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332A - Cooking appliance - Google Patents

Cooking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332A
KR20110083332A KR1020100003505A KR20100003505A KR20110083332A KR 20110083332 A KR20110083332 A KR 20110083332A KR 1020100003505 A KR1020100003505 A KR 1020100003505A KR 20100003505 A KR20100003505 A KR 20100003505A KR 20110083332 A KR20110083332 A KR 20110083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ooking
chamber
support member
cook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5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현동학
방석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3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3332A/en
Publication of KR20110083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33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4Aspects relating to lighting devices in the microwave cav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PURPOSE: A cooker is provided to extend the service life of a lamp illuminating a cooking cavity by reducing an impact exerted on the lamp. CONSTITUTION: A cooker comprises a cooking cavity(30), a lamp assembly(50), and a supporting member(90). The cavity provides a food cooking space. The lamp assembly has a lamp(60) which lights up the cavity and a lamp cover(80) which protects the lamp. The supporting member is coupled with the lamp assembly and supports the lamp assembly separate from one side of the cavity where the lamp assembly is located.

Description

조리기기 {Cooking appliance}Cooking appliance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리기기의 램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mp of the cooking appliance.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The cooking appliance is one of home appliances for cooking food and is installed in a kitchen space to cook foo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Such cooking apparatuses may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heat sources or types used and types of fuels used.

상기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상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When the cooking apparatus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cooking food, the cooking apparatus may be classified into an open type and an enclosed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pace where the food is placed. The hermetic cooker includes an oven and a microwave oven, and the open cooker includes a cooktop and a hop.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상기 개방형 조리기기는 개방된 공간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위치하고, 음식물 또는 음식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The hermetic cooking device is a cooking device that shields a space where food is located and cooks food by heating the shielded space. The open type cooking appliance is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a container containing food or food is placed in an open space, and the food or food container is heated to cook food.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조리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상기 조리실을 가열한다. The hermetic cook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cooking chamber which is a space that is shielded when food is to be cooked while food is being placed. Such a cooking chamber becomes a space where food is cooked. A heat source is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cooking chamber to heat the cooking chamber.

그리고,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에 의해 상기 조리실이 차폐된 상태에서 열원이 조리실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Then, a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chamber is installed. The heat source heats the cooking chamber while cooking the food while the cooking chamber is shielded by the door.

특히,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 가운데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라 불리는 고주파 및/또는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는 조리기기의 하나이다. In particular, the microwave oven of the hermetic cooking device is one of cooking devices that heat and cook food by heat emitted from a high frequency and / or heater called microwave bra.

근래에는 다수의 열원이 조합되면서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 및 다수의 음식물을 동시에 요리할 수 있는 조리기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다수의 열원이 설치되는 조리기기는 다수의 열원 및 전장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공기의 유로가 동반된다. Recently, as a plurality of heat sources are combined,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cooking various foods and cooking a plurality of foods at the same time has been proposed.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a plurality of heat sources are installed is accompanied by a flow path of cooling air for cooling a plurality of heat sources and electrical components.

또한,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의 경우 상기 조리실 내부 공간의 조명을 위한 램프가 설치된다. 이러한 램프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조리실 내부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hermetic cooking appliance, a lamp for lighting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is installed. The lamp allows the user to check the interio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본 발명에서는, 램프의 손상이 방지되는 조리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posed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the damage of the lamp is prevented.

본 발명에서는, 램프의 조립이 용이한 조리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posed a cooking appliance that is easy to assemble the lamp.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조명을 위한 램프와, 상기 램프를 보호하는 램프커버를 가지는 램프조립체; 및 상기 램프조립체와 결합하고, 상기 램프조립체가 위치하는 상기 조리실의 일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 가 포함된다. In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oking chamber providing a cooking space for food; A lamp assembly having a lamp for illuminating the cooking chamber and a lamp cover protecting the lamp; And a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lamp assembly and supporting the lamp assembly to be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in which the lamp assembly is located. Included.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조리실을 조명하는 램프에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solving means,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reduc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lamp for illuminating the cooking chamber which is a space where food is cooked.

상기 램프에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됨에 따라 상기 램프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사용에 의한 서비스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s the impact applied to the lamp is reduced, the life of the lamp can be extended, and thus the service time and cost by using the product can be expected to be reduced.

또한, 램프조립체의 지지가 용이하게 조립됨으로써 램프와 램프커버의 지지가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처럼, 램프와 램프커버의 동시 지지로 인해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조립 및 생산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of the lamp assembly is easily assembled, the effect of the support of the lamp and the lamp cover can be expected at the same time. As such, due to the simultaneous support of the lamp and the lamp cover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assembly of the product, it can be expected to reduce the assembly and production time.

그리고, 상기 램프커버의 지지와 충격 완화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구성에 의해 제품 전체의 구성이 단순화되는 효과와 서비스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ntire product and the serviceability by the configuration that can implement the support and shock mitigation of the lamp cover at the same time.

뿐만 아니라, 제품 전체의 구성이 단순화되는 효과로 인해 제품의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oduct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assembly and productivity of the product.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램프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조립도.
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amp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3 is an assembl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mp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이하에서는 상기되는 바와 같은 과제와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problems and effects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asily use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It may be sugges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be included, but this is also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실시 예를 통해 전자레인지를 살펴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램프가 구비되는 조리기기에 모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두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microwave oven is described by way of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applicable to all cooking appliances having lamps.

또한,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claims are concepts selec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should be properly interpreted as meaning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grasping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외형 및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램프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and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mp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mp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외부케이스(10)에 의해 외면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0)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outer surface is formed by the outer case (10). The outer case 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to protect a plurality of component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상기 외부케이스(1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11)와, 상면 및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플레이트(12)와,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13) 및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면플레이트(14)가 서로 결합되면서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상기 조리기기의 외형을 이룬다. The outer case 10 includes a front plate 11 forming a front exterior, an upper plate 12 forming a top and side exterior, a rear plate 13 and a bottom exterior forming a rear exterior. The plate 14 is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outline of the cooking appliance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즉, 상기 외부케이스(1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태를 가지며, 각각의 면을 이루는 플레이트가 서로 결합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상기 전면플레이트(11)를 제외한 다른 플레이트가 일체로 구성되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11)와 결합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That is, the outer case 10 has a hexahedral shape as a whole, and the plates constituting each surface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ront plate 1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other plates except the front plate 11. ) Can also be combined.

어떠한 구성을 가지더라도 상기 외부케이스(10)가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며, 그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Whatever the configuration, the outer case 10 is coupled to form an inner space,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to protect a plurality of component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그리고, 상기 전면플레이트(11)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된 상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절제된 부분에는 절제된 부분이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다수의 부품이 위치한다. The front plate 11 is cut out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a plurality of parts are positioned in the cut out part so that the cut out part is not exposed to the external space.

상세하게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1)의 중앙부에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는 부분에는 후술할 도어(20)가 위치하여 절제된 부분을 차폐한다. 또한, 후술할 전장실(40)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다음에 살펴볼 컨트롤패널(41)이 위치하여 절제된 부분을 차폐한다. In detail, the door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plate 11 so as to have the largest area to shield the section. 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41 to be described later is located in the part where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hielded.

상기 전면플레이트(11)에는 상기 도어(2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20)에 의해 상기 전면플레이트(11)의 절제된 부분 중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된 부분 및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3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The door 2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ont plate 11. The door 20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front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that provides a space where the cut portion and the food are cooked to have the largest area among the cut portions of the front plate 11.

상기 도어(2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할 수 있도록 핸들(21)이 제공된다. 상기 핸들(21)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도어(20)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The door 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a whole, the front surface is provided with a handle 21 so that the user can grip when the user wants to rotate the door 20. The handle 21 allows the user to easily rotate the door 20.

또한, 상기 도어(20)의 중앙 부분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회동시키지 않고, 음식물이 요리되는 상태 또는 상기 조리실(30)의 내부 공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부재가 제공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In addition, a transparent member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door 20 so that a user can check the state in which food is cooked or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without rotating the door 20. Will be improved.

한편,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30)이 마련된다. 이러한 조리실(30)의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case 10 is provided with a cooking chamber 30 for providing a space for cooking food.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becomes a space in which food is cooked.

상기 조리실(30)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리실(3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거나, 내부 공간에 고주파를 조사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리실(30)은 상기 도어(20)에 의해 개방된 전면이 차폐된다. The cooking chamber 30 has a shape of a hexahedron having an open front surface. The interio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is heated or food is cooked by irradiating high frequency to the interior space. At this time, the cooking chamber 30 is shielded the front surface opened by the door (20).

상기 조리실(30)의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을 지지하는 턴테이블(31)이 제공된다. 상기 턴테이블(31)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태를 가지면서 회전 운동하여 상면에 놓이는 음식물을 회전시켜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유도한다. In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is provided a turntable 31 for supporting food. The turntable 31 has a disk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rotate the food placed on the upper surface by rotating to induce the food to be uniformly heated.

상기 도어(20)의 우측에는 컨트롤패널(41)이 위치한다. 상기 컨트롤패널(41)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다수의 스위치와 같은 입력부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41)에는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와,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이 표시된다. The control panel 41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door 20. The control panel 41 is provided with an input unit such as a plurality of switches through which the user inputs an operation signal for cooking food. 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41 display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cooking information of food, and the like.

상기 컨트롤패널(41)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세로 방향으로 긴 육면체 형태를 가진다. 상기 컨트롤패널(41)의 내부 공간에는 표면에 다양한 회로가 인쇄되는 회로기판이 위치된다. 상기 회로기판에는 다수의 제어 부품이 고정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인쇄된 회로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면서 다수의 부품을 제어한다. The control panel 41 has a thickness of a certain degree and has a hexahedral shap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rol panel 41, a circuit board on which various circuits are printed is located. A plurality of control parts are fixed to the circuit board to control the plurality of parts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ccording to a circuit printed on the circuit board.

또한, 상기 회로기판은 후술할 전장실(40)에 위치하는 다수의 전장 부품과 연결된다. 이처럼, 상기 회로기판이 다수의 전장 부품과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패널(41)의 입력부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따라 전장 부품이 동작한다. 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located in the electrical chamber 40 to be described later. As such, the circuit board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and the electrical components operate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control panel 41.

상기 전장실(40)은 상기 조리실(30)의 우측 공간에 형성되고, 전장실(40)의 전면에 위치하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1) 부분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된다. 이처럼 절제되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1) 부분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과 다수의 제어 부품 및 전장 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electric compartment 40 is formed in the right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and the portion of the front plate 11 positioned in front of the electric compartment 40 is cut off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The circuit board and the plurality of control components and electrical componen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ut-out portion of the front plate 11.

상기 전장실(4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조리실(30)의 내부 공간으로 조사하기 위한 고주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42)과, 상기 마그네트론(42)으로 고전압의 전류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전류를 고전압으로 변환하는 고전압변환기(43)와, 상기 고전압변환기(43)로 일정한 전압의 전류를 공급하는 커패시터(44) 등이 설치된다. The magnetron 42 generating high frequency to irradiate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and the current supplied to provide the current of the high voltage to the magnetron 42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electric compartment 40 is a high voltage. And a high voltage converter 43 for converting to a high voltage converter 43 and a capacitor 44 for supplying a constant voltage current to the high voltage converter 43.

그리고, 상기 전장실(40)의 전면에 위치하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1)에는 상기 컨트롤패널(41)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패널(41)에 의해 실질적으로 상기 전장실(40)의 앞면이 차폐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41 is positioned on the front plate 11 located in the front of the electric compartment 40. Accordingly,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ical compartment 40 is substantially shielded by the control panel 41.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램프조립체를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lamp assembly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조리실(30)의 상측에는 상기 조리실(30) 내부 공간의 조명을 위한 램프조립체(50)가 위치한다. 상기 램프조립체(50)는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전환하여 상기 조리실(30)의 내부 공간을 조명한다. Referring to FIG. 2, a lamp assembly 50 for illuminating an interio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is positioned above the cooking chamber 30. The lamp assembly 50 illuminates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by converting the supplied electrical energy into light energy.

물론, 상기 램프조립체(50)가 상기 조리실(30)의 상측에 위치하지 않고, 후측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다만, 어떠한 위치에 설치되어도 상기 조리실(30)의 내부 공간을 조명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 Of course, the lamp assembly 50 is not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30, it may be configured to be located on the rear or side. However, even if installed in any position is positioned so as to illuminate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상기 램프조립체(50)는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전환하여 빛을 발산하는 램프(60)와, 상기 램프(60)를 지지하면서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램프홀더(70)와, 상기 램프(6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램프커버(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lamp assembly 50 includes a lamp 60 for emitting light by converting supplied electric energy into light energy, a lamp holder 70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while supporting the lamp 60, and th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amp cover 80 to protect the lamp 60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실질적으로 상기 램프(60)는 상기 조리실(30)의 내부 공간을 조명하는 빛을 발산하는 부분이고, 상기 램프홀더(70)는 상기 램프(60)를 지지하면서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램프커버(80)는 상기 램프(6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부분이다. Substantially, the lamp 60 is a part that emits light for illuminat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and the lamp holder 70 is a part which supplies external power while supporting the lamp 60. In addition, the lamp cover 80 is a portion that protects the lamp 60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그리고, 상기 램프(60)는 상기 램프홀더(70)에 지지되고, 상기 램프홀더(70)가 상기 램프커버(80)에 지지되면서 하나의 상기 램프조립체(50)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램프조립체(50)가 상기 조리실(30)의 외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램프조립체(50)가 상기 조리실(30)의 내부 공간을 조명한다. The lamp 60 is supported by the lamp holder 70, and the lamp holder 70 is supported by the lamp cover 80 to form one lamp assembly 50. As the lamp assembly 5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the lamp assembly 50 illuminates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이때, 상기 램프홀더(70)는 상기 램프(60)와 끼움 결합 또는 회전 결합에 의해 상기 램프(60)와 결합하여 상기 램프(60)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램프홀더(70)는 상기 램프커버(80)와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한 결합 또는 구조적 결합으로 상기 램프커버(80)에 지지된다. At this time, the lamp holder 70 is coupled to the lamp 60 by the fitting or rotational coupling with the lamp 60 to support the lamp 60. In addition, the lamp holder 70 is supported by the lamp cover 80 by the coupling or structural coupling by a separate coupling member and the lamp cover 80.

상기 램프(60)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쪽 끝 부분(도면에서 볼 때 우측 끝 부분)이 상기 램프홀더(70)와 결합하여 지지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램프(60)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누운 원기둥 형태로 제공된다. The lamp 60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one end portion (the right end portion when viewed in the drawing) is supported by being combined with the lamp holder 70. In detail, the lamp 6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ly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이처럼, 가로 방향으로 누운 원기둥 형태의 상기 램프(60) 우측 끝 부분이 상기 램프홀더(70)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램프(60)는 상기 램프홀더(7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으면서 지지되어 빛을 발광한다. As such, the right end of the lamp 60 in a horizontal cylindrical shape is combined with the lamp holder 70. At this time, the lamp 60 is supported while receiving electrical energy from the lamp holder 70 emits light.

상기 램프홀더(7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볼 때, 좌측면에는 상기 램프(60)와 결합되는 부분이 형성되고 우측면에는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등이 위치한다. The lamp holder 7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ub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shown in the figure, a portion coupled to the lamp 60 is formed on the left side, and a terminal, etc.,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상기 램프홀더(70)는 좌측면이 상기 램프커버(80)의 우측면과 접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램프(60)와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램프커버(8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다. 또한,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램프커버(80)의 우측 외부 공간에 위치한다. The lamp holder 70 is coupled to the left side in contact with the right side of the lamp cover (80). At this time, the portion coupled to the lamp 60 is locat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lamp cover 80. In addition, a portion electrically coupled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is located in the right outer space of the lamp cover 80.

상기 램프커버(80)는 상기 램프(6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램프(60)를 감싸는 공간을 가지는 램프챔버(81)와, 상기 램프챔버(81)의 하단 테두리 부분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챔버플랜지(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lamp cover 80 is configured to protect the lamp 60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lamp chamber 81 having a space surrounding the lamp 60, and the outer side of the lower edge of the lamp chamber 8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hamber flange 83 extending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상기 램프챔버(81)는 소정의 두께와 강도를 가지면서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하면이 개방된 상태의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램프챔버(81)는 상면의 면적보다 하면의 면적이 더 넓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램프챔버(81)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램프(60)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조리실(30)의 내부 공간으로 더 넓게 확산시키기 위함이다. The lamp chamber 81 has a hexahedral shape in which the lower surface is opened to have an internal space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strength. In addition, the lamp chamber 81 is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of the lower surface than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This is to diff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mp 60 positioned inside the lamp chamber 81 to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more widely.

즉, 상기 램프챔버(81)의 개방된 하면의 면적에 의해 상기 램프(60)에 의한 상기 조리실(30)의 조명 면적이 달라진다. 상세하게는, 상기 램프챔버(81)의 개방된 하면의 면적이 넓어질수록 상기 램프(60)에서 발산되는 빛은 상기 조리실(30)을 더 넓은 면적으로 조명한다. That is, the area of illumination of the cooking chamber 30 by the lamp 60 varies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lamp chamber 81. In detail, as the area of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lamp chamber 81 increas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mp 60 illuminates the cooking chamber 30 in a larger area.

반면, 상기 챔프챔버(81)의 개방된 하면의 면적이 좁아질수록 상기 램프(60)에서 발산되는 빛은 상기 조리실(30)을 좁은 면적으로 조명한다. 이때에는 상기 램프(60)에서 발산되는 빛이 좁은 면적으로 집중되어 더 밝은 조명을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as the area of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chamfer chamber 81 becomes narrower,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mp 60 illuminates the cooking chamber 30 in a narrow area. At this tim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mp 60 is concentrated in a narrow area to provide brighter lighting.

다만, 상기 조리실(30) 내부 공간을 전체적으로 조명하기 위하여 상기 램프(60)에서 발산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t is preferable to diff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mp 60 to illuminate the interio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as a whole.

상기 램프챔버(81)의 외면에는 상기 램프챔버(81)의 내부로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램프냉각홀(82)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램프냉각홀(82)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 형태의 홀이 다수 형성되는 다공부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램프냉각홀(82)은 상기 램프챔버(81)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의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A plurality of lamp cooling holes 82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lamp chamber 81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into the lamp chamber 81. The lamp cooling hole 82 is formed of a porous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circular shaped holes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re formed. The lamp cooling hole 82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n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of the lamp chamber 81 flows.

이와 같이, 상기 램프냉각홀(82)을 통과하여 상기 램프챔버(81)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램프(60)가 냉각된다. As such, the lamp 60 is cooled by air flowing through the lamp cooling hole 82 and flowing between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of the lamp chamber 81.

상기 챔버플랜지(83)는 상기 램프챔버(81)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연장되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챔버플랜지(83)에는 다음에 설명할 지지부재(90)와 결합되는 결합홀(8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84)은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형 홀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90)의 일부가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The chamber flange 83 extends in a state of being bent out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lamp chamber 81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The chamber flange 83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84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90 to be described later. The coupling hole 84 is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hol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90 is formed to penetrate.

물론, 상기 결합홀(84)이 원형 홀의 형태가 아닌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상기 결합홀(84)은 상기 지지부재(90)의 단면 형태와 동일한 단면의 형태를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Of course, the coupling hole 84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instead of a circular hole. However, the coupling hole 84 is form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at of the support member 90.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램프조립체(50)를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lamp assembly 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상기 램프챔버(81)의 개방된 하면 하측(도면에서 볼 때)에 위치하는 상기 조리실(30)의 일면 상세하게는 상기 조리실(30)의 상면에는 조명홀(32)이 형성된다. 상기 조명홀(32)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성도 가능하며,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다수의 홀로 형성되는 다공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성도 가능하다. An illumination hole 32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positioned below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lamp chamber 81 (as viewed in the drawing). The illumination hole 32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cut out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or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of a porous part formed of a plurality of holes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상기 조명홀(32)은 상기 램프(60)에서 발산되는 빛이 상기 조리실(30)의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즉, 상기 램프(60)에서 발산되는 빛은 상기 조명홀(32)을 통과하여 상기 조리실(30)의 내부 공간을 조명한다. The lighting hole 32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mp 60 illuminates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That i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mp 60 passes through the lighting hole 32 to illuminate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상기 조명홀(32)의 테두리 부분 외측에는 상기 램프조립체(5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90)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부재(90)는 상기 조리실(30)의 일면에 지지되어 고정된 형태로 위치한다. A support member 90 for supporting the lamp assembly 50 is provided outside the edge portion of the lighting hole 32. The support member 90 is positioned to be supported and fixed to one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따라서, 상기 조리실(30)의 일면에 고정된 형태로 제공되는 상기 지지부재(90)에 상기 램프조립체(50)가 결합되면서 지지된다. 이때, 상기 램프조립체(50)는 상기 조리실(30)의 일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된 상태로 지지된다. Therefore, the lamp assembly 50 is supported while being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90 provided in a fixed form on one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In this case, the lamp assembly 50 is support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램프조립체(50)가 설치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램프(60)의 일부가 상기 램프홀더(70)와 끼움 결합 또는 회전 결합되어 상기 램프홀더(70)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램프홀더(70)의 일부가 상기 램프챔버(81)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램프홀(85)을 관통하여 상기 램프챔버(81)의 내부에 위치한다. Looking at the state in which the lamp assembly 50 is installed, first, a part of the lamp 60 is fitted to the lamp holder 70 or rotationally coupled to be supported by the lamp holder 70. In this state, a part of the lamp holder 70 penetrates through the lamp hole 85 formed on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lamp chamber 81 and is positioned inside the lamp chamber 81.

이때, 상기 램프홀더(70)는 상기 램프(60)와 결합되는 부분 즉, 상기 램프(60)가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램프챔버(81)의 내부에 위치하고,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연결부분(71)은 상기 램프챔버(81)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여 고정된다.In this case, the lamp holder 70 is a portion coupled to the lamp 60, that is, the portion where the lamp 60 is located in the lamp chamber 81, the connection portion 71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 Is fixed to the outer space of the lamp chamber (81).

상세하게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분(71)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좌우 방향으로 납작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좌측면의 면적이 상기 램프홀(85)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In detail, the connection portion 71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s a flat hexahedron shap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area of the left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71 is larger than that of the lamp hole 85. Is formed.

따라서, 상기 램프(60)가 상기 램프홀(85)을 관통하여 상기 램프챔버(81)의 내부로 이동하면, 상기 연결부분(71)은 상기 램프챔버(81)의 우측면에 의해 그 이동이 제한된다. 이처럼, 상기 연결부분(71)은 상기 램프홀더(7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한다. Therefore, when the lamp 60 passes through the lamp hole 85 and moves inside the lamp chamber 81, the connection portion 71 is limited by the right side of the lamp chamber 81. do. As such, the connection portion 71 serves as a stopper for limiting the movement range of the lamp holder 70.

상기 연결부분(71)이 상기 램프챔버(81)의 우측면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면, 상기 연결부분은 상기 램프챔버(81)의 우측면에 끼움 결합 또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된다.When the connection portion 71 is limited by movement of the right side of the lamp chamber 81, the connect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lamp chamber 81 by a coupling or fastening member is fixed.

상기 연결부분(71)이 상기 램프챔버(81)에 결합되어 고정되면, 상기 램프(60)와 상기 램프홀더(70)가 상기 램프챔버(81)의 우측에 지지되면서 상기 램프(60)가 상기 램프챔버(81)의 내부에 위치된다. When the connecting portion 71 is coupled to the lamp chamber 81 and fixed, the lamp 60 and the lamp holder 70 are supported on the right side of the lamp chamber 81 and the lamp 60 is It is located inside the lamp chamber 81.

상기 램프홀더(70)가 상기 램프챔버(8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램프커버(80)가 상기 지지부재(90)와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챔버플랜지(82)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홀(84)에 상기 지지부재(90)의 일부가 관통하면서 상기 램프커버(80)가 상기 지지부재(90)와 결합된다. The lamp cover 80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90 while the lamp holder 70 is fixed to the lamp chamber 81. In detail, the lamp cover 80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90 while 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90 penetrates through the coupling hole 84 formed in the chamber flange 82.

이와 같이, 상기 램프커버(80)가 상기 지지부재(90)와 결합하면, 상기 램프조립체(50)가 상기 조리실(30)의 외면에 설치된다. 이처럼, 상기 램프조립체(50)는 상기 조리실(30)의 외면에 설치될 때 상기 램프(60)와 상기 램프커버(80)가 동시에 설치되는 장점을 가진다. As such, when the lamp cover 80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90, the lamp assembly 5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As such, the lamp assembly 50 has the advantage that the lamp 60 and the lamp cover 80 are installed at the same time when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상기 램프조립체(50)의 설치 효율이 향상되고, 설치 시간이 절감되어 제품의 생산 시간이 절감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Due to these advantages, the installation efficiency of the lamp assembly 50 is improved, and the installation time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time of the product.

한편, 상기 지지부재(90)는 그 일부가 상기 챔버플랜지(83)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홀(84)을 관통하면서 상기 램프커버(80)와 결합한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부재(90)에 상기 램프커버(80)가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램프커버(80)가 상기 지지부재(90)에 의해 지지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member 90 is coupled to the lamp cover 80 while a portion thereof passes through the coupling hole 84 formed in the chamber flange 83. In other words, the lamp cover 8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90 while the lamp cover 80 is fitted to the support member 90.

상기 지지부재(90)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뿔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방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90)의 하반부 단면적은 상기 결합홀(84)의 단면적보다 더 넓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The support member 90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is formed to have a wider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lower side. In addition, the lower half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member 90 is formed to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at of the coupling hole 84.

이는, 상기 램프커버(80)를 상기 지지부재(90)에 끼움 결합하게 되면, 상기 결합홀(84)의 단면적이 상기 지지부재(90)의 단면적보다 넓은 부분까지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is because when the lamp cover 80 is fitted to the support member 90, only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upling hole 84 is coupled to a portion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member 90.

상세하게는, 상기 램프커버(80)를 하방으로 압착하여 상기 지지부재(90)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램프커버(80)는 상기 결합홀(84)의 단면적이 상기 지지부재(90)의 단면적보다 넓은 부분 즉, 상반부까지 결합된다. Specifically, when the lamp cover 80 is pressed downward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90, the lamp cover 80 has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upling hole 84,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member 90 It is joined to the wider part, that is, the upper half.

이때, 상기 램프커버(80)를 더 하방으로 압착하더라도 상기 결합홀(84)의 단면적이 상기 지지부재(90)의 하반부 단면적보다 좁은 단면적을 가지므로 더 이상 하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At this time, even if the lamp cover 80 is pressed further downwar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upling hole 84 has a narrow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lower half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member 90 so that it can no longer be moved downward.

이처럼, 상기 지지부재(90)의 하반부는 상기 결합홀(84)의 단면적보다 더 넓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서 상기 램프커버(80)의 하방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In this way, the lower half of the support member 90 is formed to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upling hole 84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stopper to preven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lamp cover (80).

상기 지지부재(90)의 하반부가 상기 램프커버(80)의 하방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램프커버(80)의 하단부는 상기 조리실(30)의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위치된다. When the lower half of the support member 90 functions as a stopper for prevent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lamp cover 80, the lower end of the lamp cover 80 may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Positioned to have.

상기 램프커버(80)의 하단부가 상기 조리실(30)의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위치하면, 상기 조리실(30)에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한 충격이 상기 램프커버(8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When the lower end of the lamp cover 80 is position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the impact of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cooking chamber 30 to the lamp cover 80 is minimized. Has the advantage of.

이로 인해, 상기 램프커버(80)에 지지되는 상기 램프(60)의 충격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Therefore,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impact damage of the lamp 60 supported by the lamp cover 80.

즉, 상기 도어(20)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전면플레이트(11)를 통해 전달되는 좌우 방향의 충격 진동에 의해 상기 조리실(30)이 진동하더라도 상기 램프커버(80)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한 충격이 최소화되어 상기 램프(60)의 충격 손상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That is, even when the cooking chamber 30 vibrates due to the left and right shock vibrations transmitted through the front plate 11 by the rotation of the door 20, the shocks due to the vibrations transmitted to the lamp cover 80 are prevented. There is an advantage to minimize the impact damage of the lamp (60).

또한, 상기 조리실(30)의 상하 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 진동이 상기 램프커버(80)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shock vibration transmit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oking chamber 30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transmission to the lamp cover 80 as much as possible.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90)는 소정의 자체 탄성을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상기 지지부재(90)가 소정의 자체 탄성을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면, 그 탄성에 의해 상기 조리실(30)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한번 더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90 is made of a polymer compound having a predetermined self-elasticity. As such, when the support member 90 is made of a polymer compound having a predetermined self elasticity, the support member 90 may further reduce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cooking chamber 30 by the elasticity.

한편, 상기 지지부재(90)의 상반부에는 상기 램프커버(80)가 상기 지지부재(90)와 결합된 다음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91)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제한부(91)는 상기 지지부재(90)의 외측면 일부가 상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절개된 다음 외측으로 슬리팅되어 형성된다. 이때, 슬리팅 부분이 상기 지지부재(9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upper half of the support member 90, the lamp cover 80 is combined with the support member 90, the movement limiting portion 91 for limiting the upward movement is formed. The movement limiting portion 91 is formed by slitting the out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90 except the upper portion and then slitting the outer portion. At this time, the slitt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member 90.

상세하게는, 상기 이동제한부(91)는 측방에서 볼 때 상면을 제외한 다른 면이 절개되어 상기 지지부재(90)의 외측으로 슬리팅되면서 돌출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이동제한부(91)가 슬리팅되어 돌출 형성되면,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램프커버(80)가 하방으로 압착될 때 상기 이동제한부(91)를 포함한 상기 지지부재(90)의 상반부가 상기 결합홀(84)을 관통한다. In detail, the movement limiting part 91 is formed to protrude while slitting outward of the support member 90 by cutting other surfaces except the upper surface when viewed from the side. As such, when the movement limiting portion 91 is slitted to protrude, the upper half of the support member 90 including the movement limiting portion 91 when the lamp cover 80 is pressed downward by its own elasticity. Penetrates through the coupling hole 84.

상기 지지부재(90)의 상반부가 상기 결합홀(84)을 관통하면 상기 이동제한부(91)는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결합홀(84)의 단면적을 벗어난 범위로 돌출된다. When the upper half of the support member 90 passes through the coupling hole 84, the movement limiting portion 91 protrudes out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upling hole 84 by its elasticity.

상기 이동제한부(91)가 상기 결합홀(84)의 단면적을 벗어난 범위로 돌출되면, 상기 이동제한부(91)의 하단부에 상기 챔버플랜지(83)의 상면이 접하면서 상기 램프커버(80)의 상방 이동을 제한한다. When the movement limiting portion 91 protrudes out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upling hole 84, the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flange 83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movement restriction portion 91 and the lamp cover 80. Limit the upward movement of the.

이와 같이, 상기 램프커버(80)가 상기 지지부재(90)와 결합하면, 상기 램프커버(80)는 상기 이동제한부(91)에 의해 상방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지지부재(90)의 단면적에 의해 하방 이동이 제한된다. 이때, 상기 램프조립체(50)는 상기 조리실(30)의 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상기 지지돌기(90)에 의해 지지된다. As such, when the lamp cover 80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90, the lamp cover 80 is limited in upward movement by the movement limiting portion 91,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member 90 is increased. Downward movement is limited by. In this case, the lamp assembly 50 is fix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by a predetermined support 90 is supported.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modified in many other ways.

예를 들면, 상기 램프조립체(80)가 상기 조리실(30)의 상측이 아닌 우측 또는 후측에 위치하여 상기 조리실(30)의 내부 공간을 조명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90)가 원뿔 형태의 구성이 아닌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그 외면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램프조립체(50)를 고정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For example, the lamp assembly 80 may be positioned at the right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30 instead of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30 to illuminate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0. In addition, while the support protrusion 9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stead of a conical shape, a stopper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to fix the lamp assembly 5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도어의 개폐과정 또는 사용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램프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to the cooking chamber by the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r use of the door can be expected to the effect that the damage of the lamp is prevented.

또한, 간편한 구성에 의해 상기 램프조립체를 형성하므로,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lamp assembly is formed by a simple configuration, the productivity and assembly properties of the product can be expected to be improved.

그리고, 램프와 램프커버가 동시에 지지되어 램프조립체를 설치하는 설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lamp and the lamp cover are supported at the same time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installability of installing the lamp assembly.

상기와 같은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는 조리기기의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By the above effects,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have a great possibility of being used in the industry of the cooking appliance.

10. 외부케이스 11. 전면플레이트
12. 상부플레이트 13. 후면플레이트
14. 하면플레이트 20. 도어
21. 핸들 30. 조리실
31. 턴테이블 32. 조명홀
40. 전장실 41. 컨트롤패널
42. 마그네트론 43. 고전압변환기
44. 커패시터 50. 램프조립체
60. 램프 70. 램프홀더
71. 연결부분 80. 램프커버
81. 램프챔버 82. 램프냉각홀
83. 챔버플랜지 84. 결합홀
85. 램프홀 90. 지지부재
91. 이동제한부
10. Outer Case 11.Front Plate
12. Upper plate 13. Rear plate
14. Bottom plate 20. Door
21.Handle 30. Cooking Room
31. Turntable 32. Lighting hall
40. Battlefield 41. Control Panel
42. Magnetron 43. High Voltage Converter
44. Capacitor 50. Lamp Assembly
60. Lamp 70. Lamp holder
71. Connection area 80. Lamp cover
81. Lamp chamber 82. Lamp cooling hole
83. Chamber Flange 84. Coupling Hole
85. Lamphole 90. Support member
91. Mobility Restrictions

Claims (7)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조명을 위한 램프와, 상기 램프를 보호하는 램프커버를 가지는 램프조립체; 및
상기 램프조립체와 결합하고, 상기 램프조립체가 위치하는 상기 조리실의 일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 가 포함되는 조리기기.
A cooking chamber providing a food cooking space;
A lamp assembly having a lamp for illuminating the cooking chamber and a lamp cover protecting the lamp; And
A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lamp assembly and supporting the lamp assembly to be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in which the lamp assembly is located; Cooking appliance is inclu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member is a cooking appliance made of a high molecular compou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자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member is a cooking appliance made of a material having its own elastic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조립체에는 상기 램프를 지지하는 램프홀더가 더 포함되고, 상기 램프홀더는 상기 램프커버에 지지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amp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lamp holder for supporting the lamp, the lamp holder is supported on the lamp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커버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부가 관통하여 결합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amp cover is a cooking appliance formed with a coupling hole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is coupl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램프커버와 결합 후 상기 램프조립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가 형성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member is a cooking appliance formed with a movement limiting unit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lamp assembly after coupling with the lamp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커버는 상기 램프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조리실의 내부 공간으로 반사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amp cover is a cooking appliance for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mp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KR1020100003505A 2010-01-14 2010-01-14 Cooking appliance KR2011008333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505A KR20110083332A (en) 2010-01-14 2010-01-14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505A KR20110083332A (en) 2010-01-14 2010-01-14 Cooking appli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332A true KR20110083332A (en) 2011-07-20

Family

ID=4492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505A KR20110083332A (en) 2010-01-14 2010-01-14 Cooking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333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33276A1 (en) * 2020-06-29 2022-01-05 Arçelik Anonim Sirketi A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uv lam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33276A1 (en) * 2020-06-29 2022-01-05 Arçelik Anonim Sirketi A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uv lam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8656B2 (en) Switch assembly and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3376116B1 (en) Cooking appliance with a lighting device
KR101847286B1 (en) Member for inducing air flow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KR20160025171A (en) Working coil assembly for induction range
KR20110083332A (en) Cooking appliance
WO2013080572A1 (en) High-frequency heating device with range hood
US6700107B2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KR102600945B1 (en) Cooking appliance
KR102521492B1 (en) Oven
KR101101487B1 (en) Steam cooking appliance
KR101971765B1 (en) Light source unit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JP6530349B2 (en) Cooker
KR100756741B1 (en) Illuminating system of microwave oven over the range
JPH09229376A (en) Lighting device for high-frequency heating device
JP2013137155A (en) High-frequency heating device with range hood
CN117628811A (en) Heat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KR200396167Y1 (en) Light-transmitting Structure of Lamp For Microwave
KR101052152B1 (en) Cooker
JP6693025B2 (en) Heating cooker
KR101101511B1 (en) Control method of cooking appliance
JP4300964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KR20110083348A (en) Cooking appliance
JP2001193936A (en) Heating cooker
CN108662627A (en) Electromagnetic oven
WO2012144236A1 (en) High-frequency heater device with range h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