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0693A - 고유정보 신호 발신기능을 갖는 비상 헤드전등을 포함하는 비상구 유도등 - Google Patents

고유정보 신호 발신기능을 갖는 비상 헤드전등을 포함하는 비상구 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0693A
KR20110080693A KR1020100001038A KR20100001038A KR20110080693A KR 20110080693 A KR20110080693 A KR 20110080693A KR 1020100001038 A KR1020100001038 A KR 1020100001038A KR 20100001038 A KR20100001038 A KR 20100001038A KR 20110080693 A KR20110080693 A KR 20110080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flashlight
emergency exit
conservation
indicato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4281B1 (ko
Inventor
김준규
Original Assignee
김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규 filed Critical 김준규
Priority to KR1020100001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2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3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by means of interconnecting elements
    • H01R12/616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by means of interconnecting elements having contacts penetrating insulation for making contact with conductors, e.g. needle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4Power supply or sign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시에 비상유도등 표시장치로부터 탈착시켜 탈출구로 이동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충전한 손전등을 포함한 손전등을 포함하는 절전형 비상구 표시등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화재시 탈출구를 안내해 주는 비상유도등은 연기내에서 발광되어 밝기가 좋지 않아, 평시보다 밝은 인시성이 좋은 LED를 유도방향 표시장치에 비상시에 추가로 발광시키고, 손전등을 자동으로 함께 비추게 함으로 비상등과 같은 역할과 동시에 피난자가 비상손전등을 탈착하여 휴대토록 함으로 탈출구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상시 충전되어 있는 비상손전등을 제공한다. 또한, 손전등 탈착시 위치 발신장치가 가동되어 손전등을 휴대하는 순간부터 손전등 소지자의 위치식별을 가능케 되어 수색 및 조난시에 위치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평시에 기존의 비상유도등으로써 상시전원으로 유도표시등의 발광과 함께 손전등에 충전하는 기능을 사용하고, 상시전원이 차단된 비상시에는 유도등 화살표에 강력한 LED를 발광시키도록 하며 손전등에서는 자동 발광토록 하여 쉽게 유도등의 위치와 방향을 인지할 수 있는 부가기능이 있도록 한다. 손전등이 필요할 시, 피난자 또는 조난자는 손전등을 탈착하여 휴대하여 사용토록 하며 탈착되는 순간부터 500m 이내에서 신호가 감지될 수 있도록 조난신호를 발산시킴으로 화재시 보다 나은 유도표시로 사고예방에 질적 향상을 가져오며 휴대 손전등으로 안전대피를 보장할 수 있는 것으로써, 사고예방 기여와 별도의 손전등 충전을 위한 건전지 소모가 없는 자원 낭비적인 요소를 많이 줄여 환경보존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Description

비상 손전등을 포함하는 절전형 비상구 표시등 {The conservation of electricity style emergency exit indicator light which includes a emergency flashlight}
본 발명은 건물내 화재와 같은 비상시 비상구를 유도하는 시안성이 좋은 비상유도등 및 비상손전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것은 비상구 유도등과 손전등을 분리 위치시킴으로 손전등이 있는 위치를 다시금 파악하거나 이를 위해 손전등의 지속적인 유지를 위해 건전지를 교체하는 등의 자원 소모적인 방법으로 비상등 및 통로 찾는 손전등을 관리 운용하여 왔다. 이를 하나의 통합된 장치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장치내에 유도등의 기능을 보다 증대시킨 고휘도 LED를 비상시에 발광시켜 보다 나은 시안성을 도모하였으며, 이 장치에 슬라이딩 기능의 손전등을 함께 충전식으로 갖추어 별도의 손전등 관리가 필요없이 비상시에 유도등 시안성 및 비상손전등을 상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손전등은 비상시 상전이 차단되었을 때, 자동 점등토록 하며 비상전등과 같은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비상손전등을 장치에서 탈착시에 내부 회로에 의해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발산하게 함으로써 대피자가 조난되었을 시에 위치 확인기를 통해 건물내 어디에 있는지를 확인 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부여하였다.
위치식별을 위한 일정한 주파수의 세기로 발신장치의 위치를 확인하는 전파측정법을 활용하여 조난자의 위치 파악과 생존성 여부를 쉽게 확인토록 하는 기능을 내장함으로 단순한 손전등 역할에서 벗어난 조난확인용 장치를 겸비한 상시 충전되어 사용가능토록 준비된 강력한 관원의 비상 손전등과 고휘도의 LED를 활용한 시안성을 중요시한 비상유도등 표시장치는 비상시에는 상시 손전등과 함께 유도등이 있는 위치에 함께 있다는개념적 인식을 전환시킴으로 비상용 화재예방 및 처지 장치로서의 역할이 중요하게 될 수 있어 운용성이 좋아질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유도등의 시안성을 증대하기 위해 방향표식에 추가로 시안성이 좋은 고휘도 LED를 장착하여 비상시에 자동 점멸토록 하였으며, 손전등의 상시 충전을 위해 내부에 충전전회로를 채용하여 손전등에 일정용량을 유지할 수 있는 충전식 건전지를 채용한 슬라이딩식의 손전등을 비상유도등장치와 함께 구성하고, 손전등은 비상시 시안성 좋은 LED와 함께 점등되어 비상유도등 주변에 비상전등의 기능을 함께 한다. 또한 손전등이 탈착될 수 있어 조난자 또는 대피자가 필요시에 손전등을 확보토록 하였으며 손전등 내부에 회로를 구성하여 신호발생을 통한 조난 신호를 손전등의 전원이 있는 한 지속 발신토록 함으로써 조난되었을 시에는 즉각적인 조난자의 위치를 식별토록 하는 기능을 채용한다.
본 발명은 상시전원이 차단된 비상시에는 유도등 화살표에 강력한 LED를 발광시키도록 하며 손전등에서는 자동 발광토록 하여 쉽게 유도등의 위치와 방향을 인지할 수 있어 쉽게 대피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며, 조난자는 손전등을 탈착하여 휴대 및 탈착되는 순간부터 500m 이내에서 신호가 감지될 수 있도록 조난신호를 발산시킴으로 화재시, 보다 나은 유도표시로 사고예방에 질적향상을 가져오며 휴대 손전등으로 안전대피를 보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아 사고 예방에 기여와 별도의 손전등 건전지 충전등의 소모가 없는 자원 낭비적인 요소를 많이 줄여 환경보존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
도 1은 발신기가 내장된 손전등과 LED가 추가된 비상유도등 입체도
도 2는 장치내에서의 동작 과정도
도 3은 비상손전등 입체도
도 4는 비상손전등 탈착되는 슬라이딩 구성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상(화재가 발생되어 연기로 덮여 1m 높이 이상은 안보일 경우)시에 전혀 보이질 않고, 또한 그러한 건물 내 어두운 곳을 찾아 갈 수 있도록 휴대용 후레쉬를 비치하는 위치가 제각기 달라, 항상 그 건물을 이용하는 관계자 외에는 비상시에 다소 곤란한 경우가 닥칠 것이라 본다. 그래서 비상시에 대처하는 기본적 개념을 활용한 비상손전등이 포함된 비상구 유도등으로써, 비상구 유도등(10)은 1.2m에 위치하되, 비상손전등(20)을 포함하고 있다는 관념을 각인시켜 항상 비상구 유도등을 확인하고 유사시에는 비상손전등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비상유도등 상단에 손전등(20)을 장착하고 충전식 손전등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시 건전지 용량이 충만되어 있게 하고, 그 손전등이 장착되어진 상태에서의 전면에 비상구유도등을 시안성이 높은 LED(발광다이오드)(11)로 표시장치를 구비하고, 손전등 탈착 시(도4-20)에 자동으로 전면 유도등에 높은 인식이 가능한 녹색 LED(11)로 점등하게 하거나, 상전원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도 비상구유도등을 함께 표시하여 비상구유도등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손전등의 전구도 LED로 전력의 절약효율을 높여 건전지 용량 및 크기에 대비 소방법에 규정한 20분 이상의 밝기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한다. 손전등내부에 500m 이내에서 특정 발신신호를 발신토록 하는 발신기(23)를 내장하여 손전등이 비상유도등에서 탈착되는 순간부터 작동되게 한다.
10은 발명한 비상손전등이 포함된 비상유도등 구성체
11은 유도표시방향으로 구성된 고휘도 LED
12는 본체에서 양각된 내부 점등판 반투명 흰색 아크릴
20은 비상손전등 전체 구성체
21은 전면 볼록 유리(아크릴)판
22는 비상유도등 본체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격자형 삽입틀
23은 손전등 내부 점등용 1W LED가 장착된 기판 및 발신기가 장착된 기판

Claims (1)

  1. 비상(화재가 발생되어 연기로 덮여 1m 높이 이상은 안보일 경우)시에 전혀 보이질 않고, 또한 그러한 건물 내 어두운 곳을 찾아 갈 수 있도록 휴대용 후레쉬를 비치하는 위치가 제각기 달라, 항상 그 건물을 이용하는 관계자 외에는 비상시에 다소 곤란한 경우를 대비할 수 있는 비상손전등이 포함된 비상구 유도등 구성단(10)은 비상손전등(20)을 포함하고 있다는 관념을 각인시켜 항상 비상구 유도등을 확인하고 유사시에는 비상손전등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손전등이 장착되어진 상태에서의 비상시 전원이 차단될 시, 전면에 비상구 유도등을 시안성이 높은 LED(발광다이오드)(11)로 표시를 추가 점멸시키며 대피자 또는 조난자가 손전등 탈착 시(도4-20)에 손전등 내부에 500m 이내에서 특정 발신신호를 발신토록 하는 발신기(23)를 내장되어 조난시나 피난시에 위치를 구조자에 의해 쉽게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체(10)
KR1020100001038A 2010-01-06 2010-01-06 비상 헤드전등을 포함하는 비상유도등 KR101134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038A KR101134281B1 (ko) 2010-01-06 2010-01-06 비상 헤드전등을 포함하는 비상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038A KR101134281B1 (ko) 2010-01-06 2010-01-06 비상 헤드전등을 포함하는 비상유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693A true KR20110080693A (ko) 2011-07-13
KR101134281B1 KR101134281B1 (ko) 2012-04-19

Family

ID=44919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038A KR101134281B1 (ko) 2010-01-06 2010-01-06 비상 헤드전등을 포함하는 비상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2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061B1 (ko) * 2012-10-19 2013-02-08 김준규 휴대용 비상등을 구비한 비상유도등
KR20190026503A (ko) 2017-09-05 2019-03-13 (주)주성지앤비 피난 가이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피난 가이드 시스템
KR102630432B1 (ko) * 2023-04-20 2024-01-31 (주)히트조명 피난 유도등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176A (ko) * 2001-07-25 2003-02-05 이병두 은행 열매 추출물과 호도 열매 추출물을 이용한 천식 치료제
KR20030070505A (ko) * 2002-02-23 2003-08-30 임용남 한방 생약 복합 신물질 트렌스아민류 ex 제법
KR102055631B1 (ko) * 2018-01-06 2019-12-13 주식회사 우정하이텍 스마트 피난구 유도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574A (ko) * 2001-04-06 2002-10-19 김현완 비상 조명등
KR20060041977A (ko) * 2004-03-11 2006-05-12 석찬복 측방 및 후방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등
KR20090008930A (ko) * 2007-07-19 2009-01-22 (주)맨 텍 화재감지 휴대용 손전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061B1 (ko) * 2012-10-19 2013-02-08 김준규 휴대용 비상등을 구비한 비상유도등
KR20190026503A (ko) 2017-09-05 2019-03-13 (주)주성지앤비 피난 가이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피난 가이드 시스템
KR102630432B1 (ko) * 2023-04-20 2024-01-31 (주)히트조명 피난 유도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281B1 (ko)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0693A (ko) 고유정보 신호 발신기능을 갖는 비상 헤드전등을 포함하는 비상구 유도등
KR101230061B1 (ko) 휴대용 비상등을 구비한 비상유도등
KR101407929B1 (ko) 비상구 유도등
RU2550741C2 (ru) Искробезопасный светильник
CN202598156U (zh) 设置有声光报警安全锤的便携式手电
CN105070225A (zh) 一种应急指示灯
KR101302409B1 (ko) 교통안전 경광장비
CN204469043U (zh) 一种基于物联网的消防应急装置
CN204962537U (zh) 一种楼道应急灯装置
TWM480129U (zh) 緊急指示燈裝置
JP3002131U (ja) 携帯用電灯
CN203416465U (zh) 一种带自救红光照明器的消防应急灯
CN207146117U (zh) 一种多功能的消防应急灯
CN106781818A (zh) 一种铁路假设信号灯装置及监测方法
CN108644643A (zh) 一种带指南针和激光灯式强光灯
CN108870178A (zh) 一种多功能的消防应急灯
CN213149925U (zh) 一种智能声光报警安全警示装置
CN215987981U (zh) 一种双向箭头的诱导灯
CN202917004U (zh) 带酒精测试功能的指挥棒
CN203858720U (zh) 指挥棒
KR101272324B1 (ko) 소등 알람장치
KR200353083Y1 (ko) 랜턴 및 조명등 겸용 조명기구
CN204257150U (zh) 一种指示照明一体化消防应急灯具
CN108916684A (zh) 一种带指南针和信号灯式强光灯
CN205048342U (zh) 一种led红外感应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