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319A -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319A
KR20110083319A KR1020100003486A KR20100003486A KR20110083319A KR 20110083319 A KR20110083319 A KR 20110083319A KR 1020100003486 A KR1020100003486 A KR 1020100003486A KR 20100003486 A KR20100003486 A KR 20100003486A KR 20110083319 A KR20110083319 A KR 20110083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ntroller
mine
switching
sen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2619B1 (ko
Inventor
신성수
Original Assignee
(주) 모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모토텍 filed Critical (주) 모토텍
Priority to KR1020100003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619B1/ko
Publication of KR20110083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41H11/1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8Military appl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 G09B29/106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using 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지뢰에 탑재되는 소형인 배터리를 이용하여 보안체계를 확보하려는 일정한 장소의 감시시스템을 장기간에 걸쳐 지원할 수 있는 것인 바, 본 발명은 GPS 위성(1)으로부터 송신되는 현재의 위치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110)가 내장된 복수 개의 위치정보기록기(100); 각 위치정보기록기(100)의 인접위치에 배치되며 각 위치정보기록기(100)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위치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신호전송하되, 근접하는 외부물체가 센싱되는 경우에 위치데이터를 신호전송하는 복수 개의 전자지뢰(200); 외부물체가 센싱된 전자지뢰(200)로부터 신호전송되는 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전자지뢰(200)의 배치된 위치 및 센싱된 전자지뢰(200)의 위치가 각각 구별되게 그래픽으로 실시간 구현되는 전자지도부(310)와, 이 전자지도부(310)를 마운트하고 전자지도부(310)를 제어하는 전시장치부(320)로 구성되는 상황판(300); 외부물체가 센싱된 전자지뢰(200)로부터 수신된 위치데이터를 상황판(300)에 신호전송하는 게이트웨이(400); 상황판(300) 및 게이트웨이(400)에는 외부물체가 센싱된 전자지뢰(200)로부터 위치데이터가 신호전송되는 경우 기설정된 특정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장착된 경보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 {SUPERVISORY SYSTEM FOR ELECTRONIC MINE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SATELLITE}
본 발명은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GPS 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자지뢰의 현재 매립위치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위치정보기록기를 통해 전자지뢰 자체에 저장함으로써 기존의 암호화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신호를 분석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절차가 배제됨으로써 수많은 전자지뢰를 매설하는 경우에도 센싱된 전자지뢰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전자지뢰에 탑재되는 소형인 배터리를 이용하여 감지센서가 센싱되는 경우에만 전력을 소모하며 또한 감지센서가 센싱된 경우에도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제한된 일정시간 동안에만 전력이 소모되고 다시 외부소자로의 전력소모를 차단한 대기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보안체계를 확보하려는 일정한 장소의 감시시스템을 장기간에 걸쳐 지원할 수 있는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통 지표면에 매설되는 전자지뢰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에 있어서는 신속하게 센싱된 전자지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또한 감시시스템의 특성상 장시간에 걸쳐 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전자지뢰에 탑재되는 배터리는 빈번한 교체 작업이 배제된 상태에서도 장시간 동안 전자지뢰 내의 소자에 전력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종래에는 매설된 전자지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매설된 각 전자지뢰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암호화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신호로 발송하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에서는 RFID의 코드를 기억하여 코드를 분석하고 계산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전자지뢰에 탑재된 배터리는 전자지뢰의 소자에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게 되어 배터리의 수명이 매우 짧아 장기간에 걸쳐 운영되는 감시시스템의 상용화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배선을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국지적인 용도로 밖에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었다.
즉 RFID의 무선전송은 특정한 영역에서만 분석하고 위치를 정리해야 하는 불편함으로 사용에 한계가 있고 자동차나 도의 무선 개폐 등에 사용되는 특정한 물건에 대해 1:1 통신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지만 다수의 센서를 가지면 임의의 지역에 산재할 때에는 데이터의 기록 등을 해독하여야 하는 관계로 전자지뢰와 같은 곳에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양방향의 송수신기로 특정위치에서의 정보의 전다/제어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무선 송수신장치를 가진 감지체계는 배터리의 한계 때문에 대용량의 배터리나 전지공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지뢰장치 및 이 지뢰장치에 의한 감시시스템과 같이 장기간 대기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것에는 사용이 부적합한 실정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지뢰에 탑재되는 소형인 배터리를 이용하여 보안체계를 확보하려는 일정한 장소의 감시시스템을 장기간에 걸쳐 지원할 수 있음은 물론 GPS 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자지뢰의 현재 매립위치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전자지뢰 자체에 저장함으로써 수많은 전자지뢰를 매설하는 경우에도 센싱된 전자지뢰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지뢰에 탑재되는 소형인 배터리를 이용하여 보안체계를 확보하려는 일정한 장소의 감시시스템을 장기간에 걸쳐 지원할 수 있는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GPS 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자지뢰의 현재 매립위치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전자지뢰 자체에 저장함으로써 수많은 전자지뢰를 매설하는 경우에도 센싱된 전자지뢰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은 GPS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현재의 위치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가 내장된 복수 개의 위치정보기록기; 각 위치정보기록기의 인접위치에 배치되며 각 위치정보기록기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위치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신호전송하되, 근접하는 외부물체가 센싱되는 경우에 위치데이터를 신호전송하는 복수 개의 전자지뢰; 외부물체가 센싱된 전자지뢰로부터 신호전송되는 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전자지뢰의 배치된 위치 및 센싱된 전자지뢰의 위치가 각각 구별되게 그래픽으로 실시간 구현되는 전자지도부와, 이 전자지도부를 마운트하고 전자지도부를 제어하는 전시장치부로 구성되는 상황판; 외부물체가 센싱된 전자지뢰로부터 수신된 위치데이터를 상황판에 신호전송하는 게이트웨이; 상황판 및 게이트웨이에는 외부물체가 센싱된 전자지뢰로부터 위치데이터가 신호전송되는 경우 기설정된 특정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장착된 경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황판 및 게이트웨이에는 외부물체가 센싱된 전자지뢰로부터 신호전송된 현재의 위치데이터에 대해, 위도 및 경도에 따른 절대좌표, 상기 상황판 및 게이트웨이와의 방위 및 거리에 따른 상대좌표를 나타내는 위치표시장치가 구비된다.
전자지뢰는, 위치정보기록기로부터 신호전송된 위치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가 구비된 컨트롤러와; 근접하는 외부물체를 센싱하는 감지센서와; 위치정보기록기로부터 수신된 위치데이터를 게이트웨이에 신호전송하는 무선송신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자지뢰는, 감지센서가 외부물체에 의해 센싱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스위칭 오프 상태로부터 스위칭 온 상태를 거쳐 다시 스위칭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배터리에 직렬연결되는 감지센서와 스위칭 연결되며, 동시에 컨트롤러에 일체로 접속 연결되는 접촉입력단자; 및 감지센서가 외부물체에 의해 센싱되어 감지센서와 접촉단자가 스위칭 온 상태를 거쳐 다시 스위칭 오프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배터리로부터 컨트롤러에 일정시간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 연결로 배터리와 접촉입력단자를 잇되 컨트롤러의 출력단자에 일체로 접속 연결되어 컨트롤러로부터 생성되는 스위칭 온·오프 신호에 의해 스위칭 연결이 온·오프 되는 반도체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지센서와 직렬연결되는 배터리는, 감지센서에 근접하는 외부물체가 센싱되는 경우에만 외부소자인 컨트롤러에 일정시간 전원을 공급한 후,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외부소자에 의한 전력소모가 영(zero)인 대기상태로 유지된다.
컨트롤러는, 반도체 스위치에 전송되는 스위칭 온·오프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IC; 및 컨트롤러로부터 생성되는 스위칭 온·오프 신호에 의해 감지센서와 접촉입력단자가 스위칭 오프된 상태에서 반도체 스위치가 일정시간 스위칭 온 상태로 유지되어 배터리로부터 컨트롤러에 일정시간 전원이 공급되도록 반도체 스위치에 스위칭 온·오프 신호를 일정시간 전송제어하는 타이머 회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송신부는, 타이머 회로부의 제어에 의해 반도체 스위치가 일정시간 스위칭 온 상태로 유지되어 배터리로부터 컨트롤러에 일정시간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컨트롤러에 연동하여 작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은,
첫째, GPS 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자지뢰의 현재 매립위치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위치정보기록기를 통해 전자지뢰 자체에 저장함으로써 기존의 암호화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신호를 분석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절차가 배제됨으로써 수많은 전자지뢰를 매설하는 경우에도 센싱된 전자지뢰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기존처럼 암호화된 신호분석 및 위치계산 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배터리의 전력이 소모되던 것을 배제하고, 상기와 같이 전자지뢰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장시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상세하게 전자지뢰에 탑재되는 소형인 배터리는 감지센서가 센싱되는 경우에만 전력을 소모하며 또한 감지센서가 센싱된 경우에도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제한된 일정시간 동안에만 전력이 소모되고 다시 외부소자로의 전력소모를 차단한 대기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본 발명을 설치한 후 별도의 조치 없이 보안체계를 확보하려는 일정한 장소의 감시시스템을 장기간에 걸쳐 지원할 수 있으므로 군이나 민간에 한층 더 상용화의 틀을 마련하였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의 네트워크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지뢰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지뢰의 구성요소인 컨트롤러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의 흐름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지뢰의 배터리와 컨트롤러 사이에서 전원이 공급/차단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의 네트워크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은 GPS 위성(1)으로부터 송신되는 현재의 위치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110)가 내장된 복수 개의 위치정보기록기(100); 각 위치정보기록기(100)의 인접위치에 배치되며 각 위치정보기록기(100)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위치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신호전송하되, 근접하는 외부물체가 센싱되는 경우에 위치데이터를 신호전송하는 복수 개의 전자지뢰(200); 외부물체가 센싱된 전자지뢰(200)로부터 신호전송되는 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전자지뢰(200)의 배치된 위치 및 센싱된 전자지뢰(200)의 위치가 각각 구별되게 그래픽으로 실시간 구현되는 전자지도부(310)와, 이 전자지도부(310)를 마운트하고 전자지도부(310)를 제어하는 전시장치부(320)로 구성되는 상황판(300); 외부물체가 센싱된 전자지뢰(200)로부터 수신된 위치데이터를 상황판(300)에 신호전송하는 게이트웨이(400); 상황판(300) 및 게이트웨이(400)에는 외부물체가 센싱된 전자지뢰(200)로부터 위치데이터가 신호전송되는 경우 기설정된 특정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장착된 경보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보장치(500)는 상황판(300) 및 게이트웨이(400)에 센싱된 전자지뢰(2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데이터가 신호전송되는 경우, 일정장소에 매설된 전자지뢰(200) 중 대응되는 전자지뢰(200)에 외부물체 또는 침입자가 근접해 있다는 비상상황을 청각적으로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특정된 음향을 출력하게 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황판(300) 및 게이트웨이(400)에는 외부물체가 센싱된 전자지뢰(200)로부터 신호전송된 현재의 위치데이터에 대해, 위도 및 경도에 따른 절대좌표, 상기 상황판(300) 및 게이트웨이(400)와의 방위 및 거리에 따른 상대좌표를 나타내는 위치표시장치(600)가 구비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자지뢰(200)는, 위치정보기록기(100)로부터 신호전송된 위치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11)가 구비된 컨트롤러(210)와; 근접하는 외부물체를 센싱하는 감지센서(220)와; 위치정보기록기(100)로부터 수신된 위치데이터를 게이트웨이(400)에 신호전송하는 무선송신부(230)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지뢰의 블록구성도로서, 감지센서(220)와 직렬연결되는 배터리(240)는, 감지센서(220)에 근접하는 외부물체가 센싱되는 경우에만 외부소자인 컨트롤러(210)에 일정시간 전원을 공급한 후,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외부소자에 의한 전력소모가 영(zero)인 대기상태로 유지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자지뢰(200)는, 감지센서(220)가 외부물체에 의해 센싱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스위칭 오프 상태로부터 스위칭 온 상태를 거쳐 다시 스위칭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배터리(240)에 직렬연결되는 감지센서(220)와 스위칭 연결되며, 동시에 컨트롤러(210)에 일체로 접속 연결되는 접촉입력단자(250); 및 감지센서(220)가 외부물체에 의해 센싱되어 감지센서(220)와 접촉단자(250)가 스위칭 온 상태를 거쳐 다시 스위칭 오프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배터리(240)로부터 컨트롤러(210)에 일정시간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 연결로 배터리(240)와 접촉입력단자(250)를 잇되 컨트롤러(210)의 출력단자에 일체로 접속 연결되어 컨트롤러(210)로부터 생성되는 스위칭 온·오프 신호에 의해 스위칭 연결이 온·오프 되는 반도체 스위치(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 및 도 2의 도면부호 270은 무선송신부를 통해 위치데이터를 전송되는 RF안테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지뢰의 구성요소인 컨트롤러의 블록도로서, 컨트롤러(210)는, 반도체 스위치(260)에 전송되는 스위칭 온·오프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IC(212); 및 컨트롤러(210)로부터 생성되는 스위칭 온·오프 신호에 의해 감지센서(220)와 접촉입력단자(250)가 스위칭 오프된 상태에서 반도체 스위치(260)가 일정시간 스위칭 온 상태로 유지되어 배터리(240)로부터 컨트롤러(210)에 일정시간 전원이 공급되도록 반도체 스위치(260)에 스위칭 온·오프 신호를 일정시간 전송제어하는 타이머 회로부(213);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3의 도면부호 217은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선송신부(230)는, 타이머 회로부(212)의 제어에 의해 반도체 스위치(260)가 일정시간 스위칭 온 상태로 유지되어 배터리(240)로부터 컨트롤러(210)에 일정시간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컨트롤러(210)에 연동하여 작동된다.
GPS 위성(1)은 실시간으로 일정장소에 매설된 복수 개의 전자지뢰(200)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위치정보기록기(100)의 GPS 수신기(110)에 각 전자지뢰(200)의 대응되는 위치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데, 전자지뢰(200)의 컨트롤러(210)가 배터리(2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시간 구동되는 경우, 위치정보기록기(100)로부터 컨트롤러(210)의 메모리부(211)에 위치데이터가 신호전송되어 저장됨과 동시에 저장된 위치데이터는 컨트롤러(210)의 제어에 의해 무선송신부(230)를 통해 게이트웨이(400)에 신호전송된다.
전자지뢰(200)의 컨트롤러(210)가 배터리(2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시간 구동되는 경우라 함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지센서(220)의 센싱에 의해 감지센서(220)와 접촉입력단자(250)가 일시 스위칭 온 상태로 되어 배터리(240)로부터 컨트롤러(210)에 잠시 전원이 공급(도 2에서 I1의 루트로 전류이동)된 후, 다시 스위칭 오프 상태로 전환되고 동시에 컨트롤러(210)로부터 스위칭 온 신호가 반도체 스위치(250)에 신호전송되어 배터리(240)로부터 직접 컨트롤러(210)에 전원이 공급(도 2에서 I2의 루트로 전류이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의 흐름도로서,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된 전자지뢰의 현재 위치데이터가 전자지뢰를 거쳐 상황판에 신호전송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지뢰(200)의 내부에 탑재된 감지센서(220)에 근접하는 외부물체가 센싱되는 경우(S110) 반도체 스위치(260)가 스위칭 온 상태에서 배터리(240)로부터 컨트롤러(210)에 전원이 공급된다(S120). 감지센서(220)의 센싱으로 컨트롤러(210)에 배터리(240)의 전원공급이 일정시간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반도체 스위치(260)가 스위칭 온 상태에 이르는 구체적인 과정은 후술한다.
둘째, 단계 S120에서 배터리(240)로부터 컨트롤러(210)에 전원이 일정시간 공급되면 컨트롤러(210)의 OS(214) 및 CPU(215)가 구동되고, 컨트롤러(210)가 구동됨에 따라 위치정보기록기(100)의 GPS 수신기(110)에 수신된 위치데이터가 컨트롤러(210)의 메모리부(211)에 신호전송되어 저장된다(S130).
셋째, 컨트롤러(210)의 메모리부(211)에 저장된 위치데이터는 컨트롤러(21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무선송신부(230)를 통해 게이트웨이(400)의 RF송수신부(410)에 신호전송된다(S140). 게이트웨이(400)에 수신된 위치데이터는 게이트웨이(400)에 구비된 컨트롤러(420)의 제어에 의해 상황판(300)에 실시간으로 신호전송된다(S150).
넷째, 평상시 상황판(300)의 전시지도부(310)는 일정장소에 매설된 복수 개의 전자지뢰(200)에 대한 위치데이터에 근거하여 각각의 위치가 그래픽으로 구현되는데, 게이트웨이(400)를 통해 센싱된 전자지뢰(200)의 위치데이터가 신호전송되는 경우 전자지뢰(200)의 매설위치가 다른 즉 센싱된 전자지뢰(200)와 센싱되지 않은 전자지뢰(200)의 매설위치를 구별되도록 상황판(300)의 전자지도부(310)에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센싱된 전자지뢰(200)의 매설위치에 대응되는 상황판(300)의 전자지도부(310)에 발광LED가 점등되게 하여 센싱되지 않은 전자지뢰(200)의 매설위치와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구현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지뢰의 배터리와 컨트롤러 사이에서 전원이 공급/차단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전자지뢰에 근접하는 외부물체가 센싱되어 전자지뢰에 탑재된 배터리와 이 배터리로부터 전원의 공급을 받는 컨트롤러 사이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과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기 설정된 시간이 완료된 후, 전원이 차단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지센서(220)가 센싱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전자지뢰(200)에 탑재되어 스위칭 연결된 감지센서(220)와 접촉입력단자(250)가 스위칭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S200), 동시에 반도체 스위치(260)는 스위칭 오프 상태를 유지하며(S210), 이 경우 배터리(240)는 외부소자로의 전력소모가 영(zero)인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둘째, 전자지뢰(200)의 감지센서(220)와 배터리(240)가 대기상태에서, 감지센서(220)에 의해 근접하는 외부물체가 센싱되는 경우, 감지센서(220)는 컨트롤러(210)에 일체로 접속 연결된 접촉입력단자(250)에 일시적으로 스위칭 온 상태 직후 다시 스위칭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데(S230), 일시적으로 스위칭 온 상태에서 배터리(240)로부터 감지센서(220)를 통해 컨트롤러(210)에 전원이 공급된다(S240).
셋째, 일시적으로 일정량의 전원을 공급받은 컨트롤러(210)의 신호생성IC(212)는 반도체 스위치(260)에 스위칭 온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S250). 이 경우 감지센서(220)와 접촉입력단자(250)는 물리적으로 스위칭 오프된 상태를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배터리(240)로부터 컨트롤러(210)에 감지센서(220)의 루트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전원을 일정시간 공급하게 된다(S260).
넷째, 단계 S260에서와 같이 배터리(240)로부터 컨트롤러(210)에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컨트롤러(210)의 타이머 회로부(213)에 기설정된 시간이 완료되면(S270), 컨트롤러(210)의 신호생성IC(212)로부터 반도체 스위치(260)에 스위칭 오프 신호를 전송하여(S280) 배터리(240)로부터 컨트롤러(2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완전하게 차단하여 배터리(240)로부터 외부소자로 소모되는 전력이 영(zero)인 대기상태로 복귀한다(S29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은 전자지뢰에 탑재되는 소형인 배터리를 이용하여 보안체계를 확보하려는 일정한 장소의 감시시스템을 장기간에 걸쳐 지원할 수 있음은 물론 GPS 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자지뢰의 현재 매립위치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전자지뢰 자체에 저장함으로써 수많은 전자지뢰를 매설하는 경우에도 센싱된 전자지뢰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GPS 위성 100 : 위치정보기록기 110 : GPS 수신기
200 : 전자지뢰 210 : 컨트롤러 211 : 메모리부
212 : 신호생성IC 213 : 타이머 회로부 214 : OS
215 : CPU 217 : 제어부 220 : 감지센서
230 : 무선송신부 240 : 배터리 250 : 접촉입력단자
260 : 반도체 스위치 270 : RF안테나 300 : 상황판
310 : 전자지도부 320 : 전시장치부 400 : 게이트웨이
410 : RF송수신부 420 : 컨트롤러 500 : 경보장치
600 : 위치표시장치

Claims (7)

  1. GPS 위성(1)으로부터 송신되는 현재의 위치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110)가 내장된 복수 개의 위치정보기록기(100);
    상기 각 위치정보기록기(100)의 인접위치에 배치되며 각 위치정보기록기(100)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위치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신호전송하되, 근접하는 외부물체가 센싱되는 경우에 위치데이터를 신호전송하는 복수 개의 전자지뢰(200);
    외부물체가 센싱된 전자지뢰(200)로부터 신호전송되는 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각 전자지뢰(200)의 배치된 위치 및 센싱된 전자지뢰(200)의 위치가 각각 구별되게 그래픽으로 실시간 구현되는 전자지도부(310)와, 이 전자지도부(310)를 마운트하고 전자지도부(310)를 제어하는 전시장치부(320)로 구성되는 상황판(300);
    상기 외부물체가 센싱된 전자지뢰(200)로부터 수신된 위치데이터를 상기 상황판(300)에 신호전송하는 게이트웨이(400);
    상기 상황판(300) 및 게이트웨이(400)에는 외부물체가 센싱된 전자지뢰(200)로부터 위치데이터가 신호전송되는 경우 기설정된 특정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장착된 경보장치(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황판(300) 및 게이트웨이(400)에는 외부물체가 센싱된 전자지뢰(200)로부터 신호전송된 현재의 위치데이터에 대해, 위도 및 경도에 따른 절대좌표, 상기 상황판(300) 및 게이트웨이(400)와의 방위 및 거리에 따른 상대좌표를 나타내는 위치표시장치(6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뢰(200)는,
    상기 위치정보기록기(100)로부터 신호전송된 위치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11)가 구비된 컨트롤러(210)와; 근접하는 외부물체를 센싱하는 감지센서(220)와; 상기 위치정보기록기(100)로부터 수신된 위치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400)에 신호전송하는 무선송신부(230)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220)와 직렬연결되는 상기 배터리(240)는,
    상기 감지센서(220)에 근접하는 외부물체가 센싱되는 경우에만 외부소자인 상기 컨트롤러(210)에 일정시간 전원을 공급한 후,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외부소자에 의한 전력소모가 영(zero)인 대기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뢰(200)는,
    상기 감지센서(220)가 외부물체에 의해 센싱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스위칭 오프 상태로부터 스위칭 온 상태를 거쳐 다시 스위칭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배터리(240)에 직렬연결되는 감지센서(220)와 스위칭 연결되며, 동시에 상기 컨트롤러(210)에 일체로 접속 연결되는 접촉입력단자(250); 및
    상기 감지센서(220)가 외부물체에 의해 센싱되어 감지센서(220)와 상기 접촉단자(250)가 스위칭 온 상태를 거쳐 다시 스위칭 오프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240)로부터 상기 컨트롤러(210)에 일정시간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 연결로 배터리(240)와 접촉입력단자(250)를 잇되 컨트롤러(210)의 출력단자에 일체로 접속 연결되어 컨트롤러(210)로부터 생성되는 스위칭 온·오프 신호에 의해 스위칭 연결이 온·오프 되는 반도체 스위치(2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210)는,
    상기 반도체 스위치(260)에 전송되는 스위칭 온·오프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IC(212); 및
    상기 컨트롤러(210)로부터 생성되는 스위칭 온·오프 신호에 의해 상기 감지센서(220)와 접촉입력단자(250)가 스위칭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반도체 스위치(260)가 일정시간 스위칭 온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배터리(240)로부터 상기 컨트롤러(210)에 일정시간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반도체 스위치(260)에 스위칭 온·오프 신호를 일정시간 전송제어하는 타이머 회로부(213);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신부(230)는,
    상기 타이머 회로부(212)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반도체 스위치(260)가 일정시간 스위칭 온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배터리(240)로부터 상기 컨트롤러(210)에 일정시간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컨트롤러(210)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
KR1020100003486A 2010-01-14 2010-01-14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 KR101122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486A KR101122619B1 (ko) 2010-01-14 2010-01-14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486A KR101122619B1 (ko) 2010-01-14 2010-01-14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319A true KR20110083319A (ko) 2011-07-20
KR101122619B1 KR101122619B1 (ko) 2012-03-20

Family

ID=4492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486A KR101122619B1 (ko) 2010-01-14 2010-01-14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6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5529A (zh) * 2017-09-28 2018-02-16 河南汇纳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LoRa的矿井用无线数据采集装置
CN113959270A (zh) * 2021-10-11 2022-01-21 中国人民解放军陆军工程大学 一种地雷的落点定位方法、控制中心、地雷及布雷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0605B2 (ja) * 2001-04-05 2005-06-15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埋設爆発物探知方法
KR20040087281A (ko) * 2004-08-24 2004-10-13 박영환 비 접촉식, 비 살상식 지뢰시스템과 관리용 서버시스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913194B1 (ko) * 2007-08-10 2009-08-2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기반의 지하매설물 실시간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5529A (zh) * 2017-09-28 2018-02-16 河南汇纳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LoRa的矿井用无线数据采集装置
CN113959270A (zh) * 2021-10-11 2022-01-21 中国人民解放军陆军工程大学 一种地雷的落点定位方法、控制中心、地雷及布雷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2619B1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7019B2 (en) Power management in wireless tracking device operating with restricted power source
EP2631665A2 (en) Low power location beacon
US201802492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a device in zero-infrastructure and zero-power conditions, and a tracking device therefor
US20070247359A1 (en) Automatic GPS tracking system with passive battery circuitry
RU2015116910A (ru) Аварийная радиомаяковая система для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или друг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1004442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transceiver
US20140085084A1 (en) Passive active battery saver tracking system
ES2956107T3 (es) Etiquetas de seguimiento de inventario, sistema y método para prolongar la vida útil de la batería
US20230379870A1 (en) System including a server system, a plurality of gateways and a plurality of objects
EP1441235A9 (en) Location system
KR101122619B1 (ko) Gps 위성을 이용한 전자지뢰 감시시스템
RU94367U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комплекс мониторинга подвижных объектов
CN102176040A (zh) 一种高精度航标双gps定位的接口装置
KR101334271B1 (ko) 개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용 분실 방지 장치
JP6406995B2 (ja) 無線テレメータ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CN202018511U (zh) 一种高精度航标双gps定位的接口装置
CN104459742A (zh) 北斗差分定位集装箱追踪器及其方法
KR100943030B1 (ko) 엘이디 가로등 감시시스템 및 엘이디 가로등 온도감지장치
CN205210322U (zh) 一种基于加速度传感器的地学仪器防盗装置
CN207558128U (zh) 台区防盗预警设备
JP2009182867A (ja) 貨物搭載用端末および簡易測位方法
CN205211078U (zh) 一种野外地学仪器防盗装置
US9786174B1 (en) Power consumption enhanced parking system
RU207947U1 (ru) Беспроводной радиоинформационный маяк
CN110956424B (zh) 库存跟踪标签、用于延长电池寿命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