은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에 최대한 밀착시키고,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은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의 바깥 벽부(3b)에서 적절하게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다.For reference, a method of designing the thickness of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40 to be sufficiently thick to almost fill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may be considered. In this case, the guide rail 3 of the door rail 1 may be considered. If foreign matter such as dust is caught in the elevator platform door may not slide smooth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urface 42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is the door rail (1) of the guide groove (3) As close to the inner wall portion 3c as possible, the outer surface 44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40 is designed to be adequately secured in the outer wall portion 3b of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will be.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주요부인 이탈방지 브라켓(40)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에 최대한 근접 배치되지 않고 가이드홈(3)의 가운데에 배치되거나 가이드홈(3)의 바깥 벽부(3b)에 위치된 상태라면, 도 5a의 비교예에서와 같이, 승강장에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외부에서 충격력이 가해지면 도어 패널(20)이 휘어짐과 동시에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밀리면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 특히 안쪽 벽부(3c)에 부딪히는 충격력이 배가되거나 그 이상이 되고, 이처럼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밀리면서 부딪힘으로 인하여 충격력이 배가되거나 그 이상이 됨으로써,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더 많이 변형되면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서 쉽게 빠질 수 있어 안전성에서 문제가 많게 된다.5a and 5b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of the impact force applied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40 is not dispos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inner wall 3c of the guide rail 3 of the door rail 1, but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guide groove 3 or the outer wall 3b of the guide groove 3. If it is in the state, as shown in the comparative example of FIG. The impact force that hits the guide groove 3, in particular the inner wall portion 3c of the double or more, and thus the impact force is doubled or more due to the impact while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is pushed, thereby preventing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 40 is more deformed can be easily pulled out of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has a lot of problems in safety.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주요부인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 안쪽 벽부(3c)에 최대한 근접 배치되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 안쪽 벽부(3c)에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밀리면서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a에 비하여 가해지는 충격력이 상당히 작음을 알 수 있으며, 이처럼 충격력이 현저히 줄어들게 됨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에서 쉽게 이탈되면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임의로 열려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종 안전사고 방지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40, which is a main part, is dispos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inner wall portion 3c of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and the inner wall portion of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Since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shed against 3c), as shown in FIG. 5B, it can be seen that the impact force applied to FIG. 5A is considerably smaller than that shown in FIG. 5A. Due to the external shock applied to the elevator landing door,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40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door rail 1, thereby preventing the elevator landing door from being arbitrarily opened, thereby preventing all kinds of safety accidents. You will be able to.

이하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안전성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데,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안전성 확보 등의 여러 측면에서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following shows the safety evaluation results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shows that the elevator land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in several aspects, such as ensuring safety.

<안전성 평가 결과 : Safety Assessment Result><Safety Assessment Result>

1. 개요1. Overview

승강장 도어 조립체에 대하여 KS B EN 81-1 부속서 J의 소프트 팬들럼 시험방법에 따라 450J의 운동에너지로 충격을 가하였을 때, 승강장 도어가 이탈없이 견딜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
Checking the landing door assembly whether the landing door is able to withstand without deviating when impacted with kinetic energy of 450 J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of soft pandalum in KS B EN 81-1 Annex J.

2. 평가대상2. Evaluation target

품명 : 승강장 도어 상하부 이탈방지 브라켓이 포함된 승강장 도어 조립체Product Name: Platform door assembly including platform door escape prevention bracket

모델 : SL-33 Type [2매 중앙 개폐식, 유효폭 800mm~1100mm, 유효높이 2000mm~2100mm, 냉간압연스테인레스강판(STS) 1.5mm, 방범창 없음]
Model: SL-33 Type [2 central opening and closing, effective width 800mm ~ 1100mm, effective height 2000mm ~ 2100mm, cold rolled stainless steel sheet (STS) 1.5mm, no security window]

3. 평가기준3. Evaluation Criteria

승강기검사기준 [기술표준원 고시 제2008-733호(2008.11.7)] 3.1.2(6)④, 3.1.2(6)⑤ 및 3.9항 Elevator inspection standard [Notice 2008 of Korean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o. 2008-733 (2008.11.7)] 3.1.2 (6) ④, 3.1.2 (6) ⑤ and 3.9

검사항목Inspection items 검사기준Inspection standard


3.1.2(6)④



3.1.2 (6) ④
승강장 도어의 조립체는 KS B EN 81-1 부속서 J의 소프트 팬들럼 시험 방법에 따라 450J의 운동에너지로 충격을 가하였을 때 도어의 이탈없이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전망을 목적으로 유효 출입구 면적의 50 % 이상을 접합 유리로 설치하는 경우 운동 에너지를 308J로 적용할 수 있다.The assembly of the landing doors shall be capable of withstanding without leaving the door when subjected to impacts of 450 J of kinetic energy in accordance with the soft pendulum test method of Annex J of KS B EN 81-1. However, kinetic energy may be applied to 308J when at least 50% of the effective entrance area is provided with laminated glass for the purpose of prospecting.
3.1.2(6)⑤3.1.2 (6) ⑤ 승강장 도어 가이드슈는 문턱(도어 레일)에 양호하게 맞물려야 한다. 이 확인을 위해 제조사는 3.1.2(6)④에 의한 충격시험시 확인된 승강장 도어 가이드슈와 문턱(도어 레일)의 맞물림 깊이에 대해 검사기관에 제출하여야 한다.Platform door guide shoes should be well engaged with the thresholds (door rails). To confirm this, the manufacturer shall submit to the inspection body the engagement depth of the landing door guide shoe and the threshold (door rail) identified during the impact test according to 3.1.2 (6) ④.

4. 평가결과4. Evaluation result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 기능의 문틀이 포함된 승강장 도어 조립체에 450J의 운동에너지로 충격을 가했을 때 이탈 없이 견딤.
The landing door assembly, which includes the door frame with the landing door departure prevention function, withstands the impact of 450J kinetic energy without falling off.

5. 평가내역5. Evaluation History

5.1 2매 중앙 개폐방식(유효 폭 800mm, 유효높이 2000mm)5.1 2 central opening and closing methods (effective width 800mm, effective height 2000mm)

5.1.1 평가환경 : 온도 - 20.2℃5.1.1 Evaluation environment: Temperature-20.2 ℃

습도 - 61.7%
Humidity-61.7%

5.1.2 내충격강도 설비5.1.2 Impact Strength Equipment

설비명Equipment name 승강장 도어 규격Platform Door Specifications 충격에너지Impact energy 승강장 도어 안전성 평가 설비Platform door safety evaluation facility 최대 W 5,000×H 3,000Max W 5,000 × H 3,000 최대 450JUp to 450 J

5.1.3 승강장 도어 및 승강장 도어 조립체5.1.3 Platform Doors and Platform Door Assemblies

구분division 형식
form
도어개폐장치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2매 중앙개폐방식 : SL-33 Type
2 sheets center opening: SL-33 Type
승강장 도어

Platform door

재질material 냉간압연스테인레스강판(STS) : 1.5mmCold Rolled Stainless Steel Sheet (STS): 1.5mm
구조rescue 일반구조(방범창 없음)General structure (no security window) 규격standard 유효 폭 800mm, 유효 높이 2000mmEffective Width 800mm, Effective Height 2000mm 이탈방지 브라켓Detachment Bracket 상부 : 도어와 문틀(도어 레일)이 맞물리는 구조
하부 : 가이드슈 이탈방지용 보강대
Upper part: Structure that door and door frame (door rail) engage
Lower part: Reinforcement stand for preventing guide shoe separation
가이드슈Guide shoe 최소 묻힘 깊이 : 16mmMin buried depth: 16mm 시일seal 도어와 도어 레일 틈새 5.7mm 이하5.7mm or less clearance between door and door rail

5.1.4 평가 결과5.1.4 Evaluation Results

구분division 확인항목Check item I'm after 결과result 사진Picture
충격에 대한 결과



Results for the shock


행거롤러 이탈 또는 파손Hanger roller breakage or breakage 없음none 없음none 적합fitness 도 13a~
도 14b
Figure 13a ~
14B
행거레일 파손Hanger rail breakage 없음none 없음none 적합fitness 도 13a~
도 14b
Figure 13a ~
14B
가이드슈 이탈 또는 파손Guide shoe breakage or damage 없음none 없음none 적합fitness 도 11a~
도 12b
11A ~
Figure 12b
시일(문턱) 파손Seal breakage 없음none 없음none 적합fitness 도 11a~
도 12b
11A ~
Figure 12b
이탈방지 브라켓 파손Breakaway prevention bracket broken 없음none 없음none 적합fitness 도 11a~
도 12b, 도 15a~15b
11A ~
12B, 15A-15B




참고결과




Reference result

가이드슈 묻힘 깊이

Guide shoe buried depth

닫힘측

Closing side

17.1mm

17.1 mm

17.5mm

17.5mm

-

-

-

-
도어레일측Door rail side 16.5mm16.5mm 16.5mm16.5mm -- -- 도어와 도어레일 틈새
Door and door rail clearance

닫힘측

Closing side

5.6mm

5.6 mm

5.4mm

5.4mm

-

-

-

-
도어레일측Door rail side 5.7mm5.7 mm 5.9mm5.9 mm -- -- 업트러스트 롤러 또는 엑센트릭 롤러
Uptrust Roller or Accent Roller

닫힘측

Closing side

0.5mm 이상

0.5mm or more

-

-

-

-

-

-
도어레일측Door rail side 0.5mm 이상0.5mm or more -- -- --

5.2 2매 중앙 개폐방식(유효 폭 800mm, 유효높이 2100mm)5.2 2 central opening and closing methods (effective width 800mm, effective height 2100mm)

5.2.1 평가환경 : 온도 - 23.5℃5.2.1 Evaluation environment: Temperature-23.5 ℃

습도 - 46.7%
Humidity-46.7%

5.2.2 내충격강도 설비5.2.2 Impact Strength Equipment

설비명Equipment name 승강장 도어 규격Platform Door Specifications 충격에너지Impact energy 승강장 도어 안전성 평가 설비Platform door safety evaluation facility 최대 W 5,000×H 3,000Max W 5,000 × H 3,000 최대 450JUp to 450 J

5.2.3 승강장 도어 및 승강장 도어 조립체5.2.3 Platform Doors and Platform Door Assemblies

구분division 형식
form
도어개폐장치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2매 중앙개폐방식 : SL-33 Type
2 sheets center opening: SL-33 Type
승강장 도어

Platform door

재질material 냉간압연스테인레스강판(STS) : 1.5mmCold Rolled Stainless Steel Sheet (STS): 1.5mm
구조rescue 일반구조(방범창 없음)General structure (no security window) 규격standard 유효 폭 800mm, 유효 높이 2100mmEffective Width 800mm, Effective Height 2100mm 이탈방지 브라켓Detachment Bracket 상부 : 도어와 문틀(도어 레일)이 맞물리는 구조
하부 : 가이드슈 이탈방지용 보강대
Upper part: Structure that door and door frame (door rail) engage
Lower part: Reinforcement stand for preventing guide shoe separation
가이드슈Guide shoe 최소 묻힘 깊이 : 17mmMin buried depth: 17mm 시일seal 도어와 도어 레일 틈새 5.5mm 이하5.5mm or less clearance between door and door rail

평가 결과Evaluation results

구분division 확인항목Check item I'm after 결과result 사진Picture
충격에 대한 결과



Results for the shock


행거롤러 이탈 또는 파손Hanger roller breakage or breakage 없음none 없음none 적합fitness 도 13a~
도 14b
Figure 13a ~
14B
행거레일 파손Hanger rail breakage 없음none 없음none 적합fitness 도 13a~
도 14b
Figure 13a ~
14B
가이드슈 이탈 또는 파손Guide shoe breakage or damage 없음none 없음none 적합fitness 도 11a~
도 12b
11A ~
Figure 12b
시일(문턱) 파손Seal breakage 없음none 없음none 적합fitness 도 11a~
도 12b
11A ~
Figure 12b
이탈방지 브라켓 파손Breakaway prevention bracket broken 없음none 없음none 적합fitness 도 11a~
도 12b, 도 15a~도 15b
11A ~
12B, 15A-15B




참고결과




Reference result

가이드슈 묻힘 깊이

Guide shoe buried depth

닫힘측

Closing side

17.5mm

17.5mm

17.0mm

17.0mm

-

-

-

-
도어레일측Door rail side 18.5mm18.5mm 18.5mm18.5mm -- -- 도어와 도어레일 틈새
Door and door rail clearance

닫힘측

Closing side

5.5mm

5.5mm

5.9mm

5.9 mm

-

-

-

-
도어레일측Door rail side 5.2mm5.2 mm 5.5mm5.5mm -- -- 업트러스트 롤러 또는 엑센트릭 롤러
Uptrust Roller or Accent Roller

닫힘측

Closing side

0.5mm 이상

0.5mm or more

-

-

-

-

-

-
도어레일측Door rail side 0.5mm 이상0.5mm or more -- -- --

5.3 2매 중앙 개폐방식(유효 폭 1100mm, 유효높이 2100mm)5.3 Central opening and closing method (effective width 1100mm, effective height 2100mm)

5.3.1 평가환경 : 온도 - 23.6℃5.3.1 Evaluation environment: Temperature-23.6 ℃

습도 - 48.9%
Humidity-48.9%

5.3.2 내충격강도 설비5.3.2 Impact Strength Equipment

설비명Equipment name 승강장 도어 규격Platform Door Specifications 충격에너지Impact energy 승강장 도어 안전성 평가 설비Platform door safety evaluation facility 최대 W 5,000×H 3,000Max W 5,000 × H 3,000 최대 450JUp to 450 J

5.3.3 승강장 도어 및 승강장 도어 조립체5.3.3 Platform door and platform door assembly

구분division 형식
form
도어개폐장치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2매 중앙개폐방식 : SL-33 Type
2 sheets center opening: SL-33 Type
승강장 도어

Platform door

재질material 냉간압연스테인레스강판(STS) : 1.5mmCold Rolled Stainless Steel Sheet (STS): 1.5mm
구조rescue 일반구조(방범창 없음)General structure (no security window) 규격standard 유효 폭 1100mm, 유효 높이 2100mmEffective Width 1100mm, Effective Height 2100mm 이탈방지 브라켓Detachment Bracket 상부 : 도어와 문틀(도어 레일)이 맞물리는 구조
하부 : 가이드슈 이탈방지용 보강대
Upper part: Structure that door and door frame (door rail) engage
Lower part: Reinforcement stand for preventing guide shoe separation
가이드슈Guide shoe 최소 묻힘 깊이 : 18mmMin buried depth: 18mm 시일seal 도어와 도어 레일 틈새 5.7mm 이하5.7mm or less clearance between door and door rail

평가 결과Evaluation results

구분division 확인항목Check item I'm after 결과result 사진Picture
충격에 대한 결과



Results for the shock


행거롤러 이탈 또는 파손Hanger roller breakage or breakage 없음none 없음none 적합fitness 도 13a~
도 14b
Figure 13a ~
14B
행거레일 파손Hanger rail breakage 없음none 없음none 적합fitness 도 13a~
도 14b
Figure 13a ~
14B
가이드슈 이탈 또는 파손Guide shoe breakage or damage 없음none 없음none 적합fitness 도 11a~
도 12b
11A ~
Figure 12b
시일(문턱) 파손Seal breakage 없음none 없음none 적합fitness 도 11a~
도 12b
11A ~
Figure 12b
이탈방지 브라켓 파손Breakaway prevention bracket broken 없음none 없음none 적합fitness 도 11a~
도 12b, 도 15a~
도 15b
11A ~
12B, 15A-
Fig 15b




참고결과




Reference result

가이드슈 묻힘 깊이

Guide shoe buried depth

닫힘측

Closing side

18.2mm

18.2mm

18.0mm

18.0mm

-

-

-

-
도어레일측Door rail side 18.5mm18.5mm 17.5mm17.5mm -- -- 도어와 도어레일 틈새
Door and door rail clearance

닫힘측

Closing side

5.5mm

5.5mm

5.7mm

5.7 mm

-

-

-

-
도어레일측Door rail side 5.7mm5.7 mm 6.6mm6.6 mm -- -- 업트러스트 롤러 또는 엑센트릭 롤러
Uptrust Roller or Accent Roller

닫힘측

Closing side

0.5mm 이상

0.5mm or more

-

-

-

-

-

-
도어레일측Door rail side 0.5mm 이상0.5mm or more -- -- --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하측부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주요부가 도어 레일(1)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 패널(20) 하부에 구비된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에는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수용되는 보조 지지부(60)가 돌출 형성된다. 이 보조 지지부(60)는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두께살을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하여 이탈방지 브라켓(40) 바깥면(44)에 블록 형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부착된 블록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개의 볼트(52)를 일정 간격으로 용접 등으로 접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복수개의 보조 지지부(60)를 일정 간격으로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유는 이물질의 끼임 현상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원활한 슬라이드 작동 방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main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main part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shown in Figure 6 is coupled to the door rail (1) Side cross section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s 6 and 7, the outer surface 44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provided in the lower door panel 20, the auxiliary house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The support 60 is protruded. The auxiliary support 60 may be formed integrally in the form of a block on the outer surface 44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by relatively thickening the thickness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40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lock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44), such as by welding, it may be configured by joining a plurality of bolts 52 by welding or the like at regular intervals. Preferably, the plurality of auxiliary supporting parts 60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44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40 at regular intervals. The reason is to prevent the smooth slide operation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due to the jamming of foreign matter.

상기 보조 지지부(60)는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을 구성하는 바깥 벽부(3b)와 최대한 근접되도록 돌출되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휘어지는 경우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서 이탈되지 않고 강하게 끼이는 현상(이른바, 잼 현상)을 발생시켜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하부의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이탈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므로, 궁극적으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임의로 개방됨으로 인한 안전사고 방지에 더욱 기여할 수 있다.The auxiliary supporting part 60 protrudes to b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outer wall part 3b constituting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and is separated when the elevator landing door is bent by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elevator landing door. The prevention bracket 40 does not escape from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but is strongly caught (so-called jam phenomenon), thereby causing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lower than the separation phenomenon. With certainty, ultimately, the elevator landing door can further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accidents caused by the random opening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하측부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9은 도 8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주요부가 도어 레일(1)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 지지부(60)는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을 구성하는 바깥 벽부(3b)와 마주하는 면에 곡면부(160)가 구비되고, 이러한 곡면부(16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곡률 반경이 커지는 복수개의 원호부(160a,160b,160c)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구조를 갖는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id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part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shown in FIG. 8 is coupled to the door rail 1. It is a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S. 8 and 9, the auxiliary support part 60 is provided with a curved part 160 on a surface facing the outer wall part 3b constituting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The curved portion 16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ircular arc portions 160a, 160b, and 160c of which a radius of curvature increas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re continuously connected.

따라서, 이탈방지 브라켓(40) 자체가 변형되면서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와 바깥 벽부(3b) 두 군데에서 걸리는 경우, 곡률 반경이 다른 원호부(160a,160b 및 160c)에 의해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꽉 끼이는 잼 현상의 발생을 더욱 원활하게 유도하므로, 이러한 현상 역시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더욱더 기여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itself is deformed and caught in two places of the inner wall portion 3c and the outer wall portion 3b of the guide rail 3 of the door rail 1, circular arc portions 160a and 160b having different curvature radii. And 160c),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more smoothly induces the occurrence of a jam phenomenon that is tightly caught in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such a phenomenon is also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40 is a door rail Further contribute to preventing the phenomenon that the guide groove (3) is separated from (1).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이탈방지 브라켓(40)은 안쪽면(42)에 표면이 거칠게 처리된 보조 이탈방지면(1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보조 이탈방지면(140)은 널링 처리되거나 울퉁 불퉁한 돌기로 처리되는 등의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조 이탈 방지면은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과의 사이에 마찰을 증가시켜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빠지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것 역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하부가 도어 레일(1)에서 이탈되어 열리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기여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보조 이탈방지면(140)에 의해 이탈방지 브라켓(40) 표면을 울퉁불퉁하게 처리해 주면,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울퉁 불퉁한 보조 이탈방지면(140)이 도어 레일(1)의 안쪽 벽부(3c)(또는 바깥 벽부(3b)) 걸리면서 쉽게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잼현상을 더욱더 원활하게 유도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성을 더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separation bracket 4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anti-separation surface 140 having a rough surface on the inner surface 42. The auxiliary anti-separation surface 140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being knurled or processed with bumpy protrusions. The auxiliary anti-separation surface has a function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anti-separation bracket 40 falls out by increasing friction between the guide grooves 3 of the door rail 1, which is also an elevator The lower part of the landing door contributes to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opening and leaving the door rail (1). In other words, when 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is roughly processed by the auxiliary release preventing surface 140, the uneven auxiliary release preventing surface 140 of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40 is inside the door rail 1. Since the wall part 3c (or the outer wall part 3b) is not easily pulled out, the jam phenomenon is induced more smoothly, thereby more reliably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elevator landing door, thereby further increasing safety. .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는 승강구에 설치된 상하부 도어 레일에 행거와 업트러스트 롤러(또는 엑센트릭 롤러) 등의 지지구조에 의해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승강구에 옆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도 10a 내지 도 15b는 본 발명의 승강장 도어에 대한 안전성 평가 이전과 평가 이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러한 사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경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안쪽면(42)이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에 최대한 근접되도록 배치되어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강하게 부딪히는 현상을 근절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충격력이 가해지더라도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이탈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임의로 개방됨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근절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The elevator landing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lidably coupled to the hatch of the elevator platform by a support structure such as a hanger and an uptrust roller (or an accent roller) to the upper and lower door rails installed in the hatch. It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the safety evaluation of the landing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from this picture, in the elevator landing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urface 42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is disposed to b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inner wall portion 3c of the guide rail 3 of the door rail 1. By eliminating the phenomenon that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40 strongly hits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40 is guide guide 3 of the door rail 1 even when an impact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landing door. Since there is no deviation from), it has the effect of erasing various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e elevator landing door arbitrarily ope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permutation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him.

20. 도어 패널 30. 가이드 슈우
40. 이탈방지 브라켓 50. 스페이스 너트
60. 보조 지지부
20. Door panel 30. Guide shoe
40. Detachment bracket 50. Space nut
60. Auxiliary Supports

Claims (6)

엘리베이터 피트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케이지의 도어와는 별도로 승강구에 직립 설치되는 도어 패널(20)과, 상기 도어 패널(20)에 구비되어 승강구에 설치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슈우(30)와, 안쪽면(42)과 바깥면(44)을 갖는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 패널(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승강장에 설치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결합되는 이탈방지 브라켓(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과 상기 가이드홈(3)의 바깥 벽부(3b) 사이의 이격 거리(D)에 비하여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안쪽면(42)과 상기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의 이격 거리(d)가 상대적으로 작도록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이 상기 도어 패널(20)의 하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Apart from the door of the lifting cage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elevator pit, the door panel 20 is installed upright in the hatch, and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provided in the door panel 20 is provided in the hatch. The guide shoe 30 slidably coupled to the plate) and a plate shape having an inner surface 42 and an outer surface 44 a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door panel 20 and installed on the boarding doo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coupled to the guide groove (3) of the), between the outer surface 44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and the outer wall portion (3b) of the guide groove (3)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D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inner surface 42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40 and the inner wall portion 3c of the guide groove 3 is relatively small. )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door panel 20, the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Elevator landing door complemen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20)의 하부측 안쪽면(42)에는 스페이스 너트(50)가 구비되고,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이 상기 스페이스 너트(5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을 관통하는 볼트(52)가 상기 스페이스 너트(5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이 상기 도어 패널(20)의 상하 방향 중심선에서 후방으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The lower inner surface 42 of the door panel 20 is provided with a space nut 50, and the outer surface 44 of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40 is the space nut 50. When the bolt 52 penetrating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40 in contact with the space nut 50 is fastened to the space nut 50,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40 is rearward from the vertical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panel 20. Elevator landing door complementary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n eccentric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20) 하부에 구비된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에는 상기 도어 레일(1)의 상기 가이드홈(3)에 수용되는 보조 지지부(6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The auxiliary support part 60 of claim 1, wherein an outer surface 44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40 provided below the door panel 20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Elevator landing door complementary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form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부(60)는 상기 도어 레일(1)의 상기 가이드홈(3)을 구성하는 바깥 벽부(3b)와 마주하는 면에 곡면부(160)가 구비되고, 상기 곡면부(16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곡률 반경이 커지는 원호부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According to claim 3,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60 is provided with a curved surface portion 160 on the surface facing the outer wall portion 3b constituting the guide groove 3 of the door rail (1), the curved surface Part 160 is an elevator landing door complementary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c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adius of curvature increas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continuousl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은 안쪽면(42)에 표면이 거칠게 처리된 보조 이탈방지면(1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4. The elevator landing door of claim 3, wherein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40)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departure prevention surface (140) having a rough surface on the inner surface (4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20)의 양단부에는 승강 케이지 방향으로 절곡된 제1비드(22)와, 상기 제1비드(22)의 끝단에서 상기 도어 패널(20)과 나란한 방향으로 2차 절곡된 제2비드(24)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 패널(20)의 안쪽면(42) 하부에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더 두꺼운 보강패널(70)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패널(70)의 안쪽면(42)에는 스페이스 너트(50)가 고정되어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을 관통하는 볼트(52)가 상기 스페이스 너트(50)에 체결되어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이 상기 스페이스 너트(50)에 의해 상기 보강패널(70)의 안쪽면(42)에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도어 패널(20)의 안쪽면(42)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바아(8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According to claim 1, wherein both ends of the door panel 20, the first bead 22 bent in the lifting cage direction, an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door panel 20 at the end of the first bead 22 A second bent bend 24 is provided, a reinforcement panel 70 having a relatively thicker thickness is provided below the inner surface 42 of the door panel 20, and the inside of the reinforcement panel 70. A space nut 50 is fixed to the surface 42, and a bolt 52 penetrating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40 is fastened to the space nut 50 so that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40 is fixed to the space nut 50. It is fixed in the stat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42 of the reinforcement panel 70 by the), the inner surface 42 of the door panel 20 is provided with a reinforcement bar 8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Elevator platform doors that complement the breakaway structure.
KR1020100003997A 2010-01-15 2010-01-15 Elevator door with reinforced derail prevention structure KR1012497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997A KR101249751B1 (en) 2010-01-15 2010-01-15 Elevator door with reinforced derail preventio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997A KR101249751B1 (en) 2010-01-15 2010-01-15 Elevator door with reinforced derail prevention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986A true KR20110083986A (en) 2011-07-21
KR101249751B1 KR101249751B1 (en) 2013-04-10

Family

ID=4492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997A KR101249751B1 (en) 2010-01-15 2010-01-15 Elevator door with reinforced derail preventio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75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062B1 (en) * 2012-07-02 2013-06-28 김정호 Jig for conneting a elevator door into door guide se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196A (en) 2015-07-07 2017-01-17 박정호 Reinforment and antishocking element for doors of elevator platform
KR102130510B1 (en) 2018-06-26 2020-07-0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Apparatus for elevator platform do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946B1 (en) 2007-11-13 2010-01-15 최경돈 Protecting device for pushing of screen door and guide rail of screen door's sill
KR200443973Y1 (en) 2007-07-26 2009-03-31 대성아이디에스 주식회사 Separation preventive device of elevator door
KR100819450B1 (en) * 2007-10-29 2008-04-04 (주)대원엔지니어링 The breakaway preventing apparatus for a door of elevator
KR100956924B1 (en) * 2008-04-18 2010-05-11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Breakaway prevention construction for elevator's do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062B1 (en) * 2012-07-02 2013-06-28 김정호 Jig for conneting a elevator door into door guide se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9751B1 (en) 201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955B1 (en) Breakaway prevention construction for elevator&#39;s door
WO2006024173A1 (en) Elevator pit safety device
KR101755263B1 (en) Fire-fighting apparatus for high rise building
CN210824982U (en) Anti-falling device for elevator
KR101747682B1 (en) Safety-enhanced elevator
KR101249751B1 (en) Elevator door with reinforced derail prevention structure
US8469155B2 (en) Elevator life safety gate
US9481551B2 (e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with a transparent balustrade
CN210594783U (en) Elevator car anticreep device
KR20080086071A (en) Hatch door of elevator
WO2003089357A1 (en) Elevator device
KR20100101411A (en) Device for preventing a front door of elevator from detachment
KR102214035B1 (en) Structure For Door Of Elevator Or Boarding Gate Having Function Of Prevent Separation
KR101693457B1 (en) Platform for an elevator door that prevents the guide shoe leaving the door
CN212531879U (en) Elevator positioning and protecting device
KR102106438B1 (en) Garbage collection vehicles with swing doors
KR101826881B1 (en) derailment prevention structure of counter weight for elevator equipped with a seismic capability
US8006805B2 (en) Astragal construction
KR102050864B1 (en) Device For Preventing Breakaway of retractable door-lift vertically for elevator
CN212559048U (en) Freight elevator with door stop device
KR100888666B1 (en) 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irepoof door for elevator which is open and close by top and bottom
KR101352597B1 (en) Up-door elevator for freight
KR101285591B1 (en) Lifting door
US20150060211A1 (en) Fall prevention device for an elevator
KR100638258B1 (en) Elevator cage with function of full pro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