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1601A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1601A
KR20110081601A KR1020100001852A KR20100001852A KR20110081601A KR 20110081601 A KR20110081601 A KR 20110081601A KR 1020100001852 A KR1020100001852 A KR 1020100001852A KR 20100001852 A KR20100001852 A KR 20100001852A KR 20110081601 A KR20110081601 A KR 20110081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ser
external device
inpu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9716B1 (ko
Inventor
신진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1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71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1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와, 제1 디스플레이와 별도인 제2 디스플레이와,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제1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제1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데이터를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제2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제2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또한,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여,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의 시행에 따라,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있다.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는 추세에 더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여 송출되는 방송이 늘어나는 추세이며,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제1 디스플레이와, 제1 디스플레이와 별도인 제2 디스플레이와,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제1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제1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데이터를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제2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제2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장치와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 별로 접속된 외부장치의 컨텐츠 리스트를 복수의 디스플레이에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 이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사용자 별로 해당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어, 사용자 취향에 맞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 외, 영상표시장치 내의 컨텐츠 리스트 등을 사용자 별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1개의 영상표시장치에서 사용자 별로 다양한 동작을 개별적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와 접속 가능한 외부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6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제1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튜너(11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복조부(12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40), 제1 제어부(150), 제2 제어부(155), 제1 저장부(160), 제2 저장부(165), 제1 디스플레이(180), 제2 디스플레이(185), 및 오디오 출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하나의 튜너(11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튜너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가 ATSC 방식 또는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8-VSB (8-Vestigal Side Band) 복조 또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하고,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의 스트림 신호(TS)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스트림 신호(TS)는, 제1 제어부(150) 또는 제2 제어부(155)에 입력되어, 역다중화 및 신호 처리 등이 수행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장치와의 신호 입력 또는 출력 등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및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미도시)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의 영상/음성/데이터 신호의 입/출력을 위해,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단자들을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 예를 들어 스트림 신호(TS)는, 제1 제어부(150) 또는 제2 제어부(155)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CVBS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별도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미도시)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제1 제어부(150) 또는 제2 제어부(155)에 입력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미도시)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외부 장치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또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 TV와 접속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용 셋탑 박스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제어부(150) 또는 제2 제어부(155)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1 제어부(150) 또는 제2 제어부(155)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TV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IPTV는, 전송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TVIP), Broadband TV(B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IPTV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 풀브라우징 TV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제1 제어부(150) 또는 제2 제어부(155)로 전달하거나, 제1 제어부(150) 또는 제2 제어부(155)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1 제어부(150) 또는 제2 제어부(155)로부터의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1 제어부(150) 또는 제2 제어부(155)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1 제어부(150) 또는 제2 제어부(155)에 전달하거나, 제1 제어부(150) 또는 제2 제어부(155)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5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고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신호 처리하여, 영상 및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 외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제어부(150)는, 역다중화부(210), 영상 처리부(220), OSD 생성부(240), 믹서(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2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2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2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디코더(225), 및 스케일러(2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2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2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제1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225)는, MPEG-2 디코더, MPEG-4 디코더, VC-1 디코더, H.264 디코더 등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제어부(150) 내의 영상처리부(220)는,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OSD 생성부(2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믹서(250)는, OSD 생성부(2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형태로, 각각 제1 디스플레이(180) 또는 제2 디스플레이(185)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15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MPEG-2 디코더, MPEG-4 디코더, AAC 디코더, AC-3 디코더 등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5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5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90), 예를 들어 스피커로 입력되어 음성 출력되게 된다. 또한, 외부출력장치와 연결된 외부 출력 단자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제어부(15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A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15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5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제1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또한, 제1 제어부(150)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를 입력받아,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부(150)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는 튜너(11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일 수 있다.
제2 제어부(155)는, 상술한 제1 제어부(150)와 유사하게, 스트림 신호를 역다중화하고, 역다중화된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각각 신호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제어부(155)의 동작은 제1 제어부(150)를 참조한다.
한편, 제1 제어부(150)는, 제2 제어부(155)와 영상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제어부(150)와 제2 제어부(155)가 각각 병렬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제어부(155)가 제1 제어부(150)에 종속적으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155)는 팝업창 정보를 제1 제어부(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어부(150)는, 접속된 외부장치와, 제1 디스플레이(180), 및 제2 디스플레이(185)에 대응하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생성하거나 할당할 수 있으며, 이들을 통해 네트워크를 구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1 제어부(150)는, 제1 제어부(150)는 영상표시장치(100)에 할당되는 IP를 분리하여 제1 IP와 제2 IP로 분리할 수 있다. 이때의 제1 IP와 제2 IP는 사설 IP 또는 가상 IP일 수 있다.
제1 제어부(150)는, 제1 디스플레이(180)에 대응하는 제1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해, 접속된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50)는, 제1 사용자의 접속된 외부 장치 내의 컨텐츠 탐색 입력이 경우, 접속된 외부 장치 내의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외부장치에 로그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150)는, 제1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재생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고, 컨텐츠 재생 화면을 제1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50)는, 제1 사용자의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컨텐츠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접속된 외부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155)는, 제2 디스플레이(185)에 대응하는 제2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해, 접속된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제어한다. 이때의 제2 IP는 상술한 제1 IP와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제어부(155)는 제1 제어부(150)와 달리, 별개로 또는 독립적으로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155)는, 제2 사용자의 접속된 외부 장치 내의 컨텐츠 탐색 입력이 경우, 접속된 외부 장치 내의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185)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제2 사용자의 계정으로 외부장치에 로그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2 제어부(155)는, 제2 디스플레이(185)에 표시되는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재생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고, 컨텐츠 재생 화면을 제2 디스플레이(185)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155)는, 제2 사용자의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컨텐츠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접속된 외부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개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사용자 별로 다양한 동작을 개별적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제2 제어부(155)에서 해당 신호 처리를 수행하므로써, 제1 제어부(150)의 신호 처리양을 보다 경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제어부(150)와 제2 제어부(155) 사이에는 각각 또는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저장부(160) 또는 제2 저장부(165)는, 각각 제1 제어부(150) 또는 제2 제어부(155)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저장부(160) 또는 제2 저장부(165)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 저장부(160) 또는 제2 저장부(165)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각각 제1 디스플레이(180), 제2 디스플레이(185)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180) 또는 제2 디스플레이(185)는, 각각 제1 제어부(150) 또는 제2 제어부(155)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제1 디스플레이(180) 또는 제2 디스플레이(185)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180) 또는 제2 디스플레이(185)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디스플레이(185)는, 제1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과 별개로, 픽쳐 인 픽쳐(PIP), 별도의 메뉴, 별도의 컨텐츠 데이터 등을 표시하도록 활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185)는 미디어바(media bar)라고 명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일의 영상표시장치(100) 내에 시청 중인 영상의 방해 없이 별도의 디스플레이에 메뉴 등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별개의 디스플레이는 도 3과 같이 두 개(180,185)일 수 있으며, 도 4와 같이 3개(180,185,187)) 또는 그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각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185) 등은, 제1 디스플레이(18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 외에, 제1 디스플레이(180)의 상부 또는 좌측 또는 우측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90)는, 제1 제어부(150) 또는 제2 제어부(155)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90)로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40)로 송신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40)로부터의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하나로 표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 별로 각각 해당하는 원격제어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으며, 또한 이동형으로서 지상파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위성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ATSC-M/H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H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미디어플로(Media Foward Link Only) 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위성통신, IPTV 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는, TV 수상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된다.
도 1 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5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와 접속 가능한 외부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외부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510), 카메라(520), 게임기기(530), Blu-ray Disc/DVD 플레이어(540) 중 적어도 하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특히, 컴퓨터(510) 등과 함께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컴퓨터(5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것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며, 도 5 내지 도 10은 도 6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영상표시장치(100)와 외부장치가 접속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605). 접속 여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지 여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더넷 단자를 통해 유선 접속되거나, WLAN(Wireless LAN)(Wi-Fi)을 통해 무선접속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150)는, 접속된 외부장치와, 제1 디스플레이(180), 및 제2 디스플레이(185)에 대응하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생성하거나 할당할 수 있으며, 이들을 통해 네트워크를 구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1 제어부(150)는, 제1 제어부(150)는 영상표시장치(100)에 할당되는 IP를 분리하여 제1 IP와 제2 IP로 분리할 수 있다. 이때의 제1 IP와 제2 IP는 사설 IP 또는 가상 IP일 수 있다.
다음, 외부장치가 영상표시장치(100)에 접속되는 경우,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외부 장치에 로그인을 수행한다(S610). 한편, 별도로 제2 사용자의 계정으로 외부장치에 로그인을 수행한다(S615).
도 7은 제1 사용자(710)와 제2 사용자(720)가 각각 제1 디스플레이(180)와 제2 디스플레이(185)를 통해 접속된 외부장치인 컴퓨터(510)에 로그인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컴퓨터(510), 제1 디스플레이(180), 및 제2 디스플레이(185)는,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으며, 각각 해당 IP가 할당될 수 있다. 해당 IP의 할당은 제1 제어부(150)가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710)는 제1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720)는 제2 디스플레이(185)를 통해,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제1 사용자(710)와 제2 사용자(720)의 사용자 입력을 위해, 복수의 원격제어장치(715,725)가 각각 예시된다. 물론, 하나의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각각 로그인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속된 컴퓨터(510)에 각각 사용자 별로 개별적 또는 독립적으로 로그인함으로써, 이후 다양한 동작이 사용자 별로 수행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1 사용자의 외부 장치 내의 컨텐츠 탐색 입력이 있는 경우(S620), 외부 장치 내의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한다(S630). 한편, 별도로, 제2 사용자의 외부 장치 내의 컨텐츠 탐색 입력이 있는 경우(S625), 외부 장치 내의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185)에 표시한다(S635).
도 8은 제1 사용자(710)와 제2 사용자(720)가 접속된 외부장치인 컴퓨터(510) 내의 컨텐츠 탐색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180)와 제2 디스플레이(185)에 컨텐츠 리스트를 각각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제1 사용자(710)가 제1 원격제어장치(715)를 통해, 컴퓨터(510) 내의 컨텐츠 탐색 입력을 수행한 경우, 제1 제어부(150)는, 컴퓨터(510) 내의 컨텐츠 리스트(810)를 제1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컨텐츠 리스트(810)는, 도면과 같이, 동영상 파일, 이미지 파일, 문서 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별도로 제2 사용자(720)가 제2 원격제어장치(725)를 통해, 컴퓨터(510) 내의 컨텐츠 탐색 입력을 수행한 경우, 제2 제어부(155)는, 컴퓨터(510) 내의 컨텐츠 리스트(820)를 제2 디스플레이(185)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접속된 외부장치의 컨텐츠 리스트를 복수의 디스플레이에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 이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다음, 제1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재생 입력이 있는 경우(S640), 해당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한다(S650). 한편, 별도로, 제2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재생 입력이 있는 경우(S645), 해당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655).
도 9는 제1 사용자(710)와 제2 사용자(720)가 각각 제1 디스플레이(180)와 제2 디스플레이(185)에 표시되는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해당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9(a)와 같이, 제1 사용자(710)가 제1 원격제어장치(715)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컨텐츠 리스트(810) 중 동영상 파일(815)을 선택한 경우, 도 9(b)와 같이, 제1 제어부(150)는, 동영상 파일의 재생 화면(860)이 제1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50)는, 영상 처리부(220) 내의 영상 디코더(225)를 통해 동영상 파일(815)을 복호화하고, 영상처리부(220) 내의 스케일러(235)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180)에 맞추어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별개로, 도 9(a)와 같이, 제2 사용자(720)가 제2 원격제어장치(725)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185)에 표시되는 컨텐츠 리스트(820) 중 이미지 파일(825)을 선택한 경우, 도 9(b)와 같이, 제2 제어부(155)는, 이미지 파일의 재생 화면(870)이 제2 디스플레이(185)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별로 해당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어, 사용자 취향에 맞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630 단계(S630) 이후에,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컨텐츠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S665).
도 10은 제1 디스플레이(180)에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한 상태에서, 제1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해당 컨텐츠를 접속된 외부장치인 컴퓨터(510)로 전송하는 것을 예시한다.
제1 사용자(710)가 제1 원격제어장치(715)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컨텐츠 탐색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제1 제어부(15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구체적으로, 제1 저장부(160) 또는 제2 저장부(165) 내의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컨텐르 리스트(1010)를 생성하고, 이를 제1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10(a)와 같이, 제1 사용자(710)가 제1 원격제어장치(715)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컨텐츠 리스트(1010) 중 동영상 파일(1015)을 선택한 경우, 제1 제어부(150)는, 동영상 파일(1015)이 접속된 컴퓨터(51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또한, 도 10(b)와 같이, 동영상 파일(1015)이 접속된 컴퓨터(510)로 전송되는 것을 나타내는 화면(1020)을 제1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710)는 선택한 동영상 파일의 전송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사용자와 별개로, 제2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100)의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컴퓨터(51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9)

  1.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별도인 제2 디스플레이;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제1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제2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제1 사용자의 상기 외부 장치 내의 컨텐츠 탐색 입력이 경우, 상기 외부 장치 내의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제어부는,
    제2 사용자의 상기 외부 장치 내의 컨텐츠 탐색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 내의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상기 외부장치에 로그인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사용자의 게정으로 상기 외부장치에 로그인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재생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재생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영상표시장치 내의 컨텐츠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을 송신하는 제1 원격제어장치;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을 송신하는 제2 원격제어장치; 및
    상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을 각각 수신하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IP와 제2 IP를 생성하거나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부여되는 하나의 IP를 상기 제1 IP와 상기 제2 IP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00001852A 2010-01-08 2010-01-08 영상표시장치 KR101689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852A KR101689716B1 (ko) 2010-01-08 2010-01-08 영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852A KR101689716B1 (ko) 2010-01-08 2010-01-08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601A true KR20110081601A (ko) 2011-07-14
KR101689716B1 KR101689716B1 (ko) 2016-12-26

Family

ID=4492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852A KR101689716B1 (ko) 2010-01-08 2010-01-08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805B1 (ko) * 2011-08-11 2013-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500A (ko) * 1997-11-27 1999-06-15 전주범 다화면 텔레비전의 외부입력시 부화면재생제어방법
KR100248585B1 (ko) * 1997-08-25 2000-03-15 구자홍 Pip기능을 가진 인터넷티브이의 영상신호 전송장치 및 그전송방법
KR100856114B1 (ko) * 2008-04-18 2008-09-02 강지민 리모컨을 이용한 텔레비전 음향과 데이터 송수신방법
KR100913924B1 (ko) * 2007-11-01 2009-08-27 주식회사 휴맥스 아이피 방송 수신기에서의 멀티 로그인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8585B1 (ko) * 1997-08-25 2000-03-15 구자홍 Pip기능을 가진 인터넷티브이의 영상신호 전송장치 및 그전송방법
KR19990042500A (ko) * 1997-11-27 1999-06-15 전주범 다화면 텔레비전의 외부입력시 부화면재생제어방법
KR100913924B1 (ko) * 2007-11-01 2009-08-27 주식회사 휴맥스 아이피 방송 수신기에서의 멀티 로그인 장치 및 방법
KR100856114B1 (ko) * 2008-04-18 2008-09-02 강지민 리모컨을 이용한 텔레비전 음향과 데이터 송수신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805B1 (ko) * 2011-08-11 2013-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716B1 (ko) 201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412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37734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2632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5189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80351A (ko) 영상표시장치
US8768149B2 (en) User interface provision method and a system using the method
KR101689716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1002680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5803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1921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2049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48851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3940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65934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7559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4518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08631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08632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01833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KR2011007297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8160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57611A (ko) 타임 테이블 생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7298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2412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8160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