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1763A - 방송망과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 및 핸드오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방송망과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 및 핸드오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1763A
KR20110081763A KR1020100136936A KR20100136936A KR20110081763A KR 20110081763 A KR20110081763 A KR 20110081763A KR 1020100136936 A KR1020100136936 A KR 1020100136936A KR 20100136936 A KR20100136936 A KR 20100136936A KR 20110081763 A KR20110081763 A KR 20110081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information
network
terminal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7295B1 (ko
Inventor
전홍석
김은아
지정훈
박창민
박현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986,690 priority Critical patent/US8599796B2/en
Publication of KR20110081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제어 장치가 단말 그룹에게 방송망에서 통신망으로 핸드오버할 것을 지시하는 핸드오버 지시 방법은 단말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생성하고,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단말 그룹으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방송망과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 및 핸드오버 제어장치{METHOD OF HANDOVER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 AND BROADCAST NETWORK AND HANDOVER CONTROLLER SUPPORTING THEREOF}
본 발명은 방송 컨텐츠 제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 컨텐츠 제공을 위한 방송망과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의 발달에 따라 통신망 수신기와 방송망 수신기를 모두 포함하는 단말이 보급되고 있다. 방송 컨텐츠는 통신망 또는 방송망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방송망을 통하여 방송 컨텐츠(예를 들면, 야구 경기)를 수신할 수 있다. 정규 방송 일정에 따라 해당 방송 컨텐츠가 강제로 종료되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계속하여 해당 방송 컨텐츠의 시청을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방송망과 통신망 사이에 핸드오버 절차가 필요하게 된다.
방송망과 통신망 사이의 일반적인 핸드오버 절차는 단말의 요청에 의하여 시작된다. 즉, 단말은 주변의 무선 신호를 계속적으로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단말이 현재 접속되어 있는 망에 보고한다. 단말로부터 측정 결과를 보고 받은 망은 소정 기준에 따라 핸드오버 동작을 결정하고, 단말은 핸드오버 할 망(즉, 타겟 망)에게 자원 예약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단말은 통신망과 방송망 사이의 핸드오버 동작 및 방송 서비스 재개를 통해 해당 방송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통신망과 방송망 사이의 일반적인 핸드오버 동작은 해당 핸드오버를 요청한 특정 단말에게 한정된다. 따라서 망의 상태 변화로 인해 다수의 단말들을 대상으로 하는 그룹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에 적절한 핸드오버 동작이 수행되기 어렵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방송망과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제어 장치가 단말 그룹에게 방송망에서 통신망으로 핸드오버할 것을 지시하는 핸드오버 지시 방법은 상기 단말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상기 단말 그룹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단말 그룹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제1 계층에서 상기 단말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구 프리미티브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요구 프리미티브를 제2 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계층에서 상기 단말 그룹으로 상기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망으로부터 통신망으로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은 핸드오버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이 속하는 단말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는 제1 계층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지시 프리미티브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지시 프리미티브를 제2 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계층에서 핸드오버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그룹에게 방송망에서 통신망으로 핸드오버할 것을 지시하는 핸드오버 제어 장치는 상기 단말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프리미티브를 발생시키는 제1 계층, 그리고 상기 제1 계층으로부터 상기 요구 프리미티브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상기 단말 그룹으로 전송하는 제2 계층을 포함한다.
망 측에서 핸드오버 절차를 시작하고, 단말이 핸드오버 명령에 대하여 응답할 필요가 없으므로, 다수의 단말들에 대한 그룹 핸드오버 동작이 가능하다.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되던 특정 방송 컨텐츠가 강제 종료되는 경우, 해당 방송 컨텐츠의 수신을 통신망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해당 방송 컨텐츠를 계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MIH 서버(120)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MIH 서버(120)와 단말(160)의 방송망과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구체적인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국,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방송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 서버(120), MIH 정보(MIH Information) 서버(130), 통신망(140), 방송망(150) 및 단말(160)을 포함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통신망 혹은 방송망을 통해 단말들에게 방송 컨텐츠를 제공한다. 방송 컨텐츠는 실시간 TV 방송 및 사용자 요구형 비디오 등의 미디어 컨텐츠와 일반 데이터 파일을 포함한다.
통신망(140)은 단말(160)에게 양방향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및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및 무선통신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통신망(140)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2 등의 이동통신망과 WiMAX,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망(150)은 단말(160)에게 단방향(Downlink-Only, DO)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선 방송망, 위성 방송망 및 휴대용 이동 방송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방송망(150)은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미디어 플로(MediaFLO), ATSC-M/H(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Mobile/Handhel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IH 서버(120)는 이기종 망 간(예를 들어 방송망과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의 최적화를 위해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21, 802.21a, 802.21b, 802.21c 및/혹은 그 밖의 802.21x 표준 규격에서 정의하는 MIH 기능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객체이다. MIH 서버(120)는 중앙집중관리처럼 통신망(140)과 방송망(150)을 모두 관리하는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고, 통신망(140)과 방송망(150) 각각에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MIH 서버(120)는 핸드오버 제어 장치와 혼용될 수 있다.
MIH 정보 서버(130)는 단말의 네트워크 선택과 핸드오버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주변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제공해주는 서버이다.
단말(160)은 MIH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지고, 통신망 수신기(162)와 방송망 수신기(164)를 모두 가진다. 단말(160)은 이기종 망 간의 핸드오버의 최적화를 위해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21, 802.21a, 802.21b, 802.21c 및/혹은 그 밖의 802.21x 표준 규격에서 정의하는 MIH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단말들이 방송망을 통해서 특정 방송 컨텐츠를 (예를 들면, 스포츠 중계) 수신하는 상황에서 정규 방송 일정에 따라 해당 방송 컨텐츠의 서비스가 강제로 종료되어야 하는 경우에, MIH 서버(120)는 강제로 종료되는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다수의 단말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인식하고 해당 단말 그룹에게 가용한 통신망 정보를 제공하면서 해당 통신망으로 핸드오버를 시행하여 계속해서 해당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송신 할 수 있다. 이하, 방송망, 즉 단방향(Downlink-Only, DO) 네트워크에서 통신망, 즉 양방향(bidirectional)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MIH 서버(120)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MIH 서버(120)와 단말(160)의 방송망과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구체적인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MIH 서버(120)는 MIH 유저(user)(122), MIH 기능(function)(MIHF, 124) 및 링크 계층(Link Layer)(126)을 포함한다. 단말(160)도 MIH 서버(120)와 마찬가지로, MIH 유저, MIH 기능 및 링크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MIH 기술은 계층 3 이상의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 및/혹은 응용 객체와 계층 2 이하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및/혹은 관리 객체 간의 상호 정보 교환을 지원하는 핸드오버 기능 객체로 MIH 기능(MIHF)(124)을 정의한다. MIH 에서는 계층 3 이상의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 및/혹은 응용 객체를 MIH 유저(122)라 정의하고 MIH 유저(122)와 MIHF(124) 객체간의 SAP(Service Access Point)을 MIH_SAP이라 정의한다. 또한, 하위 링크 계층(126)과 MIHF(124) 간의 SAP은 MIH_LINK_SAP으로 정의한다.
SAP은 동일 시스템내에 존재하는 인접 계층간의 정보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일련의 프리미티브(Primitive)들로 정의된다. 이러한 프리미티브들은 해당 인접 계층간에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나타내며 각 프리미티브는 가용한 파라미터들을 갖게 된다. 프리미티브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확인 서비스(Confirmed Service)인 경우에는 해당 프리미티브는 요구(Request), 지시 (Indication), 응답 (Response), 확인 (Confirm)의 4 종류의 형태를 가진다. 반면, 프리미티브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비확인 서비스(Nonconfirmed Service)인 경우에는 해당 프리미티브는 요구(Request), 지시 (Indication)의 2 종류의 형태를 갖는다.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21, 802.21a, 802.21b, 802.21c 및/혹은 그 밖의 802.21x 표준 규격에서는 MIH 유저와 MIHF 간에 제공되는 서비스를 일련의 MIH_SAP 프리미티브들로 정의하고 MIHF과 하위 링크 계층간에 제공되는 서비스를 일련의 MIH_LINK_SAP 프리미티브들로 정의하고 있다.
도 2에서는 원격의 MIHF들 간의 통신을 위한 SAP으로 MIH_NET_SAP를 정의하는데 원격의 MIHF들 간의 통신은 계층 3 이상의 UDP 혹은 TCP 통신을 이용할 수도 있고 계층 2의 전송 방식만을 이용할 수 도 있다. 계층 2의 전송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MIH_LINK_SAP 프리미티브를 재사용하게 된다.
MIH에서는 MIHF를 통하여 제공되는 핵심 기능 서비스를 MIH 이벤트, 커맨드 및 정보 서비스로 구분한다.
MIH 이벤트 서비스는 하위 디바이스 드라이버에서 발생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상위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로 전달하여 IP 계층 이상에서의 이동성 처리에 따른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MIH 커맨드 서비스는 상위 응용 및/혹은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에서 하위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상위 응용 및/혹은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에서 네트워크 접속 상태를 변경시키거나 네트워크의 상태 정보를 질의할 수 있도록 한다. MIH 정보 서비스는 이동 단말의 현 위치에 인접한 다양한 이종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별도의 네트워크 객체인 MIH 정보 서버(MIH Information Server)를 정의하여 이동 단말이 위치하고 있는 현재 네트워크에 인접한 다양한 이기종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및 핸드오버 정책에 관련한 정보를 핸드오버 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러한 MIH 이벤트, 커맨드 및 정보 서비스를 활용하여 상위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에서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간 핸드오버 시 발생하는 지연 및 패킷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MIH 서버(120)의 MIH 유저(122)가 방송망으로부터 통신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하는 상황을 인지하고 핸드오버 수행을 결정하면, MIH 서버(120)의 MIH 유저(122)는 요구 프리미티브(Request Primitive)를 발생시키고(S300), 요구 프리미티브를 MIH 서버(120)의 MIH 기능(124)으로 전달한다(S310). 여기서, 요구 프리미티브는 MIH 서버(120)의 MIH 유저가 특정 그룹의 단말들의 MIH 유저에게 가용한 통신망 정보를 제공하면서 방송망에서 해당 통신망으로 핸드오버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요구 프리미티브는 방송망에서 통신망으로 핸드오버 지시를 받을 특정 그룹의 단말들을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비스 정보는 특정 그룹의 단말들이 동일하게 시청하고 있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구 프리미티브는 단말들의 MIH 유저로부터 응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MIH_Net_Bcst_HO_Commit.request 프리미티브와 혼용될 수 있다. MIH 서버(120)의 MIH 기능(124)은 방송망에서 통신망으로 핸드오버 지시를 받을 특정 그룹의 단말들의 MIH 기능으로 핸드오버 지시(Indic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S320). 이때, MIH 서버(120)의 MIH 기능(124)은 특정 그룹의 단말(160)들을 식별하기 위한 전송 주소(DestinationIdentifier)를 향해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그룹의 단말들은 특정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고, MIH 서버(120)는 이러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을 하나의 단말 그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는 MIH_Net_Bcst_HO_Commit indication 메시지 등과 혼용될 수 있다.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는 단방향 메시지로, 단말(160)들은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60)의 MIH 기능은 지시 프리미티브(Indication Primitive)를 발생시키고, 지시 프리미티브를 단말(160)의 MIH 유저로 전달한다(S330). 여기서, 지시 프리미티브는 단말(160)의 MIH 유저가 방송망에서 통신망으로 핸드오버를 실시하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160)의 MIH 기능에 의해 사용된다. 지시 프리미티브는 본 명세서에서 MIH_Net_Bcst_HO_Commit.indication 프리미티브와 혼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시 프리미티브를 수신한 단말(160)의 MIH 유저는 MIH 서버(120)의 명령을 실행하기 위하여 적절한 링크 동작을 수행한다(S340).
이와 같이, MIH 서버(120)가 핸드오버 절차를 시작하고, 복수의 단말에 대하여 단방향의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므로, 특정 그룹의 단말들의 핸드오버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 요구 프리미티브 및 지시 프리미티브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표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표 1과 같이,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는 Source Identifier 필드, Destination Identifier 필드, TargetMNGroupInfo 필드, LinkType 필드, TargetNetworkInfoList 필드, LinkActionExecutionDelay 필드 및 LinkActionList 필드를 포함한다.
Source Identifier 필드는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는 MIH 서버(120)의 MIH 기능(12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Destination Identifier 필드는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특정 그룹의 단말들(160)의 MIH 기능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TargetMNGroupInfo 필드는 방송망에서 통신망으로 핸드오버 지시를 받을 특정 그룹의 단말들을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비스 정보는 특정 그룹의 단말들이 동일하게 시청하고 있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LinkType 필드는 방송망에서 통신망으로 핸드오버 지시를 받을 특정 그룹의 단말들이 접속 가능한 망의 링크 유형 정보(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21, 802.21a, 802.21b, 802.21c 및/혹은 그 밖의 802.21x 표준규격 참고)를 포함한다. 링크 유형 정보는, 예를 들면 Wireless IEEE 802.16, Wireless EDGE 등의 형태일 수 있다.
TargetNetworkInfoList 필드는 방송망에서 통신망으로 핸드오버 지시를 받을 특정 그룹의 단말들이 접속 가능한 망들의 정보(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21, 802.21a, 802.21b, 802.21c 및/혹은 그 밖의 802.21x 표준규격 참고)를 포함한다. 망들의 정보는, 예를 들면 망의 식별 정보 및 링크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LinkActionExecutionDelay 필드는 MIH 서버(120)가 요구하는 링크 동작에 대한 시행 시간정보(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21, 802.21a, 802.21b, 802.21c 및/혹은 그 밖의 802.21x 표준규격 참고)를 포함한다.
LinkActionList 필드는 MIH 서버(120)가 요구하는 링크 동작에 대한 정보(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21, 802.21a, 802.21b, 802.21c 및/혹은 그 밖의 802.21x 표준규격 참고)를 포함한다. 링크 동작에 대한 정보는 링크 식별자와 해당 링크의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 2는 요구 프리미티브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요구 프리미티브인 MIH_Net_Bcst_HO_Commit.request 프리미티브는 DestinationIdentifier, TargetMNGroupInfo, LinkType, TargetNetworkInfoList, LinkActionExecutionDelay 및 LinkActionList를 포함한다.
DestinationIdentifier는 방송망에서 통신망으로 핸드오버 지시를 받을 특정 그룹의 단말(160)들을 식별하기 위한 전송 주소 정보를 포함한다.
TargetMNGroupInfo는 방송망에서 통신망으로 핸드오버 지시를 받을 특정 그룹의 단말(160)들을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핸드오버 요청을 받을 특정 그룹의 단말(160)들을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는 사용자들이 동일하게 시청하고 있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LinkType는 방송망에서 통신망으로 핸드오버 지시를 받을 특정 그룹의 단말(160)들이 접속 가능한 망의 링크 유형 정보(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21, 802.21a, 802.21b, 802.21c 및/혹은 그 밖의 802.21x 표준규격 참고)를 포함한다.
TargetNetworkInfoList는 방송망에서 통신망으로 핸드오버 지시를 받을 특정 그룹의 단말(160)들이 접속 가능한 망들의 정보(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21, 802.21a, 802.21b, 802.21c 및/혹은 그 밖의 802.21x 표준규격 참고)를 포함한다.
LinkActionList는 MIH 서버(120)가 요구하는 링크 동작에 대한 정보(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21, 802.21a, 802.21b, 802.21c 및/혹은 그 밖의 802.21x 표준규격 참고)를 포함한다.
LinkActionExecutionDelay는 MIH 서버(120)가 요구하는 링크 동작에 대한 시행 시간정보(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21, 802.21a, 802.21b, 802.21c 및/혹은 그 밖의 802.21x 표준규격 참고)를 포함한다.
표 3은 지시 프리미티브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지시 프리미티브인 MIH_Net_Bcst_HO_Commit.indication 프리미티브는 SourceIdentifier, TargetMNGroupInfo, LinkType, TargetNetworkInfoList, LinkActionExecutionDelay 및 LinkActionList를 포함한다.
SourceIdentifier는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송신한 MIH 서버(120)의 MIH 기능(124)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한다.
TargetMNGroupInfo는 방송망에서 통신망으로 핸드오버 지시를 받을 특정 그룹의 단말(160)들을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핸드오버 요청을 받을 특정 그룹의 단말(160)들을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는 사용자들이 동일하게 시청하고 있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LinkType는 방송망에서 통신망으로 핸드오버 지시를 받을 특정 그룹의 단말(160)들이 접속 가능한 망의 링크 유형 정보(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21, 802.21a, 802.21b, 802.21c 및/혹은 그 밖의 802.21x 표준규격 참고)를 포함한다.
TargetNetworkInfoList는 방송망에서 통신망으로 핸드오버 지시를 받을 특정 그룹의 단말(160)들이 접속 가능한 망들의 정보(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21, 802.21a, 802.21b, 802.21c 및/혹은 그 밖의 802.21x 표준규격 참고)를 포함한다.
LinkActionExecutionDelay는 MIH 서버가 요구하는 링크 동작에 대한 시행 시간정보(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21, 802.21a, 802.21b, 802.21c 및/혹은 그 밖의 802.21x 표준규격 참고)를 포함한다.
LinkActionList는 MIH 서버가 요구하는 링크 동작에 대한 정보(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21, 802.21a, 802.21b, 802.21c 및/혹은 그 밖의 802.21x 표준규격 참고)를 포함한다.
한편, IEEE 802.21-2008 규격에서 정의하는 MIH 정보 서비스(Information Service)는 주변의 이기종 망들이 지원하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MIH 정보 서비스는 단말의 이기종 망 간의 핸드오버를 결정하기 위한 기반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21, 802.21a, 802.21b, 802.21c 및/혹은 그 밖의 802.21x 표준규격은 이러한 정보를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라는 형태로 정의한다.
표 4는 현재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21, 802.21a, 802.21b, 802.21c 및/혹은 그 밖의 802.21x 표준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IE를 나타낸다.
Name of information element Description Data type
General information elements
IE_NETWORK_TYPE Link types of the access networks that are available in a given geographical area. NETWORK_TYPE
IE_OPERATOR_ID The operator identifier for the access network/core network. OPERATOR_ID
IE_SERVICE_PROVIDER_ID Identifier for the service provider. SP_ID
IE_COUNTRY_CODE Indicate the country. CNTRY_CODE
Access network specific information elements
IE_NETWORK_ID Identifier for the access network. NETWORK_ID
IE_NETWORK_AUX_ID An auxiliary access network identifier. As an example for IEEE 802.11 this refers to the homogenous extended service set ID (HESSID). NET_AUX_ID
IE_ROAMING_PARTNERS Roaming Partners.
Network Operators with which the current network operator has direct roaming agreements.
ROAMING_PTNS
IE_COST Cost.
Indication of cost for service or network usage.
COST
IE_NETWORK_QOS QoS characteristics of the link layer. QOS_LIST
IE_NETWORK_DATA_RATE Data Rate. The maximum value of the data rate supported by the link layer of the access network. DATA_RATE
IE_NET_REGULAT_DOMAIN Regulatory classes supported by the access network. REGU_DOMAIN
IE_NET_FREQUENCY_BANDS Frequency bands supported by the network. FREQ_BANDS
IE_NET_IP_CFG_METHODS IP Configuration Methods supported by the access network. IP_CONFIG
IE_NET_CAPABILITIES Bitmap of access network capabilities. NET_CAPS
IE_NET_SUPPORTED_LCP List of location configuration protocols supported by the access network. SUPPORTED_LCP
IE_NET_MOB_MGMT_PROT Type of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supported. IP_MOB_MGMT
IE_NET_EMSERV_PROXY Address of the proxy providing access to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 (PSAP). PROXY_ADDR
IE_NET_IMS_PROXY_CSCF Address of the proxy providing access to IMS P-CSCF. PROXY_ADDR
IE_NET_MOBILE_NETWORK Indicator whether the access network itself is mobile. BOOLEAN
PoA - specific information elements
IE_POA_LINK_ADDR Link-layer address of PoA. LINK_ADDR
IE_POA_LOCATION Geographical location of PoA. Multiple location types are supported including coordina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ivic address, and cell ID. LOCATION
IE_POA_CHANNEL_RANGE Channel Range/Parameters.
Spectrum range supported by the channel for that PoA.
CH_RANGE
IE_POA_SYSTEM_INFO System information supported by the link layer of a given PoA. SYSTEM_INFO
PoA - specific higher layer service information elements
IE_POA_SUBNET_INFO Information about subnets supported by a typical PoA. IP_SUBNET_INFO
IE_POA_IP_ADDR IP Address of PoA. IP_ADDR
Other information elements
Vendor specific IEs Vendor-specific services. N/A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21, 802.21a, 802.21b, 802.21c 및/혹은 그 밖의 802.21x 표준규격은 정의된 각각의 IE를 IE_CONTAINER_LIST_OF_NETWORKS, IE_CONTAINER_NETWORK, IE_CONTAINER_POA 와 같이 세 개의 정보 요소 컨테이너로 분류하여 제공한다.
한편,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21b는 이동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망과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의 최적화 기술을 표준화 하는 태스크그룹이다. 하지만, 현재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21 표준규격에는 망에서 지원하는 방송 서비스 정보를 나타내는 IE가 정의되어 있지 않다. 이에, 방송망과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의 최적화를 위하여, 망에서 지원하는 방송 서비스 정보를 나타내는 IE를 정의하고, MIH 정보 서버(160)가 이러한 방송 서비스 관련 IE를 단말(160)의 MIH 기능 또는 네트워크의 MIH 기능에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망에서 지원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IE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 일련의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정보, 방송 컨텐츠에 대한 보안 정보 및 방송 서비스에 대한 이용 권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망에서 지원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IE를 나타낸다.
Name of information element Description Data type
General information elements
IE_NETWORK_TYPE Link types of the access networks that are available in a given geographical area. NETWORK_TYPE
IE_OPERATOR_ID The operator identifier for the access network/core network. OPERATOR_ID
IE_SERVICE_PROVIDER_ID Identifier for the service provider. SP_ID
IE_COUNTRY_CODE Indicate the country. CNTRY_CODE
Access network specific information elements
IE_NETWORK_ID Identifier for the access network. NETWORK_ID
IE_NETWORK_AUX_ID An auxiliary access network identifier. As an example for IEEE 802.11 this refers to the homogenous extended service set ID (HESSID). NET_AUX_ID
IE_ROAMING_PARTNERS Roaming Partners.
Network Operators with which the current network operator has direct roaming agreements.
ROAMING_PTNS
IE_COST Cost.
Indication of cost for service or network usage.
COST
IE_NETWORK_QOS QoS characteristics of the link layer. QOS_LIST
IE_NETWORK_DATA_RATE Data Rate. The maximum value of the data rate supported by the link layer of the access network. DATA_RATE
IE_NET_REGULAT_DOMAIN Regulatory classes supported by the access network. REGU_DOMAIN
IE_NET_FREQUENCY_BANDS Frequency bands supported by the network. FREQ_BANDS
IE_NET_IP_CFG_METHODS IP Configuration Methods supported by the access network. IP_CONFIG
IE_NET_CAPABILITIES Bitmap of access network capabilities. NET_CAPS
IE_NET_SUPPORTED_LCP List of location configuration protocols supported by the access network. SUPPORTED_LCP
IE_NET_MOB_MGMT_PROT Type of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supported. IP_MOB_MGMT
IE_NET_EMSERV_PROXY Address of the proxy providing access to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 (PSAP). PROXY_ADDR
IE_NET_IMS_PROXY_CSCF Address of the proxy providing access to IMS P-CSCF. PROXY_ADDR
IE_NET_MOBILE_NETWORK Indicator whether the access network itself is mobile. BOOLEAN
IE _ BCST _ PROGRAM _ ID Identifier for the program the access network is currently serving . Tbd
IE _ BCST _ SERVICE _ INFO   Service information supported by the access network . Tbd
IE _ BCST _ SERVICE _ PROTECTION _ INFO Service protection information supported by the access network . Tbd
IE _ BCST _ PROGRAM _ PROTECTION _ INFO Content protection information supported by the access network . Tbd
PoA - specific information elements
IE_POA_LINK_ADDR Link-layer address of PoA. LINK_ADDR
IE_POA_LOCATION Geographical location of PoA. Multiple location types are supported including coordina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ivic address, and cell ID. LOCATION
IE_POA_CHANNEL_RANGE Channel Range/Parameters.
Spectrum range supported by the channel for that PoA.
CH_RANGE
IE_POA_SYSTEM_INFO System information supported by the link layer of a given PoA. SYSTEM_INFO
PoA - specific higher layer service information elements
IE_POA_SUBNET_INFO Information about subnets supported by a typical PoA. IP_SUBNET_INFO
IE_POA_IP_ADDR IP Address of PoA. IP_ADDR
Other information elements
Vendor specific IEs Vendor-specific services. N/A
표 5와 같이, 망에서 지원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IE는 표 4의 IE_CONTAINER_NETWORK 그룹에 추가될 수 있다.
표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망에서 지원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IE를 나타낸다.
Information element ID = ( see Table G.1) Length = variable
IE _ BCST _ PROGRAM _ ID
IE _ BCST _ SERVICE _ INFO
IE _ BCST _ SERVICE _ PROTECTION _ INFO
IE _ BCST _ PROGRAM _ PROTECTION _ INFO
표 6과 같이, 망에서 지원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IE는 새로운 IE 컨테이너로 정의되어 추가될 수 있다. 새롭게 정의하는 IE 컨테이너는 기존의 다른 IE 컨테이너와 동일한 IE ID 정보 및 길이(Length) 정보를 가지고, 방송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IE_BCST_PROGRAM_ID), 방송 서비스 정보(IE_BCST_SERVICE_INFO), 방송 컨텐츠의 보안 정보(IE_BCST_SERVICE_PROTECTION_INFO), 방송 서비스 이용 권한에 대한 정보(IE_BCST_PROGRAM_PROTECTION_INFO)를 포함한다.
표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망에서 지원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IE를 나타낸다.
Name of information element Description Data type
General information elements
IE_NETWORK_TYPE Link types of the access networks that are available in a given geographical area. NETWORK_TYPE
IE_OPERATOR_ID The operator identifier for the access network/core network. OPERATOR_ID
IE_SERVICE_PROVIDER_ID Identifier for the service provider. SP_ID
IE_COUNTRY_CODE Indicate the country. CNTRY_CODE
Access network specific information elements
IE_NETWORK_ID Identifier for the access network. NETWORK_ID
IE_NETWORK_AUX_ID An auxiliary access network identifier. As an example for IEEE 802.11 this refers to the homogenous extended service set ID (HESSID). NET_AUX_ID
IE_ROAMING_PARTNERS Roaming Partners.
Network Operators with which the current network operator has direct roaming agreements.
ROAMING_PTNS
IE_COST Cost.
Indication of cost for service or network usage.
COST
IE_NETWORK_QOS QoS characteristics of the link layer. QOS_LIST
IE_NETWORK_DATA_RATE Data Rate. The maximum value of the data rate supported by the link layer of the access network. DATA_RATE
IE_NET_REGULAT_DOMAIN Regulatory classes supported by the access network. REGU_DOMAIN
IE_NET_FREQUENCY_BANDS Frequency bands supported by the network. FREQ_BANDS
IE_NET_IP_CFG_METHODS IP Configuration Methods supported by the access network. IP_CONFIG
IE_NET_CAPABILITIES Bitmap of access network capabilities. NET_CAPS
IE_NET_SUPPORTED_LCP List of location configuration protocols supported by the access network. SUPPORTED_LCP
IE_NET_MOB_MGMT_PROT Type of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supported. IP_MOB_MGMT
IE_NET_EMSERV_PROXY Address of the proxy providing access to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 (PSAP). PROXY_ADDR
IE_NET_IMS_PROXY_CSCF Address of the proxy providing access to IMS P-CSCF. PROXY_ADDR
IE_NET_MOBILE_NETWORK Indicator whether the access network itself is mobile. BOOLEAN
PoA - specific information elements
IE_POA_LINK_ADDR Link-layer address of PoA. LINK_ADDR
IE_POA_LOCATION Geographical location of PoA. Multiple location types are supported including coordina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ivic address, and cell ID. LOCATION
IE_POA_CHANNEL_RANGE Channel Range/Parameters.
Spectrum range supported by the channel for that PoA.
CH_RANGE
IE_POA_SYSTEM_INFO System information supported by the link layer of a given PoA. SYSTEM_INFO
PoA - specific higher layer service information elements
IE_POA_SUBNET_INFO Information about subnets supported by a typical PoA. IP_SUBNET_INFO
IE_POA_IP_ADDR IP Address of PoA. IP_ADDR
Other information elements
Vendor specific IEs Vendor-specific services. N/A
Broadcast Handover information elements
IE _ BCST _ PROGRAM _ ID Identifier for the program the access network is currently serving . Tbd
IE _ BCST _ SERVICE _ INFO Service information supported by the access network . Tbd
IE _ BCST _ SERVICE _ PROTECTION _ INFO Service protection information supported by the access network . Tbd
IE _ BCST _ PROGRAM _ PROTECTION _ INFO Content protection information supported by the access network . Tbd
표 7과 같이, 망에서 지원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IE는 표 4에 새로운 IE 컨테이너로 정의되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7)

  1. 핸드오버 제어 장치가 단말 그룹에게 방송망에서 통신망으로 핸드오버할 것을 지시하는 핸드오버 지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상기 단말 그룹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지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제1 계층에서 상기 단말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구 프리미티브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요구 프리미티브를 제2 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계층에서 상기 단말 그룹으로 상기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지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층은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 유저(user)이고, 상기 제2 계층은 MIH 기능(function)인 핸드오버 지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요구 프리미티브는 상기 특정 그룹의 단말들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상기 특정 그룹의 단말들이 접속 가능한 망의 링크 유형 정보, 상기 특정 그룹의 단말들이 접속 가능한 망들의 정보, 상기 핸드오버 제어 장치가 요구하는 링크 동작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핸드오버 제어 장치가 요구하는 링크 동작에 대한 시행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버 지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는 상기 단말 그룹으로부터 응답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단방향 메시지인 핸드오버 지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는 상기 핸드오버 제어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상기 특정 그룹의 단말들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상기 특정 그룹의 단말들이 접속 가능한 망의 링크 유형 정보, 상기 특정 그룹의 단말들이 접속 가능한 망들의 정보, 상기 핸드오버 제어 장치가 요구하는 링크 동작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핸드오버 제어 장치가 요구하는 링크 동작에 대한 시행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버 지시 방법.
  7. 방송망으로부터 통신망으로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핸드오버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이 속하는 단말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제1 계층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지시 프리미티브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지시 프리미티브를 제2 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계층에서 핸드오버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층은 MIH 기능이고, 상기 제2 계층은 MIH 유저인 핸드오버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지시 프리미티브는 상기 핸드오버 제어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상기 특정 그룹의 단말들이 접속 가능한 망의 링크 유형 정보, 상기 특정 그룹의 단말들이 접속 가능한 망들의 정보, 상기 핸드오버 제어 장치가 요구하는 링크 동작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핸드오버 제어 장치가 요구하는 링크 동작에 대한 시행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는 상기 단말 그룹으로부터 응답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단방향 메시지인 핸드오버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는 상기 핸드오버 제어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상기 특정 그룹의 단말들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상기 특정 그룹의 단말들이 접속 가능한 망의 링크 유형 정보, 상기 특정 그룹의 단말들이 접속 가능한 망들의 정보, 상기 핸드오버 제어 장치가 요구하는 링크 동작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핸드오버 제어 장치가 요구하는 링크 동작에 대한 시행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13. 단말 그룹에게 방송망에서 통신망으로 핸드오버할 것을 지시하는 핸드오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구 프리미티브를 발생시키는 제1 계층, 그리고
    상기 제1 계층으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요구 프리미티브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상기 단말 그룹으로 전송하는 제2 계층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는 상기 단말 그룹으로부터 응답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단방향 메시지인 핸드오버 제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층은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 유저(user)이고, 상기 제2 계층은 MIH 기능(function)인 핸드오버 제어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요구 프리미티브는 상기 특정 그룹의 단말들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상기 특정 그룹의 단말들이 접속 가능한 망의 링크 유형 정보, 상기 특정 그룹의 단말들이 접속 가능한 망들의 정보, 상기 핸드오버 제어 장치가 요구하는 링크 동작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핸드오버 제어 장치가 요구하는 링크 동작에 대한 시행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어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는 상기 핸드오버 제어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상기 특정 그룹의 단말들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상기 특정 그룹의 단말들이 접속 가능한 망의 링크 유형 정보, 상기 특정 그룹의 단말들이 접속 가능한 망들의 정보, 상기 핸드오버 제어 장치가 요구하는 링크 동작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핸드오버 제어 장치가 요구하는 링크 동작에 대한 시행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어 장치.
KR1020100136936A 2010-01-08 2010-12-28 방송망과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 및 핸드오버 제어장치 KR101727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86,690 US8599796B2 (en) 2010-01-08 2011-01-07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 and broadcast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1907 2010-01-08
KR1020100001907 2010-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763A true KR20110081763A (ko) 2011-07-14
KR101727295B1 KR101727295B1 (ko) 2017-04-14

Family

ID=4492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936A KR101727295B1 (ko) 2010-01-08 2010-12-28 방송망과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 및 핸드오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2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7250A (ko) * 2007-06-06 2008-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mih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방법
EP2061166A2 (en) * 2007-11-14 2009-05-20 Kings College Lond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roadcast networks
KR20090071435A (ko) * 2007-12-27 2009-07-0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7250A (ko) * 2007-06-06 2008-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mih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방법
EP2061166A2 (en) * 2007-11-14 2009-05-20 Kings College Lond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roadcast networks
KR20090071435A (ko) * 2007-12-27 2009-07-0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295B1 (ko) 2017-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72999B (zh) 一种小区切换方法,终端以及核心网设备
WO201922683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ra-cell and inter-frequency optimization in a quasi-licensed wireless system
KR101833841B1 (ko)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데이터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WO202016040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requency transition management in a quasi-licensed wireless system
US85997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 and broadcast network
US20100142478A1 (en) Neighbor network advertisement
US20110158147A1 (en) System and Methods for Managing Group Parameters in Unlicensed Spectrum Communications
TW201334592A (zh) 依步同無線存取技術配置無線存取網路間實施交接方法及裝置
JP2014171250A (ja) 次世代utranのサポートに関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0701599B2 (en) Systems and methods of transmitting and switching eMBMS service in a heterogeneous network
US20140003282A1 (en) Network Discovery and Mobility Management for White Space Devices
US8605681B2 (en) Method of handover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 and broadcast network for providing broadcast content, communication network handover controller, and broadcast network handover controller
CN101674531B (zh) 递交服务至目标基站的方法、目标基站以及移动装置
KR20140096631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셀 내의 무선랜 망의 검색 및 선택 방법 및 장치
JP5522258B2 (ja) 基地局、サービス提供装置、移動局、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これらの通信制御方法
US20100284291A1 (en) Mobility management with downlink-only wireless networks
US20060166668A1 (en) Method for selecting a service provider for a service, which can be received by a mobile station via a radio access network and which is provided by at least two service providers, and a corresponding selecting device
KR10065142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시 방송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CN102084713A (zh) 移动电视网络间切换方法及装置
WO20160584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communications overhead
RU2315441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тмены регистрации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ого/группов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в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й системе с коммутацией пакетов данных
KR101727295B1 (ko) 방송망과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 및 핸드오버 제어장치
CN101404552A (zh) 多媒体广播业务的控制方法、系统及终端
KR101447725B1 (ko) 통신망과 방송망간의 중앙 집중 제어 기반 핸드오버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2114921A (ja) 適応ローミングパラメータ設定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