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214A - 복근 운동용 벨트 - Google Patents

복근 운동용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214A
KR20110083214A KR1020100003322A KR20100003322A KR20110083214A KR 20110083214 A KR20110083214 A KR 20110083214A KR 1020100003322 A KR1020100003322 A KR 1020100003322A KR 20100003322 A KR20100003322 A KR 20100003322A KR 20110083214 A KR20110083214 A KR 20110083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iston
cylinder
beads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9134B1 (ko
Inventor
최철규
Original Assignee
최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규 filed Critical 최철규
Priority to KR1020100003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134B1/ko
Publication of KR20110083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means assisting the user to overcome part of the resisting force, i.e. assisted-active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7Details of attachments, e.g. clip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5User-manipulated weights worn on user's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에 착용할 수 있는 티(2)에 탄성을 적용하고, 적용된 탄성 저항력에 의해 복근을 운동할 수 있는 복근 운동용 벨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벨트(1)는, 상기 띠(2)는 상호 연결되는 다수의 조각띠(2a)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각띠(2a)는 완충기(3)를 매개하여 상호 연결되고; 상기 완충기(3)는, 실린더(10), 상기 실린더(10)에 충전된 오일(20), 상기 실린더(10)에 상하 왕복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30), 상기 피스톤(30)이 수축되는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40), 및 상기 실린더(10)의 상기 오일(20)에 혼합되어 상기 피스톤(30)의 신축에 저항력을 가하는 비드들(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복근 운동용 벨트{Belt for Abdominal Exercise}
본 발명은 벨트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허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복근에 힘을 줌으로써 본근 운동을 하는 복근 운동용 벨트에 관한 것이다.
복근의 단련은 건강하고 날씬한 몸매를 위해서 뿐만 아니라,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담함으로써 디스크 관련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한다고 하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운동이며, 수술환자가 체력을 회복하는 과정에서도 필요한 운동이다.
복근 운동을 하는 방법은, 각종 헬스기구를 사용하는 방법에서 윗몸일으키기를 포함한 맨손체조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복근 운동 방법 중에 하나는 탄성소재가 포함된 벨트를 허리에 착용하여 배에 힘을 주고 빼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탄성소재의 탄성 저항력에 의해 복근을 강화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7225호의 운동벨트는, 사용자가 허리에 착용한 상태로 배에 힘을 주었다 뺏다하면 적용된 탄성체(스프링)의 탄성 저항력에 의해 복근을 강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복근 운동용 벨트는, 복부의 신축에 저항하는 쪽으로 저항력을 제공하는 소재로서 통상의 스프링이나 고무와 같은 탄성밴드가 적용되고 있는바, 그러나 스프링이나 탄성밴드는 그 탄성력이 경직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종래의 운동벨트를 착용하고 복근에 천천히 힘을 주어 운동벨트가 신장되게 할 때 복부에 스프링이나 탄성밴드의 탄성력이 경직되게 가해져서 복근에 무리가 가게 되고, 반대로 복근에서 천천히 힘을 빼서 운동벨트가 수축되게 할 때에 역시 스프링이나 탄생밴드의 탄성력이 경직되게 가해져서 복근에 무리가 가해지게 때문에, 결과적으로 복근 운동에 과도한 탄성 저항력을 경직적으로 가하여 복근 운동에 무리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복근 운동용 벨트에 있어서, 통상의 탄성체(스프링 및/또는 탄성밴드)만을 적용하여 복근 운동에 탄성 저항력을 제공할 때 복근 운동에 무리가 가해질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탄성체(스프링 및/또는 탄성밴드)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본 발명자가 개발한 완충기를 적용함으로써, 기존 탄성체만을 적용하였을 때의 복근 운동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허리에 착용할 수 있는 티에 탄성을 적용하고, 적용된 탄성 저항력에 의해 복근을 운동할 수 있는 복근 운동용 벨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띠는 상호 연결되는 다수의 조각띠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각띠는 완충기를 매개하여 상호 연결된다.
상기 완충기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충전된 오일, 상기 실린더에 상하 왕복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이 수축(압축)되는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및 상기 실린더의 상기 오일에 혼합되어 상기 피스톤의 신축에 저항력을 가하는 비드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근 운동용 벨트를 착용하고 반복적으로 배에 힘을 주고 빼는 복근 운동을 하면, 상기 완충기의 상기 스프링이나 상기 벨트에 부가된 다른 탄성체가 복근에 탄성 저항력을 가할 때, 상기 완충기의 비드의 작용으로 경직된 탄성 저항력을 부드럽게 완화시켜 줌으로, 보다 안전하게 복근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복근 운동용 벨트는 수술환자와 같이 복근 운동이 필요하지만 무리한 운동에 유의해야 하는 재활운동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복근 운동용 벨트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복근 운동용 벨트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복근 운동동 벨트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복근 운동용 벨트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완충기의 수축상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복근 운동용 벨트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완충기의 이완상태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복근 운동용 벨트는, 허리에 착용할 수 있는 띠 형성의 벨트에 탄성을 적용하고, 착용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배에 힘을 주고 빼는 행위를 통해 받게 되는 탄성 저항력에 의해 복근을 단련시키는 복근 운동용 벨트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벨트(1)는 종래의 복근 운동용 벨트와 마찬가지로 허리에 착용할 수 있는 띠(2)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띠(2)의 양단에는 본 발명의 벨트(1)를 허리에 착용하기 위한 파스너(2b)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된 구체예는 파스너(2b)로서 벨크로(매직테이프)가 부착된 예이지만, 바람직하게 착용자의 허리 사이즈에 맞게 체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스냅 단추나 버클 등 다른 파스너들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띠(2)는 연속된 단일의 띠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완충기(3)를 매개하여 상호 연결되는 다수의 조각띠(2a)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띠(2)가 다수의 조각띠(2a)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은 물리적으로 조각띠(2a)들이 분리되어 있다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조각띠(2a)들의 사이에 전달되는 힘이 조각띠(2a)를 연결한 완충기(3)를 매개하여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조각띠(2a)는 완충기(3)에 의해 연결된다. 도시된 구체예는 띠(2)를 3개의 조각띠(2a)로 구성하고, 3개의 조각띠(2a)를 2개의 완충기(3)로 길게 연결한 예이나, 조각띠(2a)의 수를 가감하거나 완충기(3)의 수를 가감할 수 있고, 인접한 2개의 조각띠(2a)를 2개 이상의 완충기(3)로 연결하는 것 등, 완충기의 완충력에 따라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이렇게 완충기(3)로 연결된 조각띠(2a)는 전체적으로 긴 띠(2)가 되어 허리에 착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벨트(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완충기(3)는 본 발명자가 제안한 특허출원 제10-2009-0083364호(2009. 09. 04. 출원)의 '비드가 충전된 완충기'를 본 발명에 맞게 변형한 것이다.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완충기(3)는, 실린더(10), 오일(20), 피스톤(30), 스프링(40) 및 비드들(50)을 포함한다.
완충기(3)에서 비드를 제외하고, 실린더(10), 오일(20), 피스톤(30) 및 스프링(40)의 기본적 구조와 그 상호 작동관계는, 첨부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고, 실린더(10), 오일(20), 피스톤(30) 및 스프링(40)의 기본적인 구조와 상호 작동관계는 종래의 완충기에 관한 기술을 본 발명에 맞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들 자체는 본 발명의 특징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부호 41은 스프링(40)의 노출을 차단하기 위한 천과 같은 소재의 신축 커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근 운동용 벨트(1)는, 종래의 벨트와 마찬가지로, 허리에 착용하였을 때 허리를 조여 주는 쪽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바. 이런 탄성력은 완충기(3)에 포함된 상기 스프링(40)에 의해서만 제공될 수도 있고, 스프링(40)과 함께 띠(2)에 추가로 부가한 다른 탄성체(예, 스프링이나 탄성밴드 등)의 결합에 의해서도 제공될 수도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벨트(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완충기(3)의 스프링(40)은 인장스프링으로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적으로 수축상태를 유지하고 외력을 가해 양단을 당기면 복원 가능하게 인장상태가 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벨트(1)를 허리에 착용하게 되면 적당히 허리를 조여 주게 된다.
바람직하게, 완충기(3)가 연결되는 조각띠(2a)의 사이에는, 완충기(3)의 후면 쪽에, 적당한 패드(4)를 추가로 연결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패드(4)는 완충기(3)가 직접 복부에 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완충기(3)는 복근 운동을 할 때 신축하여 그 길이가 가변되게 되므로, 패드(4)는 완충기(3)의 길이 변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신축성 있는 소재(예, 천이나 주름 소재)를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근 운동용 벨트(1)의 복원 탄성력의 제공에 완충기(3)의 스프링(40) 이외에 다른 탄성체를 추가로 적용하는 경우, 연결되는 조각띠(2a) 사이에 인장스프링을 더 연결하여 제공할 수도 있고, 조각띠(2a) 및/또는 패드(4)의 적어도 일부에 탄성고무를 부가하여 탄성밴드로 형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완충기(3)의 양단에는 완충기(3)를 띠(2)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3a)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완충기(3)의 특징에 따라, 실린더(10)에는 비드들(50)이 충전되어서 오일(20)에 혼합된 상태로 존재한다. 즉 비드들(50)은 실린더(10)에 오일(20)과 혼합된 상태로 충전된다.
바람직하게 비드들(50)은 오일(20) 보다 그 비중이 크며, 따라서 비드들(50)은 일반적인 상태에서 실린더(10)에서 오일(20) 속에 가라앉은 상태로 실린더(10)의 아래쪽 공간에 모여 있게 된다.
비드들(50)은 피스톤(30)의 충격에 의해서 파손되지 아니하는 정도의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는 알갱이(즉, 구슬)로서, 바람직하게 구형 또는 타원구형(예, 쌀알 형상)의 고강도 세라믹 비드들이며, 실린더(10)와 피스톤(30) 사이의 틈새에 끼거나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의 직경, 바람직하게 상기 틈새의 크기보다 2배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예를 들어 0.1mm 내지 2mm 정도의 평균직경을 가진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적용되는 세라믹 비드들(50)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262141호(2000. 07. 15. 공고)의 '소형 세라믹 비드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2460호(2005. 10. 19. 공고)의 '소형 세라믹 비드 성형장치' 등을 응용한 다양한 방법과 장치로 제조할 수 있고, 시중에서 본 발명의 목적에 맞는 물성을 가지는 비드를 구입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완충기(3)가 적용된 본 발명의 벨트(1)를 착용하고 배에 힘을 주었다 뺐다 하는 운동을 하면, 배에 힘을 가해 벨트(1)가 탄성력을 극복하고 늘어났던 상태에서 배에서 힘을 빼면 탄성력에 의해 벨트(1)가 원위치로 줄어드는 과정에서, 피스톤(30)은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여 수축(압축)하게 되는 바, 이때 종래의 일반적인 완충기와 마찬가지로, 우선 오일(20)의 저항에 의해 스프링(40)의 탄성력이 일부 흡수되고, 더하여 실린더(10)와 피스톤(30)에 형성된 밸브(도시 생략)를 통해 오일(20)이 빠져나가 피스톤(30)이 비드들(50)을 가압하기 시작하면, 마치 모래사장에 골프공을 떨어뜨렸을 때 모래알갱이들이 골프공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과 같은 원리로, 스프링(40)의 탄성력을 비드들(50)이 유연하게 흡수 및 감쇠시키게 된다.
즉, 피스톤(30)이 하강하여 비드들(50)들과 접하게 되면, 마치 물체를 모래 위에 떨어지면 그 아래의 모래들의 위치가 그 물체의 접면 형상에 맞게 변화하는 것과 같이, 비드들(50)들은 피스톤(30)의 마찰면(31)의 행태에 맞게 그 위치가 변화하면서 마찰력이 발생하여 스프링(40)의 탄성력을 유연하게 감쇠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완충기(3)는, 오일(20)의 완충 작용 이외에, 피스톤(30)이 비드들(50)들에 접하는 순간부터 피스톤(30)의 힘이 인접한 비드들(50)에 전달된 이후 멀리 있는 비드들(50)로 순차적으로 도미노 현상과 같이 전달되면서, 피스톤(30)과 비드들(50)의 마찰, 비드들(50) 상호간의 마찰 및 비드들(50)과 실린더(10)의 마찰을 통해, 점차적인 저항력을 가하여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한 피스톤(30)의 복귀를 유연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때, 피스톤(30)이 받게 되는 비드들(50)에 의한 저항의 정도는 비드들(50)이 접하게 되는 피스톤(30)의 접촉 면적에 영향을 받게 되는 바, 피스톤(30)의 저면(31), 즉 피스톤(30)이 비드들(50)에 접하는 마찰면(31)에 다양한 형태의 굴곡(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완충기(3)의 특성을 적절히 변화시킬 수 있다.
피스톤(30)의 추축행정이 완료된 후에, 착용자가 배에 힘을 주어 본 발명의 벨트(1)가 늘어나도록 하여 피스톤(30)이 상승하는 인장행정이 진행되면, 스프링(40) 등의 탄성 저항력이 복근에 가해지고, 이때 오일(20)에 의해 일부의 비드들(50)이 오일(20) 속에서 요동할 수 있지만, 오일(20) 보다 비중이 큰 비드들(50)이 자중에 의해 다시 오일(20) 속에 가라앉아 실린더(10)의 아래에 모이게 됨으로써, 다음에 이어지는 피스톤(30)의 수축행정에 대비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피스톤(30)이 하강할 수 있는 최대 위치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실린더(10)의 내측벽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시트(60)를 피복하여 비드들(50)에 의한 피스톤(30)에의 마찰저항이 탄성적으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탄성시트(60)는 피스톤(30)의 상승 이후에 피스톤(30)에 의해 압박된 비드들(50)을 탄성에 의해 원위치(실린더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로 복귀시키는 작용도 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벨트(1)는 이를 착용하고 복근 운동을 할 때, 복근을 압박하는 탄성 저항력이 종래의 일반적인 스프링 그리고 선택적 추가로 탄생밴드에 의해 제공되되, 특징적으로 적용한 전술한 완충기(3)의 작용에 의해 탄성 저항력이 유연하게 흡수 및 감쇠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복부가 받게 되는 벨트(1)의 탄성 저항력의 변화가 유연해져서 복근 운동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1: 본 발명의 벨트 2: 띠
2a: 조각띠 2b: 파스너
3: 완충기 3a: 결합구
4: 패드 10: 실린더
20: 오일 30: 피스톤
31: 마찰면 40: 스프링
41: 신축커버 50: 비드들
60: 탄성시트

Claims (1)

  1. 허리에 착용할 수 있는 티(2)에 탄성을 적용하고, 적용된 탄성 저항력에 의해 복근을 운동할 수 있는 복근 운동용 벨트에 있어서,
    상기 띠(2)는 상호 연결되는 다수의 조각띠(2a)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각띠(2a)는 완충기(3)를 매개하여 상호 연결되고;
    상기 완충기(3)는, 실린더(10), 상기 실린더(10)에 충전된 오일(20), 상기 실린더(10)에 상하 왕복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30), 상기 피스톤(30)에 수축하는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40), 및 상기 실린더(10)의 상기 오일(20)에 혼합되어 상기 피스톤(30)의 신축에 저항력을 가하는 비드들(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용 벨트.
KR1020100003322A 2010-01-14 2010-01-14 복근 운동용 벨트 KR101169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322A KR101169134B1 (ko) 2010-01-14 2010-01-14 복근 운동용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322A KR101169134B1 (ko) 2010-01-14 2010-01-14 복근 운동용 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214A true KR20110083214A (ko) 2011-07-20
KR101169134B1 KR101169134B1 (ko) 2012-07-30

Family

ID=4492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322A KR101169134B1 (ko) 2010-01-14 2010-01-14 복근 운동용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1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3592A (zh) * 2017-05-27 2017-09-29 李贤章 一种可连接手机的智能腹部健身器
CN113499578A (zh) * 2021-07-29 2021-10-15 四川军昊科技有限公司 基于强化学习功能的智能军事仿真训练平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3456A (ja) * 2009-07-24 2009-10-15 Descente Ltd 骨盤の歪み調整具の使用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3592A (zh) * 2017-05-27 2017-09-29 李贤章 一种可连接手机的智能腹部健身器
CN113499578A (zh) * 2021-07-29 2021-10-15 四川军昊科技有限公司 基于强化学习功能的智能军事仿真训练平台
CN113499578B (zh) * 2021-07-29 2024-05-17 四川军昊科技有限公司 基于强化学习功能的智能军事仿真训练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9134B1 (ko) 201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2348A (en)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US20100222185A1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for exercising
US20120088640A1 (en) Shoe Shaker
US1729209A (en) Physical-culture apparatus
US20170028245A1 (en) Resistance band having hand adapters and handles
US20140031180A1 (en) Aquatic resistance training equipment
US9468789B2 (en) Resistance band having hand adapters and handles
US20150141215A1 (en) Hand adapter for resistance band
US20130190145A1 (en) Dynamic Weight Training Apparatus
KR100527457B1 (ko)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KR101169134B1 (ko) 복근 운동용 벨트
JP2011514821A (ja) 運動靴の下体筋肉強化補助器具
KR100512914B1 (ko) 운동용 공 및 그 운동용 공을 이용하여 운동을 제공하는 방법
US20050272578A1 (en) Technique-development and strength-training device for skaters and method of use
US20050272576A1 (en) Force swing exercise apparatus
US10974088B2 (en) Aquatic exercise device for full-body workout and method of use
JP6892723B1 (ja) 運動器具
KR102126893B1 (ko) 운동 장치
CN210963738U (zh) 一种带有保护体的腹肌轮
CN212662542U (zh) 一种体育训练的弹跳训练器
KR200287226Y1 (ko) 점프엔트위스트
RU221394U1 (ru) Утяжелитель универсальный
WO2005044038A1 (en) Health shoes
CN216855592U (zh) 一种弹跳力训练设备
CN214633794U (zh) 一种声乐辅助练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