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1573A - Device for purifying of pollutant - Google Patents

Device for purifying of pollut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1573A
KR20110081573A KR1020100001793A KR20100001793A KR20110081573A KR 20110081573 A KR20110081573 A KR 20110081573A KR 1020100001793 A KR1020100001793 A KR 1020100001793A KR 20100001793 A KR20100001793 A KR 20100001793A KR 20110081573 A KR20110081573 A KR 20110081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urified water
water
hous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7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08932B1 (en
Inventor
조재현
Original Assignee
(주)현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보산업 filed Critical (주)현보산업
Priority to KR1020100001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932B1/en
Publication of KR20110081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5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9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Abstract

PURPOSE: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is provided to inflow clean air into a tank after purifying foreign materials in the air flowing into the tank from the outside. CONSTITUTION: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includes a housing, an inducing pipe, a blocking plate, and a first water tank. The housing(10) includes a lower inlet(12) connected to an outlet(1a) of a tank(1). The inducing pipe(21) guides the flow of air, and is located on the higher location than the water level of purified water. The first water tank(20) includes a first cover member(23) for contacting the purified water with air by reversing the flow of the air.

Description

오염물질 정화장치{DEVICE FOR PURIFYING OF POLLUTANT}Pollutant Purification System {DEVICE FOR PURIFYING OF POLLUTANT}

본 발명은 유해물질을 정화하는 오염물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에 혼합된 오염물질을 다단계로 물과 접촉하여 제거할 수 있는 오염물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lutant purifier for purifying harmful substan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llutant purifier that can remove the contaminants mixed in the air in contact with water in multiple stages.

유류저장소, 화학공장 등에는 밀폐된 탱크 내부에서 저장된 액체로부터 증발되어 탱크의 상부에는 오염물질이 기화된 형태로 공기에 섞여 있다.In oil depots and chemical plants, evaporates from liquids stored in closed tanks, and contaminants are mixed in the air in vaporized form on top of the tanks.

상기와 같이, 탱크 내부에 기화된 형태로 존재하는 오염물질은 탱크 내부로 액체가 추가적으로 공급되거나, 온도가 상승되어 압력이 상승되는 경우에는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탱크 내부가 적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minants present in the vaporized form inside the tank are additionally supplied with the liquid or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pressure so that the inside of the tank maintains an appropriate pressure.

한편, 액체로부터 증발한 유해물질은 밀폐된 탱크에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공기와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탱크의 내부에서 증발한 오염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어 대기를 오염시키고, 일부는 외부의 물에 용해가 되어 추가적으로 수질오염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rmful substances evaporated from the liquid has a problem that is discharged with the air when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 closed tank. As such, pollutants evaporated from the inside of the tank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contaminate the air, and some of them are dissolved in external water to cause additional water pollution.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된 탱크(1)의 상부에 덕트(2)를 통하여 오염물질이 섞인 공기를 집진기(3)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집진기(3)의 외측에서 팬(4)을 이용하여 탱크(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면, 탱크(1) 내부에 증발된 오염물질이 덕트(2)를 통하여 공기와 함께 집진기(3)로 유입되어 처리된 후, 정화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1, air mixed with contaminants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or 3 through the duct 2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led tank 1, and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or 3. Inhaling the air in the tank (1) using the fan (4), the contaminants evaporated inside the tank (1)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or (3) together with the air through the duct (2), and then treated,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 purified stat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탱크(1)로부터 간헐적으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정화를 위해서 덕트(2), 집진기(3), 팬(4) 등과 같은 장치를 설치하고, 이들의 작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urify the pollutants intermittently discharged from the tank (1), devices such as the duct (2), the dust collector (3), the fan (4) and the like are installed, the operation of these There is a problem to supply power.

또한, 탱크(1)로부터 저장된 액체가 방출되거나, 온도가 낮아져 압력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이를 보상하기 위해 외부에서 공기가 탱크(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데, 이때 외부로부터 공기와 함께 공기에 섞인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도 유입되어 탱크(1)에 저장된 액체가 오염되거나, 물성이 변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탱크(1)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에 있어서도, 덕트(2), 집진기(3), 팬(4)과 같은 장치들이 마련되고, 이들의 작동을 위해 별도의 전원이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iquid stored in the tank 1 is discharged or the temperature is lowered to reduce the pressure, air is introduced into the tank 1 from the outsid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and dust mixed in the air with the air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Also, foreign substances such as the like may be introduced to contaminate the liquid stored in the tank 1 or the phenomenon of changing physical properties often occurs. Similarly, in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to the tank 1, devices such as the duct 2, the dust collector 3, and the fan 4 are provided, and a separate power source is additionally required for their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밀폐된 탱크에서 증발되어 공기에 혼합된 오염물질이 공기와 함께 배출되는 동안 다단계로 물에 접촉되도록 하여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ile the contaminants evaporated in the sealed tank mixed with the air is discharged with the air in multiple stages to contact the water to remove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to remove the ai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for purific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탱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섞인 이물질을 정화시킨 상태에 청정한 상태의 공기가 탱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for allowing clean air to flow into the tank while purifying foreign substances mixed in air introduced into the tank from the outsid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탱크에서 배출되거나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서 소요되는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that can easily supply the water required to purify the air discharged or introduced from the tan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정화장치는, 상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상부 출입구와 정화수가 유입되도록 급수배관과 연결되는 급수구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 탱크의 배출공에 연통되는 하부 출입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부 출입구가 탱크의 배출공에 연결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부 출입구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공기를 유동하도록 안내하고 정화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단이 정화수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하는 유도관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관의 상방에 마련되어 공기의 유동이 상기 정화수를 통과하도록 하우징의 내부를 유동중인 공기의 유동방향을 반전시켜 정화수와 접촉되도록 하는 제1 커버부재가 형성된 제1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조에 저장된 정화수가 탱크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유도관의 상부에는 단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이 상기 내측벽에 연결되고 하단에 복수의 회수공이 형성되는 차단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pper entrance and the water inlet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so that the purified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respectively, and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hole of the lower tank. Lower entrances are respectively formed, the lower entrance is a housing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of the tank, the upper entrance is installed in the lower entrance to guide the air flow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housing to accommodate the purified water level of the purified water A guide tube positioned higher is formed, and a first cover member is provided above the guide tube to invert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in the housing so that the flow of air passes through the purified water so as to contact the purified water. Including a first tank, to prevent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first tank back to the tank, The upper portion of the induction pipe is formed in a funnel shape so that the cross section is inclined downw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inner wall and a block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recovery holes are formed at the lower end.

상기 제1 커버부재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외측벽에 의해 내부에 정화수를 수용하고, 상방에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하단이 정화수의 수면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공기의 유동방향을 반전시켜 유동중인 공기가 정화수에 접촉되도록 하는 제2 커버부재가 구비되는 제2 수조와, 상기 제2 커버부재의 상부면에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내측벽에 의해과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정화수를 저장하고, 상기 내측벽과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하단이 위치하여 하우징의 내부를 유동중인 공기의 유동방향을 반전시켜 정화수와 접촉되도록 하는 제3 커버부재가 구비되는 제3 수조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By receiving the purified water therein by the outer wall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end of the first cover member, and extends from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above and the lower end is located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purified water to reverse the flow direction of air A second water tank including a second cover member to allow the flowing air to contact the purified water, and an inner wall formed to extend upwardly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member and to store the purified water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It is preferable that a third tank having a third cover member dispos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be in contact with the purified water by reversing the flow direction of air flowing in the housing.

여기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수조의 외측으로 정화수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관찰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bservation window that can determine the level of the purified water to the outside of the first tank.

또한, 상기 각 수조에 저장된 정화수와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각 수조의 저면과 연결되고, 하부에 드레인밸브가 연결된 드레인배관이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bottom of each of the tanks in order to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and the precipitates stored in the respective tanks, the drain valve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와 같은 오염물질 정화장치에 따르면, 탱크 내부에서 액체로부터 증발된 오염물질이 다단계에 걸쳐서 물과 접촉됨으로써 물에 용해되거나, 물에 흡착됨으로써 오염물질은 제거되고 정화된 공기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aminant purifica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contaminants evaporated from the liquid in the tank may be dissolved in water by contact with water in multiple stages, or the adsorbed water may remove contaminants and discharge only the purified air to the outside. have.

또한, 탱크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었을 때, 외부로 도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도 다단계로 접촉되는 물에 의해 제거되므로, 탱크 내부에 저장된 액체에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tank is lowered,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outside are also removed by the water contacted in multiple stages, so that the foreign matters do not mix with the liquid stored in the tank.

아울러, 오염물질,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서 사용되는 물은 상부의 급수밸브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다단으로 구비된 각 수조를 적정한 수위로 채울 수 있고, 초과되는 물은 배수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므로 적정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water used for the removal of contaminants and foreign substances can fill each tank provided in multiple stages inside the housing at an appropriate level by simply opening the upper water supply valve, and excess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hole. It is discharged so that it can maintain the proper level.

그리고, 차단판이 최하부에 위치한 수조에 채워진 물이 파동에 의해 튀어 탱크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Then, the water filled in the tank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locking plate is prevented from splashing by the wave to flow into the tank.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탱크의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내부의 정화수를 채우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이용하여 탱크 내부에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정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이용하여 탱크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 schematic view of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a tank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filling the purified water inside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purifying air containing contaminants in a tank using a contaminant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tank using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정화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정화장치는, 상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상부 출입구(11)와 하부에 오염물질이 탱크(1)의 배출공(1a)에 연통되는 하부 출입구(12)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에 정화수가 유입되는 급수배관(51)과 연결되는 급수구(13)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출입구(12)가 밀폐된 탱크(1)의 배출공(1a)에 연결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정화수가 채위지고, 상방에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반전시켜 정화수와 접촉되도록 하는 커버부재(23)(32)(42)가 구비되며, 다단으로 배치되는 수조(20)(30)(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pollutant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entrance 11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lower entranc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1a of the tank 1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12 are respectively formed, and a water supply port 13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51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flows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discharge hole 1a of the tank 1 in which the lower entrance 12 is closed. The cover member 23 which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0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is filled with purified water and inverts the flow direction of air flowing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to be in contact with the purified water. (32) (42) is provided, and includes a water tank 20, 30, 40 arranged in multiple stag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조가 제1 수조(20), 제2 수조(30), 제3 수조(40)로 3단으로 마련된 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더 많은 수의 수조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tank is provided in three stages of the first tank 20, the second tank 30, and the third tank 40 is describ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large number of tanks may be provided.

하우징(10)은 내부에 정화수(이하, 공기를 정화하는데 사용되는 물을 '정화수'라고 한다)를 수용하고 길이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통형(筒形)의 구조로 형성된다.The housing 10 is formed in a tubular structure to accommodate purified water (hereinafter, water used for purifying air is called 'purified water') and to allow air to f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외부 또는 탱크와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상부 출입구(11)와 하부 출입구(12)가 형성된다.The upper and lower openings 11 and 12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using 10 to allow the outside or the tank and the air to enter and exit, respectively.

상부 출입구(11)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The upper doorway 11 is formed in plural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10.

하부 출입구(12)는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 형성되고, 탱크(1)의 상부면에 형성된 배출공(1a)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 출입구(12)와 배출공(1a) 사이에는 탱크(1)에 저장된 액체 또는 증발된 액체로부터 증발된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기밀되도록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entrance 12 is formed under the housing 10 and is fitted to the discharge hole 1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1. It is preferable to connect between the lower entrance 12 and the discharge hole (1a) to be airtight so that the gas stored in the tank (1) or the vaporized gas from the evaporated liquid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는 급수구(13)가 마련되고, 상기 급수구(13)에 급수밸브(52)가 구비된 급수배관(51)이 연결되어 있어서, 하우징(10)의 내부로 정화수가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A water supply port 13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 and a water supply pipe 51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valve 52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13 to purify water into the housing 10. To be easily supplied.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는 배수구(14)가 형성되어 하우징(10)의 내부에 일정량의 정화수가 채워지거나, 초과되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수구(14)는 폐수정화장치(미도시)와 연결되도록 하여, 만약에 오염된 정화수 또는 탱크(1)에 저장된 액체가 정화수에 섞여 유출되더라도 오염된 상태로 공장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 is formed with a drain 14 so that a certain amount of purified water is filled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 or when the excess flows out. At this time, the drain 14 is connected to the waste water purification device (not shown), so that even if the polluted purified water or the liquid stored in the tank 1 is mixed with the purified water and flowed out, it is not polluted out of the factory. do.

아울러, 하우징(10)의 외측에 외부에서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관찰창(15)이 구비되고, 특히, 하우징(10)의 하부인 제1 수조(20)의 외측에 구비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bservation window 15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o observe the inside from the outside, in particular, to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water tank 20 which is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

제1 수조(20)는 하우징(10)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수조(20)는 하우징(10)의 하부에서 일정 수위의 정화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우징(10)의 하부 중심에 통형으로 형성된 제1 유도관(21)이 설치되어 제1 수조(20)의 내부에 일정수위의 정화수가 채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1 유도관(21)은 하우징(10)이 하부 출입구(12)에 설치되어 정화수를 유동중인 공기와 차단되도록 한다. 제1 유도관(21)의 상단이 상기 배수구(14)보다 높게 위치하고 있어서, 제1 수조(20)가 일정 수위, 즉 하우징(10)의 바닥면으로부터 배수구(14)의 높이까지 수위를 유지하도록 한다.The first water tank 20 is provided below the housing 10. The first water tank 20 is formed to store a predetermined level of purified wate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 the first induction tube 21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the lower center of the housing 10 is installed first The interior of the water tank 20 maintains a state where a predetermined level of purified water is filled. The first induction pipe 21 has a housing 10 is installed in the lower entrance 12 to block the purified water from the air flow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duction pipe 21 is located higher than the drain port 14 so that the first water tank 20 maintains the water level from a bottom level of the housing 10 to a height of the drain port 14. do.

이때, 상기 제1 유도관(21)의 상부 외측에는 단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 차단판(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수조(20)는 탱크(1)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으므로, 탱크(1) 내부의 급격한 압력변화 등에 의해서 제1 수조(20)의 수면에 파동이 발생하여 제1 수조(20)의 정화수가 탱크(1)의 내부로 역류할 수 있는데, 상기 차단판(22)이 1차적으로 정화수를 차단하여 정화수가 제1 유도관(21)을 넘어 탱크(1)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차단판(22)과 제1 수조(20)가 만나는 부분, 즉 상기 차단판(22)의 하단에는 차단판(22)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회수공(22a)이 형성되어 차단판(22)와 제1 유도관(21) 사이에 존재하는 정화수가 제1 수조(20)로 회수되도록 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blocking plate 22 formed in the funnel shape so that the cross section is inclined downward on the upper outer side of the first induction pipe 21. Since the first water tank 20 is located adjacent to the tank 1, a wave i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water tank 20 due to a sudden pressure change in the tank 1, and thus the purified water of the first water tank 20. Can flow back to the inside of the tank (1), the blocking plate 22 primarily blocks the purified water so that the purified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tank (1) beyond the first induction pipe (21). A plurality of recovery holes 22a are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blocking plate 22 at a portion where the blocking plate 22 and the first water tank 20 meet,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blocking plate 22. ) And the purified water present between the first induction pipe 21 is to be recovered to the first tank (20).

제1 커버부재(23)는 하우징(10)의 내측면과 상기 제1 유도관(21) 사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1 커버부재(23)의 하단은 제1 수조(20)에 저장된 정화수의 수면에 인접하도록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커버부재(23)의 하단은 정화수의 수면에 인접하게 잠기도록 한다. 상기 제1 커버부재(23)는 하우징(10)의 내부를 유동중인 공기가 제1 커버부재(23)의 하단을 통과하기 위하여 유동방향이 반전되면서 공기가 정화수와 접촉되도록 하여,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이하, 탱크 내부의 액체로부터 증발되어 탱크내부의 공기에 섞인 물질을 '오염물질'이라 한다), 이물질(이하, 외부로부터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물질을 '이물질'이라 한다) 등이 용해되거나, 정화수에 흡착되어 정화수에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제거되도록 한다.The first cover member 23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first induction pipe 21,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ver member 23 is in the first tank 20 It is positioned to be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stored purified water, and preferably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ver member 23 is locked to the surface of the purified water. The first cover member 23 includes air in contact with the purified water while the flow direction is reversed so that the air flowing in the housing 10 passe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ver member 23. Contaminants (hereinafter, substances evaporated from the liquid inside the tank and mixed in the air inside the tank are called 'pollutants') and foreign substances (hereinafter,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to the tank from the outside are called 'foreign substances') ) Is dissolved or adsorbed into the purified water and mixed with the purified water to be removed.

제2 수조(30)는 상기 제1 수조(20)의 상방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수조(30)는 저면이 상기 제1 커버부재(23)의 상부면과 겸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재(23)의 상부면으로부터 외측벽(31)이 상방으로 연장됨으로써, 그 내부에 정화수를 수용한다.The second tank 30 is located above the first tank 20. The second water tank 30 extends upwar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cover member 23 so that the bottom surface also serves as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cover member 23, thereby purifying water therein. To accept.

상기 제2 수조(30)의 상방에도 하우징(10)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반전시켜 공기가 정화수에 접촉되도록 하는 제2 커버부재(32)가 구비된다. 제2 커버부재(32)는 하우징(10)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조(30)의 내부를 향하여 하향되게 형성되며, 하단은 상기 제2 수조(30)의 저장된 정화수의 수면에 인접하도록 하되, 바람직하게는 정화수의 수면에 인접하게 잠기도록 한다.The second cover member 32 is also provided above the second water tank 30 to reverse the flow direction of air in the housing 10 so that the air contacts the purified water. The second cover member 32 is formed to extend toward the center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is formed downward toward the interior of the second tank 30, the lower end of the second tank 30 is stored It is to be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purified water, preferably to be immersed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purified water.

제3 수조(40)는 상기 제2 수조(3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3 수조(40)는 내측벽(41)이 관형(管形)의 형태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하우징(10)의 내주면과 내측벽(41) 사이에 정화수를 저장한다. 상기 제3 수조(40)의 저면은 상기 제2 수조(30)의 상부면과 겸하게 된다.The third water tank 40 is installed above the second water tank 30. The third water tank 40 is formed such that the inner wall 41 extends upward in a tubular shape, and stores purified water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inner wall 41.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water tank 40 serves a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water tank 30.

제3 수조의 상방에도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켜 공기아 정화수에 접촉되도록 하는 제3 커버부재(42)가 구비된다. 상기 제3 커버부재(42)는 상기 U자형태를 뒤집어 놓은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제3 수조(40)의 정화수의 수면에 인접하고, 바람직하게는 정화수의 수면에 인접하게 잠기도록 형성된다.A third cover member 42 is also provided above the third water tank so as to contact the air purifying water by chang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The third cover member 42 is formed in an inverted form of the U-shape, the lower end is adjacent to the water surface of the purified water of the third tank 40, preferably form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water surface of the purified water. do.

상기와 같이, 제1 수조(20), 제2 수조(30), 제3 수조(40)가 배치된 것과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 다단으로 수조를 배치하고, 하우징(10)의 길이방향(도 2기준 상하방향)으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되, 제1 커버부재(23), 제2 커버부재(32) 및 제3 커버부재(42)에 의해서 공기의 유동방향이 전환되도록 하여 유동중인 공기가 수조(10)(20)(30)에 저장된 공기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순차적으로 수조에 저장된 정화수와 접촉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as the first water tank 20, the second water tank 30, and the third water tank 40 are arranged, the water tank is arranged in multiple stages inside the housing 10, and the length of the housing 10 is provided. The air flows in a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based on FIG. 2), but the flow direction of air is switched by the first cover member 23, the second cover member 32, and the third cover member 42. By bringing the air into contact with the air stored in the water tanks 10, 20 and 30, the air is sequential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아울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조(20), 제2 수조(30) 및 제3 수조(40)의 저면에 쌓인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드레인배관(6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7, it is preferable that a drain pipe 61 is provided to remove deposits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tank 20, the second tank 30 and the third tank (40). Do.

상기 드레인배관(61)은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 수조(20), 제2 수조(30) 및 제3 수조(40)의 저면을 각각 드레인배관(61)에 연결되도록 하고, 드레인배관(61)의 하부에 드레인밸브(62)(63)를 구비한다. 상기 드레인밸브는 제1 드레인밸브(62)와 제2 드레인밸브(63)로 마련되어, 제1 드레인밸브(62)는 제1 수조(20)의 드레인시 사용되고, 제2 드레인밸브(63)는 제2 수조(30)와 제3 수조(40)의 드레인시 사용된다. 제1 드레인밸브(62)는 드레인배관(61)상에 구비되어 제1 수조(20)에 채워진 정화수가 드레인되도록 한다. 제2 드레인밸브(63)는 제2 수조(30) 및 제3 수조(40)에 채워전 정화수가 드레인되도록 하기 위해 드레인배관(61)상에 구비되는데, 제2 수조(30)와 제3 수조(40)의 합기점의 하류에 위치하되, 제1 수조(20)와의 합기점의 상류에 위치하도록 한다.The drain pipe 61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and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tank 20, the second tank 30, and the third tank 40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drain pipe 61. In order to be connected, drain valves 62 and 63 are provided below the drain pipe 61. The drain valve is provided with a first drain valve 62 and a second drain valve 63, the first drain valve 62 is used when draining the first water tank 20, the second drain valve 63 is It is used at the time of draining the 2 tank 30 and the 3rd tank 40. FIG. The first drain valve 62 is provided on the drain pipe 61 to drain the purified water filled in the first water tank 20. The second drain valve 63 is provided on the drain pipe 61 to drain the purified water before filling the second and third tanks 30 and 40. The second and third tanks 30 and 3 It is located downstream of the aeration point of 40, so as to be located upstream of the aeration point with the first water tank (20).

상기 제1 수조(20), 제2 수조(30) 및 제3 수조(40)에 침전물이 쌓이거나 정화수가 오염되면, 상기 드레인밸브(62)(63)를 개방하여 정화수를 모두 배출함으로써, 오염된 정화수와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다.
When deposits accumulate in the first water tank 20, the second water tank 30, and the third water tank 40 or the purified water is contaminated, the drain valves 62 and 63 are opened to discharge all the purified water. Purified water and sediment can be remov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Using the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for the action of removing contaminants.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정화장치는 내부에 정화수를 채운 후, 탱크 내부에서 증발된 오염물질이 하우징(1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이 제거되도록 하여 오염물질이 정화되도록 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도 하우징(1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탱크의 내부로 유입되어 탱크의 압력저하를 보상하게 된다.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illing the purified water therein, the pollutants evaporated in the tank pass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 to remove the pollutants to purify the pollutants, which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is also introduced into the tank while the foreign matter is re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to compensate for the pressure drop of the tank.

하우징(10)의 내부에 정화수를 채우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급수밸브(52)를 개방시키면, 급수배관을 통하여 하우징(10)의 내부로 정화수가 유입된다. 유입된 정화수는 상부에 위치한 제3 수조(40)부터 채우고 제2 수조(30), 제1 수조(20)의 순으로, 상부에 위치한 수조부터 하부에 위치한 수조까지 순차적으로 채운다.Looking at the process of filling the purified water in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ure 4, when the upper water supply valve 52 is opened, the purified water flows in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The introduced purified water is filled from the third tank 40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second tank 30 and the first tank 20 in order, and sequentially filled from the upper tank to the lower tank.

급수구(13)를 통하여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정화수는 최상부에 위치한 제3 수조(40)를 채우기 시작한다. 계속해서 정화수가 공급되면, 제3 수조(40)를 채우고 넘쳐서 하부로 흐른다. 제3 수조(40)가 다 채워지면, 정화수는 제2 수조(30)로 유입되어 제2 수조를 채우고, 제2 수조(30)가 채워지면, 제2 수조(30)에서 넘쳐서 제1 수조(20)를 채운다.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water inlet 13 starts to fill the third tank 40 located at the top. Subsequently, when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the third water tank 40 is filled and overflowed to flow downward. When the third tank 40 is filled, the purified water flows into the second tank 30 to fill the second tank, and when the second tank 30 is filled, the second tank 30 overflows from the second tank 30 to fill the first tank ( 20).

하우징(10) 내부의 제1 수조(20), 제2 수조(30) 및 제3 수조(40)가 모두 채워지면, 정화수는 배수구(1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시작하고, 이때 급수밸브(52)를 폐쇄시켜 더 이상 외부로부터 정화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최하부에 위치한 제1 수조(20)가 채워지면, 그 상부에 위치한 수조들은 모두 채워진 것이고, 따라서 관찰창(15)을 통하여 제1 수조(20)에 정화수가 채워진 것을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하우징(10) 내부에 정화수가 채워진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first tank 20, the second tank 30, and the third tank 40 in the housing 10 are all filled, the purified water start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14, and 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valve ( 52) so that no further clean water is introduced from outside. When the first tank 20 located at the bottom is filled, the tanks located at the upper part are all filled, and thus the housing 10 may be simply checked to confirm that the first tank 20 is filled with purified water through the observation window 15. ) You can check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inside.

한편, 필요에 따라 급수밸브(52)를 일부 개방시켜 지속적으로 소량의 정화수가 하우징(10)의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오염된 정화수는 외부로 배출되고 깨끗한 정화수가 유입되도록 운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necessary, by partially opening the water supply valve 52 so that a small amount of purified water flows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 continuously, the contaminated purified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be operated so that clean purified water flows in. It may be.

하우징(10)이 내부에 위치한 제1 수조(20), 제2 수조(30) 및 제3 수조(40)에 정화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탱크의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탱크(1)의 빈 공간으로 증발한 오염물질은 하우징(10)의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The empty space of the tank 1 when the pressure of the tank rises with the purified water filled in the first tank 20, the second tank 30, and the third tank 40 in which the housing 10 is located. The contaminants evaporated by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예컨대, 탱크(1)의 내부로 저장하고자 하는 액체가 추가로 투입되거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등과 같은 경우에 탱크(1)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면, 탱크(1) 내부의 공기중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탱크(1) 내부가 적정압력을 유지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liquid to be stored into the tank 1 is additionally added, or when the temperature rises, for example,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tank 1 rises, a part of the air inside the tank 1 is released. The inside of the tank (1) to maintain the proper pressure.

탱크(1)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 내부의 공기는 제1 유도관(21)을 통하여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제1 수조(20)를 통과하여 제2 수조(30)와 하우징(1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한다. 이때, 공기는 제1 커버부재(23)의 하단을 통과해야 하므로, 공기의 유동방향이 반전되어 제1 수조(20)의 정화수와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유도관(21)을 통하여 상향되도록 유동한 공기는 제1 커버부재(23)를 통과하기 위하여 하향되면서 정화수에 접촉되고, 제1 커버부재(23)를 통과하면 다시 상향되도록 유동한다. 탱크(1) 내부의 공기가 제1 수조(20)를 통과하는 동안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 중에서 수용성 오염물질은 정화수에 용해되고, 비수용성 오염물질은 표면장력에 의해서 정화수에 섞이게 되어 오염물질의 일부가 제거된다.When the pressure inside the tank 1 increases, as shown in FIG. 5, the air inside the tank 1 flows in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first induction pipe 21, and then the first water tank. It passes through the 20 and moves to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water tank 30 and the housing 10. At this time, since the air must pas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ver member 23,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s reversed to contact the purified water of the first water tank (20). That is, the air flowing upward through the first induction pipe 21 contacts the purified water while passing downward through the first cover member 23, and flows upward again when passing through the first cover member 23. do. While the air in the tank 1 passes through the first tank 20, among the pollutants contained in the air, the water-soluble contaminants are dissolved in the purified water, and the non-aqueous contaminants are mixed with the purified water by the surface tension. Some are removed.

이때, 제1 수조(20)의 수면은 공기의 이동에 의해서 파동이 발생하여 탱크(1)로 역류하여 유입될 수 있는데, 차단판(22)이 파동에 의해서 제1 수조(20)에 채워진 정화수가 탱크(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차단판(22)은 깔때기와 같이 위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파동에 의해서 정화수가 차단판(22)의 상단을 넘게 되더라도, 차단판(22)의 상단과 제1 유도관(21)의 상단이 이격되어 있어서 제1 유도관(21)에는 도달하지 않으므로, 탱크(1)의 내부로는 유입되지 않는다. 아울러, 차단판(22)의 상단을 넘은 정화수를 차단판(22) 하부에 형성된 회수공(22a)을 통하여 다시 제1 수조(20)로 유입된다.At this time, the water surface of the first tank 20 may be introduced by flowing back to the tank 1 by the generation of a wave by the movement of air, the blocking plate 22 is purified water filled in the first tank 20 by the wave Is blocked from entering the tank (1). The blocking plate 22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as the funnel is upward, so that even if the purified water exceeds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22 due to a wave,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22 and the first induction pipe 21 are formed. Since the upper end of the) does not reach the first induction pipe 21, it does not flow into the tank 1. In addition, the purified water beyond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22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water tank 20 again through the recovery hole 22a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locking plate 22.

제1 수조(20)를 통과한 탱크(1) 내부의 공기는 다시 제2 수조(30)를 통과한다. 상기 제2 수조(30)를 통과하는 동안에도 제2 커버부재(32)의 하단을 통과해야 하므로 유동중인 공기는 다시 하향되었다가 상향되어야 하므로, 정화수와 접촉되어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정화수에 용해되거나, 혼합되어 오염물질이 제거된다.The air inside the tank 1 passing through the first tank 20 passes again through the second tank 30. Since 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ver member 32 even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water tank 30, the air in flow should be downward and upward again. Therefor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in contact with the purified water are transferred to the purified water. Dissolved or mixed to remove contaminants.

다시 제2 수조(30)를 통과한 공기는 상부로 이동하여 제3 수조(40)를 통과한 후 상부 출입구(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water tank 30 again moves upward and passes through the third water tank 4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entrance 11.

마찬가지로, 제3 수조(40)를 통과하는 동안에도 제3 커버부재(42)에 의해 공기의 유동방향이 반전되어 정화수에 접촉됨으로써,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정화수에 용해되거나, 혼합되어 최종적으로 제거된 상태가 되어 외부로 배출된다.Similarly, while passing through the third water tank 40, the flow direction of air is reversed by the third cover member 42 to contact the purified water, whereby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are dissolved or mixed in the purified water and finally It is remov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이, 탱크(1) 내부에서 증발에 의해서 공기에 섞어있던 오염물질은 공기가 제3 수조(40), 제2 수조(30) 및 제1 수조(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동안, 제1 커버부재(23), 제2 커버부재(32) 및 제3 커버부재(42)에 의해서 상향되도록 유동하는 공기가 일시적으로 하향하면서 정화수와 접촉되면서 오염물질 중에서 수용성인 것은 정화수에 용해되고, 비수용성인 것은 표면장력에 의해 정화수에 흡착된 후 정화수에 혼합되어 순차적으로 제거되어, 기준치 이하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상태의 청정한 공기로 외부로 배출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minants mixed in the air by evaporation inside the tank 1 are discharged while the air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third bath 40, the second bath 30, and the first bath 20. As the air flowing upward by the first cover member 23, the second cover member 32, and the third cover member 42 is in contact with the purified water while being temporarily downward, the water-soluble ones of the contaminants are dissolved in the purified water, Adults are adsorbed to the purified water by surface tension, mixed with the purified water, and sequentially remov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clean air containing contaminants below the reference value.

한편, 탱크(1)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온도가 낮아져서 탱크(1)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는 경우, 탱크(1) 내부의 압력을 보상하기 위해서 외부에서 공기가 탱크(1) 내부로 유입되는데, 이때에는 탱크(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의 역순으로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압력차에 의해서 하우징(1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공기가 유동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iquid in the tank 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r the temperature is lowered and the pressure in the tank 1 is lowered, air from the outside into the tank 1 to compensate for the pressure in the tank 1. In this case, ai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 the reverse order of the process in which the air inside the tank 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air flows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 by the pressure difference.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는 상부 출입구(11)를 통하여 하우징(10)의 상부로 유입되고, 이후 제3 수조(40), 제2 수조(30) 및 제1 수조(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것으로서, 다단계에 걸쳐서 외부공기가 정화수와 접촉하게 되므로,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비롯한 각종 이물질이 정화수에 용해되거나, 표면장력에 의해서 혼합되는 형태로 제거되고, 청정한 상태의 공기가 탱크(1)의 내부로 유입되어 탱크(1) 내부의 압력을 보상하는 과정에서 외부 공기와 함께 이물질이 탱크(1)로 유입되어 탱크(1)에 저장된 물질이 변질되지 않는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6,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 through the upper door 11, after which the third tank 40, the second tank 30 and the first tank ( 20) in order to pass through the outside air in contact with the purified water in multiple stages, so that various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dust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is dissolved in the purified water or mixed by the surface tension is removed, clean state In the process of compensating the pressure of the inside of the tank (1) to compensate the pressure inside the tank 1 of the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into the tank (1) with the external air does not alter the material stored in the tank (1).

이때에도, 하향하는 공기의 유동이 제3 커버부재(42), 제2 커버부재(32) 및 제1 커버부재(23)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상향되면서 강제적으로 정화수에 접촉한다.In this case, the downward flow of air is forced upwardly by the third cover member 42, the second cover member 32, and the first cover member 23, thereby forcibly contacting the purified water.

아울러,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정화수가 오염되거나, 제1 수조(20), 제2 수조(30) 또는 제3 수조(40)의 바닥에 침전물이 침전되는 경우에는 이를 외부로 배출하여 정화수가 오염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purified water is contaminated due to long time use, or when a precipitate is precipitat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tank 20, the second tank 30, or the third tank 40,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contaminate the purified water. Keep it in an unhealthy state.

이를 위해서, 드레인배관(61)에 구비된 드레인밸브(62)(63)를 개방시키면, 제1 수조(20), 제2 수조(30) 및 제3 수조(40)의 정화수도 외부로 배출하고, 함께 침전된 침전물도 외부로 배출시킨다. 즉, 제1 수조(20)에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하거나 정화수를 배수시키기 위해서는 제1 드레인밸브(62)를 개방시켜 제1 수조(20)의 정화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드레인밸브(62)는 제2 수조(30) 및 제3 수조(40)와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제1 드레인밸브(62)를 개방하면 제1 수조(20)의 정화수가 외부로 배출될 뿐, 제2 수조(30) 및 제3 수조(40)의 정화수는 배출되지 않는다. 아울러, 제2 수조(30) 및 제3 수조(40)의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추가로 제2 드레인밸브(63)를 개방시킴으로써, 제2 수조(30) 및 제3 수조(40)의 정화수와 함께 침전물이 외부로 배출된다.To this end, when the drain valves 62 and 63 provided in the drain pipe 61 are opened, the purified water of the first tank 20, the second tank 30, and the third tank 40 is also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sediment deposited togeth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at is, in order to discharge the precipitate to the first water tank 20 or drain the purified water, the first drain valve 62 is opened to allow the purified water of the first water tank 2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drain valve 62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second tank 30 and the third tank 40, when the first drain valve 62 is opened, the purified water of the first tank 20 is externally provided. Only discharged to the purified water of the second tank 30 and the third tank 40 is not discharged. In addition, in order to discharge the sediment of the second water tank 30 and the third water tank 40 to the outside, by additionally opening the second drain valve 63, the second water tank 30 and the third water tank 40 The sedimen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purified water.

상기와 같이, 오염된 정화수가 외부로 배출된 후에 새로이 외부에서 급수배관(51)을 통하여 청정한 정화수를 공급함으로써, 다시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제거장치를 통하여 탱크(1) 내부에서 증발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외부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탱크(1)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contaminated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purified purified water is newly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51, and the pollutants evaporated inside the tank 1 through the pollutant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move or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outside to allow the air to enter the tank (1).

1 : 탱크 1a : 배출공
2 : 덕트 3 : 집진기
4 : 팬 10 : 하우징
11 : 상부 출입구 12 : 하부 출입구
13 : 급수구 14 : 배수구
15 : 관찰창 20 : 제1 수조
21 : 제1 유도관 22 : 차단판
22a : 회수공 23 : 제1 커버부재
30 : 제2 수조 31 : 외측벽
32 : 제2 커버부재 40 : 제3 수조
41 : 내측벽 42 : 제3 커버부재
51 : 급수배관 52 : 급수밸브
61 : 드레인배관 62, 63 : 드레인밸브
1 tank 1a discharge hole
2: duct 3: dust collector
4: fan 10: housing
11: upper doorway 12: lower doorway
13: water outlet 14: drain
15: observation window 20: first tank
21: first guide tube 22: blocking plate
22a: recovery hole 23: first cover member
30: second tank 31: outer wall
32: second cover member 40: third water tank
41 inner wall 42 third cover member
51: water supply pipe 52: water supply valve
61: drain pipe 62, 63: drain valve

Claims (4)

상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상부 출입구(11)와 정화수가 유입되도록 급수배관(51)과 연결되는 급수구(13)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 탱크(1)의 배출공(1a)에 연통되는 하부 출입구(1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부 출입구(12)가 탱크(1)의 배출공(1a)에 연결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부 출입구(12)에 설치되어 하우징(10)의 축방향으로 공기를 유동하도록 안내하고 정화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단이 정화수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하는 유도관(21)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관(21)의 상방에 마련되어 공기의 유동이 상기 정화수를 통과하도록 하우징(10)의 내부를 유동중인 공기의 유동방향을 반전시켜 정화수와 접촉되도록 하는 제1 커버부재(23)가 형성된 제1 수조(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조(20)에 저장된 정화수가 탱크(1)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유도관(21)의 상부에는 단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이 상기 내측벽(21)에 연결되고 하단에 복수의 회수공(22a)이 형성되는 차단판(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정화장치.
An upper entrance 11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a water supply 13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51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upper portion, and a lower entranc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1a of the lower tank 1, respectively. 12 are each formed, the lower entrance 12 is a housing 1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1a) of the tank (1),
Induction pipe 21 is formed in the lower entrance 12 to guide the air to flow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and to receive the purified water, the upper end is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purified water is formed, the induction pipe A first water tank provided with a first cover member 23 provided above the 21 to contact the purified water by invert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flowing air through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flow of air passes through the purified water; 20),
In order to prevent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first water tank 20 from flowing back to the tank 1, the upper portion of the induction pipe 21 is formed in a funnel shape so that the cross section is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the inner wall 21.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blocking plate 22 which is connected to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recovery holes (22a) at the botto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재(23)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외측벽(31)에 의해 내부에 정화수를 수용하고, 상방에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하단이 정화수의 수면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공기의 유동방향을 반전시켜 유동중인 공기가 정화수에 접촉되도록 하는 제2 커버부재(32)가 구비되는 제2 수조(30)와,
상기 제2 커버부재(32)의 상부면에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내측벽에 의해과 하우징(10)의 내측면 사이에 정화수를 저장하고, 상기 내측벽과 하우징(10)의 내측면 사이에 하단이 위치하여 하우징(10)의 내부를 유동중인 공기의 유동방향을 반전시켜 정화수와 접촉되도록 하는 제3 커버부재(42)가 구비되는 제3 수조(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wall 31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end of the first cover member 23 accommodates the purified water therein, and extends up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has a lower end adjacent to the water surface of the purified water. A second water tank 30 having a second cover member 32 positioned to invert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to contact the purified water;
Purified water is stor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by an inner wall extending upward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member 32, and a lower end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a third water tank (40) having a third cover member (42) for positioning the housing (10) to reverse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in contact with the purified wat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제1 수조(20)의 외측으로 정화수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관찰창(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10) is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observation window (15) is formed to determine the level of the purified water to the outside of the first tank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조(20)(30)(40)에 저장된 정화수와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각 수조(20)(30)(40)의 저면과 연결되고, 하부에 드레인밸브(62)(63)가 연결된 드레인배관(6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each of the tanks 20, 30, 40 to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and the precipitates stored in each of the tanks 20, 30, 40, drain valves 62, 63 ) Is further provided with a drain pipe 61 connected to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KR1020100001793A 2010-01-08 2010-01-08 Device for purifying of pollutant KR1011089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793A KR101108932B1 (en) 2010-01-08 2010-01-08 Device for purifying of pollut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793A KR101108932B1 (en) 2010-01-08 2010-01-08 Device for purifying of pollut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573A true KR20110081573A (en) 2011-07-14
KR101108932B1 KR101108932B1 (en) 2012-01-31

Family

ID=44920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793A KR101108932B1 (en) 2010-01-08 2010-01-08 Device for purifying of pollut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93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4575A (en) * 2012-05-11 2012-11-07 天融环科(北京)科技有限公司 Closed air purifying and wash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4880A (en) 1977-05-03 1980-07-29 Kamphorst Hendrik A Liquid seal system, e.g. for a flare stack
JPH09155138A (en) * 1995-12-05 1997-06-17 Hirata Kyogyo Kumiai Gas filter
KR100836154B1 (en) 2006-12-29 2008-06-09 이영윤 Air cleaner having water fil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4575A (en) * 2012-05-11 2012-11-07 天融环科(北京)科技有限公司 Closed air purifying and washing device
CN102764575B (en) * 2012-05-11 2015-07-29 天融环科(北京)科技有限公司 A kind of hermetic type purification of air wash mi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8932B1 (en) 201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4970B (en) A device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a flowing liquid or gas
KR100900714B1 (en) Apparatus to purify polluted water
KR101486882B1 (en) Exhaust gas cleaning system for ship
KR102157572B1 (en) Scum and sediment removal apparatus for dust collecting deodorizer
KR101772913B1 (en) Mobile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KR101446272B1 (en) Oil-water separator
KR101108932B1 (en) Device for purifying of pollutant
RU2453354C1 (en) Self-cleaning filter
KR101286279B1 (en) Apparatus for treating non-point contaminants(atnc)
KR101217869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KR101827915B1 (en) Apparatus for removing bad smell
KR102091861B1 (en) Top down pip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er
JP2015013221A (en) Water treatment equipment using filter sand
KR101431325B1 (en) Wast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KR20220090838A (en) Equopment for treating rainwater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080093278A1 (en) Fluid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1848790B1 (en) Self-cleaning waste gas scrubber
KR100588259B1 (en) Filtering device of Humidifier
JP2007165653A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bubble
KR102501358B1 (en) Chemical Scrubber for Odor Control System of removing scum and self-cleaning
RU154449U1 (en) FILTER-DIPPER INERTIAL-GRAVITATIONAL
KR101388994B1 (en) Treatment System of Incipient Rainwater with Pollutant and Process of Treating thereof
JP2005081211A (en) Oil separating type overflow structure in apparatus for cleaning drain water
KR101693328B1 (en) Self-cleaning waste gas scrubber
KR101092200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Contaminant from Contaminated Soil and Purifying Contaminated S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