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488A - Terminal,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power saving - Google Patents

Terminal,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power sav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488A
KR20110083488A KR1020100131493A KR20100131493A KR20110083488A KR 20110083488 A KR20110083488 A KR 20110083488A KR 1020100131493 A KR1020100131493 A KR 1020100131493A KR 20100131493 A KR20100131493 A KR 20100131493A KR 20110083488 A KR20110083488 A KR 20110083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cheduling information
data
power saving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4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성근
권형진
장갑석
김용선
홍승은
이우용
정현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3/004,449 priority Critical patent/US8634780B2/en
Publication of KR20110083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4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user or data type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CONSTITUTION: A receiving terminal receives schedul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transmitting terminal. The receiving terminal directly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transmitting terminal by referring to the scheduling information. A schedul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data transmission period. A controller(220) controls a communication unit(210) in order to be operated in a sleep mode excluding the data transmission period.

Description

전력절약을 위한 단말기, 그의 전력절약 방법 및 전력절약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Terminal,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power saving}Terminal for power saving, its power saving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power saving {Terminal,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power saving}

본 발명은 전력절약을 위한 단말기, 그의 전력절약 방법 및 전력절약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의 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전력절약을 위한 단말기, 그의 전력절약 방법 및 전력절약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for power saving, a power saving method thereof,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power sav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for power saving, a power saving method, and a power saving method for reducing power of a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들은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기들이 직접 통신하는 경우, 단말기들은 상대 단말기가 언제 데이터를 전송할 지 알지 못한다. 따라서, 단말기들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항상 깨어 있는 상태에서, 상대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하기를 기다려야 한다. 즉, 단말기들은 직접 통신하는 모드에서, 전력절약방식으로 동작할 수 없다.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s can communicate directly without a base station or an access point (AP). However, when the terminals communicate directly, the terminals do not know when the other terminal transmits data. Therefore, the terminals should always be awake to receive data, waiting for the other terminal to transmit the data. In other words, the terminals cannot operate in a power saving mode in the direct communication mod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들이 직접 통신하는 경우, 전력절약기법을 적용하여 직접 통신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전력절약을 위한 단말기, 그의 전력절약 방법 및 전력절약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terminal for power saving, power saving method and power saving that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directly communicating by applying a power saving technique, when the terminals communicate directly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절약을 위한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스케쥴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와 직접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terminal for power sa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scheduling information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and directly communicating with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with reference to the received scheduling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구간 외의 구간 동안에는 수면모드로 동작한다.The schedul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 transmission section for transmitting the data, and the controller operates in a sleep mode during a section other than the transmission sec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구간 동안에는 수신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operates in a reception mode during the transmission period,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data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와의 직접 통신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가 상기 직접 통신을 수락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직접 통신을 위한 초기화를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to a control devic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wherein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accepts the direct communication. Receives a message from the control device and performs initialization for the direct communication.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공된다.The scheduling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공된다.The scheduling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a base station or an access point.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외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인증 및 연결(authentication/association) 설정이 완료된 후,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된다.The scheduling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the control device after authentication and association establishment with the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is comple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전력절약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스케쥴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와 직접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aving method of a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scheduling information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f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And directly communicating with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with reference to the received schedul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전력절약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단말기와, 상기 제1단말기의 스케쥴링 정보를 공유하며, 상기 스케쥴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단말기와 직접 통신에 의해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단말기를 포함한다.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power saving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scheduling information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sharing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the scheduling And a second terminal for receiving the data by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with reference to the information.

상기 제1단말기의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 및 상기 제2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provid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제안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의 단말기가 직접 통신을 하고 있는 경우, 데이터를 전송하는 스케쥴링 정보를 참조하여 동작함으로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two terminals are in direct communication, power consumption may be reduced by operating with reference to scheduling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data.

또한, 단말기는 다른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알고 있으므로, 다른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시간에는 수면모드로 동작하며, 이로써,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erminal knows the information about the time when the other terminal transmits data in advance, the terminal operates in the sleep mode when the other terminal does not transmit data,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또한, 기지국과 같은 제어장치가 데이터의 송수신과 관련된 스케쥴링 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ntrol device such as a base station can create schedul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도 1은 단말기의 전력절약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전력절약 방식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단말기 및 제2단말기가 직접 통신을 위한 전송구간을 추가로 할당받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전력절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power saving of a terminal.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terminal of FIG. 1.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power saving schem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further allocated a transmission interval for direct communica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saving method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erminology used herein is a term used to properly expres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 an operator's intention, or a custom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단말기의 전력절약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power saving of a terminal.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어장치(100),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도 1에는 단말기로서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가 도시되어 있으나, 단말기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control device 100, a first terminal 200, and a second terminal 300. 1 illustrates a first terminal 200 and a second terminal 300 as terminals, but the number of terminals is not limited.

제어장치(100)는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예로 들 수 있다. The control device 100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for example, a base station or an access point (AP).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는 무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제어장치(10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직접 통신은 제어장치(100)의 개입없이 제1단말기(200)와 제2단말기(300)가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이다.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are device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wireless communication, and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ntrol device 100. Direct communication is a communication in which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directl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control device 100.

먼저, 직접 통신을 위한 초기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initialization process for direct communication is as follows.

직접 통신을 위하여, 제1단말기(200)는 제어장치(100)에게 제2단말기(30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요청 메시지는 제1단말기(200)가 직접 통신을 수행하게 되면, 전력절약을 위한 지원이 가능한지를 알려주는 능력 정보를 포함한다.For direct communication, the first terminal 200 transmits a request message requesting the control device 100 to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terminal 300. The request message includes capability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support for power saving is possible when the first terminal 200 performs direct communication.

제어장치(100)는 제1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요청 메시지를 제2단말기(300)에게 전송한다. 또는 제어장치(100)는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능력 정보를 기반으로, 직접 통신을 요청하는 새로운 요청 메시지를 작성한다. 상기 요청 메시지들은 제1단말기(200)가 제2단말기(300)와의 직접 통신을 요청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제어장치(100)는 상기 요청 메시지들 중 하나를 제2단말기(300)에게 전송한다.The control device 100 transmits the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200 to the second terminal 300. Alternatively, the control device 100 creates a new request message requesting direct communication based on the capabil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request message. The request messages include content that the first terminal 200 requests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300. The control device 100 transmits one of the request messages to the second terminal 300.

제2단말기(300)는 제어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응답 메시지를 제어장치(100)에게 전송한다. 제어장치(100)는 제2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를 제1단말기(200)에게 전송한다. 응답 메시지는 직접 통신의 요청에 응답하는 메시지로서, 직접 통신의 가능 여부에 대한 능력 정보를 포함한다.The second terminal 300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in response to the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100 to the control device 100. The control device 100 transmits the response message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300 to the first terminal 200. The response message is a message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direct communication, and includes capability information on whether direct communication is available.

응답 메시지에, 제2단말기(300)가 직접 통신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능력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직접 통신을 위한 초기화 과정이 완료된다. 이로써,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는 직접 통신이 가능한 직접 통신 모드로 동작하며,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수면모드 또는 전송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If the response message includes capability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econd terminal 300 can directly communicate, the initialization process for the direct communication is completed. As a result,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may operate in a direct communication mode capable of direct communication, and may operate in a sleep mode or a transmission mode according to scheduling information.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직접 통신을 위한 초기화 과정에서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는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전력 절약을 위한 지원이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능력 정보를 서로 교환한다. 능력 정보의 교환을 통해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가 전력절약을 위한 지원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는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전력절약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participating in the direct communication during the initialization process for the direct communication may perform support for power saving while performing the direct communication. Interact with the indicated capability information. When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is found to be capable of power saving through the exchange of capability information,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performs direct communication. In the meantime, the power saving schem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2는 도 1의 제1단말기(2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first terminal 200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제1단말기(200)는 통신부(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terminal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nd a control unit 220.

통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100)에게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와의 직접 통신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가 직접 통신을 수락하는 응답 메시지를 제어장치(100)를 통해 수신한다. 이로써, 직접 통신을 위한 초기화가 완료된다. The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a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to the control device 10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a response message through which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directly accepts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control device 100. This completes the initializ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또한, 통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한다. 이하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서 제2단말기(3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통신부(210)는 제2단말기(300)의 스케쥴링 정보를 제어장치(100)를 통해 수신하거나 제2단말기(300)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scheduling information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Hereinafter, the second terminal 3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receiv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300 through the control device 100 or directly from the second terminal 300.

제어부(220)는 수신된 스케쥴링 정보를 참조하여 제2단말기(300)와 직접 통신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22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210 to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terminal 300 with reference to the received scheduling information.

제2단말기(300)의 스케쥴링 정보는 제2단말기(300)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즉, 스케쥴링 정보는 데이터의 전송 시점과 전송을 종료하는 시점을 포함한다. 제어부(220)는 전송구간 동안에는 제2단말기(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제2단말기(300)의 스케쥴링 정보를 확인하여 전송구간 외의 구간 즉, 수면구간 동안에는 수면모드로 동작한다. 따라서, 전송구간 동안, 제어부(220)는 제2단말기(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제2단말기(300)의 스케쥴링 정보는 데이터를 미전송하는 수면구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300 includes information on a transmission period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300 transmits data. That is, the scheduling information includes a time point at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a time point at which transmission is terminated. The controller 220 operates in a reception mode for receiving data from the second terminal 300 during the transmission period. In addition, the controller 220 checks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300 to operate in the sleep mode during the section other than the transmission section, that is, the sleep section. Therefore, during the transmission period, the controller 22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210 to receive data from the second terminal 300.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300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sleep intervals in which data is not transmitted.

또한, 제어부(220)는 제1단말기(200)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제2단말기(300)에게 제공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2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210 to provide the second terminal 300 with scheduling information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first terminal 200.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는 직접 통신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전력 절약을 위하여, 서로의 스케쥴링 정보를 미리 공유한다. 즉,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는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시점에 대한 정보를 서로에게 미리 알려준다. 제1단말기(200)의 경우, 제2단말기(300)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에서는 웨이크업(wake-up)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제1단말기(200)는, 제2단말기(300)가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시점에서는 수면모드로 진입하여 소비전력을 최소화한다.As described above, while operating in the direct communication mode,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share scheduling information with each other in advance in order to save power. That is,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inform each other in advance of the information on the transmission time when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transmits data. In the case of the first terminal 200, the second terminal 300 wakes up and receives the data at the time when the second terminal 300 transmits the data. In addition, when the second terminal 300 does not transmit data, the first terminal 200 enters the sleep mode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한편, 제2단말기(300)의 스케쥴링 정보는 제2단말기(300)로부터 제1단말기(200)로 직접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제2단말기(300)의 스케쥴링 정보는 제어장치(100)를 통해 제1단말기(200)에게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제어장치(100)는 제1단말기(200) 또는 제2단말기(300)의 스케쥴링 정보를 작성하고, 작성된 스케쥴링 정보를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300 may be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300 to the first terminal 200. Alternatively,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300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200 through the control device 100. Alternatively, the control device 100 may creat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200 or the second terminal 300, and transmit the created scheduling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이러한 과정에 의해,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는 제1단말기(200)의 스케쥴링 정보와 제2단말기(300)의 스케쥴링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의 스케쥴링 정보는 동일할 수 있다.By this process,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share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300.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participating in the direct communication may be the same.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전력절약 방식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power saving schem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어장치(100)는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작성하고,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에게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한다. 스케쥴링 정보는 데이터의 전송시간 정보, 또는 전송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The control device 100 prepares scheduling information for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and transmits the scheduling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The scheduling information includes transmission time information of the data or information on the transmission period.

이에 의해,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는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상대측 단말기, 즉, 제2단말기(300) 및 제1단말기(200)가 자신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시간을 알고 있다. 예를 들어, 제1단말기(200)는 제2단말기(300)가 제1단말기(200)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시간을 제2단말기(300)의 스케쥴링 정보를 참조하여 알 수 있다. As a result,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know a time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counterpart terminal, that is, the second terminal 300 and the first terminal 200, which performs direct communication. .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200 may know the time when the second terminal 300 transmits data to the first terminal 200 with reference to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300.

따라서, 제1단말기(200)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구간 동안에는 깨어나 제2단말기(300)로부터 데이터를 직접 수신한다. 반면, 제1단말기(200)는 직접 통신을 위한 전송구간 외에는 수면모드로 동작한다. 도 3의 경우, 수면구간으로 표시된 시간 동안,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는 직접 통신을 하지 않으므로, 수면 모드로 동작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한다.Accordingly, the first terminal 200 wakes up during the transmission period for transmitting data and directly receives the data from the second terminal 300. On the other hand, the first terminal 200 operates in the sleep mode except for the transmission section for the direct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FIG. 3, since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do not communicate directly during the time indicated by the sleep interval,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by operating in the sleep mode.

도 4는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가 직접 통신을 위한 전송구간을 추가로 할당받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are additionally allocated a transmission sec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직접 통신 모드가 유지되는 경우, 제어장치(100)는 스케쥴링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는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전송구간의 시간 정보를 제어장치(100)로부터 추가로 할당받는다.When the direct communication mode is maintained, the control device 100 can continuously transmit the scheduling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are additionally allocated from the control apparatus 100 time information of a transmission section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에 의하면, 제어장치(100), 제1단말기(200) 또는 제2단말기(300)가 데이터의 전송시간을 스케쥴링하고, 제1단말기(200)와 제2단말기(300)는 스케쥴링된 구간에 무선 채널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1 to 4, the control device 100, the first terminal 200, or the second terminal 300 schedules a transmission time of data, and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y accessing a wireless channel in a scheduled period.

한편,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는 경쟁을 통해 무선 채널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무선 통신을 위한 시간 구간은, 경쟁을 통해 무선 채널에 접근하는 시간 구간과, 경쟁이 아닌 스케쥴링에 따라 무선 채널에 접근하는 시간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may adopt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y accessing a wireless channel through competition. In this case, the time interv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divided into a time interval for accessing the wireless channel through competition and a time interval for accessing the wireless channel according to scheduling rather than competition.

직접 통신 방식이 적용될 때, 전력절감 방식을 활용하기 위해서, 제어장치는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의 스케쥴링 정보뿐만 아니라, 경쟁을 통해 무선 채널에 접근할 수 있는 시간구간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에게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는 경쟁을 통해 무선 채널에 접근하여 직접 통신에 참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는 항상 웨이크업 상태로 동작하게 되며, 외부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을 대기할 수 있다.When th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is applied, in order to utilize the power saving method, the control device may not only schedul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but also in a time interval in which a wireless channel is accessible through competition. Information on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may also be informed. Therefore,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may participate in direct communication by accessing a wireless channel through competition. In this case,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always operate in a wake-up state, and may wait for data transmission from an external terminal.

한편, 직접 통신을 위한 초기화 과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 외에, 제어장치(100)와 단말기간의 연결설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xx에서,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와 제어장치(100)는 인증 및 협력(authentication and association) 과정을 통해 연결설정을 수행한다. 연결설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는 제어장치(100)로부터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시점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 송수신에 참여할 수 있다.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가 직접 통신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단말기(200) 및 제2단말기(300)는 제어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수면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itialization process for direct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connection setting between the control device 100 and the terminal, in addition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or example, in IEEE 802.xx,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and the control device 100 performs a connection setup through the authentication and cooperation (authentication and association) process.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may receive control information about a point in time at which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100 and participate i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hen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operates in the direct communication mode,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is a sleep mode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 device 100 It can work a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전력절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saving method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단말기의 전력절약 방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The power saving method of the terminal of FIG. 5 may be opera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510단계에서,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는 직접 통신에 필요한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다. 초기화 과정은 제1단말기가 제어장치를 경유하여 제2단말기에게 직접 통신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2단말기로부터 직접 통신에 응답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In operation 510,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perform an initialization process required for direct communication. The initialization process includes the first terminal transmitting a request message requesting direct communication to the second terminal via the control device, and receiving a response message in response to the direct communic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520단계에서, 제1단말기는 제2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한다. 제2단말기의 스케쥴링 정보는 제어장치 또는 제2단말기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In operation 520, the first terminal receives scheduling information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second terminal.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may be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or the second terminal.

530단계에서, 수신된 제2단말기의 스케쥴링 정보를 참조하여 제2단말기와 직접 통신을 수행한다. 즉, 제1단말기는 스케쥴링 정보에 포함된 전송구간 동안에는 제2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드로 동작한다.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1단말기는 제2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직접 수신한다.In operation 530, the terminal performs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by referring to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received second terminal. That is, the first terminal operates in a reception mode for receiving data from the second terminal during the transmission period included in the scheduling information. While operating in the receive mode, the first terminal receives data directly from the second terminal.

540단계에서, 전송구간이 종료되면, 550단계에서, 제1단말기는 스케쥴링 정보에 포함된 전송구간 외에는 수면모드로 동작한다. When the transmission section ends in step 540, in step 550, the first terminal operates in the sleep mode except for the transmission section included in the schedul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such description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100: 제어장치 200: 제1단말기
300: 제2단말기 210: 통신부
220: 제어부
100: controller 200: first terminal
300: second terminal 210: communication unit
220: control unit

Claims (12)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스케쥴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와 직접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력절약을 위한 단말기.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scheduling information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with reference to the received schedul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terminal for power sav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구간 외의 구간 동안에는 수면모드로 동작하는, 전력절약을 위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chedul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 transmission section for transmitting the data, and the controller is operated in a sleep mode during a section other than the transmission s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구간 동안에는 수신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력절약을 위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operates in a reception mode during the transmission period,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data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power saving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와의 직접 통신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가 상기 직접 통신을 수락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직접 통신을 위한 초기화를 수행하는, 전력절약을 위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to a control devic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wherein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accepts the direct communication. A terminal for power saving, receiving a message from the control device and performing initialization for the direct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절약을 위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cheduling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절약을 위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said scheduling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a base station or an access p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외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인증 및 협력(authentication/association) 설정이 완료된 후,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절약을 위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cheduling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the control device after the authentica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is completed, the terminal for power saving.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스케쥴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와 직접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전력절약 방법.
Receiving scheduling information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And
Directly communicating with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with reference to the received scheduling information
It includes, the power saving method of the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구간 외의 구간 동안에는 수면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의 전력절약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schedul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 transmission section for transmitting the data,
The communicating may include receiving the data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by operating in a sleep mode during a section other than the transmission section.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단말기; 및
상기 제1단말기의 스케쥴링 정보를 공유하며, 상기 스케쥴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단말기와 직접 통신에 의해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단말기
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전력절약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A first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data according to scheduling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A second terminal sharing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receiving the data by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with reference to the scheduling informa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power saving of the termin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의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 및 상기 제2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제어장치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전력절약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Control device for providing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power saving of the terminal.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의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말기는, 상기 전송구간 외의 구간 동안에는 수면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전송구간 동안에는 수신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의 전력절약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includes information on a transmission section for transmitting the data, and the second terminal operates in a sleep mode during a section other than the transmission section, and operates in a reception mode during the transmission section. Receiving the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power saving of the terminal.
KR1020100131493A 2010-01-12 2010-12-21 Terminal,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power saving KR201100834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004,449 US8634780B2 (en) 2010-01-12 2011-01-11 Terminal,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for power sav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2482 2010-01-12
KR1020100002482 2010-01-12
KR20100011211 2010-02-05
KR1020100011211 2010-0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488A true KR20110083488A (en) 2011-07-20

Family

ID=44921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493A KR20110083488A (en) 2010-01-12 2010-12-21 Terminal,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power sav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348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7865A1 (en) * 2012-04-18 2013-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erforming harq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7865A1 (en) * 2012-04-18 2013-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erforming harq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US9705645B2 (en) 2012-04-18 2017-07-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HARQ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9352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power of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irect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US9883529B2 (en)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s in communication systems with scheduled trigger frames
KR101253928B1 (en) Power saving in peer-to-peer communication devices
KR10179003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mobile terminal
WO2008041071B1 (en) System for managing radio modems
KR20170067774A (en)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wireless device performance
WO2017173579A1 (en) Qos generating method, device, and system
WO2017201741A1 (en) Method for switching to relay node, and relevant device and system
JP2020502908A (en) Improved power saving mode for wireless devices
WO2009136355A4 (en) Power save mechanism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WI493937B (en) System and method for scanning wireless channels
CN105122858A (en) Handling downlink semi-persistent scheduling retransmission in wireless networks
JP4579946B2 (en) Wireless LAN power saving control method,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and wireless terminal device
WO2022152054A1 (en) Power-saving handling method and apparatus, and user equipment
US8634780B2 (en) Terminal,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for power saving
CN104871575A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handling of csi reporting upon cqi-mask
KR20110083488A (en) Terminal,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power saving
CN110691344B (en) Terminal awakening method, random access method, device, terminal and network equipment
CN114080009A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device and related equipment
WO2022228332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related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4765837B (en) Power saving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CN114982341A (en) Information configur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22152075A1 (en) Resource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power-saving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EP4346147A1 (en) Base station discontinuous reception and transmission design for energy saving network
WO2022206648A1 (en) Sidelink discontinuous reception implem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