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2448A - 구강 내 방사선 촬영을 위한 각도 지시 필름 홀더 및 그 필름 홀더를 위한 일회용 부속품 - Google Patents

구강 내 방사선 촬영을 위한 각도 지시 필름 홀더 및 그 필름 홀더를 위한 일회용 부속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2448A
KR20110082448A KR1020100002437A KR20100002437A KR20110082448A KR 20110082448 A KR20110082448 A KR 20110082448A KR 1020100002437 A KR1020100002437 A KR 1020100002437A KR 20100002437 A KR20100002437 A KR 20100002437A KR 20110082448 A KR20110082448 A KR 20110082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ooth
bite
central axis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8860B1 (ko
Inventor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최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진 filed Critical 최영진
Priority to KR1020100002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860B1/ko
Priority to PCT/KR2010/009517 priority patent/WO2011083932A2/ko
Publication of KR20110082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61B6/512Intraor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 G03B42/04Holders for X-ray fil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 G03B42/04Holders for X-ray films
    • G03B42/042Holders for X-ray films for dental applic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구강내 치아와 치아 지지구조의 방사선 영상을 얻기 위한 치근단 방사선 사진 촬영을 위한 것으로서, 치아에 대해 임시로 고정되는 바이트부 및 상기 바이트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강 내에서 치아의 설측에 위치하는 필름 지지부를 구비하는 필름 홀더에서, 바이트부는 치아의 물림에 의해 고정되는 바이트 몸체, 및 바이트 몸체의 측면에서 수평하게 장착되는 중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바이트 몸체는 일측 치아와 결속되는 제1 치아 결속면 및 타측 치아와 결속되는 제2 치아 결속면을 구비한다. 필름 지지부는 상기 중심축을 수용하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축 수용부 및 상기 축 수용부와 물리적으로 결속되어 상기 바이트 몸체 주변을 선회하는 필름 지지판을 구비한다. 필름 지지판에서 중심축에 가까운 근단은 제1 및 제2 치아 결속면 중 적어도 하나보다 중심축에 가까운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연장부 없이 가까운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강 내 방사선 촬영을 위한 각도 지시 필름 홀더 및 그 필름 홀더를 위한 일회용 부속품 {FILM HOLDER WITH ANGLE INDICATOR FOR INTRAORAL RADIOGRAPHY AND DISPOSABLE PART OF THE FILM HOLDER}
본 발명은 구강내 치아와 치아 지지구조의 방사선 영상을 얻기 위한 치근단 방사선 사진 촬영을 위해 구강 내에 위치하여 필름을 고정하는 필름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구강 내에서의 치아의 장축에 대한 필름의 각도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방사선 중심선 조사 각도를 가이드할 수 있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을 위한 필름 홀더 및 그 필름 홀더에 적용 가능한 일회용 부속품에 관한 것이다.
치과 치료를 위해 촬영하는 치근단 방사선 사진의 사진 촬영 방법으로 평형 촬영법과 등각 촬영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평행 촬영법 및 등각 촬영법을 비교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a)는 평행 촬영법을 도시한 것이며, (b)는 등각 촬영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평행 촬영법은 필름을 구강 내에 위치시키되 필름을 치아의 장축과 평행하게 위치시켜서 촬영하는 방법이다. 필름을 치아의 장축과 평행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촬영으로 얻어지는 사진의 치아 이미지는 실제 치아와 거의 일대일의 크기를 가진다. 하지만, 구강 내의 공간이 작고 낮기 때문에 필름을 치아 장축과 평행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어렵다. 또한, 이미지의 왜곡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 방사선원과 치아를 최대한 멀리 떨어뜨리며, 방사선원과 치아 간의 거리를 유지하며 방사선 중심선의 방향을 가이드 하기 위해 약 12~16인치의 롱-콘(Long cone)을 사용하기도 한다.
등각 촬영법은 치아의 장축과 필름이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선에 대해 방사선 중심선이 직각을 이루도록 조사하여 촬영하는 방법이다. 이등변 삼각형에서 양측의 빗변은 길이가 같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역시 촬영으로 얻어지는 사진의 치아 이미지가 실제 치아와 거의 일대일의 크기를 가질 수가 있다. 물론, 평행 촬영법보다는 구강 내에서 상대적으로 제약이 적지만, 역시 필름을 고정시킨 각도가 해부학적 구조에 의해 임의적 변할 수 있으며, 교과서에서 권하는 몇 가지 정해진 각도로는 치아를 정확히 촬영하기가 여전히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특허 제5,737,388호는 "DIGITAL INTRAORAL X-RAY PHOTOGRAPHY METHOD AND HOLDER FOR PICTURE PLATE OR X-RAY FILM"에 관한 것으로서, 필름 홀더, 바이트부(bite portion) 및 정렬 로드(alignment rod)로 이루어진 3개의 링크된 파트를 포함한다. 각도를 잴 수 있는 스케일이 있기는 하지만, 환자의 입에 물리기 전에 각도를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편리하다고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29047호는 "해부학적 구강 구조를 적용한 X-ray 촬영용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의 구강 구조를 고려하여 통증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촬영용 정렬장치는 경사 각도에 따라 링과 정렬봉을 다양하게 결합하게 할 수 있는 연결 구조를 갖고 있지만, 구조적으로 결정되는 몇 가지 조합만 가능하며, 환자의 다양한 구강 구조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출원과 같은 출원인의 한국특허공보 제10-920848호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을 위한 각도 지시 필름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도 2는 상기 종래의 필름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필름 홀더를 이용하여 등각 촬영법을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필름 홀더(100)는 구강내 치아와 치아 지지 구조의 방사선 영상을 얻기 위한 치근단 방사선 사진 촬영을 위해 구강 내에 위치하여 필름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이트부(110), 필름 지지부(130), 필름 지시부(140), 및 방사선 조사 지시부(150)를 포함한다. 바이트부(110)는 하악골의 폐구 작용에 의해 치아와 치아 사이에 고정되며, 필름 지지부(130)와 필름 지시부(140)는 함께 움직이면서 바이트부(110)에 대하여서는 별도로 움직이되 바이트 지시부(160)와 필림 지시부(140)와의 회전 위치관계를 파악함으로서 바이트부(110)에 대해 필름 지지부(130)의 회전 각도를 외부로 인지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이를 위해 필름 지지부(130)와 필름 지시부(140)는 동일 축,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바이트부(110)는 바이트 몸체(112) 및 중심축(120)을 포함한다. 바이트 몸체(112)는 하악골의 폐구 작용에 의해 치아와 치아 사이에 임시로 고정되며, 바이트 몸체(112)에는 수평하게 관통하는 축 홀(114)이 형성되고, 축 홀(114)을 관통하여 중심축(120)이 제공된다.
필름 지지부(130)는 바이트 몸체(1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필름 지지부(130)는 필름 지지판(132) 및 탄성 고정편(134)을 포함하며, 필름 지지판(132)의 양 단부가 바이트 몸체(112)의 양 측면을 수용한다. 필름 지지부(130)가 바이트 몸체(112)의 양 측면을 수용한 상태에서 중심축(120)이 필름 지지판(132)의 연장부(133) 및 바이트 몸체(112)를 관통하며, 필름 지지부(130)가 바이트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필름 지지부(130)의 일측은 바이트 몸체(112)로부터 중심축(120)을 따라 연장되며, 중심축(120)은 필름 지지부(130)의 연장된 수용부(135)에 수용된다. 필름 지지부(130)의 단부로 필름 지시부(140)가 로드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중심축(120)의 단부는 필름 지지부(130)의 연장된 단부에서부터 노출되며, 노출된 부분으로 방사선 조사 지시부(150) 및 바이트 지시부(160)가 조립된다. 중심축(120)에 대해 바이트 지시부(160)의 단부도 사각형 홀을 포함하며, 중심축(120)에도 사각형 홀에 대응하여 사각형 단면을 가진 부분이 형성된다. 반면, 중심축(120)에 대응하여 방사선 조사 지시부(150)의 단부에는 원형의 홀이 형성되며, 중심축(120)에 대해서 다른 지시부와는 별개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 및 고정될 수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필름 홀더(100) 중 필름 지지부(130)에 적절한 필름(10)을 장착한 후, 필름 지지부(130)를 환자의 구강 내에 위치시키고 환자로 하여금 바이트부(110) 중 바이트 몸체(112)를 치아로 물게 한다. 바이트 몸체(112)는 위아래로 복수개의 치아가 물리기 때문에 치아의 장축에 수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대략적으로 치아의 장축에 수직한 면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필름 지시부(140)를 상하로 회전시켜, 최적의 각도를 찾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아 장축과 필름이 평행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등각 촬영법에 의한 왜곡을 더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때 필름 지지부(130)의 각도는 정해지지 않고 환자의 구강 구조 및 선택된 필름 지지판 등에 따라 달라질 수가 있다. 이때 필름 지지부(130)는 필름 지시부(140)와 함께 상하로 회전하기 때문에 환자의 구강 내에서 가장 적절한 위치를 찾을 수가 있다.
가장 적절한 위치가 결정되면, 스케일을 통해서 바이트 지시부(160)와 필름 지시부(140) 간의 각도를 읽을 수 있다. 이 각도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방사선 중심선의 조사 각도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등각 촬영법에 따르는 경우, 사용자는 바이트 지시부(160)와 필름 지시부(140) 간의 각도(2a)를 측정한 후, 바이트 지시부(160) 또는 필름 지시부(140)와 방사선 조사 지시부(150)가 이등분한 각도(a)만큼 벌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등각 촬영법에 따르면, 방사선 조사 지시부(150)와 평행한 각도가 등각 촬영법에 따른 각도라 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방사선 조사 지시부(150)를 참조하여 방사선 중심선의 조사 각도를 조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필림 홀더와 비교하여 개선된 구조의 바이트부 및 필름 지지부를 구비한 필름 홀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필름 지지부가 연장부 없이 바로 바이트부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주변 치아들에 의한 연장부 회전의 제한이 일어나지 않으며, 필름 홀더를 구강내에 위치 시킬 때와 구강내 필름 홀더를 위치 시킨 후 바이트부의 양측에 형성된 연장부에 의해서 환자가 불편함을 겪지 않도록 하는 필름 홀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필름 지지판 및 바이트부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촬영 시 환자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는 필름 홀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필름 지지판의 중심과 촬영 대상이 되는 치아의 중심을 대체로 일치시킬 수 있으며, 필름에서 방사선에 반응하는 면 또는 방사선이 조사되는 면을 최대한 치아에 가깝게 밀착시킬 수 있는 구조의 필름 홀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필름 홀더는 구강내 치아와 치아 지지구조의 방사선 영상을 얻기 위한 치근단 방사선 사진 촬영을 위한 것으로서, 치아에 대해 임시로 고정되는 바이트부 및 상기 바이트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강 내에서 치아의 설측에 위치하는 필름 지지부를 구비하는 필름 홀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바이트부는 치아의 물림에 의해 고정되는 바이트 몸체, 및 바이트 몸체의 측면에서 수평하게 장착되는 중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바이트 몸체는 일측 치아와 결속되는 제1 치아 결속면 및 타측 치아와 결속되는 제2 치아 결속면을 구비한다. 또한, 필름 지지부는 상기 중심축을 수용하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축 수용부 및 상기 축 수용부와 물리적으로 결속되어 상기 바이트 몸체 주변을 선회하는 필름 지지판을 구비한다. 특히 필름 지지판의 바이트 몸체에 가까운 근단은 제1, 제2 치아결속면 중 적어도 하나보다 중심축의 중심에 가깝기 때문에 필름지지판과 축 수용부 사이의 연장부가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연장부에 의해 일어나던 주변 치아들에 의한 필름지지판의 회전제한이 발생하지 않고, 축 수용부에 의해서 필름 지지판의 일 측만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필름 지지판과 중심축 간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필름 지지판에 장착되는 필름의 정면에 중심축이 실질적으로 포함(involve)되도록 함으로써, 방사선 촬영에 의한 이미지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치아 결속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의 중심보다 상기 중심축이 설측에 치우쳐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즉 바이트 몸체의 중심보다 중심축을 설측에 위치시킴으로써 필름 지지판이 구강 내에서 더욱 여유롭게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촬영의 대상이 되는 치아가 제1 치아 결속면에 바로 물리도록 할 수 있으며, 바이트 몸체에 인접한 설측 내부에서 필름 지지판 및 필름이 접근하여 정확한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필름 홀더를 위한 일회용 부속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일회용 부속품은 본 발명의 필름 홀더에서 중심축 및 축 수용부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중심축과 축 연결되는 중심축 파트, 중심축 파트와 일체로 연결되며 치아의 물림에 의해 고정되는 바이트 몸체, 축 수용부와 축 연결되는 축 수용부 파트, 및 축 수용부 파트와 일체로 연결되며 바이트 몸체 주변을 선회하는 필름 지지판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 홀더에서 특정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부속품에서도, 상기 바이트 몸체는 일측 치아와 결속되는 제1 치아 결속면 및 타측 치아와 결속되는 제2 치아 결속면을 구비하며, 상기 필름 지지판의 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치아 결속면보다 상기 중심축에 가까운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환자에 따라 바이트부 및 필름 지지부를 일회용으로 교체할 수 있어 위생적이며, 촬영 대상이 되는 치아가 전치부 또는 구치부에 있느냐에 따라 각 치아에 적합한 바이트부와 필름 지지판을 교체함으로써 장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필름 홀더는 종래의 필림 홀더와 비교하여 개선된 구조의 바이트부 및 필름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름 지지판이 연장부 없이 바로 바이트부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주변 치아에 의해서 필름 지지판의 회전이 제한되지 않으며, 바이트부의 일측으로만 필름 지지판과 중심축을 결속시켜 촬영 시 환자가 불편함을 겪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 홀더는 필름 지지판 및 바이트부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일회용 부속품을 통해서 위생적인 사용은 물론 전치부 및 구치부의 치아에 따라 적합한 구조의 바이트부 및 필름 지지부를 선택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필름 홀더는 필름 지지판의 중심과 촬영 대상이 되는 치아의 중심을 대체로 일치시킬 수 있으며, 필름에서 방사선에 반응하는 면을 최대한 치아에 가깝게 밀착시킬 수 있어 정확하면서 왜곡 없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 홀더는 환자의 다양한 구강 구조에 대응하여 환자가 필름 홀더 중 바이트 몸체를 문 상태에서도 그 환자의 고유한 필름 지지부 각도를 구강 외에서 인지 및 조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식의 필름 지시부를 통해서 구강 내의 필름 지지부 각도 변화을 외부에서도 바로 알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필름 지지대의 각도를 바로 외부에서 알 수 있어, 방사선 중심선 조사 각도를 신속하게 특정하고 방사선원을 배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평행 촬영법 및 등각 촬영법을 비교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필름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필름 홀더를 이용하여 등각 촬영법을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필름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필름 홀더에서 필름 지지판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필름 홀더에서 바이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필름 홀더를 이용하여 등각 촬영법을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필름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필름 홀더에서 필름 지지판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필름 홀더에서 바이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홀더 및 그 필름 홀더를 위한 일회용 부속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홀더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필름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필름 홀더(200)는 구강내 치아와 치아 지지 구조의 방사선 영상을 얻기 위한 치근단 방사선 사진 촬영을 위해 구강 내에 위치하여 필름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이트부(210), 필름 지지부(230), 필름 지시부(240), 및 방사선 조사 지시부(250)를 포함한다. 바이트부(210)는 하악골의 폐구 작용에 의해 치아와 치아 사이에 고정되며, 필름 지지부(230)와 필름 지시부(240)는 함께 움직이면서 바이트부(210)에 대하여서는 별도로 움직이되 바이트 지시부(260)와 필림 지시부(240)와의 회전 위치관계를 파악함으로서 바이트부(210)에 대해 필름 지지부(230)의 회전 각도를 외부로 인지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이를 위해 필름 지지부(230)와 필름 지시부(240)는 동일 축,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축(220)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바이트부(210)는 바이트 몸체(212) 및 중심축(220)을 포함한다. 바이트 몸체(212)는 하악골의 폐구 작용에 의해 치아와 치아 사이에 임시로 고정되며 하악골의 개구 작용에 의해 바로 분리가 가능하다. 바이트 몸체(212)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치아와 만나는 면으로 제1 치아 결속면(214)이 형성되며, 촬영하고자 하는 치아의 반대측 치아와 만나는 면으로 제2 치아 결속면(216)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치아 결속면(214, 216)은 탄성 수지 또는 고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돌기 라인 또는 요철 라인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치아 결속면(214, 216)은 치아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밀착할 수 있으며, 촬영 시 바이트부(210)가 이동하여 측정 값이 변경되는 경우를 최소로 할 수가 있다. 특히, 전치부 치아는 서로 맞닿는 치아면이 좁기 때문에 하악골이 조금만 움직여도 바이트부(210)의 물림 위치가 쉽게 변위할 수 있는데,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바이트부(210)의 이러한 변위를 제한할 수가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치아 결속면(214, 216)의 요철 라인의 방향은 치아의 배열 방향, 즉 중심축(220)과 대략 나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몸체(212)는 구치부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치아 결속면(214)에 대해 제2 치아 결속면(216)은 경사진 형성되며, 중심축 반대쪽으로 이동할수록 바이트 몸체(212)는 점점 가늘어 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어금니가 위치한 구치부에서 바이트 몸체(212)는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필름 홀더(200)는 구치부 중 상악의 우측 구치부 또는 하악의 좌측 구치부를 측정하기에 적합하다. 물론, 거울 대칭으로 형성하여 상악의 좌측 구치부나 하악의 우측 구치부에 적합하도록 변경할 수도 있다.
바이트 몸체(212)에는 수평하게 중심축(220)이 연장 형성된다. 중심축(22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진 부분이 있는가 하면 다른 부품과의 고정을 위해 비원형, 사각형 단면을 가진 부분이 있을 수 있다.
필름 지지부(230)는 바이트 몸체(21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필름 지지부(230)는 필름 지지판(232) 및 축 수용부(235)를 포함하며, 축 수용부(235)는 중심축(220)을 수용한 상태에서 일측으로 필름 지지판(232)과 연결된다. 따라서 축 수용부(235)는 필름 지시부(240)과 필름 지지판(232)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며, 필름 지시부(240)는 필름 지지판(232)의 회전 각도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필름 지시부(240)를 회전 시켜 필름 지지판(232)의 회전 각도를 구강 외에도 조절할 수도 있다.
필름 지지판(232)의 일측에 체결부(236)가 형성되며, 체결부(236)를 통해서 필름 지지판(232)은 축 수용부(235)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지털 필름 등을 필름 지지판(232)에 장착할 수 있으며, 장착된 필름과 함께 필름 지지판(232)을 축 수용부(235)에 조립할 수가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필름 홀더와는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필름 홀더(200)에서는 필름 지지판(232)의 한쪽만 축 수용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필름 지지판(232)의 정면이 대략 중심축(220)을 포함(involve)하도록 위치하고, 필름 지지판(232)이 회전하여도 체결부(236) 등이 치아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필름 지지부(230)의 단부로 필름 지시부(240)가 로드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필름 지시부(240)는 바이트 몸체(212)로부터 소정의 간격, 즉 바이트 몸체(212)가 치아에 물려 있다고 가정할 때 환자의 안면에 의해서 방해 받지 않을 정도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축(220)의 단부는 축 수용부(235)의 단부에서부터 노출되며, 노출된 부분으로 바이트 지시부(260) 및 방사선 조사 지시부(250)가 조립된다. 중심축(220)의 사각 단면에 대응하여 바이트 지시부(260)의 단부도 사각형 홀을 포함하며, 중심축(220)의 최외곽 원형 단면에 대응하여 방사선 조사 지시부(250)의 단부에도 원형의 홀이 형성된다. 중심축(220)의 단부로 나사 형상의 고정캡(2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캡(222)을 통해 필름 지지부(230), 방사선 조사 지시부(250) 및 바이트 지시부(260) 간의 압력 및 상호 고정을 조절할 수가 있다. 이때 필름 지지부(230), 방사선 조사 지시부(250) 및 바이트 지시부(260)에서 중심축(220) 중심으로 마찰에 의해 고정되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중심축 주변으로 돌기 등을 형성할 수가 있다.
필름 지시부(240) 또는 바이트 지시부(260)에는 각도를 표현하기 위한 스케일(26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바이트 지시부(260)와 필름 지시부(240) 간의 각도를 측정하여, 바이트부(210)와 필름 지지부(230) 간의 각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름 지시부(240)가 간단하게 중심축(220)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로드 형상으로 제공되지만, 다르게는 중심축의 회전에 대응하는 회전부를 가지고 회전부의 회전을 감지 및 수치화하여 디지털화된 방식으로 표현하는 표시부로 제공될 수도 있다.
방사선 조사 지시부(250)는 방사선 중심선의 조사 각도를 미리 예측하고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방사선 조사 지시부(250)가 로드 형상으로 제공되며, 로드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그 위에 에이밍 가이드(29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에이밍 가이드(290)는 방사선원의 조사부를 밀착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치과 의사나 치과 위생사는 소정의 에이밍 가이드(290)에 설치된 장비의 조사부를 이동하여 맞춤으로써 간단하게 방사선원을 위치시킬 수가 있다. 물론, 방사선원의 조사 각도 및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여러 가지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필름 홀더에서 필름 지지판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의 필름 홀더에서 바이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필름 지지판(232)의 배면에 필름 수용부(2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름 수용부(233)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타입의 필름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지털 타입의 필름인 경우 필름의 방사선 조사면이 필름 수용부(233)에 수용되면서 필름 지지판(232)에서 상기 조사면이 방사선 발생기를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타입의 필름은 후면에 전선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전선 연결을 위한 별다른 지지판의 구조가 필요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필름 지지판(232)의 후면에서 필름을 장착하기 때문에 정면으로 평면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장착 또한 용이하다. 또한, 필름 지지판(232)의 바이트 몸체쪽 근단부의 반대쪽 모서리를 사선 형태로 제거함으로써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필름의 정면, 즉 조사면이 치아 쪽으로 더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필름 수용부(233)의 주변 모서리로 걸림턱(234)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여러 형태의 걸림턱(234)을 2개 이상 형성하여 필름을 필름 수용부(233) 내에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필름 지지판(232)의 정면이 차단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필름 지지판(232)의 정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필름을 고정하기 위한 액자 프레임 형상의 지지판이 제공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바이트 몸체(212)는 중심축(220)의 반대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이는 구치부에서 바이트 몸체(212)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제1 치아 결속면(214) 및 제2 치아 결속면(216)에는 각각 삼각형 단면의 돌기를 가진 요철 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축(220)의 단부에는 사각 단면을 가진 부분과 원형 단면을 가진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도 4의 필름 홀더를 이용하여 등각 촬영법을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필름 홀더(200) 중 필름 지지부(230) 에 적절한 필름(20)을 장착한 후, 필름 지지부(230)와 바이트부(210)를 환자의 구강 내에 위치시키고 환자로 하여금 바이트부(210) 중 바이트 몸체(212)를 치아로 물게 한다. 바이트 몸체(212)는 위아래로 복수개의 치아가 물리기 때문에 치아의 장축에 수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치아 결속면의 요철에 의해서 대략적으로 치아의 폭 방향과 나란하고. 치아의 중심축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필름 지시부(240)를 상하로 회전시켜, 최적의 각도를 찾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아 장축과 필름이 평행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등각 촬영법에 의한 왜곡을 더 최소화시킬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대상 치아가 접하는 제1 치아 결속면(214)이 대합치와 접하는 제2 치아 결속면(216)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중심축(220)은 제1 치아 결속면(214)보다 안쪽, 즉 설측에 치우친 상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회전 중심이 구강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구강 내에서 필름 지지판(232)이 용이하게 움직이도록 할 수가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지지판(232)의 근단이 제1 치아 결속면(214)보다 중심축의 중심에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제1 치아 결속면(214) 및 제2 치아 결속면(216) 사이에는 간섭을 없애기 위한 곡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대략 필름 지지판(232) 근단의 이동 궤적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필름 지지부(230)의 각도는 정해지지 않고 환자의 구강 구조 및 선택된 필름 지지판 등에 따라 달라질 수가 있다. 이때 필름 지지부(230)는 필름 지시부(240)와 함께 상하로 회전하기 때문에 환자의 구강 내에서 가장 적절한 위치를 찾을 수가 있다.
가장 적절한 위치가 결정되면, 스케일을 통해서 바이트 지시부(260)와 필름 지시부(240) 간의 각도를 읽을 수 있다. 이 각도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방사선 중심선의 조사 각도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등각 촬영법에 따르는 경우, 사용자는 바이트 지시부(260)와 필름 지시부(240) 간의 각도(2a)를 측정한 후, 바이트 지시부(260) 또는 필름 지시부(240)와 방사선 조사 지시부(250)가 이등분한 각도(a)만큼 벌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등각 촬영법에 따르면, 방사선 조사 지시부(250)와 평행한 각도가 등각 촬영법에 따른 각도라 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방사선 조사 지시부(250)를 참조하여 방사선 중심선의 조사 각도를 조정할 수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홀더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필름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필름 홀더(300)는 구강 내에서 전치부에 있는 치아와 치아 지지 구조의 방사선 영상을 얻기 위한 것으로서, 역시 바이트부(310), 필름 지지부(330), 필름 지시부(340), 및 방사선 조사 지시부(3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바이트부(310)는 바이트 몸체(312) 및 중심축(320)을 포함한다. 하악골 개구시 전치부에서의 상하악 치아들 간의 거리가 구치부 상하악 치아간의 거리보다 길기 때문에, 전치부를 위한 바이트 몸체(312)는 구치부를 위한 바이트 몸체(212)보다 상하로 높이가 더 크다.
바이트 몸체(312)는 촬영하고자 하는 치아들을 위한 제1 치아 결속면(314) 과, 촬영하고자 하는 치아들의 대합치들을 위한 제2 치아 결속면(31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치아 결속면(314, 316)은 탄성 수지 또는 고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돌기 라인 또는 요철 라인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치부의 치아와 같이 교합면이 매우 좁더라도 제1 및 제2 치아 결속면(314, 316)은 치아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밀착할 수 있으며, 촬영 시 바이트부(310)가 이동하여 측정 값이 변경되는 경우를 최소로 할 수가 있다.
바이트 몸체(312)에는 수평하게 중심축(320)이 연장 형성된다. 중심축(32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진 부분이 있는가 하면 다른 부품과의 고정을 위해 비원형, 사각형 단면을 가진 부분이 있을 수 있다.
필름 지지부(330)는 바이트 몸체(31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필름 지지부(330)는 필름 지지판(332) 및 축 수용부(335)를 포함하며, 축 수용부(335)는 중심축(320)을 수용한 상태에서 일측으로 필름 지지판(332)과 연결된다. 따라서 축 수용부(335)는 필름 지시부(340)과 필름 지지판(332)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며, 필름 지시부(340)는 필름 지지판(332)의 회전 각도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필름 지시부(340)를 회전 시켜 필름 지지판(332)의 회전 각도를 구강 외에도 조절할 수도 있다.
필름 지지판(332)의 일측에 체결부(336)가 형성되며, 체결부(336)를 통해서 필름 지지판(332)은 축 수용부(335)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필름 지지판(332)은 세로로 필름의 장축이 위치하도록 상하로 길게 제공되며, 필름의 장축이 중심축(320)에 수직하도록 배열된다.
사용자는 디지털 필름 등을 필름 지지판(332)에 장착할 수 있는데, 장착된 필름의 연결 전선이 바이트 몸체(312)을 향하게 하고, 바이트 몸체(312) 및 제2 치아 결속면(316)에는 전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홈(318)을 형성하여 전선이 바이트 몸체(312)의 배면을 거쳐 제2 치아 결속면(316) 사이를 통해 외부로 쉽게 인출되도록 할 수가 있으며, 하악골 폐구시 치아에 의한 전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필름 홀더와는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필름 홀더(300)에서는 필름 지지판(332)의 한쪽만 축 수용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부(133)에 대응되는 요소가 없기 때문에 전치부 주변의 다른 치아에 의해서 필름 지지부(330)의 회전이 방해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름 지지부(330)의 단부로 필름 지시부(340)가 로드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축(320)의 단부로 바이트 지시부(360) 및 방사선 조사 지시부(350)가 각각 차례로 장착된다.
필름 지시부(340) 또는 필름 지지부(330)에는 각도를 표현하기 위한 스케일(36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바이트 지시부(360)와 필름 지시부(340) 간의 각도를 측정하여, 바이트부(310)와 필름 지지부(330) 간의 각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가 있다. 물론,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스케일(362)은 바이트부(310) 또는 바이트 지시부(360)에도 형성될 수가 있다.
방사선 조사 지시부(350)는 방사선 중심선의 조사 각도를 미리 예측하고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방사선 조사 지시부(350)가 로드 형상으로 제공되며, 로드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그 위에 에이밍 가이드(39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1은 도 9의 필름 홀더에서 필름 지지판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9의 필름 홀더에서 바이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필름 지지판(332)의 배면에 필름 수용부(3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름 수용부(333)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타입의 필름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름의 장축에 대응하여 필름 지지판(332)도 세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치부 촬영을 위한 필름 지지판(332)의 바이트부 반대쪽 모서리를 사선으로 제거함으로서 필름의 정면이 치아 쪽으로 더 가깝게 위치시킬 수가 있다. 또한, 필름 수용부(333)의 주변 모서리로 걸림턱(334)을 형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걸림턱(334)을 2개 이상 형성하여 필름을 필름 수용부(333) 내에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바이트 몸체(312)에서 치아 결속면들(314, 316)들은 치아의 폭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요철 라인을 포함하며, 바이트 몸체(312) 및 제2 치아 결속면(316)에 홈을 형성하여 폐구시 치아에 의하여 전선이 손상 없이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할 수가 있다.
사용자는 필름 홀더(300) 중 필름 지지부(330)에 디지털 타입의 필름을 장착한 후, 필름 지지부(330)를 환자의 전치부 사이에 위치시키고 환자로 하여금 바이트부(310) 중 바이트 몸체(312)를 치아로 물게 할 수 있다. 바이트 몸체(312)는 치아 결속면(314, 316)의 요철에 의해서 결속되기 때문에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으며, 물리는 요철의 위치를 조정하여 치아의 중심축이 바이트부(310)와 수직이 되도록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홀더 및 그 필름 홀더를 위한 일회용 부속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이하 설명은 도 4에 도시된 구치부를 위한 필름 홀더의 구조를 기초로 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 9에 도시된 전치부를 위한 필름 홀더의 구조에도 적용될 수가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필름 홀더(400)는 구강 내에서 전치부에 있는 치아와 치아 지지 구조의 방사선 영상을 얻기 위한 것으로서, 필름 홀더 본체(401) 및 필름 홀더 본체(401)에 장착되는 일회용 부속품(402)을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일회용 부속품(402)은 바이트부(410), 중심축 파트(420-2), 축 수용부 파트(435-2) 및 필름 지지판(432)를 포함하며, 필름 홀더 본체(401)는 중심축(420), 축 수용부(435), 필름 지시부(440), 및 방사선 조사 지시부(450)를 포함한다.
바이트부(410)는 바이트 몸체(412), 중심축 파트(420-2) 및 중심축(420)을 연결함으로써 제공된다. 바이트 몸체(412)는 촬영하고자 하는 치아들을 위한 제1 치아 결속면과, 촬영하고자 하는 치아들의 대합치들을 위한 제2 치아 결속면(416) 을 포함한다. 바이트 몸체(412)에는 수평하게 중심축 파트(420-2)가 연장 형성된다. 중심축 파트(420-2)의 단부에는 중심축(420) 단부에 형성된 고정 돌기(424)에 대응하는 수용홈(425)이 형성되며, 수용홈(425) 주변으로 중심축(420)과 중심축 파트(420-2)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 돌기 및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필름 지지판(432)의 측면으로 축 수용부 파트(435-2)가 제공되며, 축 수용부 파트(435-2) 역시 중심축 파트(420-2)를 수용하며, 필름 홀더 본체(401)의 축 수용부(435)와 결속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름 홀더 본체(401)에서 축 수용부(435)가 중심축(420)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중심축(420)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반대로 길게 형성되거나 같은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필름 홀더 본체(401)와 일회용 부속품(402) 간의 결합 구조는 중심축과 축 수용부 간의 동심 구조를 유지하는 조건 하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 및 축 수용부 간의 축방향 분리는 중심축의 연결구조에 의해서 제한될 수 있지만, 축 수용부의 연결구조에 의해서도 제한될 수가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바이트 몸체 내에 중심축의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수용 홈을 위치시켜 바이트 몸체와 필름지지판만을 일회용으로. 할 수 있으며 이 때 필름지지판에서 축 수용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생략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필름 홀더
210:바이트부 220:중심축
230:필름 지지부 240:필름 지시부
250:방사선 조사 지시부 260:바이트 지시부

Claims (15)

  1. 구강내 치아와 치아 지지구조의 방사선 영상을 얻기 위한 치근단 방사선 사진 촬영을 위해, 치아에 대해 임시로 고정되는 바이트부 및 상기 바이트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강 내에서 치아의 설측에 위치하는 필름 지지부를 구비하는 필름 홀더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부는 치아의 물림에 의해 고정되는 바이트 몸체, 및 상기 바이트 몸체의 측면에서 수평하게 장착되는 중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바이트 몸체는 일측 치아와 결속되는 제1 치아 결속면 및 타측 치아와 결속되는 제2 치아 결속면을 구비하며
    상기 필름 지지부는 상기 중심축을 수용하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축 수용부 및 상기 축 수용부와 물리적으로 결속되어 상기 바이트 몸체 주변을 선회하는 필름 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필름 지지판의 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치아 결속면 중 적어도 하나보다 상기 중심축에 가까운 거리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지지판에 의한 필름의 평면은 상기 중심축을 포함(involve)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치아 결속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의 중심보다 상기 중심축이 설측에 치우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지지판은 배면으로 필름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제공하며, 상기 수용부의 모서리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지지판에서 상기 바이트 몸체에 대향하는 모서리는 사선 방향으로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홀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치아 결속면 및 상기 제2 치아 결속면 사이에는 상기 필름 지지판의 근단의 이동 궤적에 대응하는 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구강 내에 전치부에 있는 치아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필름의 장축이 상기 중심축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필름과 외부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바이트 몸체 배면 및 제2 치아 결속면에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홀더.
  8. 제6항에 있어서,
    구강 내에 구치부에 있는 치아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필름의 장축이 상기 중심축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바이트 몸체는 상기 제2 치아 결속면이 상기 제1 치아 결속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홀더.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치아 결속면은 촬영 대상이 되는 치아와 접하고 상기 제2 치아 결속면보다 짧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홀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치아 결속면은 물리는 치아의 폭에 나란하게 대응하도록 형성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단면을 가진 탄성 돌기 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홀더.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몸체 및 상기 필름 지지판은 각각 상기 중심축 및 상기 축 수용부를 매개로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홀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필름 지지부와 연동하여 함께 회전하고, 구강 밖에 위치하여 상기 바이트부가 상기 치아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필름 지지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필름 지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바이트부 또는 상기 필름 지시부에는 상기 필름 지시부의 각도를 참고하기 위한 스케일이 제공되며, 상기 필름 지시부에 대응하여 상기 바이트부의 고정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바이트 지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바이트 지시부는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홀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의 단부에서 상기 필름 지시부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방사선 조사 지시부를 더 구비하는 필름 홀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조사 지시부에는 특정 영역만 방사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방사선 차단부 및 방사선원의 조준을 보조하기 위한 에이밍 가이드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홀더.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름 홀더에서 중심축 및 축 수용부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일회용 부속품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과 축 연결되는 중심축 파트;
    상기 중심축 파트와 일체로 연결되며 치아의 물림에 의해 고정되는 바이트 몸체;
    상기 축 수용부와 축 연결되는 축 수용부 파트; 및
    상기 축 수용부 파트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바이트 몸체 주변을 선회하는 필름 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바이트 몸체는 일측 치아와 결속되는 제1 치아 결속면 및 타측 치아와 결속되는 제2 치아 결속면을 구비하며,
    상기 필름 지지판의 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치아 결속면보다 상기 중심축에 가까운 거리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홀더용 일회용 부속품.
KR1020100002437A 2010-01-11 2010-01-11 구강 내 방사선 촬영을 위한 각도 지시 필름 홀더 및 그 필름 홀더를 위한 일회용 부속품 KR101098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437A KR101098860B1 (ko) 2010-01-11 2010-01-11 구강 내 방사선 촬영을 위한 각도 지시 필름 홀더 및 그 필름 홀더를 위한 일회용 부속품
PCT/KR2010/009517 WO2011083932A2 (ko) 2010-01-11 2010-12-29 구강 내 방사선 촬영을 위한 각도 지시 필름 홀더 및 그 필름 홀더를 위한 일회용 부속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437A KR101098860B1 (ko) 2010-01-11 2010-01-11 구강 내 방사선 촬영을 위한 각도 지시 필름 홀더 및 그 필름 홀더를 위한 일회용 부속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448A true KR20110082448A (ko) 2011-07-19
KR101098860B1 KR101098860B1 (ko) 2011-12-26

Family

ID=44305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437A KR101098860B1 (ko) 2010-01-11 2010-01-11 구강 내 방사선 촬영을 위한 각도 지시 필름 홀더 및 그 필름 홀더를 위한 일회용 부속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98860B1 (ko)
WO (1) WO201108393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7560B (zh) * 2012-05-11 2014-07-30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 牙视觉宽度测量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0574B (fi) 1994-03-03 2003-02-28 Pauli Juhani Kossila Digitaalinen suunsisäinen röntgenkuvausmenetelmä ja siinä käytettävä kuvalevyn- tai filminpidin
WO2000018300A1 (en) 1998-09-29 2000-04-06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Dental x-ray aiming device for longitudinal radiographic analysis
CA2371466C (en) * 2002-02-12 2010-02-09 Medical International Technology (Mit) Inc. Needleless injector
US7036985B2 (en) 2004-02-25 2006-05-02 Ultradent Products, Inc. X-ray positio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3932A3 (ko) 2011-11-03
WO2011083932A2 (ko) 2011-07-14
KR101098860B1 (ko) 2011-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6985B2 (en) X-ray positioning device
KR101013638B1 (ko) 파노라마 엑스레이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교합장치
JP2007526104A (ja) パノラマ、ct及び頭部計測兼用x線撮影装置
US7959354B2 (en) Adjustable dental x-ray image media holder
JPS59197240A (ja) 歯科用照準装置
JP7295923B2 (ja) 歯科用x線センサホルダおよびその歯科用x線センサシース
US11701071B2 (en) Dental bite block for 2D imaging
JP4571697B1 (ja) 歯科x線画像撮影用ccdセンサー装着用の専用センサーホルダー付き撮影具
JP5665922B2 (ja) 調整可能な歯科x線画像媒体ホルダ
JP3615733B2 (ja) 口内法x線撮影用補助具
US9498170B2 (en) Apparatus for holding and positioning X-ray film, photostimulable phosphor plates or digital sensors while taking dental radiographs
US4144460A (en) Method and device for radiographing human jaw joints
KR100920848B1 (ko) 구강 내 방사선 촬영을 위한 각도 지시 필름 홀더 및 필름 지지부
KR101098860B1 (ko) 구강 내 방사선 촬영을 위한 각도 지시 필름 홀더 및 그 필름 홀더를 위한 일회용 부속품
US7871199B2 (en) Dental x-ray bite block and alignment method
TW202110400A (zh) 用於牙齒影像拍攝的咬合持片組件及其使用方法
US8057096B2 (en) Dental radiograph sensor positioning device
USRE25773E (en) Ray film holder and aiming element
US20180279976A1 (en) Intraoral sensor positioning system
KR101299456B1 (ko) 무치악 또는 편측무치악 파노라마 바이트
KR20050000934A (ko) 파노라마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블록
US202202961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uiding dental imaging
WO2023038954A2 (en) Dental imaging system and method
US20190029617A1 (en) Dental x-ray sensor holder and dental x-ray sensor sheath therefor
BR102017007874A2 (pt) kit de posicionadores radiográficos intraorais de volume reduzido para dentes posteriores e uso do mesm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