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9846A - 보청기를 미세 튜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보청기를 미세 튜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9846A
KR20110079846A KR1020117011677A KR20117011677A KR20110079846A KR 20110079846 A KR20110079846 A KR 20110079846A KR 1020117011677 A KR1020117011677 A KR 1020117011677A KR 20117011677 A KR20117011677 A KR 20117011677A KR 20110079846 A KR20110079846 A KR 20110079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data
questionnaire
comput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2868B1 (ko
Inventor
마자 뷜로우
수엘리 아파레시다 카포랄리
스벤드 비팅 앤더슨
Original Assignee
비덱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덱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비덱스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10079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39Aspects relating to automatic logging of sound environment parameters and the performance of the hearing aid during use, e.g. histogram logging, or of user selected programs or settings in the hearing aid, e.g. usage log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55Communication between hearing aids and external devices via a network for data ex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보청기(1)를 피팅하는 방법으로서, 보청기 사용자(6)의 오디오그램을 기록하는 단계, 피팅 설정을 선택하는 단계, 소정 기간 동안 보청기(1)를 사용하는 단계, 보청기가 사용되고 있는 사운드 환경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로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제1 컴퓨터(2) 상에서 컴퓨터 기반의 질문지 - 상기 질문지는 보청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보청기 사용자의 주관적 경험과 관련된 질문들을 포함함 - 를 제공하는 단계, 그 후에 채워진 질문지를 나타내는 질문지 데이터를 인터넷 서버(3)에 업로딩하는 단계, 상기 질문지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 서버로부터 제2 컴퓨터(4)로 다운로딩하는 단계, 상기 로깅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컴퓨터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다운로딩된 질문지 데이터를 상기 로깅된 데이터와 상관시키고 새로운 보청기 설정을 선택하는 단계, 새로운 보청기 설정을 보청기로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청기를 미세 튜닝하는 방법{A METHOD FOR FINE TUNING A HEARING AID}
본 발명은 보청기 및 보청기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보청기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보청기를 피팅(fitting)하는 방법으로서, 보청기 사용자의 오디오그램(audiogram)을 기록하고, 피팅 설정을 선택하여 그 설정을 보청기에서 구현하고, 소정 기간 동안 보청기 사용자에 의해 보청기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며, 보청기가 사용되고 있는 사운드 환경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로깅(logging)하는 것 - 상기 데이터는 보청기 내의 메모리에 로깅됨 - 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청기는 보청기 사용자가 보청기를 사용하기 시작하기 전에 개별 보청기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청력학자, 또는 보청기 피터(fitter)에 의해 조정되는 다수의 상이한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이 조정은 보청기 사용자에 대하여 측정된 오디오그램에 기초한다. 오디오그램은 특정 주파수 범위에서의 청력 손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파라미터는 한편으로는 보청기 사용자의 특정 청력 손실에 보청기를 적응시키기 위한 다수의 기본 파라미터, 예를 들어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증폭 및 압축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보다 복잡한 특징들이 조정을 필요로 할 수 있고, 또는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피드백 취소, 방향적 특성, 고주파수의 저주파수 범위로의 전치, 잡음 감소 기능, 입력 소스의 선택 등이 있다. 특히 처음에 언급한 이들 파라미터는 또한 보통은 개별 보청기 사용자에 관련된 상이한 유형의 청취 상황에도 조정된다.
통상적으로, 다수의 프로그램들이 보청기에 대하여 정의되어 있다. 이들 프로그램은 특정 사운드 환경에서의 청취 상황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모든 파라미터의 미리 선택된 설정을 포함한다. 이들 프로그램은 다양한 상황에서, 예를 들어 차 운전 중, 음악 감상, 미팅 등에서의 청취 상황을 개선하기 위하여 설정된다. 그러면 보청기 사용자는 소정의 사운드 환경에서 적합한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WO A1-2007/04525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보청기는 또한 사운드 환경의 분석에 기초하여 자동 프로그램 선택을 위한 특징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보청기 사용자는 이러한 선택을 뒤집을 가능성을 가질 것이다.
상이한 파라미터, 또는 상이한 프로그램 내의 설정은 보통 적어도 한 번 그리고 보청기의 수명 동안 종종 여러 번 미세 튜닝(fine tuning) 또는 재조정을 필요로 할 것이다. 미세 튜닝에 대한 필요성은 종종 보청기 사용자가 상이한 유형의 사운드 환경에서 보청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어떠한 경험을 겪기 때문에 생긴다. 미세 튜닝의 필요성은 또한 청력 손실의 변화로부터도 생킬 수 있다.
미세 튜닝은, 예를 들어 보청기가 서비스 체크 중에 있을 때, 종종 보청기 사용자와 피터 사이의 상의에 기초한다. 미세 튜닝은 또한 피터를 방문하기 전이나 그 중에 보청기 사용자에 의해 채워진 페이퍼 질문지 또는 다이어리에 기초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질문지는 물리적 및 기능적 양상(예를 들어, 보청기의 귀에의 기계적 피팅), 일반적인 사운드 품질(예를 들어, 피드백에 따른 경험), 조용한 환경에서의 스피치 명료도(speech intelligibility), 잡음 환경에서의 스피치 명료도, 부드러운 사운드, 시끄러운 사운드, 잡음 중의 평안도, 자체 음성 등과 같은 영역들과 관련된 상이한 카테고리의 질문들을 포함한다.
이들 질문지 상의 주관적인 응답에 기초하여, 각각의 카테고리 내에서의 점수가 달성될 수 있고, 피터는 보청기의 조정의 변경을 제안할 수 있다.
EP-A1-1376440으로부터, 인터넷을 통한 정보에 대한 폼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 개시는 중앙 생산 설비에서 이어피스를 제조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더 폼에 대한 것이다.
US-B2-7,200,237은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보냄으로써 보청기 상의 소프트웨어의 일반적인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주관적 질문지 이외에도, 피터는 또한 보청기가 사용된 사운드 환경에 대한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가질 수 있다. WO 2007/045276로부터, 보청기에 의해 보청기가 사용되고 있는 사운드 환경에 대한 통계적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로깅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언급한 2가지 유형의 데이터에 대한 하나의 문제점은 둘 다 피터에게 보청기를 미세 튜닝하기 위한 대략적인 가이드라인만 제공한다는 것이다. 어떠한 것도 사용자가 물리적 측정된 파라미터를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환경을 어떻게 경험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며 보청기를 미세 튜닝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보청기를 미세 튜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보청기의 사용자에게 제1 컴퓨터 상에서 컴퓨터 기반의 질문지 - 상기 질문지는 보청기 사용자의 특정 청력 손실에 맞추어 피팅된 보청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보청기 사용자의 주관적인 경험과 관련된 다수의 질문들을 포함하고, 상기 질문들 각각은 미리 정의된 범위의 표시에 의해 대답될 것임 - 를 채우도록 요청하는 것을 포함하며, 채워진 질문지를 나타내는 질문지 데이터를 인터넷 서버에 업로딩하고, 상기 인터넷 서버로부터 제2 컴퓨터로 상기 질문지 데이터를 다운로딩하고, 상기 로깅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컴퓨터로 이동시키고, 상기 다운로딩된 질문지 데이터와 상기 로깅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청기 설정의 조정을 선택하고, 이들 조정된 보청기 설정을 보청기로 구현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이점은, 보청기의 적용에 대한 사용자의 주관적인 경험에 관하여 보청기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가 보청기에 의해 로깅된 사운드 환경에 대한 데이터와 상관(correlated)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교는 또한 동일한 기간 내에 얻어진 데이터에 대하여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보청기가 사용되고 있는 시간 중의 어느 정도 부분에 상이한 유형의 사운드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 정보를 상이한 유형의 사운드 환경과 관련된 질문에 대한 점수와 비교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로깅된 데이터는 보청기로부터 컴퓨터로 이동되며, 이 컴퓨터로부터 데이터가 인터넷 서버로 업로딩되고, 인터넷 서버로부터 데이터가 피터의 제2 컴퓨터로 다운로딩될 수 있다. 업로딩되면 보청기 메모리는 로깅된 데이터로부터 비워질 수 있다. 이는 또한 피터가 보청기 사용자와 이야기하기 전에 모든 데이터, 즉 로깅된 데이터와 질문지 데이터 둘 다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로깅된 데이터를 보청기로부터 컴퓨터로 이동시키고 이들 데이터를 업로딩하는 단계는 질문지를 채우는 단계와 관련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두 단계는 동일 방법의 일부이더라도 독립적인 시점에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흔히 거의 동시에 또는 적어도 제한된 시간 랙(lag)을 갖고, 예를 들어 동일 날짜에 또는 이틀 내에, 두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질문지 데이터와 로깅된 데이터는 제2 컴퓨터 상의 동일한 소프트웨어 패키지에서 분석되며, 상기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보청기 설정의 조정을 선택하기 위해 적용된다. 이는 2개의 데이터 세트를 서로 관련시키는 것을 보다 쉽게 하며, 피터에게 보다 나은 개요를 제공한다.
보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정된 보청기 설정은 인터넷 서버로 업로딩되며, 인터넷 서버로부터 보청기와 통신하는 컴퓨터로 다운로딩되고, 보청기 사용자의 컴퓨터로 다운로드하는 것에 이어서, 조정된 보청기 설정이 보청기로 구현된다. 그리하여, 보청기 사용자는 이론적으로 피터의 사무실에 갈 필요가 없고, 전화나 이메일을 통해 필요한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질문지 내의 질문들은 다수의 선택 유형으로 이루어지며, 채워진 질문지의 응답을 통계적 분석에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응답에 기초하여 점수를 얻으며 보다 많은 수의 보청기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을 분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부가의 실시예에서, 질문지는 보청기 설정의 조정을 선택하기 전에 서로 다른 날짜에 적어도 두 번 채워진다. 이는 사용자의 경험의 보다 상세한 매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일부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문지 응답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는가? 질문지의 반복된 채워짐으로 인해, 로깅된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상이한 사운드 환경에서 지낸 기간의 변화가 질문지에서의 질문들 중의 일부에 대한 응답의 변화를 초래할 것인지 알아보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질문지를 채우기 위한 시간까지의 지정된 기간에 로깅된 데이터는 보청기 설정의 최적의 조정을 추정하기 위하여 이들 대응하는 질문지 데이터와 비교된다. 이는, 물론 이러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고 하면, 2가지 유형의 데이터 사이의 보다 나은 상관관계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 실시예 및 기타는 일종의 시간 등록을 포함한 데이터 로깅에 의존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보청기에서의 내부 클럭은 부분적으로 전력 소모를 낮게 유지하고자 하는 요구로 인해 매우 정확하지 못하다. 따라서 이 클럭은 예를 들어 컴퓨터에 접속될 때마다 또는 원격 제어를 통해 빈번한 보정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의 실시예에서, 질문지가 특정 기간 내의 보청기에 대한 보청기 사용자 경험과 관련된 질문을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상관관계가 더 개선될 수 있다. 보청기 사용자는 또한 사용자가 실제로 시간을 보내고 있는 사운드 환경을 보청기 로그가 어떻게 분류할 것인지 학습하는 것으로부터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사용자는 소정의 사운드 환경에서 최적의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해 이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보청기를 개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면서 얻어진 데이터가 다수의 보청기 사용자에 대하여 수집되고, 이들 데이터는 개선이 필요한 보청기의 특징을 식별하기 위하여 통계적으로 분석된다. 다수의 보청기 사용자,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100명보다 많은 수의 대다수의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이러한 데이터 세트가 보청기를 개선하는데 유용하고 새로운 툴을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보청기에서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개선하기 위해 다수의 보청기 사용자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면서 얻어지는 데이터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보청기 사용자의 수는 적어도 25명이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명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명이다.
본 발명은 보청기의 클럭을 동기화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보청기가 제1 컴퓨터에 접속될 때마다 인터넷 시간으로 또는 제1 컴퓨터의 시간으로 보청기의 클럭이 설정되는 것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보청기에 의해 로깅된 데이터를 업로딩하는 경우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동기화는 전력 절약 이유로 비교적 부정확한 클럭을 갖는 대부분의 보청기의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다운로딩된 질문지 데이터를 로깅된 보청기 데이터와 상관시키는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며, 상기 2가지 유형의 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면서 얻어진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통상적으로, 얻은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그리고 새로운 보청기 설정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즉 보청기를 미세 튜닝하는데 있어서 피터를 도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보청기를 미세 튜닝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의 단계들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 가지 가능한 구성 중의 하나를 예시한다. 본 방법은 보청기 사용자(6)의 오디오그램의 기록 및 이에 기초하여 보청기(1)에 대한 피팅 설정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설정은 소정 기간 동안 보청기 사용자에 의해 보청기를 사용하여 보청기에서 구현된다. 보청기(1)는 보청기(1)가 사용되고 있는 사운드 환경에 대한 통계적인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로깅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보청기(1)는 바람직하게 인터넷에 직접 또는 제1 컴퓨터(2)와 같은 외부 유닛을 통하여 접속 가능하다. 제1 컴퓨터(2)는 보통의 개인용 컴퓨터이거나 이동 전화와 같은 임의의 유닛일 수 있으며, 이는 인터넷에 접속가능하고 질문지를 채우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구비하거나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하여 진행될 수 있다. 로깅된 데이터는 인터넷 서버(3)를 통하여 보청기 피터(5)의 제2 컴퓨터(4)로 이동될 수 있다. 로깅된 데이터는 또한 피터(5)에게 방문한 동안 제2 컴퓨터(4)로 직접 이동될 수 있다. 로깅된 데이터는 또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무선이나 유선 접속을 통하여 보청기와 접속가능한 컴퓨터 또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와 같은 외부 메모리 상에 임시 저장될 수도 있다. 이는 보청기 메모리가 가득 차 있을 때와 관련될 수 있다. 제1 컴퓨터는 하나보다 많은 수의 디바이스일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나의 제1 컴퓨터는 질문지 데이터를 채우고 업로딩하기 위해 보청기 사용자 또는 친척이나 친구에 의해 적용된 유닛이다. 로깅된 데이터의 저장 및 업로딩에 대하여 동일하거나 상이한 제1 컴퓨터가 사용될 수 있다.
2007년 6월 13일 출원된 국제 출원 PCT/DK2007/050072(미공개)에 기재된 바와 같이, 특정 사운드 환경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호되는 보청기 프로그램이 또한 보청기 메모리에 로깅될 수 있다. 이는 또한 보청기 설정의 미세 튜닝을 선택할 때 피터에 대한 관련 정보일 수도 있다. 특정 유형의 사운드 환경에서 보청기 사용자가 종종 예상되거나 의도되는 것과는 다른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이는 예상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보청기 설정이 보청기 사용자의 특정 요구에 최적이 아님을 나타낼 수 있다.
보청기 사용자(6)는 제1 컴퓨터(2)에 대한 액세스를 갖고 있다. 이 컴퓨터를 통하여 또는 실시에서 인터넷 접속을 구비한 임의의 컴퓨터, 이동 전화 또는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6)는 보청기(1)를 적용한 것에 대한 경험에 관한 질문들을 갖춘 질문지에 액세스할 수 있다. 질문지는 주로 상이한 유형의 청취 상황에서의 사용자 경험과 관련된 상이한 카테고리의 질문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카테고리에서 여러 질문들이 다수의 선택 대답 가능성을 가지고 질문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보청기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경험과 가장 잘 맞는 5개 진술 중의 하나를 선택하도록 요청한다. 질문들의 예가 아래의 표 1에 주어진다.
1. 보청기를 얼마나 자주 사용하는가?
2. 귀에 보청기를 넣는데 어려움이 있는가?
3. 보청기가 귀에 제대로 넣어지면, 삐소리가 나는가(피드백)?
4. 보청기나 이어몰드가 물리적으로 맞는게 편안한가?
5. 보청기를 다룰 때 어려움이 있는가?
6. 총 음량이 어떤가?
7. 두 개의 보청기 사이의 음량이 동일한가(균형)?
8. 총 음고가 어떤가?
9. 조용한 데서 말을 들을 때, 말의 볼륨이 어떤가?
10. 조용한 데서 말을 들을 때, 말의 사운드 품질(명확도)이 어떤가?
11. 멀리 있는 음성이 가까이 있는 음성보다 더 잘들리는 것 같은가?
12. 다른 사람에게 맞추어지도록 조정된 TV 볼륨으로 TV를 볼 때, 프로그램을 얼마나 자주 따를 수 있는가?
13. 여러 사람이 동시에 말하면서 대화하고 있을 때(예를 들어, 식사 상황이나 칵테일 파티 등에서 대화함), 말의 사운드 품질(명확도)가 어떤가?
14. 여러 사람이 동시에 말하면서 대화하고 있을 때(예를 들어, 식사 상황이나 칵테일 파티 등에서 대화함), 말의 볼륨이 어떤가?
15. 시끄러운 장소에서(예를 들어 버스 정류장, 쇼핑 센터 등) 대화하고 있을 때, 말의 사운드 품질(명확도)가 어떤가?
16. 시끄러운 장소에서(예를 들어 버스 정류장, 쇼핑 센터, 분주한 거리 등) 대화하고 있을 때, 말의 볼륨이 어떤가?
17. 주변의 보통 배경 잡음으로 얼마나 많은 말을 이해할 수 있는가?
18. 조용한 주변에서 부드러운 말(예를 들어, 누군가가 부드럽게 말하고 있음)의 볼륨이 적합한가?
19. 조용한 주변에서 부드러운 사운드의 볼륨이 적합한가?
20. 환경음이 자주 짜증스럽게 하는가?
21. 시끄러운 소리가 불편한가?
22. 시끄러운 소리가 불편하다면, 얼마나 자주인지 표시하시오.
23. 시끄러운 소리가 왜곡되기도 하는가?
24. 시끄러운 소리(예를 들어, 시끄러운 음악, 염화 음향 효과, 모터 또는 기계음)가 얼마나 자주 낮추어지는가?
25. 보청기를 착용할 때 자신의 음성의 사운드 품질을 받아들일 수 있는가?
대답 가능성은 표 1에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종종 다수의 선택 유형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보청기 사용자(6)에게는 특정 기간 내에 질문지를 채우도록 요청될 것이다.
사용자에게 또한 두 번 이상 질문지를 채우도록 요청될 수 있다. 질문지는 사용자(6)에게 보청기에 대한 특정 경험을 하나 이상의 특정 기간과 관련시키게 할 질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피터(5)가 특정 사운드 환경에 대해 로깅된 정보와 직접 사용자 경험을 비교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로깅된 데이터와 질문지 데이터 사이의 이러한 관계를 달성하기 위하여, 로깅된 데이터는 비교적 종종, 예를 들어 하루에 한 번 제1 컴퓨터로 이동될 수 있고, 컴퓨터 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특히 관련 사운드 환경을 갖는 기간을 식별하기 위하여 이들 데이터를 즉시 분석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보청기 사용자가 당면하는 사운드 환경일 수 있고, 따라서 보청기 설정의 최적의 조정에 대한 더 높은 요구를 갖는 사운드 환경일 수 있다. 질문지에서의 질문들의 적어도 일부가 특히 이러한 사운드 환경을 갖는 기간과 관련된 것이라면 유리할 것이다. 이는 구체적으로 질문들을 이 기간 내의 사용자의 경험으로 다룸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질문지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는 질문에서 참조되는 기간의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로깅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소프트웨어와 통신하여야 한다. 또한, 관련 사운드 환경을 갖는 기간 직후에 질문지를 채우도록 사용자에게 프롬프트되는 경우 유리할 것이며, 이는 사용자가 보청기의 기능에 대한 경험을 기억하는 것을 보다 쉽게 할 것이다.
보청기 사용자가 질문지 데이터 세트를 형성하는 질문지를 채웠을 때, 이들 데이터는 인터넷 서버에 업로딩될 수 있다. 인터넷 서버로부터, 데이터는 제2 컴퓨터(4)로 다운로딩될 수 있다. 실시에서, 제2 컴퓨터(4) 상의 피팅 소프트웨어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적어도 한 번, 임의의 새로운 데이터가 보청기 사용자로부터 인터넷 서버에 업로딩되었는지 체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며, 상단(10)에서부터 시작하면, 질문지(11)를 채우기 전에, 보청기가 사용 중이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한동안, 예를 들어 피팅 또는 마지막 미세 튜닝 후에 적어도 1-4 주 사용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보청기가 사용될 때 데이터의 로깅(12)은 연속적으로 행해질 것이다. 로깅된 데이터 뿐만 아니라 채워진 질문지나 채워진 질문지로부터 생기는 데이터가 이제 인터넷 서버로 업로딩될 수 있다(13). 이 서버로부터 데이터가 피터에 의해 다운로딩된다(14). 대안으로서, 로깅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보청기 사용자가 피터에게 방문하고 있는 동안, 피터의 컴퓨터로 직접 이동될 수 있다.
로깅된 데이터 뿐만 아니라 질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터는 이제 보청기 설정의 조정, 미세 튜닝 설정(16)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이 결정을 돕기 위해, 피터는 소위 솔루션 가이드(solution guide), 즉 보청기 사용자의 조정에 대한 조언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할 수 있다(15). 이들 조언은 특정 카테고리에서의 질문들의 질문지 데이터의 점수에 기초하며, 다수의 보청기 사용자와의 경험으로부터 전개되는 것이다. 솔루션 가이드 데이터베이스는 또한 사용자의 청력 손실에 대한 정보 및 이전의 조정을 포함한 보청기의 특정 설정을 포함한다. 미세 튜닝이 결정되었을 때(16), 새로운 설정이 보청기로 구현되어야 한다(17). 이는 보통 보청기 사용자가 피터에게 방문한 동안 직접 행해질 것이다. 피터의 컴퓨터로부터 보청기에의 통신은 유선이거나 무선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보청기의 새로운 설정은 또한 인터넷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17).
피터(5)가 보청기에 의해 로깅된 데이터와 질문지 데이터 둘 다를 가질 경우, 하나의 데이터 세트만 갖는 것에 비교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관련한 보청기의 기능의 상당히 더 나은 판단을 얻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더 나은 판단은 또한 보청기의 보다 나은 미세 튜닝을 달성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에서, 2개 데이터 세트가 동일 소프트웨어로 임포팅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는 이러한 데이터 입력에 기초하여 보청기의 최적의 조정으로 피터를 안내하도록 개발된 것이다. 상기 언급한 솔루션 가이드 데이터베이스도 또한 바람직하게 이 소프트웨어의 일부일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결합된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다수의 힌트를 피터에게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소프트웨어는 피터에게 가장 나은 가능한 개요를 제공하는 폼으로 데이터를 단순히 제시할 것이다. 그러면 피터는 이들 힌트나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피터 경험과 보청기 사용자와의 상의에 기초하여 보청기의 파라미터를 미세 튜닝할 것이다.
피터는 통상적으로 보청기 사용자의 방문 동안 보청기에 새로운 미세 튜닝된 파라미터를 기록할 것이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 피터는 또한 단지 전화 대화나 기록된 대응 후에 보청기 사용자와의 면담 상의 없이 데이터를 분석하고 보청기의 미세 튜닝을 선택할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마지막 상황에서 피터는 인터넷을 통하여 보청기로 새로 조정된 설정을 구현할 수 있다.
1: 보청기
2: 컴퓨터
3: 인터넷 서버
4: 컴퓨터
5: 피터
6: 사용자

Claims (11)

  1. 보청기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보청기를 피팅(fitting)하는 방법에 있어서,
    보청기 사용자의 오디오그램(audiogram)을 기록하는 단계;
    피팅 설정을 선택하고 상기 설정을 보청기에서 구현하는 단계;
    소정 기간 동안 보청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보청기를 사용하는 단계;
    상기 보청기가 사용되고 있는 사운드 환경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 - 상기 데이터는 상기 보청기의 메모리에 로깅됨 - 를 로깅(logging)하는 단계;
    제1 컴퓨터 상에서 컴퓨터 기반의 질문지 - 상기 질문지는 보청기 사용자의 특정 청력 손실에 맞추어진 보청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보청기 사용자의 주관적 경험과 관련된 다수의 질문들을 포함하고, 상기 질문들 각각은 미리 정의된 범위의 표시에 의해 대답될 것임 - 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질문지를 채우도록 상기 보청기의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채워진 질문지를 나타내는 질문지 데이터를 인터넷 서버에 업로딩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서버로부터 제2 컴퓨터로 상기 질문지 데이터를 다운로딩하는 단계;
    상기 로깅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컴퓨터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다운로딩된 질문지 데이터를 상기 로깅된 데이터와 상관시키고(correlating), 새로운 보청기 설정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새로운 보청기 설정을 상기 보청기로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청기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깅된 데이터는 상기 보청기로부터 제1 컴퓨터로 이동되며, 상기 제1 컴퓨터로부터 상기 데이터가 인터넷 서버로 업로딩되고, 상기 인터넷 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제2 컴퓨터로 다운로딩될 수 있는 것인, 보청기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질문지 데이터와 상기 로깅된 데이터는 상기 제2 컴퓨터 상의 동일한 소프트웨어 패키지에서 분석되며, 상기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상기 보청기 설정의 조정을 선택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인, 보청기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된 보청기 설정은 인터넷 서버에 업로딩되고, 상기 인터넷 서버로부터 상기 보청기와 통신하는 컴퓨터로 다운로딩되며, 나중에 상기 조정된 보청기 설정을 상기 보청기로 구현하는 것인, 보청기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지 내의 질문들은 복수의 선택 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보청기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지는 상기 보청기 설정의 조정을 선택하기 전에 서로 다른 날짜에 적어도 두 번 채워지는 것인, 보청기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지를 채우기 위한 시간까지의 지정된 기간에 로깅된 데이터는 상기 보청기 설정의 최적의 조정을 추정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질문지 데이터와 비교되는 것인, 보청기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지는 특정 기간 내에 상기 보청기에 대한 보청기 사용자 경험에 관련된 질문들을 포함하는 것인, 보청기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
  9. 보청기의 기능을 최적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면서 얻어진 데이터가 다수의 보청기 사용자에 대하여 수집되고, 부가의 검토 가치가 있는 보청기 피팅의 특징을 식별하기 위하여 통계적으로 분석되는 것인, 보청기의 기능을 최적화하는 방법.
  10. 보청기의 클럭을 동기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제1 컴퓨터에 접속될 때마다 인터넷 시간으로 또는 상기 제1 컴퓨터의 시간으로 보청기의 클럭이 설정되는 것인, 보청기의 클럭을 동기화하는 방법.
  11.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다운로딩된 질문지 데이터를 로깅된 보청기 데이터와 상관시키는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가지 유형의 데이터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인,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17011677A 2008-12-12 2008-12-12 보청기를 미세 튜닝하는 방법 KR101202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8/067421 WO2010066305A1 (en) 2008-12-12 2008-12-12 A method for fine tuning a hearing a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846A true KR20110079846A (ko) 2011-07-08
KR101202868B1 KR101202868B1 (ko) 2012-11-19

Family

ID=40933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677A KR101202868B1 (ko) 2008-12-12 2008-12-12 보청기를 미세 튜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173043B2 (ko)
EP (1) EP2374286B1 (ko)
JP (1) JP5325994B2 (ko)
KR (1) KR101202868B1 (ko)
CN (1) CN102232299A (ko)
AU (1) AU2008365117A1 (ko)
CA (1) CA2746141A1 (ko)
DK (1) DK2374286T3 (ko)
SG (1) SG172113A1 (ko)
WO (1) WO201006630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5594A1 (ko) * 2013-04-24 2014-10-30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사용자 개별 환경 맞춤 방식의 보청기의 피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저장 매체
US9794699B2 (en) 2012-12-13 2017-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ring device considering external environment of user and control method of hearing device
KR102239673B1 (ko) 2019-12-19 2021-04-16 주식회사 더열림 인공지능 기반 능동형 스마트 보청기 피팅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19647A (ko) 2021-08-02 2023-02-0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보청 장치 피팅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8337A1 (en) * 2008-12-10 2010-06-17 Dow Corning Corporation Wet-etchable antireflective coatings
EP2732640A1 (en) * 2011-07-13 2014-05-21 Phonak AG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a hearing device from a remote location
US9906871B2 (en) 2011-08-10 2018-02-27 Phonak Ag Method for providing distant support to a personal hearing system user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uch a method
JP5909669B2 (ja) * 2012-02-08 2016-04-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補聴器と補聴器フィッティングシステムおよび補聴器フィッティング方法
US9814879B2 (en) 2013-05-13 2017-11-14 Cochlear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hearing prosthesis for linguistic evaluation
DK3036915T3 (en) 2013-08-20 2018-11-26 Widex As HEARING WITH AN ADAPTIVE CLASSIFIER
CN105580389B (zh) 2013-08-20 2018-11-30 唯听助听器公司 具有分类器的助听器
EP3036914B1 (en) 2013-08-20 2019-02-06 Widex A/S Hearing aid having a classifier for classifying auditory environments and sharing settings
US10085098B2 (en) * 2013-12-17 2018-09-25 Luis Ignacio MARTINEZ AZKORRA Fine tuning system and method
KR20150111157A (ko) * 2014-03-25 2015-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청기의 소리를 조정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보청기 및 전자 장치
EP3155827B1 (en) * 2014-06-16 2021-10-06 Sonova AG Method for evaluating an individual hearing benefit of a hearing device feature and for fitting a hearing device
AU2014411738A1 (en) * 2014-11-20 2017-05-25 Widex A/S Hearing aid user account management
US10623564B2 (en) 2015-09-06 2020-04-14 Deborah M. Manchester System for real time, remote access to and adjustment of patient hearing aid with patient in normal life environment
US10348891B2 (en) 2015-09-06 2019-07-09 Deborah M. Manchester System for real time, remote access to and adjustment of patient hearing aid with patient in normal life environment
DK3369258T3 (da) * 2015-10-29 2021-01-18 Widex As System og fremgangsmåde til håndtering af en tilpasselig konfiguration i et høreapparat
EP3236673A1 (en) * 2016-04-18 2017-10-25 Sonova AG Adjusting a hearing aid based on user interaction scenarios
DE102016209329B4 (de) * 2016-05-30 2017-12-21 Sivantos Pte. Ltd. Verfahren zur automatisierten Ermittlung von Parameterwerten für ein Hörhilfegerät
US11253193B2 (en) 2016-11-08 2022-02-22 Cochlear Limited Utilization of vocal acoustic biomarkers for assistive listening device utilization
JP6862197B2 (ja) * 2017-01-31 2021-04-21 リオン株式会社 補聴器フィッティングデータ提供方法、補聴器フィッティングデータ提供システム、及び、補聴器フィッティングデータ提供プログラム
US20220201404A1 (en) * 2019-04-18 2022-06-23 Starkey Laboratories, Inc. Self-fit hearing instruments with self-reported measures of hearing loss and listening
US11477583B2 (en) 2020-03-26 2022-10-18 Sonova Ag Stress and hearing device performance
KR20230039637A (ko) * 2020-06-04 2023-03-21 올리브유니온 엘엔씨. 보청 장치 및 보청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17971B1 (it) * 2000-06-16 2003-07-21 Amplifon Spa Apparecchiatura di supporto alla rabilitazione dei deficit dicomunicazione e metodo per la taratura di apparecchi acustici.
US7200237B2 (en) * 2000-10-23 2007-04-03 Apherm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upgrading a hearing aid device
US6840908B2 (en) * 2001-10-12 2005-01-11 Sound I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administered, interactive hearing tests
US20040002899A1 (en) 2002-06-26 2004-01-01 Morten Overgaard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forms for information
WO2005018275A2 (en) * 2003-08-01 2005-02-24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Speech-based optimization of digital hearing devices
US8077889B2 (en) 2004-01-27 2011-12-13 Phonak Ag Method to log data in a hearing device as well as a hearing device
CN101263737A (zh) * 2005-10-17 2008-09-10 唯听助听器公司 具有可选择程序的助听器以及改变助听器中程序的方法
AU2005337523B2 (en) 2005-10-18 2009-09-10 Widex A/S Hearing aid comprising a data logg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hearing aid
DE602006017448D1 (de) * 2006-08-08 2010-11-18 Phonak Ag Auf hörgeräte bezogene verfahren und geräte, insbesondere für die wartung von hörgeräten sowie für die bereitstellung von zugehörigen verbrauchsartikeln
EP2078442B1 (en) 2006-10-30 2014-01-08 Phonak AG Hearing assistance system including data logging capabilit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2109934B2 (en) * 2007-01-04 2019-09-04 K/S Himpp Personalized sound system hearing profile selection
WO2008119382A1 (en) * 2007-03-30 2008-10-09 Phonak Ag Method for establishing performance of hearing devices
ATE524026T1 (de) 2007-06-13 2011-09-15 Widex As Verfahren zur benutzerindividualisierten anpassung eines hörgeräts
US8718288B2 (en) * 2007-12-14 2014-05-06 Starkey Laboratories, Inc. System for customizing hearing assistance devic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4699B2 (en) 2012-12-13 2017-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ring device considering external environment of user and control method of hearing device
WO2014175594A1 (ko) * 2013-04-24 2014-10-30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사용자 개별 환경 맞춤 방식의 보청기의 피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저장 매체
KR102239673B1 (ko) 2019-12-19 2021-04-16 주식회사 더열림 인공지능 기반 능동형 스마트 보청기 피팅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19647A (ko) 2021-08-02 2023-02-0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보청 장치 피팅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868B1 (ko) 2012-11-19
WO2010066305A1 (en) 2010-06-17
US9173043B2 (en) 2015-10-27
EP2374286A1 (en) 2011-10-12
CA2746141A1 (en) 2010-06-17
US20110235835A1 (en) 2011-09-29
JP2012511271A (ja) 2012-05-17
DK2374286T3 (da) 2020-01-20
CN102232299A (zh) 2011-11-02
AU2008365117A1 (en) 2010-06-17
JP5325994B2 (ja) 2013-10-23
SG172113A1 (en) 2011-07-28
EP2374286B1 (en)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868B1 (ko) 보청기를 미세 튜닝하는 방법
US11653155B2 (en) Hearing evaluation and configuration of a hearing assistance-device
US201801158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hearing aid adjustment and hearing testing by a hearing health professional
US20170223471A1 (en) Remotely updating a hearing aid profile
EP3459268B1 (en) System for real time, remote access and adjustment of patient hearing aid with patient in normal life environment
US20080056518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Optimizing an Individual's Hearing Aid
KR101490336B1 (ko) 사용자 개별 환경 맞춤 방식의 보청기의 피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저장 매체
US10499169B2 (en) Automatically determined user experience value for hearing aid fitting
EP3468227B1 (en) A system with a computing program and a server for hearing device service requests
WO2005125282A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increasing convenience to users to drive the purchase process for hearing health that results in purchase of a hearing aid
US11595766B2 (en) Remotely updating a hearing aid profile
EP3236673A1 (en) Adjusting a hearing aid based on user interaction scenarios
US11375061B2 (en) System for real time, remote access to and adjustment of patient hearing aid with patient in normal life environment
CN111279721B (zh) 听力装置系统和动态地呈现听力装置修改建议的方法
US2008008954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tted hea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