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9456A -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하여 락 결합요소를 갖는 금속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하여 락 결합요소를 갖는 금속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9456A
KR20110079456A KR1020100042032A KR20100042032A KR20110079456A KR 20110079456 A KR20110079456 A KR 20110079456A KR 1020100042032 A KR1020100042032 A KR 1020100042032A KR 20100042032 A KR20100042032 A KR 20100042032A KR 20110079456 A KR20110079456 A KR 20110079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coupling element
edge surface
protruding edge
lock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훈
박경한
Original Assignee
박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훈 filed Critical 박성훈
Priority to CN 201010255638 priority Critical patent/CN101913448A/zh
Priority to CN2010202988291U priority patent/CN201808771U/zh
Publication of KR20110079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5/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65D15/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e.g. cans, drums
    • B65D15/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e.g. cans, drums with curved, or partially curved, walls made of metal
    • B65D15/1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e.g. cans, drums with curved, or partially curved, walls made of metal with end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뚜껑에 의하여 결합되는 락 결합요소를 갖는 금속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의 제작 공정을 개선하여 제작 단가의 대폭적인 절감은 물론 플라스틱 뚜껑과 결합될 경우에도 금속 밀폐용기에서 밀폐력을 우수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밀폐용기함체를 락 결합요소를 갖는 금속용기함체로 가공할 경우에는 드로잉공정에 의하여 많은 작업공정이 요구되어지며 이럴 경우에도 별도의 전처리공정이 없을 경우에는 특히 사각을 제조하기가 상당히 기술적인 부분이 있어 쉽게 생산이 불가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금속 용기는, 한 번의 프레스 공정과 한번의 사출공정에 의하여 간단하게 제조되면서도 사출성형이 용이하고, 기밀성이 우수한 것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락 결합요소를 갖는 금속 용기 {A metal vessel include lock element}
본 발명은 락 결합요소를 갖는 밀폐를 위한 금속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의 상단부 외측으로 락 결합요소를 형성시키기 위한 제작 공정을 종래보다 대폭 단축시켜 생산성 향상은 물론 제작 단가를 대폭 절감시키면서도 기밀유지가 우수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락 결합요소를 갖는 밀폐를 위한 금속용기는, 위생을 감안하여 스텐레스로 가공되어지고 이러한 스텐레스의 특성에 의하여 프레스 가공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용기와는 다르게 덮개와의 결합 시 덮개의 락 요소와의 긴밀한 결속을 통하여 내용물의 기밀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의 상단부 외측에 덮개의 락요소와의 긴밀한 결속을 위한 결합홈테(101)가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금속 용기의 상단부 외측으로 돌출되어지면서 결합홈테(101)가 형성토록 하기 위해서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의 중앙을 프레스로 찍어(깊이에 따라 드로잉공정이 요구되어짐) 중앙으로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내공간부(100a)가 형성되고 내공간부(100a)가 형성된 상측단으로는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연장되어지는 돌출테두리면(100b)이 형성되도록 하는 가공공정과, 상기 돌출테두리면(100b)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프레스로 눌러 상측으로 접어 올려 홈테(100c)가 형성되도록 하는 가공공정과, 홈테(100c)의 끝단을 프레스로 눌러 하측으로 접어 내리는 가공공정과, 접어 내려진 홈테(100c)의 끝단을 내측으로 말아 넣음으로써 절단되어 날카롭게된 끝단을 마무리하기 위한 가공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다단계의 복잡한 금속 가공 공정을 거쳐야 했던 것이다.
따라서 이에 따른 제작 단가의 상승은 물론 생산성 저하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고, 특히 금속을 프레스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주변환경의 변화에 스텐레스의 수축팽창에 따른 규격의 변화로 덮개와의 결합시 결합력의 저하는 물론 결합시 밀폐력이 저하될 수 있다라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가공공정을 통하여 내공간부(100a)와 돌출테두리면(100b)이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돌출테두리면(100b)을 하측으로 접어내려 홈테(100c)가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홈테(100c)에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락 결합요소(200)를 강제 삽입시켜 끼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플라스틱끼리의 맞물림으로 덮개의 락 요소가 결합의 안정성과 밀폐력을 보완토록 한 것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의 경우에도 여전히 홈테(100c) 형성을 위한 프레스 가공공정이 요구되어질 뿐 아니라 금속 가공공정 후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락 결합요소(200)를 용기(100)의 홈테(100c)에 끼워 결합시키기 위한 조립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고, 또한 작업의 부주의로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에는 틈새로 물이 스며들게 된다는 단점이 존재할 수 있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기밀유지를 위하여 가공의 기술력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어서 어느 정도 고가로 제공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 번의 프레스 가공 공정과 한 번의 사출 성형 공정만으로도 락 결합요소가 간단히 형성되어지는 금속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종래보다 제작 공정의 대폭적인 단축을 통한 제작 단가의 대폭적인 절감은 물론 생산성까지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금속 용기는, 한 번의 프레스 공정을 통하여 상측단 외측으로 일정폭의 돌출테두리면이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돌출테두리면에 락 결합요소가 한 번의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하여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금속 용기는, 단지 한 번의 프레스 공정과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하여 락 결합요소가 형성되어지도록 되어 종래에 다단의 복잡한 프레스 가공 공정과 조립 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졌던 금속 용기보다 제작 단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저렴한 단가로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1b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및 도2a는 본 발명의 돌출테두리면의 또 다른 실시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돌출테두리면의 또 다른 구성도
도 4 및 도5는 본 발명의 락 결합요소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예시도.
도 6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기밀유지를 위한 다양한 실시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의 일 실시 예의 예시도.
도 10 내지 도12는 종래의 다양한 실시의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1,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금속 용기는, 금속판을 프레스 공정을 통하여 중앙으로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내공간부(1)가 형성되어지면서 상기 내공간부(1)의 상측단으로는 외측으로 연장되어지게 절곡되어지는 돌출테두리면(2)이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돌출테두리면(2)의 상,하, 외측단면이 전체적으로 감싸여지도록 락 결합요소(4)가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하여 용기함체(2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락 결합요소(4)가 돌출테두리면(2)에서 임의적인 분리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락결합요소(4)의 구성으로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뚜껑(10)에 형성된 패킹(11)이 장착된 요입테(12)에 요입되어지면서 밀착되기 위한 돌출테(4a)와 뚜껑(10)의 절첩되어지는 잠금날개(13)에 의하여 잠금과 풀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테(4b)가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2 및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테두리면(2)은 내공간부(1)의 상측에서 점차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한 후 그 상태에서 락 결합요소(4)가 인서트 사출 성형되도록 할 경우 플라스틱으로 인서트 사출성형된 락 결합요소(4)가 슬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동시에 뚜껑(10)의 잠금날개(13)와 결합되면서 잠금과 풀림이 반복될 경우에 이러한 각도에 의하여 탄력을 유지함으로서 잠금과 풀림시 유연한 작동과 동시에 경쾌한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돌출테두리면(2)에 상하로 관통되어진 구멍(3)을 천공하여 상기 락 결합요소(4)의 형성을 위한 사출물이 돌출테두리면(2)의 구멍(3)에 채워진 상태로 감싸여지게 성형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락 결합요소(4)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멍(3)을 통한 락 결합요소(4)의 채움 성형은, 외부 환경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돌출테두리면(2)과 락 결합요소(4) 간의 결합력이 약화될 경우 또는 금속과 플라스틱의 팽창계수가 다를 경우에도 돌출테두리면(2)으로부터 락 결합요소(4)가 틈이 생기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테두리면(2)의 상면에 형성되는 락 결합요소(4)는 돌출테두리면(2)에 노출공간(6)을 확보토록 함으로서 인서트 사출성형시에 금형의 닫힘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고, 동시에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이러한 노출공간(6)에 의하여 결합력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락 결합요소(4)는 돌출테두리면(2)의 하면에 형성되는 부분에는 용기함체의 벽면에서 하향만곡되게 만곡밀착면(4c)을 밀착되게 형성토록 함으로서 기밀력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락 결합요소(4)의 외측으로는 돌출테(4a)에서 하향경사지게 경사면(4d)으로 형성토록 하여 이물질이나 먼지등이 적층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뚜껑(10)과 결합될 경우에 결합력을 손쉽게 하는 것이고, 동시에 뚜껑의 개폐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락 결합요소(4)가 돌출테두리면(2)과 긴밀하게 밀착되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테두리면(2)에는 플라스틱과 밀착성이 우수한 코팅층(2a)을 형성하여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되어지는 락 결합요소(4)와의 긴밀한 밀착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코팅층(2a)을 사용치 아니할 경우에는 돌출테두리면(2)에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널링부(2b)를 형성함으로서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되는 락 결합요소(4)와의 밀착면을 많이 갖도록 함으로서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테두리면(2)의 외측테두리에 패킹(5)을 장착한 상태에서 락 결합요소(4)를 인서트 사출성형할 경우에는 이러한 패킹(5)에 의하여 좀더 완전한 진공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패킹(5)의 장착은 돌출테두리면(2)과 긴밀하게 밀착되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돌출테두리면(2)에 코팅층(2a)을 형성한 상태에서 또는 널링부(2b)를 형성한 상태에서 동시에 사용함으로서 좀더 완전한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한번의 프레스 작업과 인서트 작업만으로 간단하게 제조가 가능하게 되고, 동시에 뚜껑과 결합될 경우에 균일한 규격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어 기밀성이 향상되어지는 것이다.
1: 내공간부 2: 돌출테두리면
3: 구멍 4: 락 결합요소
5: 패킹 6: 노출공간
2a: 코팅층 2b: 널링부
4a: 결합홈테 4b: 결합돌출테
10: 뚜껑 20: 용기함체

Claims (9)

  1. 금속판을 프레스 공정을 통하여 중앙으로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내공간부(1)가 형성되어지면서 상기 내공간부(1)의 상측단으로는 외측으로 연장되어지게 절곡되어지는 돌출테두리면(2)이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돌출테두리면(2)의 상,하, 외측단면이 전체적으로 감싸여지도록 락 결합요소(4)가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하여 용기함체(2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락 결합요소(4)가 돌출테두리면(2)에서 임의적인 분리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락 결합요소를 갖는 금속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테두리면(2)의 상면에 형성되는 락 결합요소(4)는 돌출테두리면(2)의 상면에 노출공간을 확보토록 한 락 결합요소를 갖는 금속 용기.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테두리면(2)에 상하로 관통되어진 구멍(3)을 천공하여 상기 락 결합요소(4)의 형성을 위한 사출물이 돌출테두리면(2)의 구멍(3)에 채워진 상태로 감싸여지게 성형되도록 된 락 결합요소를 갖는 금속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테두리면(2)은 내공간부(1)의 상측에서 점차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한 후 그 상태에서 락 결합요소(4)가 인서트 사출 성형되도록된 락 결합요소를 갖는 금속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 결합요소(4)는 돌출테두리면(2)의 하면에 형성되는 부분에는 용기함체의 벽면에서 하향만곡되게 만곡밀착면(4c)을 밀착되게 형성토록 된 락 결합요소를 갖는 금속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락 결합요소(4)의 외측으로는 돌출테(4a)에서 하향경사지게 경사면(4d)이 형성된 락 결합요소를 갖는 금속 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락 결합요소(4)가 결합되는 돌출테두리면(2)에는 플라스틱과 밀착성이 우수한 코팅층(2a)을 형성하여 긴밀한 밀착을 유도한 락 결합요소를 갖는 금속 용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락 결합요소(4)가 결합되는 돌출테두리면(2)에는 널링부(2b)를 형성하여 긴밀한 밀착을 유도한 락 결합요소를 갖는 금속 용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락 결합요소(4)가 결합되는 돌출테두리면(2)의 외측테두리에 패킹(5)을 장착하여 긴공이 가능토록 한 락 결합요소를 갖는 금속 용기.
KR1020100042032A 2009-12-31 2010-05-04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하여 락 결합요소를 갖는 금속 밀폐용기. KR20110079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 201010255638 CN101913448A (zh) 2010-05-04 2010-08-10 带锁合部件的金属容器
CN2010202988291U CN201808771U (zh) 2010-05-04 2010-08-10 带锁合部件的金属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35570 2009-12-31
KR1020090135570 2009-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456A true KR20110079456A (ko) 2011-07-07

Family

ID=4491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032A KR20110079456A (ko) 2009-12-31 2010-05-04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하여 락 결합요소를 갖는 금속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94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534B1 (ko) * 2021-04-20 2021-11-23 김숙희 음식물 보관용기의 밀폐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534B1 (ko) * 2021-04-20 2021-11-23 김숙희 음식물 보관용기의 밀폐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0370B1 (ko) 밀폐용기의 뚜껑
KR200438358Y1 (ko) 투명창이 구비된 용기
KR100814707B1 (ko) 날개부를 갖는 패킹이 일체로 형성된 뚜껑을 갖는 용기
JP6067142B2 (ja) 化粧品容器キャップ
KR101186260B1 (ko) 밀폐용기용 뚜껑 조립체
JP2007126214A (ja) 真空弁作動式の密閉容器蓋
JP2005193980A (ja) 食品保存用容器
JP2013142004A (ja) ボタン式容器栓
KR200481842Y1 (ko) 화장품 용기
KR102044036B1 (ko) 긴밀한 밀폐력을 갖으면서 다단으로 적층되는 용기의 분리결합이 용이토록 되는 용기뚜껑
KR101252567B1 (ko) 밀폐 용기
KR20110079456A (ko)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하여 락 결합요소를 갖는 금속 밀폐용기.
JP6452143B2 (ja) 包装用容器
KR102202100B1 (ko) 호환성이 우수한 진공 패킹
KR100999937B1 (ko) 식품보관용 이중 접합용기
KR101510393B1 (ko) 밀폐용기용 뚜껑 조립체
WO2017078166A1 (ja) 口栓、および口栓を有するフィルム製容器
KR101820201B1 (ko) 감염성 폐기물용 밀폐용기
KR20200117928A (ko) 밀폐용기용 조립식 뚜껑
KR100656565B1 (ko)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
KR20130001718A (ko) 밀폐용기용 뚜껑 조립체
KR100670823B1 (ko) 화장품 용기
KR101129106B1 (ko) 절첩되어지는 락수단이 구비된 스텐레스 용기뚜껑
KR102539851B1 (ko) 잠금날개를 갖춘 밀폐용기용 뚜껑
KR20080002204U (ko)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801

Effective date: 2012062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10100536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801

Effective date: 20120621